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국제정치학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국제정치학은 1648년 베스트팔렌 조약 체결 이후 형성된 국제 체제를 연구하는 학문이다. 역사를 통해 세력 균형 외교, 두 차례의 세계 대전, 냉전을 거치며 발전해왔으며, 현실주의, 자유주의, 구성주의, 마르크스주의 등 다양한 이론적 관점을 제시한다. 국제정치와 국내정치의 상호 작용, 세계화, 민족주의, 이민, 난민 문제, 테러리즘, 지구 환경 문제, 핵확산 방지 등 새로운 과제에 직면해 있다. 칼 폰 클라우제비츠의 '전쟁론'과 한스 모겐소의 '국제정치' 등이 국제정치학의 고전으로 꼽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국제정치학 - 개발원조
    개발원조는 개발도상국의 경제 발전과 복지 증진을 목표로 하는 자금, 기술, 물자 지원이며, 양자 및 다자 간 원조 형태로 제공되고 ODA가 대표적이지만, 그 영향에 대한 논쟁이 존재한다.
  • 정치에 관한 - 정부수반
    한 국가의 행정부를 통솔하는 최고위 공직자인 정부수반은 국가 원수와 동일인이 아닌 경우 총리, 수상, 대통령 등으로 불리며 권한과 역할은 헌법에 따라 다르다.
  • 정치에 관한 - 정치적 스펙트럼
    정치적 스펙트럼은 정치적 입장을 분류하는 개념으로, 좌익과 우익의 1차원 모델, 경제적/개인적 자유를 축으로 하는 2차원 모델, 세속주의-전통주의, 생존주의-자기 표현 가치를 기반으로 하는 잉글하트-벨젤 가치관 지도 등 다양한 모델이 존재한다.
  • 사이드바 - 정부수반
    한 국가의 행정부를 통솔하는 최고위 공직자인 정부수반은 국가 원수와 동일인이 아닌 경우 총리, 수상, 대통령 등으로 불리며 권한과 역할은 헌법에 따라 다르다.
  • 사이드바 - 공포
    공포는 특정 대상이나 상황에 대한 강렬한 감정으로, 신체적 반응과 행동 변화를 동반하며, 뇌의 편도체가 중요한 역할을 하고, 학습과 경험을 통해 형성되며,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고 치료가 가능하다.
국제정치학
국제 정치학
연구 분야국제 관계
외교 정책
국제 안보
국제 정치경제
국제법
국제기구
지역 연구
국제 협력
갈등 연구
평화 연구
학문적 접근현실주의
자유주의
구성주의
마르크스주의
페미니즘
비판 이론
주요 개념국가
주권
권력
안보
국제 질서
균형
상호 의존
세계화
지역주의
제도
관련 학문정치학
역사학
경제학
사회학
법학
지리학
문화 인류학
국제 정치학의 주요 토픽전쟁과 평화
국제 무역과 금융
환경 문제
인권
테러리즘
빈곤
질병
인구 이동
기술 발전
글로벌 거버넌스
주요 국제 정치학자한스 모겐소
케네스 월츠
로버트 코헨
조셉 나이
알렉산더 웬트
존 미어셰이머
수잔 스트레인지
주요 저널국제기구》 (International Organization)
《국제정치학》 (International Security)
《세계정치》 (World Politics)
《국제연구》 (International Studies Quarterly)
《유럽 정치 연구 저널》 (European Journal of Political Research)
주요 연구 기관국제 연구 대학원 (Graduate Institute of International and Development Studies)
런던 정경대학 (London School of Economics and Political Science)
존스 홉킨스 대학교 (Johns Hopkins University)
하버드 대학교 (Harvard University)
프린스턴 대학교 (Princeton University)
예일 대학교 (Yale University)
컬럼비아 대학교 (Columbia University)
시카고 대학교 (University of Chicago)
옥스퍼드 대학교 (University of Oxford)
캠브리지 대학교 (University of Cambridge)
발전 과정19세기 후반: 국제 관계의 연구 시작
1919년: 국제 정치학 학문적 발전 시작 (웨일스 대학교 애버리스트위스)
20세기 중반: 학문 분야로서의 확고한 입지
학문적 관점 변화현실주의: 국가 간 권력 경쟁 강조
자유주의: 국제 협력과 상호 의존 강조
구성주의: 사회적 상호 작용을 통한 국가 정체성 형성 강조
국제 정치의 최근 동향세계화 심화
신흥 강대국 등장
초국가적 문제 증가
국제기구 역할 증대
연구 방법론역사적 분석
통계적 분석
사례 연구
모형 구축
현장 조사
학습 방법이론적 학습
사례 연구 분석
토론 참여
논문 작성
진로외교관
국제기구 직원
언론인
학자
연구원
정책 분석가
국제 비영리 단체 직원
참고 문헌《국제 정치》 (Politics Among Nations) - 한스 모겐소
《국제 정치 이론》 (Theory of International Politics) - 케네스 월츠
《권력과 상호 의존》 (Power and Interdependence) - 로버트 코헨과 조셉 나이
《국제 정치의 사회 이론》 (Social Theory of International Politics) - 알렉산더 웬트

2. 역사

국제정치학의 역사는 여러 단계를 거쳐 발전해 왔다.

1648년 30년 전쟁을 종식시킨 베스트팔렌 조약은 근대 국제정치의 기원으로 여겨진다. 이 조약은 주권을 가진 국가가 국내 정치에 관할권을 가지며, 국제정치에서는 정치적 주체가 되는 시스템, 즉 "베스트팔렌 체제"를 확립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1]

나폴레옹 전쟁 이후에는 세력균형에 의한 외교 전략이 주류를 이루었다. 영국을 비롯한 각국은 세력균형을 유지하려고 노력했고, 그 결과 약 1세기 동안 큰 분쟁은 없었다. 그러나 19세기 말부터 20세기 초에 걸쳐 부상한 제국주의민족주의는 이러한 안정을 무너뜨리고 제1차 세계 대전을 초래했다.

제1차 세계 대전 중 러시아 혁명으로 소비에트 연방이 탄생했고, 전쟁 후 미국은 채권국이 되었다. 1920년 1월에는 국제 연맹이 설립되었지만, 미국과 소련의 불참 등으로 인해 그 기능에는 한계가 있었다. 이후 세계는 세계 대공황, 파시즘의 등장 등으로 다시 제2차 세계 대전을 겪게 되었고, 종전 후에는 국제 연합이 창설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국제 사회는 미국과 소련의 냉전으로 분열되었다. 아시아·아프리카 여러 나라가 독립하면서 남북 문제가 발생했고, 1970년대에는 석유 파동 등으로 남북 대립이 심화되었다.

2. 1. 베스트팔렌 체제와 국제정치의 태동

1648년 30년 전쟁을 종식시킨 베스트팔렌 조약은 근대 국제정치의 기원으로 여겨진다. 위트레흐트 조약(1713년)부터 베르사유 조약(1919년)까지의 여러 조약들은 “유럽 국제법”으로 인정받았다. 특히 베스트팔렌 조약은 국제정치 질서 수립에 충분한 내용을 담고 있어, 이후의 국제체제를 “베스트팔렌 체제”라고 부른다. 베스트팔렌 체제는 주권을 가진 국가(주권국가)가 국내 정치에 관할권을 가지며, 국제정치에서는 정치적 주체가 되는 시스템을 의미한다. 이 체제는 조약 체결 후 약 1세기에 걸쳐 확립되었으며, 근대 국제정치의 틀이 되었다.[1]

2. 2. 나폴레옹 전쟁 이후의 세력 균형 외교

나폴레옹 전쟁 이후의 국제정치는 세력균형(balance of power)에 의한 외교 전략이 주류가 되었다. 세력균형이란 국가나 동맹의 힘과 국익이 동등한 상태를 나타내며, 이를 통해 국제 시스템의 안정을 도모하려는 외교 방법이다. 특히 영국은 대륙 전략으로서 이를 중시했다. 각국이 세력균형을 유지하려고 노력한 결과, 약 1세기 동안 큰 분쟁은 두드러지지 않았다. 이를 무너뜨린 계기는 19세기 말부터 20세기 초에 걸쳐 부상한 제국주의민족주의이다. 이러한 이데올로기는 민족 국가가 세력을 확장하는 정책으로 전환하게 하였고, 국제정치의 안정성은 취약해졌다. 그리고 세력균형이 깨진 결과 제1차 세계 대전이 발발한다.

2. 3. 두 차례의 세계 대전

각국이 팽창주의 정책을 펼치는 가운데, 이데올로기로 전력을 동원한 각국은 제1차 세계 대전에 돌입했다. 전쟁 중인 1917년 러시아 제국러시아 혁명으로 붕괴되어, 후에 소비에트 연방이 되었다. 전쟁 후, 미국은 채권국이 되었고, 사회주의 국가인 소비에트 연방이 세력을 갖게 되었다. 또한, 1920년 1월 국제 연맹이 설립되었다. 그러나 미국과 소련의 불참, 집단 안전 보장의 미흡 등으로 국제기구로서의 기능에는 한계가 있었다. 또한, 승전국인 영국, 프랑스 등도 막대한 부채를 지게 되었고, 미국이 채무 면제를 하지 않았기 때문에 패전국에 막대한 배상을 요구한 배상 문제가 문제가 되었고, 그 후의 세계 대공황, 파시즘의 등장 등으로 세계는 다시 제2차 세계 대전이라는 전 세계를 휩쓴 전쟁을 치르게 된다. 그리고 제2차 세계 대전의 연합국을 중심으로 만들어진 것이 국제 연합이다.

2. 4. 냉전과 새로운 문제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국제 사회는 미국과 소련의 냉전으로 격렬하게 분열되었다. 전쟁 종전 이후, 민족 자결의 원칙에 따라 아시아·아프리카 여러 나라가 독립해 나갔다. 60년대에는 부유한 나라와 가난한 나라 사이에 남북 문제가 발생하여 남측 국가들은 신국제경제질서(NIEO)로의 변혁을 요구했다. 특히 70년대에는 석유 파동 등의 요인으로 남북 대립이 심화되었다. 그러나 사회경제는 안정을 이루었다.

3. 국제정치학의 이론

국제정치학의 주요 이론에는 현실주의, 자유주의, 구성주의, 마르크스주의 등이 있다.

현실주의는 국제 체제를 '무정부 상태'로 보며, 각 국가는 자국의 이익을 위해 권력 다툼을 벌인다고 본다. 냉전 시기 미국소련의 대립을 설명하는 데 유용하다. 국가는 세력 균형을 통해 국제 정치를 안정시키려 한다.[1]

자유주의유엔, 세계무역기구 등 국제기구의 역할을 강조하며, 국가 간 상호 의존성이 높아 분쟁은 비합리적이라고 본다. 제2차 세계대전 이후 국제 질서를 설명하는 데 적합하다. 이상주의인권을 중시하며 국제사회의 제도를 통해 평화를 추구한다. 국제연합과 같은 국제기구는 국가 간 합의된 규칙을 통해 국제 질서 형성에 기여한다. 상호의존론은 국가 간 경제 교류 심화가 안정으로 이어진다고 본다.

구성주의는 국제 체제가 사상, 규범, 정체성 등 사회적 구성물에 기반한다고 본다. 규범, 정체성 등의 관념적 요소가 국제 정치 주체를 움직인다고 본다.[1]

마르크스주의는 경제적 계급을 분석 요소로 삼아 국제 체제를 자본주의 체제로 본다. 종속 이론과 중심부-주변부 이론이 여기서 나왔다.[1]

신기능주의는 전문기구를 통한 기능적 통합을 추구하며, 에스노폴리틱스는 민족 정치를 다룬다.

3. 1. 현실주의

현실주의 이론은 국제 체제가 각 주권 국가의 행동을 제한하는 압도적인 권력이 없는 '무정부 상태'라는 가정에 기초한다. 즉, 각 국가는 스스로의 정치 체제, 자국민, 국익을 지키기 위하여 자국의 군사·경제·외교적 권력을 다른 국가에 비해 더 강화하려는 지속적인 권력 다툼에 참여한다. 더 나아가 현실주의에서는 국가가 유일하고 합리적인 행위자로서 행동하고 국가 기구의 중앙 의사 결정권자가 궁극적으로 국가의 외교 정책적 결정 대부분을 대표한다고 가정한다. 이에 따라 국제기구는 개별 국가가 자신의 이익을 증진하는 데 사용되는 도구에 불과하다고 간주된다.

현실주의의 틀은 전통적인 권력정치의 분석과 연관되어 있으며, 예를 들어 19세기 유럽에서 5대 강대국들이 경쟁하던 펜타키(Pentarchy) 체제가 제1, 2차 세계대전까지 이른 것이나 냉전 동안 미국소련의 행동을 분석하는 데 있어 군사력, 경제력의 다툼이 어떻게 더 거대한 무력 충돌로 이어지는지에 대해 중요한 통찰력을 제공한다. 현실주의는 주권 국가를 국제 정치의 주체로 보고, 국제 사회는 그보다 상위 개념의 존재가 없는 무정부 상태라고 생각하며, 자국을 유지·방어하기 위한 국력이나 군사력이 가장 중요하다고 여긴다.[1] 국가 간의 세력 균형이 유지됨으로써 국제 정치가 안정된다고 생각한다.[1]

3. 2. 자유주의

현실주의와 대조적으로, 자유주의 이론은 국제 체제가 단순히 무정부적인 상태가 아니라고 본다. 국가는 주권을 가지지만, 유엔, 세계무역기구, 국제사법재판소 등 국제기구의 힘에 의해 제도적인 제약을 받으며, 경제·외교적 관계를 통해 상호 의존적이라는 점을 강조한다. 국제기관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개별 국가의 외교 정책에 관여하는 권한과 영향력을 발전시켜 왔다. 글로벌화된 오늘날 세계 경제 때문에 각 국가는 자국의 생존을 위해 글로벌 무역 체계에 참여해야 하므로, 지속적인 무력 충돌은 비합리적이라고 본다.

자유주의는 국가 간의 협력을 국제 체제의 핵심적인 부분으로 강조한다. 국제 관계에서 국가만을 유일한 행위자로 간주하지 않으며, 이익 집단, NGO, 경제 행위자 등이 외교 정책 형성에 참여하는 다원적인 것으로서 바라본다.

자유주의는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등장한 국제 질서 분석과 관련이 있다. WTO, 세계은행, IMF 등 국제기구를 통한 경제적 협력과 UN 등 국제기구를 통한 정치적 협력의 증가로 인해, 권력과 갈등을 다루는 현실주의적 분석으로는 현대 국제 질서의 작동을 설명할 수 없다고 지적한다.

에드워드 핼릿 카가 이를 통틀어 이상론이라고 비판하기 전까지는 일관적인 하나의 이론으로서 인식되지 못하였다. 이후 국제법의 합법성의 기초로서 인권에 초점을 맞추는 이상주의가 등장하여 체계화되었는데, 이는 국제사회의 제도를 통해 전쟁을 방지하고 평화 창출을 목적으로 하는 학파이다. 레짐 이론은 국제기구나 국제레짐의 영향에 집중하는 이론이다.

국제연합 등과 같이 국가 간의 합의에 의한 규칙이 존재하기 때문에 무정부 상태를 부정하며, 국제기구나 NGO, 다국적기업 등 국가 이외의 주체도 국제 질서 형성에 협력적으로 참여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또한, 각국이 상호 간에 경제적 교류를 심화함으로써 그 의존 상태를 유지하려고 노력하기 때문에 국제 정치는 안정되기 쉽다고 한다(상호의존론).

3. 3. 구성주의

구성주의는 국제 체제가 사상, 규범, 정체성 등 사회적 구성물에 기반한다고 본다. 구성주의는 전통적인 국제관계론의 기저에 깔린 가정을 근본적으로 비판하고자 한다. 예를 들어 현실주의에서 국가 간의 상호작용을 지배한다고 주장하는 무정부적 국제 구조는, 사실 국가들에 의해 사회적으로 구성되고 재생산되는 현상이라고 현실주의에 응답한다.[1]

권력이나 이익과 같은 물질적 요소보다 규범, 정체성, 가치와 같은 관념적 요소를 중시하며, 이러한 요소들이 국제 정치의 주체를 움직일 수 있다고 본다. 또한, 세력 균형이 질서를 유지한다고 인식함으로써 균형이 기능하고, 상호 의존이 안정으로 이어진다고 인식함으로써 의존이 기능한다고 생각한다.[1]

3. 4. 마르크스주의

마르크스주의 국제관계 이론은 국가 간 갈등이나 협력에 관한 현실주의, 자유주의의 관점을 모두 거부한다. 경제적, 물질적 측면에 관심을 두며, 경제적 계급을 분석의 근본적 요소로 가정한다. 이들은 국제 체제를 자본 축적을 추구하는 통합된 자본주의 체제로 바라본다. 종속 이론이나 중심부-주변부 이론이 여기서 파생되었다.[1]

3. 5. 기타 이론

신기능주의는 각국 국민의 일상적인 이익을 증진시키기 위해 전문기구를 설립하고 기능적으로 통합하려는 이론이다. 에스노폴리틱스는 민족 정치를 다룬다.

4. 국제정치와 국내정치의 차이

제임스 로즈노(James Rosenau)는 국제 정치와 국내 정치가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다고 보았으며, 이를 연계 이론으로 제시하였다. 그는 국제 정치와 국내 정치 시스템이 연결되어 상호 작용한다고 보았다.[2]

로버트 퍼트넘(Robert Putnam)은 게임 이론을 바탕으로 2레벨 게임 이론을 제시하여, 국제 정치와 국내 정치라는 두 가지 구조가 어떻게 연결되어 대외 정책 결정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다. 그는 협상 대표자가 국내 정치 상황에 제약을 받는 동시에, 국내 정치적 지지를 최대한 얻고 개인의 정치적 목표를 달성하려는 두 가지 측면을 가진다고 보았다. 대표자는 국제 협상을 이용하여 국내 정치 목표를 달성하거나, 국제적 합의를 이끌어내기 위해 국내 정치를 재편하는 등 두 정치를 전략적으로 이용한다.[2]

오니시 진(大西仁)은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차이점을 제시하였다.[3]

차이점내용
다양한 제도와 문화국제 정치는 각기 다양한 제도와 문화 등을 가진 국가들이 공존하는 사회에서 전개되는 반면, 국내 정치는 그 제도와 문화가 대체로 통일된 하나의 권력 아래에서 전개된다.
무력 분쟁의 규모와 빈도국제 정치에서는 무력 분쟁이 발생할 경우 국내 정치보다 규모가 확대되기 쉽고, 노골적인 무력 사용이 잦다.


5. 새로운 과제

세계화민족주의, 이민·난민 문제, 남남문제, 테러리즘, 지구 환경 문제, 원주민 문제, 핵확산 방지와 군축 등은 현대 국제정치학에서 새롭게 떠오르는 과제들이다.

5. 1. 세계화와 민족주의

세계화와 민족주의의 관계는 국제정치에서 중요한 문제로 다루어진다. 특히, 세계화가 진전되면서 민족주의가 강화되는 현상은 국제정치의 새로운 도전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 세계화는 국가 간의 상호 의존성을 증대시키지만, 동시에 민족주의를 강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기도 한다.
  • 이민 및 난민 문제는 민족주의와 관련된 중요한 문제이다. 이민자와 난민의 증가는 사회적 갈등을 야기하고, 민족주의 정서를 강화시킬 수 있다.
  • 남남문제는 개발도상국 간의 경제적 불평등 문제를 의미하며, 이는 민족주의적 갈등을 유발할 수 있다.
  • 테러리즘은 민족주의와 관련된 극단적인 형태로 나타나기도 한다.
  • 지구 환경 문제는 전 세계적인 문제이지만, 각 국가의 이해관계가 충돌하면서 민족주의적 갈등을 야기할 수 있다.
  • 원주민 문제는 특정 지역의 원주민들이 자신들의 권리와 자결권을 주장하면서 발생하는 문제로, 민족주의와 관련되어 있다.
  • 핵확산 방지와 군축 문제는 국가 간의 안보와 관련된 문제이며, 민족주의적 경쟁 심리가 작용할 수 있다.

5. 2. 이민·난민 문제

세계화민족주의의 충돌은 이민·난민 문제를 야기한다.[1] 경제적 불평등, 정치적 불안정 등으로 인해 발생하는 이민·난민 문제는 인도주의적 차원뿐 아니라 국가 간 갈등 요인으로 작용한다.[1]

5. 3. 남남문제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아시아아프리카의 여러 식민지 국가들이 독립하면서 부유한 나라와 가난한 나라 사이의 남북 문제가 발생하였다. 남측 국가들은 신국제경제질서(NIEO)로의 변혁을 요구했고, 1970년대에는 석유 파동 등으로 인해 남북 간의 대립이 심화되기도 했다. 그러나 사회와 경제는 안정을 이루었다. 개발도상국 간의 경제 격차 심화 및 자원 경쟁은 새로운 갈등 요인으로 부상하고 있다.[1]

5. 4. 테러리즘

세계화민족주의, 이민·난민 문제, 남남문제, 테러리즘, 지구 환경 문제, 원주민 문제, 핵확산 방지와 군축 등은 국제 안보에 심각한 위협이 되고 있다. 특히 초국가적 테러 조직의 등장과 테러 위협 증가는 국제 사회의 평화와 안정을 저해하고 있으며, 대한민국 역시 테러로부터 자유롭지 않다.

5. 5. 지구 환경 문제

세계화와 더불어 지구 환경 문제는 특정 국가의 노력만으로는 해결하기 어렵다. 기후 변화, 환경 오염 등은 전 지구적인 문제이므로 국제 협력이 필수적이다.

5. 6. 원주민 문제

세계화민족주의의 충돌 속에서, 원주민의 권리 보호와 문화 보존은 국제사회의 중요한 과제로 부상하고 있다.

5. 7. 핵확산 방지와 군축

세계화민족주의, 이민·난민 문제, 남남문제, 테러리즘, 지구 환경 문제, 원주민 문제와 함께 핵확산 방지와 군축은 국제 평화와 안보를 위한 핵심 과제이다. 특히 한반도 비핵화는 대한민국의 중요한 외교 목표 중 하나이다.[1]

6. 국제정치 관련 고전


  • 칼 폰 클라우제비츠의 『전쟁론
  • 한스 모겐소의 ''Politics among Nations: the Struggle for Power and Peace'' (『국제정치』)
  • 프레더릭 슈만의 ''International Politics: An Introduction to the Western State System'' (『국제정치』)
  • E. H. 카의 ''The Twenty Years' Crisis, 1919-1939: An Introduction to the Study of International Relations'' (『20년의 위기』)

참조

[1] 서적 「政府」のいない世界でーー国際政治 弘文堂
[2] 서적 入門・国際政治経済の分析 勁草書房
[3] 서적 現代政治学第4版 有斐閣アルマ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