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미노 이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도미노 이론은 한 국가의 정치 체제 변화가 주변 국가로 연쇄적으로 확산된다는 지정학적 이론이다. 냉전 시대 미국은 공산주의 확산을 막기 위해 이 이론을 외교 정책의 근거로 활용했다. 해리 S. 트루먼 대통령은 공산주의 확산을 우려하여 이 이론을 처음 언급했고,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 대통령은 동남아시아 공산주의 확산에 대한 우려를 표명하며 이 이론을 구체화했다. 도미노 이론은 베트남 전쟁 개입을 정당화하는 데 사용되었으며, 동남아시아 국가들의 공산화에 대한 우려를 반영했다. 이 이론은 찬반 논쟁을 거쳤으며, 미국 외교 정책과 국제 관계에 큰 영향을 미쳤다. 이슬람 정교회 확산, 민주주의 확산 등 다른 상황에도 적용되었으며, 동유럽 혁명, 아랍의 봄 등 역사적 사건을 설명하는 데 사용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냉전기의 정책 - 봉쇄 정책
봉쇄 정책은 1850년대 노예제 확장을 막는 데서 시작하여, 냉전 시기 소련의 팽창을 억제하기 위한 미국의 전략으로 발전했으며, 다양한 변형과 대안 속에서 냉전 종식 후에도 외교 정책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 냉전기의 정책 - 프랑스 타격군
프랑스 타격군은 프랑스가 외부 위협으로부터 보호받고 NATO로부터 독립성을 유지하기 위해 구축한 핵전력 체계로, 핵 삼두 체제를 갖추고 가치 보복 전략과 '약자에서 강자로의 억제' 개념을 바탕으로 핵 공격 억제를 목표로 한다. - 미국의 냉전사 - 트루먼 독트린
트루먼 독트린은 1947년 해리 S. 트루먼 미국 대통령이 발표한 외교 정책으로, 공산주의 위협에 맞서 그리스와 터키를 지원하며 미국의 고립주의에서 벗어나 세계 정치에 적극적으로 개입하는 계기가 되었다. - 미국의 냉전사 - 주이란 미국 대사관 인질 사건
1979년 이란 학생 시위대가 테헤란 주재 미국 대사관을 점거하여 52명의 미국인이 444일간 인질로 억류된 주이란 미국 대사관 인질 사건은 팔레비 왕조의 친미 정책, 이란 이슬람 혁명, 팔레비 국왕의 미국 입국 허용 등 복합적인 원인으로 발생했으며, 이란 혁명 정부의 요구와 미국의 외교적 노력 실패, 국제 정세 변화와 알제리 중재를 거쳐 인질이 석방되었으나, 미국-이란 관계 악화와 중동 지역 정세 불안 등 국제적 파장을 남겼다. - 전쟁 및 분쟁에 관한 - 트루먼 독트린
트루먼 독트린은 1947년 해리 S. 트루먼 미국 대통령이 발표한 외교 정책으로, 공산주의 위협에 맞서 그리스와 터키를 지원하며 미국의 고립주의에서 벗어나 세계 정치에 적극적으로 개입하는 계기가 되었다. - 전쟁 및 분쟁에 관한 - 라오스 내전
라오스 내전은 1945년부터 1975년까지 프랑스 식민 지배 종식 후 독립 운동 세력 등장, 공산주의 세력과 왕정 지지 세력 간 대립, 베트남 전쟁 연관, 그리고 1975년 파테트 라오 승리로 이어진 복잡한 무장 분쟁으로, 막대한 인명 피해와 환경적 재앙을 초래했다.
도미노 이론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유형 | 냉전 시대 지정학 이론 |
제창자 |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 존 포스터 덜레스 |
주요 개념 | 한 국가의 공산화는 주변 국가를 연쇄적으로 공산화시킨다. |
관련 정책 | 봉쇄 정책 집단 안보 개입주의 |
역사적 배경 | |
배경 |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공산주의 세력 확장에 대한 우려 중국 공산당의 대륙 장악 (1949) |
주요 적용 사례 | 베트남 전쟁 한국 전쟁 라오스 내전 캄보디아 내전 도미니카 내전 |
이론의 영향 | |
군사적 개입 | 미국의 SEATO 창설 및 베트남 전쟁 개입의 정당화 |
국내 정치 | 매카시즘의 확산 및 공산주의에 대한 공포 조성 |
국제 관계 | 냉전 시대 미국 대외 정책의 핵심 논리 |
비판 및 논쟁 | |
비판 | 지나치게 단순화된 지정학적 분석 각국의 정치적, 사회적 특성을 간과 실질적인 효과에 대한 의문 제기 |
논쟁 | "제한된 도미노" 이론 제기 지역별 특성을 고려해야 한다는 주장 |
현대적 관점 | |
현대적 적용 | 테러, 민주주의 확산 등에 대한 유사한 연쇄 효과 주장이 존재 |
현대적 비판 | 복잡한 국제 관계를 단순한 인과 관계로 해석하는 위험성에 대한 지적 |
2. 역사적 배경
도미노 이론은 한 국가의 정치 구조 변화가 주변 국가로 도미노처럼 확산된다는 지정학적 이론이다. 1950년대부터 1980년대까지 냉전 시대 미국에서 이 이론은 한 지역의 국가가 공산주의의 영향을 받으면 주변 국가도 따라올 것이라는 주장을 뒷받침하는 데 사용되었으며, 미국의 역대 행정부는 이를 전 세계에 대한 미국의 개입을 정당화하기 위해 활용했다.[18]
1945년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소련은 동유럽과 중유럽 대부분 국가들을 자신의 영향권 안에 두었다.[5] 1946년 윈스턴 처칠은 풀턴의 웨스트민스터 대학교에서 "철의 장막" 연설을 통해 소련의 영향력을 경고했다.[6]
2. 1. 냉전 초기와 도미노 이론의 등장
1946년 이란 위기 이후, 해리 S. 트루먼 대통령은 1947년 트루먼 독트린을 선언하여 그리스 내전 중인 그리스 정부와 터키에 재정 지원을 약속하고, 공산주의의 서유럽 진출을 막고자 하였다.[7][8] 같은 해, 외교관 조지 F. 케넌은 ''포린 어페어스'' 잡지에 "X 논문"으로 알려지게 된 기사를 통해 봉쇄 정책을 처음으로 설명하였다.[9] 그는 소련 주변의 "완충지대" 밖 국가들에 대한 공산주의 확산은 민주적 선거를 통해 이루어지더라도 용납할 수 없으며 미국 국가 안보에 대한 위협이라고 주장하였다.[10] 케넌은 트루먼 행정부의 다른 인물들과 함께 1947년에 시작된 마셜 플랜을 만드는 데에도 참여하였는데,[11] 이는 서유럽 국가들(그리스와 터키 포함)[12]에 대한 지원을 제공하여 소련의 지배에 넘어가는 것을 막고자 하는 데 크게 기여하였다.[13]1949년, 마오쩌둥이 이끄는 공산당 지지 정부가 중화인민공화국을 수립하였다.[14] 이 새로운 정부는 인민해방군이 중국 국공내전(1927-1949) 이후 중국 국민당 정부를 패배시킨 후 수립되었다.[15] 이로써 본토의 "공산 중국"(중화인민공화국)과 국민당 중국 대만(중화민국)의 두 개의 중국이 형성되었다. 세계에서 가장 인구가 많은 국가를 공산주의자들이 장악한 것은 서방에서 큰 전략적 손실로 여겨졌으며, 당시 "누가 중국을 잃었는가?"라는 질문을 불러일으켰다.[16] 미국은 이에 대한 대응으로 새로 설립된 중화인민공화국과의 외교 관계를 단절하였다.[15] 미국과 공산주의 중국은 1972년 닉슨 대통령의 방문까지 외교 관계를 재개하지 않았다.[17]
한국 또한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당시 소련의 지배를 일부 받았으며, 미국군이 진주한 남쪽의 38도선을 기준으로 분단되었다. 1948년, 소련과 미국의 냉전의 결과로 한국은 두 지역으로 분단되어 각각 한국의 합법 정부라고 주장하는 별도의 정부가 수립되었고, 어느 쪽도 국경을 영구적인 것으로 받아들이지 않았다. 1950년 공산주의자들과 국민당 사이에 전투가 벌어졌고, 곧 중국(공산주의자 편)과 미국 및 15개 연합국(국민당 편)의 군대가 개입하게 되었다. 한국 전쟁은 공식적으로 종식되지 않았지만, 1953년 휴전 협정으로 북한과 대한민국으로 분단된 채 종결되었다. 마오쩌둥이 한국 전쟁에서 미국과 대결하기로 한 결정은 공산권이 세계에서 가장 강력한 반공 세력으로 간주한 미국에 맞서기 위한 직접적인 시도였으며, 중국 공산 정권이 권력을 다지는 중이던 시기에 이루어졌다.
도미노 이론을 처음으로 제기한 인물은 1940년대에 "그리스와 터키에 대한 군사 원조를 정당화하기 위해" 이 이론을 소개한 해리 S. 트루먼 대통령이었다.[18] 그러나 도미노 이론은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 대통령이 동남아시아, 특히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 중 남베트남에 적용하면서 대중화되었다. 또한 도미노 이론은 1960년대 "케네디와 존슨 행정부가 베트남 전쟁에 대한 미국의 군사 개입 확대를 정당화하는 데 사용되었다."[18]
아이젠하워 대통령은 1954년 4월 7일 기자회견에서 인도차이나의 공산주의를 언급하면서 이 이론을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
> 마지막으로, "떨어지는 도미노" 원칙에 따라 더 폭넓은 고려 사항이 있다. 일련의 도미노를 준비하고 첫 번째 도미노를 넘어뜨리면 마지막 도미노에 무슨 일이 일어날지는 그것이 매우 빨리 끝날 것이라는 확신이다. 따라서 당신은 가장 심오한 영향을 미칠 붕괴의 시작을 가질 수 있다.
1954년 5월, 공산주의 및 민족주의 군대인 베트민은 디엔비엔푸 전투에서 프랑스군을 패배시키고 북베트남이 된 지역을 장악하였다.[19] 이로 인해 프랑스는 프랑스령 인도차이나에서 완전히 철수하였다.[20] 그 지역은 1954년 제네바 회담에서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을 종식시키기 위한 협상과 휴전이 이루어진 후, 네 개의 독립 국가(북베트남, 남베트남, 캄보디아, 라오스)로 분할되었다.[21]
2. 2. 아이젠하워와 도미노 이론의 확산
1954년 4월 7일,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 미국 대통령은 기자회견에서 인도차이나의 공산주의를 언급하며 "떨어지는 도미노" 원칙을 설명했다. 그는 일련의 도미노에서 첫 번째 도미노가 넘어지면 마지막 도미노도 매우 빠르게 넘어질 것이라며, 이는 "가장 심오한 영향을 미칠 붕괴의 시작"을 가져올 수 있다고 말했다.[18]아이젠하워의 도미노 이론에 대한 믿음은 1949년 중국 공산당의 승리, 1950년 6월 북한의 침공, 1954년 퀘모이 해전 등 다각적인 사건들로 인해 더욱 깊어졌다. 이러한 사건들은 "미국이 다자주의를 추구하는 데 드는 비용 인식"을 높였고, 아시아 대륙과 태평양 전체에 광범위한 도전을 가져왔다. 아이젠하워는 이러한 상황이 공산주의 통제에 굴복하려는 강력한 자력을 의미하며, 더글러스 맥아더 장군의 "승리는 동양의 강력한 자석"이라는 논평과 일치한다고 보았다.
1954년 5월, 베트민은 디엔비엔푸 전투에서 프랑스군을 패배시키고 북베트남을 장악했다.[19] 이로 인해 프랑스는 프랑스령 인도차이나에서 완전히 철수했고,[20] 1954년 제네바 회담을 통해 인도차이나는 북베트남, 남베트남, 캄보디아, 라오스의 4개 독립 국가로 분할되었다.[21] 아이젠하워는 이 지역들이 공산화될 경우 일본, 대만, 필리핀,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등 최전선 방어 국가들에게 지리적, 경제적 전략적 이점을 제공하고, 이들 국가들이 공산주의와 정치적으로 타협하도록 유도할 것이라고 우려했다.
아이젠하워의 도미노 이론은 당시 동남아시아의 상황과 조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었으며, 이후 다른 사람들이 그랬던 것처럼 일반화된 도미노 이론을 제시하지는 않았다.
1963년 여름, 남베트남의 불교도들은 지엠 정부의 가혹한 대우에 항의하는 시위를 벌였다.[22] 이는 케네디 행정부가 지엠 대통령을 강력하게 지지하는 것을 어렵게 만들었다. 케네디 대통령은 동남아시아에서 공산주의를 억제하려고 노력하면서도, 국내 시민들에게 인기가 없고 미국 대중이 반대할 만한 행위를 저지른 반공 정부를 지지해야 하는 어려운 입장에 처해 있었다.[22] 케네디 행정부는 남베트남 "도미노"가 무너지는 것을 막기 위해 1960년대 초 베트남에 개입하였으며, 라오스의 공산주의 지지 세력인 파텟 라오가 베트콩에게 기지를 제공하고 결국 라오스를 장악할 수 있다는 우려도 있었다.[23]
2. 3. 케네디와 존슨 행정부의 베트남 개입
1954년 제네바 회담에서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이 종식되고 프랑스령 인도차이나가 해체된 후, 케네디 행정부는 남베트남이 공산주의에 의해 무너지는 것을 막기 위해 1960년대 초 베트남 전쟁에 개입하였다. 존 F. 케네디 대통령은 동남아시아에서 공산주의를 억제하고자 했으나, 한편으로는 국내 시민들에게 인기가 없고 미국 대중이 반대할 만한 행위를 저지른 응오딘지엠 정부를 지지해야 하는 어려운 입장에 처해 있었다.[22]케네디 대통령이 집권했을 당시, 라오스의 공산주의 지지 세력인 파텟 라오가 베트콩에게 기지를 제공하고 결국 라오스를 장악할 수 있다는 우려가 있었다.[23] 1963년 여름, 불교도들은 남베트남의 지엠 정부 하에서 받고 있는 가혹한 대우에 항의하는 시위를 벌였다.[22]
도미노 이론은 1940년대 해리 S. 트루먼 대통령이 그리스와 터키에 대한 군사 원조를 정당화하기 위해 처음 소개했지만,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 대통령이 동남아시아, 특히 남베트남에 적용하면서 대중화되었다. 이 이론은 1960년대 케네디와 린든 B. 존슨 행정부가 베트남 전쟁에 대한 미국의 군사 개입 확대를 정당화하는 데 사용되었다.[18]
3. 도미노 이론에 대한 찬반 논쟁
도미노 이론에 대한 찬반 논쟁은 냉전 시기 미국의 외교 정책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요소이다.
찬성론도미노 이론은 해리 S. 트루먼 대통령이 1940년대 그리스와 터키에 대한 군사 원조를 정당화하기 위해 처음 제기했다.[18] 트루먼 독트린을 통해 공산주의의 확산을 막고자 했던 것이다.[7] 조지 F. 케넌은 봉쇄 정책을 주장하며 소련 주변 국가들에 대한 공산주의 확산을 미국 안보에 대한 위협으로 간주했다.[10] 마셜 플랜 역시 서유럽 국가들을 지원하여 소련의 영향력 확대를 막는 데 기여했다.[13]
1949년 중국이 마오쩌둥의 공산당에 의해 장악되자, 서방 세계는 큰 충격을 받았다.[14] 한국 전쟁 역시 공산주의 세력과 반공 세력 간의 대립으로, 북위 38도선을 기준으로 남북이 분단되는 결과를 낳았다.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 대통령은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 중 남베트남에 도미노 이론을 적용하면서 이를 대중화시켰다.[18] 베트민이 디엔비엔푸 전투에서 프랑스군을 패배시키고 북베트남을 장악하자,[19] 인도차이나 반도는 4개의 독립 국가로 분할되었다.[21] 이는 공산주의 세력에게 유리한 상황을 조성했고, 미국은 동남아시아에서의 공산주의 확산을 막기 위해 더욱 적극적으로 개입하게 되었다.
도미노 이론 지지자들은 1975년 베트남 공산화 이후 남베트남, 라오스, 캄보디아에서 공산 정권이 수립된 것을 증거로 제시한다.[24] 또한, 말레이 비상사태나 후크발라합 반란 등 공산주의 세력의 시도가 실패로 끝난 것은 베트남에 집중된 공산 세력의 역량 때문이라고 주장한다.[25] 월트 휘트먼 로스토우와 리콴유는 미국의 인도차이나 개입이 아세안 국가들의 통합과 경제 성장에 기여했다고 주장했다.[27]
비판론도미노 이론에 대한 비판도 만만치 않다. 1995년, 전 미국 국방장관 로버트 맥나마라는 도미노 이론이 잘못된 판단이었다고 인정했다.[33] 베트남의 상실이 아시아 전체의 공산화를 초래하지 않았다는 것이다.[34] 1964년 CIA 역시 남베트남과 라오스의 붕괴가 극동 지역의 연쇄적인 공산화를 초래하지 않을 것이라고 예측했다.[32]
3. 1. 찬성론
1946년 이란 위기 이후, 해리 S. 트루먼은 1947년 트루먼 독트린을 선언하였다.[7] 그리스 내전 중인 그리스 정부와 2차 세계 대전 이후의 터키에 재정 지원을 약속하며, 이를 통해 공산주의의 서유럽 진출을 막고자 하였다.[8] 같은 해, 외교관 조지 F. 케넌은 ''포린 어페어스'' 잡지에 "X 논문"으로 알려지게 된 기사를 작성하여 봉쇄 정책을 처음으로 설명하였다.[9] 그는 소련 주변의 "완충지대" 밖 국가들에 대한 공산주의 확산은 민주적 선거를 통해 이루어지더라도 용납할 수 없으며 미국 국가 안보에 대한 위협이라고 주장하였다.[10] 케넌은 트루먼 행정부의 다른 인물들과 함께 1947년에 시작된 마셜 플랜을 만드는 데에도 참여하였는데,[11] 이는 서유럽 국가들(그리스와 터키 포함)[12]에 대한 지원을 제공하여 소련의 지배에 넘어가는 것을 막고자 하는 데 크게 기여하였다.[13]1949년, 마오쩌둥이 이끄는 공산당 지지 정부가 중국의 기존 정부를 전복시켰다(공식적으로 마오쩌둥 정권은 중화인민공화국을 수립하였다).[14] 이 새로운 정부는 인민해방군이 중국 국민당 정부를 중국 국공내전(1927-1949) 이후 패배시킨 후 수립되었다.[15] 두 개의 중국이 형성되었다 – 본토의 "공산 중국"(중화인민공화국)과 국민당 중국 대만(중화민국)이다. 세계에서 가장 인구가 많은 국가의 공산주의자들에 의한 장악은 서방에서 큰 전략적 손실로 여겨졌으며, 당시 "누가 중국을 잃었는가?"라는 질문을 불러일으켰다.[16] 미국은 1949년 공산주의자들의 장악에 대한 대응으로 새로 설립된 중화인민공화국과의 외교 관계를 단절하였다.[15] 미국과 공산주의 중국은 1972년 닉슨 대통령의 방문까지 외교 관계를 재개하지 않았다.[17]
한국 또한 2차 세계 대전 종전 당시 소련의 지배를 일부 받았으며, 미국군이 진주한 남쪽의 38도선을 기준으로 분단되었다. 1948년, 소련과 미국의 냉전의 결과로 한국은 두 지역으로 분단되어 각각 한국의 합법 정부라고 주장하는 별도의 정부가 수립되었고, 어느 쪽도 국경을 영구적인 것으로 받아들이지 않았다. 1950년 공산주의자들과 국민당 사이에 전투가 벌어졌고, 곧 중국(공산주의자 편)과 미국 및 15개 연합국(국민당 편)의 군대가 개입하게 되었다. 한국 전쟁은 공식적으로 종식되지 않았지만, 1953년 휴전 협정으로 북한과 대한민국으로 분단된 채 종결되었다. 마오쩌둥이 한국 전쟁에서 미국과 대결하기로 한 결정은 공산권이 세계에서 가장 강력한 반공 세력으로 간주한 미국에 맞서기 위한 직접적인 시도였으며, 중국 공산 정권이 권력을 다지는 중이던 시기에 이루어졌다.
도미노 이론을 처음으로 제기한 인물은 1940년대에 "그리스와 터키에 대한 군사 원조를 정당화하기 위해" 이 이론을 소개한 해리 S. 트루먼 대통령이었다.[18] 그러나 도미노 이론은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 대통령이 동남아시아, 특히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 중 남베트남에 적용하면서 대중화되었다. 또한 도미노 이론은 1960년대 "케네디와 존슨 행정부가 베트남 전쟁에 대한 미국의 군사 개입 확대를 정당화하는 데 사용되었다."[18]
1954년 5월, 베트민은 디엔비엔푸 전투에서 프랑스군을 패배시키고 북베트남을 장악하였다.[19] 이로 인해 프랑스는 프랑스령 인도차이나에서 완전히 철수하였다.[20] 그 지역은 1954년 제네바 회담에서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을 종식시키기 위한 협상과 휴전이 이루어진 후, 네 개의 독립 국가(북베트남, 남베트남, 캄보디아, 라오스)로 분할되었다.[21]
이는 그들에게 지리적, 경제적 전략적 이점을 제공하였고, 일본, 대만, 필리핀, 호주, 뉴질랜드를 최전선 방어 국가로 만들었다. 일본과 같은 국가들의 중요한 지역 무역 지역 내 지역의 손실은 최전선 국가들이 공산주의와 정치적으로 타협하도록 유도할 것이다. 1954년 아이젠하워의 도미노 이론은 당시 동남아시아의 상황과 조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었으며, 그는 이후 다른 사람들이 그랬던 것처럼 일반화된 도미노 이론을 제시하지 않았다.
1963년 여름, 불교도들은 남베트남의 지엠 정부 하에서 받고 있는 가혹한 대우에 항의하는 시위를 벌였다. 남베트남 정부의 이러한 행동은 케네디 행정부의 지엠 대통령에 대한 강력한 지지를 어렵게 만들었다. 케네디 대통령은 동남아시아에서 공산주의를 억제하려고 노력하면서도 한편으로는 국내 시민들에게 인기가 없고 미국 대중이 반대할 만한 행위를 저지른 반공 정부를 지지해야 하는 어려운 입장에 처해 있었다.[22] 케네디 행정부는 남베트남 "도미노"가 무너지는 것을 막기 위해 1960년대 초 베트남에 개입하였다. 케네디가 집권했을 때 라오스의 공산주의 지지 파텟 라오가 베트콩에게 기지를 제공하고 결국 라오스를 장악할 수 있다는 우려가 있었다.[23]
도미노 이론을 뒷받침하는 주요 증거는 1975년 베트남 공산화 이후 동남아시아 세 나라에서 공산주의 지배가 확산된 사례이다. 베트남 공산화는 남베트남(베트콩에 의해), 라오스(파텟 라오에 의해), 캄보디아(크메르 루주에 의해)에서 발생했다.[24] 1950년대 이전 베트남 점령을 완료하기 전까지는 동남아시아에서 공산주의 운동이 성공하지 못했다는 주장도 제기된다. 말레이 비상사태, 필리핀의 후크발라합 반란, 그리고 1950년대 후반부터 1967년 축출될 때까지 수카르노가 이끈 인도네시아 공산당과의 증가하는 연관성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들은 모두 공산 세력이 베트남에 집중되어 있던 시기에 좌절된, 동남아시아 국가들을 장악하려는 실패한 공산주의 시도였다.[25] 로버트 그레인저 톰슨은 미국의 개입이 공산 국가 내부의 사람들을 서방으로 돌아서게 만들었다고 주장했다.[26]
월트 휘트먼 로스토우와 당시 싱가포르 총리 리콴유는 인도차이나에 대한 미국의 개입이 아세안 국가들에게 통합과 경제 성장을 위한 시간을 제공함으로써 더 넓은 도미노 효과를 막았다고 주장했다.[27] 1975년 제럴드 포드 대통령과 헨리 키신저와의 회담에서 리콴유는 "미국 의회에는 일자리를 수출하고 싶어하지 않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공산주의를 막으려면 우리에게 일자리가 있어야 한다. 우리는 단순한 일에서 더 복잡한 숙련 노동으로 옮겨왔다. 이 과정을 중단하면 원조로 절대 복구할 수 없는 것보다 더 큰 피해를 입힐 것이다. 동남아시아로부터의 수입을 줄이지 마라."라고 주장했다.[28]
맥조지 번디는 1950년대와 1960년대 초 도미노 효과의 가능성이 높았지만,[29] 1965년 인도네시아 공산당이 인도네시아 대학살에서 사살대에 의해 파괴됨으로 약화되었다고 주장했다.[29] 그러나 옹호자들은 봉쇄(즉, 도미노 이론) 기간 동안의 노력이 궁극적으로 소련의 붕괴와 냉전의 종식으로 이어졌다고 믿는다.
놈 촘스키는 도미노 이론이 대략 정확하다고 믿는다고 썼는데, 공산주의 및 사회주의 운동이 권력을 장악한 국가들에 경제적 개선을 가져왔기 때문에 가난한 국가들에서 인기를 얻었다고 썼다. 이러한 이유로 그는 미국이 칠레, 베트남, 니카라과, 라오스, 그레나다, 엘살바도르, 과테말라 등에서 소위 "인민 운동"을 억압하는 데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고 썼다. "국가가 약하고 가난할수록 본보기로서 더 위험하다. 그레나다처럼 작고 가난한 나라가 국민의 삶을 더 좋게 만들 수 있다면, 더 많은 자원을 가진 다른 곳에서는 '왜 우리는 안 되는가?'라고 질문할 것이다." 촘스키는 이것을 "좋은 본보기의 위협"이라고 부른다.[30]
도미노 이론의 일부 지지자들은 이웃 국가의 공산 혁명가들에게 공산 정부가 원조를 제공한 역사를 지적한다. 예를 들어 중국은 베트민과 나중에는 북베트남군에 병력과 물자를 공급했고, 소련은 탱크와 중화기를 공급했다. 파텟 라오와 크메르 루주가 모두 원래 베트민의 일부였다는 사실, 그리고 하노이가 베트콩과 함께 두 세력 모두를 지원했다는 사실 또한 이 이론에 신빙성을 더한다.[31] 소련은 또한 특히 1958년 수마트라 내전 중과 그 이후로 인도네시아의 지도하에 있는 민주주의 시대부터 수카르노에게 군사 물자와 고문을 대량으로 제공했다.
3. 2. 비판론
도미노 이론에 대한 비판적인 시각은 다양하게 존재한다.- 1995년, 전 미국 국방장관 로버트 맥나마라는 도미노 이론이 잘못된 판단이었다고 회고했다.[33] 그는 베트남이 공산주의에 그렇게 중요하지 않았으며, 베트남의 상실이 아시아 전체의 공산화를 초래하지 않았다고 언급했다.[34]
- Trần Chung Ngọc 교수는 미국이 베트남에 개입할 타당한 이유가 없었으며, 이는 "정의보다 권력을 우선시하는" 행위였다고 비판했다.[35]
- 1964년 6월, CIA 국장 존 매코네에게 보낸 각서에서 국가추정위원회는 남베트남과 라오스의 붕괴가 극동 지역의 연쇄적인 공산화를 초래할 것이라는 도미노 이론을 일축했다.[32] 캄보디아를 제외하면, 이 지역의 어떤 국가도 쉽게 공산주의에 굴복하지 않을 것이며, 설령 확산이 발생하더라도 시간이 걸릴 것이라고 예상했다.
- 놈 촘스키는 도미노 이론이 가난한 국가에서 공산주의 및 사회주의 운동이 인기를 얻는 이유를 설명하는 데 있어 어느 정도 정확성을 가진다고 보았다. 그는 미국이 여러 국가에서 "인민 운동"을 억압하려 노력한 이유가 바로 "좋은 본보기의 위협" 때문이라고 주장했다.[30] 즉, 작고 가난한 나라가 성공하면 다른 나라들도 "왜 우리는 안 되는가?"라는 질문을 던질 것이기 때문이다.
- 맥조지 번디는 1950년대와 1960년대 초에는 도미노 효과의 가능성이 높았지만, 1965년 인도네시아 대학살에서 인도네시아 공산당이 파괴됨으로 인해 약화되었다고 주장했다.[29]
4. 도미노 이론의 의의와 영향
도미노 이론은 한 국가의 정치 구조 변화가 주변 국가로 도미노처럼 확산된다는 지정학적 이론이다. 1950년대부터 1980년대까지 냉전 시대 미국에서 이 이론은 한 지역의 국가가 공산주의의 영향을 받으면 주변 국가도 그렇게 될 것이라는 의미로 사용되었다. 미국의 역대 행정부는 이 이론을 전 세계에 대한 미국의 개입을 정당화하는 데 사용했다.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 미국 대통령은 1954년 4월 7일 기자회견에서 인도차이나의 공산주의를 언급하며 "떨어지는 도미노" 원칙을 설명했다. 그는 도미노 한 줄을 세워 첫 번째 도미노를 넘어뜨리면 마지막 도미노도 매우 빠르게 넘어지는 것처럼, 한 국가의 공산화가 연쇄적인 붕괴를 가져올 수 있다고 보았다.
아이젠하워의 이러한 믿음은 1949년 중국 공산당의 승리, 1950년 6월 북한의 남침, 1954년 퀘모이 해전 등 다각적인 사건들로 인해 강화되었다. 이러한 사건들은 아시아 대륙과 태평양 전체에 광범위한 도전을 가져왔으며, 공산주의 통제에 대한 강력한 자력을 의미했다. 이는 "승리는 동양의 강력한 자석"이라는 더글라스 맥아더 장군의 논평과도 일치한다.
1945년 소련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동유럽과 중유럽 대부분 국가들을 자신의 영향권 안에 두었다.[5] 1946년 윈스턴 처칠은 풀턴의 웨스트민스터 대학교 연설에서 "철의 장막"이 내려왔다고 선언했다.[6]
1946년 이란 위기 이후, 해리 S. 트루먼은 1947년 트루먼 독트린을 선언하여[7] 그리스와 터키에 재정 지원을 약속하고 공산주의의 서유럽 진출을 막고자 했다.[8] 같은 해, 외교관 조지 케넌은 "X 논문"에서 봉쇄 정책을 처음으로 설명하며,[9] 소련 주변 국가들에 대한 공산주의 확산은 민주적 선거를 통해서라도 용납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10] 케넌은 마셜 플랜을 만드는 데에도 참여하여,[11] 서유럽 국가들에 대한 지원을 통해 소련의 지배를 막는 데 기여했다.[13]
1949년, 마오쩌둥이 이끄는 공산당 정부가 중국의 기존 정부를 전복시키고 중화인민공화국을 수립하였다.[14] 중국 국공내전에서 중국 국민당 정부가 패배한 후,[15] 두 개의 중국 – 본토의 "공산 중국"(중화인민공화국)과 국민당 중국 대만(중화민국)이 형성되었다. 미국은 1949년 공산주의자들의 장악에 대한 대응으로 중화인민공화국과의 외교 관계를 단절하였다.[15]
한국 또한 2차 세계 대전 종전 당시 소련의 지배를 일부 받았으며, 38도선을 기준으로 분단되었다. 1948년, 한국은 두 지역으로 분단되어 각각 별도의 정부가 수립되었고, 1950년 한국 전쟁이 발발했다. 휴전 협정으로 북한과 대한민국으로 분단된 채 종결되었다.
도미노 이론을 처음 제기한 인물은 해리 S. 트루먼 대통령이었지만,[18] 이 이론은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 대통령이 동남아시아, 특히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 중 남베트남에 적용하면서 대중화되었다. 또한 1960년대 케네디와 존슨 행정부가 베트남 전쟁에 대한 미국의 군사 개입 확대를 정당화하는 데 사용되었다.[18]
1954년 5월, 베트민은 디엔비엔푸 전투에서 프랑스군을 패배시키고 북베트남을 장악하였다.[19] 이로 인해 프랑스는 프랑스령 인도차이나에서 완전히 철수하였고,[20] 그 지역은 1954년 제네바 회담에서 네 개의 독립 국가(북베트남, 남베트남, 캄보디아, 라오스)로 분할되었다.[21]
1963년 여름, 불교도들은 남베트남 지엠 정부의 가혹한 대우에 항의하는 시위를 벌였다. 케네디 행정부는 남베트남 "도미노"가 무너지는 것을 막기 위해 1960년대 초 베트남에 개입하였다.
도미노 이론은 여러 국가 간의 동맹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빅터 차(Victor Cha)는 미국과 동아시아 국가 간의 비대칭적 양자 동맹을 미국의 통제력과 동맹국을 동원하거나 안정시키는 능력을 보여주는 전략적 접근 방식으로 묘사한다. 미국은 한국, 중화민국(대만), 일본과 비대칭적 양자 동맹을 맺어 "봉쇄뿐만 아니라 잠재적인 '불량 국가 간 동맹'이 모험적인 행동을 통해 지역 내 더 큰 군사적 충돌로 이어지거나 도미노 효과로 아시아 국가들이 공산주의에 넘어가는 것을 막기 위한 것"이었다.[3]
5. 도미노 이론의 다양한 적용
도미노 이론은 한 국가의 정치 구조 변화가 주변 국가로 도미노처럼 확산된다는 지정학적 이론이다. 이 이론은 냉전 시대 미국에서 널리 퍼졌으며, 한 지역의 국가가 공산주의 영향을 받으면 주변 국가도 그렇게 된다는 주장을 담고 있었다.
도미노 이론은 다양한 국제 관계 현상에 적용되어 설명되어 왔다.
- 동맹의 중요성 강조: 도미노 이론은 불량 국가 간 동맹부터 양자 간 동맹까지 다양한 국가 간 동맹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특히 미국은 동아시아 국가들과 비대칭적 양자 동맹을 맺어 이들 국가를 통제하고 동원하거나 안정시키는 전략을 사용했다.[3] 이는 공산주의 확산을 막고 지역 내 군사적 충돌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이었다.[3]
- 세계적 공산주의 확산: 마이클 린드는 도미노 이론이 지역적으로는 실패했지만, 1970년대에 베냉, 에티오피아, 기니비사우 등 여러 국가에서 공산주의 또는 사회주의 정권이 들어서면서 세계적인 물결이 있었다고 주장했다. 체 게바라는 "두 개, 세 개... 많은 베트남"을 요구하며 전 세계적인 혁명을 촉구하기도 했다.[36] 맥스 부트는 1970년대 후반 미국의 적들이 여러 국가에서 권력을 장악하고, 소련군이 아프가니스탄을 침공하는 등 초강대국의 패배가 적들의 침략 행위를 부추겼다고 주장했다.[37]
- 서유럽 좌익 테러 증가: 1960년대부터 1980년대 사이에 공산 정부의 지원을 받은 서유럽 좌익 테러 단체들의 테러 사건 증가는 도미노 이론을 뒷받침하는 사례로 제시되기도 한다.[38][39][40] 붉은 여단 (이탈리아), 적군파 (서독), 일본 적군파 (일본) 등이 대표적인 사례이다.
- 칠레 아옌데 정권 전복 옹호: 리처드 닉슨은 프로스트/닉슨 인터뷰에서 칠레의 살바도르 아옌데 정권 불안정화를 도미노 이론에 근거하여 옹호했다. 그는 공산주의 칠레와 쿠바가 라틴 아메리카를 가두는 "붉은 샌드위치"를 만들 것이라고 주장했다.[41]
- 아프리카 식민지 해체: 이안 스미스는 아프리카 식민지 해체 동안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에서 좌익 권위주의 정부가 연이어 등장한 것을 "공산주의자들의 도미노 전술"이라고 묘사했다.[42] 탄자니아, 잠비아, 앙골라, 모잠비크, 로디지아 등에서 친공산 정부 또는 마르크스-레닌주의 정부가 수립된 것을 소련 제국주의의 침입으로 간주했다.[43][44]
5. 1. 공산주의 확산 외의 사례
- 이라크 전쟁의 결과로 이라크의 민주화가 일어나 중동 전역으로 움직임이 확산되기를 기대했던 조지 W. 부시 대통령의 정책을 “(민주화의) 도미노 이론”이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다.
- * 참고로, “아랍의 봄”은 원래 찰스 크라우트하머 등에 의해 이라크 전쟁 이후 중동 정세에서 나온 말이었지만,[53][54][55][56] 실제로 그러한 큰 변동이 일어난 것은 오바마 행정부 시대(2010년대)였다. 게다가, 친미파였던 이집트의 무바라크 정권까지 타도되었다.
- 헝가리와 폴란드에서 일어난 “민주화”가 체코슬로바키아와 동독으로 파급되어, 최종적으로 동유럽의 모든 공산당 일당 독재 국가가 무너진 1989년의 동유럽 혁명은 도미노 이론이 반대의 의미로 현실화된 사건으로 간주되어 “동유럽 도미노 현상”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 또한, 다음과 같은 사건들도 “도미노 현상”으로 간주될 수 있다.
# 1848년 혁명을 계기로 한 유럽 각국에서의 연쇄적인 민족주의의 흥기로 인한 빈 체제의 붕괴
# 신해혁명을 시작으로, 제1차 세계 대전 말기부터 종결 직후에 잇따른 혁명으로 인한 군주제 국가의 붕괴
# 제2차 세계 대전 종결 직후에 잇따른 동남아시아의 영국령·프랑스령이었던 식민지의 독립
# 1960년 이후에 잇따른 아프리카의 영국령·프랑스령이었던 식민지의 독립(아프리카의 해)
# 2011년 튀니지에서 일어난 “민주화”가 이집트와 리비아, 바레인 등 아랍 세계로 파급되어 장기 독재 정권의 타도나 약화로 이어진 아랍의 봄
5. 2. 중동 민주화와 역도미노 이론
- 이라크 전쟁의 결과로 이라크의 민주화가 일어나 중동 전역으로 움직임이 확산되기를 기대했던 조지 W. 부시 대통령의 정책을 “(민주화의) 도미노 이론”이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다.
- * 참고로, “아랍의 봄”은 원래 찰스 크라우트하머 등에 의해 이라크 전쟁 이후 중동 정세에서 나온 말이었지만,[53][54][55][56] 실제로 그러한 큰 변동(2010년대)이 일어난 것은 오바마 행정부 시대였다. 게다가, 친미파였던 이집트의 무바라크 정권까지 타도되었다.
- 2011년 튀니지에서 일어난 “민주화”가 이집트와 리비아, 바레인 등 아랍 세계로 파급되어 장기 독재 정권의 타도나 약화로 이어진 아랍의 봄도 “도미노 현상”으로 간주될 수 있다.
5. 3. 러시아의 색깔 혁명 도미노 이론
소련 붕괴 이후 시대의 친민주주의 운동 패턴에 대한 러시아의 분석은 블라디미르 푸틴의 "색깔 혁명 도미노 이론"으로 이어졌으며, 다른 실로비키들에 의해 반복되었고 군사 및 국가 안보 교리에서도 발견된다.[47]러시아의 연이은 군사 개입(예: 2008년 조지아, 2022년 카자흐스탄, 2014년부터 우크라이나)에 대한 일부 견해는 푸틴이 동유럽과 중앙 유럽에 대한 러시아의 영향력을 확장하려는 도미노 이론을 가정한다고 본다.[48]
참조
[1]
논문
The Democratic Domino Theory
2009
[2]
웹사이트
The Quotable Quotes of Dwight D. Eisenhower
http://www.nps.gov/f[...]
National Park Service
2013-12-05
[3]
서적
Powerplay: The Origins of the American Alliance System in Asia
2016
[4]
간행물
Extracts of Memorandum of Conversation by Mr. W. Averell Harriman, Special Assistant to the President, with General MacArthur in Tokyo, August 6 and 8, 1950, Top Secret, August 20, 1950, in FRUS, 1950, Vol. 7: Korea
[5]
웹사이트
STALIN, SOVIET POLICY, AND THE CONSOLIDATION OF A COMMUNIST BLOC IN EASTERN EUROPE, 1944-1953
http://iis-db.stanfo[...]
Stanford University
2010-04-30
[6]
웹사이트
The Iron Curtain: Winston S. Churchill, "The Sinews of Peace," speech, 1946
http://www.winstonch[...]
The International Churchill Society
2017
[7]
서적
A Companion to Harry S. Truman
https://books.google[...]
Wiley
2012
[8]
웹사이트
The Truman Doctrine, 1947
https://history.stat[...]
United States Department of State, Office of the Historian, Bureau of Public Affairs
2013-12-05
[9]
웹사이트
Kennan and Containment, 1947
https://history.stat[...]
United States Department of State, Office of the Historian, Bureau of Public Affairs
2013-12-05
[10]
잡지
The Sources of Soviet Conduct
http://www.foreignaf[...]
1947-07
[11]
서적
George Kennan: A Study of Character
https://books.google[...]
Yale University Press
[12]
논문
Turkey and the Marshall Plan: Strive for Aid
http://dergiler.anka[...]
Ankara University
1997
[13]
웹사이트
The Truman Doctrine and the Marshall Plan
https://history.stat[...]
United States Department of State, Office of the Historian, Bureau of Public Affairs
2013-12-05
[14]
웹사이트
Mao Zedong outlines the new Chinese government
http://www.history.c[...]
History Channel
2013-12-05
[15]
웹사이트
The Chinese Revolution of 1949
https://history.stat[...]
United States Department of State, Office of the Historian, Bureau of Public Affairs
[16]
서적
Rogue Regimes: Terrorism and Proliferation
https://books.google[...]
Macmillan
1999
[17]
웹사이트
How Nixon's 1972 Visit to China Changed the Balance of Cold War Power
https://www.history.[...]
2024-02-22
[18]
웹사이트
Domino theory
https://www.britanni[...]
[19]
웹사이트
Political Science: 11. French Indochina/Vietnam (1941–1954)
http://uca.edu/polit[...]
University of Central Arkansas
[20]
웹사이트
1954 Dien Bien Phu
http://novaonline.nv[...]
Northern Virginia Community College
[21]
웹사이트
1954: Peace deal ends Indo-China war
http://news.bbc.co.u[...]
BBC
1954-07-21
[22]
웹사이트
JFK and Vietnam: The September 1963 TV Interviews
https://www.jfklibra[...]
JFK Library
[23]
기타
Historical Briefings: JFK, the Cold War, and Vietnam
[24]
논문
The Domino Theory and International Politics: The Case of Vietnam
1993
[25]
서적
The Communist collapse in Indonesia
Norton
1969
[26]
서적
Revolutionary war in world strategy, 1945-1969
Taplinger
1970
[27]
서적
From Third World to First: The Singapore Story – 1965-2000
https://archive.org/[...]
Harper Collins
2000
[28]
파일
Ford, Kissinger, Singapore Prime Minister Lee Kuan Yew - May 8, 1975 (Gerald Ford Library)
[:File:Ford, Kissing[...]
[29]
서적
The Killing Season: A History of the Indonesian Massacres, 1965-66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9-10
[30]
웹사이트
The Threat of a Good Example, by Noam Chomsky (Excerpted from What Uncle Sam Really Wants)
https://chomsky.info[...]
[31]
논문
The Domino Theory Revisited: The Southeast Asia Perspective
2001
[32]
웹사이트
209. Memorandum From the Board of National Estimates to the Director of Central Intelligence (McCone)
https://history.stat[...]
United States Department of State
1964-06-09
[33]
웹사이트
Vietnam War - The Domino Theory
https://www.globalse[...]
[34]
웹사이트
The Lessons of Vietnam: Mr. McNamara's View
https://www.csmonito[...]
1995-04-28
[35]
웹사이트
Không thể xuyên tạc Chiến thắng 30-4-1975 - Tạp chí Quốc phòng toàn dân
http://tapchiqptd.vn[...]
[36]
웹사이트
Rough Draft of History: 'All Right, Let's Get the @#!*% Out of Here'
http://www.mindfully[...]
2005-08-11
[37]
웹사이트
Another Vietnam?
https://www.wsj.com/[...]
The Wall Street Journal
2007-08-24
[38]
웹사이트
KGB Active Measures
https://fas.org/irp/[...]
2015-06-27
[39]
웹사이트
Red Army Faction
https://fas.org/irp/[...]
2015-06-27
[40]
웹사이트
Brigate Rosse
https://fas.org/irp/[...]
2015-06-27
[41]
서적
The Last Years of the Monroe Doctrine, 1945-1993
https://books.google[...]
Macmillan
1994
[42]
서적
Bitter Harvest: Zimbabwe and the Aftermath of Its Independence
John Blake Publishing
2008
[43]
서적
2008
[44]
서적
2008
[45]
웹사이트
The War and the Peace
http://www.slate.com[...]
Slate
2003-04-01
[46]
뉴스
The 'democratic domino' theory
http://news.bbc.co.u[...]
BBC News
2003-04-10
[47]
서적
Russia, the West, and the Ukraine Crisis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8-12-07
[48]
웹사이트
The Ukraine Imbroglio
https://regionalsecu[...]
The Institute for Regional Security (Australia)
2023-10-09
[49]
웹사이트
ドミノ‐りろん【ドミノ理論】
https://kotobank.jp/[...]
2019-06-13
[50]
웹사이트
ドミノりろん【ドミノ理論】
https://kotobank.jp/[...]
2019-06-13
[51]
서적
暴力について
みすず書房
2000
[52]
웹사이트
ドミノ理論【ドミノりろん】
https://kotobank.jp/[...]
2019-06-13
[53]
뉴스
【再録】シンポジウム「2012年“アラブの春”とパレスチナの行方」(主催:パレスチナ子どものキャンペーン)
朝日新聞
[54]
뉴스
Three Cheers for the Bush Doctrine.
TIME
2005-03-07
[55]
간행물
An Arab Spring?
Hoover Institution
2005
[56]
뉴스
The Arab spring continues in Lebanon
townhall.com
2005-04-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