헴 산소화효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헴 산소화효소는 헴 고리의 절단을 촉매하여 빌리베르딘을 생성하거나 헴이 글로빈에 부착된 경우 베르도글로빈을 생성하는 효소이다. 이 반응은 거의 모든 세포에서 일어나며, 멍이 치유되는 과정에서 발색단의 변화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헴 산소화효소는 헴을 빌리베르딘, 제일철, 일산화 탄소로 분해하며, 비장에서 가장 활발하게 작용하여 적혈구 재활용 과정에서 헤모글로빈 분해에 기여한다. 헴 산소화효소에는 세 가지 동형 효소, HO-1, HO-2, HO-3가 존재하며, HO-1은 스트레스 유도 동형 단백질로 세포 보호 역할을 하고, HO-2는 항상성 조건에서 발현되며, HO-3는 촉매 활성이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EC 1.14.99 - 고리형 산소화효소
고리형 산소화효소(COX)는 프로스타글란딘과 트롬복산 합성에 관여하는 효소로 COX-1, COX-2, COX-3의 세 종류가 존재하며,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제(NSAIDs)에 의해 억제되어 염증, 통증, 발열 완화에 기여하지만 부작용의 위험이 있다.
헴 산소화효소 | |
---|---|
효소 정보 | |
효소 이름 | 헴 산소화효소 |
영어 이름 | heme oxygenase |
EC 번호 | 1.14.99.3 |
CAS 번호 | 9059-22-7 |
GO 코드 | 0004392 |
![]() | |
IUBMB EC 번호 | 1/14/99/3 |
단백질 군 정보 | |
심볼 | Heme_oxygenase |
이름 | 헴 산소화효소 |
![]() | |
Pfam | PF01126 |
Pfam 클랜 | CL0230 |
InterPro | IPR016053 |
SMART | 해당 없음 |
PROSITE | PDOC00512 |
MEROPS | 해당 없음 |
SCOP | 1qq8 |
TCDB | 해당 없음 |
OPM 군 | 해당 없음 |
OPM 단백질 | 해당 없음 |
CAZy | 해당 없음 |
CDD | 해당 없음 |
막단백질 초군 | 532 |
2. 반응
헴 산소화효소는 알파-메테인 다리에서 헴 고리를 절단하여 빌리베르딘을 형성하거나, 헴이 여전히 글로빈에 부착되어 있는 경우 베르도글로빈을 형성한다. 이후 빌리베르딘은 빌리버딘 환원 효소에 의해 빌리루빈으로 전환된다.[74]
인간에게는 헴 산소화효소의 세 가지 동형 효소가 알려져 있다.
반응은 다음의 세 단계로 구성된다.[74]
:
:
:
이러한 반응의 전체 반응식은 다음과 같다.
:
헴이 처음에 2가 이온 상태인 경우, 반응은 다음과 같을 수 있다.
:
이 반응은 거의 모든 세포에서 발생한다. 이것에 대한 예는 멍의 형성으로, 점차적으로 치유됨에 따라 다른 크로모젠을 형성한다.[75]
헴 산소화효소는 헴 고리의 α-메틸렌 가교에서 절단 및 개환 반응을 통해 빌리베르딘을 생성하며, 헴이 글로빈에 결합된 채로 있는 경우에는 베르도글로빈을 생성한다. 빌리베르딘은 이어서 빌리베르딘 환원 효소에 의해 빌리루빈으로 변환된다.
반응은 다음과 같다.[51]
이 반응은 사실상 모든 세포에서 일어날 수 있다. 전형적인 예가 멍의 형성인데, 멍은 치유되면서 붉은색 헴, 녹색 빌리베르딘, 노란색 빌리루빈으로 변화한다. 정상적인 생리 조건에서는 헴 산소화효소의 활성은 비장에서 가장 활발하며, 오래된 적혈구를 포획하고 파괴한다.
3. 동형 효소
동형 효소 유전자 분자량 특징 주요 발현 위치 헴 산소화효소 1(HO-1) HMOX1 32 kDa 스트레스 유도성, 열 충격 단백질(HSP) 계열, 항산화 작용, 항염증 작용, 항세포사멸 작용[52][53] 비장, 간, 신장 등 몸 전체 헴 산소화효소 2(HO-2) HMOX2 36 kDa 항상성 조건에서 발현, 글루코코르티코이드에 의해 유도[44] 고환, 위장관, 내피 세포, 뇌 헴 산소화효소 3 (HO-3) 33 kDa 촉매 활성 없음, 헴 감지 또는 결합 기능 추정, HO-2 전사체에서 유래된 유사유전자일 가능성[9] 간, 전립선, 신장
헴 산소화효소는 헴 고리의 α-메틸렌 가교에서 절단 및 개환 반응을 통해 빌리베르딘을 생성하며, 헴이 글로빈에 결합된 경우에는 베르도글로빈을 생성한다. 빌리베르딘은 이어서 빌리베르딘 환원 효소에 의해 빌리루빈으로 변환된다.
이 반응은 멍이 치유되는 과정에서 헴(적색), 빌리베르딘(녹색), 빌리루빈(황색)의 순서로 색 변화를 일으키는 전형적인 예시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3. 1. 헴 산소화효소 1 (HO-1)
헴 산소화효소 1(HO-1)은 스트레스 유발 동형으로, HSP32로 확인된 열 충격 단백질(HSP) 계열의 헴 함유 구성원이다. 비장, 간, 신장에서 가장 높은 농도로 몸 전체에 존재한다.[61] HO-1은 ''HMOX1'' 유전자에 의해 암호화되는 288개의 아미노산 잔기를 포함하는 32kDa 효소이다.[5]
HO-1은 주로 소포체에 위치하지만 미토콘드리아, 세포핵, 세포막에서도 발견된다.[58] HO-1의 활성은 NADPH-사이토크롬 P450 환원효소에 의존한다.[6]
HO-1은 헴이 빌리베르딘/빌리루빈, 제일철, 일산화탄소로 분해되는 것을 촉매한다. 헴 분해는 타박상이 치유되는 과정에서 뚜렷한 발색단을 형성하는데, (적색) 헴에서 (녹색) 빌리베르딘, (황색) 빌리루빈으로 변화하며, 이는 황달로 알려져 있다.[2] 헴 산소화효소는 몸 전체에 존재하지만, 비장에서 적혈구 재활용 동안 헤모글로빈 분해를 진행하며, 이는 헴 유래 내인성 일산화 탄소 생산의 80%를 차지한다. 나머지 20%는 주로 헴단백질(미오글로빈, 시토크롬, 카탈레이스, 과산화효소, 가용성 구아닐산 고리화효소, 산화질소 합성효소)의 간에서의 이화 작용과 골수에서 비효율적인 적혈구 생성에 기인한다.[59]
HO-1은 초과산화물 및 기타 활성산소 종을 감소시켜 세포를 보호한다.[63] 유비퀴틴화를 통해 분해된다.[60]
한 연구에 따르면 폐 조직의 HO-1 수준은 결핵 또는 감염이 없는 부위의 감염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으며, 녹아웃 마우스는 이 효소의 필수적인 역할을 보여주기 때문에 감염이 되기 쉽다.[62]
3. 2. 헴 산소화효소 2 (HO-2)
헴 산소화효소 2(HO-2)는 고환, 위장관, 내피 세포, 뇌에서 항상성 조건에서 발현되는 이소형이다.[16] HO-2는 ''HMOX2'' 유전자에 의해 암호화된다. HO-2는 36 kDa이며 HO-1 아미노산 서열과 47%의 유사성을 보인다. 특히 HO-2는 20개의 아미노산 잔기로 구성된 N-말단 부위가 추가로 존재한다.[5] HO-1과 달리 HO-2는 헴 분해 부위와 독립적으로 헴을 포함하는 헴 조절 모티프를 포함하는 헴 단백질이다.[3]
HO-1에는 무수한 유도제가 있는 반면, 부신 글루코코르티코이드만이 HO-2를 유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44] 다른 특정 분자는 그 촉매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9] 오피오이드는 HMOX2 활성을 억제할 수 있다.[9] HO-2를 활성화하고 억제하는 많은 약물이 개발 중이다.[17]
3. 3. 헴 산소화효소 3 (HO-3)
헴 산소화효소 3(HO-3)은 촉매 작용이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헴을 감지하거나 헴과 결합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주로 간, 전립선, 신장에서 발견된다.[65] 그러나 HO-3를 분리하려는 과정에서 HO-2 전사체로부터 유래된 유사유전자가 생성되면서, 세 번째 동형체의 존재 여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었다.[9]
4. 미생물의 헴 산소화효소
헴 산소화효소는 계통 발생 계 전반에 걸쳐 보존된다.[66] EBI의 InterPro 분류 데이터베이스에 따르면, 4,347종의 세균, 552종의 곰팡이, 6개의 고균이 HO-1 유사 효소를 발현한다. 미생물 헴 산소화효소의 상동체는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애''(Saccharomyces cerevisiae)''의 HMX1[67], ''Corynebacterium diphtheriae''의 HmuO[68], 대장균(''Escherichia coli'')의 ChuS[69]가 있다. 원핵생물 헴 산소화효소 시스템의 중요한 역할은 진핵생물로부터 철분을 획득하는 것이다.[70] 일부 헴 산소화효소 유사 원핵생물 효소는 비활성 상태이거나 일산화 탄소를 방출하지 않는다. 대장균의 특정 균주는 일산화 탄소를 생성하지 않는 ChuW 동형을 발현하는 반면, 다른 미생물의 헴 산소화효소 유사 효소는 폼알데하이드를 생성한다.[71][72]
인간 미생물 군집은 인간의 내인성 일산화 탄소 생성에 기여한다.[73] 인간 마이크로바이옴은 수십 개의 고유한 미생물 HMOX 상동체를 포함하며, 대표적인 예시는 다음과 같다:[9]
- ''사카로미세스 세레비지애''(Saccharomyces cerevisiae)의 HMX1
- ''코리네박테리움 디프테리아''(Corynebacterium diphtheriae)의 HmuO
- 공생 균주 ''대장균''(Escherichia coli)의 ChuS
원핵생물 HMOX 시스템의 중요한 역할은 진핵생물 숙주로부터 영양 철분을 획득하는 것이다.[19]
일부 헴 분해 원핵생물 효소는 CO 대신 포름알데히드와 같은 생성물을 생성한다. 예를 들어, ''대장균 O157:H7''(Escherichia coli O157:H7)과 같은 특정 병원균은 비-CO 생성 ChuW 이소형을 발현할 수 있다. 많은 병원균은 CO 독성에 취약하므로, 비-CO 생성 헴 분해 효소를 발현하면 영양 철분 요구를 충족하면서 자가 유발 독성을 피할 수 있다. 공생 미생물은 일반적으로 CO를 생성하고 이에 반응하므로 CO 내성을 갖는다. 미생물에서 배설된 후, CO는 숙주에게 직접적인 이점을 제공하거나 병원균에 대한 자연 선택 압력을 가하여 공생 통화 역할을 한다.[9]
5. 생리적 역할 및 의학적 중요성
헴 산소화효소(HMOX)는 헴을 빌리베르딘/빌리루빈, 제2철 이온, 일산화탄소로 분해하는 효소이다. 이 반응은 사실상 모든 세포와 혈소판에서 발생할 수 있으며, 멍이 치유되는 과정에서 헴(적색)이 빌리베르딘(녹색), 빌리루빈(황색)으로 변하는 것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2] HMOX는 비장에서 가장 활발하며, 적혈구 재활용 과정에서 헤모글로빈 분해를 촉진한다.[4]
인간 게놈은 세 가지 HMOX 동형체를 암호화할 수 있다.[3]
- 헴 산소화효소 1 (HMOX1, HO-1): 열 충격 단백질 (HSP) 계열에 속하며, HSP32로도 불린다. HMOX1 유전자에 의해 암호화되는 32kDa 효소로, 288개의 아미노산 잔기를 포함한다.[5] NADPH-사이토크롬 P450 환원효소에 의존하여 활성을 나타낸다.[6] 스트레스 유도 동형 단백질로, 비장, 간, 신장에서 높은 농도로 존재하며, 소포체, 미토콘드리아, 세포핵, 세포막 등에서 발견된다.[7][8] 유비퀴틴화를 통해 분해되며, 조절 신호 전달, 면역 조절, 냉동 보호 역할 등 다양한 연구가 진행 중이다.[9][11]
- 헴 산소화효소 2 (HMOX2, HO-2): HMOX2 유전자에 의해 암호화되는 36kDa 효소로, HO-1 아미노산 서열과 47% 유사성을 보인다.[5] 고환, 위장관, 내피 세포, 뇌에서 주로 발현된다.[16] 글루코코르티코이드에 의해 유도될 수 있으며, 오피오이드는 HMOX2 활성을 억제할 수 있다.[9][44]
- 헴 산소화효소 3 (HO-3): 촉매 활성은 없지만 산소 감지 기능을 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HMOX는 내인성 일산화탄소 생성의 주요 원천이며,[32] 비흡연자의 평균 카르복시헤모글로빈 (CO-Hb) 수치는 0.2%에서 0.85% CO-Hb 사이이다.[9]
HMOX는 헴 고리의 α-메틸렌 가교를 절단하여 빌리베르딘을 생성하며, 이는 빌리베르딘 환원 효소에 의해 빌리루빈으로 변환된다.[51]
HMOX는 다양한 세포 작용에 관여하며, 세포 보호 효과로 인해 치료 및 제약 분야에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29][30][31] HMOX1은 초과산화물 및 기타 활성산소 종을 감소시켜 세포를 보호한다.[63]
HMOX1 결핍은 드물지만, 발생 시 사망으로 이어질 수 있다.[44] HMOX1은 특정 화학 요법 약물에 대응하여 암세포를 보호하여 암 진행을 돕기도 한다.[14]
6. 유도 및 억제
헴 산소화효소 1(HO-1)은 비장, 간, 신장에서 가장 높은 농도로 몸 전체에 존재하는 스트레스 유발 동형이다.[61] HO-1은 중금속, 스타틴, 파클리탁셀, 라파마이신, 프로부콜, 산화 질소, 실데나필, 일산화 탄소, 일산화 탄소 방출 분자, 특정 포르피린을 포함한 수많은 분자에 의해 유도된다.[76]
헴 산소화효소의 식물 화학적 유도체에는 커큐민, 레스베라트롤, 피세아타놀, 카페산 페닐에틸 에스테르, 디메틸 푸마레이트, 푸마르산 에스테르, 플라보노이드, 칼콘, 은행나무, 안토시아닌, 플로로탄닌, 카르노솔, 로솔산 등이 있다.[6][26]
내인성 유도제에는 리폭신 및 에폭시에이코사트리에노산과 같은 지질, 아드레노메둘린 및 아포리포단백질과 같은 펩타이드, 헤민이 포함된다.[6]
글루코코르티코이드만이 헴 산소화효소 2(HO-2)를 유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44] 다른 특정 분자는 그 촉매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9] 오피오이드는 HMOX2 활성을 억제할 수 있다.[9]
HO-1 유도를 유도하는 다운스트림 NRF2 유도체에는 제니스테인, 3-하이드록시쿠마린, 올레아놀산, 아이소리퀴리티게닌, PEITC, 다이알릴 트라이설파이드, 올티프라즈, 벤포티아민, 아우라노핀, 아세트아미노펜, 니메술리드, 파라쿼트, 에톡시퀸, 디젤 배기가스 입자, 실리카, 나노튜브, 15-deoxy-Δ12,14 프로스타글란딘 J2, 니트로-올레산, 과산화 수소, 석시닐아세톤이 있다.[27]
헴 산소화효소 1(HMOX1)은 아연 프로토포르피린과 같은 특정 포르피린에 의해 억제된다.[28]
7. 역사
펠릭스 호페-세일러는 "헤모글로빈"이라는 이름을 만들었는데, 여기서 "hem"은 그리스어로 피를 뜻하고, "globin"은 라틴어 ''globus''에서 유래하여 둥근 물체를 의미한다(참고: 카르복시헤모글로빈 어원).[46][47] 헤모글로빈은 1840년대에 프리드리히 루드비히 휜펠트에 의해 처음 발견되었다. 헴 (염소와 배위된 헤민)은 1853년 루드비크 카롤 테이히만에 의해 특성화되었다.
헴이 빌린으로 산화적 효소 생체 변환이 이루어진다는 최초의 증거는 1942년 한스 플리닝거와 한스 피셔에 의해 제시되었다.[45] 1930년대에 걸쳐 여러 연구실에서 헴의 빌린으로의 ''in vitro'' 변환을 연구했는데, 게오르크 바르칸의 연구가 그 예시이며,[48] 그 뒤를 이어 에스터 킬릭은 1940년에 의사헤모글로빈 (바르칸이 만든 구식 빌린 용어)과 관련된 일산화탄소의 존재를 인식했다.[44] 1950년 어빙 런던은 헴이 빌리루빈으로 내생적으로 생체 변환된다는 것을 실험적 증거로 확실히 입증했다.[49] 빌리루빈의 내생적 생성에 대한 미미한 증거는 여러 세기에 걸쳐 황달과 관련하여 수많은 전 세계적 기여와 함께 거슬러 올라간다(참고: 빌리루빈의 역사).[2][45]
1962년 나카지마 등은 가용성 "헴 α-메테닐 산소화효소"를 특성화하는 등 헴을 빌리베르딘으로 생체 변환하는 것을 설명하려 했지만, 그 결과는 재현될 수 없었고, 관찰에 대한 대체적인 비효소적 설명이 나타났다.
헴 산소화효소 1(HMOX1)은 헴을 빌리루빈으로 생체 변환하는 효소임을 입증하면서 Tenhunen과 루디 슈미트에 의해 처음으로 특성화되었다.[44] HMOX의 발견은 피셔가 세실 왓슨의 학문적 지도교수였고, 왓슨이 루디 슈미트의 지도교수였다는 점에서 독특한 학문적 계보를 가지고 있다.
일산화탄소(CO)는 1869년 호흡에서 검출되었다.[44] 펠릭스 호페-세일러는 최초의 정성적 카르복시헤모글로빈 검사를 개발했고, 요제프 폰 포도르는 최초의 정량적 카르복시헤모글로빈 분석 검사를 개발했다.[44] 1923년 로이드 레이 세이어스 등은 인간 혈액에서 자연 발생적인 CO가 처음으로 보고되었지만, 그들은 데이터를 무작위 오류로 간주하여 폐기했다.[44] 1933년 알렉산더 게틀러는 혈액에 CO가 정상적으로 존재한다는 것을 확인했지만, 그 발견을 불가피한 오염 노출이나 인간 미생물군에서 유래한 것으로 돌렸다.[9] 1952년 Sjöstrand는 헤모글로빈 분해로부터 CO 생성을 입증했다.[44]
참조
[1]
논문
Heme oxygenase-1/carbon monoxide: from basic science to therapeutic applications
2006-04
[2]
논문
Go green: the anti-inflammatory effects of biliverdin reductase
2012
[3]
논문
Heme oxygenase-2 is a hemoprotein and binds heme through heme regulatory motifs that are not involved in heme catalysis
1997-05
[4]
서적
Carbon Monoxide and Cardiovascular Functions
CRC Press
2001-10-30
[5]
논문
Heme oxygenase and heme degradation
2005-12
[6]
논문
The binding sites on human heme oxygenase-1 for cytochrome p450 reductase and biliverdin reductase
2003-05
[7]
논문
Heme oxygenase: colors of defense against cellular stress
2000-12
[8]
논문
Where is the Clinical Breakthrough of Heme Oxygenase-1 / Carbon Monoxide Therapeutics?
2018-10-11
[9]
논문
Role of Carbon Monoxide in Host-Gut Microbiome Communication
2020-12
[10]
논문
Trimerisation of carbon suboxide at a di-titanium centre to form a pyrone ring system
2018-06
[11]
논문
Regulation of inflammation by the antioxidant haem oxygenase 1
2021-01
[12]
논문
The sinister face of heme oxygenase-1 in brain aging and disease
2019-01
[13]
논문
Heme oxygenase-1 in tumors: is it a false friend?
2007-12
[14]
논문
Heme oxygenase inhibition in cancers: possible tools and targets
2018-03
[15]
논문
Progress in the development of selective heme oxygenase-1 inhibitors and their potential therapeutic application
2019-04
[16]
논문
A review on hemeoxygenase-2: focus on cellular protection and oxygen response
2014
[17]
논문
Heme Oxygenase-2 (HO-2) as a therapeutic target: Activators and inhibitors
2019-12
[18]
논문
Heme oxygenase and iron: from bacteria to humans
2009
[19]
논문
Bacterial heme oxygenases
2004-10
[20]
논문
Heme oxygenase 1 and abiotic stresses in plants
http://link.springer[...]
2014
[21]
서적
International Symposium on Chemistry and Physiology of Bile Pigments
U.S. Department of Health, Education, and Welfare, Public Health Service,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1977
[22]
서적
International Symposium on Chemistry and Physiology of Bile Pigments
U.S. Department of Health, Education, and Welfare, Public Health Service,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1977
[23]
논문
Isoporphyrin intermediate in heme oxygenase catalysis. Oxidation of alpha-meso-phenylheme
2008-07
[24]
논문
Mechanism of heme degradation by heme oxygenase
2000-11
[25]
논문
Inducers of heme oxygenase-1
2008
[26]
서적
Pharma-Nutrition
Springer, Cham.
2014
[27]
논문
Molecular basis of electrophilic and oxidative defense: promises and perils of Nrf2
2012-10
[28]
논문
Characterization of porphyrin heme oxygenase inhibitors
https://pubmed.ncbi.[...]
1996-03
[29]
논문
Metabolic signaling functions of the heme oxygenase/CO system in metabolic diseases
2018-12
[30]
논문
Heme oxygenase/carbon monoxide signaling pathways: regulation and functional significance
2002-05-01
[31]
논문
Therapeutic Potential of Heme Oxygenase-1/carbon Monoxide System Against Ischemia-Reperfusion Injury
2017-10-03
[32]
논문
The therapeutic potential of carbon monoxide
2010-09
[33]
논문
Heme: emergent roles of heme in signal transduction, functional regulation and as catalytic centres
2019-12
[34]
논문
Gaseous O2, NO, and CO in signal transduction: structure and function relationships of heme-based gas sensors and heme-redox sensors
2015-07
[35]
논문
Biological signaling by carbon monoxide and carbon monoxide-releasing molecules
2017-03
[36]
논문
Unravelling the mechanisms controlling heme supply and demand
2021-06
[37]
논문
Induction of heme oxygenase-1 during endotoxemia is downregulated by transforming growth factor-beta1
1998-08
[38]
서적
Historical Review of Bilirubin Chemistry
https://books.google[...]
U.S. Department of Health, Education, and Welfare, Public Health Service,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39]
서적
eLS
Wiley
2019
[40]
논문
Heme-Derived Bilins
2019
[41]
웹사이트
Ferrous ion
https://pubchem.ncbi[...]
2021-05-26
[42]
논문
Reactive oxygen species (ROS) as pleiotropic physiological signalling agents
2020-07
[43]
논문
The Role of Reactive Oxygen Species and Ferroptosis in Heme-Mediated Activation of Human Platelets
2018-08
[44]
논문
A brief history of carbon monoxide and its therapeutic origins
2021-06
[45]
서적
Chemistry and Physiology of Bile Pigments
1977
[46]
웹사이트
Haemoglobin
https://www.chemistr[...]
2021-05-26
[47]
논문
A Crystallographic Study of Pure Carbonmon-Oxide Hemoglobin
1930-01
[48]
논문
A Hæmoglobin from Bile Pigment
1938-11
[49]
웹사이트
Bilirubin
https://www.acs.org/[...]
2021-10-19
[50]
논문
Heme oxygenase and heme degradation
2005-12
[51]
논문
Isoporphyrin intermediate in heme oxygenase catalysis. Oxidation of alpha-meso-phenylheme
2008-07
[52]
논문
Expression of heme oxygenase-1 can determine cardiac xenograft survival
https://pubmed.ncbi.[...]
1998-09
[53]
논문
Combined gene therapy with hypoxia-inducible factor-1α and heme oxygenase-1 for therapeutic angiogenesis
https://pubmed.ncbi.[...]
2011-04
[54]
논문
Heme oxygenase and heme degradation
2005
[55]
논문
Heme oxygenase-1/carbon monoxide: from basic science to therapeutic applications
2006
[56]
논문
The therapeutic potential of carbon monoxide
2010
[57]
논문
Expression of heat shock protein 32 (hemoxygenase-1) in the normal and inflamed human stomach and colon: an immunohistochemical study
2003
[58]
논문
Where is the Clinical Breakthrough of Heme Oxygenase-1 / Carbon Monoxide Therapeutics?
2018
[59]
서적
Carbon Monoxide and Cardiovascular Functions
CRC Press
2001
[60]
논문
Ubiquitin–proteasome system mediates heme oxygenase-1 degradation through endoplasmic reticulum-associated degradation pathway
2008
[61]
논문
Heme Oxygenase: Recent Advances in Understanding Its Regulation and Role
1999
[62]
웹사이트
https://medicalxpres[...]
[63]
논문
Emerging promise of sulforaphane-mediated Nrf2 signaling cascade against neurological disorders
2020
[64]
논문
A review on hemeoxygenase-2: focus on cellular protection and oxygen response
2014
[65]
논문
Heme Oxygenase: Recent Advances in Understanding Its Regulation and Role
1999
[66]
논문
Heme oxygenase and iron: from bacteria to humans
2013
[67]
논문
Role of PUG1 in inducible porphyrin and heme transport in Saccharomyces cerevisiae
2008
[68]
논문
Expression and characterization of a heme oxygenase (Hmu O) from Corynebacterium diphtheriae. Iron acquisition requires oxidative cleavage of the heme macrocycle
1998
[69]
논문
Escherichia coli heme oxygenase modulates host innate immune responses
[70]
논문
Bacterial Heme Oxygenases
2004
[71]
논문
Radical new paradigm for heme degradation in Escherichia coli O157:H7
2016
[72]
논문
Heme degradation by Staphylococcus aureus IsdG and IsdI liberates formaldehyde rather than carbon monoxide
2013
[73]
논문
Role of Carbon Monoxide in Host-Gut Microbiome Communication
2020-12
[74]
논문
Isoporphyrin intermediate in heme oxygenase catalysis. Oxidation of alpha-meso-phenylheme
2008
[75]
논문
Focused Review Mechanism of heme degradation by heme oxygenase
[76]
논문
Inducers of heme oxygenase-1
2008
[77]
논문
Inducers of heme oxygenase-1
2008
[78]
서적
Pharma-Nutrition
Springer, Cham.
2014
[79]
논문
Inducers of heme oxygenase-1
20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