맨위로가기

피에몬테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피에몬테어는 12세기에 처음 기록된 서부 로망스어의 일종으로, 이탈리아 피에몬테 지역에서 사용된다. 2004년 피에몬테 지방 의회는 피에몬테어를 지역어로 인정했지만, 이탈리아 정부는 아직 공식적으로 인정하지 않고 있다. 피에몬테어는 세 가지 주요 방언(서부, 동부, 카나베세)으로 나뉘며, 음운론적 특징과 문법적 차이를 보인다. 유네스코는 피에몬테어를 소멸 위기 언어로 지정했으며, 최근 조사에 따르면 사용 인구가 감소하는 추세이나, 이탈리아어와 함께 여전히 상당수 인구가 사용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갈리아이탈리아어 - 리구리아어
    리구리아어는 이탈리아 리구리아 주를 중심으로 사용되는 이탈로-로망스어군 언어로, 이탈리아 내 여러 지역과 모나코에서 사용되나 이탈리아 정부로부터 공식 언어로 인정받지 못하고 있으며, 여러 방언 중 제노바 방언이 가장 많은 화자를 가지고 있다.
  • 갈리아이탈리아어 - 롬바르디아어
    롬바르디아어는 이탈리아 북부 롬바르디아와 스위스 티치노에서 사용되는 로망스어군에 속하는 갈리아-이탈리아어 방언 집합체로, 고대 언어와 게르만족의 영향을 받아 형성되었으나 표준 이탈리아어 확산으로 사용이 감소하다 최근 부흥을 통해 다시 증가하는 추세이며, 서론바르디어와 동론바르디어로 나뉜다.
피에몬테어
지도 및 분포
피에몬테어 분포
'유럽에서의 피에몬테어 분포: 피에몬테어가 사용되는 지역 (옥시탄어와 프랑코프로방스어 존재가 법적으로만 인정되는 지역 포함)'
유네스코 언어위기 등급
'2010년 유네스코 세계 언어 위기 지도에서 피에몬테어를 "확실히 위험한 언어"로 분류함'
기본 정보
언어 이름피에몬테어
고유어 이름piemontèis
사용 지역이탈리아
북서 이탈리아: 피에몬테주, 리구리아주, 롬바르디아주, 아오스타 계곡
사용자 수2,000,000명 (2012년)
언어 계통인도유럽어족
이탈리아어파
라틴-팔리스키어군
라틴어
로망스어군
이탈리아서부어군
서부 로망스어군
갈로-이베리아어군
갈로로망스어군
갈로이탈리아어군
롬바르드어-피에몬테어?
사투리유대-피에몬테어
소수 언어 지역
ISO 639-3 코드pms
글롯토코드piem1238
링구아 코드51-AAA-of
로마자 표기
IPA/ˌpiːdmɒnˈtiːz/
발음 표기PEED-mon-TEEZ
피에몬테어 표기piemontèis
피에몬테어 IPA/pjemʊŋˈtɛjz/
피에몬테어 이름lenga piemontèisa
이탈리아어 이름piemontese
일본어 이름ピエモンテ語
한국어 이름피에몬테어
추가 정보
참고'La Stampa 신문, "헌법재판소, 피에몬테어는 언어가 아니다" 기사 참조 기사 링크'

2. 역사

피에몬테어로 쓰인 최초의 문서는 12세기에 작성된 '''sermones subalpini'''로, 당시에는 오크어와 매우 유사한 형태였다. 이 문서는 피에몬테에 주둔했던 템플 기사단의 교육 목적으로 쓰였다.

르네상스 시대에는 몬페라토 공국의 시인 잔 조르스 알리온(Zan Zòrs Alion)의 작품이 가장 오래된 세속적인 피에몬테어 문학 작품으로 여겨진다. 그의 작품 중 가장 유명한 것은 오페라 '조쿤다(Jocunda)'이다. 1500년대와 1600년대에는 피에몬테어로 일부 내용이 쓰인 목가극 여러 편이 등장했다.

바로크 시대에는 조반 바티스타 탄나 덴트라이브(Giovan Battista Tan-na d'Entraive)가 쓴 희극 '엘 콘트 피올렛(El Cont Piolèt)'이 출판되었다.

피에몬테어 문학은 17세기와 18세기에 걸쳐 발전했지만, 같은 지역에서 사용되던 다른 언어프랑스어이탈리아어에 비해 높은 문학적 명성을 얻지는 못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 연극, 소설, 그리고 과학 논문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형태의 피에몬테어 문학 작품이 꾸준히 창작되었다.[4]

3. 현재 상황

2004년 피에몬테 지방 의회는 피에몬테어를 피에몬테 지역어로 인정했지만,[5][6][7] 이탈리아 정부는 아직 공식적으로 인정하지 않고 있다. 이론적으로는 학교에서 어린이들에게 피에몬테어를 가르쳐야 하지만,[8] 실제 교육은 제한적으로만 이루어지고 있다.

지난 10년 동안 어린이를 위한 학습 자료와 일반인을 위한 잡지가 출판되었으며, 정규 교육 과정 외의 사람들을 위한 강좌도 개발되었다.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최근 조사에 따르면 지난 150년 동안 피에몬테어를 읽고 쓸 수 있는 사람의 비율은 원어민의 약 2% 수준으로 크게 감소하여 언어의 상태가 매우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9] 하지만 같은 조사에서 피에몬테어는 여전히 이탈리아어와 함께 해당 지역 인구의 절반 이상이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권위 있는 자료들도 피에몬테주 전체 인구 420만 명 중 200만 명[10][11]에서 300만 명[12] 정도가 피에몬테어를 사용한다고 추정하며 이 결과를 뒷받침한다. 2006 토리노 동계 올림픽 당시 피에몬테어를 공식 언어 중 하나로 채택하려는 시도가 있었으나 성공하지 못했다.

4. 방언

피에몬테어의 지리적 변종


피에몬테어는 크게 세 가지 주요 방언 그룹으로 나뉜다.[1]

  • 서부 방언: 토리노쿠네오 지역에서 사용된다.
  • 동부 방언: 남동부(아스티지아노, 로에로, 몬레갈레세, 고지 몬페라토, 랑가롤로, 알레산드리노)와 북동부(저지 몬페라토, 비엘레세, 베르첼레세, 발세시아노)로 다시 나뉜다.
  • 카나베세 방언: 피에몬테 북서부의 카나베세 지역에서 사용된다.


이 방언들은 말씨와 사용하는 단어에서 차이를 보이며, 이로 인해 익숙하지 않은 다른 방언을 이해하기 어려울 수 있다.[1] 각 방언의 구체적인 음운 및 형태론적 차이와 동사 활용 비교는 하위 섹션에서 더 자세히 다룬다.

4. 1. 동부와 서부 방언의 동사 활용 비교



피에몬테어는 크게 서부 방언(토리노, 쿠네오 지역), 동부 방언(아스티지아노, 로에로, 몬레갈레세 등 남동부와 저지 몬페라토, 비엘레세 등 북동부), 카나베세 방언(카나베세 지역)으로 나뉜다.[1] 이 방언들은 말씨와 어휘에서 차이를 보여, 익숙하지 않은 방언은 이해하기 어려울 수 있다.[1]

음운론적으로 동부 피에몬테어는 서부 방언보다 더 발전된 형태를 보인다. 서부 방언에서 jt, jd, 또는 t로 끝나는 단어는 동부 방언에서는 [dʒ] 또는 [tʃ]로 끝난다. 예를 들어, 서부 방언의 lajtpms([lajt], 우유), tyjtpms([tyjt], 모두), vɛjpms([vɛj], 늙은)는 동부 방언에서는 각각 lâccpms([lɑtʃ]), tuccpms([tytʃ]), veggpms([vɛdʒ])가 된다.[1] 또한, 동부 방언의 특징 중 하나는 [i]가 [e]의 동위어로 사용되는 경우이다. 이는 단어 끝, 동사 원형 부정사 어미, 특정 단어(예: 서부 léserpms([leze], 읽다), essepms([ese], 되다) vs 동부 lesipms([lezi]), essipms([esi])), 그리고 여성 복수 형태의 단어에서 나타난다. 다만, 동사 원형 부정사의 경우는 토리노 방언을 포함한 대부분의 서부 방언에서도 나타나는 특징이다.[1]

형태론적으로 동부와 서부 방언을 구분하는 뚜렷한 차이는 불규칙 동사의 직설법 미완료 시제 활용에서 나타난다. 동부 방언은 'ava'/'iva' 어미를 사용하는 반면, 서부 방언은 'asìa'/'isìa' 어미를 사용한다. 또한, dépms(주다), andépms(가다), stépms(머무르다)와 같은 불규칙 동사의 현재 시제 활용에서도 차이가 있다.[1]

영어동부서부
주다가다머무르다주다가다머무르다
1인칭 단수daghpmsvaghpmsstaghpmsdonpmsvonpmsstonpms
2인칭 단수pmspmsstèpmsdaspmsvaspmsstaspms
3인칭 단수dapmsvapmsstapmsdapmsvapmsstapms
1인칭 복수domapmsandomapmsstomapmsdomapmsandomapmsstomapms
2인칭 복수déjpmsandéjpmsstéjpmsdevepmsandevepmsstevepms
3인칭 복수danpmsvanpmsstanpmsdanpmsvanpmsstanpms


5. 음운론

피에몬테어 음운론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보인다.


  • 탈락: 단어 끝의 강세 없는 모음이 사라지는 현상이다. 단, /a/는 일반적으로 중앙화되어 [ɐ]가 된다.[15][15]
  • 음절약화: 강세 없는 전핵[16] 및 후핵 모음이 약화되거나 삭제된다. 예를 들어 /me'luŋ/은 /mə'luŋ/을 거쳐 /m'luŋ/이 된다.[17] 이는 프랑스어 및 다른 갈로-로망스어에서도 나타나는 현상이다. 경우에 따라 자음군의 발음을 쉽게 하기 위해 [ə] 또는 [ɐ]가 덧붙기도 한다. (예: novod, "조카", [nʊˈvud] > [nvud] > [ɐnˈvud])[16][17] 이러한 특징은 에밀리아 방언에서도 발견된다.[16]
  • 비음화: /n/ 앞에서 모음이 비음화되는 현상은 서방 로망스어와 공통적이다. 또한 비음화가 모음에서 /n/으로 이동하여 /ŋn/ 형태가 발달하고 이후 [n]이 탈락하기도 한다. (예: /'buna/ > /'bũna/ > /'buŋna/ > /'buŋa/)[17]
  • 모음 발달: 라틴어의 [ɔ]와 [uː]에서 각각 /ø/와 /y/ 모음이 발달했다.[17]
  • 이중자음 축소: 예) 라틴어 SERRARE > saré.
  • 라틴어 파열음 군 [kt]와 [gd]는 갈로-로망스어에서처럼 [jd]가 된다. 예) NOCTEM > neuit [nøi̯d]; LACTEM > làit [lɑi̯d]. 일부 방언에서는 [i̯d]가 구개음화되어 [d͡ʒ]로 발음되는 더 발전된 단계를 보이기도 한다. (예: 베르첼리 방언 [nød͡ʒ]와 [lad͡ʒ]) 이는 스페인어, 오크어, 브라질 포르투갈어에서도 나타나는 현상이다.[15]
  • 구개음화: [kl]과 [gl]이 구개음화된다. 예) 라틴어 CLARUS > ciàr [tʃɑi̯r] "빛", GLANDIA > gianda [ˈdʒɑŋdɐ] "견과류".[15][17]
  • 연화: 라틴어의 무성 파열음 /p/, /t/, /k/는 유성음(/b/, /d/, /g/)이 된 후 약화되어 일반적으로 탈락한다. 예) FORMICAM > formìa; APRILEM > avril, CATHÉDRA > careja.[17]
  • 유음화: 전설 모음 앞의 라틴어 /k/, /g/는 후치경 파찰음 /t͡ʃ/, /d͡ʒ/가 되고, 전형적인 서방 로망스어의 변화를 따라 /t͡s/, /d͡z/를 거쳐 마찰음 /s/, /z/가 된다. 예) CINERE > sënner; CENTUM > sent; GINGIVA > zanziva.[17]

5. 1. 자음

치경음후치경음경구개음연구개음파열음무성음ptk유성음bdɡ파찰음무성음t͡ʃ유성음d͡ʒ마찰음무성음fs유성음vz비음mnɲŋ전동음r접근음ljw



/v/는 /a/와 /u/ 사이에서는 w로, 어말 위치에서는 w 또는 f로 실현된다.[13][14]

5. 2. 모음

전설 모음중설 모음후설 모음
고모음iyu
중모음eøə
ɛɔ
저모음colspan="2" |a



/a/의 이음은 강세를 받는 음절에서는 [ɑ, ɒ]이고, 강세가 없는 위치와 단어 끝에서는 [ɐ]이다.

6. 문자

피에몬테어는 수정된 라틴 문자를 사용한다. 아래 표는 문자와 국제 음성 기호(IPA) 표기이다.

문자IPA 값rowspan="9" style="border-top: none; border-bottom: none; background-color: transparent; width: 0.5em;" |문자IPA 값rowspan="9" style="border-top: none; border-bottom: none; background-color: transparent; width: 0.5em;" |문자IPA 값
A a/a/, /ɑ/H h(묵음)P p/p/
B b/b/I i/i/ 또는 (반모음) /j/Q q/k/ (항상 u 앞에 온다.)
C c/k/ 또는 /tʃ/ (i, e 또는 ë 앞에서는 /tʃ/)J j/j/R r/r/~/ɹ/
D d/d̪/L l/l/S s/s/, /z/ (모음 사이, 단어 끝, 비음/유성 자음 바로 앞에서 s는 유성음 /z/로 발음된다.)
E e/e/ 또는 /ɛ/ (열린 음절에서는 e가 /e/ 또는 /ɛ/이고, 닫힌 음절에서는 /e/이다.)M m/m/T t/t̪/
Ë ë/ə/N n/n/ 또는 /ŋ/ (자음 앞이나 단어 끝에서 n은 연구개 비음 /ŋ/을 나타낸다.)U u/y/, 또는 (반모음) /w/, /ʊ̯/
F f/f/O o/ʊ/, /u/ 또는 (반모음) /ʊ̯/V v/v/, /ʋ/, 또는 /w/ (v는 일반적으로 /v/이고, 치경 자음 앞과 모음 사이에서는 /ʋ/이며, 단어 끝에서는 /w/ [일부 화자에게는 /f/]이다.)
G g/ɡ/ 또는 /dʒ/ (i, e 또는 ë 앞에서는 /dʒ/)Ò ò/ɔ/Z z/z/



특정 이중음자는 아래와 같이 특정한 소리를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이중음자IPA 값rowspan="8" style="border-top: none; border-bottom: none; background-color: transparent; width: 0.5em;" |이중음자IPA 값rowspan="8" style="border-top: none; border-bottom: none; background-color: transparent; width: 0.5em;" |이중음자IPA 값
gg/dʒ/gh/ɡ/cc/tʃ/
gli/ʎ/ (일부 이탈리아어 차용어에서 /ʎ/를 나타낸다.)ss/s/gn/ɲ/
sc/sk/, /stʃ/sc, scc/stʃ/eu/ø/
colspan=2 |sg, sgg/zdʒ/colspan=2 |



다른 모든 문자 조합은 적힌 대로 발음된다. 무성 악센트(`)는 강세를 표시하고(단, ''o''는 ''ò''(/ɔ/)와 구별하기 위해 예리한 악센트(´)를 사용한다.) 이중모음을 나눈다. 따라서 ''ua''와 ''uà''는 /wa/이지만, ''ùa''는 /ˈya/로 따로 발음된다.

7. 특징

피에몬테어의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다.

# 주어를 나타내는 동사적 인칭대명사(clitic)가 존재한다. 이로 인해 피에몬테어 동사구는 (주어) + 동사적 인칭대명사 + 동사 형태를 가진다. 예를 들어, ''(mi) i von''은 '나는 간다'를 의미한다. 명령문에서는 동사적 인칭대명사가 생략된다.

# 동사적 인칭대명사는 여격 및 처소격 조사와 결합하는 형태가 있다. (예: ''a-i é'' '있다', ''i-j diso'' '내가 그에게 말한다').

# 의문문은 동사 형태 끝에 의문 부사를 덧붙여 만든다. (예: ''Veus-to…?'' '원하세요…?').

# '여섯 번째'보다 큰 서수가 없다. 예를 들어 '일곱 번째'는 ''col che a fà set'' ('7을 만드는 것')으로 표현한다.

# 긍정의 의미를 나타내는 감탄사가 세 가지 있다: ''si, sè'' (라틴어 ''sic est''에서 유래, 이탈리아어와 같음); ''é'' (라틴어 ''est''에서 유래, 포르투갈어와 같음); ''òj'' (라틴어 ''hoc est''에서 유래, 오크어와 같거나, 프랑코-프로방스어, 프랑스어, 구 카탈루냐어오크어의 ''hoc illud''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이 있음).

# 무성 후치경 마찰음 /ʃ/ (영어 ''sheep''의 ''sh''와 같음)이 없으며, 일반적으로 치경음 S (영어 ''sun''의 S와 같음)로 대체된다.

# S-C 조합은 [stʃ]로 발음된다.

# 연구개 비음 [ŋ] (영어 ''going''의 ''ng''와 같음)이 존재하며, 주로 모음 앞에 온다. 예: ''lun-a'' '달'.

# 매우 짧은 세 번째 피에몬테어 모음 Ë가 있으며, 영어 ''sir''의 모음과 비슷하다.

# 이탈리아어와 달리, 단모음과 장모음(겹자음) 자음 사이의 음운론적 구별이 없다. 예를 들어 이탈리아어 ''fata'' '요정'과 ''fatta'' '(여성형) 만들어진'은 피에몬테어에서는 구별되지 않는다.

# 음운 규칙상 허용되지 않는 자음군이 나타날 경우, 첨가음 Ë가 삽입된다. 따라서 '일곱 개의 별'은 ''set ëstèile''로 발음된다 (''stèile'' '별').

피에몬테어는 기본적인 코이네 내에서도 상당히 다양한 변종이 존재한다. 이러한 차이는 문법적 변이뿐만 아니라 어휘에서도 나타나는데, 지역마다 프랑크족 또는 롬바르드족 기원의 단어를 유지하거나 고유 로망스 어휘에서 차이를 보이기 때문이다. 또한 다양한 언어에서 차용한 단어들도 있으며, 최근에는 주로 프랑스어이탈리아어에서 단어를 빌려왔다.

8. 다른 로망스어와의 어휘 비교

wikitext

피에몬테어이탈리아어프랑스어스페인어포르투갈어루마니아어카탈루냐어영어
cadregasediachaisesillacadeirascauncadirachair
pijéprendere, pigliareprendretomarpegar, tomara luaprendreto take
surtìusciresortirsalirsaira ieșisortir/eixirto go/come out
droché/casché/tombécadere, cascaretombercaer, tumbarcair, tombarcăderecaureto fall
ca/misoncasamaisoncasacasacasăcasahome
brassbracciobrasbrazobraçobrațbraçarm
nùmernumeronuméronúmeronúmeronumărnombrenumber
pommelapommemanzanamaçãmărpomaapple
travajélavoraretravaillertrabajar, laborartrabalhara lucratreballarto work
ratavolòirapipistrellochauve-sourismurciélagomorcegoliliacratpenatbat
scòlascuolaécoleescuelaescolașcoalăescolaschool
bòschboscoboisbosquebosquepădureboscwood (land)
monsùsignoremonsieurseñorsenhor, seudomnsenyorMr
madamasignoramadameseñorasenhora, donadoamnăsenyoraMrs
istàestateétéverano, estíoverãovarăestiusummer
ancheujoggiaujourd'huihoyhojeaziavui/huitoday
dmandomanidemainmañanaamanhãmâinedemàtomorrow
jerierihierayerontemieriahiryesterday
lùn-eslunedìlundilunessegunda-feiralunidillunsMonday
màrtesmartedìmardimartesterça-feiramarțidimartsTuesday
mèrcol/mercomercoledìmercredimiércolesquarta-feiramiercuridimecresWednesday
giòbiagiovedìjeudijuevesquinta-feirajoidijousThursday
vënner/venevenerdìvendrediviernessexta-feiravineridivendresFriday
sabasabatosamedisábadosábadosâmbătădissabteSaturday
dumìnicadomenicadimanchedomingodomingoduminicădiumengeSunday


9. 숫자

wikitext

숫자피에몬테어숫자피에몬테어숫자피에몬테어숫자피에몬테어
1un11ondes30tranta200dosent
2doi (남성), doe (여성)12dodes40quaranta300tersent
3trei13terdes50sinquanta400quatsent
4quatr14quatordes60sessanta500sinchsent
5sinch15quindes70stanta600sessent
6ses16sedes80otanta700setsent
7set17disset90novanta800eutsent
8eut18diseut100sent900neuvsent
9neuv19disneuv101sent e un1000mila
10des20vint110sentdes


참조

[1] 웹사이트 Piedmontese https://www.ethnolog[...] 2016-00-00
[2] 웹사이트 Glottolog 4.8 - Piemontese-Lombard https://glottolog.or[...] Max Planck Institute for Evolutionary Anthropology 2023-10-29
[3] 뉴스 Per la Consulta il piemontese non è una lingua http://www3.lastampa[...] La Stampa 2010-05-14
[4] 웹사이트 Tàula ëd Matemàtica e Fìsica https://digilander.l[...]
[5] 웹사이트 Atti del Consiglio - Mozioni e Ordini del Giorno http://www.consiglio[...] Consiglio regionale del Piemonte 1999-11-30
[6] 웹사이트 Approvazione da parte del Senato del Disegno di Legge che tutela le minoranze linguistiche sul territorio nazionale - Approfondimenti http://www.gioventur[...] Consiglio Regionale del Piemonte 1999-12-15
[7] 서적 Piemontèis d'amblé - Avviamento Modulare alla conoscenza della Lingua piemontese Regione Piemonte/Gioventura Piemontèisa 2001-00-00
[8] 웹사이트 Arbut - Ël piemontèis a scòla http://www.gioventur[...]
[9] 간행물 Knowledge and Usage of the Piedmontese Language in Turin and its Province http://www.gruppi.co[...] Euromarket 2003-00-00
[10] 서적 Il Piemontese in Tasca http://www.assimil.i[...] Assimil Italia 2006-00-00
[11] 웹사이트 Le Lingue del Piemonte https://www.ires.pie[...] Istituto di Ricerche Economiche e Sociali Piemonte 2007-10-00
[12] 웹사이트 Ethnologue: Languages of the World, Sixteenth edition http://www.ethnologu[...] SIL International 2012-06-13
[13] 서적 Grammatica della lingua piemontese 2000-00-00
[14] 서적 Piedmont Routledge 1997-00-00
[15] 서적 The Linguistic Unity of Northern Italy and Rhaetia: Historical Grammar of the Padanian Language. Volume 1: Historical Introduction, Phonology 2017-00-00
[16] 서적 Grammatica storica della lingua italiana e dei suoi dialetti
[17] 서적 Repertorio Etimologico Piemontese 2015-00-00
[18] 논문 A linguistic sketch of Judeo-Piedmontese and what it tells us about Piedmontese Jews' origins https://www.degruyte[...] 2015-11-01
[19] 웹사이트 Piemontese http://www.ethnologu[...] SIL 2014-01-19
[20] 웹사이트 Piedmontese https://www.ethnolog[...] 2016-00-0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