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소울 푸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소울 푸드는 아프리카 노예들의 음식 문화에서 유래하여 미국 남부 요리에 영향을 미친 음식이다. 노예들은 아프리카에서 가져온 식재료와 남은 음식, 저렴한 재료를 활용하여 요리했고, 이는 서아프리카와 유럽의 요리법이 결합된 형태로 발전했다. 남북 전쟁 이후 흑인들이 도시로 이동하면서 소울 푸드는 널리 퍼졌고, 민권 운동 시기에는 흑인 공동체의 중요한 문화적 상징이 되었다. 소울 푸드는 흑인들의 정체성을 나타내며, 건강 문제와도 관련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국 원주민의 역사 - 미시시피 문화
    미시시피 문화는 기원후 800년부터 1600년경 미국 중동부와 남동부에서 번성한 북미 원주민 문화로, 옥수수 농업, 플랫폼식 고분 건설, 조개껍데기 혼합 토기 제작, 광범위한 교역망, 카호키아 중심 수장 사회, 남동부 의례 양식 등의 특징을 보였으나 유럽인 접촉 후 쇠퇴하였다.
  • 미국 원주민의 역사 - 미국 인디언 전쟁
    미국 인디언 전쟁은 17세기부터 19세기 말까지 북미 대륙에서 유럽 이주민과 아메리카 원주민 부족 간에 벌어진 일련의 분쟁으로, 토지, 자원, 문화적 차이, 정치적 주도권을 둘러싼 갈등에서 비롯되어 아메리카 원주민 사회의 인구 감소와 문화적 파괴, 미국 영토 확장에 큰 영향을 미쳤다.
  • 미국 남부의 문화 - 서던 록
    서던 록은 1960년대 후반 미국 남부에서 블루스, 컨트리, 록앤롤을 기반으로 발전하여 올맨 브라더스 밴드와 레너드 스키너드 등이 1970년대 전성기를 이끌었으며, 블루스 록과 컨트리 록의 결합, 리드 기타 강조, 남부 노동 계급 정서 가사 등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 장르이다.
  • 미국 남부의 문화 - 미국 흑인 영어
    미국 흑인 영어는 대서양 노예 무역으로 유입된 아프리카인들의 언어에서 비롯된 다양한 방언들을 아우르며, 아프리카계 미국인 통용 영어(AAVE)를 포함하여 여러 형태로 나타나고 문학, 영화, 음악 등 다양한 분야에서 그 영향력을 확인할 수 있다.
  • 솔 푸드 - 프라이드 치킨
    프라이드 치킨은 스코틀랜드와 서아프리카 요리의 영향을 받아 미국 남부에서 발전한 닭고기 튀김 요리로, 아프리카계 미국인 가정부들을 통해 대중화되었으며, 패스트푸드 산업 발전과 함께 전 세계로 확산되어 다양한 스타일과 변형 요리가 존재한다.
  • 솔 푸드 - 우스터셔 소스
    우스터셔 소스는 19세기 영국에서 개발되어 상업화된 소스로, 몰트 식초, 주정 식초, 당밀, 설탕, 소금, 멸치, 타마린드 등을 주재료로 하여 독특한 풍미를 내며,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변형이 존재하고 일본에서는 독자적인 소스 문화가 발달했다.
소울 푸드
소울 푸드
소울 푸드 한 접시
소울 푸드 한 접시
종류아프리카계 미국인 요리
기원미국 남부
주요 식재료돼지고기
닭고기
옥수수
콜라드 그린
고구마

특징풍부한 양념과 튀김 요리
역사
기원아프리카계 미국인 노예들이 자신들에게 주어진 재료를 활용하여 만들어낸 음식에서 유래
1960년대 시민권 운동과 함께 "소울 푸드"라는 이름으로 재정립
발전 과정아프리카, 유럽, 아메리카 원주민 요리 문화의 영향을 받음
노예 제도가 폐지된 후 남부에서 북부로 이주하면서 널리 퍼짐
다양한 지역적 특성을 반영하며 발전
주요 요리
육류프라이드 치킨
폭찹

칠면조 구이
돼지 갈비
족발
내장 요리
해산물메기 튀김
새우
크랩 케이크
채소콜라드 그린
겨자 잎
순무 잎
검은눈콩
옥수수
고구마
마카로니 앤 치즈
곡물옥수수빵
그릿츠
디저트피칸 파이
고구마 파이
복숭아 코블러
바나나 푸딩
문화적 의미
상징성아프리카계 미국인 문화유산의 중요한 부분
공동체 의식과 가족 간의 유대 강조
역사적 고난과 저항의 상징
관련 행사명절과 특별한 날에 자주 등장
가족 모임과 축제에서 중요한 역할
비판적 시각건강에 해로운 요리라는 비판
전통적인 요리 방식에 대한 논쟁
식재료의 다양성 부족에 대한 우려
특징
조리법기름을 많이 사용하고 오랜 시간 동안 조리
깊고 풍부한 맛과 독특한 풍미
차이점남부 요리와 유사하나, 아프리카계 미국인의 역사와 문화가 반영된 차이
지역별 차이지역에 따라 다양한 변화
북부 지역은 남부 지역보다 덜 기름진 경향
시카고와 같은 지역에서는 독특한 스타일의 소울 푸드 발달
기타
관련 용어영혼
위안
고향
일본어소울 푸드 (소울 후-도)
일본어 의미영혼을 흔들만큼 인상적인 음식
향토 요리로 변화
위안을 주는 음식
다른 뜻영혼을 흔들만큼 인상적인 음식
위안을 주는 음식

2. 역사

흑인 미국인들이 남부식 바비큐를 준비하고 있다.


"소울 푸드"는 아프리카계 미국인의 전통적인 요리 문화를 일컫는 용어로, 그 뿌리는 미국의 노예 제도 시기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이는 아프리카, 유럽, 아메리카 원주민의 음식 문화가 복합적으로 융합되어 형성되었다.[3][34] "소울 푸드"라는 용어가 문헌상 처음 등장한 것은 1909년 노예 출신이었던 토마스 L. 존슨의 회고록이지만,[13] 이 용어가 널리 쓰이기 시작한 것은 1960년대와 1970년대 흑인 민족주의 운동 시기였다.[14][15][16]

1960년대 흑인 음식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콘브레드, 미국식 족발, 맥앤치즈 등이 소울 푸드의 대표적인 메뉴로 자리 잡았다. 이러한 음식들은 향신료를 많이 사용하거나 상대적으로 저렴한 재료를 창의적으로 활용하는 특징이 있으며, 때로는 강한 풍미를 지니기도 한다.

소울 푸드는 단순히 음식을 넘어, 대이동 시기 고향을 떠나온 흑인들에게 위안을 주고 공동체를 형성하는 구심점 역할을 했다.[17][18][19] 또한, 공유된 역사와 문화적 자부심을 확인하며 흑인으로서의 정체성을 표현하는 중요한 수단이 되었다.[20] 이러한 역사와 문화적 의미를 기리기 위해 매년 6월은 "전국 소울 푸드의 달"로 기념되고 있다.[21] 특히 바비큐는 노예제 시기부터 흑인 공동체와 밀접한 관련을 맺으며 발전해 왔으며[120][121][122][123], 노예 해방 기념일이나 준틴스와 같은 기념 행사에서 중요한 음식으로 자리 잡았다.[108][142]

2. 1. 노예제와 소울 푸드의 탄생

소울 푸드의 역사는 미국의 노예 제도 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가지만, 그 기원은 미국의 역사나 노예 제도의 역사보다 더 오래되었으며, 일부는 아프리카 대륙까지 거슬러 올라갈 수 있다. 모로코에서 아프리카로 유입된 스페인에서 유입된 양배추는 아프리카계 미국인의 식문화에서도 중요한 작물이 되었다.



14세기 초 노예 무역이 시작되면서, 노예로 끌려온 아프리카인들의 식문화는 새로운 땅에서 변화를 겪었다. 이것이 아프리카계 미국인들이 소울 푸드라고 부르는 요리, 그리고 나아가 식문화의 시작이 된다. 대서양 노예 무역 시대 동안, 노예로 끌려온 사람들은 노예선에서 아프리카 음식을 먹었다. 여기에는 벼, 기장, 오크라, 검은콩, 얌, 그리고 콩과식물류인 강낭콩과 리마콩 등이 포함된다. 이러한 작물들은 북아메리카로 가져와져 남부 요리의 주식이 되었다.[23][24] 한 노예선에 탄 아프리카인은 나중에 아프리카에서 사우스캐롤라이나주 찰스턴으로 가는 항해 동안 얌만 먹었다고 회상했다.[25] 노예선에는 갑판 아래에 쇠사슬로 묶여 있는 노예들에게 먹일 아프리카 채소, 과일, 동물이 실려 있었다. 이러한 식품들은 나중에 신대륙에 심어져 식량과 수출 작물로 사용되었다. 아메리카 요리를 형성한 아프리카 식물의 도입은 콜럼버스 교환이라고 불리는 것의 일부였다.[26][27] 머서 대학교 도서관의 연구원들은 아메리카로 가져온 음식이 수확 후 오랫동안 보존 가능하여 긴 항해에 적합했고, 미국 남부에서 잘 자라 노예들이 할당받은 정원에서 재배하기 용이했기 때문에 선택되었다고 설명한다.[28] 또한, 노예선에 탄 아프리카 여성들이 땋은 머리에 벼, 오크라, 기장 씨앗을 숨겨 북아메리카로 가져왔다는 이야기도 전해진다.[29][30]

기니포울은 아프리카 원산의 조류로, 노예 무역을 통해 아메리카로 수입되었다. 16세기 초 스페인 사람들에 의해 카리브해를 거쳐 현재 미국 남부에 소개되었으며, 노예로 끌려온 흑인 미국인들의 중요한 고기 공급원이 되었다.[25] 미국 농장의 노예들은 기니포울의 알을 먹고, 서중앙 아프리카 조상들처럼 쌀과 함께 고기를 요리했다. 그들은 유럽과 아메리카 원주민의 음식과 요리법을 받아들여 새로운 요리법을 만들었고, 이는 흑인 가정에서 구전으로 전해지다가 미국 남북 전쟁 이후 아프리카계 미국인 요리책에 기록되었다.[31][32][33]

서머셋 농장 노예 부엌


소울 푸드는 노예 제도 시대 시골 미국 남부 또는 "딥 사우스"의 가정 요리에서 유래했으며, 현지에서 채집하거나 재배한 식품과 기타 저렴한 재료를 사용했다.[35][36] 아프리카에서 먹던 채소 대신, 대농장에서 노예들에게 주어진 무나 민들레, 근대 잎이 사용되기 시작했고, 콜라드 그린, 케일, 크레송, 미국자리공 등 새로운 재료도 사용되기 시작했다. 노예들은 토끼, 다람쥐, 사슴을 사냥하거나 생선, 개구리, 가재, 거북이, 조개류, 게 등을 채취하여 식량을 보충했다.[37][38] 소울 푸드의 핵심은 노예들이 농장주가 제공하는 부족한 식량과 그들이 먹지 않고 버리는 부위(돼지 발, 소 혀, 소 꼬리, 의 뒷부분(햄 호크), 챠터링스(돼지소장), 돼지 귀, 돼지 볼살, 소의 (, 천엽, 벌집 위, 기알라)와 가죽 등)를 활용하는 법을 터득하면서 시작되었다.[39][40] 이러한 부위에 양파, 마늘, 타임, 월계수잎을 넣어 풍미를 좋게 했다. 또한 많은 노예들은 야생 동물을 잡아 부족한 동물성 단백질을 보충했다. 1950년대까지 농촌에 사는 아프리카계 미국인들은 너구리, 북아메리카주머니쥐, 거북이와 토끼를 자주 먹었다. 가축의 내장과 푸른 채소는 오늘날에도 소울 푸드의 대표적인 재료가 되고 있다. 최소한의 재료로 식사를 만들어야 했던 노예들은 서중앙 아프리카 요리 지식에 아메리카 원주민과 유럽인에게서 배운 기술을 결합하여 소울 푸드를 창조했다.[41][42][9]

미국 남부의 노예들은 아프리카산 기니포울을 밥과 함께 요리했는데, 이는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의 식습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조합이다.


돼지고기와 옥수수는 노예 소유주와 노예 모두에게 미국 남부의 주요 식품이었다. 노예들은 일반적으로 일주일에 1pk의 옥수수 가루와 약 1.36kg~약 1.81kg의 돼지고기를 배급받았는데, 이것이 아프리카계 미국인 소울 푸드의 기초가 되었다.[43] 고된 노동을 견뎌야 했던 노예들은 고칼로리 식단이 필요했다.[206] 농장주들이 훈제 햄과 옥수수 푸딩을 먹는 동안, 노예들에게는 내장과 같은 부위가 남겨졌다.[44][45] 농장주의 식사에서 남은 음식과 찌꺼기는 노예들에 의해 ''"주바"''라고 불렸으며, 일요일에 여물통에 담아 주어졌다. "주바"는 여러 아프리카 언어에서 음식의 "조금"이라는 의미를 가졌던 것으로 추정된다.[46][47]

고고학적 연구에 따르면, 노예들은 식기류나 접시보다 그릇을 더 자주 사용했는데, 이는 스튜나 "검보"와 같은 한 솥 요리를 주로 먹었음을 시사한다. 그들은 자연에서 채취한 재료, 정원에서 기른 채소, 농장주가 버린 동물 부위를 활용하고 직접 만든 매운 소스로 맛을 냈다. 반면, 백인 농장 가족들은 접시와 식기류를 사용하여 고기와 채소를 따로 먹는 경향이 있었다. 대서양 연안 농장의 노예들은 해산물 접근성 덕분에 더 다양한 식단을 가질 수 있었다.[48]



사우스캐롤라이나와 조지아의 로우컨트리에 있는 굴라족은 서아프리카에서 유래한 어업 문화를 실천하며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의 것과 유사한 카누를 만들었다. 그들은 어업 전통을 이어가며 지역 재료를 사용한 생선 요리를 개발했고, 이는 오늘날 굴라 문화의 중요한 일부이다. 내륙 노예들은 사냥감(토끼, 다람쥐), 농장 닭, 돼지, 남은 동물 부위로 고기 섭취가 제한되었던 반면, 해안 지역 노예들은 다양한 육지와 바다 동물을 이용할 수 있었다. 이는 지역 재료에 기반한 소울 푸드의 지역적 다양성을 보여준다.[49][50][51]

체사피크 만에서 게 껍질을 청소하는 젊은 흑인 미국인


프레더릭 더글러스는 자서전에서 메릴랜드 동부 해안 근처 촙탱크 강의 노예들이 농장주로부터 최소한의 음식만 받아 물고기, 거북이, 뱀장어를 잡아 식단을 보충했다고 기록했다. 그는 노예들이 매달 약 3.63kg의 돼지고기나 생선, 그리고 1USbu의 옥수수 가루를 배급받았다고 썼다.[52][53] 식단을 보충하는 또 다른 방법은 채소밭을 가꾸는 것이었다. 메릴랜드주 도체스터 군의 노예들은 촙탱크 강에서 물고기를 잡고 토끼, 거북이, 오리, 거위, 칠면조, 주머니쥐, 너구리, 사슴, 사향쥐 등을 사냥했다. 정원에서 재배한 오크라, 옥수수, 잎채소, 고구마 등과 함께 다양한 식사를 만들었다.[54] 세인트메리 군에서는 사향쥐 요리법이 기록되어 구전으로 전해졌다.[55] 볼티모어와 체사피크 지역의 노예와 자유 아프리카인들은 해산물 요리에 매운맛을 더하기 위해 정원에서 피쉬 페퍼를 재배했다.[56][57][58] 해방 후 많은 아프리카계 미국인들은 새우잡이, 굴 채취, 낚시 등 해산물 산업에 종사하게 되었다.[59] 남북 전쟁 후 메릴랜드는 게잡이 산업으로 유명해졌고, 메릴랜드 튀김 게 케이크는 소울 푸드의 일부가 되었다.[61]

마운트 버넌의 노예 음식 정원. 노예들은 식단을 보충하기 위해 스튜를 만들 음식을 직접 재배했다.


버지니아의 노예 어부들은 가족과 공동체를 위해 생선을 잡았다. 백인들이 기피하는 가아피시나 검은 메기 등이 노예들에게 주어졌으며, 노예들은 자신의 시간을 이용해 낚시로 배급을 보충했다.[62][63] 조지 워싱턴의 농장 마운트 버넌에서는 노예 요리사들이 워싱턴 가족을 위해 옥수수 가루 팬케이크("호 케이크"), 고기 요리, 양념 채소를 준비했지만, 노예들은 주로 옥수수 가루와 소금에 절인 생선을 먹었다.[64] 버지니아 노예들의 식단에는 농장 동물의 고기, 채소, 블랙베리, 호두, 해산물 등이 포함되었다. 부커 T. 워싱턴은 자서전 ''나의 인생과 업적 그리고 노예에서 벗어나기''에서 노예 시절 먹었던 음식에 대해 묘사했다. 그의 어머니는 백인 가족을 위해 요리하는 노예 농장 요리사였다.[65]

서아프리카의 요리 기술은 북미에서 노예 아프리카인들과 그 후손들에 의해 계속되었다.


부커 T. 워싱턴의 어머니는 벽난로나 프라이팬, 냄비를 이용해 요리했으며, 가족들은 냄비나 프라이팬에서 직접 음식을 먹었다. 이는 백인 가족들이 포크와 수저를 사용해 접시에서 먹는 것과 대조적이었다. 그녀는 현지 재료를 이용해 한 냄비 스튜를 만들었는데, 이는 서아프리카에서 여전히 행해지는 요리 방식이며 미국 남부 노예 가족들에게도 이어졌다.[66] 버로우 농장의 노예들은 아스파라거스, 비트, 콩, 검은 눈 완두콩, 당근, 양배추, 오이, 감자, 케일, 상추, 리마 콩, 오크라, 양파, 고추, 토마토, 순무 등 다양한 채소를 재배하여 스튜를 만들었다.[65]

이보 아프리카인들은 버지니아 흑인 미국인의 식습관에 큰 영향을 미쳤다. 약 3만 명의 이보인이 노예 무역을 통해 버지니아로 끌려왔다. 서아프리카의 이보족은 고구마, 오크라, 가금류, 염소를 먹고 낚시를 했다. 오크라, 고구마, 검은 눈 완두콩 등 아프리카 음식은 버지니아로 전해졌고, 노예가 된 이보 사람들은 이를 이용해 한 냄비 스튜를 만들었다. 노예들은 체사피크 만에서 낚시를 하여 메기, 가재, 농어, 청어, 거북이 등을 잡아 해산물 요리를 준비했다.[67][68] 버지니아 농장주들은 노예들에게 인색하게 식량을 제공했기 때문에, 노예들은 사냥, 낚시, 채집 등 이보 방식으로 식량을 확보하고 이보 문화의 영향을 받은 식사를 준비해야 했다. 배급은 주로 소금에 절인 생선이나 돼지고기, 옥수수 또는 옥수수 가루, 소금, 그리고 아마도 당밀로 구성되었다.[69]

유럽 요리가 미국 남부 요리의 주식이 된 마카로니와 치즈는 노예 요리사 제임스 헤밍스, 토마스 제퍼슨의 개인 요리사에 의해 미국에서 유행했다.


허큘리스 포시와 제임스 헤밍스와 같은 일부 노예 요리사들은 뛰어난 요리 기술 덕분에 어느 정도 자율성을 누렸다. 허큘리스 포시는 마운트 버넌에서 조지 워싱턴의 노예 요리사였으며, 그의 요리는 엘리트 백인들 사이에서 인기가 높아 남은 음식을 팔아 돈을 벌 수 있는 준자유를 얻기도 했다. 그의 요리는 서아프리카, 유럽, 아메리카 원주민의 영향을 받았으며, 자신만의 소스와 풍미를 개발했다.[70][71] 제임스 헤밍스(샐리 헤밍스의 형제)는 토마스 제퍼슨의 수석 요리사였다. 그는 아프리카, 프랑스, 아메리카 원주민의 음식 전통을 결합했다. 제퍼슨과 함께 프랑스 파리로 가서 프랑스 요리사 밑에서 훈련받으며 마카로니 파이(오늘날의 마카로니 앤 치즈) 만드는 법을 배웠다. 헤밍스는 미국에 마카로니와 치즈를 소개하고 유행시켰으며, 이는 나중에 흑인 공동체의 소울 푸드에서 흔한 곁들임 요리가 되었다.[72][73]



참깨는 아프리카 작물로 1730년 노예 무역을 통해 사우스캐롤라이나에 전해졌다. 토마스 제퍼슨은 노예들이 참깨를 이용해 스튜, 빵, 삶은 채소, 푸딩 등을 만들었다고 기록했다. 노예들은 참깨를 날것, 구워서, 삶아서 먹었으며, 식민지 시대부터 현재까지 구운 빵의 재료로 사용되고 있다.[23]

일부 노예들은 정원에서 허브를 재배하여 음식에 풍미를 더했고,[74] 토기나 철제 냄비(콜로노웨어)에 음식을 삶거나 끓이는 요리 기술을 사용했다.[75] 소금은 고기 보존에 사용되었고,[76] 당밀은 음식과 음료를 달게 하는 데 쓰였다. 사탕수수 즙을 끓여 만든 블랙스트랩 당밀이나 수수 식물의 즙으로 만든 수수 시럽도 사용되었다. 수수 씨앗 역시 서아프리카에서 노예 무역을 통해 전래되어 노예들이 재배했다.[77][78]

노예들이 농장 주인의 저택 부엌에서 요리사로 일하게 되면서, 노예들의 식문화는 더욱 발전했다. 당시 노예들은 백인들이 닭 가슴살을 화이트 미트라고 부르고, 그 외의 날개나 닭다리살을 레드 미트라고 부르며 먹지 않는 부위로 주었다. 그러한 레드 미트에 옥수수 가루를 묻혀 라드에 튀긴 요리가 프라이드 치킨이 되었다. 거기에 삶은 감자 옆에 고구마가 놓이게 되었다. 사과, 복숭아, 산딸기류, 종실류, 곡물푸딩이나 파이가 되었다. 남은 생선 살은 찢어서 계란, 옥수수 가루 또는 밀가루, 조미료와 섞어 옷을 입히면 크로켓이 되고, 약간 오래되어 굳어진 브레드 푸딩이 되었다. 채소의 국물은 팟 리커(pot likker)라고 불러 소스로 먹거나 그대로 마셨다.

머서 대학교 학자들에 따르면, 백인 농장 가족들은 처음에는 노예들이 준비한 아프리카 음식을 꺼렸지만, 점차 많은 농장 부엌에서 아프리카계 여성 노예들이 주요 요리사가 되었다. 이 여성들은 자녀들에게 요리 기술과 문화적 지식을 전수했다. 나이 든 노예 여성들은 위협적이지 않고 지식이 풍부하며 요리에 능숙하다는 이유로 백인 농장 가족들이 선호했다. 부엌은 노예 어머니들이 자녀들과 유대감을 형성하고 삶과 문화를 가르치는 공간이기도 했다. 아프리카 사회와 노예 제도 하에서 여성이 주요 요리사였던 점은 후에 흑인 여성을 맘미로 묘사하는 인종차별적 고정관념으로 이어졌다.[79][80]

재를 사용하여 요리하는 것은 아프리카의 전통적인 요리 방법으로 미국 남부의 노예 공동체에서 계속되었다.


노예 이야기는 아프리카의 전통적인 요리 방식이 계속되었음을 보여준다. 노예들은 불구덩이에서 나온 재를 사용하여 음식을 굽거나 가열했는데, 이는 "재 케이크", "재 구운 감자"와 같이 음식 이름에 "재(ash)"가 붙는 것으로 확인된다. 음식을 직접 뜨거운 재나 숯 위에 놓거나, 냄비나 프라이팬을 재 위에 올려놓고 요리했으며, 때로는 잎사귀 위에 음식을 놓고 가열하기도 했다.[81]

일부 노예들은 농장주로부터 충분한 음식을 받지 못했고, 일부 노예는 굶주렸고 결과적으로 영양실조에 걸렸다. 집 노예와 들 노예의 식단은 달랐다. 집 노예들은 닭고기, 칠면조, 생선과 같은 고기에서 개별적으로 잘라낸 남은 음식과 파이, 양념한 채소를 먹었다. 들판에서 일하는 노예들은 남은 동물 찌꺼기, 내장, 그리고 그들이 환경에서 찾을 수 있는 음식을 먹었다. 일부 들 노예들은 거의 규칙적인 든든한 식사를 하지 못했다. 역사가 존 블래싱게임의 연구에 따르면 일부 노예들은 최소한의 음식만 받았고, 사냥, 낚시, 음식을 찾아 헤매면서 식단을 보충해야 했다.[82][83] 루이지애나 노예 기록에 따르면 노예들은 불충분한 음식과 과도한 노동 때문에 도망쳤다. 생존하기 위해 노예들은 노예 소유주로부터 음식을 훔쳤고, 근처 농장의 소를 죽였고, 사냥과 낚시를 했다.[84]

국립 공원 관리청과 조지 에스타브룩 교수의 연구에 따르면 노예들은 "검은 눈 완두콩, 순무잎, 돼지기름을 한 솥에 삶아서 집에서 갈은 옥수수로 만든 죽과 함께 제공함으로써 식단 요구 사항과 식욕을 모두 충족시키는 식사를 만들었다"고 한다. 검은 눈 완두콩은 단백질 공급원이었고, 잎채소는 섬유질과 비타민 C와 A를 제공했다.[85] 솥에 채소를 삶으면 남북 전쟁 이전 시대에 노예들이 건강을 유지하기 위해 섭취했던 비타민이 풍부한 음료인 솥물(potlikker)이 생겼다. 백인 농장주들은 노예들이 준비한 채소를 먹고, 노예들이 마시도록 녹색 액체(육수)를 남겼는데, 영양분이 육수에 있다는 것을 깨닫지 못했다. 솥물에는 비타민 A, 비타민 C, 비타민 K, 철분이 들어 있다. 노예들과 그 후손들은 솥물을 사용하여 치유법을 만들었다.[86][87][88][89] 노예 정원은 노예 공동체에서 중요했는데, 노예 소유주들이 충분한 음식을 제공하지 않았기 때문에 노예들의 영양 결핍 식단을 보충했다.[90][91][92] 노예 소유주들은 노예들이 정원에서 음식을 재배하도록 허용했는데, 이는 노예 소유주들이 돈을 절약할 수 있게 해주었고, 노예들을 위해 음식을 사지 않을 변명거리를 주었다. 일부 노예 소유주들은 노예들에게 스스로 음식을 재배할 씨앗을 제공했다. 노예들은 또한 자신들이 재배한 음식을 노예 소유주들에게 팔아 돈을 벌었다.[93]

닭고기 국물에 넣은 돼지창자 요리


돼지창자 요리(chitlins)는 깨끗하게 손질한 돼지 창자로, 냄비에 넣고 양념을 한다. 이 음식은 미국 남부의 흑인 노예들과 관련이 있지만, 동물 내장(창자)을 먹는 것은 아시아, 유럽, 서아프리카와 같은 다른 문화권에서도 행해진다. 서아프리카의 하우사족은 닭 창자를 먹는다. 미국 남부의 노예 아프리카인들은 동물 내장을 요리하고, 양념하고, 먹는 전통을 계속 이어갔다. 노예들은 돼지창자 요리에 더욱 풍미와 향신료를 더하기 위해 매우 매운 고추를 넣었다. 돼지창자 요리를 하는 데는 시간이 오래 걸렸는데, 들 노예들은 들판에서 일하는 동안 돼지 창자를 천천히 삶았다. 백인 농장주들이 먹지 않은 돼지 부위를 노예들에게 주었고, 그들은 이를 이용하여 음식에 양념을 하고 한 냄비 요리, 수프, 돼지창자 요리를 준비했다.[94] 돼지창자 요리는 다른 문화권에서는 별미로 여겨진다.[95] 돼지 창자를 청소하는 데 시간이 오래 걸리기 때문에 돼지창자 요리는 특별한 경우와 휴일에 먹었다. 일부 요리사는 돼지창자 요리에 양파, 셀러리, 마늘, 소금, 후추, 버터로 양념을 한다.[96] 부커 T. 워싱턴은 노예들이 크리스마스 시즌에 돼지창자 요리를 먹었다고 썼다. 버지니아의 크리스마스는 다른 농장에서 일하도록 고용된 노예들이 노예 소유주의 농장에 있는 가족을 방문하기 위해 집으로 돌아오는 시기였다. 노예 가족들은 돼지창자 요리, 소시지, 곁들임 고기로 구성된 음식을 공급받았다. 미국 남북 전쟁 이후 옥수수빵, 돼지 발, 돼지 귀, 완두콩, 돼지창자 요리는 부커 T. 워싱턴의 딸

2. 2. 남북 전쟁과 해방 이후

남북 전쟁 이후 노예 제도에서 해방되었지만, 많은 아프리카계 미국인 가정의 경제적 상황은 크게 나아지지 않았다. 이 때문에 여전히 저렴한 육류 부위나 내장을 주로 소비할 수밖에 없었다. 당시 남부의 아프리카계 미국인 대부분은 농촌 지역에 살았기 때문에, 채소는 집 주변 텃밭에서 직접 길러 해결했고, 동물성 단백질사냥을 통해 주머니쥐, 토끼, 다람쥐, 물새 등을 잡아 보충했다. 도축 과정에서 나오는 부산물을 버리지 않고 활용하기 위해 라드쇼트닝 같은 동물성 기름을 조리 시 자주 사용했다.

아프리카계 미국인들이 취업 기회가 부족한 남부 농촌 지역을 떠나 북부 공업 지대로 이주하면서, 소울 푸드 역시 이들과 함께 퍼져나갔다. 아프리카계 미국인 인구가 많은 대도시에서는 어디에서나 저렴한 프라이드 치킨이나 생선튀김 전문점부터 고급 레스토랑까지 다양한 형태의 소울 푸드 음식점을 쉽게 찾아볼 수 있게 되었다.[263]

남부 지역 서민들은 주로 경제적인 이유로 인종과 관계없이 구하기 쉬운 식재료를 사용하여 요리를 만들 수밖에 없었기 때문에, 남부의 식문화를 인종에 따라 구분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굳이 차이를 찾자면, 아프리카계 미국인들은 앵글로색슨인계 미국인보다 내장 요리에 비교적 호의적이고, 향신료를 더 많이 사용하여 매운 맛을 내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실제로는 소울 푸드와 남부 백인들의 전통적인 가정 요리 사이에는 차이점보다 공통점이 더 많다고 할 수 있다.

2. 3. 대이동과 소울 푸드의 확산

1938년 10월 루이지애나주 노르코에 있는 옛 트레파니에 플랜테이션 하우스에서 조리하는 모습


대이동 시기, 더 나은 취업 기회를 찾아 남부 농촌 지역에서 북부 공업 지대로 이주한 아프리카계 미국인들은 낯선 환경 속에서 고향과 가족을 떠올리게 하는 소울 푸드를 통해 위안을 찾았다.[17][18][19][263] 이 과정에서 소울 푸드 역시 사람들과 함께 북부로 이동하며 확산되었다.[263]

1960년대와 1970년대 흑인 민족주의 운동이 활발해지면서 "소울 푸드"라는 용어가 널리 유행하기 시작했다.[14] 이는 말콤 X 자서전(1965년) 등에서도 기록을 찾아볼 수 있으며,[15] 아미리 바라카(르로이 존스)와 같은 인물들은 소울 푸드를 흑인 미국인 정체성의 중요한 일부로 확립하는 데 기여했다.[16] 이 시기 생겨난 소울 푸드 레스토랑은 단순히 음식을 파는 곳을 넘어, 흑인이 소유하고 운영하는 사업체이자 사람들이 함께 모여 식사하고 교류하는 이웃 공동체의 만남의 장소 역할을 수행했다.[17][18][19]

작가 라레타 헨더슨에 따르면, 중산층 아프리카계 미국인들은 소울 푸드를 준비하고 먹는 행위를 통해 자신들의 "흑인 정체성"을 받아들였다. 이는 공유된 억압의 역사(노예제)와 문화적 자부심을 상징하는 동시에, 백인 중산층의 가치관과 거리를 두고 하층민 흑인들과의 연대를 표현하는 방식이기도 했다. 이처럼 소울 푸드는 정치적 성향이나 사회 계층과 관계없이 "흑인 정체성" 또는 "소울"을 정의하는 중요한 요소로 자리 잡았다.[20] 이러한 요리 스타일은 매년 6월 "전국 소울 푸드의 달"로 기념되고 있다.[21]

제1차 세계 대전과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유럽과 아시아에서 영업을 시작한 아프리카계 미국인 군인들이 운영하는 소울 푸드 레스토랑


소울 푸드의 세계적인 확산은 제1차 세계 대전제2차 세계 대전을 계기로 본격화되었다. 수많은 흑인 미국인들이 군인과 간호사로 참전했으며, 전쟁 후 일부는 미국의 짐 크로 법에 따른 인종 차별과 린치의 위협 등을 피해 해외에 남는 길을 선택했다. 이들은 유럽, 한국, 베트남, 태국, 일본 등지에 정착하여 소울 푸드 레스토랑을 열었고, 이를 통해 현지인들에게 아프리카계 미국인 요리를 소개했다.[148]

초기에는 주로 현지 미군 기지에 복무하는 아프리카계 미국인들을 대상으로 했으나, 점차 현지인들에게도 알려지기 시작했다. 특히 미군이 주둔했던 프랑스, 독일, 일본, 베트남, 태국 등지에서는 닭고기, 생선, 채소, 오크라, 돼지고기, 고구마 등 현지에서도 비슷한 식재료를 쉽게 구할 수 있어 소울 푸드 레스토랑 운영에 유리한 환경이었다.[148] 오늘날 아프리카계 미국인 인구가 많은 대도시에서는 저렴한 프라이드 치킨이나 생선튀김 전문점부터 고급 레스토랑까지 다양한 형태의 소울 푸드 식당을 찾아볼 수 있다.[263]

2. 4. 민권 운동과 소울 푸드

바지 비 카페(The Busy Bee Café)는 민권 운동 지도자 마틴 루터 킹 주니어가 자주 찾던 소울 푸드 레스토랑이다.






뉴욕 할렘에 있는 전설적인 소울 푸드 레스토랑 실비아(Sylvia's)의 직원들




미국 흑인의 역사 요리책




민권 운동 시기, 소울 푸드 레스토랑은 단순한 식당 이상의 의미를 가졌다. 이곳은 민권 운동 지도자와 활동가들이 모여 시위를 논의하고 사회적, 정치적 변화를 위한 전략을 세우는 중요한 장소였다.[161]

애틀랜타의 파스칼 레스토랑(Paschal's Restaurant)은 몽고메리의 조지아 길모어(Georgia Gilmore)의 식당처럼 민권 운동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마틴 루터 킹 주니어는 몽고메리에서 애틀랜타로 돌아온 후, 동료들과 손님들이 파스칼 레스토랑에서 식사하고, 회의하며, 계획을 세울 수 있도록 허락받았다.[162] 애틀랜타 역사 센터는 "애틀랜타 민권 운동 전반에 걸쳐 소울 푸드 레스토랑은 민권 지도자들이 모여 대화하고 전략을 세울 수 있는 변화의 중심지였으며, 공포와 폭력의 시대에 이곳은 지도자들이 다음 전술적 행동을 계획할 수 있는 피난처였다"고 평가했다.[163] 웨스트헌터 스트리트(West Hunter Street, 현 마틴 루터 킹 주니어 드라이브)에는 파스칼 레스토랑을 비롯한 여러 소울 푸드 레스토랑이 밀집해 있었는데, 이는 짐 크로 법이 아프리카계 미국인들의 사업 지역을 제한했기 때문이다. 1950년대와 1960년대에 앤드류 영, 존 루이스, 마틴 루터 킹 주니어, 줄리안 본드, 애덤 클레이턴 파월 주니어, 제시 잭슨과 같은 민권 운동의 상징적인 인물들이 이곳을 자주 찾아 밤늦도록 민권 전략과 정치에 대해 논의했다.[163][164]

1963년 워싱턴 D.C.에서 열린 일자리와 자유를 위한 워싱턴 대행진 며칠 전, 마틴 루터 킹 주니어는 링컨 기념관 계단에서 ''나는 꿈이 있습니다'' 연설을 한 날, 플로리다 애비뉴 그릴(Florida Avenue Grill)이라는 소울 푸드 레스토랑에서 식사를 했다. 다른 민권 지도자와 활동가들도 이곳에서 만나 운동 계획을 세웠다. 킹 목사는 1968년 4월 4일 테네시주 멤피스의 로레인 모텔에서 암살당하기 전, 포 웨이(Four Way) 레스토랑에서 튀긴 메기와 레몬 아이스박스 파이를 먹었다. 그는 민권 운동 기간 동안 여러 소울 푸드 레스토랑을 방문하여 식사하고 다른 지도자들을 만났다.[165] 킹 목사 암살 후 워싱턴 D.C. 폭동이 발생했을 때, 학생 비폭력 조정 위원회(SNCC)의 지도자 스토클리 카마이클벤스 칠리 볼(Ben's Chili Bowl) 레스토랑 주인에게 폭동 진압을 위해 경찰, 학생 운동가, 소방관에게 음식을 제공하도록 문을 열어달라고 요청했다.[166]

호크스트라(Hoekstra)와 칸(Khan)은 저서 ''The People's Place: Soul Food Restaurants and Reminiscences from the Civil Rights Era to Today''에서 소울 푸드 레스토랑이 짐 크로 시대의 어려움 속에서 공동체와 가족을 하나로 묶는 장소였으며, 일부 레스토랑은 백인과 흑인이 함께 식사할 수 있도록 허용함으로써 인종 차별 법률에 맞서는 데 기여했다고 평가했다.[166] 애틀랜타에서 가장 오래된 흑인 소유 레스토랑 중 하나인 에블린 존스 카페(Evelyn Jones Cafe, 이후 프레이저스 카페 소사이어티(Frazier's Cafe Society)로 변경)는 짐 크로 법에 도전하여 백인과 흑인 모두에게 식사를 제공한 웨스트헌터 스트리트 최초의 인종 통합 레스토랑이었으며, 민권 지도자들의 모임 장소이기도 했다.[168][169] 1964년 민권법 통과 이전에 이미 여러 소울 푸드 레스토랑이 인종 차별 없이 모든 고객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며 변화를 이끌었다.[171][172]

앨라배마주 몽고메리에서도 마사스 플레이스(Martha's Place), 크리스 핫도그(Chris' Hotdogs)와 같은 소울 푸드 레스토랑은 시위대에게 안전한 피난처이자 식사와 휴식, 조직의 공간을 제공했다. 브렌다스 BBQ(Brenda's BBQ)의 소유주 제럴린(Jereline)과 래리 제임스 베튠(Larry James Bethune) 부부는 문해력 테스트 등으로 투표권을 제한받던 아프리카계 미국인들에게 투표 등록 방법과 투표용지 읽는 법을 가르쳤다. 이들은 민권 운동가들에게 도덕적, 재정적 지원을 아끼지 않았으며, 운동 홍보물 인쇄를 돕고 레스토랑 뒤편에서 비밀 회의를 열 수 있도록 허용했다.[167] 민권 운동가 조지아 길모어가 운영했던 노웨어 클럽(Club from Nowhere)은 몽고메리 버스 보이콧 기간 동안 지도자들에게 음식을 제공했으며, 그녀의 소울 푸드는 마틴 루터 킹 주니어가 특히 좋아했던 음식으로 알려져 있다.[170]

짐 크로 법 시대에는 흑인 미국인들이 남부 지역을 여행하는 것이 매우 위험했다. 백인 우월주의자들의 폭력에 노출될 위험이 있었기 때문에 음식, 주유, 숙박 시설을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는 장소를 아는 것이 중요했다. 1936년, 뉴욕 할렘의 아프리카계 미국인 우편 배달부 빅터 휴고 그린은 흑인 여행객들을 위해 ''그린 북''(The Negro Motorist Green Book)을 발간했다. 이 책에는 아프리카계 미국인들이 안전하게 식사할 수 있는 피난처였던 여러 소울 푸드 레스토랑이 등재되었다. 1954년에 문을 연 스웨츠(Swett's)도 그린 북에 포함된 레스토랑 중 하나였다.[173][174] 또한, 블루스재즈 시대의 흑인 음악가들이 공연 후 안전하게 식사하고 교류할 수 있었던 흑인 소유 나이트클럽들은 치틀린 서킷(Chitlin' Circuit)이라고 불렸는데, 이는 소울 푸드의 대표적인 메뉴인 치틀링에서 유래한 이름이다.[158][159][160]

흑인 교회(아프리카계 미국인 교회) 역시 음식과 예배 장소를 제공하며 흑인 공동체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PBS 연구에 따르면, 흑인 교회는 노예제와 민권 운동 시기 동안 중요한 모임 장소였으며, 치킨 앤 덤플링, 블랙아이피스 앤 라이스, 레드 드링크, 튀긴 메기와 스파게티 같은 고전적인 흑인 미국 교회 요리를 함께 나누는 공동체의 중심이었다.[175] 아프리카계 미국인 목사이자 역사 교수인 크리스 카터(Chris Carter)는 그의 저서 ''The Spirit of Soul Food: Race, Faith, and Food Justice''(2021)에서 소울 푸드가 흑인 공동체의 음식 접근성 부족 문제와 싸우는 역할을 했다고 주장한다. 빈곤 속에 사는 흑인 미국인들을 위해 흑인 교회가 주중과 일요일에 음식을 제공하며 공동체를 지탱했다는 것이다.[176]

민권 운동 이후, 소울 푸드와 아프리카계 미국인 음식 문화를 조명하는 많은 요리책들이 출판되었다. 에드나 루이스는 1972년부터 2003년까지 ''A Taste of Country Cooking''을 포함한 여러 권의 책을 통해 버지니아주 프리타운에서의 어린 시절 추억과 함께 "진정한 남부 음식" 레시피를 소개했다.[177][178] 버타메이 그로브너의 ''바이브레이션 쿠킹, 또는 기치 걸의 여행 노트''(1970)는 사우스캐롤라이나 로우컨트리/기치/굴라 요리에 초점을 맞추며, 정확한 계량 대신 "바이브레이션(느낌)"으로 요리하고 주어진 재료로 즉흥적으로 대처하는 전통적인 아프리카계 미국인 요리 방식을 강조하여 베스트셀러가 되었다.[179]

미국 흑인 여성 전국위원회(NCNW)와 같은 여러 단체들은 운영 자금 마련과 자선 활동을 위해 요리책을 제작했다.[180][181] NCNW는 1958년 ''미국 흑인의 역사 요리책''(The Historical Cookbook of the American Negro)을 처음 출판했고, 1993년부터는 유명 흑인 미국인들의 레시피를 담은 ''The Black Family Reunion Cookbook''(1991), ''Celebrating Our Mothers' Kitchens''(1994), ''Mother Africa's Table''(1998) 등 인기 시리즈를 출간하며 최근에는 ''역사 요리책''을 재발행했다.[182][183][184]

요리 역사가 제시카 B. 해리스는 ''하이 온 더 호그''(High on the Hog, 2011)에서 아프리카계 미국인 요리의 기원과 발전을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뿌리에서부터 추적했다. 노예와 자유 아프리카계 미국인들은 북미 토착 식재료를 받아들이면서도 아프리카식 조리법과 양념을 사용하여 서아프리카 및 중앙아프리카와 유사한 방식으로 요리했다.[185] 이 책은 2021년 넷플릭스에서 ''하이 온 더 호그: 아프리카계 미국인 요리가 미국을 어떻게 변화시켰는가''라는 다큐멘터리 시리즈로 제작되기도 했다.[186] 마이클 트위티 역시 ''요리 유전자: 미국 남부의 아프리카계 미국인 요리 역사를 통한 여정''(The Cooking Gene, 2018)을 통해 미국 남부 흑인 공동체에서 소울 푸드의 역사와 발전을 탐구했다.[190][191]

오늘날에도 많은 흑인 요리사들이 소울 푸드의 전통을 계승하고 발전시키고 있다. 굴라 기치 요리사 에밀리 메겟은 2022년 굴라 요리에 대한 책 ''Gullah Geechee Home Cooking: Recipes from the Matriarch of Edisto Island''를 출판했으며,[192][193] 벤자민 데니스 4세는 굴라 및 아프리카계 미국인 요리의 기원과 서아프리카 요리의 영향을 교육하고 있다.[195][196] 마샤마 베일리는 조지아주 사바나의 레스토랑 '더 그레이'(The Grey)에서 아프리카 디아스포라 음식과 미국 남부 요리를 융합한 메뉴를 선보이며,[197][198] 애슐리 샨티는 노스캐롤라이나주 애슈빌에서 흑인 애팔래치아 요리와 문화를 알리는 레스토랑 '굿 핫 피시'(Good Hot Fish)를 운영하고 있다.[199][200] 텔레비전 인물이자 요리책 ''Carla Hall's Soul Food''의 저자인 칼라 홀은 아프리카계 미국인 역사와 문화 국립 박물관의 스위트 홈 카페(Sweet Home Cafe) 요리 대사로 활동하며 소울 푸드를 알리고 있다.[201][202] 2024년에는 라키샤 해리스(Lakisha Harris)가 미국 요리 연맹(ACF) 전국 컨벤션에서 'Culinary Freedom of the Soul'이라는 제목으로 소울 푸드에 대해 발표한 최초의 흑인 여성이 되었다.[194]

3. 소울 푸드의 기록



대서양 노예 무역 시대 동안, 아프리카에서 강제로 끌려온 노예들은 노예선에서 고향의 음식을 먹었다. 여기에는 아프리카산 (''Oryza glaberrima''), 기장, 오크라, 검은콩, , 그리고 콩과식물인 강낭콩과 리마콩 등이 포함되었다. 이 작물들은 북아메리카로 옮겨져 남부 요리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게 되었다.[23][24] 한 노예선 생존자는 아프리카에서 사우스캐롤라이나주 찰스턴의 가즈던 부두로 가는 끔찍한 항해 동안 오직 얌만 먹었다고 회상했다.[25] 노예선에는 갑판 아래 쇠사슬에 묶인 노예들에게 먹일 아프리카 채소, 과일, 동물이 실려 있었다. 이 식품들은 나중에 신대륙에 심어져 식량과 수출 작물로 활용되었다. 아메리카 요리에 큰 영향을 미친 아프리카 식물의 도입은 콜럼버스 교환의 일부로 간주된다.[26][27] 머서 대학교 도서관 연구진은 "아메리카로 가져온 음식은 특정한 이유가 있었다. 첫째, 수확 후 오랫동안 보관할 수 있어 아프리카에서 출발하는 느린 항해에 적합했다. 둘째, 미국 남부에서 잘 자라는 식물이었기에, 노예들이 농장주로부터 할당받은 작은 정원에 심으면 잘 자랐다"고 설명했다.[28] 벼, 오크라, 기장 씨앗이 북아메리카에 전래된 또 다른 경로는, 노예선에 탄 아프리카 여성들이 불확실한 미래에 대비하여 땋은 머리카락 속에 씨앗을 숨겨 온 것이었다.[29][30]

기니포울(기니닭)은 아프리카 원산의 새로, 노예 무역을 통해 아메리카 대륙으로 들어왔다. 16세기 초 스페인인들이 카리브해를 거쳐 현재 미국 남부 지역에 기니포울을 소개했다. 이 새는 노예로 끌려온 아프리카계 미국인들에게 중요한 단백질 공급원이 되었고, 점차 남부 전체의 식문화 일부로 자리 잡았다.[25] 미국 농장의 노예들은 기니포울의 알을 먹었으며, 서중앙 아프리카 조상들처럼 쌀과 함께 고기를 요리했다. 남부의 노예들은 서아프리카와 중앙아프리카에서 유래한 기니포울과 식물성 식재료를 사용하여 전통적인 요리를 계속 만들었다. 그들은 유럽과 아메리카 원주민의 음식과 조리법을 받아들여 새로운 요리법을 창조했고, 이는 흑인 가정 내에서 구전으로 전해지다가 미국 남북 전쟁 이후 아프리카계 미국인 요리책에 기록되기 시작했다.[31][32][33]

소울 푸드 레시피는 노예제 이전 서아프리카 요리유럽 요리가 미국 남부의 환경에 맞게 변형된 영향을 받았다.[3][34] 소울 푸드는 노예제 시대 미국 남부 시골 지역, 특히 "딥 사우스"의 가정 요리에서 유래했으며, 주변에서 쉽게 구하거나 직접 기른 식재료와 저렴한 재료들을 활용했다.[35][36] 고기를 얻기 위해 토끼, 다람쥐, 사슴 등을 사냥했으며, 민물, 바닷물, 습지에서는 생선, 개구리, 가재, 거북이, 조개류, 게 등을 채취했다.[37][38] 소울 푸드는 노예들이 농장주로부터 받은 음식, 즉 백인 농장주들이 먹지 않고 버리는 햄의 끝부분(햄 호크), 돼지 턱살, 족발, 귀, 껍질, 내장 등 '덜 선호되는' 부위를 활용하는 법을 배우면서 시작되었다.[39][40] 최소한의 재료로 풍성한 식사를 만들어낸 노예들의 지혜와 창의성이 소울 푸드를 탄생시킨 것이다.[41] 노예들은 서중앙 아프리카의 요리 지식에 아메리카 원주민과 유럽인들로부터 배운 기술을 결합하여 소울 푸드를 발전시켰다.[42][9]

돼지고기와 옥수수는 노예 소유주와 노예 모두에게 미국 남부의 주요 식량이었다. 소울 푸드의 많은 핵심 요리는 가난한 남부 자급자족 농민들의 제한된 식량에서 비롯되었으며, 이는 노예들에게 제공되는 배급품에도 반영되었다. 노예들은 보통 일주일에 1펙크의 옥수수 가루와 약 1.36kg~약 1.81kg의 돼지고기를 배급받았는데, 이것이 아프리카계 미국인 소울 푸드의 기반을 이루었다.[43] 대부분의 노예는 농장일이나 고된 육체노동으로 소모된 칼로리를 보충하기 위해 고칼로리 식단이 필요했다.[206] 노예 소유주들이 훈제 햄이나 옥수수 푸딩 같은 부위를 즐기는 동안, 노예들에게는 내장 등이 남겨졌다.[44][45] 농장주의 "큰 집(big house)"에서 요리하고 남은 음식 찌꺼기는 노예들에 의해 ''"주바"(Juba)''라고 불렸다. 이는 일요일에 노예들이 먹도록 여물통 같은 곳에 담아두기도 했다. "주바"라는 용어는 여러 아프리카 언어에서 발견되며, 초기에는 음식의 "작은 조각"이나 "남은 것"을 의미했을 것으로 추정된다.[46][47]

고고학 및 역사 연구에 따르면, 미국 남부의 노예 오두막 유적에서는 식기류나 접시보다 그릇이 더 많이 발견된다. 이는 노예들이 주로 스튜나 "검보" 형태의 음식을 만들어 먹었음을 시사한다. 그들은 주변에서 채취한 재료, 직접 기른 채소, 그리고 농장주가 버린 동물 부속 등을 활용했다. 이 과정에서 노예들은 자신들이 직접 만든 매운 소스를 사용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맛을 내고 향신료를 첨가하며 새로운 요리를 창조했다. 반면, 백인 농장주 가족들은 접시와 식기류를 더 자주 사용했는데, 이는 노예들이 만든 스튜와 달리 고기와 채소를 분리하여 먹었음을 보여준다. 대서양 연안 농장에 살았던 노예들은 해산물을 쉽게 구할 수 있어 더 다양한 식단을 가질 수 있었다.[48]

노예 시대 사우스캐롤라이나와 조지아의 로우컨트리 지역에 살았던 굴라족은 서아프리카에서 유래한 어업 기술을 실천했으며,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의 것과 유사한 카누를 만들어 사용했다. 굴라족은 어업 전통을 후대에 전수하고, 지역 재료를 사용하여 생선 요리를 만들었으며, 이는 오늘날까지 굴라 문화의 중요한 일부로 남아있다. 에이미 린 영(Amy Lynne Young)의 루이지애나 메리 플랜테이션 연구는 내륙 노예와 해안 노예의 식습관 차이를 보여준다. 해안 지역, 특히 해안선이나 해안 섬에 거주하는 노예 가족들은 육지 동물과 바다 동물의 다양한 고기를 접할 수 있었다. 반면 내륙 노예들은 토끼나 다람쥐 같은 사냥감, 농장 닭, 돼지, 그리고 남은 동물 부속 등으로 고기 선택이 제한되었다. 채소는 주변에서 채집하거나 작은 텃밭에서 길렀다. 영은 해안가 노예들이 내륙 노예들보다 더 다양한 식단을 가졌다고 지적하며, 이는 지역 재료에 기반한 소울 푸드의 지역적 다양성을 보여준다.[49][50][51]

프레더릭 더글러스는 자서전에서 메릴랜드 동부 해안 촙탱크 강 근처에 살던 노예들이 농장주로부터 최소한의 음식만 받았기 때문에, 식단을 보충하기 위해 물고기, 거북이, 뱀장어 등을 잡았다고 기록했다. 더글러스는 "남녀 노예들은 매달 음식 배급으로 약 3.63kg의 돼지고기 또는 그에 상응하는 양의 생선, 그리고 1USbu의 옥수수 가루를 받았다"고 썼다. 그들은 또한 옥수수, 감자, 완두콩, 콩, 허브, 멜론 등을 재배하는 채소밭을 가꾸어 식단을 보충했지만, 음식을 요리할 지방이나 식용유는 부족했다.[52][53] 메릴랜드주 도체스터 군의 노예 소유주들은 노예들에게 거의 음식을 주지 않았다. 열악한 식단을 보충하기 위해 도체스터의 노예들은 촙탱크 강에서 물고기를 잡고 육지에서 사냥을 했다. 그들이 식량으로 잡은 동물에는 토끼, 거북이, 오리, 거위, 칠면조, 비둘기, 딱따구리, 주머니쥐, 너구리, 스컹크, 사슴, 사향쥐 등이 포함되었다. 그들은 정원에서 재배한 오크라, 옥수수, 잎채소, 고구마와 같은 채소를 요리했다. 이러한 다양한 식량 자원을 활용하여 노예들은 식사를 만들었다.[54]

메릴랜드 세인트메리 군 도서관 연구진은 아프리카계 미국인들의 사향쥐 요리법을 기록했다: "동물의 껍질을 벗기고 해체한다. 소금물이나 식초물에 2시간 담근다. 물을 넣은 팬에 넣고 약간 부드러워질 때까지 삶지만 완전히 익히지는 않는다. 소금, 후추로 간을 한 밀가루를 묻혀 기름에 노릇하게 튀긴다." 세인트메리 군의 흑인 미국인들은 노예 시대에 이러한 요리법을 만들어 가족들에게 구전으로 전수했다.[55] 볼티모어와 메릴랜드 체사피크 만 지역의 노예와 자유 흑인들은 해산물 요리에 매운맛과 풍미를 더하기 위해 정원에서 피쉬 페퍼를 재배했다.[56][57][58] 노예 해방 이후 많은 아프리카계 미국인들이 해산물 산업에 종사하게 되었다. 1864년까지 메릴랜드의 모든 뱃사람의 거의 절반이 과거 노예 출신이었다. 그들은 새우잡이, 굴 채취, 낚시 기술을 익혔다.[59] 남북 전쟁 중 메릴랜드의 일부 노예들은 응유, 생선, 옥수수빵을 먹었다.[60] 전쟁 후 메릴랜드는 게잡이 산업으로 유명해졌고, 메릴랜드식 튀김 게 케이크는 소울 푸드의 일부가 되었다.[61]

버지니아의 노예 어부들은 가족과 공동체를 먹이기 위해 생선을 잡았다. ''버지니아 백과사전''은 자유 흑인과 노예 흑인 어부들의 역사를 언급하며, "노예들은 또한 백인들이 기피하는 생선, 예를 들어 붉은 살 때문에 '흑인들의 음식으로만 여겨졌던' 가아피시나, 백인들이 '훌륭하다'고 여긴 흰 메기보다 덜 선호했던 검은 메기를 받았다. 노예들은 또한 자신의 시간을 활용하여 배급을 보충하기 위해 낚시를 했다"고 설명한다.[62][63] 버지니아에 있는 조지 워싱턴의 농장 마운트 버넌에서 노예 요리사들은 워싱턴 가족을 위해 옥수수 가루 팬케이크("호 케이크"), 개별 고기 부위, 양념한 채소 요리를 준비했지만, 정작 노예들은 주로 옥수수 가루와 소금에 절인 생선을 먹었다.[64]

버지니아 노예들의 식단에는 일반적으로 농장 동물의 고기, 채소, 블랙베리, 호두, 해산물 등이 포함되었다. 버지니아주 프랭클린 카운티에 있는 버로우 농장에 대한 국립공원관리청의 역사 연구에 따르면, 노예들은 아침 식사로 옥수수빵, 돼지고기, 닭고기, 고구마, 삶은 옥수수를 먹었다. 해안가 노예들은 과 다른 해산물을 먹었다. 1856년 버지니아 프랭클린 카운티에서 노예로 태어난 부커 T. 워싱턴은 그의 자서전 ''나의 인생과 업적 그리고 노예에서 벗어나기''에서 어린 시절 노예로서 먹었던 음식에 대해 묘사했다. 워싱턴의 어머니는 백인 가족을 위해 식사를 준비하는 노예 농장 요리사였다.[65]

부커 T. 워싱턴의 어머니는 벽난로나 프라이팬, 냄비를 이용해 요리했다. 워싱턴과 그의 어머니, 형제들은 냄비나 프라이팬에서 직접 음식을 먹었지만, 백인 가족들은 포크와 수저를 사용해 접시에 담아 먹었다. 그의 어머니는 주변에서 구할 수 있는 고기, 채소, 견과류, 베리 등을 이용해 한 냄비 요리를 가족을 위해 준비했는데, 모든 재료를 냄비에 넣어 스튜를 만들었다. 이러한 요리 방식은 서아프리카에서 여전히 행해지며, 미국 남부의 노예 가족들에게도 이어졌다.[66] 버로우 농장의 노예들은 스튜를 만들 수 있는 다양한 채소를 가지고 있었다: "아스파라거스, 비트, 콩, 검은 눈 완두콩, 당근, 양배추, 오이, 완두콩, 감자, 케일, 상추, 리마 콩, 머스크멜론, 오크라, 양파, 고추, 무, 토마토, 순무, 수박은 봄부터 가을까지 심고, 익고, 수확될 것이다".[65]

챔버스(Chambers)의 연구에 따르면, 이보족 아프리카인들은 버지니아 흑인 미국인들의 식습관에 영향을 미쳤다. 노예 무역 시기 동안 약 3만 명의 이보족 사람들이 이보 랜드에서 버지니아로 끌려왔다. 서아프리카의 이보족은 고구마, 오크라, 가금류, 염소를 먹고 낚시를 통해 식량을 얻었다. 오크라, 고구마, 검은 눈 완두콩 등 아프리카 음식들이 버지니아로 전해졌고, 노예가 된 이보 사람들은 이 음식들을 요리하고 한 냄비 식사인 스튜를 준비했다. 노예들은 체사피크 만에서 낚시를 하여 해산물 요리를 준비했다. 버지니아 근처의 개울과 강에서는 메기, 가재, 농어, 청어, 거북이 등을 잡아먹었다.[67][68] 버지니아의 백인 농장주들은 노예들에게 거의 음식을 제공하지 않았다. 식단을 보충하기 위해 노예들은 사냥, 낚시, 채집 등 이보족의 방식에 의존했고, 이보 문화의 영향을 받은 식사를 준비했다. 챔버스는 "노예 소유주들은 노예들에게 인색하여 생계를 위해 그들 자신의 자원에 의존하게 만들었다. 18세기와 19세기에 주인들은 노예들에게 가장 필수적인 것만 제공했다. 주간 또는 월간 배급은 소금에 절인 생선 및/또는 돼지고기, 옥수수 또는 옥수수 가루, 소금, 그리고 아마도 당밀로 구성되었다. 가장 큰 농장 소유주들은 일반적으로 소금에 절인 청어뿐만 아니라 훈제 돼지고기와 옥수수를 나누어 주었는데, 노예들은 이것을 으깨서 콩과 섞어 삶아서 호미니를 만들었다"고 썼다.[69]

허큘리스 포시와 제임스 헤밍스와 같은 일부 노예 요리사들은 뛰어난 요리 기술 덕분에 어느 정도의 자율성을 누렸다. 허큘리스 포시는 버지니아 마운트 버넌에서 조지 워싱턴의 노예 요리사였다. 포시의 요리는 백인 상류층 사이에서 매우 인기가 높아, 그는 집 밖으로 나가 남은 음식을 팔아 돈을 벌 수 있는 준(準)자유를 얻었다. 역사가들에 따르면 포시가 만든 요리는 서아프리카, 유럽, 아메리카 원주민의 식문화 영향을 받았다. 그는 푸딩, 젤리와 함께 송아지 고기, 로스트 비프, 오리 요리를 만들었는데, 다른 요리사들과 조리법 자체는 비슷했을 수 있으나 자신만의 소스와 풍미를 창조했다. 포시는 공식적으로 자유를 얻지 못했고 결국 탈출하여 노예 신분에서 벗어났다.[70][71] 제임스 헤밍스(샐리 헤밍스의 오빠)는 식민지 버지니아에서 노예로 태어나 토마스 제퍼슨의 수석 요리사였다. 헤밍스는 아프리카, 프랑스, 아메리카 원주민의 음식 전통을 융합했다. 노예 신분이었지만 헤밍스는 제퍼슨과 함께 프랑스 파리로 가서 프랑스 요리사들에게 훈련을 받고 마카로니 파이(오늘날의 마카로니 앤 치즈) 만드는 법을 배웠다. 헤밍스는 미국에 마카로니 앤 치즈를 소개하고 유행시켰으며, 이는 나중에 흑인 공동체의 소울 푸드에서 흔한 곁들임 요리가 되었다.[72][73]

참깨는 아프리카 작물로, 노예 무역을 통해 1730년 사우스캐롤라이나에 전래되었다. 토마스 제퍼슨은 노예들이 참깨를 사용하여 스튜를 만들고, 빵을 굽고, 채소를 삶고, 푸딩을 만들었다고 기록했다. 노예들은 참깨를 날것으로 먹거나, 굽거나, 삶아서 먹었다. 참깨는 식민지 시대 미국에서 구운 빵의 재료로 사용되었으며, 오늘날에도 여전히 사용된다.[23]

일부 노예들은 정원에서 허브를 재배하여 음식에 풍미를 더했다.[74] 토기나 철제 냄비(콜로노웨어, colonoware)에 음식을 넣고 삶거나 끓이는 것도 흔한 조리법이었다.[75] 소금은 고기를 며칠 동안 보존하는 데 사용되었다.[76] 음식과 음료를 달게 하기 위해 노예들은 당밀을 사용했다. 그들은 또한 사탕수수 즙을 천천히 끓여 매우 진하고 풍미가 깊은 블랙스트랩 당밀(blackstrap molasses)을 만들었다. 당밀과 유사한 수수 시럽(sorghum syrup)도 노예들이 만들고 사용한 감미료였는데, 이는 수수 줄기의 즙을 끓여 만들었다. 수수 씨앗은 대서양 노예 무역을 통해 서아프리카에서 왔으며, 신세계 농장의 노예들이 재배하여 달콤한 소스를 만드는 데 사용했다.[77][78]

머서 대학교 학자들의 연구에 따르면, 백인 농장 가족들은 처음에는 노예들이 준비한 아프리카 음식을 먹기를 거부했지만, 많은 농장 부엌에서 아프리카계 여성 노예들이 주요 요리사였다. 이 여성들은 자녀들에게 요리 기술에 대한 문화적 지식을 전수했다. 나이 든 노예 여성들은 위협적이지 않고, 지식이 풍부하며, 요리에 능숙하다는 이유로 백인 농장 가족들이 요리사로 선호했다. 부엌에서 보내는 시간은 노예 어머니들이 자녀들과 유대감을 형성하고 삶, 문화, 식습관에 대해 가르칠 수 있는 시간이었다. 아프리카 사회와 노예제 시대에는 여성이 주요 요리사였다. 부엌에서 그리고 어머니로서의 노예 흑인 여성의 역할은 그들을 맘미로 묘사하는 인종차별적 고정관념으로 이어졌다.[79][80]

노예 이야기는 음식을 요리하고, 가열하고, 양념하는 아프리카 방식이 계속되었음을 보여준다. 노예들은 아프리카의 전통적인 요리 방법인 불구덩이에서 나온 재를 사용하여 음식을 굽고 가열했다. 이 방법은 남북 전쟁 이전 남부의 흑인 가족들에게 구전으로 전해졌으며, 노예 이야기는 노예들이 이런 방식으로 음식을 요리했다는 것을 설명한다. "재"라는 단어는 이렇게 준비된 음식의 이름에 덧붙여졌는데, 예를 들어 "재 케이크(ash cake)"와 "재 구운 감자(ash roasted potato)"와 같다. 노예들은 음식을 직접 뜨거운 재나 숯 위에 놓고 굽거나 구웠다. 뜨거운 재나 숯 위에 냄비와 프라이팬을 놓고 음식을 요리하기도 했다. 일부 노예들은 뜨거운 재 위에 놓인 잎 위에 음식을 놓고 가열하거나 요리했다. 아칸소 출신의 전 노예 베티 커릿은 감자를 뜨거운 재 위에서 굽는 것을 이렇게 말했다. "그들은 식사 한두 번에 콩 한솥을 삶고, 냄비 주변의 재 속에서 감자를 구웠다."[81]

일부 노예들은 노예 소유주로부터 충분한 음식을 받지 못했고, 일부 노예는 굶주렸고 결과적으로 영양실조에 걸렸다. 집 노예와 들 노예의 식단은 달랐다. 집 노예들은 닭고기, 칠면조, 생선과 같은 고기에서 개별적으로 잘라낸 남은 음식과 파이, 양념한 채소를 먹었다. 들판에서 일하는 노예들은 남은 동물 찌꺼기, 내장, 그리고 그들이 환경에서 찾을 수 있는 음식을 먹었다. 일부 들 노예들은 거의 규칙적인 든든한 식사를 하지 못했다. 1972년에 출판된 역사가 존 블래싱게임의 책 ''노예 공동체: 남북 전쟁 이전 남부의 농장 생활''은 노예 이야기 모음에서 연구되었다. 블래싱게임의 연구에 따르면 일부 노예들은 최소한의 음식만 받았고, 사냥, 낚시, 음식을 찾아 헤매면서 식단을 보충해야 했다.[82][83] 루이지애나 노예 기록에 따르면 노예들은 불충분한 음식과 과도한 노동 때문에 도망쳤다. 생존하기 위해 노예들은 노예 소유주로부터 음식을 훔쳤고, 근처 농장의 소를 죽였고, 사냥과 낚시를 했다.[84]

국립 공원 관리청과 조지 에스타브룩 교수의 연구에 따르면 노예들은 "검은 눈 완두콩, 순무잎, 돼지기름을 한 솥에 삶아서 집에서 갈은 옥수수로 만든 죽과 함께 제공함으로써 식단 요구 사항과 식욕을 모두 충족시키는 식사를 만들었다"고 한다. 검은 눈 완두콩은 단백질 공급원이었고, 잎채소는 섬유질과 비타민 C와 A를 제공했다.[85] 솥에 채소를 삶으면 남북 전쟁 이전 시대에 노예들이 건강을 유지하기 위해 섭취했던 비타민이 풍부한 음료인 솥물(pot liquor)이 생겼다. 백인 농장주들은 노예들이 준비한 채소를 먹고, 노예들이 마시도록 녹색 액체(육수)를 남겼는데, 영양분이 육수에 있다는 것을 깨닫지 못했다. 솥물(potlikker라고도 함)에는 비타민 A, 비타민 C, 비타민 K, 철분이 들어 있다. 노예들과 그 후손들은 솥물을 사용하여 치유법을 만들었다.[86][87][88][89] 노예 정원은 노예 공동체에서 중요했는데, 노예 소유주들이 충분한 음식을 제공하지 않았기 때문에 노예들의 영양 결핍 식단을 보충했다.[90][91][92] 노예 소유주들은 노예들이 정원에서 음식을 재배하도록 허용했는데, 이는 노예 소유주들이 돈을 절약할 수 있게 해주었고, 노예들을 위해 음식을 사지 않을 변명거리를 주었다. 일부 노예 소유주들은 노예들에게 스스로 음식을 재배할 씨앗을 제공했다. 노예들은 또한 자신들이 재배한 음식을 노예 소유주들에게 팔아 돈을 벌었다.[93]

돼지창자 요리(chitlins

4. 소울 푸드의 재료와 요리

소울 푸드의 재료와 요리법은 노예 제도라는 혹독한 환경 속에서 아프리카계 미국인들이 생존을 위해 자신들의 문화적 유산과 주변 환경을 창의적으로 결합시킨 결과물이다.[3][34][35][36] 그 뿌리는 서아프리카, 유럽, 그리고 아메리카 원주민의 식문화가 미국 남부의 환경에 맞게 변형되고 융합된 데 있다.[3][34]

대서양 노예 무역 과정에서 아프리카 대륙의 다양한 식재료들이 아메리카 대륙으로 전해졌다. 노예선에서 노예들에게 제공되었던 아프리카 쌀, 기장, 오크라, 검은콩, 얌, 콩류(강낭콩, 리마콩), 서인도산 적색 완두콩 등은 이후 미국 남부 요리의 중요한 재료가 되었다.[23][24][22] 이러한 작물들은 생존력이 강해 오랜 항해와 새로운 환경에서도 잘 자랐으며[28], 일부 아프리카 여성들은 머리카락 속에 씨앗을 숨겨 들여오기도 했다.[29][30] 아프리카 원산의 기니포울 역시 노예 무역을 통해 유입되어 중요한 단백질 공급원이 되었다.[25] 1730년대 사우스캐롤라이나에 들어온 참깨는 스튜, 빵, 푸딩 등 다양한 요리에 활용되었다.[23]

아메리카 원주민의 식문화 또한 소울 푸드 형성에 큰 영향을 미쳤다. 남동부 원주민 문화에서 유래한 옥수수옥수수빵, 그릿, 호미니 등 다양한 형태로 소울 푸드의 핵심 식재료가 되었다.[221] 수코타시(옥수수, 콩, 토마토 등을 섞어 끓인 요리), 호박, , 야생 베리, 메이플 시럽 등도 원주민의 영향으로 소울 푸드에 흡수된 재료들이다.[228][224]

노예들은 농장주로부터 극히 제한된 식량(주로 옥수수 가루와 돼지고기)만을 배급받았기 때문에[43], 생존을 위해 다양한 방법을 동원해야 했다. 농장주들이 먹지 않고 버리는 돼지의 내장, 턱살, 발, 귀, 껍질 등[39][40]이나 사냥을 통해 얻은 토끼, 다람쥐, 주머니쥐, 사향쥐[54], 강이나 습지에서 잡은 생선, 개구리, 가재, 거북, 조개, 등이 중요한 식재료가 되었다.[37][38][52][62] 또한 노예들은 작은 텃밭(노예 정원)을 가꾸어 잎채소, 고구마, 오크라 등을 직접 재배하여 부족한 식단을 보충했다.[90][91][92][93]

조리법에서는 서아프리카 요리의 영향이 두드러진다. 재료들을 한 솥에 넣고 푹 끓이는 스튜 방식[48], 라드나 기름에 튀기는 방식[104], 불구덩이의 재를 이용해 굽는 방식[81], 바비큐[108] 등이 아프리카에서 유래했거나 영향을 받았다. 특히 채소를 삶고 남은 영양가 높은 국물인 솥물(Potlikker)을 버리지 않고 마시거나 활용하는 지혜[86][87], 돼지기름이나 햄 호크 등을 이용해 채소 요리에 풍미를 더하는 방식[235] 등은 열악한 환경 속에서 영양을 최대한 섭취하려 했던 노력을 보여준다. 음식에 고추식초 등을 사용하여 맵고 강한 맛을 내는 것[204][205][107] 역시 소울 푸드의 특징 중 하나이며, 이는 서아프리카의 식문화와 연결된다. 현대에는 핫소스[233][234], 로리 시즈닝 솔트[230], 올드 베이 시즈닝[236][237] 등 상업적인 조미료도 널리 사용된다.

1960년대 흑인 문화 운동과 함께 소울 푸드는 더욱 주목받으며 콘브레드, 미국식 족발, 맥앤치즈 등이 대표적인 메뉴로 자리 잡았다. 이처럼 소울 푸드는 단순히 배고픔을 해결하기 위한 음식을 넘어, 아프리카계 미국인들의 역사, 문화, 창의성, 그리고 강인한 생명력을 담고 있는 중요한 문화유산이다.

4. 1. 육류

소울 푸드에서 육류는 노예 제도 시절 아프리카계 미국인들이 생존을 위해 저렴하거나 농장주들이 버린 부위를 창의적으로 활용하면서 발전했다.[39][40][41] 특히 돼지고기옥수수는 당시 미국 남부의 노예와 노예 소유주 모두에게 주요 식량이었으며, 노예들은 주로 일주일에 1펙(peck)의 옥수수 가루와 약 1.36kg~약 1.81kg의 돼지고기를 배급받아 소울 푸드의 기본을 이루었다.[43] 노예들은 농장주들이 먹지 않는 돼지의 내장, 턱살, 발, 귀, 껍질 등을 이용하여 서아프리카의 조리법 지식과 아메리카 원주민, 유럽의 기술을 결합하여 독특한 요리를 만들어냈다.[42][9] 사냥을 통해 얻은 토끼, 다람쥐, 사슴이나 강, 습지에서 채집한 생선, 개구리, 가재, 거북, 조개, 등도 중요한 단백질 공급원이었다.[37][38]

소울 푸드의 주요 육류 요리
종류부위대표 요리 및 설명
돼지고기내장 (창자)치터링스(Chitterlings): 깨끗하게 손질하여 푹 삶아 식초칠리 소스와 함께 먹거나, 튀겨 먹기도 한다. 특별한 날이나 휴일에 주로 먹는 음식이었다.[94][96][97]
돼지껍데기, 기름기크랙클린스(Cracklins): 바삭하게 튀긴 유지찌꺼기. 콘브레드 반죽에 넣기도 한다.
등심 지방 (팻백, Fatback)지방이 많은 절인 고기. 주로 채소 조림에 풍미를 더하는 데 사용된다.
정강이뼈 (햄 호크, Ham hock)훈제한 돼지 정강이뼈 부위. 채소나 콩 조림에 깊은 맛을 더한다.
머리 (코, 입술, 귀 등)호그 헤드치즈(Hoghead cheese): 잘게 썬 부위를 삶아 굳힌 요리. "사우스미트(sousemeat)"라고도 불린다.
턱살, 볼살얇게 썰어 치터링스와 함께 삶는다.
족발푹 삶아 식초와 칠리 소스를 곁들이거나 식초절임으로 만든다.
갈비돼지갈비가 일반적이며, 달콤한 바비큐 소스를 발라 굽는다. 소갈비도 먹는다.
닭고기기니포울아프리카 원산의 조류. 대서양 노예 무역을 통해 유입되어 노예들의 중요한 고기 공급원이 되었다. 서아프리카 방식처럼 과 함께 요리하는 경우가 많았다.[25][31]
모래주머니, 양념한 튀김옷을 입혀 튀긴다.
다리, 허벅지 등프라이드 치킨: 옥수수가루나 양념한 밀가루를 묻혀 튀긴다. 백인들이 상대적으로 덜 선호했던 부위가 자주 사용되었다.
소고기스테이크용 부위컨트리 프라이드 스테이크: 밀가루나 튀김옷을 입혀 바삭하게 튀긴 소고기. 주로 흰색 그레이비를 곁들인다. 치킨 프라이드 스테이크와 조리법이 유사하다.
목뼈고기가 붙은 소 목뼈를 이용한 찜 요리.
소꼬리소꼬리 수프
다진 고기미트로프: 갈색 그레이비를 곁들이는 것이 일반적이다.
기타사향쥐지역에 따라 사향쥐[54][55], 토끼, 다람쥐, 사슴, 생선, 등 다양한 동물을 사냥하거나 채집하여 요리했다.[37][38][52][62]



1886년 플로리다주 키시미에서 열린 프리메이슨 피크닉에서 고기를 바비큐하는 사람들


시카고(Chicago), 일리노이주에서 바비큐 스모커에서 고기를 뒤집는 모습


'''바비큐'''는 소울 푸드에서 빼놓을 수 없는 조리법 중 하나로, 아메리카 원주민의 전통과 서아프리카, 중앙아프리카에서 온 아프리카인들의 방식이 결합되어 발전했다.[119][206][219] 서아프리카의 하우사족은 바비큐를 '바바케(babbake)'라 불렀으며, 이는 굽거나 태우는 등의 조리 방식을 의미했다.[108] 노예 제도 하에서 바비큐는 구덩이를 파고, 나무를 준비하고, 고기를 손질하고 굽는 등 매우 노동 집약적인 작업이었기에 주로 노예들이 담당했다.[120][121] 이 과정에서 노예들은 자신들만의 바비큐 소스를 개발했는데, 서아프리카 요리처럼 맵고 단 맛을 내는 것이 특징이다.[124][126] 피망이나 고추를 활용한 소스 제조법은 이미 18세기 중반 기록에도 나타난다.[125] 바비큐는 해방 기념일이나 준틴스와 같은 아프리카계 미국인 공동체의 중요한 행사에서 빠지지 않는 음식이 되었다.[108][135][136][142]

4. 2. 해산물



미국 동부 해안 지역에서는 해산물이 소울 푸드의 중요한 재료가 되었다. 특히 , 조개, 자라 등은 초기 흑인 공동체의 식생활과 경제 활동에 큰 영향을 미쳤다.

토마스 다우닝은 이러한 역사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인물이다. 1791년 버지니아주 친코티그 섬에서 노예로 태어난 그는 친코티그 만에서 조개, 굴, 자라를 채취하고 요리하는 법을 배웠다.[99][100] 1812년 전쟁 무렵 필라델피아로 이주하여 자유 흑인 공동체에 정착했고, 1819년 자유를 얻은 뒤에는 뉴욕시로 이주하여 허드슨 강에서 굴을 채취하며 일했다. 1825년, 그는 뉴욕 브로드웨이에 "다우닝 굴집(Downing's Oyster House)"을 열어 생굴, 튀긴 굴, 굴 스튜, 굴 파이 등 다양한 굴 요리를 선보이며 큰 성공을 거두었다. 다우닝은 "뉴욕의 굴왕"으로 불렸으며, 식당 지하실을 이용해 노예 제도에서 탈출한 이들을 숨겨주는 등 지하철도 활동을 지원하기도 했다.[101][102]

굴 산업은 많은 흑인 남성들에게 중요한 생계 수단이었다. 그들은 가족을 부양하기 위해 굴 채취 및 가공 작업에 종사했으며, 일부는 토마스 다우닝처럼 자신의 굴 사업을 시작하여 굴을 활용한 소울 푸드 요리를 개발하기도 했다.[98]

일반적으로 소울 푸드에서 즐겨 먹는 해산물 요리로는 생선 튀김과 새우 요리가 있다. 생선 튀김에는 주로 메기, 흰살 생선(Whiting), 도미류(Porgy), 블루길 등을 사용하며, 옥수수가루를 묻혀 바삭하게 튀겨내는 것이 특징이다. 새우 역시 다양한 방식으로 조리되어 소울 푸드 식탁에 오른다.

4. 3. 채소

햄 호크와 검은눈 완두콩




소울 푸드에서 채소는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며, 그 기원은 아프리카아메리카 원주민의 식문화에 깊이 뿌리내리고 있다. 대서양 노예 무역을 통해 아프리카에서 북미로 전래된 다양한 채소들은 소울 푸드의 기반을 이루었다. 여기에는 아프리카 쌀, 기장, 오크라, 검은콩, 얌, 콩류(강낭콩, 리마콩), 서인도산 적색 완두콩[22], 수박, 비둘기 완두콩, 검은눈 완두콩, 기니 고추 등이 포함된다.[23][24][204][40][207][208] 특히 아프리카 여성들이 노예선에 오르기 전, 머리카락 속에 벼, 오크라, 기장 씨앗을 숨겨와 새로운 땅에서 경작했다는 이야기는 아프리카 식문화의 끈질긴 생명력을 보여준다.[29][30] 1730년대 사우스캐롤라이나에 도입된 아프리카 작물인 참깨 역시 스튜, 빵, 푸딩 등 다양한 요리에 활용되었다.[23]

옥수수빵은 전통적인 아메리카 원주민 음식으로 흑인 문화의 주식이 되었다.


그릿은 남동부 원주민 부족에서 유래하여 소울 푸드 요리의 주식이 되었다.


아메리카 원주민의 식문화 또한 소울 푸드 채소 요리에 큰 영향을 미쳤다. 남동부 원주민 문화에서 유래한 옥수수는 소울 푸드의 핵심 식재료로, 빻아서 가루로 만들거나 알칼리 처리를 거쳐 호미니를 만드는 등[221] 다양한 방식으로 활용되었다. 옥수수빵그릿은 대표적인 예이며, 문샤인과 같은 주류 제조에도 사용되었다.[222] 옥수수, 토마토, 리마콩 등을 버터와 함께 삶아 만드는 수코타시 역시 원주민 요리에서 유래했다. 이 외에도 블랙베리, 머스카딘, 라즈베리와 같은 야생 베리[228]메이플 시럽[224] 등 원주민들이 활용하던 식재료들이 소울 푸드에 흡수되었다.

노예제 하에서 아프리카계 미국인들은 열악한 식량 배급[43] 속에서 생존하기 위해 채소를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했다. 노예 소유주들은 비용 절감을 위해 노예들에게 작은 텃밭(노예 정원)을 경작하도록 허용하기도 했는데[93], 이곳에서 노예들은 옥수수, 감자, 완두콩, , 허브, 멜론, 오크라, 잎채소, 고구마 등 다양한 작물을 길러 부족한 식단을 보충했다.[52][53][54][65][90][91][92] 이렇게 재배하거나 채집한 채소들은 아프리카 전통 방식과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며 개발된 다양한 조리법으로 요리되었다.

콜라드그린, 겨자잎, 무청과 같은 잎채소는 햄 호크나 돼지기름과 함께 푹 삶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이때 채소를 삶고 남은 국물인 솥물(Potlikker)은 버려지지 않고 중요한 영양 공급원으로 활용되었다. 솥물에는 비타민 A, C, K와 철분 등 영양소가 풍부하여 건강 음료로 마시거나, 귀앓이나 내성 발톱 등의 민간요법에도 사용되었다.[86][87][88][89][105][106] 다양한 채소와 먹고 남은 고기 부위를 한 솥에 넣고 끓이는 스튜는 흔한 식사 형태였으며[48][66], 오크라고구마 등은 옥수수가루를 묻혀 라드에 튀겨 먹기도 했다.[104] 고구마는 뜨거운 재에 묻어 굽거나[81] 오븐에 굽는 방식으로도 조리되었다.[104] 음식의 풍미를 더하기 위해 피쉬 페퍼[56][57][58], 말라게타 고추, 카옌 고추[206] 등 매운 고추를 적극적으로 사용했으며, 소금[76]으로 간을 맞추고 당밀[77]이나 수수 시럽[77][78]으로 단맛을 내기도 했다.

정통 굴라 호핀 존


소울 푸드에는 특히 다음과 같은 채소 요리들이 잘 알려져 있다.

대표적인 소울 푸드 채소 및 요리
채소주요 요리 및 특징기원/관련 정보
콜라드그린, 겨자잎, 무청 등 잎채소햄 호크 등과 함께 오래 삶음. 남은 국물(솥물)도 중요하게 여겨짐.아프리카 요리 방식 영향. 지역별 선호도 차이 (딥 사우스: 콜라드, 업랜드 사우스: 무청).
검은눈 완두콩찜 요리, 과 함께 짓는 호핀 존.아프리카 기원.[204] 호핀 존은 굴라 사람들의 새해 음식으로 행운을 상징.[211][213] 세네갈 요리 치에부 니에베와 연관.[212]
리마콩어린 콩은 버터와 함께 삶아 버터빈으로 불림.아메리카 원산.
옥수수옥수수빵, 그릿, 호미니, 수코타시.아메리카 원주민 기원.[221] 남부 요리의 핵심 재료.
고구마캔디드 얌(설탕, 향신료와 구운 요리), 고구마 파이, 튀김, 구이.아프리카의 얌 섭취 문화와 연결.[217] 추수감사절, 크리스마스 등 명절 음식.[104]
오크라옥수수가루 묻혀 튀김, 스튜나 검보의 재료.아프리카 기원.[204] 서아프리카 요리 영향.[112]
미국자리공(Pokeweed)어린 줄기와 잎을 3번 데쳐서 식용. 독성 주의.북미 자생 식물. 시금치와 비슷한 맛.[178] (에드나 루이스 언급)



이 외에도 양배추(식초, 소금, 햄 호크 등과 삶음), 풋콩(토마토, 돼지고기와 삶음), 붉은 강낭콩, 으깬 감자(버터, 증발유 사용) 등 다양한 채소들이 소울 푸드의 맛과 영양을 풍부하게 한다.

4. 4. 빵류

고온다습한 미국 남부보다 옥수수 재배에 더 적합했기 때문에, 옥수수를 이용한 다양한 빵이 발달했다.

  • 비스킷: 버터, , 수수사탕수수 시럽, 그레이비 등을 곁들여 먹거나, 반찬 국물에 적셔 먹기도 한다.
  • 콘브레드: 옥수수가루옥수수 알갱이에 물, 소금을 섞고 베이킹파우더로 부풀려 오븐 등에 구운 케이크 형태의 이다.
  • 호케이크 (Hoecake영어): 콘브레드의 일종으로, 옥수수가루, 소금, 을 섞은 묽은 반죽을 프라이팬에 구워 만든다. 과거 농업 노동자들이 삽이나 괭이(hoe)를 불에 달궈 구워 먹었다는 데서 이름이 유래했다.
  • 핫 워터 콘브레드 (Hot water cornbread): 옥수수가루를 뜨거운 물에 갠 반죽을 기름에 튀겨 만든 콘브레드이다.
  • 허시파피: 옥수수가루 반죽에 다진 양파를 섞어 동그랗게 빚어 튀긴 음식이다.
  • 조니케이크 (Jonnycake영어): 옥수수가루로 만든 핫케이크이다. 보통 버터를 곁들여 짭짤하게 먹는다.
  • 밀크 앤드 브레드 (Milk and bread): 컵에 콘브레드를 잘게 부수어 넣고 버터밀크와 설탕을 넣어 먹는 음식이다. "가난한 사람들의 컵 속 디저트"(po' folks' dessert-in-a-glass영어)라는 별칭으로도 불린다.
  • 스위트브레드

4. 5. 기타

1960년대 시작된 흑인 식품 열풍으로 더욱 개발된 소울 푸드는 콘브레드, 미국식 족발, 맥앤치즈 등이 주류를 이루게 되었다. 향신료를 많이 사용하거나 상대적으로 저가의 재료를 사용하는 경향이 있어 맛이 강하거나 독특한 풍미를 지닌 경우가 많다.

소울 푸드의 요리와 식재료 중에는 다른 민족 집단의 식문화와 공통되는 것과 소울 푸드 특유의 것이 있으며, 지역차가 나타나기도 한다.

  • 차우차우 (chow-chow): 오크라, 옥수수, 양배추, 고추, 덜 익은 토마토 등을 다져 만든 매운 피클. 검은콩 조림에 얹거나, 요리에 소량을 곁들여 먹는다.
  • 그릿츠 (grits): 알칼리 처리 후 건조시켜 빻은 옥수수로 만든 죽. 다른 이름으로 "호미니 그릿츠(hominy grits)"라고도 한다. 아침 식사로 먹는 외에, 생선 요리나 고기 요리의 곁들임 음식으로도 사용한다.
  • 핫소스: 카옌페퍼, 식초, 소금, 마늘 등으로 만든 매운 소스. 돼지 내장 튀김(치틀린스), 프라이드 치킨이나 생선 튀김에 곁들여 먹는다.
  • 맥앤치즈
  • 쌀이나 옥수수로 만든 푸딩: 바닐라 향을 첨가한 푸딩.
  • : 미국 남부에서는 주로 인디카 쌀이 재배되어 왔다. 레드 빈스 앤 라이스 등을 얹어 먹는 경우가 많다.
  • 옥수수 시럽
  • 스위트 티 (sweet tea): 저렴한 오렌지 페코(주로 립톤, 테틀리(Tetley) 또는 루지안(Luzianne) 사의 제품)를 우려내어 설탕으로 단맛을 내어 차갑게 마시는 음료. 햇볕에 두어 차를 우려낸 것을 선티(sun tea)라고 한다.
  • 수박
  • 기타: 칠면조 버펄로 윙, 콜라드 그린, 빈라이스 등도 소울 푸드로 꼽힌다.

5. 소울 푸드의 문화적 의미



노예들은 돼지기름을 녹여 만든 라드로 음식을 튀겼다.


노예들은 붉은 고추와 식초를 다른 재료와 함께 사용하여 수제 바비큐 소스를 만들었다.


사우스캐롤라이나주 보퍼트에서 열린 해방 기념일 행사


소울 푸드 판매업체들이 있는 2017년 준틴스 기념 행사


피카윤 크리올 요리책


핫소스는 음식에 매운맛과 풍미를 더하는 데 사용된다.


올드 베이 시즈닝


텍사스의 소울 푸드 레스토랑


소울 푸드는 미국의 미국 남부 지역에서 유래하여 전국에 걸쳐 아프리카계 미국인들에게 널리 소비되는 전통 음식이다. 이는 노예로 끌려온 아프리카인들이 미국에서 후손들에게 전통을 전달한 방식 중 하나로 여겨지며, 노예제아메리카 원주민, 유럽 문화의 영향이 결합된 문화적 산물이다.[217][206]
기원과 형성소울 푸드의 뿌리는 노예제 이전 서아프리카유럽 요리가 지역 환경에 맞게 변형된 것에서 찾을 수 있다.[3][34] 본격적으로 형성된 것은 노예제 시대 시골 남부 또는 "딥 사우스"의 가정 요리에서 비롯되었으며, 현지에서 쉽게 구할 수 있거나 재배한 저렴한 재료를 사용했다.[35][36] 노예들은 농장주들이 버리는 돼지 부속물(족발, 귀, 내장 등)이나 남은 음식을 활용하는 법을 배웠고,[39][40] 서아프리카 요리 지식에 아메리카 원주민과 유럽의 기술을 결합하여 최소한의 재료로 새로운 요리를 창조했다.[41][42][9]

대서양 노예 무역 당시 노예선에서는 아프리카 벼, 기장, 오크라, 검은콩, 얌 등 아프리카 음식이 제공되었고, 이 작물들은 북미로 전해져 남부 요리의 기반이 되었다.[23][24] 일부 아프리카 여성들은 머리카락 속에 벼, 오크라, 기장 씨앗을 숨겨와 새로운 땅에서 식량의 기반을 마련하기도 했다.[29][30] 아프리카 원산의 기니포울 역시 노예 무역을 통해 아메리카로 전해져 흑인들의 중요한 단백질 공급원이 되었다.[25]

노예들의 주된 식량 배급은 일주일에 1펙크의 옥수수 가루와 약 1.36kg~약 1.81kg의 돼지고기였으며, 이는 소울 푸드의 기본을 형성했다.[43] 고된 노동을 견디기 위해 고칼로리 식단이 필요했고,[206] 부족한 식량을 보충하기 위해 사냥(토끼, 다람쥐 등), 낚시(메기, 게 등), 채집, 그리고 작은 텃밭 가꾸기를 통해 식재료를 확보했다.[37][38][52][53] 고고학 연구에 따르면 노예들은 주로 그릇을 사용하여 스튜나 "검보" 형태의 한 솥 요리를 만들어 먹었으며, 이는 식재료를 효율적으로 활용하고 부족한 식기를 극복하는 방식이었다.[48] 지역에 따라 식단에 차이가 있었는데, 해안가 노예들은 해산물을 비교적 쉽게 구할 수 있었지만 내륙 노예들은 사냥감이나 농장 동물 부속물에 의존해야 했다.[49][50][51]
아프리카, 원주민, 유럽의 영향소울 푸드는 다양한 문화의 영향을 받았다. 서아프리카의 영향은 매운맛을 선호하는 경향과 오크라, 검은눈 완두콩, 수박, 수수 등 많은 식재료에서 뚜렷하게 나타난다.[204][40][207] 아프리카의 쌀 요리 기술은 사우스캐롤라이나 로우컨트리와 루이지애나 지역 요리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호핀 존이나 찰스턴 레드 라이스 같은 요리는 서아프리카 음식(치에부 니에베, 조로프 라이스)에 뿌리를 두고 있다.[211][212][214] 고구마는 서아프리카의 얌, 옥수수빵푸푸와 유사한 역할을 하며,[217] 땅에 구덩이를 파고 고기를 굽는 바비큐 방식 역시 서아프리카에서 유래했다는 설이 있다.[108] 재를 이용한 요리법이나 팜유 사용, 잎으로 음식을 싸서 찌는 방식도 아프리카 요리 기술의 흔적이다.[81][220]

아메리카 원주민 문화는 소울 푸드의 중요한 기반인 옥수수(호미니, 옥수수빵, 그릿)를 제공했으며,[221] 메이플 시럽 사용에도 영향을 미쳤다.[224] 블랙 세미놀의 음식은 굴라와 세미놀 음식 문화가 혼합된 형태를 보여준다.[225][226] 야생 베리 채집이나 사냥감(주머니쥐, 토끼, 다람쥐) 섭취 역시 원주민 문화와 공유하는 부분이다.[228][229]

유럽의 영향은 마카로니 앤 치즈와 같은 요리에서 찾아볼 수 있다. 토마스 제퍼슨의 노예 요리사였던 제임스 헤밍스는 프랑스에서 요리를 배우고 돌아와 마카로니 앤 치즈를 미국에 소개했으며, 이는 후에 소울 푸드의 인기 메뉴가 되었다.[72][73]
용어의 등장과 문화적 상징성"소울 푸드"라는 용어는 1909년 노예 출신 토마스 L. 존슨의 회고록에서 처음 사용된 것으로 보이나,[13] 널리 퍼진 것은 1960년대와 1970년대 흑인 민족주의 운동 시기였다.[14] 말콤 X 자서전(1965)과 아미리 바라카(르로이 존스)의 글은 이 용어를 대중화하고 소울 푸드를 흑인 정체성의 중요한 일부로 확립하는 데 기여했다.[15][16]

대이동 시기, 북부 도시로 이주한 흑인들에게 소울 푸드는 고향과 가족을 떠올리게 하는 위안이자 정체성의 상징이었다. 흑인들이 운영하는 소울 푸드 레스토랑은 단순한 식당을 넘어 이웃들이 모여 교류하는 공동체의 중심지 역할을 했다.[17][18][19] 중산층 흑인들에게 소울 푸드를 먹는 행위는 백인 중산층 문화와 거리를 두고 자신의 "흑인성(Blackness)"을 확인하며, 계급을 넘어 다른 흑인들과 연대하는 방식이기도 했다.[20] 소울 푸드는 공유된 억압의 역사와 문화적 자부심을 동시에 담고 있는 상징적인 음식이 된 것이다. 매년 6월은 "전국 소울 푸드의 달"로 지정되어 이러한 문화적 의미를 기린다.[21]
해방 이후와 현대미국 남북 전쟁 이후 해방된 400만 명의 아프리카계 미국인들은 해방 기념일 행사에서 바비큐와 소울 푸드를 나누며 자유를 축하했다.[135][136] 특히 준틴스 기념 행사에서는 노예 시절 흘린 피와 요루바, 바콩고 문화에서 중요시되는 붉은색을 기리기 위해 수박, 레드 레모네이드, 레드벨벳 케이크 등 붉은색 음식을 먹는 전통이 생겨났다.[139][140][141]

해방 이후에도 많은 흑인들은 소작농으로 남부 농촌에 머물렀고, 소울 푸드 조리법은 주로 구전으로 가족 내에서 전승되었다.[143][144][146] 최초의 흑인 저술 요리책으로 알려진 것은 1881년 애비 피셔의 ''피셔 부인이 알고 있는 오래된 남부 요리''이며, 이후 루퍼스 에스테스의 ''맛있는 것들''(1911) 등이 출판되었다.[147]

대이동을 통해 소울 푸드는 미국 전역으로 퍼져나갔고,[6] 오늘날에는 흑인 공동체의 장례식, 친목회, 명절(추수감사절, 크리스마스) 등 중요한 자리에서 빠지지 않는 음식이 되었다.[217][177][204] 붉은색 음료는 사교 행사에서 친구, 가족 간의 유대감과 아프리카 디아스포라와의 연결성을 상징하는 중요한 요소로 자리 잡았다.[238]
문화적 논쟁과 인식1960년대 흑인 민족주의 운동 시기, 소울 푸드는 문화적 정체성의 상징으로 부상했지만, 동시에 논쟁의 대상이 되기도 했다. 스토클리 카마이클과 같은 일부 인물들은 소울 푸드가 식민지적 영향을 받았다며 비판하기도 했으나,[217] 많은 사람들은 소울 푸드를 흑인 문화의 중요한 유산이자 백인 문화와의 차별성을 드러내는 자부심의 원천으로 여겼다.[16][206] 소울 푸드를 지지하는 사람들은 아프리카계 미국인에게는 문화나 요리가 없다는 주장에 대한 반박으로 이 개념을 받아들였다.[206][217]

미국 대중문화에서 소울 푸드는 때때로 인종적 편견과 결합되어 건강하지 못하고 가난한 음식이라는 부정적인 이미지로 패러디되기도 했다. 애니메이션 『부운독스』나 『패밀리 가이』의 일부 에피소드가 그 예이다. 반면, 영화 『소울 푸드』(1997)나 동명의 드라마 시리즈(2000-2004)는 소울 푸드를 가족과 공동체, 역사를 잇는 유대감의 상징으로 그리며 아프리카계 미국인 문화의 긍정적인 측면을 보여주었다.

5. 1. 소울 푸드와 건강

전통적인 방식으로 조리되어 많은 양으로 섭취될 경우, 소울 푸드는 건강에 해로울 수 있다는 지적이 있다.[243][244] 소울 푸드라는 명칭이 생긴 20세기 중반 이후, 이 요리 전통과 관련된 건강 문제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어 왔다.[243][244]

소울 푸드는 높은 전분, 지방, 나트륨, 콜레스테롤 함량과 높은 열량 때문에 비판을 받는다.[245][246] 또한, 소금 절인 돼지고기나 옥수수 가루처럼 저렴하지만 때로는 질이 낮은 재료를 사용하는 특성도 지적된다.[245][246] 특히 튀김 요리에는 콜레스테롤 함량이 높은 라드나 트랜스지방산이 많은 쇼트닝이 자주 사용되었으며, 옛 요리책에는 현대의 기준과 다른 지방 및 설탕 비율이 나타나기도 한다.[264] 이러한 이유로 일부에서는 소울 푸드가 아프리카계 미국인 사이에서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나는 고혈압, 제2형 당뇨병, 동맥 경화, 뇌졸중, 심장마비 발병률과 관련이 있다고 주장한다.[245][246] Alvenia Fulton 박사, 딕 그레고리, 그리고 엘리야 무함마드와 같은 인물들은 소울 푸드의 부정적인 건강 영향에 대한 논의를 이끌었으며,[240][217] 특히 엘리야 무함마드와 딕 그레고리는 소울 푸드가 건강에 해롭고 아프리카계 미국인을 서서히 죽이는 억압의 잔재라고 보아 이를 버려야 한다고 주장했다.[15]

반면, 소울 푸드를 더 건강하게 만들려는 시도가 본래의 맛을 해치고 문화적, 민족적 진정성을 떨어뜨릴 수 있다는 비판과 우려도 존재한다.[247][248][264] 또한 소울 푸드를 즐겨 먹는 사람들의 건강에 대한 인식이 미국 문화의 일반적인 이해와 다를 수 있다는 점도 고려해야 한다.[249] 건강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면서 소울 푸드 조리법에도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과거에는 요리에 사용된 라드를 식혀 굳힌 뒤 재사용하는 경우가 많았으나,[253] 최근에는 튀김이나 요리에 식물성 기름이나 캐놀라유와 같은 액체 기름을 사용하거나, 돼지고기 대신 지방이 적은 칠면조 훈제를 사용하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254][255][264] 돼지 사육 기술의 발달로 과거보다 살코기가 많은 돼지고기가 생산되는 점도 변화에 영향을 미쳤다. 일부 요리사들은 두부 기반의 유사 재료를 포함한 채식 대안을 활용하여 조리법을 개량하기도 한다.[254][255] 아프리카계 미국인 문화에 뿌리를 두면서도 더 건강한 음식을 제공하는 비건 소울 푸드 레스토랑도 등장했으며,[254][255] Jenne Claiborne과 같은 요리사들은 유튜브 채널 등을 통해 건강한 소울 푸드 조리법을 알리고 있다.[256]

한편, 소울 푸드에 사용되는 여러 재료들은 건강상의 이점을 가지고 있다. 케일이나 콜라드그린과 같은 녹색 채소는 다양한 비타민(비타민 A, B6, 엽산(B9), 비타민 K, C)과 미네랄(망간, , 칼슘), 식이섬유, 그리고 소량의 오메가-3 지방산이 풍부하다.[257][265] 또한 난소암이나 유방암 예방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여러 파이토케미컬을 함유하고 있다.[257][265] 전통적으로 녹색 채소를 오래 익히는 과정에서 수용성 비타민이 파괴되거나 조리하는 물(포트 리커)로 빠져나갈 수 있지만, 이 물에는 채소에서 나온 미량 영양소가 포함되어 있어 섭취 시 영양가를 더할 수 있다.[177][258] 완두콩이나 다른 콩류는 저렴하면서도 좋은 단백질 공급원이며, 중요한 비타민, 미네랄, 섬유질을 함유하고 있다.[259][265] 고구마는 베타카로틴과 미네랄이 풍부하며, 당뇨병 예방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동물 실험에서는 고구마 섭취가 혈당치를 안정시키고 인슐린 저항성을 완화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266]

소울 푸드의 건강 문제는 아프리카계 미국인 공동체뿐만 아니라, 콜레스테롤과 트랜스지방산 과다 섭취, 운동 부족 등 현대 미국인들의 전반적인 식습관 문제와도 관련이 있다.[264] 미국의 농업 시스템 산업화와 연방 보조금이 가공식품의 영양가 저하에 영향을 미쳤다는 지적도 있으며,[250] 음식 접근성의 변화와 인종적 진정성 개념의 진화를 함께 고려할 필요가 있다.[251][252]

참조

[1] 웹사이트 "Soul Food" a brief history https://aaregistry.o[...] 2020-02-12
[2] 뉴스 Is It Southern Food, or Soul Food?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23-06-08
[3] 웹사이트 An Illustrated History of Soul Food https://firstwefeast[...] 2023-03-14
[4] 서적 Soul Food Classic Cuisine from the Deep South https://books.google[...] Grove Press 1993
[5] 웹사이트 The Diversity of Soul Food - Global Foodways https://adhc.lib.ua.[...] 2017-12-15
[6] 서적 Every Nation Has Its Dish: Black Bodies and Black Food in Twentieth-Century America https://books.google[...] UNC Press Books
[7] 웹사이트 Soul Food https://macaulay.cun[...] 2023-11-06
[8] 서적 The People's Place Soul Food Restaurants and Reminiscences from the Civil Rights Era to Today https://books.google[...] Chicago Review Press 2015
[9] 웹사이트 Adrian Miller on the History of Soul Food https://wfpc.sanford[...] Duke Sanford 2024-06-13
[10] 뉴스 What is the difference between soul food and Southern cooking? https://www.monterey[...] 2022-06-16
[11] 뉴스 Southern Food Vs. Soul Food: What's The Difference? https://gradynewsour[...] 2024-06-16
[12] 웹사이트 Fried Dough History https://web.archive.[...]
[13] 웹사이트 Twenty-Eight Years a Slave, or the Story of My Life in Three Continents https://docsouth.unc[...] UNC Chapel Hill University 2024-08-08
[14] 서적 Black Hunger: Food and the Politics of U.S. Identity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1999
[15] 서적 Engaged Surrender: African American Women and Islam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6] 서적 Black Hunger: Food and the Politics of U.S. Identity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17] 학술지 The Origins of Soul Food in Black Urban Identity: Chicago, 1915-1947 1999
[18] 뉴스 How soul food became a staple in the Black community https://asuhornettri[...] Alabama State University 2024-05-26
[19] 웹사이트 Notable African American chefs https://libguides.su[...] Schenectady County Community College 2024-06-02
[20] 학술지 'Ebony Jr!' and 'Soul Food': The Construction of Middle-Class African American Identity through the Use of Traditional Southern Foodways https://www.jstor.or[...] 2024-06-17
[21] 웹사이트 Celebrating National Soul Food Month With Celebrity Chef Carla https://www.forbes.c[...] Forbes Newsletters 2024-06-14
[22] 뉴스 Recipes that celebrate the culinary history of the African diaspora https://www.ajc.com/[...] 2024-06-16
[23] 웹사이트 African Crops and Slave Cuisine http://slaverebellio[...] Slave Rebellion Website 2024-05-31
[24] 웹사이트 Diet and Nutrition https://dh.scu.edu/e[...] Santa Clara University 2024-06-21
[25] 서적 Southern United States: An Environmental History https://books.google[...] Bloomsbury Publishing
[26] 웹사이트 Columbian Exchange https://www.worldhis[...] World History Encyclopedia 2024-06-06
[27] 서적 Getting What We Need Ourselves:How Food Has Shaped African American Life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Publishers 2019
[28] 보고서 African Americans and Southern Food https://ursa.mercer.[...] 2024-06-06
[29] 서적 Cajun Mardi Gras A History of Chasing Chickens and Making Gumbo https://books.google[...] Arcadia Publishing Incorporated 2023
[30] 서적 Farming While Black Soul Fire Farm's Practical Guide to Liberation on the Land https://books.google[...] Chelsea Green Publishing 2018
[31] 학술지 Seeds of Memory: Botanical Legacies of the African Diaspora https://www.geog.psu[...] 2024-06-06
[32] 웹사이트 Foodways of the Transatlantic Slave Trade https://www.mastercl[...] Master Class 2024-06-06
[33] 웹사이트 How rice shaped the American South https://www.bbc.com/[...] BBC 2024-06-06
[34] 웹사이트 The Resistance and Ingenuity of the Cooks Who Lived in Slavery https://www.sapiens.[...] 2024-05-26
[35] 웹사이트 Soul Food in Dekalb A Tasty History https://dekalbhistor[...] 2024-06-14
[36] 웹사이트 The Unbearable Taste: Early African American Foodways https://commonplace.[...] Common Place 2024-05-25
[37] 웹사이트 Soul food {{!}} Description, History, & Ingredients {{!}}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3-07-30
[38] 웹사이트 Food https://www.mountver[...] 2024-05-26
[39] PDF Soul Food - Oxtails https://www.ncceh.ca[...]
[40] 웹사이트 How Enslaved Africans Influenced American Diet https://learningengl[...] VOA Arts and Culture 2024-05-24
[41] 서적 Africanisms in American Culture https://books.google[...] Indiana University Press 2005
[42] 웹사이트 Soul food is closely tied to Black cultural identity https://www.vpm.org/[...] VPM National Public Radio (PBS) 2024-06-13
[43] 서적 What the Slaves Ate: Recollections of African American Foods and Foodways from the Slave Narratives
[44] 웹사이트 Celebrating Black History Month https://foodstudies.[...] 2023-07-30
[45] 뉴스 Soul food: From the trauma of slavery came beautiful cuisine https://tennesseeloo[...] Tennessee Lookout 2020
[46] 서적 Black Theatre Ritual Performance in the African Diaspora https://books.google[...] Temple University Press 2002
[47] 서적 African American Southerners in Slavery, Civil War and Reconstruction https://books.google[...] McFarland, Incorporated, Publishers 2005
[48] 학술지 The Web of Cultural Identity: A Case Study of African-American Identity and "Soul Food" https://www.tn.gov/c[...] 2024-05-24
[49] 학술지 The Web of Cultural Identity: A Case Study of African-American Identity and "Soul Food" https://d1wqtxts1xzl[...] 2024-05-24
[50] 웹사이트 The Gullah: Rice, Slavery, and the Sierra Leone-American Connection https://glc.yale.edu[...] Yale University 2024-05-24
[51] 웹사이트 The History of Successful Black Fishermen Dates Back Centuries https://www.pushblac[...] 2024-05-24
[52] 서적 Narrative of the Life of Frederick Douglass, an American Slave. Written by Himself https://docsouth.unc[...] THE ANTI-SLAVERY OFFICE 1845
[53] 웹사이트 The Food Sources of Enslaved Afro-Marylanders https://www.hmdb.org[...] Historical Marker Database 2024-06-13
[54] 웹사이트 A Historical Dig Sheds Light on the Food of the Underground Railroad https://www.atlasobs[...] Atlas Obscura 2024-06-23
[55] 웹사이트 300 Years of Black Cooking in St. Mary's County, Maryland https://www.stmalib.[...] St. Mary's County Library 2024-06-23
[56] 웹사이트 Fish Peppers https://www.chesapea[...] Chesapeake Bay Magazine 2024-06-21
[57] 뉴스 The US pepper that was nearly lost https://www.bbc.com/[...] 2024
[58] 웹사이트 Maryland Food History: The Fish Pepper https://preservation[...] 2024-06-21
[59] 서적 The Soul Food Museum Story Celebrating 400 Years of Culinary Arts Hospitality and Agriculture https://books.google[...] Arthur House 2018
[60] 서적 What the Slaves Ate Recollections of African American Foods and Foodways from the Slave Narratives https://books.google[...] Bloomsbury Publishing 2009
[61] 서적 African American Foodways Explorations of History and Culture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2009
[62] 웹사이트 Enslaved Fishermen and Mariners in Virginia https://encyclopedia[...] Encyclopedia Virginia, Virginia Humanities 2024-05-24
[63] 웹사이트 South Yard Dwellings: Food and Cooking https://www.montpeli[...] James Madison Montpelier 2024-05-25
[64] 웹사이트 A Day in the Life of an Enslaved Cook in 1799 https://www.mountver[...] George Washington Mount Vernon 2024-05-30
[65] 웹사이트 Mid-19th Century Plant Uses https://www.nps.gov/[...] The National Park Service 2024-05-24
[66] 웹사이트 A 19th Century Slave Diet https://www.nps.gov/[...] The National Park Service 2024-05-24
[67] 서적 Murder at Montpelier: Igbo Africans in Virginia https://books.google[...] University Press of Mississippi 2005
[68] 웹사이트 Enslaved Igbo and the Foundation of Afro-Virginia Slave Culture and Society https://www.h-net.or[...]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2024-06-14
[69] 서적 Murder at Montpelier: Igbo Africans in Virginia https://archive.org/[...] University Press of Mississippi 2005
[70] 웹사이트 Our Sustenance: From Scraps to Soul Food, a Positive Institution https://www.mappmaga[...] Mapp Magazine 2024-05-24
[71] 웹사이트 The Culinary Legacy of Soul Food: Shaping American Cuisine https://cocosouthla.[...] Community Coalition 2024-02-21
[72] 웹사이트 The Life of James Hemings https://www.monticel[...] The Jefferson Monticello 2024-05-24
[73] 웹사이트 Did An Enslaved Chef Bring Macaroni And Cheese To America? The Truth Behind Everyone's Favorite Side Dish https://www.essence.[...] Essence Magazine 2024-05-24
[74] 웹사이트 Black History, Soul Food's Origin https://www.dvidshub[...] Defense Visual Information Distribution Service / U.S. Department of Defense 2024-05-30
[75] 웹사이트 All the slaves ate together: African American foodways and the Colonial Era https://www.nlm.nih.[...]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2024-05-30
[76] 웹사이트 All The Slaves Ate Together: African American Foodways in the Colonial Era https://www.nlm.nih.[...]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2024-05-30
[77] 웹사이트 Origins of Soul Food https://libguides.su[...] Begley Library 2024-06-03
[78] 웹사이트 How Molasses and Sorghum Fueled the Slave Trade https://www.pushblac[...] PushBlack 2024-06-03
[79] 웹사이트 African Americans and Southern Food https://ursa.mercer.[...] Mercer University 2024-05-26
[80] 서적 What the Slaves Ate: Recollections of African American Foods and Foodways from the Slave Narratives https://books.google[...] Bloomsbury Publishing 2009
[81] 서적 What the Slaves Ate: Recollections of African American Foods and Foodways from the Slave Narratives https://books.google[...] Bloomsbury Publishing 2009
[82] 서적 The Slave Community: Plantation Life in the Antebellum South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1972
[83] 뉴스 Slavery, Soul Food and the Power of Black Women https://www.northjer[...] 2024-06-03
[84] 서적 Africans In Colonial Louisiana The Development of Afro-Creole Culture in the Eighteenth-Century https://books.google[...] Louisiana State University Press 1995
[85] 웹사이트 Early diet of soul food proven to be "remarkably nutritious. https://www.nps.gov/[...] National Park Service 2024-06-16
[86] 간행물 The Potlikker Papers: A Food History of the Modern South https://egrove.olemi[...] The University of Mississippi 2024-06-17
[87] 서적 The Importance of Pot Liquor https://books.google[...] August House 1994
[88] 뉴스 Soul Food Reconsidered https://www.nytimes.[...] 2024-06-17
[89] 웹사이트 Potlikker Is A Simple Soul Food Dish With A Deep History https://www.tastingt[...] Tasting Table 2022-11-09
[90] 웹사이트 Slave Gardens https://www.encyclop[...] Encyclopedia.com 2024-06-16
[91] 웹사이트 How Enslaved Africans Influenced American Diet https://learningengl[...] VOA News 2019-03-15
[92] 웹사이트 Seeds of survival: Botanic Gardens honors the Black experience https://news.cornell[...] Cornell University 2024-06-23
[93] 웹사이트 Celebrate Juneteenth by Planting an 'Emancipation Garden' https://www.atlantah[...] 2022-06-10
[94] 서적 African American Foodways Explorations of History and Culture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2009
[95] 뉴스 Chitlin's From Slave Food to Delicacy The Black American Kitchen https://baystatebann[...] 2024-06-09
[96] 웹사이트 In Defense of Chitterlings https://ediblenorthe[...] 2024-06-09
[97] 간행물 African-American Food History https://aadl.org/fil[...] 2010-00-00
[98] 웹사이트 Black Foodways and Cuisine https://nmaahc.si.ed[...] Smithsonian Institution 2024-06-30
[99] 웹사이트 Thomas George Downing (1791–1866) https://encyclopedia[...] Encyclopedia of Virginia 2024-06-20
[100] 뉴스 Soul Food Got Its Start From Freedom Seekers Surviving Off The Land https://www.cbsnews.[...] 2022-00-00
[101] 웹사이트 Downing's Oyster House https://maap.columbi[...] Columbia University 2024-06-20
[102] 웹사이트 Original soul food wrapped in rich history https://www.museeum.[...] Museeum 2017-06-26
[103] 서적 What the Slaves Ate: Recollections of African American Foods and Foodways from the Slave Narratives https://books.google[...] Bloomsbury Publishing 2009
[104] 웹사이트 Seeds of Survival and Celebration: Plants of the Black Experience https://cornellbotan[...] 2024-06-16
[105] 서적 Voices from Slavery 100 Authentic Slave Narratives https://books.google[...] Dover Publications 2012
[106] 서적 The Importance of Pot Liquor https://books.google[...] August House 1994
[107] 서적 What the Slaves Ate: Recollections of African American Foods and Foodways from the Slave Narratives https://books.google[...] Bloomsbury Publishing 2009
[108] 뉴스 Barbecue is an American Tradition – of Enslaved Africans and Native Americans https://www.theguard[...] 2024-06-04
[109] 서적 What the Slaves Ate Recollections of African American Foods and Foodways from the Slave Narratives https://books.google[...] Bloomsbury Publishing 2009
[110] 서적 What the Slaves Ate Recollections of African American Foods and Foodways from the Slave Narratives https://books.google[...] Bloomsbury Publishing 2009
[111] 서적 What the Slaves Ate: Recollections of African American Foods and Foodways from the Slave Narratives https://books.google[...] Bloomsbury Publishing 2009
[112] 서적 What the Slaves Ate: Recollections of African American Foods and Foodways from the Slave Narratives https://books.google[...] Bloomsbury Publishing 2009
[113] 뉴스 1866 African-American cookbook from Michigan woman offers voice from the past https://www.detroitn[...] 2024-06-04
[114] 학술지 Buckra: Whiteness and Porgy and Bess https://online.ucpre[...] 2024-06-10
[115] 서적 Confections delicacies sweets from the Old Slave Mart https://digital.tcl.[...] Old Slave Mart 1900
[116] 웹사이트 History of Benne in the Lowcountry https://www.charlest[...] Charleston Specialty Foods 2024-06-10
[117] 서적 Bound to the Fire How Virginia's Enslaved Cooks Helped Invent American Cuisine https://books.google[...] University Press of Kentucky
[118] 서적 Creole: The History and Legacy of Louisiana's Free People of Color https://books.google[...] Louisiana State University Press 2000
[119] 뉴스 Barbecue: The Black and Indigenous roots of an American tradition https://www.today.co[...] 2024-06-30
[120] 웹사이트 The Soul of Food Slavery's Influence on Southern Cuisine https://ushistorysce[...] 2024-06-30
[121] 뉴스 How the long history of black barbecue was erased https://www.independ[...] 2024-06-30
[122] 서적 Black Smoke African Americans and the United States of Barbecue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Press 2021
[123] 웹사이트 The Bard of Barbecue https://stanfordmag.[...] Stanford University 2024-06-30
[124] 웹사이트 Tasting the History of Barbecue https://tnmuseum.org[...] 2024-06-30
[125] 웹사이트 Regional Barbecue Sauce Styles, Explained https://www.eater.co[...] 2024-06-30
[126] 뉴스 How Southern Barbecue Got to Texas https://www.texasmon[...] 2024-06-30
[127] 뉴스 The Historic Connection Between Slave Recipes and Today's Barbecue https://www.texassta[...] 2024-06-30
[128] 뉴스 A family legacy of barbecue sauce emerges from the darkness of slavery https://wgnradio.com[...] 2024-06-30
[129] 웹사이트 Beaufort's Reconstruction Era National Historical Park https://southcarolin[...] 2024-06-01
[130] 웹사이트 Emancipation Day celebrations https://www.statehou[...] State House Report 2024-06-01
[131] 웹사이트 This First Day of January https://clements.umi[...] University of Michigan 2024-06-01
[132] 서적 The Journals of Charlotte Forten Grimké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1988
[133] 뉴스 BBQ Evolution https://charlestonci[...] 2024-06-01
[134] 서적 Reminiscences of My Life in Camp with the 33d United States Colored Troops Late 1st S. C. Volunteers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1902
[135] 서적 What the Slaves Ate Recollections of African American Foods and Foodways from the Slave Narratives https://books.google[...] Bloomsbury Publishing 2009
[136] 뉴스 Barbecue is an American tradition – of enslaved Africans and Native Americans https://www.theguard[...] 2024-06-04
[137] 웹사이트 Featured Document Display: The Emancipation Proclamation and Juneteenth https://museum.archi[...] National Archives and Records Administration 2024-06-20
[138] 웹사이트 Juneteenth: A Celebration of Freedom https://www.nps.gov/[...] The National Park Service 2024-06-01
[139] 웹사이트 The Meaning and History of Juneteenth Foods https://www.pbs.org/[...] Public Broadcasting Service (PBS) 2024-06-01
[140] 뉴스 Juneteenth https://nmaahc.si.ed[...] Smithsonian Institution 2024-06-01
[141] 뉴스 Tastes of Resilience https://nmaahc.si.ed[...] Smithsonian Institution 2024-06-01
[142] 웹사이트 The Story Behind Red-Hued Juneteenth Food and Drink https://www.atlasobs[...] The Atlanta Obscure 2024-06-01
[143] 서적 Dethroning the Deceitful Pork Chop: Rethinking African American Foodways from Slavery to Obama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Arkansas Press 2015
[144] 서적 Soul Food: Classic Cuisine from the Deep South https://books.google[...] Grove Press 1993
[145] 웹사이트 2023 Black History Month: Family Traditions: Feeding the Spirit and Soul https://dcps.libguid[...] District of Columbia Public Schools 2024-05-20
[146] 서적 Hog and Hominy: Soul Food from Africa to America Columbia University Press
[147] 뉴스 Rediscovering the First Black Cookbook https://www.washingt[...]
[148] 웹사이트 How the U.S. Military Brought Soul Food to the World https://www.zocalopu[...] 2018-04-02
[149] 뉴스 Chitlin' Circuit: Black performers' soulful showcase during segregation https://www.ajc.com/[...] 2024-06-09
[150] 웹사이트 Chitlin Circuit https://www.britanni[...] Encyclopedia Britannica 2024-06-09
[151] 웹사이트 Sylvia's Restaurant - A Harlem Institution Since 1962 https://www.harlemam[...] Harlem America 2024-06-13
[152] 웹사이트 Sylvia Woods (1926-2012) https://www.blackpas[...] Black Past 2024-06-13
[153] 서적 African-American Business Leaders and Entrepreneurs https://books.google[...] Facts On File, Incorporated 2004
[154] 서적 Soul Food: The Surprising Story of an American Cuisine, One Plate at a Time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Press 2013
[155] 뉴스 Culinary Gems: 7 Must Try Black-Owned Restaurants in Baltimore https://travelnoire.[...] 2024-06-09
[156] 서적 Hog and Hominy: Soul Food from Africa to America https://books.google[...] Columbia University Press 2008
[157] 웹사이트 A Harlem soul food fix https://www.bbc.com/[...] BBC 2024-06-09
[158] 서적 Soul Food: The Surprising Story of an American Cuisine, One Plate at a Time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Press 2013
[159] 웹사이트 Inside the 'Chitlin Circuit', a Jim Crow-Era Safe Space for Black Performers https://www.atlasobs[...] Atlas Abscura 2024-06-09
[160] 웹사이트 The Origin (And Hot Stank) Of The 'Chitlin' Circuit' https://www.npr.org/[...] NPR South Carolina public radio 2024-06-16
[161] 서적 Every Nation Has Its Dish: Black Bodies and Black Food in Twentieth-Century America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Press 2018-11-13
[162] 서적 Southern Food and Civil Rights Feeding the Revolution https://books.google[...] Arcadia Publishing
[163] 웹사이트 The Restaurants that Fueled the Civil Rights Movement https://www.atlantah[...] 2022-01-10
[164] 웹사이트 Paschal's Restaurant https://www.georgiae[...] Emory University
[165] 웹사이트 Black Restaurants that Fed the Civil Rights Movement https://www.southern[...] Southern Living
[166] 웹사이트 The People's Place: Soul Food Restaurants and Reminiscences from the Civil Rights Era to Today https://ppld.overdri[...]
[167] 웹사이트 Soul Food Was at the Heart of the Civil Rights Movement in Montgomery https://www.wideopen[...] Wide Open Country 2021-11-15
[168] 웹사이트 A Seat at the Table with Evelyn J. Frazier https://discoveratla[...]
[169] 웹사이트 Atlanta's Culinary Evolution: Unveiling Michelin Guide's Love for the City https://discoveratla[...] 2023-11-09
[170] 뉴스 African-Americans have shaped Alabama's and America's cuisine https://alabamanewsc[...] 2024-07-06
[171] 뉴스 Black-owned restaurants nourished the activist soul https://www.usatoday[...] 2024-06-03
[172] 웹사이트 (Southern) Black Women's Presence in Invisibility: Miss Georgia Gilmore & The Club from Nowhere https://www.mdcinc.o[...] MDC
[173] 웹사이트 The Green Book Sites Were A Welcome Relief From The Ominous Presence of Jim Crow https://negromotoris[...] Smithsonian Institution
[174] 웹사이트 The Importance of "The Green Book: Guide to Freedom" https://www.uwci.org[...]
[175] 웹사이트 The Spirit of Soul Food: More Than Just Shrimp and Grits https://www.pbssocal[...] PBS SoCal 2022-02-15
[176] 웹사이트 The Spirit of Soul Food: Race, Faith, and Food Justice https://memphissemin[...] 2024-06-03
[177] 서적 The cooking gene : a journey through African American culinary history in the Old South
[178] 웹사이트 Biography: Edna Lewis https://www.womenshi[...] 2022-07-12
[179] 서적 Vibration Cooking: or, The Travel Notes of a Geechee Girl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Georgia Press 2011-04-15
[180] 서적 Black Hunger: Food and the Politics of U.S. Identity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181] 학술지 A Recipe for Remembrance: Memory and Identity in African-American Women's Cookbooks https://www.jstor.or[...] 2005-01-01
[182] 웹사이트 National Council of Negro Women: Cookbooks to add to your coffee table https://www.blacksou[...] Black Southern Belle 2024-06-01
[183] 웹사이트 African American Cookbooks https://exhibitions.[...] Vanderbilt University 2024-06-01
[184] 웹사이트 The Historical Cookbook of the American Negro https://exhibitions.[...] Vanderbilt University
[185] 서적 High on the Hog: A Culinary Journey from Africa to America https://books.google[...] Bloomsbury 2011-01-01
[186] 웹사이트 High on the Hog: How African American Cuisine Transformed America https://www.docnyc.n[...] DOCNYC 2024-06-02
[187] 서적 The President's Kitchen Cabinet The Story of the African Americans Who Have Fed Our First Families, from the Washingtons to the Obama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Press
[188] 웹사이트 Brief History of Blacks Cooking in America https://museumofuncu[...] 2024-08-04
[189] 웹사이트 Resources for the history of Black railroaders https://railphoto-ar[...] 2024-08-04
[190] 서적 The Cooking Gene: A Journey Through African American Culinary History in the Old South https://books.google[...] Harper Collins 2018-01-01
[191] 웹사이트 How Black Culinary Historians Are Rewriting the History of American Food https://www.yesmagaz[...] Yes Magazine 2024-06-16
[192] 서적 Gullah Geechee Home Cooking: Recipes from the Matriarch of Edisto Island https://books.google[...] ABRAMS 2022-01-01
[193] 웹사이트 For Gullah Geechee chef Emily Meggett, cooking was about heart https://www.npr.org/[...] NPR 2024-06-04
[194] 뉴스 Muskegon woman to be first Black woman in U.S. to present soul food at national chef's convention https://www.wzzm13.c[...] 2024-05-26
[195] 뉴스 Chef BJ Dennis delves into his people's Gullah Geechee past to inspire his future https://charlestonci[...] 2012-01-01
[196] 웹사이트 We're All Ears https://charlestonma[...] 2024-06-04
[197] 웹사이트 Chef Mashama Bailey on Getting Her Seat at the Table https://www.harpersb[...] 2024-08-03
[198] 웹사이트 Soul Food with Mashama https://weta.org/wat[...] 2024-08-03
[199] 웹사이트 How Family Matriarchs Led Chef Ashleigh Shanti to Open Her First Restaurant https://www.bonappet[...] 2024-08-03
[200] 웹사이트 This Affrilachian Chef Just Opened Asheville, North Carolina's 'Hottest' New Restaurant https://www.travelan[...] 2024-08-03
[201] 웹사이트 How Carla's Hall Yoruba Roots inspired her Soul Food Journey https://www.tastingt[...] 2024-07-06
[202] 웹사이트 Everything You Need To Know About Carla Hall, The Former Co-Host Of 'The Chew' https://www.delish.c[...] Delish 2024-07-06
[203] 뉴스 Meet The D.C. Woman Who Owns Mexico City's Only Soul Food Restaurant https://dcist.com/st[...] 2023-01-01
[204] 서적 The Past Is Not Dead University Press of Mississippi
[205] 웹사이트 The Unbearable Taste: Early African American Foodways https://commonplace.[...] Common Place 2024-06-30
[206] 서적 African American foodways: explorations of history and culture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207] 뉴스 Black influences have shaped American food for centuries https://www.savannah[...] 2021-01-01
[208] 웹사이트 A Guide to Planting an African-American/African Focused Yard in Miami-Dade County: An Overview of Landscape Design and Plants Grown in Traditional African-American Yards https://sfyl.ifas.uf[...] 2024-07-12
[209] 웹사이트 Rice in the Lowcountry https://ldhi.library[...] College of Charleston 2024-06-01
[210] 서적 Black rice: the African origins of rice cultivation in the Americas 2009-06-30
[211] 논문 Soul Food as Cultural Creation https://www.tandfonl[...] 2024-05-20
[212] 웹사이트 A brief look at Black American history told through 10 food traditions https://www.abqjourn[...] Albuquerque Journal 2024-06-03
[213] 웹사이트 Hoppin' John https://charlestonma[...] Charleston Magazine 2024-05-20
[214] 웹사이트 Discover the History of Charleston in Three Mouthwatering Meals https://www.smithson[...] Smithsonian Institution 2024-05-25
[215] 웹사이트 Origins of Soul Food https://libguides.su[...] Begley Library 2024-06-03
[216] 웹사이트 Food History and Family Travel: Rice Culture and Black Heritage in Berkeley County, SC https://www.blacksou[...] Black Southern Belle 2024-06-03
[217] 서적 Hog & Hominy: Soul Food from Africa to America 2008-10-08
[218] 뉴스 Soul food, African culture embedded in American cuisine https://afro.com/sou[...] 2021
[219] 웹사이트 Barbecue is more American than you think... it is a Native American culinary art. http://www.sofritofo[...] 2019-06-26
[220] 간행물 History of "Soul Food" Press & Sun-Bulletin 2013-02-03
[221] 서적 The Cornbread Gospels Workman Publishing
[222] 서적 The Autobiography of Malcolm X Grove Press
[223] 논문 What Early Dietary Studies of African Americans Tell Us About Soul Foods https://www.research[...] 2024-05-20
[224] 논문 Native American foods: History, culture, and influence on modern diets https://www.research[...] 2024-07-25
[225] 웹사이트 Black Seminoles—Gullahs Who Escaped From Slavery https://glc.yale.edu[...] Yale University 2022-08-26
[226] 서적 High on the Hog: A Culinary Journey from Africa to America https://books.google[...] Bloomsbury 2011
[227] 논문 Estelusti Marginality: A Qualitative Examination of the Black Seminole https://www.jpanafri[...] 2024-04-06
[228] 서적 The Southeastern Indians The University of Tennessee Press
[229] 서적 "To love the wind and the rain": African Americans and environmental history University of Pittsburgh Press
[230] 웹사이트 The Seasoning That Inspires Salty Looks and Kanye Hooks https://tastecooking[...] 2024-05-20
[231] 서적 Body and Soul Food https://books.google[...] Penguin Publishing Group
[232] 웹사이트 Soul Food Recipes https://www.wnep.com[...] 16WNEP 2024-05-20
[233] 웹사이트 Soul Food https://oxfordaasc.c[...] Oxford University 2024-05-20
[234] 웹사이트 Slave trade: How African foods influenced modern American cuisine https://www.un.org/a[...] United Nations 2024-05-20
[235] 웹사이트 Soul food roots: West Africa in Central Georgia kitchens https://maconmagazin[...] 2024-05-26
[236] 웹사이트 Why Old Bay Is Suddenly on Everything https://www.washingt[...] 2024-08-05
[237] 서적 I Heart Soul Food 100 Southern Comfort Food Favorites https://books.google[...] Sasquatch Books 2020
[238] 서적 Soul Food https://books.google[...] UNC Press Books
[239] 웹사이트 Niles Newbell Puckett {{!}} (1897–1967) Scholar https://mississippie[...] 2018-04-14
[240] 서적 Black Hunger: Food and the Politics of U.S. Identity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41] 논문 "Ebony Jr!" and "Soul Food": The Construction of Middle-Class African American Identity through the Use of Traditional Southern Foodways 2007
[242] 웹사이트 African Americans and the Gypsies: A cultural relationship formed through hardships https://sfbayview.co[...] 2013-09-27
[243] 웹사이트 Soul food | Description, History, & Ingredients |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44] 웹사이트 Food from the soul: A history of African American culture and nutrition https://thedo.osteop[...] American Osteopathic Association 2024-05-20
[245] 웹사이트 Southern Diet Blamed For High Rates Of Hypertension Among Black Americans https://www.npr.org/[...] 2018-10-02
[246] 논문 Can the African-American Diet be Made Healthier Without Giving up Culture — York College / CUNY https://www.york.cun[...] 2022-08-07
[247] 웹사이트 Backstory: Southern discomfort food http://www.csmonitor[...] The Christian Science Publishing Society 2006-11-09
[248] 서적 African American Food Culture https://books.google[...] ABC-CLIO 2009
[249] 서적 The Palgrave Handbook of Positive Education
[250] 서적 Food: The Key Concepts Berg 2008
[251] 서적 The Political Economy of Obesity: The Fat Pay All Routledge 2008
[252] 서적 Weighing In: Obesity, Food Justice, and the Limits of Capitalism University California Press 2011
[253] 뉴스 Healthy soul food ideas and recipes https://health.usnew[...] US News 2017-01-26
[254] 웹사이트 Is Black Veganism the Future of Soul Food https://www.zocalopu[...] Zocalo Public Square 2024-06-08
[255] 논문 "We're Not Meat Shamers. We're Plant Pushers.": How Owners of Local Vegan Soul Food Restaurants Promote Healthy Eating in the African American Community https://www.jstor.or[...] 2024-07-01
[256] 웹사이트 Meet 5 Black Women Paving the Way for Vegan Soul Food https://www.essence.[...] 2024-05-26
[257] 웹사이트 Collard greens http://www.whfoods.c[...] WHFoods 2009-06-20
[258] 웹사이트 Pot Liquor: A Southern Tip To Save Nutritious Broth From Greens https://www.npr.org/[...] 2013-08-07
[259] 웹사이트 Beans and pulses in your diet https://www.nhs.uk/l[...] 2018-04-27
[260] 웹사이트 デジタル大辞泉 http://dictionary.go[...]
[261] 웹사이트 Cafe Old Vienna http://www.cafeoldvi[...]
[262] 웹사이트 (ことばサプリ)ソウルフード 魂の料理から郷土料理へ:朝日新聞デジタル https://www.asahi.co[...] 2024-05-30
[263] 웹사이트 グリッツやビスケットが美味しいよ!アトランタで味わう米南部料理 https://web.archive.[...] www.travel.co.jp 2019-02-12
[264] 웹사이트 Backstory: Southern discomfort food http://www.csmonitor[...] The Christian Science Publishing Society 2006-11-09
[265] 웹사이트 Collard Greens http://www.whfoods.c[...]
[266] 웹사이트 Sweet potatoes http://www.whfoods.c[...]
[267] 웹사이트 "Soul Food" a brief history https://aaregistry.o[...] 2020-02-12
[268] 뉴스 Is It Southern Food, or Soul Food? https://www.nytimes.[...] 2023-06-08
[269] 서적 Soul Food Classic Cuisine from the Deep South https://books.google[...] Grove Press 199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