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트 증후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레트 증후군은 주로 MECP2 유전자 돌연변이에 의해 발생하는 신경 발달 질환으로, 여성에게서 주로 나타난다. 생후 6개월에서 1년 6개월 사이에 발병하며, 손 비틀기, 언어 능력 상실, 운동 기능 저하 등의 증상을 보인다. 현재 근본적인 치료법은 없으며, 증상 완화를 위한 다학제적 치료가 이루어진다. 40세 이상 생존하는 여성 환자가 있는 반면, 남성은 생존이 어려운 경우가 많다. 1966년 안드레아스 레트에 의해 처음 기술되었으며, 여아 10,000명에서 20,000명당 1명꼴로 발병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유전자 치료를 포함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 중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X-연관 우성 질환 - 취약 X 증후군
취약 X 증후군은 X 염색체 FMR1 유전자 돌연변이로 발생하며, CGG 삼핵산 반복 횟수 증가로 FMR1 유전자 발현이 억제되어 지적 장애, 학습 장애, 특징적인 신체적 특징, 자폐 스펙트럼 장애 등을 동반하는 유전 질환이다. - 소아 신경계 질환 - 뇌성마비
뇌성마비는 태아 또는 영유아기의 비진행성 뇌 손상으로 운동 및 자세 발달에 영구적인 장애를 초래하는 질환으로,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하며 감각, 인지 등의 문제가 동반될 수 있고, 치료는 불가능하지만 다양한 중재를 통해 증상 완화 및 기능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 소아 신경계 질환 - 태아 알코올 증후군
태아 알코올 증후군은 임신 중 알코올 섭취로 인해 태아에게 발생하는 선천성 질환으로, 성장 부진, 특징적인 얼굴 기형, 중추 신경계 손상 등의 징후를 보이며 지적 장애, 학습 장애, 행동 장애 등 다양한 문제를 야기할 수 있고, 임신 중 금주를 통해 예방이 가능하다. - 전반적 발달장애 - 취약 X 증후군
취약 X 증후군은 X 염색체 FMR1 유전자 돌연변이로 발생하며, CGG 삼핵산 반복 횟수 증가로 FMR1 유전자 발현이 억제되어 지적 장애, 학습 장애, 특징적인 신체적 특징, 자폐 스펙트럼 장애 등을 동반하는 유전 질환이다. - 전반적 발달장애 - 상세불명의 전반적 발달장애
상세불명의 전반적 발달장애는 사회적 상호작용, 의사소통, 상동증적 행동에서 어려움을 겪지만 자폐증 등 다른 전반적 발달 장애의 진단 기준을 충족하지 않는 정신 의학적 장애로, 2013년 DSM-5에서 자폐 스펙트럼 장애로 통합되었고 ICD-10에서는 비정형 자폐증으로 분류되며, 다양한 중재를 통해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레트 증후군 | |
---|---|
일반 정보 | |
![]() | |
분야 | 정신 의학 임상 심리학 소아과 신경학 |
증상 | 언어 및 조정 장애, 반복적인 움직임, 느린 성장, 작은 머리 |
합병증 | 발작 척주측만증 수면 장애 |
발병 시기 | 생후 6~18개월 이후 |
지속 기간 | 평생 |
원인 | MECP2 유전자 돌연변이 |
진단 | 증상 기반, 유전자 검사 |
감별 진단 | 안젤만 증후군 자폐증 뇌성마비 소아기 붕괴성 장애 다양한 신경 퇴행성 질환 |
치료 | 특수 교육 물리 치료 보조기 |
약물 | 항경련제 |
예후 | 많은 환자의 기대 수명은 중년임. |
빈도 | 여성 8,500명 중 1명 남성의 경우 예외적인 경우를 제외하고는 치명적임. |
질병 이름 | |
영어 | Rett syndrome |
기타 이름 | 뇌 위축성 고암모니아혈증 (구식) 치매, 운동 실조, 목적 있는 손 사용 상실 증후군 |
일본어 | レット症候群 (렛토 쇼-코-군) |
한국어 | 레트 증후군 |
2. 원인
레트 증후군(RTT)의 주요 원인은 X 염색체에 위치한 MECP2 유전자의 돌연변이이다.[20][74] 이 돌연변이는 대부분 새롭게 발생하는 산발적인 형태이며[20], 레트 증후군으로 진단된 환자의 약 95%에서 MECP2 유전자 변이가 발견된다.[74]
약 10% 미만의 사례에서는 CDKL5 또는 FOXG1 유전자의 돌연변이가 레트 증후군과 유사한 증상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1][22][75]
레트 증후군은 임상적 관찰을 통해 진단되며, MECP2 유전자 검사 결과와 관련지어 진단하는 경우가 많다.[20] 이 질환은 신경퇴행성 질환이 아닌 신경발달 질환으로 보는 견해가 있으며, 이는 치료 연구의 방향 설정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23]
2. 1. MECP2 유전자
레트 증후군(RTT)은 주로 X 염색체의 MECP2 유전자에 발생하는 돌연변이가 원인이다.[20][74] 레트 증후군 환자의 약 95%에서 이 유전자의 변이가 발견되며[74], 이는 산발적으로 발생하거나 생식세포 돌연변이 형태로 나타날 수 있다.[20] 드물게는 CDKL5 또는 FOXG1 유전자의 돌연변이도 레트 증후군과 유사한 증상을 유발할 수 있다.[21][22][75]MECP2 유전자는 X 염색체 장완 말단 부근(Xq28)에 위치하며, MECP2 단백질 정보를 담고 있다. 이 단백질은 Methyl CpG binding protein 2|메틸 CpG 결합 단백질 2eng라고도 불리며, 메틸화된 DNA의 시토신 잔기, 특히 메틸화된 CpG 부위에 높은 친화력으로 결합한다.[54] 이를 통해 다른 유전자의 발현을 조절하는 전사 인자 역할을 수행하며, 이는 후성 유전학에 따른 유전자 발현 조절 방식이다. MECP2 단백질은 5-메틸시토신(5mc)과 5-하이드록시메틸시토신(5hmc)에 비슷한 친화력으로 결합할 수 있으며, 포유류 게놈 내 MECP2 결합 부위의 대부분은 이들 염기쌍으로 이루어져 있다.[54]
MECP2 단백질은 유전자 발현 조절 외에도 고차 염색질 구조 형성과 염색체 압축에 관여하는 것으로 보이며,[54] DNA 결합을 통해 mRNA 스플라이싱 과정에도 영향을 미친다. 또한 DNA 복구 과정에서도 역할을 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실제로 MECP2 유전자가 하나만 기능하는 암컷 생쥐(MECP2-/+)는 DNA 손상 물질에 노출되었을 때 세포 사멸률이 증가하고 조기 노화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관찰되었다.[54]
MECP2 단백질은 신경 세포뿐만 아니라 다른 여러 종류의 세포에서도 발견되지만, 이 유전자의 이상이 유독 뇌신경계에 특화된 질환인 레트 증후군을 일으키는 구체적인 이유는 아직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한편, 레트 증후군은 신경퇴행성 질환이라기보다는 신경발달 질환으로 간주하는 견해가 있다. 레트 증후군 모델 쥐에서 신경 세포의 뚜렷한 사멸이 관찰되지 않았다는 점이 그 근거 중 하나이다. 일부 연구에서는 성체 쥐에게 기능성 MECP2 유전자를 다시 도입했을 때 증상이 부분적으로 회복되는 결과가 나타났는데, 이는 레트 증후군 치료 연구에 중요한 단서를 제공했다.[23]
2. 2. 돌연변이 발생
레트 증후군(RTT)은 주로 X 염색체에 위치한 MECP2 유전자의 돌연변이에 의해 발생한다.[20][74] 레트 증후군으로 진단받은 환자의 95% 이상이 이 MECP2 유전자에 변이를 가지고 있으며[74], 이는 대부분 부모로부터 유전된 것이 아니라 아이에게서 새롭게 발생하는 ''드 노보'' 돌연변이(de novo mutation)이다.[24][25] 즉, 일반적으로 부모의 MECP2 유전자형은 정상이지만 아이에게서 돌연변이가 발생하는 것이다.이러한 ''드 노보'' 돌연변이는 거의 예외 없이 남성(아버지)의 X 염색체 사본에서 발생하여 정자를 통해 전달된다.[24][25] 정자 형성 과정에서 MECP2 유전자에 돌연변이가 생기는 구체적인 원인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으며, 이러한 유형의 유전자 이상은 드물게 발생한다.
드물게는 표현형이 정상인 어머니로부터 레트 증후군이 유전될 수도 있는데, 이는 어머니가 MECP2 유전자에 생식세포 돌연변이를 가지고 있는 경우이다.[26] 이 경우 유전은 X 염색체 우성 유전 패턴을 따르며, 해당 돌연변이를 가진 남성은 자궁 내에서나 출생 직후 사망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레트 증후군은 거의 여성에게서만 나타난다.[27] MECP2 유전자는 X 염색체의 장완 말단인 Xq28 영역에 위치한다.
RTT 사례의 약 10% 미만에서는 CDKL5 또는 FOXG1 유전자의 돌연변이가 레트 증후군과 유사한 증상을 유발하는 것으로 밝혀졌다.[21][22][75] 특히 영아 연축이나 조기 발병 간질을 특징으로 하는 비정형 레트 증후군은 ''사이클린 의존성 키나제 유사 5''(CDKL5)를 암호화하는 유전자의 돌연변이와 관련될 수 있다.
2. 3. 성별과 레트 증후군
일반적으로 여성의 성염색체는 아버지에게서 물려받은 X 염색체와 어머니에게서 물려받은 X 염색체를 각각 한 개씩 가지므로(성염색체형 XX), MECP2 유전자도 두 개를 가지고 있다. 레트 증후군 환자는 한쪽의 MECP2 유전자에 변이가 있는 상태이다. 만약 두 개의 X 염색체 MECP2 유전자 모두에 이상이 있을 경우, 발생 초기 단계에 치사적일 가능성이 높다.두 개의 X 염색체에 존재하는 유전자 중 어느 쪽 염색체의 유전자를 사용할지는 배아 발생 초기에 무작위로 결정되며, 사용되지 않는 X 염색체는 평생 불활성화된다(자세한 내용은 X 염색체 불활성화 참조). 그 결과, 약 절반의 세포에서는 정상적인 MECP2 단백질을 가지고, 나머지 세포에서는 변이형 MECP2 단백질을 가지는 상태가 된다. 이 변이형 MECP2를 가진 세포의 비율이나 분포 위치에 따라 중증도나 증상도 변화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한편 남성의 성염색체는 아버지에게서 물려받은 Y 염색체와 어머니에게서 물려받은 X 염색체를 가지므로(성염색체형 XY), MECP2 유전자는 하나만 가지고 있다. 만약 하나뿐인 MECP2 유전자에 중요한 변이가 생겼을 경우, 발생 초기 단계나 출생 후 빠른 단계에서 치사적으로 작용한다고 여겨지며, 따라서 남자아이의 레트 증후군 환자가 드물다고 설명된다. 남자아이로 레트 증후군 진단을 받는 환자는 거의 예외 없이 클라인펠터 증후군도 함께 가지고 있으며, Y 염색체 외에 X 염색체를 두 개 가지고 있다(성염색체형 XXY)고 보고되고 있다.
3. 증상
레트 증후군은 주로 여아에게 발생하는 퇴행성 신경 발달 장애로, 초기 발달 이후 습득했던 능력들을 점차 상실하는 특징을 보인다.[6] 뇌 발달 이상과 함께 머리 둘레 성장이 둔화된다.[6]
특징적으로 의도적인 손 사용 능력을 잃고, 손 비틀기, 손 씻는 듯한 행동, 손뼉 치기, 손가락 두드리기, 손을 반복적으로 입으로 가져가기와 같은 반복적인 손 움직임을 보인다.[6] 이 움직임은 깨어 있을 때 나타나며 잠잘 때는 사라지는 경향이 있다.[6]
습득했던 언어 능력을 상실하며 의사소통에 어려움을 겪고,[6] 보행 이상, 실행증, 운동실조 등 운동 능력 저하가 나타난다. 약 50% 정도는 보행 능력을 상실하며,[6] 시간이 지나면서 척추 측만증과 같은 척추 변형, 근력 약화, 경직, 강직성 등이 나타날 수 있다.[6]
무호흡증이나 과호흡 같은 호흡 이상이 나타날 수 있고, 수면 중에는 호전되는 경향이 있다.[6] 약 80% 이상에서 간질과 같은 발작이 나타나며, 심각한 수준의 정신 지체를 동반한다.[6]
레트 증후군은 일부 증상이 자폐 스펙트럼 장애나 뇌성마비와 유사하여 오진되기도 한다.
'''자폐 스펙트럼 장애와 유사한 증상'''[60][61]
- 발작적인 비명
- 달랠 수 없는 울음
- 눈 맞춤 회피
- 사회적/정서적 상호작용 부족
- 사회적 상호작용 조절을 위한 비언어적 행동의 현저한 손상
- 언어 상실
- 감각 문제
- 수면 퇴행
'''뇌성마비와 유사한 증상'''[62][63]
- 영양실조나 삼킴 곤란 등으로 인한 작은 키 및 신체 비율 변화
- 근육 저긴장증 (초기) 및 경직 (후기)
- 보행 능력 발달 지연 또는 부재, 보행/운동 어려움
- 운동실조
- 일부의 경우 소두증 - 비정상적으로 작은 머리, 좋지 않은 머리 성장
- 위장 문제
- 일부 형태의 경직
- 무도병 - 손 또는 안면 근육의 경련성 운동
- 근긴장 이상
- 이갈이 - 이빨을 가는 행위
3. 1. 발달 단계별 증상
레트 증후군은 일반적으로 4단계의 발달 과정을 거치며 진행된다.'''제1단계 (초기 발병 단계)'''
- '''시기:''' 생후 6개월에서 18개월 사이에 시작된다.[6]
- '''특징:''' 이 단계의 증상은 미묘하여 부모나 의사가 초기에 알아차리기 어려울 수 있다.[6] 영아는 눈 맞춤이 줄어들고 장난감에 대한 관심이 감소하는 모습을 보일 수 있다. 앉기나 기어가기와 같은 대근육 운동 발달이 지연될 수 있으며,[6] 손을 비트는 행동이나 머리 성장 속도 감소가 나타날 수 있지만 아직 뚜렷하지는 않다.[6]
- '''지속 기간:''' 보통 몇 달 동안 지속되지만, 1년 이상 이어지기도 한다.[6]
'''제2단계 (급속 파괴 단계)'''
- '''시기:''' 보통 1세에서 4세 사이에 시작된다.[6]
- '''특징:''' 이전에 습득했던 의도적인 손 기술과 언어 능력을 빠르게 또는 점진적으로 잃게 된다.[6] 손 비틀기, 씻는 듯한 행동, 박수치기, 두드리기, 손을 반복적으로 입으로 가져가는 등의 특징적인 손 움직임이 나타나기 시작한다.[6] 아이는 깨어 있는 동안 손을 등 뒤로 깍지 끼거나 옆구리에 대고 무작위로 만지고, 잡고, 놓는 행동을 반복할 수 있으며, 이러한 움직임은 잠자는 동안에는 사라진다.[6] 무호흡증이나 과호흡 같은 호흡 이상이 나타날 수 있으나, 수면 중에는 호흡이 안정되는 경향이 있다.[6] 일부 아이들은 사회적 상호작용 및 의사소통 능력 상실과 같은 자폐 스펙트럼과 유사한 증상을 보이기도 한다.[6] 걷는 모습이 불안정해지고 운동 동작을 시작하는 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으며, 머리 성장 속도가 눈에 띄게 느려지는 것이 관찰된다.[6]
- '''지속 기간:''' 몇 주 또는 몇 달 동안 지속될 수 있다.[6]
'''제3단계 (안정기 또는 유사 정지 단계)'''
- '''시기:''' 대개 2세에서 10세 사이에 시작된다.[6]
- '''특징:''' 실행증, 운동 문제, 발작 등이 두드러지는 시기이다.[6] 하지만 이전 단계에서 보였던 과민성, 울음, 자폐 스펙트럼 유사 특징은 줄어드는 등 행동적인 개선이 나타날 수 있다.[6] 주변 환경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경계심, 주의 집중 시간, 의사소통 능력이 향상될 수도 있다.[6] 많은 환자들이 인생의 상당 기간을 이 단계에서 보낸다.[6]
- '''지속 기간:''' 수년간 지속될 수 있다.[6]
'''제4단계 (후기 운동 기능 저하 단계)'''

- '''시기:''' 명확한 시작 시점은 없으나 3단계 이후에 시작된다.[6]
- '''특징:''' 운동 능력이 점차 감소하며, 척추 측만증 등 척추 만곡, 근력 약화, 경직, 강직성, 근육 긴장 증가로 인한 팔다리의 비정상적인 자세 등이 주요 특징이다.[6] 이전에 걸을 수 있었던 경우에도 보행 능력을 상실할 수 있다.[6] 하지만 인지 능력, 의사소통 능력, 손 기술은 일반적으로 이 단계에서 더 저하되지 않는다.[6] 반복적인 손 움직임은 줄어들 수 있으며, 시선 고정 능력은 오히려 개선되기도 한다.[6]
- '''지속 기간:''' 수년 또는 수십 년 동안 지속될 수 있다.[6]
3. 2. 변이형
레트 증후군의 전형적인 징후와 증상 외에도, 지난 몇 년간 몇 가지 비전형적인 형태가 보고되었다.[9] 주요 변이형은 다음과 같다.- 선천성 변이 (롤란도 변이): 이 심각한 하위 유형에서는 환자의 발달과 머리 둘레가 출생 시부터 비정상적이다.[10] 레트 증후군 환자에게서 일반적으로 나타나는 특징적인 시선은 보이지 않는 경우가 많다.
- 자펠라 변이 (언어 보존 변이): 이 하위 유형에서는 환자가 수동 기술을 습득하고, 5세경(퇴행기 이후)에 언어가 부분적으로 회복된다. 신장, 체중, 머리 둘레는 정상 범위인 경우가 많으며, 양호한 대근육 운동 기능이 관찰될 수 있다.[11][12][13][14][15][16] 자펠라 변이는 레트 증후군 중 비교적 가벼운 형태로 간주된다.
- 하네펠트 변이 (조기 간질 변이): 이 형태에서는 환자가 생후 5개월 이전에 간질 발작을 경험한다.[17]
레트 증후군의 정의 자체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개선되어 왔다. 비전형적인 형태들이 전형적인 형태와 유사성을 보이기 때문에 (Hagberg & Gillberg, 1993), "레트 복합체"라는 용어가 도입되기도 했다.[18][19]
4. 진단
레트 증후군의 진단은 주로 아동의 성장 및 발달 과정을 면밀히 관찰하는 것에서 시작된다.[58] 특히 머리 성장 속도가 점차 감소하는 양상이 나타날 때 레트 증후군을 의심해 볼 수 있으며, 진단 과정에서는 비슷한 증상을 보이는 다른 질환들을 먼저 배제하는 것이 중요하다.[58]
유전자 검사를 통해 MECP2 유전자의 돌연변이 유무를 확인하는 것이 진단에 도움이 될 수 있다. 그러나 이 돌연변이는 다른 질환에서도 발견될 수 있으므로, 유전자 검사 결과만으로 레트 증후군을 확진할 수는 없다.[59] 따라서 임상적인 증상 관찰과 정해진 진단 기준을 충족하는지 여부를 종합적으로 평가하여 진단한다.
레트 증후군 진단에는 특정 기준들이 적용되며, 자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진단 기준)에서 다룬다. 때때로 레트 증후군 아동이 자폐증, 뇌성마비 또는 다른 형태의 발달 지연으로 잘못 진단받는 경우가 있어, 정확한 진단 기준을 적용하는 것이 중요하다.[59]
4. 1. 진단 기준

유전적 원인이 밝혀지기 전까지 레트 증후군은 자폐 스펙트럼 장애와 함께 ''정신 질환 진단 및 통계 편람(DSM)''에 의해 전반적 발달 장애로 분류되었다. 일부에서는 레트 증후군이 자폐적 특징을 나타내지만, 취약 X 증후군, 결절성 경화증, 다운 증후군과 같은 비자폐성 질환과 유사하다는 점을 들어 이러한 분류에 반대하기도 했다.[56] 연구를 통해 분자적 기전이 증명된 후, 2013년 개정된 DSM-5에서는 이 증후군을 정신 질환 분류에서 제외했다.[57]
레트 증후군 진단은 아동의 성장 및 발달 과정을 면밀히 관찰하여 발달 지표 상의 이상 유무를 확인하는 과정을 포함한다.[58] 특히 머리 성장 속도 감소가 관찰될 때 진단을 고려하며, 유사한 증상을 보이는 다른 질환들을 먼저 배제하는 것이 중요하다.[58]
진단을 위해 충족해야 하는 특정 기준이 있다. 혈액 검사로 MECP2 유전자 돌연변이 유무를 확인할 수 있지만, 이 돌연변이는 다른 질환에서도 나타날 수 있으므로 이것만으로 확진하지는 않는다.[59]
전형적인 레트 증후군 진단은 아래 표의 '진단 확정 기준' 4가지와 '진단 배제 기준' 2가지를 모두 만족해야 한다. '보조 기준'은 진단에 도움이 될 수 있으나 필수 요건은 아니다. 비전형적 또는 변이형 레트 증후군 진단은 '진단 확정 기준' 중 최소 2가지와 11가지 '보조 기준' 중 5가지 이상을 충족해야 한다. 또한, 증상 악화 후 회복 또는 안정화 기간이 관찰되어야 한다.[59] 레트 증후군 아동은 자폐증, 뇌성마비 또는 다른 발달 지연으로 오진되는 경우가 있어 정확한 진단 기준 적용이 중요하다. MECP2 돌연변이 검사 결과가 양성이라도 진단 기준을 충족하지 않으면 레트 증후군으로 진단할 수 없다.[59]
5. 치료
현재까지 레트 증후군을 근본적으로 치료할 수 있는 방법은 없다.[6] 따라서 치료는 환자가 겪는 여러 증상을 완화하고 남아있는 기능을 최대한 개선하는 데 중점을 둔다.[6] 약물 치료나 다양한 요법, 필요한 경우 수술 등을 통해 증상을 관리할 수 있지만, 병 자체를 없애지는 못한다.
레트 증후군 환자 관리는 보통 평생에 걸쳐 이루어지며, 여러 분야 전문가들의 협력이 필수적이다. 일차 진료 의사를 비롯해 물리 치료사, 작업 치료사, 언어 치료사, 영양사 등이 팀을 이루어 환자를 돌보는 다학제적 접근 방식이 일반적이다. 또한 학업 및 직업 환경에서의 지원도 중요하다.[6] 개인의 필요에 따라 척추측만증 진행을 늦추기 위한 보조기, 반복적인 손 움직임을 조절하기 위한 부목, 적절한 체중 유지를 돕는 영양 프로그램과 같은 특수 장비나 보조 기구가 활용되기도 한다.[6]
특정 증상, 예를 들어 QT 연장 증후군과 관련된 심장 문제나 호흡 문제 등을 관리하기 위한 치료가 이루어지기도 한다.[64][65][67]
레트 증후군은 MECP2 유전자 변이로 인해 발생하는 질환이므로, 증상의 진행을 막거나 원인을 해결하는 치료법은 아직 개발되지 않았다. 현재로서는 환자 개개인이 보이는 증상에 맞춰 대증 요법을 시행하는 것이 최선이다. 쥐 실험 등을 통해 유전자 치료의 가능성이 제시되기도 했지만, 아직은 기초 연구 단계에 머물러 있다.
5. 1. 치료 방법
현재 레트 증후군을 완전히 치료하는 방법은 없으며, 치료는 증상을 완화하고 기능을 개선하는 데 중점을 둔다.[6] 환자의 상태를 관리하기 위해 약물, 치료 요법, 때로는 수술 등이 사용될 수 있지만, 근본적인 치료는 아직 불가능하다.환자 관리는 보통 평생에 걸쳐 여러 분야 전문가들로 구성된 팀이 협력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이 팀에는 일차 진료 의사, 물리 치료사, 작업 치료사, 언어 치료사, 영양사 및 학업/직업 환경 지원 서비스 전문가 등이 포함될 수 있다.[6] 환자의 필요에 따라 척추측만증을 관리하기 위한 보조기, 손의 반복적인 움직임을 조절하기 위한 부목, 적절한 체중 유지를 돕는 영양 프로그램과 같은 특수 장비나 보조 기구가 사용되기도 한다.[6]
약물 치료는 특정 증상을 관리하는 데 사용된다. 예를 들어, 매년 실시하는 심전도 검사에서 QT 연장 증후군이 발견될 경우, 이는 급성 심장사 위험을 높일 수 있으므로 베타 차단제와 같은 항부정맥제로 치료한다. 일부 연구에서는 페니토인이 베타 차단제보다 더 효과적일 수 있다는 결과도 있다.[64]
호흡 문제 관리를 위한 약물 치료는 아직 개발 중이지만,[65] 환자들은 예방 또는 응급 상황에서 재호흡 기법(예: 재호흡 마스크 사용), 산소 공급, 비침습적 환기 등의 처방을 받을 수 있다. 레트 증후군 환자들은 높은 산화 스트레스 수준을 보이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심혈관 및 호흡기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쳐[65] 급성 심장사 위험을 일반적인 경우보다 300배나 증가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66] 따라서 비정상적인 호흡 패턴을 면밀히 관찰하고, 처방된 호흡 보조 장치나 전략을 효과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67] 치료 방법은 환자가 보이는 호흡 특성(표현형)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주요 표현형으로는 힘찬 호흡, 미약한 호흡, 무호흡 호흡 등이 확인되었다.[68] 예를 들어, 힘찬 호흡 표현형을 보이는 환자는 깨어 있는 동안 재호흡 마스크를 사용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다.[68]
레트 증후군은 MECP2 유전자 변이로 인해 발생하므로, 근본적인 치료법이나 증상 진행을 막는 방법은 아직 없다. 현재로서는 각 환자의 증상에 맞춰 대증 요법을 시행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쥐를 이용한 실험에서 MECP2 유전자를 제거했을 때 레트 증후군과 유사한 증상이 나타났다가, 정상적인 MECP2 유전자를 다시 주입했을 때 증상이 개선되는 결과가 확인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유전자 치료 등이 미래의 효과적인 치료법이 될 가능성이 있지만, 아직은 기초 연구 단계에 머물러 있다.
6. 예후
레트 증후군을 유발하는 MECP2 유전자는 X 염색체에 위치한다. 따라서 X 염색체에 MECP2 돌연변이를 가진 여성은 다른 X 염색체에 있는 정상 유전자의 영향을 받지만, 남성은 X 염색체가 하나뿐이고 Y 염색체만 있어 정상 유전자가 없다. 이로 인해 MECP2 돌연변이가 있는 남성 태아는 질병의 진행을 늦출 정상 단백질이 부족하여 대부분 만삭까지 생존하지 못한다.
병원성 ''MECP2'' 돌연변이가 있는 남성은 일반적으로 심각한 뇌병증으로 인해 출생 후 2년 이내에 사망하는 경우가 많다. 다만, 클라인펠터 증후군처럼 하나 이상의 추가 X 염색체를 가지고 있거나 체성 모자이크가 있는 경우는 예외적으로 생존 기간이 길어질 수 있다.[69] 즉, 레트 증후군의 영향을 받는 배아가 생존하기 위해서는 대부분의 경우 비돌연변이 ''MECP2'' 유전자를 가진 다른 X 염색체가 필요하다.
드물지만, 여성의 전형적인 레트 증후군과 관련된 MECP2 돌연변이를 가진 46,XY 핵형의 남성이 만삭까지 생존하여 신생아 뇌병증을 앓다가 2세 이전에 사망한 사례도 보고되었다.[70] 남성에게서 레트 증후군이 발생하는 정확한 빈도는 남성 태아의 낮은 생존율과, MECP2 돌연변이로 인한 증상과 레트 증후군 자체의 증상 간 차이 때문에 명확히 알려져 있지 않다.[70]
반면, MECP2 돌연변이가 있는 여성은 다른 X 염색체의 정상 유전자 덕분에 생존에 충분한 정상 단백질을 가지므로 남성보다 더 오래 생존할 수 있으며, 40년 이상 생존하는 경우도 있다.
레트 증후군에 대한 실험실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이상 소견이 나타날 수 있다.
- 2세부터 나타나는 EEG 이상
- 비정형적인 뇌 글리콜리피드
- 뇌척수액(CSF) 내 베타-엔도르핀 및 글루탐산 수치 상승
- 물질 P 감소
- 뇌척수액(CSF) 내 신경 성장 인자 수치 감소
레트 증후군 환자의 사망률은 높으며, 갑작스럽게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사망 원인이 명확히 밝혀지지 않는 경우도 있지만, 다음과 같은 원인으로 추정된다.
7. 역사
오스트리아 빈의 소아과 의사인 안드레아스 레트가 1966년에 이 질환을 처음으로 기술했다.[6][72] 그의 저술은 독일어로 작성되었기 때문에 영어권에서는 널리 알려지지 않았다.[7] 스웨덴의 소아과 의사 벵트 하그베르크는 1983년에 영어 논문을 발표하고 레트의 이름을 따서 이 질환의 이름을 명명했다.[7] 1999년, 레바논계 미국인 의사 후다 조그비는 이 질환을 유발하는 돌연변이를 발견했다.[7][8]
8. 역학
9. 연구 동향
현재 약물 치료나 다른 요법, 수술 등을 통해 증상을 완화시킬 수는 있지만, 레트 증후군을 완전히 치료하는 방법은 아직 없다. 그러나 증후군을 완전히 완화할 수 있는 치료법 개발에 대한 기대가 모아지고 있다.
특히 유전자 치료 분야에서 활발한 연구가 진행 중인데, 이는 정상적인 MECP2 유전자가 체내에서 제대로 기능하도록 만드는 것을 목표로 한다. 현재 동물 모델을 이용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6] 2022년 3월에는 테이사 유전자 치료(Taysha Gene Therapies)가 개발 중인 조사 유전자 치료에 대해 캐나다 보건부로부터 임상 시험 승인을 받기도 했다. 이는 레트 증후군을 앓는 성인 여성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이다.[73]
참조
[1]
서적
Handbook of Pediatric Neuropsychology
https://books.google[...]
Springer Publishing Company
2010-10-25
[2]
논문
Rett Syndrome: Coming to Terms with Treatment
2014
[3]
웹사이트
MeSH Browser
https://meshb.nlm.ni[...]
2019-10-22
[4]
웹사이트
Rett Syndrome
https://rarediseases[...]
2017-10-14
[5]
웹사이트
Rett syndrome
https://ghr.nlm.nih.[...]
2017-10-14
[6]
웹사이트
Rett Syndrome Fact Sheet
https://www.ninds.ni[...]
2017-10-14
[7]
논문
The American History of Rett Syndrome
2014-01
[8]
논문
Rett syndrome is caused by mutations in X-linked MECP2, encoding methyl-CpG-binding protein 2
[9]
논문
Rett syndrome: Revised diagnostic criteria and nomenclature
[10]
논문
FOXG1 is Responsible for the Congenital Variant of Rett Syndrome
2008-07-11
[11]
논문
The rett girls with preserved speech
[12]
논문
Rett Syndrome - Distribution of Phenotypes with Special Attention to the Preserved Speech Variant
[13]
논문
"[Rett syndrome a developmental disorder. Presentation of a variant with preserved speech]"
1995-02-20
[14]
논문
The preserved speech variant of the Rett complex: A report of 8 cases
[15]
논문
Diagnostic criteria for the Zappella variant of Rett syndrome (the preserved speech variant)
2009-03
[16]
논문
EEG features and epilepsy in MECP2-mutated patients with the Zappella variant of Rett syndrome
2010-05
[17]
논문
The spectrum of phenotypes in females with Rett Syndrome
[18]
논문
Communication in Rett syndrome complex
[19]
논문
The preserved speech variant: A subgroup of the Rett complex: A clinical report of 30 cases
[20]
논문
Rett Syndrome: Revised Diagnostic Criteria and Nomenclature
2010
[21]
논문
In Silico Study of Rett Syndrome Treatment-Related Genes, MECP2, CDKL5, and FOXG1, by Evolutionary Classification and Disordered Region Assessment
2019
[22]
논문
Comparison of core features in four Developmental Encephalopathies in the Rett Natural History Study
2020
[23]
논문
Reversal of Neurological Defects in a Mouse Model of Rett Syndrome
[24]
논문
MECP2 Mutations in Sporadic Cases of Rett Syndrome Are Almost Exclusively of Paternal Origin
[25]
웹사이트
Rett Syndrome - Symptoms, Causes, Treatment
https://rarediseases[...]
2024-02-05
[26]
논문
Rett syndrome is caused by mutations in X-linked MECP2, encoding methyl-CpG-binding protein 2
[27]
웹사이트
Rett syndrome
https://ghr.nlm.nih.[...]
2016-05-29
[28]
논문
Complex single gene disorders and epilepsy
[29]
논문
Cerebrospinal fluid biogenic amines and biopterin in Rett syndrome
[30]
논문
Biogenic Amines in Rett Syndrome: The Usual Suspects
[31]
서적
Handbook of Chemical Neuroanatomy
Elsevier
[32]
논문
The locus coeruleus–noradrenergic system: Modulation of behavioral state and state-dependent cognitive processes
[33]
논문
Pathophysiology of Locus Ceruleus Neurons in a Mouse Model of Rett Syndrome
[34]
논문
Progressive noradrenergic deficits in the locus coeruleus of Mecp2 deficient mice
[35]
서적
Handbook of Chemical Neuroanatomy
Elsevier
[36]
서적
Handbook of Chemical Neuroanatomy
Elsevier
[37]
논문
Dopamine neuron systems in the brain: An update
[38]
논문
Functional anatomy of the basal ganglia. I. The cortico-basal ganglia-thalamo-cortical loop
[39]
논문
Molecular effects of dopamine on striatal-projection pathways
[40]
논문
Parkinson's disease
[41]
논문
Parkinson's Disease
[42]
논문
Functional models of Parkinson's disease: A valuable tool in the development of novel therapies
[43]
논문
Rett syndrome and associated movement disorders
[44]
논문
Rett Syndrome: A Prototypical Neurodevelopmental Disorder
[45]
논문
Early motor disturbances in Rett syndrome and its pathophysiological importance
[46]
논문
A mouse Mecp2-null mutation causes neurological symptoms that mimic Rett syndrome
[47]
논문
Deficiency of methyl-CpG binding protein-2 in CNS neurons results in a Rett-like phenotype in mice
[48]
논문
Transcriptional repression by the methyl-CpG-binding protein MeCP2 involves a histone deacetylase complex
[49]
논문
Postnatal inactivation reveals enhanced requirement for MeCP2 at distinct age windows
[50]
논문
Mouse models of Rett syndrome: From behavioural phenotyping to preclinical evaluation of new therapeutic approaches
[51]
논문
Loss of MeCP2 in aminergic neurons causes cell-autonomous defects in neurotransmitter synthesis and specific behavioral abnormalities
[52]
논문
Morphological and functional alterations in the substantia nigra pars compacta of the Mecp2-null mouse
[53]
논문
The Ups and Downs of BDNF in Rett Syndrome
[54]
논문
The Molecular Functions of MeCP2 in Rett Syndrome Pathology
[55]
논문
Rett syndrome – biological pathways leading from MECP2 to disorder phenotypes
2016-11-25
[56]
논문
Is Rett syndrome a subtype of 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s?
https://deepblue.lib[...]
2018-04-20
[57]
서적
Chapter 8. Neurodevelopmental Disorders, The American Psychiatric Publishing Textbook of Psychiatry
American Psychiatric Publishing
2014-03-18
[58]
웹사이트
Rett syndrome Tests and diagnosis
http://www.mayoclini[...]
[59]
웹사이트
About Rett syndrome - Rett Syndrome Diagnosis
https://www.rettsynd[...]
International Rett Syndrome Foundation
2020-05-10
[60]
웹사이트
Seven Disorders Closely Related to Autism
https://autism.org/r[...]
2024-02-05
[61]
논문
The relationship of Rett syndrome and MECP2 disorders to autism
2012
[62]
웹사이트
Rett Syndrome {{!}} Rady Children's Hospital
https://www.rchsd.or[...]
2024-02-05
[63]
웹사이트
Cerebral Palsy Misdiagnosis
https://www.cerebral[...]
2024-02-05
[64]
논문
Pathogenesis of Lethal Cardiac Arrhythmias in Mecp2 Mutant Mice: Implication for Therapy in Rett Syndrome
2011-12-14
[65]
논문
Autonomic breathing abnormalities in Rett syndrome: caregiver perspectives in an international database study
[66]
논문
Rett syndrome: a neurological disorder with metabolic components
2018-02
[67]
논문
Subclinical myocardial dysfunction in Rett syndrome
https://pubmed.ncbi.[...]
2021-11-29
[68]
논문
Management of a severe forceful breather with Rett Syndrome using carbogen
https://www.brainand[...]
2021-11-29
[69]
논문
Rett Syndrome in a Boy with a 47,XXY Karyotype Confirmed by a Rare Mutation in the MECP2 Gene
[70]
논문
Delineation of large deletions of the MECP2 gene in Rett syndrome patients, including a familial case with a male proband
[71]
논문
Cardiac disease and Rett syndrome
2006-05
[72]
논문
"[On an unusual brain atrophy syndrome in hyperammonemia in childhood]"
1966-09-10
[73]
뉴스
Taysha Gene Therapies Announces Initiation of Clinical Development of TSHA-102 in Rett Syndrome
https://ir.tayshagtx[...]
2022-05-06
[74]
논문
Rett syndrome is caused by mutations in X-linked MECP2, encoding methyl-CpG-binding protein 2
http://web.mit.edu/7[...]
2015-12-23
[75]
웹사이트
렛트(Rett)症候群
https://web.archive.[...]
小児慢性特定疾病情報センター
2015-12-23
[76]
서적
Handbook of Pediatric Neuropsychology
https://books.google[...]
Springer Publishing Company
2010-10-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