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냉동식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냉동식품은 낮은 온도에서 미생물 활동을 억제하여 장기간 보관할 수 있는 식품으로, 채소, 과일, 육류, 수산물 등 다양한 종류가 있다. 차가운 기후 지역에서 자연 냉동을 활용하던 것에서 시작하여, 1861년 호주에서 세계 최초의 냉동 공장이 설립되었고, 1929년 클라렌스 버드아이에 의해 급속 냉동 기술이 개발되면서 상업적으로 발전했다. 냉동 기술은 급속 냉동, 접촉 냉동, 개별 급속 냉동(IQF) 등 다양한 방식으로 발전해왔으며, 포장 기술 또한 진화하여 전자레인지 사용이 가능한 포장재가 개발되고 능동 포장 기술이 연구되고 있다. 냉동식품은 급속 냉동 과정에서 비타민 손실이 발생할 수 있으며, 보관 및 해동 시 주의사항을 지켜야 한다. 대한민국에서는 1970년대부터 냉동식품이 생산되기 시작하여 1인 가구 증가와 간편식 선호 트렌드에 따라 시장이 성장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식품 보존 - 발효
    발효는 미생물이 유기물을 분해하여 에너지를 얻는 과정으로, 다양한 유기물을 이용하여 에탄올, 젖산 등 다양한 대사산물을 생성하며, 식품 보존, 발효식품 제조, 바이오에탄올 생산 등 산업 전반에 활용되는 산소의 유무와 관계없는 이화 작용이다.
  • 식품 보존 - 냉동
    냉동은 식품을 신선하게 보관하기 위해 얼리는 것을 의미하며, 콜드 체인 시스템을 통해 식품의 품질과 안전성을 확보하고, 기계적 냉동 방식과 자연 냉동 방식이 있으며, 과학 분야에서 저온을 의미하는 다양한 연구 분야가 존재한다.
냉동식품
기본 정보
다양한 냉동 식품의 콜라주
다양한 냉동 식품의 콜라주
종류과일
채소
고기
해산물
즉석 식사
디저트
특징
보관 온도-18 °C (0 °F) 이하
보관 기간몇 달에서 몇 년
장점신선도 유지
편리성
음식물 쓰레기 감소
단점질감 변화 가능성
일부 영양소 손실 가능성
냉동 화상 발생 가능성
역사
발명1920년대, 클래런스 버즈아이에 의해 상업적 냉동 식품 개발
보관 및 조리
보관 방법영하 18도 이하에서 보관
해동 방법냉장고 해동
찬물 해동
전자레인지 해동
조리 방법전자레인지 조리
오븐 조리
끓는 물 조리
프라이팬 조리
기타
주의 사항냉동 식품은 반드시 완전히 해동 후 재냉동하지 않도록 함
포장이 손상된 냉동 식품은 섭취하지 않도록 함
냉동 화상이 발생한 식품은 맛과 질감이 변질될 수 있음

2. 역사

차가운 기후 지역 사람들은 수 세기 동안 겨울철 서리를 이용하여 자연적으로 음식을 냉동해 왔다.[31]

1861년, 토마스 서틀리프 모트는 오스트레일리아 시드니 달링 하버에 세계 최초의 냉동 공장을 설립했다. 이 공장은 나중에 뉴사우스웨일스 신선식품 및 빙과 회사가 되었다. 모트는 프랑스 출신 엔지니어 유진 도미니크 니콜의 실험에 자금을 지원했는데, 니콜은 1861년 최초의 제빙 특허를 등록했다. 1868년 런던으로 최초의 냉동 육류 수송이 이루어졌다. 모트와 니콜의 기계는 냉동 육류 무역에는 사용되지 않았지만, 국내 무역을 위한 상업적 시스템을 개발했다. 오스트레일리아와 뉴질랜드에서 유럽으로의 정기적인 냉동 육류 수송은 1881년에 시작되었으며, 더니든호에 뉴질랜드 양고기가 실려 런던으로 수출되었다.

1885년까지 소량의 닭고기와 거위가 러시아에서 런던으로 단열 용기에 담겨 운송되었다. 1899년 3월, "영국 냉장 및 관련 산업"은 식품 수입업체 "바어셀만 브라더스"가 러시아 3개 창고에서 런던 로어 섀드웰의 뉴 스타 부두로 매주 약 20만 마리의 냉동 거위와 닭고기를 운송하고 있다고 보고했다. 이 냉동 식품 무역은 린데 냉동 공기 냉동 설비 덕분에 가능했다. 섀드웰 창고는 냉동 식품을 런던, 버밍엄, 리버풀, 맨체스터 시장으로 운송될 때까지 보관했다. 이 기술은 나중에 육류 포장 산업으로 확장되었다.

1914년, 미국의 클래런스 버드사이는 혹한 속에서 잡아 얼린 생선은 신선도를 유지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이는 후에 냉동 식품 개발의 계기가 되었다.[32]

냉동식품은 1900년대 미국에서 보존 기간이 짧은 가공용 딸기를 운송하기 위해 냉동한 것이 시초라고 알려져 있다. 당시에는 가정용 냉동고가 없었기 때문에 일반 가정에 보급되기 시작한 것은 1920년대(일본은 1930년대) 이후이다.

1929년부터 클라렌스 버드아이는 미국 대중에게 "급속 냉동"을 소개했다. 버드아이는 1912년과 1916년 라브라도에서 모피 사냥 원정 중 토착민들이 식품 보존에 자연 냉동을 사용하는 것을 보고 식품 냉동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5] 1920년대 캐나다 사냥 여행에서 그는 이누이트 원주민들의 전통적인 방법을 목격했고, 이것이 버드아이의 식품 보존 방법에 직접적인 영감을 주었다.[6]

1934년 아이슬란드 어업 위원회가 설립되어 산업 혁신을 시작했으며, 어부들이 어획물을 급속 냉동하도록 장려했다. 최초의 냉동 어류 회사 중 하나인 Íshúsfélag Ísfirðinga는 1937년 아이슬란드 이스파요르뒤르에서 합병으로 설립되었다.[7] 엘리너 루즈벨트의 러시아 방문을 위해 냉동된 음식이 준비되기도 했다.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날 무렵, 군대는 오렌지 주스, 아이스크림, 야채를 대상으로 냉동 관련 실험을 수행했다.

1950년대 미국에서는 냉동식품이 "미래의 식품"으로 각광받아 냉동식품 전문 레스토랑까지 있었다고 한다. 초기에는 냉동 기술의 문제나 적절한 해동 방법이 없어 식감이 나쁘고 맛이 떨어진다는 이유로 기피하는 경우가 많았다.[33] 그러나 클라렌스 버드사이에 의해 급속 냉동 기술이 개발되었고, 수산물을 선상에서 냉동하는 등의 기술 개선을 통해 맛이 향상되었다.

냉동식품은 1960년대(일본은 1965년) 이후, 가정에서 텔레비전 등의 오락이 증가하고 식생활이 풍족해지면서 다양한 요리가 폭넓게 받아들여지면서 본격적으로 보급되었다. 이 당시 일본에서는 냉동 귤이 등에서 판매되기 시작하여 제철과 반대되는 여름철에 약간 얼린 상태 그대로 먹는 것이 새로운 미각으로 받아들여졌다.

1980년대 이후에는 전자레인지의 저가격화에 따른 가정 보급과 함께 가정용 냉동식품도 널리 보급되었다. 1990년대부터는 전자레인지에서도 구운 것과 같은 겉바삭한 해동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이전에는 오븐 레인지로 해동해야 했던 피자나 그라탕 등의 구이 요리도 다양화되었다.

21세기에도 발전은 계속되어 제조 과정에서의 급속 냉동 발전으로 맛이 향상되고 있다.[39] 현재는 신선 식품을 신선도 유지하며 보관·운송하는 기술도 향상되었지만, 채소 등 기상 악화로 가격이 급등하는 식품의 경우 풍부하게 얻을 수 있는 시기에 냉동 보관함으로써 가격 영향을 받지 않게 할 수 있어, 신선 식품보다 저렴하고 공급이 안정되는 장점이 있다.

기술 향상에 따라 종류도 다양해져, 오늘날에는 카페 등에서 제공되는 모닝 세트나 케이크,[40] 휘핑크림 등도 업무용 냉동식품으로 유통되고 있다. 뼈를 제거하거나 고압 조리한 냉동 구이 생선이 병원 식사나 학교 급식 메뉴에 채택되기도 한다. 도시락에 얼린 채 넣어 점심시간에 해동되어 간편하고 보냉 역할을 하는 것도 등장했다. 유명 호텔, 명점, 유명 요리사의 이름을 붙여 맛을 그대로 냉동한 고급 냉동식품도 등장하는 등, 이전에는 없었던 식재료로서의 냉동식품도 등장하기 시작했다.

일본냉동식품협회 조사에 따르면, 2006년도 조리済み 수입 냉동식품은 전년 대비 100%를 넘는 급성장 시장에 있다.[41] 그러나 수입 원료 및 제품에 대한 식품 안전 문제도 있어, 2002년에는 중국산 냉동 시금치 등에서 잔류 농약이 검출되었고(중국산 식품의 안전성도 참조), 2008년에는 중국산 냉동 만두 중독 사건도 발생했다. 2007년 아카후쿠모찌(赤福餅)의 냉동 보관에 의한 제조일 위장, 2013년 아크리후즈(アクリフーズ) 농약 혼입 사건 등 일본 국내산 냉동식품에서도 식품 안전 관련 사건이 발생하고 있다.

그 때문에 도쿄도는 조리 냉동식품을 구입할 때 안심하고 적절한 선택을 할 수 있도록, 사업자가 제조, 가공하는 식품의 원재료를 적절하게 파악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국내에서 제조되어 도쿄에서 소비자에게 판매되는 조리 냉동식품에 대해 원재료 원산지 표시를 의무화했다.[42] 2015년 이후 냉동고 단체의 소형 제품이 "세컨드 냉동고"로서 일반 가정에도 보급되기 시작하면서 냉동식품의 보급은 더욱 진행되고 있다.

2. 1. 초기 역사

차가운 기후 지역의 사람들은 수 세기 동안 겨울철 서리를 이용하여 자연적으로 음식을 냉동해 왔다. 한국을 포함한 동아시아 지역에서도 겨울철에 음식을 얼려 보관하는 전통적인 방식이 존재했다.

1861년, 토마스 서틀리프 모트는 오스트레일리아 시드니에 세계 최초의 냉동 공장을 설립하였다. 1929년, 클라렌스 버드아이는 급속 냉동 기술을 개발하여 냉동식품의 품질을 크게 향상시켰다.

2. 2. 일본에서의 역사

일본에서 냉동식품 사업은 1920년 홋카이도 모리정(森町)에서 갓스하라 이헤이(葛原猪平)가 일본 최초의 본격적인 냉장창고인 모리냉동공장(후에 갓스하라냉장이 되었고, 현재의 니치레이)을 건설하면서 시작되었다.[34]

일본에서 처음으로 시판된 냉동식품은 1932년 도바타냉장(戸畑冷蔵, 현재의 닛스이)이 출시한 "딸기 셔벗"(냉동 딸기)이다.[35] 도바타냉장은 이보다 2년 전인 1930년에 특허를 취득하여 제품화했다. 딸기 셔벗은 잼 가공을 목적으로 한 미국의 제품과 달리 딸기 자체의 맛을 즐기는 상품으로 시판되었다.[36][37][38]

1964년 도쿄 올림픽을 계기로 냉동식품에 적합한 해동 및 조리법이 연구되었고, 외식산업 분야에서 이용되기 시작했다. 1970년대에는 냉동냉장고와 전자레인지의 보급, 센트럴 키친 방식의 패밀리 레스토랑 체인의 확대로 업무용을 포함하여 크게 성장했다.

3. 기술

냉동 기술은 냉동식품 시장과 마찬가지로 더 빠르고, 효율적이며, 비용 효과적인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다. 클라렌스 버드사이의 연구에서 보듯이, 빠른 냉동은 더 작은 얼음 결정을 만들어 제품을 더 잘 보존한다.[8]

식품에서 냉매로의 더 빠른 '''열전달'''을 달성하기 위해 다양한 공정이 고안되었다.[8] 이러한 냉동 기술은 식품 내 세포와 세포외 공간에 형성되는 얼음 결정의 크기와 수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느린 냉동은 더 적지만 더 큰 얼음 결정을 형성하는 반면, 빠른 냉동은 더 작지만 더 많은 수의 얼음 결정을 형성하여 효소적 갈변을 촉진할 수 있다.[26]

물과 지방이 동결·응고할 정도의 저온으로 하여 미생물의 활동을 억제하고, 장기간(사단법인 일본냉동식품협회[43]에 따르면 영하 18℃ 이하이면 제조 후 1년 정도) 보관할 수 있다. 보관 온도인 "영하 18℃"는 0℉(화씨 0도는 섭씨 -18도)에서 유래한다. 온도를 더 낮추면, 어류에 기생하는 아니사키스(Anisakis)와 같은 기생충을 죽일 수도 있다.

수분이 많은 채소나 과일 등은 냉동에 의한 파열이나 산화 효소에 의한 변질 및 변색을 방지하기 위해 블랑싱(blanching) 처리를 한다.[44] 새우, 오징어, 조개류 등의 냉동식품은 표면의 건조 및 산화를 방지하기 위해 얇은 얼음 막(글레이즈, glaze)을 만든다.[44]

3. 1. 냉동 방식

버드아이의 연구에 따르면, 더 빠른 냉동은 더 작은 얼음 결정을 만들고 제품을 더 잘 보존한다.[8]

액체 질소에 담그는 버드아이의 원래 '''극저온 냉동''' 방식은 여전히 사용되고 있다.[9] 그러나 비용 때문에 생선 필레, 해산물, 과일, 베리류에만 사용이 제한된다. 더 따뜻한(섭씨 -70도) 액체 이산화탄소에 담가 냉동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는 기계적 냉동으로 생산할 수 있다.[8]

대부분의 냉동 식품은 일반 냉동고와 유사한 '''증기 압축 냉동''' 기술을 사용하는 '''기계적''' 공정을 통해 냉동된다. 이러한 공정은 대량으로 처리할 경우 더 저렴하지만 일반적으로 더 느리다.[8]

  • '''급속 냉동'''은 가장 오래되고 저렴한 방법이다. 식품은 차가운 공기가 있는 냉동실에 넣는다. 공기는 식품에 강제로 불어넣거나(분사) 정지 상태로 둔다.
  • * '''벨트 냉동기'''는 차가운 방 안에 단순히 '''컨베이어 벨트'''를 설치한 것이다.
  • * '''터널 냉동'''은 식품을 트롤리 선반에 올려놓고 차가운 공기가 지속적으로 순환되는 터널로 보내는 급속 냉동의 변형이다.
  • * '''유동층 냉동'''은 '''펠릿화'''된 식품이 아래에서 빠르게 움직이는 차가운 공기로 불어서 '''유동층'''을 형성하는 급속 냉동의 변형이다.
  • '''접촉 냉동'''은 공기가 아닌 물리적 접촉을 사용하여 열을 전달한다. '''직접 접촉 냉동'''은 제품을 냉매와 직접 접촉시키는 반면, '''간접 접촉 냉동'''은 그 사이에 판을 사용한다.
  • * '''플레이트 냉동'''은 접촉 냉동의 가장 일반적인 형태이다.
  • * '''접촉 벨트 냉동'''은 컨베이어 벨트와 플레이트 냉동을 결합한 것이다.
  • * '''침지 냉동'''은 제품을 차가운 냉매 액체에 담가 냉동시키는 방법이다.


'''개별 급속 냉동'''은 "개별적"이고 "급속적"인 모든 형태의 냉동을 포함하는 용어이다. 극저온 냉동, 유동층 냉동 등이 이에 해당될 수 있다.

냉동 속도는 식품 내 세포와 세포외 공간에 형성되는 얼음 결정의 크기와 수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느린 냉동은 더 적지만 더 큰 얼음 결정을 형성하는 반면, 빠른 냉동은 더 작지만 더 많은 수의 얼음 결정을 형성한다. 큰 얼음 결정은 식품 세포벽을 손상시켜 해동 시 제품의 조직 감소와 천연 과즙의 손실을 초래할 수 있다.[27]

3. 2. 개별 급속 냉동 (IQF, Individually Quick Frozen)

개별 급속 냉동(IQF, Individually Quick Frozen)은 식품을 각각 분리된 상태로 빠르게 냉동하는 기술을 통칭하는 용어이다. 이는 "개별적"(한 덩어리가 아닌)이고 "급속적"(최대 몇 분)인 모든 형태의 냉동을 포함한다. 극저온 냉동, 유동층 냉동 등 정의를 충족하는 다른 기술들이 이에 해당될 수 있다.

냉동 속도는 식품 내 세포와 세포외 공간에 형성되는 얼음 결정의 크기와 수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느린 냉동은 더 적지만 더 큰 얼음 결정을 형성하는 반면, 빠른 냉동은 더 작지만 더 많은 수의 얼음 결정을 형성한다. 얼음 결정 크기의 차이는 냉동 저장 중 효소의 잔류 활성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데, 이는 유체 매질에 존재하는 효소와 용질이 얼음 결정 형성 사이에 농축되는 동결 농축 과정을 통해 발생한다.[25] 큰 얼음 결정의 형성은 효소적 갈변을 촉진할 수 있다.[26]

큰 얼음 결정은 식품 세포벽을 손상시켜 해동 시 제품의 조직감을 나쁘게하고 천연 과즙의 손실을 초래할 수 있다.[27] 따라서 통풍식 기계 냉동, 비통풍식 기계 냉동 또는 액체 질소를 이용한 급속 냉동으로 냉동된 식품 간에는 질적인 차이가 관찰된다.[28]

4. 포장

냉동식품 포장은 식품의 품질을 보존하고, 유통 및 보관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손상을 방지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4. 1. 포장 기술

냉동 식품 포장은 충전, 밀봉, 냉동, 보관, 운송, 해동, 그리고 종종 조리 과정 전반에 걸쳐 그 완전성을 유지해야 한다.[10] 많은 냉동 식품이 전자레인지에서 조리되기 때문에, 제조업체는 냉동고에서 전자레인지로 바로 사용할 수 있는 포장을 개발했다.

1974년, 최초의 차등 가열 용기(DHC)가 대중에게 판매되었다. DHC는 냉동 식품이 적절한 양의 열을 받을 수 있도록 설계된 금속 슬리브이다. 다양한 크기의 구멍이 슬리브 주위에 배치되었다. 소비자는 가장 많은 열이 필요한 부분에 따라 냉동 식품을 슬리브에 넣었다. 이를 통해 적절한 조리가 가능했다.[11]

오늘날 냉동 식품 포장에는 여러 가지 선택지가 있다. 상자, 판지, 봉투, 파우치, 끓여서 먹는 팩, 뚜껑이 있는 트레이와 팬, 결정화된 PET 트레이, 그리고 복합 및 플라스틱 캔 등이 있다.[12]

과학자들은 냉동 식품 포장의 새로운 측면을 계속 연구하고 있다. 능동 포장은 박테리아 또는 기타 유해 종의 존재를 적극적으로 감지한 다음 중화할 수 있는 많은 새로운 기술을 제공한다. 능동 포장은 유통 기한을 연장하고, 제품 안전을 유지하며, 더 긴 시간 동안 식품을 보존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능동 포장의 여러 기능이 연구되고 있다.

  • 산소 제거제
  • 시간-온도 지시약 및 디지털 온도 기록계
  • 항균제
  • 이산화탄소 조절제
  • 전자레인지 수용체
  • 수분 조절: 수분 활성도, 수분 증기 투과율 등
  • 풍미 증강제
  • 향 생성기
  • 산소 투과성 필름
  • 산소 발생기[13]

4. 2. 비타민 함량

냉동 과정 자체보다는 냉동 전처리 과정에서 일부 비타민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

  • 비타민 C: 다른 비타민보다 더 높은 농도로 손실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15] 완두콩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표백 단계에서 10%의 비타민 손실이 발생했으며, 나머지 손실은 냉각 및 세척 단계에서 발생했다.[16] 이는 냉동 과정 자체보다는 전처리 과정에 의한 손실임을 보여준다.
  • 비타민 B1 (Thiamin): 25%의 비타민 손실은 정상적인 수준이다. 티아민은 물에 잘 녹고 열에 약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18]
  • 비타민 B2 (Riboflavin): 냉동이 리보플라빈 수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많지 않으며, 결과 또한 불확실하다. 한 연구에서는 녹색 채소에서 18%의 비타민 손실을 발견한 반면, 다른 연구에서는 4%의 손실을 보고했다.[19] 리보플라빈 손실은 냉동 과정 자체보다는 냉동 전 준비 과정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비타민 A (Carotene): 대부분 채소의 냉동 준비 및 냉동 과정 중 카로틴 손실은 거의 없다. 장기간 보관 시에 비타민 손실이 주로 발생한다.[20]

4. 3. 주의사항

미리 양념된 포장 냉동식품에는 상당량의 소금과 지방이 첨가될 수 있으므로, 영양 성분표와 재료 목록을 확인하는 것이 좋다.[14]

5. 해동

조리된 음식은 섭취 전에 해동해야 하는 경우가 많다. 특히 냉동 육류는 조리 전에 해동하면 균일하게 익히고 좋은 식감을 얻을 수 있다. 냉동고의 해동 시스템은 두꺼운 얼음층이 생기는 것을 막아 장비가 제대로 작동하도록 돕고, 증발기 코일이 열을 흡수하여 캐비닛을 냉각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상적으로는 대부분의 냉동 식품은 병원균의 증식을 막기 위해 냉장고에서 해동해야 한다.[23][24]

5. 1. 해동 방법

대부분의 냉동 식품은 병원균의 증식을 막기 위해 냉장고에서 해동하는 것이 이상적이다.[23][24] 하지만 이 방법은 시간이 오래 걸릴 수 있다.

음식은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여러 방법으로 해동할 수 있다.

상온에서 냉동 식품을 해동하는 경우가 있는데, 외부가 해동되어도 내부는 여전히 얼어 있을 수 있어 위험하다.[23] 이러한 식품은 조리 후 즉시 섭취하거나 버려야 하며, 다시 냉동하거나 냉장해서는 안 된다. 재냉동 과정으로는 병원균이 제거되지 않기 때문이다.

5. 2. 주의사항

해동된 식품은 다시 냉동하지 않는 것이 좋다. 재냉동은 식품의 품질을 저하시키고, 세균 번식의 위험을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23] 한 번 녹은 식품은 수분이 빠져나와 맛이 없어지고, 신선도가 크게 떨어진다.

냉동식품을 다룰 때 주의해야 할 점은 다음과 같다.

  • Low temperature|저온영어(영하 18℃ 이하)에서 보관한다.
  • 유통기한을 지킨다. 지방의 산화 등 품질 저하는 느려지지만 완전히 멈추지는 않는다. 너무 오래 보관하면 수분이 승화하여 건조해지고(냉동화상), 해동해도 퍽퍽해진다. 또한 포장 내에서 수분이 재결정화(서리)하여 부분적으로 질척해진다.
  • 운반 중에는 가능한 녹지 않도록 한다. 가정에서 구입하는 경우에는 쇼핑 마지막에 구입하여 빨리 냉동고에 넣는 것이 좋다. 드라이아이스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매장에서 구입하는 경우에는 드라이아이스를 함께 넣어달라고 요청하는 것이 좋다.
  • 한 번 녹은 것은 재냉동하지 않고, 빨리 섭취한다.
  • 냉동식품을 다룰 때에는 동상에 주의한다.
  • 결로된 냉동식품을 기름에 튀기면 수분이 급격히 기화(수증기 폭발)하여 뜨거운 기름이 튀어 화상이나 화재의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6. 국내 시장 현황 (대한민국)

대한민국의 냉동식품 시장은 1인 가구 및 맞벌이 가구 증가, 간편식 선호 트렌드와 함께 꾸준히 성장하고 있다. 냉동식품은 조리가 완료되었거나 밑손질이 끝난 상태이므로, 소비자는 해동 및 가열만 하면 된다. 이러한 편리성 때문에 음식점뿐만 아니라 일반 가정에서도 널리 사용된다. 냉동식품은 냉동차로 출하되고, 판매점에서는 냉동 상품 진열대에 진열되며, 구매 후에는 냉동고에 보관하여 먹기 직전까지 냉동 상태를 유지한다.

급속 냉동 기술을 통해 식품의 신선도를 유지하고, 유통기한이 길어 비상식으로도 활용 가능하다. 최근에는 전자레인지 보급과 함께 전용 용기가 포함된 냉동식품도 많이 출시되어 바쁜 현대인들에게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다.

6. 1. 주요 업체

대한민국의 냉동식품 시장은 상위 5개 사가 시장 점유율의 약 75%를 차지하는 과점 시장이다.

순위기업명
1マルハニチロ|마루하니치로일본어
2ニチレイ|니치레이일본어
3テーブルマーク|테이블마크일본어
4味の素|아지노모토일본어
5ニッスイ|닛스이일본어


6. 2. 안전성 문제와 규제

냉동식품의 안전성 문제는 지속적으로 제기되어 왔다. 2002년에는 중국산 냉동 시금치 등에서 잔류 농약이 검출되었고, 2008년에는 중국산 냉동 만두 중독 사건이 발생했다.[42] 2007년에는 일본 아카후쿠모찌의 냉동 보관에 의한 제조일 위장, 2013년 아크리후즈 농약 혼입 사건 등 일본 국내산 냉동식품에서도 식품 안전과 관련된 사건이 발생하였다.[42]

이러한 문제들 때문에, 도쿄도는 도민이 조리 냉동식품을 안심하고 구입할 수 있도록, 일본 국내에서 제조되어 도쿄에서 소비자에게 판매되는 조리 냉동식품에 대해 원재료 원산지 표시를 의무화했다.[42] 대한민국 정부 역시 냉동식품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원산지 표시 의무화 등 다양한 규제를 시행하고 있다.

7. 특징

냉동은 식품 부패를 일으키는 병원균을 저온에서 사멸시키거나 증식 속도를 늦춰 식품을 보존하는 방법이다. 냉동을 통해 식품을 수개월 동안 보관할 수 있으며, 장기간 보관을 위해서는 -18°C 이하의 온도를 유지해야 한다.[22]

냉동식품은 조리가 완료되었거나 밑손질이 끝난 상태로, 소비자는 해동 및 가열만 하면 된다. 이러한 편리성으로 인해 음식점부터 가정까지 널리 보급되어 있다. 냉동식품은 냉동차로 출하되고, 판매점에서는 냉동 상품 진열대에 진열되며, 구매 후에는 냉동고에 보관하여 섭취 직전까지 냉동 상태를 유지한다.

냉동 시에는 급속 냉동을 통해 식품의 신선도를 유지하며, 유통기한이 길어 비상식으로도 활용 가능하다. 아이스크림처럼 냉동 상태로 먹는 식품은 냉동식품으로 취급되지 않지만, 주로 도시락용으로 자연 해동하여 상온에서 먹는 것은 포함된다.

냉동식품은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30]

구분내용
무가열 섭취 식품
가열 후 섭취 식품



냉동식품 중에는 상온이나 냉장고에서 해동하는 것도 있으며, 올바르게 해동하면 비냉동 식재료나 요리와 구별이 안 되는 경우도 있다. 상품으로는 야채, 과일 외에도 튀김, 우동, 볶음밥, 피자 등 다양한 종류가 있다. 최근에는 전자레인지 보급과 함께 전용 용기가 포함된 냉동식품도 많아져 바쁜 현대 사회에서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다.

냉동식품을 가장 많이 소비하는 국가는 미국이다. 미국에서는 간식, 점심, 저녁 식사용 등 다양한 제품이 있으며, 냉동 식재료가 담긴 플라스틱 트레이를 전자레인지에 데우면 스테이크, 포테이토샐러드, 빵, 디저트까지 한 번에 완성되는 제품도 있다. 이러한 식품은 "프리패키지드밀(Prepackaged meal)"이라고 불리며, 포크와 나이프까지 들어 있어 냉동고와 전자레인지만 있으면 식사를 해결할 수 있다. 이러한 냉동식품은 "TV 디너"라고도 불리며, 이는 1954년 미국의 스완슨(Swanson) 사의 냉동식품 브랜드인 "swanson TV Dinner"에서 유래한다.

냉동식품은 물과 지방이 동결·응고될 정도의 저온에서 미생물 활동을 억제하여 장기간(일본냉동식품협회[43]에 따르면 -18°C 이하에서 제조 후 1년 정도) 보관할 수 있다. 보관 온도 -18°C는 0℉(화씨 0도)에서 유래한다. 온도를 더 낮추면 아니사키스와 같은 기생충을 죽일 수도 있다.

수분이 많은 채소나 과일은 냉동에 의한 파열이나 산화 효소에 의한 변질 및 변색을 방지하기 위해 블랑싱(blanching) 처리를 한다.[44] 새우, 오징어, 조개류 등의 냉동식품은 표면 건조 및 산화를 방지하기 위해 얇은 얼음 막(글레이즈, glaze) 처리를 한다.[44]

냉동식품 보관 및 사용 시 주의사항은 다음과 같다.


  • 저온(-18°C 이하)에서 보관한다.
  • 유통기한을 지킨다. 지방의 산화 등 품질 저하는 느려지지만 완전히 멈추지 않는다. 너무 오래 보관하면 건조되어 퍽퍽해지거나 재결정화(서리)되어 질척해진다.
  • 운반 중에는 녹지 않도록 주의하고, 가정에서는 쇼핑 마지막에 구입하여 빨리 냉동고에 넣는다. 드라이아이스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도 좋다.
  • 한 번 녹은 것은 재냉동하지 않고 빨리 먹는다. 수분이 녹아 나오거나 재냉동되면 풍미가 떨어지고 신선도가 저하된다.
  • 취급 중에는 동상에 주의한다.
  • 결로된 냉동식품을 기름에 튀기면 수증기 폭발이 일어나 화상이나 화재의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주의한다.

참조

[1] 서적 The Freezing Preservation of Foods
[2] 서적 Advances in food refrigeration https://www.worldcat[...] Leatherhead Food Research Association Publishing
[3] 뉴스 Sainsbury's changes food freezing advice in bid to cut food waste https://www.theguard[...] 2012-02-10
[4] 서적 Quality and Stability of Frozen Foods: Time-Temperature Tolerance and its Significance
[5] 웹사이트 Frozen Foods https://oxzoom.com/f[...]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2022-01-28
[6] 웹사이트 Origin of Birds Eye Frozen Vegetables and Meals https://www.birdseye[...] 2024-07-29
[7] 웹사이트 Öld frá stofnun Íshúsfélags Ísfirðinga hf. http://www.frosti.is[...] 2012-01-10
[8] 웹사이트 Freezing of fruits and vegetables http://www.fao.org/3[...] 2020-04-06
[9] 서적 Springer-Verlag
[10] 서적 Microwave Foods: New Product Development
[11] 서적 Panic in the Pantry: Facts and Fallacies About the Food You Buy
[12] 서적 Food Preservatves
[13] 서적 Handbook of Frozen Food Processing and Packaging
[14] 웹사이트 Frozen Foods: Convenient and Nutritious https://www.eatright[...]
[15] 서적 The Freezing Preservation of Foods
[16] 서적 The Freezing Preservation of Foods
[17] 서적 The Freezing Preservation of Foods
[18] 서적 New Methods of Food Preservation
[19] 서적
[20] 서적 The Freezing Preservation of Foods
[21] 서적 Food Packaging and Preservation
[22] 서적 Into the Freezer - and Out
[23] 웹사이트 Consumer Resources - NSF International http://www.nsf.org/c[...]
[24] 웹사이트 Refrigerator User Instructions https://www.fridgema[...]
[25] 논문 The Effects of Commercial Freezing on Vitamin Concentrations in Spinach (Spinacia oleracea) 2021-07-23
[26] 논문 Impact of Processing Factors on Quality of Frozen Vegetables and Fruits 2020
[27] 서적 Industrial Refrigeration Handbook 2000
[28] 서적 Food analysis laboratory manual Springer 2010
[29] 간행물 Consumer Demand for Convenience Foods: Demographics and Expenditures http://ageconsearch.[...] AgEcon 2011-07-16
[30] 서적 現代商品大辞典 新商品版 東洋経済新報社 1986
[31] 서적 ロシアのジョーク集 アネクドートの世界 東洋書店 2007
[32] 서적 明治・大正家庭史年表:1868-1925 河出書房新社 2000
[33] 문서 특히 채소나 과일, 어패류 등은 식품에 포함된 수분의 팽창으로 세포가 파괴되기 때문에 종류나 용도가 제한적이었다.
[34] 웹사이트 일반사단법인 일본냉동식품협회_냉동식품의 역사 https://online.reish[...]
[35] 웹사이트 냉동식품의 역사・진화 http://冷凍食品.biz/hist[...]
[36] 웹사이트 産業技術史資料共通データベース https://sts.kahaku.g[...] 国立科学博物館 2023-05-01
[37] 웹사이트 冷凍食品の市販品、第1号は? https://frozenfoodpr[...] 有限会社冷凍食品エフエフプレス 2023-05-01
[38] 웹사이트 日本人の生活に絶対不可欠となった「冷凍食品100周年」その軌跡 https://gendai.media[...] 講談社 2023-05-01
[39] 웹사이트 おいしくなった?冷凍ラーメン超絶進化の裏側 キンレイ「お水がいらない」シリーズ人気のワケ https://toyokeizai.n[...] 2022-12-25
[40] 문서 ホットケーキやチーズケーキ、ショートケーキにいたるまで大抵は揃う。
[41] 웹사이트 日本冷凍食品協会調べ2008年 http://www.reishokuk[...]
[42] 웹사이트 調理冷凍食品の原料原産地表示について http://www.caa.go.jp[...] 내각부
[43] 웹사이트 社団法人日本冷凍食品協会冷凍食品の品質は表示されている賞味期限を見て判断すれば良いか? http://www.reishokuk[...]
[44] 웹사이트 第3章 調理室における衛生管理&調理技術マニュアル https://www.mext.go.[...] 文部科学省 2020-06-05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