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삭철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강삭철도는 밧줄(케이블)을 사용하여 차량을 궤도 위로 끌어올리거나 내리는 교통 시스템이다. 수평 궤도가 경사면의 위아래에 배치되며, 케이블을 상단 차량에 연결하여 운행한다. 강삭철도는 사용 용도, 차량 결합/분리 여부, 차량 형상 등에 따라 분류되며, 정치 엔진 방식, 중력 균형 시스템 방식, 물 균형 철도 방식, 기관차 사용 방식 등이 있다. 과거에는 광산이나 채석장에서 화물 운송에 사용되었으며, 현재는 신교통 시스템의 일환으로 수평 엘리베이터로 활용되기도 한다.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강삭철도는 오스트리아 잘츠부르크의 라이스추크이며, 대한민국에서는 과거 영동선 통리재 구간에 인클라인이 운영되었다.
강삭철도는 밧줄(케이블)을 이용하여 차량을 궤도 위로 끌어올리거나 내리는 교통 시스템이다. 하중은 궤도가 지탱하지만, 동력은 궤도와 차륜의 점착이 아닌 연결된 밧줄을 통해 얻어진다는 점에서 삭도와 구분된다. 삭도는 하중 지탱과 추진 모두 밧줄에 의해 이루어진다.
강삭철도는 사용 용도, 차량의 결합/분리 여부, 차량의 형상 등에 따라 분류할 수 있다. 체계적인 분류가 이루어진 바는 없지만, 주로 다음과 같은 방식들이 있다.
강삭철도는 급경사면에 적합하고, 안정적인 승차감과 기후 영향을 적게 받는다는 장점이 있다. 동력을 점착에 의존하지 않기 때문에 급격한 경사면에서 운행이 가능하며, 고정된 권양기를 사용하므로 차량에 무거운 동력 장치를 싣지 않아도 된다. 또한 삭도에 비해 흔들림이 적고 궤도로 하중을 해결하여 취급 용량이 크며, 승차감이 안정적이고 강풍 등의 기후 조건에 영향을 적게 받는다.[1]
강삭철도는 궤도에 의해 하중을 지탱하지만, 동력은 궤도와 차륜의 점착이 아닌 밧줄(케이블)에 의해 견인되는 방식을 의미한다. 이는 밧줄로 하중 지탱과 추진을 모두 하는 삭도와 구분된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강삭철도는 점착운전이 불가능한 급경사면에 교통을 확보하기 위해 주로 사용된다.
2. 정의
이러한 특징 때문에 강삭철도는 점착운전이 불가능한 급경사면에 교통을 확보하기 위해 주로 사용된다.
대한민국에서는 과거 철암선(현 영동선) 구간에 이 시스템이 존재했고, '인클라인'이라고 불렀기 때문에 '인클라인 철도'라고도 부른다. 그러나 영어의 'Inclined Railway'는 경사진 차체와 선로를 통칭하는 것이므로 정확히 같은 표현은 아니다.
일본에서는 강삭철도만을 '케이블카'라고 부르는 것이 일반적이다. 영어에서 'Cable car'는 케이블카나 로프웨이를 지칭하기도 하지만, 미국 영어에서는 샌프란시스코 케이블카처럼 궤도 아래에서 움직이는 케이블을 차량이 잡았다 놓았다 하며 움직이는 '순환식 케이블카'를 의미한다.[19] 일본의 '교주식 케이블카'는 이탈리아 베수비아나 강삭선의 푸니쿨라레에서 유래한 'Funicular'(푸니클라)라고 부르는 것이 일반적이다.[19] 영국 영어에서 'Cable car'는 로프웨이를 지칭한다.
3. 종류
교주식(두레박식) 케이블카의 궤도에는 단선 교주식과 복선 교주식이 있다. 복선 교주식(복선 2량 교주식)은 2개의 차량(또는 2편성)이 각각 다른 선로를 오르내린다. 단선 교주식 중 2개의 차량(또는 2편성)으로 운행하는 단선 2량 교주식에서는 중간 지점에 차량 엇갈림이 가능한 턴아웃을 설치하고 있다. 이 선로의 분기부에는 가동 부분이 없다. 이것은 차량의 한쪽 바퀴가 플랜지로 레일을 끼우는 홈바퀴이고, 다른 쪽 바퀴가 플랜지가 없는 평바퀴가 되어 있으며, 외부에서 조작하지 않고 홈바퀴의 안내만으로 자연스럽게 서로 다른 선로를 진행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이다.( 카를 로만 아프트의 발명으로 아프트 스위치라고 불린다)
복선이라고 칭하고 있어도, 반드시 복선 교주식은 아니고, 단선 교주식을 나란히 한 것(단선 병렬식)도 있다. 킨테츠이코마 삭도선의 호잔지선은 2개의 단선 2량 교주식 케이블카가 나란히 있다.
차량은 외부에서 당겨서 운전하므로 동력을 위한 전력의 공급은 필요 없지만, 차내 조명이나 자동문 등을 위해 배터리나 가선, 제3 레일 등에서 전력을 공급하고 있다. 팬터그래프가 달려 있는 차량이 있는 것은 그 때문이다.
4. 장단점
하지만 밧줄 절단 시 차량 사고 위험이 커서 철저한 시설 관리와 안전 설비가 필수적이다. 지면을 이용하므로 궤도면 정리가 필요하며, 산악에서는 고가나 터널, 성토, 절개 작업이 필요하다. 처리량은 삭도보다 유리하지만 일반적인 도로나 철도에 비하면 매우 적어, 토목공사가 필요함에도 삭도보다 큰 용량을 내지 못해 현재는 활발히 신설되지 않는다.[1]
5. 역사
세계 최초의 케이블 철도는 오스트리아 잘츠부르크의 호엔잘츠부르크 요새로 물품을 수송하던 라이스추크로 추정된다. 1515년 마테우스 랑 추기경에 의해 처음 기록된 이 노선은 원래 나무 레일과 대마 견인 로프를 사용했으며, 사람이나 동물의 힘으로 운행되었다. 현재는 강철 레일, 강철 케이블, 전기 모터를 사용하지만, 여전히 요새 방어 시설을 따라 동일한 경로를 따른다.[4][5]
산업 혁명 초기에는 가파른 경사에서 기관차 대신 케이블 견인이 사용되었다. 게이츠헤드 외곽의 보우스 철도는 1826년에 개통되어 현재 세계에서 유일하게 보존된 케이블 철도 시스템이다. 크롬포드 앤 하이 피크 철도는 1831년에 개통되어 최대 1:8의 경사도를 가졌으며, 9개의 경사면 중 8개는 엔진 동력, 1개는 말 기계로 작동되었다. 리버풀 앤 맨체스터 철도는 1830년에 개통되었으며, 리버풀 부두로 가는 1:48 경사로에 케이블 견인을 사용했다.
1832년, 1:17 레스터-버튼 어폰 트렌트 선의 백워스 인클라인이 개통되었고, 1837년에는 런던 앤 버밍햄 철도의 유스턴 역과 프림로즈 힐 역 사이의 캠든 인클라인이 개통되었다.[7]
1869년 7월 2일, 뉴올리언스에서 P. G. T. 보리가드가 머리 위로 순환하는 로프를 잡거나 놓아 추진하는 케이블카를 시연하고 특허를 취득했다.[24][25] 1880년에는 이탈리아 베수비오산의 등산 철도인 베수비아나 강삭선이 개통되었다 (1984년 폐선).
19세기 후반, 1873년에 샌프란시스코에 케이블카가 등장하여 도시 교통 수단으로 활용되었다.[26] 이는 마차를 대신하는 수송 기관으로 고안되었으며,[26] 이후 노면 전차와 같은 대중 교통 기관으로 미국 전역 및 다른 주요 도시에 건설되었다.[26]
일본에서는 "케이블카"라는 호칭이 여객용 삭도에 주로 사용되지만, 산업용 (화물용) 삭도는 '''인클라인''' (Incline영어, 경사 철도)이라고 불린다. 이는 산악 지대에서의 목재 운송, 댐 공사 현장 자재 운송 등에 많이 사용되었다.
일본 내 현존하는 영구 시설로는 간사이 전력의 인클라인, 고치현아키군 우마지촌과 가나가와현아이코군아이카와정・기요카와촌의 미야가세 댐에 있는 것 등이 있다. 일본 국외에서는 미국펜실베이니아주 남서부 도시 피츠버그에 있는 2개의 인클라인이 알려져 있다.
1891년부터 1948년까지 운용된 비와코 소스이의 인클라인(게아게 인클라인, 후시미 인클라인)은 일본에서 과거 가장 잘 알려진 사례 중 하나로, 고저차가 있는 수로 간에 배를 왕래시키기 위해 사용되었다.
5. 1. 대한민국
대한민국에서는 영동선 통리역~심포리역(통리재 구간) 사이에 있던 1.1km 길이의 인클라인 구간이 강삭철도로 가장 유명하다. 이 구간은 일제강점기에 화물 운송을 위해 설치되었으며, 여객은 이용할 수 없었다. 당시 여객 열차는 영암선(현 영동선) 영주~통리 구간과 철암선(현 영동선) 북평(현 동해)~심포리 구간으로 분리 운행되었기 때문에, 통리~심포리 구간은 걸어서 이동해야 했다.[66]
통리와 심포리에는 소규모 조차장이 있어, 도착한 화물 열차를 한 량씩 분리하고 전용 완급차에 연결하여 운반했다. 이러한 방식은 하루 최대 745톤의 화물만 처리할 수 있어 수송에 큰 어려움을 겪었다.[66] 1963년 5월 10일, 8.5km의 우회선이 개통되면서 통리재 인클라인 구간은 폐지되었다.
현재 추추파크에서 이 구간을 푸니쿨라(Funicular)로 복원하여 2014년 10월부터 운행하고 있다.
도계역 도계광업소 구내와 통리역 인근 저탄장에도 광차 전용 강삭철도 시설이 운영되고 있지만, 일반 열차나 여객은 이용할 수 없다.
5. 2.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신흥선 송흥-부전령 구간[67]과 장진선 삼거리-황초령 구간[68]에서 강삭철도가 운영되고 있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강삭철도를 '쇠바줄철길'[69]이라는 이름으로 부른다.
5. 3. 일본
1918년에 개업한 이코마 강삭 철도(현재의 긴테쓰 이코마 강삭선)가 일본 최초의 강삭철도이다.[27][28] 다이쇼 시대 말기부터 쇼와 시대 초기에 걸쳐 로프웨이와 함께 전국 각지에 건설되었다. 그러나 쇼와 공황으로 인한 관광 수요 감소로 신규 건설이 중단되었고, 제2차 세계 대전 말기에는 관광 목적의 케이블카 노선 대부분이 불요불급선으로 지정되어 운행이 중단되었다.
전후 1950년대부터 관광 수요가 증가하면서 휴지되었던 노선이 부활하거나 신규 노선이 건설되었다. 그러나 1970년대 이후에는 로프웨이가 등산용 교통 기관의 주역이 되었고, 국내 관광 수요 정체로 케이블카의 신규 건설은 멈췄다. 헤이세이 시대에 들어서면서 모터리제이션의 진행과 국내 관광 수요 감소, 관광 스타일의 변화 등으로 이용객이 감소하였다. 또한, 로프웨이와 달리, 현재 일본에서는 케이블카의 양산이나 신규 설계가 이루어지지 않아, 오래된 설비 갱신에는 막대한 자금이 필요하게 되었다.
최근에는 신교통 시스템의 일환인 수평 엘리베이터로서의 수요가 높아지고 있다.[30] 미니 메트로나 케이블 라이너 및 과거에 운행되었던 요코하마 박람회의 SK 시스템[31]이나 히로시마시 아키구의 현수식 모노레일인 스카이 레일, 공기 부상식의 나리타 공항 제2 터미널 셔틀 시스템과 같은 예도 있다.
철도사업법에 근거한 일본의 케이블카 영업 노선은 다음과 같다.
산 이름 등 | 사업자명 | 노선명 | 여객 안내상의 명칭 | 궤간 (mm) | 총 연장 (m) | 최대 경사 | 최소 경사 | 고저차 (m) | 개업 연도 | 비고 |
---|---|---|---|---|---|---|---|---|---|---|
세이칸 터널 체험 갱도 | 세이칸 터널 기념관 | 세이칸 터널 류히 사갱선 | 류히 사갱선 | 914 | 778 | 250‰ | 250‰ | style="text-align:right;"| | 1988년 | 교주 설비 없음, 전 노선 지하 노선, 시설 내 노선 |
쓰쿠바산 | 쓰쿠바 관광 철도 | 쓰쿠바산 삭도선 | 쓰쿠바산 케이블카 | 1,067 | 1,634 | 358‰ | 207‰ | 495 | 1925년 | 1944년 폐지[33], 1954년 재개 |
다카오산 | 다카오 등산 전철 | 다카오 삭도선 | 다카오산 케이블카 | 1,067 | 1,020 | 608‰ | 105‰ | 271 | 1927년 | 1944년 휴지, 1949년 재개 |
미타케산 | 미타케 등산 철도 | (노선 명칭 없음) | 미타케산 케이블카 | 1,049 | 1,107 | 470‰ | 250‰ | 424 | 1934년 | 1944년 휴지, 1951년 재개 |
하코네 산 | 오다큐 하코네 | 삭도선 | 하코네 등산 케이블카 | 983 | 1,240 | 200‰ | 126‰ | 209 | 1921년 | 중간역 4개소 있음 1923년 휴지[34], 1925년 재개 1944년 휴지, 1950년 재개 |
오야마 | 오야마 관광 전철 | 오야마 삭도선 | 오야마 케이블카 | 1,067 | 786 | 477‰ | 258‰ | 278 | 1931년 | 중간역 1개소 있음 1944년 폐지, 1965년 재개 |
주코쿠토게 | 주코쿠토게 | 주코쿠토게 주코쿠 삭도선 | 주코쿠토게 케이블카 | 1,435 | 317 | 408‰ | 233‰ | 101 | 1956년 | 2021년 11월까지 이즈하코네 철도가 운영 |
다테야마 (구로베다이라) | 다테야마 구로베 관광 | 삭도선 | 구로베 케이블카 | 1,067 | 828 | 587‰ | 407‰ | 373 | 1969년 | 전 노선 지하 노선 |
다테야마 (비조다이라) | 삭도선 | 다테야마 케이블카 | 1,067 | 1,366 | 560‰ | 334‰ | 487 | 1954년 | ||
히에이산 (엔랴쿠지) | 히에이산 철도 | 히에이산 철도선 | 사카모토 케이블 | 1,067 | 2,025 | 333‰ | 170‰ | 484 | 1927년 | 중간역 2개소 있음 1945년 휴지, 1946년 재개 |
게이후쿠 전기 철도 | 삭도선 | 에이잔 케이블 | 1,067 | 1,458 | 530‰ | 215‰ | 561 | 1925년 | 1944년 휴지, 1946년 재개 | |
구라마 산 | 구라마데라 | 구라마 산 삭도 철도 | 구라마데라 케이블 | 800 | 207 | 499‰ | 499‰ | 89 | 1957년 | 궤도 하에 카운터 웨이트 설치, 시설 내 노선 |
오토코야마 (이와시미즈 하치만구) | 게이한 전기 철도 | 삭도선 | 이와시미즈 하치만구 참도 케이블 | 1,067 | 411 | 206‰ | 203‰ | 82 | 1926년 | 1944년 폐지, 1955년 재개 |
가사마쓰 전망대 | 단고 해륙 교통 | 아마노하시다테 삭도 철도 | 아마노하시다테 케이블 | 1,067 | 391 | 461‰ | 78‰ | 115 | 1927년 | 1944년 폐지, 1951년 재개 |
이코마 산 | 긴키 일본 철도 | 이코마 삭도선 | 이코마 케이블 호잔지선 | 1,067 | 948 | 227‰ | 83‰ | 146 | 1918년 | 단선 병렬에 의한 2계통으로 구성 1944년 단선화, 1953년 재복선화 |
이코마 케이블 야마가미선 | 1,067 | 1,124 | 333‰ | 256‰ | 322 | 1929년 | 중간역 2개소 있음 1944년 휴지, 1945년 재개 | |||
다카야스 산 | 니시신키 삭도선 | 니시신키 케이블 | 1,067 | 1,263 | 480‰ | 170‰ | 354 | 1930년 | 1944년 휴지, 1957년 재개 | |
로코 산 | 고베 로코 철도 | 로코 케이블선 | 로코 케이블 | 1,067 | 1,764 | 498‰ | 238‰ | 493 | 1932년 | 1944년 휴지, 1945년 재개 |
마야 산 | 고베 미래 도시 기구 | 마야 케이블선 | 마야 케이블 | 1,067 | 964 | 547‰ | 208‰ | 312 | 1925년 | 1944년 휴지, 1955년 재개 1995년 휴지[35], 2001년 재개 |
고야 산 (곤고부지) | 난카이 전기 철도 | 삭도선 | 고야산 케이블 | 1,067 | 864 | 563‰ | 274‰ | 329 | 1930년 | |
고켄잔 | 시코쿠 케이블 | (노선 명칭 없음) | 야쿠리 케이블 | 1,067 | 684 | 288‰ | 181‰ | 167 | 1931년 | 1944년 휴지, 1964년 재개 |
사라쿠라 산 | 사라쿠라 등산 철도 | 호바시라 케이블선 | 사라쿠라산 케이블카 | 1,067 | 1,191 | 528‰ | 206‰ | 441 | 1957년 | |
벳푸 라쿠텐치 | 라쿠텐치 | 벳푸 라쿠텐치 케이블선 | 라쿠텐치 케이블 | 1,067 | 253 | 558‰ | 480‰ | 122 | 1929년 | 1944년 휴지, 1950년 재개 |
6. 신교통 시스템으로서의 강삭철도
강삭철도는 구조상 추월이 어렵고 지상 설비가 복잡하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단거리이고 이용객이 많은 경우에는 혼잡과 대기 시간이 발생하기도 한다.[32]
7. 같이 보기
- 삭도
- 인클라인
참조
[1]
웹사이트
Lower Mangahao Dam site - view up jigline
https://collections.[...]
2023-11-02
[2]
웹사이트
The jig line. Nelson Evening Mail
https://paperspast.n[...]
2023-11-02
[3]
서적
Schienenseilbahnen in aller Welt. Schiefe Seilebenen, Standseilbahnen, Kabelbahnen.
Birkhäuser
1975
[4]
웹사이트
Der Reiszug – Part 1 – Presentation
http://www.funimag.c[...]
Funimag
2009-04-22
[5]
뉴스
Die große Reise auf den Berg
https://archive.toda[...]
2004-05-15
[6]
서적
The History of the Midland Railway
https://archive.org/[...]
Methuen & Company
1901
[7]
웹사이트
Listed building details: Camden Incline Winding Engine House
https://web.archive.[...]
London Borough of Camden
2010-12-17
[8]
서적
On the Welsh Narrow Gauge
[9]
서적
The Festiniog Railway 1800 - 1974; Vol. 2 - Locomotives and Rolling Stock; Quarries and Branches: Rebirth 1954-74
The Oakwood Press
1975
[10]
서적
Narrow Gauge Railways in North Caernarvonshire: Volume Three: The Dinorwic Quarry and Railways, The Great Orme Tramway and other rail systems
The Oakwood Press
[11]
서적
Slates to Velinheli: The Railways and Tramways of Dinorwic Slate Quarries, Llanberis and the Llanberis Lake Railway
Maid Marian Locomotive Fund
[12]
서적
Welsh Slate: Archaeology and History of an Industry
RCAHMW
2015
[13]
웹사이트
WATER BALANCE INCLINE, ABERLLEFENNI SLATE QUARRY
http://www.coflein.g[...]
Coflein
2010
[14]
서적
Trains and technology: the American railroad in the nineteenth century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Delaware Press
2001
[15]
웹사이트
Picture of recovery gear that uses a locomotive as its power source
http://www.railquip.[...]
[16]
웹사이트
Steilrampe Erkrath-Hochdahl
2018-12
[17]
웹사이트
Denniston Incline (including video)
http://www.teara.gov[...]
2007-06-18
[18]
웹사이트
A Gateway to Brazil: The Trunk Line that Climbs a Precipice
http://railwaywonder[...]
1935-05
[19]
서적
戎光祥レイルウェイリブレット1 路面電車発達史 ―世界を制覇したPCCカーとタトラカー
戎光祥出版
2016-03
[20]
웹사이트
Der Reiszug - Part 1 - Presentation
http://www.funimag.c[...]
Funimag
2009-04-22
[21]
웹사이트
Der Reiszug
http://www.funicular[...]
Funiculars.net
2009-04-22
[22]
뉴스
Die große Reise auf den Berg
http://www.die-tages[...]
2009-04-22
[23]
서적
The Transportation Experience: Policy, Planning, and Deployment
OUP USA
2014
[24]
서적
St. Charles Streetcar, The: Or, the New Orleans & Carrollton Railroad
Pelican Publishing Company
2011
[25]
특허
[26]
웹사이트
電気鉄道以前
http://www.usrail.jp[...]
[27]
저널
絵葉書に描かれた鉄道―ステーション(5)
鉄道友の会
2002-09
[28]
뉴스
影響残した幻の建物 阪神間モダニズムの記憶(2)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社
2014-12-10
[29]
저널
Street Railways Construction Operation and Maintenance
Street Railway Publishing Company
1892
[30]
문서
도펠마이어 케이블 카 (DCC)
[31]
서적
신교통 시스템
보육사
1990
[32]
웹사이트
成田空港に新連絡通路が完成
https://www.nikkei.c[...]
[33]
문서
제2차 세계대전 중 불요불급선 지정
[34]
문서
관동대지진으로 인한 피해
[35]
문서
한신·아와지 대지진으로 인한 피해
[36]
웹사이트
札幌もいわ山ロープウェイウェブサイト
http://moiwa.sapporo[...]
2018-10-06
[37]
웹사이트
もーりすカー(ケーブルカーに乗ろう!)「藻岩(もいわ)山 ミニケーブルカー」
http://www.cablecar.[...]
2018-10-06
[38]
문서
이용객의 감소 때문에
[39]
논문
日本三景天橋立の最高の展望を追い求めた“観光デザイナー”石間金造
跡見学園女子大学
2014-07-25
[40]
웹사이트
ホテル浦島山上館ウェブサイト
http://www.hoteluras[...]
2020-10-26
[41]
서적
鉄道廃線跡を歩くVIII
JTB
[42]
문서
주변의 택지화에 따른 도로 정비의 지장화 때문에
[43]
PDF
妙見山で展開する「妙見の森関連事業」の営業終了の繰上げ および 鋼索線(ケーブル)の廃止繰上届の提出について
https://noseden.hank[...]
能勢電鉄
2023-09-22
[44]
문서
[[東京急行電鉄]]・[[京浜急行電鉄]]・[[相模鉄道]]・[[日揮]]의 공동 출자로 설립. 1988년 2월, 제1종 철도 사업 면허 취득.
[45]
서적
横浜博覧会・会場計画と建設の記録
横浜博覧会協会
1990-03
[46]
간행물
鉄道免許状下付
{{NDLDC|2955030/11}}
국립국회도서관 디지털 컬렉션
1922-04-21
[47]
간행물
起業廃止許可
{{NDLDC|2956274/11}}
국립국회도서관 디지털 컬렉션
1926-05-24
[48]
간행물
鉄道免許状下付
{{NDLDC|2956602/7}}
국립국회도서관 디지털 컬렉션
1927-06-21
[49]
간행물
鉄道免許失効
{{NDLDC|2957195/6}}
국립국회도서관 디지털 컬렉션
1929-06-06
[50]
간행물
鉄道免許状下付
{{NDLDC|2956743/7}}
국립국회도서관 디지털 컬렉션
[51]
간행물
鉄道免許失効
{{NDLDC|2957666/12}}
국립국회도서관 디지털 컬렉션
1930-12-26
[52]
간행물
鉄道免許状下付
{{NDLDC|2958569/8}}
국립국회도서관 디지털 컬렉션
1933-12-26
[53]
간행물
鉄道免許失効
{{NDLDC|2959045/8}}
국립국회도서관 디지털 컬렉션
1935-07-23
[54]
간행물
鉄道免許状下付
{{NDLDC|2956949/26}}
국립국회도서관 디지털 컬렉션
1928-08-11
[55]
간행물
鉄道免許失効
{{NDLDC|2957934/5}}
국립국회도서관 디지털 컬렉션
1931-11-17
[56]
간행물
鉄道免許状下付
{{NDLDC|2958621/11}}
국립국회도서관 디지털 컬렉션
1934-03-01
[57]
간행물
鉄道免許失効
{{NDLDC|2959040/7}}
국립국회도서관 디지털 컬렉션
1935-07-17
[58]
간행물
鉄道免許状下付
{{NDLDC|2958452/7}}
국립국회도서관 디지털 컬렉션
1933-08-07
[59]
간행물
鉄道免許失効
{{NDLDC|2959092/4}}
국립국회도서관 디지털 컬렉션
193-09-16
[60]
간행물
鉄道免許状下付
{{NDLDC|2956761/13}}
국립국회도서관 디지털 컬렉션
1927-12-28
[61]
간행물
鉄道免許失効
{{NDLDC|2957588/7}}
국립국회도서관 디지털 컬렉션
1930-09-22
[62]
간행물
鉄道免許状下付
{{NDLDC|2956997/7}}
국립국회도서관 디지털 컬렉션
1928-10-06
[63]
간행물
鉄道免許失効
{{NDLDC|2957565/5}}
국립국회도서관 디지털 컬렉션
1930-08-26
[64]
간행물
鉄道免許状下付
{{NDLDC|2956196/6}}
국립국회도서관 디지털 컬렉션
1926-02-20
[65]
간행물
鉄道免許失効
{{NDLDC|2956966/5}}
국립국회도서관 디지털 컬렉션
1928-08-31
[66]
서적
한국철도건설백년사
한국철도시설공단
[67]
웹사이트
https://terms.naver.[...]
[68]
웹사이트
https://terms.naver.[...]
[69]
문서
표기는 '쇠바줄철길'이나 발음은 [쇠받줄철길]로 [[대한민국]]과 같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