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러시아 전함 폴타바 (1894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러시아 전함 폴타바 (1894년)는 1890년대에 건조된 페트로파블롭스크급 전함으로, 12인치 주포 4문과 6인치 부포 12문을 장착했다. 1899년 취역 후 러일 전쟁에 참전하여 뤼순항 해전, 황해 해전 등에서 활약했으나, 1904년 12월 일본군 포격으로 침몰했다. 이후 일본에 의해 인양되어 수리 후 단고로 개명되었고, 제1차 세계 대전 중 러시아에 반환되어 체스마로 개명되었으나, 1924년 폐기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94년 선박 - 페트로파블롭스크 (페트로파블롭스크급 전함)
    페트로파블롭스크는 러시아 제국 해군의 페트로파블롭스크급 전함으로, 305mm 주포 4문 등을 장착하고 1900년 건조되어 러일 전쟁 중 뤼순 항구에서 기뢰 공격으로 침몰, 스테판 마카로프 제독을 포함한 다수의 승무원이 사망했다.
  • 페트로파블롭스크급 전함 - 세바스토폴 (페트로파블롭스크급 전함)
    세바스토폴은 러시아 제국에서 건조된 페트로파블롭스크급 전함으로, 12인치 주포와 6인치 속사포를 장착하고 제1차 세계 대전과 러시아 혁명을 거치며 발트 함대와 적색 해군에 소속되어 활동했다.
  • 페트로파블롭스크급 전함 - 페트로파블롭스크 (페트로파블롭스크급 전함)
    페트로파블롭스크는 러시아 제국 해군의 페트로파블롭스크급 전함으로, 305mm 주포 4문 등을 장착하고 1900년 건조되어 러일 전쟁 중 뤼순 항구에서 기뢰 공격으로 침몰, 스테판 마카로프 제독을 포함한 다수의 승무원이 사망했다.
  • 러시아 제국의 전함 - 레트비잔 (전함)
    러시아 제국 해군이 발주한 레트비잔은 미국에서 건조되어 러일 전쟁에 참전했다가 일본군에 나포되어 히젠으로 개명되었고, 제1차 세계 대전에도 참전 후 해체되어 표적함으로 침몰했다.
  • 러시아 제국의 전함 - 페트로파블롭스크급 전함
    페트로파블롭스크급 전함은 1890년대 러시아 해군이 건조한 최초의 평갑판 전함 3척(페트로파블롭스크, 폴타바, 세바스토폴)으로, 강력한 화력과 방어력을 갖추고 러일 전쟁에 참전했으며, 특히 페트로파블롭스크는 러일 전쟁 초기에 침몰하며 스테판 마카로프 제독이 전사한 비운의 함선이다.
러시아 전함 폴타바 (1894년) - [배(Ship)]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폴타바 스웨덴 엽서
폴타바의 스웨덴 엽서
함명폴타바
함명 유래폴타바 전투
건조아드미랄티 조선소, 상트페테르부르크, 러시아 제국
제원
함급페트로파블롭스크급 전함
유형전드레드노트급 전함
배수량11,500 롱톤 (11,700 톤)
길이376 피트 (114.6 m)
70 피트 (21.3 m)
흘수28 피트 3 인치 (8.6 m)
동력10,600 마력
보일러14 x 실린더형 보일러
추진2축, 2 x 3단 팽창 증기 기관
속력16 노트 (30 km/h)
항속 거리10 노트에서 3,750 해리 (6,940 km)
승조원631–652명
무장
주포2 × 2연장 305mm 포
부포4 × 2연장, 4 × 단장 152mm 포
기타10 × 단장 47mm 포
28 × 단장 37mm 포
4 × 15인치 어뢰 발사관
2 × 18인치 어뢰 발사관
50 × 기뢰
장갑
종류크루프 장갑
수선대12–14.5 인치
주포탑10 인치
갑판2–3 인치
함력
러시아 제국
기공1892년 5월 19일
진수1894년 11월 6일
취역1899년
나포1905년 1월, 여순항 포위전 이후 일본에 나포됨
함력 (일본)
국가일본 제국
깃발
함명단고 (丹後)
함명 유래단고 국
획득1905년 1월
취역 (일본)1905년 8월 22일
최후1916년 4월 3일 또는 4일, 러시아에 매각
함력 (러시아, 재획득 후)
국가러시아 제국
깃발
획득1916년 4월 4일 구매
개명1916년, 체스마로 개명
최후1917년 10월, 볼셰비키에 의해 접수
함력 (소련)
국가소비에트 연방
깃발
획득1917년 10월
제적1924년 7월 3일
나포1919년 3월, 영국군에 의해 나포
1919년 10월, 소련군에 의해 재나포
최후1924년 해체

2. 설계와 개요

페트로파블롭스크급 전함의 설계는 전함 임페라토르 니콜라이 1세에서 유래했지만, 4문의 약 30.48cm 포와 8문의 약 20.32cm 포를 장착하기 위해 대폭 확대되었다. 건조 중 무장은 더 강력한 12인치 포로 변경되었고, 8인치 포는 12문의 약 15.24cm 포로 대체되었다.

이 함선은 전장 약 114.60m에 선폭 약 21.34m, 흘수선 약 8.53m였다. 약 11135875.12kg의 배수량을 가지도록 설계되었지만, 폴타바는 약 508023.50kg 이상 초과되어 완성되었을 때 약 11684540.50kg를 배수했다. 승무원은 26~27명의 장교와 605~625명의 사병으로 구성되었다.[1]

2. 1. 추진 기관

영국 회사인 험프리스, 테넌트 앤 다이크스(Humphrys, Tennant and Dykes)가 제작한 2기의 수직식 3단 팽창 증기 엔진으로 구동되었으며, 각 엔진은 1개의 축을 구동하고 14개의 원통형 보일러에서 생성된 증기를 사용했다.[1] 엔진은 10600ihp로 평가되었고 최대 속도 16kn를 내도록 설계되었지만, ''폴타바''는 해상 시운전 중 11213ihp로 16.29kn의 속도를 기록했다.[1] 10kn의 속도로 3750nmi의 항해 거리를 제공할 수 있는 충분한 양의 석탄을 탑재했다.[1]

2. 2. 무장

주포는 2개의 쌍열 포탑에 장착된 4문의 12인치 포로 구성되었으며, 하나는 함교 전방에, 다른 하나는 함교 후방에 위치했다. 90초에 1발을 발사하도록 설계되었지만 실제 발사 속도는 그 절반이었다.[1] 부포는 12문의 카네 6인치 속사포로 구성되었다.[1] 이 중 8문은 4개의 쌍열 윙 포탑에 장착되었고, 나머지 포는 선체 측면의 보호받지 못하는 포문에 배치되었다.[1] 어뢰정 방어를 위해 소형 포가 탑재되었으며, 여기에는 12문의 속사포 47mm 호치키스 포와 28문의 맥심 속사포 37mm 포가 포함되었다.[1] 또한 6문의 어뢰 발사관이 장착되었으며, 4문의 15인치 수면 발사관과 2문의 18인치 잠수 발사관이 모두 현측에 장착되었다.[1] 이들은 기뢰 50개를 탑재하여 정박지를 보호했다.[1]

2. 3. 장갑

폴타바de는 독일에서 수입한 크루프 시멘트 장갑을 사용한 최초의 러시아 전함이었다. 수선 장갑띠는 약 30.48cm에서 약 36.83cm 두께였다. 주포 포탑의 크루프 장갑은 최대 약 25.40cm 두께였고, 보호 갑판의 니켈강 장갑은 약 5.08cm에서 약 7.62cm 두께였다.[1]

3. 건조와 취역

폴타바는 1709년 폴타바 전투에서 표트르 1세스웨덴칼 12세를 물리친 것을 기념하여 이름 붙여졌다. 상트페테르부르크의 뉴 아드미랄티 조선소에서 건조되었으며,[15] 1892년 2월 건조를 시작하여[15] 5월 7일(5월 19일)[16]에 기공,[15] 1894년 10월 25일(11월 6일)에 진수되었다.[15] 1899년에 준공되었다.[17] 숙련공 부족, 설계 변경, 주무장 인도 지연으로 인해 건조 기간은 6년이 걸렸다.

1898년부터 1899년까지 시험 운항을 거친 후 잠시 발트 함대에 배속되었다. 자매함 세바스토폴과 함께 폴타바는 1900년 9월에 무선 장비를 설치했는데, 이는 러시아 제국 해군에서 이러한 장비를 갖춘 최초의 함선이었다.

1900년 10월 3일(10월 15일)에 극동으로 출발하여 1901년 3월 30일(4월 12일)에 뤼순에 도착했다.[17] 자매함들은 포트 아서로 출항했으며, 나중에 수에즈 운하를 통과할 수 있도록 흘수를 줄이기 위해 많은 탄약, 석탄 및 기타 물품을 하역해야 했다. 폴타바는 1901년 4월 12일, 자매함보다 하루 먼저 포트 아서에 도착했다.

폴타바 시대의 무장・장갑 배치를 나타낸 그림

4. 함력

상트페테르부르크의 뉴 아드미랄티 조선소에서 건조되어[15] 1899년에 준공되었다.[17] 1900년 극동으로 이동하여 뤼순에 도착, 러일전쟁에 참전했다.[17]

1904년 2월 9일 새벽, 뤼순항 해전에서 일본 구축대의 기습을 받았으나 큰 피해는 없었다. 이후 일본 해군과의 교전에서 여러 차례 피격당하고, 세바스토폴과 충돌하기도 했다.[22] 황해 해전에 참가하여 일본 함대와 교전했으나, 뤼순항 봉쇄 작전으로 뤼순항에 갇히게 되었다.[33] 일본군의 포격으로 1904년 12월 5일 침몰했다.[35]

1905년 뤼순 요새 함락 후 일본 해군에 나포되어 부양 및 수리 후 '''단고'''로 명명되어 일본 해군에 편입되었다.[13] 제1차 세계 대전 발발 후 일본과 러시아가 동맹국이 되면서, 1916년 러시아에 반환되어 '''체스마'''로 개명되었다.[6] 러시아 혁명 이후 러시아 내전에 휘말렸으며, 1924년 해체되었다.

4. 1. 러시아 해군 소속: 「폴타바」 시대



상트페테르부르크의 뉴 아드미랄티 조선소에서 건조된[15] 러시아 제국 해군의 전함이다. 1892년 2월 건조를 시작하여[15] 5월 19일에 기공,[16][15] 1894년 11월 6일에 진수[15]되었고, 1899년에 준공되었다.[17]

1900년 10월 15일 극동으로 출발하여 1901년 4월 12일 뤼순에 도착했다.[17] 러일전쟁 발발 직전인 1904년 1월, 뤼순항 외곽에 정박해 있던 중 일본 구축함의 기습을 받았으나, 큰 피해는 없었다.[18] 이후 일본 해군과의 교전에서 2~4발의 포탄에 피격당하고[20][21][32], 1904년 3월에는 세바스토폴과 충돌하기도 했다.[22] 6월에는 함포 일부를 육상에 양륙하여 지상 방어 강화에 사용했다.[29]

폴타바는 러일 전쟁 기간 동안 여러 전투에 참여했다.

4. 1. 1. 러일 전쟁

청일 전쟁에서 일본이 승리한 후, 러시아와 일본은 모두 만주한반도를 장악하고자 했고, 이는 두 나라 사이의 긴장을 고조시켰다.[18] (한국의 관점에서, 이는 제국주의 열강의 각축 속에서 한국의 국권이 위협받는 상황을 초래했다.) 일본은 1901년 긴장 완화를 위한 협상을 시작했지만, 러시아 정부는 문제 해결 방법을 정확히 결정하지 않았기 때문에 응답이 느리고 불확실했다. 일본은 이것을 러시아 군비 프로그램을 완수하기 위한 시간을 벌기 위해 고의적인 기만으로 해석했다. 러시아가 약속한 대로 1903년 10월 만주에서 군대를 철수시키지 못함으로써 상황이 더욱 악화되었다. 최후의 결정타는 러시아가 한반도 북부의 목재 채벌 허가권을 얻었다는 소식과 만주에 대한 일본의 이해를 인정하지 않고, 조선에 대한 일본의 조치에 계속 제약을 가했던 것이었다. 이러한 행동으로 일본 정부는 1903년 12월 전쟁이 불가피하다는 결론을 내리게 되었다.[18] 일본과의 긴장이 고조되면서 태평양 함대는 야간에 조선에 군대를 상륙시키려는 일본의 시도에 보다 신속하게 대응하기 위해 야간에도 외항에서 계류를 시키기 시작했다.[18]

여순항 해전 : 1904년 2월 8일과 9일 밤, 일본 제국 해군은 여순항에서 러시아 함대에 대한 기습 공격을 가했다.[19] 폴타바는 어뢰정에 의한 초기 공격에 피격당하지 않았고, 다음 날 아침에 부제독 도고 헤이하치로가 이끄는 연합함대가 공격을 가하자 출격했다. 도고는 자신들의 야간 기습이 기대보다 훨씬 성공적이었을 것으로 기대했다. 그는 러시아 군이 심하게 조직력이 무너지고, 약해졌을 것이라는 예상했다. 그러나 러시아군은 이내 기습을 수습하고 공격 준비를 마쳤다. 일본 함선은 역외 정찰을 하고 있던 장갑순양함 보야린에 의해 발견되었고, 러시아군에게 방어를 하라고 경고했다. 도고는 러시아 연안 방어선을 주포로 공격하고, 부포로 적 함선과 교전을 벌이기로 하였다. 일본의 8인치와 6인치 건이 러시아 전함에 거의 손상을 주지 못했기 때문에, 화력을 분산한 공격은 어리석은 결정이었고, 일본의 함선에 화력을 집중시키는 효과를 가져왔다.[19] 폴타바는 별 타격이 없었던 여러 번의 피격을 당했으며, 3명의 병력만 부상을 당했다. 폴타바는 이 교전에서 12발의 12인치와 55발의 6인치 포탄을 발사했다.[20][21][32]

황해 해전 : 1904년 8월 10일, 제1태평양 함대는 블라디보스토크로 탈출을 시도, 일본 함대와 교전.[33] 폴타바는 일본이 공격했을 때 러시아 함대 대열의 여섯 번째였으며, 14시 45분경에 아사히를 포격하기 시작했다. 일본 기함인 전함 미카사는 몇 발의 포탄을 발사하여 폴타바를 명중시켜 러시아 함대가 지원을 위해 후퇴하게 했다. 러시아군은 미카사에 여러 발을 명중시켰으며, 그중 두 발은 폴타바에서 발사된 것이었다. 또한 장갑순양함 닛신에도 1발을 명중시켰다. 미카사가 입은 피해로 인해 일본 함대는 15시 20분경에 공격을 중단하고 우현으로 방향을 돌려 사거리를 벌렸다. 17시 35분경에 일본군은 다시 러시아 후방에 접근하고 있었다. 미카사와 다른 세 척의 전함은 폴타바와 세 척의 장갑순양함에 포격을 가했지만, 포탑에 문제가 생겨 일본 전함들은 교전을 중단해야 했다. 18시 30분에 돌아와 시키시마와 아사히가 폴타바를 공격했다. 러시아 함대가 탈출하기 시작하자, 아사히에서 발사된 12인치 포탄 두 발이 러시아 기함 체사레비치의 함교를 관통하여 비트게프를 사살하고, 조타수를 사살하고, 함장에게 심각한 부상을 입혀, 급선회를 한 후 배가 완전히 멈추게 만들었다. 이것이 비트게프가 계획한 기동이라고 생각한 러시아 함대는 같은 선회를 시작했고, 이로 인해 체사레비치 바로 뒤에 있던 모든 함선(폴타바 포함)은 정지된 기함을 피하기 위해 격렬하게 기동했다. 소장 파벨 우흐톰스키 공작은 함대의 부사령관으로, 다른 러시아 함선들에게 포트 아서로 돌아가라는 신호를 보냈다. 신호기는 포베다, 세바스토폴, 팔라다 및 폴타바에 의해 점차적으로 인식되었고, 다른 함선들은 귀환 항해를 위해 재편성하는 데 시간이 걸렸다.[33] 폴타바는 전투 중 12~14발의 대구경 포탄을 맞아 6인치 포 5문이 파괴되었고, 승무원 12명이 사망하고 43명이 부상을 입었다.[33]

여순항 봉쇄 작전 : 1904년 8월 11일 여순항으로 돌아온 러시아 함대는 노기 마레스케 남작이 이끄는 일본 제3군에 의해 포위되었다.[30] 폴타바는 8월 18일 포대에서 발사된 4발의 120mm 포탄에 피격당해 6명이 부상당했다.[30] 새로운 함대 사령관이 된 로베르트 N. 비렌 소장은 항구의 육상 방어가 더 중요하다고 믿었고, 폴타바에서 계속 무기를 해체해서 배치하고, 승조원은 육군 보병으로 돌렸다. 9월경 폴타바는 3문의 6인치, 4문의 47mm, 26문의 37mm포를 해체했다. 같은 달, 폴타바는 일본 초소를 공격하기 시작했다. 11월까지 폴타바는 100발의 12인치 포탄과 미지수의 6인치 포탄을 쏘아 보냈다.[31][32][34]

1904년 12월 5일, 일본군의 포격으로 침몰.[35] 그날 폴타바는 5발의 포탄을 맞았으며, 그 중 3발이 갑판을 관통했다. 한 발은 어뢰실을, 다른 한 발은 후방 47mm 탄약고에서 폭발했다. 이것은 침수 시스템이 이전에 손상되어 진화할 수 없었고 결국 인접한 12인치 탄약고의 추진 장약을 점화시켜 화재를 일으켰다. 피격 약 30분 후, 탄약고가 폭발하여 선체 바닥에 구멍이 생겨 45분 후 얕은 물에서 침몰했다.[2][36][37]

포트 아서에서 부분적으로 침몰한 폴타바를 보여주는 일본 엽서

4. 2. 일본 해군 소속: 「단고」 시대

1905년 1월 여순항이 항복하면서, 일본 기술자들은 7월 22일에 ''폴타바''를 인양하여 한 달 뒤 '''단고'''(丹後)로 취역시켰다.[65] 함명은 현재 교토부에 속한 고대 일본 지방인 단고국에서 이름을 따왔다.[65] 1등 전함으로 분류된 단고는 이틀 후 마이즈루 해군 공창으로 출발하여 8월 29일에 도착했다. 1905년 10월 23일 노획된 선박의 검토에 참여한 것을 제외하고는, 1907년 11월까지 수리를 계속 받았다. 이후 요코스카 해군 공창으로 이동했다.[65]

일본 제국 해군은 ''폴타바''를 수리하면서 여러 부분을 변경했다. ''폴타바''의 망루가 제거되었고,[65] 보일러는 16개의 미야바라 수관 보일러로 교체했다. 주포는 유지했지만, 포미는 모두 일본제로 바뀌었다.[65] 트윈 포탑에 있는 152mm 부포는 유지되었고, 4개의 포곽 152mm 포는 일제 150mm /45구경 41년형 포 6개로 대체되었다.[65] ''폴타바'' 경무장은 10문의 QF 12 파운드 12cwt 함포[65]와 4문의 37mm포로 변경되었다. 4개의 18인치 수상 어뢰발사관이 원래의 어뢰 무장을 대체했다. 승무원은 668명의 장교와 승조원으로 구성되었다.[65]

''단고''는 1911년에 함대에 합류했고,[65] 1912년 1등 해방함으로 재분류되었다.[65] 1913년에는 ‘적’ 함의 일부로 연례 전술 훈련에 참여했다.[65] 제1차 세계 대전이 시작된 직후 가토 사다키치 제독이 지휘하는 2함대에 배속되었다. 함대는 독일 소유의 중국 칭다오 항을 봉쇄하고, 일본 제국과 협력하여 도시를 점령하는 임무를 부여 받았다. ''단고''와 함대의 다른 배들은 독일군이 11월 7일에 항복할 때까지 포위 공격을 하며 독일 요새들을 폭격했다.[65]

일본 제국 해군 전함 "단고"가 된 본 함. 복구 시 상부 구조물이 간략화되었다.


1905년 (메이지 38년) 1월 1일, 뤼순 요새 함락과 함께 일본 해군에 나포되었다.[13] 5월 29일, 부양 처리를 시작했고,[38][39] 크레인선으로 포신, 포탑을 제거하는 등 작업을 진행했다.[40] 7월 21일, 부양에 성공했다.[41][42] 8월 22일, ''폴타바''는 제국 군함적에 편입되어 '''단고'''로 명명되었다.[43][5] 1등 전함으로 분류되었다.[44][45]

8월 24일, 3척 (단고, 만주환, 구축함 아케보노《초대》)은 뤼순 항을 출발하여 8월 29일 마이즈루 해군 공창에 도착했다.[38][46] 응급 수리를 받은 후 10월 12일 마이즈루를 출발하여 20일에 요코스카에 도착했다.[49] 10월 23일, 도쿄 만에서 개선 관함식 (메이지 천황 어람함 아사마, 선도함 야에야마)이 거행되었다.[47][48] 원 러시아 해군 함정 (사가미《페레스베트》, '''단고《폴타바》''', 이키《임페라토르 니콜라이 1세》, 오키시마《제네랄 아프락신》, 미시마《아드미랄 세냐빈》) 등도 개선 관함식에 참석했다.[49][50][48] 12월 12일, 일본 해군은 함정류별 등급표를 개정했다.[51] 전함의 등급 폐지에 따라 일본 해군이 보유한 9척 (후지, 시키시마, 아사히, 미카사, 이와미, 사가미, '''단고''', 히젠, 스오)이 '전함'으로 분류되었다.[52][53]

이때 바닷물에 잠겼던 보일러는 국산 미야하라식 석탄 전소식 보일러 16기로 교체되었고, 2개의 굴뚝 형태도 변경했다. 앞뒤 마스트 상부에 부착된 안테나용 폴도 십자형 크로스 트리로 변경되었다. 무장 면에서는 주포와 부포는 러시아제에서 영국의 암스트롱 사제(社製)로 교체되었고, 대 어뢰정 요격용 "7.6cm(40구경) 속사포"를 단장 포좌로 함 측면에 5기씩 총 10기를 추가했으며, 함수미부의 45.7cm 수중 어뢰 발사관 2기는 모두 철거되었고, 대신 38.1cm 수상 어뢰 발사관은 사용하는 어뢰를 대형의 45.7cm 어뢰로 변경하여 사용했다.

1912년 (다이쇼 원년) 8월 28일, 일본 해군은 함정류별 등급표 개정을 실시,[54] "단고"는 1등 해방함 (7000톤 이상)으로 분류 변경되었다.[55][56][57]

제1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자 일본과 러시아는 동맹국이 되었다. 1916년 (다이쇼 5년) 4월 4일, 일본 해군은 3척 (사가미, 소야, 단고)을 군함적에서 제외하고,[58] 함정류별 등급표에서도 삭제했다.[59][60] "단고"는 러시아 해군 측에 반환되었다.[13][6]

4. 3. 러시아 해군 복귀:「체스마」 시대

1921년 백해에 닻을 내린 ''체스마''


1916년 러시아 정부는 발트해흑해 근해의 해상력을 강화하기로 결정했다.[1] 일본과 러시아가 제1차 세계 대전에서 연합군이 됨에 따라, 일본 정부는 3월에 단고와 다른 이전 러시아 군함을 러시아에 판매했다. 전함은 4월 2일 블라디보스토크에 도착했으며, 4월 3일 또는 4일에 러시아 군에 인도되었다. 이전 이름은 새롭게 건조된 드레드노트급 전함 폴타바에게 부여했기 때문에,[2][3] 단고는 체스마 전투를 따서 '''체스마'''로 이름이 변경되었다.[4] 체스마는 7월 2일 블라디보스토크를 출발하여 9월 19일 이집트포트사이드에 도착했다.[3]

체스마는 살라미스 근해에서 연합군 함대에 합류하였다. 그 달 말에 그리스 함대의 무장해제를 요구하였고, 그리스가 연합국의 요구를 충족하기로 동의한 후에 출발했다. 체스마의 기계 장치는 12월 5일부터 버컨헤드에서 캠멜 레어드에 의해 정비, 개수되었으며, 체스마의 주갑판 6인치와 12파운드 포는 제거되었다. 그 대신 체스마는 상부탑에 장착된 4대의 대공포를 받았다. 체스마는 1917년 1월 16일에 무르만스크주 알렉산드롭스크에 도착했다. 체스마가 도착 직후 2월 혁명으로 정치적 상황은 매우 혼란해졌다.[1] 1917년 2월 3일, 체스마는 백해 함대에 편입되었다.[2] 1917년 10월, 승무원들은 볼셰비키 지지 선언을 했다, 그러나 1918년 3월에 무르만스크에서 연합군 상륙을 방해하려는 어떤 노력도 하지 않았다. 전함은 직후에 영국에 의해 ‘항해에 부적합한’ 것으로 여겨졌으며, 배를 노획하여 1919년 4월 40명의 볼셰비키 수감자 수용하기 위해 체스마를 떠 있는 감옥으로 사용했다. 영국군이 철수한 후 버려진 함선은 1920년 3월 붉은 군대에 점령되어 1920년 4월 24일 볼셰비키 백해 전대에 편입되었다. 어떤 군사적인 가치도 없었던 체스마는 1921년 6월 16일아르한겔스크 항구로 옮겨졌으며, 1924년 7월 3일에 해군 함적에서 제외된 후 폐기처분되었다.[3]

참조

[1] 문서 All dates used in this article are New Style
[2] 간행물 Effects of High-Angle Fire on Russian Ships at Port Arthur https://books.google[...]
[3] 문서 "Cwt" is the abbreviation for hundredweight, 12 cwt referring to the weight of the gun.
[4] 기타 軍艦丹後外一艦ヘ下付ノ勅諭ヲ還納ス p.3 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5] 문서 達第百十一號 戰利軍艦「ペレスウエート」外四隻左ノ通命名セラル 明治三十八年八月二十二日 海軍大臣男爵山本権兵衛|戰艦「ペレスウエート」 相摸/戰艦「ポルタワ」 丹後/一等巡洋艦「バヤーン」 阿蘇/二等巡洋艦「ワリヤーグ」 宗谷/二等巡洋艦「パルラダ」 津輕
[6] 문서 ◇丹後―ポルタワ
[7] 웹사이트 明治末期の軍事支出と財政・金融-戦時・戦後財政と転位効果の考察- https://www.nids.mod[...] 防衛研究所 2023-06-11
[8] 서적 日露海戦1905 Vol.1 旅順編 大日本絵画
[9] 서적 日露旅順海戦史
[10] 문서 旅順口内の爆沈艦ボルタワ主砲臺よりレトウ井ザンを望む
[11] 문서 旅順港に捕獲せられたる露艦、右よりペレスウエート、ポルタワ、レトウヰザン、ポビエーダ、パルラダの諸艦(三十八年四月八日撮影)
[12] 문서 戰利艦船處分一覽表|軍艦丹後|ポルタワ|同(戰艦)|同(排水量)一〇,九六〇|三十八年七月二十壱日|海軍ニテ使用|一〇,一八〇,〇〇〇|}旅順ニ沈没ノモノ
[13] 문서 丹後(たんご) 艦種一等戰艦 二檣(戰闘檣あり) 艦名考國名なり、丹後國に採る。艦歴舊露國軍艦、原名「ボルタワ」。明治31年進水、露國聖彼得堡造船所にて建造。日露戰役中露國太平洋艦隊として明治39年8月10日黄海々戰に参加、後ち旅順港打ちに於て破壊沈没。同38年1月1日(旅順の露軍降伏開城の日)我が海軍之が収容引揚に着手、同年8月22日帝國軍艦と定め「丹後」と命名、同年12月戰艦の等級を廢せらる。大正元年一等海防艦に編入、同年3年乃至9年戰役(日獨)從軍:同3年8月第二艦隊第二戰隊に属し青島戰に参加(艦長大佐秋澤芳馬)、同5年4月5日露國政府へ譲渡す。―要目― 長367呎/幅69呎/吃水25.6呎/排水量10,960噸/機關 直立三汽筩三聯成汽機2基、宮原式罐/馬力11,000/速力16/乗組人員750/船材 鋼(甲帶406粍)/兵装 12吋砲 4/6吋砲 12/3吋砲 10/47粍砲 4/發射管 4/起工 明治25/進水 同27-11-6/竣工 同31/建造所 露國セント・ピータースブルグ
[14] 기타 明治38年8月10日付 海軍大臣官房発行 官房第3040号 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15] 서적 Russian & Soviet Battleships
[16] 문서 ユリウス暦/グレゴリオ暦
[17] 서적 Russian & Soviet Battleships
[18] 서적 日露旅順海戦史
[19] 서적 日露旅順海戦史
[20] 서적 Russian Battleship vs Japanese Battleship
[21] 서적 日露海戦1905 旅順編
[22] 간행물 BATTLESHIPS of the IMPERIAL RUSSIAN NAVY: Part 2
[23] 서적 日露旅順海戦史
[24] 서적 日露旅順海戦史
[25] 서적 日露旅順海戦史
[26] 서적 日露旅順海戦史
[27] 문서 ここはグレゴリオ暦
[28] 서적 日露旅順海戦史
[29] 서적 日露旅順海戦史
[30] 서적 日露旅順海戦史
[31] 서적 日露旅順海戦史
[32] 간행물 BATTLESHIPS of the IMPERIAL RUSSIAN NAVY: Part 2
[33] 서적 Russian & Soviet Battleships
[34] 서적 Russian & Soviet Battleships
[35] 서적 日露旅順海戦史
[36] 서적 日露旅順海戦史
[37] 서적 日露旅順海戦史
[38] 문서 二、戰艦「ポルターワ」(排水量一〇,九六〇噸、三十八年五月二十九日引揚箸手、同年七月二十一日浮揚、同年八月二十二日丹後ト命名セラル同月二十四日旅順口發、同月二十九日舞鶴箸、囘航委員長ハ海軍大佐小田喜代藏、護衛艦ハ假装巡洋艦満州丸、通信艦ハ曙ナリ)
[39] 문서 第二節 引揚作業
[40] 문서 旅順戰利戰艦ポルタワ十二尹砲の陸揚/(一)はポルタワ(後に丹後と改名)の前部より見たるもの、(二)は其の引揚準備として、先づ十二尹砲塔砲を取り外し陸揚する所にて、之が爲め特に大連より回航せる六十噸の浮起重機船を用ゆる口径なり、因に言ふ十二尹砲一門の重量は約五十噸なり。
[41] 문서
[42] 간행물 ○戰利艦ノ浮揚 旅順口港内戰利艦ノ浮揚ニ關シ一昨二十二日接手シタル旅順口鎮守府司令長官柴山矢八ノ報告左ノ如シ(海軍省)戰艦「ポルターワ」(排水量一万九百六十噸)ハ本日(二十一日)早朝ヨリ排水ヲ始メ經過頗ル良好ニシテ午後三時全ク浮上セリ https://dl.ndl.go.jp[...] 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1905-07-24
[43] 문서 ◎戰利軍艦相摸丹後阿蘇宗谷津輕命名ノ件 明治三十八年八月二十二日(達一一一)
[44] 문서 ◎明治三十八年八月二十七日(達一一四)軍艦及水雷艇類別等級表中戰艦ノ欄一等ノ下「石見」ノ次ニ「相摸、丹後」ヲ、巡洋艦ノ欄一等ノ下「日進」ノ次ニ「阿蘇」ヲ、同二等ノ下「千歳」ノ次ニ「津輕、宗谷」ヲ加フ
[45] 문서 達第百四十四號 軍艦及水雷艇類別等級表中戰艦ノ欄一等ノ下「石見」ノ次ニ「相摸、丹後」ヲ、巡洋艦ノ欄一等ノ下「日進」ノ次ニ「阿蘇」ヲ、同二等ノ下「千歳」ノ次ニ「津輕、宗谷」ヲ加フ 明治三十八年八月二十七日 海軍大臣男爵 山本権兵衛
[46] 문서 第四節 内地回航
[47] 문서 明治三十八年凱旋観艦式艦艇配置圖
[48] 문서 日本海軍を襲った"パニック"
[49] 문서 第五節 凱旋觀艦式参列
[50] 문서 大觀艦式(明治三十八年珠月二十五日報知新聞)
[51] 문서 達第百八十一號 艦艇類別標準別表ノ通改メラル 明治三十八年十二月十二日 海軍大臣男爵 山本権兵衛
[52] 문서 ◎艦艇類別等級 明治三十八年十二月十二日(達一八二)
[53] 문서 達第百八十二號 艦艇類別等級別表ノ通定ム 明治三十八年十二月十二日 海軍大臣男爵 山本権兵衛(別表)|軍艦|戰艦| |富士、敷島、朝日、三笠、石見、相模、丹後、肥前、周防、
[54] 문서 達第十一號 艦艇類別標準別表ノ通改正セラル 大正元年八月二十八日 海軍大臣男爵 齋藤實
[55] 문서 ◎艦艇類別等級 大正元年八月二十八日(達一二)艦艇類別等級別表ノ通改正ス
[56] 문서 達第十二號 艦艇類別標準別表ノ通改正ス 大正元年八月二十八日 海軍大臣男爵 齋藤實(別表)|軍艦|海防艦|一等|壹岐、丹後、富士、石見、相模、周防
[57] 문서 一等海防艦 丹後
[58] 문서 達第六十四號 横須賀鎮守府在籍 軍艦 相模 軍艦 宗谷|呉鎮守府在籍 軍艦 丹後 右帝國軍艦籍ヨリ除カル 大正五年四月四日 海軍大臣 加藤友三郎
[59] 문서 大正五年四月四日(達六五)艦艇類別等級別表中軍艦ノ欄内「相模、」「宗谷、」「丹後、」ヲ削ル
[60] 문서 達第六十五號 艦艇類別等級別表中軍艦ノ欄内「相模、」「宗谷、」「丹後、」ヲ削ル 大正五年四月四日 海軍大臣 加藤友三郎
[61] 문서 ◇相模―ペレスウェート
[62] 문서 ▽ペトロパウロウスク(Petropavlovsk)
[63] 문서 ▽セバストポリ(Sevastopol)
[64] 논문 Effects of High-Angle Fire on Russian Ships at Port Arthur https://books.google[...]
[65] 문서 "Cwt"는 헌드레드웨이트(hundredweight )의 약자이며, 12 cwt는 포의 무게를 일컫는 말이다. 100웨이트(무게의 단위로 미국에서는 100파운드; 영국에서는 112파운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