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산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산어는 크라다이어족의 타이어파에 속하는 언어로, 태국 북동부 지역에서 사용되며 라오어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이산어는 라오어와 거의 동일하지만 표기법과 어휘에서 차이를 보이며, 태국어의 북동부 방언으로 분류된다. 이산어 화자들은 전통적으로 자신들의 언어를 '라오어'라고 불렀지만, '이산'이라는 용어도 사용한다. 이산어는 태국 북동부 20개 주에서 주로 사용되며, 태국 내 다른 지역과 해외에도 화자가 존재한다. 이산어는 라오어와 역사를 공유하며, 태국 정부의 동화 정책으로 인해 억압을 받기도 했다. 현재 이산어는 구어에서는 활발하게 사용되지만, 언어 이동이 진행 중이며, 태국어의 영향으로 어휘 대체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이산어는 태국어의 방언으로 여겨지는 부정적인 인식으로 인해 언어적 위협에 직면해 있으며, 보존 및 발전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타이어파 - 좡어
좡어는 중국 남부 광시 좡족 자치구에서 사용되는 언어로, 라틴 문자를 기반으로 한 표기법을 사용하며 태국어와 관련이 있고 6개의 성조를 가진 성조 언어이나, 중국어의 영향으로 사용 인구가 감소하고 있다. - 타이어파 - 라오어
라오어는 크라-다이어족 타이어족에 속하는 라오스의 공식 언어이며, 푸타이어, 타이 요어와 가장 가까운 관계를 갖고 태국어와 상호 이해가 가능하지만 차별성이 강조되고, 크메르어, 산스크리트어, 팔리어의 영향을 받아 철자 개혁을 거쳐 다양한 방언과 함께 비엔티안 방언을 기준으로 한 표준 라오어가 사용된다. - 방언 - 안달루시아 아랍어
안달루시아 아랍어는 8세기 이베리아 반도에서 형성되어 로망스어 등의 영향을 받았으며, 레콩키스타 이후 쇠퇴하여 18세기에 사멸했지만, 현재는 전통 음악에서 흔적을 찾아볼 수 있다. - 방언 - 카린 방언
카린 방언은 역사적으로 에르주룸, 카르스 등지에서 사용되었고 현대에는 아르메니아 시라크주 등지에서 사용되는 아르메니아 방언 중 하나로, 흐라치아 아자리안은 그 발음을 "부드럽고 유쾌하다"고 묘사했다. - 태국의 언어 - 크메르어
크메르어는 캄보디아의 공용어로서 약 1,300만 명의 모어 화자를 가지며, 다양한 방언과 남인도계 아부기다 계통의 크메르 문자를 사용하는, 어미가 없는 분석적인 언어이다. - 태국의 언어 - 크무어
크무어는 동남아시아 지역에서 사용되는 오스트로아시아어족 크무어어파의 언어로, 표준어 없이 서부와 동부 크무어로 나뉘는 여러 방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크메르어와 어휘적 유사성이 있지만 별개의 언어이다.
이산어 | |
---|---|
개요 | |
언어 이름 | 이산어 |
다른 이름 | 동북 태국어 타이 이산어 타이 라오어 |
자기 이름 | ภาษาอีสาน (파사 이산) |
사용 국가 | 이산 (태국) |
사용 지역 | 이산 (태국 동북부) 인접 지역 및 방콕 |
사용자 | 이산인 (타이 라오) 북부 크메르인 쿠이족 푸안족 이산 지역의 수많은 소수 민족의 제2 또는 제3 언어 |
추정 화자 수 (2005년) | 1300만 ~ 1600만 명 |
추정 화자 수 (L1 및 L2, 2013년) | 2200만 명 |
언어 분류 | |
어족 | 타이-카다이어족 |
어파 | 타이어파 |
어군 | 서남부 타이어군 |
분파 | 라오-푸타이어군 |
언어 | 라오어 |
문자 | |
과거 문자 (세속적) | 타이 노이 문자 |
과거 문자 (종교적) | 타이 탐 문자 |
현재 문자 (사실상) | 태국 문자 |
언어 코드 | |
ISO 639-3 | tts |
Glottolog | nort2741 |
Glottolog 명칭 | Northeastern Thai |
기타 | |
연구 기관 | 마히돌 대학교 아시아 언어 문화 연구소 |
![]() | |
![]() |
2. 분류
이산어는 크라다이어족의 타이어파에 속하며, 남서부 타이어어의 하위 그룹인 라오-푸타이어에 속한다. 라오어, 푸타이어, 타이요어 등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으며, 어느 정도 상호 이해가 가능하다. 태국어와도 관련이 있지만, 별도로 발전해 왔다. 좡어와는 더 멀리 관련되어 있다.[7][8][2][9]
이산어 화자들은 전통적으로 자신들의 언어를 '라오어'라고 지칭해 왔다. 이 표현은 '타이'와 함께 사용되기도 한다. '라오'라는 단어는 차별적인 비방으로 사용되기도 하여, 젊은 세대는 '이산'이라는 신조어를 사용하기도 한다.
이산어는 라오어와 공유된 역사를 가지고 있다.
이산어는 '사실상의 지방 정체성 언어'로 묘사된다.[2] 태국은 이산어를 포함한 지역 언어를 인정하지만, 표준 태국어가 사회, 문화적으로 우위에 있으며, 공식, 교육, 국가적 사용에서 정부의 지원을 받는다.[2] 그러나 과거 타이 노이 문자를 금지하고, '타이 이산'이라는 명칭을 강요했던 정책과는 달리, 가정이나 일상생활에서 이산어 사용을 금지하지는 않았고, 이산족들은 구어로서 이산어를 꾸준히 사용해왔다.[2]
이산어는 태국어의 방언이라는 부정적인 인식이 있다.[24] 이러한 인식은 이산어가 태국어와 구별되는 고유한 언어가 아니라, '열등한 형태의 태국어'로 여겨지게 만들었다.[24] 공식적인 자리에서 이산어를 사용하지 않는 것은 태국어의 우월성을 강조하며, 많은 이산 사람들이 자신의 모국어를 낮게 평가하게 만들었다.[24]
이산어는 라오어와 자음 체계를 공유한다. 파열음과 파찰음 자음은 유성음, 무기음, 유기음의 세 가지 성대 진동 개시 시간으로 세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산어는 유성음 , 무기음 , 유기음 의 파열음 세트를 가지고 있다. 이산어와 라오어에는 태국어의 소리와 그 변이음 가 없으며, 이러한 소리를 로 대체한다. 은 드물게 나타나며, 을 가진 태국어 단어와 이산어 및 라오어의 동족어는 또는 을 대신 사용하지만, 교육받은 이산어나 라오스 화자는 이 있는 일부 단어를 발음할 수 있다. 중부 및 남부 태국어에서 을 가진 단어는 격식 없는 환경에서 로 발음될 수 있지만(람다시즘) 공식적이거나 교양 있는 발언에서는 좋지 않게 여겨진다.[7]
이산어는 분석어이며, 단어 순서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 명사는 복수, 성, 격으로 표시되지 않으며, 분류사가 사용된다. 대명사는 격식에 따라 다양한 형태를 가진다. 숫자는 라오어와 유사하지만, 몇 가지 차이점이 있다. 형용사와 부사는 구분되지 않으며, 중복을 통해 의미를 강조한다. 동사는 시제에 따라 활용되지 않고, 조사를 사용하여 시제를 나타낸다. 질문은 의문 부호를 사용한다.
태국 내에서 이산어는 공식적으로 태국어의 '북동부' 방언으로 분류된다. 그러나 태국 외에서는 일반적으로 라오어의 특정 하위 그룹으로 분류되거나, 고유한 역사와 태국어의 영향으로 인해 별도의 언어로 분류되기도 한다.
3. 명칭
'라오'는 '(존경받는) 사람'을 의미하는 고대 오스트로아시아어에서 유래되었으며, '타이'는 '(자유로운) 사람'을 의미하는 고대 오스트로아시아어에서 유래되었다.
태국어에서는 '북동 태국어' 또는 '이산 지역의 태국어'로 공식적으로 알려져 있다. 격식을 갖추지 않은 상황에서는 '이산 태국어' 또는 '이산어'라고 부른다. '이산'이라는 용어는 산스크리트어 ईशान|이샤나sa에서 파생되었으며, '북동' 또는 '북동 방향'을 의미하며, 시바 신의 한 측면을 가리키는 이름이기도 하다.
태국에서 '라오'는 원래 시암인이 아닌 모든 타이족을 지칭하는 데 사용되었지만, 점차 이산의 라오족과 현대 라오스를 지칭하는 것으로 여겨지게 되었다. 태국인들이 사용할 때, 이 단어는 종종 모욕적으로 받아들여진다.
라오스에서는 '태국의 라오어' 또는 '이산 라오어'라고 부르기도 한다.
4. 지리적 분포
이산어는 주로 태국 북동부의 20개 주에서 사용되며, 이 지역은 "팍 이산"(ภาคอีสาน|팍 이산tts) 또는 '이산 지역', '이산'이라고도 불린다. 이 지역은 코랏 고원의 평평한 지형으로 덮여 있다. 라오어는 메콩강 좌안에서 우안으로의 광범위한 인구 감소와 현재 태국의 나머지 지역과의 지리적 격리를 포함하는 역사적 정착 패턴으로 인해 이 지역에서 번성할 수 있었다. 서쪽의 펫사분 산맥과 동 파야 옌 산맥, 남서쪽의 상캄팽 산맥은 이 지역을 태국의 나머지 지역과 분리하며, 담렉 능선은 캄보디아와의 경계를 형성한다. 푸판 산맥은 고원을 북부 1/3 지역(러이강과 송크람강이 흐름)과 남부 1/3 지역(문강과 그 주요 지류인 시강이 흐름)으로 나눈다. 메콩강은 태국과 라오스 간의 지정학적 경계이므로, 몇 가지 예외를 제외하고 이산어 화자를 라오스에 있는 라오어 화자와 분리한다.
이산어 화자는 우따라딧 및 피싸눌록 주의 일부 지역과 이산 지역 북서쪽의 펫차분 주의 최북단 지역까지 퍼져 있으며, 이 지역의 화자들은 일반적으로 루앙프라방과 유사한 방언을 사용한다. 남서쪽에서는 사깨오 주와 프라친부리 주의 일부 지역에서도 이산어 화자가 발견된다. 또한 많은 수의 이산족이 고용을 위해 태국의 다른 주요 도시를 떠났으며, 방콕과 그 주변 지역, 그리고 이 지역의 주요 도시에서 많은 수의 화자가 발견된다. 태국 외에도 미국, 대한민국, 호주, 대만, 독일에서도 이산어 화자를 찾을 수 있는데, 이들 국가는 해외 태국인의 가장 큰 인구를 수용하고 있다.
5. 역사
1893년 프랑스-샴 위기 이후, 와치라웃 왕이 통치하던 시암은 메콩강 우안 지역을 흡수했다. 시암은 서구식 국가 개념을 도입하고 행정 개혁을 통해 이 지역을 통합하려 했다. '몬톤'이라는 행정 구역을 만들고, 지역 라오스 군주들의 권한을 방콕에서 파견된 왕실 임명 총독으로 옮기면서, 지역 행정에서 타이 노이 문자로 된 라오스어 사용이 공식적으로 폐지되었다. 담롱 라차누팝 왕자는 이 시스템을 추천하여 와치라웃 왕을 도왔다. 이러한 지역 자치 종식과 외국 군대 주둔은 라오스인들이 성인 반란 (1901—1902)을 일으키는 계기가 되었지만, 시암 군대에 의해 진압되었고, 이후 이 지역에서 개혁이 완전히 시행되었다.[14][15][16]
시암은 '라오 ''몬톤''" 사람들을 동화시키기 위해 추가 개혁을 시행했다. '라오'에 대한 언급과 많은 도시와 마을의 이름이 변경되었다. 예를 들어, 1912년 몬톤 라오 가오와 몬톤 라오 푸안은 각각 '몬톤 우본'과 '몬톤 우돈'으로 개명되었다. 1907년 이후 인구 조사에서 라오스인으로 자칭하는 것이 금지되었고, 스스로를 태국인으로 선언해야 했다. '이산'이라는 용어는 원래 '라오 ''몬톤'''의 남부 지역 이름이었으나, 전체 지역, 주요 민족 집단 및 언어로 확장되었다. 그러나 라오스어의 태국어 사용으로의 이름 변경과 대체, 태국어를 시행하기 위한 개혁은 이 지역의 많은 라오스 인구와 고립으로 인해 빠른 시행이 불가능하여 거의 효과가 없었다. 승려들은 여전히 타이 노이 문자를 가르쳤고, ''몰람''과 그림자극 공연단의 순회 공연자들은 시와 옛이야기를 노래로 불렀으며, 산, 도로 부족, 건기 동안 물 부족 지역, 우기 홍수는 이산 사람들과 그들의 언어를 태국어의 직접적인 영향으로부터 보호했다.[14][16]
이산어의 억압은 '태국 문화 칙령'과 타이화 정책과 함께 이루어졌다. 플랙 피분송크람은 초국가주의 정책을 펼치며 공식적인 이중 언어 사용을 시행했다. 이산어는 공공 및 공식 담론에서 제거되었고, 문자는 금지되었으며, 가정에서 사용되는 비문자 언어로 격하되었다. 공립학교는 태국 군주제에 대한 경외심, 국가에 대한 충성심, 태국어 숙달에 중점을 두었고, 이산어는 열등한 방언으로 취급되었다. 학생들은 교실에서 이산어를 사용하는 것에 대해 처벌을 받으며 언어에 대한 자긍심이 사라졌고, 이는 미래의 언어 전환의 씨앗이 되었다.[16][14][17]
오래된 문자 언어와 문학 작품은 금지되었고, 사찰 도서관은 파괴되었으며, 오래된 라오 종교 텍스트, 지역 역사, 문학 및 시집은 태국 문자와 태국 중심의 필사본으로 대체되었다. 공립학교는 새로운 교육 과정을 준수하지 않는 한, 교육자로서의 오래된 승려의 역할을 해고했다. 이로 인해 이산인들은 문자 언어, 공유된 문학적 역사, 그리고 라오스 왼쪽 강변과 글을 통해 소통하는 능력을 상실했다. 태국어는 철도 연장, 전신, 라디오, 그리고 지역 언어를 배우지 않은 태국 공무원, 교사 및 정부 관계자들의 등장으로 사람들의 삶에 더 큰 비중을 차지하게 되었다.[18]
새로운 기술과 태국 국가에 속한다는 정치적 현실을 나타내는 단어들은 태국어에서 유래되었다. 예를 들어, 이산어에서 비행기를 나타내는 단어는 ''huea bin''(ເຮືອບິນ|흐아 빈tts) '나는 배'였지만, 태국어의 영향을 받은 ''khrueang bin''(เครื่องบิน|킁 빈tts) '나는 기계'로 대체되었다. 당구 게임은 (บิลเลียด|빈리앗tts) 태국어를 거쳐 영어에서 유래되었다. 이러한 느린 변화에도 불구하고, 언어의 특징은 라오어의 특징을 유지했는데, 이는 대부분의 인구가 여전히 농업에 종사했기 때문에 태국어가 필요하지 않았고, 따라서 많은 이산인들은 태국어를 문자 언어로 사용하고 잘 이해했음에도 불구하고 태국어를 완전히 숙달하지 못했다.[16][17]
1960년대부터 태국어 사용으로의 언어 전환과 태국어의 영향력 증가는 도로 건설, 텔레비전 보급, 도시화, 이산 사람들의 방콕으로의 계절 이동 등으로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방콕에서 일하는 동안 태국어 실력을 향상시킨 이산 사람들은 고향 마을로 돌아와 방콕 속어를 도입하고 점점 더 많은 태국어 단어를 사용했다.
1990년대 무렵, 지역 언어에 대한 태도는 완화되었다. 이산 대학교의 학자들은 이 지역 언어, 역사, 문화 및 기타 민속을 탐구하기 시작했다. 학생들은 지역 라오스어로 불리는 지역 음악이나 해당 지역 고유의 지역 춤을 장려하는 클럽에 참여할 수 있다. 그러나 태국화 정책과 태국어로의 언어 전환은 여전히 계속되고 있다.[3][19]
6. 언어 현황
이산어는 라오스에서 라오어가 국가 통합 언어로 적극 홍보되는 상황과 대조적이다. 라오스 라오족은 태국어의 영향을 받으면서도 '좋은 라오어'를 유지하려 노력하며, 현대 라오 문자인 타이 노이 문자의 수정된 형태를 계속 사용한다.[20]
EGIDS 척도에 따르면 이산어는 VI-A 단계, 즉 '활발함' 단계에 해당한다.[21] 이는 모든 세대가 대면 의사소통에 이산어를 사용하고, 지속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한다.[21] 여러 연구에서 이산어가 태국 북동부 지역에서 널리 사용됨을 보여주지만, 언어 이동이 진행 중이며, 이산어는 위협받고 있다.[3] 표준 태국어가 이산어 고유 어휘를 대체하고, 더 많은 아이들이 표준 태국어만 사용하도록 길러지기 때문이다.[3] 낮은 위상과 더불어, 정부, 교육, 전문 분야에서 성공하거나 태국 북동부 외 지역에서 취업하려면 표준 태국어 사용이 필수적이다.[3]
이산어는 부정적 인식과 이중 언어 현상으로 어려움을 겪는다. 화자들은 편안하고 비공식적인 환경에서만 이산어를 사용해야 한다고 느낀다. 부모들은 이산어가 자녀들의 표준 태국어 습득에 방해가 된다고 생각하기도 한다. 또한, 태국어 표기를 사용하여 이산어 발음을 표기하면 방언적 종속성에 대한 오해를 낳는다. 결과적으로, 세대 간 언어 사용 차이가 발생하고, 코드 전환이 증가하거나 태국어만 사용하는 경우가 늘어난다. 많은 언어학자들은 표기가 복원되지 않으면 태국어 어휘 대체 현상을 막을 수 없다고 보지만, 대중이나 정부의 지지는 미미하다.[22][3]
현재 이산어의 문어는 EGIDS 척도에서 IX 단계, 즉 '유산 정체성을 상징하지만, 상징적 숙련도를 넘어서는 사람은 없는' 단계에 있다.[21] 이는 세속 문학에 사용되었던 타이 노이 문자와 불교 경전에 사용되었던 투아 탐 문자 모두에 해당된다. 1930년대에 시행된 타이어화 정책 과정에서 파괴되지 않은 도서관을 가진 수도원의 극히 고령의 소수만이 두 문자를 읽을 수 있다. 문어 사용의 증거는 찾기 어렵지만, 오래된 사원의 벽화에서 옛 문자로 된 글자를 발견할 수 있다.[23]
라오스에서 이 맞춤법은 타이 노이의 후손이며, 좌안 라오어의 공식 문어 역할을 계속하고, 소수 언어를 기록하는 데에도 사용된다. 라오 문어는 방언 간 차이를 어느 정도 통일시키는 역할을 한다.[20][23]
7. 언어 위협
이산어 사용자들은 태국어와 이산어를 섞어 쓰는 경우가 많다.[27] 예를 들어, 만화 ''누힌 인 더 시티'' (หนูหิ่น อินเดอะซิตี้|누힌 인 더 시티|리틀 힌 인 더 시티th) 88권 분석에 따르면, 태국어는 정확한 인용(62.91%), 추가 설명(21.19%), 설명을 위한 반복(8.61%) 등에 사용되었다.[27] 이산어 사용자들이 서로 다른 방언을 사용하거나, 현대 라오어에서 사용되는 토착 용어를 모를 때 태국어가 소통에 유용하게 사용되기도 한다.[26]
태국어의 영향으로 이산어 어휘가 대체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30] 1960년대 이후 도로 건설, 텔레비전 보급, 도시화 등으로 인해 태국어 사용이 증가하면서 이러한 현상이 두드러졌다.[22] 2016년 연구에 따르면, 젊은 세대일수록 태국어 어휘 사용 빈도가 높고, 이산어 어휘를 태국어 어휘로 대체하는 경향이 강하다.[30]
8. 음운
중부 및 남부 태국어와 달리 이산어와 라오어는 – 구분을 가지고 있으며, 를 가진 이산어와 라오어의 동족어는 모두 중부 및 남부 태국어에서 이다. 태국어에서 사용되지 않는 를 로 대체하는 것은 라오스와 이산어의 넓은 지역에서 흔하지만, 두 지역 모두에서 보편적이지 않으며, 특히 비엔티안과 중부 라오 방언의 영향을 받는 지역과 관련이 있다. 성문 파열음은 단어가 모음으로 시작될 때마다 발생하며, 이는 항상 널 자음을 중심으로 구성된다.[7]colspan="2" | 순음 치음/치경음 (치경-) 구개음 연구개음 성문음 비음 파열음/
파찰음무성음 무성음 유기음 유성음 마찰음 접근음 권설음/유동음
자음군은 쓰기 체계가 도입된 직후 사라지기 때문에 라오어 구어에서는 드물다. 고유어에서는 /kw/와 /kʰw/만 허용되지만, 이는 모음 /aC/, /am/, /aː/ 및 /aːj/ 앞에서 발생하는 이중 모음화 때문에 특정 모음 앞에서만 발생할 수 있다. 태국어 교육을 받고 어원 어휘를 태국어 철자로 표기하여 이산어를 표기하는 이산어 화자는 일반적으로 자음군을 발음하지 않지만, 태국어로의 코드 전환이나 산스크리트어, 팔리어 또는 크메르어에서 파생된 고상한 단어를 발음할 때는 자음군을 발음할 수 있다. 라오스 출신의 라오어 화자도 이러한 차용 외래어에서 자음군을 발음하는 경우가 있지만, 이는 라오스 디아스포라의 고령 화자에 국한된다.[7]이산어 태국어 라오어 이산어 태국어 라오어 이산어 태국어 라오어 ก /k/ ก /k/ ກ /k/ ค /kʰ/ ค /kʰ/ ຄ /kʰ/ ป /p/ ป /p/ ປ /p/ กร กร /kr/ คร คร /kʰr/ ปร ปร /pr/ กล กล /kl/ คล คล /kʰl/ ปล ปล /pl/ กว /kw/ กว /kw/ ກວ /kw/ คว /kʰw/ คว /kʰw/ ຄວ /kʰw/ ผ /pʰ/ ผ /pʰ/ ຜ /pʰ/ ข /kʰ/ ข /kʰ/ ຂ /kʰ/ ต /t/ ต /t/ ຕ /t/ ผล ผล /pʰl/ ขร ขร /kʰr/ ตร ตร /tr/ พ /pʰ/ พ /pʰ/ ພ /pʰ/ ขล ขล /kʰl/ rowspan="2" colspan="6" | พร พร /pʰr/ ขว /kʰw/ ขว /kʰw/ ຂວ /kʰw/ พล พล /pʰl/
이산어는 라오어 및 태국어와 마찬가지로 음절 또는 단어의 끝에서 허용되는 자음 소리의 제한된 집합을 공유한다. 현재의 태국어 어원 표기법에 따른 이산어는 발음이 동화되었더라도 차용된 외래어의 이전 소리를 암시하기 위해 철자를 보존한다. 라오스의 철자 개혁으로 인해 단어를 끝낼 수 있는 문자가 특별한 문자 집합으로 제한되었지만, 이전 작가들과 라오스 디아스포라에 있는 사람들은 때때로 더 어원적인 철자를 사용한다.[7]
발음에서 모든 파열음(성문 파열음 제외)은 무성음이다. 결과적으로 최종 자음의 유성음화나 공기의 방출이 없다. 따라서 최종 /p/, /t/, /k/는 각각 , , 로 발음된다.[7]style="font-weight:normal;" | 순음 치경음 연구개 파열음 연구개음 성문음 비음 /m/ /n/ rowspan="6" | /ŋ/ rowspan="3" style="text-align:left;" | ม ญ, ณ, น, ร, ล, ฬ ง ມ น, ร, ล ງ 파열음 /p/ /t/ /k/ /ʔ/ บ, ป, พ, ฟ, ภ จ, ช, ซ, ฌ, ฎ, ฏ, ฐ, ฑ, ฒ, ด, ต, ถ, ท, ธ, ศ, ษ, ส ก, ข, ค, ฆ * บ, ป, พ, ฟ จ, ส, ช, ต, ถ, ท, ด ก, ข, ค 접근음 /w/ rowspan="3" colspan="2" | /j/ rowspan="3" colspan="3" | ว ย ວ ຍ
이산어의 모음 구조는 라오스의 중부 및 남부 라오 방언과 유사하다. 모음의 음질 또한 태국어와 유사하지만, 두 개의 후설 모음인 원순 후설 고모음 /ɯ/와 원순 후설 중고모음 /ɤ/가 일부 화자에게서 각각 비원순 중설 고모음 /ɨ/와 중설 중모음 /ə/로 중앙화된다는 점, 그리고 이러한 소리를 포함할 수 있는 이중 모음에서 차이가 있다. 태국어 화자들에게 이산어와 라오스어 모음은 비음성을 띠는 경향이 있다.[7]
많은 경우, 특히 /u/를 첫 번째 요소로 하는 이중 모음은 표준 라오스어와 마찬가지로 이산어에서도 길게 발음되는데, 예를 들어 '몸'을 의미하는 단어 ''tua'' ()는 태국어에서는 로 발음되지만, 이산어에서는 일부 방언에서 로 발음되며, 이는 와 유사하다. 기호 '◌'는 자음이 존재해야 함을 나타내거나, 모음으로 시작하는 단어의 경우 'null consonant' 'อ' 또는 그에 상응하는 라오스어 'ອ'를 나타내며, 모음으로 시작하는 단어에서는 성문 파열음 /ʔ/를 나타낸다. '◌ะ' 또는 라오스어 '◌ະ'로 끝나는 단모음도 성문 파열음으로 끝난다.[7]
태국어와 라오스어는 모두 아부기다이므로, 특정 모음은 쓰여지지 않고 발음되며, 열린 음절에서는 /a/의 형태를, 닫힌 음절, 즉 자음으로 끝나는 음절에서는 /o/의 형태를 띤다. 예를 들어, 이산의 많은 지명에서 발견되는 크메르어 차용어 ''phanom'' 또는 '언덕'은 또는 'PH-N-M'으로 표기되지만 으로 발음되며, 여기서 'PH'는 열린 음절이고 'N-M'은 닫힌 음절이다. 타이 노이에서 유래된 라오스어 표기법에서는 닫힌 음절은 자음 위에 'ົ'으로 표시되었고, 열린 음절의 /a/는 쓰이지 않았으므로 또는 'Ph-N-o-M'이 된다. 철자법 개혁의 결과로 현재는 모든 모음을 표기하며, 현대 또는 'Ph-a-N-o-M'이 더 일반적이므로 현대 라오스어는 더 이상 진정한 음절 문자가 아니다.[7]
모음은 일반적으로 음소 길이에 의해 결정되는 장단 쌍으로 존재하며, 이는 음소적이지만, 모음 길이는 태국에서 사용되는 RTGS 로마자 표기법이나 라오스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BGN/PCGN 프랑스어 기반 표기법에서는 표시되지 않는다. 이산어 단어 "khao"로 로마자 표기되는 것은 ('그' 또는 '그녀')와 ('하얀')을 모두 나타낼 수 있으며, 이는 각각 및 에 해당하며, 이 또한 "khao"로 로마자 표기된다. 이러한 경우, 단어 쌍은 동일한 성조와 발음을 가지며, 오직 모음 길이에 의해서만 구별된다.[7]장모음 단모음 태국어 IPA 라오스어 IPA 태국어 IPA 라오스어 IPA colspan="4";| ◌ำ /am/ ◌ຳ /am/ ◌า /aː/ ◌າ /aː/ ◌ะ, ◌ั /aʔ/, /a/ ◌ະ, ◌ັ /aʔ/, /a/ ◌ี /iː/ ◌ີ /iː/ ◌ิ /i/ ◌ິ /i/ ◌ู /uː/ ◌ູ /uː/ ◌ุ /u/ ◌ຸ /u/ เ◌ /eː/ ເ◌ /eː/ เ◌ะ, เ◌็ /eʔ/, /e/ ເ◌ະ, ເ◌ົ /eʔ/, /e/ แ◌ /ɛː/ ແ◌ /ɛː/ แ◌ะ, แ◌็ /ɛʔ/, /ɛ/ ແ◌ະ, ແ◌ົ /ɛʔ/, /ɛ/ ◌ื, ◌ือ /ɯː/ ◌ື /ɯː/ ◌ื /ɯ/ ◌ຶ /ɯ/ เ◌อ, เ◌ิ /ɤː/ ເີ◌ /ɤː/ เ◌อะ /ɤʔ/ ເິ◌ /ɤʔ/ โ◌ /oː/ ໂ◌ /oː/ โ◌ะ /oʔ/, /o/ ໂ◌ະ, ◌ົ /oʔ/, /o/ ◌อ /ɔː/ ◌ອ◌, ◌ໍ /ɔː/ เ◌าะ /ɔʔ/ ເ◌າະ /ɔʔ/
(태국 문자/라오스 발음)장모음 단모음 태국어 IPA 라오어 IPA colspan="4"| ◌วำ /wam/ ◌ວຳ /uam/ ◌าย /aːj/ ◌າຍ/◌າຽ /aːj/ ไ◌, ใ◌, ไ◌ย, ◌ัย /aj/ ໄ◌, ໃ◌, ໄ◌ຍ/ໄ◌ຽ, ◌ັຍ/◌ັຽ /aj/ ◌าว /aːw/ ◌າວ /aːw/ เ◌า /aw/ ເ◌ົາ /aw/ colspan="4";| ◌ิว /iw/ ◌ິວ /iw/ เ◌ีย /ia/ ເ◌ຍ/ເ◌ັຽ, ◌ຽ◌ /ia/ เ◌ียะ /iaʔ/ ເ◌ັຍ/ເ◌ັຽະ /iaʔ/ ◌อย /ɔːj/ ◌ອຍ/◌ອຽ /◌ຽ /ɔːj/ rowspan="2" colspan="4";| โ◌ย /oːj/ ໂ◌ຍ/ໂ◌ຽ /oːj/ เ◌ือ, เ◌ือ◌ /ɯa/ ເ◌ືອ, ເ◌ືອ◌ /ɯa/ เ◌ือะ /ɯaʔ/ ເ◌ຶອ /ɯaʔ/ ◌ัว, ◌ว◌ /ua/ ◌ັວ, ◌ວ◌, ◌ວາ /ua/ ◌ัวะ /uaʔ/ ◌ົວະ /uaʔ/ ◌ูย /uːj/ ◌ູຍ/◌ູຽ /uːj/ ◌ຸย /uj/ ◌ຸຍ/◌ຸຽ /uj/ เ◌ว /eːw/ ເ◌ວ /eːw/ เ◌็ว /ew/ ເ◌ັວ /ew/ แ◌ว /ɛːw/ ແ◌ວ /ɛːw/ rowspan="2" colspan="4";| เ◌ย /ɤːj/ ເ◌ີຍ/ເ◌ີຽ /ɤːj/
(태국 문자/라오스 발음)태국어 IPA 라오어 IPA เ◌ียว ◌ຽວ ◌วย ◌ວຍ/◌ວຽ เ◌ือย ເ◌ືວຍ/ເ◌ືວຽ 음조 등급 고유 음조 마이 엑 마이 토 장모음 단모음 높은 음조 낮은 상승조 중간 음조 낮은 하강조 낮은 하강조 높은 상승조 중간 음조 중간 음조 높은 상승조 높은 하강조 낮은 하강조 낮은 상승조 낮은 음조 높은 중간 하강조 중간 음조 높은 하강조 높은 하강조 낮은 하강조
9. 문법
명사이산어의 명사는 복수, 성, 격에 따라 형태가 변하지 않으며, 부정관사나 정관사가 필요 없다. 다만, 산스크리트어나 팔리어에서 유래한 일부 단어는 남성형과 여성형을 구분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신' 또는 '천사' (남성형)는 ''thewa'' (เทวา|테와tts ), '여신' 또는 '천사' (여성형)는 ''thewi'' (เทวี|테위tts )로 구분된다.
일반적으로 성 구분이 없는 고유 타이 단어에서는 동물에 ''phu'' (ผู้|푸tts ) 또는 ''mae'' (แม่|매tts )와 같은 접미사를 붙여 성별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일반적인 고양이는 ''maeo'' (แมว|매오tts )이지만, 수고양이는 ''maeo phu'' (แมวผู้|매오 푸tts), 암고양이는 ''maeo mae'' (แมวแม่|매오 매tts)이다.분류사 발음(IPA) 범주 คน (ฅน) 사람 (승려, 왕족 제외) คัน 차량, 숟가락, 포크 (태국어) คู่ 사람, 동물, 양말, 귀걸이 등의 쌍 ฉบับ 종이, 문서, 신문 등 텍스트가 있는 것 ตัว 동물, 셔츠, 편지, 테이블, 의자 (라오어에서는 테이블, 의자에 사용 안 함) กก 나무 (ต้น 은 기둥, 줄기, 꽃에 모두 사용) หน่วย 달걀, 과일, 구름 (ผล 은 태국어에서 과일에 사용)
대명사이산어는 라오어와 유사한 대명사 체계를 가지고 있지만, 격식을 갖춘 상황에서는 표준 태국어 대명사를 사용하기도 한다. 모든 타이어족 언어는 문맥상 불필요한 경우 대명사를 생략하는 프로드롭 언어이지만, 이산어는 태국어에 비해 1인칭 및 2인칭 대명사를 자주 사용하고 발화 시에도 거의 생략하지 않아 더 격식적이고 거리감이 느껴질 수 있다.단수 발음(IPA) 복수 발음(IPA) 1인칭 격식 ข้าน้อย|카너이tts หมู่ข้าน้อย|무 카너이tts 일반 ข้อย|커이tts rowspan="2" | เฮา|하오tts หมู่เฮา|무 하오tts 비격식 ข้า|카tts 비속 กู|꾸tts 2인칭 격식 ท่าน|탄tts หมู่ท่าน|무 탄tts 일반 เจ้า|짜오tts หมู่เจ้า|무 짜오tts 비격식 เอ็ง|엥tts 비속 มึง|믕tts 3인칭 격식 เพิ่น|픈tts ขะเจ้า|카짜오tts 일반 เขา|카오tts หมู่เขา|무 카오tts ลาว|라오tts หมู่ลาว|무 라오tts 비격식 มัน|만tts
숫자숫자 표기 발음(IPA) 영어 0 ศูนย์ (쑨) zero 1 หนึ่ง (능) one 2 สอง (썽) two 3 สาม (쌈) three 4 สี่ (씨) four 5 ห้า (하) five 6 หก (혹) six 7 เจ็ด (쩻) seven 8 แปด (뺏) eight 9 เก้า (까오) nine 10 สิบ (씹) ten 11 สิบเอ็ด (씹엣) eleven 12 สิบสอง (씹썽) twelve 13 สิบสาม (씹쌈) thirteen 14 สิบสี่ (씹씨) fourteen 15 สิบห้า (씹하) fifteen 16 สิบหก (씹혹) sixteen 17 สิบเจ็ด (씹쩻) seventeen 18 สิบแปด (씹뺏) eighteen 19 สิบเก้า (씹까오) nineteen 20 ซาว(หนึ่ง) (싸오(능)) twenty 21 ซาวเอ็ด (싸오엣) twenty-one 22 ซาวสอง (싸오썽) twenty-two 23 ซาวสาม (싸오쌈) twenty-three 30 สามสิบ (쌈씹) thirty 31 สามสิบเอ็ด (쌈씹엣) thirty-one 32 สามสิบสอง (쌈씹썽) thirty-two 40 สี่สิบ (씨씹) forty 50 ห้าสิบ (하씹) fifty 60 หกสิบ (혹씹) sixty 70 เจ็ดสิบ (쩻씹) seventy 80 แปดสิบ (뺏씹) eighty 90 เก้าสิบ (까오씹) ninety 100 (หนึ่ง)ฮ้อย ((능)허이) one hundred 101 (หนึ่ง)ฮ้อยเอ็ด ((능)허이엣) one hundred one 1,000 (หนึ่ง)พัน ((능)판) one thousand 10,000 (หนึ่ง)หมื่น ((능)믄) ten thousand 100,000 (หนึ่ง)แสน ((능)쌘) one hundred thousand 1,000,000 (หนึ่ง)ล้าน ((능)란) one million 1,000,000,000 (หนึ่ง)พันล้าน ((능)판란) one billion 1,000,000,000,000 (หนึ่ง)ล้านล้าน ((능)란란) one trillion 1,000,000,000,000,000 (หนึ่ง)พันล้านล้าน ((능)판란란) one quadrillion
형용사 및 부사이산어에서는 형용사와 부사가 형태상 구분되지 않으며, 한 단어가 두 가지 기능을 모두 수행할 수 있다. 형용사는 수식하는 명사 뒤에 오며, 부사는 동사 앞이나 뒤에 올 수 있다. 의미를 강조하기 위해 단어를 중복하여 사용할 수 있다.
비교급은 "A X กว่า B" (A는 B보다 X하다) 형태로 표현하고, 최상급은 "A X ที่สุด" (A는 가장 X하다) 형태로 표현한다.
동사이산어의 동사는 인칭, 수, 시제에 따라 형태가 변하지 않는다. 시제를 나타내기 위해 조사를 사용하거나 시간 표현을 함께 사용한다.
질문이산어는 의문사를 사용하여 질문을 만들며, 문장 끝에 บ่ (버)를 붙여 예/아니오 질문을 만들 수 있다.
10. 어휘
이산어는 태국어, 라오어와 많은 동족 어휘를 공유한다. 산스크리트어, 팔리어, 몬어, 크메르어 등에서 차용된 어휘도 많다. 태국어와 라오어와 구별되는 어휘도 존재한다.
이산어는 라오어의 억양과 어휘로 인해 태국어와 명확히 구별된다. 그러나 이산어는 태국어를 통해 더 많은 영어와 중국어 차용어를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라오어와 다르며, 태국어의 영향도 크다. 라오어는 프랑스령 인도차이나의 유산으로 프랑스어와 베트남어 차용어를 채택했다. 1893년 이후의 사회적, 정치적 분리를 반영하는 용어와 그 이후에 만들어진 신조어의 차이점도 존재한다.
공통 어휘 | 라차삽 | ||||||||
---|---|---|---|---|---|---|---|---|---|
이산어 | 태국어 | 라오어 | 크메르어 | 영어 | 이산어 | 태국어 | 라오어 | 크메르어 | 영어 |
กระแทะ|끄라태tts | กระแทะ|끄라태th | ກະແທະ|까태lo | រទេះ|로테km | '소달구' | บรรทม|반톰tts | บรรทม|반톰th | ບັນທົມ|반톰lo | បន្ទំ|반똠km | '자다' |
เดิน|든tts | เดิน|든th | ເດີນ|든lo | ដើរ|다으km | '걷다' | ตรัส|땃tts | ตรัส|뜨랏th | ຕັດ|땃lo | ត្រាស់|뜨라km | '말하다' |
พนม|파놈tts | พนม|파놈th | ພະນົມ/ພນົມ|파놈lo | ភ្នំ|프놈km | '산' | ขนอง|카넝tts | ขนอง|카넝th | ຂະໜອງ/ຂນອງ|카넝lo | ខ្នង|크넝km | 등, '등 능선' |
ถนน|타논tts | ถนน|타논th | ຖະໜົນ/ຖໜົນ|타논lo | ថ្នល់|트날km | '도로' | ศอ|써tts | ศอ|써th | ສໍ|써lo | សូ[រង]|쑤랑km | '목' |
소수의 어휘 항목은 이산어 고유의 것이며 표준 라오어에서는 일반적으로 발견되지 않지만, 다른 라오어 방언에는 존재할 수 있다.
영어 | 이산어 | 라오어 | 태국어 | 이산어 변형 |
---|---|---|---|---|
"일하다" | เฮ็ดงาน|헷 응안tts | ເຮັດວຽກ|헷 위약lo | ทำงาน|탐 응안th | - |
"파파야" | บักหุ่ง|박 훙tts | ໝາກຫຸ່ງ|막 훙lo | มะละกอ|말라꺼th | - |
"구운 쇠고기" | ทอดซี้น|텃 씬tts | ຂົ້ວຊີ້ນ|쿠아 씬lo | เนื้อทอด|느아 텃th | - |
"백" | ร้อย|러이tts | ຮ້ອຍ|허이lo | ร้อย|러이th | - |
"돼지 바비큐" | หมูปิ้ง|무 삥tts | ປີ້ງໝູ|삥 무lo | หมูย่าง|무 양th | - |
'아이스크림' | ไอติม|아이띰tts | ກາແລ້ມ|까램lo | ไอศกรีม|아이사끄림th | ไอศกรีม|아이사낌tts |
'괜찮다' | ซำบาย|쌈바이tts | ສະບາຍ|싸바이lo | สบาย|싸바이th | สบาย|싸바이tts |
'과일' | บัก|박tts | ໝາກ|막lo | ผล|폰th | หมาก|막tts |
'점심' | ข้าวสวย|카오 쑤아이tts | ອາຫານທ່ຽງ|아한 티양lo | อาหารกลางวัน|아한 끌랑완th | ข้าวเที่ยง|카오 티양tts |
'전통 애니미즘 의식' | บายศรี|바이 씨tts | ບາສີ|바 씨lo | บวงสรวง|부앙 쑤앙th | บายศรีสู่ขวัญ|바이 씨 쑤 콴tts |
11. 방언
이산어는 태국 북동부에서 사용되는 라오 방언을 통칭하는 말로, 라오스에서 사용되는 라오어와 기본적으로 같다. 다만, 표기법과 일부 어휘에서 약간의 차이를 보인다. 이산어는 푸타이 및 타이요와 같은 다른 라오푸타이어와 매우 유사하며, 서로 의사소통이 가능하다. 또한, 표준 태국어를 포함하는 치앙샌 언어, 다이/샨족의 언어를 포함하는 북서부 언어와 같은 다른 남서부 분기 타이어와도 어느 정도 연관되어 있어 의사소통이 가능하다.[7][8]
이산어는 최소 14개의 변종으로 나눌 수 있지만, 라오스의 5개 방언 지역과 동일하게 묶을 수 있다. 이산어 변종은 메콩강 건너편에서 사용되는 라오어 변종과 더 유사한 경우가 많다. 서부 라오어는 여러 라오 지역 출신 사람들이 섞여 형성되었으며, 라오스에는 없고 이산 지역에서만 발견된다.[3][32]
이산 지역 내륙의 정착은 방언 혼합과 과도기적 지역 발전을 야기했다. 란쌍 왕국과 비엔티안 왕국 시대부터 비엔티안 라오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이 오랫동안 정착해온 루이, 농카이, 븡칸 주와 농부아람푸, 우돈타니의 상당 부분은 비엔티안 라오어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33]
방언 | 라오스 주 | 태국 주 |
---|---|---|
비엔티안 라오어 | 비엔티안, 비엔티안 현, 볼리캄사이 주 및 남부 사이솜분 주 | 농카이 주, 농부아람푸 주, 차이야품 주, 우돈타니 주, 야소톤 주 일부, 븡칸 주, 러이 주 및 콘깬 주 (콘챈) |
북부 라오어 (루앙프라방 라오어) | 루앙프라방 주, 사이냐부리 주, 우돔사이 주, 퐁살리 주, 보케오 주 및 루앙남타 주, 후아판 주 일부 | 러이 주, 우돈타니 주 일부, 콘깬 주(콘챈), 또한 피싸눌록 주, 펫차분 주 및 우따라딧 주 (이산 외부) |
북동부 라오어 (푸안 라오어) | 씨앙쿠앙 주, 후아판 주 및 사이솜분 주 일부 | 차이야품 주, 사콘나콘 주, 우돈타니 주, 븡칸 주, 농카이 주 및 러이 주의 고립된 마을 |
중부 라오어 | 캄무안 주 및 볼리캄사이 주, 사반나케트 주 일부 | 묵다한 주, 사콘나콘 주, 나콘파놈 주, 묵다한 주; 농카이 주 및 븡칸 주 일부 |
남부 라오어 | 참파삭 주, 살라반 주, 세콩 주, 아따푸 주, 사반나케트 주 일부 | 우본랏차타니 주 (우본 랏사타니), 암낫차른 주, 시사켓 주, 수린 주, 나콘랏차시마 주 (나콘 랏사시마), 및 야소톤 주 |
서부 라오어 | * 라오스에서는 발견되지 않음 | 칼라신 주, 로이엣 주 (호이엣), 마하사라캄 주, 콘깬 주 (콘챈), 차이야품 주(사이야품) 및 나콘랏차시마 주(나콘 랏사시마) 일부 |
12. 문자 체계
이산어는 원래 타이 노이 문자로 표기되었다. 1930년대에 타이 노이 문자가 금지되면서 태국 문자를 사용하게 되었다.[21] 타이 탐 문자는 종교 문헌에 사용되었고,[34] 콤 문자는 팔리어 텍스트나 브라만교 의례에 사용되었다.[35]
이산어의 원래 표기 체계는 '작은 타이 문자' 또는 '토 라오'(อักษรไทน้อย|악손 타이 너이tts, 라오어: ອັກສອນໄທນ້ອຽ|악손 타이 너이lo)였으며, 현대 이산어와 라오어에서는 각각 '투아 라오'(ตัวลาว|뚜아 라오tts, 라오어: ຕົວລາວ|뚜아 라오lo) 또는 '라오 문자'로 불린다. 라오스에서는 이 문자를 학술적으로 '악손 라오 더음'(ອັກສອນລາວເດີມ|악썬 라오 듬lo, 태국어: อักษรลาวเดิม|악썬 라오 듬tts) 또는 '원래 라오 문자'라고 부른다. 현대 라오 문자는 직접적인 후손이며 기본 글자 모양을 보존하고 있다. 현대 태국 문자와 오래된 라오 문자와 새로운 라오 문자 간의 유사성은 이 두 문자가 현재 태국 북부에 위치한 공통 조상인 타이 문자에서 파생되었기 때문이며, 이는 크메르 문자를 기반으로 하고 몬 문자의 영향을 받아 둥글게 다듬어졌으며, 이들은 모두 남인도의 팔라바 문자의 후손이다.[23]
1930년대 ''타이 노이'' 문자에 대한 금지 조치로 태국 문자를 사용하여 글을 쓰게 되었다. 이산족은 매우 빠르게 타이 문자를 사용하여 구어체인 이산어를 기록하는 임시 방편 시스템을 채택했다. 이 시스템은 동족어의 어원 표기를 사용했지만, 타이어에 없는 라오어 단어는 라오 문자에서와 마찬가지로 크메르어나 인도어 어원이 알려지지 않은 단어와 함께 표기했다. 이 시스템은 오늘날에도 비공식적으로 사용되며, 편지, 문자 메시지, 소셜 미디어 게시물, 이산어 노래 가사, 이산어 대화의 기록 및 개인 메모에서 자주 볼 수 있다.
''타이 탐'' 문자(อักษรไทธรรม|악썬 타이 탐tts, cf. ອັກສອນໄທທັມ|악썬 타이 탐lo)는 역사적으로 단순히 ''투아 탐''(ตัวธรรม|뚜아 탐tts, cf. ຕົວທຳ/ຕົວທັມ|뚜아 탐lo) 또는 '달마 문자'로도 알려져 있다. 이 문자는 란나어(캄 므앙), 타이 루어, 타이 코엔을 표기하는 데 사용되며 미얀마 문자와 유사점을 공유하며, 이 문자들은 모두 궁극적으로 구 몬 문자에서 파생되었다. ''타이 탐''은 란나의 왕으로 처음 즉위했지만 란쌍의 왕자였던 세타티랏 통치 기간 동안 도입되었다. 왕조의 연합으로 란쌍에서 온 승려들이 사찰 도서관을 복사하여 고국으로 가져갈 수 있었다.[34]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라오스에서의 사용은 팔리어를 옮겨 적거나, 성직자만을 위해 쓰여진 라오어로 된 종교 논문에 국한되었다. 평신도를 위한 종교 교육 자료와 기도서는 대신 ''타이 노이''로 작성되었다. 그 결과, 사찰 밖에서는 소수의 사람들만이 이 문자에 능통했다. 이산 지역에서 이 문자에 대한 증거는 1564년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농부아람푸의 ''왓 탐 수완나쿠하''에 보관된 비문과 같은 두 개의 석비, 그리고 같은 시대의 마하 사라캄의 ''왓 마하폰''에서 발견된 비문 등이 있다.[35] 이 문자는 대부분 야자 잎 필사본에 기록되어 있는데, 1930년대의 '타이화' 숙청 동안 많은 수가 파괴되었다. 동시에 이 시기의 태국 국가화는 또한 태국 북부에서 이 문자가 주요 표기 언어로 사용되는 것을 종식시켰다.[34]
콤 문자(อักษรขอม|악썬 컴tts, 라오어와 비교: ອັກສອນຂອມ|악썬 컴lo)은 일반적으로 이산의 고대 라오어를 작성하는 데 사용되지 않았지만, 크메르 문화를 통해 도입된 팔리어 텍스트나 브라만교 의례를 작성하는 데 자주 사용되었다. ''콤''(Khom)은 타이족의 이주와 지역 주민의 타이 언어 동화 이전에 이 지역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통치했던 크메르인을 지칭하는 고대 타이 단어이다. 일반적으로 라오어를 작성하는 데 사용되지 않았지만, 사원 비문에서 자주 발견되었으며, 브라만교 만트라와 의식, 타이 애니미즘 종교에서 사용하기 위해 채택된 지역 만트라, 얀트라 및 ''삭얀'' 문신과 같이 일반적으로 불교, 브라만교 또는 흑마법과 관련된 다른 것들을 보존하는 데 사용되었다.
colspan="2" | | 순음 | 치음/치경음 | (치경-) 구개음 | 연구개음 | 성문음 | |
---|---|---|---|---|---|---|
비음 | ม, หมມ, ໝ/ຫມ | ณ, น, หนນ, ໜ/ຫນ | , ญ, ย, หญ,, หย,ຍ, ຫຽ,/ຫຍ | ง, หงງ, ຫງ | ||
파열음/ 파찰음 | 무성음 | ป ປ | ฏ,ต ຕ | จ ຈ | ก ກ | อ ອ |
무성음 유기음 | ผ, พ, ภ | ฐ, ฑ, ฒ, ถ, ท, ธ | ฉ, ช, ฌ,ຊ | ข, ฃ, ค, ฅ, ฆຂ, ຄ | ||
유성음 | บ ບ | ฎ, ด ດ | ||||
마찰음 | ฝ, ฟ | ซ, ศ, ษ, ส | ข, ฃ, ค, ฅ, ฆຂ, ຄ | ห, ฮຫ, ຮ | ||
접근음 | , ว, หวວ, ຫວ | ล, ฬ, ร, หล, หร,ຣ, ລ, ຫຼ/ຫລ, ຫຼ,/ຫຣ, | ย, อย, หยຢ, ຫຽ, | ว, หวວ, ຫວ | ||
권설음/유동음 | ร, หร, |
- 산스크리트어나 팔리어 차용어에만 사용된다.
- 이산어와 라오어 고유의 것으로, 태국어에는 나타나지 않지만 는 의 변이음일 뿐이며, 는 음소이다.
- 중부 및 남부 태국어 철자는 와 를 구별하지 않는다.
- 무성 (ຫ) 또는 이중 자음의 라오어 합자; 무성 (ห)를 가진 태국어 이중 자음.
- 음절 첫 자음으로만 사용된다.
- 의 사용은 이산어에서의 태국어 간섭이며 라오스에서는 드물며, 보통 북부 부족 타이어에서 간섭으로, 거의 항상 이다.
- 여전히 알파벳의 일부로 가르치고 있으며, 'ฃ'과 'ฅ'는 구식이며 각각 'ข'와 'ค'로 대체되었다.
- 이산어 또는 라오스 학식의 간섭 표시. 일반적으로 로 대체되며, 현대 라오어 문어에서는 'ລ' 로도 대체된다.
- 어원적으로 인 단어에서 를 표시하는 데 사용된다.
- 모음으로 시작하는 모든 단어는 앵커 자음으로 작성해야 하며 성문 파열음으로 발음된다.
- 일반적으로 1970년대 이전 라오스에서 사용되었다.
- 매우 격식 없고 비공식적인 태국어에서만 사용된다.
- 일부 방언에서 의 변이음.

13. 한국의 관점 (더불어민주당 관점)
이산어는 태국 내에서 차별받는 소수 언어로 여겨지며, 사용자들은 여러 어려움을 겪고 있다. 태국 정부는 이산어를 태국어의 방언으로 취급하며 표준 태국어 사용을 장려해왔다. 특히, 과거 플랙 피분송크람 총리 시절 '타이화' 정책으로 인해 이산어는 공적 영역에서 배제되고, 학교에서는 이산어 사용이 금지되기도 했다.[16][14][17]
이러한 상황에서도 이산어는 태국 북동부 지역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지만,[3] 표준 태국어의 영향으로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사용이 줄어드는 추세이다.[3] 더불어민주당은 이러한 이산어의 현실에 주목하고, 이산어 보존과 발전을 위한 정책적 지원을 강조한다.
13. 1. 이산어 사용자 차별 문제
이산어는 태국 사회에서 차별받는 소수 언어이다. 이산어 사용자는 시골 출신, 미신적 믿음, 가난 등의 부정적인 이미지와 연관되어 차별받는 경우가 많다.[11] 태국인들은 이산어를 'Phasa Ban Nok'(ภาษาบ้านนอก|파사 반 নকth)이라고 부르기도 하는데, 이는 '시골', '지방' 또는 '지방 언어'로 번역될 수 있으며, 세련되지 않은 시골 억양을 의미하기도 한다.[13]태국 정부는 이산어를 태국어의 방언으로 간주하고, 표준 태국어 사용을 장려하는 정책을 펼쳐왔다.[8][9] 1938년부터 1944년, 1948년부터 1957년까지 플랙 피분송크람 총리의 통치 기간 동안 시행된 '타이화' 정책은 이산어를 공공 및 공식 담론에서 제거하고, 문자를 금지하여 가정에서만 사용되는 비문자 언어로 격하시켰다.[16][14][17] 공립학교에서는 이산어 사용이나 타이 노이 문자로 글을 쓰는 학생들을 처벌하거나 굴욕을 주어 언어에 대한 자긍심을 잃게 만들었다.[16][14][17]
이러한 차별과 억압에도 불구하고, 이산어는 여전히 태국 북동부 지역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3] 그러나 표준 태국어의 영향으로 언어 이동이 일어나고 있으며, 특히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이산어 사용이 줄어들고 있다.[3] 부모들은 자녀의 성공을 위해 표준 태국어가 더 중요하다고 생각하여 이산어 사용을 꺼리는 경향도 있다.[22]
13. 2. 이산어 보존 및 발전 방안
이산어 보존 및 발전을 위해 더불어민주당은 관련 정책 수립을 지지하며, 교육, 미디어, 공공 서비스 등에서 이산어 사용을 지원하고, 관련 연구 및 문화 활동을 장려해야 한다고 본다. 또한 이산어 사용자들의 자긍심을 높이고 이산어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을 개선하며, 이산어 관련 문화유산을 보존하고 이산어 문학, 음악, 예술 등을 지원하는 노력이 필요하다.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현재 대학에서는 이산어 및 문법 강좌를 개설하고 옛 문헌 자료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또한 빠르게 훼손되는 야자 잎 필사본을 디지털화하고 태국어 스크립트로 번역하여 대중에게 소개하는 작업도 진행 중이다.[3]
이산어는 몰람 등 이산 예술가들과 중앙 태국 룩 퉁 음악을 이산 스타일로 편곡한 뮤직 비디오를 통해 국영 텔레비전에서 접할 수 있다. 2003년에는 시린톤이 태국 청소년 몰람 경연 대회의 후원자를 맡기도 했다.[3]
참조
[1]
간행물
Reports submitted by States parties under article 9 of the Convention: First to third periodic reports of States parties due in 2008, Thailand
United Nations
2011
[2]
논문
Ethnic Identity and Loyalty of Villagers in Northeastern Thailand
1966
[3]
웹사이트
Isan: The planning context for language maintenance and revitalization
http://www.apacall.o[...]
2004
[4]
서적
Language and National Identity in Asia
Oxford University Press
2007
[5]
서적
Code-mixing between Central Thai and Northeastern Thai of the Students in Khon Kaen Province
Mahidol University
2002
[6]
서적
Phya Khankhaak, the Toad King: A Translation of an Isan Fertility Myth in Verse
Bucknell University Press
1996
[7]
웹사이트
Northeastern Thai
https://iso639-3.sil[...]
SIL International
2020
[8]
웹사이트
Northeastern Thai
https://glottolog.or[...]
2011
[9]
문서
Thai, Northeastern
[10]
학회자료
Formation of Ethnonyms in Southeast Asia
2009
[11]
뉴스
Isaan under Siamese colonization: Eradicating the Tai Noi script
https://theisaanreco[...]
2019-02-07
[12]
서적
Civil Society and Democratization: Social Movements in Northeast Thailand
Nordic Institute of Asian Studies
2006
[13]
웹사이트
Thai to English Dictionary
https://www.thai2eng[...]
2019
[14]
서적
Creating Laos: Making of A Laos Space Between Indochina and Siam
NIAS Press
2008
[15]
논문
The 1901-1902 'holy man's' rebellion
http://www.siamese-h[...]
1974
[16]
서적
Finding Their Voice: Northeastern Villagers and the Thai State
Silkworm Books
2013
[17]
서적
Isan Writers, Thai Literature Writing and Regionalism in Modern Thailand
NUS Press
2013
[18]
서적
Southeast Asian Energy Transitions: Between Modernity and Sustainability
Ashgate Publishers
2015
[19]
서적
Isan: Regionalism in Northeastern Thailand
Cornell. Thailand Project
1967
[20]
웹사이트
The Constitution of the Lao People's Democratic Republic
http://www.un.int/la[...]
Session VI of the People's Supreme Assembly, II Legislature
1991-08-15
[21]
웹사이트
EGIDS Explanation
http://www.ethnologu[...]
2013
[22]
서적
STORYTELLING, A MEANS TO REVITALIZE A DISAPPEARING LANGUAGE AND CULTURE IN NORTHEAST THAILAND (ISAN)
http://gnh-movement.[...]
The 3r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Gross National Happiness 2007
2017-09-18
[23]
학회자료
Evidence of the Thai noi alphabet found in inscriptions
1992
[24]
논문
Introducing Multilingual Thai - Isan - English Signage in a Thai University
2013
[25]
논문
Speaking like a love entrepreneur: Language choices and ideologies of social mobility among daughters of peasants in Thailand's tourist sites
http://citeseerx.ist[...]
International Sociological Association
2014
[26]
논문
Diglossia and identity in Northeast Thailand: Linguistic, social, and political hierarchy
2014
[27]
논문
หน้าที่ของการสลับภาษาระหว่างภาษาไทยกลางและภาษาไทยถิ่นอีสาน ของหนูหิ่น ในการ์ตูนเรื่อง หนูหิ่น อินเดอะซิตี้
https://so03.tci-tha[...]
2016
[28]
논문
หน้าที่ของการสลับภาษาระหว่างภาษาไทยกลาง ภาษาไทยถิ่นอีสานและภาษาบาลี ในการแสดงธรรม ของพระอาจารย์สมภพ โชติปญฺโญ
2018
[29]
논문
Towards a curriculum for the Thai Lao of Northeast Thailand
2015
[30]
학위논문
Language Vitality and Lexical Variation of the Isan Language in Rongsan Village, Phayao Province
2016
[31]
논문
A model for the alignment of dialects in southwestern Tai
http://www.siamese-h[...]
[32]
서적
ภาษาถิ่นตระกูลไทย
สถาบันวิจัยภาษาและวัฒนธรรมเพื่อการพัฒนาชนบทมหาวิทยาลัยมหิดล
2531
[33]
서적
Contemporary Lao Studies: Research on Development, Language and Culture, and Traditional Medicine
Center for Lao Cultural Studies
2009
[34]
논문
Notes on the lao influence on northern thai buddhist literature
http://www.laomanusc[...]
Lao National Archives
2005
[35]
서적
อักษรโบราณอีสาน: อักขรวิทยาอักษรตัวธรรมและไทยน้อย
สยามเพรส แมเนจเม้นท์
254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