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나사렛 사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나사렛 사람은 신약성경에서 예수에게 적용된 단어인 그리스어 'Nazarēnos'에서 유래한 용어로, 예수가 어린 시절을 보낸 갈릴리 지역의 도시 나사렛 출신이라는 지리적 의미를 지닌다. 일부 학자들은 '가지'를 의미하는 히브리어 '네쩨르'에서 유래했다고 주장하기도 한다. 이 용어는 신약성서, 초기 기독교 문헌, 유대교 문헌, 아랍어 및 현대 히브리어 등 다양한 문헌에서 기독교인을 지칭하는 데 사용되었으며, 특히 유대교 문헌에서는 '노츠림'이라는 용어로 기독교인을 지칭했다. 또한 살라미스의 에피파니우스는 기독교 이전 유대교 분파인 '나사라오이'에 대해 기록했으며, 만다교에서도 '나소라인'이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나사렛 - 공동 명단
    공동 명단은 2015년 이스라엘 총선을 앞두고 결성된 정당 연합으로, 다양한 이념을 포괄하며, 2015년 총선에서 13석을 얻어 제20대 크네세트에서 세 번째로 큰 정당이 되었다.
  • 나사렛 - 나사렛에서 발굴된 조지아 문자
    나사렛에서 발굴된 조지아 문자는 이스라엘 나사렛에서 발견된 조지아 문자로, 조지아 문자의 기원과 문화 확산을 연구하는 데 중요한 자료이며, 초기 조지아 순례자들의 존재와 당시 조지아와 팔레스타인 지역 간의 문화 교류를 보여준다.
  • 초기 기독교와 유대교 - 디다케
    디다케는 "열두 사도의 주님의 가르침"으로도 불리는 1873년 발견된 고대 기독교 문헌으로, 기독교 생활 지침, 의례, 교회 조직, 종말론적 예언을 담고 있으며, 특히 '두 길' 가르침을 통해 윤리적 지침을 제시하는 초기 기독교 공동체의 생활과 신앙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자료이다.
  • 초기 기독교와 유대교 - 열심당
    열심당은 1세기경 로마 제국에 저항한 유대교 분파로, 무장 투쟁과 과격한 테러 행위로 로마에 저항하며 유대 사회 내부에서도 비판받고 유대교 종파 간 갈등을 심화시켜 예루살렘 함락과 성전 파괴에 영향을 미쳤다.
  • 신약 낱말과 구 - 일하지 않는 자여, 먹지도 마라
    "일하지 않는 자여, 먹지도 마라"는 데살로니가후서에서 유래한 격언으로, 노동 윤리를 강조하며 식민지 운영 원칙, 사회주의 원칙 등으로 적용되었으나 왜곡되어 비판받기도 했고, 현대에는 노동 윤리 및 사회적 형평성에 대한 논쟁을 야기하며 사회 곳곳에서 다양하게 해석되고 있다.
  • 신약 낱말과 구 - 베싸이다
    베싸이다는 갈릴리 호수 북쪽 해안에 위치하며 베드로, 안드레, 빌립의 고향이자 예수 그리스도가 기적을 행한 곳으로, 여러 고고학적 후보지가 있으며 헤롯 빌립에 의해 율리아스로 재건되기도 했다.
나사렛 사람
제목
그리스어나조라이오스 (Ναζωραῖος), 나자레노스 (Ναζαρηνός)
그리스어 (로마자 표기)Nazōraîos, Nazarēnos
히브리어노츠림 (נוֹצְרִי), 노츠리 (נצרי)
히브리어 (로마자 표기)Notzrim, No·tsri
아랍어나스라니 (نصراني)
아랍어 (로마자 표기)Naṣrānī
의미나사렛 사람
기원 및 유래
어원'가지', '새싹'을 의미하는 히브리어 '네체르' (נֵּצֶר)
'지키다', '보존하다'라는 의미의 히브리어 동사 '나차르' (נָצַר)
성경적 맥락이사야 11장 1절의 '이새의 줄기에서 한 싹이 나며 그 뿌리에서 한 가지가 나서 결실할 것이요' 구절과 연관
판관기 13장 5-7절에서 '나실인'과 연관 (일부 학설)
신약성서마태오 복음서 2장 22-23절에서 나사렛에 가서 살게 된 예수를 '나사렛 사람이라 불리리라' 예언 성취
사도행전 24장 5절에서 바울로를 '나사렛당의 괴수'라고 칭함
역사적 사용
초기 기독교기독교인들을 지칭하는 용어로 사용됨 (특히 유대인들이 사용)
'나사렛 사람'이라는 칭호는 예수와 그의 추종자들을 구분하는 데 사용됨

2. 어원

나사렛 사람은 신약성경에 나오는 그리스어 를 영어식으로 음역한 것이다.[10] 이 단어의 어원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설이 있다.[11]

2. 1. 나사렛(Nazareth)

나사렛
도시는 예수의 어린 시절 고향으로 묘사되며, 많은 언어에서 기독교 신앙을 가진 사람들을 지칭하는 일반적인 명칭으로 '나사렛 사람'이라는 단어를 사용한다.

'나사렛 사람'은 고대에 사용된 나사렛의 히브리어 단어(Nazara)에서 파생되었다는 것이 전통적인 견해이다.[12] 나사렛은 '지키다'라는 의미의 또는 '가지'를 의미하는 에서 파생되었을 수 있다.[14]

일반적인 그리스어 구조 ('나사렛 사람/나사렛 출신 예수')는 전통적으로 지리적 이름으로 여겨진다. 신약성서에는 ('구레네 사람 루키우스'/구레네의 루키우스), ('에베소의 드로비모'), ('막달라 마리아'), ('다소 사람 사울') 또는 아테네의 아테나고라스 (Ἀθηναγόρας ὁ Ἀθηναῖοςgrc)와 같은 고전적인 예가 있다.

일반적으로 "나사렛 예수"로 번역되는 그리스어 구문 ()은 신약성서에서 "나사렛 출신"이라는 구문이 사용된 다른 세 곳과 비교할 수 있다. 예수는 또한 "갈릴리 나사렛 출신"으로 언급된다. 요한복음 1:45-46에는 "빌립이 나다나엘을 찾아 이르되 모세가 율법에, 그리고 선지자들이 기록한 그분을 우리가 만났으니, 요셉의 아들 예수, 나사렛에서 온 자라. 나다나엘이 이르되 나사렛에서 무슨 선한 것이 나겠느냐? 빌립이 이르되 와서 보라 하니라."라는 내용이 있다.

일부에서는 "나사렛 예수"가 그리스어에서 더 흔하다고 여긴다.[15] "나사렛 출신"이라는 이름은 다른 사람에게는 사용되지 않으며, 신약성서 밖에는 나사렛에 대한 언급이 없다.

"나사렛"과 "나사렛 사람"은 그리스어에서만 상호 보완적인데, 그리스어는 "z" 또는 유성 치경 마찰음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셈족 언어에서 "나사렛 사람"과 그 동족어인 나사렛, 나자라, 나사레안/나사라안은 "s" 또는 "ts" 소리에 해당하는 무성 치경 마찰음을 가지고 있다. 유성음과 무성음은 별도의 언어적 경로를 따른다.

2. 2. 네쩨르(Ne·tzer)

일부 학자들은 '나자레노스'가 '가지'를 의미하는 히브리어 'נֵ֫צֶר|네쩨르he'(n-ts-r)에서 유래했다고 주장한다. 이사야서 11장 1절에는 "이새의 줄기에서 한 싹이 나며 그 뿌리에서 한 가지(נֵ֫צֶר|네쩨르he)가 나서 결실할 것이요"라는 구절이 있다.[5] 제롬(c. 347 – 420)은 "나사렛 사람"을 이사야서의 이 구절과 연결하여, 'נֵ֫צֶר|네쩨르he'의 히브리어 판독이라고 주장했다.[18]

고대 히브리어 텍스트에서는 모음이 표기되지 않았기 때문에 제롬 시대에는 더 다양한 판독이 가능했다. 여기서 '가지'/'나사렛 사람'은 은유적으로 "후손" (왕 다윗의 아버지인 이새의)을 의미한다. 4세기의 기독교 변증가인 유세비우스 역시 이사야가 "나사렛 사람"의 근원이라고 주장했다. 이사야의 이 예언은 신약 시대에 매우 인기가 있었으며, 로마서와 요한 계시록에도 언급되어 있다.[19]

3. 역사적 용례

"나사렛 사람"(나자렛 사람 또는 나자라 사람)은 히브리 복음서, 나사렛 복음서, 마태오 복음서를 포함한 유대인 복음서와 마르코 복음서에서 언급되었다.[20]

마태는 "나자렛 사람"이라는 표현을 일관되게 사용하며, "나자렛 사람"과 나사렛 사이의 연관성을 제시한다. "그는 나자렛 사람이라 불리리라"와 같은 예언은 유대교 경전에 알려져 있지 않으며, "나자렛 사람"은 나사렛과 연관되어 처음 등장하는 새로운 용어이다.

마태의 예언은 종종 이사야의 예언과 연결된다.[5] 이사야의 예언만이 '가지'를 로 제시하지만, 가지에 대한 단어가 로 주어지는 다른 네 개의 메시아 예언이 있다.[22] 마태의 구절 "예언자들을 통해 말씀하신"은 이 구절들이 집합적으로 언급되고 있음을 시사할 수 있다.[6]

다른 견해는 판관기에 나오는 삼손나실인으로 언급하는 구절이 마태 예언의 근원이라고 주장한다. 그리스어에서 "나실인"은 "나자렛 사람"과 한 글자 차이다.[7] 그러나 신약성서에서 예수의 특징은 전형적인 나실인의 모습이 아니며, 마태가 예수와 비도덕적인 삼손을 비교하려 했을 가능성은 의심스럽다.[7] "나자렛 사람"은 '통치자'를 의미하는 NZR의 음역일 수 있으며(창세기 49:26), 이는 예수를 이스라엘의 새로운 통치자로 지칭한다.[25]

3. 1. 신약성서

마태복음은 '나사렛 사람(Nazorean)'(Ναζωραῖος|Nazōraiosgrc)이라는 표현을 사용하여 예수와 나사렛을 연결한다.[20] 마가 복음은 '나사렛 사람(Nazarene)'(Ναζαρηνέ|Nazarēnegrc)을 사용하며, 이는 가장 오래된 복음서에서 나타나는 형태이다. 마가는 세례 전에는 예수를 "갈릴리 나사렛 출신"이라고 언급하고,[26] 세례 후에는 "나사렛 사람"이라고 부른다.[27]

3. 2. 초기 기독교 문헌

사도행전에서 바울은 "나사렛 이단의 우두머리"로 불렸다([9]). 테르툴리아누스는 "유대인들이 우리를 '나사렛인'이라고 부른다"고 기록했다([43]). 유세비우스는 그리스도나사렛이라는 지명에서 유래하여 나사로인이라고 불렸으며, 이전에는 기독교인들이 나사렛인이라고 불렸다고 기록했다([40]).

3. 3. 유대교 문헌

(복수)에 대한 최초의 히브리어 언급은 바빌로니아 탈무드 필사본에 나타나며, 예루살렘 탈무드에서는 발견되지 않는다.[52] 은 유대교 출판사에 대한 기독교 검열로 인해 탈무드의 오래된 인쇄본에는 언급되지 않았다.[53] 은 아보다 자라 6a, 타아니트 27b에 명확히 언급되어 있으며, 깃틴 57a와 같은 다른 텍스트에서도 재구성될 수 있다.[54]

  • 아보다 자라('외국 예배') 6a: "나사렛 사람의 날은 랍비 이스마엘의 말에 따르면 영원히 금지되어 있다"[55]
  • 타아니트 ('단식에 관하여') 27b: "왜 그들은 안식일 다음 날에 단식하지 않았는가? 랍비 요하난은 때문이라고 말했다"


사무엘 클라인(1909)은[56] 탈무드 안의 예수에 대한 가장 논쟁적인 언급 중 하나인 깃틴('문서') 57a의 구절이 에게 그의 운명과 그들의 운명을 경고하는 ""에 대한 언급을 포함했을 수 있다고 제안했다.[57]

원래 텍스트가 ('기독교인') 대신 ('이집트인')으로 읽혔을 가능성이 있는 토세프타의 추가적인 언급은 다음과 같다.[58] "그들은 말했다: 그는 서쪽의 이집트인 []의 크파르 사크니아[59]에서 그를 들으러 갔다." 여기서 특정 야곱, 즉 야고보의 의료 지원을 피한다.[60]

에 대한 타나임의 언급은 없으며, 아모라임 시대의 언급도 거의 없다.[61] 타나임(70년~200년)과 아모라임(230년~500년) 시대의 ''Minim''에 대한 언급이 훨씬 더 흔하며, 이로 인해 R. 트래버스 헤르포드(1903)와 같은 일부 학자들은 탈무드와 미드라시의 이 일반적으로 유대교 기독교인을 지칭한다고 결론 내렸다.[62]

카이로 게니자에서 발견된 아미다 사본에 있는 두 개의 ''비르카트 하미님''(이단에 대한 저주) 조각에는 가 에 대한 저주에 포함되어 있다.[68][69][70]

초기 중세 랍비 텍스트인 '''톨레도트 예슈''' (''예수의 역사'')는 기독교의 기원에 대한 논쟁적인 기록으로, ('나사렛 사람들')을 사마리아의 ('파수꾼' 예레미야 31:6)과 연결한다. 는 알렉산더 얀나이 통치 기간 동안 의 지도자를 바라이타스(미쉬나 밖의 전통)에서 "예슈 하노츠리"로 언급된 반역적인 학생으로 식별한다. 이는 일반적으로 탈무드 속의 예수에 대한 언급의 연장선으로 간주되지만, 예슈 하노츠리는 기원전 100년경에 살았던 것으로 묘사되기 때문에 동일성에 대한 논쟁이 있었다.[73] 에 따르면, 은 하스몬 왕조의 여왕 알렉산드라 헬레네 살로메 시대에 유대에서 로마의 헬레니즘화된 지지자들 사이에서 번성했다.[74]

3. 4. 아랍어 문헌

아랍 기독교인들은 스스로를 مسيحي|Masīḥīar (مسيح|Masīḥar, '메시아, 그리스도')라고 불렀지만, '나사렛 사람'이라는 용어는 아랍어에서 단수 (نصرانيar, '기독교인')와 복수 (نصارىar, '나사렛 사람들, 기독교인')로 사용되어 일반적으로 기독교인을 지칭한다.[37] 라는 용어는 꾸란에서 여러 번 사용된다. 예를 들어, 알-바까라 (113절)는 다음과 같다.

그러나 꾸란에서 나스라니는 동사로 사용되며, 아랍어 어근 n-ṣ-r에서 파생되어 옹호자 또는 지지자를 의미한다. 이 의미는 수라 알-임란 50-52절에서 밝혀지는데, 예언자 이사(Isa)가 누가 자신을 위해 하나님의 지지자(Ansar-i)가 될 것이냐고 묻자, 하와리윤(사도들)이 자신들이 앙사르가 될 것이라고 대답한다. 이와 동일한 어근은 안사르에 대한 언급에서도 나타나는데, 이들은 예언자 무함마드야스리브에서 보호했던 사람들이다.

3. 5. 현대 히브리어

랍비와 현대 이스라엘 현대 히브리어에서 Notzrim|노츠림he (복수) (נוצריםhe) 또는 단수형 Notzri|노츠리he (נוצריhe)는 '기독교인'과 '기독교'를 지칭하는 일반적인 공식 용어이다.[49] 그러나 많은 기독교인들은 대부분의 히브리어 신약 성경 번역에서 발견되는 Meshiykiyyim|메시이킴he (משיחייםhe) '메시아닉'을 선호하며,[50] 일부 교회와 많은 신약 성경의 히브리어 번역에서 그리스어 Christianoi|크리스티아노이grc를 번역하는 데 사용된다.[51]

현대 히브리어에서 Notzrim|노츠림he (נוצריםhe)이라는 단어가 기독교인을 지칭하는 표준어이지만, Meshiykhiyyim|메시이킴he (משיחייםhe)은 프란츠 델리취의 BFBS 신약성서에서처럼 많은 기독교인들이 스스로를 지칭하는 데 사용한다. 베드로전서 4:16 "만일 누구든지 ha-Meshiykhiyyim|하-메시이킴he (משיחייםhe)로 고난을 받으면 부끄러워하지 말고, 그 이름으로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라."[77][78] 히브리어 신약성서에서 테르툴루스가 '나사렛 사람' (사도행전 24:5)을 Notzrim|노츠림he으로 번역하고, '나사렛 예수'는 Yeshu ha Notzri|예슈 하 노츠리he로 번역한다.[79]

4. 다른 종교 집단과의 관계

살라미스의 에피파니우스는 4세기에 '나사라오이(Nasaraioi)'(Νασαραῖοι|Nasaraioigrc)라는 유대-기독교 분파를 언급했다.[85] 그는 이들을 기독교 이전의 유대교 분파로 묘사하며, 그리스도 이전에 존재했고 그리스도를 알지 못했다고 기록했다.[86] 이 분파는 셀레-시리아, 갈릴리, 사마리아 지역, 즉 오래전에 멸망한 이스라엘 왕국 지역에 집중되었다.[87] 에피파니우스에 따르면, 이들은 성전 제사와 모세의 율법을 거부했지만, 다른 유대교 관습은 고수했으며 채식주의자였다.[88] 이들은 길르앗, 바샴, 트랜스요르단에 살았다. 모세를 숭배했지만, 모세가 받은 율법이 원래 주어진 것과는 다르다고 믿었다. 19세기 일부 학자들은 에피파니우스의 증언을 정확한 것으로 받아들였으나, 현대 학계에서는 그의 증언이 간접적이며, 4세기 나사렛인과 에비온파가 기독교인이 아니라는 것을 보여주려는 그의 논쟁적인 목적을 고려하여 읽어야 한다고 본다.[89]

이라크와 이란의 만다교는 하란 가와이타에서 "나소라인"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여 예루살렘에서의 기원과 이주를 설명한다. "그리고 6만 명의 나소라인이 일곱의 징표를 버리고 메디아 언덕으로 들어갔다. 그곳에서 우리는 다른 모든 인종의 지배로부터 자유로웠다."[90] 만다교 학자들은 그들이 기독교 이전 기원이라고 간주했다.[93] 그들은 세례자 요한을 자신들의 종파의 일원(이자 한때 지도자)으로 간주하며, 요르단 강은 그들의 세례 교리의 중심 특징이다.[94][95][96]

4. 1. 나사렛파(Nasaraioi)

살라미스의 에피파니우스는 4세기에 '나사라오이(Nasaraioi)'(Νασαραῖοι|Nasaraioigrc)라는 유대-기독교 분파를 언급했다.[85] 에피파니우스는 이들을 기독교 나사렛인들과 구별되는 '기독교 이전' 유대교 분파로 묘사하며, 이들이 그리스도 이전에 존재했고 그리스도를 알지 못했다고 기록했다.[86]

이 분파는 셀레-시리아, 갈릴리, 사마리아 지역, 즉 오래전에 멸망한 이스라엘 왕국 지역에 집중되었다.[87] 에피파니우스에 따르면, 이들은 성전 제사와 모세의 율법을 거부했지만, 다른 유대교 관습은 고수했으며 채식주의자였다.[88] 이들은 단지 국적만 유대인일 뿐이며, 길르앗, 바샴, 트랜스요르단에 살았다. 모세를 숭배했지만, 토라를 옹호하는 나사렛인들과는 달리, 모세가 받은 율법이 원래 주어진 것과는 다르다고 믿었다.

19세기 일부 학자들은 에피파니우스의 증언을 정확한 것으로 받아들였다. 그러나 현대 학계에서는 에피파니우스의 증언이 간접적이며, 4세기 나사렛인과 에비온파가 기독교인이 아니라는 것을 보여주려는 그의 논쟁적인 목적을 고려하여 읽어야 한다고 본다.[89]

4. 2. 만다교(Mandaeans)

이라크와 이란의 만다교는 그들의 두루마리인 하란 가와이타에서 "나소라인"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여 예루살렘에서의 기원과 이주를 설명한다. "그리고 6만 명의 나소라인이 일곱의 징표를 버리고 메디아 언덕으로 들어갔다. 그곳에서 우리는 다른 모든 인종의 지배로부터 자유로웠다."[90]

만다교 학자들은 그들이 기독교 이전 기원이라고 간주했다.[93] 그들은 세례자 요한을 자신들의 종파의 일원(이자 한때 지도자)으로 간주하며, 요르단 강은 그들의 세례 교리의 중심 특징이다.[94][95][96]

5. 한국 사회와 문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에서 나사렛예수의 고향으로 잘 알려진 지명이지만, '나사렛 사람'이라는 용어 자체는 낯설게 느껴질 수 있다. '나사렛 사람'은 한국 개신교, 특히 보수적인 교단에서 '이단'을 지칭하는 용어로 사용되기도 했다. 이러한 맥락에서 '나사렛 사람'이라는 용어의 역사적, 종교적 배경을 이해하는 것은 한국 사회의 종교적 다양성과 갈등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한다.

참조

[1] 간행물 Jesus was a Galilean from Nazareth, a village near Sepphoris, one of the two major cities of Galilee. Encyclopædia Britannica 2009
[2] 웹사이트 Luke 18:37 http://biblos.com/lu[...]
[3] 서적 Nazarene The International Standard Bible Encyclopedia: K-P
[4] 성경
[5] 웹사이트 Isaiah 11:1 Then a shoot will spring up from the stump of Jesse, and a Branch from his roots will bear fruit. https://biblehub.com[...]
[6] 웹사이트 Isaiah's Use of the word 'Branch' or "Nazarene" http://www.ao.net/~f[...]
[7] 서적 The Gospel of Matthew
[8] 서적 Die Genesis Jesu Christi aber war so Die Herkunft Jesu nach dem matthäischen Prolog (Mt 1,1–4,16), Göttingen 2019
[9] 성경
[10] 성경
[11] 서적 Nazarenes Anchor Bible Dictionary
[12] 웹사이트 Nazarene http://www.newadvent[...] The Catholic Encyclopedia 1911
[13] 서적 The Brown-Driver-Briggs Hebrew and English Lexicon 1906/2003
[14] 웹사이트 Nazareth http://www.newadvent[...] The Catholic Encyclopedia 1911
[15] 서적 Jesus: The Evidence 1984
[16] 서적 Nazarene The International Standard Bible Encyclopedia: K-P
[17] 웹사이트 Strong number 5342 http://strongsnumber[...]
[18] 서적 Letter 47:7
[19] 서적 Jude and the Relatives of Jesus in the Early Church
[20] 서적 The Anchor Bible Dictionary Doubleday 1992
[21] 성경
[22] 성경
[23] 성경
[24] 성경
[25] 서적 Genesis Jesu Christi
[26] 성경
[27] 성경
[28] 서적 Relatives of Jesus in the Early Church
[29] 서적 Companion to Second Century Christian Heretics 2008
[30] 서적 Nazarene Jewish Christianity Brill 1988
[31] 서적 Lost Christianities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2003
[32] 웹사이트 The Gospel of Philip http://www.gnosis.or[...]
[33] 웹사이트 The Gospel of Philip http://www.gnosis.or[...]
[34] 서적 Vita
[35] 웹사이트 Nazareth http://www.jewishenc[...] Jewish Encyclopedia 1901–1906
[36] 서적 Church History
[37] 서적 The Birth of the Christian Religion https://www.questia.[...] George Allen & Unwin 2007-12-24
[38] 서적 Our father Abraham: Jewish roots of the Christian faith 1989
[39] 서적 Paul the missionary: realities, strategies and methods 2008
[40] 간행물 Bulletin of the School of Oriental and African Studies University of London. School of Oriental and African Studies 2002
[41] 서적 Jewish Ways of Following Jesus: Redrawing the Religious Map of Antiquity Mohr Siebeck 2010
[42] 서적 The Oxford Bible commentary 2001
[43] 문서 Adv. Marc. IV.8 unde et ipso nomine nos Iudaei Nazarenos appellant per eum
[44] 서적 The early versions of the New Testament 1977
[45] 서적 Lexicon to the Syriac New Testament 1926
[46] 서적 Compendious Syriac Dictionary 1903
[47] 서적 Missionary Tropics: The Catholic Frontier in India (16th–17th centurie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Michigan
[48] 간행물 Muslims, Matriliny, and A Midsummer Night's Dream: European Encounters with the Mappilas of Malabar, India 2005
[49] 서적 The Oxford English-Hebrew Dictionary 1999
[50] 서적 Hebrew New Testament BFBS
[51] 서적 Hebrew New Testament United Bible Societies 1997
[52] 서적 Birkat haMinim: Jews and Christians in conflict in the ancient world 2007
[53] 서적 Birkat haMinim: Jews and Christians in conflict in the ancient world
[54] 서적 Tolerance and intolerance in early Judaism and Christianity 1998
[55] 서적 Christianity in Talmud and Midrash 2007
[56] 문서 Beiträge zur Geographie und Geschichte Galiläas
[57] 문서 Nazarene Jewish Christianity, 95–102
[58] 서적 Birkat haMinim: Jews and Christians in conflict in the ancient world 2007
[59] 간행물 Frankfurter judaistische Beiträge Gesellschaft zur Forderung Judaistischer Studien in Frankfurt am Main 2000
[60] 서적 Rabbinic stories 2002
[61] 서적 'Related strangers: Jews and Christians, 70-170 C.E.' 1981
[62] 서적 Christianity in Talmud and Midrash 1903
[63] 서적 Studying the historical Jesus: a guide to sources and methods 2002
[64] 문서 Sanhedrin 107b
[65] 서적 Birkat haMinim: Jews and Christians in conflict in the ancient world
[66] 서적 Tolerance and intolerance in early Judaism and Christianity 1998
[67] 서적 Studies on the Hasmonean period
[68] 서적 Birkat haMinim: Jews and Christians in conflict in the ancient world
[69] 서적 A history of the first Christians 2004
[70] 서적 The Gospel of the Beloved Disciple 2005
[71] 서적 Christianity in Talmud and Midrash 1903
[72] 간행물 Christianity in the Talmud and Midrash 1906
[73] 웹사이트 Refuting Missionaries http://mama.indstate[...] 2008-04-12
[74] 서적 Jesus in the Jewish Tradition Macmillan 1950
[75] 서적 The Columbia History of Western Philosophy 2005
[76] 서적 History of Jewish Philosophy 2004
[77] 기타 Delitszch translation 1 Peter pdf http://www.iclnet.or[...] BFBS
[78] 문서 The Christian Church, Jaffa Tel-Aviv website article in Hebrew יהודים משיחיים - יהודים או נוצרים?
[79] 서적 United Bible Societies Hebrew New Testament 1997
[80] 서적 Plinii naturalis historia: Libri I–VII 1984
[81] 서적 L'Invention de Jesus Gallimard 1987
[82] 기타 Natural Histories
[83] 서적 Nazarene Jewish Christianity: from the end of the New Testament 1988
[84]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early Christian literature 2004
[85] 서적 John the Baptist 1964
[86] 서적 The Panarion of Epiphanius of Salamis
[87] 문서 Encyclopædia Britannica Wm. Benton Publ. 1961
[88] 문서 Bashan and Galaatides
[89] 서적 A companion to second-century Christian "heretics" 2008
[90] 서적 What is Gnosticism? 2005
[91] 서적 Gnostic ethics and Mandaean origins 2004
[92] 서적 The Mandaeans: ancient texts and modern people http://mandaeannetwo[...] Oxford University Press 2002
[93] 서적 Etudes mithriaques 1978
[94] 기타
[95] 서적 The Mandaeans: the last gnostics 2002
[96] 서적 The secret Adam, a study of Nasoraean gnosis http://holybooks.lic[...] Clarendon Press 1960
[97] 문서
[98] 기타 Luke 18:37 http://biblos.com/lu[...]
[99] 서적 Nazaren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