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르숌 숄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게르숌 숄렘은 독일에서 태어나 유대교 신비주의 연구에 헌신한 학자이다. 그는 베를린 대학교에서 수학, 철학 등을 공부하고, 발터 벤야민 등과 교류했으며, 1923년 시온주의의 영향을 받아 팔레스타인으로 이주했다. 숄렘은 예루살렘 히브리 대학교에서 유대교 신비주의를 가르치며 카발라 연구를 학문적으로 정립했다. 그는 유대교 역사를 세 시기로 구분하고, 사바타이주의 연구와 언어 이론을 제시했으며, 한나 아렌트와 논쟁을 벌이기도 했다. 숄렘은 주요 저서들을 통해 유대교 신비주의 연구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호르헤 루이스 보르헤스, 움베르토 에코 등 다양한 분야의 학자들에게 영감을 주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게르숌 숄렘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게르하르트 숄렘 |
출생 | 1897년 12월 5일 |
출생지 | 독일 제국 베를린 |
사망 | 1982년 2월 21일 |
사망지 | 이스라엘 예루살렘 |
국적 | 독일, 이스라엘 |
학문 분야 | |
연구 분야 | 철학, 문헌학 |
관심 분야 | 종교 철학, 역사 철학, 신비주의, 메시아주의 |
학파/전통 | 대륙 철학, 카발라, 유대교 학문 |
경력 | |
소속 | 예루살렘 히브리 대학교 |
학력 | 훔볼트 대학교 베를린 (프리드리히-빌헬름 대학교) |
주요 저서 | 사바타이 체비, 신비로운 메시아 유대 신비주의의 주요 경향 |
수상 | |
수상 내역 | 이스라엘 상, 비알리크 상 |
개인 정보 | |
배우자 | 파니아 프로이트 숄렘 |
서명 |
2. 생애
게르숌 숄렘은 1897년 베를린에서 인쇄업자인 아버지 아르투어 숄렘과 어머니 베티 히르쉬 숄렘 사이에서 태어났다. 그의 형은 독일 공산주의 지도자 베르너 숄렘이었다. 그는 정통 랍비에게서 히브리어와 탈무드를 배웠다.[8]
1915년 뮌헨에서 발터 벤야민을 만났는데, 이후 벤야민이 1940년 나치 박해로 자살할 때까지 평생의 우정을 이어갔다. 숄렘은 1938년~1940년 강의를 바탕으로 한 저서 ''유대교 신비주의의 주요 경향''(Die jüdische Mystik in ihren Hauptströmungen)을 벤야민에게 헌정했다. 같은 해 훔볼트 대학교에서 수학, 철학, 히브리어를 공부하며 마르틴 부버, 슈무엘 요세프 아그논, 하임 나흐만 비알릭, 아하드 하암, 잘만 샤자르를 만났다.[8]
베를린에서 숄렘은 레오 스트라우스와 친구가 되었고 평생 서신을 주고받았다.[9] 그는 예나 대학교에서 고틀로프 프레게에게 수리 논리학을 배웠다. 1918년 베른에서 벤야민과 함께 엘사(에샤) 부르차드를 만나 첫 번째 아내가 되었다. 1919년 독일로 돌아와 뮌헨 루트비히 막시밀리안 대학교에서 셈어 학위를 받았다.[8] 벤야민과 함께 가상의 학교인 무리 대학교를 설립했다.[10]
숄렘은 가장 오래된 카발라 텍스트인 ''세페르 하-바히르''에 대한 박사 학위 논문을 썼고, 이듬해 아버지의 출판사에서 "Das Buch Bahir"라는 책으로 출판되었다.[8]
시온주의에 매료되고 부버의 영향을 받아 1923년 영국 위임통치 팔레스타인으로 이민했다.[11] 숄렘은 시오니즘에 충성했지만, 그 윤리에 대해서는 부버보다 비판적이었다.[12][13][14][15]
팔레스타인 이주 후, 숄렘은 국립 도서관에서 히브리어 및 유대교학과를 이끌며 사서가 되었다. 1927년 듀이 십진법을 개조하여 대규모 유대교 컬렉션에 적합하게 만들었다. 그의 형 베르너 숄렘은 극좌 "피셔-마슬로 그룹"의 일원으로서 국회의 최연소 의원이자 독일 공산당을 대표했으나, 당에서 축출된 후 제3제국 동안 나치에 의해 살해되었다. 이와 달리 게르숌은 공산주의와 마르크스주의에 맹렬히 반대했다. 1936년 그는 두 번째 아내인 파니아 프로이트와 결혼했는데, 폴란드어를 읽을 수 있었던 그녀는 야곱 프랑크와 관련한 그의 후기 연구에 도움이 되었다.[16]
1946년 숄렘은 히브리 대학교에 의해 "Otzrot HaGolah"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나치에 의해 약탈당한 유대교 서적을 찾아 정당한 소유자에게 돌려주는 일을 돕기 위해 독일과 중부 유럽에 파견되었다.[8]
예루살렘 히브리 대학교의 강사가 된 그는 카발라와 신비주의를 과학적인 관점에서 가르쳤고, 1933년 최초의 유대교 신비주의 교수가 되어 1965년 은퇴할 때까지 재직했으며, 이후 명예 교수가 되었다.
숄렘은 예루살렘에서 사망했으며, 산헤드리아 묘지에 아내 옆에 묻혔다. 위르겐 하버마스가 조사를 했다.[17]
2. 1. 초기 생애 및 교육 (1897-1923)
1897년 독일 베를린의 유대인 가정에서 태어났다. 아버지 아르투어 숄렘은 화가였으며, 아들이 유대교에 관심을 갖는 것을 반기지 않았지만, 어머니 베티 힐쉬 숄렘의 도움으로 정통파 랍비에게서 히브리어와 탈무드를 배웠다.[27]베를린 대학교에서 수학, 철학, 히브리어를 공부했다. 대학교에서 마르틴 부버, 발터 벤야민, 슈무엘 아그논, 하임 나흐만 비알리크, 아하드 하암, 잘만 샤자르 등을 만났다. 1918년에는 벤야민과 함께 스위스 베른에 있었고, 그곳에서 첫 번째 아내 엘자 부르크하르트를 만났다.[27] 1919년 뮌헨 대학교에서 셈어 연구로 학위를 받았다. 박사 논문 주제는 가장 오래된 카발라 문헌인 סֵפֶר הַבָּהִיר|세페르 하-바히르he("광휘의 서")였다.[27] 초기에는 시온주의에 경도되었으며, 친구 마르틴 부버의 영향을 받았다.[27]
2. 2. 팔레스타인 이주와 학문적 활동 (1923-1982)
1923년 숄렘은 영국령 팔레스타인으로 이주하여 유대교 신비주의 연구에 매진했다. 이스라엘 국립 도서관에서 사서로 일하며 히브리 및 유대 문헌 부문 책임자를 역임했다. 1933년 예루살렘 히브리 대학교 유대교 신비주의 강좌 초대 교수로 임명되어 1965년 명예 교수가 될 때까지 재직했다. 카를 구스타프 융 등이 참여한 에라노스 회의 등 국제 학술 행사에도 참여했다.[18]3. 주요 연구 및 업적
- 1958년 이스라엘 상 유대학 부문을 수상했다.[35]
- 1968년 이스라엘 학술원 원장으로 선출되었다.
- 1969년 야키르 예루살렘 상을 받았다.[36]
- 1977년 비알리크 상 유대 사상 부문을 수상했다.[37]
- 카발라를 학문적으로 연구하고, 유대교 신비주의를 재조명했다.
- 유대교 역사를 성서 시대, 랍비 시대, 중세 시대로 구분했다.
- 발터 벤야민과 달리 히브리어를 신성한 진리를 드러내는 언어로 보았고, 카발라 학자들을 언어적 계시의 해석자로 간주했다.
- 한나 아렌트와 아돌프 아이히만 재판에 대해 논쟁했다.
3. 1. 카발라 연구의 학문적 정립
숄렘은 이전까지 비합리적이고 주변적인 것으로 여겨졌던 카발라를 과학적이고 역사적인 방법론으로 연구하여 학문적 대상으로 정립하였다. 카발라 문헌을 꼼꼼하게 분석하고 해석하여 카발라 사상의 발전 과정을 체계적으로 제시했다. 그는 자연과학적 소양을 활용하여 카발라를 과학적으로 가르쳤다는 특징이 있다.3. 2. 유대교 신비주의의 재조명
게르숌 숄렘은 유대교 신비주의를 단순한 미신이 아닌, 유대교 역사와 사상의 중요한 부분으로 재조명했다. 그는 신비주의적 요소가 유대교의 합리적 요소와 상호작용하며 유대교 사상을 발전시켜왔다고 주장했다. 그의 특징은 자연과학적 소양을 활용하여 카발라를 과학적으로 가르쳤다는 점에 있다.3. 3. 유대교 역사의 3단계 구분
숄렘은 유대교 역사를 다음과 같이 세 단계로 구분했다.[35]단계 | 설명 |
---|---|
성서 시대 | 유일신 신앙이 이교도적 다신교 요소를 극복하고 일신교를 확립하였다. |
랍비 시대 | 탈무드와 미슈나를 중심으로 랍비 유대교가 발전하였으며, 신의 초월성이 강조되고 신비주의적 요소는 주변화되었다. |
중세 시대 | 카발라를 중심으로 유대 신비주의가 부흥하여, 신의 내재성과 신비적 체험이 강조되었다. |
3. 4. 사바타이주의 연구
숄렘은 한나 아렌트의 저서 ''예루살렘의 아이히만''을 날카롭게 비판했고, 유대인에 대한 연대감 부족(אהבת ישראל|아하바트 이스라엘he)을 비난했다.[29] 아렌트는 자신은 어떤 집단도 사랑한 적이 없으며, 유대인을 사랑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그들의 일부일 뿐이라고 응답했다.[30] 숄렘은 아돌프 아이히만 처형에 대해 아렌트와 다른 관점을 보였는데, 숄렘은 아이히만 처형이 독일인들의 집단적 죄책감을 덜어주는 데 기여할 것을 우려하여 반대한 반면, 아렌트는 아이히만을 처형해야 한다고 생각했다.[33][34]3. 5. 언어 이론
숄렘은 발터 벤야민과 달리 히브리어를 신성한 진리를 드러낼 수 있는 유일한 언어로 간주했다. 또한 카발라 학자들을 언어적 계시의 해석자로 보았다.3. 6. 한나 아렌트와의 논쟁
아돌프 아이히만 재판 이후, 숄렘은 한나 아렌트의 저서 ''예루살렘의 아이히만''을 날카롭게 비판했고, 유대인에 대한 연대감 부족(אהבת ישראל|아하바트 이스라엘he)을 비난했다.[29] 아렌트는 자신은 어떤 집단도 사랑한 적이 없으며, 유대인을 사랑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그들의 일부일 뿐이라고 응답했다.[30] 여러 기사에서 오간 격렬한 논쟁은 숄렘과 아렌트 사이에 갈등을 초래했지만, 그들은 이후에도 상호 존중을 유지하며 다양한 프로젝트, 특히 발터 벤야민의 문학 유산을 다루는 작업에서 함께 협력했다.[31]숄렘은 분노에 찬 순간에 한스 패쉬케에게 다음과 같이 썼다. "나는 한나 아렌트가 사회주의자이거나 반공산주의자였을 때, 그리고 ... 그녀가 시온주의자였을 때 그녀를 알았다. 나는 그녀가 한때 그렇게 깊이 관여했던 운동에 대해 빛의 거리를 두고, 그렇게 초월적인 위치에서 판단하는 능력에 놀라움을 금치 못한다."[32]
아돌프 아이히만에 대한 적절한 형벌에 대한 서로 다른 관점은 두 저자 간의 차이점을 더욱 분명하게 드러낸다. 아렌트는 아이히만을 처형해야 한다고 생각했지만, 숄렘은 그의 처형이 독일인들의 집단적 죄책감을 덜어주는 데 기여할 것을 우려하여 반대했다.[33][34]
4. 주요 저서
Major Trends in Jewish Mysticism영어 (1941)
On the Kabbalah and its Symbolism영어 (1965)
Sabbatai Sevi: The Mystical Messiah영어 (1973)
Kabbalah영어 (1974)
From Berlin to Jerusalem: Memories of My Youth영어 (1977)
- 『유대교의 본질』 카와이데 쇼보 신샤, 1972년
- 『유대교와 서구』 카와이데 쇼보 신샤, 1973년
- 『유대교 신비주의』 카와이데 쇼보 신샤, 1975년
- 『나의 친구 벤야민』 쇼분샤, 1978년
- 『유대교 신비주의』 총서 우니베르시타스・호세이 대학 출판국, 1985년, 이후 신장판. 별역판
- 『카발라와 그 상징적 표현』 총서 우니베르시타스・호세이 대학 출판국, 1985년, 이후 신장판
- 『베를린에서 예루살렘으로 청춘의 추억』 총서 우니베르시타스・호세이 대학 출판국, 1991년
- 『연금술과 카발라』 삿사쿠샤, 2001년
- 『사바타이 체비전 신비의 메시아』 총서 우니베르시타스・호세이 대학 출판국, 2009년. 2권 세트
;공저 외
5. 수상 및 영예
연도 | 상 이름 | 부문 |
---|---|---|
1958년 | 이스라엘 상 | 유대학 |
1961년 | 로스차일드 상 | |
1974년 | 하비 상 |
6. 영향
게르숌 숄렘은 카발라 연구를 학문 분야로 확립하고, 유대교 역사와 사상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제시하여 후대에 큰 영향을 주었다. 발터 벤야민, 레오 스트라우스, 프란츠 로젠츠바이크 등과 깊은 학문적 교류를 했으며,[5] 특히 벤야민과의 우정은 숄렘의 학문적 생애에 큰 영향을 미쳤다. 한나 아렌트, 테오도어 아도르노 등과도 교류했지만, 아돌프 아이히만 재판 이후 아렌트의 저서 ''예루살렘의 아이히만''을 비판하며 논쟁을 벌이기도 했다.[29][30][31][32][33][34]
숄렘의 사상은 호르헤 루이스 보르헤스, 움베르토 에코, 자크 데리다, 해럴드 블룸, 조르조 아감벤, 조지 스타이너 등 다양한 분야의 학자들에게 영향을 미쳤다.[38][39] 마이클 셰이본은 숄렘의 에세이 ''골렘의 아이디어''가 퓰리처상 수상작 ''카발리에와 클레이의 놀라운 모험''을 구상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고 언급했다.[40]
6. 1. 학문적 영향
숄렘은 카발라 연구를 학문 분야로 확립하여 후대 학자들에게 큰 영향을 주었으며, 유대교 역사와 사상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제시했다.[18] 숄렘 이전의 유대교 신비주의는 학문적으로 거의 연구되지 않았으나, 숄렘은 이를 역사, 언어학, 철학 등 다른 분야와 같은 엄격한 학문적 방법론을 통해 연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19]숄렘은 '유대교 과학' 학파의 유대교 연구 방식이 두 가지 면에서 결함이 있다고 보았다. 첫째, 유대교를 살아있는 유기체가 아닌 죽은 대상으로 연구했다. 둘째, 종교를 살아있는 존재로 만드는 유대교의 비합리적인 힘을 고려하지 않았다.[20] 숄렘은 신화적이고 신비주의적인 요소가 합리적인 요소만큼 중요하며, 할라카의 세부 사항보다 유대교의 진정으로 살아있는 핵심이라고 생각했다.
숄렘은 유대교 역사를 세 시기로 구분했다.
시기 | 특징 |
---|---|
성경 시대 | 일신교가 신화와 완전히 대결하지 못함. |
탈무드 시대 | 성례의 완수에 대한 마법적 힘에 대한 개념 등이 순수한 신성한 초월 개념을 선호하여 제거됨. |
중세 시대 | 고대 그리스 철학의 추상적인 신 개념과 성경의 개인적인 신을 조화시키는 것이 불가능하여, 마이모니데스와 같은 유대인 사상가들이 남아있는 신화를 제거하고 살아있는 신의 모습을 수정하려고 시도함. 이 시기 이후, 신비주의가 더 널리 퍼짐. |
숄렘은 17세기 사바테안주의 메시아 운동이 루리안 카발라에서 발전했으며, 이를 무력화하기 위해 하시디즘이 헤겔적 종합으로 등장했다고 주장했다. 또한 13세기 카발라의 근원이 기독교 영지주의에 앞선 유대교 영지주의였다는 가설을 제시했다.[25][21][8]
숄렘은 언어가 초자연적 현상을 불러일으키는 힘을 가지고 있다고 믿었으며, 히브리어를 신성한 진리를 드러낼 수 있는 유일한 언어로 보았다.[6] 그는 카발라 학자들을 선재하는 언어적 계시의 해석자로 간주했다.
숄렘은 발터 벤야민, 레오 스트라우스, 프란츠 로젠츠바이크 등과 깊은 학문적 교류를 했다.[5] 특히 벤야민과의 우정은 숄렘의 학문적 생애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벤야민 사후 그의 문학 유산을 복원하고 편집하는 데 많은 시간을 할애했다. 한나 아렌트, 테오도어 아도르노 등과도 교류했지만, 아돌프 아이히만 재판 이후 아렌트의 저서 ''예루살렘의 아이히만''을 비판하며 논쟁을 벌이기도 했다.[29][30][31][32][33][34]
숄렘의 사상은 호르헤 루이스 보르헤스, 움베르토 에코, 자크 데리다, 해럴드 블룸, 조르조 아감벤, 조지 스타이너 등 다양한 분야의 학자들에게 영향을 미쳤다.[38][39] 마이클 셰이본은 숄렘의 에세이 ''골렘의 아이디어''가 퓰리처상 수상작 ''카발리에와 클레이의 놀라운 모험''을 구상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고 언급했다.[40]
7. 한국의 관점에서의 평가
한나 아렌트의 저서 ''예루살렘의 아이히만''에 대한 숄렘의 비판은 유대인에 대한 연대감(אהבת ישראל|아하바트 이스라엘he) 부족을 지적한 것으로, 유대교 전통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바탕으로 한 것이었다.[29] 숄렘은 아렌트가 유대인으로서의 정체성을 충분히 고려하지 않았다고 비판했지만, 이후에도 그들은 발터 벤야민의 문학 유산을 다루는 작업 등에서 협력하며 상호 존중을 유지했다.[31]
아돌프 아이히만 처벌에 대한 두 학자의 관점은 달랐다. 아렌트는 아이히만의 처형을 지지했지만, 숄렘은 처형이 독일인들의 집단적 죄책감을 덜어줄 것을 우려하여 반대했다.[33][34] 이는 유대교 신비주의 연구자인 숄렘의 관점을 보여주는 중요한 사례이다.
참조
[1]
서적
Gershom Scholem
http://plato.stanfor[...]
Stanford Encyclopedia of Philosophy (Spring 2009 Edition)
2024-05-14
[2]
서적
Origins of the Kabbalah
https://www.worldcat[...]
Jewish Publication Society
1987
[3]
서적
Major trends in Jewish mysticism
https://www.worldcat[...]
Schocken Books
1961
[4]
서적
Sabbatai Ṣevi; the mystical Messiah, 1626–1676
https://www.worldcat[...]
2016
[5]
서적
STRANGER IN A STRANGE LAND : searching for gershom scholem and jerusalem.
https://www.worldcat[...]
GRANTA Books
2018
[6]
서적
Walter Benjamin : the story of a friendship
https://www.worldcat[...]
Faber and Faber
1982
[7]
서적
Alchemy and kabbalah
https://www.worldcat[...]
Spring Publications
2006
[8]
웹사이트
How I Came to the Kabbalah
https://www.commenta[...]
2022-09-01
[9]
간행물
Leo Strauss as a Modern Jewish Thinker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10]
학술지
One-Way Street: Childhood and Improvisation at the Close of the Book
2012
[11]
뉴스
The Cult Following of Gershom Scholem, Founder of Modern Kabbala Research
https://www.haaretz.[...]
Haaretz
[12]
서적
Walter Benjamin : the story of a friendship
https://www.worldcat[...]
Faber and Faber
1982
[13]
서적
On the possibility of Jewish mysticism in our time & other essays
https://www.worldcat[...]
Jewish Publication Society
1997
[14]
서적
The Correspondence of Walter Benjamin and Gershom Scholem, 1932-1940
https://www.worldcat[...]
Harvard University Press
1992
[15]
서적
The correspondence of Walter Benjamin, 1910-1940
https://www.worldcat[...]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12
[16]
웹사이트
The Holiness of Sin
https://www.commenta[...]
2022-09-01
[17]
서적
Sage of Jerusalem
https://www.degruyte[...]
Yale University Press
2018-06-19
[18]
뉴스
Times Literary Supplement
2015-04-10
[19]
웹사이트
How I Came to the Kabbalah
https://www.commenta[...]
2022-08-31
[20]
서적
From a lecture given to the Bavarian Academy of the Arts collected as "My Way to Kabbalh"(1974) in "On the possibility of Jewish mysticism in our time & other essays"
https://www.worldcat[...]
Jewish Publication Society
1997
[21]
서적
"Walter Benjamin and His Angel" collected in "On the possibility of Jewish mysticism in our time & other essays"
https://www.worldcat[...]
Jewish Publication Society
1997
[22]
웹사이트
Gershom Scholem's ten unhistorical aphorisms on Kabbalah : text and commentary
https://www.nli.org.[...]
2022-08-31
[23]
간행물
Some Reflections on Kafka.
http://users.clas.uf[...]
Schocken
1968
[24]
서적
"Introduction" to Franz Kafka's THE TRIAL
https://www.worldcat[...]
1992
[25]
서적
"My Way To Kaballah"(1974) collected in "On the possibility of Jewish mysticism in our time & other essays"
https://www.worldcat[...]
Jewish Publication Society
1997
[26]
서적
From Berlin to Jerusalem : memories of my youth
https://www.worldcat[...]
Paul Dry Books
2012
[27]
서적
STRANGER IN A STRANGE LAND : searching for gershom scholem and jerusalem.
https://www.worldcat[...]
GRANTA Books
2018
[28]
학술지
The Concept of God after Auschwitz: A Jewish Voice
https://www.jstor.or[...]
1987
[29]
서적
"On Eichman" collected in "On Jews and Judaism in crisis : selected essays"
https://www.worldcat[...]
Schocken Books
1978
[30]
서적
Joachim Fest Interview collected in "Thinking without a banister : essays in understanding, 1953–1975"
https://www.worldcat[...]
2018
[31]
서적
"The Little Hunchback" by Hannah Arendt, published in the anthology of selected Benjamin works "Illuminations"
https://www.worldcat[...]
Schocken Books
1968
[32]
서적
Hannah Arendt in Jerusalem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01-08
[33]
서적
"Against the German Jewish Dialogue" and "On Eichmann" collected in "On Jews and Judaism in crisis : selected essays"
https://www.worldcat[...]
Schocken Books
1978
[34]
서적
Final paragraph of main text in "Eichmann in Jerusalem : a report on the banality of evil"
https://www.worldcat[...]
Penguin Books
2006
[35]
웹사이트
Israel Prize recipients in 1958 (in Hebrew)
https://web.archive.[...]
Israel Prize Official Site
[36]
웹사이트
Recipients of Yakir Yerushalayim award (in Hebrew)
http://www.jerusalem[...]
[37]
웹사이트
List of Bialik Prize recipients 1933–2004 (in Hebrew), Tel Aviv Municipality website
http://www.tel-aviv.[...]
[38]
서적
Interview with Jorge Luis Borges (July 1966)
https://books.google[...]
Macmillan
2006
[39]
간행물
White Letters: From R. Levi Isaac of Berditchev's Views to Postmodern Hermeneutics
http://muse.jhu.edu/[...]
Oxford University Press
2006-05
[40]
뉴스
Chasing His Bliss
https://www.nytimes.[...]
2010-05-03
[41]
논문
Chaim Potok's "Book of Lights": Reappropriating Kabbalah in the Nuclear Age
https://www.jstor.or[...]
198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