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게이세이 오시아게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게이세이 오시아게선은 일본 도쿄도에 위치한 게이세이 전철의 철도 노선이다. 1912년 개통되어, 오시아게역과 아오토역을 연결하며, 궤간 1435mm의 복선으로 운행된다. 도영 아사쿠사선, 게이큐선, 게이세이 본선 등과 직결 운행하며, 액세스 특급, 쾌속특급, 특급, 쾌속, 보통 등 다양한 종류의 열차가 운행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게이세이 전철의 철도 노선 - 게이세이 본선
    게이세이 본선은 게이세이우에노역에서 나리타 공항역까지 총 69.3km를 운행하는 게이세이 전철의 노선이며, 표준궤를 사용하고 다양한 등급의 열차가 운행되며, 도쿄 메트로 및 도영 지하철과 직결 운행한다.
  • 게이세이 전철의 철도 노선 - 게이세이 지하라선
    게이세이 지하라선은 지바현을 운행하는 10.9km 길이의 철도 노선으로, 지바추오역에서 지하라다이역까지 6개의 역이 있으며, 게이세이 전철이 노선을 인수하여 지바선 및 게이세이 본선과 직통 운행한다.
  • 도쿄도의 철도 - 도큐 덴엔토시선
    도큐 덴엔토시선은 도쿄 시부야에서 가나가와 주오린칸을 잇는 도쿄 급행 전철 노선으로, 여러 확장을 거쳐 현재 모습이 되었으며, 도쿄 메트로 및 도부 철도 노선과 직결 운행하고, 출퇴근 시간대 혼잡 완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 도쿄도의 철도 - 도카이도 신칸센
    도카이도 신칸센은 도쿄역과 신오사카역을 연결하는 일본의 고속철도 노선으로, 1964년 도쿄 올림픽에 맞춰 개통되었으며, 현재 JR 도카이가 운영하고 최고 시속 285km로 운행하며 지속적인 기술 발전과 노선 개량을 통해 운행 시간을 단축해왔다.
  • 간토 지방의 철도 노선 - 도큐 덴엔토시선
    도큐 덴엔토시선은 도쿄 시부야에서 가나가와 주오린칸을 잇는 도쿄 급행 전철 노선으로, 여러 확장을 거쳐 현재 모습이 되었으며, 도쿄 메트로 및 도부 철도 노선과 직결 운행하고, 출퇴근 시간대 혼잡 완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 간토 지방의 철도 노선 - 도카이도 신칸센
    도카이도 신칸센은 도쿄역과 신오사카역을 연결하는 일본의 고속철도 노선으로, 1964년 도쿄 올림픽에 맞춰 개통되었으며, 현재 JR 도카이가 운영하고 최고 시속 285km로 운행하며 지속적인 기술 발전과 노선 개량을 통해 운행 시간을 단축해왔다.
게이세이 오시아게선 - [철도 노선]에 관한 문서
노선 정보
게이세이 오시아게 선 3700형 전동차
게이세이 3700형 전동차 (쾌속 서비스)
노선 종류통근 열차
노선 상태운영 중
지역도쿄
기점오시아게 역
종점아오토 역
역 수6
운영 주체게이세이 전철
노선 길이5.7 km
선로 구성복선 철도
궤간1,435 mm (표준궤)
최소 곡선 반지름260 m
최대 경사3.5%
열차 보호 장치C-ATS
신호 방식자동 폐색식
전철화 방식직류 1,500 V (가공 전차선)
최고 속도105 km/h
노선 색상'#005aaa'
노선 기호KS
개통 정보
개통일1912년 11월 3일
역 목록
KS45 A-20오시아게 역
KS46게이세이 히키후네 역
KS47야히로 역
KS48요쓰기 역
KS49게이세이 다테이시 역
KS09아오토 역

2. 역사

1912년 11월 3일 게이세이 전철(당시 게이세이 전기 궤도)의 최초 개업 구간인 오시아게 - 에도가와 구간과, 가나마치선의 일부인 게이세이 다카사고 - 시바타 구간이 개통되었다. 게이세이의 첫 터미널은 오시아게역이었으며, 오시아게 - 아오토역 구간은 본선의 일부였다.[1]

초기에는 오시아게역에서 아사쿠사 방면으로 노선을 연장하려 했으나, 계획을 변경하여 우에노 공원역(현: 게이세이 우에노역)에서 니포리역을 거쳐 아오토역까지 잇는 노선이 개통되면서 오시아게 - 아오토 구간은 오시아게선으로 분리되었다.[1]

1960년 도영 지하철 1호선(현재의 아사쿠사선)과 직통 운전이 시작되면서[16], 오시아게선은 게이세이 전철에서 도심과 연결되는 노선으로서의 기능을 확립하여, 본선의 터미널인 게이세이 우에노역·니포리역보다 많은 승객을 수송하게 되었다. 이는 일본 최초의 사철 노선 - 지하철 간 직통 운전이었다.

1991년 호쿠소선이 게이세이 다카사고역까지 연장되면서, 호쿠소선 - 도심 간 루트의 일부를 담당하게 되었다. 또한 에어포트 쾌특 운행 개시 후에는 나리타 공항 - 하네다 공항 간을 잇는 루트의 일부가 되었다. 나리타 스카이 액세스선 개업 후에는 액세스 특급이 신설되어 양 공항을 잇는 열차가 다시 늘어났다. 이처럼 오시아게선은 게이세이 본선과 도심을 연결하는 기능 외에도 양 공항을 잇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1991년 1월 5일에는 구 아라카와 교량에 탱커가 충돌하는 사고가 발생하여 며칠간 운행이 중단되기도 했다. 이 사고를 계기로 아라카와 교량 재가설 및 아라카와 - 요쓰기역 간 고가화 공사가 시작되었다.[17]

2010년 7월 17일 나리타 공항선(나리타 스카이 액세스선) 개업에 따라 액세스 특급이 신설되고 급행이 폐지되었다.[3]

2011년 3월 11일 동일본 대지진 발생으로 도영 지하철 아사쿠사선, 게이큐선, 호쿠소 철도 호쿠소선, 시바야마 철도선과의 상호 직통 운전이 일시 중지되기도 했다. 이후 전력 부족으로 인해 절전 다이어가 실시되기도 했다.

2012년 5월 22일 오시아게역에 "스카이트리 앞"이라는 부역명이 추가되었다.

2013년 8월 24일부터 2015년 8월 22일에 걸쳐 오시아게 - 야히로 간 게이세이 히키후네역 상하행선이 고가화되었다.[18][19]

2028년 4월과 2030년 3월에는 요쓰기역 - 아오토역 간 상하행선이 고가화될 예정이다.[20]

1928년부터 1936년까지는 1947년에 폐역된 무코지마역에서 시라히게선이 분기했었다.

2. 1. 초기 개통과 노선 변화 (1912년 ~ 1944년)


  • 1912년 11월 3일: 오시아게역 ~ 마가리카네역(현재의 게이세이타카사고역) ~ 이요다역(현재의 에도가와역) 구간이 개통되었다. 같은 날 오시아게역, 히키후네역, 요쓰기역, 다테이시역, 마가리카네역, 이요다역이 영업을 시작했다.[16]
  • 1913년 6월 26일: 마가리카네역이 다카사고역으로 이름이 변경되었다.
  • 1914년 6월 20일: 무코지마역(현재의 게이세이히키후네역과 야히로역 사이)이 영업을 시작했다.
  • 1923년 7월 11일: 아라카와역(현재의 야히로역)이 영업을 시작했다.
  • 1928년 11월 1일: 아오토역이 영업을 시작했다.
  • 1931년 11월 18일: 히키후네역이 게이세이히키후네역으로, 다테이시역이 게이세이타테이시역으로 이름이 변경되었다.
  • 1932년 9월 1일: 게이세이우케지역(오시아게역과 게이세이히키후네역 사이)이 영업을 시작했다.
  • 1944년: 오시아게역 ~ 아오토역 구간이 오시아게선으로 분리되었다.

2. 2. 궤간 변경과 직결 운행 시작 (1959년 ~ 현재)

1943년 10월: 게이세이 우케지역, 무코지마역 영업 휴지[1]

1947년 3월 1일: 게이세이우케지역, 무코지마역 영업 폐지[1]

1959년 11월 11일: 궤간 변경 (1372mm → 1435mm)[1]

1960년 12월 4일: 도쿄 도영 지하철 1호선 (현재의 아사쿠사 선)과 직결 운행 시작[1][16]

1994년 4월 1일: 아라카와역 → 야히로역으로 명칭 변경[1]

3. 운행

게이세이 오시아게선은 게이세이 본선, 나리타 공항선(나리타 스카이 액세스선), 시바야마 철도선, 호쿠소선, 도에이 아사쿠사선, 게이큐선과 직통 운행을 하고 있어, 종착역, 열차 종류, 운행 계통이 다양하다.[3]

쾌속 이상 열차는 오시아게선 내에서 오시아게역과 아오토역에만 정차하고, 다른 역은 모두 통과한다. 아사쿠사선 내에서는 "에어포트 쾌특"을 제외하고는 모든 역에 정차한다. 오시아게선 내에서 보통 열차가 아닌 열차는 게이큐선, 호쿠소선, 게이세이 본선 게이세이타카사고역 동쪽, 나리타 스카이 액세스에서의 종류에 맞춰 안내된다.

오시아게역 - 아오토역 구간만 운행하는 열차는 평일 상행 3편, 주말·휴일 하행 2편, 상행 2편의 보통 열차뿐이다. 그 외 열차는 모두 다른 노선으로 직통 운행한다. 오시아게선 내에서는 속달 열차나 보통으로 운행되더라도, 도에이 지하철 아사쿠사선·게이큐선에서는 열차 종류가 다른 경우가 많다. 상행(오시아게선에서 도심·게이큐선 방면)은 오시아게역에서, 하행(게이큐선에서 오시아게선 방면)은 게이큐 본선시나가와역 또는 오시아게역에서 열차 종류를 변경한다.

낮 시간대에는 1시간당 각 역에 정차하는 보통(전 열차 게이큐선 직통, 게이큐선 내 특급 또는 쾌특)과 쾌속, 액세스 특급, 특급 등 우등 열차가 각각 6편씩 설정되어 40분 주기로 운행된다. 아침 출퇴근 시간에는 최대 1시간에 23편이 운행되며, 게이세이 본선 - 오시아게선 - 도에이 지하철 아사쿠사선 속달 열차가 많이 설정된다.

야히로역은 대피선을 상하행 열차가 공유하기 때문에 상하행 열차가 동시에 열차 통과를 기다릴 수 없다. 아침 출퇴근 시간에는 상행 방면에 5분에 1편 정도 속달 열차가 설정되어 야히로역에서 통과를 기다리는 보통 열차가 많아 대피 설비가 상행에 점유된다. 따라서 이 시간대 하행 속달 열차는 약 20~50분 간격으로 운행되는 액세스 특급과 8시대 쾌속 1편뿐이다.

밤에는 하행 방면에 속달 열차가 설정되지만, 1시간당 최대 6편으로 아침 출퇴근 시간보다 적고, 야히로역에서 대피하는 보통 열차도 적다.

대부분 열차는 8량 편성으로 운행되지만, 일부 6량 편성이 존재한다. 4량 편성은 정기 열차로는 설정되지 않고, 연말연시 종야 운전에서 오시아게역 - 가나마치역가나마치선 직통 열차에 한하여 운행된다.[5]

3. 1. 열차 종류


  • アクセス特急|아쿠세스 도큐일본어
  • : 게이세이 나리타 공항선을 통해 운행된다.[7] 도에이 아사쿠사 선 및 게이큐 본선으로 직통 운행하며, 하네다 공항 국내선 터미널역으로 가는 공항 리미티드 익스프레스가 운행된다. 낮 시간대 대부분 열차는 도에이 아사쿠사선 및 게이큐선 내에서 에어포트 쾌특으로 운행하며, 이 경우 오시아게역에서 종별을 변경한다.

  • 快速特急|가이소쿠 도큐일본어
  • : 도에이 아사쿠사 선 및 게이큐 본선으로 직통 운행하며, 아사쿠사 선의 공항 리미티드 익스프레스, 하네다 공항행 게이큐 선의 리미티드 익스프레스(''쾌특'')가 운행된다.[3]

  • 通勤特急|쓰킨 도큐일본어
  • : 평일 아침과 저녁에 호쿠소 선·게이세이 본선 - 도에이 아사쿠사 선을 잇는 통근·통학용 쾌속 열차로 운행된다.

  • 普通|후쓰일본어
  • : 오시아게 선의 모든 역에 정차한다.

3. 2. 직통 운행 노선

게이세이선, 나리타 공항선(나리타 스카이 액세스선), 시바야마 철도선, 호쿠소선, 도에이 아사쿠사선, 게이큐선과 직통 운전을 하고 있다.[3]
오시아게선 내의 액세스 특급. 아사쿠사선 이남에서는 표기와 종별이 바뀐다.

4. 역 목록

속통
특특
급엑
특쾌
특접속 노선역간
거리누적
거리소재지KS45오시아게●●●●●도쿄 도 교통국 지하철 아사쿠사 선 (A-20, 직결 운행)
도쿄 지하철 한조몬 선 (Z-14)
도부 철도 이세사키 선 (TS-03)-0.0스미다구KS46게이세이히키후네│││││1.11.1스미다구KS47야히로│││││1.32.4스미다구KS48요쓰기│││││0.73.1가쓰시카구KS49게이세이다테이시│││││1.54.6가쓰시카구KS09아오토●●●●●본선 (KS09, 직결 운행)1.15.7가쓰시카구


5. 차량

게이세이 전철 3000형, 게이세이 전철 3400형, 게이세이 전철 3600형, 게이세이 전철 3700형, 5300형, 5500형, 게이힌 급행 전철 600형, 게이힌 급행 전철 1000형, 게이힌 급행 전철 1500형, 호쿠소 철도 7300형, 호쿠소 철도 7500형, 지바 뉴타운 철도 9100형, 지바 뉴타운 철도 9200형, 지바 뉴타운 철도 9800형 등 다양한 사업자의 차량이 게이세이 오시아게선에서 운행되고 있다.[1]

게이세이 전철 3000형


게이세이 전철 3700형


게이힌 급행 전철 600형(게이큐 블루스카이 트레인)


호쿠소 철도 7300형


호쿠소 철도 7500형


지바 뉴타운 철도 9100형


지바 뉴타운 철도 9800형

5. 1. 현재 운행 차량



6. 노선 정보

참조

[1] 서적 Databook: Japan's Private Railways Neko Publishing 2013-01-19
[2] 서적 改訂新版 データブック日本の私鉄 ネコ・パブリッシング
[3] 문서 京急車で運行される京成押上線の快速特急の種別表示
[4] 문서 京急線直通時の種別変更
[5] 웹사이트 初詣に便利な京成の年末年始臨時ダイヤ https://www.keisei.c[...] 京成電鉄 2024-11-29
[6] 웹사이트 12月10日 京成線ダイヤ改正実施 https://web.archive.[...] 京成電鉄 2006-12-10
[7] 웹사이트 成田スカイアクセス開業!! 7月17日(土)京成線ダイヤ改正 https://web.archive.[...] 京成電鉄 2013-07-17
[8] 간행물 京成電鉄 鉄道ピクトリアル 1997-01
[9] 웹사이트 6月21日で、神奈川県~東京都~千葉県が結ばれて50年 京急×都営交通×京成「相互直通50周年記念」キャンペーン実施 「成田山号」「城ヶ島・マリンパーク号」復刻運行や記念乗車券の発売! http://www.keikyu.co[...] 京浜急行電鉄 2018-06-18
[10] 웹사이트 ≪京急電鉄・都営交通・京成電鉄≫相互直通50周年記念キャンペーンを実施 http://www.keisei.co[...] 京成電鉄 2018-06-18
[11] 웹사이트 "成田山号"・"城ケ島マリンパーク号"運転 https://railf.jp/new[...] 交友社 2018-07-08
[12] 웹사이트 京成3000形が久里浜線の特急に使用される https://railf.jp/new[...] 交友社 2018-07-09
[13] 보고서 最混雑区間における混雑率(令和5年度) https://www.mlit.go.[...] 国土交通省 2024-08-02
[14] 간행물 都市交通年報
[15] 웹사이트 地域の復権―東京一極集中を越えて(昭和62年9月) http://www.pref.kana[...] 神奈川県 1987-09
[16] 웹사이트 都営浅草線開業60周年 https://www.kotsu.me[...] 東京都交通局
[17] 학술지 (제목 없음) 電気車研究会 1998-04
[18] 보도자료 京成押上線の上り線高架化による効果 http://www.metro.tok[...] 東京都 2014-02-04
[19] 보도자료 京成押上線(押上駅 - 八広駅間)連続立体交差事業による効果 https://www.metro.to[...] 東京都 2016-05-11
[20] 웹사이트 「京成電鉄押上線(四ツ木駅 - 青砥駅間)連続立体交差事業」変更届 https://assess-tosho[...] 東京都環境局総務部 環境政策課 2022-09-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