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사렛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나사렛파는 신약성경에서 예수와 초기 기독교인들을 지칭하는 데 사용된 용어이다. 이 용어는 헬라어 '나조라이오스'와 '나자레노스'에서 유래되었으며, '나사렛 출신'이라는 의미를 지닌다. 초기 기독교 시대에 '나사렛파'는 바울을 따르는 분파를 지칭하는 데 사용되었으며, 유대교 율법을 따르면서 예수를 메시아로 믿는 초기 기독교 분파를 의미하기도 했다. 4세기에는 살라미스의 에피파니우스가 나사렛파를 묘사했으며, 제롬은 그들을 "메시아를 받아들이지만 옛 율법을 지키는 사람들"이라고 언급했다. 또한, 만다교의 나소라에안과의 연관성에 대한 논의도 존재하며, 현대에는 '나사렛'이라는 명칭을 사용하는 여러 기독교 교단이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독교의 종파분립 - 칼케돈 공의회
칼케돈 공의회는 에우티케스의 단성론 논쟁 해결을 위해 451년에 소집된 제4차 전례 공의회로, 그리스도의 신성과 인성을 동시에 지닌 단일 인격이라는 칼케돈 신조를 채택하여 두 본성의 불가분리성을 천명했으나, 일부 동방 교회의 거부와 콘스탄티노폴리스 주교의 지위 상승으로 기독교 분열과 로마 교황청과의 갈등을 야기했다. - 기독교의 종파분립 - 아카키우스 분열
5세기 후반 아카키우스와 로마 교황 사이에서 칼케돈 공의회 결정 관련 신학적, 정치적 갈등으로 발생한 아카키우스 분열은 동방 교회와 서방 교회 관계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 기독교-유대교 관련 논란 - 여호와
여호와는 히브리어 성경에 나오는 하나님의 이름인 테트라그라마톤(יהוה, YHWH)을 로마자로 표기한 것 중 하나로, 정확한 발음은 불확실하지만 '야훼'라는 가설이 유력하며, '여호와'라는 표기가 널리 사용되지만, 발음과 표기에 대한 논쟁과 함께 '하나님'이라는 호칭이 더 적절하다는 시각도 있다. - 기독교-유대교 관련 논란 - 야훼
야훼는 히브리어 성경에 나오는 하느님의 고유한 이름인 YHWH를 가리키며, 다양한 종교에서 다르게 이해되고 숭배되며, 고대 이스라엘 종교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했다. - 4세기 기독교 - 라바룸
라바룸은 그리스도의 처음 두 글자를 본뜬 키 로 문양을 새긴 기독교 깃발의 일종으로, 콘스탄티누스 1세가 사용하기 시작하여 기독교 로마 황제와 비잔티움 제국에서 널리 사용되었으며, 현재는 그리스도를 상징하는 기호로 사용된다. - 4세기 기독교 - 밀비우스 다리 전투
312년 10월 28일에 콘스탄티누스 1세가 막센티우스를 상대로 밀비우스 다리 인근에서 승리한 전투는 로마 제국 내전의 전환점이 되어 콘스탄티누스가 서로마 제국의 지배권을 확보하고 기독교 공인의 길을 열었다.
| 나사렛파 | |
|---|---|
| 개요 | |
| 유형 | 유대교-기독교 종파 |
| 기원 | 1세기 |
| 창시자 | 나사렛 예수 |
| 분리 | 초기 기독교 |
| 관련 용어 | 유대 기독교, 에비온파 |
| 역사적 배경 | |
| 기원 | 1세기 유대 갈릴래아의 나사렛 |
| 주요 인물 | 나사렛 예수 |
| 신학적 특징 | |
| 주요 신념 | 예수는 메시아이다. 모세 오경 준수 할례 코셔 식단 안식일 준수 |
| 다른 관점 | |
| 신약성경에서의 언급 | 사도행전 24장 5절 |
| 관련 종교 | 기독교, 유대교 |
| 명칭 | |
| 어원 | 나사렛에서 유래 |
| 다른 명칭 | 나사렛 사람 |
2. 나사렛 칭호의 기원과 의미
"나사렛"이라는 칭호는 신약성경에서 예수를 지칭하는 데 사용된 그리스어 'Ναζωραῖος|나조라이오스grc'와 'Ναζαρηνός|나자레노스grc'에서 유래한다.[9] 이 용어는 '나사렛 출신'이라는 의미 외에 종교적 의미를 내포할 수 있다.
아랍어에서 쿠란의 기독교인을 지칭하는 نصراني|나스라니ar(Nasrani)는 승리 또는 지원을 의미하는 동사 n-ṣ-r에서 유래된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알 임란 52절에서 예수는 하나님의 뜻을 위해 자신의 지지자가 될 사람을 묻고, 사도들이 그들이 지지자가 될 것이라고 대답한다. 같은 어근은 예언자 무함마드를 메디나에서 보호한 사람들인 Ansar를 언급할 때도 나타난다.
2. 1. 신약성경에서의 사용
영어 용어 "나사렛 사람(Nazarene)"은 신약 성경에 등장하는 두 개의 관련 그리스어 단어를 번역하는 데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Ναζωραῖος, Ναζαραῖος|나조라이오스, 나자라이오스grc'(나사렛 사람)와 'Nazarēnos'(나사렛 사람)이다. "Nazōraios"라는 용어는 출신지를 나타내는 대신 종교적 의미를 가질 수 있으며, 'Nazarēnos'(Ναζαρηνός|나자레노스grc)는 "나사렛에서 온"이라는 구절인 'apo Nazaret'의 형용사 형태이다.[9]이 때문에 "나사렛 예수"로 전통적으로 번역된 구절은 "나사렛 사람 예수" 또는 "나사렛 사람 예수"로도 번역될 수 있다. 신약 성경에서 "Nazarēnos"(나사렛 출신)보다 "Nazōraios" 또는 "Nazaraios" 형태가 더 흔하다.[1]
2. 2. 어원 논쟁
영어 '나사렛 사람(Nazarene)'은 신약 성경에 나오는 두 가지 관련 그리스어 단어를 번역하는 데 사용된다. 'Ναζωραῖος|나조라이오스grc'('Ναζαραῖος|나자라이오스grc', "나사렛 사람")와 'Ναζαρηνός|나자레노스grc'("나사렛 사람")이다. 'Ναζωραῖος|나조라이오스grc'는 출신지를 나타내기보다는 종교적 의미를 가질 수 있으며, 'Ναζαρηνός|나자레노스grc'는 "나사렛에서 온"이라는 구절인 '아포 나자렛(apo Nazaret)'의 형용사 형태이다.[9]이 때문에 "나사렛 예수"로 번역되던 구절은 "나사렛 사람 예수" 또는 "나자렛 사람 예수"로도 번역될 수 있다. 신약 성경에서는 'Ναζαρηνός|나자레노스grc'(나사렛 출신)보다 'Ναζωραῖος|나조라이오스grc' 또는 'Ναζαραῖος|나자라이오스grc' 형태가 더 많이 나온다.[1]
한편, 아랍어에서는 쿠란에서 기독교인을 가리키는 'نصراني|나스라니ar'(Nasrani)라는 이름이 승리나 지원을 뜻하는 동사 n-ṣ-r에서 유래한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이 의미는 알 임란 [https://quran.com/3?startingVerse=52 52절]에 설명되어 있는데, 여기서 예수는 하나님의 뜻을 위해 자신의 지지자(Ansar-i)가 될 사람을 묻고, 사도들인 حواريون|하와리윤ar(Hawariyun)이 그들이 Ansar가 될 것이라고 대답한다. 같은 어근은 예언자 무함마드를 메디나에서 보호한 사람들인 Ansar를 언급할 때도 나타난다.
3. 초기 기독교와 나사렛파
"나사렛파"라는 용어는 초기 기독교 공동체를 지칭하는 데 사용되었다. 사도행전에서는 바울이 속한 분파를 가리키는 데 이 용어가 사용되었다.[1] 데르툴루스는 사도행전 24장 5절에서 처음으로 기독교인들을 "나사렛파"라고 불렀으며, 헤롯 아그리파 2세는 사도행전 26장 28절에서 안티오크에서 처음 사용된 "기독교인"이라는 용어를 사용했다(사도행전 11장 26절).
테르툴리아누스는 유대인들이 예수님이 나사렛 출신이라는 이유로 기독교인들을 "나사렛파"라고 불렀다고 기록했다.[10] 히에로니무스 또한 회당에서 "나사렛파"라는 단어가 기독교인을 묘사하는 데 사용되었다고 언급했다.[11] 유세비우스는 311년경에 "나사렛파"라는 이름이 이전에는 기독교인들을 지칭하는 데 사용되었다고 기록했다.[12][13]
"나사렛파"와 "나사렛 예수"라는 용어는 모두 시리아 아람어 페쉬타에서 나사렛을 뜻하는 ''나스라트''(ܢܨܪܬ)에서 유래한 형용사 ''나스라야''(ܕܢܨܪܝܐ)를 사용한다.[16][17][18] 데르툴루스가 사용한 "나사렛파"라는 이름은 미쉬나와 현대 히브리어에서 "기독교인"을 뜻하는 표준 히브리어 용어인 ''노츠림''(נוצרים)으로 남아있으며, 꾸란과 현대 아랍어에도 نَصَارَىٰar ''나사라''(نَصْرَانِيّar의 복수형) ''나스라니'' "기독교인"으로 존재한다.
11세기까지 무아티에의 추기경 움베르토는 나사렛 종파를 당시 존재했던 안식일을 지키는 기독교 집단으로 언급했다.[24] 현대 학자들은 움베르토 추기경이 언급한 것은 파사기안이라고 믿으며, 나사렛 종파가 11세기 이후에도 존재했음을 시사한다.
3. 1. 나사렛파의 정의와 특징
4세기 교부 에피파니우스는 그의 저서 ''파나리온''에서 나사렛파를 유대교 율법을 준수하면서도 예수를 메시아로 믿는 집단으로 묘사했다.[19] 이들은 예루살렘이 예수의 다가오는 공방전에 대한 예언(서기 70년 제1차 유대-로마 전쟁)으로 인해 예루살렘을 탈출하여, 펠라, 페레아(예루살렘 북동쪽)로 도망쳤고, 결국 베로에와 바사니티스로 퍼져 나가 그곳에 영구적으로 정착했다고 한다.(파나리온 29.3.3).[20]나사렛파는 자신들을 유대인으로 여기고 모세의 율법을 따랐지만, 에비온파와는 달리 동정녀 탄생을 믿었다.[21][22] 제롬 역시 나사렛파를 "메시아를 받아들이지만 옛 율법을 계속 지키는 사람들"이라고 언급했다.[25][26]
에피파니우스에 따르면, 나사렛파는 신약뿐만 아니라 구약도 사용했으며,[19] 마태복음에 따른 복음을 히브리어로 가지고 있었다고 한다.[19] 유세비우스는 나사렛파인 헤게시푸스가 히브리 복음서와 시리아어(아람어)에서 몇 구절을 인용하고, 히브리어에서 몇 가지 세부 사항을 인용한다고 기록했다.[19]
나사렛파의 믿음은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 예수를 메시아로 믿음.[25]
- 동정녀 탄생을 믿음.[25]
- 할례와 모세 율법 준수.[19]
- 구약과 신약 사용.[19]
- 히브리어 또는 아람어 성경 사용.[19]
3. 2. 나사렛파와 유대교, 이슬람과의 관계
나사렛파는 초기 기독교의 한 분파로, 유대교 율법을 준수하면서도 예수를 메시아로 믿었다는 점에서 유대교와 기독교 사이의 독특한 위치를 차지했다.[25] 이들은 예수를 성모 마리아에게서 태어난 하나님의 아들이자, 본디오 빌라도 치하에서 고난을 받고 하늘로 승천한 존재로 여겼다.[25]이슬람에서는 기독교인을 '나스라니'(نَصْرَانِيّ)라고 부르는데, 이는 '나사렛'과 관련이 있을 가능성이 있다.[1] 아랍어에서 이 단어는 승리나 지원을 뜻하는 동사 'n-ṣ-r'에서 유래한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1] 꾸란의 알 임란 52절에서 예수가 하나님의 뜻을 위한 지지자(Ansar-i)를 묻고, 사도들이 그들이 Ansar가 될 것이라고 대답하는 장면에서 이 의미가 나타난다.[1] 같은 어근은 예언자 무함마드를 메디나에서 보호한 사람들인 Ansar를 언급할 때도 사용된다.[1]
4세기에 제롬은 나사렛파를 "메시아를 받아들이지만 옛 율법을 계속 지키는 사람들"이라고 묘사했다.[25] 그는 나사렛파가 바리새인에게 정죄받는다고 언급하며, 이들이 유대인이자 기독교인인 척하지만 실제로는 둘 다 아니라고 비판했다.[25]
같은 시기 콘스탄티노플 교회에서는 나사렛파의 관행을 정죄하는 신조가 발표되었다. 이 신조는 히브리인의 모든 관습, 의식, 율법, 음식 등을 포기하며, 유대교로 돌아갈 경우 게하시의 떨림과 법적 처벌, 그리고 내세의 저주를 받게 될 것이라고 선언했다.[28]
"나사렛파"라는 용어는 13세기까지 유럽의 논의에서 남아있었다. 야코부스 데 보라기네(1230-98)는 『황금 전설』에서 야고보를 "나사렛파"로 묘사했고, 토마스 아퀴나스(1225-74)는 카테나 아우레아에서 "나사렛파 히브리인"이 예레미야로 알려진 위경서를 아우구스티누스에게 줬다고 인용했다.
4. 나사렛 복음서
제롬의 저작에서 부분적으로 재구성된, 소실된 유대-기독교 복음서 중 하나인 마태오 복음서의 단편에 주어진 제목이다.[1]
5. 만다교와 나소라에안
만다교는 이라크 남부와 이란 후제스탄 지역에 존재하는 영지주의 종교이다. 만다교의 사제 계급은 '나소라에안'이라고 불리며, 이는 '지식의 수호자'를 의미한다.[30] 긴자 라바에서 "나소라에안"은 의로운 만다교인, 즉 만다교 사제를 지칭하며, 영지주의에서 ''프뉴마티코이'' 개념과 유사하다.[38][39][40] 나소라에안 만다교인들은 스스로를 '빛의 아들'을 의미하는 ''바나이 느후라''의 진정한 회중이라고 믿는다.[41] 이들은 하라나 가와이타에 따르면 서기 70년 예루살렘 함락 이전에 박해를 피해 예루살렘을 탈출했다.[31]
이슬람 연구 수정주의 학파의 오동 라퐁텐은 이 분파(나사렛파)가 7세기에 생존했으며, 코란과 이슬람 발전에 영향을 주었다고 가설을 세웠다.[29]
5. 1. 만다교의 기원과 나소라에안
만다교의 기원은 정확하게 알려져 있지 않다. 그러나 일부 학자들은 나소라에안이 기독교가 생겨나기 이전부터 존재했던 집단이라고 주장한다. 에피파니우스는 나사레안(Νασαραίοι)이라는 집단을 언급하며 그들이 그리스도 이전에 존재했다고 말한다.[34] 이들은 하라나 가와이타에 따르면 예루살렘에서 박해를 피해 이주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31]'나소라에안'(Naṣuraiia)은 '비밀 의식과 지식의 수호자 또는 소유자'를 의미하며, "지키다"를 의미하는 n-ṣ-r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이 있다. 이들은 모세의 율법을 거부하지만, 스스로를 영지주의의 수호자로 여긴다.[30] 긴자 라바에서 "나소라에안"은 의로운 만다교인, 즉 만다교 사제를 지칭하는 데 사용된다.[38][39][40] 나소라에안으로서 만다교인들은 그들이 '빛의 아들'을 의미하는 '바나이 느후라'의 진정한 회중이라고 믿는다.[41]
5. 2. 나소라에안과 나사렛파의 관계
만다교의 나소라에안(Naṣuraiia)과 초기 기독교의 나사렛파(Ναζωραίοι) 사이의 관계는 학계에서 논쟁의 대상이다.에피파니우스는 나사레안(Νασαραίοι)과 나조라이오이(Ναζωραίοι)를 구별했다.[32] 조셉 라이트풋에 따르면, 에피파니우스는 오세안과 나사레안을 구별하기도 한다.[32] 에피파니우스는 나사레안이 길르앗, 바산, 요르단 동편 출신의 유대인으로, 모세를 인정하고 율법을 받았다고 믿었지만, 희생을 드리거나 고기를 먹는 것은 불법으로 여겼다고 기록했다.[33]
일부 학자들은 나사레안이 오늘날의 만다교인과 동일하다고 주장한다.[34] 에피파니우스는 (29:6) 그들이 그리스도 이전에 존재했다고 언급했는데, 이는 일부 학자들에게는 의문의 여지가 있지만, 다른 학자들은 이 집단의 기원이 기독교 이전이라고 받아들인다.[34]
반면, 반 블라델(2017)은 만다교인과 나사레안이 역사적으로 별개의 집단이라고 주장한다. 그는 나사레안이 메소포타미아 중부 출신의 유대-기독교 사제 세례 종파였고, 남부 메소포타미아의 토착 만다교인들로부터 추종자를 얻었다고 본다. 그의 가설에 따르면, 원래의 만다교 평신도는 사산 왕조 시대의 사원 약탈로 인해 메소포타미아 사원이 파괴되자 이전 종교를 대체하기 위해 나사레안 사제의 종교로 전환했다.[35] 그러나 이 가설은 프레드라그 부코베츠와 다른 학자들에게 비판을 받았다.[36] 보그단 부르테아 (2008) 또한 나사레안과 만다교인이 역사적으로 별개의 집단이었을 수 있다고 제안했다.[37]
긴자 라바에서 "나소라에안"이라는 용어는 의로운 만다교인, 즉 만다교 사제를 지칭하는 데 사용된다.[38][39][40] 이는 영지주의에서 ''프뉴마티코이''의 개념과 유사하다. 나소라에안으로서 만다교인들은 그들이 '빛의 아들'을 의미하는 ''바나이 느후라''의 진정한 회중이라고 믿는다.[41] 하라나 가와이타에 따르면, 나소라에안 만다교인들은 서기 70년 예루살렘 함락 이전에 박해를 피해 예루살렘을 탈출했다.[31]
6. 현대의 나사렛 교회
현대에는 '나사렛'이라는 명칭을 사용하는 여러 기독교 교단이 존재한다. 이들은 이름이나 신념에 "나사렛" 또는 그 변형어를 사용한다.
6. 1. 나사렛교회
나사렛교회는 19세기 말과 20세기 초 성결 운동에서 시작된 개신교 교단이다.[1]6. 2. 나사렛 사도 기독교 교회
나사렛 사도 기독교 교회(Apostolic Christian Church (Nazarene))는 스위스 나사렛 침례교 운동에서 유래한 교단이다.참조
[1]
Citation
Lexicon
https://biblehub.com[...]
Strong
[2]
문서
Acts 24:5 "For we have found this man a pestilent fellow, and a mover of sedition among all the Jews throughout the world, and a ringleader of the sect of the Nazarenes."
[3]
Wiktionary
נוצרי (Wiktionary), in singular
https://en.wiktionar[...]
[4]
Wiktionary
نصراني (singular). ''Wiktionary''.
https://en.wiktionar[...]
[5]
서적
The Gospel of Matthew and Christian Judaism
[6]
간행물
Nazarenes
[7]
문서
Memoirs of Dr. Joseph Priestley – Page 670 The term Ebionites occurs in Irenaeus, Tertullian, Origen, and Eusebius but none makes any mention of Nazarenes. They must have been even more considerable in the time of these writers,
[8]
서적
The principal doctrines of Christianity defended
[9]
서적
The Expositor's Bible commentary: with the New International Version
[10]
Citation
Birkat haMinim: Jews and Christians in conflict in the ancient world
[11]
Citation
Antidoketische Christologie im Johannesevangelium
[12]
Citation
Bulletin
School of Oriental Studies
[13]
문서
Epiphanius Panarion 29
[14]
Citation
Memoirs
[15]
Citation
The Acts of the Apostles
[16]
Citation
The early versions of the New Testament
[17]
Citation
Lexicon to the Syriac New Testament
[18]
Citation
Compendious Syriac Dictionary
[19]
문서
Panarion 29.5.6
[20]
문서
The Jewish Christians’ Move from Jerusalem as a pragmatic choice
https://www.academia[...]
Brill
[21]
웹사이트
Nazarenes
http://jewishencyclo[...]
2007-08-23
[22]
Citation
The Virgin Birth: An Inquiry into the Biblical Doctrine
http://www.torahreso[...]
TorahResource
2007-08-13
[23]
웹사이트
Nazarenes from the McClintock and Strong Biblical Cyclopedia.
https://www.biblical[...]
2024-05-28
[24]
Citation
Cyclopedia
[25]
웹사이트
CHURCH FATHERS: Letter 75 (Augustine) or 112 (Jerome)
https://www.newadven[...]
[26]
웹사이트
NAZARENES - JewishEncyclopedia.com
https://jewishencycl[...]
[27]
Citation
Nazarene Jewish Christianity: from the end of the New Testament period until its disappearance in the fourth century
[28]
Citation
The Conflict of The Church and The Synagogue
Atheneum
[29]
서적
Le Grand Secret de l'Islam: L’histoire cachée de l’islam révélée par la recherche historique
[30]
웹사이트
MANDEANS ii. THE MANDAEAN RELIGION
https://iranicaonlin[...]
2022-01-03
[31]
서적
Christian Origins
https://books.google[...]
Fortress Press
[32]
Panarion
Panarion
[33]
서적
St. Paul's epistles to the Colossians and to Philemon: a revised text with introductions, notes, and dissertations
Macmillan Publishers
[34]
서적
The secret Adam, a study of Nasoraean gnosis
http://holybooks.lic[...]
Clarendon Press
1960
[35]
서적
From Sasanian Mandaeans to Ṣābians of the Marshes
https://brill.com/vi[...]
Brill
[36]
논문
Van Bladel, Kevin, From Sasanian Mandaeans to Ṣābians of the Marshes (Leiden Studies in Islam and Society—6), Leiden-Boston: Brill, 2017—164 pp.
2018-06-22
[37]
문서
Zur Entstehung der mandäischen Schrift. Iranischer oder aramäischer Ursprung?
Wiesbaden
[38]
서적
The Mandaeans: ancient texts and modern people
Oxford University Press
[39]
서적
The great stem of souls: reconstructing Mandaean history
Gorgias Press
[40]
서적
Ginza Rba
https://livingwaterb[...]
Living Water Books
[41]
웹사이트
Sacred Text and Esoteric Praxis in Sabian Mandaean Religion
http://isamveri.org/[...]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