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동경 126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동경 126도는 북극점에서 남극점까지 이어지는 경선으로, 다양한 국가와 해역을 통과한다. 이 경선은 북극해, 랍테프해, 러시아, 중국, 북한, 황해, 대한민국, 동중국해, 태평양, 필리핀, 다바오만, 몰루카해를 지나며, 적도 이남에서는 인도네시아, 동티모르, 오스트레일리아, 남극을 통과한다. 한반도를 지나는 동경 126도는 북한과 대한민국의 영토를 지나며, 황해를 거쳐 제주도 서쪽 해역을 통과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경선 - 파리 자오선
    파리 자오선은 파리 천문대를 기준으로 하는 자오선으로, 프랑스에서 지도의 기준으로 사용되었고 지구 크기 측정과 미터법 정의에 기여했으나, 그리니치 자오선이 국제 표준으로 채택된 후 중요성이 감소했지만 일부 지도나 예술 작품에 활용된다.
  • 경선 - 경도 180도
    경도 180도는 북극점에서 남극점까지 이어지는 지리 좌표의 한 종류이며, 러시아, 피지, 남극 대륙 등을 통과하고, 열대 저기압 명칭 구분 기준이 되며, 지리 데이터 처리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다.
  • 국기 - 중구 (부산광역시)
    부산광역시 중구는 부산의 중심지로, 과거 왜관이 위치했으며 부산부청과 부산시청이 있었고 현재는 교통의 요지이자 다양한 관광 명소를 보유하고 있다.
  • 국기 - 아시아
    아시아는 세계에서 가장 크고 인구가 많은 대륙으로, 유라시아 동쪽 4/5를 차지하며, 4대 문명 중 3개의 발원지이고 다양한 종교와 문화가 발전했으며 경제 성장과 분쟁을 동시에 겪고 있다.
동경 126도
개요
종류경도선
위치동경 126도
통과 지역북극해
랍테프해
러시아
중국
북한
황해
한국
동중국해
태평양
필리핀
다바오만
말루쿠해
인도네시아
스람해
반다해
동티모르
티모르해
인도양
호주
남극해
남극
주요 경유 국가 및 지역
러시아사하 공화국 (야쿠티아)
아무르주
중국헤이룽장성
지린성
북한평안북도
평안남도
황해북도
강원도
한국경기도
충청남도
전라북도
전라남도
필리핀동다바오주
다바오오리엔탈주
남다바오주
술탄쿠다라트주
사란가니주
상세 경로
북극에서 남극까지동경 126도선은 북극에서 시작하여 북극해, 랍테프해, 러시아, 중국, 북한, 황해, 한국, 동중국해, 태평양, 필리핀, 말루쿠해, 인도네시아, 동티모르, 티모르해, 인도양, 호주, 남극해를 거쳐 남극까지 이른다.

2. 통과 지역

아무르주 — 북위 55° 43′ 동경 126° 0′  / 북위 55.717° 동경 126.000°  / 55.717; 126.000 (아무르주)에서북위 52° 46′ 동경 126° 0′  / 북위 52.767° 동경 126.000°  / 52.767; 126.000 (중국)중국헤이룽장성 — 약 10 km북위 52° 40′ 동경 126° 0′  / 북위 52.667° 동경 126.000°  / 52.667; 126.000 (러시아)러시아아무르주 — 약 9 km북위 52° 35′ 동경 126° 0′  / 북위 52.583° 동경 126.000°  / 52.583; 126.000 (중국)중국헤이룽장성
내몽골 자치구 — 북위 50° 56′ 동경 126° 0′  / 북위 50.933° 동경 126.000°  / 50.933; 126.000 (내몽골 자치구)에서 약 1 km
헤이룽장성 — 북위 50° 55′ 동경 126° 0′  / 북위 50.917° 동경 126.000°  / 50.917; 126.000 (헤이룽장성)에서
지린성 — 북위 45° 11′ 동경 126° 0′  / 북위 45.183° 동경 126.000°  / 45.183; 126.000 (지린성)에서북위 40° 56′ 동경 126° 0′  / 북위 40.933° 동경 126.000°  / 40.933; 126.000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북한약 2 km북위 40° 55′ 동경 126° 0′  / 북위 40.917° 동경 126.000°  / 40.917; 126.000 (중국)중국지린성 — 약 2 km북위 40° 53′ 동경 126° 0′  / 북위 40.883° 동경 126.000°  / 40.883; 126.000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북한자강도, 함경북도, 함경남도, 평양직할시 - 중심부 동쪽,황해북도, 황해남도북위 37° 52′ 동경 126° 0′  / 북위 37.867° 동경 126.000°  / 37.867; 126.000 (황해)황해경기만 - 덕적군도 통과,
태안반도 서쪽 통과북위 34° 53′ 동경 126° 0′  / 북위 34.883° 동경 126.000°  / 34.883; 126.000 (대한민국)대한민국신안군 · 진도군의 여러 섬북위 34° 15′ 동경 126° 0′  / 북위 34.250° 동경 126.000°  / 34.250; 126.000 (황해)황해대한민국 · 제주도 (북위 33° 17′ 동경 126° 9′  / 북위 33.283° 동경 126.150°  / 33.283; 126.150 (제주도)) 서쪽북위 33° 17′ 동경 126° 0′  / 북위 33.283° 동경 126.000°  / 33.283; 126.000 (동중국해)동중국해style="background:#b0e0e6;" |북위 25° 15′ 동경 126° 0′  / 북위 25.250° 동경 126.000°  / 25.250; 126.000 (태평양)태평양필리핀해
— 칼리코안섬 동쪽 (북위 10° 56′ 동경 125° 50′  / 북위 10.933° 동경 125.833°  / 10.933; 125.833 (칼리코안섬))
— 술루안섬 동쪽 (북위 10° 45′ 동경 125° 58′  / 북위 10.750° 동경 125.967°  / 10.750; 125.967 (술루안섬))북위 9° 57′ 동경 126° 0′  / 북위 9.950° 동경 126.000°  / 9.950; 126.000 (필리핀)필리핀시아르가오섬, 미들부카스섬북위 9° 42′ 동경 126° 0′  / 북위 9.700° 동경 126.000°  / 9.700; 126.000 (태평양)태평양필리핀해북위 9° 18′ 동경 126° 0′  / 북위 9.300° 동경 126.000°  / 9.300; 126.000 (필리핀)필리핀민다나오섬북위 6° 54′ 동경 126° 0′  / 북위 6.900° 동경 126.000°  / 6.900; 126.000 (다바오만)다바오만style="background:#b0e0e6;" |북위 6° 12′ 동경 126° 0′  / 북위 6.200° 동경 126.000°  / 6.200; 126.000 (태평양)태평양style="background:#b0e0e6;" |북위 3° 29′ 동경 126° 0′  / 북위 3.483° 동경 126.000°  / 3.483; 126.000 (몰루카해)몰루카해style="background:#b0e0e6;" |



```

```wikitext

동경 126도 선은 적도 이남에서 인도네시아, 동티모르, 오스트레일리아, 남극을 통과한다.

동경 126도 선은 인도네시아의 망골레섬을 통과한 후, 세람해로 진입한다. 그 후 사나나섬을 지나 반다해에 진입한다. 부루섬의 최서단을 지나 다시 반다해로 들어간다. 웨타르섬을 통과하고 다시 반다해로 진입한다.

동경 126도 선은 동티모르티모르섬을 통과한다. 이후 티모르해를 지나 인도양으로 진입한다.

동경 126도 선은 오스트레일리아서오스트레일리아주를 통과한다. 이후 다시 인도양으로 진입하는데, 오스트레일리아 당국은 이 해역을 남극해의 일부로 간주한다.

동경 126도 선은 남극해를 지나 남극 대륙의 오스트레일리아령 남극을 통과한다. 이곳은 오스트레일리아가 영유권을 주장하는 지역이다.

지리 좌표국토·영토·영해비고
남위 1° 48′ 동경 126° 0′  / 남위 1.800° 동경 126.000°  / -1.800; 126.000 (인도네시아)인도네시아망골레섬
남위 1° 54′ 동경 126° 0′  / 남위 1.900° 동경 126.000°  / -1.900; 126.000 (세람해)세람해style="background:#b0e0e6;" |
남위 2° 15′ 동경 126° 0′  / 남위 2.250° 동경 126.000°  / -2.250; 126.000 (인도네시아)인도네시아사나나섬
남위 2° 28′ 동경 126° 0′  / 남위 2.467° 동경 126.000°  / -2.467; 126.000 (반다해)반다해style="background:#b0e0e6;" |
남위 3° 13′ 동경 126° 0′  / 남위 3.217° 동경 126.000°  / -3.217; 126.000 (인도네시아)인도네시아부루섬 — 최서단
남위 3° 18′ 동경 126° 0′  / 남위 3.300° 동경 126.000°  / -3.300; 126.000 (반다해)반다해style="background:#b0e0e6;" |
남위 7° 40′ 동경 126° 0′  / 남위 7.667° 동경 126.000°  / -7.667; 126.000 (인도네시아)인도네시아웨타르섬
남위 7° 54′ 동경 126° 0′  / 남위 7.900° 동경 126.000°  / -7.900; 126.000 (반다해)반다해style="background:#b0e0e6;" |
남위 8° 30′ 동경 126° 0′  / 남위 8.500° 동경 126.000°  / -8.500; 126.000 (동티모르)동티모르티모르섬
남위 9° 6′ 동경 126° 0′  / 남위 9.100° 동경 126.000°  / -9.100; 126.000 (티모르해)티모르해style="background:#b0e0e6;" |
남위 13° 7′ 동경 126° 0′  / 남위 13.117° 동경 126.000°  / -13.117; 126.000 (인도양)인도양style="background:#b0e0e6;" |
남위 14° 1′ 동경 126° 0′  / 남위 14.017° 동경 126.000°  / -14.017; 126.000 (오스트레일리아)오스트레일리아서오스트레일리아주
남위 32° 17′ 동경 126° 0′  / 남위 32.283° 동경 126.000°  / -32.283; 126.000 (인도양)인도양오스트레일리아 당국은 이 해역이 남극해의 일부라고 주장하고 있다.
남위 60° 0′ 동경 126° 0′  / 남위 60.000° 동경 126.000°  / -60.000; 126.000 (남극해)남극해style="background:#b0e0e6;" |
남위 66° 17′ 동경 126° 0′  / 남위 66.283° 동경 126.000°  / -66.283; 126.000 (남극 대륙)남극 대륙오스트레일리아령 남극 - 오스트레일리아가 영유권 주장


2. 1. 북반구

아무르주 — 에서

|-valign="top"

|

! scope="row" | 중국

| 헤이룽장성 — 약 10 km

|-

|

! scope="row" | }}} 러시아

| 아무르주 — 약 9 km

|-valign="top"

|

! scope="row" | 중국

| 헤이룽장성
내몽골 자치구 — 에서 약 1 km
헤이룽장성 — 에서
지린성 — 에서

|-

|

! scope="row" | 북한

| 약 2 km

|-valign="top"

|

! scope="row" | 중국

| 지린성 — 약 2 km

|-

|

! scope="row" | 북한

| 자강도, 함경북도, 함경남도, 평양직할시 - 중심부 동쪽,황해북도, 황해남도

|-

| style="background:#b0e0e6;" |

! scope="row" style="background:#b0e0e6;" | 황해

| style="background:#b0e0e6;" | 경기만 - 덕적군도 통과,
태안반도 서쪽 통과

|-

|

! scope="row" | 대한민국

| 신안군 · 진도군의 여러 섬

|-valign="top"

| style="background:#b0e0e6;" |

! scope="row" style="background:#b0e0e6;" | 황해

| style="background:#b0e0e6;" | 제주도 서쪽 (에 위치)

|-

| style="background:#b0e0e6;" |

! scope="row" style="background:#b0e0e6;" | 동중국해

| style="background:#b0e0e6;" |

|-valign="top"

| style="background:#b0e0e6;" |

! scope="row" style="background:#b0e0e6;" | 태평양

| style="background:#b0e0e6;" | 필리핀해
— 칼리코안섬 동쪽 (에 위치)
— 술루안섬 동쪽 (에 위치)

|-

|

! scope="row" | 필리핀

| 시아가오섬 및 미들 부카스섬

|-

| style="background:#b0e0e6;" |

! scope="row" style="background:#b0e0e6;" | 태평양

| style="background:#b0e0e6;" | 필리핀해

|-

|

! scope="row" | 필리핀

| 민다나오섬

|-

| style="background:#b0e0e6;" |

! scope="row" style="background:#b0e0e6;" | 다바오만

| style="background:#b0e0e6;" |

|-

| style="background:#b0e0e6;" |

! scope="row" style="background:#b0e0e6;" | 태평양

| style="background:#b0e0e6;" |

|-

| style="background:#b0e0e6;" |

! scope="row" style="background:#b0e0e6;" | 몰루카해

| style="background:#b0e0e6;" |

|}

2. 2. 적도 이남

동경 126도 선은 적도 이남에서 인도네시아, 동티모르, 오스트레일리아, 남극을 통과한다.

동경 126도 선은 인도네시아의 망골레섬(Mangole Island)을 통과한 후, 세람해로 진입한다. 그 후 사나나섬을 지나 반다해에 진입한다. 부루섬의 최서단을 지나 다시 반다해로 들어간다. 웨타르섬을 통과하고 다시 반다해로 진입한다.

동경 126도 선은 동티모르티모르섬을 통과한다. 이후 티모르해를 지나 인도양으로 진입한다.

동경 126도 선은 오스트레일리아서오스트레일리아주를 통과한다. 이후 다시 인도양으로 진입하는데, 오스트레일리아 당국은 이 해역을 남극해의 일부로 간주한다.

동경 126도 선은 남극해를 지나 남극 대륙의 오스트레일리아령 남극을 통과한다. 이곳은 오스트레일리아가 영유권을 주장하는 지역이다.

지리 좌표국토·영토·영해비고
인도네시아망골레섬
세람해style="background:#b0e0e6;" |
인도네시아사나나섬
반다해style="background:#b0e0e6;" |
인도네시아부루섬 — 최서단
반다해style="background:#b0e0e6;" |
인도네시아웨타르섬
반다해style="background:#b0e0e6;" |
동티모르티모르섬
티모르해style="background:#b0e0e6;" |
인도양style="background:#b0e0e6;" |
오스트레일리아서오스트레일리아주
인도양오스트레일리아 당국은 이 해역이 남극해의 일부라고 주장하고 있다.
남극해style="background:#b0e0e6;" |
남극 대륙오스트레일리아령 남극 - 오스트레일리아가 영유권 주장


3. 한반도와 동경 126도

동경 126도는 북극점에서 남극점까지 이어지는 경선으로, 여러 국가와 해역을 통과한다.

동경 126도는 한반도를 지나는데, 북한한국의 영토를 통과한다. 북한에서는 약 2km 구간을 지난 후 다시 중국 지린성을 약 2km 지난 후 다시 북한을 지난다. 그 후 황해를 지나 한국 신안군진도군의 여러 섬을 통과한다. 다시 황해를 지나는데, 제주도 서쪽을 통과한다.

좌표국가, 영토 또는 해역비고
약 2 km
지린성 — 약 2 km
황해style="background:#b0e0e6;" |
신안군진도군의 여러 섬
황해제주도 서쪽을 지나감 (에 위치)


3. 1. 역사적 중요성

3. 2. 남북 분단과 동경 126도

4. 같이 보기

참조

[1] 뉴스 Canberra all at sea over position of Southern Ocean http://www.theage.co[...] The Age 2003-12-22
[2] 웹사이트 Indian Ocean http://www.britannic[...] Encyclopædia Britannica 2013-01-13
[3] 뉴스 Canberra all at sea over position of Southern Ocean http://www.theage.co[...] The Age 2003-12-22
[4] 웹사이트 Indian Ocean http://www.britannic[...] Encyclopaedia Britannica 2013-01-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