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매국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매국노는 자국을 해치고 적국을 이롭게 하는 행위, 즉 조국에 대한 배신 행위를 의미한다. 이는 자국의 독립, 존엄, 이익을 훼손하는 행위로, 종종 스파이 행위나 국민에 대한 배신 행위 등을 포함한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나치에 협력한 윌리엄 조이스, 비드쿤 크비슬링 등이 매국노로 널리 알려져 있으며, 특히 크비슬링의 이름은 매국노를 뜻하는 단어로 사용되기도 한다. 한국에서는 일제강점기 일본에 협력한 친일파가 매국노로 비난받으며, 외환죄는 사형 또는 무기징역에 처해질 수 있는 중대한 범죄로 여겨진다. 역사적으로 고구려 연개소문의 아들 연남생, 고려 시대의 최탄, 조휘, 탁청, 조선 시대 임진왜란 당시의 순왜, 병자호란 당시의 한윤, 김자점, 그리고 을사오적 등이 매국노로 지목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반역죄 - 외환죄
    외환죄는 외국과 결탁하여 대한민국에 적대 행위를 하는 국가 존립과 안전을 위협하는 중대한 범죄로, 형법은 외환유치죄, 여적죄, 간첩죄 등 다양한 유형을 규정하며, 헌정질서 파괴범죄로 간주되어 공소시효가 적용되지 않는다.
  • 반역죄 - 시역
    시역은 다양한 국가에서 발생한 국왕 또는 황제 암살 시도 및 사건을 다루는 주제로, 왕위 계승 규칙 확립, 사회·정치적 상황, 주요 사건, 왕권신수설, 시민혁명 시대 변화, 아시아 지역 사례 등 시대와 지역에 따른 다양한 측면을 포함한다.
  • 국방 - 외환죄
    외환죄는 외국과 결탁하여 대한민국에 적대 행위를 하는 국가 존립과 안전을 위협하는 중대한 범죄로, 형법은 외환유치죄, 여적죄, 간첩죄 등 다양한 유형을 규정하며, 헌정질서 파괴범죄로 간주되어 공소시효가 적용되지 않는다.
  • 국방 - 예비역
    예비군은 전시 또는 비상 상황 시 국가 방위를 위해 동원되는 군사 예비 인력으로, 각 국가의 군사 제도 및 상황에 따라 구성과 운영 방식이 다르며, 평시에는 치안 유지나 재난 구호 활동 등에 투입되기도 한다.
  • 멸칭 - 유럽중심주의
    유럽중심주의는 유럽의 문화, 역사, 가치관을 세계의 표준으로 간주하고 다른 문화권을 유럽 중심으로 해석하는 사상으로, 서구 우위와 식민지 확장을 배경으로 강화되었으나 탈식민화 이후 비판받으며 다양한 분야에서 대안적 관점이 등장하였고 현대에도 여러 영역에서 영향력과 비판적 논의가 지속되고 있다.
  • 멸칭 - 사이비 종교
    사이비 종교는 기존 종교를 모방하거나 속임수로 신도를 현혹하는 집단으로, 사회적 약자를 대상으로 반사회적 행위를 하며, 교주 신격화, 종말론, 과도한 기부금 요구 등의 특징을 보이고 사회적 위험성을 내포한다.
매국노
설명자기 나라의 이익을 해치고 다른 나라에 이롭게 하는 사람
종류간첩
반역자
이적자
배신자
매국적 행위를 한 사람
반대말애국자
특징
일반적인 특징사리사욕을 위해 국가를 배신함
행위국가 기밀 누설
적국에 협력
국가 이익 침해
비판 대상역사적으로 많은 비판을 받음
법적 처벌국가에 따라 엄중한 처벌을 받음
어원
한자売國奴 (매국노)
일본어売国奴 (ばいこくど)
영어traitor
의미나라를 팔아먹는 노예라는 뜻
역사
고대고대부터 존재
현대현대에도 발생
예시식민지 시대 친일파
냉전 시대 간첩 활동
논쟁
개념주관적 판단이 개입될 수 있음
정치적 이용정치적 공격 수단으로 이용되기도 함
관련 용어
친일파일제 강점기 일본에 협력한 사람
부역자적국에 협력한 사람
배신자믿음을 저버린 사람
반역자국가에 반역한 사람
간첩적국의 정보를 빼돌린 사람
이적 행위자국가를 이롭게 하는 행위를 방해하는 사람
매국 행위나라를 팔아먹는 행위

2. 매국

매국은 조국에 대한 이적행위를 하여 자국을 해치고 적국을 이롭게 함으로써 사사로운 이익을 얻는 것을 말한다. 종종 이념이나 당파성을 넘어 물밑에서 조직적인 이익 그룹을 형성하여 매국 행위를 하기도 한다.[2]

어떤 행위가 매국인지에 대한 판단은 주관적이며, 이념에 따라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쟁에 대한 매파비둘기파의 시각 차이는 '국익'과 '매국'에 대한 판단을 다르게 할 수 있다.

2. 1. 매국노

'매국노'는 모국을 외국에 팔아넘겨 사익을 꾀하는 자를 말한다. 이는 자국의 독립, 존엄, 이익을 훼손하는 '국적(國敵)'이나, 사상과 신조가 이질적인 '비국민(非國民)'과는 다른 의미를 가진다.[2] 매국은 조국에 대해 이적행위를 하여 자국을 해치며 적국을 이롭게 하여 사사로운 이익을 얻는 것을 말한다. 종종 이념이나 당파성을 넘어 물밑에서 조직적인 이익 그룹을 형성하여 매국 행위를 하기도 한다.

어떤 행위가 매국인지에 대한 판단은 주관적이고 이념에 따라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쟁에 대한 매파비둘기파의 시각차는 '국익'과 '매국'에 대한 판단을 다르게 할 수 있다.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나치에 협력한 윌리엄 조이스(호호경), 비드쿤 크비슬링, 도쿄 로즈(아이바 토구리) 등은 매국 행위로 처벌받았다. 특히 크비슬링의 이름은 매국노를 뜻하는 일반 명사(quisling)가 되었다.

한국에서는 일제강점기 일제에 협력한 친일반민족행위자들을 친일파라 부르며 경멸한다.[2] 외환죄는 외국과 공모하여 무력을 행사하게 한 자에게 적용되는 중죄로, 사형 또는 무기징역에 처해진다.

대한제국 말 한일 병합에 찬성하고 협조한 경술국적, 을사오적, 정미칠적 등도 매국노로 비난받는다. 특히 이완용은 한국에서 매국노의 대명사로 여겨진다.[8]

2. 2. 관련 사례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나치에 협력한 아일랜드인 윌리엄 조이스는 종전 후 대역죄로 처형되었다. 나치 점령 지역에서 대독일 협력자(콜라보라시옹)들은 매국 행위로 인해 반역죄 등으로 체포되었는데, 그 중 노르웨이비드쿤 크비슬링은 매국노의 대명사로 꼽힌다. 그의 이름 크비슬링(quisling)은 매국노를 뜻하는 단어로 사전에 실려 있다.[2] 같은 시기, 일본 제국 측의 연합국군을 위한 심리전 아나운서였던 도쿄 로즈(아이바 토구리)도 전후 미국 시민권을 박탈당하고 반역죄로 체포되었다.[2]

한국에서는 일제강점기에 일제에 동조한 친일반민족행위자들을 '''친일파'''로 부르며 경멸한다.[2] 대한제국 병합이 옳았다고 주장하며 일본을 변호하는 사람들도 친일파로 불리며 차별받는다.[2]

2. 3. 법적 처벌

외국과 공모하여 무력을 행사하게 한 외환죄는 사형 또는 무기징역이 적용되며 한국 형법에서 가장 무거운 죄 중 하나다.[2]

3. 역사적, 사회적 사례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나치의 반영 찬양 방송에 종사한 아일랜드인 호호경(Lord Haw-Haw) 윌리엄 조이스는 종전 후 대역죄로 처형되었다. 나치 점령 지역에서 대 독일 협력자(콜라보라시옹(Collaboration))들은 매국 행위로 인해 반역죄 등으로 체포되었으며, 노르웨이비드쿤 크비슬링은 매국노의 대명사로, 그의 이름 '크비슬링(quisling)'은 매국노를 뜻하는 단어로 사전에 실렸다. 같은 시기 일본 제국 측 연합국군 심리전 아나운서였던 도쿄 로즈(아이바 토구리)도 전후 미국 시민권을 박탈당하고 반역죄로 체포되었다.

외국과 공모하여 무력을 행사시킨 사람에게 적용되는 외환죄는 사형 또는 무기징역이 적용되며, 한국 형법에서 가장 무거운 죄 중 하나다.

3. 1. 한국

고구려 연남생당나라에 투항하여 고구려 멸망에 앞장섰고, 고려 시대 최탄, 조휘, 탁청 등은 원나라에 영토를 바쳤다.[1] 조선 임진왜란순왜라 불리는 자들은 일본군에 협력했고, 병자호란 때 한윤, 김자점 등은 청나라에 부역했다.[2] 황사영황사영 백서로 프랑스 함대의 조선 공격을 요청했고, 을사오적, 정미칠적, 경술국적일제강점기 나라를 팔아넘기는 조약 체결에 앞장섰으며, 이완용은 대표적인 친일파이자 민족 반역자이다.

3. 1. 1. 고대

고구려 대막리지 연개소문의 아들 연남생은 동생들과의 권력 다툼에서 패배하자 당나라 고종에게 귀순하여 요동 지역을 무너뜨리고, 이세적과 함께 평양성을 멸망시킨 경우가 있었다.[1] 이는 외세의 힘을 빌려 나라를 팔아서라도 권력을 가지겠다는 권력욕에서 나온 것이었다.[1]

3. 1. 2. 고려

고려 시대 중기와 말기, 원나라에 영토를 바친 최탄, 조휘, 탁청이 있다.[1] 그 외에 고려의 권력을 잡은 상태에서 원나라에 협력하거나 부역한 자들도 포함된다.[1] 대표적으로 대몽항쟁기 때의 홍복원권문세족 집단으로 조일신, 권겸, 노책, 기철 등이 있다.[1]

3. 1. 3. 조선

임진왜란 당시 일본군에 부역한 자들을 순왜(가왜)라고 불렀다. 국경인 등이 대표적이다.[2] 병자호란청나라의 길잡이 역할을 한 한윤, 북벌 계획을 밀고하여 사익을 추구한 김자점 등이 있다.

1801년 황사영은 천주교 신앙의 자유를 얻기 위해 프랑스 함대의 조선 공격을 요청하는 황사영 백서를 작성했다.

1905년 을사늑약, 1907년 한일신협약, 1910년 한일병합조약 체결에 앞장선 을사오적, 정미칠적, 경술국적이 있다. 특히 을사오적은 한국어에서 매국노의 대명사이다.

대한제국을 일본에 팔아넘긴 대표적인 매국노이자 친일파로, 민족 반역 행위를 저지른 이완용이 있다.[8]

3. 2. 프랑스

프랑스 혁명기에 만들어진 라 마르세예즈에는 반혁명 세력이 국적으로 간주되었으며, 5절에는 반혁명, 왕당파였던 프랑스와 클로드 드 부이예 장군을 지목한 가사가 나온다. 그는 현재도 국적으로 취급되고 있다. 나치 독일의 프랑스 점령기에는 비시 정권을 비롯한 대독 협력자가 생겨났으며, 연합군의 프랑스 해방 후 처벌이나 박해를 당했다.

3. 3. 중국

중국에서는 한족 또는 중국에 대해 매국 행위를 한 사람을 '한간'이라고 부르며, 이 용어는 청나라 시대에 생겨났다.[5] 중일전쟁 중 일본 제국에 협력한 왕징웨이 정권과 같은 경우가 대표적이며, 이들은 대부분 처형되었다. 가와시마 요시코처럼 중국 출신자는 매국노로 처벌받았지만, 오타카 요시코와 같은 일본인은 제외되었다. 저우쭤런과 같은 친일 문화인도 문화 매국노로 간주되었다.

홍콩 반환 이후, 홍콩의 민주화를 추진하는 사람들을 친중파는 “매국노”나 “국적”이라고 비난한다.[7]

3. 4. 일본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일본에서는 나카소네 세제개혁으로 법인세 및 소득세 수입이 급감하여 정부 부채가 늘어난 것을 두고 "게이단렌(일본경제단체연합회)에 뇌물을 받고 국고를 팔아넘겼다"는 비판이 있었다. 또한, 성역 없는 구조 개혁으로 일본 경제가 미국화되고, 단카이 세대(1947~1949년 출생)가 60세 연금 생활을 시작하면서 게이단렌의 인건비 절감에 협력한 것을 "게이단렌으로부터 연금으로 인건비 부담이 전가되는 데 가담한 구조개혁 특혜"라며 매국 행위로 비판하는 경우가 있다.[3]

1940년대부터 태평양 전쟁에 협력하지 않는 국민들에게 '국적'이라는 용어가 사용되었다. 정치인이 자신의 견해나 이데올로기와 다른 행동을 한 사람에게 '국적'이라는 표현을 사용하기도 한다.[4]

3. 5. 노르웨이

노르웨이비드쿤 크비슬링에서 유래한 "퀴슬링"은 매국노, 배신자 등을 통칭하는 단어로 사용된다.[2] 이는 나치 독일에 협력하여 노르웨이 왕국을 붕괴시키고 퀴슬링 정권을 수립한 그의 이름에서 유래한다.

참조

[1] 웹사이트 ばいこく‐ど【売国奴】 https://kotobank.jp/[...] コトバンク 2017-11-13
[2] 뉴스 日韓首脳会談の裏で進む〝親日派〟狩り 韓国で「破墓法」成立の可能性(2020年9月25日東スポweb) https://www.excite.c[...] 東スポweb 2020-09-25
[3] 웹사이트 こく‐ぞく【国賊】 https://kotobank.jp/[...] コトバンク 2017-11-13
[4] 웹사이트 防衛相「鳩山元首相は国賊」 尖閣係争地発言で https://www.nikkei.c[...] 2023-11-01
[5] 웹사이트 世界大百科事典 第2版「漢奸」(コトバンク) https://kotobank.jp/[...] コトバンク
[6] 웹사이트 デジタル大辞泉「漢奸」(コトバンク) https://kotobank.jp/[...] コトバンク
[7] 웹사이트 親中派「売国行為」と批判 香港、米議会法案巡り https://www.sankei.c[...] 2023-11-01
[8] 웹사이트 ブリタニカ国際大百科事典 小項目事典「李完用」 https://kotobank.jp/[...] コトバンク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