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신교통 시스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신교통 시스템은 경량전철과 구분되는 자동화된 무인 운행, 전용 궤도, 소량의 교통량 처리 등의 특징을 가진다. 미국에서는 '피플 무버'로 불리며, 국내에서는 경전철과 유사한 의미로 사용되기도 한다. 일본에서는 광의로 모노레일, 라이트레일 등을 포함하며, 협의로는 AGT(Automated guideway transit)와 같은 중규모 교통 시스템을 의미한다. 신교통 시스템은 노선 형태, 바퀴 방식, 동력 방식, 운전 방식, 지지 방식 등에 따라 분류되며, 1924년 네버 스탑 레일웨이 등 초기 사례를 거쳐, 1971년 탬파 국제 공항에 자동 운전 시스템이 등장하면서 현대적으로 발전했다. 주요 제조사로는 안살도 STS, 봄바디어 등이 있으며, 대한민국에서는 부산 도시철도 4호선, 김해경전철 등이 대표적인 사례이다. 해외에서는 아시아, 유럽, 아메리카 등 다양한 지역에서 운영되고 있으며, AGT, APM, VAL 등 관련 기술이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신교통 시스템 - 주장신청 자동운송 체계
    주장신청 자동운송 체계(APM)는 중화인민공화국 광저우 시의 지하 경전철 시스템으로, 2010년 개통되어 9개의 역이 모두 지하에 건설되었으며, CITYFLO650 자동제어 체계로 무인 운행된다.
  • 신교통 시스템 - 무인궤도교통
    무인궤도교통은 자동화된 대중교통 시스템으로, 버스나 노면전차보다 많은 승객을, 지하철보다는 적은 승객을 수송하는 것을 목표로 개발되었으며, PRT, GRT, SLT 등 다양한 형태로 운영되고 있고, 대한민국에서는 신도시 개발과 함께 도입되어 현재 여러 도시에서 운행 중이며, 해외에서는 공항 내부 이동 노선으로 널리 활용된다.
  • 위키백과 특수 효과용 - 찰리 채플린
    찰리 채플린은 런던 빈민가 출신으로 뛰어난 코미디 연기와 영화 연출로 세계적인 명성을 얻었으며, "작은 방랑자" 캐릭터, 슬랩스틱 코미디, 판토마임 연기, 사회 비판적 메시지, 매카시즘 시대의 탄압, 아카데미 명예상 수상 등으로 대표되는 파란만장한 삶을 살았던 영국의 배우이자 영화 감독이다.
  • 위키백과 특수 효과용 - 1996년 하계 올림픽
    1996년 하계 올림픽은 미국 애틀랜타에서 개최되어 26개 종목 271개 세부 종목으로 구성, 197개국이 참가했으나, 센테니얼 올림픽 공원 폭탄 테러 사건과 재정적 성공, 도시 인프라 개선이라는 양면성을 남겼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신교통 시스템
개요
유형완전 자동화된 교통 시스템
특징일반적으로 비교적 작은 지역을 운행
관련 주제
관련 항목자동 열차 운전 장치
자동 안내 궤도 교통
개인 고속 수송 시스템
CBTC
ETCS
열차 자동화 역사
자동 교통 네트워크 공급업체
자동 열차 시스템 목록폐지된 시스템
GoA2
GoA3+
관련 주제자율 주행 자동차
무인 수상정
역사
초기 개발1950년대 후반
주요 개발 회사웨스팅하우스
배트 텔레
초기 시스템디즈니랜드 PeopleMover (1967)
탬파 국제공항 (1971)
활용 분야
주요 사용 장소공항
도시 중심부
테마파크
대규모 시설 단지
기술적 특징
자동화 수준GoA4 (완전 자동 운전)
안내 방식궤도 또는 유도 시스템
차량 크기소형 ~ 중형
수송 능력비교적 적음
장점
장점인건비 절감
정시 운행
안전성 향상
좁은 공간 활용 가능
단점
단점초기 투자 비용 높음
시스템 장애 시 전체 마비 가능성
승객의 불안감 유발 가능성
기타
참고신교통 시스템
개인 고속 수송 시스템
자동 안내 궤도 교통

2. 정의

개념적으로 신교통 시스템은 경량전철과 의미적으로 구분되는 고유한 특성을 가진다. 신교통 시스템은 경량전철과 비교했을 때, 자동화 정도, 통행권, 교통량 등에서 차이를 보인다. 이러한 처리 능력에 따라, 노선 형태와 결합하여 SLT(Shuttle and Loop Transit), PRT(Personal Rapid Transit), GRT(Group Rapid Transit) 등으로 세분화하기도 한다.[20]

2. 1. 경량전철과의 차이점

신교통 시스템은 경량전철과 몇 가지 뚜렷한 차이점을 보인다. 첫째, 자동화 수준이 높아 운전자 조작 없이 자동 또는 무인 운행이 가능하다. 둘째, 평면교차 없이 완전한 통행권을 갖는 전용 궤도를 보유한다. 셋째, 경량전철보다 비교적 적은 교통량을 처리한다. 개인 또는 수 명 단위에서 경량 전철에 가까운 수십 명 정도의 수송량을 처리하며, 노선 형태에 따라 SLT(Shuttle and Loop Transit), PRT(Personal Rapid Transit), GRT(Group Rapid Transit) 등으로 세분화된다.[20]

미국 등지에서는 신교통 시스템을 '''피플 무버'''(People Mover)라고도 부른다. 피플 무버는 이동보도 장치, 무정차 궤도 등 소규모(개인 또는 소집단) 교통 처리에 특화된 시스템을 의미하며, 한국의 신교통 개념과는 약간 차이가 있지만 가장 유사하다. 대개 고무차륜 기반이지만 철차륜식 등 예외도 존재하며, 소단위 또는 개인 단위 교통수단을 의미한다.[20]

한편, 한국과 유사하게 일본에서도 신교통 시스템이라는 용어를 사용하는데, 여기에는 광의와 협의의 정의가 있다. 광의로는 모노레일, 라이트 레일, 안내궤조식 철도, 가이드웨이 버스, 자기부상식 철도, 스카이 레일 등 대한민국에서 쓰이는 광의의 경전철과 유사하다. 협의로는 안내궤조식 철도, 즉 AGT(영어)에 의한 중규모 교통 시스템을 의미한다. AGT는 고무 타이어를 장착한 소형 경량 차량을 전용 궤도상의 안내 궤조에 따라 자동 운전으로 운행하는 중량 궤도 수송 시스템이다.[20]

2. 2. 다양한 명칭

미국 등지에서는 종종 '''피플 무버'''(People Mover영어)라고도 불린다. 피플 무버는 이동보도 장치, 무정차 궤도 등과 같은 소규모의(개인 또는 소집단) 교통을 처리하는 것에 특화된 시스템을 말하는 개념으로 국내의 신교통 개념과는 약간 오차가 존재하나, 그 중에서도 가장 유사성이 있다. 이들은 대개 고무차륜 기반으로(예외적으로 철차륜식 등도 존재) 운행되며, 대개 소단위 내지는 개인 단위의 교통수단을 의미한다.[20]

한편, 한국에서의 신교통 시스템 용어와 가장 유사성을 가지는 일본에서의 신교통 시스템 용어는 광의와 협의의 정의가 존재한다. 광의로는 모노레일, 라이트레일, 안내궤조식철도, 가이드웨이 버스, 자기부상식 철도, 스카이 레일 등 대한민국에서 쓰이는 광의의 경전철과 유사한 의미를 가진다. 반면, 협의로는 이 중에서 안내궤조식 철도, 이른바 AGT(Automated guideway transit영어)에 의한 중규모 교통 시스템을 의미한다.[20]

3. 역사

신교통 시스템은 여러 방향으로 개발되었지만, 기반 기술 축적을 통해 현대적인 형태로 발전해왔다. 1949년 말, 컨베이어 벨트 및 컨베이어 시스템 제조 회사인 Stephens-Adamson Manufacturing Company의 마이크 켄달은[13] 굿이어 타이어 앤 러버 컴퍼니(Goodyear Tire and Rubber Co.)의 알 닐슨에게 피플 무버 연구를 제안했다. 4년간의 연구 끝에 스피드워크, 스피드램프, 카베이어 등 3가지 유형의 피플 무버에 대한 공동 특허가 발급되었다.

스피드워크는 평평한 컨베이어 벨트로, 1.5mi/h(보행 속도의 약 절반)의 속도로 움직이며, 핸드레일의 지원을 받았다. 무빙 워크와 유사한 이 장치는 공항 터미널, 야구장, 기차역 등에 설치될 예정이었다. 스피드램프는 스피드워크와 유사하지만 경사면을 오르내리는 데 사용되었으며, 뉴저지주 저지시티의 허드슨 앤 맨해튼 철도역에 처음 설치되었다. 카베이어는 10명의 승객을 태우는 작은 차량으로, 뉴욕 42번가 셔틀에서 타임스 스퀘어와 그랜드 센트럴 역 사이에 설치될 예정이었으나, 정치적 문제로 무산되었다.

1960년대 후반부터 1970년대까지, 피플 무버는 전 세계적으로 집중적인 개발 대상이었다. 만네스만 데마그와 메서슈미트-뵐코-블롬은 캐비넷택시를 개발했고, 미국에서는 다운타운 피플 무버 프로그램을 통해 APM 시스템 개발이 이루어졌다. 피츠버그의 스카이버스 프로젝트는 노면 전차 시스템 대체 시도로 제안되었으나, 기술 미성숙 등의 문제로 포기되었다.

'피플 무버'라는 용어는 월트 디즈니와 그의 이매지니어들이 1967년 디즈니랜드의 투모로우랜드를 개발하는 과정에서 사용되었다. 이매지니어 밥 거어에 따르면 "그 이름이 정착되었다"고 한다.[16]

3. 1. 초기 사례

신교통 시스템의 가장 오래된 사례는 1924년 영국 제국 박람회장에 설치된 네버 스탑 레일웨이(Never Stop Railway)이다.[8][9] 이 열차는 박람회장 북쪽과 동쪽을 따라 이어진 선로에 88개의 무인 객차로 구성되었고, 양 끝에는 회차 루프가 있었다. 객차는 콘크리트 보 위에 설치되었고, 나사산의 피치 간격을 조정하여 객차 속도를 조절했다. 역에서는 보행 속도로 감속하고, 역 사이 구간에서는 속도를 높이는 방식이었다. 승객은 역에서 서행할 때 승하차했다. 이 시스템은 지하철 대체 용도로 제안되었지만, 박람회 2년 후 철거되었다.[12]

이후 여러 시스템 개발이 시도되었으나, 성공적인 사례는 많지 않았다. 1971년 미국 탬파 국제공항에 자동 운전 시스템이 처음 등장했고, 1970년대 웨스트버지니아 주 모건타운(Morgantown)의 PRT 프로젝트를 통해 본격적인 교통시설로 데뷔했다. 이 시스템은 웨스트버지니아 대학교의 분산된 캠퍼스를 연결하며, 70량의 차량과 13.9km의 노선을 운영하고 있다. 1981년 일본, 1983년 프랑스 등지에서도 신교통 시스템이 개통되었다.

3. 2. 현대적 발전

웨스트버지니아 주 모건타운의 PRT 프로젝트를 통해 1970년대에 신교통 시스템은 본격적인 교통시설로서 데뷔하였다. 이 시스템은 웨스트버지니아 대학교의 분산된 각 캠퍼스를 연결하며, 70량의 20인승 차량을 운용하고, 13.9km의 영업거리를 가진 노선이다. 이후 1981년 일본, 1983년 프랑스 등지에서 신교통 시스템이 개통되었다.[8][9]

시애틀-타코마 국제공항의 SEA 언더그라운드 내부. 1969년에 개통되었으며, 세계 최초의 자동 수송 시스템 중 하나였다.


PHX Sky Train (미국 애리조나주 피닉스), 2013년 개통


광저우 주장 신도시 APM의 플랫폼 (중국 광둥성, 광저우)


이탈리아 볼로냐의 마르코니 익스프레스


자동 운전 신교통 시스템의 첫 등장은 1971년 미국 탬파 국제공항에 설치된 탬파 국제공항 여객 수송 시스템이었다. 많은 시스템이 실패로 간주되었지만, 다른 그룹에서 개발한 APM 시스템은 더 성공적이었다. 짧은 트랙을 가진 가벼운 시스템은 공항에서 널리 사용되며, APM은 현재 미국 대형 공항 및 병원에서 흔히 볼 수 있다.

자동 운전 지하철은 유럽과 아시아 일부 지역에서 흔해졌다. 자동 열차의 경제성은 "대중" 교통과 관련된 규모를 줄이는 경향이 있다 (가장 큰 운영 비용은 운전기사 급여이며, 이는 매우 많은 수의 승객이 요금을 지불할 경우에만 감당할 수 있다). 따라서 지하철 건설에 너무 작은 도시(예: , 로잔, 브레시아 등)도 현재 그렇게 하고 있다.

2006년 9월 30일, 일본 아이치현 고마키시의 피치라이너는 일본 최초로 운영을 중단한 여객 수송 시스템이 되었다.

4. 분류

신교통 시스템은 노선 형태, 바퀴 방식, 동력 방식, 지지 방식, 운전 방식 등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된다.[22]


  • 노선 형태: 셔틀 및 루프형(SRT), 분기가 있는 복잡한 노선형(GRT), 개별 운송 노선형(PRT)으로 나뉜다.
  • 바퀴 방식: 고무바퀴, 철제바퀴, 부상식 등으로 나뉜다.
  • 동력 방식: 원형 모터, 선형 모터, 엔진, 케이블 견인 등으로 구분된다.
  • 운전 방식: 유인 운전과 무인 자동 운전으로 구분된다.[20]
  • 지지 방식: 과좌식 모노레일, 고무차륜식 등의 하부지지 방식과 현수식 모노레일 등의 상부지지 방식으로 나뉜다.[20]


이 외에도 설치 장소(공항, 병원, 도시 교통 등)에 따라 구분하기도 한다. AGT(Automated Guideway Transit)는 고무 타이어를 장착한 소형 경량 차량을 전용 궤도상의 안내 궤도를 따라 자동 운전으로 운행하는 중량 궤도 수송 시스템이다.[20]

4. 1. 노선 형태

신교통 시스템의 노선 형태는 다음과 같이 구분된다.

종류설명차량 형태
셔틀 및 루프형 (SRT)셔틀 및 루프 등 단순 노선 형태열차형 차량
분기가 있는 복잡한 노선형 (GRT)분기가 있는 복잡한 노선 형태승합형 차량
개별 운송 노선형 (PRT)개별 운송 노선 형태


4. 2. 바퀴 방식

신교통 시스템은 바퀴 방식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뉜다.

  • 고무바퀴: AGT(Automated Guideway Transit)는 고무 타이어를 장착한 소형 경량 차량을 전용 궤도상의 안내 궤조에 따라 자동 운전으로 운행하는 중량 궤도 수송 시스템이다.[20]
  • 철제바퀴: (원문 소스에 해당 내용 없음)
  • 부상식: (원문 소스에 해당 내용 없음)


이탈리아 베니스의 피플 무버


4. 3. 동력 방식

원형 모터, 선형 모터, 엔진, 케이블 견인 등으로 구분된다.

4. 4. 운전 방식

신교통 시스템은 운전 방식에 따라 유인 운전과 무인 자동 운전으로 구분된다.[20] AGT(Automated Guideway Transit)는 고무 타이어를 장착한 소형 경량 차량을 전용 궤도상의 안내 궤도를 따라 자동 운전으로 운행하는 중량 궤도 수송 시스템이다.[20]

4. 5. 지지 방식

지지 방식은 크게 하부지지 방식과 상부지지 방식으로 나뉜다. 하부지지 방식에는 과좌식 모노레일, 고무차륜식 등이 있으며, 상부지지 방식에는 현수식 모노레일이 있다.[20]

4. 6. 기타

설치 장소에 따라 공항 내 궤도, 병원 등 건물 연결용, 도시 교통용 등으로 구분하기도 한다. 자동 안내 궤도식 여객 수송 시스템(AGT, Automated Guideway Transit)은 고무 타이어를 장착한 소형 경량 차량을 전용 궤도상의 안내 궤조에 따라 자동 운전으로 운행하는 중량 궤도 수송 시스템이다.[20]
더 스퀘어의 다층 주차장을 운행하는 ''미니메트로''

5. 제조사

히타치 레일 STS, 알스톰의 봄바디어 이노비아 APM, 도펠마이어 케이블카, HTI 그룹(라이트너 로프웨이/포마), 미쓰비시 중공업 크리스탈 무버, 패리 피플 무버 (PPM), 현대로템 등이 신교통 시스템을 제조한다.

공항의 여객 이동 시스템은 대중교통 시스템과 연결되어 승객이 공항에서 도시로 이동할 수 있도록 돕는다. 대표적인 예시는 다음과 같다.



5. 1. 중형 APM

안살도 STS, 봄바디어 Innovia APM, 가와사키 중공업 차량 회사, 미쓰비시 중공업 (크리스탈 무버), VAL(현대로템 포함) 등이 중형 APM에 해당한다.[20] 미국토목학회(ASCE)가 규격화한 APM 규격은 국제전기표준회의(IEC)에서 표준 규격으로 제안되었다.[21]

5. 2. 경량형 APM

안살도 STS, 봄바디어 APM, DCC 도펠마이어 케이블 카, 라이트너 그룹, 포마 그룹, 미쓰비시 중공업 크리스탈 무버, 패리 피플 무버스 (PPM), 현대로템 등이 경량형 APM을 생산한다.

5. 3. PRT

포스코 ICT의 자회사였던 벡터스는 적자로 인해 청산되었고, 그 기술은 PRT 운영사인 순천에코트랜스가 보유하고 있다.[1]

6. 대한민국 내 사례

대한민국에서는 여러 도시 및 시설에서 신교통 시스템이 운영되고 있다.

지역노선 및 시스템
인천국제공항공사스타라인 (일반 대중교통용이 아닌 인천국제공항의 특정 탑승동 이용객 및 직원만을 위한 특수 목적용)
부산광역시부산 도시철도 4호선, 김해경전철, 영주동 오름길 모노레일
의정부시의정부 경전철 (VAL 시스템)
용인시용인 경전철
서울시우이신설선


  • 하위 섹션에서 이미 자세하게 다루고 있으므로, 중복을 피하기 위해 간단하게 표 형태로 정리했다.
  • '인천국제공항공사 스타라인'에 대한 설명은 괄호 안에 추가하여 간결하게 작성했다.

6. 1. 공공

부산 도시철도 4호선, 김해경전철, 영주동 오름길 모노레일, 의정부 경전철(VAL 시스템), 용인 경전철, 우이신설선, 용인 에버라인, 유 라인

6. 2. 민간


  • 인천국제공항공사의 스타라인은 일반 대중교통용이 아니라, 인천국제공항의 특정 탑승동 이용객 및 직원만을 위한 특수 목적용 교통 수단이다.[1]
  • 순천의 스카이큐브는 2013 순천만국제정원박람회 개최 장소와 순천문학관 옆 습지 "완충 구역"에 있는 역을 연결하는 PRT이다.[7]

7. 해외 사례



마이애미의 메트로무버


월트 디즈니와 그의 이매지니어들은 1967년 디즈니랜드의 새로운 투모로우랜드를 개발하면서 '피플 무버'라는 용어를 사용했다. 이매지니어 밥 거어에 따르면, 이 이름은 새로운 어트랙션인 피플무버의 임시 제목으로 사용되었으나, 곧 고정된 명칭이 되었다.[16]

1960년대 후반부터 1970년대까지, 피플 무버는 전 세계적으로 집중적인 개발 대상이었다. 자동차 확산으로 인한 도심 교통 혼잡과 공해 문제 심화로, 많은 국가에서 저렴한 비용으로 구축 가능한 대중교통 시스템을 연구했다. 대부분 터널보다 건설 비용이 저렴한 고가 가이드웨이를 사용했다. 소음 문제로 강철 바퀴-레일 방식은 드물었고, 고무 타이어 방식이 일반적이었다. 일부 시스템은 호버크래프트자기 부상 방식을 사용했다.

독일에서는 만네스만 데마그와 메서슈미트-뵐코-블롬이 캐비넷택시를 개발했다. 이 시스템은 소형 차량이 승객 요청에 따라 목적지로 바로 이동하는 방식이었다. 미국에서는 연방 법안 지원으로 로어의 ROMAG, LTV의 AirTrans, 포드의 APT, 오티스 엘리베이터의 호버크래프트 디자인 등 4개 시스템이 개발되었다.

피츠버그의 스카이버스, 마이애미의 메트로무버, 디트로이트 피플 무버, 잭슨빌 스카이웨이 등이 건설되었다.

전 세계 많은 대형 국제공항은 터미널 간 또는 터미널 내부 승객 수송을 위해 여객 이동 시스템을 갖추고 있으며, 일부는 대중교통 시스템과 연결되어 공항에서 도시로 편리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돕는다.

  • 마스다르 시티 개인 급행 수송 시스템
  • 디트로이트(Detroit, Michigan): 디트로이트 피플 무버
  • 라스 콜리나스(Las Colinas, Irving, Texas): 라스 콜리나스 APT 시스템
  • 모건타운(Morgantown, West Virginia): 모건타운 개인 급행 수송
  • 마이애미(Miami, Florida): 메트로무버

7. 1. 아시아

싱가포르 LRT 부킷 판장 선


싱가포르 LRT 셍캉 선의 미쓰비시 중공업 크리스탈 무버 차량

7. 2. 유럽

런던 도클랜즈 경전철


페루자의 미니메트로

7. 3. 아메리카

디트로이트 피플 무버


오클랜드BART 콜리시엄-오클랜드 국제공항선

8. 관련 기술

AGT(Automated Guideway Transit)는 고무 타이어를 장착한 소형 경량 차량을 전용 궤도상의 안내 궤조에 따라 자동 운전으로 운행하는 중량 궤도 수송 시스템이다.[20]

APM(Automated People Mover)은 미국 웨스팅하우스 일렉트릭(Westinghouse Electric Corporation)이 개발한 AGT 방식의 교통 시스템으로, 현재는 봄바디어 Innovia APM이 계승하고 있다. 타사가 개발한 AGT도 APM이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다.[21]

VAL은 마트라사가 개발한 AGT 방식의 교통 시스템으로, 현재는 지멘스사가 계승하고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Skybus in Pittsburgh http://www.brookline[...] 2010-04-17
[2] 뉴스 Who killed Westinghouse? 2007-11-12
[3] 웹사이트 Westinghouse Company Timeline (1940–1979) http://www.westingho[...] Westinghouse Electric Company, LLC 2007-11-12
[4] 웹사이트 PeopleMover at Disneyland http://www.yesterlan[...] 2007-11-12
[5] 웹사이트 A world of trams and urban transit - A complete listing of Light Rail, Light Railway, Tramway & Metro systems throughout the World http://www.lrta.org/[...] Light Rail Transit Association (LRTA) 2014-11-28
[6] 웹사이트 Korean city opens automatic light metro http://www.railjourn[...] 2014-11-24
[7] 웹사이트 BJP promises light metro in Bhopal and Indore http://www.dnaindia.[...] 2014-11-28
[8] Webarchive British Film Institute http://ftvdb.bfi.org[...] 2013-09-02
[9] Webarchive British Pathe (agency) http://www.britishpa[...] 2011-06-11
[10] Webarchive British Pathe (agency) http://www.britishpa[...] 2011-06-11
[11] Webarchive Hulton Archive http://www.gettyimag[...] 2013-07-23
[12] 뉴스 Exhibiting the Empire http://www.tribunein[...] 2006-11-06
[13] 웹사이트 About S-A http://www.stephens-[...] Stephens-Adamson 2014-01-05
[14] 서적 There's Adventure in Civil Engineering Popular Mechanics Press
[15] 서적 Subway of the Future Time 1954-11-15
[16] 비디오 Ford's Magic Skyway and the PeopleMover Extinct Attractions Club 2005-01-01
[17] 웹사이트 Kings Island Central - Features - Kings Island Monorail http://www.kicentral[...] 2008-07-19
[18] 뉴스 A New Look at a Reno Classic: Downtown's Sky Shuttle http://www.ktvn.com/[...] KTVN-TV 2017-03-29
[19] 웹사이트 三菱重工、タンパ国際空港の全自動無人運転車両 4両を追加受注 https://flyteam.jp/n[...] FlyTeam 2020-04-28
[20] 웹사이트 添付資料 2 都市鉄道のシステム https://openjicarepo[...] 国際協力機構 2020-04-28
[21] 학술지 地下鉄における自動運転の現状と将来展望 https://doi.org/10.1[...] 電気学会 2020-04-30
[22] 문서 도시철도론 노해출판사 2001-01-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