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대한민국의 국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한민국의 국새는 대한민국 정부를 대표하는 인장으로, 헌법 공포, 외교 문서 등에 사용된다. 국새는 고대부터 조선, 대한제국을 거쳐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 여러 차례 디자인이 변경되었다. 현재는 2011년에 제작된 다섯 번째 국새가 사용 중이며, 재질은 금 합금이고, 인문은 훈민정음체로 '대한민국'을 새겼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상징 - 숭례문
    숭례문은 1398년에 완공된 조선 시대 서울의 대표적인 건축물이며, 국보 제1호로 지정되었으나 방화 사건으로 훼손되어 복구되었고, 다양한 논란의 중심에 서기도 했다.
  • 대한민국의 상징 - 무궁화
    무궁화는 한국의 국화로 여겨지는 낙엽 관목으로, 여름 동안 다양한 색깔의 꽃을 피우며 관상용으로 널리 재배되고, 강한 생명력을 지닌 역사적으로 중요한 식물이다.
  • 인장 - 국새
    국새는 국가 중요 문서의 진정성과 법적 효력을 보장하는 인장으로, 대한민국에서는 헌법 공포문 등에 사용되며, 시대에 따라 디자인과 재료가 변화하고 위조 및 남용은 엄중히 처벌된다.
  • 인장 - 도장
    도장은 개인이나 기관의 신분 증명과 문서의 진위 확인을 위해 사용되는 도구이며, 다양한 형태와 재료로 제작되어 역사적으로 전 세계에서 사용되어 왔다.
  • 한국의 역사 - 일제강점기
    일제강점기는 1910년부터 1945년까지 35년간 지속된 시기로, 강제 병합, 경제적 착취, 정치적 억압, 문화적 동화 정책 등이 특징이며, 3·1 운동과 같은 독립 운동이 전개되었고, 위안부 문제 등 심각한 인권 유린이 있었으며, 현재까지도 다양한 논의와 연구의 대상이 되고 있다.
  • 한국의 역사 - 국가재건최고회의
    국가재건최고회의는 1961년 5·16 군사정변 이후 수립된 군사 정권 기구로, 헌법 일부 조항 효력 정지, 국회 해산 등 권위주의적 통치를 펼치며 경제 개발을 추진했으나 민주주의를 후퇴시켰다는 비판을 받았고, 1963년 제3공화국 출범과 함께 해산되었다.
대한민국의 국새
국새 정보
국가대한민국
채택일2011년 10월 25일
표어대한민국
국새 상세 정보
설명대한민국의 국가를 상징하는 도장
관련 문서대한민국의 국장, 대한민국의 국기
참고 자료
자료국새 (State Seal) Consummate Work of Korea's Master Craftsmen
Pembuatan Segel Nasional Korea Selatan yang baru

2. 역사

대한민국 국새의 역사는 고대부터 현대까지 한반도에서 사용된 다양한 인장의 역사를 반영한다. 국새는 크게 외교 문서에 사용되는 국인(國印) 또는 대보(大寶)와 국내용 보인(寶印)으로 나뉜다. 갑오개혁 이전까지 국인은 대부분 중국 왕조로부터 받았고, 보인은 국내에서 제작되었다.[15]

조선 시대에는 다양한 국새가 사용되었는데, 영조 때는 대보(大寶), 시명지보(施命之寶)를 비롯한 여러 종류의 국새를 사용하였다. 1636년(인조 14년)까지는 중국과의 외교 문서에만 국새를 사용하였으나, 병자호란 이후에는 청나라에서 만든 대보를 사용하였다. 숙종 때에는 명나라에서 받은 옛 국인을 모방하여 왕위 계승 의식에 사용하기도 하였다. 1894년 갑오개혁 이후에는 대조선국보(大朝鮮國寶) 등을 사용하였다.[15]

대한제국 칙명지보


대한제국 칙명지보의 보면

2. 1. 고대 ~ 조선 시대

환웅환인에게 받았다는 천부인을 최초의 국새로 보는 주장이 있으며, 부여의 예왕이 사용한 예왕지인(濊王之印)에 대한 기록이 남아있다. 삼국 시대에는 명확한 기록은 없으나, 중국과의 외교 문서에 국새를 사용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고려 시대에는 금나라, 요나라, 원나라, 명나라 등에서 인장을 보내왔다. 원나라에서는 부마국왕선명정동행중서성(駙馬國王宣命征東行中書省)의 도장을 보내 왔으며, 1370년(공민왕 19년)에는 명나라에서 고려국왕지인(高麗國王之印)을 보내왔다.[15]

조선 건국 후 1403년(태종 3년) 명나라로부터 조선국왕지인(朝鮮國王之印)을 받았고, 세종은 체천목민영창후사(體天牧民永昌後嗣)를, 성종은 시명지보(施命之寶)를 제작하여 사용하였다. 영조 때는 대보(大寶), 시명지보, 이덕보(以德寶) 등 다양한 종류의 국새를 사용하였다. 1636년(인조 14년) 병자호란 이후에는 청나라에서 만든 대보를 사용했으나, 숙종 때 명나라에서 준 옛 국인을 모방하여 왕위 계승 의식에 사용하였다. 1894년 갑오개혁 이후에는 1881년 ~ 1882년경에 제작한 대조선국보(大朝鮮國寶)와 대조선대군주지보(大朝鮮大君主之寶) 등을 사용하였다.[15]

2. 2. 대한제국 ~ 대한민국

1897년 대한제국이 수립되면서 대한국새(大韓國璽), 황제지새(皇帝之璽), 황제지보(皇帝之寶), 칙명지보(勅命之寶), 제고지보(制誥之寶), 시명지보(施明之寶), 대원수보(大元帥寶), 원수지보(元帥之寶) 등을 제작하여 사용하였다.[15]

1948년 8월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 정부는 1949년 5월 5일 새로운 국새를 제정하였다. 국새는 헌법 공포, 국무위원 및 대사 임명, 훈장 수여, 중요 외교 문서 등에 사용된다.[3][4]

국새의 디자인은 여러 차례 수정되었다. 1960년대 초까지 사용된 최초의 국새는 한자로 "대한민국지새"(大韓民國之璽한국어)라고 새겨져 있으며, 은으로 만들어졌고, 상단에는 사슬이 장식으로 달려 있었다.[3][5] 이후 한글로 새기고 거북 모양으로 꾸몄다. 세 번째 국새는 봉황 두 마리와 무궁화를 장식으로 사용하여 금으로 제작되었다. 네 번째 국새는 봉황만 장식으로 사용하였다. 다섯 번째 국새는 다시 봉황 두 마리와 무궁화를 상단에 장식으로 사용하였다.[3][6][7]

현재 사용 중인 국새는 다섯 번째 버전으로, 2011년 9월에 디자인되어 2011년 10월에 채택되었다.[3]

3. 대한민국 국새 현황

대한민국의 국새는 대통령령인 《국새규정》에 따라 행정안전부 장관이 관리하며, 헌법공포문 전문, 5급 이상 공무원 임명장, 훈·포장 증서, 중요 외교 문서 등에 날인된다.[8][11]

국새의 인면(印面)은 10.1cm의 정방형이며, 재질은 금을 기본으로 하되 경도를 고려하여 합금한다.[9] 인문(印文)은 대한민국을 한글로 가로 새기며, 훈민정음 창제 당시의 자체를 사용한다.[10]

3. 1. 역대 대한민국 국새

대한민국의 국새는 총 5번 제작되었다. 각 국새는 제작 시기, 재질, 크기, 인문(印文, 도장에 새겨진 글), 인뉴(印鈕, 국새 손잡이) 등에서 차이를 보인다.

국새제작 시기재질크기 및 무게인문인뉴비고
제1대 국새1948년6.06cm 정방형대한민국지새(大韓民國之璽) (한자 전서체) 또는 삽살개현재 소재 불명[12]
제2대 국새1963년7cm 정방형, 2.0kg대한민국 (한글 전서체)거북이국가기록원 소장[12]
제3대 국새1999년10.1cm 정방형, 2.15kg대한민국 (훈민정음체)봉황무궁화국가기록원 소장[13], 균열 발생 후 폐기[13], 제4대 국새 폐기 후 임시 사용[14]
제4대 국새2008년9.9cm 정방형, 2.9kg대한민국 (훈민정음체)봉황국가기록원 소장, 제작자 민홍규 사기 사건[17]으로 폐기
제5대 국새2011년, , 구리, 아연, 이리듐 합금10.4cm (가로, 세로, 높이), 3.38kg대한민국 (훈민정음체)봉황무궁화현행 국새,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제작[20], 특허청 디자인 등록[20]


3. 1. 1. 제1대 국새

1948년에 제작되어 1962년 12월 31일까지 사용되었지만 현재 소재를 알 수 없다. 재질은 이며, 인면은 6.06cm의 정방형이다. 인문은 대한민국지새(大韓民國之璽)를 한자 전서체로 새겼다. 인뉴(印鈕)가 인지 삽살개인지 논란이 있다.[12] 1949년 5월 5일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 제정되었으며, 헌법 공포, 국무위원 및 대사 임명, 훈장 수여, 중요 외교 문서 등에 사용된다.[3][4]

최초의 국새는 한자로 "대한민국지새"(大韓民國之璽|대한민국지새중국어)라고 새겨져 있으며, 은으로 만들어졌고, 상단에는 사슬이 장식으로 달려 있었다.[3][5]

3. 1. 2. 제2대 국새

1963년 1월 1일부터 1999년 1월 31일까지 사용되었다. 재질은 이며, 7cm의 정방형으로 무게는 2.0kg이다. 인문은 대한민국을 한글 전서체로 새겼으며, 인뉴는 거북이 모양이다. 제2대 국새는 현재 국가기록원에 소장되어 있다.[12]

3. 1. 3. 제3대 국새

1999년 2월 1일부터 2008년 2월 21일까지 사용되었다. 재질은 이며, 인면은 10.1cm의 정방형이고 무게는 2.15kg이다. 인문은 대한민국을 훈민정음체로 새겼으며[13], 인뉴는 봉황무궁화이다.[12] 2005년에 국새 안쪽에 균열이 생겨 흠이 있는 것으로 밝혀져 폐기되었다.[13] 그러나 제4대 국새가 2010년에 제작 책임자의 사기 사건으로 폐기되자, 균열이 발견되어 폐기되었던 제3대 국새를 보수하여 제5대 국새가 완성될 때까지 임시로 사용하였다.[14] 제3대 국새는 현재 국가기록원에 소장되어 있다.

3. 1. 4. 제4대 국새

2008년 2월 22일부터 2010년 11월 30일까지 사용되었다.[15] 재질은 이며, 인면은 9.9cm의 정방형으로 무게는 2.9kg이다. 인문은 '대한민국'을 훈민정음체로 새겼으며, 인뉴는 봉황이다. 제3대 국새에서 균열이 발견되자 2005년 10월에 국새를 새로 제작하기로 결정한 뒤, 2006년 3월에 국새제작자문위원회를 구성하여 공모 절차를 거쳐 민홍규를 제작자로 선정하였다. 국새와 함께 16종의 국새 의장품이 해당 분야 장인을 통해 제작되었다.[16] 그러나 2010년 9월, 제작자 민홍규가 전통 기법으로 만들겠다고 정부와 계약했음에도 현대적 방식으로 제작하여 납품한 사기 혐의로 기소되면서 제4대 국새는 폐기되었다.[17] 현재 국가기록원에 소장되어 있다.

3. 1. 5. 제5대 국새

2011년 10월 25일부터 사용되고 있다.[18] 재질은 , , 구리, 아연, 이리듐으로 구성된 금 합금이며, 크기는 가로, 세로, 높이 10.4cm, 무게는 3.38kg이다. 인문은 대한민국을 훈민정음체로 새겼으며, 인뉴는 봉황무궁화이다.[19] 2010년 10월 29일 제5대 국새 제작이 결정된 후 경쟁입찰을 통해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이 제작자로 선정되었으며, KIST는 2011년 6월 16일 제작에 착수하여 9월 30일 국새를 납품하였다. 내·외부 균열 방지를 위해 이리듐을 첨가하고, 인뉴와 인문을 분리하지 않는 일체형 주조 방식으로 제작되었다. 2011년 9월 9일 특허청에 디자인 등록 출원(출원번호 30-2011-0037989)하여 디자인 보호 조치가 이루어졌다. 국새의 품질은 국방기술품질원의 비파괴 검사, 파괴 검사, 내시경 검사 등을 통해 과학적으로 검증되었다.[20]

4. 갤러리

참조

[1] 논문 Guksae (State Seal) Consummate Work of Korea's Master Craftsmen http://koreana.kf.or[...] 2008-06-01 # Summer 2008을 6월 1일로 가정
[2] 웹사이트 Pembuatan Segel Nasional Korea Selatan yang baru http://rki.kbs.co.kr[...] KBS World (Indonesian TV channel) 2006-02-14
[3] 서적 National Symbols of the Republic of Korea: Uniting People and Elevating National Pride http://www.mois.go.k[...] Ministry of the Interior of the Republic of Korea 2017
[4] 웹사이트 국가상징 https://www.mois.go.[...] Ministry of the Interior of the Republic of Korea 2024-08-02
[5] 웹사이트 사라진 대한민국 첫 국새 찾아라 http://korea.pa.go.k[...] Presidential Archives 2005-10-28
[6] 웹사이트 3대 국새 둘러보기 https://www.archives[...] National Archives of Korea
[7] 웹사이트 '대한민국 국새' 경남 산청서 시험 날인 https://news.kbs.co.[...] KBS 2007-12-03
[8] 법률 《국새규정》 제6조(국새의 사용)
[9] 법률 《국새규정》 제4조(규격 및 재질)
[10] 법률 《국새규정》 제5조(국새의 인문)
[11] 법률 《국새규정》 제8조(국새의 관리)
[12] 뉴스 사라진 대한민국 첫 국새 찾아라 http://korea.pa.go.k[...] 국정브리핑 2005-10-28
[13] 뉴스 '3대 국새' 영구보존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08-03-23
[14] 뉴스 제3대 국새 기계연서 복원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10-11-19
[15] 웹사이트 국새의 기원과 역사 http://www.mospa.go.[...] 행정안전부 홈페이지
[16] 뉴스 대한민국 제4대 국새, 모습 드러내 https://news.naver.c[...] 파이낸셜뉴스 2008-01-29
[17] 뉴스 탈많은 4代 국새 폐기…내년 6월 5代 국새 선봬 https://news.naver.c[...] 헤럴드경제 2010-11-23
[18] 뉴스 제5대 국새, 국민훈장 증서에 첫 날인 https://news.naver.c[...] 공감코리아 2011-10-25
[19] 뉴스 제5대 국새와 제3대 국새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11-10-04
[20] 뉴스 제5대 국새 공개 https://news.naver.c[...] 공감코리아 2011-10-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