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듀얼 게이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듀얼 게이지는 서로 다른 궤간을 가진 열차가 하나의 선로를 공유할 수 있도록 설계된 철도 시스템이다. 이는 주로 케이프 궤간과 표준궤 간의 호환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3선 또는 4선으로 선로를 배치하여 이루어진다. 3선 궤도는 공통 레일의 마모가 심하고 분기기 구조가 복잡해지는 단점이 있지만, 궤간 차이가 크지 않은 경우에 사용된다. 반면 4선 궤도는 3선 궤도로 해결하기 어려운 궤간 차이가 큰 경우에 사용된다. 듀얼 게이지는 선로 측면에서 궤간 차이를 해결하는 방법으로, 대차 교환이나 가변 궤간 대차를 사용하는 대안도 존재한다. 듀얼 게이지는 플랫폼, 가선, 신호 시스템 등 다양한 시설에 영향을 미치며, 건설 및 유지 보수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도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궤간 - 광궤
    광궤는 표준궤보다 넓은 궤간을 가진 철도 시스템으로, 고속 운행이나 대형 차량 운용에 사용되었으나, 표준궤와의 호환성 문제와 높은 비용으로 인해 많은 국가에서 표준궤로 전환되었고, 현재는 일부 국가에서 주요 철도망의 표준으로 사용되며 고속철도에도 활용되지만 표준궤로의 전환 또는 혼합 궤간화 추세가 지속되고 있다.
  • 궤간 - 협궤
    협궤 철도는 표준궤보다 좁은 궤간의 철도로, 급곡선에 유리하고 건설비가 저렴하여 과거 광산, 임업 등에서 널리 사용되었으며 현재도 일부 국가에서 운영된다.
  • 철도 - 삼각지역
    삼각지역은 서울 지하철 4호선과 6호선이 환승하는 지하철역이며, 1985년 4호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하여 2000년 6호선 개통으로 환승역이 되었으며, 역명은 삼각지 고가도로에서 유래하고 "베호 만남의 광장"이 있으며, 국방부, 전쟁기념관 등 주요 국가기관과 시설들이 위치해 있다.
  • 철도 - 효창공원앞역
    **핵심 정보:** * 효창공원앞역은 서울 지하철 6호선과 경의·중앙선의 환승역이다. * 1929년 개통된 후 개명과 폐지 후, 2000년 6호선이 개통되었고, 2016년 경의·중앙선이 개통하여 현재의 환승역이 되었다. * 6호선은 섬식 승강장, 경의·중앙선은 상대식 승강장을 갖추고 있다. **요약:** 효창공원앞역은 서울 지하철 6호선과 경의·중앙선의 환승역으로, 1929년 개통 후 폐지되었다가 2000년 6호선, 2016년 경의·중앙선이 개통하면서 현재의 환승역이 되었으며, 6호선은 섬식, 경의·중앙선은 상대식 승강장을 갖추고 있다.
듀얼 게이지
개요
유형철도 트랙
특징3개 이상의 레일
상세 정보
설명궤간이 다른 철도 차량의 운행을 위해 궤조를 3개 이상 부설한 것.
사용 목적서로 다른 궤간의 열차가 하나의 선로를 공유하도록 함.
필요성표준궤와 협궤 노선 간의 연결
건설 비용 절감
토지 사용 효율성 증대
삼선궤 (三線軌条)
일본어 표기三線軌条 (さんせんきじょう, San-sen-kijō)
영어 표기Dual gauge 또는 Mixed gauge
설명궤간이 다른 철도 차량의 운행을 위해 궤조를 3개 부설한 것
추가 설명복선의 선로에 또 다른 선로를 추가한 것은 아님 (궤조는 6개).
듀얼 게이지 (Dual Gauge)
한국어 표기복궤간 (複軌間)
설명서로 다른 궤간의 열차가 하나의 선로를 공유할 수 있도록 세 개 또는 네 개의 레일을 사용하는 철도 트랙.
장점서로 다른 궤간을 가진 철도 시스템 간의 연결 용이
환적 필요성 감소
단점건설 및 유지 보수 비용 증가
복잡한 선로 전환 시스템 필요
참고
관련 용어제3궤조 방식 (Third rail) - 집전 방식
가드 레일 (철도) (Guard rail)
궤간 (Track gauge)
복선 (Double track)
복복선 (Quadruple track)

2. 개념

표준궤의 열차가 케이프 궤간으로 진입하거나, 케이프 궤간의 열차가 표준궤로 진입하면 큰 탈선사고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서로 다른 궤간의 열차가 한 선로를 이용하려면 선로를 3선 또는 4선으로 배치해야 한다. 3선 궤도는 한 선로의 마모율이 높아 유지비가 더 많이 든다는 단점이 있다. 그러나 스코틀랜드 궤간과 표준궤처럼 궤간 차이가 작을 경우 4선으로 만들기 어려워 3선 궤도를 사용하며, 사용하지 않는 경우도 있다. 예를 들어, 러시아 궤간인 1520mm와 1524mm는 궤간 차이가 매우 작아 탈선 우려가 없으므로 3선이나 4선 궤도를 설치하지 않고, 선로가 약간 벌어지는 형태로 운영된다. 이베리아 궤간, 표준궤, 러시아 궤간이 한 번에 만나는 유럽의 경우처럼 3선이 만나는 경우에는 '트리플 게이지'라 하여 5선, 6선 등의 복잡한 구조로 이어진다.[39]

철도 궤간은 철도의 가장 기본적인 사양으로, 철로와 차륜은 공차 내에서 제작되어 차륜이 레일 사이에서 최적으로 측면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한다. 궤간이 너무 넓거나 좁으면 탈선이 발생할 수 있으며, 특히 곡선에서 정상적인 궤간 확대 범위를 초과할 경우 더욱 그렇다.[1]

궤간이 매우 좁은 범위 내에 있어야 하므로, 설계된 차륜 세트 간 거리가 다른 차륜 세트와 조금이라도 다르면, 트랙은 두 가지 특정 궤간으로 건설되어야 한다. 이는 세 번째 레일을 추가하는 것이 가장 일반적이며, 드물게 다른 레일 쌍을 추가하거나, 세 개의 궤간이 있는 경우에는 네 개의 레일로 구성하기도 한다.

모노레일이나 신교통 시스템을 제외한 철도는 2개의 레일을 조합하고 있으며, 이 2개의 폭(궤간)이 다른 차량은 상호 운행이 불가능하다.[39] 궤간이 다른 차량이 상호 운행할 경우, 차량 측에서 대차를 교체하거나(유럽・중국 - 러시아 간 철도 등), 가변 궤간식 대차를 사용하는 방법(스페인 - 프랑스 간 철도 등)이 있다.[39] 이러한 문제를 선로 측에서 대응하는 것이 3선 궤도(혹은 4선 궤도)이다.[39]

각 궤간의 선로 중심이 어긋나 건축 한계도 그에 맞춰 변하기 때문에, 플랫폼(홈)[40], 가선[41], 신호기, ATS/ATC 위치 보정 지상자 등의 보안 장치 설치 위치에 주의해야 한다. 또한, 분기기(포인트) 구조가 복잡해지고, 강설 지대에서는 병렬하는 궤조 사이에 눈이 쌓이며[42], 레일 마모가 불균형해지고, 레일 취득 및 보수 비용이 상승하는 등의 문제가 있다.

3. 목적

모노레일이나 신교통 시스템을 제외한 일반적인 철도는 2개의 레일로 구성되며, 이 레일 간의 폭(궤간)이 다르면 차량이 함께 운행할 수 없다.[39] 궤간이 다른 차량이 한 선로를 운행해야 할 경우, 차량 측에서 대차를 교환하거나(유럽・중국 - 러시아 간 철도 등), 가변 궤간 대차를 사용하는 방법(스페인 - 프랑스 간 철도 등)이 있다.[39] 선로 측에서 이러한 문제에 대응하는 방식이 삼선궤도(혹은 사선 궤도)이다.[39]

4. 문제점

혼합궤 설치 및 유지보수에는 여러 문제점이 따른다. 우선, 각 궤간의 선로 중심이 어긋나 건축 한계도 그에 맞춰 변하기 때문에, 플랫폼[40], 가선[41], 신호기, ATS/ATC 위치 보정 지상자 등 보안 장치의 지상자 설치 위치에 주의해야 한다.[39] 또한, 분기기의 구조가 복잡해지고, 강설 지대에서는 병렬하는 궤도 사이에 눈이 쌓이며[42], 레일 마모가 불균형해지고, 레일의 취득 및 보수 비용이 상승하는 문제도 발생한다.

5. 3선 궤도

이중 궤도에는 "공통" 레일을 공유하는 3개의 레일 또는 더 좁은 궤간의 레일이 더 넓은 궤간의 레일 사이에 있는 4개의 레일로 구성될 수 있다. 3레일 구성에서는 공통 레일의 마모가 다른 두 개의 외부 레일보다 크다.[4] 3선 궤도는 선로를 3선 또는 4선으로 배치하는 방식으로, 스코틀랜드 궤간표준궤처럼 큰 차이가 나지 않을 때 사용된다. 그러나 3선 궤도는 한 선로의 마모율이 높아 유지비가 더 많이 든다는 단점이 있다.

이중 궤도 선로에서 분기기는 단일 궤도 선로보다 더 복잡하며 열차는 두 궤간 모두에서 안전하게 신호해야 한다. 궤도 회로 및 기계적 연동 장치도 두 궤간에서 모두 작동해야 한다.[4]

3선 궤도는 두 궤간의 선로 중심이 어긋나 건축 한계도 그에 맞춰 변하기 때문에, 플랫폼[40], 가선[41], 신호기, ATS/ATC 위치 보정 지상자 등의 보안 장치 설치 위치에 주의해야 한다. 또한, 분기기 구조가 복잡하고, 강설 지대에서는 궤도 사이에 눈이 쌓이며[42], 레일 마모가 불균형해지고, 레일 보수 비용이 증가하는 등의 문제가 있다.

세 개의 레일로 이중 궤간 선로를 건설하는 것은 두 개의 인접한 레일을 스파이크 또는 레일 클립과 같은 레일 체결 하드웨어에 필요한 공간 이상으로 분리할 수 있을 때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40mm이다. 두 궤간이 그보다 더 가까우면 4개의 레일을 사용해야 한다. 사용되는 레일 체결 장치 및 레일의 무게(무거운 레일은 더 큼)에 따라, 두 궤간 간의 실용적인 차이는 145mm에서 200mm 범위이다.[8]

베이스 플레이트는 2개의 레일 베이스 사이의 최소 간격(약 )을 보여주는 이중 궤도에서 3레일 구성에서 가능한 최소 궤간 차이를 결정합니다.


이중 궤간(1600mm 및 1435mm) 선로 구성.


colspan="2" |
----
----
--



'''3선 궤도가 설치된 구간 (일본)'''


  • 홋카이도 여객철도 홋카이도 신칸센·해협선: 신나카고쿠 신호장 - 키코나이역 (2016년 3월 26일 공용 개시)
  • 홋카이도 신칸센 차량 (정기 여객 열차) = 표준궤
  • 재래선 차량 (화물 열차, 임시 여객 열차) = 협궤 (1067mm 궤간)
  • 오쿠쓰가루이마베쓰역에서는 본선·홈 측 대피선은 표준궤, 역 바깥쪽 대피선은 협궤만 사용한다. 유노사토시리나이 신호장에서는 본선은 표준궤·협궤의 삼선 궤도, 대피선은 협궤만 사용한다.
  • 이 구간은 가선 전압이 25000V이므로 신칸센 차량 외에는 복전압 대응 차량 (JR 화물 EH800형, JR 동일본 E001형)만 자력 주행이 가능하다. 이전(신칸센 개통 전 20000V 전압)의 재래선 전동차, 전기 기관차는 자력 주행이 불가능하다.[44] 따라서 20000V 전압으로 주행하던 재래선 정기 여객 열차는 2016년 3월 21일 운행을 마지막으로 폐지되었다.[45]
  • 동일본 여객철도 오우 본선·아키타 신칸센: 진구지역 - 미네요시가와역 (복선 중 한쪽이 협궤와 병용)[46][47] (2024년 6월 9일 개업)
  • 신칸센 직통 차량 = 표준궤
  • 재래선 차량 = 협궤 (1067mm 궤간)
  • 가선 전압은 20000V로, ATS는 표준궤가 ATS-P, 협궤는 ATS-S을 병설한다.[48]
  • 오다큐 하코네 철도선: 이리우다역 - 하코네유모토역: 이리우다 검차구 입출고 차량 (과거에는 오다와라역 - 하코네유모토역의 영업용이었다)
  • 오다큐 하코네의 차량 = 표준궤
  • 오다큐 전철의 차량 = 협궤 (1067mm 궤간)
  • 이 구간은 가선 전압이 1500V이므로 오다큐 하코네 차량이 복전압차로, ATS는 오다큐 전철 사양 (OM-ATS)로 양사 공통이다.
  • 게이힌 급행 전철 즈시선: 카나자와핫케이역 - 진무지역: 종합 차량 제작소 요코하마 사업소 입출고 차량 (복선 중 한쪽이 협궤와 병용)
  • 게이큐선의 차량 = 표준궤
  • 기타 차량 = 협궤 (1067mm 궤간). 사용 중에는 선로 폐쇄하여 열차 운행을 멈춰야 한다.


'''3선 궤도가 설치된 구간 (스위스)'''

  • 체첸트랄 철도: 크리엔스-마텐호프역 부근 - 레스리마트 신호장
  • 체첸트랄 철도 열차 = 협궤 (1000mm 궤간, 복선)
  • 스위스 연방 철도 직통 화물 열차 = 표준궤 (1435mm 궤간, 복선 중 한쪽만)
  • 이 구간의 양쪽은 삼선 궤도로 되어 있다.

6. 4선 궤도

스코틀랜드 궤간표준궤처럼 궤간 차이가 크지 않아 4선으로 만들기 어려운 경우나, 궤간 차이가 작아 탈선 우려가 적은 경우에는 3선 궤도로 운영하기도 한다. 하지만, 일반적인 경우에는 4선 궤도가 필요하다.

바이에 드 소메 철도의 표준궤와 미터궤의 4레일 배열. 의 궤간 차이는 3레일 구성으로도 수용할 수 있다.


3선 궤도로는 충분하지 않지만, 다음과 같은 이유로 4선 궤도가 설치되기도 한다.

  • 및 (아프리카에서 흔하며, 각각 프랑스/벨기에 및 영국 철도 관행의 유산)
  • 및 (남아메리카에서 흔함)
  • 및 (구 소련 위성국가의 광궤 철도가 유럽 또는 중국의 표준궤와 만나는 곳에서 흔함).


이러한 경우에는 4선 궤도가 필요하다.

3개의 레일로도 충분하지만, 다른 엔지니어링 또는 운영상의 요인으로 인해 4개의 레일이 설치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표준궤와 미터궤를 결합한 바이에 드 소메 철도는 435mm 차이는 3개의 레일의 매개변수 내에 있다.

4개의 레일은 터널이나 기타 좁은 장소에서 두 트랙의 레일 차량의 중심선이 트랙의 중심선과 밀접하게 일치해야 하는 경우에 필요하다. 이러한 구성은 공간이 확보되는 즉시 표준 평행선으로 되돌아갈 때 "가운트렛 트랙(gauntlet track)"이라고 한다.[9][1]

4개의 레일은 이중 궤간 철도 회전목의 중앙 축 양쪽에 동일하게 배치되어야 한다(그리고 삼중 궤간 회전목에는 6개의 레일). 회전목이 어느 방향을 향하고 있든 관계없이 회전목으로 이어지는 고정 레일의 구성과 일치하도록 한다.

일본에서는 도카치 철도 오비히로선(신오비히로역 - 공장 앞 역)이 유일한 4선 궤도였다. 국철 직통 화차는 삼륙 궤간일본어인 1067mm 궤간을 사용했고, 도카치 철도 내 열차는 이륙 궤간일본어인 762mm 궤간을 사용했다. 원래는 국철 오비히로역에서 제당 공장까지의 삼륙 궤간일본어 전용선이었으나, 1924년 지방 철도화에 따라 이륙 궤간일본어 노선이 여객 영업을 담당하게 되면서 4선 궤도가 병설되었다. 1959년 11월 15일 이륙 궤간일본어 노선이 폐지되면서 4선 궤도도 사라졌다.

7. 5선 및 6선 궤도 (트리플 게이지)

스코틀랜드 궤간표준궤처럼 궤간 차이가 크지 않은 경우에는 4선 대신 3선으로 운영하기도 하지만, 일반적으로 선로를 3선 또는 4선으로 배치하여 서로 다른 궤간의 열차가 동일 선로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3선 배치는 한 선로의 마모율이 높아 유지비가 더 많이 드는 단점이 있다. 러시아 궤간(1520mm, 1524mm)과 같이 궤간 차이가 매우 작으면 탈선 우려가 없어 3선이나 4선 궤도를 설치하지 않고 선로 간격을 약간 넓히는 방식을 사용한다.[10]

세 가지 궤간이 만나는 경우(예: 유럽에서 이베리아 궤간, 표준궤, 러시아 궤간이 만나는 경우)에는 5선 또는 6선으로 구성된 복잡한 구조의 트리플 게이지(삼중 궤간)가 필요하다.

오스트레일리아 글래드스톤 및 피터버러의 삼중 궤간 횡단면. 4선 복선 궤간과 달리 바깥쪽 레일과 안쪽 레일 사이 간격이 각각 다르다.


공간 부족 등의 이유로 세 가지 궤간의 열차가 한 철도 야드에 모여야 하는 경우, 운영상의 필요에 따라 삼중 궤간 선로가 설치되기도 한다. 그러나 삼중 궤간 선로와 신호 시스템은 건설 및 운영에 많은 비용과 혼란을 야기하므로 다른 대안이 없을 때만 시행된다.[10]

다음은 삼중 궤간이 필요한 지역을 나타낸 표이다.

장소가장 좁은 궤간중간 궤간가장 넓은 궤간비고
볼로스, 그리스rowspan="4" |rowspan="5" |궤간은 1970년대에 폐쇄, 궤간은 1998년에 폐쇄
옌바흐, 오스트리아현재 사용 중
몽트뢰, 스위스rowspan="2" |
카폴라고, 스위스미터 궤간 노선은 1950년에 폐쇄
벡셰, 스웨덴1974년 또는 그 이후까지[11]
라투르드카롤, 프랑스rowspan="3" |rowspan="6" |rowspan="3" |1928년부터 세 개의 궤간; 2024년에도 사용 중.


철도 차량 제조업체는 여러 국가에 수출하기 위해 공장에 3개 이상의 선로를 설치하기도 한다. 베이어, 피콕 앤 컴퍼니의 고턴 주조 공장이 그 예시이다.

베이어, 피콕 앤 컴퍼니의 고턴 주조 공장.

8. 대한민국의 혼합궤

과거 대한민국 수원역에는 수인선수려선 승강장, 그리고 수원역 인근 철로에 3선궤가 설치되어 있었다.[1] 과거 삼지연선을 혜산역까지 운행하기 위해 혜산역-위연역 구간이 혼합궤였다.[2] 그러나 삼지연선은 표준궤로 개궤되었다.[2] 보천선은 개궤되지 않았는데, 삼지연선과 보천선 사이에 혼합궤 구간이 있는지는 불명이다.[2]

9. 그 외 국가의 혼합궤


  • 대한민국에서는 과거 수원역수인선수려선 승강장과 수원역 인근 철로에 3선궤가 설치되어 있었다.
  • 과거 삼지연선을 혜산역까지 운행하기 위해 혜산역-위연역 구간이 혼합궤였다. 그러나 삼지연선은 표준궤로 개궤되었다. 보천선은 개궤되지 않았는데, 삼지연선과 보천선 사이에 혼합궤 구간이 있는지는 불명이다.
  • 스페인, 포르투갈에서는 이베리아 궤간과 표준궤가 교차한다.
  • 일본에서는 국유 철도와 JR 신칸센이 만나는 케이프 궤간표준궤가 교차한다.
  • 시베리아 철도에서는 러시아 궤간표준궤가 교차한다.
  • 오스트레일리아 빅토리아주에는 서던 크로스역과 웨스트 풋스크레이역, 멜버른 선샤인역과 멜버른 뉴포트역, 멜버른 앨비언역과 자카나역, 노스 질롱역과 게링합, 메리버러와 던놀리역 사이에 1600mm와 1435mm 이중 궤간 철로 구간이 있으며, 다양한 화물 야드와 산업 측선에도 있다. 2008년까지 워동가역과 반디아나역 사이에 이중 궤간 선이 있었다. 뉴사우스웨일스주 앨버리역에는 1600mm와 1435mm 이중 궤간 선이 2011년까지 있었다. 1988년까지 토쿰월역 내에 이중 궤간 선이 있었으나, 표준 궤간 구성 요소는 사용 중지되었다. 서호주에서는 1067mm와 1435mm의 복선 이중 궤간이 이스트 퍼스역에서 노탐까지 주요 노선 120km 구간에 걸쳐 있다. 이중 궤간 철로는 또한 우드브리지에서 코크번 정션까지, 그리고 한쪽 지선에서는 키위나로, 다른 한쪽 지선에서는 노스 프리맨틀로 이어진다. 퀸즐랜드주에서는 여객 열차와 화물 열차가 모두 이용하는 아카시아 리지와 파크 로드역의 철도 화물 야드 사이에 1067mm와 1435mm 이중 궤간 철로 구간이 있다.
  • 방글라데시 철도는 광궤와 미터 궤간 노선 사이의 궤간 분리를 피하기 위해 삼중 레일을 사용한다. 동서 및 남북 철도 시스템을 각각 연결하는 자무나 다리와 파드마 다리에는 4개 레일 이중 궤간 철로가 있다.
  • 브뤼셀 트램 노선은 한때 1000mm 노선과 1435mm 노선을 삼중 레일 레이아웃으로 결합했었다. 1991년에 도시 간 트램이 운행을 중단했고, 그 후 네트워크는 표준 궤간 철로만 사용했다.
  • 소피아 트램은 협궤와 표준 궤간을 혼합하여 사용한다. 크라스나 폴랴나 차고와 피로츠카 거리 사이의 2.6km 구간은 1435mm 22번 노선과 1009mm 11번 노선이 공유하는 이중 궤간이다.
  • 체코에는 인드르지후프 흐라데츠 근처에 2 km의 이중 궤간 1435mm 및 760mm 철로가 있다. 1985년에는 원래의 4개 레일이 3개 레일로 개조되었다.
  • 프랑스의 솜 만 철도는 누아엘-쉬르-메르와 생-발레리-쉬르-솜 사이에 이중 궤간이다. 이 노선은 표준 궤간 내에 미터 궤간이 놓인 4개의 레일을 가지고 있다.
  • 1970년대에 슈투트가르터 슈트라센반 트램 노선은 1000mm 궤간에서 표준 궤간으로 궤간 변환을 거쳤다. 1981년에는 1435mm와 1000mm 이중 궤간 철로가 건설되었다. 2008년에는 추가 궤간 변환이 완료되었다. 크레펠트의 오스트발에는 트램 노선이 이중 궤간이므로 표준 1435mm 라인반 U76 슈타트반 차량과 1000mm 궤간 트램이 노선을 공유할 수 있다. 뮐하임에도 비슷한 상황이 있다. 뒤스부르크 트램 901번 노선이 현지 노선 102번과 만난다.
  • 가나는 협궤를 표준 궤간으로 개조하고 있으며, 중간 단계로 이중 궤간 침목을 설치하고 있다.
  • 그리스에서 아테네와 엘레프시스 사이의 노선(현재 폐쇄됨)은 이중 궤간이었다.
  • 1899년 네덜란드령 동인도에 족자카르타와 솔로 사이에 이중 궤간 철로가 설치되었다. 철로는 1435mm 궤간 노선을 건설한 사기업인 네덜란드령 동인도 철도 회사가 소유했다. 제3 레일은 1067mm 궤간의 ''Staatsspoorweg''(국가 철도)를 통해 이동하는 승객과 화물이 직접 연결될 수 있도록 설치되었다.
  • 아일랜드의 얼스터 철도는 1880mm에서 새로운 아일랜드 표준인 1600mm로 궤간 변환을 거쳤다.
  • 이탈리아의 포텐차 - 아빌리아노 루카니아 노선은 1435mm와 950mm 철로가 있는 이중 궤간 철도이다.
  • 일본의 국가 표준은 1067mm 협궤이다. 이중 궤간은 1435mm 신칸센 (고속 열차) 노선이 주요 네트워크에 합류하는 곳에 사용된다. 예를 들어, 오우 본선의 일부는 아키타 신칸센의 일부가 되어 제한된 구간에서 이중 궤간으로 개조되었다. 일본에서 가장 긴 (82.1km) 이중 궤간 구간은 세이칸 터널 근처에 있으며, 터널 내에 있다. 하코네 등산 철도의 구간은 다른 여러 이중 궤간 노선 중 하나이다.
  • 멕시코는 이전에 1435mm 및 914mm 이중 궤간 철로를 가지고 있었다.
  • 폴란드에는 비엘코폴스카주에 3km의 1435mm와 750mm 이중 궤간 철로가 있다.
  • 2008년부터 2012년까지 하산, 러시아와 라진, 북한 사이의 2km 이중 궤간 국경 횡단 철로가 재건되었으며, 궤간은 러시아 1520mm 및 한국 1435mm.[33] 칼리닌그라드로 접근하는 곳에도 유사한 배치가 있으며, 1435mm 철로가 폴란드 국경에서 뻗어 있으며 이중 궤간 구간이 있다.
  • 스페인에는 사라고사에서 우에스카까지의 AVE 노선에 21.7km의 이중 궤간이 있다.
  • 스웨덴핀란드 국경의 다리, 하파란다토르니오 사이에는 2km의 이중 궤간, 1435mm 및 1524mm 철로가 있다. 4개의 레일은 궤간이 가깝고 교량 구조가 각 궤간의 중심선에서 오프셋을 허용할 수 있도록 일반적인 궤간보다 넓기 때문에 사용된다. 베스테르비크와 제니 사이에는 891mm와 1435mm 이중 궤간 노선과 베스테르비크 역 구역에 이중 궤간 철로가 있다.
  • 스위스에는 루체른호르브 사이의 체트랄반, 니더비프와 오버비프 사이의 오베라르고-유라 철도 및 쿠어도마트/엠스 사이의 RhB에 이중 궤간 1435mm 철로와 1000mm 철로가 있다.
  • 영국의 그레이트 웨스턴 철도는 원래 2134 mm 광궤로 건설되었으며, 이후 2140 mm로 확장되었다. "궤간 전쟁" 후, 궤간은 1435mm로 변환되었다.
  • 로스앤젤레스에서는 1067mm 로스앤젤레스 철도와 1435mm 태평양 전기 철도가 일부 시내 거리에서 이중 궤간 철로를 운행했다. 1880년부터 1902년까지 벌링턴, 시더 래피즈 & 노던 철도 (표준 궤간)와 벌링턴 & 노스웨스턴 철도 (협궤)는 북쪽으로 23km 떨어진 아이오와주 벌링턴에서 메디아폴리스까지 이중 궤간 간선 노선을 공유했다. 샌프란시스코의 주 벨트 철도의 초기 운영 연도에는 당시 지역 철도를 수용하기 위해 이중 궤간 철로가 있었다. 1941년까지 콜로라도 & 서던 철도는 표준 궤간과 협궤 철로를 모두 사용했으며, 덴버와 골든 사이에 이중 궤간 노선이 있었다.
  • 베트남에서는 중국 국경 근처에 하노이동당 사이에 1000mm 및 1435mm 이중 궤간 철로가 있다.

10. 대안



이중 궤도는 "공통" 레일을 공유하는 3개의 레일 또는 더 좁은 궤간의 레일이 더 넓은 궤간의 레일 사이에 있는 4개의 레일로 구성될 수 있다. 3레일 구성에서는 공통 레일의 마모가 다른 두 개의 외부 레일보다 크다. 이중 궤도 선로에서 분기기는 단일 궤도 선로보다 더 복잡하며 열차는 두 궤간 모두에서 안전하게 신호해야 한다. 궤도 회로 및 기계적 연동 장치도 두 궤간에서 모두 작동해야 한다.[4]

다중 궤도 선로는 철도 차량 또는 차량 내용물을 한 궤간에서 다른 궤간으로 이전하는 궤간 변경 역과 매우 자주 연관된다. 궤간 변경은 특히 단선 선로에서 지연을 유발하고 혼잡을 증가시킨다. 하나의 열차가 일반적으로 수행할 작업을 수행하려면 두 대의 열차가 필요하다. 교통량이 주로 한 방향으로 통과할 때, 국경으로 가져온 가득 찬 화차는 비어 있는 채로 반환되어야 하며, 빈 화차 열차는 반대편에서 화물을 가져오기 위해 궤간 변경 지점으로 가져와야 한다. 혼잡은 또한 하역 및 재하역으로 인해 발생한다.[5][6] 기관차와 차량의 용량에 두 궤간 사이에 불일치가 있는 경우 문제가 악화된다. 일반적으로 하나의 광궤 열차는 3개의 협궤 열차가 운송해야 한다.[7]

일부 지역에서는 두 궤간의 치수가 너무 가까워서 3레일 구성을 허용할 수 없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 및 (아프리카에서 흔하며, 각각 프랑스/벨기에 및 영국 철도 관행의 유산)
  • 및 (남아메리카에서 흔함)
  • 및 (구 소련 위성국가의 광궤 철도가 유럽 또는 중국의 표준궤와 만나는 곳에서 흔함)


이러한 경우 이중 궤간을 제공하기 위해 4개의 레일이 필요하다.

3개의 레일로도 충분하지만, 다른 엔지니어링 또는 운영상의 요인으로 인해 4개의 레일이 설치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표준궤와 미터궤를 결합한 바이에 드 소메 철도(Chemin de Fer de la Baie de Somme)가 있으며, 435mm 차이는 3개의 레일의 매개변수 내에 있다.

4개의 레일은 터널이나 기타 좁은 장소에서 두 트랙의 레일 차량의 중심선이 트랙의 중심선과 밀접하게 일치해야 하는 경우에 필요하다. 이러한 구성은 공간이 확보되는 즉시 표준 평행선으로 되돌아갈 때 "가운트렛 트랙(gauntlet track)"(US: "gantlet track")이라고 한다.[9][1]

4개의 레일은 이중 궤간 철도 회전목(Railway turntable)의 중앙 축 양쪽에 동일하게 배치되어야 한다(그리고 삼중 궤간 회전목에는 6개의 레일). 회전목이 어느 방향을 향하고 있든 관계없이 회전목으로 이어지는 고정 레일의 구성과 일치하도록 한다.

롤복과 수송차 비교


표준화된 컨테이너는 철도, 도로 및 해상 화물 운송에 혁신을 가져왔다. 기계화로 취급 속도가 빨라졌지만, 서로 다른 궤간 때문에 컨테이너를 한 열차에서 다른 열차로 옮기는 것은 비용이 많이 들고 비효율적이다.


서로 다른 궤간 사이의 화물 및 여객 운송은 반드시 듀얼 게이지 선로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단순히 겹치지 않고 플랫폼의 양쪽에 접근하는 두 개의 선로가 있을 수 있다. 호주에서는 1945년까지 오랜 주간 경쟁의 결과로 13개의 궤간 변환역이 존재했다. 1850년대부터 3개의 서로 다른 궤간이 유지되었으며, 5개의 본토 주 수도는 1995년까지 표준 궤간으로 연결되지 않았다.[17] 수동으로, 갠트리 크레인으로, 또는 차륜 또는 대차 교환으로 궤간 변환역에서 화물을 환적하는 것은 엄청난 비용과 오랜 지연을 초래했다.[6]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호주의 궤간 변환은 추가 기관차와 철도 차량이 필요했고, 연간 평균 1800000ton의 화물을 이송하기 위해 이송 지점에 1600명 이상의 서비스 인력과 많은 수의 민간인이 필요했기 때문에 전쟁 노력에 막대한 어려움을 더했다.[18]

승객의 경우, 비용과 비효율성에 상당한 불편함이 더해졌다. 1896년, 앨버리 역에서 시드니-멜버른 철도 이용시, 미국의 유명 작가 마크 트웨인(사무엘 클레멘스)는 "매서운 추위" 속에서 열차를 갈아타야 했고, "그 아이디어를 낳은 지성의 마비"에 대한 통렬한 견해를 형성했다.[19]

일부 지역에서는 긴 듀얼 게이지 선로를 건설하는 대신 철도 차량의 바퀴를 변경하는 방법이 사용되었다. 즉, 4륜 차량에서 차륜을 내리고 교체하거나 8륜 차량 아래에서 대차(미국: 트럭)를 교환하는 것이다. 이 방식을 사용하면 시설 내에서 짧은 길이의 듀얼 게이지 선로만 필요하다. 장점은 완전히 적재된 차량의 내용물이 방해받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 방식은 프랑스-스페인 국경과 폴란드에서 처음 채택되었다. 듀얼 게이지 운행과 비교하여 운송 시간에 지연을 발생시키지만, 환적보다 훨씬 빠르다. 1962년 호주 멜버른에서 시드니와 애들레이드 사이의 노선에 도입되었을 때, 열차당 화물 처리 시간이 5일에서 2일 미만으로 줄었다. 이 과정에는 철도 제동을 분리하고 대차 센터 핀을 분리한 후 차량을 들어올리고 새로운 대차를 밑에 끼워야 한다.[20]

유럽에서는 유사한 원리가 저상형의 작은 바퀴가 달린 수송차에 구현되어 있으며, 서로 다른 궤간의 선로에서 한 궤간에 맞게 제작된 차량을 운반한다. 변형으로는 롤복 (독일어 Rollböcke)이 있으며, 2축 표준 궤간 차량에 사용된다. 각 차륜 세트는 작은 4륜 협궤 트롤리에 실린다.[22] 전체 열차는 천천히 걸어가는 속도로 몇 분 만에 변환되며, 각 롤복은 자동으로 아래에서 해당 차륜 세트와 일치한다.

또 다른 변형은 "열차 위 열차"로, 전체 협궤 열차가 표준 궤간 평판 화차에 실려 운반되며, 연속된 레일이 장착되어 있다.[24][25][26]

궤간의 차이는 또한 가변 궤간에 의해 수용되며, 2022년 현재 스페인과 프랑스, 스웨덴과 핀란드, 폴란드와 리투아니아, 폴란드와 우크라이나 간 국제 연결에서 일부 여객 차량에 설치되었다. 스페인에서는 1668mm 궤간이 우세하고, 고속선은 표준 궤간으로 놓여 있지만, 더 좁은 궤간(1000mm 등)을 가진 선로가 많이 있기 때문에 변환 시설이 광범위하다.[27]

참조

[1] 서적 Railway track and track work https://archive.org/[...] The Engineering News Publishing Co. 2022-11-08
[2] 서적 Track Maintenance Guide Australian National Railways Commission 1988
[3] 웹사이트 50kg dual gauge turnouts and gauge separations – construction and maintenance manual https://extranet.art[...] 2022-11-07
[4] 서적 Farewell narrow gauge Australian Railway Historical Society (SA Division Inc.) 1969
[5] 서적 The state railway muddle in Australia https://archive.org/[...] John Murray 2022-11-28
[6] 서적 The long haul: Australian National 1978–1988 Australian National Railways Commission 1991
[7] 간행물 The railways and Terowie – their early history and change of pattern over nearly a century 1971-02
[8] 서적 Track Maintenance Guide Australian National Railways Commission 1988
[9] 웹사이트 Gantlet vs. gauntlet https://www.trains.c[...] Kalmbach Media 2023-09-01
[10] 서적 Making tracks: 46 years in Australian railways Kangaroo Press 1989
[11] 웹사이트 Triple gauge at Växjö, ''click on Treskensspår at the left'' http://www.vmjs.se/
[12] 간행물 Farewell to Ellen Street 1968-09
[13] 웹사이트 South Australia's mixed gauge muddle http://natrailmuseum[...] 2022-11-08
[14] 간행물 NRM report National Railway Museum 2022-01
[15] 웹사이트 About Steamtown https://www.steamtow[...] Steamtown Heritage Rail Centre 2022-11-05
[16] 뉴스 The railway gauges https://trove.nla.go[...] National Library of Australia – Trove digital newspaper archive 2022-10-31
[17] 서적 Australian Railwayman: from cadet engineer to railways commissioner Rosenberg Publishing Pty Ltd 2006
[18] 서적 Back on track: re-thinking transport policy in Australia and New Zealand University of New South Wales Press 2001
[19] 웹사이트 Following the Equator http://www.online-li[...] 2020-05-27
[20] 간행물 Bogie changing extends the benefits of standard-gauge 1962-10
[21] 서적 The Railways of Victoria 1854–2004 Melbourne University Publishing Ltd
[22] AV media Harzquerbahn 2015 – Güterverkehr zwischen Unterberg und Nordhausen https://www.youtube.[...] Schmalspurbahn-Fans 2022-11-03
[23] 웹사이트 Ramsey's car truck shifting apparatus https://www.midconti[...] 2022-11-03
[24] 서적 Uniform railway gauge Lothian Publishing
[25] 서적 Tales from a Railway Odyssey
[26] 간행물 The "pick-a-back" train 1955-12
[27] 서적 Automatic track gauge changeover for trains in Spain https://www.vialibre[...] Fundación de los Ferrocarriles Españoles 2010
[28] 뉴스 Personal. http://nla.gov.au/nl[...] National Library of Australia 2012-09-01
[29] 뉴스 Great Western Railway. http://nla.gov.au/nl[...] National Library of Australia 2011-08-27
[30] 뉴스 Unification of gauges. http://nla.gov.au/nl[...] National Library of Australia 2014-03-10
[31] 문서 Civil track engineering http://extranet.artc[...]
[32] 웹사이트 Arend onder Stoom – Het Spoorwegmuseum https://www.spoorweg[...]
[33] 뉴스 Russian Railways : Demonstration train makes run between Rajin and Khasan http://eng.rzd.ru/ne[...]
[34] 뉴스 World infrastructure market March 2009 http://www.railwayga[...] 2009-03-14
[35] 간행물 Swiss introduce gauge-changing train on Montreaux Interlaken route Kalmbach Media 2023-04
[36] 웹사이트 The length of Vietnam railway network http://www.vr.com.vn[...] 2006-09-10
[37] 뉴스 Diagram of mixed gauge turnouts http://nla.gov.au/nl[...] National Library of Australia 1916-06-17
[38] 웹사이트 鉄道事故調査報告書 東日本旅客鉄道株式会社 奥羽線 神宮寺駅〜刈和野駅間 列車脱線事故 https://www.mlit.go.[...] 2014-04-25
[39] 서적 配線略図で広がる鉄の世界 路線を読み解く&作る本 秀和システム 2009
[40] 문서 例:箱根板橋駅は登山線車と小田急車で別ホームだった。
[41] 문서 北海道新幹線・海峡線([[青函トンネル]]区間)はそれぞれの中心から92 mm偏倚している。
[42] 문서 青函トンネル区間は分岐器付近にスノーシェッドを設置している。
[43] 서적 西日本鉄道百年史 西日本鉄道 2008
[44] 문서 [[데드섹션|이전압 섹션]]의 관계상, 신나카고니 신호장 재래선([[쓰가루 선]])과 키코나이 역 재래선([[도난 이사리비 철도]] [[도난 이사리비 철도선]])구내도 재래선용 전차・전기 기관차의 자주는 불가능.
[45] 뉴스 【三線軌条】貨物と共用、初採用 http://dd.hokkaido-n[...] 2014-06-25
[46] 웹사이트 鉄道事故調査報告書 東日本旅客鉄道株式会社 奥羽線 神宮寺駅〜刈和野駅間 列車脱線事故 https://www.mlit.go.[...] 2014-04-25
[47] 뉴스 【三線軌条・2】共用レール、管理に神経 http://dd.hokkaido-n[...] 2014-07-15
[48] 간행물 サステナビリティレポート2018 https://www.jreast.c[...] JR東日本 2018-09
[49] 문서 新幹線等の函館駅乗り入れに関する調査業務 調査報告書【概要版】 函館市 2024
[50] 웹사이트 坪井線の3線軌道 http://tram.2-d.jp/k[...]
[51] 서적 地下鉄物語 日本交通公社 1977
[52] 간행물 京成改軌の際に使用された4線軌道について 1997
[53] 웹사이트 ロシア外交官と家族、手押しトロッコで北朝鮮を出る https://www.bbc.com/[...] BBC 2021-02-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