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필리핀의 교통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필리핀의 교통은 도로, 철도, 해상, 항공을 포함하며, 다양한 교통 수단이 존재한다. 2022년 기준, 오토바이가 등록 차량의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며, 지프니는 대중교통의 주요 수단이다. 필리핀은 21만km가 넘는 도로를 보유하고 있으며, 고속도로는 루손 섬을 중심으로 발달했다. 철도 시스템은 마닐라 경전철, 도시 철도, 국립 철도를 포함하며, 해상 교통은 섬 간 이동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항공 교통은 국내 및 국제선 운항을 제공하는 필리핀 항공과 세부 퍼시픽 항공을 중심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급증하는 차량과 대중교통 부족으로 인해 교통 체증과 대기 오염 문제가 심각하며, 경제적 손실과 환경 문제로 이어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필리핀의 교통 - 오토릭샤
    오토릭샤는 동남아시아 및 인도 문화권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삼륜 택시로, '인력거'에서 유래한 '릭샤'에 '자동'을 뜻하는 '오토'가 합쳐진 이름이며, 경제적인 교통수단으로 시작해 전 세계로 퍼져나가 단거리 이동에 사용되고, 최근에는 친환경 연료 모델로 환경 문제 해결에도 기여한다.
  • 필리핀의 교통 - 지프니
    지프니는 제2차 세계 대전 후 필리핀에서 유래한 대중교통 수단으로, 미군 지프를 개조하여 만들어졌으며, 필리핀 문화가 반영된 화려한 디자인으로 유명하지만, 최근 유가 상승 등으로 어려움을 겪으며 현대화 및 전기 모델 개발을 통해 변화를 모색하고 있다.
필리핀의 교통
개요
필리핀의 대중 교통
필리핀의 대중 교통
주요 교통 수단도로 교통
철도 교통철도, 경전철
항공 교통항공
해상 교통해운
도로 교통
주요 특징지프니
버스
트라이시클
택시
도로망정부는 공공 교통 시스템 개선에 주력하고 있다.
철도 교통
주요 노선PNR은 루손 섬에서 운영된다.
도시 철도마닐라에는 고가 경전철 시스템이 있다.
항공 교통
주요 공항니노이 아키노 국제공항
막탄 세부 국제공항
항공사필리핀 항공
세부 퍼시픽
해상 교통
주요 항구필리핀은 섬으로 이루어져 있어 해상 운송이 중요하다.
페리섬 간 이동을 위해 페리가 운영된다.

2. 도로 교통

필리핀은 2018년 10월 기준으로 217317km의 도로를 보유하고 있다.[7] 도로는 행정적 책임에 따라 국도, 지방도, 시/지방 자치구 도로, 바랑가이 도로 등으로 분류된다.[10] 1940년에는 전국에 약 22965.28km의 도로가 있었으며, 이 중 절반이 루손 중부 및 남부에 있었다.[9]

세부 세부 시티의 콜론 거리


도로의 종류별 길이는 다음과 같다.

종류길이
국도33018.25km[8]
지방도31620km[7]
시/지방 자치구 도로31063km[7]
바랑가이 도로121702km[7]



대부분의 바랑가이 도로는 비포장 마을 진입 도로이며, 유지 관리 책임은 지방 정부 단위(LGU)로 이관되었다.[10] 농장에서 시장으로 연결되는 도로는 농지 개혁부와 농업부에서 자금을 지원하기도 한다.[10]

파나-필리핀 고속도로는 3517km의 도로, 교량 및 페리 서비스 네트워크로, 루손, 사마르, 레이테, 민다나오 섬을 연결하는 필리핀의 주요 교통망이다.[11] 에피파니오 데 로스 산토스 애비뉴(EDSA)는 메트로 마닐라에서 가장 긴 고속도로 중 하나이며 하루 평균 234만 대의 차량을 처리한다.[12]

강력 공화국 해상 고속도로는 여러 섬의 도로망을 롤온/롤오프 페리를 통해 연결한다. 필리핀 최초의 고속도로 시스템은 북 루손 고속도로와 남 루손 고속도로이며,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대통령 재임 기간인 1970년대에 건설되었다.

필리핀의 자동차 산업은 미국 식민지 시대에 시작되었으며, 1950년대 수입 대체 정책을 거쳐 1970년대 점진적 자동차 제조 프로그램(PCMP)이 시행되었다.[16]

비난 라구나 주에서 운행 중인 BBL Trans 시외 버스


버스는 시외 버스와 시내 버스로 나뉘며, 육상 교통 면허 및 규제 위원회(LTFRB)에서 규제한다.[1] 버스 급행 시스템(BRT)도 일부 지역에 존재한다.[1]

파사이 시의 파크 애비뉴를 따라 오토바이 뒷좌석 탑승자와 함께 달리는 오토바이 운전자들


오토바이는 2022년 5월 현재 필리핀에서 가장 많이 이용되는 개인 교통수단이며, 택배음식 배달 서비스와 오토바이 택시 서비스에도 사용된다.[19]

레가스피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지프니


지프니는 필리핀 문화의 상징이자 가장 인기 있는 대중교통 수단이다. 현대의 지프니는 독립 작업장과 공장에서 일본에서 수입된 엔진과 부품을 사용하여 생산된다.

2021년 바기오의 토요타 이노바 택시


택시는 대도시권에서 주로 사용되며, 택시 미터기를 갖추고 있다.

자전거 타기, 페디캡, 칼레사 등도 이용된다. 마리키나 시는 자전거 도로 네트워크를 건설하여 세계 보건 기구로부터 상을 받았다.[23]

발리우아그 불라칸 시장에서 자전거를 들고 가는 여성

2. 1. 도로



2018년 10월 기준으로 필리핀은 217317km의 도로를 보유하고 있다.[7] 도로망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종류길이
국도33018.25km[8]
지방도31620km[7]
시/지방 자치구 도로31063km[7]
바랑가이 도로121702km[7]



1940년에는 전국에 약 22965.28km의 도로가 있었으며, 이 중 절반이 루손 중부 및 남부에 있었다.[9] 이 도로들은 5만 대의 차량에 서비스를 제공했다.[9]

도로 분류는 주로 행정적 책임(바랑가이 제외)에 기반하며, 즉 도로를 건설하고 자금을 지원한 정부의 수준에 따른다. 대부분의 바랑가이 도로는 과거 공공사업 및 고속도로부 (DPWH)가 건설한 비포장 마을 진입 도로이지만, 이러한 도로 유지 관리 책임은 지방 정부 단위 (LGU)로 이관되었다. 농장에서 시장으로 연결되는 도로는 이 범주에 속하며, 일부는 농지 개혁부와 농업부에서 자금을 지원한다.[10]

2. 2. 고속도로

필리핀의 고속도로는 국도로 분류되며, 국도는 국도 1등급, 국도 2등급, 국도 3등급으로 나뉜다.[11]

파나-필리핀 고속도로는 3517km의 도로, 교량 및 페리 서비스 네트워크로, 루손, 사마르, 레이테, 민다나오 섬을 연결하며, 필리핀의 주요 교통망 역할을 한다. 이 고속도로의 북쪽 종점은 라오아그에 있으며, 남쪽 종점은 삼보앙가 시에 있다.

에피파니오 데 로스 산토스 애비뉴(EDSA)는 필리핀에서 가장 잘 알려진 고속도로 중 하나이다. 이 도로는 메트로 마닐라의 17개 정착지 중 6곳, 즉 칼로오칸, 케손 시티, 만달루용, 산 후안, 마카티, 파사이를 통과한다. EDSA는 대도시에서 가장 긴 고속도로이며, 하루 평균 234만 대의 차량을 처리한다.[12] 커먼웰스 애비뉴 또한 대도시의 중요한 고속도로로, 케손 시티 지역을 관할하며 길이는 12.4km이다. 필리핀 고속도로 네트워크의 일부인 메트로 마닐라의 다른 주요 간선 도로로는 에스파냐 대로, 케손 애비뉴, 태프트 애비뉴, 알라방-사포테 로드 등이 있다.

메트로 마닐라 외곽에서는 맥아더 고속도로가 메트로 마닐라와 루손 중부 및 북부의 지방을 연결한다. 이 고속도로는 필리핀 고속도로 네트워크의 N1 (칼로오칸에서 기기윈토까지)과 N2 (기기윈토에서 북쪽으로 라오아그까지)의 구성 요소이며, 메트로 마닐라의 간선 도로 네트워크의 방사형 도로 9 (R-9)의 구성 요소이기도 하다. 케논 로드와 아스피라스-팔리스피스 고속도로는 모두 바기오로 이어지는 주요 도로이다. 아기날도 고속도로, 호세 P. 로렐 고속도로, 마닐라 사우스 로드, 칼람바-파그산잔 로드 (마닐라 이스트 로드의 일부)는 칼라바르존 지역의 주요 도로이다. 안다야 고속도로 (N68)는 케손 주를 비콜 지방과 연결한다. 세부 시티에 위치한 콜론 스트리트는 필리핀에서 가장 오래된 간선 도로로 여겨진다. 민다나오의 주요 고속도로로는 세이어 고속도로, 부투안-카가얀데오로-일리간 로드, 수리가오-다바오 해안 도로, 다바오-코타바토 로드, 마리아 클라라 L. 로브레가트 고속도로 등이 있다.

강력 공화국 해상 고속도로는 여러 섬의 도로망을 일련의 롤온/롤오프 페리를 통해 연결하며, 일부는 짧은 거리를 운행하는 소형 선박이고, 일부는 몇 시간 이상 항해할 수 있는 대형 선박이다.

필리핀은 수많은 고속도로를 보유하고 있으며, 대부분은 이 나라의 주요 섬인 루손섬에 위치해 있다. 필리핀 최초의 고속도로 시스템은 과거 북부 우회로로 알려졌던 북 루손 고속도로와 과거 남부 슈퍼 하이웨이로 알려졌던 남 루손 고속도로이다. 둘 다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대통령 재임 기간인 1970년대에 건설되었다.

북 루손 고속도로(NLEX)는 메트로 마닐라와 중앙 루손 지역의 지방을 연결하는 4차선에서 8차선까지의 제한적인 접근을 허용하는 유료 고속도로이다. 이 고속도로는 케손 시티에서 EDSA와의 클로버 인터체인지에서 시작한다. 이후 불라칸팜팡가 지방의 다양한 도시와 자치구를 통과한다. 이 고속도로는 마발라카에서 끝나며, 북쪽으로 중앙 및 북부 루손의 나머지 지역으로 이어지는 맥아더 하이웨이와 합류한다.

남 루손 고속도로(SLEX)는 필리핀의 또 다른 중요한 고속도로로, 루손 남부를 운행한다. 이 고속도로는 메트로 마닐라루손섬 남부의 칼라바르손 지방을 연결하는 두 개의 고속도로 네트워크이다. 마닐라파코 구역에서 시작하여 마닐라, 마카티, 파사이, 파라냐케, 타기그문틴루파 ( 메트로 마닐라 ), 산 페드로, 비냔 ( 라구나 주 ), 카르모나 ( 카비테 주 )를 통과한 다음 다시 비냔, 산타 로사, 카부야오, 칼람바 ( 라구나 주 )를 거쳐 산토 토마스 ( 바탕가스 주 )에서 끝난다.

수빅-클라크-타를라크 고속도로는 중앙 루손 지역을 운행하는 또 다른 고속도로로, 마발라카 인터체인지를 통해 북 루손 고속도로와 연결되어 있다. 남쪽 종점은 잠발레스의 수빅 만 자유 무역 지대에 있으며, 클라크 자유 무역 지대를 통과하며 북쪽 종점은 타를라크 시의 브라기. 아무카오에 있다. 이 고속도로의 건설은 2005년 4월에 시작되어 3년 후에 일반에 공개되었다.[13]

마닐라-카비테 고속도로(CAVITEX)는 파라냐케에서 카비테의 카위트까지 이어지는 14km 길이의 고속도로로, 라스피냐스와 바코르도 통과한다.

남부 타갈로그 간선 도로(STAR)는 바탕가스 주를 관통하며 산토 토마스와 바탕가스 시를 연결하는 41km 길이의 고속도로이다.

카비테-라구나 고속도로(CALAX)는 카비테, 라구나 및 메트로 마닐라를 연결하는 고속도로이다. 2023년 기준으로, 실랑과 비냔을 연결하며, 나머지 구간에 대한 건설이 진행 중이다.

필리핀 정부와 기타 민간 부문은 공공-민간 파트너십을 통해 새로운 고속도로를 건설하기 위한 더 많은 계획과 제안을 수립하고 있다.[14]

2. 3. 고속도로

필리핀의 고속도로는 국도로 분류되며, 국도는 국도 1등급, 국도 2등급, 국도 3등급으로 나뉜다.[11]

파나-필리핀 고속도로는 3517km의 도로, 교량 및 페리 서비스 네트워크로, 루손, 사마르, 레이테, 민다나오 섬을 연결하며, 필리핀의 주요 교통망 역할을 한다. 이 고속도로의 북쪽 종점은 라오아그에 있으며, 남쪽 종점은 삼보앙가 시에 있다.

에피파니오 데 로스 산토스 애비뉴(EDSA)는 필리핀에서 가장 잘 알려진 고속도로 중 하나이다. 이 도로는 메트로 마닐라의 17개 정착지 중 6곳, 즉 칼로오칸, 케손 시티, 만달루용, 산 후안, 마카티, 파사이를 통과한다. EDSA는 대도시에서 가장 긴 고속도로이며, 하루 평균 234만 대의 차량을 처리한다.[12] 커먼웰스 애비뉴 또한 대도시의 중요한 고속도로로, 케손 시티 지역을 관할하며 길이는 12.4km이다. 필리핀 고속도로 네트워크의 일부인 메트로 마닐라의 다른 주요 간선 도로로는 에스파냐 대로, 케손 애비뉴, 태프트 애비뉴, 알라방-사포테 로드 등이 있다.

메트로 마닐라 외곽에서는 맥아더 고속도로가 메트로 마닐라와 루손 중부 및 북부의 지방을 연결한다. 이 고속도로는 필리핀 고속도로 네트워크의 N1 (칼로오칸에서 기기윈토까지)과 N2 (기기윈토에서 북쪽으로 라오아그까지)의 구성 요소이며, 메트로 마닐라의 간선 도로 네트워크의 방사형 도로 9 (R-9)의 구성 요소이기도 하다. 케논 로드와 아스피라스-팔리스피스 고속도로는 모두 바기오로 이어지는 주요 도로이다. 아기날도 고속도로, 호세 P. 로렐 고속도로, 마닐라 사우스 로드, 칼람바-파그산잔 로드 (마닐라 이스트 로드의 일부)는 칼라바르존 지역의 주요 도로이다. 안다야 고속도로 (N68)는 케손 주를 비콜 지방과 연결한다. 세부 시티에 위치한 콜론 스트리트는 필리핀에서 가장 오래된 간선 도로로 여겨진다. 민다나오의 주요 고속도로로는 세이어 고속도로, 부투안-카가얀 데 오로-일리간 로드, 수리가오-다바오 해안 도로, 다바오-코타바토 로드, 마리아 클라라 L. 로브레가트 고속도로 등이 있다.

강력 공화국 해상 고속도로는 여러 섬의 도로망을 일련의 롤온/롤오프 페리를 통해 연결하며, 일부는 짧은 거리를 운행하는 소형 선박이고, 일부는 몇 시간 이상 항해할 수 있는 대형 선박이다.

필리핀은 수많은 고속도로를 보유하고 있으며, 대부분은 이 나라의 주요 섬인 루손섬에 위치해 있다. 필리핀 최초의 고속도로 시스템은 과거 북부 우회로로 알려졌던 북 루손 고속도로와 과거 남부 슈퍼 하이웨이로 알려졌던 남 루손 고속도로이다. 둘 다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대통령 재임 기간인 1970년대에 건설되었다.

북 루손 고속도로(NLEX)는 메트로 마닐라와 중앙 루손 지역의 지방을 연결하는 4차선에서 8차선까지의 제한적인 접근을 허용하는 유료 고속도로이다. 이 고속도로는 케손 시티에서 EDSA와의 클로버 인터체인지에서 시작한다. 이후 불라칸과 팜팡가 지방의 다양한 도시와 자치구를 통과한다. 이 고속도로는 마발라카에서 끝나며, 북쪽으로 중앙 및 북부 루손의 나머지 지역으로 이어지는 맥아더 하이웨이와 합류한다.

남 루손 고속도로(SLEX)는 필리핀의 또 다른 중요한 고속도로로, 루손 남부를 운행한다. 이 고속도로는 메트로 마닐라루손섬 남부의 칼라바르존 지방을 연결하는 두 개의 고속도로 네트워크이다. 마닐라파코 구역에서 시작하여 마닐라, 마카티, 파사이, 파라냐케, 타기그문틴루파 ( 메트로 마닐라 ), 산 페드로, 비냔 ( 라구나 주 ), 카르모나 ( 카비테 주 )를 통과한 다음 다시 비냔, 산타 로사, 카부야오 및 칼람바 ( 라구나 주 )를 거쳐 산토 토마스 ( 바탕가스 주 )에서 끝난다.

수빅-클라크-타를라크 고속도로는 중앙 루손 지역을 운행하는 또 다른 고속도로로, 마발라카 인터체인지를 통해 북 루손 고속도로와 연결되어 있다. 남쪽 종점은 잠발레스의 수빅 만 자유 무역 지대에 있으며, 클라크 자유 무역 지대를 통과하며 북쪽 종점은 타를라크 시의 브라기. 아무카오에 있다. 이 고속도로의 건설은 2005년 4월에 시작되어 3년 후에 일반에 공개되었다.[13]

마닐라-카비테 고속도로(CAVITEX)는 파라냐케에서 카비테의 카위트까지 이어지는 14km 길이의 고속도로로, 라스 피냐스와 바코르도 통과한다.

남부 타갈로그 간선 도로(STAR)는 바탕가스 주를 관통하며 산토 토마스와 바탕가스 시를 연결하는 41km 길이의 고속도로이다.

카비테-라구나 고속도로(CALAX)는 카비테, 라구나 및 메트로 마닐라를 연결하는 고속도로이다. 2023년 기준으로, 실랑과 비냔을 연결하며, 나머지 구간에 대한 건설이 진행 중이다.

필리핀 정부와 기타 민간 부문은 공공-민간 파트너십을 통해 새로운 고속도로를 건설하기 위한 더 많은 계획과 제안을 수립하고 있다.[14]

2. 4. 자동차

2022년 5월 현재, 필리핀에는 580만 대 이상의 자동차가 등록되어 있으며, 이 중 자동차는 전체 등록 차량의 9%, 스포츠 유틸리티 차량는 7%를 차지한다.[15]

필리핀의 자동차 산업은 1898년부터 1946년까지 미국 식민지 시대에 시작되었으며, 이때부터 필리핀에서 판매된 미국산 자동차가 도입되었다. 1950년대에는 수입 대체 정책이 개발되어 1951년부터 1972년까지 완제품 자동차(CBU) 수입이 금지되고 징벌적인 고율 관세가 부과되었다.[16] 1973년 석유 파동 당시 필리핀 대통령 페르디난드 마르코스는 필리핀인들에게 직렬 4기통 엔진을 장착한 작고 효율적인 차량을 구매하도록 권고했다. 1970년대 초, 현지 폭스바겐 조립업체는 수입된 "완전 분해 부품" 또는 "반 조립 부품"에 대한 의존도를 줄이기 위해 자국산 자동차인 "폭스바겐 삭바얀"(sasakyangkatutubongbayan의 약자)을 생산하려 했으나 오래가지 못했다.[17] 1972년 정부는 점진적인 현지 부품 사용 요구량을 증가시키는 동시에 프로그램 참여자에게 일정 비율의 CBU 차량 수입을 허용하는 시스템인 PCMP(Progressive Car Manufacturing Program, 점진적 자동차 제조 프로그램)를 시행했다.[16] 최초 참여자는 제너럴 모터스, 포드 자동차 회사, PAMCOR (크라이슬러/미쓰비시 합작 회사), 델타 모터스 공사(토요타), 닛산 자동차 필리핀이었다.

2. 5. 버스



버스는 필리핀에서 페리, 항공기에 이어 장거리 교통의 주요 수단이다.[1]

필리핀의 대중 버스 서비스는 '''시외 버스'''와 '''시내 버스''' 두 가지 유형으로 나뉜다.[1] 시외 버스는 도시와 마을 사이의 중장거리 노선(페리를 포함)에 사용된다.[1] 시내 버스 네트워크는 메트로 마닐라, 메트로 세부, 메트로 다바오의 3개 대도시 지역에 존재한다.[1] 버스 서비스는 민간 회사에서 운영하며, 노선, 운영 및 요금은 육상 교통 면허 및 규제 위원회(LTFRB)에서 규제한다.[1]

버스 급행 시스템(BRT)이 일부 지역에 존재한다.[1] 현재 BRT 시스템은 메트로 마닐라의 EDSA 회전차로와 클락 경제 자유 구역의 클락 루프이다.[1] 세부 버스 급행 수송 시스템은 세부 시티에서 건설 중이다.[1] 다바오 대중 교통 현대화 프로젝트에 따라 다바오 시티에도 통합 버스 교통 시스템이 구현될 예정이다.[1]

2. 6. 오토바이



오토바이는 2022년 5월 현재 필리핀에서 등록된 모든 자동차의 49%를 차지하며 가장 많이 이용되는 개인 교통수단이다.[15] 2021년 사회 기상청(Social Weather Stations) 조사에 따르면 전국 가구의 36%가 오토바이를 소유하고 있으며, 이는 차량 소유자의 50%를 차지한다.[18] 오토바이는 상품 운송을 위한 택배음식 배달 서비스에 주로 사용되며, 개인용 자동차보다 저렴한 대안으로 여겨진다. 또한 크기가 작아 교통 체증이 심한 도로에서 차선 분리를 쉽게 할 수 있고 보관이나 주차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흔히 ''앙카스''라고 불리는 오토바이 택시 서비스에도 사용된다.[19]

1990년대 오토바이 애호가들의 여가 활동과 배송 회사의 저렴하고 효율적인 상품 이동 수단으로 필리핀에서 오토바이 사용이 인기를 얻기 시작했다. 처음에는 미국 브랜드에 국한되었지만, 2000년대 초반 중국, 일본, 대만 오토바이 브랜드가 시장에 진출하면서 오토바이 소유 및 사용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2005년에는 등록된 오토바이 수가 자동차 수를 넘어섰다.[19]

2. 7. 지프니



'''지프니'''는 필리핀에서 가장 인기 있는 대중교통 수단이다. 원래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남겨진 미국 육군 지프를 개조하여 만들어졌으며, 화려한 장식과 빽빽한 좌석으로 유명하다. 지프니는 필리핀 문화의 상징이 되었다.

초기 지프니는 윌리스와 포드에 의해 단순히 개조된 군용 지프였지만, 현대의 지프니는 현재 필리핀의 독립 소유 작업장과 공장에서 일본에서 수입된 잉여 엔진과 부품을 사용하여 생산된다. 세부의 중앙 섬에서는 지프니의 대부분이 원래 화물용으로 사용되었던 중고 일본 트럭으로 만들어진다. 이것들은 완곡하게 "잉여" 트럭으로 알려져 있다.

필리핀에는 두 종류의 지프니 제작자가 있다.[1] 뒤뜰 제작자는 한 달에 1~5대의 차량을 생산하고, 대형 제조업체로부터 다이 스탬핑 부품을 조달하며, Isuzu 4BA1, 4BC2, 4BE1 시리즈 디젤 엔진 또는 미쓰비시 후소 4D30 디젤 엔진과 같은 폐차장에서 나온 중고 엔진과 섀시를 사용한다. 두 번째 유형은 대량 생산 제조업체이다. 이들은 PUJ, 즉 "공공 유틸리티 지프"와 부품뿐만 아니라 완성차를 공급하는 대량 금속 스탬핑 회사로 나뉜다.

과거 지프니 제작자는 주로 세부 시티와 라스피냐스에 있었다. 빈티지 스타일의 군용 지프니를 가장 많이 생산하는 회사는 MD Juan이다. 다른 제작업체로는 Armak Motors (산 파블로, 라구나), Celestial Motors (산 파블로, 라구나), Hebron Motors, LGS Motors, Malagueña (이무스, 카비테), Mega (리파, 바탕가스), Morales Motors (산 마테오, 리잘), Sarao Motors (라스피냐스)가 있다. 또 다른 제조업체인 PBJ Motors는 Sarao Motors에서 파생된 기술을 사용하여 팜팡가에서 지프니를 제조했다. Armak은 지프니와 함께 재제조된 트럭과 차량을 판매한다.

2. 8. 택시



택시는 필리핀의 교통수단 중 하나이다. 교통부(DOTr), 육상 교통국(LTO), 육상 교통 면허 및 규제 위원회(LTFRB)의 규제를 받는다. 현지 택시는 모델과 용도가 다양하며, 대부분 노란색 번호판, 택시 표지, LTFRB 등록 번호 및 택시 미터기를 갖추고 있다. 택시 미터기는 모든 택시에 의무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필리핀의 택시는 주로 대도시권에서 사용된다.

2. 9. 기타 육상 교통

필리핀에서는 인력 및 동물 동력 운송 수단으로 걷기, 자전거 타기[21], 페디캡(트레이시카 또는 파디약이라고도 함), 말이나 소가 끄는 칼레사 등이 있다.[22] 유엔과 클린 에어 아시아[23] 등은 비동력 운송 수단 통합을 깨끗하고 "매우 비용 효율적인 운송 전략"의 일부로 지원하며, "특히 도시 빈곤층에게 큰 건강, 경제, 사회적 공동 이익을 가져다준다"고 평가한다.[24]

마리키나 시 정부는 대기 오염, 온실 가스 배출, 연료 소비 및 도시 교통 체증을 줄이기 위해 자전거 도로 네트워크를 건설했다. 이 프로젝트는 세계 보건 기구로부터 2008년 기후 변화와 건강 부문 상을 받았다.[23]

2021년 5월 사회 기상대 조사에 따르면, 필리핀 전국 가구의 20% 이상이 자전거를 소유하고 있으며, 이는 차량 소유자(27%) 다음으로 높은 비율이다.[18]

3. 철도 교통

2009년의 LRT 2호선


필리핀의 철도 운송은 3개의 급행 노선과 1개의 통근 철도 노선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포함한다. 마닐라 경전철 시스템(1호선 및 2호선), 마닐라 도시 철도 시스템(3호선) 및 PNR 메트로 통근 노선이 이에 해당한다. 정부는 2017년 기준으로 77km인 국가 철도망을 2022년까지 320km 이상으로 확장할 계획이다.[25] 이러한 철도 노선은 현재 메트로 마닐라뿐만 아니라 칼라바르존, 비콜 지방에서 통근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다.

마닐라 경전철 시스템(LRT)은 메트로 마닐라 지역을 운행하는 급행 철도 시스템으로, 동남아시아 최초의 지하철 시스템이다.[26] 2012년에 하루 총 928,000명의 승객에게 서비스를 제공했다.[27][28] 주로 고가 선로로 구성된 31km 이상의 31개 역은 두 개의 노선을 형성한다. 원래의 1호선과 칼루칸, 마닐라, 마리키나, 파사이, 산후안 및 케손 시티를 통과하는 더 현대적인 2호선이 있다. LRT 시스템 외에도 마닐라 도시 철도 시스템(MRT) 시스템도 메트로 마닐라에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 시스템은 메트로 마닐라의 주요 간선 도로 중 하나인 에피파니오 데 로스 산토스 애비뉴 (EDSA)에 위치해 있다. 16.95km의 선로를 따라 13개 역이 있으며, 마카티, 만달루용, 파사이 및 케손 시티를 통과하는 단일 노선인 3호선을 형성한다. 시스템의 일부 역은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에스컬레이터엘리베이터를 개조했으며, 이용객이 증가했다. 2004년까지 3호선은 하루 40만 명의 승객으로 세 노선 중 가장 높은 이용객을 기록했다.[29]

필리핀 국립 철도(PNR)는 메트로 마닐라에서 남쪽으로 라구나까지 지역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근 노선을 운영한다. 필리핀의 국영 철도 시스템인 PNR은 전차 시스템과 함께 스페인 식민지 시대에 설립되었다.[30] 과거 루손 북부와 남부를 마닐라와 연결하는 도시간 철도 서비스, 그리고 오늘날 메트로 마닐라로 알려진 지역에 서비스를 제공하던 전차가 있었다. 1988년에 루손 북부로 가는 철도 노선은 사용이 중단되었고, 나중에는 비콜로 가는 서비스가 중단되었지만, 2017년 기준으로 남부 노선을 부활하려는 계획이 진행 중이다. 파나이 철도는 1989년까지 파나이에서, 제2차 세계 대전까지 세부에서 철도 노선을 운영했던 회사이다.

현재 계획 중인 미래 프로젝트는 다음과 같다. 북-남 통근 철도(NSCR)는 팜팡가의 클라크 자유 무역 지대와 라구나의 칼람바를 연결하는 147km의 철도로, 기존 PNR 노선을 이용할 예정이다. 36km의 지하 급행 철도인 메트로 마닐라 지하철은 이스트 발렌수엘라에서 NAIA 3 터미널 또는 비쿠탄까지 연결될 것이다. 12km의 고가 철도인 MRT-4는 오르티가스 센터에서 리잘의 타이타이까지 연결될 것이다. 그리고 22km의 고가 노선인 MRT-7은 노스 EDSA에서 불라칸의 산호세 델 몬테까지 연결될 것이다.

4. 해상 교통

방카라고 불리는 필리핀 전통 어선이 팔라완 섬 해안에 떠있다.


필리핀은 섬나라이기 때문에 페리 서비스가 중요한 교통 수단이다.[33] 섬 간, 내륙 및 해안 수역을 횡단하는 주요 수단으로 모터보트와 무동력 보트가 사용된다.[31] 토착 방카는 일반적으로 낚시, 물품 운송 및 섬 투어에 사용된다.[32]

파시그강 페리 서비스는 메트로 마닐라를 운행하는 강 페리 서비스로, 파시그강을 운항하는 유일한 수상 교통 수단이다.

필리핀에는 대형 화물선부터 소형 방카까지 다양한 선박을 운용하는 수많은 해운 회사가 있다. 주목할 만한 회사로는 투고 트래블, 스타라이트 페리, 몬테네그로 라인스, 트랜스-아시아 해운 등이 있다.[33]

가장 붐비는 항구는 마닐라 항이다. 활발한 항구와 부두가 있는 다른 도시로는 바콜로드, 바탕가스 시, 카가얀데오로, 세부 시, 다바오 시, 부투안, 일리간, 일로일로 시, 홀로, 레가스피 시, 루세나 시, 푸에르토 프린세사, 산페르난도, 수비크, 삼보앙가 시, 코타바토 시, 제너럴 산토스, 알렌, 오르목, 오사미스, 수리가오, 타그빌라란이 있다.

4. 1. 선박

모터보트와 무동력 보트는 섬 간, 내륙 및 해안 수역을 횡단하는 주요 수단이다.[31] 토착 방카는 일반적으로 낚시, 물품 운송 및 섬 투어에도 사용된다.[32]

4. 2. 페리 서비스

파시그강 페리 서비스는 메트로 마닐라를 운행하는 강 페리 서비스로, 파시그강을 운항하는 유일한 수상 교통 수단이다. 전체 페리 네트워크는 17개의 운영역과 2개의 노선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첫 번째 노선은 마닐라 인트라무로스의 플라자 멕시코에서 파시그의 나그파용역까지 이어지는 파시그강 노선이었다. 두 번째 노선은 마카티의 과달루페역에서 마리키나의 산타 엘레나역까지 운행하는 마리키나강 노선이었다.

삼보앙가 국제 해운 항구에 정박중인 MV ''트리샤 케르스틴 2''


필리핀은 섬나라이기 때문에, 페리 서비스는 중요한 교통 수단이다. 대형 화물선부터 소형 방카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선박이 사용된다. 일부 여정은 대형 야간 페리에서 하루나 이틀이 소요된다. 필리핀에는 수많은 해운 회사가 있다. 주목할 만한 회사로는 투고 트래블(2GO Travel), 스타라이트 페리 (Starlite Ferries), 몬테네그로 라인스(Montenegro Lines), 그리고 트랜스-아시아 해운(Trans-Asia Shipping Lines) 등이 있다.[33] 다른 여정은 일로일로 해협을 건너거나 카티클란 제티 항구와 보라카이 섬 사이를 운행하는 소형 야외 방카와 같이 15분 미만이 소요될 수 있다.

4. 3. 항구 및 항만

필리핀 항구 목록을 참고하면, 가장 붐비는 항구는 마닐라 항이며, 특히 마닐라 국제 화물 터미널과 에바 마카파갈 항만 터미널은 모두 마닐라의 부두 지역에 있다. 활발한 항구와 부두가 있는 다른 도시로는 바콜로드, 바탕가스 시, 카가얀데오로, 세부 시, 다바오 시, 부투안, 일리간, 일로일로 시, 홀로, 레가스피 시, 루세나 시, 푸에르토 프린세사, 산페르난도, 수비크, 삼보앙가 시, 코타바토 시, 제너럴 산토스, 알렌, 오르목, 오사미스, 수리가오, 타그빌라란이 있다. 이 터미널의 대부분은 강력한 공화국 해상 고속도로를 구성하며, 이는 글로리아 마카파갈 아로요 대통령 임기 하에 구상된 해상 시스템으로, 육상 차량이 롤온/롤오프 (ro-ro) 페리를 사용하여 다른 섬 사이를 이동할 수 있는 체계이다.

5. 항공 교통

필리핀의 항공 교통은 필리핀의 중요한 교통 수단 중 하나이다.

마닐라, 일로일로, 세부, 다바오, 클라크 등 여러 국제공항이 필리핀의 주요 관문 역할을 하고 있다.[34] 니노이 아키노 국제공항(NAIA)은 필리핀의 주요 관문으로, 메트로 마닐라 지역과 주변 지역에 서비스를 제공한다.[35]

필리핀 항공(PAL)은 필리핀의 국책 항공사이자 아시아 최초의 상업 항공사이다.[37] 필리핀으로 가는 국제선 및 국내선 항공편을 가장 많이 운항하는 필리핀 최대 항공사이다.[38] 세부 퍼시픽 항공은 필리핀의 저비용 항공사로, 국내선과 국제선 노선을 운영하고 있다.

5. 1. 공항

마닐라, 일로일로, 세부, 다바오, 클라크, 수빅, 삼보앙가, 라오아그, 레가스피 및 푸에르토 프린세사는 필리핀의 국제 관문이며, 마닐라니노이 아키노 국제공항 (NAIA)이 필리핀의 주요 관문 역할을 한다.[34]

니노이 아키노 국제공항필리핀의 주요 관문 역할을 하며, 메트로 마닐라 지역과 주변 지역에 서비스를 제공한다. 국가 수도 지역파라냐케파사이의 경계에 위치해 있다. 2012년에 NAIA는 세계에서 34번째로 붐비는 공항이 되었으며, 여객 수는 약 8% 증가하여 총 3,210만 명으로 아시아에서 가장 붐비는 공항 중 하나가 되었다.[35]

클라크 국제공항 또한 필리핀의 주요 관문이다. 원래는 니노이 아키노 국제공항 폐쇄 계획에 따라 필리핀의 주요 공항을 대체할 계획이었다.[36] 이 공항은 주로 NAIA보다 낮은 착륙료를 이용하는 저가 항공사에 서비스를 제공한다.

필리핀의 다른 중요한 공항으로는 세부라푸라푸 시에 있는 막탄-세부 국제공항; 일로일로카바투안에 있는 일로일로 국제공항; 다바오 시에 있는 프란시스코 방고이 국제공항; 삼보앙가 시에 있는 삼보앙가 국제공항; 팔라완의 푸에르토 프린세사에 있는 푸에르토 프린세사 국제공항; 제너럴 산토스에 있는 제너럴 산토스 국제공항; 알바이의 레가스피에 있는 비콜 국제공항 등이 있다.

5. 2. 항공사

필리핀 항공, 필리핀의 국책 항공사


필리핀 항공(Philippine Airlines, PAL)은 필리핀의 국책 항공사이자 아시아 최초의 상업 항공사이다.[37] 필리핀으로 가는 국제선 및 국내선 항공편을 가장 많이 운항하는 필리핀 최대 항공사이다.[38] 2013년 기준으로, 아시아, 북아메리카, 남아메리카, 아프리카, 오세아니아, 유럽 전역의 33개 국가 및 영토에서 8개 국내선과 58개 국제선 목적지로 운항한다.[39][40][41] 클라크, 마닐라, 세부, 다바오에 허브 공항을 운영하고 있다.

세부 퍼시픽 항공은 필리핀의 저비용 항공사이자 37개 국내선 목적지로 운항하는 주요 국내선 항공사이다. 2001년 11월 국제선 운항을 시작한 이후, 아시아 및 오세아니아 전역의 15개 국가 및 영토의 27개 목적지로 운항하고 있다.[42] 2024년 기준으로, 마닐라, 세부, 다바오, 클라크, 일로일로에 허브 공항을 운영하고 있다.[43]

세브고(Cebgo), PAL 익스프레스(PAL Express), 필리핀 에어아시아(Philippines AirAsia) 등 다른 저비용 항공사들도 필리핀의 여러 관광지로 노선을 운항하고 있다.

6. 문제점

경제 활동과 도시화의 급속한 성장으로 자가용과 대중교통 차량의 수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여, 도시의 대기 질 악화와 빈번한 교통 체증을 야기했다.[44]

6. 1. 교통 체증

에피파니오 데 로스 산토스 애비뉴를 따라 교통 체증이 발생하고 있다.


교통 체증은 메트로 마닐라의 주요 문제 중 하나이다. 필리핀 미국 상공회의소의 수석 고문인 존 포브스는 자동차 판매 증가와 대중교통 및 고속도로 부족이 교통 체증의 주요 원인이며, 2020년까지 메트로 마닐라를 "살 수 없는 곳"으로 만들 수 있다고 우려했다.[45] 2024년 톰톰 교통 지수 보고서에서는 메트로 마닐라가 대도시 지역 중 세계 최악의 교통 체증을 겪고 있다고 언급했다.[46]

교통 체증으로 인한 경제적 손실은 2012년 기준 약 30억필리핀 페소에 달한다.[47] JICA에 따르면 2030년까지 교통 체증으로 인해 필리핀 경제에서 60억필리핀 페소 이상이 손실될 것으로 예상된다.[48]

6. 2. 대기 오염

2019년 스모그가 덮인 메트로 마닐라


필리핀 전역에는 약 27만 대의 면허를 받은 지프니가 운행되고 있으며, 메트로 마닐라에만 약 7만 5천 대가 운행되고 있다.[49] 필리핀의 급속한 발전과 경제 성장으로 인해, 구형 지프니는 도시 대기 오염의 주요 원인이 되었다. 마닐라 에어로졸 특성 실험(MACE 2015) 연구에 따르면, 전체 차량의 20%를 차지하는 경유 기반 지프니가 메트로 마닐라 그을음 입자 질량의 94%를 차지한다.[50]

Partnership for Clean Air의 회장인 르네 피네다에 따르면, 이 문제는 인구 과잉에서 비롯되는데, 도로에 차량이 많아지면 교통 체증이 증가하고, 고층 건물과 기반 시설로 인해 대기 오염 물질이 분산되지 않고 지상에 갇히게 된다고 한다.[51]

세계 은행에 따르면, 2020년 필리핀의 육상 운송은 2,500만 톤의 이산화탄소 상당량을 배출했다.[52]

참조

[1] 웹사이트 Government keen on improving public transport system http://www.philstar.[...] Philstar 2013-01-30
[2] 웹사이트 The jeepney: a history, and hopefully, a future https://filipeanut.a[...] 2023-08-02
[3] 뉴스 Manila's jeepney pioneer fears the end of the road https://www.reuters.[...] 2008-02-27
[4] 웹사이트 email to Lonely Planet http://www.boracay-b[...] 2010-11-01
[5] 웹사이트 Airports in the Philippines http://www.worldaero[...] 2016-06-05
[6] 간행물 Philippine Air Transport Infrastructure: State, Issues, Government Strategies https://pidswebs.pid[...] Philippine Institute for Development Studies 2023-02-21
[7] 웹사이트 The Project for Improvement of Quality Management for Highway and Bridge Construction and Maintenance, Phase III https://openjicarepo[...] Japan International Cooperation Agency 2019-04
[8] 웹사이트 2019 Road Data https://www.dpwh.gov[...] Department of Public Works and Highways 2020-08-09
[9] 서적 The War in the Pacific: Fall of the Philippines http://www.history.a[...] Government Printing Office 2014-05-19
[10] 웹사이트 Roadways in Philippines http://www.tradechak[...] 2015-03-17
[11] 웹사이트 Philippine National Road Network https://www.dpwh.gov[...] 2023-08-25
[12] 웹사이트 Average vehicle speed on Edsa is 36.24kph – INQUIRER.net, Philippine News for Filipinos http://newsinfo.inqu[...] 2015-03-17
[13] 웹사이트 Subic-Clark-Tarlac highway opens from Inquirer.net http://newsinfo.inqu[...] 2015-03-17
[14] 웹사이트 Building Of New Expressways Pushed http://ph.news.yahoo[...] Yahoo! Philippines 2013-04-27
[15] 웹사이트 Number of Motor Vehicles Registered, New-Renewal, By Region, By Type of MV https://www.foi.gov.[...] 2022-08-09
[16] 간행물 Auto and Car Parts Production: Can the Philippines Catch Up with Asia? http://www.eria.org/[...] 2015-02
[17] 문서 Ofreneo
[18] 웹사이트 Bicycle Usage Among Filipino Household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https://www.sws.org.[...] 2022-03-28
[19] 뉴스 How the Philippines fell in love with motorcycles, and why two wheels are better than four on its roads https://www.scmp.com[...] 2022-08-09
[20] 간행물 Community and Market in Contract Choice: The Jeepney in the Philippines 1986-01
[21] 웹사이트 Memorandum Circular No. 2020-2185 https://lto.gov.ph/i[...] 2021-08-05
[22] 웹사이트 Pampanga city keeps calesas alive, relevant https://newsinfo.inq[...] 2021-08-05
[23] 웹사이트 Promoting Non-Motorized Transport in Asian Cities: Policymakers' Toolbox https://unhabitat.or[...] 2021-08-05
[24] 웹사이트 Promotion of non-motorised transport https://www.ctc-n.or[...] 2021-08-05
[25] 뉴스 PH railway footprint to quadruple by 2022 https://business.inq[...] 2017-12-08
[26] 웹사이트 The Line 1 System – The Green Line http://www.lrta.gov.[...] Light Rail Transit Authority 2014-10-21
[27] 웹사이트 Key Performance Indicator – Line 1 – Green Line http://www.lrta.gov.[...] Light Rail Transit Authority 2014-06-09
[28] 웹사이트 Key Performance Indicator – Line 2 – Blue Line http://www.lrta.gov.[...] Light Rail Transit Authority 2014-06-10
[29] 웹사이트 Manila Metro Rail Transit-3 (MRT-3) http://www.urbanrail[...] 2006-07-07
[30] 뉴스 The Metro Manila LRT System—A Historical Perspective http://www.jrtr.net/[...] Japan Railway & Transport Review 1998-06
[31] 웹사이트 Rules and regulations on commercial fishing https://www.bfar.da.[...] 2021-08-05
[32] 웹사이트 Philippines Banca Boats https://www.divescot[...] 2022-08-09
[33] 웹사이트 Philippine Domestic Shipping Transport Industry: State of Competition and Market Structure http://dirp4.pids.go[...] Philippine Institute for Development Studies 2008-06-06
[34] 웹사이트 Transportation in the Philippines http://www.tourism.g[...] Philippines Government 2016-06-05
[35] 웹사이트 NAIA world's 34th busiest airport http://www.philstar.[...] 2015-03-17
[36] 뉴스 Arroyo wants DMIA become top airport amid plan to close NAIA http://www.gmanews.t[...] 2008-01-29
[37] 웹사이트 History and Milestone https://www.philippi[...] Philippine Airlines 2016-06-05
[38] 웹사이트 Philippine Airlines https://web.archive.[...] 2013-01
[39] 웹사이트 Domestic Destinations http://www.philippin[...] Philippine Airlines 2013-10-17
[40] 웹사이트 International Destinations http://www.philippin[...] Philippines Airlines 2013-10-17
[41] 웹사이트 Philippine Airlines: Winter Timetable http://www1.philippi[...] Philippineairlines.com 2013-11-05
[42] 웹사이트 About Cebu Pacific http://www.cebupacif[...] 2013-04-27
[43] 간행물 Ceb Launches Direct Flights from Iloilo to Hong Kong, Singapore, Palawan, Gensan http://www.cebupacif[...] Cebu Pacific 2024-10-18
[44] 논문 Barriers and Drivers of Transition to Sustainable Public Transport in the Philippines
[45] 뉴스 Philippines: Manila to be uninhabitable in 4 years if traffic chaos not resolved http://www.ibtimes.c[...] 2016-04-26
[46] 웹사이트 Why is Manila traffic the worst in the world? Here's how to solve it https://gulfnews.com[...] 2024-04-13
[47] 뉴스 Metro Manila traffic costing Philippines P3 billion a day http://www.philstar.[...] 2015-09-16
[48] 뉴스 Economic losses from Metro Manila traffic to reach P6B in 2030 http://www.mb.com.ph[...] 2015-08-25
[49] 논문 Diesel or Electric Jeepney? A Case Study of Transport Investment in the Philippines Using the Real Options Approach 2019-09
[50] 논문 Aerosol particle mixing state, refractory particle number size distributions and emission factors in a polluted urban environment: Case study of Metro Manila, Philippines 2017-12-01
[51] 웹사이트 Philippines Ranks Third in Air Pollution Deaths. Here's What Needs to Be Done... https://aethaer.com/[...] 2019-04-03
[52] 웹사이트 Greenhouse gas emissions from PHL land transport to quadruple by 2050 https://www.bworldon[...] 2024-05-13
[53] 웹인용 Government keen on improving public transport system http://www.philstar.[...] Philstar 2013-01-30
[54] 웹인용 Airports in the Philippines http://www.worldaero[...] 2016-06-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