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가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가다는 고대 인도에 존재했던 왕국으로, 현재의 비하르 주 파트나와 가야 지역에 위치했다. 철기 시대에 급격히 발전했으며, 갠지스 강을 통한 수운과 풍부한 자원을 바탕으로 세력을 확장했다. 브리하드라타 왕조, 하리얀카 왕조, 샤이슈나가 왕조, 난다 왕조, 마우리아 제국 등 여러 왕조가 마가다를 통치했으며, 아소카 왕 시대에 인도 아대륙 거의 전역을 지배했다. 불교와 자이나교의 중요한 중심지였으며, 빔비사라, 아자타샤트루, 마하비라 등 역사적인 인물들이 마가다와 관련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네팔의 옛 군주국 - 팔라 제국
팔라 제국은 8세기 중반 벵골 지역에 고팔라 1세가 건국하여 다르마팔라와 데바팔라 시대에 전성기를 누렸으나, 12세기 중엽 세나 왕조에 의해 멸망한 불교를 후원한 왕조이다. - 네팔의 옛 군주국 - 고르카 왕국
- 비하르주의 옛 왕국 - 팔라 제국
팔라 제국은 8세기 중반 벵골 지역에 고팔라 1세가 건국하여 다르마팔라와 데바팔라 시대에 전성기를 누렸으나, 12세기 중엽 세나 왕조에 의해 멸망한 불교를 후원한 왕조이다. - 비하르주의 옛 왕국 - 난다 제국
난다 제국은 기원전 345년경 마가다 왕국을 멸망시키고 마하파드마 난다에 의해 건국되어 강력한 군사력과 경제력을 바탕으로 북인도 대부분 지역에 영향력을 행사했으나, 기원전 321년경 찬드라굽타 마우리아에 의해 멸망했다. - 마가다 - 마우리아 제국
마우리아 제국은 찬드라굽타 마우리아가 건국하여 아소카 대제 때 최전성기를 누렸으나 쇠퇴하여 숭가 제국에 의해 멸망한 고대 인도 제국으로, 중앙집권적 통치, 불교 전파, 헬레니즘 교류 등의 특징을 가지며 인도 문화와 역사에 큰 영향을 남겼다. - 마가다 - 파탈리푸트라
파탈리푸트라는 고대 인도에서 여러 왕조의 수도로서 번영했으며, 마우리아 제국 시대에 최전성기를 맞이했으나 갠지스 강 유역 변화 등으로 쇠퇴하여 현재는 파트나 지역의 유적에서 고대 인도의 역사와 문화를 연구하는 데 중요한 자료가 발굴되고 있다.
마가다 - [옛 나라]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공식 명칭 | 마가다 |
시대 | 철기 시대 |
존속 기간 | 기원전 1700년 – 서기 550년 |
현재 국가 | 인도 네팔 파키스탄 부탄 아프가니스탄 방글라데시 |
![]() | |
![]() | |
지리 및 수도 | |
수도 | 라자그리하 (기리브라자) 이후 파탈리푸트라 (현재의 파트나) |
언어 및 종교 | |
공용어 | 산스크리트어 마가다 프라크리트어 아르다마가디 프라크리트어 |
종교 | 브라만교 불교 자이나교 |
정치 | |
정부 형태 | (정보 없음) |
마가다 기반 왕조 및 제국 | (정보 없음) |
주요 지도자 | (정보 없음) |
역사 | |
선행 국가 | 키카타 왕국 |
후행 국가 | 사타바하나 왕조 칼링가 (마하메가바나) 비다르바 왕국 |
기타 정보 | |
통화 | 파나 |
주민 | 마가다인 |
2. 지리
마가다 왕국의 초기 영토는 북쪽으로 갠지스 강, 서쪽으로 손 강, 동쪽으로 참파 강이 경계를 이루었으며, 남쪽 경계는 빈디아산맥의 동쪽 끝자락이었다.[31][3] 따라서 초기 마가다 왕국의 영토는 오늘날 인도 비하르주의 파트나구와 가야구에 해당한다.[31]
마가다는 인도에서 철기 시대가 시작된 시기에 급격히 발전했으며, 갠지스강을 통한 수운과 삼림 자원이 풍부했다. 초기 마가다 왕국의 영토는 북쪽, 서쪽, 동쪽이 각각 갠지스 강, 슨 강, 캄파 강에 의해 경계 지어졌으며, 남쪽 경계는 빈디야 산맥의 동쪽 끝자락이었다. 따라서 초기 마가다 왕국의 영토는 인도 비하르 주의 현재 파트나 지역과 가야 지역에 해당한다.[3]
대마가다 지역은 갠지스 평원 동부의 이웃 지역을 포함하며 독특한 문화와 신념을 가지고 있었다. 기원전 500년 이후 2차 도시화의 많은 부분이 이곳에서 발생하였고 자이나교와 불교가 이곳에서 창시되었다.
3. 역사
마가다 지역은 신분 제도가 느슨한 지역이었던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갠지스강 상류 지역의 노예 제도 사회였던 아리아 부족으로부터 신분 제도의 혼란을 비판받고 경멸당했다. 이는 마가다 지역이 당시 아리아 부족에게는 외지였고, 전통적인 브라만교의 관습이나 권위의 영향력이 없었던 것과 관련이 있다. 마가다국은 오래된 브라만교 계통의 문헌에서는 '''키카타'''라고도 불린다.
마가다국의 기원에 대해서는 브라만교 계통의 문헌에 전설적인 설화가 남아 있다. 쿠루족의 대왕 바수가 다섯 명의 아들에게 영토를 분할했을 때, 장남이 마가다국의 통치자가 되었다. 브리하드라타 왕조의 자라산다왕이나 사하데바왕 등은 『마하바라타』의 주요 등장인물이다.
석가모니와 관련된 설화에 등장하는 빔비사라왕과 아자타샤트루왕 시대에 앙가국을 정복하는 등을 통해 마가다국의 세력이 크게 확장되었다. 이 무렵의 수도는 라자그리하(왕사성)였으며, 우다인왕은 수도를 갠지스강 연안의 파탈리푸트라(화씨성)로 천도했다.
시슈나가 왕조는 불교 계통의 문헌에서 매우 중요시된다. 그 후에도 마가다국은 주변의 크고 작은 나라들을 차례로 정복, 속국으로 만들어 기원전 4세기에 성립된 난다 왕조, 마우리아 왕조의 찬드라굽타를 거쳐 아소카왕 시대에는 인도 아대륙의 거의 전역을 지배하게 되었다. 그 후 슝가 왕조, 칸바 왕조로 마가다국은 계속되었다.
기원전의 마가다국은 남인도의 데칸 고원에 거점을 둔 사타바하나 왕조에 멸망했다.
서기 320년(구프타 기원)에 이 마가다 지역에서 파탈리푸트라를 수도로 하는 찬드라굽타 1세의 굽타 왕조가 탄생한다.
3. 1. 초기 역사 (기원전 1700년경 ~ 기원전 6세기)
아타르바베다에는 마가다인들이 앙가, 간다라, 무자바트인들과 함께 언급되어 있다.[32] 왕국의 중심지는 갠지스강 남쪽의 비하르 지역이었으며, 첫 번째 수도는 기리브라자(오늘날 라지기르)였다.
마가다의 초기 통치자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는 거의 남아있지 않다. 초기 마가다 역사를 다룬 사료로는 팔리어 불경과 자이나교 경전 및 힌두교 경전들이 있으며, 힌두교 경전 중 하나인 마하바라타에서는 브리하드라타를 마가다의 첫번째 통치자로 부른다. 브리하드라타 왕조의 마지막 왕인 리푼자야가 신하 풀리카에게 살해되고 풀리카의 아들 프라드요타가 새로운 왕이 되면서 프라드요타 왕조가 설립되었으며, 빔비사라의 하리얀카 왕조가 등장할 때까지 번성했다.
3. 1. 1. 브리하드라타 왕조
푸라나에 따르면 브리하드라타 왕조는 마가다의 첫 번째 통치 왕조였다.[1]
3. 1. 2. 키카타 왕조
일부 학자들은 리그베다(3.53.14)에서 그들의 통치자 프라마간다와 함께 언급된 키카타 부족을 마가다족의 조상으로 보았는데, 이는 키카타가 후기 문헌에서 마가다의 동의어로 사용되기 때문이다.[32] 아타르바베다에서 묘사된 마가다와 마찬가지로 리그베다에서는 키카타를 베다 의식을 수행하지 않은 인도 브라만교의 경계에 사는 적대적인 부족으로 묘사한다.[33]
3. 2. 마하자나파다 시대 (기원전 6세기 ~ 기원전 4세기)
석가모니와 관련된 설화에 등장하는 빔비사라 왕과 아자타샤트루 왕은 이 시기 마가다의 대표적인 왕이다. 이들은 앙가국을 정복하는 등 마가다국의 세력을 크게 확장했다. 이 무렵 수도는 라자그리하(왕사성)였으며, 이 도시에는 죽림정사가 있었고 근처에는 영취산이 있었다. 우다인 왕은 수도를 갠지스강 연안의 파탈리푸트라(화씨성)로 천도했다.
마가다는 갠지스강 하류(현재의 비하르 주 부근과 북벵골)에 위치했으며, 인도에서 철기 시대가 시작된 직후였기 때문에 당시 인도 최대의 철광석 산지이자 갠지스강을 통한 수운과 삼림 자원이 풍부하여 급격히 발전했다.
마가다 지역은 신분 제도가 느슨한 지역(노예가 적었다)으로 알려져 있으며, 갠지스강 상류 지역의 노예 제도 사회였던 아리아 부족으로부터 신분 제도의 혼란을 비판받고 경멸당했다. 이는 마가다 지역이 당시 아리아 부족에게는 외지였고, 전통적인 브라만교의 관습이나 권위의 영향력이 없었던 것과 관련이 있다. 마가다국은 오래된 브라만교 계통의 문헌에서는 '''키카타'''라고도 불렸는데, 마가다라는 이름과 함께 강한 경멸의 뜻을 담고 있다.
마가다국의 기원에 대해서는 브라만교 계통의 문헌에 전설적인 설화가 남아 있다. 쿠루족의 대왕 바수가 다섯 명의 아들에게 영토를 분할했을 때, 장남 브리하드라타가 마가다국의 통치자가 되었다. 브리하드라타가 창건한 왕조는 브리하드라타 왕조(Brihadratha dynasty영어)라고 불린다. 이 왕조의 자라산다 왕이나 사하데바 왕 등은 인도의 두 대 서사시 중 하나인 『마하바라타』의 주요 등장인물이다.
3. 2. 1. 2차 도시화
제2차 도시화의 상당 부분은 기원전 500년경부터 마가다에서 일어났으며, 바로 이곳에서 자이나교와 불교가 발생했다.[3]
3. 2. 2. 하리얀카 왕조 (기원전 544년 ~ 기원전 413년)
불교와 자이나교 자료에 따르면, 마가다는 기원전 543년경부터 기원전 413년경까지 하리얀카 왕조에 의해 통치되었다.[6] 왕국의 중심지는 갠지스 강 남쪽의 비하르 지역이었으며, 최초의 수도는 라자그리하(오늘날 라지기르)였고,[7] 그 후 파탈리푸트라(현대 파트나)가 되었다. 마가다는 바지카 연맹과 앙가를 정복하면서 비하르 대부분과 벵골을 포함하게 되었다.[8]
마가다 초기 통치자들에 대한 확실한 정보는 거의 없다. 가장 중요한 자료는 불교의 팔리어 경전, 자이나교의 자이나 아가마 그리고 힌두교의 푸라나이다. 고대 마가다 왕국은 라마야나, 마하바라타에도 언급되어 있다.
하리얀카 왕조의 빔비사라 왕은 갠지스 강의 델타 지대에 있는 중요한 항구국가인 앙가 왕국을 정복하여 갠지스 강의 항행 지배권을 장악하였다. 그는 코살라 왕국 출신의 공주를 아내로 맞아들였을 때 코살라 왕국이 지배하던 도시인 바라나시를 혼인 지참금으로 받기도 하였다.
아자타샤트루 왕은 파탈리푸트라 마을에 요새를 건설했다. 그는 투석기와 낫전차와 같은 신무기를 개발하여 군사력을 강화하고 리차비와 밧지 등의 36개의 소국들을 합병하였다. 또한 코살라 왕국을 공격하여 기원전 476년에 코살라 왕국을 정복하였다.
우다야바드라 왕은 파탈리푸트라로 수도를 천도하였으며, 아반티와의 전쟁을 벌이다 기원전 444년에 사망하였다. 우다야바드라 왕 사후, 왕위 계승권을 둘러싼 권력 다툼과 암살 사건이 발생했다. 결국 기원전 413년에 재상 샤이슈나가가 왕위에 오르면서 하리얀카 왕조는 막을 내렸다.
3. 3. 확장기 (기원전 413년 ~ 기원전 28년)
마가다는 주변의 크고 작은 나라들을 정복하여 속국으로 만들었으며, 이 과정에서 기원전 4세기에 난다 왕조가 성립되었다. 기원전 321년경 차나키야의 보좌를 얻어 인도 북서부에서 거병한 찬드라굽타 마우리아에 의해 파탈리푸트라가 함락되면서 난다 왕조는 멸망하고 마우리아 왕조가 들어섰다. 아소카 대제 치하에서 마가다는 인도 대부분으로 확장되었는데, 그는 불교 신자가 된 후 '다르마 아소카'로 알려지게 되었다.[42][43] 이후 슝가 왕조, 칸바 왕조가 차례로 건국되며 마가다국은 계속되었다.
3. 3. 1. 샤이슈나가 왕조 (기원전 413년 ~ 기원전 345년)
왕에 의해 샤이슈나가 왕조가 세워졌지만, 이 왕조도 불교 계통의 문헌에서 매우 중요시된다.[9]
3. 3. 2. 난다 왕조 (기원전 345년 ~ 기원전 322년)
마가다는 주변의 크고 작은 나라들을 정복하여 속국으로 만들었으며, 이 과정에서 기원전 4세기에 난다 왕조가 성립되었다.
3. 3. 3. 마우리아 제국 (기원전 322년 ~ 기원전 185년)
기원전 321년경 차나키야의 보좌를 얻어 인도 북서부에서 거병한 찬드라굽타 마우리아에 의해 수도인 파탈리푸트라가 함락되면서 난다 왕조는 멸망하고 마우리아 왕조가 들어섰다. 마가다는 제3대 마우리아 황제인 아소카 대제 치하에서 인도 대부분으로 확장되었는데, 그는 처음에는 '잔인한 아소카'로 알려졌지만 나중에 불자가 되어 '다르마 아소카'로 알려지게 되었다.[42][43] 아소카는 찬드라굽타의 손자이며, 아소카왕 시대에는 인도 아대륙의 거의 전역을 지배하게 되었다.
3. 3. 4. 칸바 왕조 (기원전 73년 ~ 기원전 28년)
마우리아 왕조의 장군으로부터 슝가 왕조가, 슝가 왕조의 신하로부터 칸바 왕조가 건국되어 마가다국은 계속되었다.
3. 4. 외부 통치기 (기원전 28년 ~ 기원후 240년경)
이전 결과물은 원본 소스와 요약이 없어 내용을 작성할 수 없다는 정보만 제공했기 때문에, 주어진 지시사항에 따라 수정할 부분이 없습니다. 따라서 이전 결과물을 그대로 출력합니다.
요약이 제공되지 않았고, 참조할 원본 소스도 없으므로, 주어진 정보만으로는 내용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
3. 5. 굽타 시대
320년(구프타 기원)에 마가다 지역에서 파탈리푸트라를 수도로 하는 찬드라굽타 1세의 굽타 왕조가 탄생하면서 굽타 시대가 시작되었다.
3. 5. 1. 굽타 제국 (기원후 240년경 ~ 579년경)
320년(구프타 기원)에 마가다 지역에서 파탈리푸트라를 수도로 하는 찬드라굽타 1세의 구프타 왕조가 탄생했다.
3. 6. 후기 역사
마우리아 제국이 멸망한 후, 숭가 왕조, 칸바 왕조가 마가다를 통치했다. 기원전 28년, 칸바 왕조가 사타바하나 왕조에게 정복당하면서 마가다 제국은 쇠퇴했다.
굽타 제국은 마가다의 파탈리푸트라를 수도로 삼았다. 서기 11세기에서 13세기까지 마가다의 팔라 시대에 피티파티 왕조로 알려진 지역 불교 왕조가 팔라 제국의 지류로서 마가다를 통치했다.[30] 11세기부터 13세기 후반까지, 피티파티스로 알려진 불교 왕조가 마가다 지역 일부를 통치했다. 이 왕들은 자신들을 "마가다의 군주"를 뜻하는 ''Magadhādipati''라고 불렀다.[10]
4. 종교
마가다 지역은 신분 제도가 느슨했고, 브라만교의 관습이나 권위의 영향력이 적었다. 이 지역은 샤라만나 운동의 중심지였으며, 자이나교와 불교의 발상지이기도 하다.
기원전 6세기 이전에도 여러 샤라만나 운동이 존재했으며, 이는 인도 철학의 아스티카와 나스티카 전통 모두에 영향을 미쳤다.[44] 샤라만나 운동은 영혼의 개념, 원자론, 율법폐기론적 윤리, 물질주의, 무신론, 불가지론, 자유의지에 대한 숙명론, 금욕주의, 가족생활, 채식주의와 아힘사 등 다양한 신념을 불러일으켰다.[45]
자이나교는 마하비라에 의해 재건되었으며,[46] 석가모니는 마가다의 후원을 받으며 불교를 창시했다. 마가다 종교는 샤라만나 전통으로 불리며 자이나교, 불교, 아지비카교를 포함한다. 이 종교들은 베다 신을 숭배하지 않았고, 금욕주의와 명상을 실천했으며, 스투파를 건설하는 경향이 있었다. 또한 영적 지식을 통한 해방을 추구했다.
인도학자 요하네스 브롱크호르스트에 따르면 마가다의 문화는 인도아리아인의 베다 왕국과 근본적으로 달랐다. 샤라만나 문화는 "대마가다"에서 발생했는데, 이 문화에서 크샤트리아는 브라만보다 더 높은 위치에 있었고 베다 권위와 의식을 거부했다.[47] 불교학자 알렉산더 윈은 베다 아리아인과 경쟁하는 이 문화가 초기 불교 시대에 동부 갠지스 평원을 지배했음을 암시하는 증거가 있다고 썼다.[49]
4. 1. 마가다의 종교적인 장소
현재 마가다 지역에서 발견되는 불교 유적지로는 부다가야의 마하보디 사원[50]과 날란다 수도원과 같은 유네스코 세계 문화 유산이 있다.[51] 마하보디 사원은 불교 세계에서 가장 중요한 순례지 중 하나이며 부처가 깨달음을 얻은 장소를 표시한다고 한다.[52]
5. 언어
팔리어는 마가히어와 동일시되었으며, 붓다가 생애 동안 사용했던 언어로 간주되었다. 19세기에 영국의 동양학자인 로버트 시저 칠더스는 팔리어의 진정한 이름 또는 지리적 이름은 마가다 프라크리트어이며 팔리어는 "선, 줄, 시리즈"를 의미하기 때문에 초기 불교도들은 이 용어의 의미를 "일련의 책"이라는 의미로 확장했고, 따라서 팔리바사는 "텍스트의 언어"를 의미한다고 주장했다.[53] 그럼에도 불구하고 팔리어는 마가디즘이라고 불리는 일부 동양적 특징을 유지한다.[54]
마가다 프라크리트어는 산스크리트어가 쇠퇴한 후 등장한 세 가지 극적인 프라크리트어 중 하나였다. 마가다와 인근 지역에서 사용되었으며 나중에 마가히어, 마이틸어, 보지푸리어와 같은 현대 동인도아리아어군으로 발전했다.[55]
6. 역대 군주
마가다의 주목할 만한 통치자는 빔비사라와 그의 아들 아자타샤트루였으며, 이들은 불교와 자이나교 문헌에서 석가모니와 마하비라와 같은 시대 사람으로 언급되었다.[56] 이후 마가다의 왕위는 인도 북부의 많은 지역을 정복한 난다 왕조(기원전 345~322년경)의 창시자인 마하파드마 난다가 차지했다. 난다 왕조는 마우리아 제국(기원전 322~185년경)의 창시자인 찬드라굽타 마우리아에 의해 무너졌다.[56]
마하파드마 난다 이전 마가다의 정확한 연대기와 왕의 계승에 대해서는 많은 불확실성이 있다. 여러 고대 문헌(모두 문제의 시대보다 수세기 후에 기록됨)의 설명은 여러 면에서 서로 모순된다. 또한 일부 학자들이 선호하는 "긴 연대기"와 대조되는 "짧은 연대기"가 있는데, 이는 붓다와 마하비라의 불확실한 연대기와 불가분의 관계가 있는 문제이다.[56]
"짧은 연대기"를 지지하는 역사가 존 키이에 따르면, 빔비사라는 기원전 5세기 후반에,[57] 아자타샤트루는 기원전 4세기 초에 통치했음이 틀림없다.[58] 그는 아자타샤트루 사후 왕위 승계에 대해 큰 불확실성이 있으며, 아마도 마하파드마 난다 등장 이전까지 궁정 음모와 살인 기간이 있었기 때문일 것이라고 말했다.[58]
다음은 불교 마하밤사에 따른 "긴 연대기"이다.[59]
; 하리얀카 왕조 (c. 544 – 413 BCE)
통치자 | 재위 (기원전) |
---|---|
빔비사라 | 544~491년 |
아자타샤트루 | 491~461년 |
우다인 | 461~428년 |
아니루다 | 428~419년 |
문다 | 419~417년 |
다르샤카 | 417~415년 |
나가다사카 | 415~413년 |
; 샤이슈나가 왕조 (c. 413 – 345 BCE)
통치자 | 재위 (기원전) |
---|---|
샤이슈나가 | 413~395년 |
칼라쇼카 | 395~377년 |
크셰마다르만 | 377~365년 |
크샤트라우자 | 365~355년 |
난디바르다나 | 355~349년 |
마하난딘 | 349~345년 |
; 난다 왕조 (c. 345 – 322 BCE)
통치자 | 재위 (기원전) |
---|---|
마하파드마 난다 | 345~340년 |
판두카난다 | 340~339년 |
팡후파티난다 | 339~338년 |
부타팔라난다 | 338~337년 |
라슈트라팔라난다 | 337~336년 |
고비샤나카난다 | 336~335년 |
다샤시닥카난다 | 335~334년 |
카이바르타난다 | 334~333년 |
카르비나타난다 | 333~330년 |
다나 난다 | 330~322년 |
6. 1. 하리얀카 왕조 (기원전 544년 ~ 기원전 413년) (긴 연대기)
마가다 초기 통치자들에 대한 확실한 정보는 거의 없다. 가장 중요한 자료는 불교의 팔리어 경전, 자이나교의 자이나 아가마 그리고 힌두교의 푸라나이다. 고대 마가다 왕국은 라마야나, 마하바라타에도 언급되어 있다. 자이나교와 불교 자료에 따르면, 마가다는 기원전 543년경부터 기원전 413년경까지 약 130년 동안 하리얀카 왕조에 의해 통치된 것으로 보인다.[6]왕국의 중심지는 갠지스 강 남쪽의 비하르 지역이었으며, 최초의 수도는 라자그리하(현대 라지기르)였고, 그 후 파탈리푸트라(현대 파트나)가 되었다.[7] 라자그리하는 처음에는 '기리브리자'로 알려졌다가 아자타삿루 치세에 현재의 이름으로 불리게 되었다. 마가다는 바지카 연맹과 앙가를 정복하면서 비하르 대부분과 벵갈을 포함하게 되었다.[8]
불교 마하밤사에 따른 "긴 연대기"는 다음과 같다.[59]
통치자 | 재위 (기원전) |
---|---|
빔비사라 | 기원전 544~491년 |
아자타샤트루 | 기원전 491~461년 |
우다인 | 기원전 461~428년 |
아니루다 | 기원전 428~419년 |
문다 | 기원전 419~417년 |
다르샤카 | 기원전 417~415년 |
나가다사카 | 기원전 415~413년 |
6. 2. 샤이슈나가 왕조 (기원전 413년 ~ 기원전 345년) (긴 연대기)
통치자 | 재위 (기원전) |
---|---|
샤이슈나가 | 기원전 413~395년 |
칼라쇼카 | 기원전 395~377년 |
크셰마다르만 | 기원전 377~365년 |
크샤트라우자 | 기원전 365~355년 |
난디바르다나 | 기원전 355~349년 |
마하난딘 | 기원전 349~345년 |
6. 3. 난다 왕조 (기원전 345년 ~ 기원전 322년) (긴 연대기)
마하파드마 난다는 인도 북부의 많은 지역을 정복한 난다 왕조(기원전 345~322년경)를 세웠다.[56] 난다 왕조는 마우리아 제국(기원전 322~185년경)을 세운 찬드라굽타 마우리아에 의해 무너졌다.통치자 | 재위 (기원전) |
---|---|
마하파드마 난다 | 기원전 345~340년 |
판두카난다 | 기원전 340~339년 |
팡후파티난다 | 기원전 339~338년 |
부타팔라난다 | 기원전 338~337년 |
라슈트라팔라난다 | 기원전 337~336년 |
고비샤나카난다 | 기원전 336~335년 |
다샤시닥카난다 | 기원전 335~334년 |
카이바르타난다 | 기원전 334~333년 |
카르비나타난다 | 기원전 333~330년 |
다나 난다 | 기원전 330~322년 |
7. 마가다의 역사적 인물
- '''사리푸트라''' – 마가다 라자그리하 근처 마을의 부유한 브라만 출신으로, 마우두갈야야나와 함께 부처의 주요 남성 제자 두 명 중 한 명이다.[60]
- '''마우두갈야야나''' – 마가다 콜리타 마을 출신으로, 부처의 주요 제자 두 명 중 한 명이다. 젊은 시절 부처를 만나기 전까지 영적 방랑자였다.[61]
- '''마하비라''' – 자이나교의 제24대 티르탕카라. 현재 비하르주 바이샬리 지역의 왕실 크샤트리야 가문 출신이다. 30세에 모든 세속적 소유를 버리고 수행자가 되었다. 부처보다 약간 나이가 많은 동시대 인물로 여겨진다.[62]
- '''마이트리파다''' – 마하무드라 전승과 관련된 11세기 인도 불교 마하시다. 마가다 자타까라니 마을 출신이며, 날란다 및 비크라마실라 수도원과도 관련이 있다.[63]
참조
[1]
서적
The Indo-Aryan Languages
https://books.google[...]
Routledge
[2]
서적
A Dictionary of Buddhism
https://www.oxfordre[...]
OUP Oxford
2004-08-26
[3]
서적
Political History of Ancient India: From the Accession of Parikshit to the Extinction of Gupta Dynasty
University of Calcutta
1953
[4]
서적
Vedic Index of Names and Subjects
https://books.google[...]
Motilal Banarsidass Publishers
1995
[5]
서적
Rigvedic history: poets, chieftains, and polities
https://books.google[...]
Walter de Gruyter
[6]
저널
Some Unknown Facts About Bimbisāra
1958
[7]
서적
Ancient India
Motilal Banarsidass Publ.
1977
[8]
서적
Ancient India
Motilal Banarsidass Publ.
1977
[9]
서적
A Historical Atlas of South Asia
https://dsal.uchicag[...]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78
[10]
저널
Bodhgayā Inscription of Pithipati Ācārya Buddhasena
https://brill.com/ed[...]
1978
[11]
웹사이트
Lumbini Development Trust: Restoring the Lumbini Garden
http://www.lumbinitr[...]
2017-01-06
[12]
서적
Buddhist Saints in India
Oxford University Press
[13]
서적
Collected papers on Buddhist Studies
Motilal Banarsidass
[14]
서적
Thoughts from the Cosmic Field in the Life of a Thinking Insect [A Latter-Day Saint]
https://books.google[...]
Strategic Book Publishing
[15]
웹사이트
Auction 396. INDIA, Mauryan Empire , Karshapana (14mm, 3.32 g). circa 315-310 BC
https://www.cngcoins[...]
2024-04-24
[16]
서적
Jainism: an introduction
https://www.worldcat[...]
I.B. Tauris
2009
[17]
저널
Macrocosm, Mesocosm, and Microcosm: The Persistent Nature of 'Hindu' Beliefs and Symbolic Forms
[18]
웹사이트
Review of Bronkhorst, Johannes, Greater Magadha: Studies in the Culture of Early India
https://www.h-net.or[...]
2019-08-25
[19]
서적
A Dictionary of the Pali Language
[20]
서적
Sayings of the Buddha: New Translations from the Pali Nikayas
https://books.google[...]
OUP Oxford
2008-10-09
[21]
서적
Comparative Grammar of the Modern Aryan Languages of India: To Wit, Hindi, Panjabi, Sindhi, Gujarati, Marathi, Oriya, and Bangali
http://ebooks.cambri[...]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2
[22]
저널
Nalanda vis-à-vis the Birthplace of Śāriputra
https://www.jstor.or[...]
[23]
서적
Dictionary of Pāli Proper Names
https://books.google[...]
Motilal Banarsidass Publishers
[24]
서적
A History of Civilisation in Ancient India: Based on Sanscrit Literature: Volume I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3-11-05
[25]
저널
THE SUPPOSED IDENTIFICATION OF UDAYANA OF KAUŚĀMBI WITH UDAYIN OF MAGADHA
1943
[26]
저널
SOME ASPECTS OF THE RELATION BETWEEN ANGA AND MAGADHA (600 B.C.—323 B.C.)
1986
[27]
서적
A Dictionary of Buddhism
https://www.oxfordre[...]
OUP Oxford
2004-08-26
[28]
서적
The History and Culture of the Pālas of Bengal and Bihar, Cir. 750 A.D.-cir. 1200 A.D.
https://books.google[...]
Abhinav Publications
[29]
저널
CONTOURS OF THE POLITICAL LEGITIMATION STRATEGY OF THE RULERS OF PALA DYNASTY IN BENGAL- BIHAR (CE 730 TO CE 1165)
2017
[30]
서적
Pithipati Puzzles: Custodians of the Diamond Throne
https://books.google[...]
British Museum Research Publications
2021
[31]
서적
Political History of Ancient India: From the Accession of Parikshit to the Extinction of Gupta Dynasty
University of Calcutta
1953
[32]
서적
Vedic Index of Names and Subjects
https://books.google[...]
Motilal Banarsidass Publishe
1995
[33]
서적
Rigvedic history: poets, chieftains, and polities
https://books.google[...]
Walter de Gruyter
[34]
저널
SOME UNKNOWN FACTS ABOUT BIMBISĀRA
1958
[35]
문서
Ancient India
[36]
서적
Dynastic History of Magadha, Cir. 450-1200 A.D.
https://books.google[...]
Abhinav Publications
[37]
웹인용
Lumbini Development Trust: Restoring the Lumbini Garden
http://www.lumbinitr[...]
2017-01-06
[38]
저널
THE SUPPOSED IDENTIFICATION OF UDAYANA OF KAUŚĀMBI WITH UDAYIN OF MAGADHA
1943
[39]
저널
SOME ASPECTS OF THE RELATION BETWEEN ANGA AND MAGADHA (600 B.C.—323 B.C.)
1986
[40]
서적
Military manpower, armies and warfare in South Asia
London
[41]
서적
Mauryan India
https://books.google[...]
Aligarh Historians Society / Tulika Books
[42]
서적
Tibetan Buddhist Essentials: A Study Guide for the 21st Century: Volume 1: Introduction, Origin, and Adaptation
[43]
서적
The Ocean of Churn: How the Indian Ocean Shaped Human History
[44]
서적
Buddhist Saints in India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45]
서적
Collected papers on Buddhist Studies
Motilal Banarsidass
[46]
서적
Thoughts from the Cosmic Field in the Life of a Thinking Insect [A Latter-Day Saint]
https://books.google[...]
Strategic Book Publishing
[47]
서적
Jainism : an introduction
https://www.worldcat[...]
I.B. Tauris
2009
[48]
저널
Macrocosm, Mesocosm, and Microcosm: The Persistent Nature of 'Hindu' Beliefs and Symbolic Forms
[49]
웹인용
Review of Bronkhorst, Johannes, Greater Magadha: Studies in the Culture of Early India
https://www.h-net.or[...]
2019-08-25
[50]
서적
The History of Mahabodhi Temple at Bodh Gaya
https://books.google[...]
Springer Nature
2020-09-16
[51]
서적
Buddhist Learning in South Asia: Education, Religion, and Culture at the Ancient Sri Nalanda Mahavihara
https://books.google[...]
Lexington Books
2018-05-07
[52]
서적
Cross-disciplinary Perspectives on a Contested Buddhist Site: Bodh Gaya Jataka
https://books.google[...]
Routledge
[53]
서적
A Dictionary of the Pali Language
[54]
서적
Sayings of the Buddha: New Translations from the Pali Nikayas
https://books.google[...]
OUP Oxford
2008-10-09
[55]
서적
Comparative Grammar of the Modern Aryan Languages of India: To Wit, Hindi, Panjabi, Sindhi, Gujarati, Marathi, Oriya, and Bangali
http://ebooks.cambri[...]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2
[56]
서적
When Did the Buddha Live?: The Controversy on the Dating of the Historical Buddha
https://books.google[...]
Sri Satguru Publications
[57]
서적
India: A History
https://books.google[...]
Open Road + Grove/Atlantic
[58]
서적
India: A History
https://books.google[...]
Open Road + Grove/Atlantic
[59]
서적
When Did the Buddha Live?: The Controversy on the Dating of the Historical Buddha
https://books.google[...]
Sri Satguru Publications
[60]
저널
Nalanda vis-à-vis the Birthplace of Śāriputra
https://www.jstor.or[...]
[61]
서적
Dictionary of Pāli Proper Names
https://books.google[...]
Motilal Banarsidass Publishe
[62]
서적
A History of Civilisation in Ancient India: Based on Sanscrit Literature: Volume I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3-11-05
[63]
저널
The Life of the Siddha-Philosopher Maitrīgupt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