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한민국 제21대 국회의원 선거는 2020년 4월 15일에 실시되었으며, 공직선거법 개정으로 선거 제도가 일부 변경되었다. 만 18세 이상 국민에게 선거권이 주어졌고, 비례대표 의석 배분 방식에 변화가 생겨 준연동형 비례대표제가 도입되었다. 선거 결과, 더불어민주당은 180석을 확보하여 압승을 거두었고, 미래통합당은 103석을 얻었다. 정의당은 6석, 국민의당과 열린민주당은 각각 3석을 얻었으며, 여성 당선자는 57명으로 역대 최다를 기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20년 대한민국의 선거 - 2020년 대한민국 재보궐선거
2020년 대한민국 재보궐선거는 4월 15일에 전국 57개 선거구에서 기초단체장, 광역의원, 기초의원을 선출한 선거로, 전임자의 당선 무효, 사직, 피선거권 상실, 사망 등 다양한 사유로 실시되었다. - 2020년 4월 - 2020년 미국 인구 조사
2020년 미국 인구 조사는 10년마다 실시되는 인구 조사로, 미국 하원 의석 수 재분배, 선거구 조정, 연방 자금 배분을 위한 데이터를 제공하며, 코로나19 팬데믹과 논란 속에서 진행되었다. - 2020년 4월 - 2020년 대한민국 재보궐선거
2020년 대한민국 재보궐선거는 4월 15일에 전국 57개 선거구에서 기초단체장, 광역의원, 기초의원을 선출한 선거로, 전임자의 당선 무효, 사직, 피선거권 상실, 사망 등 다양한 사유로 실시되었다. - 대한민국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 대한민국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여론 조사
대한민국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여론 조사는 2018년부터 2020년 4월까지 실시되어 유권자 지지 성향과 선거 결과 예측에 기여했으며, 정당 지지율, 투표 의향, 선거 운동 기간 여론 변화 등을 조사하여 정당 지지율 변화와 유권자 평가를 파악하고, 특히 더불어민주당과 자유한국당의 지지율 변화와 심판론 관련 여론조사가 진행되었다. - 대한민국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 대한민국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강원도 결과
대한민국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강원도 지역구 선거 결과 더불어민주당은 3석, 미래통합당은 4석, 무소속은 1석을 얻었으며, 비례대표 투표에서는 미래한국당이 가장 높은 득표율을 기록했다.
대한민국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 |
---|---|
지도 및 이미지 | |
![]() | |
![]() | |
![]() | |
선거 정보 | |
국가 | 대한민국 |
선거 유형 | 국회의원 선거 |
이전 선거 |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
이전 선거 연도 | 2016년 |
선거일 | 2020년 4월 15일 |
다음 선거 |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
다음 선거 연도 | 2024년 |
선출 의석 수 | 300석 |
과반 의석 수 | 151석 |
투표율 | 66.2% ( 8.2%p) |
개표 결과 | 지역구 투표율: 66.19% ( 8.04%p) 비례대표 투표율: 66.21% ( 8.18%p) |
주요 정당 및 지도자 | |
정당1 | 더불어민주당 () |
정당1 지도자 | 이해찬 |
![]() | |
정당1 이전 선거 의석 | 123석 () |
정당1 당선 의석 | 180 |
정당1 의석 변화 | 57 |
정당1 지역구 득표 | 14,345,425 |
정당1 지역구 득표율 | 49.91% ( 12.84%p) |
정당1 비례대표 득표 | 9,307,112 |
정당1 비례대표 득표율 | 33.36% ( 6.93%p) |
정당2 | 미래통합당 () |
정당2 지도자 | 황교안 |
![]() | |
정당2 이전 선거 의석 | 122석 () |
정당2 당선 의석 | 103 |
정당2 의석 변화 | 19 |
정당2 지역구 득표 | 11,915,277 |
정당2 지역구 득표율 | 41.46% ( 3.13%p) |
정당2 비례대표 득표 | 9,441,520 |
정당2 비례대표 득표율 | 33.84% ( 0.34%p) |
정당3 | 정의당 |
정당3 지도자 | 심상정 |
![]() | |
정당3 이전 선거 의석 | 6석 |
정당3 당선 의석 | 6 |
정당3 지역구 득표 | 487,519 |
정당3 지역구 득표율 | 1.71% ( 0.06%p) |
정당3 비례대표 득표 | 2,697,956 |
정당3 비례대표 득표율 | 9.67% ( 2.43%p) |
정당4 | 국민의당 |
정당4 지도자 | 안철수 |
![]() | |
정당4 이전 선거 의석 | 신생 정당 |
정당4 당선 의석 | 3 |
정당4 의석 변화 | 신생 |
정당4 비례대표 득표 | 1,896,719 |
정당4 비례대표 득표율 | 6.80% (신생) |
정당5 | 열린민주당 |
정당5 지도자 | 이근식 |
정당5 이전 선거 의석 | 신생 정당 |
정당5 당선 의석 | 3 |
정당5 의석 변화 | 신생 |
정당5 비례대표 득표 | 1,512,763 |
정당5 비례대표 득표율 | 5.42% (신생) |
선거 전후 국회의장 | |
선거 전 국회의장 | 문희상 |
선거 전 국회의장 정당 | 더불어민주당 |
선거 후 국회의장 | 박병석 |
선거 후 국회의장 정당 | 더불어민주당 |
2. 선거 개요
2019년 12월에 개정된 공직선거법에 따라 만 18세 이상 대한민국 국민에게 선거권이 부여되었고, 준연동형 비례대표제가 도입되었다.[4] 자유한국당과 바른미래당 유승민 의원 등 주요 야당은 이에 반대하였으나, 여야 합의가 필요 없는 국회법 제85조의 ‘신속처리안건’ 제도를 활용하여 처리되었다.[5] 개정안은 2019년 12월 27일 자유한국당의 국회 본회의장 점거에도 불구하고 통과되었다.[4]
이번 총선에는 연동형 비례대표제라는 새로운 의석 배분 제도가 도입되어, 지역구 당선자가 많은 정당일수록 비례대표 의석 배분이 적어지는 방식이 적용되었다.
또한 이번 선거는 2019년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 유행의 영향을 크게 받았다. 국내에서는 총선 직전인 2월부터 바이러스가 급속도로 유행하여, 거리 선거운동이 중단되고 SNS와 전화를 활용하는 이례적인 선거 운동이 전개되었다. 한때 총선 일정 연기 가능성도 우려되었으나[59], 예정대로 선거가 치러졌고 투표소에서는 유권자들이 일회용 비닐장갑을 착용하는 등 감염 예방 조치가 취해졌다.[60] 해외에서는 바이러스의 세계적 유행으로 인해 재외선거가 40개국 65곳에서 불가능해졌다.[61]
정치적으로는 투표일인 2020년 4월 15일이 대통령 문재인의 임기 중반 시점이기 때문에, 문재인 정부에 대한 중간 평가 성격을 가지는 선거로 여겨졌다.[63][64][65]
2. 1. 선거 제도
이번 선거부터 준연동형 비례대표제가 적용됨에 따라[100][101] 비례대표 의석 47석 중 30석만 준연동형 비례대표제가 적용되고 나머지 17석은 병립제 방식으로 적용을 받게 된다.[102]2016년 선거에서는 300명의 국회의원이 선출되었는데, 그중 253명(84%)은 소선거구제에서 단순 다수 대표제 방식으로, 47명(16%)은 폐쇄명부식 비례대표제를 통해 최대 잉여 투표 방식으로 선출되었다.[2] 비례대표 의석을 얻으려면, 정당은 소선거구 5곳 또는 총 정당 득표율 3%의 선거구 제한을 넘어야 했다.[3]
2019년 2월, 추가 의석제를 통해 비례대표 의석 일부 배분 방식을 변경하는 선거법 개정안이 발의되었다.[4] 이 법안은 자유한국당과 바른미래당 유승민 의원 등 주요 야당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여야 합의가 필요 없는 국회법 제85조의 ‘신속처리안건’ 제도를 활용하여 처리되었다.[5]
개정안은 2019년 12월 27일 자유한국당의 국회 본회의장 점거에도 불구하고 통과되었다.[4] 국회의원 정수는 종전 선거와 마찬가지로 300석(소선거구제 253석, 비례대표제 47석)으로 유지되었다. 그러나 비례대표 의석 중 30석은 추가 의원 제도에 따라 배분되었고, 17석은 기존의 병립제 방식을 유지했다.[4][14]
새로운 제도에 대한 대응으로, 제1야당인 자유한국당은 비례대표 의석을 최대한 확보하기 위해 위성정당(미래한국당)을 창당했다.[16] 더불어민주당도 이에 맞서 위성정당인 더불어시민당을 창당했다.
이번 선거는 2019년 12월 개정된 공직선거법 이후 처음으로 치러지는 국정선거이다. 법 개정으로 인해 비례대표 의원의 절반 이상이 “연동형 비례대표제”라고 불리는 새로운 의석 배분 제도에 따라 선출된다. 신제도에서는 지역구(소선거구)의 당선자가 많은 정당일수록 배분되는 의석이 적어진다.
비례대표의 배분 방법은 다음과 같다.[56][57]
구분 | 내용 |
---|---|
연동형 비례대표제 (30석) | 정당 득표율 3% 제한을 통과한 정당(의석 배분 정당)의 득표율을 기준으로 계산한다. 의석 배분 정당의 지역구 수에 득표율을 곱한 값에서 지역구 당선 인원을 뺀 수의 정수부를 각 정당에 배분한다. 남은 의석은 소수점 이하가 큰 순서대로 배분한다. 계산 결과가 음수이면 의석 배분은 0으로 처리한다. (지역구와의 연동률: 최대 50%) |
비연동형 비례대표제 (17석) | 정당 득표율 3% 제한을 통과한 정당의 득표율을 기준으로 계산한다. 득표율의 정수부를 각 정당에 배분하고, 남은 의석은 소수점 이하가 큰 순서대로 배분한다. |
2. 2. 선거구
2019년 12월 27일 국회 본회의에서 공직선거법 개정안이 통과됨에 따라 '지역구 253석·비례대표 47석' 등 300석으로 의석수는 확정되었다.[103][104]2020년 3월 7일, 선거구가 획정되었다. 다음은 선거구 변동사항이다.
지역 | 20대 국회 지역구 | 21대 국회 지역구 | 비고(변경 사항) |
---|---|---|---|
인천 | 중구·동구·강화군·옹진군 | 중구·강화군·옹진군 | 구역 조정 명칭 변경 |
남구 갑/을 | 동구·미추홀구 갑/을 | ||
세종 | 세종특별자치시 | 세종특별자치시 갑/을 | 1석 증가 |
경기 | 부천시 원미구 갑/을, 부천시 오정구, 부천시 소사구 | 부천시 갑/을/병/정 | 명칭 변경 |
군포시 갑/을 | 군포시 | 통합 | |
강원 | 춘천시, 홍천군·철원군·화천군·양구군·인제군 | 춘천시·철원군·화천군·양구군 갑/을 | 구역 조정 |
동해시·삼척시 | 동해시·태백시·삼척시·정선군 | ||
속초시·양양군·고성군 | 속초시·인제군·고성군·양양군 | ||
태백시·횡성군·영월군·평창군·정선군 | 홍천군·횡성군·영월군·평창군 | ||
전남 | 순천시, 광양시·곡성군·구례군 | 순천시·광양시·곡성군·구례군 갑/을 | 구역 조정 |
경북 | 안동시, 영주시·문경시·예천군, 상주시·군위군·의성군·청송군, 영덕군·울진군·봉화군·영양군 | 안동시·예천군, 영주시·영양군·봉화군·울진군, 상주시·문경시, 군위군·의성군·청송군·영덕군 | 구역 조정 |
2. 3. 일정
공식 선거운동 기간은 2020년 3월 26일 0시부터 4월 8일 0시까지였다.[106] 2019년 12월 10일에는 국회의원 예비후보자 등록 신청이 시작되었다.[105]
대한민국 제21대 국회의원 선거에는 지역구 및 비례대표 후보를 등록한 다양한 정당들이 참여했다.[108][109]
3. 참여 정당과 후보자
{| class="wikitable"
|+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참여 정당
|-
! valign="top" width="60%" |
; 지역구 후보 등록 정당번호 정당 1 더불어민주당 2 미래통합당 3 민생당 6 정의당 (7) 우리공화당 (7-8) 민중당 친박신당 변동 번호 가자! 평화인권당 공화당 국가혁명배당금당 국민새정당 기독자유통일당 기본소득당 노동당 미래당 민중민주당 새누리당 충청의미래당 통일민주당 한국복지당 한나라당
| valign="top" width="40%" |
; 비례대표 후보 등록 정당번호 정당 3 민생당 4 미래한국당 5 더불어시민당 6 정의당 7 우리공화당 8 민중당 9 한국경제당 10 국민의당 11 친박신당 12 열린민주당 13 가자! 대~한민국 14 가자! 평화인권당 15 가자환경당 16 국가혁명배당금당 17 국민새정당 18 국민참여신당 19 기독자유통일당 20 깨어있는시민연대당 21 남북통일당 22 노동당 23 녹색당 24 대한당 25 대한민국당 26 미래당 27 미래민주당 28 새누리당 29 여성의당 30 우리당 31 자유당 32 자유의새벽당 33 중소자영업당 34 충청의미래당 35 통일민주당 36 한국복지당 37 홍익당
|}
의석이 같은 신생 원내 정당들 간의 비례대표 기호는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서 추첨을 통해 정했다. 복수의 무소속 후보는 개별 선거관리위원회에서 정당 후순으로 추첨했다.
이번 총선에는 개정된 공직선거법으로 인해 소수 정당이 유리해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면서 다양한 신생 정당들이 참여했다. 비례대표 후보 등록 정당은 35개에 달했고, 투표용지 길이는 48.1cm로 역대 최장이었다.[73]
3. 1. 원내정당
다음은 제21대 총선에 참가하는 정당 중 원내정당에 해당되는 정당 목록이다. 순서는 원내 의석수 순으로 정리하였다.[108][109]
정당 | 대표 | 이념 | 지난 선거 | 선거 전 | 지위 | |
---|---|---|---|---|---|---|
더불어민주당 | 이해찬 | 자유주의 | ||||
미래통합당 | 황교안 | 보수주의 | ||||
민생당 | 김정화 유성엽 | 보수 자유주의 | ||||
정의당 | 심상정 | 진보주의 | ||||
우리공화당 | 조원진 | 우익 포퓰리즘 | 존재하지 않음 | |||
민중당 | 이상규 | 진보주의 | 존재하지 않음 | |||
한국경제당 | 최종호 이은재 | 보수주의 | 0 | |||
국민의당 | 안철수 | 개혁주의 | 존재하지 않음 | |||
새로운보수당 | 홍문종 | 국가보수주의 | 존재하지 않음 | |||
열린민주당 | 이근식 | 자유주의 | 존재하지 않음 |
- 더불어민주당 (후보 목록) - 비례대표 후보들은 더불어시민당으로 가서 후보 등록하기로 확정했다.[111]
- * 더불어시민당 (후보 목록)
- 미래통합당 (후보 목록)
- * 미래한국당 (후보 목록)
- 민생당 (후보 목록)
- 정의당 (후보 목록)
- 우리공화당 (후보 목록)
- 민중당 (후보 목록)
- 한국경제당 (후보 목록)
- 국민의당 (후보 목록)
- 친박신당 (후보 목록)
- 열린민주당 (후보 목록)
3. 2. 원외정당
대한민국 제21대 국회의원 선거에는 다음과 같은 원외정당들이 후보로 등록하였다.[108][109]- 국가혁명배당금당은 2020년 3월 5일 예비후보자를 1017명 등록시키며 더불어민주당(463명)과 미래통합당(653명)보다 많은 예비후보 등록자 수 1위를 기록하였다.[116]
- 기본소득당은 2020년 1월 23일, 총선 출마를 선언하였으며, 2명이 지역구 후보로, 4명이 비례대표 후보로 출마하였다.[117] 비례대표 후보 출마자 중 1~2인은 더불어시민당으로 가서 비례대표 공천이 확정되었다.
- 녹색당은 2019년 12월 15일, 비례대표 후보 1단계 선출 투표 결과에서 6명의 후보자가 선출되었고,[118] 2020년 2월 12일, 2단계 선출 투표 결과에서 8명의 후보자가 선출되었다.[119]
- 미래당은 2020년 2월 10일, 4차 당원 총투표 결과에서 6명의 비례대표 후보자가 선출되었다.[120]
이 외에도, 노동당, 여성의당, 국민혁명당 등 여러 원외정당들이 후보를 냈다.
개정된 공직선거법으로 인해 비례대표에서 소수 정당이 유리해질 것이라는 전망이 있었고,[56], 이에 따라 여러 신생 정당이나 기존 국회에 의석을 가지지 못했던 정당들이 후보를 냈다.[72] 비례대표에 후보를 등록한 정당은 35개에 달했고, 그중 비례대표에만 후보를 등록한 정당은 20개였다. 이는 2004년 총선 이후 가장 많은 정당 수이며, 투표용지 길이도 48.1cm로 역대 최장이었다.[73]
{| class="wikitable"
|+ 지역구 및 비례대표 후보 등록 정당
|-
! valign="top" width="60%" |
; 지역구 후보 등록 정당
번호 | 정당 |
---|---|
1 | 더불어민주당 |
2 | 미래통합당 |
3 | 민생당 |
6 | 정의당 |
(7) | 우리공화당 |
(7-8) | 민중당 |
친박신당 | |
변동 번호 | 가자! 평화인권당 |
공화당 | |
국가혁명배당금당 | |
국민새정당 | |
기독자유통일당 | |
기본소득당 | |
노동당 | |
미래당 | |
민중민주당 | |
새누리당 | |
충청의미래당 | |
통일민주당 | |
한국복지당 | |
한나라당 |
| valign="top" width="40%" |
; 비례대표 후보 등록 정당
번호 | 정당 |
---|---|
3 | 민생당 |
4 | 미래한국당 |
5 | 더불어시민당 |
6 | 정의당 |
7 | 우리공화당 |
8 | 민중당 |
9 | 한국경제당 |
10 | 국민의당 |
11 | 친박신당 |
12 | 열린민주당 |
13 | 가자! 대~한민국 |
14 | 가자! 평화인권당 |
15 | 가자환경당 |
16 | 국가혁명배당금당 |
17 | 국민새정당 |
18 | 국민참여신당 |
19 | 기독자유통일당 |
20 | 깨어있는시민연대당 |
21 | 남북통일당 |
22 | 노동당 |
23 | 녹색당 |
24 | 대한당 |
25 | 대한민국당 |
26 | 미래당 |
27 | 미래민주당 |
28 | 새누리당 |
29 | 여성의당 |
30 | 우리당 |
31 | 자유당 |
32 | 자유의새벽당 |
33 | 중소자영업당 |
34 | 충청의미래당 |
35 | 통일민주당 |
36 | 한국복지당 |
37 | 홍익당 |
|}
4. 주요 공약
각 정당은 코로나19 대응, 경제 정책, 부동산 정책, 청년 정책 등 다양한 분야에서 공약을 제시했다.[121][122][123][124][125][126][127][128][129][130]
더불어민주당은 무료 와이파이 전국화를 1호 공약으로 발표했다. 2022년까지 전국에 공공 와이파이 53,000여 개를 구축하겠다고 밝혔다.[121] 2호 공약으로는 벤처 4대 강국 실현을 내세웠다. K-유니콘 프로젝트를 통해 유니콘 기업을 확대하고, 모태펀드에 매년 1조 원 이상을 투입하며, 코스닥 및 코넥스 전용 소득공제 장기투자펀드 신설, 스톡옵션 비과세 한도 확대 등을 약속했다.[122] 3호 공약으로는 청년 및 신혼 부부 맞춤형 도시 조성과 주택 10만 호 공급을 발표했다. 청년 및 신혼 부부 전용 수익공유형 모기지 공급, 공공주택 및 맞춤형 주거 금융 지원 등을 제공하겠다고 밝혔다.[123]
미래통합당은 공수처 폐지를 1호 공약으로 제시했다.[124] 2호 공약으로는 대한민국 경제 정책 프레임 대전환을 발표하며 재정건전화법 추진, 탈원전 정책 폐기, 고용계약법 제정 등을 약속했다.[125] 3호 공약으로는 주택 공약을 발표하며 노후 공동주택 재개발 및 재건축 규제 완화, 주택담보대출 기준 완화, 분양가 상한제 폐지 등을 제시했다.[126]
민생당은 코로나19 피해 중소상공인, 자영업자 지원을 1호 공약으로, 공공개혁을 2호 공약으로 발표했다.[127] 3호 공약으로는 5·18 광주 민주화 운동의 진상규명 및 헌법 개정을 제시했다.[127]
정의당은 청년기초자산제도 도입을 1호 공약으로 발표했다. 만 20세 청년에게 3,000만 원(부모가 없을 경우 최대 5,000만 원)을 지급하겠다고 밝혔다.[128] 2호 공약으로는 주거 및 부동산 정책을 발표하며 계약갱신청구권 및 전월세상한제 도입, 다주택자 보유세 강화 등을 약속했다.[129] 3호 공약으로는 최고임금제 도입을 발표하며 국회의원 보수를 최저임금의 5배로 제한하는 등의 내용을 담았다.[130]
우리공화당은 최저임금 5년간 동결, 주 52시간 근로제 폐지 등을 포함한 경제 정책 공약을 1호 공약으로 발표했다.[131] 2호 공약으로는 북핵 완전 폐기, 한미동맹 강화 등을 담은 국방안보 및 외교 정책 공약을 제시했다.[132]
민중당은 노동법 및 최저임금 사각지대 해소를 1호 공약으로, 농민수당법 제정을 2호 공약으로 발표했다. 3호 공약으로는 국토교통 개혁을 제시했다.
국민의당은 국회법 및 정당법 개혁을 1호 공약으로 발표했다. 국회 상임위원회 및 소위원회 자동개회 법제화, 국회의원 출결상황 공개 등을 약속했다.
열린민주당은 국회의원 국민소환제 도입을 1호 공약으로, 국회의원 3선 제한제 도입을 2호 공약으로, 국회의원 비례대표 국민참여경선 의무화 제도 도입을 3호 공약으로 발표했다.
이 외에도 국가혁명배당금당(1인당 매월 150만 원 국민배당금 지급), 기본소득당(매달 60만 원 기본소득 지급), 녹색당(탈탄소 및 탈핵 정책), 미래당(국회의원 최저임금제 도입), 여성의당(여성의제 정당 표방) 등 다양한 정당들이 각자의 공약을 발표했다.
5. 선거 과정
제21대 국회의원 선거는 문재인 대통령의 여당인 더불어민주당과 비례대표 정당인 더불어시민당이 총 300석 중 6할에 해당하는 180석을 획득하며 압승을 거두었다.[74] 반면, 최대 야당인 미래통합당과 비례대표 정당인 미래한국당은 103석에 그치며 참패했다.[74] 정의당은 6석, 국민의당은 3석, 열린민주당은 3석, 무소속은 5석을 차지했다.[75]
사전투표율은 26.69%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고,[76] 최종 투표율은 66.2%로 1992년 제14대 총선 (71.9%) 이후 가장 높았다.[77]
지역별로 보면, 더불어민주당은 서울을 포함한 수도권에서 압승했고, 전라도에서 거의 전승을 거두었다. 미래통합당은 경상도에서 거의 전승을 거두었다. 한국 정치를 좌우해 온 지역주의가 다시 나타나는 결과가 되었다.[78]
시도명 | 정당 | ||||
---|---|---|---|---|---|
더불어민주당 | 미래통합당 | 정의당 | 무소속 | ||
합계 | 163 | 84 | 1 | 5 | |
수도권 | 서울특별시 | 41 | 8 | ||
인천광역시 | 11 | 1 | 1 | ||
경기도 | 51 | 7 | 1 | ||
충청도 | 대전광역시 | 7 | |||
세종특별자치시 | 2 | ||||
충청남도 | 6 | 5 | |||
충청북도 | 5 | 3 | |||
전라도 | 광주광역시 | 8 | |||
전라남도 | 10 | ||||
전라북도 | 9 | 1 | |||
강원도 | 강원도 | 3 | 4 | 1 | |
경상도 | 부산광역시 | 3 | 15 | ||
울산광역시 | 1 | 5 | |||
경상남도 | 3 | 12 | 1 | ||
대구광역시 | 11 | 1 | |||
경상북도 | 13 | ||||
제주도 | 제주특별자치도 | 3 |
시도 | 정당 | |||||
---|---|---|---|---|---|---|
미래한국당 | 더불어시민당 | 정의당 | 국민의당 | 열린민주당 | ||
전국 평균 | 33.84 | 33.35 | 9.67 | 6.79 | 5.42 | |
수도권 | 서울특별시 | 33.10 | 33.20 | 9.73 | 8.26 | 5.88 |
인천광역시 | 31.32 | 34.57 | 11.82 | 6.68 | 5.21 | |
경기도 | 31.39 | 34.72 | 10.42 | 7.27 | 5.91 | |
충청도 | 대전광역시 | 32.25 | 33.68 | 9.80 | 7.93 | 5.46 |
세종특별자치시 | 25.57 | 36.53 | 12.27 | 9.22 | 7.32 | |
충청남도 | 35.40 | 31.23 | 9.68 | 6.39 | 4.64 | |
충청북도 | 36.26 | 30.86 | 10.36 | 6.15 | 4.64 | |
전라도 | 광주광역시 | 3.18 | 60.95 | 9.84 | 4.87 | 8.18 |
전라남도 | 4.18 | 60.34 | 9.56 | 3.87 | 6.96 | |
전라북도 | 5.73 | 56.02 | 12.01 | 4.09 | 9.02 | |
강원도 | 강원도 | 39.12 | 28.87 | 9.74 | 5.84 | 4.62 |
경상도 | 부산광역시 | 43.75 | 28.42 | 7.36 | 6.20 | 4.60 |
울산광역시 | 39.59 | 26.76 | 10.28 | 6.19 | 4.38 | |
경상남도 | 44.60 | 25.59 | 9.37 | 5.40 | 4.13 | |
대구광역시 | 54.79 | 16.23 | 6.37 | 8.65 | 3.03 | |
경상북도 | 56.76 | 16.14 | 6.53 | 5.57 | 2.86 | |
제주도 | 제주특별자치도 | 28.23 | 35.60 | 12.89 | 5.89 | 6.25 |
여성 당선자는 57명으로 역대 최다였으나, 지역구 전체 의석 중 여성 당선자 비율은 11.5%로 여전히 낮았다.[80]
정당 | 당선자 수 | 지역구 | 비례대표 | 비고 |
---|---|---|---|---|
더불어민주당 | 30 | 20 | 10 | 비례대표는 더불어시민당 |
미래통합당 | 18 | 8 | 10 | 비례대표는 미래한국당 |
정의당 | 5 | 1 | 4 | |
국민의당 | 2 | - | 2 | 지역구에는 후보자를 공천하지 않음 |
열린민주당 | 2 | - | 2 | 지역구에는 후보자를 공천하지 않음 |
5. 1. 여론 조사
wikitext5. 2. 투표
2020년 4월 3일과 4월 4일, 양일간 사전 투표가 실시되었으며, 역대 최고 투표율인 26.69%를 기록했다.[135] 사전투표는 전국 각지 투표소 3,508곳에서 시행됐다.[133][134] 지역별로는 전라남도가 35.77%로 가장 높았고, 대구광역시가 23.56%로 가장 낮았다.사전투표 참여율이 역대 최고치를 기록한 것은 코로나19 전파 우려로 사람이 몰리는 본투표일 대신 사전투표일에 투표장을 찾는 유권자가 많아진 것으로 풀이된다.[134] 또한, 치열한 양당 구도로 각 진영의 지지자가 결집한 점과, 사전투표 제도 자체에 익숙해진 유권자가 많아진 점도 이유로 꼽혔다.[133]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해 투표소 내 방역 조치가 강화되었다. 유권자들은 마스크를 착용하고 1m 이상 떨어져 있어야 했으며,[24][25] 투표소에 들어가기 전에 체온계를 사용하여 발열 여부를 확인하고 손 소독제를 사용해야 했으며 일회용 플라스틱 장갑을 지급받았다.[24][28] 37.5°C를 초과하는 체온을 가진 유권자는 분리된 투표 부스로 안내되었으며, 각 사용 후 소독되었다.[24][28]
본투표는 4월 8일에 실시되었으며, 한국 전쟁 중 치러진 1952년 선거를 포함하여 대한민국은 단 한 번도 선거를 연기한 적이 없다.[28]
5. 2. 1. 투표율
대한민국 제21대 국회의원 선거의 투표율은 66.2%로 마감되었으며, 이는 16년 만에 가장 높은 투표율이다.[138] 지역별로는 울산광역시가 68.6%로 가장 높았고, 충청남도가 62.4%로 가장 낮았다. 전국 기초자치단체 중에서는 포천시(58.7%)가 가장 낮았고, 진안군(77.7%)이 가장 높았다.구분 | 일자 | 7시 | 8시 | 9시 | 10시 | 11시 | 12시 | 13시 | 14시 | 15시 | 16시 | 17시 | 18시 |
---|---|---|---|---|---|---|---|---|---|---|---|---|---|
사전 투표[139] | 4월 3일 | 0.41% | 0.86% | 1.51% | 2.52% | 3.72% | 4.90% | 5.98% | 7.19% | 8.49% | 9.74% | 10.93% | 12.14% |
4월 4일 | 12.65% | 13.25% | 14.04% | 15.16% | 16.46% | 17.80% | 19.08% | 20.45% | 21.95% | 23.46% | 24.95% | 26.69% | |
본 투표[140] | 4월 8일 | 2.2% | 5.1% | 8.0% | 11.4% | 15.3% | 19.2% | 49.7% | 53.0% | 56.5% | 59.7% | 62.6% | 66.2% |
구분 | 일자 | 서울 | 부산 | 대구 | 인천 | 광주 | 대전 | 울산 | 세종 | 경기 | 강원 | 충북 | 충남 | 전북 | 전남 | 경북 | 경남 | 제주 |
---|---|---|---|---|---|---|---|---|---|---|---|---|---|---|---|---|---|---|
사전 투표 | 4월 3일 | 12.18% | 11.43% | 10.24% | 10.82% | 15.42% | 12.11% | 11.20% | 13.88% | 10.46% | 13.88% | 12.20% | 11.83% | 17.21% | 18.18% | 13.76% | 12.52% | 12.00% |
4월 4일 | 27.29% | 25.52% | 23.56% | 24.73% | 32.18% | 26.93% | 25.97% | 32.37% | 23.88% | 28.75% | 26.71% | 25.31% | 34.75% | 35.77% | 28.70% | 27.59% | 24.65% | |
본 투표 | 4월 8일 | 68.0% | 67.7% | 67.0% | 63.2% | 65.9% | 65.5% | 68.6% | 68.5% | 64.8% | 66.0% | 64.0% | 62.4% | 67.0% | 67.8% | 66.4% | 67.8% | 62.9% |
지역 | 최고 투표율 | 최저 투표율 | ||
---|---|---|---|---|
서울 | 서초구 | 71.7% | 중랑구 | 63.5% |
부산 | 연제구 | 70.4% | 중구 | 63.7% |
대구 | 수성구 | 72.8% | 서구 | 63.6% |
인천 | 옹진군 | 73.5% | 미추홀구 | 59.9% |
광주 | 남구 | 67.3% | 광산구 | 63.8% |
대전 | 유성구 | 69.3% | 동구 | 62.8% |
울산 | 중구 | 69.0% | 북구 | 67.9% |
경기 | 과천시 | 76.5% | 포천시 | 58.7% |
강원 | 고성군 | 72.9% | 속초시 | 62.8% |
충북 | 보은군 | 70.5% | 음성군 | 58.8% |
충남 | 계룡시 | 71.8% | 천안시 동남구 | 58.9% |
전북 | 진안군 | 77.7% | 익산시 | 63.6% |
전남 | 함평군 | 76.0% | 영암군 | 63.8% |
경북 | 군위군 | 74.3% | 칠곡군 | 61.0% |
경남 | 하동군 | 73.8% | 김해시 | 64.3% |
5. 3. 출구 조사
이번 총선의 출구조사는 지상파 3사 (KBS, MBC, SBS)와 방송사공동예측조사위원회 (KEP)의 공동 의뢰로 한국리서치, 코리아리서치, 입소스주식회사 3곳에서 조사를 수행했다. 선거 당일 오전 6시부터 오후 6시까지 전국 2,321개 투표소에서 조사원 약 13,000여 명이 투표자 약 50만~60만 명을 대상으로 조사했다.[141][142][143]코로나19 감염을 예방하는 차원에서 조사원이 마스크와 위생장갑을 의무 착용하고, 감독관이 수시로 돌아다니며 조사원의 체온 측정을 실시했으며, 조사를 마친 유권자가 사용한 펜도 일회용을 지급하여 본인이 가져가도록 조치하였다. 지난 대선에서 실시했던 정치 성향, 국정 어젠다 등의 심층 조사는 실시하지 않았다.[143]
선관위 측은 코로나 사태의 여파로 자가 격리자의 투표 시간을 오후 6시경으로 조정함에 따라, 출구조사 발표 시각을 투표 마감 오후 6시 정각에서 6시 15분으로 15분 늦추기로 결정했다.[141] 이는 예측 조사가 투표 마감 직후 발표될 시, 자가 격리 유권자들의 선택에 영향을 미쳐 선거의 공정성을 해칠 수 있다는 방송협회 측의 판단에 따른 것이다. 출구조사 결과를 타 언론사나 포털사이트에서 인용할 수 있는 시간도 15분 연기되어, 정당별 의석수와 제1당 예측 결과는 오후 6시 25분, 지역구별 당선자 예측 결과는 6시 35분이 지나야 인용 가능해졌다.[141][142]
오후 6시 15분, 지상파 3사는 일제히 다음과 같은 출구조사를 발표했다.
방송사 | 더불어민주당 더불어시민당 | 미래통합당 미래한국당 | 민생당 | 정의당 | 국민의당 | 열린민주당 | 무소속 |
---|---|---|---|---|---|---|---|
KBS | 155~178 | 107~130 | 0 | 5~7 | 2~4 | 1~3 | 1~7 |
MBC | 153~170 | 116~133 | 0 | 5~6 | 3~3 | 2~2 | 1~5 |
SBS | 153~177 | 107~131 | 0~4 | 4~8 | 3~5 | 0~3 | 0~8 |
보정 전 | 155~178 | 107~130 | 0 | 5~7 | 2~4 | 1~3 | 1~7 |
그러나 이번에도 출구조사는 상당히 빗나갔다. 더불어민주당의 승리와 미래통합당의 패배만 맞췄을 뿐 의석 수는 완전히 틀렸다. 더불어민주당은 비례대표 전용 선거 연합 정당인 더불어시민당과 합쳐서 총 180석을 획득해 방송 3사가 예측한 최대치보다 2개 더 많은 의석을 얻었고, 미래통합당은 위성 정당인 미래한국당과 합쳐서 총 103석을 얻는데 그쳐 방송 3사가 예측한 최소치보다 더 낮은 의석을 획득하였다.
6. 선거 결과
더불어민주당과 더불어시민당은 합계 180석을 획득하여 압승을 거두었다.[30] 이는 민주당계 정당 역사상 최대 의석이며, 제6공화국 이후 단일 정당 최다 의석이다.[24] 지난 총선에 이어 대선, 지선까지 전국 단위 선거에서 4연속 승리했다.
미래통합당과 미래한국당은 합쳐 103석으로, 보수정당 역사상 가장 적은 의석수를 기록했다.[31][32] 개헌 저지선(100석)은 확보했지만, 국회선진화법에 따른 신속처리안건 지정을 막을 수 있는 120석에는 미치지 못했다.
정의당은 6석(지역구 1석, 비례대표 5석)으로 지난 총선과 의석수가 같았다. 국민의당과 열린민주당은 각각 3석을 획득했다.
민생당은 지역구와 비례대표 모두에서 의석을 얻지 못하고 원외정당이 되었다. 우리공화당, 친박신당, 한국경제당, 민중당도 원외정당이 되었다. 여성의당은 0.74%를 득표했다.[144][145][146]
서울 강남구에서는 미래통합당 후보 태구민(태영호) 전 북한 외교관이 당선되어, 대한민국 국회의원 선거 사상 최초로 탈북자 출신 지역구 의원이 되었다.[33][34][35] 서울 종로에서는 더불어민주당 이낙연 후보가 미래통합당 황교안 후보를 이겨, 전직 국무총리 간 대결에서 승리했다.[36]
6. 1. 지역별 결과
지역 | 민주 | 미래통합 | 정의 | 무소속 | 합계 |
---|---|---|---|---|---|
서울 | 41 | 8 | 0 | 0 | 49 |
부산 | 3 | 15 | 0 | 0 | 18 |
대구 | 0 | 11 | 0 | 1 | 12 |
인천 | 11 | 1 | 0 | 1 | 13 |
광주 | 8 | 0 | 0 | 0 | 8 |
대전 | 7 | 0 | 0 | 0 | 7 |
울산 | 1 | 5 | 0 | 0 | 6 |
세종 | 2 | 0 | 0 | 0 | 2 |
경기 | 51 | 7 | 1 | 0 | 59 |
강원 | 3 | 4 | 0 | 1 | 8 |
충북 | 5 | 3 | 0 | 0 | 8 |
충남 | 6 | 5 | 0 | 0 | 11 |
전북 | 9 | 0 | 0 | 1 | 10 |
전남 | 10 | 0 | 0 | 0 | 10 |
경북 | 0 | 13 | 0 | 0 | 13 |
경남 | 3 | 12 | 0 | 1 | 16 |
제주 | 3 | 0 | 0 | 0 | 3 |
전국 | 163 | 84 | 1 | 5 | 253 |
더불어민주당은 수도권, 충청, 호남에서 압승을 거두었다. 특히 수도권에서는 서울 49석 중 41석, 경기 59석 중 51석, 인천 13석 중 11석을 차지하며 압도적인 승리를 거두었다. 충청권에서도 대전 7석, 세종 2석, 충북 8석 중 5석, 충남 11석 중 6석을 얻어 승리했다. 호남권에서는 광주 8석, 전북 10석 중 9석, 전남 10석을 모두 석권했다.
미래통합당은 영남 지역에서 강세를 보였다. 부산 18석 중 15석, 대구 12석 중 11석, 울산 6석 중 5석, 경북 13석, 경남 16석 중 12석을 차지하며 텃밭을 지켰다. 강원도에서도 8석 중 4석을 얻으며 선전했다.
정의당은 경기도 고양시 갑에서 심상정 후보가 당선되며 지역구 1석을 확보했다. 무소속 후보는 대구, 인천, 강원, 전북, 경남에서 각 1명씩 당선되었다.
이번 총선 결과, 더불어민주당은 지역구 163석과 비례대표 17석(더불어시민당)을 합쳐 총 180석을 확보, 1987년 민주화 이후 단일 정당 최다 의석이라는 압승을 거두었다. 반면 미래통합당은 지역구 84석과 비례대표 19석(미래한국당)을 합쳐 총 103석에 그쳐, 1960년 총선 이후 보수 정당 최악의 참패를 기록했다.
6. 2. 정당별 결과
정당명 | 지역구 | 비례대표 | 합계 | 의석 비율 / 득표율 | ||||||
---|---|---|---|---|---|---|---|---|---|---|
득표수 | 득표율 | 의석 | 득표수 | 득표율 | 의석 | 의석계 | 비율 | 지역구 대비 | 비례대표 대비 | |
더불어민주당 / 더불어시민당 | 14,345,425 | 49.91 | 163 | 9,307,112 | 33.36 | 17 | 180 | 60.00 | 1.20 | 1.80 |
미래통합당 / 미래한국당 | 11,915,277 | 41.46 | 84 | 9,441,520 | 33.84 | 19 | 103 | 34.33 | 0.83 | 1.01 |
정의당 | 492,100 | 1.71 | 1 | 2,697,956 | 9.67 | 5 | 6 | 2.00 | 1.17 | 0.21 |
국민의당 | - | - | - | 1,896,719 | 6.80 | 3 | 3 | 1.00 | - | 0.15 |
열린민주당 | - | - | - | 1,512,763 | 5.42 | 3 | 3 | 1.00 | - | 0.18 |
민생당 | 415,473 | 1.45 | - | 758,778 | 2.72 | - | - | - | - | - |
기독자유통일당 | 7,663 | 0.03 | - | 513,159 | 1.84 | - | - | - | - | - |
국가혁명배당금당 | 208,324 | 0.72 | - | 200,657 | 0.72 | - | - | - | - | - |
민중당 | 157,706 | 0.55 | - | 295,612 | 1.06 | - | - | - | - | - |
우리공화당 | 47,299 | 0.16 | - | 208,719 | 0.75 | - | - | - | - | - |
여성의당 | - | - | - | 208,697 | 0.75 | - | - | - | - | - |
친박신당 | 1,884 | 0.01 | - | 142,747 | 0.51 | - | - | - | - | - |
자유의새벽당 | - | - | - | 101,819 | 0.36 | - | - | - | - | - |
새누리당 | 269 | 0.00 | - | 80,208 | 0.29 | - | - | - | - | - |
녹색당 | - | - | - | 58,948 | 0.21 | - | - | - | - | - |
기타 정당 | 25,821 | 0.09 | - | 474,450 | 1.70 | - | - | - | - | - |
무소속 | 1,124,167 | 3.91 | 5 | - | - | - | 5 | 1.67 | 0.43 | - |
합계 | 28,741,408 | - | 253 | 27,899,864 | - | 47 | 300 | 100.0 | - | - |
무효표 | 380,059 | 1.31 | - | 1,226,532 | 4.21 | - | - | - | - | - |
투표수 | 29,121,467 | 66.24 | - | 29,126,396 | 66.21 | - | - | - | - | |
선거인 수 | 43,961,157 | - | - | 43,994,247 | - | - | - | - | - | |
출처 |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선거통계시스템(역대선거) (nec.go.kr) |
개표 결과, 더불어민주당은 지역구 163석, 비례대표 17석(더불어시민당)으로 총 180석을 확보하며 압승을 거두었다. 이는 민주당계 정당 역사상 최대 의석수이자, 제6공화국 이후 단일 정당 최다 의석 기록이다. 반면, 미래통합당은 지역구 84석, 비례대표 19석(미래한국당)으로 총 103석을 확보하는 데 그쳐, 보수정당 역사상 최저 의석수를 기록했다.
정의당은 지역구 1석, 비례대표 5석으로 총 6석을 얻는 데 그쳤고, 국민의당과 열린민주당은 각각 비례대표 3석을 확보했다. 민생당을 비롯한 우리공화당, 친박신당, 한국경제당, 민중당 등은 원내 진입에 실패했다.
6. 3. 정당별 의석수
개표 결과, 더불어민주당은 더불어시민당과 합쳐 180석을 확보하며 압승을 거두었다. 이는 제6공화국 수립 이후 민주당계 정당이 획득한 최대 의석수이자, 단일 정당으로서도 가장 많은 의석수이다. 이로써 대선, 지선에 이어 전국 단위 선거에서 4연속 승리하는 기록을 세웠다.[144][145][146]반면, 미래통합당은 미래한국당과 합쳐 103석을 얻는 데 그쳤다. 이는 보수정당 역사상 가장 적은 의석수이다. 개헌 저지선(100석)은 지켰지만, 국회선진화법에 따른 신속 상정을 막을 수 있는 120석 확보에는 실패했다.[144][145][146]
정의당은 6석(지역구 1석, 비례대표 5석)을 얻어 지난 총선과 같은 의석수를 유지했다. 국민의당과 열린민주당은 각각 3석을 확보했다.[144][145][146]
민생당은 지역구와 비례대표 모두에서 의석을 얻지 못하고 원외정당으로 전락했다. 우리공화당, 친박신당, 한국경제당, 민중당 역시 의석 확보에 실패했다.[144][145][146]
정당명 | 지역구 | 비례대표 | 합계 | 의석 비율 / 득표율 | ||||||
---|---|---|---|---|---|---|---|---|---|---|
득표수 | 득표율 | 의석 | 득표수 | 득표율 | 의석 | 의석 합계 | 비율 | 지역구 대비 | 비례대표 대비 | |
더불어민주당/더불어시민당 | 14,345,425 | 49.91 | 163 | 9,307,112 | 33.36 | 17 | 180 | 60.00 | 1.20 | 1.80 |
미래통합당/미래한국당 | 11,915,277 | 41.46 | 84 | 9,441,520 | 33.84 | 19 | 103 | 34.33 | 0.83 | 1.01 |
정의당 | 492,100 | 1.71 | 1 | 2,697,956 | 9.67 | 5 | 6 | 2.00 | 1.17 | 0.21 |
국민의당 | - | - | - | 1,896,719 | 6.80 | 3 | 3 | 1.00 | - | 0.15 |
열린민주당 | - | - | - | 1,512,763 | 5.42 | 3 | 3 | 1.00 | - | 0.18 |
민생당 | 415,473 | 1.45 | - | 758,778 | 2.72 | - | - | - | ||
기독자유통일당 | 7,663 | 0.03 | - | 513,159 | 1.84 | - | - | - | ||
국가혁명배당금당 | 208,324 | 0.72 | - | 200,657 | 0.72 | - | - | - | ||
민중당 | 157,706 | 0.55 | - | 295,612 | 1.06 | - | - | - | ||
우리공화당 | 47,299 | 0.16 | - | 208,719 | 0.75 | - | - | - | ||
여성의당 | - | - | - | 208,697 | 0.75 | - | - | - | ||
친박신당 | 1,884 | 0.01 | - | 142,747 | 0.51 | - | - | - | ||
새벽당 | - | - | - | 101,819 | 0.36 | - | - | - | ||
새누리당 | 269 | 0.00 | - | 80,208 | 0.29 | - | - | - | ||
녹색당 | - | - | - | 58,948 | 0.21 | - | - | - | ||
기타 정당 | 25,821 | 0.09 | - | 474,450 | 1.70 | - | - | - | ||
무소속 | 1,124,167 | 3.91 | 5 | - | - | - | 5 | 1.67 | 0.43 | - |
합계 | 28,741,408 | 253 | 27,899,864 | 47 | 300 | 100.0 |
6. 4. 시도별 의석수
지역 | 민주 | 미래통합 | 정의 | 무소속 | 합계 |
---|---|---|---|---|---|
서울 | 41 | 8 | 0 | 0 | 49 |
부산 | 3 | 15 | 0 | 0 | 18 |
대구 | 0 | 11 | 0 | 1 | 12 |
인천 | 11 | 1 | 0 | 1 | 13 |
광주 | 8 | 0 | 0 | 0 | 8 |
대전 | 7 | 0 | 0 | 0 | 7 |
울산 | 1 | 5 | 0 | 0 | 6 |
세종 | 2 | 0 | 0 | 0 | 2 |
경기 | 51 | 7 | 1 | 0 | 59 |
강원 | 3 | 4 | 0 | 1 | 8 |
충북 | 5 | 3 | 0 | 0 | 8 |
충남 | 6 | 5 | 0 | 0 | 11 |
전북 | 9 | 0 | 0 | 1 | 10 |
전남 | 10 | 0 | 0 | 0 | 10 |
경북 | 0 | 13 | 0 | 0 | 13 |
경남 | 3 | 12 | 0 | 1 | 16 |
제주 | 3 | 0 | 0 | 0 | 3 |
전국 | 163 | 84 | 1 | 5 | 253 |
6. 5. 지역구 득표 결과
정당명 | 지역구 | 비례대표 | 합계 | 의석 비율 / 득표율 | ||||||
---|---|---|---|---|---|---|---|---|---|---|
득표수 | 득표율 | 의석 | 득표수 | 득표율 | 의석 | 의석 합계 | 비율 | 지역구 대비 | 비례대표 대비 | |
더불어민주당/더불어시민당 | 14,345,425 | 49.91 | 163 | 9,307,112 | 33.36 | 17 | 180 | 60.00 | 1.20 | 1.80 |
미래통합당/미래한국당 | 11,915,277 | 41.46 | 84 | 9,441,520 | 33.84 | 19 | 103 | 34.33 | 0.83 | 1.01 |
정의당 | 492,100 | 1.71 | 1 | 2,697,956 | 9.67 | 5 | 6 | 2.00 | 1.17 | 0.21 |
국민의당 | - | - | - | 1,896,719 | 6.80 | 3 | 3 | 1.00 | - | 0.15 |
열린민주당 | - | - | - | 1,512,763 | 5.42 | 3 | 3 | 1.00 | - | 0.18 |
민생당 | 415,473 | 1.45 | - | 758,778 | 2.72 | - | - | - | ||
기독자유통일당 | 7,663 | 0.03 | - | 513,159 | 1.84 | - | - | - | ||
국가혁명배당금당 | 208,324 | 0.72 | - | 200,657 | 0.72 | - | - | - | ||
민중당 | 157,706 | 0.55 | - | 295,612 | 1.06 | - | - | - | ||
우리공화당 | 47,299 | 0.16 | - | 208,719 | 0.75 | - | - | - | ||
여성의당 | - | - | - | 208,697 | 0.75 | - | - | - | ||
친박신당 | 1,884 | 0.01 | - | 142,747 | 0.51 | - | - | - | ||
자유의새벽당 | - | - | - | 101,819 | 0.36 | - | - | - | ||
새누리당 | 269 | 0.00 | - | 80,208 | 0.29 | - | - | - | ||
녹색당 | - | - | - | 58,948 | 0.21 | - | - | - | ||
기타 정당 | 25,821 | 0.09 | - | 474,450 | 1.70 | - | - | - | ||
무소속 | 1,124,167 | 3.91 | 5 | - | - | - | 5 | 1.67 | 0.43 | - |
합 계 | 28,741,408 | 253 | 27,899,864 | 47 | 300 | 100.0 | ||||
무효표 | 380,059 | 1.31 | 1,226,532 | 4.21 | ||||||
투표수 | 29,121,467 | 66.24 | 29,126,396 | 66.21 | ||||||
선거인수 | 43,961,157 | 43,994,247 | ||||||||
출처 |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선거통계시스템(역대선거) |
기호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당선인 | 비고 |
---|---|---|---|---|---|
1 | 더불어민주당 | 49.91% | 163 | ||
2 | 미래통합당 | 41.45% | 84 | ||
3 | 민생당 | 1.44% | |||
6 | 정의당 | 1.69% | 1 | ||
(7) | 우리공화당 | 0.16% | |||
(7) | 민중당 | 0.59% | |||
(7) | 친박신당 | 0.006% | |||
가자!평화인권당 | 0.0005% | ||||
공화당 | 0.0002% | ||||
국가혁명배당금당 | 0.72% | ||||
국민새정당 | 0.0002% | ||||
기독자유통일당 | 0.02% | ||||
기본소득당 | 0.02% | ||||
노동당 | 0.05% | ||||
미래당 | 0.005% | ||||
민중민주당 | 0.0002% | ||||
새누리당 | 0.009% | ||||
충청의미래당 | 0.004% | ||||
통일민주당 | 0.002% | ||||
한국복지당 | 0.002% | ||||
한나라당 | 0.004% | ||||
무소속 | 3.91% | 5 | |||
총합 | 28,741,408| | 253 |
더불어민주당은 지역구에서 163석을 얻어 압승을 거두었다. 반면 미래통합당은 84석을 얻는데 그쳤다. 정의당은 심상정 대표만이 지역구에서 당선되어 1석을 얻었다. 민생당을 비롯한 다른 정당들은 지역구 의석을 얻지 못했다. 무소속 후보는 5명이 당선되었다.
개표 결과, 더불어민주당은 더불어시민당과 합쳐 180석을 확보하며 압승을 거두었다.[30] 이는 민주당계 정당 역사상 최대 의석 확보이며, 제6공화국 이후 단일 정당 최다 의석이다.[24] 지난 총선에 이어 대선, 지선까지 전국단위 선거 4연속 승리라는 기록도 세웠다.
미래통합당은 미래한국당과 합쳐 103석에 그쳐, 보수정당 역사상 가장 적은 의석수를 기록했다.[31][32] 개헌 저지선(100석)은 지켰으나, 국회선진화법에 따른 신속처리안건 지정을 막을 수 있는 120석 확보에는 실패했다.
정의당은 6석(지역구 1석, 비례대표 5석)을 얻어 지난 총선과 같은 의석수를 유지했다. 국민의당과 열린민주당은 각각 3석을 얻었다.
민생당은 지역구 전패, 비례대표 득표율 2.7%로 원외정당으로 전락했다. 우리공화당, 친박신당, 한국경제당, 민중당도 원외정당이 되었다. 여성의당은 0.74%를 득표했다.[144][145][146]
서울 강남구에서는 미래통합당 후보 태구민(태영호) 전 북한 외교관이 당선되어, 대한민국 국회의원 선거 사상 최초로 탈북자 출신 지역구 의원이 되었다.[33][34][35] 전직 국무총리 간 대결로 주목받은 서울 종로에서는 더불어민주당 이낙연 후보가 미래통합당 황교안 후보를 이겼다.[36]
6. 6. 비례대표 득표 결과
정당명 | 비례대표 | 합계 | 의석 비율 | ||
---|---|---|---|---|---|
득표수 | 득표율 | 의석 | 비율 | ||
미래한국당 | 9,441,520 | 33.84 | 19 | 34.33 | |
더불어시민당 | 9,307,112 | 33.35 | 17 | 60.00 | |
정의당 | 2,697,956 | 9.67 | 5 | 2.00 | |
국민의당 | 1,896,719 | 6.79 | 3 | 1.00 | |
열린민주당 | 1,512,763 | 5.42 | 3 | 1.00 | |
민생당 | 758,778 | 2.72 | 0 | - | |
기타 정당 | 2,285,016 | 8.21 | 0 | - | |
합 계 | 27,899,864 | 47 | 100.0 | ||
무효표 | 1,226,532 | 4.21 | |||
투표수 | 29,126,396 | 66.21 | |||
선거인수 | 43,994,247 | ||||
출처 | 개표현황 |
대한민국 제21대 국회의원 선거의 비례대표 선거 결과, 미래한국당이 33.84%로 가장 높은 득표율을 기록했고, 더불어시민당이 33.35%로 그 뒤를 이었다. 정의당은 9.67%, 국민의당은 6.79%, 열린민주당은 5.42%를 득표했다.[144][145][146]
미래통합당의 위성정당인 미래한국당은 19석, 더불어민주당의 위성정당인 더불어시민당은 17석을 획득했다. 정의당은 5석, 국민의당과 열린민주당은 각각 3석을 얻었다. 20대 국회에서 원내 제3당이었던 민생당은 2.7%의 득표율로 의석 확보에 실패하며 원외정당으로 물러났다.[144][145][146]
7. 당선자
제21대 국회의원 선거의 지역구 당선자는 총 253명이며, 더불어민주당 163명, 미래통합당 84명, 정의당 1명, 무소속 5명이다.[144][145][146] 비례대표는 총 47명으로, 미래한국당 19명, 더불어시민당 17명, 정의당 5명, 국민의당 3명, 열린민주당 3명이 당선되었다.
구 분 | 정 당 | 당선자 수 |
---|---|---|
지 역 구 | 더불어민주당 | 163 |
미래통합당 | 84 | |
정의당 | 1 | |
무소속 | 5 | |
총 합 | 253 | |
비례대표 | 미래한국당 | 19 |
더불어시민당 | 17 | |
정의당 | 5 | |
국민의당 | 3 | |
열린민주당 | 3 | |
총 합 | 47 |
7. 1. 지역구
기호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당선인 | 비고 |
---|---|---|---|---|---|
1 | 더불어민주당 | 14,345,425 | 49.91% | 163 | |
2 | 미래통합당 | 11,915,277 | 41.45% | 84 | |
6 | 정의당 | 487,519 | 1.69% | 1 | |
무소속 | 1,124,167 | 3.91% | 5 | ||
총합 | 28,741,408 | 253 |
{| class="wikitable" style="font-size:80%; margin-right:0px; white-space:nowrap; line-height:1.4em;"
! width="90" | 시·도
! colspan="4" | 선거구 / 당선자
|-
! rowspan="39" | 서울특별시
! style="text-align:left;" width="180" | 종로구
! style="text-align:left;" width="180" | 중구·성동구 갑
! style="text-align:left;" width="180" | 중구·성동구 을
! style="text-align:left;" width="180" | 용산구
|-
| bgcolor= |
| bgcolor= |
| bgcolor= |
| bgcolor= |
|-
| height="6" colspan="4" |
|-
! style="text-align:left;" | 광진구 갑
! style="text-align:left;" | 광진구 을
! style="text-align:left;" | 동대문구 갑
! style="text-align:left;" | 동대문구 을
|-
| bgcolor= |
| bgcolor= |
| bgcolor= |
| bgcolor= |
|-
| height="6" colspan="4" |
|-
! style="text-align:left;" | 중랑구 갑
! style="text-align:left;" | 중랑구 을
! style="text-align:left;" | 성북구 갑
! style="text-align:left;" | 성북구 을
|-
| bgcolor= |
| bgcolor= |
| bgcolor= |
| bgcolor= |
|-
| height="6" colspan="4" |
|-
! style="text-align:left;" | 강북구 갑
! style="text-align:left;" | 강북구 을
! style="text-align:left;" | 도봉구 갑
! style="text-align:left;" | 도봉구 을
|-
| bgcolor= |
| bgcolor= |
| bgcolor= |
| bgcolor= |
|-
| height="6" colspan="4" |
|-
! style="text-align:left;" | 노원구 갑
! style="text-align:left;" | 노원구 을
! style="text-align:left;" | 노원구 병
! style="text-align:left;" | 은평구 갑
|-
| bgcolor= |
| bgcolor= |
| bgcolor= |
| bgcolor= |
|-
| height="6" colspan="4" |
|-
! style="text-align:left;" | 은평구 을
! style="text-align:left;" | 서대문구 갑
! style="text-align:left;" | 서대문구 을
! style="text-align:left;" | 마포구 갑
|-
| bgcolor= |
| bgcolor= |
| bgcolor= |
| bgcolor= |
|-
| height="6" colspan="4" |
|-
! style="text-align:left;" | 마포구 을
! style="text-align:left;" | 양천구 갑
! style="text-align:left;" | 양천구 을
! style="text-align:left;" | 강서구 갑
|-
| bgcolor= |
| bgcolor= |
| bgcolor= |
| bgcolor= |
|-
| height="6" colspan="4" |
|-
! style="text-align:left;" | 강서구 을
! style="text-align:left;" | 강서구 병
! style="text-align:left;" | 구로구 갑
! style="text-align:left;" | 구로구 을
|-
| bgcolor= |
| bgcolor= |
| bgcolor= |
| bgcolor= |
|-
| height="6" colspan="4" |
|-
! style="text-align:left;" | 금천구
! style="text-align:left;" | 영등포구 갑
! style="text-align:left;" | 영등포구 을
! style="text-align:left;" | 동작구 갑
|-
| bgcolor= |
| bgcolor= |
| bgcolor= |
| bgcolor= |
|-
| height="6" colspan="4" |
|-
! style="text-align:left;" | 동작구 을
! style="text-align:left;" | 관악구 갑
! style="text-align:left;" | 관악구 을
! style="text-align:left;" | 서초구 갑
|-
| bgcolor= |
| bgcolor= |
| bgcolor= |
| bgcolor= |
|-
| height="6" colspan="4" |
|-
! style="text-align:left;" | 서초구 을
! style="text-align:left;" | 강남구 갑
! style="text-align:left;" | 강남구 을
! style="text-align:left;" | 강남구 병
|-
| bgcolor= |
| bgcolor= |
| bgcolor= |
| bgcolor= |
|-
| height="6" colspan="4" |
|-
! style="text-align:left;" | 송파구 갑
! style="text-align:left;" | 송파구 을
! style="text-align:left;" | 송파구 병
! style="text-align:left;" | 강동구 갑
|-
| bgcolor= |
| bgcolor= |
| bgcolor= |
| bgcolor= |
|-
| height="6" colspan="4" |
|-
! style="text-align:left;" | 강동구 을
| rowspan="2" colspan="3" |
|-
| bgcolor= |
|-
| height="6" colspan="4" |
|-
! rowspan="15" | 부산광역시
! style="text-align:left;" | 중구·영도구
! style="text-align:left;" | 서구·동구
! style="text-align:left;" | 부산진구 갑
! style="text-align:left;" | 부산진구 을
|-
| bgcolor= |
| bgcolor= |
| bgcolor= |
| bgcolor= |
|-
| height="6" colspan="4" |
|-
! style="text-align:left;" | 동래구
! style="text-align:left;" | 남구 갑
! style="text-align:left;" | 남구 을
! style="text-align:left;" | 북구·강서구 갑
|-
| bgcolor= |
| bgcolor= |
| bgcolor= |
| bgcolor= |
|-
| height="6" colspan="4" |
|-
! style="text-align:left;" | 북구·강서구 을
! style="text-align:left;" | 해운대구 갑
! style="text-align:left;" | 해운대구 을
! style="text-align:left;" | 사하구 갑
|-
| bgcolor= |
| bgcolor= |
| bgcolor= |
| bgcolor= |
|-
| height="6" colspan="4" |
|-
! style="text-align:left;" | 사하구 을
! style="text-align:left;" | 금정구
! style="text-align:left;" | 연제구
! style="text-align:left;" | 수영구
|-
| bgcolor= |
| bgcolor= |
| bgcolor= |
| bgcolor= |
|-
| height="6" colspan="4" |
|-
! style="text-align:left;" | 사상구
! style="text-align:left;" | 기장군
| rowspan="2" colspan="2" |
|-
| bgcolor= |
| bgcolor= |
|-
| height="6" colspan="4" |
|-
! rowspan="9" | 대구광역시
! style="text-align:left;" | 중구·남구
! style="text-align:left;" | 동구 갑
! style="text-align:left;" | 동구 을
! style="text-align:left;" | 서구
|-
| bgcolor= |
| bgcolor= |
| bgcolor= |
| bgcolor= |
|-
| height="6" colspan="4" |
|-
! style="text-align:left;" | 북구 갑
! style="text-align:left;" | 북구 을
! style="text-align:left;" | 수성구 갑
! style="text-align:left;" | 수성구 을
|-
| bgcolor= |
| bgcolor= |
| bgcolor= |
| bgcolor= |
|-
| height="6" colspan="4" |
|-
! style="text-align:left;" | 달서구 갑
! style="text-align:left;" | 달서구 을
! style="text-align:left;" | 달서구 병
! style="text-align:left;" | 달성군
|-
| bgcolor= |
| bgcolor= |
| bgcolor= |
| bgcolor= |
|-
| height="6" colspan="4" |
|-
! rowspan="12" | 인천광역시
! style="text-align:left;" | 중구·강화군·옹진군
! style="text-align:left;" | 동구·미추홀구 갑
! style="text-align:left;" | 동구·미추홀구 을
! style="text-align:left;" | 연수구 갑
|-
| bgcolor= |
| bgcolor= |
| bgcolor= |
| bgcolor= |
|-
| height="6" colspan="4" |
|-
! style="text-align:left;" | 연수구 을
! style="text-align:left;" | 남동구 갑
! style="text-align:left;" | 남동구 을
! style="text-align:left;" | 부평구 갑
|-
| bgcolor= |
| bgcolor= |
| bgcolor= |
| bgcolor= |
|-
| height="6" colspan="4" |
|-
! style="text-align:left;" | 부평구 을
! style="text-align:left;" | 계양구 갑
! style="text-align:left;" | 계양구 을
! style="text-align:left;" | 서구 갑
|-
| bgcolor= |
| bgcolor= |
| bgcolor= |
| bgcolor= |
|-
| height="6" colspan="4" |
|-
! style="text-align:left;" | 서구 을
| rowspan="2" colspan="3" |
|-
| bgcolor= |
|-
| height="6" colspan="4" |
|-
! rowspan="6" | 광주광역시
! style="text-align:left;" | 동구·남구 갑
! style="text-align:left;" | 동구·남구 을
! style="text-align:left;" | 서구 갑
! style="text-align:left;" | 서구 을
|-
| bgcolor= |
| bgcolor= |
| bgcolor= |
| bgcolor= |
|-
| height="6" colspan="4" |
|-
! style="text-align:left;" | 북구 갑
! style="text-align:left;" | 북구 을
! style="text-align:left;" | 광산구 갑
! style="text-align:left;" | 광산구 을
|-
| bgcolor= |
| bgcolor= |
| bgcolor= |
| bgcolor= |
|-
| height="6" colspan="4" |
|-
! rowspan="6" | 대전광역시
! style="text-align:left;" | 동구
! style="text-align:left;" | 중구
! style="text-align:left;" | 서구 갑
! style="text-align:left;" | 서구 을
|-
| bgcolor= |
| bgcolor= |
| bgcolor= |
| bgcolor= |
|-
| height="6" colspan="4" |
|-
! style="text-align:left;" | 유성구 갑
! style="text-align:left;" | 유성구 을
! style="text-align:left;" | 대덕구
| rowspan="2" colspan="1" |
|-
| bgcolor= |
| bgcolor= |
| bgcolor= |
|-
| height="6" colspan="4" |
|-
! rowspan="6" | 울산광역시
! style="text-align:left;" | 중구
! style="text-align:left;" | 남구 갑
! style="text-align:left;" | 남구 을
! style="text-align:left;" | 동구
|-
| bgcolor= |
| bgcolor= |
| bgcolor= |
| bgcolor= |
|-
| height="6" colspan="4" |
|-
! style="text-align:left;" | 북구
! style="text-align:left;" | 울주군
| rowspan="2" colspan="2" |
|-
| bgcolor= |
| bgcolor= |
|-
| height="6" colspan="4" |
|-
! rowspan="3" | 세종특별자치시
! style="text-align:left;" | 세종특별자치시 갑
! style="text-align:left;" | 세종특별자치시 을
| rowspan="2" colspan="2" |
|-
| bgcolor= |
| bgcolor= |
|-
| height="6" colspan="4" |
|-
! rowspan="45" | 경기도
! style="text-align:left;" | 수원시 갑
! style="text-align:left;" | 수원시 을
7. 2. 비례대표
21대 총선의 비례대표 개표 결과, 미래한국당 19석, 더불어시민당 17석, 정의당 5석, 국민의당 3석, 열린민주당 3석으로 총 47석이 결정되었다.[144][145][146]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당선자 수 |
---|---|---|---|
미래한국당 | 9,441,520 | 33.84 | 19 |
더불어시민당 | 9,307,112 | 33.35 | 17 |
정의당 | 2,697,956 | 9.67 | 5 |
국민의당 | 1,896,719 | 6.79 | 3 |
열린민주당 | 1,512,763 | 5.42 | 3 |
민생당 | 758,778 | 2.71 | 0 |
기독자유통일당 | 513,159 | 1.83 | 0 |
민중당 | 295,612 | 1.05 | 0 |
우리공화당 | 208,719 | 0.74 | 0 |
여성의당 | 208,697 | 0.74 | 0 |
기타 정당 | - | - | 0 |
순번 | 미래한국당 | 더불어시민당 | 정의당 | 국민의당 | 열린민주당 |
---|---|---|---|---|---|
1 | 윤주경 | 신현영 | 류호정 | 최연숙 | 김진애 |
2 | 윤창현 | 김경만 | 장혜영 | 이태규 | 최강욱 |
3 | 한무경 | 권인숙 | 강은미 | 권은희 | 강민정 |
4 | 이종성 | 이동주 | 배진교 | ||
5 | 조수진 | 용혜인 | 이은주 | ||
6 | 조태용 | 조정훈 | |||
7 | 정경희 | 윤미향 | |||
8 | 신원식 | 정필모 | |||
9 | 조명희 | 양원영 | |||
10 | 박대수 | 유정주 | |||
11 | 김예지 | 최혜영 | |||
12 | 지성호 | 김병주 | |||
13 | 이영 | 이수진 | |||
14 | 최승재 | 김홍걸 | |||
15 | 전주혜 | 양정숙 | |||
16 | 정운천 | 전용기 | |||
17 | 서정숙 | 양경숙 | |||
18 | 이용 | ||||
19 | 허은아 | ||||
8. 정당별 반응
더불어민주당과 더불어시민당은 총선 결과 180석을 얻어 압승을 거두었다. 이는 원내 과반수 151석 이상 획득과 원내 1당 지위 유지를 넘어서는 결과였다. 지역구에서는 수도권 121석 중 103석에서 승리하는 등 압도적인 지지를 받았다. 특히 지난 20대 총선에서 패배했던 중구성동을, 도봉을, 강북갑, 관악갑, 관악을, 양천을, 강서을, 동작을 등을 탈환하며 세를 확장했다. 다만, 보수세가 강한 서울 동남권 일부 지역구와 용산에서는 패배했다. 부산·울산·경남에서는 당초 예상보다 낮은 7석 확보에 그쳤지만, 평균 득표율이 상승하고 교두보를 확보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호남권에서는 압승을 거두었고, 제주도 석권, 충청 지역 압승, 강원도에서 3석을 얻는 등 전국적인 지지를 확인했다. 그러나 대구·경북에서는 완패했다. 이러한 압승에 대해 당 내부에서는 독이 될 수도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왔다.
미래통합당은 총선 전 범보수 대통합을 통해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이후 3년 만에 범보수진영의 분열을 종식하고 재편했지만, 총선 결과 103석이라는 참담한 성적표를 받았다. 이는 지역구 최소 130석을 목표로 했던 통합당에게 큰 충격이었다. 특히 핵심 승부처인 수도권에서 16석을 얻는데 그쳤고, 서울 종로를 포함한 주요 지역구에서 황교안, 오세훈 등 주요 인사들이 낙선했다. 서울에서는 용산 권영세, 서초갑 윤희숙, 서초을 박성중, 강남갑 태구민 (태영호), 강남을 박진, 강남병 유경준, 송파갑 김웅, 송파을 배현진 등이 당선되었지만, 동북권, 서남권에서는 당선자를 배출하지 못했다. 경기 지역에서는 용인갑, 성남분당갑, 동두천연천, 포천가평, 이천, 여주양평 등 일부 지역에서만 승리했고, 인천에서는 중구강화옹진에서 겨우 1석을 얻었다. 충청 지역에서는 대전, 세종에서 전멸하고 충북, 충남에서 8석을 차지했으며, 제주도에서는 16년째 당선자를 내지 못했다. 20대 총선에서 122석에 그쳤던 통합당은 이번 총선에서 더욱 참담한 결과를 맞이했으며, 황교안은 당 대표직을 포함한 모든 직책을 사퇴했다. 개헌저지선 100석 이상 확보와 영남권 의석수 증가는 위안이 되었지만, 김대호, 차명진 후보의 막말 논란, 공천 문제, 파벌 갈등 등이 참패의 원인으로 지적되었다. 선거 이후에는 부정선거 음모론이 제기되고, 당의 색깔을 보여주지 못한 점이 패배 요인으로 분석되면서 당 내부 혼란이 가중되었다.[1]
참조
[1]
웹사이트
지방선거 득실 계산… 민주당-한국당, 접점없는 '개헌' 대치
http://news.naver.co[...]
Naver
2017-12-25
[2]
웹사이트
Legislation & Judicial Decision
https://web.archive.[...]
Republic of Korea National Election Commission
2016-04-09
[3]
웹사이트
Election Districts and Representation System
http://www.nec.go.kr[...]
Republic of Korea National Election Commission
2016-04-12
[4]
웹사이트
National Assembly passes electoral reform bill
http://www.koreahera[...]
2019-12-27
[5]
웹사이트
유승민 "여야 합의 없는 선거법 개정은 다수의 횡포"
https://www.hankyung[...]
2019-04-29
[6]
웹사이트
오신환 사보임 가능? 불가능?…'국회법 48조' 여야 상반된 해석
https://www.hankyung[...]
2019-04-24
[7]
웹사이트
오신환 사보임 가능할까… 국회법 48조 엇갈린 해석
http://www.hankookil[...]
2019-04-24
[8]
웹사이트
검찰 '패스트트랙 동물국회' 황교안·나경원 불구속 기소(상보)
https://m.mt.co.kr/r[...]
2020-01-02
[9]
웹사이트
패스트트랙 극한충돌, '육탄전' 이어 '고소고발전'으로 비화
https://www.yna.co.k[...]
2019-04-26
[10]
웹사이트
[KH Explains] What is behind political impasse, violence at National Assembly?
http://www.koreahera[...]
2019-04-29
[11]
웹사이트
검찰, 패스트트랙 직접 수사…수사대상 의원 109명
http://www.donga.com[...]
2019-09-09
[12]
웹사이트
[KH Explains] What is behind political impasse, violence at National Assembly?
http://www.koreahera[...]
2019-04-29
[13]
웹사이트
Former South Korean PM among 29 politicians charged over brawl
https://www.cnn.com/[...]
2020-01-03
[14]
웹사이트
(2nd LD) Opposition party launches filibuster against electoral reform bill
https://en.yna.co.kr[...]
2019-12-23
[15]
뉴스
18-year-olds Hit the Polls for First Time in S. Korea
http://koreabizwire.[...]
2020-04-15
[16]
웹사이트
Main opposition to set up satellite party for more proportional representation seats
https://en.yna.co.kr[...]
2019-12-24
[17]
웹사이트
Legislation & Judicial Decision
http://www.nec.go.kr[...]
Republic of Korea National Election Commission
[18]
웹사이트
South Korea
http://www.sgi-netwo[...]
Sustainable Governance Indicators
[19]
웹사이트
National Assembly elections: April 13, 2016
http://www.nec.go.kr[...]
Republic of Korea National Election Commission
[20]
웹사이트
오늘 中·日 등 재외투표 시작… 美·英·獨 빠진 반쪽짜리
https://news.chosun.[...]
2020-04-01
[21]
뉴스
Early voting begins for general election
https://www.koreatim[...]
2016-04-08
[22]
뉴스
창당선언문
http://platformparty[...]
2020-03-02
[23]
뉴스
'의석 113석' 미래통합당 출범…오늘 의원총회서 상견례
http://news.tvchosun[...]
2020-02-18
[24]
뉴스
South Korea's ruling party wins election landslide amid coronavirus outbreak
https://www.theguard[...]
2020-04-16
[25]
뉴스
Coronavirus: South Korea holds parliamentary elections despite COVID-19 pandemic
https://news.sky.com[...]
2020-04-15
[26]
학술지
Coronavirus cases have dropped sharply in South Korea. What's the secret to its success?
https://www.science.[...]
2020-03-17
[27]
웹사이트
COVID-19 Realtime Dashboard
https://coronaboard.[...]
[28]
뉴스
Virus response gives S Korea party landslide win
https://www.bbc.co.u[...]
2020-04-16
[29]
뉴스
South Korea is beating coronavirus but anxiety grows over 'new normal'
https://www.nbcnews.[...]
2020-04-27
[30]
웹사이트
'180석' 거대 여당 탄생…'개헌' 빼고 다 된다
http://news.kbs.co.k[...]
[31]
뉴스
[Robert J. Fouser] South Korea's political realignment
http://www.koreahera[...]
2020-04-23
[32]
뉴스
South Korea Is a Liberal Country Now
https://foreignpolic[...]
2020-04-16
[33]
뉴스
N Korean defector wins seat in South Korea
https://www.bbc.com/[...]
2020-04-16
[34]
웹사이트
The Future of Korean Politics Might Be This Defector From Pyongyang
https://foreignpolic[...]
2020-04-27
[35]
뉴스
North Korean Defector Wins Election in Posh South Korea District
https://www.bloomber[...]
2020-04-16
[36]
뉴스
South Korea's governing party wins election by a landslide
https://www.aljazeer[...]
2020-04-16
[37]
뉴스
여성의원 57명 역대 '최다 당선'...여전히 OECD 최하위권
https://www.bbc.com/[...]
[38]
웹사이트
초선의원 16년만에 절반 넘어
https://www.mk.co.kr[...]
2020-04-17
[39]
웹사이트
21대 전반기 국회의장은 누구… 6선으로 민주당 최다선 된 박병석 근접
https://www.hankooki[...]
2020-04-16
[40]
웹사이트
Election law should be revised before integration with proportional parties
http://www.donga.com[...]
[41]
뉴스
South Korean Activists Accuse China of Using Huawei to Hack Their Election
https://www.thedaily[...]
2023-05-27
[42]
뉴스
Conservative activists claim 'ballot rigging'
https://www.koreatim[...]
Korea Times
2020-04-24
[43]
뉴스
Democracy can be hacked
https://www.koreatim[...]
The Korea Times
2020-05-14
[44]
뉴스
Before Trump, South Korean Conservatives Also Claimed a ‘Stolen’ Election
https://thediplomat.[...]
The Diplomat
2020-11-11
[45]
뉴스
South Korea's April 2020 Elections Rigged? The Answer Is a Clear No.
https://nationalinte[...]
The National Interest
2020-10-19
[46]
뉴스
[포토] 부정선거 의혹 규명 시위 참여해 발언하는 민경욱 의원
http://www.newdaily.[...]
2020-05-05
[47]
뉴스
[포토] 검은우산에 마스크...부정선거 의혹규명 요구하는 시민들
http://www.newdaily.[...]
2020-06-13
[48]
뉴스
4.15 부정선거 블랙시위, "국민들은 주권을 강탈당했다. 진상규명하라
http://www.fntoday.c[...]
2020-07-19
[49]
뉴스
[종합] 코로나19에도 광복절 도심 집회 강행…시민들 '분통' 국민운동본부 추산 집회 참석 100만명 웃돌아 4.15부정선거투쟁본부·민노총 등도 집회 열어 서울시, 강력 대응…경찰,TF 꾸려 수사키로
https://www.newspim.[...]
2020-08-15
[50]
뉴스
민주당, 전광훈 향해 "긴급체포... 보석 취소" 거센 비판
https://www.hankooki[...]
2020-08-16
[51]
뉴스
전광훈 구속에 막나가는 사랑제일교회…"UN·트럼프에 항의서한
https://www.edaily.c[...]
2020-09-08
[52]
뉴스
선거소송 미적거리는 대법원… 120건 첫 재판 날짜도 못 잡아
https://www.chosun.c[...]
2020-08-31
[53]
뉴스
13개 시민단체, 대법관들 선거소송 지연에 직무유기 혐의로 검찰 고발
http://www.andongdai[...]
2021-01-19
[54]
뉴스
最大野党代表が鍾路区からの出馬表明 前首相と対決=韓国総選挙
https://m-jp.yna.co.[...]
聯合ニュース
2020-02-07
[55]
뉴스
「命運かけた6カ月」…来年4月の総選挙体制に向け戦列を整える韓国与野党
http://japan.hani.co[...]
ハンギョレ
2019-10-14
[56]
뉴스
韓国国会で公選法改正案可決 「準連動型比例代表制」初導入=最大野党は猛反発
https://jp.yna.co.kr[...]
2019-12-27
[57]
뉴스
「韓国政治の主流は進歩派に」…2019年に起きた大変化とは
https://news.yahoo.c[...]
2019-12-29
[58]
뉴스
比例衛星政党をもたらす「つぎはぎ選挙法」、強行すれば憲政史の汚点になる
http://www.donga.com[...]
2019-12-26
[59]
뉴스
<新型コロナ>韓国総選挙、与党に逆風 文政権の初動遅れに批判
https://www.tokyo-np[...]
2020-03-15
[60]
뉴스
韓国総選挙、投票始まる コロナ禍で高い関心
https://www.sankei.c[...]
2020-04-15
[61]
뉴스
韓国総選挙の在外投票がきょう開始 新型コロナで約5割は投票できず
https://jp.yna.co.kr[...]
2020-04-01
[62]
뉴스
韓国総選挙の在外投票 新型コロナで日程などに影響か
https://jp.yna.co.kr[...]
2020-03-17
[63]
뉴스
文在寅政府の改革の成功を左右する「三つの分かれ道」
http://japan.hani.co[...]
2019-05-10
[64]
뉴스
支持率下落、選挙に影響も=中道層離反し側近辞任-韓国大統領
https://web.archive.[...]
2019-10-16
[65]
뉴스
韓国与党「文在寅直系」大量擁立へ 4月総選挙
https://www.nikkei.c[...]
2020-01-20
[66]
뉴스
韓国・文政権、正念場 4月総選挙、敗北なら死に体に
https://www.nishinip[...]
2020-01-04
[67]
뉴스
韓国総選挙へ政党再編 投票まで2カ月 大統領選「前哨戦」対決も
https://www.sankei.c[...]
2020-02-17
[68]
뉴스
韓国総選挙まで1カ月 政党支持率は与党41.5%・最大野党32.1%
https://jp.yna.co.kr[...]
2020-03-16
[69]
뉴스
現実論を追った「比例連合政党」、民主党の前に「3つの沼」
http://japan.hani.co[...]
2020-03-10
[70]
뉴스
新型コロナ危機は与党に味方した?韓国総選挙
https://www.newsweek[...]
2020-04-14
[71]
뉴스
巨大二党の「衛星政党」の横暴で、少数政党の居場所むしろ狭まる
http://japan.hani.co[...]
2020-03-26
[72]
웹사이트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선거통계시스템
http://info.nec.go.k[...]
[73]
뉴스
比例代表候補35政党で312人登録、競争倍率6.64倍
http://www.donga.com[...]
2020-03-30
[74]
뉴스
コロナ禍を追い風に与党が圧勝した韓国総選挙 対日改善は期待薄、南北関係で進展できるか
https://toyokeizai.n[...]
2020-04-24
[75]
뉴스
韓国総選挙、与党圧勝で何が起きるか 財閥は警戒、大統領選挙に影響も経済次第
https://jbpress.isme[...]
2020-04-21
[76]
뉴스
韓国総選挙の期日前投票率 22.69%で過去最高
https://jp.yna.co.kr[...]
2020-04-11
[77]
뉴스
韓国総選挙の投票率66.2% 28年ぶり高水準
https://jp.yna.co.kr[...]
2020-04-15
[78]
뉴스
되살아난 지역주의, 양당에 밀려 제3당 붕괴(蘇った地域主義、両党に押され、第3党崩壊)
http://mn.kbs.co.kr/[...]
2020-04-16
[79]
뉴스
「박찬수 칼럼」 영호남 지역주의? 수도권이 ‘지역’이 됐다 (「パク・チャンスのコラム」嶺湖南地域主義?首都圏が「地域」になった)
http://www.hani.co.k[...]
2020-04-29
[80]
뉴스
韓国の総選挙、女性国会議員が29人選出され歴代最多に。それでも地域区議席のわずか11.5%
https://www.huffingt[...]
2020-04-17
[81]
설명
[82]
설명
[83]
웹사이트
윤희숙 의원 사직안 통과…‘이낙연 표결’ 고민 깊어진 여당
https://www.hani.co.[...]
2021-09-13
[84]
웹사이트
'아들 50억 퇴직금 논란' 곽상도 의원직 사퇴
https://imnews.imbc.[...]
2021-10-02
[85]
웹사이트
'선거법 위반' 이규민 의원, 당선 무효형 확정
https://www.yna.co.k[...]
2021-09-30
[86]
웹사이트
정정순에 요동치는 충주 선거판
http://www.jbnews.co[...]
2021-08-30
[87]
웹사이트
文의 前사위 취업 수사까지…의원직 잃은 이상직 '첩첩산중'
https://www.joongang[...]
2022-05-12
[88]
설명
[89]
웹사이트
더불어민주당 최강욱 의원직 상실, 승계받는 허숙정 후보는 누구?
http://monthly.chosu[...]
2023-09-18
[90]
설명
[91]
정당
새누리당
[92]
웹사이트
http://www.hani.co.k[...]
[93]
뉴스
[총선2020] '조국 선거' 이용하는 與野…지지층 결집엔 효과, 중도층 민심엔?
https://www.dailian.[...]
데일리안
2020-04-06
[94]
뉴스
文대통령 지지율 56%…총선에 영향 미칠까
http://news.heraldco[...]
헤럴드경제
2020-04-09
[95]
뉴스
사전투표 26.69% '역대 최고'...이유는?
https://news.naver.c[...]
YTN
2020-04-11
[96]
뉴스
투표율 66.2%… 28년만에 최고
http://www.donga.com[...]
동아일보
2020-04-16
[97]
웹인용
선거관리위원회
http://www.nec.go.kr[...]
[98]
일반텍스트
[99]
법률
[100]
뉴스
[속보]공직선거법 개정안, 국회 본회의 통과
http://news.khan.co.[...]
경향신문
2019-12-27
[101]
웹인용
공직선거법 [시행 2020. 8. 5.] [법률 제16957호, 2020. 2. 4., 타법개정] 제189조
https://www.law.go.k[...]
[102]
뉴스
4+1 합의한 '준연동형+캡30석'…20대기준 민주115석·한국112석
https://www.yna.co.k[...]
경향신문
2020-02-15
[103]
뉴스
선거구획정위, 국회 행안위에 '시·도별 의원정수 확정' 요청
https://www.yna.co.k[...]
연합뉴스
2020-01-07
[104]
뉴스
[총선 D-100]또 하나의 전쟁…현역 생사여탈권 쥔 '선거구 획정'
http://news1.kr/arti[...]
뉴스1
2020-01-07
[105]
웹인용
기본현황 - 선거일정
https://web.archive.[...]
중앙선거관리위원회
2020-04-11
[106]
웹인용
선거관리위원회 21대 총선 공식 일정
https://www.nec.go.k[...]
[107]
기타
[108]
웹인용
선거관리위원회 홈페이지 정당후보
https://web.archive.[...]
2020-03-27
[109]
웹인용
선거관리위원회 홈페이지 비례정당후보
https://web.archive.[...]
2020-03-27
[110]
뉴스
민주당 총선 공천 경쟁률 평균 2대 1…내달 9일부터 면접 심사
http://www.etoday.co[...]
이투데이
2020-02-16
[111]
뉴스
최혜영·김병주·김홍걸, 민주 비례 당선권 …20명 비례연합당으로(종합)
https://www.news1.kr[...]
2020-03-14
[112]
뉴스
한국당, 공천 경쟁률 2.86대 1…‘고향출마’ 홍준표, 돌아온 안상수
http://www.munhwa.co[...]
2020-02-06
[113]
웹인용
[특별공지] 제21대 국회의원선거 정의당 비례대표 경선 예비후보 등록현황 (2월 13일 현재)
http://www.justice21[...]
2020-02-13
[114]
웹인용
21대 총선 지역구후보자 1차 선출선거 결과
http://minjungparty.[...]
[115]
웹인용
21대 국회의원 선거 민중당 비례대표 예비후보자 명단(2.11 기준)
http://minjungparty.[...]
2020-02-11
[116]
뉴스
예비후보 1000명 넘은 '허경영당', 국회 진입 가능할까
http://newsis.com/vi[...]
2020-03-08
[117]
뉴스
기본소득당 총선 출마..."당신이 누구든, 기본소득 매월 60만 원"
http://www.shinmoong[...]
2020-01-23
[118]
웹인용
제21대 총선 비례대표 후보 1단계 선출 선거 투표 결과
https://web.archive.[...]
2019-12-15
[119]
웹인용
제21대 총선 비례대표 후보 2단계 선출 선거 투표 결과
https://web.archive.[...]
2020-02-12
[120]
웹인용
미래당 4차 당원 총투표 결과 공고문
https://makeourfutur[...]
2020-02-10
[121]
웹인용
[21대 총선공약 No.1] 전국 무료 와이파이 시대를 열겠습니다!
https://theminjoo.kr[...]
2020-02-17
[122]
웹인용
[21대 총선공약 No.2] 벤처 4대 강국을 실현하겠습니다!
https://theminjoo.kr[...]
2020-02-17
[123]
웹인용
[21대 총선 핵심공약 No.3] 청년․신혼 맞춤형 도시 조성! 주택 10만호 공급!
https://theminjoo.kr[...]
2020-02-17
[124]
웹인용
[국민과 함께 하는 2020 희망공약개발단] 공정하고 정의로운 사회를 위한 개혁(1)
http://www.libertyko[...]
2020-02-17
[125]
웹인용
[국민과 함께 하는 2020 희망공약개발단] '희망경제 공약' 발표
http://www.libertyko[...]
2020-02-17
[126]
웹인용
[국민과 함께 하는 2020 희망공약개발단] '주택 공약' 발표
http://www.libertyko[...]
2020-02-17
[127]
text
[128]
웹인용
공약1호 - 청년기초자산제 도입 (1월 9일)
http://www.justice21[...]
2020-02-18
[129]
웹인용
공약2호 - 서민주거안정법+부동산투기끝장법 (1월 15일)
http://www.justice21[...]
2020-02-18
[130]
웹인용
공약3호 - 최고임금제 도입 (1월 29일)
http://www.justice21[...]
2020-02-18
[131]
웹인용
제21대 총선, 우리공화당 제1차 경제 정책공약
http://ourrepublican[...]
2020-02-18
[132]
웹인용
우리공화당 국방안보 및 외교 정책공약 제1차 발표
http://ourrepublican[...]
2020-02-18
[133]
뉴스
코로나에도 역대 최고 사전투표 왜?…"지난 총선 투표율 깰 듯"(종합)
https://news.naver.c[...]
뉴시스
2020-04-10
[134]
뉴스
사전투표 첫날 533만 명 참여…투표율 역대 최고
https://news.naver.c[...]
SBS
2020-04-03
[135]
웹사이트
[2보] 총선 사전투표율 26.69%로 '역대 최고'…1천174만명 참여
https://news.naver.c[...]
2020-04-04
[136]
뉴스
격전지서 사전투표율 더 치솟았다…종로 34.6%로 수도권 최고치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21-07-21
[137]
뉴스
무증상 코로나19 자가격리자, 총선일 오후 6시 이후 투표한다(종합)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21-07-21
[138]
웹사이트
투표율 60% 돌파, 2004년 기록도 깼다
https://news.joins.c[...]
2020-04-08
[139]
일반
[140]
일반
[141]
뉴스
[총선 D-1] 방송3사, 출구조사 발표 15분 연기…"자가격리자 투표 감안"
https://news.naver.c[...]
2020-04-07
[142]
뉴스
총선 출구조사 6시15분 발표…"자가격리자 투표 고려"
https://news.naver.c[...]
경향신문
2020-04-07
[143]
뉴스
방송 3사, 내일 60만 명 출구조사…역대 최고 사전투표율 관건
https://news.naver.c[...]
SBS
2020-04-07
[144]
뉴스
20만명이 선택한 ‘여성의당’… “여성정치 역사의 진보”
http://www.womennews[...]
여성신문
2020-04-09
[145]
뉴스
첫 여성의제 정당 탄생, 총선서 20만표 획득
https://news.naver.c[...]
여성신문
2020-12-26
[146]
뉴스
여성의당 김진아 “여자 혼자도 살기 좋은 서울 만들자”
https://news.naver.c[...]
세계일보
2021-03-13
[147]
웹인용
지상파 출구조사 민생당 0석···손학규 "크게 실망스럽다"
https://news.joins.c[...]
2020-04-16
[148]
웹인용
민생당, 원외정당으로 전락해 사실상 '소멸' 위기
https://www.sedaily.[...]
서울경제
2020-04-16
[149]
뉴스
[선택 4·8] 정의당 5∼7석 전망…지역구 심상정만 '생환' 기대(종합)
https://www.yna.co.k[...]
연합뉴스
2020-04-16
[150]
웹인용
눈물 쏟은 심상정 "후보들 더 당선 못 시켜 미안" / SBS 2020 국민의 선택
https://www.youtube.[...]
2020-04-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