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지정학의 기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지정학의 기초》는 알렉산드르 두긴이 저술한 책으로, 미국과 대서양주의의 영향력 감소를 예상하고 러시아의 유라시아 내 영향력 확대를 주장한다. 이 책은 체제 전복, 사회 불안 조성, 정보 조작 등을 통해 러시아의 영향력을 강화하고, 유럽의 핀란드화를 추진하며, 중국을 해체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또한, 이란을 핵심 동맹국으로, 아르메니아를 전략적 기지로 활용하고, 미국 내 분리주의를 조장하여 미국의 불안정을 유도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 책은 러시아 교육 기관에서 교과서로 채택되었으며, 블라디미르 푸틴의 외교 정책에 영향을 미쳤다는 평가를 받는다. 그러나 신파시즘적 사상, 나치즘의 영향, 오컬트적 요소 등으로 비판받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러시아의 군사 교육 및 훈련 - 보스토크 2018
    2018년 러시아에서 실시된 보스토크 2018은 러시아, 중국, 몽골, 터키 등이 참여한 대규모 군사 훈련으로, 러시아 국방장관은 1981년 자파드-81 훈련 이후 최대 규모라고 발표하며 러시아의 군사적 역량 과시 및 서방 견제 의지를 드러냈다.
  • 러시아의 파시즘 - 러시아 파시스트당
    1931년 만주에서 콘스탄틴 로자예프스키가 설립한 러시아 파시스트당은 이탈리아 파시즘을 모방하고 반유대주의와 극단적 러시아 민족주의를 이념으로 삼아 반소련 활동을 펼쳤으나, 소련군의 만주 침공 후 해체되어 현대 러시아 극우 민족주의에 영향을 미쳤다.
  • 러시아의 파시즘 - 라시즘
    라시즘은 러시아와 파시즘의 합성어로 러시아의 침략적 행태와 이데올로기를 비판하는 용어이며, 반우크라이나 정서 및 러시아 신제국주의 이념과 결합한 것으로 평가받는다.
지정학의 기초 - [서적]에 관한 문서
서지 정보
제목지정학의 기초: 러시아의 지정학적 미래
원제Основи геополітики: Геополітичне майбутнє Росії (Osnóvy geopolítiki: Geopolitícheskoye búdushcheye Rossíi)
저자알렉산드르 두긴
언어러시아어
국가러시아
출판사Arktogeja
ISBN978-5-8592-8019-3
발표일1997년
FoundationsGeopolitics.jpg
러시아 발매본 표지

2. 내용

《지정학의 기초》는 "러시아인의 세계 지배를 위한 전투"가 끝나지 않았으며, 러시아가 "새로운 반부르주아, 반미 혁명의 무대"로 남아 있다고 주장한다.[34][35] 유라시아 제국은 "공동의 근본적인 원칙, 즉 대서양주의와 미국의 전략적 통제 거부, 그리고 자유주의적 가치가 우리를 지배하도록 허용하지 않는 것"에 따라 건설될 것이라고 제시한다.[34][35]

이 책은 군사 작전보다는 러시아 특수부대가 주도하는 체제 전복, 사회 불안 및 역정보 전략을 옹호한다.[36] 러시아의 가스, 석유 및 천연 자원을 적극 활용하여 다른 국가를 압박해야 한다고 주장하며, 유럽 전체를 '핀란드화'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29]

두긴은 "반대서양주의 전략의 기초"에 있는 "대륙 러시아-이슬람 동맹"을 강조하며, 이란을 핵심 동맹국으로 보았다. "모스크바-테헤란 동맹"이라는 용어를 사용한다.[39] 중국에 대해서는 러시아에 위협이 되므로 최대한 해체해야 한다고 주장하며, 일본에 대해서는 쿠릴 열도를 제공하고 반미주의를 조장하여 정치를 조작해야 한다고 주장한다.[29]

《지정학의 기초》는 러시아가 반미주의를 퍼뜨려야 한다고 주장하며, "주된 '희생양'은 바로 미국이 될 것이다."라고 언급한다. 러시아는 미국의 불안정과 분열을 조장하기 위해 특수부대를 미국 국경 내에 파견하고, 모든 종류의 분리주의와 인종, 사회 및 인종 갈등을 조장하며, 극단주의 등 모든 반체제 운동을 적극적으로 지원하여 미국 내부 정치 과정을 불안정하게 만들어야 한다.[42] 동시에 미국 정치에서 고립주의 경향을 지지해야 한다.[42]

2. 1. 유럽

《지정학의 기초》에서 두긴유럽 대륙에서 러시아의 영향력을 확대하기 위한 구체적인 전략을 제시한다. 그는 미국대서양주의유라시아에서 영향력을 잃을 것이라고 예상하며, 러시아가 합병과 동맹을 통해 영향력을 재건해야 한다고 주장한다.[33]

두긴은 군사 작전보다는 러시아 특수부대가 주도하는 체제 전복, 사회 불안 및 역정보 전략을 옹호한다.[36] 또한 러시아의 가스, 석유 및 천연 자원을 활용하여 다른 국가를 압박해야 한다고 주장하며, 유럽 전체를 '핀란드화'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29]

두긴은 유럽 각 국가에 대한 구체적인 전략을 다음과 같이 제시한다.

2. 1. 1. 독일

두긴은 독일에게 중부 및 동부 유럽에 위치한 대부분의 개신교 및 가톨릭 국가에 대한 사실상의 정치적 지배권을 제공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칼리닌그라드주는 독일에 반환될 수 있다고 언급하며, "모스크바-베를린 동맹"이라는 용어를 사용한다.[38]

또한, 프랑스는 독일과 함께 블록을 형성하도록 장려해야 하는데, 그 이유는 두 나라 모두 "확고한 반(反)대서양주의 전통"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라고 주장한다.[29] 에스토니아는 독일의 영향권에 포함되어야 한다.[29]

2. 1. 2. 프랑스

프랑스독일과 함께 블록을 형성하도록 장려해야 하는데, 그 이유는 두 나라 모두 "확고한 반대서양주의 전통"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29]

2. 1. 3. 영국

두긴영국을 "미국의 역외 부유 기지"로 묘사하며, 유럽 연합에서 분리시켜야 한다고 주장한다.[29]

2. 1. 4. 핀란드

Основы геополитики|오스노비 게오폴리티키ru에서 핀란드는 러시아에 흡수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29] 남부 핀란드는 카렐리야 공화국과 결합되고, 북부 핀란드는 무르만스크주에 "증여"되어야 한다.[29] 이는 러시아의 영향력 확대를 위한 전략의 일환으로, 유럽 전체의 '핀란드화'를 목표로 한다.[29]

2. 1. 5. 에스토니아

에스토니아는 독일의 영향권에 두어야 한다.[29]

2. 1. 6. 라트비아 및 리투아니아

두긴라트비아리투아니아를 유라시아-러시아 영역에서 "특별한 지위"를 가져야 하지만, 궁극적으로는 러시아에 통합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29] 이는 이들 국가가 독립적인 지위를 유지하기보다는 러시아의 영향권 아래 있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2. 1. 7. 벨라루스 및 몰도바

Беларусь|벨라루스be와 Moldova|몰도바mo는 러시아의 일부가 되어야 한다.[29]

2. 1. 8. 폴란드

폴란드에는 유라시아 영역에서 특별한 지위를 부여해야 한다.[29] 이는 폴란드를 독일과 러시아의 세력권으로 나누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9]

2. 1. 9. 루마니아, 북마케도니아, 세르비아, 스릅스카 공화국, 그리스

루마니아, 북마케도니아, 세르비아, 스릅스카 공화국, 그리스동방 정교회를 믿는 국가들로서 제3의 로마를 자처하는 모스크바와 연합하고, "합리적 개인주의"를 추구하는 서방 세계를 거부해야 한다.[29]

2. 1. 10. 우크라이나

우크라이나는 러시아에 합병되어야 한다. "우크라이나는 국가로서 지정학적 의미, 특별한 문화적 중요성, 보편적 중요성, 지리적 독특성, 민족적 배타성을 가지지 않으며, 그 특정한 영토적 야망은 모든 유라시아에 큰 위험을 나타내고, 우크라이나 문제를 해결하지 않고서는 대륙 정치에 대해 이야기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무의미하기 때문이다."[29] 우크라이나는 완충지대가 아닌 이상 독립되어서는 안 된다.[29]

2. 2. 중동 및 중앙아시아

이 책은 "반대서양주의 전략의 기초"에 있는 "대륙 러시아-이슬람 동맹"을 강조한다. 이 동맹은 "러시아와 이슬람 문명의 전통적 성격"을 기반으로 한다.[29] 이란은 핵심 동맹국이며, "모스크바-테헤란 동맹"이라는 용어가 사용된다.[39]

아르메니아는 "전략적 기지" 역할을 하며, "모스크바-예레반-테헤란 동맹" 구축에 필요하다. 아르메니아인은 이란인과 쿠르드족과 같은 아리아인이다.[29] 아제르바이잔은 "분할"되거나 이란에 양도될 수 있다.[29]

조지아는 해체되어야 하며, 압하지야남오세티야를 포함한 "통합 오세티야"는 러시아에 통합되어야 한다. 조지아의 독립 정책은 용납될 수 없다.[29]

러시아는 터키에서 "지정학적 충격"을 일으켜 쿠르드족, 아르메니아인 및 기타 소수 민족을 이용해야 한다.[29]

이 책은 카스피해의 동쪽과 북쪽 해안(카자흐스탄투르크메니스탄 영토)과 중앙아시아(카자흐스탄, 우즈베키스탄, 키르기스스탄, 타지키스탄 언급)를 포함한 캅카스를 러시아 영토로 간주한다.[29]

2. 2. 1. 이란

Основы геополитики|오스노비 게오폴리티키ru는 "반대서양주의 전략의 기초"가 되는 "대륙 러시아-이슬람 동맹"을 강조한다. 이 동맹은 "러시아 세계와 이슬람 세계 문명의 전통적 특성"에 기반한다.[29] 이란은 핵심 동맹국으로, "모스크바-테헤란 축"을 구축해야 한다.[39]

2. 2. 2. 아르메니아

알렉산드르 두긴은 지정학의 기초에서 아르메니아를 "전략적 기지"로 활용하고, 이란과의 핵심 동맹 구축에 있어 특별한 역할을 부여해야 한다고 주장한다.[29] 그는 "모스크바-예레반-테헤란 축" 구축을 제안하며, 아르메니아인을 이란인 및 쿠르드족과 같은 아리아인으로 묘사한다.[29]

2. 2. 3. 아제르바이잔

이란은 핵심 동맹국으로, "모스크바-테헤란 동맹"이라는 용어가 사용된다.[39] 아제르바이잔은 "분할"되거나 이란에 양도될 수 있다.[29]

2. 2. 4. 조지아

조지아는 해체되어야 한다. 압하지야남오세티야를 포함한 "통합 오세티야"는 러시아에 통합되어야 한다. 조지아의 독립적인 정책은 용납될 수 없다.[29]

2. 2. 5. 터키

러시아는 터키에서 "지정학적 충격"을 유발해야 한다. 이는 쿠르드족, 아르메니아인 및 기타 소수 민족을 이용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29]

2. 2. 6. 카자흐스탄, 우즈베키스탄, 키르기스스탄, 타지키스탄, 투르크메니스탄

《지정학의 기초》는 캅카스를 러시아 영토로 간주하며, 카스피해의 동쪽 및 북쪽 해안(카자흐스탄투르크메니스탄 영토)과 중앙아시아(카자흐스탄, 우즈베키스탄, 키르기스스탄, 타지키스탄 언급)을 포함한다.[29]

2. 3. 동아시아 및 동남아시아

두긴은 중국이 러시아에 지정학적 위협이 되므로 최대한 해체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러시아는 티베트신장내몽골만주를 안전지대로 확보해야 하며, 중국의 남방 정책(인도차이나 (베트남 제외), 필리핀, 인도네시아, 오스트레일리아)을 지원하여 지정학적 보상을 얻어야 한다고 보았다.[40][41]

일본에 대해서는 쿠릴 열도를 제공하고 반미주의를 조장하여 정치를 조작해야 한다고 주장하며, 몽골은 유라시아-러시아에 흡수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29]

2. 3. 1. 중국

러시아에 위협이 되는 중국(중화인민공화국)은 최대한 해체되어야 한다.[40] 두긴은 러시아가 티베트- 신장-내몽골-만주를 안전지대로 삼는 것부터 시작해야 한다고 제안한다.[40] 러시아는 지정학적 보상으로 "남방-인도차이나(베트남 제외), 필리핀, 인도네시아, 오스트레일리아)" 정책에 대해 중국을 도와야 한다.[41]

2. 3. 2. 일본

러시아는 일본에 쿠릴 열도를 제공하고 반미주의를 조장하여 일본과의 관계를 개선해야 한다.[29] 이를 통해 일본 정치를 조작할 수 있다.[9]

2. 3. 3. 몽골

몽골mn은 유라시아-러시아에 흡수되어야 한다.[29]

2. 4. 미국

러시아는 미국의 불안정과 분열을 조장하기 위해 특수부대를 미국 국경 내에 파견해야 한다. 예를 들어, "아프리카계 미국인 인종차별주의자들"을 자극하는 것이다. 러시아는 모든 종류의 분리주의와 인종, 사회 및 인종 갈등을 조장하고, 극단주의 등 모든 반체제 운동을 적극적으로 지원하여 미국 내부 정치 과정을 불안정하게 만들어야 한다.[42] 동시에 미국 정치에서 고립주의 경향을 지지하는 것이 필요하다.[42]

3. 정책 활용

클로토프는 이 책이 앞으로 "새로운 군령을 준비하기 위한 강력한 이념적 토대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29]

3. 1. 러시아 교육 기관 채택

두긴은 이 책이 많은 러시아 교육 기관에서 교과서로 채택되었다고 주장했다.[30][1] 국가두마의 전 의장 겐나디 셀레즈네프는 두긴의 지정학 고문이었으며,[31] "두긴의 지정학적 교리를 학교 교육 과정의 필수 과목으로 만들어야 한다"고 촉구했다.[29][9]

3. 2. 게나디 셀레즈뇨프의 지지

러시아 국가두마 전 의장 게나디 셀레즈뇨프는 두긴의 지정학 고문이었으며,[31] 두긴의 지정학적 교리를 학교 교육 과정의 필수 과목으로 할 것을 촉구했다.[29]

3. 3. 푸틴 정부의 외교 정책에 미친 영향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이어진 블라디미르 푸틴외교 정책에 이 책이 영향을 미쳤을 수 있다.[32] 유라시아주의적 정서는 블라디미르 푸틴이 집권한 이후 러시아 사회 전반에서 증가하고 있다. 레바다 센터가 2021년에 실시한 설문 조사에 따르면, 러시아 시민의 64%가 러시아를 비유럽 국가로 인식하는 반면, 29%만이 러시아를 유럽의 일부로 간주했다.[11]

2023년, 러시아는 블라디미르 푸틴이 승인한 "러시아 연방 외교 정책 개념"이라는 문서에서 유라시아주의적, 반서방 외교 정책을 채택했다. 이 문서는 러시아를 "독특한 국가-문명이자 광대한 유라시아 및 유로태평양 강대국"으로 정의하고, 중국, 인도, 이슬람 세계 국가 및 나머지 글로벌 사우스 (라틴 아메리카 및 남아프리카)와 긴밀한 관계를 추구함으로써 "대유라시아 파트너십"을 창출하고자 한다고 명시한다. 이 정책은 미국과 기타 앵글로색슨 국가를 "집단 서방의 공격적인 반러시아 정책의 주요 영감 제공자, 조직자 및 실행자"로 규정하고 국제 무대에서 지정학적 미국의 지배 종식을 추구한다.[12][13][14] 또한 신소련주의 입장을 채택하여 러시아를 소련의 후계 국가로 자리매김하고, 2차 세계 대전 이후 국제 질서와 유엔을 형성하는 데 있어 "소련의 결정적인 기여"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확산할 것을 촉구한다.[12][13][14]

두긴은 《지정학의 기초》에서 "대서양" 사회와 "유라시아" 사회를 구분하는데, 이는 "해안 지리적 위치로 인해 세계주의적인 사회가 된 사회와 보존과 결속을 지향하는 내륙 사회"를 의미한다.[15] 두긴은 주로 미국이 대표하는 "대서양 사회"가 유라시아에서 더 광범위한 지정학적 영향력을 잃고, 러시아가 합병과 동맹을 통해 영향력을 재건해야 한다고 주장한다.[3]

두긴에 따르면 유라시아 제국은 "공통의 적이라는 근본 원칙, 즉 반서방 정서, 미국의 전략적 통제, 그리고 자유주의 가치를 우리에게 지배하도록 허용하지 않는 것"을 기반으로 건설될 것이다.[2][9]

4. 비판 및 영향

존 B. 던롭과 티모시 스나이더는 《지정학의 기초》가 옐친 말기와 푸틴 집권기 러시아 주요 엘리트에게 신파시스트 사상과 정서를 불러일으켰으며, 나치에 영향을 받은 카를 슈미트의 연구가 이 책에 영향을 주었고, 유라시아주의국민볼셰비즘 이념 전파에 두긴이 주요한 역할을 했다고 비판했다.[44][45]

포린 폴리시》는 이 책을 "소련 이후의 러시아에서 나온 가장 흥미롭고 인상적이며 두려운 책 중 하나"이며 "두긴의 전작에 비해 더 냉철하고 논쟁적이며 오컬트, 수비학, 전통주의 및 기타 괴상한 형이상학적 참고문헌을 쳐냈다"고 평가했다.[46] 2022년 《포린 폴리시》는 "최근 우크라이나 침공은 국제 자유 질서를 약화시키기 위해 두긴이 조장한 전략의 연속"이라고 언급했다.[47] 안톤 셰호프초프에 따르면 이 책의 표지에는 현대 오컬트에서 혼돈 마법을 나타내는 상징인 혼돈의 별이 묘사되어 있으며, 이는 오컬트 및 오컬트 상징주의에 대한 두긴의 관심사와 일치한다. 책 출판 후 두긴은 이 상징을 자신이 창당한 유라시아당의 로고로 사용했다.[48]

4. 1. 존 B. 던롭의 비판

후버 연구소의 선임 연구원 존 B. 던롭은 《지정학의 기초》가 러시아 주요 엘리트에게 미친 영향은 옐친 말기와 푸틴 집권기 신파시스트 사상과 정서가 우려스러울 정도로 떠오른 것을 보여준다고 말했다.[44] 역사학자 티모시 스나이더는 《뉴욕 리뷰 오브 북스》에서 나치에 영향을 받은, 보수적 국제 질서의 지지자인 카를 슈미트의 연구가 이 책에 영향을 주었으며, 유라시아주의국민볼셰비즘 이념 전파에 두긴이 주요한 역할을 했다고 언급했다.[45]

포린 폴리시》는 이 책을 "소련 이후의 러시아에서 나온 가장 흥미롭고 인상적이며 두려운 책 중 하나"이며 "두긴의 전작에 비해 더 냉철하고 논쟁적이며 오컬트, 수비학, 전통주의 및 기타 괴상한 형이상학적 참고문헌을 쳐냈다"고 평가했다.[46] 2022년 《포린 폴리시》는 "최근 우크라이나 침공은 국제 자유 질서를 약화시키기 위해 두긴이 조장한 전략의 연속"이라고 언급했다.[47] 안톤 셰호프초프에 따르면 이 책의 표지에는 현대 오컬트에서 혼돈 마법을 나타내는 상징인 혼돈의 별이 묘사되어 있으며, 이는 오컬트 및 오컬트 상징주의에 대한 두긴의 관심사와 일치한다. 책 출판 후 두긴은 이 상징을 자신이 창당한 유라시아당의 로고로 사용했다.[48]

4. 2. 티머시 스나이더의 비판

후버 연구소의 선임 연구원 존 B. 던롭은 "'유라시아주의자' 교과서가 러시아 주요 엘리트에 미친 영향은 옐친 말기와 푸틴 집권기 신파시스트 사상과 정서가 우려스러울 정도로 떠오른 것으로 증명된다"라고 말했다.[44] 역사학자 티모시 스나이더는 《뉴욕 리뷰 오브 북스》에서 나치에 영향을 받은, 보수적 국제 질서의 지지자인 카를 슈미트의 연구가 《지정학의 기초》에 영향을 주었다고 썼다. 그는 또한 유라시아주의국민볼셰비즘 이념을 전파하는 데 두긴이 주요한 역할을 했다고 언급했다.[45]

4. 3. 포린 폴리시의 평가

포린 폴리시는 《지정학의 기초》를 "소련 붕괴 이후 러시아에서 나온 가장 흥미롭고 인상적이며 두려운 책 중 하나"라고 평가하면서, 두긴의 전작에 비해 "더 냉철하고 논쟁적이며 오컬트, 수비학, 전통주의 및 기타 괴상한 형이상학적 참고문헌을 쳐냈다"고 언급했다.[46] 2022년 《포린 폴리시》는 "최근 우크라이나 침공은 두긴이 주창한 국제 자유주의 질서를 약화시키기 위한 전략의 연장선"이라고 덧붙였다.[47] 안톤 셰호프초프에 따르면, 이 책 표지에는 현대 오컬트에서 혼돈 마법을 상징하는 혼돈의 별이 묘사되어 있는데, 이는 오컬트 및 오컬트 상징주의에 대한 두긴의 관심사와 일치한다. 두긴은 책 출판 후 이 상징을 자신이 창당한 유라시아당의 로고로 사용했다.[48]

4. 4. 안톤 셰호프초프의 분석

안톤 셰호프초프는 이 책의 표지에 현대 오컬트에서 혼돈 마법을 나타내는 상징인 혼돈의 별이 묘사되어 있다고 지적했다.[48] 이 상징은 오컬트 및 오컬트 상징주의에 대한 두긴의 관심사와 일치한다. 책이 출판된 후 두긴은 이 상징을 자신이 창당한 유라시아당의 로고로 사용했다.[48]

5. 관련 주제


  • 2014년 우크라이나 친러시아 소요 사태
  • 우크라이나의 유럽 연합 가입
  • 러시아 연방의 크림 합병
  • 2022년 러시아 반전 시위
  • 우크라이나의 탈러시아화
  • 러시아의 지정학
  • * 전러시아 민족
  • * 유라시아주의
  • * 모스크바, 제3 로마
  • * 유로마이단 반대
  • * 우크라이나 내 러시아 분리주의 세력
  • * 러시아 세계
  • * 루스시즘
  • 도네츠크 인민 공화국과 루한스크 인민 공화국의 국제적 승인
  • 크라소프스키 사건
  •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의 미디어 묘사
  • 러시아 제국주의
  • 러시아의 미회복 영토주의
  • 러시아 민족주의
  • 우크라이나-NATO 관계
  •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전쟁 범죄
  • *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중 우크라이나인 집단 학살 혐의
  • * 부차 학살
  • *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중 아동 납치

6. 관련 문헌


  • 우크라이나 사태에 관한 연설 (2022년 블라디미르 푸틴 연설)[14]
  • 러시아인과 우크라이나인의 역사적 통일성에 관하여 (2021년 푸틴 에세이)[14]
  • 특별 군사 작전 수행에 관하여 (2022년 푸틴 연설)[14]
  • 러시아는 우크라이나를 어떻게 해야 하는가 (2022년 티모페이 세르게이체프 기사)[14]
  • 당신은 지난 8년 동안 어디에 있었는가?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중 사용된 구절)[14]

참조

[1] 웹사이트 Russia's New—and Frightening—'Ism' http://www.hoover.or[...] Hoover Institution 2004-07-30
[2] 뉴스 The Grand Theory Driving Putin to War https://www.nytimes.[...] 2022-03-22
[3] 웹사이트 The Unlikely Origins of Russia's Manifest Destiny https://foreignpolic[...] 2016-07-27
[4] 간행물 The Prophet of the New Russian Empire http://azure.org.il/[...] Shalem Center 2009-Winter
[5] 간행물 Is Aleksandr Dugin a Traditionalist? 'Neo-Eurasianism' and Perennial Philosophy Wiley (publisher) 2009-10
[6] 서적 Uncovering Russia (excerpt: A civil society without civility) https://books.google[...] Norasco Publishing
[7] 뉴스 1990s Manifesto outlining Russia's plans is starting to come true http://www.news.com.[...] 2017-03-04
[8] 서적 Russian Foreign Policy: The Return of Great Power Politics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2011-10-17
[9] 간행물 Aleksandr Dugin's Foundations of Geopolitics https://www2.gwu.edu[...] Institute for European, Russian and Eurasian Studies (George Washington University) 2004-01-31
[10] 서적 Near Abroad: Putin, the West and the Contest Over Ukraine and the Caucasus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11] 웹사이트 Russia and Europe https://www.levada.r[...] 2021-03-22
[12] 뉴스 Russia adopts new anti-West foreign policy strategy https://www.dw.com/e[...] 2023-03-31
[13] 웹사이트 Russia's new foreign-policy concept: the impact of war https://www.iiss.org[...] 2023-04-06
[14] 웹사이트 The Concept of the Foreign Policy of the Russian Federation https://russiaeu.ru/[...] 2023-03-01
[15] 서적 War for Eternity: The Return of Traditionalism and the Rise of the Populist Right https://books.google[...] Penguin Books Limited 2020-04-21
[16] 뉴스 The man known as 'Putin's brain' envisions the splitting of Europe — and the fall of China https://www.washingt[...] 2022-03-22
[17] 간행물 Fascism, Russia, and Ukraine http://www.nybooks.c[...] 2014-03-20
[18] 뉴스 Putin Has a Grimly Absolute Vision of the 'Russian World' https://foreignpolic[...] 2022-03-06
[19] 간행물 The Palingenetic Thrust of Russian Neo-Eurasianism: Ideas of Rebirth in Aleksandr Dugin's Worldview https://doi.org/10.1[...] 2008-12-01
[20] 웹인용 Russia's New—and Frightening—'Ism' http://www.hoover.or[...] Hoover Institution 2004-07-30
[21] 뉴스 The Grand Theory Driving Putin to War https://www.nytimes.[...] 2022-03-22
[22] 웹인용 The Unlikely Origins of Russia's Manifest Destiny https://foreignpolic[...] 2017-10-23
[23] 간행물 Is Aleksandr Dugin a Traditionalist? 'Neo-Eurasianism' and Perennial Philosophy Wiley (publisher) 2009-10
[24] 서적 Uncovering Russia (excerpt: A civil society without civility) https://books.google[...] Norasco Publishing
[25] 간행물 The Prophet of the New Russian Empire http://azure.org.il/[...] Shalem Center 2015-04-06
[26] 뉴스 1990s Manifesto outlining Russia's plans is starting to come true http://www.news.com.[...] 2017-10-12
[27] 웹인용 The Unlikely Origins of Russia's Manifest Destiny https://foreignpolic[...] 2017-10-23
[28] 서적 Russian Foreign Policy: The Return of Great Power Politics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2011-10-17
[29] 간행물 Aleksandr Dugin's Foundations of Geopolitics https://www2.gwu.edu[...] Institute for European, Russian and Eurasian Studies (George Washington University) 2004-01-31
[30] 웹인용 Russia's New—and Frightening—'Ism' http://www.hoover.or[...] Hoover Institution 2004-07-30
[31] 서적 Near Abroad: Putin, the West and the Contest Over Ukraine and the Caucasus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32] 뉴스 Aleksandr Dugin: The far-right theorist behind Putin's plan https://www.cbsnews.[...] 2022-04-12
[33] 웹인용 The Unlikely Origins of Russia's Manifest Destiny https://foreignpolic[...] 2017-10-23
[34] 뉴스 The Grand Theory Driving Putin to War https://www.nytimes.[...] 2022-03-23
[35] 간행물 Aleksandr Dugin's Foundations of Geopolitics https://www2.gwu.edu[...] Institute for European, Russian and Eurasian Studies (George Washington University) 2004-01-31
[36] 뉴스 The man known as 'Putin's brain' envisions the splitting of Europe — and the fall of China https://www.washingt[...] The Washington Post 2022-03-22
[37] 저널 Aleksandr Dugin's Foundations of Geopolitics https://www2.gwu.edu[...] Institute for European, Russian and Eurasian Studies (George Washington University) 2004-01-31
[38] 저널 Aleksandr Dugin's Foundations of Geopolitics https://www2.gwu.edu[...] Institute for European, Russian and Eurasian Studies (George Washington University) 2004-01-31
[39] 저널 Aleksandr Dugin's Foundations of Geopolitics https://www2.gwu.edu[...] Institute for European, Russian and Eurasian Studies (George Washington University) 2004-01-31
[40] 웹인용 Russia's New—and Frightening—'Ism' http://www.hoover.or[...] Hoover Institution 2017-10-12
[41] 저널 Aleksandr Dugin's Foundations of Geopolitics https://www2.gwu.edu[...] Institute for European, Russian and Eurasian Studies (George Washington University) 2004-01-31
[42] 저널 Aleksandr Dugin's Foundations of Geopolitics https://www2.gwu.edu[...] Institute for European, Russian and Eurasian Studies (George Washington University) 2004-01-31
[43] 저널 Aleksandr Dugin's Foundations of Geopolitics https://www2.gwu.edu[...] Institute for European, Russian and Eurasian Studies (George Washington University) 2004-01-31
[44] 웹인용 Russia's New—and Frightening—'Ism' http://www.hoover.or[...] Hoover Institution 2017-10-12
[45] 저널 Fascism, Russia, and Ukraine http://www.nybooks.c[...] 2014-09-05
[46] 웹인용 The Unlikely Origins of Russia's Manifest Destiny 2017-10-23
[47] 뉴스 Putin Has a Grimly Absolute Vision of the 'Russian World' Foreign Policy 2022-03-11
[48] 저널 The Palingenetic Thrust of Russian Neo‐Eurasianism: Ideas of Rebirth in Aleksandr Dugin's Worldview https://doi.org/10.1[...] 2008-12-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