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미국의 흑인 민권 운동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미국의 흑인 민권 운동은 1776년 미국 독립 이후 흑인 노예에 대한 차별이 합법적으로 자행되면서 시작되었다. 남북 전쟁과 재건 시대를 거치며 노예 제도가 폐지되고 흑인에게 시민권과 투표권이 부여되었지만, 흑인들은 짐 크로 법과 같은 인종 차별적 법률과 백인 우월주의 단체의 폭력에 시달렸다. 이에 흑인들은 몽고메리 버스 보이콧, 싯인 운동, 워싱턴 행진 등 다양한 비폭력 저항 운동을 통해 인종 차별에 맞섰다. 이러한 노력의 결과로 1964년 민권법, 1965년 투표권법, 1968년 공정 주택법 등 주요 법률이 제정되어 법적으로 인종 차별이 종식되었다. 흑인 민권 운동은 마틴 루터 킹 주니어, 로자 파크스 등 수많은 인물들의 헌신과 국제적인 지지를 통해 미국 사회에 큰 변화를 가져왔지만, 현재까지도 인종 차별은 완전히 사라지지 않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민권 운동 - 앵무새 죽이기
    하퍼 리가 1960년에 발표한 소설 《앵무새 죽이기》는 1930년대 앨라배마주 메이콤을 배경으로 어린 소녀 스카웃의 시선을 통해 인종차별과 편견, 인간의 존엄성을 그리고, 흑인 남성 톰 로빈슨 재판을 통해 사회 부조리를 드러내며 성장 과정에서 마주하는 현실과 용기, 동정심 등의 주제를 탐구하는 성장 소설이자 남부 고딕 소설로, 퓰리처상을 수상하고 다양한 형태로 각색되었지만 인종차별적 묘사 논란도 있다.
  • 민권 운동 - 블랙 파워 설루트
    블랙 파워 설루트는 1968년 멕시코시티 올림픽 시상식에서 흑인 인종차별에 항의하기 위해 토미 스미스와 존 카를로스가 검은 장갑을 낀 주먹을 들어 올린 사건이다.
  • 아프리카계 미국인 민권운동의 역사 - 몽고메리 버스 보이콧
    로자 파크스 사건으로 촉발된 몽고메리 버스 보이콧은 흑인 공동체의 비폭력 저항을 통해 382일간 지속되어 연방 대법원의 버스 인종차별 정책 위헌 판결을 이끌어낸 미국 시민권 운동의 중요한 전환점이다.
  • 아프리카계 미국인 민권운동의 역사 - 학생 비폭력 조정 위원회
    학생 비폭력 조정 위원회(SNCC)는 1960년 미국에서 설립된 시민권 운동 단체로, 비폭력 시위와 보이콧, 유권자 등록 운동 등에 참여하며 인종차별에 저항했으나, 내부 갈등과 외부 압력으로 1970년대 초 해체되었다.
  • 1968년 시위 - 프라하의 봄
    프라하의 봄은 1968년 체코슬로바키아에서 알렉산데르 둡체크의 지도 하에 "인간의 얼굴을 한 사회주의"를 표방하며 경제 개혁, 언론 자유 확대, 연방화 등의 정책을 추진한 사회주의 개혁 운동이었으나, 바르샤바 조약 기구의 침공으로 억압당하며 종식되었지만 동유럽 민주화 운동 등에 영향을 미쳤다.
  • 1968년 시위 - 1968년 붉은 광장 시위
    1968년 붉은 광장 시위는 1968년 8월 25일 8명의 시위자가 소련의 체코슬로바키아 침공에 항의하며 체코슬로바키아의 자유와 독립을 지지한 사건이다.
미국의 흑인 민권 운동
지도 정보
주요 정보
명칭시민권 운동
기간1954년 5월 17일 – 1968년 4월 11일
장소미국
원인인종 차별
인종 분리
투표권 박탈
짐 크로 법
사회경제적 불평등
방법비폭력
비폭력 저항
시민 불복종
주요 결과
사법부 판결"분리하지만 평등하다" 원칙이 브라운 대 교육위원회 (1954) 판결로 뒤집힘
버스 내 인종 분리가 브라우더 대 게일 (1956) 판결로 위헌 판결됨
인종 간 결혼 금지법이 맥러플린 대 플로리다 (1964) 판결로 위헌 판결됨
인종 간 결혼이 러빙 대 버지니아 (1967) 판결로 합법화됨
연방 법률 제정1957년 시민권법
1960년 시민권법
1964년 시민권법
1965년 투표권법
1968년 시민권법 (공정 주택법)
미국 헌법 수정미국 헌법 수정 제24조 (1964) 비준
연방 기관 형성미국 법무부 시민권국 (1957)
미국 시민권 위원회 (1957)
고용 기회 균등 위원회 (1965)
공정 주택 및 기회 평등 사무국 (1968)
관련 사건 및 운동
주요 사건몽고메리 버스 보이콧 운동 (1955-1956)
리틀록 사건 (1957)
그린즈버러 농성 (1960)
자유의 여행 (1961)
버밍햄 운동 (1963)
워싱턴 행진 (1963)
셀마에서 몽고메리 행진 (1965)
주요 운동남부 기독교 지도자 회의 (SCLC)
전국 유색인종 발전 협회 (NAACP)
학생 비폭력 조정 위원회 (SNCC)
인종 평등 회의 (CORE)
주요 인물
지도자마틴 루터 킹 주니어
로자 파크스
말콤 엑스
존 루이스
제시 잭슨
휘트니 영
메드거 에버스
파니 루 해머
법률가 및 활동가서굿 마셜
로버트 L. 카터
콘스탄스 베이커 모틀리
찰스 해밀턴 휴스턴

2. 역사

미국 남북 전쟁 이전, 미국 대통령 8명이 노예를 소유했으며,[9] 남부에서는 약 400만 명의 흑인이 노예 상태에 있었다.[10] 당시에는 일반적으로 부동산을 소유한 백인 남성만 투표권을 가졌고, 1790년 귀화법은 미국 시민권을 백인에게만 제한했다.[11]

1865년 미국 남북 전쟁이 북부의 승리로 끝나면서, 프레더릭 더글러스의 노력으로 연방 의회는 미국 수정헌법 제13조(노예제 폐지), 14조(시민권 부여), 15조(흑인 남성의 참정권 부여)를 추가해 흑인 노예 해방이 형식적으로 실현되었다.[12]

1865년부터 1877년까지 미국은 격동의 재건 시대를 거쳤다. 연방 정부는 남부에서 자유 노동과 흑인 해방자들의 시민권을 확립하려 했으나, 많은 백인들이 쿠 클럭스 클랜(KKK) 등 반란 운동을 통해 백인 우월주의를 유지하려 했다.[13] 1871년 율리시스 S. 그랜트 대통령은 KKK를 탄압했지만,[13] 일부 주들은 연방 조치 시행을 꺼렸다. 1870년대 초, 다른 백인 우월주의 조직도 등장해 흑인의 법적 평등과 참정권에 격렬히 반대했다.[14][15]

1876년 분쟁이 된 선거 이후 재건 시대가 끝나고 연방군이 철수하면서, 남부 백인들은 흑인을 위협하고 폭력적으로 공격하며 투표를 억압했다. 1890년부터 1908년까지 남부 주들은 유권자 등록 장벽을 만들어 흑인과 빈곤한 백인들의 투표권을 박탈하는 법률을 통과시켰다. 대법원의 ''스미스 대 올라이트''(1944) 판결로 백인 예비 선거가 금지되면서 흑인의 정치 참여가 증가했지만,[16] 대부분 도시 지역[16]과 일부 시골 지역[17]에 국한되었다.

60년 이상 남부 흑인들은 정치에서 배제되어 의회나 지방 정부에서 자신들의 이익을 대변할 수 없었다.[15] 투표권이 없어 배심원으로도 활동할 수 없었다. 백인이 지배하는 민주당은 남부의 정치적 통제권을 유지하며 의회에서 강력한 투표 블록을 형성했다. 공화당은 흑인 유권자 등록 억압으로 연합주의자 지역 외에는 무의미해졌다.

흑인 투표권 박탈과 동시에 남부 백인들은 인종 차별을 법으로 시행했다. 흑인에 대한 폭력이 증가했고, 세기 전환기에 수많은 린치 사건이 발생했다. 1896년 미국 대법원은 ''플레시 대 퍼거슨'' 판결에서 "분리된 것은 평등하다"는 원칙으로 인종 차별을 합법화했다.[21] 1954년 워렌 대법원은 ''브라운 대 교육위원회'' 판결로 이 원칙을 뒤집었다.[4][51]

플레시 대 퍼거슨 판결을 근거로, 20세기 초 조지아주, 앨라배마주, 미시시피주 등 미국 남부 여러 주에서 흑인 인종 차별이 "합법적"으로 진행되었다. 이 판결로 남부뿐 아니라 캘리포니아주, 텍사스주 등 전국 각 주에서 1964년 시민권법 제정까지 비백인, 즉 모든 유색 인종에 대한 제도적 차별이 "합법적"으로 자행되었다.

이러한 인종 차별법은 "짐 크로 법"으로 불렸으며, 아파르트헤이트 정책하의 남아프리카 공화국처럼 공공기관, 호텔, 식당 등에서 백인이 유색 인종을 차별하는 것을 합법화했다. 백인 경영 주유소에서 주유를 거부당하거나, 자동차 정비소에서 수리를 거부당하거나, 숙박 시설에서 숙박을 거부당하는 등 차별이 만연했다. 흑인들은 "흑인 운전자를 위한 그린 북"이라는 안내 책자를 만들어 안전하게 여행해야 했다.[42] "짐 크로 법" 하에서는 흑백 결혼이 불법이었고, 교육 기회 제한으로 흑인의 투표권을 제한하거나 주택을 제한하는 것도 합법이었다.

제1차 세계 대전제2차 세계 대전에서 흑인 병사들은 차별 속에서도 연합군 승리에 크게 기여했다.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미국 육군에는 "흑인 부대"가 있었고, 해군에서도 많은 흑인 병사들이 하급 병사로 참전했다.[330] 제2차 세계 대전에서도 흑인 병사들은 "흑인 부대"로만 참전해야 했고, 해군 항공대와 해병대 항공대에서는 흑인들이 배제되었다. 육군과 해군에서 흑인이 소령 이상 계급에 임명되는 경우는 거의 없었다.[330] 1941년 8월, 벤자민 데이비스 시니어가 흑인 최초로 육군 준장으로 임명되었다.[331] 제2차 세계 대전 후반, 흑인 전투기 조종사들로 구성된 육군 항공대 제332전투비행대가 활약해 웬델 O. 프루잇, 로스코 C. 브라운, 찰스 맥기, 리 아처 등 에이스 파일럿을 배출했다.

1951년 버지니아주 흑인 학생들은 분리된 교육 시스템의 불평등에 항의했다. 모튼 고등학교 학생들은 과밀 환경과 열악한 시설에 항의했고,[48] NAACP는 이들의 투쟁에 동참, 학교 시스템에 도전하는 다섯 가지 소송을 진행했다. 이 소송들은 ''브라운 대 교육위원회 판결''로 통합되었다.[48] 월터 루터의 지도 아래, 자동차 노동자 연합은 NAACP를 돕기 위해 75000USD를 기부했다.[49]

1954년, 얼 워렌 대법원장 아래 미국 대법원은 공립학교의 인종 차별을 위헌으로 판결했다.


1954년 5월 17일, 얼 워렌 대법원장 아래 미국 대법원은 ''브라운 대 교육위원회 판결''에서 공립학교 인종 분리를 위헌으로 만장일치 판결했다.[50] 워렌 대법원장은 "공립학교에서 백인과 유색인 아이들을 분리하는 것은 유색인 아이들에게 해로운 영향을 미친다"고 판시했다.[52] NAACP 변호사들은 인종 간 접촉이 아이들이 사회 압력에 대처하고 민주주의 사회에서 살아갈 기회를 제공한다고 주장했다.[53] 법원은 ''플레시 대 퍼거슨 판결''(1896)과 ''커밍 대 리치먼드 교육위원회 판결''(1899) 모두 위헌이라고 판결했다.

연방 정부는 인종 차별이 미국의 냉전 시대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할 것을 촉구했다. 딘 애치슨 국무장관은 "미국은 차별 관행 때문에 국제 기구에서 끊임없이 공격받고 있다"고 말했다.[54][55] 다음 해, ''브라운 2세''에서 법원은 "신중한 속도로" 인종 차별을 점진적으로 없애도록 명령했다.[56]

학교 통합, 바나드 스쿨, 워싱턴 D.C., 1955


1954년 5월 18일, 노스캐롤라이나주 그린스보로는 남부 최초로 ''브라운 대 교육위원회 판결''을 준수한다고 발표했다. 벤자민 스미스 교육감은 "우리가 미국의 법률을 무시한다는 것은 상상할 수 없다"고 말했다.[57] 그러나 그린스보로에서도 인종 차별 철폐 저항이 계속되었고, 1969년 연방 정부는 이 도시가 1964년 시민권법을 준수하지 않고 있음을 발견했다. 통합 학교 시스템 전환은 1971년에야 시작되었다.[57]

많은 북부 도시들도 사실상 인종 차별 정책을 가졌는데, 이는 흑백 공동체 간 교육 자원 격차를 초래했다. 뉴욕 할렘에서는 20세기 초 이후 새 학교가 건설되지 않았고, 유치원도 없었다. ''브라운 판결''은 NAACP 지원을 받은 뉴욕시 학부모들의 활동을 자극했다. 1959년 학교 보이콧 기간 동안 최초의 자유학교 중 일부가 설립되었다. 도시는 고품질의 백인 학교로의 개방적 전학을 허용하며 대응했다.[58][59]

1955년 엠멧 틸(Emmett Till)의 장례식에서 어머니 매미(가운데).


엠멧 틸(Emmett Till) 살인 사건은 흑인 민권 운동의 중요한 기폭제가 되었다. 시카고 출신 14세 흑인 소년 엠멧 틸은 미시시피주에서 백인 여성에게 부적절한 행동을 했다는 이유로 백인 남성들에게 살해당했다. 엠멧의 어머니 매미 틸(Mamie Till)은 아들의 시신을 공개하고 장례식을 열었다. ''제트''지에 실린 장례식 사진은 흑인들에게 가해지는 폭력적인 인종차별을 생생하게 보여주었다.[67][61] 이 사건과 재판은 젊은 흑인 운동가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고,[63] 로자 파크스(Rosa Parks)는 이 사건 100일 후 버스에서 자리 양보를 거부하며 흑인 민권 운동의 불씨를 지폈다.[64]

2. 1. 남북 전쟁과 재건 시대

사우스캐롤라이나주의 밭에서 일하는 흑인 노예


국립기록원에 보관된 에이브러햄 링컨의 서명이 있는 미국 수정헌법 제13조


미국 남북 전쟁 이전, 미국에서는 8명의 대통령이 노예를 소유했으며,[9] 약 400만 명의 흑인이 남부에서 노예 상태에 있었다.[10] 당시에는 일반적으로 부동산을 소유한 백인 남성만이 투표권을 가졌고, 1790년 귀화법은 미국 시민권을 백인에게만 제한했다.[11]

미국 남북 전쟁은 노예제도 존속에 비판적인 북부의 승리로 1865년에 끝났다. 이후 노예 출신인 프레더릭 더글러스의 노력을 거쳐 연방 의회는 미국 수정헌법 제13조(노예제 폐지), 14조(시민권 부여), 15조(흑인 남성의 참정권 부여)를 추가함으로써 흑인 노예의 ‘해방’이 형식적으로는 실현되었다.[12]

1865년부터 1877년까지 미국은 격동의 재건 시대를 거쳤다. 이 기간 동안 연방 정부는 노예제 폐지 후 남부에서 자유 노동과 흑인 해방자들의 시민권을 확립하려고 노력했다. 그러나 많은 백인들이 사회 변화에 저항하여, 쿠 클럭스 클랜(KKK)과 같은 반란 운동이 형성되어 백인 우월주의를 유지하려 했다.[13] 1871년 율리시스 S. 그랜트 대통령은 강제법에 따라 KKK를 탄압하기 위한 운동을 시작했지만,[13] 일부 주들은 이 법의 연방 조치를 시행하기를 꺼렸다. 또한 1870년대 초에는 다른 백인 우월주의자 및 반란 준군사 조직이 등장하여 아프리카계 미국인의 법적 평등과 참정권에 격렬하게 반대했다.[14][15]

2. 2. 재건 시대 이후의 투표권 박탈

1876년 분쟁이 된 선거 이후 재건 시대가 끝나고 연방군이 철수하면서 남부의 백인들은 지역 주 의회의 정치적 통제권을 되찾았다. 그들은 흑인들을 위협하고 폭력적으로 공격하여 투표를 억압했다. 1890년부터 1908년까지 남부 주들은 유권자 등록에 장벽을 만들어 아프리카계 미국인과 많은 빈곤한 백인들의 투표권을 박탈하는 새로운 헌법과 법률을 통과시켰다. 흑인과 빈곤한 백인들이 선거 정치에서 배제되면서 유권자 명부는 극적으로 감소했다. 대법원의 ''스미스 대 올라이트''(1944) 판결 이후, 백인 예비 선거가 금지되면서 림 사우스와 아카디아나에서 흑인의 정치 참여가 증가하는 진전이 있었지만,[16] 대부분 도시 지역[16]과 대부분의 흑인이 농장 외부에서 일하는 몇몇 시골 지역[17]에 국한되었다.

60년 이상 동안 남부의 흑인들은 본질적으로 정치에서 배제되어 의회나 지방 정부에서 자신들의 이익을 대변할 사람을 선출할 수 없었다.[15] 그들은 투표할 수 없었기 때문에 지역 배심원으로도 활동할 수 없었다. 이 기간 동안 백인이 지배하는 민주당은 남부의 정치적 통제권을 유지했다. 남부 전체 인구를 대표하는 모든 의석을 백인이 장악함으로써 그들은 의회에서 강력한 투표 블록을 형성했다. 공화당은 흑인 유권자 등록이 억압되면서 연합주의자 지역인 애팔래치아와 오자크 산맥을 제외하고는 무의미해졌다.

아프리카계 미국인들이 투표권을 박탈당하던 동시에 남부 백인들은 법으로 인종 차별을 시행했다. 흑인에 대한 폭력이 증가했고 세기가 바뀌면서 수많은 린치 사건이 발생했다. 미국 대법원은 1896년 ''플레시 대 퍼거슨'' 판결에서 공공 시설에서 인종 차별을 요구하는 주 법률의 합헌성을 인정하여 "분리된 것은 평등하다"라는 원칙을 통해 이를 합법화했다.[21]

1954년 워렌 대법원은 ''브라운 대 교육위원회'' 판결을 통해 미국 공립학교의 인종 차별이 위헌이라고 판결했고, 암묵적으로 1896년 ''플레시 대 퍼거슨''에서 확립된 "분리된 것은 평등하다"라는 원칙을 뒤집었다.[4][51]

2. 3. 짐 크로 법과 인종 차별

플레시 대 퍼거슨 판결을 근거로, 20세기 초 남북 전쟁에서 패배할 때까지 노예 제도를 합법으로 인정했던 조지아주, 앨라배마주, 미시시피주 등 미국 남부 여러 주에서 백인에 의한 흑인 인종 차별이 "합법적"으로 진행되었다.

이 판결을 받아 남부 여러 주뿐만 아니라 캘리포니아주텍사스주 등 전국 각 주에서 1964년 시민권법 제정까지 비백인, 즉 모든 유색 인종에 대한 제도적 차별이 "합법적" 행위로 공공연하게 자행되었다.

이러한 인종 차별법은 일반적으로 "짐 크로 법"이라고 불렸으며, 아파르트헤이트 정책하의 남아프리카 공화국과 마찬가지로 교통기관, 식수대, 화장실, 학교, 도서관 등 공공기관은 물론 호텔, 레스토랑, 바, 스케이트장 등에서도 백인이 모든 유색 인종(비백인)을 차별하는 것을 합법으로 하는 것이었다.

또한 백인이 경영하는 주유소에서 주유를 거부당하거나, 자동차 정비 공장에서 정비나 수리를 거부당하거나, 여관에서 숙박이나 식사 제공을 거부당하는 등의 일 외에도, 폭력이나 유색 인종 출입 금지 지역인 "선다운 타운"에서의 강제 추방을 받기도 했다. 이에 대해 흑인들이 안전하게 여행하기 위해 "흑인 운전자를 위한 그린 북"이라는 안내 책자까지 만들어졌다.[42]

"짐 크로 법" 하에서는 흑인과 백인의 결혼을 사실상 불법으로 하는 주법의 존재가 인정되었을 뿐만 아니라, 교육 기회가 주어지지 않았기 때문에 낮은 읽기 능력의 흑인의 투표권을 사실상 제한하거나 주택을 제한하는 것도 합법으로 여겨졌다.

2. 4. 제1, 2차 세계 대전과 흑인 참전

제1차 세계 대전제2차 세계 대전에서 흑인 병사들은 차별 속에서도 연합군의 승리에 크게 기여했다.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미국 육군에는 흑인들로만 구성된 "흑인 부대"가 존재했다. 미국 해군에서도 많은 흑인 병사들이 하급 병사로 참전했다.[330]

제2차 세계 대전에서도 흑인 병사들은 "흑인 부대"로만 참전해야 했고, 해군 항공대와 해병대 항공대에서는 흑인들이 배제되었다. 육군과 해군에서 흑인이 소령 이상의 계급에 임명되는 경우는 거의 없었다.[330] 이러한 차별에도 불구하고, 1941년 8월에는 벤자민 데이비스 시니어가 아프리카계 미국인 최초로 육군 준장으로 임명되었다.[331]

제2차 세계 대전 후반에는 흑인 전투기 조종사들로 구성된 육군 항공대 제332전투비행대가 활약하여, 웬델 O. 프루잇, 로스코 C. 브라운, 찰스 맥기, 리 아처 등 여러 에이스 파일럿을 배출했다.

2. 5. 브라운 대 교육위원회 판결

1951년 봄, 버지니아주의 흑인 학생들은 분리된 교육 시스템의 불평등에 항의했다. 모튼 고등학교 학생들은 과밀한 환경과 열악한 시설에 항의했고,[48] NAACP는 이들의 투쟁에 동참, 학교 시스템에 도전하는 다섯 가지 소송을 진행했다. 이 소송들은 ''브라운 대 교육위원회 판결''로 통합되었다.[48] 월터 루터의 지도 아래, 자동차 노동자 연합은 NAACP를 돕기 위해 75000USD를 기부했다.[49]

1954년 5월 17일, 얼 워렌 대법원장 아래 미국 대법원은 ''브라운 대 교육위원회 판결''에서 공립학교 인종 분리를 위헌으로 만장일치 판결했다.[50] 대법원장 워렌은 "공립학교에서 백인과 유색인 아이들을 분리하는 것은 유색인 아이들에게 해로운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영향은 법의 승인을 받을 때 더욱 커진다. 왜냐하면 인종 분리 정책은 일반적으로 흑인 집단의 열등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해석되기 때문이다."라고 판시했다.[52]

NAACP 변호사들은 인종 간 접촉이 아이들이 사회의 압력에 대처하고 민주주의 사회에서 살아갈 기회를 제공하며, '교육'은 인간의 정신적, 육체적, 도덕적 능력을 개발하는 전체 과정을 포함한다고 주장했다.[53] 리사 골루보프는 NAACP의 의도가 법원에 아프리카계 미국인 어린이들이 학교 인종 차별의 피해자임을 보여주는 것이었다고 썼다. 법원은 ''플레시 대 퍼거슨 판결''(1896)과 ''커밍 대 리치먼드 교육위원회 판결''(1899) 모두 위헌이라고 판결했다.

연방 정부는 인종 차별이 미국의 냉전 시대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할 것을 촉구하는 의견서를 제출했다. 딘 애치슨 국무장관은 "미국은 이 나라의 다양한 차별 관행 때문에 외신, 해외 라디오, 유엔과 같은 국제 기구에서 끊임없이 공격을 받고 있습니다."라고 말했다.[54][55]

다음 해, ''브라운 2세''에서 법원은 "신중한 속도로" 인종 차별을 점진적으로 없애도록 명령했다.[56] ''브라운 대 교육위원회 판결''은 교육에서의 인종 차별을 다루었고, '분리된 것은 같다'는 것을 향후 뒤집는 계기를 마련했다.

1954년 5월 18일, 노스캐롤라이나주 그린스보로는 남부 최초로 ''브라운 대 교육위원회 판결''을 준수한다고 발표했다. 학교 이사회 교육감 벤자민 스미스는 "우리가 미국의 법률을 무시하려고 한다는 것은 상상할 수 없습니다."라고 말했다.[57] 그러나 그린스보로에서도 인종 차별 철폐에 대한 저항이 계속되었고, 1969년 연방 정부는 이 도시가 1964년 시민권법을 준수하지 않고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완전히 통합된 학교 시스템으로의 전환은 1971년까지 시작되지 않았다.[57]

많은 북부 도시들도 사실상 인종 차별 정책을 가지고 있었는데, 이는 흑인과 백인 공동체 간의 교육 자원에 큰 격차를 초래했다. 뉴욕 할렘에서는 20세기 초 이후로 단 한 곳의 새로운 학교도 건설되지 않았고, 유치원도 단 한 곳도 없었다. ''브라운 판결''은 NAACP의 지원을 받아 도시와 주를 상대로 성공적인 소송을 제기한 메이 맬러리와 같은 뉴욕시 학부모들 사이에서 활동을 자극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 맬러리와 수천 명의 다른 학부모들은 1959년 학교 보이콧으로 소송의 압력을 높였다. 보이콧 기간 동안 이 시대의 최초의 자유학교 중 일부가 설립되었다. 도시는 고품질의 역사적으로 백인 학교로의 개방적인 전학을 허용함으로써 이 캠페인에 대응했다.[58][59]

2. 6. 에밋 틸 살인 사건



시카고 출신의 14세 아프리카계 미국인 엠멧 틸(Emmett Till)은 여름을 보내기 위해 미시시피주 머니(Money, Mississippi)에 있는 친척들을 방문했다. 그는 작은 식료품점에서 캐롤린 브라이언트(Carolyn Bryant)라는 백인 여성과 미시시피 문화의 규범을 위반하는 상호 작용을 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브라이언트의 남편 로이(Roy)와 그의 이복형제 J. W. 밀람(J. W. Milam)은 젊은 엠멧 틸을 잔혹하게 살해했다. 그들은 그를 구타하고 훼손한 후 머리에 총을 쏘고 시체를 탈라하치 강(Tallahatchie River)에 버렸다. 사흘 후, 틸의 시신이 발견되어 강에서 인양되었다. 엠멧의 어머니인 매미 틸(Mamie Till)[60]은 아들의 유해를 확인한 후, "내가 본 것을 사람들에게 보여주고 싶다"고 결심했다.[61] 틸의 어머니는 그의 시신을 시카고로 가져와 장례식에서 관을 열어 놓았고, 수천 명의 조문객이 애도를 표하기 위해 찾아왔다.[61] 이후 ''제트''지에 실린 장례식 사진은 미국 흑인들에게 가해지는 폭력적인 인종차별을 생생하게 보여주는 중요한 순간으로 여겨진다.[67][61] ''대서양(The Atlantic)''지의 칼럼니스트 반 R. 뉴커크(Vann R. Newkirk)는 "그의 살인자들의 재판은 백인 우월주의(white supremacy)의 폭정을 보여주는 장관이었다"고 썼다.[2] 미시시피 주는 두 명의 피고인을 재판에 넘겼지만, 백인 배심원 전원으로 구성된 배심원단(all-white jury)에 의해 신속하게 무죄 판결을 받았다.

역사가 팀 타이슨(Tim Tyson)은 "엠멧의 살인은 매미가 자신의 사적인 슬픔을 공개적인 문제로 만들 만큼 힘을 찾지 못했다면 결코 역사적 전환점이 되지 못했을 것"이라고 썼다.[63] 그의 어머니가 관을 열어 놓은 장례식을 치르기로 한 결정에 대한 격렬한 반응은 미국 전역의 흑인 공동체를 결집시켰다.[2] 살인 사건과 그에 따른 재판은 여러 젊은 흑인 운동가들의 견해에 상당한 영향을 미쳤다.[63] 조이스 래드너(Joyce Ladner)는 이러한 운동가들을 "엠멧 틸 세대(Emmett Till generation)"라고 불렀다.[63] 엠멧 틸이 살해된 지 100일 후, 로자 파크스(Rosa Parks)는 앨라배마주 몽고메리에서 버스에서 자리를 양보하기를 거부했다.[64] 파크스는 나중에 틸의 어머니에게 자신의 자리에 앉아 있기로 한 결정은 틸의 잔혹하게 훼손된 시신의 모습이 아직도 생생하게 기억나서였다고 말했다.[64] 2009년 시카고 장례식에 사용된 유리 뚜껑이 있는 관이 한 묘지 차고에서 발견되었다. 틸은 2005년 시신이 발굴된 후 다른 관에 다시 매장되었다.[65] 틸의 가족은 원래 관을 스미스소니언 국립 아프리카계 미국인 문화유산 박물관(Smithsonian's National Museum of African American Culture and History)에 기증하기로 결정했으며, 현재 그곳에 전시되어 있다.[66] 2007년 브라이언트는 1955년 자신의 이야기 중 가장 충격적인 부분을 날조했다고 말했다.[67][68]

3. 주요 운동

“유색인종 전용 대기실(COLORED WAITING ROOM)”이라고 쓰인 버스 정류장 표지판


미시시피주 영화관의 “유색인종 전용 입구”


한국 전쟁에 참전하는 흑인 부대 병사


이러한 반인종차별 운동은 미국에서 그동안 “짐 크로 법” 아래 인종차별과 인종분리를 겪어 온 흑인을 비롯한 유색인종이 미국 시민으로서 법적으로 동등한 지위를 획득하는 것을 목적으로 했기 때문에 “'''시민권 운동'''(Civil Rights Movement)”이라고 불리게 되었다.

운동에서는 마틴 루터 킹 주니어 목사 등을 중심으로 한 흑인 성직자가 저명한 지도자가 되었지만, 많은 단체와 아메리카 원주민일본계 미국인 등 다른 유색인종과 백인을 포함한 개인들이 참여했으며, 운동의 형태 또한 소송과 거리에서의 시위부터 남부는 물론 전국 시설에 대한 인종별 좌석 등을 설치하고 있는 시설에 대한 보이콧, 그리고 “시트인”이라고 불리는 식당의 백인 전용석에서의 앉아 시위까지 다양했다.

1948년 7월 28일, 민주당원이자 백인우월주의 단체인 쿠 클럭스 클랜 가입 경력이 있는[332] 해리 S. 트루먼 대통령에 의해 마침내 군대 내 인종 “차별”을 금지하는 대통령령이 발령되어 군 내부의 인종차별이 철폐되었다. 또한 트루먼은 아프리카계 미국인을 연방 공무원으로 임명했다.

더 나아가 트루먼은 의회에서 다양한 시민권 계획을 제안했지만, 이들은 남부 민주당 의원들과 공화당 의원들에 의해 잇따라 부결되었고, 동시기에 한국 전쟁이 발발하여 트루먼은 냉전 하에서 외교 정책에 몰두하지 않을 수 없게 되었기에 시민권 운동은 최성기만큼 활발해지지 못했다. 참고로 많은 아프리카계 미국인 병사들이 한국 전쟁에도 참전하여 한반도에서 싸웠으며, 전선 기지가 있는 일본에도 다수 주둔했다.

이러한 대통령의 시민권 운동 지지로 인해 인종차별이 이전보다 약간 해소되었지만, 사회에는 여전히 차별이 남아 있어 시민권 운동이 본격적으로 시작되는 것은 1950년대 중반까지 기다려야 했다.

1957년 6월 23일, 노스캐롤라이나주 더럼의 로열 아이스크림 퍼러에서 여성 3명과 남성 4명으로 구성된 ‘로열 세븐(Royal Seven)’이 인종차별에 항의하는 “시트인”을 벌였으나,[333] 불법 침입으로 체포되었다. 그들의 공적은 노스캐롤라이나 주 더럼 시의 역사적 상징으로 기념되고 있다.

“시트인”은 이후 15개 도시에서 5만 명이 참여하는 대규모 운동이 되었고, 이후 유색인종의 출입을 거부하거나 인종별 출입구 및 인종별 좌석 등을 설치하고 있는 도서관, 스케이트장, 수영장, 해수욕장 등에 대한 비폭력적인 항의 활동에 동참한 일반 시민들에 의한 유사한 앉아 시위와 보이콧이 널리 퍼지게 되었다.[334]

“시트인”을 비롯한 인종차별과 이를 정당화하는 “짐 크로우 법”에 대한 항의 활동의 대부분은 비폭력적인 수단을 사용했지만, 이에 대해 많은 주의 경찰 당국은 “치안 유지”를 이유로 시위대를 가혹하게 탄압했기 때문에, 이에 반발한 흑인들에 의한 대규모 폭동으로 발전하는 경우도 빈번했다. 그러나 이러한 비폭력적인 운동에 대한 탄압과 폭동은 세계 각국의 매스미디어에서 크게 보도되었고, 미국의 인종차별의 심각성과 비폭력적인 수단을 사용하여 저항 의지를 보이고 상황을 개선하려는 흑인들의 모습을 보여주었다.

3. 1. 몽고메리 버스 보이콧

로자 파크스는 백인에게 버스에서 자리를 양보하지 않은 혐의로 체포된 후 지문을 찍었다.


1955년 12월 1일, 앨라배마주 몽고메리에서 흑인 여성 로자 파크스가 버스에서 백인에게 자리를 양보하라는 요구를 거부하여 체포되는 사건이 발생했다. 이 사건은 흑인들의 몽고메리 버스 보이콧 운동을 촉발시켰다.

앨라배마 NAACP 의장 E. D. 닉슨은 흑인들의 파업과 버스 승차 거부를 주장했고, 마틴 루터 킹 주니어를 중심으로 몽고메리 개선협회(MIA)를 결성했다. 흑인들의 승차 거부 운동은 1년 넘게 지속되었고, 1956년 11월, 미국 연방 대법원은 버스 내 인종 분리가 위헌이라는 판결을 내렸다.

이 운동은 흑인들이 조직적인 시위를 통해 원하는 바를 성취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으며, 이후 흑인 인권 운동의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3. 1. 1. 발단

1950년대 당시 미국 사회는 백인과 흑인을 뚜렷하게 구분하여, 버스나 벤치 같은 공공장소에서 백인과 흑인의 전용칸이 따로 존재했다. 이러한 상황은 '흑백 인종분리법'이라는 법률에 의해 뒷받침되었다. 1955년 12월, 흑인 여성 로자 파크스는 버스 기사가 백인에게 자리를 양보하라는 요구를 거절했고, 이로 인해 '흑백 인종분리법' 위반으로 체포되는 사건이 발생했다.

빌 클린턴 대통령과 회견하는 로자 파크스


이러한 차별적인 상황 속에서 1955년 12월 1일, 앨라배마주 몽고메리에서 흑인 여성 로자 파크스가 시영 버스의 '흑인 전용석'에 앉아 있었다. 자리가 없는 백인이 자리를 양보해 줄 것을 요구했지만, 로자 파크스는 이를 거부했다. 버스 운전사 제임스 블레이크는 백인 승객에게 자리를 양보하라고 명령했으나, 파크스는 이 명령마저 거부하여 '인종 차별법' 위반으로 경찰에 체포되어 투옥되었다. 이후 몽고메리 시청 내 주 간이법정에서 벌금형을 선고받았다.

이 사건에 항의하여 마틴 루터 킹 주니어 목사 등은 몽고메리 시민들에게 1년간 버스 보이콧 운동을 촉구했다. 흑인뿐만 아니라 운동의 의미에 공감하는 다른 유색인종, 나아가 백인들까지도 보이콧에 참여했고, 이 운동은 '몽고메리 버스 보이콧'으로 불리게 되었다.

이 운동은 전국적으로 큰 반향을 일으켰고, 1956년 미국 연방 대법원은 "버스 내 인종 분리(=백인 전용 및 우선 좌석 설정)"를 위헌으로 하는 판결을 내렸다. 이 판결은 앨라배마주를 비롯한 남부 여러 주에서 흑인들의 반인종차별 운동에 활기를 불어넣는 계기가 되었다.

1776년영국(그레이트브리튼 왕국)으로부터 독립한 미국에서는, 과거의 종주국인 영국이나 아일랜드, 독일, 네덜란드 등의 유럽 여러 국가에서 이민으로 건너와 원주민을 무력으로 몰아낸 백인이 주민의 대다수를 차지했다. 이들은 노예로서 아프리카 대륙 등에서 강제로 끌려온 흑인을 비롯한 유색인종에 대한 차별을 「합법적」으로 여겼다.

북아메리카에서 노예제도의 도입은 1607년 영국인이 버지니아 식민지에 처음으로 이주한 직후에 시작되어, 1776년 독립 후에도 그대로 지속되었다.

노예제도 하에 17세기부터 19세기에 걸쳐, 약 1,200만 명의 아프리카인이 정부와 그에게 위탁받은 업자에 의해 납치된 뒤 매매되어 아메리카 대륙으로 강제로 끌려갔다.[326][327] 그중 5.4%(64만 5천 명)이 현재의 미국으로 끌려갔다.[328] 1860년 미국의 국세조사에 따르면 노예 인구는 400만 명에 달했다.

"플레시 대 퍼거슨 판결"을 근거로, 20세기 초에는 남북 전쟁에서 패배할 때까지 노예 제도를 합법으로 인정했던 조지아주, 앨라배마주, 미시시피주 등 남부 여러 주에서 백인에 의한 흑인의 "인종 차별"이 "합법적"으로 진행되었다.

이 판결을 받아 남부 여러 주뿐만 아니라 캘리포니아주텍사스주 등 전국 각 주에서 1964년 시민권법 제정까지 비백인 모든 유색 인종에 대한 제도적 차별이 "합법적" 행위로 공공연하게 자행되었다.

이러한 인종 차별법은 일반적으로 "짐 크로 법"이라고 불리며, 아파르트헤이트 정책하의 남아프리카 공화국과 마찬가지로 교통기관, 식수대, 화장실, 학교, 도서관 등 공공기관은 물론 호텔, 레스토랑, 바, 스케이트장 등에서도 백인이 모든 유색 인종(비백인)을 차별하는 것을 합법으로 하는 것이었다.

또한 백인이 경영하는 주유소에서 주유를 거부당하거나, 마찬가지로 자동차 정비 공장에서 정비나 수리를 거부당하거나, 여관에서 숙박이나 식사 제공을 거부당하는 등의 일 외에도, 폭력이나 유색 인종 출입 금지 지역인 "선다운 타운"에서의 강제 추방을 받기도 했다. 이에 대해 흑인들이 안전하게 여행하기 위해 "흑인 운전자를 위한 그린 북"이라는 안내 책자까지 만들어졌다.

또한 "짐 크로 법" 하에서는 흑인과 백인의 결혼을 사실상 불법으로 하는 주법의 존재가 인정되었을 뿐만 아니라, 교육 기회가 주어지지 않았기 때문에 낮은 읽기 능력의 흑인의 투표권을 사실상 제한하거나 주택을 제한하는 것도 합법으로 여겨져 왔다.

3. 1. 2. 전개

앨라배마 NAACP의 의장인 E. D. 닉슨은 흑인들의 파업과 버스 승차거부를 주장하였고, 흑인교회 목사들과 함께 몽고메리 개선협회(MIA)를 구성하였고, 마틴 루터 킹을 협회의 의장으로 추천하였다. 흑인들이 승차거부에 동참한 지 3일 후, 마틴 루터 킹몽고메리의 시장 W. A. 게일을 만나 합의를 도출하려 했으나 성과가 없었고, 백인들은 흑인들의 요구를 무시했다. 1956년 1월 말, 게일 시장은 강경책을 선언, 흑인들을 억압했고 승차거부에 동참한 많은 흑인들은 일터에서 쫓겨났다. 연방 지방 법원은 버스에서 흑인과 백인의 분리를 지속하려는 시당국의 행위는 위헌이라 규정했고, 시 당국은 대법원에 즉시 항소하였다. 이는 "브로더 대 게일" 재판으로 불린다. 1956년 11월, 미합중국 대법원은 연방 지방 법원의 결정을 지지한다는 판결을 내렸고 1년이 넘는 투쟁 끝에 흑인들은 좋은 성과를 거두었다.

1959년 8월, 백인 학부모들이 리틀록 학교 통합에 반대하는 집회를 열었다.


리틀록 나인(Little Rock Nine)은 리틀록의 흑인 고등학교에 다니던 아홉 명의 학생들이다. 1957년 9월, 이들은 리틀록 중앙고등학교 통합을 위한 연방 법원 명령 이후, 백인 학부모와 학생들, 그리고 백인 우월주의 단체로부터 격렬한 괴롭힘과 폭력 위협에 직면했다. 아칸소 주지사 오벌 포버스는 흑인 학생들이 학교에 들어오는 것을 막기 위해 아칸소 주방위군을 배치했다.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 대통령이 개입하여 아칸소 주방위군을 연방 정부의 통제하에 두고, 엘리트 육군 부대를 파견하여 학생들을 보호했다. 그러나 나인 학생들은 매일 조롱과 놀림을 받았다. 1년 후인 1958년 9월, 대법원은 도시의 모든 고등학교를 즉시 통합해야 한다고 판결했지만, 포버스 주지사와 주 의회는 1958-1959 학년도 동안 도시의 모든 공립 고등학교를 폐쇄했다. 학교 통합 결정은 민권 운동의 중요한 사건이었으며, 폭력적인 반대에 맞서 학생들이 보여준 용기와 결의는 미국 역사의 중요한 순간으로 기억된다.[72][73]

미국의 흑인 민권 운동 시대에 가장 두드러진 저항 방식은 비폭력, 즉 평화적인 방법이었다.[74] 1950년대와 1960년대에 민권 운동의 비폭력 저항은 긴장을 야기했고, 이는 전국적인 주목을 받았다.

시위자들은 비폭력 훈련을 받았다. 전직 민권 운동가인 브루스 하트퍼드에 따르면, 비폭력 훈련에는 철학적 방법과 전술적 방법이 있다. 철학적 방법은 비폭력의 방법과 그 이유를 이해하는 것이고, 전술적 방법은 시위자들에게 시위 방법과 공격에 대한 방어, 침착함을 유지하는 방법을 가르치는 것이다. 미국의 흑인 민권 운동에서 비폭력 실천의 철학적 기반은 주로 마하트마 간디의 인도 독립 운동에서의 "비협조" 정책에서 영감을 받았다.[74][75]

그러나 모든 사람이 비폭력 시위 개념에 동의한 것은 아니었다. SNCC의 제임스 포먼과 밥 모세스는 비폭력 방법을 실용적인 전술로 생각했다.[76][77]

2020년 연구에 따르면, 비폭력 민권 시위는 인근 카운티의 대통령 선거에서 민주당의 득표율을 높였지만, 폭력적인 시위는 폭력 시위 근처 카운티에서 공화당에 대한 백인들의 지지를 크게 높였다.[78]

1958년 7월, NAACP 청년평의회는 위치타 시내의 도컴 약국 점심 식당에서 앉아 시위를 주도하여 성공했다. 같은 해, 클라라 루퍼가 이끈 오클라호마시티의 카츠 약국에서의 학생 앉아 시위도 성공적이었다.[79]

1960년 2월 10일, 노스캐롤라이나주 더럼의 울워스에서 학생들이 벌인 앉아 시위.


노스캐롤라이나주 그린스보로 매장에서 흑인 학생들이 앉아 시위를 벌였다.[80] 1960년 2월 1일, 노스캐롤라이나 농업기술대학의 네 명의 학생은 울워스의 아프리카계 미국인에게 음식 제공을 거부하는 정책에 항의하기 위해 인종차별적인 점심 식당에 앉았다.[81] 시위대는 전문적인 복장을 하고 조용히 앉아 지지자들이 참여할 수 있도록 격자무늬로 앉도록 권장받았다. 그린스보로 앉아 시위는 곧 버지니아주 리치먼드;[83][84] 테네시주 내슈빌; 그리고 조지아주 애틀랜타[85][86]에서 다른 앉아 시위로 이어졌다. 이 중 가장 효과적이었던 것은 내슈빌이었는데, 수백 명의 조직적이고 규율 있는 대학생들이 보이콧 운동과 연계하여 앉아 시위를 벌였다.[87][88] 남부 전역의 학생들이 지역 매장의 점심 식당에서 "앉아 시위"를 시작하자, 경찰과 다른 관리들은 때때로 잔혹한 폭력을 사용하여 시위대를 끌어냈다.

"앉아 시위" 기법은 1939년 새뮤얼 윌버트 터커가 버지니아주 알렉산드리아 도서관에서 앉아 시위를 조직한 적이 있을 정도로 새로운 것이 아니었다.[89] 1960년, 이 기법은 운동에 대한 전국적인 관심을 불러일으키는 데 성공했다.[90] 1960년 3월 9일, 애틀랜타 대학 센터 학생 그룹은 인권 호소를 발표했다.[91] 인권 호소 위원회(COAHR)는 애틀랜타 학생 운동을 시작하고 1960년 3월 15일부터 앉아 시위를 주도하기 시작했다.[86][92] 1960년 말까지, 앉아 시위는 남부와 국경 주 전역, 심지어 네바다주, 일리노이주, 오하이오주의 시설까지 확산되었다.

시위대는 점심 식당뿐만 아니라 공원, 해변, 도서관, 극장, 박물관 및 기타 공공 시설에도 집중했다. 1960년 4월, 노스캐롤라이나주 롤리의 쇼 대학교에서 회의를 열어 학생 비폭력 조정 위원회(SNCC)를 결성했다.[93] SNCC는 비폭력적인 대결 전술을 더욱 발전시켜 자유 승차 운동을 조직했다.[94]

프리덤 라이더는 시민권 운동가들이 주간 고속도로 버스를 타고 인종차별이 만연한 미국의 남부 주들을 여행하며 주간 여행 중인 승객에 대한 인종차별이 위헌이라고 판결한 ''보이턴 대 버지니아주(Boynton v. Virginia)''(1960년)을 시험한 운동이었다. CORE가 주도한 1960년대 첫 번째 프리덤 라이더는 1961년 5월 4일 워싱턴 D.C.를 출발하여 5월 17일 뉴올리언스에 도착할 예정이었다.[95]

첫 번째 프리덤 라이더와 그 이후의 프리덤 라이더들은 버스 내 좌석 배정과 버스 터미널의 인종차별 철폐를 위해 딥 사우스(Deep South)를 여행했다. 앨라배마주 애니스턴(Anniston, Alabama)에서 한 대의 버스가 방화 공격을 받았다.[96]

버밍햄에서 폭도들이 프리덤 라이더들을 구타하는 모습.


앨라배마주 버밍햄(Birmingham, Alabama)에서 FBI 정보원은 공공안전국장 유진 "불" 코너(Eugene "Bull" Connor)가 쿠 클럭스 클랜 회원들에게 프리덤 라이더들을 공격할 시간을 주었다고 보고했다. 라이더들은 심하게 구타당했고, 백인 운동가인 제임스 펙은 머리에 50바늘 이상을 꿰매야 했다.[96]

앨라배마주 몽고메리에서도 비슷한 일이 발생했다. 프리덤 라이더들은 통합된 그레이하운드 버스를 탔지만, 몽고메리에서 백인 폭도들의 폭력적인 공격을 받았다. 2시간 동안 대규모 폭동이 발생하여 22명이 부상을 입었다.[97]

애니스턴과 버밍햄에서의 폭력 사태로 프리덤 라이더 운동은 일시적으로 중단되었다. 내슈빌의 SNCC 활동가들은 새로운 라이더들을 데려왔다. 앨라배마주 몽고메리의 그레이하운드 버스 터미널에서 폭도들은 또 다른 버스에 탄 라이더들을 공격하여 존 루이스(John Lewis)[98]를 기절시키고, ''라이프'' 사진기자 돈 어브록(Don Urbrock)의 얼굴을 때렸다. 피스크 대학교(Fisk University)의 백인 학생 제임스 츠베르그(James Zwerg)[99]는 이빨이 부러졌다.[96]

1961년 5월 24일, 프리덤 라이더들은 미시시피주 잭슨(Jackson, Mississippi)으로 진입하여 "백인 전용" 시설을 이용했다는 이유로 체포되었다. 많은 다른 단체들이 새로운 프리덤 라이더들을 조직했고, 남부로 계속해서 흘러들어갔다. 라이더들이 잭슨에 도착하면 체포되었다. 여름이 끝날 무렵, 300명 이상이 미시시피에서 투옥되었다.[95]

투옥된 프리덤 라이더들은 가혹한 대우를 받았다. 잭슨에서는 일부 남성 수감자들이 약 37.8°C의 더위 속에서 강제 노역을 해야 했다. 다른 사람들은 미시시피 주립 교도소(Mississippi State Penitentiary)인 파치먼으로 이송되어 가혹한 환경에 처해졌다. 때때로 남성들은 벽에 "손목 부러뜨리개"로 매달렸다.

프리덤 라이더들에 대한 대중의 동정심과 지지로 존 F. 케네디(John F. Kennedy) 행정부는 주간 상거래 위원회(Interstate Commerce Commission)(ICC)에 새로운 인종차별 철폐 명령을 내렸다. 1961년 11월 1일부터 승객들은 버스 어디든 원하는 곳에 앉을 수 있게 되었고, 터미널의 "백인"과 "흑인" 표지판은 사라졌으며, 분리된 식수대, 화장실, 대기실은 통합되었고, 런치 카운터는 피부색에 관계없이 사람들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기 시작했다.

학생 운동에는 존 루이스와 같은 단호한 활동가, 비폭력 이론과 전술의 "구루"인 제임스 로슨[101], 정의의 공개 옹호자인 다이앤 내시(Diane Nash)[102], 밥 모세스, 제임스 베벌(James Bevel) 등 저명한 인물들이 참여했다. 다른 저명한 학생 활동가로는 다이온 다이아몬드(Dion Diamond)[103], 찰스 맥듀(Charles McDew), 버나드 라파예트(Bernard Lafayette)[104], 찰스 존스, 로니 킹, 줄리안 본드(Julian Bond)[105], 호시아 윌리엄스(Hosea Williams), 그리고 스토클리 카마이클(Stokely Carmichael) 등이 있다.

"플레시 대 퍼거슨 판결"을 근거로, 20세기 초에는 남부 여러 주에서 백인에 의한 흑인의 "인종 차별"이 "합법적"으로 진행되었다. 이 판결을 받아 남부 여러 주뿐만 아니라 전국 각 주에서 1964년 시민권법 제정까지 비백인 모든 유색 인종에 대한 제도적 차별이 "합법적" 행위로 공공연하게 자행되었다.

이러한 인종 차별법은 일반적으로 "짐 크로 법"이라고 불리며, 호텔, 레스토랑, , 스케이트장 등에서도 백인이 모든 유색 인종(비백인)을 차별하는 것을 합법으로 하는 것이었다. 또한 백인이 경영하는 주유소에서 주유를 거부당하거나, 자동차 정비 공장에서 정비나 수리를 거부당하거나, 여관에서 숙박이나 식사 제공을 거부당하는 등의 일 외에도, 폭력이나 유색 인종 출입 금지 지역인 "선다운 타운(Sundown Town)"에서의 강제 추방을 받기도 했다. 이에 대해 흑인들이 안전하게 여행하기 위해 "흑인 운전자를 위한 그린 북"이라는 안내 책자까지 만들어졌다. 또한 "짐 크로 법" 하에서는 흑인과 백인의 결혼을 사실상 불법으로 하는 주법의 존재가 인정되었을 뿐만 아니라, 교육 기회가 주어지지 않았기 때문에 낮은 읽기 능력의 흑인의 투표권을 사실상 제한하거나 주택을 제한하는 것도 합법으로 여겨져 왔다.

1955년 12월 1일, 앨라배마주 몽고메리(Montgomery)에서 흑인 여성 로자 파크스(Rosa Parks)가 시영 버스의 '흑인 전용석'에 앉아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자리가 없는 백인이 자리를 양보해 줄 것을 요구했지만, 로자 파크스가 거부하자 버스 운전사 제임스 블레이크가 백인 승객에게 자리를 양보하라고 명령했으나, 파크스가 이를 거부하여 '인종 차별법' 위반으로 경찰에 체포되어 투옥되었고, 이후 벌금형을 선고받는 사건이 발생했다.

이 사건에 항의하여 마틴 루터 킹 주니어(Martin Luther King Jr.) 목사 등이 몽고메리 시민들에게 1년간의 버스 보이콧 운동을 촉구했다. 이 호소에 대해 흑인뿐만 아니라 운동의 의미에 공감하는 다른 유색인종, 나아가 백인들까지도 보이콧에 참여했고, 이후 이 운동은 '몽고메리 버스 보이콧(Montgomery Bus Boycott)'으로 불리게 된다. 이 운동은 전국적으로 큰 반향을 불러일으켰고, 1956년 미국 연방 대법원이 "버스 내 인종 분리"를 위헌으로 하는 판결을 내리자, 앨라배마주를 비롯한 남부 여러 주에서 흑인의 반인종차별 운동이 활기를 띠게 되었다.

이러한 반인종차별 운동은 미국에서 그동안 “짐 크로우 법” 아래 인종차별과 인종분리를 겪어 온 흑인을 비롯한 유색인종이 미국 시민으로서 법적으로 동등한 지위를 획득하는 것을 목적으로 했기 때문에 “'''시민권 운동'''(Civil Rights Movement)”이라고 불리게 되었다.

운동에서는 마틴 루터 킹 주니어 목사 등을 중심으로 한 흑인 성직자가 저명한 지도자가 되었지만, 많은 단체와 아메리카 인디언일본계 미국인 등 다른 유색인종과 백인을 포함한 개인들이 참여했으며, 운동의 형태 또한 소송과 거리에서의 시위부터 남부는 물론 전국 시설에 대한 인종별 좌석 등을 설치하고 있는 시설에 대한 보이콧, 그리고 “시트인”이라고 불리는 식당의 백인 전용석에서의 앉아 시위까지 다양했다.

1957년 6월 23일, 노스캐롤라이나주 더럼의 로열 아이스크림 퍼러에서 여성 3명과 남성 4명으로 구성된 ‘로열 세븐(Royal Seven)’이 인종차별에 항의하는 “시트인”을 벌였으나,[333] 불법 침입으로 체포되었다.

“시트인”은 이후 15개 도시에서 5만 명이 참여하는 대규모 운동이 되었고, 이후 유색인종의 출입을 거부하거나 인종별 출입구 및 인종별 좌석 등을 설치하고 있는 도서관, 스케이트장, 수영장, 해수욕장 등에 대한 비폭력적인 항의 활동에 동참한 일반 시민들에 의한 유사한 앉아 시위와 보이콧이 널리 퍼지게 되었다.[334] “시트인”을 비롯한 인종차별과 이를 정당화하는 “짐 크로우 법”에 대한 항의 활동의 대부분은 비폭력적인 수단을 사용했지만, 이에 대해 많은 주의 경찰 당국은 “치안 유지”를 이유로 시위대를 가혹하게 탄압했기 때문에, 이에 반발한 흑인들에 의한 대규모 폭동으로 발전하는 경우도 빈번했다.

3. 1. 3. 성과

몽고메리 버스 승차거부 운동은 인종차별이 심했던 남부 지역에서 흑인들이 조직적인 시위를 통해 원하는 바를 성취할 수 있다는 본보기가 되었다. 또한 이 사건을 계기로 흑인들은 인권과 자유를 되찾기 위한 조직적인 대중 시위를 펼치게 되었다.

1955년 12월 1일, 앨라배마주 몽고메리에서 흑인 여성 로자 파크스가 시영 버스의 '흑인 전용석'에 앉아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자리가 없는 백인이 자리를 양보해 줄 것을 요구했다. 로자 파크스는 이를 거부했고, 버스 운전사 제임스 블레이크는 백인 승객에게 자리를 양보하라고 명령했으나, 파크스는 재차 거부하여 '인종 차별법' 위반으로 경찰에 체포되어 투옥되었다. 이후 몽고메리 시청 내 주 간이법정에서 벌금형을 선고받았다.

이 사건에 항의하여 마틴 루터 킹 주니어 목사 등은 몽고메리 시민들에게 1년간의 버스 보이콧 운동을 촉구했다. 흑인뿐만 아니라 운동의 의미에 공감하는 다른 유색인종, 나아가 백인들까지도 보이콧에 참여했으며, 이 운동은 '몽고메리 버스 보이콧'으로 불리게 된다.

이 운동은 전국적으로 큰 반향을 불러일으켰고, 1956년 미국 연방 대법원은 "버스 내 인종 분리(백인 전용 및 우선 좌석 설정)"를 위헌으로 하는 판결을 내렸다. 이에 앨라배마주를 비롯한 남부 여러 주에서 흑인의 반인종차별 운동이 활기를 띠게 되었다.

3. 2. 싯인 운동

싯인 운동은 1960년대 초 미국 흑인 민권 운동의 중요한 전환점이었다. 1960년 노스캐롤라이나 주 그린스보로에서 시작된 이 운동은, 백인 전용 식당에서 흑인 학생들이 비폭력적인 연좌 농성을 벌이며 인종 차별에 저항한 사건이다. 이는 곧 전국적으로 확산되어, 학생 비폭력 조정 위원회(SNCC)와 같은 단체가 주도하는 더 큰 규모의 민권 운동으로 이어졌다.

3. 2. 1. 발단



1960년 노스캐롤라이나 주 그린스보로의 흑인 대학 신입생 4명은 백인만 식사할 수 있는 울워스 식당에 갔다. 그러나 식당에서 그들의 주문은 거절당했고, 그들이 식당을 떠나려 하지 않자 주인은 식당 문을 닫았다. 다음날 그들은 다시 그 식당으로 갔고, 이 일이 반복되자 다른 흑인들도 동참했다.

3. 2. 2. 전개



울워스 식당에서의 연좌 운동은 시작 2주 만에 남부 5개 주 15개 도시로 빠르게 확산되었다.[106] 1960년 4월 21일, 45명의 학생들이 권리 침해 및 불법침입 혐의로 구속되었고, 이는 여러 상점을 상대로 한 불매운동으로 이어졌다. 같은 해 4월에는 78개 남부 도시와 주변 흑인 공동체로 운동이 확산되어 2,000여 명의 학생들이 체포되었고, 1년 후에는 그 수가 두 배로 늘었다. 학생들의 연좌농성이 증가하면서 인종주의자들과의 긴장이 고조되어 폭력 사태가 빈번하게 발생하였다. 1960년 10월, 마틴 루터 킹과 36명의 학생들이 백화점 연좌 농성 중 구속되었고, 이에 항의하는 더 많은 흑인 시위대가 운집하여 57명이 구속되었다. 1961년에도 농성과 체포는 계속되었고, 같은 해 9월 27일 애틀랜타에서 흑백분리가 철폐되기 시작했지만, 일부 남부지역에서는 흑인들이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지 못했다.

자유 기행 이후, 미시시피주 지역 흑인 지도자들은 SNCC(학생 비폭력 조정 위원회)에 흑인 유권자 등록을 돕고 지역 사회 단체를 구축하는 것을 요청했다. 미시시피주는 1890년 헌법을 통해 인두세, 거주 요건, 읽기 능력 시험 등의 조항을 포함시켜 흑인들의 유권자 등록을 어렵게 만들고 투표권을 박탈했다. 20세기 중반까지 흑인들의 투표를 막는 것은 백인 우월주의 문화의 중요한 부분이 되었다. 1959년 6월과 7월, 테네시주 페이트 카운티의 흑인들은 투표를 촉진하기 위해 페이트 카운티 시민 복지 연맹을 결성했다. 당시 카운티에는 16,927명의 흑인이 있었지만, 지난 7년 동안 단 17명만 투표했다. 1년 만에 약 1,400명의 흑인이 등록했고, 백인 사회는 경제적 보복으로 맞섰다. 백인 시민 위원회는 유권자 명부를 사용하여 등록된 흑인 유권자 블랙리스트를 유포하여 은행, 지역 상점, 주유소가 이들에게 필수적인 서비스를 거부하도록 했다. 투표를 위해 등록한 소작농 흑인들은 집에서 쫓겨났고, 총 257가구가 퇴거당해 많은 가구가 1년 이상 임시 텐트 도시에서 살아야 했다. 1960년 12월, 법무부는 1957년 민권법에 따라 페이트 카운티 시민의 민권을 침해한 혐의로 70개 단체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했다.[106] 이듬해 미시시피주 맥콤과 주 남서쪽 주변 카운티에서 최초의 유권자 등록 프로젝트가 시작되었다. 이들의 노력은 주 및 지방 경찰, 백인 시민 위원회, 쿠 클럭스 클랜의 폭력적인 탄압에 직면했다. 활동가들이 구타당했고, 수백 명의 지역 주민들이 체포되었으며, 투표 활동가 허버트 리가 살해되었다.[107]

미시시피주에서 흑인 유권자 등록에 대한 백인들의 반대가 극심했기 때문에, 자유 운동 활동가들은 주의 모든 시민 권리 단체가 힘을 합쳐야 한다고 판단했다. 1962년 2월, SNCC, CORE(핵심), NAACP(미국 유색인 지위 향상 협회) 대표들은 연합 단체 협의회(COFO)를 결성했고, 8월 회의에서 SCLC(남부 기독교 지도자 협의회)가 COFO에 합류했다.[108]

1962년 봄, 유권자 교육 프로젝트의 지원을 받아 SNCC/COFO는 미시시피 델타 지역(그린우드 주변), 해티스버그, 로럴, 홀리 스프링스 주변 지역에서 유권자 등록 활동을 시작했다. 맥콤과 마찬가지로, 이들은 체포, 구타, 총격, 방화, 살인 등 격렬한 반대에 직면했다. 등록관들은 흑인들을 투표 명부에서 제외하기 위해 읽기 능력 시험을 사용했고, 고등 교육을 받은 사람들조차 통과하기 어려운 기준을 만들었다. 고용주들은 투표 등록을 시도한 흑인들을 해고했고, 집주인들은 그들을 임대 주택에서 쫓아냈다.[109] 이러한 탄압에도 불구하고, 흑인 유권자 등록 운동은 주 전역으로 확산되었다.

SNCC, CORE, SCLC는 루이지애나주, 앨라배마주, 조지아주 남서부, 사우스캐롤라이나주에서 유사한 유권자 등록 운동을 시작했고, 비슷한 탄압을 받았다. 1963년까지 남부의 유권자 등록 운동은 학교 인종 차별 철폐 노력만큼 자유 운동의 중요한 부분이 되었다. 1964년 민권법[7] 통과 후, 주의 장벽에도 불구하고 유권자 등록을 보호하고 촉진하는 것이 운동의 주요 노력이 되었다. 이는 모든 시민의 헌법상 투표권을 보장하는 1965년 투표권법의 통과로 이어졌다.

1956년부터 흑인이자 한국 전쟁 참전 용사였던 클라이드 케너드는 G.I. 법안에 따라 미시시피 사우스 칼리지(현재 서던 미시시피 대학교) 해티스버그 캠퍼스에 입학하려 했다. 그러나 당시 총장이었던 윌리엄 데이비드 매케인은 미시시피 주 주권 위원회를 이용해 그의 입학을 막으려 했다.[110] 주 정부 지원 기관은 인종차별 정책을 긍정적으로 묘사하여 시민권 운동에 맞서 싸우려 했다. 활동가들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그들을 법적으로 괴롭히고, 경제적 보이콧을 통해 그들의 활동을 억압하려 했다. 케너드는 조작된 혐의로 두 차례 체포되었고, 결국 유죄 판결을 받고 7년의 주 형무소 복역형을 선고받았다.[117] 3년간 강제 노역을 한 후, 케너드는 미시시피 주지사 로스 바넷에 의해 가석방되었다. 언론인들이 그의 사건을 조사하여 주 정부의 대장암에 대한 부당한 대우를 공개했다.[117] 매케인의 케너드 체포 및 유죄 판결에 대한 역할은 알려지지 않았다.[111][112][113][114] 케너드의 입학을 막으려고 애쓰던 중, 매케인은 미시시피 주 주권 위원회의 후원으로 시카고에서 연설을 했다. 그는 남부 학교의 인종 분리 철폐를 추구하는 흑인들을 북부에서 온 "외부인"이라고 묘사했다. (케너드는 해티스버그 출신이자 거주자였다.) 매케인은 다음과 같이 말했다.

> 교육적, 사회적으로 우리는 인종 분리된 사회를 유지해야 한다고 주장합니다…공정하게 말해서, 우리는 흑인의 투표를 장려하지 않습니다…흑인들은 정부 통제가 백인의 손에 남아 있기를 선호합니다.[111][113][114]

참고: 미시시피는 1890년 새로운 헌법을 통과시켜 선거 및 유권자 등록 요건을 변경함으로써 대부분의 흑인들의 참정권을 박탈했는데, 이는 남북 전쟁 이후 개정안에 따라 보장된 헌법적 권리를 박탈했음에도 불구하고 당시 미국 대법원의 이의 제기에도 살아남았다. 1965년 투표권법이 통과된 후에야 미시시피와 다른 남부 주의 대부분의 흑인들이 시민의 투표권을 보장하는 헌법적 권리를 시행하기 위한 연방 정부의 보호를 받게 되었다.

제임스 메러디스가 미국 연방 보안관과 법무부 관리의 호위를 받으며 수업을 향해 걷고 있다.


1962년 9월, 제임스 메러디스는 미시시피 대학교 입학을 보장하는 소송에서 승소했다. 그는 9월 20일, 9월 25일, 9월 26일에 캠퍼스 입장을 시도했지만, 로스 바넷 주지사에 의해 막혔다. 미국 제5순회항소법원은 바넷과 부지사 폴 B. 존슨 주니어를 법정 모독으로 판결하고, 메러디스의 입학을 허용하지 않은 매일 1만 달러가 넘는 벌금형을 선고했다.

미시시피 대학교 캠퍼스에 있는 미국 육군 트럭에 연방 법 집행관들이 탑승해 있다, 1962년.


법무장관 로버트 F. 케네디는 미국 연방 보안관 사무소의 대규모 인원을 파견하고 미국 국경 순찰대 요원과 연방 교도소 관리들을 임명했다. 1962년 9월 30일, 메러디스는 그들의 호위 아래 캠퍼스에 입장했다. 학생들과 다른 백인들은 그날 저녁 폭동을 일으켜 라이시엄 홀에서 메러디스를 경호하는 연방 요원들에게 돌을 던지고 발포했다. 폭도들은 프랑스 기자를 포함해 두 명의 민간인을 살해했고, 28명의 연방 요원이 총상을 입었고 160명이 부상을 당했다. 존 F. 케네디 대통령은 폭동을 진압하기 위해 미국 육군과 연방화된 미시시피 주 방위군 병력을 캠퍼스에 파병했다. 메러디스는 군대가 도착한 다음 날 수업을 시작했다.[115]

케너드와 다른 활동가들은 공립대학 인종 분리 철폐를 위해 계속해서 노력했다. 1965년 레이로니 브랜치와 구웬돌린 일레인 아암스트롱이 서던 미시시피 대학교에 입학한 최초의 흑인 학생이 되었다. 그때쯤 매케인은 그들이 평화롭게 입학할 수 있도록 도왔다.[116] 2006년 로버트 헬프리히 판사는 케너드가 1950년대에 유죄 판결을 받았던 모든 혐의에 대해 사실상 무죄임을 판결했다.[117]

1961년 11월, SCLC(남부 기독교 지도자 회의)는 조지아주 앨버니에서 인종차별 철폐 운동에 자원을 투입했다. SNCC(비폭력 조정위원회) 운동가들로부터 비판을 받았던 마틴 루터 킹 목사는 SNCC 조직자들과 현지 지도자들이 이끄는 이 운동을 직접 지원하기 위해 개입했다. 이 운동은 현지 경찰서장인 로리 프리쳇의 교활한 전술과 흑인 사회 내 분열로 인해 실패했다. 프리쳇은 시위대에 대한 폭력적인 공격 없이 행진자들을 제압하여 전국적인 여론을 자극하지 않았다. 그는 또한 체포된 시위대원들을 주변 지역의 교도소로 이송하여 자신의 교도소에는 충분한 공간을 확보했다. 프리쳇은 또한 킹 목사의 존재가 위험하다고 예상하고 킹 목사가 흑인 사회를 결집시키는 것을 막기 위해 그의 석방을 강요했다. 킹 목사는 1962년에 어떤 극적인 승리도 거두지 못한 채 떠났다. 그러나 현지 운동은 투쟁을 계속했고, 향후 몇 년 동안 상당한 성과를 거두었다.[118]

3. 3. 리틀록 나인

1954년 미국 연방 대법원은 브라운 대 교육위원회 판결을 통해 공립학교에서의 인종 차별을 위헌으로 판결했다. 이에 따라 전국의 학교에서 오랫동안 행해져 온 인종 차별이 폐지되어 가기 시작했다. 그러나 인종 차별적인 분위기가 짙게 남아 있던 남부와 중서부 각 주에서는 주 정부에 따라 인종 차별에 대한 대응이 제각각이었다.

1957년 아칸소주 주립 리틀록 센트럴 고등학교에는 9명의 흑인 학생이 입학하려 했다. 그러나 백인 우월주의자이자 재선을 위한 백인 표를 얻으려 한 오벌 포버스 주지사는 이를 거부했다. 그는 “백인 극단주의자들의 습격 사건이 일어날 것이라는 정보가 있어 학교를 폐쇄한다”는 이유로 주 방위군을 소집하여 학교를 폐쇄하고 흑인 학생들의 입학을 방해했다.

시민권 운동이 전국적으로 활기를 띠는 가운데 발생한 이 사건에 대해 인종 차별 반대 운동가뿐만 아니라 백인이 많은 미국 국내 여론과 연방 정부도 반발했다.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 대통령은 포버스 주지사에게 사태 수습을 지시했지만, 이 명령은 무시되었다. 이에 아이젠하워 대통령은 긴급히 미국 육군의 제101 공수사단을 파병하여 입학하는 흑인 학생들을 호위하게 했다. 그 후 9명의 흑인 학생들은 무사히 입학했지만, 백인 학생들로부터 집요한 괴롭힘을 당하게 되었다.

3. 4. 프리덤 라이더

제공된 소스와 이전 출력이 "프리덤 라이더" 섹션에 해당하지 않으므로, 출력할 내용이 없습니다. 이전 출력은 정확했으며, 주어진 지시사항에 따라 "프리덤 라이더"에 대한 정보가 없기 때문에 빈 섹션을 생성하지 않았습니다.

3. 5. 유권자 등록 운동

브라운 대 교육위원회 판결에 고무되었지만, 즉각적인 실질적인 효과가 부족한 것에 좌절한 시민들은 점차 점진적이고 법률적인 접근 방식을 인종 분리 철폐의 주요 수단으로 거부했다. 그들은 남부에서 인종 분리와 유권자 억압을 지지하는 "대규모 저항"에 직면했다. 이에 맞서 아프리카계 미국인 활동가들은 직접 행동, 비폭력, 비폭력 저항, 그리고 시민 불복종을 결합한 전략을 채택하여 1954년부터 1968년까지의 시민권 운동을 일으켰다.[40]

3. 6. 미시시피 대학교 통합

죄송합니다. 해당 섹션에 대한 내용은 제공된 원본 소스에서 찾을 수 없어서, 이전 답변과 마찬가지로 이번에도 작성이 불가능합니다.

3. 7. 올버니 운동

1962년, 스탠리 브랜치와 자유를 위한 위원회(CFFN)는 펜실베이니아주 체스터의 흑인 거주 지역에 있는 프랭클린 초등학교의 열악한 환경 개선에 힘을 쏟았다. 500명 정원으로 지어진 학교는 1,200명의 학생들로 붐볐다. 평균 학급 규모는 39명으로, 인근 백인 학교의 두 배였다.[151] 1910년에 지어진 학교는 단 한 번도 개보수되지 않았고, 학교 전체에 화장실이 두 개뿐이었다.[153] 1963년 11월, CFFN 시위대는 프랭클린 초등학교와 체스터 시청 입구를 봉쇄하여 240명이 체포되었다. 언론 보도로 대중의 관심이 높아지자, 시장과 교육위원회는 CFFN과 미국흑인지위향상협회(NAACP)와 협상했다.[150] 체스터 교육위원회는 프랭클린 학교의 학급 규모를 줄이고, 비위생적인 화장실 시설을 없애고, 보일러실과 석탄 창고에서 열리는 수업을 옮기고, 학교 부지를 수리하기로 했다.[153]

프랭클린 초등학교 시위의 성공에 힘입어 CFFN은 신규 회원을 모집하고, 유권자 등록 운동을 후원하고, 체스터 학교 전체 보이콧을 계획했다. 브랜치는 인근 스워스모어 대학교, 펜실베이니아 군사학교, 체이니 주립대학교 학생들과 긴밀히 협력하여 시위 참여를 독려했다.[150] 딕 그레고리와 말콤 X를 체스터에 초청하고,[155] 글로리아 리처드슨 등 다른 전국적인 시민권 지도자들도 시위를 지지하기 위해 체스터를 찾았다.[152]

1964년, 거의 매일 밤 시위가 체스터를 혼란에 빠뜨렸다. 시위대는 체스터 교육위원회가 사실상의 학교 인종 분리를 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제임스 고어비 체스터 시장은 질서 회복을 약속하는 "공공의 평화를 유지하기 위한 경찰의 입장"이라는 10개 항의 성명을 발표했다. 시는 시위대를 처리하기 위해 소방관과 쓰레기 수거인을 임명했다.[150] 펜실베이니아 주는 77명의 체스터 경찰을 지원하기 위해 주 경찰 50명을 배치했다.[153] 시위는 폭력과 경찰의 잔혹 행위에 대한 비난으로 이어졌다.[154] 두 달 동안 600명 이상이 체포되었다.[150] 윌리엄 스크랜턴 펜실베이니아 주지사가 협상에 참여하여 브랜치를 설득해 법원의 시위 중단 명령을 따르게 했다.[155] 스크랜턴은 공립학교의 사실상 인종 분리에 대한 청문회를 실시하기 위해 펜실베이니아 인권위원회를 설립했다. 1964년 여름 위원회가 청문회를 여는 동안 모든 시위가 중단되었다.

1964년 11월, 펜실베이니아 인권위원회는 체스터 교육위원회가 법을 위반했으며 도시의 흑인이 주로 거주하는 6개 학교의 인종 분리를 해제하라는 명령을 내렸다. 도시는 판결에 항소하여 시행이 지연되었다.[153]

3. 8. 버밍햄 캠페인

1963년 앨라배마주 버밍햄에서 일어난 버밍햄 캠페인은 흑인 민권 운동의 중요한 전환점이었다. 이 캠페인은 비폭력적인 직접 행동을 통해 짐 크로 법에 항의하고 인종차별적인 고용 관행을 철폐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캠페인 과정에서 시위대는 평화적인 행진과 연좌 농성을 벌였지만, 공공 안전 국장 불 코너는 경찰견과 고압 소방 호스를 동원하여 시위대를 강경 진압했다. 이 폭력적인 장면들은 텔레비전을 통해 전국적으로 방송되었고, 이는 세계적인 비난 여론을 불러일으켰다.

결국, 케네디 행정부는 버밍햄 사태에 개입하여 중재에 나섰다. 케네디 대통령은 흑인 유권자들의 표를 얻기 위해, 그리고 국제적인 비난 여론을 무마하기 위해 남부 각 주의 인종차별법, 소위 "짐 크로 법"을 금지하는 법안들을 잇달아 통과시키기 시작했다.

3. 9. 워싱턴 행진

1950년대부터 1960년대에 걸쳐 발생한 백인에 의한 인종차별 사건들과, 이에 대한 백인을 포함한 여론의 반발과 많은 정치인들의 지지는, 그동안 고독한 투쟁을 벌여왔던 많은 시민권 운동가들에게 힘을 주었다.

시민권 운동은 마틴 루터 킹 목사 등의 호소에 따라, 인종차별과 인종차별 철폐를 요구하는 20만 명 이상의 참가자를 모은 1963년 8월 28일 워싱턴 D.C.의 "워싱턴 대행진"에서 절정에 달했다.

워싱턴 대행진에서 "I Have a Dream" 연설을 하는 마틴 루터 킹 목사


이 "워싱턴 대행진"에는 민주당의 존 F. 케네디 대통령과 린든 B. 존슨 부통령은 참석하지 않았지만, 마틴 루터 킹 목사와 그의 이상에 공감하는 미국 내 각 단체는 물론, 시민권 운동에 협력하는 시드니 포이티어, 말론 브란도, 해리 벨라폰테, 찰턴 헤스턴, 조세핀 베이커, 밥 딜런 등 다양한 인종의 세계적인 스타들도 다수 참가하는 등 미국 내는 물론 전 세계의 주목을 받았고, 그 모습은 전 세계에 보도되었다.

이때, 킹 목사가 워싱턴 기념탑 광장에서 한 "I Have a Dream" 연설은 미국 역사에 남는 유명한 연설일 뿐만 아니라, 아직도 많은 지역이 영국, 프랑스, 네덜란드 등 백인 국가들의 식민지 지배하에 있던 아프리카와 아시아의 독립 운동과 남아프리카 등의 인종차별 해소 운동에 큰 영향을 주었다.

3. 10. 세인트 오거스틴 운동

1964년 플로리다 주 세인트 오거스틴에서 벌어진 인종 차별 철폐 운동은 1964년 민권법 통과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이 운동은 쿠 클럭스 클랜의 폭력적인 반대에도 불구하고, 흑인과 백인 운동가들이 함께 힘을 합쳐 인종 차별에 맞선 투쟁이었다.

3. 11. 체스터 학교 시위

체스터 학교 시위는 펜실베이니아주 체스터에서 벌어진 학교 인종 분리에 반대하는 시위였다. 이 시위는 경찰의 가혹한 탄압을 받았지만, 펜실베이니아 인권 위원회의 판결을 이끌어냈다.

3. 12. 프리덤 서머

프리덤 서머(Freedom Summer)는 1964년 여름 미시시피 주에서 흑인 유권자 등록을 확대하기 위해 시작된 자원봉사 캠페인이었다. 이 프로젝트에는 흑인 미시시피 주민들과 1,000명 이상의 주 외 자원봉사자들이 참여했으며, 이들은 백인 우월주의 단체인 쿠 클럭스 클랜(KKK)의 위협과 폭력에 직면했다.

KKK, 경찰, 주 및 지방 당국은 프리덤 서머 운동에 대항하여 자원봉사자들을 상대로 체포, 폭행, 방화, 살인 등 다양한 형태의 폭력을 행사했다. 특히 1964년 6월 21일에는 시민권 운동가 제임스 채니(James Chaney), 앤드루 굿맨(Andrew Goodman), 마이클 슈워너(Michael Schwerner)가 미시시피 주 네쇼바 카운티에서 실종된 후 살해된 채 발견되어 전국적인 공분을 샀다.[162] 이 사건은 FBI의 대대적인 수사로 이어졌고, 결국 KKK 단원들을 포함한 용의자들이 기소되었다.

프리덤 서머는 미시시피 주에서 흑인 유권자 등록을 증가시키는 데 기여했지만, 동시에 흑인 민권 운동에 대한 백인 우월주의자들의 폭력적인 저항을 극명하게 보여주었다.

3. 13. 셀마 투표권 운동과 행진

학생비폭력조정위원회(SNCC)는 1963년 앨라배마주 셀마에서 유권자 등록 운동을 시작했지만, 셀마 보안관 짐 클라크의 반대로 큰 진전을 보지 못했다. 이에 지역 주민들은 남부기독교지도자회의(SCLC)에 도움을 요청했고, 마틴 루터 킹 목사가 셀마를 방문하여 여러 차례 행진을 이끌었다. 이 과정에서 킹 목사를 포함한 250명의 시위대가 체포되었고, 행진 참가자들은 경찰의 폭력적인 저항에 직면했다. 1965년 2월 17일에는 인근 마리온 주민인 지미 리 잭슨이 경찰에 의해 살해당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잭슨의 죽음은 셀마 운동 책임자 제임스 비벌로 하여금 셀마에서 주도인 몽고메리까지 행진을 계획하도록 했다.

1965년 3월 7일, SCLC의 호시아 윌리엄스와 SNCC의 존 루이스는 600명의 행진 대열을 이끌고 셀마에서 몽고메리까지 87km 행진을 시작했다. 행진 시작 6블록 지점인 에드먼드 페터스 다리에서 주 경찰과 지역 법 집행 기관은 곤봉, 최루탄, 채찍 등으로 평화로운 시위대를 공격했다. 이 사건으로 루이스는 의식을 잃었고, 최소 16명의 행진 참가자들이 병원에 입원했다. 이 공격은 "피의 일요일"로 불리게 되었다.

경찰이 "피의 일요일" 첫날 셀마에서 몽고메리까지의 행진에서 비폭력 행진자들을 공격하는 모습.


법 집행 기관이 투표권을 행사하려는 비폭력 행진 참가자들을 공격하는 장면은 전국적으로 방송되어 큰 반향을 일으켰다. 전국 각지에서 수백 명의 사람들이 두 번째 행진에 참여하기 위해 셀마로 모여들었다. 그러나 킹 목사는 연방 명령을 위반하지 않기 위해 행진 참가자들을 돌려보냈다. 그날 밤, 지역 백인들이 투표권 지지자 제임스 리브를 공격하여 사망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이러한 일련의 사건들은 전국적인 분노를 일으켰고, 결국 행진 참가자들은 연방군의 보호를 받으며 2주 후 앨라배마 전역을 행진할 수 있게 되었다.

이후 쿠 클럭스 클랜(Ku Klux Klan) 단원 4명이 행진 참가자들을 셀마로 다시 태워주던 디트로이트 가정주부 비올라 루이조를 총으로 살해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첫 번째 행진 8일 후, 존슨 대통령은 의회에 제출한 투표권 법안을 지지하는 텔레비전 연설을 했다.

1965년 8월 6일, 존슨 대통령은 1965년 투표권법에 서명했다. 이 법안은 읽기 시험과 기타 주관적인 유권자 등록 시험을 중단하고, 유권자 등록에 차별이 있는 지역에 대한 연방 정부의 감독을 허용했다. 이 법안 통과 후 몇 달 만에 25만 명의 새로운 흑인 유권자가 등록되었으며, 남부의 유권자 등록은 두 배 이상 증가했다. 1965년 미시시피주는 흑인 유권자 투표율이 74%로 가장 높았고, 흑인 공직자 선출 수에서 전국을 이끌었다.

투표권법에 반대했던 백인들 중 일부는 빠르게 대가를 치렀다. 1966년 앨라배마주 셀마의 보안관 짐 클라크는 재선에서 패배했다. 흑인들이 투표권을 되찾으면서 남부의 정치 지형이 바뀌었고, 1989년까지 7,200명 이상의 흑인이 공직에 진출했다.

4. 주요 법률 및 판결

미국 연방 대법원1883년 시민권 소송에서 “수정 제14조는 사인(私人)에 의한 차별에는 적용되지 않는다”고 판결하여, 개인이나 민간 기업의 흑인 차별을 방치했다.[326][327][328] 이는 1875년 제정된 시민권법을 무력화했다.

1896년 플레시 대 퍼거슨 판결에서 대법원은 “분리되어 있으나 평등하다”는 원칙으로 공공시설에서의 흑백 분리를 합법화했다. 이는 짐 크로 법으로 대표되는 남부 인종차별 법률 제정을 촉진했다. 짐 크로 법은 교통, 식수대, 화장실, 학교, 도서관, 호텔, 식당 등 거의 모든 공공장소에서 흑백 분리를 강제했다. 흑인들은 백인 소유 주유소나 정비소 이용을 거부당하고, '선다운 타운'에서 추방되기도 했다. 이에 대응해 흑인들은 "흑인 운전자를 위한 그린 북"이라는 안내 책자를 만들었다.

1964년 민권법과 1965년 투표권법은 흑인 민권 운동의 중요한 성과였다. 1964년 민권법은 고용 및 공공시설 이용에서의 인종 차별을 금지했고, 1965년 투표권법은 흑인 투표권을 제한하던 각종 시험과 제도를 폐지했다.

4. 1. 1964년 민권법

1964년 7월 2일 린든 B. 존슨 대통령이 서명한 1964년 민권법은 고용 및 공공 시설 이용에 있어서 "인종, 피부색, 종교, 성별, 출신 국가"에 따른 차별을 금지하는 획기적인 법률이다.[7] 이 법은 법무장관에게 차별 금지 조항을 집행하기 위한 소송을 제기할 권한을 부여했으며, 차별을 조장하는 주 및 지방 법률을 무효화했다.

린든 B. 존슨 대통령이 1964년 민권법에 서명하고 있다. 뒷줄 중앙에 마틴 루터 킹 주니어 목사가 서있다.


존 F. 케네디 대통령이 제안한 민권 법안은 북부 의원들의 지지를 받았지만, 남부 상원의원들은 필리버스터를 통해 법안 통과를 저지하려 했다. 존슨 대통령은 의회를 설득하고 54일간의 필리버스터 끝에 법안을 통과시켰다.

1964년 1월, 린든 B. 존슨 대통령(가운데)이 마틴 루터 킹 주니어, 휘트니 영, 제임스 파머 등 민권 운동 지도자들과 회담하고 있다.


존슨 대통령은 1964년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 압도적인 승리를 거두며, 흑인 사회의 지지를 확인했다. 이후 존슨 행정부는 적극적 차별시정 조치를 통해 흑인의 사회적, 경제적 지위 향상을 위한 정책을 적극적으로 추진했다.

1960년부터 미국이 본격적으로 참전한 베트남 전쟁에서는 미군 역사상 처음으로 "흑인 부대"가 편성되지 않았고, 흑인 장교들이 백인 병사들을 지휘하는 등 군대 내 인종 통합이 이루어졌다.

마틴 루터 킹 주니어 목사는 민권 운동에 대한 공로를 인정받아 1964년 노벨 평화상을 수상했다. 그는 수상 소감에서 "이 상은 모든 아프리카계 미국인들의 것이다"라고 말했다.

4. 2. 1965년 투표권법

1965년 5월 26일, 미국 상원은 77대 19의 표결로 투표권법을 통과시켰다. 남부 상원의원들만이 이 법안에 반대했다.[162][163] 7월 9일, 하원은 333대 85의 표결로 하원 버전의 법안을 통과시켰다.[162][164] 8월 3일부터 4일까지 양원은 두 법안을 조정했고, 8월 6일 린든 B. 존슨 대통령은 1965년 투표권법에 서명했다.

이 법은 읽기 시험과 기타 주관적인 유권자 등록 시험을 중단시켰다. 또한, 흑인들이 유권자 명부에 등록 가능한 인구에 비해 역사적으로 적게 대표되어 온 주와 개별 투표구에서 유권자 등록에 대한 연방 정부의 감독을 허가했다. 투표 등록이 금지되었던 흑인들은 지방 또는 주 법원에 소송을 제기하는 대신 연방 정부의 도움을 받을 수 있게 되었다. 유권자 등록에 차별이 발생하면, 1965년 법안은 미국 법무장관이 연방 조사관을 파견하여 지역 등록관을 대체할 수 있도록 허용했다.

법안 통과 후 몇 달 만에 25만 명의 새로운 흑인 유권자가 등록되었는데, 그중 3분의 1은 연방 조사관에 의해 등록되었다. 4년 이내에 미국 남부의 유권자 등록은 두 배 이상 증가했다. 1965년 미시시피주는 흑인 유권자 투표율이 74%로 가장 높았고, 흑인 공직자 선출 수에서 전국을 이끌었다. 1969년 테네시주의 흑인 유권자 투표율은 92%, 아칸소주는 78%, 텍사스주는 73%였다.

투표권법에 반대했던 백인들 중 일부는 빠르게 대가를 치렀다. 1966년 앨라배마주 셀마의 보안관 짐 클라크는 시민권 행진자들에게 전기 충격기를 사용한 것으로 악명이 높았는데, 재선에 실패했다. 흑인들이 그를 축출하기 위해 투표하면서 클라크는 패배했다.

흑인들이 투표권을 되찾으면서 남부의 정치 지형이 바뀌었다. 의회가 투표권법을 통과시켰을 때, 약 100명의 흑인만이 선출직 공직을 맡고 있었는데, 모두 북부 주에 있었다. 1989년까지 7,200명 이상의 흑인이 공직에 있었는데, 그중 4,800명 이상이 남부에 있었다. 앨라배마주에서 흑인 인구가 대다수인 거의 모든 카운티에 흑인 보안관이 있었다. 남부 흑인들은 시, 카운티 및 주 정부에서 최고 직책을 맡았다.

애틀랜타는 1982년 앤드류 영을, 미시시피주 잭슨은 1997년 주니어 하비 존슨을, 뉴올리언스는 1978년 어니스트 모리얼을 흑인 시장으로 선출했다. 전국적 차원의 흑인 정치인으로는 1973년 텍사스주 하원의원으로 선출된 바버라 조던이 있으며, 지미 카터 대통령은 앤드류 영을 유엔 미국 대사로 임명했다. 줄리안 본드는 1965년 조지아 주 의회에 선출되었지만, 베트남 전쟁에 대한 미국의 개입에 대한 반대라는 그의 공개적인 발언에 대한 정치적 반발로 1967년까지 그의 자리를 차지하지 못했다. 존 루이스는 1986년 처음으로 미국 하원의 조지아주 제5 선거구를 대표하여 선출되었으며, 2020년 사망할 때까지 봉직했다. 전 남부 연합 주 출신의 흑인 하원의원은 1980년 선거에서 2명, 1990년 선거에서 4명이었지만, 2000년 선거에서는 16명으로 증가했다.

4. 3. 1968년 민권법 (공정 주택법)

1960년대 중반, 미국은 "긴 뜨거운 여름"이라 불리는 일련의 민중 폭동을 겪었다. 초기 민권 운동이 주로 남부의 인종차별 철폐에 대한 법적 문제에 초점을 맞춘 반면, "긴 뜨거운 여름"은 북부 도시 지역 사회의 인종적 불평등과 문제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켰다.[172] 체계적인 인종차별, 경찰의 잔혹 행위, 높은 실업률, 도시 흑인 지역의 열악한 생활 환경, 그리고 절망감이 광범위한 불안에 기여했다.[173][174][175]

1960년대 중반 폭동은 주요 시민권 법안 통과 직후 발생하여 흑인과 백인 시민권 운동가 모두를 당황하게 만들었다. 또한, 많은 북부 백인들이 시민권 운동에 대한 지지를 중단하면서 백인 사회의 반발을 불러일으켰다.[193] 1967년 7월 28일, 린든 B. 존슨 대통령은 반복되는 도시 시민 불안의 원인을 조사하기 위해 국민 폭동 자문위원회(National Advisory Commission on Civil Disorders), 비공식적으로는 커너 위원회를 구성했다.[194][195] 위원회는 1967년 9개월 동안 발생한 164건의 폭동을 조사했다. 대통령은 위원회에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 왜 일어났는지, 그리고 어떻게 예방할 수 있는지 문서화하라고 지시했다.[196]

1968년 위원회 보고서는 경찰의 관행, 실업 및 불완전 고용, 그리고 적절한 주택 부족을 분노의 가장 중요한 원인으로 밝혔다.[197] 보고서는 인종 통합을 촉진하고 빈곤을 완화하기 위한 입법 조치를 제안했으며, 미국이 "흑인 사회와 백인 사회, 두 개의 분리되고 불평등한 사회로 나아가고 있다"고 결론지었다.[198] 베트남 전쟁에 몰두하고 예산 제약을 잘 알고 있던 존슨 대통령은 이 보고서를 거의 무시했다.[199]

5. 주요 인물

마틴 루터 킹 주니어는 흑인 민권 운동의 상징적인 지도자로, 비폭력 저항 운동을 이끌었다. 1963년 워싱턴 대행진에서 "I Have a Dream" 연설로 유명하며, 1968년 암살 이후 코레타 스콧 킹이 그의 유지를 이었다.

로자 파크스1955년 몽고메리에서 버스 좌석 양보를 거부하여 몽고메리 버스 보이콧 운동을 촉발, 흑인 민권 운동의 기폭제가 되었다.

말콤 X는 흑인 분리주의에서 흑인 민족주의와 자위권으로 노선을 변경, 시민권 운동 단체와의 협력을 모색했다. "투표이냐 총탄이냐" 연설을 통해 적극적인 행동을 촉구했으며, SNCC, 패니 루 해머 등과 연대했다.

5. 1. 마틴 루터 킹 주니어



마틴 루터 킹 주니어는 비폭력 저항 운동의 지도자로서 1963년 워싱턴 D.C.에서 열린 워싱턴 대행진을 이끌었다. 이 자리에서 킹 목사는 "I Have a Dream"이라는 연설을 통해 미국 사회에 대한 그의 비전을 제시했다. 이 연설은 아프리카와 아시아의 독립 운동과 남아프리카 등의 인종차별 해소 운동에 큰 영향을 주었다.

킹 목사는 멤피스 위생 노동자 파업을 지지하기 위해 테네시주 멤피스를 방문했고, 1968년 4월 4일 로레인 모텔에서 암살되었다. 그의 죽음은 미국 전역 110개 이상의 도시에서 폭동을 일으켰다.

킹의 장례식 전날, 코레타 스콧 킹은 42,000명의 참가자와 함께 침묵 행진을 이끌었다. 장례식에는 15만 명이 넘는 사람들이 애틀랜타 거리를 가득 메웠다. 코레타 스콧 킹은 남편의 유지를 이어 인종 평등을 위한 투쟁을 계속할 것을 다짐했다.[204]

킹 목사의 비폭력 저항 운동은 1964년 노벨 평화상 수상으로 이어졌으며, 이는 흑인으로서는 세 번째 수상이었다. 킹 목사는 이 상을 모든 아프리카계 미국인들에게 바친다고 말했다.

5. 2. 로자 파크스



1955년 12월 1일, 앨라배마주 몽고메리에서 흑인 여성 로자 파크스는 시영 버스의 '흑인 전용석'에 앉아 있었다. 자리가 없는 백인이 자리를 양보해 줄 것을 요구했지만, 로자 파크스는 이를 거부했다. 버스 운전사 제임스 블레이크는 백인 승객에게 자리를 양보하라고 명령했으나, 파크스는 이마저도 거부하여 '인종 차별법' 위반으로 경찰에 체포되어 투옥되었고, 이후 몽고메리 시청 내 주 간이법정에서 벌금형을 선고받았다.

이 사건에 항의하여 마틴 루터 킹 주니어 목사 등은 몽고메리 시민들에게 1년간의 버스 보이콧 운동을 촉구했다. 이 호소에 흑인뿐만 아니라 운동의 의미에 공감하는 다른 유색인종, 나아가 백인들까지도 보이콧에 참여했고, 이후 이 운동은 '몽고메리 버스 보이콧'으로 불리게 된다.

이 운동은 전국적으로 큰 반향을 불러일으켰고, 1956년 미국 연방 대법원은 "버스 내 인종 분리(=백인 전용 및 우선 좌석 설정)"를 위헌으로 하는 판결을 내렸다. 이 판결로 앨라배마주를 비롯한 남부 여러 주에서 흑인의 반인종차별 운동이 활기를 띠게 되었다.

5. 3. 말콤 X

1964년 3월, 말콤 X(엘-하지 말릭 엘-샤바즈)는 국가 이슬람교의 전국 대표직에서 공식적으로 물러났다. 그는 자위권과 흑인 민족주의(말콤은 더 이상 흑인 분리주의를 요구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철학을 받아들이는 모든 시민권 운동 단체와 협력할 것을 공개적으로 제안했다. 글로리아 리처드슨은 메릴랜드주 캠브리지의 SNCC 지부장이자 캠브리지 반란의 지도자였으며,[274] 워싱턴 대행진의 귀빈이었다. 리처드슨은 "미국에서 가장 유명한 여성 [시민권] 지도자"[275]로서, ''볼티모어 아프리칸 아메리칸''지에 "말콤은 매우 실용적이다...연방 정부는 문제가 폭동 수준에 이를 때만 갈등 상황에 개입했다. 자위권은 워싱턴의 개입을 더 빨리 강요할 수 있다."라고 말했다.[275] 1963년 5월, 작가이자 활동가인 제임스 볼드윈은 "흑인 무슬림 운동은 우리가 풀뿌리 운동이라고 부를 수 있는 유일한 운동이다...말콤은 흑인들의 고통을 명확히 한다...그는 그들의 현실을 확인시켜 준다..."라고 공개적으로 말했다.[276] 지역적으로 말콤과 NOI는 적어도 1962년 이후로 인종 평등 회의(CORE) 할렘 지부와 동맹을 맺었다.[277]

말콤 X와 마틴 루터 킹 주니어가 다른 사람들이 지켜보는 가운데 진지하게 서로 이야기하고 있다.
말콤 X가 마틴 루터 킹 주니어와 만나는 모습, 1964년 3월 26일


1964년 3월 26일, 시민권법이 의회에서 강력한 반대에 직면하자 말콤은 국회의사당에서 마틴 루터 킹 주니어와 공개 회의를 가졌다. 말콤은 1957년 초에 킹과 대화를 시작하려고 했지만 킹은 그를 거절했다. 말콤은 킹을 "엉클 톰"이라고 부르며 백인 권력 구조를 달래기 위해 흑인 투쟁을 외면했다고 말하며 응수했다. 하지만 두 사람은 직접 만난 자리에서 좋은 관계를 유지했다.[278] 킹이 아프리카계 미국인에 대한 인권 침해 혐의로 미국 정부를 공식적으로 유엔에 제소하려는 말콤의 계획을 지지할 준비를 하고 있었다는 증거가 있다.[279] 말콤은 이제 흑인 민족주의자들에게 유권자 등록 운동과 다른 형태의 지역 사회 조직화에 참여하여 운동을 재정의하고 확장할 것을 촉구했다.[280]

1963년에서 1964년 사이 시민권 운동가들은 올버니 운동의 방해, 경찰의 탄압, 쿠 클럭스 클랜의 테러(버밍햄), 메드가 에버스 암살과 같은 사건에 저항하며 점점 더 공격적으로 변했다. 미시시피주 NAACP 현장 국장직을 이어받은 메드가 에버스의 형제인 찰스 에버스는 1964년 2월 15일 열린 NAACP 공개 회의에서 "비폭력은 미시시피주에서 통하지 않는다...우리는 마음을 정했다...만약 백인이 미시시피주에서 흑인에게 총을 쏘면 우리도 총을 쏠 것이다."라고 말했다.[281] 플로리다주 잭슨빌에서의 시위대 탄압은 1964년 3월 24일 흑인 청소년들이 경찰에게 몰로토프 칵테일을 던지는 폭동을 일으켰다.[282] 말콤 X는 이 기간 동안 아프리카계 미국인의 권리가 완전히 인정되지 않으면 이러한 과격한 활동이 더욱 악화될 것이라고 경고하는 수많은 연설을 했다. 1964년 4월 그의 역사적인 연설 "투표이냐 총탄이냐"에서 말콤은 백인 미국에 최후통첩을 제시했다. "새로운 전략이 등장하고 있다. 이번 달에는 몰로토프 칵테일이고, 다음 달에는 수류탄이고, 다음 달에는 다른 무언가가 될 것이다. 투표이든 총탄이든."[283]

PBS 다큐멘터리 ''눈은 상을 본다''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말콤 X는 시민권 운동에 광범위한 영향을 미쳤다. 남부에는 오랫동안 자급자족의 전통이 있었다. 말콤 X의 사상은 이제 그 전통에 영향을 미쳤다."[284] 1964년 민주당 전당 대회가 미시시피 자유 민주당(MFDP)의 참석을 거부하고 당의 규칙을 위반하고 짐 크로 법에 따라 선출된 정규 주 대표단을 대신 참석시키기로 결정함에 따라 자급자족은 매우 중요해졌다.[285] SNCC는 점점 더 과격한 방향으로 나아가 1964년 12월 할렘에서 열린 두 차례의 MFDP 모금 행사에서 말콤 X와 협력했다.

패니 루 해머가 할렘 주민들에게 미시시피에서 겪은 짐 크로 폭력에 대해 이야기했을 때, 그녀는 그것을 말콤이 항의했던 북부 경찰의 흑인에 대한 잔혹 행위와 직접적으로 연결했다.[286] 말콤이 아프리카계 미국인들이 독립을 얻기 위한 노력으로 케냐의 마우마우 군대를 본받아야 한다고 주장했을 때, SNCC의 많은 사람들이 박수를 쳤다.[287]

1965년 투표권을 위한 셀마 운동 중에 말콤은 셀마 주변에서 교수형 위협이 증가했다는 보고를 들었다고 알렸다. 1월 말 그는 미국 나치당의 수장인 조지 링컨 로크웰에게 다음과 같은 내용의 공개 전보를 보냈다.

> "당신의 현재 아프리카계 미국인에 대한 인종차별적 선동이 앨라배마 주의 킹 목사 또는 다른 흑인 미국인에게 신체적 피해를 입힌다면...당신과 당신의 KKK 친구들은 비폭력이라는 무장 해제 철학에 구속받지 않는 우리들에 의해 최대의 신체적 보복에 직면하게 될 것이다."[288]

다음 달, SNCC의 셀마 지부는 말콤을 초청하여 그곳에서 대규모 집회에서 연설하도록 했다. 말콤이 등장한 날, 존슨 대통령은 셀마 운동을 지지하는 첫 번째 공개 성명을 발표했다.[289] NAACP 법률 방위 기금의 공동 국장인 폴 라이언 헤이굿은 연방 정부의 지지를 얻는 데 있어 말콤의 역할을 인정했다. 헤이굿은 "말콤이 셀마를 방문한 직후, 연방 판사는 법무부가 제기한 소송에 대한 답변으로 앨라배마주 댈러스 카운티 등록관들에게 사무실이 열려 있는 매일 최소 100건의 흑인 신청서를 처리하도록 명령했다."라고 말했다.[290]

6. 운동의 특징과 방법론

마틴 루터 킹 주니어 목사를 중심으로 한 흑인 민권 운동은 비폭력 저항을 주요 방법론으로 삼았다. 1957년 노스캐롤라이나주 더럼에서는 '로열 세븐'이라 불리는 흑인들이 시트인 운동을 벌였고,[333] 이후 15개 도시에서 5만 명이 참여하는 대규모 시트인 운동으로 확산되었다.[334] 도서관, 스케이트장 등 인종별 좌석을 설치한 시설에 대한 비폭력 항의 활동도 전개되었다.

그러나 흑인 사회 일각에서는 비폭력주의에 대한 반발로 무장 자위를 주장하는 목소리도 있었다. 로버트 F. 윌리엄스가 이끌던 노스캐롤라이나 주 몬로의 미국 유색인 지위 향상협회(NAACP) 지부가 대표적인 사례이다.

미시시피 자유민주당의 패니 루 해머는 풀뿌리 지도자의 한 예이다.


더그 맥애덤(Doug McAdam) 등 일부 학자들은 흑인 민권 운동이 다양한 지역적 노력과 개별 그룹, 전략 및 전술의 연합이었다고 평가한다.[231]

냉전 시대, 미국 공산당은 흑인 민권 운동에 중요한 역할을 했으나, 1950년대 후반 폴 로브슨, 뒤부아 등이 정치적으로 급진화되면서 주류 흑인 사회와 NAACP의 지지를 잃었다.[229] 엘라 베이커에 따르면, 남부 기독교 지도자 회의는 공산주의 관련 비난을 피하고자 이름에 "기독교"를 추가했다.[230]

미국 흑인 민권 운동에서 로자 파크스몽고메리 버스 보이콧[218], 엘라 베이커의 SNCC 설립[221][220] 등 아프리카계 미국인 여성들은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217]

6. 1. 비폭력 저항

마틴 루터 킹 주니어 목사 등을 중심으로 한 흑인 민권 운동은 비폭력 저항 운동을 펼쳤다. 1957년 6월 23일, 노스캐롤라이나주 더럼의 로열 아이스크림 팔러에서 '로열 세븐'이라 불리는 7명의 흑인들이 인종차별에 항의하는 "시트인"을 벌였으나,[333] 불법 침입으로 체포되었다.

이후 15개 도시에서 5만 명이 참여하는 대규모 "시트인" 운동이 일어났고, 인종별 좌석을 설치한 도서관, 스케이트장, 수영장, 해수욕장 등에 대한 비폭력 항의 활동이 확산되었다.[334]

이러한 비폭력 시위에 대해 경찰 당국은 "치안 유지"를 명목으로 가혹하게 탄압했고, 이에 반발한 흑인들의 폭동으로 이어지기도 했다. 그러나 이러한 탄압과 폭동은 전 세계 매스컴에 보도되어 미국의 인종차별 실태와 흑인들의 비폭력 저항 의지를 알리는 계기가 되었다.

하지만, 흑인 사회 일각에서는 이러한 비폭력주의에 대한 반발도 있었다. 특히, 1950년대 후반 남부의 일부 흑인 단체들은 무장 자위를 시작했다. 가장 대표적인 사례는 로버트 F. 윌리엄스가 이끌던 노스캐롤라이나 주 몬로의 미국 유색인 지위 향상협회(NAACP) 지부였다. 윌리엄스는 쿠 클럭스 클랜(KKK)에 의해 쫓겨난 회원들을 다시 규합하여 지부를 재건하고, 회원들에게 무장하고 공격에 대비할 것을 독려했다.[233] 1957년 10월, KKK가 미국 유색인 지위 향상협회(NAACP) 회원 앨버트 페리의 집을 공격했을 때, 윌리엄스의 민병대는 총격전을 벌여 KKK를 격퇴시켰다. 다음 날, 시의회는 KKK 행렬을 금지하는 조례를 통과시켰다.[234]

윌리엄스는 "폭력에는 폭력으로 맞서겠다"고 선언하며, 흑인들의 무장 자위권을 옹호했다.[236] 그의 주장은 전국적인 논쟁을 불러일으켰고, NAACP 전국 의장 로이 윌킨스는 윌리엄스를 직위에서 정직시켰다.[237] 그러나 윌리엄스는 많은 NAACP 지부와 흑인 지도자들의 지지를 받았다. 마틴 루터 킹 주니어는 윌리엄스의 해임을 주장했지만,[238] 엘라 베이커[239]와 W.E.B. 두 보이스[240]는 윌리엄스를 공개적으로 칭찬했다.

윌리엄스는 이후에도 몬로 운동과 전국 운동에서 지도적 역할을 계속했다. 그는 아내 메이블 윌리엄스와 함께 ''크루세이더''(The Crusader)라는 뉴스레터를 발행하고, 1962년에는 ''총을 든 흑인들''(Negroes With Guns)이라는 책을 출판했다. 윌리엄스는 "자유 투쟁의 유연성"을 주장하며, 무장 자위를 비폭력 투쟁의 보완적인 전술로 활용했다.[241]

월터 러커 노스캐롤라이나대학교 채플힐 캠퍼스 역사가는 "로버트 F. 윌리엄스의 등장은 미국의 반흑인 인종 폭력의 현저한 감소에 기여했다"고 평가했다.[245] 흑인들이 무장 자위를 통해 백인들의 폭력에 맞서면서, 비폭력 시위를 할 수 있는 공간이 열렸다는 것이다. 로자 파크스는 1996년 윌리엄스의 장례식에서 "그의 용기와 자유를 향한 헌신"을 칭찬하며, 그의 희생과 행동은 역사에 기록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246]

6. 2. 풀뿌리 지도력



대부분 널리 알려진 흑인 민권 운동 관련 서술은 마틴 루터 킹 주니어의 리더십과 철학에 초점을 맞추고 있지만, 일부 학자들은 이 운동이 너무나 다양하여 한 사람, 한 조직, 또는 한 전략에 공을 돌릴 수 없다고 지적한다. 사회학자 더그 맥애덤(Doug McAdam)은 "킹의 경우, 그가 현대 민권 운동의 지도자였다고 말하는 것은 부정확하다...하지만 더 중요한 것은, 단일한 민권 운동이 없었다는 점이다. 사실 이 운동은 수십 년에 걸쳐 전국적으로 수천 개의 지역적 노력, 수백 개의 개별 그룹, 그리고 합법적, 불법적, 제도적, 비제도적, 폭력적, 비폭력적 등 모든 종류의 전략과 전술을 아우르는 연합이었다. 킹의 중요성을 깎아내리지 않고도, 근본적으로 무정형적이고 유동적이며 분산된 운동의 지도자라고 그를 부르는 것은 순전히 허구일 것이다."라고 말했다.[231] 탈중앙화된 풀뿌리 지도력은 존 디트머(John Dittmer), 찰스 페인(Charles Payne), 바바라 랜스비(Barbara Ransby) 등 역사학자들의 연구를 통해 최근 수십 년 동안 운동 연구의 주요 초점이 되어 왔다.

운동에 참여한 많은 여성들은 성차별과 성희롱을 경험했다.[222] SCLC에서 엘라 베이커는 직원 중 가장 나이가 많고 경험이 풍부했음에도 불구하고 의견 개진이 좌절되었다.[223] 다른 많은 사례와 예시들이 있다.[224][225][226][227]

6. 3. "공산주의자" 딱지 피하기

냉전 시대에 미국 공산당(Communist Party USA)은 흑인 민권 운동과 관련하여 중요한 역할을 했다. 1951년 12월 17일, 미국 공산당과 관련된 시민권 회의(Civil Rights Congress)는 유엔에 ''우리는 인종 학살을 고발한다''라는 청원서를 제출했다. 이 청원서는 미국 연방 정부가 미국 내 린치에 대응하지 않음으로써 집단 학살 죄를 범했다고 주장했다.[228] 폴 로브슨(Paul Robeson)은 뉴욕에서, 윌리엄 L. 패터슨(William L. Patterson)은 파리에서 이 청원서를 유엔에 제출했다.[229]

패터슨은 미국 공산당 지도자이자 국제 노동 방위(International Labor Defense)의 수장이었다. ILD는 1931년 스콧스보로 소년 사건의 변호를 이끌며 1930년대 아프리카계 미국인들 사이에서 공산당의 영향력을 키웠다. 그러나 1950년대 후반, 로브슨, 뒤부아, 패터슨과 같은 초기 시민권 인물들이 정치적으로 급진화되면서 주류 흑인 사회와 NAACP의 지지를 잃었다.[229]

새로운 세대의 시민권 운동가들은 공산주의와의 연관성을 피하고자 했다. 엘라 베이커(Ella Baker)에 따르면, 남부 기독교 지도자 회의(Southern Christian Leadership Conference)는 공산주의 관련 비난을 막기 위해 이름에 "기독교"를 추가했다.[230] J. 에드거 후버(J. Edgar Hoover) 하의 FBI는 시민권 운동가들을 감시하고 "공산주의자"로 낙인찍었다. 1960년대 초, 학생 비폭력 조정 위원회(Student Nonviolent Coordinating Committee)는 이러한 관행에 도전하며 정치적 성향에 관계없이 모든 사람의 지원을 받는 정책을 채택했다. 이로 인해 SNCC는 NAACP와 불화를 겪기도 했다.[229]

6. 4. 여성의 역할

미국 흑인 민권 운동에서 아프리카계 미국인 여성들은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218] 여성들은 민권 운동을 위해 활동가, 옹호자, 교육자, 성직자, 작가, 영적 지도자, 돌봄 제공자, 정치인 등으로 자원봉사를 하며, 민권 신장에 기여한 여러 단체들을 이끌고 참여했다.[218] 로자 파크스가 버스 뒷좌석에 앉기를 거부한 사건은 1년간 지속된 몽고메리 버스 보이콧[218] 야기했고, 결국 미국의 주간 여행의 인종차별 철폐로 이어졌다.[217] 여성들은 NAACP(미국 유색인 지위 향상 협회) 회원이 되어 민권 신장에 기여했다.[218] 흑표당(Black Panthers)에 참여한 여성들 중 일부는 전국적으로 인정받는 지도자가 되었고, 다른 여성들은 ''흑표당'' 신문의 편집 작업을 하면서 성평등 문제에 대한 내부 논의를 촉진했다.[219] 엘라 베이커는 SNCC를 설립했고, 민권 운동에서 중요한 인물이었다.[221][220] SNCC에 참여한 여성 학생들은 시위와 자유여행(Freedom Rides)을 조직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221] 동시에 미국 남부 여러 마을의 많은 고령 흑인 여성들은 자택에서 단체 자원봉사자들을 돌보며, 학생들에게 식사, 잠자리, 치료, 어머니의 사랑을 제공했다.[221] 흑인 여성 전국협의회와 같은 교회 단체, 브리지 클럽, 전문 단체를 결성하여 자신과 자신의 인종의 자유를 얻기 위해 노력한 여성들도 있었다.[219] 이러한 단체에 참여한 여성들 중 여러 명은 참여 때문에 직장을 잃기도 했다.[219]

운동에 참여한 많은 여성들은 성차별과 성희롱을 경험했다.[222] SCLC에서 엘라 베이커는 직원 중 가장 나이가 많고 경험이 풍부했음에도 불구하고 의견 개진이 좌절되었다.[223]

7. 정치적 반응

쿠 클럭스 클랜(KKK)과 지역 경찰의 공모를 통해 "사회 통제 수단으로서의 공포"를 이용한 짐 크로우 시스템은[232] 1950년대 후반 흑인 민권 운동의 진전을 막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이에 남부의 일부 흑인 단체들은 무장 자위를 시작했는데, 공개적으로 그렇게 한 첫 번째 단체는 로버트 F. 윌리엄스가 이끄는 노스캐롤라이나주 몬로의 미국 유색인 지위 향상협회(NAACP) 지부였다. 윌리엄스는 KKK에 의해 공공 생활에서 쫓겨난 회원들을 재규합하여 지부를 재건하고, 새롭고 더욱 노동 계급적인 회원들에게 철저하게 무장하고 공격에 대비하도록 격려했다.[233] 1957년 10월, KKK 밤습격대가 NAACP 회원 앨버트 페리의 집을 공격했을 때, 윌리엄스의 민병대는 KKK 단원들과 총격전을 벌여 그들을 후퇴시켰다. 다음 날, 시의회는 긴급 회의를 열고 KKK 행렬을 금지하는 조례를 통과시켰다.[234] 1년 후, 노스캐롤라이나주의 럼비 인디언들은 헤이스 폰드 전투에서 KKK와 무장 대치를 벌여 KKK 지도자 제임스 W. "캣피시" 콜이 폭동 선동 혐의로 유죄 판결을 받았다.[235]

럼비 인디언들이 헤이스 폰드 전투에서 쿠 클럭스 클랜 단원들과 대치하는 모습


흑인 여성을 성폭행한 혐의로 기소된 여러 백인 남성들이 무죄 판결을 받은 후, 윌리엄스는 "폭력에는 폭력으로 맞서겠다"고 선언했다. 이 선언은 ''뉴욕 타임스'' 1면에 실렸고, ''캐롤라이나 타임스''는 이를 "1959년 최대의 민권 뉴스"로 평가했다.[236] NAACP 전국 의장 로이 윌킨스는 윌리엄스를 직위에서 정직시켰지만, 몬로의 조직자는 전국 수많은 NAACP 지부의 지지를 받았다. 윌킨스는 데이지 베이츠에게 뇌물을 주어 NAACP 전국 총회에서 윌리엄스에 반대하는 운동을 벌이게 했고, 정직은 유지되었으나, 총회는 "불법적인 폭행에 대한 개인 및 집단적 자위권을 부인하는 것이 아니라 재확인한다"는 결의안을 통과시켰다.[237] 마틴 루터 킹 주니어는 윌리엄스의 해임을 주장했지만,[238] 엘라 베이커[239]와 W.E.B. 두 보이스[240]는 몬로 지도자의 입장을 공개적으로 칭찬했다.

윌리엄스는 아내 메이블 윌리엄스와 함께 몬로 운동과 전국 운동에서 지도적 역할을 계속했다. 윌리엄스 부부는 1960년부터 뉴스레터 ''크루세이더''와 1962년 ''총을 든 흑인들''을 출판했다. 윌리엄스는 "자유 투쟁의 유연성"을 주장하며,[241] 1958년 "키스 사건"에서 사용했던 법적 전술과 홍보, 몬로의 점심 카운터 시위에서 사용했던 비폭력적인 방법과 함께 무장 자위를 보완적인 전술로 사용했다.

1961년 8월, 윌리엄스는 엘라 베이커와 학생 비폭력 조정 위원회(SNCC)의 제임스 포먼의 초청으로 자유 대행진 중 백인 우월주의자들과 무장 대치를 이끌었다. 이 사건과 쿠바와의 평화를 위한 운동으로 FBI의 표적이 되어 납치 혐의로 기소되었으나, 1976년 무죄 판결을 받았다.[242] 한편, SNCC의 앰지 무어[242], 하트만 턴보[243], 패니 루 해머[244] 등은 남부 운동에서 은밀하게 무장 자위를 계속하며 밤습격으로부터 목숨을 지키기 위해 무기를 사용했다. FBI를 피해 쿠바로 피신한 윌리엄스 부부는 1962년부터 ''라디오 프리 딕시'' 라디오 방송을 송출했다. 윌리엄스는 인종차별주의 제도에 대한 게릴라전을 주장했고, 당시 대규모 빈민가 폭동을 그의 전략의 발현으로 보았다.

노스캐롤라이나대학교 채플힐 캠퍼스의 역사가 월터 러커는 "로버트 F. 윌리엄스의 등장은 미국의 반흑인 인종 폭력의 현저한 감소에 기여했다...전국의 흑인들은 공격적으로 자신의 공동체를 방어하기 시작했고, 필요할 때는 공개적인 힘을 사용했다. 이것은 백인들에게 흑인의 복수에 대한 실제적인 두려움을 불러일으켰다..."라고 썼다. 이는 흑인들이 비폭력 시위를 할 수 있는 공간을 열었다.[245] 로자 파크스는 1996년 윌리엄스의 장례식에서 "그의 용기와 자유를 향한 헌신"을 칭찬하며 "그가 한 희생과 행동은 역사에 기록되어 결코 잊혀져서는 안 된다"고 결론지었다.[246]

7. 1. 트루먼 행정부

1946년 해리 S. 트루먼은 대통령 시민권 위원회를 설립했다.[250] 1947년 6월 29일, 트루먼은 미국 유색인 지위 향상 협회(NAACP) 총회에서 연설한 최초의 대통령이 되었다. 이 연설은 링컨 기념관에서 이루어졌으며 전국적으로 라디오 방송을 통해 중계되었다. 트루먼은 연설에서 차별 종식의 필요성을 강조했고, 이는 최초의 포괄적인 대통령 제안 시민권 법안으로 이어졌다.[250] 트루먼은 "시민권과 인간의 자유"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선언했다.[250]

… 우리의 긴급한 과제는 수백만 시민들과 그들의 생득권 사이에 있는 마지막 장벽을 제거하는 것입니다. 조상, 종교, 인종 또는 피부색 때문에 차별하는 정당한 이유는 없습니다. 우리는 우리 국민의 자유와 진정한 민주주의 사회에서 모든 시민이 가져야 할 기본 권리의 향유에 대한 그러한 제한을 용납해서는 안 됩니다.영어

1948년 2월, 트루먼은 링컨 법안, 유권자 권리 및 분리 철폐를 포함한 시민권 확보를 위한 10개 항 프로그램을 의회에 제안했다.[251] 그러나 의회의 보수 연합 반대에 부딪혀, 대신 연방 고용과 군대 내 차별을 종식시키는 행정명령 9980호와 9981호를 발표했다.[251] 1948년 7월 28일, 쿠 클럭스 클랜(Ku Klux Klan) 가입 경력이 있는[332] 민주당원 해리 S. 트루먼 대통령은 군대 내 인종 차별을 금지하는 대통령령을 발령하여 군 내부의 인종차별을 철폐했다.[332] 또한 트루먼은 아프리카계 미국인을 연방 공무원으로 임명했다.

트루먼이 제안한 다양한 시민권 계획은 남부 민주당 의원들과 공화당 의원들에 의해 잇따라 부결되었다. 동시기에 한국 전쟁이 발발하여 트루먼은 냉전 외교 정책에 집중해야 했기 때문에 시민권 운동은 활발하게 진행되지 못했다. 많은 아프리카계 미국인 병사들이 한국 전쟁에 참전하여 한반도에서 싸웠으며, 전선 기지가 있는 일본에도 다수 주둔했다.

7. 2. 아이젠하워 행정부

아이젠하워 대통령은 집권 기간 동안 인종 통합을 위한 몇 가지 조치를 취했다. 그는 워싱턴 D.C.의 인종 차별을 해소하고,[252] 할리우드 유명 인사들을 통해 영화관의 인종 차별 철폐를 압박했다.[253] 또한, 트루먼 대통령의 미군 인종 차별 철폐 행정명령(9981호)을 적극적으로 집행하여 1954년 10월 30일까지 인종 차별적인 전투 부대를 없앴다.[252] 그는 재향군인청과 남부 군 기지의 인종 차별을 없애고, 군인 가족을 위한 연방 학교의 인종 차별도 해소했다. 나아가 정부 계약업체와 정부 부처 및 기관 내의 차별을 종식시키기 위해 두 개의 비차별 위원회를 구성했다.[252]

아이젠하워 행정부 시대에는 1957년 민권법이 통과되었다. 이 법안은 민권위원회와 법무부 민권국을 설립하고, 시민의 투표권 행사를 방해하는 행위를 금지했다. 아이젠하워는 인종 차별주의자들을 연방 법원에 배치하는 것을 피하는 등 사법부의 인종 차별 해소 노력에도 힘썼다.[252]

7. 3. 케네디 행정부

1960년에 출범한 민주당의 존 F. 케네디 대통령과 린든 B. 존슨 부통령은 시민권 운동에 비교적 자유주의적인 태도를 보이며 많은 흑인 유권자들의 지지를 얻어 대통령이 되었지만, 초기 2년간은 외교에 몰두하며 시민권 운동을 사실상 외면했다.

케네디 대통령은 말솜씨는 능숙했지만, 자신의 결혼식에서 새미 데이비스 주니어 부부를 비롯한 흑백 부부의 참석을 거부하거나, 각료 및 참모진에 유색인종이 없었고, 개인적인 친구들 중에도 흑인이나 아시아계가 전혀 없었던 점 등, 노골적인 인종차별적인 면모를 비판받았다.

그러나 1963년 알라배마주 버밍햄에서 발생한 "버밍햄 운동"에서, 운동 과정에서 벌어진 폭력적인 장면들이 세계적인 비난 여론을 불러일으키며 연방 정부의 개입을 초래했다. 또한 케네디 정권은 이듬해 중간 선거를 앞두고 흑인 유권자들의 표를 얻기 위해 남부 각 주의 인종차별법, 소위 "짐 크로우 법"을 금지하는 법안들을 잇달아 통과시켰다.[251]

7. 4. 존슨 행정부



1963년 11월 존 F. 케네디 대통령이 댈러스에서 암살당하자(케네디 대통령 암살 사건), 린든 존슨 부통령이 대통령직을 승계했다.

존슨 대통령은 텍사스주 출신의 '보수파'로 알려졌지만, 인종차별에 대해 부정적이었으며, 시민권 운동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시민권법 제정에 적극적으로 나섰다.[335]

존슨 대통령은 대통령 취임 후, 상원의원으로서의 경험, 특히 원내총무로서 쌓아온 의회에 대한 영향력을 활용하여 시민권법 제정을 위해 노력했다. 마틴 루터 킹 목사 등 시민권 운동 지도자들과 협의하고, 보수적인 의원들의 반대에 대해서는 끈기 있는 설득을 추진했다.[335]

이러한 노력과 여론의 지지로 1964년 7월 2일 시민권법이 제정되어, 법률상의 인종차별이 종식되었다.

1964년 대통령 선거에서 존슨은 4,312만 7,041표(61.1%)를 얻어 압승했다.

존슨 행정부는 흑인의 사회적, 경제적 지위 향상을 위해 적극적 차별시정 조치(Affirmative Action) 정책을 시행했다. 관청, 기업, 대학에 흑인 채용을 우선적으로 하도록 의무화했다. 베트남 전쟁에서는 미군 역사상 처음으로 "흑인 부대"가 편성되지 않았고, 흑인 장교들이 백인 하급 병사들을 지휘하게 되었다.

마틴 루터 킹 목사는 "미국 내 인종차별을 종식시키기 위한 비폭력 저항 운동"을 인정받아 1964년 노벨 평화상을 수상했다. 킹 목사는 "수상은 모든 아프리카계 미국인들의 것이다"라고 말했다.

8. 사회적 반응

미국 법무장관 로버트 F. 케네디
는 1963년 6월 14일, 법무부의 소수계 고용 부족에 항의하는 시위대 앞에서 연설하면서, 1961년 5월 6일 조지아 대학교 법과대학 법의 날 연설에서 밝힌 시민권에 대한 행정부의 확고한 의지를 재확인했다.[254] 그는 "우리는 법을 준수할 것이며, 법원의 명령이 우회되면 법무부가 행동할 것"이라고 강조했다.[258]

케네디 행정부 초기, 시민권 운동가들은 케네디 형제에 대해 엇갈린 시각을 보였다. 매사추세츠주 출신인 케네디 형제는 인종 문제에 대한 깊은 이해가 부족하다는 비판을 받았다.[255] 그러나 볼드윈-케네디 회담 등을 통해 인종차별의 현실을 깨달은 로버트 케네디는 1963년 6월 시민권 연설과 첫 주요 시민권 법안 도입을 이끌어내며 변화를 주도했다.[256][257]

자유를 위한 승차 운동 당시, 애니스턴과 버밍햄에서 발생한 폭력 사태는 국제적인 이목을 끌었고, 케네디 행정부는 냉전 시대 현실 정치의 긴급한 요구 속에서 이미지 관리에 어려움을 겪었다.[259] 1962년 말, 정치 변화의 더딘 속도에 대한 좌절감은 커졌지만, 행정부의 노력과 시민권 운동의 강력한 지지로 균형을 이루었다.

린든 B. 존슨 대통령은 민권을 최우선 과제로 삼고 빈곤과의 전쟁과 결합시켰다.[267] 1964년 민권법은 법적 인종차별과 짐 크로 법 시대를 종식시키는 획기적인 사건이었다.[268] 존슨 행정부는 흑인 기업가 정신을 장려하기 위해 중소기업청, 경제기회청 등에 특별 프로그램을 설치했다.[269] 리처드 닉슨 대통령 또한 소수 민족 기업청(OMBE)을 설립하여 이러한 노력을 확장했다.[270]

1963년 마틴 루터 킹 주니어와 함께 행진하는 유대인 시민권 운동가 조지프 L. 라우 주니어


미국 유대인들은 흑인 민권 운동을 적극적으로 지지했다.[247] 그들은 NAACP, SCLC, SNCC 등 주요 민권 단체 설립 및 지원에 참여했다. 1960년대 남부 민권 변호사의 약 절반, 1964년 미시시피 자유의 여름 프로젝트에 참여한 백인 북부 자원봉사자의 약 절반이 유대인이었다.[248] 아브라함 조슈아 헤셸은 셀마에서 몽고메리까지의 행진에서 킹과 함께 행진했고, 체이니, 굿맨, 슈워너 살인 사건의 희생자 중 두 명도 유대인이었다.

그러나 북부에서는 흑인과 유대인 간의 관계가 항상 긍정적이지만은 않았다. 특히 뉴욕시에서는 사회 경제적 계급 차이로 인해 갈등이 발생하기도 했다.[292] 1968년 뉴욕시 교사 파업은 이러한 갈등의 대표적인 사례였다. 남부 유대인들은 쿠 클럭스 클랜의 주목을 피하기 위해 조심스러운 태도를 보였지만, 1957년부터 1958년 사이 유대교 시설 폭파 등 반유대주의 범죄가 발생하기도 했다.[295]

8. 1. 백인 중도파

1963년 캘리포니아주에서 통과된 럼퍼드 공정주택법(Rumford Fair Housing Act)은 이 시대의 주택 차별에 대한 첫 번째 주요 타격이었다. 그러나 이 법은 이듬해 캘리포니아주 백인 유권자들과 부동산 로비스트들에 의해 14번 발의안으로 무효화되었고, 이는 와츠 폭동을 촉진하는 데 일조했다.[165][166] 1966년, 캘리포니아주 대법원은 14번 발의안을 무효화하고 럼퍼드 공정주택법을 부활시켰다.[167]

이후 2년 동안 공정 주택 법을 위한 활동과 조직은 이 운동의 주요 과제가 되었으며, 마틴 루터 킹 주니어, 제임스 비벌, 알 라비(Al Raby)는 1966년 이 문제를 중심으로 시카고 자유 운동(Chicago Freedom Movement)을 이끌었다. 이듬해, 제임스 그로피(James Groppi) 신부와 미국 유색인종지위향상협회 청년 위원회(NAACP Youth Council)도 밀워키에서 공정 주택 캠페인으로 전국적인 관심을 끌었다.[168][169] 두 운동 모두 백인 주택 소유주들의 폭력적인 저항과 보수적인 정치인들의 법적 반대에 직면했다.

공정 주택 법안은 이 시대의 가장 논쟁적인 시민권 법안이었다. 이 법안을 옹호한 월터 몬데일(Walter Mondale) 상원 의원은 수년에 걸쳐 이 법안이 미국 역사상 가장 많은 필리버스터(filibuster)의 대상이 된 법안이라고 지적했다. 이 법안은 대부분의 북부 및 남부 상원 의원들뿐만 아니라 전미 부동산 중개인 협회(National Association of Real Estate Boards)의 반대에 직면했다. "1966년 시민권 법안"은 공정 주택 조항 때문에 완전히 붕괴되었다.[170] 몬데일은 다음과 같이 말했다.

대다수의 백인 남부 주민들은 민권 운동을 지지하거나 저항하지 않은 것으로 추산된다.[319] 많은 사람들은 민권 확대라는 생각을 달가워하지 않았지만, 대대적 저항의 일환으로 민권 운동에 저항하는 사람들이 사용한 언어와 흔히 폭력적인 전술에는 불편함을 느꼈다.[320] 변화하는 환경에 압박받기 전까지는 운동에 거의 반응하지 않았고, 반응했을 때에도 그들의 일상생활을 최소한으로 방해하는 것이 무엇이라고 느꼈는지에 따라 반응했다. 그들의 개인적인 반응은, 결국 지지하든 저항하든, 대부분 극단적이지 않았다.[319]

8. 2. 백인 인종차별주의자

1776년 영국(그레이트브리튼 왕국)으로부터 독립한 미국에서는, 유럽 여러 국가에서 이민으로 건너와 원주민을 무력으로 몰아낸 백인이 주민의 대다수를 차지했고, 아프리카 대륙 등에서 강제로 끌려온 흑인을 비롯한 유색인종에 대한 차별이 "합법적"으로 여겨졌다.

북아메리카에서 노예제도는 1607년 영국인이 버지니아 식민지에 처음으로 이주한 직후에 시작되어, 1776년 독립 후에도 그대로 지속되었다. 17세기부터 19세기에 걸쳐, 약 1,200만 명의 아프리카인이 정부와 그에게 위탁받은 업자에 의해 납치된 뒤 매매되어 아메리카 대륙으로 강제로 끌려갔다.[326][327] 그중 5.4%(64만 5천 명)이 현재의 미국으로 끌려갔다.[328]

플레시 대 퍼거슨 판결을 근거로, 20세기 초에는 남북 전쟁에서 패배할 때까지 노예 제도를 합법으로 인정했던 남부 여러 주에서 백인에 의한 흑인의 "인종 차별"이 "합법적"으로 진행되었다. 1964년 시민권법 제정까지 비백인 모든 유색 인종에 대한 제도적 차별이 "합법적" 행위로 공공연하게 자행되었다.

이러한 인종 차별법은 일반적으로 "짐 크로 법"이라고 불리며, 아파르트헤이트 정책하의 남아프리카 공화국과 마찬가지로 교통기관, 식수대, 화장실, 학교, 도서관 등 공공기관은 물론 호텔, 레스토랑 등에서도 백인이 모든 유색 인종(비백인)을 차별하는 것을 합법으로 하는 것이었다.

또한 백인이 경영하는 주유소에서 주유를 거부당하거나, 자동차 정비 공장에서 정비나 수리를 거부당하거나, 여관에서 숙박이나 식사 제공을 거부당하는 등의 일 외에도, 폭력이나 유색 인종 출입 금지 지역인 "선다운 타운"에서의 강제 추방을 받기도 했다. 이에 대해 흑인들이 안전하게 여행하기 위해 "흑인 운전자를 위한 그린 북"이라는 안내 책자까지 만들어졌다.

에드먼드 페타스 다리에서 시위대를 기다리는 경찰들. (사진은 1965년 3월 7일)


그러나 미국 내 일부 백인들의 유색인종에 대한 인종차별 감정은 그 후에도 수그러들지 않았고, 시민권법 제정 후인 1965년 3월 7일에는 앨라배마주 셀마에서 백인 경찰관들이 흑인을 중심으로 한 시민권 운동가들을 폭행한 “피의 일요일 사건”이 발생했다. 더욱이 인종차별 감정이 강한 남부를 중심으로 쿠 클럭스 클랜과 같은 백인 우월주의 단체의 흑인에 대한 린치와 폭행, 흑인이 운영하는 상점과 가게, 주택에 대한 방화, 그리고 이에 대한 백인 경찰관들의 단속 포기 등이 지속적으로 발생했다.

1964년 플로리다주 세인트오거스틴에서 열린 극우 백인단체 쿠 클럭스 클랜 시위


1966년 시카고 교외의 악명 높은 인종차별 도시 시세로에서 백인 시위대는 "백인의 힘"이라는 표지판을 들고 주택 차별에 항의하는 행진대에 돌을 던졌다.[321]

8. 3. 흑인 분리주의자

마틴 루터 킹 주니어, 말콤 X, 그리고 흑인 권력 운동의 사상만이 서로 충돌하는 유일한 이념이었다는 통념과는 달리, 많은 흑인들이 다른 감정을 가지고 있었다. 운동이 너무 빨리 진행되고 있다는 우려 속에, 일부 흑인들은 지도자들이 점진적인 속도로 활동주의를 펼쳐야 한다고 느꼈다. 다른 이들은 흑인들이 운동에 얼마나 집중하고 있는지에 대해 의구심을 품었고, 그러한 관심은 흑인 사회 내부의 문제 개혁에 더 잘 쓰일 것이라고 생각했다.[296]

보수주의자들은 일반적으로 통합을 지지했지만, 일부는 점진적으로 단계적으로 폐지되는 인종 차별을 동화에 대한 방어책으로 옹호했다.

종종 아프리카계 미국인 공동체 지도자들은 인종 차별의 강력한 옹호자가 되었습니다. 교회 목사, 사업가, 교육자들은 백인들의 후원으로 얻은 특권(예: 금전적 이익)을 유지하기 위해 인종 차별과 인종 차별적 이상을 유지하기를 원하는 사람들 중에 포함되었다. 또한 그들은 인종 차별에 의존하여 그들의 직업과 지역 사회의 경제를 번영하게 했다. 남부 지역에서 통합이 널리 확산될 경우, 흑인 소유의 사업체와 기타 시설들이 백인 소유의 사업체에 고객층의 상당 부분을 잃을 것이며, 많은 흑인들이 현재 그들의 이익에만 독점적으로 제공되는 일자리를 잃을 것이라는 우려가 있었다.[297] 반면, 통합을 비판한 평범한 흑인들도 있었습니다. 그들에게는 민권 운동의 여러 부분과 백인의 방해 없이 흑인들이 소비주의와 경제적 자유를 행사할 가능성에 문제가 있었다.[298]

마틴 루터 킹 주니어, 말콤 X, 그리고 운동 중의 다른 주요 활동가들과 단체들에게 이러한 상반된 관점들은 그들의 사상에 대한 장애물로 작용했다. 이러한 다양한 견해는 그러한 지도자들의 업무를 훨씬 더 어렵게 만들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운동의 전반적인 범위에서 중요했다. 대부분의 경우, 운동의 여러 측면과 활동가들의 이념에 대해 의구심을 가진 흑인들은 그들의 노력에 큰 타격을 줄 수 없었지만, 이러한 대안적인 사상의 존재는 일부 흑인들에게 변화하는 사회 구조에 대한 우려를 표명할 수 있는 통로를 제공했다.

8. 4. 흑인 권력 운동

시상대에서 주먹을 치켜든 토미 스미스(중앙)와 존 카를로스(오른쪽). 1968년 하계 올림픽 200m 경기 후 사진. 두 사람 모두 인권을 위한 올림픽 프로젝트 배지를 착용. 피터 노먼(은메달리스트, 왼쪽)은 스미스와 카를로스에 연대하여 OPHR 배지를 착용.


1964년 자유의 여름 운동 기간 동안 시민권 운동 내부에서 많은 긴장이 표면화되었다. SNCC의 많은 흑인들은 북부와 서부의 백인 활동가들이 운동을 장악하고 있다는 우려를 가졌다. 많은 백인 학생들의 참여는 SNCC가 겪는 폭력의 양을 줄이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오히려 악화시키는 것처럼 보였다. 또한, 민주당 전당대회에서 린든 존슨이 미시시피 자유민주당에 대한 투표권을 거부한 것에 대해 깊은 환멸을 느꼈다.[299][300] 같은 해 여름 CORE는 루이지애나에서 활동하는 동안, 연방 정부가 1964년 시민권법 조항을 시행하거나 인종차별에 맞선 활동가들의 생명을 보호하려는 요청에 응답하지 않을 것임을 알게 되었다. 루이지애나 운동은 백인 우월주의자의 폭력과 경찰의 탄압을 물리치기 위해 무기를 사용한 방어와 정의를 위한 집사들이라는 지역 흑인 민병대에 의존하여 생존했다. CORE는 집사들과의 협력을 통해 루이지애나 여러 지역에서 짐 크로우 법을 효과적으로 무력화시켰다.[301][302]

1965년 SNCC는 앨라배마 블랙 벨트(역시 KKK의 활동 지역) 중심부에 독립 정당인 로운즈 카운티 자유 조직(LCFO)을 조직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 이 조직은 흑인 지도자들이 무장 자위권 사용을 공개적으로 홍보할 수 있도록 허용했다. 한편, 방어와 정의를 위한 집사들은 미시시피로 확장하여 찰스 에버스의 NAACP 지부가 내추즈에서 성공적인 운동을 벌이는 것을 지원했다. 찰스는 그의 형 메드가 에버스가 1963년 암살당한 후 주도권을 잡았다.[303] 같은 해 로스앤젤레스에서 1965년 왓츠 폭동이 발생했다. 많은 흑인 청소년들이 불평등과 억압에 항의하기 위해 폭력을 사용하는 데 전념했다.[304]

제임스 메러디스가 시작한 1966년 두려움에 맞선 행진 동안 SNCC와 CORE는 이러한 과격파와 자립 추세를 설명하기 위해 "흑인 권력"이라는 슬로건을 완전히 받아들였다. 미시시피에서 스토클리 카마이클은 "나는 내가 마땅히 받아야 할 것을 백인에게 구걸하지 않을 것이다. 나는 그것을 빼앗을 것이다. 우리에게는 힘이 필요하다."라고 선언했다.[305]

흑인 권력 운동에 참여한 일부 사람들은 흑인의 자부심과 정체성이 증가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문화적 정체성에 대한 인식이 높아짐에 따라 흑인들은 백인들이 더 이상 자신들을 "흑인"이라고 부르지 않고 아일랜드계 미국인이나 이탈리아계 미국인과 같은 다른 민족 집단과 마찬가지로 "아프리카계 미국인"이라고 부르라고 요구했다. 1960년대 중반까지 흑인들은 백인과 비슷하게 옷을 입었고 종종 머리를 폈다. 자신의 정체성을 확립하는 일환으로 흑인들은 아프리카 기반의 다시키를 입고 자연스러운 아프로 헤어스타일을 하기 시작했다. 아프로는 때때로 "'fro"라고도 불리며 1970년대 후반까지 인기 있는 흑인 헤어스타일로 남았다. 전통적인 아프리카 스타일의 다른 변형들도 인기를 얻었는데, 종종 땋은 머리, 붙임 머리, 드레드락을 특징으로 한다.

흑표당(BPP)은 1966년 휴이 뉴턴보비 실이 캘리포니아주 오클랜드에서 창립한 단체로, 전국적으로 가장 많은 주목을 받았다. 이 단체는 후기 말콤 X의 혁명적 범아프리카주의를 따르며 인종 불평등을 막기 위해 "필요하다면 어떤 수단으로든" 접근 방식을 사용했다. 그들은 아프리카계 미국인 지역에서 경찰의 잔혹 행위를 없애고 빈민가에 사회주의 지역사회 통제를 확립하려고 했다. 경찰과 무력 충돌을 벌이면서도 어린이들을 위한 무료 아침 식사와 의료 프로그램을 설립했다.[306] 1968년부터 1971년까지 BPP는 미국에서 가장 중요한 흑인 단체 중 하나였으며 NAACP, SCLC, 평화와 자유당 등의 지원을 받았다.[307]

흑인 권력은 감옥 안에서 또 다른 차원에 이르렀다. 1966년 조지 잭슨은 캘리포니아 샌 퀸틴 주립 교도소에서 흑인 게릴라 가족을 결성했다. 이 단체의 목표는 미국과 교도소 시스템의 백인 정부를 전복하는 것이었다. 1970년 이 단체는 감옥 감시탑에서 세 명의 흑인 수감자를 총으로 쏘아 죽인 백인 교도관이 무죄 판결을 받은 후 그들의 헌신을 보여주었다. 그들은 백인 교도관을 살해함으로써 보복했다.

이 시기에 흑인 권력과 관련된 많은 대중 문화적 표현이 등장했다. 1968년 8월 발매된 리듬 앤 블루스 싱글 1위곡은 빌보드 연말 차트에서 제임스 브라운의 "Say It Loud – I'm Black and I'm Proud"였다.[308] 1968년 10월 토미 스미스와 존 카를로스는 각각 금메달과 동메달을 수상하면서 인권 배지를 착용하고 시상식에서 검은색 장갑을 낀 손으로 흑인 권력 경례를 했다.

킹은 흑인 민족주의와 너무 비슷하게 들리는 "흑인 권력"이라는 슬로건에 불편함을 느꼈다. 1968년 킹이 암살되었을 때 스토클리 카마이클은 백인들이 광범위한 폭동을 막을 수 있는 유일한 사람을 살해했고 흑인들이 모든 주요 도시를 불태울 것이라고 말했다. 전국 100개 이상의 도시에서 폭동이 일어났다. 일부 도시는 1세대 이상 피해를 복구하지 못했고 다른 도시의 이웃들은 결코 회복되지 못했다.

8. 5. 유대인의 지지

미국 유대인들은 흑인 민권 운동을 적극적으로 지지했으며, NAACP(미국 유색인종지위향상협회), 시민 및 인권을 위한 지도자 회의(Leadership Conference on Civil and Human Rights), 남부 기독교 지도자 회의(SCLC), 학생 비폭력 조정 위원회(SNCC) 등 여러 중요한 민권 단체의 설립과 지원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247] 이 단체들은 인종 평등과 정의를 옹호하며 민권 운동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미국 인구의 2% 미만을 차지하는 유대인들은 1960년대 남부의 민권 변호사 중 약 절반과 1964년 미시시피 자유의 여름 프로젝트에 참여한 백인 북부 자원봉사자 중 약 절반을 차지했다.[248]

많은 유대인 공동체 구성원이 시민권 운동을 지지했다. 통계적으로 유대인들은 운동에 가장 적극적으로 참여한 흑인이 아닌 집단 중 하나였다. 많은 유대인 학생들은 시민권 시대 동안 CORE, SCLC, SNCC에서 흑인들과 함께 정규직 조직자 및 여름 자원봉사자로 일했다. 1964년 미시시피 프리덤 서머 프로젝트에 참여한 백인 북부 및 서부 자원봉사자의 약 절반과 1960년대 남부에서 활동한 시민권 변호사의 약 절반이 유대인이었다.[291]

1964년 6월 마틴 루터 킹 주니어의 호소에 따라 플로리다주 세인트 어거스틴에서 유대인 지도자들이 체포되었는데, 이곳에서 미국 역사상 가장 많은 랍비들이 몬슨 모터 로지에서 대규모 체포를 당했다. 뉴욕의 미국 유대교 신학교 작가이자 랍비이자 신학 교수였던 아브라함 조슈아 헤셸은 시민권 문제에 대해 솔직하게 발언했다. 그는 1965년 셀마에서 몽고메리까지의 행진에서 킹과 함께 행진했다. 1964년 체이니, 굿맨, 슈워너 살인 사건에서 살해된 두 명의 백인 활동가인 앤드류 굿맨과 마이클 슈워너는 모두 유대인이었다.

세계 유일의 비종파 유대인 지원 대학교인 브랜다이스 대학교는 1968년 마틴 루터 킹 주니어 암살에 대한 부분적인 대응으로 전환년 프로그램(TYP)을 만들었다. 교수진은 대학의 사회 정의에 대한 약속을 새롭게 하기 위해 이 프로그램을 만들었다. 학업적 우수성에 대한 약속을 가진 대학으로 브랜다이스를 인식한 이 교수진은 불리한 학생들이 권한 부여 교육 경험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만들었다.

미국 유대인 위원회, 미국 유대인 의회, 반 명예 훼손 리그(ADL)는 시민권을 적극적으로 증진했다. 유대인들은 남부의 시민권 운동에 매우 적극적으로 참여했지만, 북부에서는 흑인들과 더욱 불안정한 관계를 경험한 경우가 많았다. 흑인 무장 세력과 흑인 권력 운동의 부상과 함께 "흑인 반유대주의"가 증가하여 북부 지역 사회에서 흑인과 유대인 간의 관계가 악화되었다고 주장되어 왔다. 특히 뉴욕시에서는 유대인의 흑인에 대한 인식에 큰 사회 경제적 계급 차이가 있었다.[292] 교육 수준이 높은 중상류층 출신 유대인들은 흑인 시민권 활동을 매우 지지하는 반면, 점점 소수가 되어가는 가난한 도시 지역 사회의 유대인들은 두 집단 간의 더욱 부정적이고 폭력적인 상호 작용으로 인해 종종 지지가 덜했다.

정치학자 마이클 로긴에 따르면 유대인-흑인 적대감은 이전 수십 년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양방향 길이었다. 2차 세계 대전 이후 시대에 유대인들은 백인 특권을 부여받았고 대부분 중산층으로 이동한 반면 흑인들은 빈민가에 남겨졌다.[293] 도시 유대인들은 다른 백인 민족들이 그랬던 것처럼 흑인들과 통합 버스 통학, 학교의 지역 통제, 주택, 범죄, 공동체 정체성 및 계급 차이를 놓고 같은 종류의 갈등에 참여하여 유대인들이 백인 엑소더스에 참여하게 되었다. 이것의 절정은 1968년 뉴욕시 교사 파업이었는데, 주로 유대인 교사들이 뉴욕주 브라운스빌의 주로 흑인 학부모들과 대립했다.[294]

많은 남부 주 유대인들은 흑인 미국인의 시민권을 지지했지만, 흑인과 유대인을 혐오하는 쿠 클럭스 클랜(Ku Klux Klan)의 주목을 피하기 위해 "인종 문제"에 대해 조용히 하는 경향이 있었다.[295] 그러나 클랜은 흑인 통합 문제와 유대인의 투쟁 참여를 악용하여 폭력적인 반유대주의적 증오 범죄를 저질렀다. 1957년 11월부터 1958년 10월까지 단 1년 동안 애틀랜타, 내슈빌, 잭슨빌, 마이애미에서 유대교 사원과 기타 유대인 공동체 모임이 폭파되고 훼손되었으며, 버밍햄, 샬럿, 개스토니아의 시너고그(synagogue)에서 다이너마이트(dynamite)가 발견되었다. 일부 랍비(rabbi)들은 사망 위협을 받았지만, 이러한 폭력 사태 이후 부상자는 없었다.[295]

9. 국제적 반응



미국 유대인들은 흑인 민권 운동을 적극적으로 지지했으며, 미국 유색인종지위향상협회(NAACP), 시민 및 인권을 위한 지도자 회의(Leadership Conference on Civil and Human Rights), 남부 기독교 지도자 회의(SCLC), 학생 비폭력 조정 위원회(SNCC) 등 여러 중요한 민권 단체의 설립과 지원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247] 이들은 인종 평등과 정의를 옹호하며 민권 운동의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미국 인구의 2% 미만을 차지하는 유대인들은 1960년대 남부의 민권 변호사 중 약 절반과 1964년 미시시피 자유의 여름 프로젝트에 참여한 백인 북부 자원봉사자 중 약 절반을 차지했다.[248]

많은 유대인 공동체 구성원이 시민권 운동을 지지했으며, 통계적으로 유대인들은 운동에 가장 적극적으로 참여한 흑인이 아닌 집단 중 하나였다. 많은 유대인 학생들은 시민권 시대 동안 핵심(CORE), SCLC, SNCC에서 흑인들과 함께 정규직 조직자 및 여름 자원봉사자로 일했다. 1964년 미시시피 프리덤 서머 프로젝트에 참여한 백인 북부 및 서부 자원봉사자의 약 절반과 1960년대 남부에서 활동한 시민권 변호사의 약 절반이 유대인이었다.[291]

1776년영국(그레이트브리튼 왕국)으로부터 독립한 미국에서는, 과거의 종주국인 영국이나 아일랜드, 독일, 네덜란드 등의 유럽 여러 국가에서 이민으로 건너와 원주민을 무력으로 몰아낸 백인이 주민의 대다수를 차지했고, 그들에게 봉사하는 노예로서 아프리카 대륙 등에서 강제로 끌려온 흑인을 비롯한 유색인종에 대한 차별이 「합법적」으로 여겨졌다.

북아메리카에서 노예제도의 도입은 1607년 영국인이 버지니아 식민지에 처음으로 이주한 직후에 시작되어, 1776년 독립 후에도 그대로 지속되었다. 17세기부터 19세기에 걸쳐, 약 1,200만 명의 아프리카인이 정부와 그에게 위탁받은 업자에 의해 납치된 뒤 매매되어 아메리카 대륙으로 강제로 끌려갔다.[326][327] 그중 5.4%(64만 5천 명)이 현재의 미국으로 끌려갔다.[328] 1860년 미국의 국세조사에 따르면 노예 인구는 400만 명에 달했다.

9. 1. 중국

모택동은 1963년 8월, 미국의 흑인 민권 운동을 지지하는 발언을 했다. 그는 미국에서 흑인들에게 자행된 "파시스트 만행"이 미국 내 반동적인 정책과 해외 침략 정책 사이의 연관성을 보여준다고 말했다.[271] 1968년에는 마틴 루터 킹 주니어의 암살을 규탄하는 대규모 집회가 중국에서 열렸다.[272] 모택동은 미국의 인종차별이 식민 시스템에서 비롯되었으며, 미국의 흑인들의 투쟁은 반제국주의적 투쟁이라고 주장했다.[271]

중국 공산당은 이러한 모택동의 견해를 반영했다.[272] 문화 대혁명 기간 동안, 인민일보는 킹이 비폭력을 주장했지만 폭력적으로 살해당한 사례를 반복적으로 인용하며, 세계 억압받는 대중이 자신을 해방시키기 위해서는 폭력 투쟁이 필요하다는 견해를 보였다.[273]

모택동주의는 흑표당(Black Panther Party)과 흑인 자위권 옹호자 로버트 F. 윌리엄스를 포함한 흑인 해방 운동의 일부 구성 요소에 영향을 미쳤다.[271]

9. 2. 소련

소련 언론은 미국 내 인종차별을 자주 보도했다.[315] 소련 정부는 미국이 소련의 인권 문제를 비판하는 것을 위선적이라고 여기며 "너희는 흑인들을 린치하고 있지 않느냐"고 응수했다.[316] 셔우드 에디는 1934년 저서 "오늘날의 러시아: 우리는 무엇을 배울 수 있는가?"에서 "오늘날 러시아의 가장 외딴 마을에서도 미국인들은 스코츠보로 소년들에게 무엇을 할 것이며 왜 흑인들을 린치하는지 자주 질문받는다"고 적었다.[317]

역사학자 메리 L. 두지악은 저서 "냉전 시대의 시민권: 인종과 미국 민주주의의 이미지"에서 미국을 비판하는 공산주의자들이 미국이 많은 시민들이 심각한 인종차별과 폭력에 시달리는 와중에 "자유 세계의 지도자"를 자처하는 것을 위선이라고 비난했다고 기술했다. 그녀는 이것이 미국 연방 정부가 시민권 법안을 지지하게 된 주요 요인이었다고 주장했다.[318]

10. 유산



흑인 민권 운동은 미국 사회에 큰 영향을 미쳤다. 1964년 자유의 여름 운동 기간 동안 시민권 운동 내부의 긴장이 드러났다. 많은 흑인들은 백인 활동가들이 운동을 장악하고 있다는 우려를 가졌고, 민주당 전당대회에서 린든 존슨이 미시시피 자유민주당에 대한 투표권을 거부한 것에 대해 환멸을 느꼈다.[299][300] CORE는 연방 정부가 1964년 시민권법 조항을 시행하거나 인종차별에 맞선 활동가들의 생명을 보호하려는 요청에 응답하지 않을 것임을 알게 되었다.[301][302]

1965년 SNCC는 앨라배마 블랙 벨트에 독립 정당인 로운즈 카운티 자유 조직(LCFO)을 조직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 이 조직은 흑인 지도자들이 무장 자위권 사용을 공개적으로 홍보할 수 있도록 허용했다. 방어와 정의를 위한 집사들은 미시시피로 확장하여 찰스 에버스의 NAACP 지부가 내추즈에서 성공적인 운동을 벌이는 것을 지원했다.[303] 같은 해 로스앤젤레스에서 1965년 왓츠 폭동이 발생했다.[304]

제임스 메러디스가 시작한 1966년 두려움에 맞선 행진 동안 SNCC와 CORE는 "흑인 권력"이라는 슬로건을 받아들였다.[305] 흑인 권력 운동에 참여한 일부 사람들은 흑인의 자부심과 정체성이 증가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흑인들은 백인들이 더 이상 자신들을 "흑인"이라고 부르지 않고 "아프리카계 미국인"이라고 부르라고 요구했다. 흑인들은 아프리카 기반의 다시키를 입고 자연스러운 아프로 헤어스타일을 하기 시작했다.

흑표당(BPP)은 1966년 휴이 뉴턴보비 실이 캘리포니아주 오클랜드에서 창립한 단체로, 말콤 X의 혁명적 범아프리카주의를 따르며 인종 불평등을 막기 위해 "필요하다면 어떤 수단으로든" 접근 방식을 사용했다. 그들은 아프리카계 미국인 지역에서 경찰의 잔혹 행위를 없애고 빈민가에 사회주의 지역사회 통제를 확립하려고 했다.[306] 1968년부터 1971년까지 BPP는 미국에서 가장 중요한 흑인 단체 중 하나였다.[307]

흑인 권력은 감옥 안에서 또 다른 차원에 이르렀다. 1966년 조지 잭슨은 캘리포니아 샌 퀸틴 주립 교도소에서 흑인 게릴라 가족을 결성했다. 이 단체의 목표는 미국과 교도소 시스템의 백인 정부를 전복하는 것이었다.

이 시기에 흑인 권력과 관련된 많은 대중 문화적 표현이 등장했다. 제임스 브라운의 "Say It Loud – I'm Black and I'm Proud"는 1968년 빌보드 연말 차트에서 1위를 차지했다.[308] 1968년 10월 토미 스미스와 존 카를로스는 시상식에서 검은색 장갑을 낀 손으로 흑인 권력 경례를 했다.

1776년 영국 본국(그레이트브리튼 왕국)으로부터 독립한 미국에서는, 유럽 여러 국가에서 이민으로 건너와 원주민을 무력으로 몰아낸 백인이 주민 대다수를 차지했고, 아프리카 대륙 등에서 강제로 끌려온 흑인을 비롯한 유색인종에 대한 차별이 '합법적'으로 여겨졌다.

북아메리카에서 노예제도는 1607년 영국인이 버지니아 식민지에 처음 이주한 직후 시작되어, 1776년 독립 후에도 그대로 지속되었다. 노예제도 하에 17세기부터 19세기에 걸쳐, 약 1,200만 명의 아프리카인이 아메리카 대륙으로 강제로 끌려갔다.[326][327] 그중 5.4%(64만 5천 명)이 현재의 미국으로 끌려갔다.[328] 1860년 미국의 국세조사에 따르면 노예 인구는 400만 명에 달했다.

파월 국무장관(오른쪽)과 부시 대통령


라이스 국무장관(가운데)과 부시 대통령 부부 등


시민권법 제정 후 적극적 조치 정책(Affirmative Action) 도입으로 유색인종의 사회 진출 저해가 개선되었고, 아프리카계 미국인을 비롯한 유색인종이 경제계와 법조계 리더가 되는 등 증가하였다. 또한 정치적 올바름(Political Correctness) 확산을 통해 인종차별 반대 계몽이 진행되었다.

1984년 미국 대통령 선거1988년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 제시 잭슨(Jesse Jackson)은 민주당 대통령 후보 지명을 위한 예비선거에 출마하여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 1989년에는 아프리카계 미국인인 콜린 파월(Colin Powell)이 조지 H. W. 부시(George H. W. Bush) 행정부에서 합참의장에 취임하고, 이후 조지 W. 부시(George W. Bush) 행정부에서 국무장관에 취임했다. 콘돌리자 라이스(Condoleezza Rice)는 2005년 조지 W. 부시(George W. Bush) 2기 행정부에서 아프리카계 여성 최초로 국무장관에 취임했다.

2008년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 아프리카계 혈통을 가진 버락 오바마(Barack Obama)가 민주당 후보가 되어 대통령에 당선되었다. 오바마는 2012년 대통령 선거에서 재선되어 2017년 1월까지 재임했다. 그러나 오바마에 대해 인종차별적 발언을 하는 백인 정치인이나 매체 관계자가 잇따랐고, 그 외에도 유색인종에 대한 인종차별 발언이 끊이지 않는 등, 아직도 미국 내에서 아프리카계 미국인을 비롯한 유색인종에 대한 일부 백인의 인종차별과 인종차별적 감정은 뿌리 깊게 남아 있다.

2013년에는 쿠 클럭스 클랜(Ku Klux Klan)이 앨라배마주버밍햄에서 일으킨 교회 폭파 사건(en:16th Street Baptist Church bombing)으로 희생된 흑인 소녀 4명에게 의회 명예 훈장이 추서되었다.

현재도 전국 각지에서 인종차별 감정을 바탕으로 한 백인에 의한 아프리카계 미국인을 비롯한 유색인종에 대한 폭력 사건, 오판 사건, 인종차별적인 대우가 많이 발생하고 있으며, 1990년대에도 "로드니 킹 사건"과 같은 증오 범죄 사건이 발생했고, 21세기에 들어서도 쿠 클럭스 클랜과 같은 백인우월주의 단체가 활동을 계속하고 있다.

2010년대에 들어 이러한 것들에 대한 저항을 위한 직접 행동주의 운동인 "블랙 라이브즈 매터(Black Lives Matter)"가 아프리카계 미국인을 중심으로 전개되고 있지만, 이러한 아프리카계 미국인만을 중심으로 한 흑인 우월주의적인 활동은 다른 민족의 반발도 강하다.

NAACP와 같은 인종차별 반대 단체는 인종차별 해소를 위해 계속 싸워야 하지만, 시민권법 시행으로 법적 측면에서의 인종차별 철폐를 진전시킨 것은 미국 인종차별 철폐에 있어 큰 진보를 가져왔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참조

[1] 서적 American Slavery: A Very Short Introduction Oxford University Press
[2] 뉴스 How The Blood of Emmett Till Still Stains America Today https://www.theatlan[...] The Atlantic 2017-07-03
[3] 웹사이트 Brown v. Board of Education https://www.history.[...] History.com 2019-11-12
[4] 웹사이트 Brown v. Board of Education of Topeka (1) https://www.oyez.org[...] 2019-10-03
[5] 웹사이트 Heart of Atlanta Motel, Inc. v. United States https://www.oyez.org[...] 2019-10-03
[6] 웹사이트 Loving v. Virginia https://www.oyez.org[...] 2019-10-03
[7] 웹사이트 Civil Rights Act of 1964 – CRA – Title VII – Equal Employment Opportunities – 42 US Code Chapter 21 – findUSlaw http://finduslaw.com[...] 2016-07-29
[8] 웹사이트 The Civil Rights Movement The Post War United States, 1945-1968 U.S. History Primary Source Timeline Classroom Materials at the Library of Congress Library of Congress https://www.loc.gov/[...] 2024-10-14
[9] 뉴스 How the end of slavery led to starvation and death for millions of black Americans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2015-08-30
[10] 서적 Encyclopedia of Minorities in American Politics: African Americans and Asian Americans https://books.google[...] Oryx Press 2010-03-25
[11] 서적 Race and Politics: Asian Americans, Latinos, and Whites in a Los Angeles Suburb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12] 뉴스 Black voting rights, 15th Amendment still challenged after 150 years https://eu.usatoday.[...] USA Today 2020-12-03
[13] 서적 Grant https://archive.org/[...] Simon and Schuster
[14] 웹사이트 The Enforcement Acts (1870–71) https://www.pbs.org/[...] PBS: Jim Crow Stories 2012-05-12
[15] 웹사이트 Black-American Representatives and Senators by Congress, 1870–Present http://baic.house.go[...] U.S. House of Representatives
[16] 논문 The White Primary Rulings: A Case Study in the Consequences of Supreme Court Decisionmaking
[17] 서적 The African American Electorate: A Statistical History
[18] 서적 American Constitutional Law: Civil Rights and Liberties https://books.google[...] Cengage Learning
[19] 서적 Encyclopedia of African American History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 웹사이트 Legacy of Lynching https://www.pbs.org/[...] PBS 2016-07-28
[21] 서적 The Betrayal of the Negro from Rutherford B. Hayes to Woodrow Wilson Da Capo Press
[22] 간행물 Jim Crow Blues OAH Publications
[23] 서적 The Princeton Encyclopedia of American Political History Princeton University Press
[24] 서적 The Strange Career of Jim Crow Oxford University Press
[25] 웹사이트 Birmingham Segregation Laws http://www.crmvet.or[...] Civil Rights Movement Archive
[26] 논문 Black Public Libraries in the South in the Era of De Jure Segregation
[27] 서적 Annual Report of the Hampton Negro Conference Hampton Institute Press
[28] 논문 The African American 'Great Migration' and Beyond
[29] 웹사이트 Party Realignment and the New Deal http://history.house[...] US House of Representatives: History, Art & Archives 2018-05-31
[30] 웹사이트 Executive Order 9981 http://www.trumanlib[...] Harry S. Truman Library and Museum 2019-05-18
[31] 웹사이트 Jim Crow Guide: The Way it Was http://www.stetsonke[...]
[32] 웹사이트 How Did Metro Milwaukee Become So Segregated? https://www.wuwm.com[...] 2017-03-03
[33] 웹사이트 Racial Restrictive Covenants: Enforcing Neighborhood Segregation in Seattle – Seattle Civil Rights and Labor History Project https://depts.washin[...] University of Washington 2020-12-05
[34] 뉴스 Racist language is still woven into home deeds across America. Erasing it isn't easy, and some don't want to https://edition.cnn.[...] CNN 2021-01-26
[35] 서적 Block by block: neighborhoods and public policy on Chicago's West Sid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36] 웹사이트 Future of Fair Housing: How We Got Here http://www.civilrigh[...] 2016-07-29
[37] 서적 The Complete Lincoln-Douglas Debates of 1858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91
[38] 잡지 Hollywood Loved Sammy Davis Jr. Until He Dated a White Movie Star https://www.smithson[...] 2021-02-23
[39] 웹사이트 Eugenics, Race, and Marriage https://www.facinghi[...] 2021-02-23
[40] 웹사이트 A. Philip Randolph, the union leader who led the March on Washington http://www.dailykos.[...] Daily Kos Group 2015-05-06
[41] 서적 Direct Action and Democracy Today https://books.google[...] Polity 2005-01-14
[42] 서적 Black Maverick: T.R.M. Howard's Fight for Civil Rights and Economic Power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2009
[43] 웹사이트 Robinson, Jo Ann Gibson https://kinginstitut[...] Stanford University 2019-12-03
[44] 서적 The Montgomery Bus Boycott and the Women Who Started It University of Tennessee Press 1986
[45] 뉴스 The Tallahassee Bus Boycott—Fifty Years Later http://www.tallahass[...] The Tallahassee Democrat 2006-05-21
[46] 뉴스 Panthers defeat flu; face Ga. Tech next https://news.google.[...] 1955-12-30
[47] 서적 White Flight: Atlanta and the Making of Modern Conservatism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08-02-01
[48] 서적 Brown v. Board of Education and the Civil Rights Movement Oxford University Press 2007
[49] 서적 The UAW and the Heyday of American Liberalism, 1945–1968 https://books.google[...] Cornell University Press 1995
[50] 웹사이트 Brown v. Board of Education of Topeka (1) https://www.oyez.org[...] 2019-10-03
[51] 웹사이트 The Court's Decision – Separate Is Not Equal https://americanhist[...] 2019-10-03
[52] 웹사이트 Brown v. Board of Education (Kansas) http://www.civilrigh[...] 2016-03-28
[53] 서적 The Lost Promise of Civil Rights Harvard University Press 2007
[54] 웹사이트 Antonly Lester, "Brown v. Board of Education Overseas" Proceedings of the American Philosophical Society Vol. 148, No. 4, December 2004 http://www.amphilsoc[...]
[55] 웹사이트 Mary L Dudziak "Brown as a Cold War Case" Journal of American History, June 2004 http://www.history.u[...]
[56] 웹사이트 Brown v Board of Education Decision http://www.crmvet.or[...]
[57] 웹사이트 Civil Rights Greensboro http://library.uncg.[...] 2016-07-29
[58] 서적 Power, Protest, and the Public Schools: Jewish and African American Struggles in New York City https://books.google[...] Rutgers University Press 2010
[59] 웹사이트 Adina Back "Exposing the Whole Segregation Myth: The Harlem Nine and New York City Schools" in Freedom north: Black freedom struggles outside the South, 1940–1980, Jeanne Theoharis, Komozi Woodard, eds.(Palgrave Macmillan, 2003) pp. 65–91 http://hisofblackamf[...]
[60] 웹사이트 American Experience; The Murder of Emmett Till; Interview with Mamie Till Mobley, mother of Emmett Till http://americanarchi[...] 2020-06-10
[61] 웹사이트 How The Horrific Photograph Of Emmett Till Helped Energize The Civil Rights Movement http://100photos.tim[...] 2017-07-03
[62] 서적 A Death in the Delta: The story of Emmett Till JHU Press 1991
[63] 뉴스 'The Blood of Emmett Till' remembers a horrific crime https://www.usatoday[...] 2017-07-03
[64] 서적 The Assassination of Fred Hampton Chicago Review Press
[65] 뉴스 Authorities discover original casket of Emmett Till http://cnnwire.blogs[...] 2018-09-30
[66] 뉴스 Emmett Till's Casket Goes to the Smithsonian https://www.smithson[...] 2018-09-30
[67] 잡지 How Author Timothy Tyson Found the Woman at the Center of the Emmett Till Case http://www.vanityfai[...] 2017-01-26
[68] 서적 The Blood of Emmett Till Simon & Schuster
[69] 간행물 Challenge and Response in the Montgomery Bus Boycott of 1955–1956 2014
[70] 서적 The Unfinished Journey: America since World War II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2003
[71] 뉴스 Grier Integrated a Game and Earned the World's Respect https://www.nytimes.[...] 2009-04-15
[72] 간행물 The Little Rock school desegregation crisis: Moderation and social conflict https://www.jstor.or[...] 2004
[73] 서적 Turn away thy son: Little Rock, the crisis that shocked the nation Simon and Schuster 2007
[74] 서적 Gandhi's Truth: On the Origins of Militant Nonviolence https://archive.org/[...] Norton 1969
[75] 웹사이트 Civil Rights Movement http://www.crmvet.or[...] 2015-05-18
[76] 웹사이트 Bruce Hartford (full interview) https://vimeo.com/17[...] 2015-05-18
[77] 서적 The Making of Black Revolutionaries https://archive.org/[...] Macmillan 1972
[78] 논문 Agenda Seeding: How 1960s Black Protests Moved Elites, Public Opinion and Voting 2020
[79] 뉴스 Kansas Sit-In Gets Its Due at Last https://www.npr.org/[...] 2006-10-21
[80] 웹사이트 First Southern Sit-in, Greensboro NC http://www.crmvet.or[...]
[81] 서적 Civilities and civil rights: Greensboro, North Carolina, and the Black struggle for freedom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82] 웹사이트 Civil Rights Greensboro http://library.uncg.[...]
[83] 웹사이트 60 years ago, the Richmond 34 were arrested during a sit-in at the Thalhimers lunch counter https://www.richmond[...] 2020-02-20
[84] 논문 Rising Up http://southernspace[...] 2008-01-01
[85] 웹사이트 Atlanta Sit-ins http://www.crmvet.or[...]
[86] 웹사이트 Atlanta Sit-Ins http://www.georgiaen[...]
[87] 서적 The Nashville Way: Racial Etiquette and the Struggle for Social Justice in a Southern City University of Georgia Press
[88] 웹사이트 Nashville Student Movement http://www.crmvet.or[...]
[89] 웹사이트 America's First Sit-Down Strike: The 1939 Alexandria Library Sit-In http://oha.alexandri[...] City of Alexandria 2010-02-11
[90] 서적 Weary Feet, Rested Souls: A Guided History of the Civil Rights Movement https://archive.org/[...] W. W. Norton & Company
[91] 웹사이트 Atlanta Sit-ins http://www.georgiaen[...]
[92] 웹사이트 Students Begin to Lead http://www.atlantahi[...]
[93] 서적 In Struggle: SNCC and the Black Awakening of the 1960s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94] 웹사이트 Student Nonviolent Coordinating Committee Founded http://www.crmvet.or[...]
[95] 웹사이트 Freedom Rides http://www.crmvet.or[...]
[96] 서적 Freedom Riders: 1961 and the Struggle for Racial Justice https://archive.org/[...] Oxford Press
[97] 문서 Black Protest (1961)
[98] 웹사이트 American Experience; Freedom Riders; Interview with John Lewis, 1 of 3 http://americanarchi[...] 2020-06-10
[99] 웹사이트 American Experience; Freedom Riders; Interview with Jim Zwerg, 1 of 4 http://americanarchi[...] 2020-06-10
[100] 웹사이트 Arrests in Jackson MS http://www.crmvet.or[...] 2011-10-21
[101] 웹사이트 American Experience; Freedom Riders; Interview with James Lawson, 1 of 4 http://americanarchi[...] 2020-06-10
[102] 웹사이트 American Experience; Freedom Riders; Interview with Diane Nash, 1 of 3 http://americanarchi[...] 2020-06-10
[103] 웹사이트 American Experience; Freedom Riders; Interview with Dion Diamond, 1 of 2 http://americanarchi[...] 2020-06-10
[104] 웹사이트 American Experience; Freedom Riders; Interview with Bernard Lafayette, Jr., 1 of 3 http://americanarchi[...] 2020-06-10
[105] 웹사이트 American Experience; Freedom Riders; Interview with Julian Bond, 1 of 2 http://americanarchi[...] 2020-06-10
[106] 서적 Our Portion of Hell: Fayette County, Tennessee, an Oral History of the Struggle For Civil Rights Links Books 1973
[107] 웹사이트 Voter Registration & Direct-action in McComb MS http://www.crmvet.or[...] 2010-07-07
[108] 웹사이트 Council of Federated Organizations Formed in Mississippi http://www.crmvet.or[...] 2006-10-04
[109] 웹사이트 Mississippi Voter Registration – Greenwood http://www.crmvet.or[...] 2006-10-04
[110] 웹사이트 What Have We Learned from the Spies of Mississippi? https://www.aclu.org[...] ACLU National Security Project 2015-05-06
[111] 서적 The Funding of Scientific Racism: Wickliffe Draper and the Pioneer Fund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2007-05-30
[112] 서적 Neo-Confederacy: A Critical Introduction University of Texas Press 2008
[113] 웹사이트 A House Divided http://www.splcenter[...] Southern Poverty Law Center 2010-10-30
[114] 서적 Medgar Evers Holloway House Publishing 1994
[115] 웹사이트 James Meredith Integrates Ole Miss http://www.crmvet.or[...] 2006-10-04
[116] 웹사이트 http://www.lib.usm.e[...] 2009-09-17
[117] 웹사이트 Carrying the burden: the story of Clyde Kennard http://www6.district[...] 2007-11-05
[118] 웹사이트 Albany GA, Movement http://www.crmvet.or[...] 2010-07-07
[119] 웹사이트 The Birmingham Campaign http://www.crmvet.or[...] 2009-06-15
[120] 웹사이트 Letter from a Birmingham Jail http://www.stanford.[...] 2008-04-07
[121] 서적 Blessed Are The Peacemakers: Martin Luther King Jr., Eight White Religious Leaders, and the "Letter from Birmingham Jail" LSU Press 2001
[122] 웹사이트 The Great Society: A New History with Amity Shlaes https://www.hoover.o[...] 2020-04-29
[123] 뉴스 Children have changed America before, braving fire hoses and police dogs for civil rights https://www.washingt[...] 2018-03-23
[124] 웹사이트 Freedom-Now http://cgi.cnn.com/A[...] 1963-05-17
[124] 서적 But for Birmingham: The Local and National Struggles in the Civil Rights Movement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Press 1997
[125] 서적 The Bystander: John F. Kennedy And the Struggle for Black Equality Basic Books 2006
[126] 웹사이트 Thomas J Sugrue, "Affirmative Action from Below: Civil Rights, Building Trades, and the Politics of Racial Equality in the Urban North, 1945–1969" http://intellhisblac[...]
[127] 웹사이트 Pennsylvania Historical and Museum Commission website, "The Civil Rights Movement" http://www.portal.st[...]
[128] 뉴스 The Daily Capital News http://www.newspaper[...] 1963-06-14
[129] 웹사이트 The Dispatch – Google News Archive Search https://news.google.[...] 2016-07-29
[130] 서적 From Civil Rights to Human Right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2013
[131] 웹사이트 Teaching American History in Maryland – Documents for the Classroom – Maryland State Archives http://teaching.msa.[...] 2016-07-29
[132] 웹사이트 Thomas F. Jackson, "Jobs and Freedom: The Black Revolt of 1963 and the Contested Meanings of the March on Washington" http://web1.millerce[...] 2008-04-02
[133] 웹사이트 Miss Lorraine Hansberry & Bobby Kennedy http://blogs.village[...] 2016-07-29
[134] 서적 Robert Kennedy: Brother Protector https://books.google[...] Temple University Press 2016-07-29
[135] 서적 Robert Kennedy and His Times 1978
[136] 웹사이트 "Book Reviews-The Bystander by Nicholas A. Bryant" http://jah.oxfordjou[...]
[137] 웹사이트 Standing In the Schoolhouse Door http://www.crmvet.or[...] 2009-06-15
[138] 웹사이트 Radio and Television Report to the American People on Civil Rights http://www.jfklibrar[...] 1963-06-11
[139] 웹사이트 Medgar Evers http://www.olemiss.e[...] 2005-11-07
[140] 웹사이트 Medgar Evers Assassination http://www.crmvet.or[...] 2009-06-15
[141] 웹사이트 Civil Rights bill submitted, and date of JFK murder, plus graphic events of the March on Washington. http://www.abbeville[...] 2007-10-12
[142] 서적 Kennedy, Johnson, and the Quest for Justice: The Civil Rights Tapes https://archive.org/[...] WW Norton & Co
[143] 서적 Robert Kennedy and His Times https://archive.org/[...] Houghton Mifflin Books
[144] 뉴스 In March on Washington, white activists were largely overlooked but strategically essential https://www.washingt[...] 2013-08-25
[145] 간행물 Television News and the Civil Rights Struggle: The Views in Virginia and Mississippi http://southernspace[...] 2004-11-03
[146] 웹사이트 St. Augustine FL, Movement – 1963 http://www.crmvet.or[...] Harper Collins 2016-08-16
[147] 웹사이트 St. Augustine FL, Movement – 1963 http://www.crmvet.or[...] Harper Collins 2016-08-16
[148] 뉴스 Mary Peabody, 89, Rights Activist, Dies https://www.nytimes.[...] 1981-02-07
[149] 서적 Civil Disobedience: A–Z entries Sharpe Reference
[150] 서적 Race and the Politics of Deception: The Making of an American City https://books.google[...] New York University Press 2017
[151] 웹사이트 Questions surround student activism fifty-two years later https://swarthmoreph[...] 2015-10-29
[152] 웹사이트 Chester NAACP Scrapbook 1963–1964 http://digitalwolfgr[...]
[153] 웹사이트 African American residents of Chester, PA, demonstrate to end de facto segregation in public schools, 1963–1966 https://nvdatabase.s[...]
[154] 뉴스 RIOTS MAR PEACE IN CHESTER, PA.; Negro Protests Continue – School Policy at Issue https://www.nytimes.[...] 1964-04-26
[155] 간행물 'Old Scratchhead' Reconsidered: George Raymond & Civil Rights in Chester, Pennsylvania https://journals.psu[...] 2002
[156] 웹사이트 The Mississippi Movement & the MFDP http://www.crmvet.or[...] 2008-04-24
[157] 웹사이트 Mississippi: Subversion of the Right to Vote http://www.crmvet.or[...] 2010-05-05
[158] 서적 Freedom Summer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159] 서적 In Struggle: SNCC and the Black Awakening of the 1960s Harvard University Press
[160] 웹사이트 Veterans Roll Call http://www.crmvet.or[...] 2008-04-23
[161] 웹사이트 Freedom Ballot in MS http://www.crmvet.or[...] 2016-08-16
[162] 서적 Bending Toward Justice: The Voting Rights Act and the Transformation of American Democracy https://archive.org/[...] Basic Books 2013-04-09
[163] 웹사이트 Senate Vote #78 in 1965: To Pass S. 1564, the Voting Rights Act of 1965 http://www.govtrack.[...] Civic Impulse, LLC
[164] 웹사이트 House Vote #87 in 1965: To Pass H.R. 6400, the Voting Rights Act of 1965 http://www.govtrack.[...] Civic Impulse, LLC
[165] 서적 American Babylon: Race and the Struggle for Postwar Oakland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05
[166] 뉴스 Watts Riots, 40 Years Later https://www.latimes.[...] 2005-08-11
[167] 웹사이트 No on Proposition 14: California Fair Housing Initiative Collection http://www.oac.cdlib[...]
[168] 웹사이트 Black Thursday http://www.blackthur[...]
[169] 뉴스 James Groppi, Ex-Priest, Civil Rights Activist, Dies https://www.latimes.[...] 1985-11-05
[170] 간행물 Everett Dirksen's Role in Civil Rights Legislation http://www.wiu.edu/c[...] 2009-03-01
[171] 웹사이트 Living Apart: How the Government Betrayed a Landmark Civil Rights Law https://www.propubli[...] 2015-06-25
[172] 서적 Race Relations in the United States, 1960-1980 2007
[173] 서적 Justice Rising: Robert KennedyÕs America in Black and White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2021
[174] 웹사이트 The Riots of the Long, Hot Summer https://www.britanni[...]
[175] 간행물 The Ghetto Rebellions and Urban Class Conflict
[176] 웹사이트 Watts Rebellion (Los Angeles) https://kinginstitut[...] 2024-12-11
[177] 논문 The Los Angeles Riot of August 1965
[178] 서적 Flawed Giant: Lyndon Johnson and His Times, 1961–1973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179] 웹사이트 Lyndon B. Johnson: The American Franchise https://millercenter[...] Miller Center of Public Affairs, University of Virginia 2017-06-22
[180] 웹사이트 A Walk Through Newark. History. The Riots http://www.thirteen.[...] Thirteen/WNET 2016-07-29
[181] 서적 Flawed Giant: Lyndon Johnson and His Times, 1961–1973
[182] 웹사이트 The 1967 Riots: When Outrage Over Racial Injustice Boiled Over https://www.history.[...] 2024-12-08
[183] 웹사이트 Review of Georgakas, Dan; Surkin, Marvin, ''Detroit, I Do Mind Dying: A Study in Urban Revolution'' http://www.h-net.org[...] 1999-10-01
[184] 웹사이트 American Experience. Eyes on the Prize. Profiles https://www.pbs.org/[...] 2016-07-29
[185] 웹사이트 The Riots of the Long, Hot Summer https://www.britanni[...] 2024-12-08
[186] 서적 The Detroit Riot of 1967 Wayne State University Press
[187] 서적 From the War on Poverty to the War on Crime: The Making of Mass Incarceration in America Harvard University Press 2016
[188] 서적 In the Heat of the Summer: The New York Riots of 1964 and the War on Crime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2017
[189] 뉴스 Newark Riot Deaths at 21 As Negro Sniping Widens; Hughes May Seek U.S. Aid https://archive.nyti[...] 1967-07-16
[190] 뉴스 Troops Battle Detroit Snipers, Firing Machine Guns From Tanks; Lindsay Appeals To East Harlem; Detroit Toll Is 31 Rioters Rout Police-- Guardsmen Released To Aid Other Cities https://www.nytimes.[...] 1967-07-26
[191] 잡지 LIFE Magazine https://books.google[...] 1967-07-28
[192] 잡지 LIFE Magazine https://books.google[...] 1967-08-04
[193] 서적 (제목 없음)
[194] 서적 (제목 없음)
[195] 웹사이트 Kerner Report https://web.archive.[...] 2009-11-23
[196] 웹사이트 Remarks Upon Signing Order Establishing the National Advisory Commission on Civil Disorders https://www.presiden[...] University of California 1967-07-29
[197] 웹사이트 The 1968 Kerner Commission Got It Right, But Nobody Listened https://www.smithson[...]
[198] 웹사이트 "Our Nation Is Moving Toward Two Societies, One Black, One White—Separate and Unequal": Excerpts from the Kerner Report http://historymatter[...] American Social History Productions 2017-07-12
[199] 서적 The Long, Hot Summer of 1967: Urban Rebellion in America https://books.google[...] Palgrave Macmillan 2014
[200] 웹사이트 Honorable Charles Mathias Jr. "Fair Housing Legislation: Not an Easy Row To Hoe" US Department of Housing and Urban Development, Office of Policy Development and Research http://www.huduser.o[...]
[201] 웹사이트 Memphis, Tennessee, sanitation workers strike, 1968 {{!}} Global Nonviolent Action Database https://nvdatabase.s[...] 2020-05-19
[202] 웹사이트 Reuther, Walter Philip https://kinginstitut[...] Stanford University 2020-05-19
[203] 웹사이트 Coretta Scott King http://www.spartacus[...] Spartacus Educational Publishers 2010-10-30
[204] 서적 A Concise Chronicle History of the African-American People Experience in America Henry Epps
[205] 웹사이트 Peter B. Levy, "The Dream Deferred: The Assassination of Martin Luther King Jr., and the Holy Week Uprisings of 1968" in ''Baltimore '68: Riots and Rebirth in an American city'' (Temple University Press, 2011), p. 6 http://www.temple.ed[...] 2014-12-29
[206] 웹사이트 Public Law 90-284, Government Printing Office http://www.gpo.gov/f[...]
[207] 잡지 Riding On http://www.time.com/[...] 2007-10-23
[208] 웹사이트 ACLU Parchman Prison http://www.dsl.psu.e[...] 2007-11-29
[209] 웹사이트 Parchman Farm and the Ordeal of Jim Crow Justice http://www.h-net.org[...] 2006-08-28
[210] 웹사이트 "Worse Than Slavery": Parchman Farm and the Ordeal of Jim Crow Justice – book review http://www.h-net.org[...] Hnet-online 2006-08-29
[211] 서적 Soul on Ice McGraw-Hill
[212] 학술지 The Persistent Effect of U.S. Civil Rights Protests on Political Attitudes http://osf.io/uvm2a/ 2018-08-30
[213] 웹사이트 Agenda Seeding: How 1960s Black Protests Moved Elites, Public Opinion and Voting http://www.omarwasow[...] 2021-01-12
[214] 법률 Section 703(a)(1), Civil Rights Act of 1964, Pub. L. No. 88-352, 78 Stat. 241, 255 1964-07-02
[215] 뉴스 The Civil Rights Act of 1964 and the Equal Employment Opportunity Commission https://www.archives[...] 2017-10-20
[216] 웹사이트 H.J.Res.113 – 107th Congress (2001–2002): Recognizing the contributions of Patsy Takemoto Mink. https://www.congress[...] 2020-03-30
[217] 웹사이트 Civil Rights Movement History & Timeline, 1955 https://www.crmvet.o[...]
[218] 학술지 Passing the Torch: African American Women in the Civil Rights Movement
[219] 서적 Oxford Research Encyclopedia of American History 2018-03-03
[220] 뉴스 Opinion: Ella Baker's Legacy Runs Deep. Know Her Name. https://www.nytimes.[...] 2020-04-24
[221] 학술지 The Women of SNCC: Struggle, Sexism, and the Emergence of Feminist Consciousness, 1960–66
[222] 웹사이트 Women in the Civil Rights Movement – Civil Rights History Project https://www.loc.gov/[...] 2018-03-03
[223] 잡지 On MLK Day, Honor the Mother of the Civil Rights Movement https://time.com/463[...] 2018-03-03
[224] 웹사이트 Sexism in the Civil Rights Movement: A Discussion Guide https://www.toleranc[...] 2009
[225] 서적 Gender and the Civil Rights Movement Rutgers University Press
[226] 웹사이트 Women in the Civil Rights Movement https://www.loc.gov/[...]
[227] 웹사이트 Dorothy Height and the Sexism of the Civil Rights Movement https://www.theroot.[...] 2010-05-12
[228] 웹사이트 ''We Charge Genocide'' http://www.crmvet.or[...]
[229] 서적 In Struggle: SNCC and the Black Awakening of the 1960s https://archive.org/[...] Harvard University Press
[230] 인터뷰 Oral History Interview with Ella Baker, September 4, 1974. Interview G-0007. Southern Oral History Program Collection (#4007): Electronic Edition. Ella Baker Describes Her Role in the Formation of the Southern Christian Leadership Conference and the Student Nonviolent Coordinating Committee http://docsouth.unc.[...]
[231] 뉴스 What Should a Sustained Movement Look Like? https://bostonreview[...] 2012-06-26
[232] 서적 Poor People's Movements: How They Succeed, How They Fail Random House
[233] 웹사이트 Timothy B. Tyson, ''Radio Free Dixie: Robert F. Williams and the Roots of "Black Power"''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Press, 1999), 79–80 http://uncpress.unc.[...] 2013-09-09
[234] 서적 Radio Free Dixie
[235] 웹사이트 January 1958: The Lumbees face the Klan http://www.learnnc.o[...]
[236] 서적 Radio Free Dixie
[237] 서적 Radio Free Dixie
[238] 웹사이트 Williams, Robert Franklin https://kinginstitut[...] 2019-12-03
[239] 서적 Ella Baker and the Black Freedom Movement: A Radical Democratic Vision https://books.google[...] Univ of North Carolina Press 2003-11-20
[240] 학술지 Robert F. Williams, 'Black Power,' and the Roots of the African American Freedom Struggle http://history.msu.e[...] 1998-09
[241] 웹사이트 The Black Power Movement, Part 2: The Papers of Robert F. Williams http://www.lexisnexi[...]
[242] 학술지 1998-09
[243] 서적 Parting the Waters: America in the King Years 1954–1963 Simon and Schuster
[244] 뉴스 By Any Means Necessary https://www.thenatio[...] 2021-10-01
[245] 학술지 Crusader in Exile: Robert F. Williams and the International Struggle for Black Freedom in America https://www.academia[...] 2006
[246] 간행물 Robert Franklin Williams: A Warrior For Freedom, 1925–1996 http://investigating[...] 1996-12-01 #Winter 1996 추정
[247] 웹사이트 A Brief History of Jews and the Civil Rights Movement of the 1960s https://rac.org/issu[...] 2023-12-14
[248] 웹사이트 American Jews and the Civil Rights Movement https://www.jewishvi[...] 2023-12-14
[249] 백과사전 Fair Employment Practices Committee https://www.britanni[...] 2023-03-20
[250] 뉴스 Truman addresses NAACP, June 29, 1947 https://politi.co/2M[...] 2018-06-29
[251] 서적 The American Presidency: Origins and Development, 1776–2021 https://books.google[...] CQ Press 2021
[252] 웹사이트 'Unless we progress, we regress': How Eisenhower Broke Ground on Desegregation https://www.historyn[...] 2020-06-08
[253] 웹사이트 Ike's Forgotten Legacy on Civil Rights: A Lesson in Leadership for Today https://riponsociety[...] 2016-04-04
[254] 서적 The Bill of the Century: The Epic Battle for the Civil Rights Act https://books.google[...] Bloomsbury Publishing USA 2014
[255] 서적 The Unfinished Odyssey of Robert Kennedy Random House 1968
[256] 서적 Robert Kennedy: Brother Protector https://books.google[...] Temple University Press 2000
[257] 서적 Robert Kennedy And His Times 2002
[258] 웹사이트 Law Day Address at the University of Georgia Law School http://www.americanr[...] American Rhetoric
[259] 웹사이트 The Cold War | American Experience | PBS https://www.pbs.org/[...]
[260] 웹사이트 Ripple of Hope in the Land of Apartheid: Robert Kennedy in South Africa, June 1966 http://www.rfksa.org[...]
[261] 웹사이트 COINTELPRO Revisited – Spying & Disruption – In Black and White: The F.B.I. Papers http://www.whatreall[...]
[262] 웹사이트 A Huey P. Newton Story – Actions – COINTELPRO https://www.pbs.org/[...]
[263] 서적 Enemies: A History of the FBI Random House 2012
[264] 서적 Bobby and J. Edgar: The Historic Face-Off Between the Kennedys and J. Edgar Hoover That Transformed America Basic Books 2007
[265] 학술지 James Baldwin and the FBI 1999
[266] 간행물 Baldwin: A literary standard http://www.baystate-[...] 2009-02-14
[267] 서적 President Johnson's war on poverty: Rhetoric and history 2005
[268] 학술지 What a difference a death makes: JFK, LBJ, and the Civil Rights Act of 1964 2015
[269] 서적 Business in Black and White: American Presidents and Black Entrepreneurs 2009
[270] 서적 The Nixon Effect: How His Presidency Has Changed American Politics https://books.google[...] Encounter Books 2015
[271] 서적 People's Diplomacy: How Americans and Chinese Transformed US-China Relations during the Cold War Cornell University Press 2024
[272] 서적 Reading Tolkien in Chinese: Religion, Fantasy, and Translation Bloomsbury Academic 2024
[273] 서적 Arise, Africa! Roar, China! Black and Chinese Citizens of the World in the Twentieth Century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Press 2021
[274] 웹사이트 Cambridge, Maryland, activists campaign for desegregation, USA, 1962–1963 http://nvdatabase.sw[...] Swarthmore College
[275] 뉴스 Mrs. Richardson okeys Malcolm X https://news.google.[...] 1964-03-10
[276] 비디오 The Negro and the American Promise https://www.pbs.org/[...] WGBH 1963
[277] 웹사이트 Film clip of Harlem CORE chairman Gladys Harrington speaking on Malcolm X http://harlemcore.co[...]
[278] 웹사이트 Malcolm X https://kinginstitut[...] 2017-06-29
[279] 서적 Malcolm X: A Life of Reinvention https://books.google[...] Penguin 2011
[280] 웹사이트 Say it Plain, Say it Loud – American RadioWorks http://americanradio[...]
[281] 서적 We Will Shoot Back: Armed Resistance in the Mississippi Freedom Movement NYU Press
[282] 서적 Regulating the Poor Random House
[282] 서적 Keeping the Faith: Race, Politics and Social Development in Jacksonville, 1940–1970 https://books.google[...] Greenwood Publishing Group
[283] 웹사이트 The Ballot or the Bullet http://xroads.virgin[...] 2016-07-29
[284] 비디오 Eyes on the Prize: America's Civil Rights Movement 1954–1985 https://www.pbs.org/[...] Blackside Productions, Public Broadcasting System
[285] 서적 Walking With the Wind https://archive.org/[...] Simon & Schuster
[286] 웹사이트 Speech Delivered with Malcolm X at the Williams Institutional CME Church, Harlem, New York, December 20, 1964 http://www.crmvet.or[...]
[287] 서적 Malcolm X Speaks: Selected Speeches and Statements Grove Press
[288] 서적 Pure Fire: Self-defense as Activism in the Civil Rights Era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Georgia Press
[289] 서적 Eyes on the Prize: America's Civil Rights Years 1954–1965 Penguin Group
[290] 웹사이트 Malcolm's Contribution to Black Voting Rights http://www.blackcomm[...] The Black Commentator
[291] 비디오 From Swastika to Jim Crow https://www.pbs.org/[...] PBS
[292] 서적 The Ungovernable City: John Lindsay and his struggle to save New York Better Books
[293] 서적 How Jews Became White Folks and What That Says About Race in America Rutgers University Press
[294] 서적 Blackface, White Noise: Jewish Immigrants in the Hollywood Melting Pot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98-05-29
[295] 웹사이트 A History of Jews in America http://www.myjewishl[...] Vintage Books 2015-03-01
[296] 서적 Doubtless Sincere: New Characters in the Civil Rights Cast University Press of Mississippi
[297] 서적
[298] 서적
[299] 웹사이트 SNCC, the Federal Government & the Road to Black Power https://www.academia[...] 2016-07-29
[300] 웹사이트 From Civil Rights to Black Power: The Case of SNCC http://www.studythep[...] Harcourt Press
[301] 잡지 By Any Means Necessary http://www.thenation[...] 2016-07-29
[302] 뉴스 Robert Hicks, Leader in Armed Rights Group, Dies at 81 https://www.nytimes.[...] 2010-04-24
[303] 서적 The Deacons for Defense: Armed Resistance and the Civil Rights Movement https://books.google[...] Univ of North Carolina Press 2006-02-01
[304] 웹사이트 Watts Rebellion (Los Angeles) https://kinginstitut[...] Stanford University 2017-06-12
[305] 웹사이트 American Experience. Eyes on the Prize. Transcript https://www.pbs.org/[...] PBS 2016-07-29
[306] 서적 We Are an African People: Independent Education, Black Power, and the Radical Imagination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6-01-14
[307] 서적 Black Against Empire: The History and Politics of the Black Panther Party https://books.google[...] Univ of California Press 2016-10-25
[308] 잡지 Year End Charts – Year-end Singles – Hot R&B/Hip-Hop Songs http://www.billboard[...] 2009-09-08
[309] 웹사이트 Dr. King spoke out against the genocide of Native Americans http://www.peopleswo[...] 2014-02-13
[310] 뉴스 Facebook labels declaration of independence as 'hate speech' https://www.theguard[...] 2020-09-07
[311] 웹사이트 Dr. Martin Luther King Jr: Our Nation was Born in Genocide https://nativenewson[...] 2017-01-16
[312] 웹사이트 'I have a dream for all God's children,' Martin Luther King Jr. Day http://americanindia[...] 2018-11-25
[313] 웹사이트 How Martin Luther King inspired a Northern Ireland uprising https://www.irishcen[...] 2020-09-11
[314] 웹사이트 Dr. King's Impact on the Fight for Civil Rights in Northern Ireland https://www.nbcnews.[...] 2016-01-18
[315] 뉴스 Soviet Propaganda Back in Play With Ferguson Coverage http://www.themoscow[...] 2014-11-27
[316] 웹사이트 The History Behind China's Response to the Baltimore Riots https://thediplomat.[...] 2015-05-12
[317] 서적 Russia Today: What Can We Learn from It? Farrar & Rinehar
[318] 서적 Cold War Civil Rights: Race and the Image of American Democracy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1-07-31
[319] 뉴스 White Southerners' Role in Civil Rights https://www.npr.org/[...] 2007-10-15
[320] 뉴스 The white Southerners who fought US segregation https://www.bbc.com/[...] 2019-03-12
[321] 서적 The Fierce Urgency of Now: Lyndon Johnson, Congress, and the Battle for the Great Society https://books.google[...] Penguin 2015-01-08
[322] 웹사이트 Gillman on Klarman, 'From Jim Crow to Civil Rights: The Supreme Court and the Struggle for Racial Equality' {{!}} H-Law {{!}} H-Net https://networks.h-n[...]
[323] 웹사이트 Racism to Redemption https://www.neh.gov/[...]
[324] 서적 The Silent Majority: Suburban Politics in the Sunbelt South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3-10-24
[325] 웹사이트 公民権運動 とは - コトバンク https://kotobank.jp/[...]
[326] 서적 The Black Diaspora: Five Centuries of the Black Experience Outside Africa Farrar, Straus and Giroux
[327] 웹사이트 Quick guide: The slave trade http://news.bbc.co.u[...] bbc.co.uk 2007-03-15
[328] 서적 Africana: The Encyclopedia of the African and African American Experience Basic Civitas Books
[329] 서적 W. E. B. Du Bois: A Biography
[330] 뉴스 ゲイ兵士差別はもういらない http://newsweekjapan[...] ニューズウィーク日本版 2009-04-22
[331] 웹사이트 U.S. Army center of military history https://web.archive.[...]
[332] 서적 Truman Simon & Schuster
[333] 웹사이트 Royal Ice Cream Sit-in — Durham, NC http://www.crmvet.or[...]
[334] 서적 黒人差別とアメリカ公民権運動 集英社新書
[335] 서적 クロンカイトの世界 TBSブリタニカ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