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단백질 대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단백질 대사는 단백질의 합성 및 분해 과정을 포함하며, 생명 유지에 필수적인 과정이다. 단백질 합성은 아미노산으로부터 단백질이 생성되는 과정으로, 전사, 번역, 번역 후 변형, 단백질 접힘 단계를 거친다. 단백질 분해는 단백질이 아미노산으로 분해되는 과정으로, 효소, pH 및 온도 변화와 같은 환경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단백질 분해 과정은 에너지 대사에 기여하며, 분해 대사와 관련된 다양한 질병이 존재한다. 한국인의 경우 단백질 섭취가 부족할 수 있으며, 사회경제적 요인과 채식주의 식단도 단백질 섭취에 영향을 미친다. 더불어민주당은 취약 계층의 영양 불균형 문제 해결을 위해 무상 급식 확대, 영양 교육 강화, 건강한 식생활 장려를 위한 정부 지원, 시민단체와의 협력 등 다양한 정책적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생화학 - 부패
    부패는 미생물에 의한 유기체의 사후 분해 과정으로, 악취 물질 생성, 시신 외형 변화를 동반하며 환경적·내적 요인에 따라 속도가 달라지고 법의학 등에서 연구된다.
  • 생화학 - 광합성
    광합성은 생물이 빛에너지를 이용하여 이산화탄소와 물로부터 유기물을 합성하고 산소를 방출하는 과정으로, 엽록체 내 틸라코이드 막에서 일어나는 명반응과 스트로마에서 일어나는 암반응으로 구성되며, 환경에 따라 탄소 농축 메커니즘을 통해 효율을 높이기도 하고, 지구 대기의 산소를 생성하는 주요 원천이다.
단백질 대사
개요
정의생체 내에서 단백질이 합성, 분해, 전환되는 일련의 화학적 과정
관련 용어아미노산 대사
단백질 대사의 주요 과정
단백질 합성 (번역)DNA의 유전 정보를 바탕으로 RNA를 거쳐 단백질을 만드는 과정. 세포 내에서 리보솜을 통해 아미노산이 연결되어 단백질이 생성됨
단백질 분해단백질이 더 작은 펩타이드나 아미노산으로 분해되는 과정. 단백질가수분해효소에 의해 촉매됨.
아미노산 전환아미노산이 서로 다른 아미노산으로 변환되거나, 다른 종류의 분자로 전환되는 과정. 탈아미노 반응, 아미노기 전이 반응 등을 포함
단백질 대사의 역할
에너지 공급단백질은 탄수화물이나 지방에 비해 효율적인 에너지원은 아니지만, 필요시 아미노산을 통해 에너지를 공급
세포 구성 요소 유지단백질은 세포 구조와 기능을 유지하는 데 필수적이며, 손상된 단백질을 분해하고 새로운 단백질을 합성하여 세포를 건강하게 유지
생체 기능 조절효소, 호르몬, 항체 등 다양한 단백질은 생체 내 화학 반응을 촉진하고 생리적 기능을 조절
단백질 대사의 조절
호르몬인슐린, 글루카곤, 코르티솔 등은 단백질 대사에 영향을 미침
영양 상태단백질 섭취량과 아미노산 균형은 단백질 합성 및 분해에 중요한 영향을 미침
유전적 요인특정 유전자의 변이는 단백질 대사 과정에 이상을 초래할 수 있음
단백질 대사 관련 질병
페닐케톤뇨증 (Phenylketonuria, PKU)페닐알라닌을 티로신으로 전환하는 효소 결핍으로 인해 페닐알라닌이 축적되는 질환
단풍 시럽뇨병 (Maple Syrup Urine Disease, MSUD)가지 사슬 아미노산 (류신, 아이소류신, 발린)의 대사 장애로 인해 소변에서 단풍 시럽 냄새가 나는 질환
알캅톤뇨증 (Alkaptonuria)호모젠티스산 산화 효소 결핍으로 인해 호모젠티스산이 축적되는 질환
참고 문헌

2. 단백질 합성

단백질 합성은 아미노산으로부터 단백질이 형성되는 과정이다. 이 과정은 아미노산 합성, 전사, 번역, 번역 후 변형, 단백질 접힘의 다섯 단계로 구성된다.[7] 인간의 경우, 일부 아미노산은 체내에서 합성 가능하며(비필수 아미노산), 나머지는 외부 섭취를 통해 얻어야 한다(필수 아미노산).

2. 1. 아미노산 합성

인간의 경우, 일부 아미노산은 이미 존재하는 중간체를 사용하여 합성될 수 있다. 이러한 아미노산은 비필수 아미노산으로 알려져 있다. 필수 아미노산은 인체에 존재하지 않는 중간체를 필요로 한다. 이러한 중간체는 주로 다른 유기체를 섭취함으로써 섭취해야 한다.[7]

각 아미노산을 생성하는 경로[7]
아미노산대사 경로*
글리신세린 + THF 글리신 (하이드록시메틸전이효소)
알라닌피루브산 알라닌 (아미노전이효소)
프롤린글루탐산 글루탐산-5-세미알데히드 → 프롤린 (γ-글루타밀 키나아제)
타이로신페닐알라닌 → 타이로신 (페닐알라닌 수산화효소)
세린3-포스포글리세르산 → 3-포스포하이드록시피루브산 (3-포스포글리세르산 탈수소효소) → 3-포스포세린 (아미노전이효소) → 세린 (포스포세린 포스파타아제)
시스테인세린시스타티오닌 → α-케토부티르산 → 시스테인
아스파라긴아스파르트산 아스파라긴 (아스파라긴 합성효소)
글루타민글루탐산 글루타민 (글루타민 합성효소)
아르기닌글루탐산 글루탐산-5-세미알데히드 (γ-글루타밀 키나아제) → 아르기닌
아스파르트산옥살아세트산 → 아스파르트산 (아미노전이효소)
글루탐산α-케토글루타르산 글루탐산 (아미노전이효소)
*이탤릭체로 표시된 복합체는 효소입니다.


2. 2. 폴리펩타이드 합성

아미노산들이 펩타이드 결합을 통해 서로 연결되어 폴리펩타이드 사슬을 형성한다. 펩타이드 결합은 한 아미노산의 알파 아미노기(-NH₂)와 다른 아미노산의 알파 카복실기(-COOH) 사이에서 형성되며, 이 과정에서 물 분자(H₂O)가 방출된다.[1]

2. 2. 1. 전사 (Transcription)

RNA 중합 효소는 DNA 가닥을 읽고 추가적인 번역이 가능한 mRNA 가닥을 생성한다. 전사를 시작하기 위해, 전사될 DNA 세그먼트는 접근 가능해야 한다(즉, 단단하게 포장될 수 없다). DNA 세그먼트에 접근할 수 있게 되면, RNA 중합 효소는 RNA 뉴클레오티드를 주형 DNA 가닥에 짝지음으로써 코딩 DNA 가닥을 전사하기 시작할 수 있다. 초기 전사 단계에서 RNA 중합 효소는 DNA 주형 가닥에서 프로모터 영역을 찾는다. RNA 중합 효소가 이 영역에 결합하면, 3'에서 5' 방향으로 주형 DNA 가닥을 "읽기" 시작한다.[8] RNA 중합 효소는 주형 DNA 가닥에 상보적인 RNA 염기를 부착한다(티민 대신 우라실이 사용된다). 새로운 뉴클레오티드 염기들은 공유 결합으로 서로 결합된다.[9] 새로운 염기들은 결국 DNA 염기로부터 분리되지만 서로 연결된 상태로 유지되어 새로운 mRNA 가닥을 형성한다. 이 mRNA 가닥은 5'에서 3' 방향으로 합성된다.[10] RNA가 종결자 서열에 도달하면, DNA 주형 가닥으로부터 분리되어 mRNA 서열도 종료한다.

전사는 전사 인자를 통해 세포 내에서 조절된다. 전사 인자는 프로모터 영역 또는 오퍼레이터 영역과 같은 DNA 가닥의 조절 서열에 결합하는 단백질이다. 이러한 영역에 결합된 단백질은 RNA 중합 효소가 DNA 가닥을 읽는 것을 직접적으로 중단하거나 허용하거나, 다른 단백질에게 RNA 중합 효소의 읽기를 중단하거나 허용하도록 신호를 보낼 수 있다.[11]

2. 2. 2. 번역 (Translation)

번역 과정에서 리보솜은 mRNA(전령 RNA) 서열을 아미노산 서열로 변환한다. mRNA의 각 3개의 염기쌍 길이 세그먼트는 하나의 유전 암호 또는 정지 신호에 해당하는 코돈이다.[12] 아미노산은 여러 개의 코돈을 가질 수 있다. 리보솜은 아미노산을 mRNA 코돈에 직접 부착하지 않고 tRNA(전령 RNA)를 활용한다. tRNA는 아미노산에 결합할 수 있으며, mRNA 코돈에 수소 결합할 수 있는 안티코돈을 포함한다.[13] 아미노산을 tRNA에 결합하는 과정을 tRNA 충전이라고 하며, 이 과정에서 효소 아미노아실-tRNA-합성효소는 두 가지 반응을 촉매한다. 첫 번째 반응에서 AMP 분자(ATP에서 절단됨)를 아미노산에 부착하고, 두 번째 반응에서 아미노아실-AMP를 절단하여 아미노산을 tRNA 분자에 결합시키는 에너지를 생성한다.[14]

리보솜에는 두 개의 단백질 소단위체가 있으며, 하나는 크고 다른 하나는 작다. 이 소단위체는 mRNA 가닥을 둘러싼다. 더 큰 소단위체에는 A(아미노아실), P(펩티딜) 및 E(출구)의 세 가지 결합 부위가 있다. 번역 개시(이는 원핵생물진핵생물에서 다르다) 후, 리보솜은 반복적인 주기를 따르는 신장 기간에 들어간다. 먼저, 올바른 아미노산을 가진 tRNA가 A 부위에 들어간다. 리보솜은 P 부위의 tRNA에서 펩타이드를 A 부위의 tRNA에 있는 새로운 아미노산으로 전달한다. P 부위의 tRNA는 배출될 E 부위로 이동한다. 이는 리보솜이 종결 코돈에 도달하거나 정지 신호를 받을 때까지 계속 발생한다.[13] 펩타이드 결합은 P 부위에 있는 tRNA에 부착된 아미노산과 A 부위에 있는 tRNA에 부착된 아미노산 사이에 형성된다. 펩타이드 결합의 형성은 에너지 투입을 필요로 한다. 반응하는 두 분자는 한 아미노산의 알파 아미노 그룹과 다른 아미노산의 알파 카르복실 그룹이다. 이 결합 형성의 부산물은 물의 방출이다(아미노 그룹은 양성자를 기증하고 카르복실 그룹은 수산기를 기증한다).[1]

번역은 miRNA(마이크로RNA)에 의해 하향 조절될 수 있다. 이 RNA 가닥은 상보적인 mRNA 가닥을 절단하여 번역을 중단시킨다.[15] 번역은 또한 보조 단백질을 통해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핵생물 개시 인자-2(eIF-2)라고 하는 단백질은 리보솜의 작은 소단위체에 결합하여 번역을 시작할 수 있다. eIF-2가 인산화되면 리보솜에 결합할 수 없으며 번역이 중단된다.[16]

2. 2. 3. 번역 후 변형 (Post-translational Modifications)

펩타이드 사슬이 합성된 후에도 변형이 필요하다. 번역 후 변형단백질 접힘 전이나 후에 발생할 수 있다. 번역 후 펩타이드 사슬을 변형하는 일반적인 생물학적 방법에는 메틸화, 인산화, 이황화 결합 형성이 포함된다.

라이신(아미노산)의 메틸화


메틸화는 종종 아르기닌 또는 라이신에서 발생하며, 메틸기질소에 첨가하는 것(수소를 대체)을 포함한다. 이러한 아미노산의 R기는 질소에 대한 결합이 4개를 초과하지 않는 한 여러 번 메틸화될 수 있다. 메틸화는 이러한 아미노산이 수소 결합을 형성하는 능력을 감소시키므로 메틸화된 아르기닌과 라이신은 표준 대응물과는 다른 특성을 갖는다. 인산화는 종종 세린, 트레오닌, 티로신에서 발생하며, R기 말단의 하이드록시기에 있는 수소를 인산기로 대체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는 R기에 음전하를 추가하여 아미노산이 표준 대응물과 비교하여 다르게 작용하도록 한다. 이황화 결합 형성은 사슬 내의 두 시스테인 아미노산 사이에 이황화 가교(공유 결합)를 생성하여 접힌 구조에 안정성을 더한다.[17]

2. 2. 4. 단백질 접힘 (Protein folding)

세포 내의 폴리펩타이드 사슬은 선형으로 유지될 필요가 없으며, 가지를 치거나 자체적으로 접힐 수 있다. 폴리펩타이드 사슬은 그것이 놓여 있는 용액에 따라 특정한 방식으로 접힌다. 모든 아미노산이 서로 다른 특성을 가진 R기를 가지고 있다는 사실이 단백질이 접히는 주된 이유이다.

  • 친수성 환경, 예를 들어 세포질에서는, 소수성 아미노산은 단백질의 중심부에 집중되는 반면, 친수성 아미노산은 외부에 위치하게 된다. 이는 물 분자가 소수성 아미노산보다 친수성 아미노산 주위에서 훨씬 더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기 때문에 엔트로피적으로 유리하다.
  • 소수성 환경에서는 친수성 아미노산이 단백질의 중심부에 집중되는 반면, 소수성 아미노산은 외부에 위치하게 된다. 친수성 아미노산 간의 새로운 상호 작용이 소수성-친수성 상호 작용보다 강하기 때문에, 이는 엔탈피적으로 유리하다.[18]


폴리펩타이드 사슬이 완전히 접히면, 이를 단백질이라고 부른다. 종종 많은 서브유닛이 결합하여 완전한 기능을 하는 단백질을 만들지만, 하나의 폴리펩타이드 사슬만 포함하는 생리적 단백질도 존재한다. 단백질은 또한 혈액 내에서 산소를 운반하는 단백질인 헤모글로빈 그룹과 같은 다른 분자를 통합할 수 있다.[19]

3. 단백질 분해

단백질 분해는 단백질아미노산으로 분해되는 과정이다. 단백질 분해라고도 불리며, 추가적인 아미노산 분해가 뒤따를 수 있다.

단백질 분해는 효소에 의해서, 혹은 pH 농도나 온도의 변화와 같은 환경 변화에 의해서 일어날 수 있다.

3. 1. 효소에 의한 단백질 이화작용

단백질 분해 효소는 원래 효소 촉매작용을 방해하는 것으로만 생각되었지만, 실제로는 절단을 통해 단백질을 이화작용하고 이전에 존재하지 않았던 새로운 단백질을 생성하는 데 기여한다. 또한, 단백질 분해 효소는 대사 경로를 조절하는 데 도움을 준다. 단백질 분해 효소가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는 한 가지 방식은 작동할 필요가 없는 경로의 효소를 절단하는 것이다(예: 혈액 포도당 농도가 높을 때의 포도당 신생합성). 이는 가능한 한 많은 에너지를 절약하고 헛돌이 회로를 피하는 데 도움이 된다.[20] 헛돌이 회로는 이화 작용 경로와 동화 작용 경로가 동일한 반응에 대해 동시에 같은 속도로 작용할 때 발생한다. 생성된 중간체가 소비되므로 신체는 순 이득을 얻지 못하고, 헛돌이 회로를 통해 에너지가 손실된다. 단백질 분해 효소는 경로 중 하나의 속도를 변경하거나 주요 효소를 절단하여 이러한 회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20] 단백질 분해 효소는 기질에 결합할 때 비특이적이어서 세포 내 및 다른 단백질 내에서 매우 다양한 작용을 할 수 있으며, 이는 에너지 효율적인 방식으로 훨씬 더 쉽게 절단될 수 있기 때문이다.[20]

아스파르틸 단백질 분해 효소가 펩타이드 결합을 절단하는 가능한 메커니즘. 펩타이드 결합과 활성 부위만 표시됨.


많은 단백질 분해 효소는 비특이적이므로 세포 내에서 고도로 조절된다. 조절이 없으면 단백질 분해 효소는 생리적 과정에 필수적인 많은 단백질을 파괴할 것이다. 신체가 단백질 분해 효소를 조절하는 한 가지 방법은 단백질 분해 효소 억제제를 사용하는 것이다. 단백질 분해 효소 억제제는 다른 단백질, 작은 펩타이드 또는 분자일 수 있다. 단백질 분해 효소 억제제에는 가역적 및 비가역적 두 가지 유형이 있다. 가역적 단백질 분해 효소 억제제는 단백질 분해 효소와 비공유 결합을 형성하여 기능을 제한한다. 이들은 경쟁적 저해제, 비경쟁적 저해제, 불경쟁적 저해제일 수 있다. 경쟁적 저해제는 펩타이드와 경쟁하여 단백질 분해 효소 활성 부위에 결합한다. 불경쟁적 저해제는 펩타이드가 결합된 상태에서 단백질 분해 효소에 결합하지만 단백질 분해 효소가 펩타이드 결합을 절단하지 못하게 한다. 비경쟁적 저해제는 두 가지 모두 수행할 수 있다. 비가역적 단백질 분해 효소 억제제는 단백질 분해 효소의 활성 부위를 공유 결합으로 수정하여 펩타이드를 절단할 수 없게 한다.[21]

3. 2. 환경 변화에 의한 단백질 이화작용

세포 내 단백질은 아미노산의 양성자화 상태 변화를 막기 위해 비교적 일정한 pH를 유지한다.[24] pH가 낮아지면 폴리펩타이드 사슬의 일부 아미노산은 해당 R기의 pKa가 새로운 pH보다 높을 때 양성자화될 수 있다. 양성자화는 이러한 R기의 전하를 변화시킬 수 있다. pH가 높아지면 사슬의 일부 아미노산은 탈양성자화될 수 있다(R기의 pKa가 새로운 pH보다 낮으면). 이 또한 R기의 전하를 변화시킨다. 많은 아미노산이 정전기적 인력에 기반하여 다른 아미노산과 상호 작용하기 때문에, 전하 변화는 이러한 상호 작용을 파괴할 수 있다. 이러한 상호 작용의 손실은 단백질 구조를 변화시키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단백질 기능을 변화시키며, 이는 유익하거나 해로울 수 있다. pH의 상당한 변화는 아미노산이 만드는 많은 상호 작용을 방해하고 단백질을 변성시킬 수도 있다.[24]

온도와 같은 환경 요인이 증가하면 분자가 더 빠르게 움직인다. 수소 결합과 소수성 상호 작용은 단백질에서 중요한 안정화력이다. 온도가 상승하여 이러한 상호 작용을 포함하는 분자가 너무 빨리 움직이면 상호 작용이 손상되거나 심지어 파괴된다. 고온에서는 이러한 상호 작용이 형성될 수 없으며, 기능적인 단백질은 변성된다.[25] 그러나 이는 사용된 단백질의 유형과 가해진 열의 양이라는 두 가지 요인에 달려 있다. 가해진 열의 양은 단백질의 이러한 변화가 영구적인지, 아니면 원래 형태로 되돌릴 수 있는지 여부를 결정한다.[26]

4. 에너지 대사

분해된 단백질은 아미노산의 이화작용으로 에너지를 공급하는 에너지대사의 경로에 참여한다. 다양한 아미노산들은 아미노기가 안전하게 제거된 후 안정화되어 시트르산 회로에 관여됨으로써 에너지 공급원으로 사용될 뿐만 아니라 포도당생성 아미노산이나 케톤생성 아미노산으로 유도될 수 있다.

5. 분해 대사 관련 질병

아미노산 분해 과정의 이상은 여러 질병을 일으킬 수 있으며, 이는 신경계 및 운동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정신 질환과도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단풍시럽병은 발린, 아이소류신, 류신과 같은 분지사슬 아미노산(branched chain amino acid) 분해 장애로 인해 나타난다.[1]
  • 알캅톤뇨증은 페닐알라닌과 타이로신 분해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을 때 발생한다.[1]
  • 페닐알라닌 하이드록실레이스 결핍은 페닐케톤뇨증을 유발할 수 있다.[1]

참조

[1] 웹사이트 Transcription, Translation and Replication https://www.atdbio.c[...] 2019-02-12
[2] 서적 Biochemistry https://archive.org/[...] W.H. Freeman 2002
[3] 웹사이트 Protein Metabolism https://www.encyclop[...] 2020-10-07
[4] 논문 Dietary protein and the blood glucose concentration 2013-05
[5] 서적 Physiology and Physiopathology of Adipose Tissue Springer 2013
[6] 서적 Fundamentals of biochemistry : life at the molecular level Wiley
[7] 웹사이트 Amino Acid Synthesis https://homepages.rp[...] 2019-02-20
[8] 서적 Genomes Bios 2002
[9] 웹사이트 Chemistry for Biologists: Nucleic acids http://www.rsc.org/E[...] 2019-02-20
[10] 서적 An introduction to genetic analysis W.H. Freeman 2000
[11] 서적 Molecular biology of the cell
[12] 웹사이트 National Human Genome Research Institute (NHGRI) https://www.genome.g[...] 2019-02-20
[13] 서적 The Cell: A Molecular Approach https://archive.org/[...] ASM Press 2000
[14] 웹사이트 MolGenT - tRNA Charging https://halo.umbc.ed[...] 2019-03-22
[15] 웹사이트 miRNA (microRNA) Introduction https://www.sigmaald[...] 2019-03-22
[16] 논문 Eukaryotic initiation factor eIF2 1999-01
[17] 서적 Comprehensive Natural Products II Elsevier 2010
[18] 서적 Molecular cell biology https://archive.org/[...] W.H. Freeman 2000
[19] 웹사이트 Heme https://pubchem.ncbi[...] 2019-02-20
[20] 논문 Proteases: multifunctional enzymes in life and disease 2008-11
[21] 서적 Antiretroviral resistance in clinical practice Mediscript 2006
[22] 논문 Aminopeptidases: structure and function 1993-02
[23] 웹사이트 Carboxypeptidase http://www.chemistry[...] 2019-03-23
[24] 서적 Lehninger principles of biochemistry W.H. Freeman and Company 2013
[25] 웹사이트 Denaturation Protein http://chemistry.elm[...] 2019-02-20
[26] 논문 Temperature effects on the nucleation mechanism of protein folding and on the barrierless thermal denaturation of a native protein 20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