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흥덕 장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흥덕 장씨는 후백제 영주 출신 장유를 시조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 장유는 고려 시대에 광평시랑을 지냈으며, 그의 아들 장연우는 고려 현종 때 중추원사 등을 역임했다. 흥덕 장씨는 전라북도 고창군 흥덕면 일대를 본관으로 하며, 2015년 대한민국 인구주택총조사에서 59,396명이 확인되었다. 주요 인물로는 장연우, 장경세, 장지량 등이 있으며, 조선 시대에는 문과 급제자 14명을 배출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흥덕 장씨 - 장지량 (1924년)
    장지량은 일제강점기 일본 육군사관학교와 대한민국 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하고 한국 전쟁에 참전하여 공군 창설에 기여했으며, 공군참모총장, 외교관, 대한중석광업 사장, 국회의원을 역임하고 1997년 대한민국 성우회 회장을 지내다 2015년에 사망했다.
  • 흥덕 장씨 - 장신영
    장신영은 2001년 전국 춘향 선발대회에서 현을 수상하고 연기 활동을 시작하여 드라마, 영화 등 다양한 작품에 출연한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흥덕 장씨 - [성씨/가문]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한글 성씨흥덕 장씨(興德張氏)
다른 이름흥성 장씨(興城張氏)
관향전북특별자치도 고창군 흥덕면
시조장유(張儒)
집성촌전북특별자치도 장수군
전북특별자치도 남원시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전북특별자치도 부안군
전라남도 곡성군
인구 (2015년)59,396명
주요 인물

2. 역사

흥덕 장씨(興德 張氏)의 시조 '''장유'''(張儒)는 후백제 전라북도 고창군 흥덕면 출신으로, 고려시대에 광평시랑(廣評侍郞)을 지냈다. 후삼국 시대 난을 피해 오월(吳越)로 피난갔다가 중국어를 배우고, 고려 태조가 삼국을 통일한 뒤에 환국하여 고려 광종 때 예빈성(禮賓省)에서 중국 사신을 접대하는 일을 전담하였다.

장유의 아들 장연우(張延祐)는 고려 현종 때 거란군이 침입하자 왕을 호종하였고, 중추원사(中樞院事), 호부상서(戶部尙書)를 역임하였으며, 뒤에 상서우복야(尙書右僕射)에 추증되었다.[4]

6대손 장기(張機)가 흥산군(興山君)에 봉해지면서 흥덕(興德)을 본관으로 하였다.

2015년 대한민국 인구주택총조사에 따르면, 흥덕 장씨는 37,423명, 흥성 장씨는 21,973명으로 총 59,396명이 장씨(張氏)로 확인되었다.[1]

2. 1. 시조 및 본관

후백제 영주(瀛州; 현재의 전라북도 고창군 흥덕면) 상질현(尙質縣) 출신인 '''장유'''(張儒)는 고려시대에 광평시랑(廣評侍郞)을 지냈다. 그는 후삼국 시대 난을 피해 오월(吳越)로 피난갔다가 중국어를 배운 뒤, 고려 태조가 삼국을 통일한 뒤에 환국하여 고려 광종 때 예빈성(禮賓省)에 있으면서 중국 사신을 접대하는 일을 전담하였다.

장유의 아들 장연우(張延祐)는 고려 현종 때 거란군이 침입해오자 왕을 호종하였고, 중추원사(中樞院事), 호부상서(戶部尙書)를 역임하였으며, 뒤에 상서우복야(尙書右僕射)에 추증되었다.[4]

시조 장유가 성장한 상질현이 흥성(興城)으로 바뀌고, 그의 6대손 장기(張機)가 흥산군(興山君)에 봉해졌다. 흥성이 흥덕(興德)으로 개칭되어 흥덕을 본관으로 하여 세계를 이어오고 있다.

흥덕(興德)은 전북특별자치도 고창군(高敞郡) 흥덕면 일대에 위치하는 지명이다. 백제 때에는 상칠현(上漆縣:上村縣)이라 하다가 757년(신라 경덕왕 16)에 상질현(尙質縣)으로 고쳐 고부군(高阜郡)의 관할이 되었다. 1018년(고려 현종 9) 이후 장덕현(章德縣:昌德)으로 고쳐서 감무를 두고 고창을 겸해 다스리게 하였다가 1308년(고려 충선왕 1) 흥덕으로 바꾸었다. 1401년(조선 태종 1) 고창현을 분리하고 흥덕현으로 독립하였으며, 흥성현 이라고도 하였다. 1895년(조선 고종 32) 지방제도 개정으로 전주부 흥덕군이 되었고, 1896년 전라남도 흥덕군이 되었다. 1914년 군면 폐합으로 흥덕면으로 축소되어, 고창군에 통합되었다.

2. 2. 분파

흥덕 장씨는 시중공파(侍中公派), 둔암공파(遯菴公派), 중직공파(中直公派), 직장공파(直長公派), 참봉공파(參奉公派), 야우공파(野憂公派), 송정공파(松亭公派), 진사공파(進士公派), 사성공파(司成公派), 경력공파(經歷公派), 서윤공파(庶尹公派), 사직공파(司直公派), 현령공파(縣令公派), 좌랑공파(佐郞公派), 사과공파(司果公派), 부장공파(部將公派), 감사공파(監司公派), 제주파(濟州派), 곡성파(谷城派), 주부공파(主簿公派), 돈암공파(豚庵公派), 기장공파(機張公派), 참군공파(參軍公派), 판서공파(判書公派), 문간공파(文間公派) 등 여러 분파로 나뉜다.[4]

2. 2. 1. 나주 장씨 분관

조선 인조 때 가선대부(嘉善大夫)를 지낸 장세동(張世東)은 흥덕 장씨(興德張氏) 시조 장유(張儒)의 22세손이며, 세거지인 나주(羅州)를 본관으로 삼아 나주 장씨로 분관하였다.

3. 주요 인물

3. 1. 고려


  • 장연우(張延祐, 954 ~ 1015) : 2차 여요전쟁 때 공을 세웠으며 이후 호부상서로 임명되었다.[3]
  • 장윤화(張允和, ? ~ 1422년) : 1388년(고려 우왕 14) 문과에 급제하여 병조참의 등을 거쳤다.[3]

3. 2. 조선


  • 장윤화 (張允和, ? ~ 1422년) : 1388년 (고려 우왕 14) 문과에 급제하여 병조참의 등을 거쳤다. 1419년(조선 세종 1년) 이조참의를 역임하고, 1420년 전라도 관찰사에 임명되었다.
  • 장경세 (張經世, 1547년 ~ 1615년) : 전라도 남원 출신. 1589년(선조 22) 증광문과(增廣文科)에 병과로 급제하여 교서관저작을 거쳐 1593년(선조 26) 공주제독관을 지냈으며 승문원박사를 역임했다. 이어 공조·예조의 좌랑을 거쳐 전라도도사로 부임했다가 1602년(선조 35)에는 노모를 모시기 위하여 금구현령을 자청했다. 이듬해에 관직을 그만두고 「정부사(征婦詞)」·「상사곡(相思曲)」·「유선사(遊仙詞)」·「강호연군가(江湖戀君歌)」 등의 시문을 남겼다. 저서로 『사촌집(沙村集)』이 있으며, 남원의 주암서원(舟巖書院)에 제향됐다.
  • 장녹수 (張綠水) : 연산군의 후궁

3. 3. 현대

4. 과거 급제자

흥덕 장씨는 조선시대 문과 급제자 14명을 배출하였다.

종류이름
고려 문과장윤화
문과장건, 장경세, 장계숙, 장근지, 장세문, 장용한, 장우, 장우구, 장응량, 장이길, 장인신, 장인택, 장현경, 장희성
무과장대하, 장사식, 장석, 장우엽
생원시장경세, 장논, 장달화, 장복길, 장세청, 장억, 장운항, 장이길, 장질, 장책, 장희
진사시장경관, 장복환, 장업, 장유환, 장지, 장창운, 장현규, 장환, 장희성


5. 항렬자

흥덕 장씨 항렬표
19세20세21세22세23세24세25세26세27세28세29세
진(鎭), 석(錫), 전(銓)순(淳), 택(澤)식(植), 주(柱), 근(根), 병(柄)열(烈), 환(煥), 준(焌), 희(熙), 엽(燁)규(圭), 규(奎), 재(在), 균(均), 곤(坤)호(鎬), 영(鍈), 용(鏞), 종(鍾), 현(鉉)수(洙), 호(浩), 해(海)환(桓), 동(東)훈(勳), 연(然)교(敎), 중(重)수(銖), 련(鍊)


6. 집성촌

다음은 흥덕 장씨 집성촌 목록이다.

지역
전북특별자치도 남원시 대강면 생암리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소성면 중광리
전라남도 장흥군 유치면 반월리
전라남도 곡성군 곡성읍 구원리
전라남도 곡성군 곡성읍 장선리
전북특별자치도 장수군 번암면 노단리
전북특별자치도 부안군 변산면 격포리
전라남도 영광군 법성면 월산리
전라남도 화순군 북면 길성리
전북특별자치도 부안군 진서면 석포리 원암
전북특별자치도 남원시 대산면 왈길 부락


7. 인구

연도가구인구
1985년8,837가구37,691명
2000년14,023가구44,705명
2015년59,396명[1]



8. 문화재

참조

[1] 웹사이트 2015년 인구주택총조사 전수집계결과 보도자료 https://kostat.go.kr[...]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2023-04-20
[2] 웹사이트 (147)흥덕 장씨(興德張氏)-44,705명 https://www.newsfc.c[...] 2023-12-12
[3] 웹사이트 공군 창설 주역 장지량 전공군참모총장 별세 https://www.khan.co.[...] 2023-12-12
[4] 서적 『고려사』 권94, 열전7 https://terms.nave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