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남부 태국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남부 태국어는 크라-다이어족의 타이어족에 속하는 언어로, 남서 타이어군에 속하며 태국어, 북부 태국어 등과 함께 치앙센어군에 속한다. 태국 남부, 말레이시아 국경 지역, 특히 케다, 켈란탄, 페낭, 펄리스, 페락 주 등에서 사용되며, 다양한 방언이 존재한다. 동부, 서부, 탁바이 방언으로 크게 나뉘며, 나콘시탐마랏 방언이 표준어로 사용된다. 중부 태국어와 어휘 및 문법적으로 유사하지만, 어휘 축약, 성조, 자음 발음 등에서 차이를 보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태국어 - 타이 문자
    타이 문자는 람캄행 대왕이 창제한 태국어 문자 체계로, 수코타이 문자를 기반으로 크메르 문자를 수정하고 성조 부호를 도입하여 태국어의 복잡한 음운 체계를 표기한다.
  • 태국어 - 수코타이 문자
    수코타이 문자는 1283년경 람캄행 대왕이 크메르 문자 필기체를 바탕으로 창제한 문자로, 자음, 모음, 숫자, 성조 부호 등으로 구성되어 현대 태국 문자를 포함한 여러 타이 문자의 기원이 되었으며, 주변 지역으로 전파되어 태국 문자의 역사와 문화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 타이어파 - 좡어
    좡어는 중국 남부 광시 좡족 자치구에서 사용되는 언어로, 라틴 문자를 기반으로 한 표기법을 사용하며 태국어와 관련이 있고 6개의 성조를 가진 성조 언어이나, 중국어의 영향으로 사용 인구가 감소하고 있다.
  • 타이어파 - 라오어
    라오어는 크라-다이어족 타이어족에 속하는 라오스의 공식 언어이며, 푸타이어, 타이 요어와 가장 가까운 관계를 갖고 태국어와 상호 이해가 가능하지만 차별성이 강조되고, 크메르어, 산스크리트어, 팔리어의 영향을 받아 철자 개혁을 거쳐 다양한 방언과 함께 비엔티안 방언을 기준으로 한 표준 라오어가 사용된다.
  • 방언 - 안달루시아 아랍어
    안달루시아 아랍어는 8세기 이베리아 반도에서 형성되어 로망스어 등의 영향을 받았으며, 레콩키스타 이후 쇠퇴하여 18세기에 사멸했지만, 현재는 전통 음악에서 흔적을 찾아볼 수 있다.
  • 방언 - 카린 방언
    카린 방언은 역사적으로 에르주룸, 카르스 등지에서 사용되었고 현대에는 아르메니아 시라크주 등지에서 사용되는 아르메니아 방언 중 하나로, 흐라치아 아자리안은 그 발음을 "부드럽고 유쾌하다"고 묘사했다.
남부 태국어
언어 정보
이름남부 태국어
자기 이름ภาษาไทยใต้ (파사타이따이), ภาษาใต้ (파사따이)
로마자 표기Phasa Thai Tai, Phasa Tai
다른 이름파사땀프, 파사팍따이, 파사따이
사용 국가태국 남부, 크다 주, 클란탄 주, 타닌타리 관구
사용자남부 타이족
페라나칸
말레이시아 태국인
태국 말레이인
언어 계통타이카다이어족 - 타이어파 - 남서타이어군 - 치앙샌 - 수코타이
문자타이 문자, 태국어 점자
언어 코드 (ISO 639-3)sou
언어 코드 (Glottolog)sout2746
소수 언어태국
사용 인구 (2006년)450만 명

2. 분류

남부 태국어는 크라-다이어족에 속하는 언어이다. 크라-다이어족은 하이난광시에서 남쪽으로 라오스와 북부 베트남을 거쳐 캄보디아 국경까지 이르는 지역에 걸쳐 사용되는 여러 토착 언어를 포함한다.

크라-다이어족 내에서 남부 태국어는 타이어족으로 분류되며, 더 구체적으로는 남서 타이어군에 속한다. 남서 타이어군은 북서 타이어(샨어, 타이 르어 등), 라오-푸타이어(라오어, 푸타이어 등), 그리고 치앙센어군으로 나뉜다.

남부 태국어는 치앙센어군에 속하며, 이 어군에는 태국어, 북부 태국어 및 여러 소수 언어가 포함된다. 남부 태국어는 태국어와 함께 수코타이어 그룹을 형성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남부 태국어의 계통 분류는 다음과 같다.


  • 크라-다이어족
  • * 흘라이어파
  • * 캄-수이어파
  • * 크라어파
  • * 베어
  • * 타이어족
  • ** 북부 타이어파
  • ** 중부 타이어파
  • ** 남서 타이어파

북서 타이어
* 캄티어
* 타이 르어
* 샨어
* 기타
치앙센어군
* 북부 태국어
* 수코타이어
** 태국어
** '''남부 태국어'''
라오-푸타이어
* 타이 요어
* 푸타이어
* 라오어 (이산어)

3. 방언

포냐릿(2018)[2]은 음조 분화 및 합병 패턴을 기준으로 남부 태국어의 주요 방언을 9가지로 나누었다. 이 방언들은 크게 동부, 서부, 탁바이 방언으로 분류된다.

3. 1. 동부 방언


  • '''나콘시탐마랏 방언''': 표준어로 간주되며, 나콘시탐마랏 주 상부와 수랏타니 주 동부에서 사용된다.
  • '''툰손 방언''': 나콘시탐마랏 주 하부와 파탈룽 주 등 주변 지역에서 사용된다.
  • '''송클라 방언''': 핫야이 지역을 제외한 송클라 주와 그 주변 지역에서 사용된다. 핫야이 지역에서는 남부 태국어의 영향을 받은 크룽텝 방언(방콕 방언)이 주로 쓰인다.
  • '''시부리 방언''': 말레이시아케다(시부리), 펄리스 및 태국의 사툰 주에서 사용된다.

3. 2. 서부 방언


  • '''차야 방언''': 수랏타니 주와 라농 주 대부분 지역에서 사용된다. 다만, 므앙 수랏타니 군(반돈 군)에서는 남부 방언 어휘가 섞인 크룽텝 방언이 쓰이며, 그 외 지역의 차야 방언은 페라나칸 방언으로 분류되기도 한다.
  • '''춤폰 방언''': 춤폰 주와 프라쭈압 키리 칸 주 남부에서 사용된다.
  • '''푸껫 방언''': 푸껫 주, 크라비 주, 트랑 주, 판응아 주의 페라나칸들이 주로 사용한다.
  • '''사무이 방언''': 코 사무이 군(사무이)과 코 파응안 군(파응안)에서 사용된다.

3. 3. 탁바이 방언

탁바이 방언(Takbai dialect|탁바이 방언th)은 파타니에 거주하는 시암 소수 민족이 사용하는 방언이다.

4. 분포

태국에서는 남부 태국어 화자들을 프라쭈압키리칸 주 남부부터 말레이시아 국경까지 이어지는 지역에서 찾아볼 수 있다. 소수의 화자들은 말레이시아 국경 지역, 특히 케다, 켈란탄, 페낭, 펄리스, 페락주에 거주한다. 이 지역에서는 남부 태국어가 태국계 주민과 태국-말레이시아 국경 양쪽의 사툰 주송클라 주의 말레이계 주민의 주요 언어이다.

많은 지역적 변이가 존재하고 표준어는 없지만, 말레이시아 국경 근처에서 가장 독특한 특징을 보인다. 그러나 모든 변종은 서로 상호 이해 가능하다. 경제적 이유로 많은 남부 태국어 화자들이 방콕과 다른 태국 도시로 이주했다. 일부는 말레이시아로 이주하기도 했는데, 말레이시아는 경제적 기회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남부 태국어 화자 중 일부가 믿는 이슬람을 공유하는 문화이기도 하다.

5. 역사

과거 말레이 반도 남부는 파타니 왕국이나 탐브랄링가와 같은 말레이인 왕국들의 영향 아래 있었으며, 한때는 강력한 해상 제국이었던 스리비자야의 지배를 받기도 했다. 이 지역 주민들은 선교사나 상인을 통해 전파된 인도 문화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곳곳에 남아있는 불교힌두교 사원들이 그 증거이다.

스리비자야가 쇠퇴하면서 생긴 힘의 공백은 나콘시탐마랏 왕국이 성장하며 메웠고, 이후에는 북쪽의 수코타이 왕국의 영향력 아래 놓이게 되었다. 역사적으로 남부 태국 지역은 북쪽의 타이족 문화와 남쪽의 말레이인 문화가 만나는 곳이었으며, 종교적으로도 불교와 이슬람이 공존하는 경계 지역의 성격을 띠게 되었다.

6. 음운

(내용 없음 - 원본 소스가 제공되지 않아 해당 섹션 내용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

6. 1. 성조

남부 태국 방언을 사용하는 대부분의 화자는 단음절 어휘에서 5개의 음운론적 성조(톤)를 보인다. 하지만 성조 연쇄(톤 샌디, tone sandhi)의 영향으로 실제 발음에서는 훨씬 더 많은 수의 성조 변이음이 나타날 수 있다. 이러한 5개 성조 체계는 북위 약 10°N 이북과 남위 7°N 이남의 방언뿐만 아니라 태국 남부 전역의 도시 사회 방언(sociolects)에서도 나타난다.

그러나 북위 10°N과 남위 7°N 사이 지역에는 6개 또는 7개의 성조 체계를 가진 방언들이 존재한다. 예를 들어, 나콘시탐마랏 주 (북위 약 8°N 중심) 방언은 7개의 음운론적 성조를 가지고 있다.[3]

6. 2. 자음

colspan="2"|순음치음/치경음치경구개음/경구개음연구개음성문음
비음m
n
ณ, น
ɲ (일부 방언)
파열음/
파찰음
무성음p
t
ฏ, ต

k
ʔ (초성 없는 모음 앞이나, 종성 없는 단모음 뒤에 묵음으로 나타남)
유기음
ผ, พ, ภ

ฐ, ฑ, ฒ, ถ, ท, ธ
tɕʰ
ฉ, ช, ฌ

ข, ฃ, ค, ฅ, ฆ (ฃ와 ฅ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음)
유성음b
d
ฎ, ด
마찰음f
ฝ, ฟ
s
ซ, ศ, ษ, ส
h
ง, ห, ฮ
접근음 (유음)w
l
ล, ฬ
j
ญ, ย
설측음/탄음 (유음)r



남부 태국어에서는 단어의 각 음절이 분리되어 발음되므로, 인접한 음절의 자음이 결합하더라도 자음군으로 인식되지 않는다. 남부 태국어는 허용되는 음절 구조, 자음군 및 모음 순서를 정의하는 음운론적 제약을 가지고 있다. 태국어 고유 어휘에서는 다음 11가지 자음군만 나타난다.


  • /kr/ (กร), /kl/ (กล), /kw/ (กว)
  • /kʰr/ (ขร, คร), /kʰl/ (ขล, คล), /kʰw/ (ขว, คว)
  • /pr/ (ปร), /pl/ (ปล)
  • /pʰr/ (พร), /pʰl/ (ผล, พล)
  • /tr/ (ตร)


모든 파열음 (성문 파열음 /ʔ/ 제외)은 음절 끝에서 불파음으로 실현된다. 따라서, 어말의 /p/, /t/, /k/ 음은 각각 [p̚], [t̚], [k̚]으로 발음된다. 사용되지 않는 ฃ와 ฅ를 제외한 자음 문자 중 6개(ฉ ผ ฝ ห อ ฮ)는 어말(종성)에 사용될 수 없으며, 나머지 36개 문자가 종성 위치에 올 때의 발음은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

순음치음경구개음연구개음성문음
비음m
n
ญ, ณ, น, ร, ล, ฬ
ŋ
파열음p
บ, ป, พ, ฟ, ภ
t
จ, ช, ซ, ฌ, ฎ, ฏ, ฐ, ฑ, ฒ ,ด, ต, ถ, ท, ธ, ศ, ษ, ส
k
ก, ข, ค, ฆ
ʔ (짧은 모음 뒤에 종성이 없을 때 성문 파열음이 나타남)
접근음 (유음)w
j


6. 3. 모음

남부 태국어의 모음은 중부 태국어와 유사하며, 전설에서 후설로, 고모음(닫힌 소리)에서 저모음(열린 소리) 순서로 배열된다. 다음 표는 각 모음의 국제 음성 기호와 태국어 알파벳 표기를 보여준다. '-'는 모음 앞의 자음 위치를 나타내며, 두 번째 '-'는 뒤에 종성이 와야 함을 의미한다.

 전설 모음중설 모음후설 모음
단모음장모음단모음장모음단모음장모음
고모음i
 -ิ 

 -ี 
ɯ
 -ึ 
ɯː
 -ื- 
u
 -ุ 

 -ู 
중모음e
เ-ะ

เ-
ɤ
เ-อะ
ɤː
เ-อ
o
โ-ะ

โ-
저모음ɛ
แ-ะ
ɛː
แ-
a
-ะ, -ั-

-า
ɔ
เ-าะ
ɔː
-อ



각 모음은 장단 모음 쌍으로 존재한다. 이들은 남부 태국어에서 서로 다른 단어를 만드는 별개의 음소이지만, 로마자 표기 시에는 일반적으로 동일하게 표기된다. 예를 들어, เขา /khaw/는 "그/그녀"를 의미하지만, ขาว /khaːw/는 "흰색"을 의미한다.

장단 모음 쌍은 다음과 같다.

장모음단모음
태국어IPA예시태국어IPA예시
–า/aː/ฝาน/faːn/'썰다'–ะ/a/ฝัน/fan/'꿈꾸다'
–ี /iː/–ิ /i/
–ู /uː/–ุ /u/หนุน/nun/'잭프루트'
เ–/eː/เล/leː/'바다'เ–ะ/e/
แ–/ɛː/แขบ/kʰɛːp/'서두르다'แ–ะ/ɛ/แหยะ/jɛʔ/'남은 음식'
–ื- /ɯː/คืน/kʰɯːn/'돌아오다'–ึ /ɯ/
เ–อ/ɤː/เ–อะ/ɤ/เงิน/hɤn/'돈'
โ–/oː/โหนด/noːt/'시암 야자'โ–ะ/o/จก/tɕok/'거울, 유리'
–อ/ɔː/เ–าะ/ɔ/



기본 모음은 이중모음으로 결합될 수 있다. 성조를 결정할 때, 별표(*)로 표시된 이중모음은 때때로 장모음으로 분류된다.

장모음단모음
태국어IPA태국어IPA
–าย/aːj/ไ–*, ใ–*, ไ–ย, -ัย/aj/
–าว/aːw/เ–า*/aw/
เ–ีย/ia/เ–ียะ/iaʔ/
–ิว/iw/
–ัว/ua/–ัวะ/uaʔ/
–ูย/uːj/–ุย/uj/
เ–ว/eːw/เ–็ว/ew/
แ–ว/ɛːw/
เ–ือ/ɯa/เ–ือะ/ɯaʔ/
เ–ย/ɤːj/
–อย/ɔːj/
โ–ย/oːj/



또한, 세 개의 삼중모음이 있다. 성조를 결정할 때, 별표(*)로 표시된 삼중모음은 때때로 장모음으로 분류된다.

태국어IPA
เ–ียว*/iaw/
–วย*/uaj/
เ–ือย*/ɯaj/


7. 중부 태국어와의 차이점

태국의 주요 지역 언어 중 하나인 남부 태국어는 어휘와 문법 면에서 중부 태국어와 가장 가깝지만, 서로 대화가 통하기 어려울 정도로 상당한 차이가 존재한다. 남부 태국어 사용 환경은 이중 언어 사용 양상을 보이는데, 가장 공식적인 상황에서는 남부 태국어 억양과 악센트가 가미된 표준 중부 태국어가 사용되는 반면, 일상적인 구어체에서는 태국어 표현을 축약하고 말레이어에서 빌려온 단어를 섞어 쓰는 경향이 있다. 태국어는 수코타이 왕조 시대부터 시작되었을 가능성이 있는 시암의 말레이 반도 침입과 함께 도입되었다. 이 시대와 그 후의 왕조들 동안 남부 태국어가 사용되는 지역은 태국 정치 세력과 말레이 술탄국 사이의 국경 지대였다. 많은 말레이어 화자가 파타니 정치 세력 안이나 근처에 거주하면서 무역을 통해 태국어 화자들과 상호 작용했기 때문에 말레이어 어휘가 어휘에 흡수되었으며, 말레이어는 이전에 말레이 반도 남부의 공용어로 간주되었다.

남부 태국어는 주로 입말로 사용되지만, 비공식적인 자리에서는 태국 알파벳으로 표기하기도 한다.

어원적으로 태국어 계통인 단어들이 종종 축약되고 빠르게 발음되어 다른 지역 방언 사용자들이 알아듣기 어렵게 만드는 특징이 있다. 또한, 성조 분포도 다른 지역 방언과 다른데, 일부 지역에서는 최대 7개의 성조를 사용하기도 한다. 발음 면에서 또 다른 특징은 남부 태국어 화자들이 'ร'(/r/) 발음을 거의 항상 유지하는 반면, 북부 태국어, 라오어에 기반한 이산어, 그리고 비공식적인 중부 태국어에서는 이 발음이 대개 /l/로 소리 난다는 점이다.

아래는 남부 태국어와 중부 태국어의 주요 어휘 차이를 보여주는 표이다.

남부 태국어와 중부 태국어의 어휘 차이 예시
남부 태국어중부 태국어의미
หร่อยsou
([rɔj])
อร่อย
([ʔa.rɔ̀j])
맛있는
ม่ายsou
([maːj])
ไหม
([mǎj])
(의문사 어미)
แหลงsou
([lɛːŋ])
พูด
([pʰûːt])
말하다
จังหู้sou
([tɕaŋ huː])
มาก
([mâːk])
많이
ดีปรี
([diː.priː])
พริก
([pʰrík])
고추
หลุหละsou
([lu.laʔ])
สกปรก
([sòk ka.pròk])
더러운
หยีบsou
([jiːp])
ยี่สิบ
([jîː sìp])
스무 (20)
บายsou
([baːj])
สบาย
([sa.bāːj])
편안한
ยานัดsou
([jaː nat])
สับปะรด
([sàp pa.rót])
파인애플
นากาsou
([naː kaː])
นาฬิกา
([nāː lí.kāː])
시계
ขี้มันsou
([kʰiː man])
ขี้เหนียว
([kʰîː nǐaw])
인색한
พรือsou
([pʰrɯː])
อะไร
([ʔa.rāj])
무엇?
ยังsou
([jaŋ])
มี
([mīː])
있다
แคsou
([kʰɛː])
ใกล้
([klâj])
가까운
พี่บ่าวsou
([pʰiː baːw])
พี่ชาย
([pʰîː tɕʰāːj])
เกือกsou
([kɯak])
รองเท้า
([rɔːŋ tʰáːw])
신발
ตอเช้าsou
([tɔː tɕʰaːw])
พรุ่งนี้
([pʰrûŋ níː])
내일
พร้าวsou
([pʰraːw])
มะพร้าว
([ma.pʰráːw])
코코넛
หลาดsou
([laːt])
ตลาด
([ta.làːt])
시장
ตูsou
([tuː])
ประตู
([pra.tūː])
แลsou
([lɛː])
ดู
([duː])
보다
นายหัวsou
([naːj hua])
หัวหน้า
([hǔa.nâː])
상사, 우두머리


참조

[1] 서적 International Convention on the Elimination of All Forms of Racial Discrimination; landforms a growing larger by the second Reports submitted by States parties under article 9 of the Convention: Thailand http://www.rlpd.go.t[...] United Nations Committee on the Elimination of Racial Discrimination 2016-10-08
[2] 논문 Tonal Geography of the Southern Thai Dialects 28th Annual Meeting of the Southeast Asian Linguistics Society 2018
[3] 학술지 How Many Tones For Southern Thai? Pacific Linguistics, the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197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