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리형 산소화효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고리형 산소화효소(COX)는 프로스타글란딘과 트롬복산 생성을 촉매하는 효소로, COX-1, COX-2, COX-3의 세 가지 주요 유형이 존재한다. COX-1은 신체의 여러 조직에 널리 분포하며, COX-2는 염증 부위에서 발현이 증가한다. COX는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NSAIDs)의 표적이 되며, COX-1과 COX-2를 모두 억제하는 NSAIDs는 염증 감소, 해열, 진통 효과를 나타내지만 위장관 부작용을 유발할 수 있다. COX-2 선택적 억제제는 위장관 부작용을 줄이는 데 사용되지만, 심혈관 위험 증가와 같은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 COX-2는 염증, 암의 증식과 관련이 있으며, COX-2 억제 활성을 가진 다양한 천연 물질이 연구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EC 1.14.99 - 헴 산소화효소
헴 산소화효소는 헴 분해를 촉매하여 빌리베르딘, 일산화탄소, 철 이온을 생성하는 효소이며, HO-1, HO-2, HO-3의 세 가지 동질형이 존재하고 다양한 생리적, 병리적 상황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며, 한국을 포함한 여러 국가에서 관련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이다. - 프로스타글란딘 - 프로스타글란딘 F2α
프로스타글란딘 F2α는 프로스타글란딘 F2α 수용체에 결합하여 생리 작용을 하는 프로스타글란딘의 일종으로, 황체 퇴행 촉진, 분만 유도, 녹내장 치료 등에 활용된다. - 프로스타글란딘 - 프로스타글란딘 E
- 인간 9번 염색체상 유전자 - TLR4
TLR4는 선천 면역 시스템의 핵심 요소로서 병원체 유래 분자와 손상 관련 분자를 인지하여 면역 반응을 활성화하며, 특히 그람 음성 세균의 지질다당류를 인지하여 사이토카인 및 인터페론 생성을 유도하고 다양한 질병 발병에 관여하여 치료 전략에 활용될 수 있다. - 인간 9번 염색체상 유전자 - ABO식 혈액형
ABO식 혈액형은 1900년 카를 란트슈타이너가 발견한 A, B, O, AB형으로 나뉘는 혈액형 분류 체계로, 9번 염색체의 복대립 유전자에 의해 결정되며 수혈 안전성 확보와 혈액형 유전 원리 규명에 기여했지만, 일부에서는 혈액형과 성격의 연관성을 주장하기도 한다.
고리형 산소화효소 | |
---|---|
효소 정보 | |
EC 번호 | 1.14.99.1 |
CAS 등록번호 | 9055-65-6 |
GO 코드 | 0004666 |
단백질 정보 (PTGS1) | |
![]() | |
HGNC ID | 9604 |
기호 | PTGS1 |
대체 기호 | COX-1 |
앙트레즈 유전자 | 5742 |
OMIM | 176805 |
RefSeq | NM_080591 |
UniProt | P23219 |
PDB | 1CQE |
EC 번호 | 1.14.99.1 |
염색체 | 9 |
팔 | q |
띠 | 32 |
유전자 위치 보충 정보 | -q33.3 |
단백질 정보 (PTGS2) | |
![]() | |
HGNC ID | 9605 |
기호 | PTGS2 |
대체 기호 | COX-2 |
앙트레즈 유전자 | 5743 |
OMIM | 600262 |
RefSeq | NM_000963 |
UniProt | P35354 |
PDB | 6COX |
EC 번호 | 1.14.99.1 |
염색체 | 1 |
팔 | q |
띠 | 25.2 |
유전자 위치 보충 정보 | -25.3 |
2. 생물학적 특징
COX-1과 COX-2는 분자생물학적으로 유사하며, 각각 약 70 kDa과 72 kDa의 분자량을 갖는다. 두 효소는 아미노산 서열이 65% 상동하며, 촉매 부위도 거의 동일하다. N-말단 EGF 유사 도메인, 4개의 나선으로 이루어진 막 앵커, 헴-과산화효소 촉매 도메인으로 구성되며, 이합체를 형성한다.[6] 막 앵커는 단백질을 소포체 (ER)와 마이크로솜 막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7]
생체막에서 유래한 아라키돈산은 아라키돈산 캐스케이드라는 대사 경로를 통해 생리 활성 물질로 전환된다. COX는 COX 활성 부위와 과산화 효소 활성 부위를 모두 가지고 있는데, COX 활성은 아라키돈산으로부터 프로스타글란딘 G2(PGG2)를 생성하고, 과산화 효소 활성은 PGG2를 PGH2로 전환한다. 포스포리파아제 A2에 의해 세포막 인지질에서 떨어져 나온 아라키돈산은 막에 존재하는 COX에 의해 PGG2로 대사된 후, 세포막의 막 사이 공간으로 이동하여 다시 COX의 과산화 효소 활성에 의해 PGH2로 전환된다. 이후 세포질로 이동한 PGH2는 여러 효소에 의해 다양한 프로스타글란딘 및 트롬복산 A2(TXA2)로 대사되어 생리 활성을 나타낸다. 비스테로이드성 소염 진통제(NSAIDs)는 COX 활성을 억제하여 항염증 효과를 나타내지만, 과산화 효소 활성은 억제하지 않는다.
2. 1. COX-1과 COX-2의 차이점
COX-1과 COX-2는 동형 효소로서 아미노산 배열의 유사성은 높지만(약 60% 상동성), 조직에서의 발현은 다르다. COX-1은 전신 조직에 널리 분포하며, 소포체에 발현하는 '구성형' 효소로, 세포 내에 항상 일정량 존재하며 특정 자극에 의해서도 유도될 수 있다. COX-1은 스테로이드에 의해 그 활성이 거의 억제되지 않는다.반면 COX-2는 뇌나 신장 등에서 항상 발현되지만, 그 외의 조직에서는 평소 발현이 낮으며, 염증 조직에서 발현이 유도되므로 '유도형' 효소라고 불린다. COX-1과 달리 COX-2는 주로 핵막에 존재하며, 스테로이드에 의해 활성이 강하게 저해된다.[6]
사이토카인이나 증식 인자 등의 자극에 의해 COX-2의 발현이 유도된다. 염증 시에는 COX-2를 매개로 하는 PGE2 (프로스타글란딘E2)나 PGI2 (프로스타사이클린) 등의 생성이 항진된다. PGE2는 혈관 투과성 항진, 혈관 확장 및 발통에, PGI2는 혈관 확장 및 발통에 관여하여 염증 반응을 각각 진행시킨다.
특징 | COX-1 | COX-2 |
---|---|---|
유전자 위치 | 제9염색체 q32-33 | 제1염색체 q25.2-25.3 |
유전자 크기 | 22kb | 8.3kb |
아미노산 수 | 576 | 603-4 |
발현 세포 | 거의 모든 세포 | 염증 관련 세포 (자극 후), 암세포 |
역할 | 위 점막 보호, 혈류 · 혈압 유지, 혈소판 응집 | 염증, 암의 증식 |
기질 특이성 | 높음 | 낮음 |
글루코코르티코이드에 의한 억제 | 억제되지 않음 | 발현 억제 |
2. 1. 1. COX-3
COX-1과 약간 다르며 뇌에 많이 존재하는 COX-3이 발견되어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COX-3은 아세트아미노펜에 특이적으로 억제되며, 통증 지각에 관여한다고 알려져 있다.3. 약리학적 특징
COX는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NSAIDs)의 일반적인 표적이다. COX-1의 523번 위치에 있는 아이소류신이 COX-2의 발린으로 치환되는 것은 동종 효소 간의 중요한 차이점이며, 이를 통해 선택적 억제가 가능하다. COX-2의 더 작은 Val523 잔기는 효소의 소수성 측면 포켓에 접근할 수 있게 하여, DuP-697과 이로부터 파생된 콕시브와 같은 약물 분자가 이 부위에 결합하여 COX-2를 선택적으로 억제할 수 있게 한다.[2]
생체막에서 유래한 아라키돈산은 아라키돈산 캐스케이드라는 대사 경로를 통해 생리 활성 물질로 변환된다. 막 결합 단백질인 COX는 COX 활성 부위와 과산화 효소 활성 부위를 가진다. COX 활성은 아라키돈산으로부터 프로스타글란딘 G2(PGG2)를 생성하고, 과산화 효소 활성은 PGG2를 PGH2로 변환한다. 포스포리파아제 A2에 의해 세포막의 인지질에서 떨어져 나온 아라키돈산은 COX에 의해 PGG2로 대사된 후, 세포막의 막 사이 공간으로 이동한다. PGG2는 다시 COX의 과산화 효소 활성에 의해 PGH2로 변환된다. 이후 세포질로 이동한 PGH2는 여러 효소에 의해 프로스타글란딘류 및 트롬복산 A2(TXA2)로 대사되어 다양한 생리 활성을 나타낸다. NSAIDs는 COX 활성을 억제하여 항염증 효과를 나타내지만, 과산화 효소 활성은 억제하지 않는다.
3. 1.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 (NSAIDs)
주요 COX 억제제는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제(NSAIDs)이다.전형적인 COX 억제제는 선택성이 없어 모든 유형의 COX를 억제한다. 그 결과 프로스타글란딘 및 트롬복산 합성이 억제되어 염증 감소 효과뿐만 아니라 해열, 항혈전 및 진통 효과가 나타난다. NSAID의 가장 흔한 부작용은 위 점막의 자극인데, 프로스타글란딘이 일반적으로 위장관에서 보호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일부 NSAID는 산성이기도 하여 위장관에 추가적인 손상을 줄 수 있다.[2]
생체막 유래의 아라키돈산은 아라키돈산 캐스케이드라고 불리는 대사 경로를 거쳐 생리 활성 물질로 변환된다. 막 결합 단백질인 COX는 동일 효소 내에 COX 활성 부위와 과산화 효소 활성 부위를 가지고 있으며, COX 활성은 아라키돈산으로부터 프로스타글란딘 G2(Prostaglandin G2, PGG2)를 생성하는 과정에, 과산화 효소 활성은 PGG2를 PGH2로 변환하는 과정에 관여한다.
포스포리파아제 A2에 의해 세포막의 인지질로부터 잘려나가 세포 외에 존재하는 아라키돈산이 막에 존재하는 COX에 의해 PGG2로 대사되면 PGG2는 이중 막 구조를 띄는 세포막의 막 사이 공간으로 이동한다. 그러면 PGG2는 다시 COX에 의한 대사를 받지만 이번에는 과산화 효소 활성에 의해 PGH2로 변환된다. 그 후 세포질로 이동한 PGH2는 각종 효소에 의해 여러 프로스타글란딘류 및 트롬복산 A2(Thromboxane A2, TXA2)로 대사되어 여러 생리 활성을 나타낸다. 비스테로이드성 소염 진통제(NSAIDs)는 COX 활성을 억제하여 항염증 효과를 나타내지만 과산화 효소 활성의 억제는 수행하지 않는다.
3. 2. COX-2 선택적 억제제
세레콕시브, 에토리콕시브 등은 COX-2를 선택적으로 억제하여 위장관 부작용을 줄이는 것을 목표로 개발되었다. COX-2 선택적 억제제는 위장관 부작용 위험은 낮지만, 프로스타사이클린에 의해 불균형을 이루는 트롬복산의 증가를 통해 심장 마비, 혈전증, 뇌졸중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다.[8] 로페콕시브(상품명 바이옥스)는 이러한 심혈관계 위험으로 인해 2004년에 회수되었다.[8]COX-2 억제제는 단기간 사용만으로도 죽상혈전증의 위험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밝혀졌다. 2006년 138건의 무작위 임상시험과 15만 명에 가까운 참가자를 분석한 결과,[16] 선택적 COX-2 억제제는 혈관 사건의 위험을 다소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주로 심근경색의 위험이 2배 증가한 데 기인한다. 일부 전통적인 NSAID(예: 디클로페낙 및 이부프로펜, 나프록센 제외)의 고용량 요법도 혈관 사건의 위험을 유사하게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2016년 PRECISION 시험[17]에서는 세레콕시브가 나프록센과 이부프로펜 모두에 비해 심혈관 사망(출혈성 사망 포함), 비치명적 심근 경색 또는 비치명적 뇌졸중의 발생률이 더 낮게 나타났다.
생선 기름(예: 대구 간유)은 NSAID를 포함한 다른 치료법보다 심혈관 위험이 적다는 사실 때문에 류마티스 관절염 및 기타 질환의 치료에 합리적인 대안으로 제시되어 왔다.
아스피린 등의 COX 저해제는 프로스타글란딘 생성을 억제하여 염증 반응을 억제할 수 있지만, 부작용으로 위궤양이 종종 문제가 된다. 에토도락(하이펜 정), 멜록시캄(모빅 정), 세레콕시브(세레콕스 정) 등의 COX-2 선택적 저해제는 COX-1에 대해서는 거의 저해 작용을 나타내지 않고, 염증 조직에 발현되어 있는 COX-2의 활성만을 억제하기 때문에 부작용이 작다고 생각되어 임상 시험이 진행되어 왔다. 그러나 결과는 혈전증의 위험을 높이는 것이었다. 이는 COX-2가 혈관 확장 작용이 있으며 혈소판 응집을 막는 프로스타사이클린(PGI2)을 억제하면서, COX-1이 촉매하여 혈관 수축 · 혈소판 응집을 일으키는 트롬복산 A2(TxA2) 생성을 억제하지 않은 것에 기인한다고 생각된다.[22] 대한민국에서는 세레콕시브는 심혈관 질환을 증대시킨다는 보고가 있으며, 같은 보고가 있던 로페콕시브가 판매 중단되었다.
3. 3. 천연 COX 억제제
잎새버섯 등 일부 요리용 버섯은 COX-1과 COX-2를 부분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9][10]다양한 플라보노이드가 COX-2를 억제하는 것으로 밝혀졌다.[11]
생선 기름은 아라키돈산에 대한 대체 지방산을 제공한다. 이 산들은 염증을 유발하는 프로스타글란딘 대신 COX에 의해 일부 항염증 프로스타사이클린으로 전환될 수 있다.[12]
하이포포린은 아스피린보다 약 3~18배 COX-1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13]
칼시트리올(비타민 D)은 COX-2 유전자의 발현을 유의하게 억제한다.[14]
저용량 아스피린과 COX-2 억제제를 병용할 경우 위 점막 손상이 증가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COX-1이 아스피린으로 억제되면 COX-2가 상향 조절되는데, 이는 점막 방어 기전을 강화하고 아스피린에 의한 침식을 줄이는 데 중요한 것으로 여겨진다.[15]
4. 염증과 COX-2
COX-2는 사이토카인이나 증식 인자 등의 자극에 의해 발현이 유도된다. 염증이 생기면 COX-2를 통해 프로스타글란딘 E2(PGE2)나 프로스타사이클린(PGI2) 등이 많이 만들어진다. PGE2는 혈관 투과성을 높이고, 혈관을 넓히며, 통증을 일으키고, PGI2는 혈관을 넓히고 통증을 일으켜 염증 반응을 촉진한다. COX-2는 세포의 증식, 운동성, 부착, 아폽토시스 억제 등을 활발하게 하지만, 그 작용 원리는 아직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은 부분이 많다.
5. 암과 COX-2
사이토카인이나 증식 인자 등의 자극에 의해 COX-2 발현이 유도된다고 알려져 있다. 동물 실험에서 COX-2 발현은 종양 증식을 촉진하고, COX-2 경로 억제는 발암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COX-2가 발암에 연관되어 있음을 시사한다.
COX-2를 선택적으로 억제하는 약제를 암 치료에 응용하려는 임상 시험이 진행 중이다. 특히 대장암 및 그 전이에서 COX-2의 발현이 높게 나타나기 때문에, COX-2 선택적 억제제를 이용한 대장암 예방 및 치료가 기대된다.
암 조직에서 COX-2 발현이 증가한다는 사실은 암과 염증의 관련성을 보여준다. 커큐민, 카테킨류, 아피게닌, 켐페롤, 노빌레틴, 레스베라트롤, 우르솔산, 올레아놀산 등의 식품 성분과 강황, 생강, 녹차, 캐모마일, 오레가노, 로즈마리, 바질, 감귤류, 포도, 홉 등의 식품 소재에도 COX 억제 활성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21].
5. 1. 면역계에 대한 영향
셀레콕시브를 사용하여 COX-2를 억제하면 인간 간세포암종에서 면역억제성 TGFβ 발현을 감소시켜 상피-중간엽 이행을 약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18]참조
[1]
논문
The X-ray crystal structure of the membrane protein prostaglandin H2 synthase-1
1994-01
[2]
논문
Structural basis for selective inhibition of cyclooxygenase-2 by anti-inflammatory agents
[3]
서적
Pediatric Critical Care
https://archive.org/[...]
Elsevier Saunders
2011
[4]
논문
Prostaglandin endoperoxide H synthases: peroxidase hydroperoxide specificity and cyclooxygenase activation
2007-06
[5]
논문
Conversion of acetaminophen to the bioactive N-acylphenolamine AM404 via fatty acid amide hydrolase-dependent arachidonic acid conjugation in the nervous system
http://www.jbc.org/c[...]
2005-09
[6]
논문
Anchoring of a monotopic membrane protein: the binding of prostaglandin H2 synthase-1 to the surface of a phospholipid bilayer
2000
[7]
Uniprot
UniProt
[8]
서적
Robbins Basic Pathology
Elsevier - Health Sciences Division
2017
[9]
논문
Cyclooxygenase inhibitory and antioxidant compounds from the mycelia of the edible mushroom Grifola frondosa
2002-12
[10]
논문
Cyclooxygenase inhibitory and antioxidant compounds from the fruiting body of an edible mushroom, Agrocybe aegerita
[11]
논문
Effect of flavonoids and vitamin E on cyclooxygenase-2 (COX-2) transcription
2004-07
[12]
논문
Fish oil: what the prescriber needs to know
[13]
논문
Hyperforin is a dual inhibitor of cyclooxygenase-1 and 5-lipoxygenase
2002-12
[14]
논문
Mechanisms of vitamin D-mediated growth inhibition in prostate cancer cells: inhibition of the prostaglandin pathway
http://ar.iiarjourna[...]
2013-03-12
[15]
논문
Prostaglandins, NSAIDs, and gastric mucosal protection: why doesn't the stomach digest itself?
https://pubmed.ncbi.[...]
2008-10
[16]
논문
Do selective cyclo-oxygenase-2 inhibitors and traditional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increase the risk of atherothrombosis? Meta-analysis of randomised trials
2006-06
[17]
논문
Cardiovascular Safety of Celecoxib, Naproxen, or Ibuprofen for Arthritis
2016-12
[18]
논문
Cyclooxygenase-2 and Akt mediate multiple growth-factor-induced epithelial-mesenchymal transition in human hepatocellular carcinoma
2012-03
[19]
논문
The X-ray crystal structure of the membrane protein prostaglandin H2 synthase-1
1994-01
[20]
논문
Structural basis for selective inhibition of cyclooxygenase-2 by anti-inflammatory agents
[21]
간행물
食品成分によるがん予防
https://doi.org/10.1[...]
2005
[22]
간행물
胃潰瘍も心筋梗塞も起こさないNSAIDsの開発
http://www.daiwa-grp[...]
熊本大学
[23]
서적
Pediatric Critical Care
https://archive.org/[...]
Elsevier Saunders
2011
[24]
저널
Prostaglandin endoperoxide H synthases: peroxidase hydroperoxide specificity and cyclooxygenase activation
2007-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