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갈리아 키살피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갈리아 키살피나는 현재 북부 이탈리아 지역에 해당하며, '가까운 갈리아'라는 의미를 지닌다. 알프스 산맥과 아르노 강, 루비콘 강 부근을 경계로 포 평원을 중심으로 하는 지역으로, 기원전 58년 가이우스 율리우스 카이사르가 갈리아 전쟁을 수행한 거점이기도 하다. 기원전 43년에서 42년경 아우구스투스에 의해 이탈리아에 통합되었다. 이 지역은 켈트족의 이주와 로마의 정복 과정을 거쳤으며, 카네그라테 문화와 골라세카 문화와 같은 고고학적 특징을 보인다. 로마 시대에는 갈리아 토가타 등으로 불렸으며, 율리우스 카이사르는 이 지역에 로마 시민권을 부여하고 루비콘 강을 건너 로마 내전을 일으키는 등 역사적, 정치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갈리아 - 갈리아 제국
    갈리아 제국은 3세기 위기 속에서 260년 포스투무스에 의해 선포된 로마 제국에서 분리된 국가로, 로마 제국의 행정 체계를 모방했으나 내분으로 274년 로마 제국에 재통합되었다.
  • 갈리아 - 갈리아 전쟁
    갈리아 전쟁은 카이사르의 정치적 야망, 갈리아의 불안정, 게르만족 침입이 맞물려 기원전 58년부터 50년까지 벌어진 로마의 갈리아 정복 전쟁으로, 카이사르의 권력 강화와 로마 공화정 몰락의 전환점이 되었으나 기록의 신뢰성 및 잔혹성 비판도 존재한다.
갈리아 키살피나
지도 정보
일반 정보
이름갈리아 키살피나
로마자 표기Gallia Cisalpina
별칭Gallia Citerior (이탈리아에 가까운 갈리아)
위치이탈리아 반도 북부
역사
기원기원전 3세기
수도무티나
로마 편입기원전 81년 (법적으로)
이탈리아 통합기원전 42년 (실질적으로)
정치
정치 체제로마 공화정 속주
지리
주요 도시플라켄티아
보노니아
파타비움
메디오라눔
아쿠일레이아
제노바
크레모나
브릭시아
만토바
파르마
라벤나
트리체시뭄
경계북쪽: 알프스 산맥
남쪽: 루비콘 강
인구
주요 민족갈리아족
리구리아인
베네티족
에트루리아인
경제
주요 산업농업
목축업
광업
무역
기타
언어라틴어
갈리아어

2. 역사적 배경

갈리아 키살피나는 이름 그대로 알프스 이쪽, 즉 현재의 북이탈리아 지역을 가리킨다. 오늘날의 에밀리아-로마냐 주, 프리울리-베네치아 줄리아 주, 리구리아 주, 롬바르디아 주, 피에몬테 주, 트렌티노-알토 아디제 주, 베네토 주가 이 지역에 해당한다. 다른 이름으로는 '''갈리아 키테리올'''(Gallia Citerior|갈리아 키테리오르la, '이쪽의 갈리아'), '''프로빈키아 아리미눔'''(Provincia Ariminum|프로빈키아 아리미눔la), 그리고 주민들이 토가를 입기 시작하며 로마화되었음을 나타내는 '''갈리아 토가타'''(Gallia Togata|갈리아 토가타la, '토가를 입은 갈리아')라고도 불렸다. 반면, "알프스 너머의 갈리아"는 갈리아 트란살피나(Gallia Transalpina|갈리아 트란살피나la)로 불렸으며, 이 두 지역보다 더 북쪽의 갈리아는 '''갈리아 코마타'''(Gallia Comata|갈리아 코마타la, '머리 긴 갈리아')라고 불렸다.

지리적으로 북쪽 경계는 알프스 산맥이며, 남쪽 경계는 아르노 강과 루비콘 강 부근을 잇는 선이다. 주요 지역은 포 평원이며, 속주의 수도는 무티나(현 모데나)였다.

이 지역의 역사는 다양한 민족의 이주와 정착, 그리고 로마와의 상호작용으로 점철되어 있다. 초기에는 리구리아인, 베네티족 등이 거주했으며, 이후 켈트족이 이주하여 정착했다. 로마는 켈트족과 충돌하며 점차 이 지역을 정복해 나갔다. 기원전 58년에는 가이우스 율리우스 카이사르가 갈리아 키살피나 속주 총독으로 부임하여 이곳을 거점으로 갈리아 전쟁을 수행했다. 이후 기원전 43년부터 42년경, 옥타비아누스에 의해 이탈리아에 통합되면서 속주로서의 지위를 잃고 이탈리아의 일부가 되었다.

2. 1. 초기 역사 (기원전 13세기 ~ 기원전 4세기)

지도: 기원전 4~3세기에 이 지역에 거주했던 켈트족의 대략적인 분포를 파란색으로 표시한 키살피나 갈리아 지도.


기원전 13세기에 시작된 카네그라테 문화는 알프스 산맥 북서부에서 온 원시 켈트족의 첫 이주 물결로 여겨진다.[10] 이들은 알프스 고개를 넘어 포강 서쪽 계곡(마조레 호수와 코모 호수 사이)에 정착했으며, 시신을 매장하는 대신 화장하는 새로운 장례 풍습을 가져왔다. 일부 연구에서는 기원전 16~15세기 중기 청동기 시대 초부터 북서 이탈리아 지역에 더 오래된 원시 켈트족이 존재했을 가능성을 제기하기도 한다. 이는 당시 청동 공예품 생산, 특히 장식품에서 이 지역이 중앙 유럽의 투물루스 문화(기원전 1600~1200년) 서부 집단과 밀접한 연관성을 보이기 때문이다.

카네그라테 문화를 이룬 사람들은 약 한 세기 동안 고유한 특징을 유지하다가, 이후 토착 리구리아인과 융합되었다. 이 결합을 통해 골라세카 문화라는 새로운 단계가 시작되었으며,[11][12] 이는 오늘날 켈트족의 한 갈래인 레폰티족으로 확인된다.[13][14]

로마 역사가 리비우스에 따르면, 타르퀴니우스 프리스쿠스가 로마를 다스리던 시기(기원전 7~6세기)에 벨로베수스가 이끄는 비투리게스, 아르베르니, 세노네스, 아에두이, 암바리, 카르누테스, 아울레르치 등 여러 켈트 부족들이 북부 이탈리아로 이주하여 밀라노크레모나 사이 지역을 차지했다. 밀라노(Mediolanum|메디올라눔la) 자체도 기원전 6세기 초에 골족에 의해 세워졌을 가능성이 높으며, 그 이름은 "평원 한가운데 있는 도시"를 뜻하는 켈트어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인다. 기원전 2세기의 그리스 역사가 폴리비오스는 기원전 390년 켈트족의 로마 약탈 이전 시기에 북부 이탈리아켈트족에트루리아인과 공존하며 살았다고 기록했다.

리구리아인은 오늘날의 프랑스 남동부와 이탈리아 북서부 해안을 포함하는 지중해 북부 연안 지역에 넓게 분포하여 살았다. 이들의 거주지는 토스카나, 엘바 섬, 코르시카 일부까지 확장되었으며, 일부 리구리아 부족은 라티움(루툴리 참조)[15]삼니움에도 존재했다.[16] 플루타르코스는 리구리아인들이 스스로를 ''암브로네스''라고 불렀다고 기록했는데, 이는 북유럽의 암브로네스와의 연관성을 시사할 수도 있다.[17] 리구리아어에 대해서는 지명과 인명 외에 알려진 것이 거의 없지만, 인도유럽어족에 속하며 이탈리아어파 및 특히 켈트어파와 강한 유사성을 보인다. 켈트족의 언어와 문화에 큰 영향을 받았기 때문에 고대에는 '''켈토-리구리아인'''(Κελτολίγυες|켈톨리기에스grc)으로 불리기도 했다.[18] 자비에 델라마르와 같은 현대 언어학자들은 리구리아어가 갈리아어와 유사한 켈트어의 한 갈래라고 주장한다.[19] 고대 리구리아어는 발견된 금석문을 근거로 켈트어로 분류되거나,[20] 인명을 분석했을 때 준(準)켈트어로 분류되기도 한다.[21]

베네티족은 오늘날의 베네토, 프리울리, 트렌티노 지역에 해당하는 이탈리아 북동부에 거주했던 인도유럽어족 집단이다.[22] 기원전 4세기경에는 베네티족 사이에서도 켈트족화가 상당히 진행되어, 폴리비오스는 기원전 2세기의 베네티족이 언어만 다를 뿐 사실상 골족과 거의 같다고 기록했다.[23] 한편, 그리스 역사가 스트라본(기원전 64년~서기 24년)은 아드리아해의 베네티족이 켈트족의 후손이며, 더 나아가 아르모리카 해안에 살며 율리우스 카이사르와 싸웠던 갈리아의 베네티족과 같은 뿌리라고 추측했다. 그는 또한 소포클레스가 아드리아해 베네티족을 트로이아 전쟁 당시 파플라고니아의 에네토이와 동일시한 것은 단순히 이름의 유사성 때문에 발생한 오류라고 지적했다.[24]

2. 2. 켈트족의 확장과 로마의 정복 (기원전 4세기 ~ 기원전 2세기)

기원전 391년, 역사가 디오도로스 시쿨루스의 기록에 따르면, 알프스 너머에 살던 켈트족이 강력한 세력을 이끌고 산맥을 넘어와 아펜니노 산맥과 알프스 산맥 사이의 영토를 점령했다. 이들의 남하 과정에서 로마군은 기원전 390년 알리아 전투에서 켈트족의 한 분파인 세노네스족에게 패배하였고, 수도 로마가 약탈당하는 수모를 겪었다.[25]

켈트족의 지배력은 기원전 290년에 끝난 삼니움 전쟁에서 로마가 삼니움족, 켈트족, 에트루리아족 연합군에게 승리하면서 약화되기 시작했다. 이후 기원전 225년 텔라몬 전투에서는 대규모 켈트족 군대가 두 로마군 사이에 포위되어 궤멸적인 타격을 입었다.[26]

제2차 포에니 전쟁(기원전 218년 ~ 기원전 201년) 시기에는 갈리아 키살피나의 주요 부족인 보이족과 인수브레스족이 카르타고한니발과 동맹을 맺고 로마에 맞섰다. 이들은 로마의 식민 도시인 무티나(현재의 모데나)를 포위 공격했다. 로마는 L. 만리우스 불소가 이끄는 원정대를 보냈으나, 이 군대는 두 차례나 매복 공격을 받아 큰 피해를 입었다. 이에 로마 원로원은 푸블리우스 코르넬리우스 스키피오를 추가로 파견했다. 이들이 바로 한니발이 알프스를 넘은 직후 티치누스 전투에서 맞붙게 된 로마군이었으며, 이 전투에서 로마는 패배했다. 티치누스 전투 패배 이후 체노마니족을 제외한 갈리아 키살피나의 거의 모든 켈트 부족들이 로마에 대항하여 봉기했다.[27] 로마는 티베리우스 셈프로니우스 롱구스의 군대를 보내 트레비아 전투에서 한니발과 다시 맞섰지만, 여기서도 패배하면서 로마는 일시적으로 갈리아 키살피나에 대한 통제권을 상실했다. 로마는 기원전 202년 자마 전투에서 카르타고를 최종적으로 격파한 후에야 이 지역에 대한 영향력을 회복할 수 있었다.

전쟁 이후 로마는 갈리아 키살피나에 대한 정복을 재개했다. 푸블리우스 코르넬리우스 스키피오 나시카는 기원전 191년에 보이족을 완전히 정복했다.[28] 한편, 서쪽의 리구리아족은 오랫동안 로마에 저항했으나, 기원전 155년 마르쿠스 클라우디우스 마르켈루스가 이끄는 로마군이 아푸아니족을 결정적으로 격파하면서 최종적으로 진압되었다.[29] 이로써 기원전 2세기 중반까지 갈리아 키살피나 대부분 지역이 로마의 지배하에 놓이게 되었다.

2. 3. 로마 속주 시대 (기원전 2세기 ~ 기원전 1세기)

갈리아 키살피나는 로마인들에게 다양한 이름으로 불렸다. 로마에 가깝다는 의미에서 '가까운 갈리아'라는 뜻의 Gallia Citerior|갈리아 키테리오르la로 불리기도 했고, 속주의 초기 중심지였던 아리미눔(리미니)의 이름을 따 Provincia Ariminum|프로빈키아 아리미눔la이라고도 했다. 또한, 이 지역 주민들이 토가를 입기 시작하며 로마화되었음을 나타내는 Gallia Togata|갈리아 토가타la("토가를 입은 갈리아")라는 별칭도 있었다. 포 강(고대 명칭 파두스)을 기준으로 북쪽은 Gallia Transpadana|갈리아 트란스파다나la, 남쪽은 Gallia Cispadana|갈리아 치스파다나la로 구분하기도 했다.

갈리아 키살피나가 공식적인 속주로 설립된 것은 기원전 81년경으로 추정되며, 속주의 수도는 무티나(오늘날의 모데나)였다. 기원전 73년에는 스파르타쿠스가 이끄는 노예 반란군이 이곳에서 속주 총독 가이우스 카시우스 롱기누스가 지휘하는 로마 군단을 격파하는 사건이 있었다.

기원전 58년, 율리우스 카이사르는 갈리아 키살피나 속주 총독으로 부임하여 이곳을 거점으로 삼아 갈리아 전쟁을 수행했다. 이후 기원전 49년, 카이사르는 렉스 로시아(Lex Roscia) 법을 통해 갈리아 키살피나의 주민들에게 완전한 로마 시민권을 부여하여 이들의 지위를 향상시켰다.

루비콘 강은 갈리아 키살피나 속주와 이탈리아 본토를 나누는 남쪽 경계선이었다. 기원전 49년, 갈리아 전쟁을 마치고 돌아온 율리우스 카이사르는 휘하의 충성스러운 제13 군단을 이끌고 루비콘 강을 건넜다.[30] 이는 로마 공화국의 법을 어기는 행위였으며, 내전을 촉발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이 사건은 결국 로마 제국의 수립으로 이어졌으며, 오늘날에도 "루비콘 강을 건너다"라는 표현은 "돌이킬 수 없는 결단을 내리다"라는 의미로 사용된다.

제2차 삼두정치 시기인 기원전 42년경, 옥타비아누스는 "이탈리아화" 정책의 일환으로 갈리아 키살피나를 이탈리아 본토에 병합시켰다. 이로써 갈리아 키살피나는 속주로서의 지위를 잃고 이탈리아의 일부가 되었다. 이 병합을 위한 구체적인 법령(렉스)의 이름은 전해지지 않지만, 파르마 박물관에 소장된 청동판 기록을 통해 당시 사법 제도를 정비하고 행정관을 임명하는 등의 조치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갈리아 키살피나는 로마 문학사에서도 중요한 인물들을 배출했다. 유명한 시인 베르길리우스카툴루스, 그리고 역사가 리비(티투스 리비우스)[31]는 모두 갈리아 키살피나 출신이다.[32]

3. 고고학



갈리아 키살피나 지역의 고고학 연구는 여러 문화의 흔적을 보여준다. 특히 카네그라테 문화(기원전 13세기)와 이후 토착 리구리아인과 융합하여 발전한 골라세카 문화가 대표적이다.[11][12] 골라세카 문화는 오늘날 켈트족의 한 갈래인 레폰티족으로 이어진다고 여겨진다.[13][14] 카네그라테 문화는 알프스 산맥 북서부에서 이주해 온 원시 켈트족 집단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10]

골라세카 문화 투구


리비우스에 따르면, 기원전 7~6세기경 벨로베수스가 이끄는 비투리게스, 아르베르니, 세노네스, 아에두이, 암바리, 카르누테스, 아울레르치 등의 골족 부족들이 북부 이탈리아로 이주하여 밀라노크레모나 사이 지역에 정착했다. 밀라노(Mediolanum)는 기원전 6세기 초 골족에 의해 세워진 것으로 추정되며, 그 이름은 켈트어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이 있다. 기원전 2세기 역사가 폴리비오스는 기원전 390년 알리아 전투 이전 시기에 북부 이탈리아켈트족에트루리아인과 공존했다고 기록했다.

이 지역에는 리구리아인과 베네티족도 거주했다. 리구리아인은 이탈리아 북서부 해안과 프랑스 남동부 해안에 걸쳐 살았으며, 켈트족 문화의 영향을 강하게 받아 고대에는 '''켈토-리구리아인'''(Κελτολίγυες|켈토리기에스grc)으로 불리기도 했다.[18] 일부 현대 언어학자들은 고대 리구리아어가 갈리아어와 유사한 켈트어의 한 갈래였을 것으로 본다.[19] 베네티족은 북동부 이탈리아에 거주했던 인도유럽어족으로,[22] 기원전 4세기경에는 켈트족화가 상당히 진행되어 폴리비오스는 기원전 2세기 베네티족이 언어만 다를 뿐 골족과 거의 같다고 기록했다.[23] 스트라본은 베네티족이 갈리아동명 켈트족의 후손일 수 있다고 추측하기도 했다.[24]

3. 1. 카네그라테 문화 (기원전 13세기)

카네그라테 문화의 고고학적 발견 유물


카네그라테 문화는 포 평원 서부 지역에서 청동기 시대 후기부터 철기 시대 초기에 걸쳐 나타난 문화이다. 오늘날의 서부 롬바르디아, 동부 피에몬테, 티치노주 지역에 해당한다.

이 문화는 기원전 13세기경 알프스산맥 북서쪽에서 운필드 문화[33]를 지닌 원시 켈트족[10] 집단이 알프스 고개를 넘어 마조레 호수와 코모 호수 사이의 서부 포강 유역으로 이주하여 정착했음을 보여주는 고고학적 증거로 여겨진다.(스카모치나 문화 참조). 이들은 시신을 매장하던 기존의 장례 풍습 대신 화장 문화를 새롭게 도입했다.[11][12]

일부 연구에서는 청동기 시대 중기(기원전 16~15세기)부터 이미 원시 켈트족이 존재했을 가능성을 제기하기도 한다. 이는 당시 북서 이탈리아의 청동기 공예품 생산, 특히 장식품 제작이 중앙 유럽의 투물루스 문화(기원전 1600~1200년) 서부 집단과 밀접한 관련성을 보이기 때문이다.

카네그라테 문화를 이룬 사람들은 약 한 세기 동안 고유한 특징을 유지하다가, 이후 이 지역의 원주민인 리구리아인과 융합하였다. 이러한 융합 과정을 통해 골라세카 문화라는 새로운 문화 단계가 시작되었으며,[11][12] 이는 오늘날 켈트족의 한 갈래인 레폰티족으로 이어진다고 본다.[13][14]

4. 언어

갈리아 키살피나 지역에서는 주로 켈트어파에 속하는 언어들이 사용되었다. 대표적으로 레폰티아어와 갈리아어가 있다.

레폰티아어는 골라세카 문화와 관련된 켈트족 레폰티족이 사용했던 언어이다.[13][14] 이 언어가 갈리아어의 방언으로 간주되어야 하는지, 아니면 유럽 대륙 켈트어 내에서 독립적인 언어 분파로 보아야 하는지에 대해서는 학계에서 논쟁이 있다.

"갈리아 키살피나의 갈리아어"는 기원전 4세기경 알프스 산맥을 넘어 북부 이탈리아로 이주해 온 골족이 사용했던 언어를 가리킨다. 이 언어는 더 넓은 범위의 갈리아어 방언 중 하나로 여겨지며, 알프스 이북에서 사용된 갈리아어와는 몇 가지 음성학적 차이를 보인다. 예를 들어, '-nd-' 소리가 '-nn-'으로 변하고, '-χs-' 소리가 's(s)'로 변하는 특징이 알려져 있다.

이 외에도 갈리아 키살피나 및 인접 지역에서는 다른 언어들도 사용되었다. 리구리아어는 인도유럽어족에 속하며, 이탈리아어파켈트어파와 강한 연관성을 보인다. 켈트 문화의 영향이 강해 고대에는 이들을 '''켈토-리구리아인'''(Κελτολίγυες|켈톨리기에스grc)이라고 부르기도 했으며,[18] 일부 현대 언어학자들은 리구리아어를 갈리아어와 유사한 켈트어의 일종으로 보기도 한다.[19]

북동부 지역의 베네티족이 사용한 베네티어 역시 인도유럽어족 언어이다.[22] 기원전 4세기 무렵 베네티족 사회에 켈트 문화가 확산되면서, 기원전 2세기 역사가 폴리비오스는 베네티족이 언어만 다를 뿐 사실상 골족과 같다고 기록했다.[23] 그리스 역사가 스트라본 (기원전 64년~서기 24년)은 아드리아해 베네티족이 켈트족의 후손일 수 있다고 추측하기도 했다.[24]

5. 주요 도시

갈리아 키살피나 속주에는 여러 중요한 도시들이 발달했다. 이 도시들은 대부분 로마 공화정 및 제정 시기에 건설되었으며, 특히 로마의 주요 도로를 따라 번성했다. 대표적으로 아에밀리아 가도와 포스투미아 가도 주변에 주요 도시들이 집중적으로 위치하여 지역 중심지 역할을 했다. 속주의 행정 중심지였던 무티나(모데나)를 비롯하여 여러 도시가 이 지역의 정치, 경제, 문화적 중심지 역할을 했다.

5. 1. 로마 시대 주요 도시 목록

갈리아 키살피나 속주 내 주요 도시
로마 시대 도시명라틴어 표기현대 도시명
플라켄티아Placentia피아첸차 (*1, 2)
파르마Parma파르마 (*1)
속주 도읍무티나Mutina모데나 (*1)
보노니아Bononia볼로냐 (*1)
만투아Mantua만토바 (*2)
크레모나Cremona크레모나 (*2)
티키눔Ticinum파비아
메디오라눔Mediolanum밀라노



'''주석:'''


  • (*1) : 아에밀리아 가도를 따른 도시
  • (*2) : 포스투미아 가도를 따른 도시

참조

[1] 서적 The Historical Atlas
[2] 서적 Geographie des Transalpinischen Galliens
[3] 웹사이트 University of Macerata. I Romani in montagna: tra immaginario e razionalità https://riviste.unim[...]
[4] 서적 Beyond the Rubicon: Romans and Gauls in Republican Italy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5] 서적 Decline of the Roman republic: Volume 2
[6] 서적 Dictionary of Greek and Roman geography: Vol.1
[7] 서적 A manual of ancient geography https://archive.org/[...] Blanchard and Lea
[8] 문서 Cassius Dio XLI, 36.
[9] 서적 Hiera Kala: Images of animal sacrifice in archaic and classical Greece
[10] 서적 La grande storia dei celti. La nascita, l'affermazione e la decadenza Newton & Compton
[11]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members.fortu[...] 2010-08-10
[12] 간행물 Il territorio comasco dall'età della pietra alla fine dell'età del bronzo Società Archeologica Comense
[13] 서적 The Celts Thames & Hudson
[14] 서적 Old Celtic Languages http://www.univie.ac[...]
[15] 서적 The Classical Gazetteer
[16] 학술지 Deportation of Indigenous Population as a Strategy for Roman Dominion in Hispania https://www.academia[...]
[17] 서적 The Cambridge ancient history: Persia, Greece and the Western Mediterranean c. 525-479 BC
[18] 서적 The Foundations of Latin Walter de Gruyter
[19] 서적 Dictionnaire de la langue gauloise : une approche linguistique du vieux-celtique continental Errance
[20] 서적 The Celts Thames and Hudson
[21] 서적 The Celts Thames and Hudson
[22] 웹사이트 Storia, vita, costumi, religiosità dei Veneti antichi http://www.venetoima[...] 2009-08-18
[23] 서적 History of the Roman World: 753 to 146 BC
[24] 서적 Geography
[25] 웹사이트 CLADES GALLICA - SACCO DI ROMA (390 a.c.) https://www.romanoim[...] 2023-07-05
[26] 웹사이트 BATTAGLIA DI TALAMONE (225 a.c.) https://www.romanoim[...] 2023-07-05
[27] 웹사이트 L'ombra di Annibale. Amilcare e l'insurrezione della Gallia Cisalpina (200-197 a.C.) https://tribunus.it/[...] 2023-07-05
[28] 문서 Livy, 36.38 s:From the Founding [...]
[29] 웹사이트 Fasti Triumphales http://www.attalus.o[...]
[30] 서적 Rome : Republic into Empire : the civil wars of the first century BCE Pen and Sword
[31] 웹사이트 Uchicago.edu https://penelope.uch[...]
[32] 서적 The Dawn of the Roman Empire
[33] 서적 La grande storia dei celti. La nascita, l'affermazione e la decadenza Newton & Compto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