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궁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미궁은 고대부터 현대까지 다양한 문화와 종교에서 나타나는 상징적 구조물이다. 그리스 신화에서 미노타우로스가 갇힌 곳으로 묘사되며, 크레타 섬의 크노소스 미궁이 가장 오래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미궁은 단일 경로를 따라 중앙에 도달하는 구조로, 여러 갈래 길이 있는 미로와는 구분된다. 고대 이집트, 유럽, 아메리카 원주민 문화 등 다양한 지역에서 발견되며, 종교적 의식, 방어 시설, 마법 등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현대에는 명상, 문화적 상징으로 활용되며, 영화, 게임, 문학 작품 등 다양한 미디어에서도 중요한 모티브로 등장한다.
그리스 신화에서 미궁 '''라비린토스'''는 전설적인 건축가 다이달로스가 크레타의 국왕 미노스를 위해 크노소스에 건설한 정교한 복합건물이다. 미노타우로스가 이 미궁에 갇혔다고 전해지며 세상에서 가장 오래된 미궁으로 알려져 있다. 이 미궁의 문장(紋章)인 양날의 도끼(labrys)가 '라비린스(Labyrinth)'의 어원이 되었다는 설이 있다. 미궁의 설계도는 크로노스의 화폐 문양으로 사용되기도 했지만 갈림길이 없는 단순한 미궁이었다.
현대에는 "미궁"과 "미로"가 대체로 미로와 동의어로 사용되지만, 많은 현대 학자들은 둘을 구분한다. 미로는 여러 갈래의 길이 복잡하게 가지를 쳐 있고 그 길들 중 한 방향을 선택해야 한다면, 미궁은 가지 없는 한 개의 길만을 따라가서 결국 구조물의 중심에 이르게 되는 것을 말한다. 이 맥락에서 미궁은 중심을 향한 분명한 길이 있으며, 길찾기를 방해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계된 것이 아니다.[68]
2. 신화 및 전설
청동기 시대의 크노소스 유적을 고고학자 아서 에반스가 발굴했을 때, 건축물의 복잡성에 그는 그 궁전이 다이달로스의 미궁이었을 것이라고 추측했다. 에반스는 황소-도약의 이미지와 벽에 새겨진 라브리스의 묘사를 포함하여 다양한 황소 모티프를 발견했다. 《일리아스》의 한 구절을 근거로[23] 장인 다이달로스가 아리아드네를 위해 만든 춤추는 장소였을 것이라는 추측이 나왔으며,[24][25] 미노타우로스의 먹이로 크레타로 보내진 젊은 남녀들이 함께 춤을 추는 곳이었다. 더 나아가, 대중적인 전설에서는 그 궁전이 미노타우로스의 신화와 연관되어 있다.
2000년대에는 고고학자들이 미궁의 다른 잠재적인 장소들을 탐사했다.[26] 옥스퍼드 대학교 지리학자 니콜라스 하워스는 "크노소스 궁전이 미궁이기도 하다는 에반스의 가설은 회의적으로 봐야 한다"고 믿는다.[26] 하워스와 그의 팀은 스코티노 동굴로 알려진 지하 단지를 수색했지만 자연적으로 형성된 것으로 결론 내렸다. 또 다른 유력한 후보는 고르틴에 있는 일련의 터널로, 좁은 틈으로 접근할 수 있지만 상호 연결된 동굴로 확장된다. 스코티노 동굴과 달리 이 동굴들은 매끄러운 벽과 기둥을 가지고 있으며,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인공적으로 만들어진 것으로 보인다. 이 장소는 옥스퍼드 크라이스트 처치 도서관의 지도집에 있는 16세기 크레타 지도에서 미궁 기호와 일치한다. 동굴 자체의 지도는 1821년 프랑스인에 의해 제작되었다. 이 장소는 또한 제2차 세계 대전 중 독일 군인들이 탄약을 보관하는 데 사용되었다. 하워스의 조사는 내셔널 지오그래픽 채널에서 제작된 다큐멘터리에서 방영되었다.[27]
2. 1. 고대 이집트의 미궁
기원전 2000년경 고대 이집트에는 "이집트의 라비린스"라고 불리는 미궁이 있었다는 전설이 있다.[58] 대 플리니우스는 이집트의 라비린스를 본보기로 크노소스의 미궁이 만들어졌다고 추측했고, 헤로도토스는 실제로 이집트의 라비린스에 방문하여 본 내부 상황을 기록했다. 이집트의 라비린스는 로마군에 의해 파괴되었고, 유적 위에 도시가 세워졌다고 전해지지만, 정확한 위치는 불분명하다. 파이윰에 있는 아멘엠하트 3세의 피라미드에 인접한 신전을 이집트의 라비린스의 일부로 간주하는 학자도 많다.
3. 미로와 미궁의 차이
외부로 통하는 입구에서 목표 지점까지 이어지는 길로 구성된 원형 또는 직사각형의 기하학적 도형군을 미궁(Labyrinth)이라고 한다. 반면, 미로(maze)는 도중에 나타나는 분기점이나 막다른 골목을 극복하여 목표 지점에 도달하는 유희성이 강한 구조를 가진 도형이며, 미로와 미궁은 모호하게 구분되어 사용되지만 본질적으로 다른 것이다.[59]
헤르만 케른(Hermann Kern)은 고전적인 미궁의 특징을 다음과 같이 열거했다.[59]
이처럼 원래 미궁의 구조는 질서 정연하며, 고전적인 미궁 도상에는 헷갈릴 요소가 없다.[59] 로마 제국 시대부터 미궁과 미로를 혼동하는 문헌이 많이 나타났으며, 기원전 1세기부터 1세기 무렵에 미궁이 미로적인 이미지로 정착된 것으로 생각된다.
4. 어원
'미궁'은 어원과 의미가 불확실한 선(先) 그리스어 기원의 단어이다. 막시밀리안 마이어는 '라비린토스'가 "양날 도끼"를 뜻하는 리디아어 단어인 '라브리스'에서 유래했을 수 있다고 제안했다.[11][12] 아서 에반스는 크노소스 궁전 유적에서 양날 도끼 문양이 나타나기 때문에 '미궁'은 "양날 도끼의 집"을 의미한다고 주장했다.[15] 그러나 같은 상징이 크레타의 다른 궁전에서도 발견되었다.[13] 마틴 P. 닐슨은 크레타에서 양날 도끼는 무기가 아니며 항상 여신 또는 여성과 동반하며 남성 신과는 관련이 없다고 지적했다.[14]
선 문자 B 해독으로 '라브리스'와의 연관성이 약화되었고, '미궁'의 미케네 그리스어 표현은 da-pu₂-ri-to로 나타났다.[15][16][17][18] 로버트 S.P. 비크스는 '라브리스'와의 관계를 추측적인 것으로 보고, 그리스어 λαύρα|라우라grc ('좁은 거리')와의 관계를 제안한다.[22]
일본어 위키에 따르면, 라브리스는 아나톨리아 반도에서 온 종교 용어이며, 양날 도끼의 심볼은 신석기 시대의 차탈회유크 유적에서 발견되고 있다.[63]
5. 역사와 유형
신석기 시대부터 세계 각지에서 미궁 도형이 그려졌으며, 크레타형 미궁은 고전적인 미궁의 특징을 갖춘 대표적인 것이다.
카를 케레니는 저서 『미로 연구』에서 미궁 도형은 나선 무늬가 발전한 것이며, 나선과 미궁 도형은 지하 세계의 지도이자 죽음의 상징이라고 설명한다. 고대인에게 미궁에 들어가는 것은 죽음을, 미궁에서 나오는 것은 환생을 의미했다.[5]
고대부터 현대까지 미궁은 다양하게 활용되었다. 고대 이집트 등에서는 방어 시설로, 중앙부에 접근하기 위해 외길을 따라가게 하는 구조를 적용했다.[5] 영국에서는 묘소나 글래스턴베리 토 같은 순례지 입구에 미궁을 설치해 입장객 수를 제한했다. 고대 중국에서는 악마가 직선으로만 날 수 있다고 믿어 악마를 막기 위해 주거와 도시 구조에 미궁을 사용했다. 유럽에서는 외양간 입구, 반지, 문장 등에 미궁 도형을 마법적인 용도로 사용했다.
5. 1. 고대 미궁
청동기 시대 크노소스 유적을 발굴한 아서 에반스는 건물의 복잡성 때문에 그 궁전이 다이달로스가 만든 미궁일 것이라고 추측했다. 에반스는 황소-도약 이미지와 벽에 새겨진 라브리스 묘사 등 다양한 황소 관련 문양을 발견했다.[23] 그는 《일리아스》의 한 구절을 근거로[24][25] 다이달로스가 아리아드네를 위해 춤추는 장소를 만들었을 것이며, 미노타우로스의 먹이로 크레타에 보내진 젊은 남녀들이 함께 춤을 추는 곳이었을 것이라고 추측했다. 더 나아가 대중적인 전설에서는 그 궁전이 미노타우로스 신화와 연관되어 있다고 한다.2000년대에 고고학자들은 미궁의 다른 잠재적인 장소들을 탐사했다.[26] 옥스퍼드 대학교 지리학자 니콜라스 하워스는 "크노소스 궁전이 미궁이라는 에반스의 가설은 회의적으로 봐야 한다"고 말했다.[26] 하워스와 그의 팀은 스코티노 동굴을 수색했지만 자연적으로 형성된 것으로 결론 내렸다. 또 다른 후보는 고르틴에 있는 일련의 터널로, 좁은 틈으로 접근할 수 있지만 상호 연결된 동굴로 확장된다. 스코티노 동굴과 달리 이 동굴들은 매끄러운 벽과 기둥을 가지고 있으며,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인공적으로 만들어진 것으로 보인다. 이 장소는 옥스퍼드 크라이스트 처치 도서관의 지도집에 있는 16세기 크레타 지도에서 미궁 기호와 일치한다. 동굴 자체의 지도는 1821년 프랑스인이 제작했다. 이 장소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독일 군인들이 탄약을 보관하는 데 사용되기도 했다. 하워스의 조사는 내셔널 지오그래픽 채널에서 제작된 다큐멘터리에서 방영되었다.[27]
그리스 신화에서는 미노타우로스가 갇힌 곳으로 여겨진다. 크레타 섬의 크노소스의 미궁이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것으로 여겨진다. 이 미궁의 문장인 '''양날의 도끼'''('''labrys''')가 '''라비린스'''(Labyrinth)의 어원이 되었다는 설이 있다. 미궁의 설계도는 크노소스의 화폐 도안에도 사용되었지만, 실제로는 분기점이 없는 매우 단순한 미로였다.
고대 이집트에는 기원전 2000년경에 만들어진 "이집트의 라비린스"라고 불리는 미궁의 전설이 있다[58]. 대 플리니우스는 이집트의 라비린스를 본보기로 크노소스의 미궁이 만들어졌다고 추측했고, 헤로도토스는 실제로 이집트의 라비린스에 방문하여 본 내부 상황을 기록했다. 이집트의 라비린스는 로마군에 의해 파괴되었고, 유적 위에 도시가 세워졌다고 전해지지만, 정확한 위치는 불분명하다. 파이윰에 있는 아멘엠하트 3세의 피라미드에 인접한 신전을 이집트의 라비린스의 일부로 간주하는 학자도 많다.
5. 1. 1. 렘노스 미궁
대 플리니우스의 《박물지》(36.90)는 다이달로스와 동시대 인물로 알려진 전설적인 스밀리스를 기록하고 있으며, 그는 기원전 6세기 중반의 역사적 건축가이자 조각가인 로이코스와 테오도로스와 함께 렘노스 미궁을 만든 사람 중 하나로 언급된다.[33] 앤드루 스튜어트는 이를 "분명히 사모스 사원의 위치를 'en limnais' ('늪지 안에')로 잘못 이해한 것"으로 간주한다.[33]5. 1. 2. 이탈리아 미궁
라르스 포르세나의 무덤에는 지하 미궁이 있었다는 플리니우스의 기록이 있다. 플리니우스는 무덤의 노출된 부분을 묘사했지만, 이는 이해하기 어렵다. 그는 이 구조물을 직접 관찰한 것이 아니라, 역사학자이자 로마 고고학자인 바로의 말을 인용한 것으로 보인다.[34]5. 1. 3. 유럽 외 고대 미궁
토호노 오오담족의 미궁은 "미로 속의 남자"인 이이토이를 특징으로 하는, 본질적으로 7코스 "고전적" 패턴과 동일한 디자인이 아메리카 원주민 문화에 나타난 것이다. 토노호 오오담족 패턴은 고전적인 패턴과 두 가지 뚜렷한 차이점이 있는데, 방사형 디자인이며 입구가 맨 위에 있다는 것이다. 전통적인 미궁은 입구가 맨 아래에 있다. 가장 초기의 출현은 확실하게 연대를 측정할 수 없다. 가장 오래된 것은 일반적으로 17세기로 추정된다.[35]
인도에서 미궁 형태가 일찍 나타났다는 주장이 제기되었으나 근거는 없다.[36] 기원전 2500년경으로 추정되는 고아의 강둑에 있는 선사 시대 암각화가 그 예시이다.[37] 북인도의 동굴 벽화와 닐기리 산맥의 돌멘 신사에서도 다른 예가 발견되었지만, 정확한 연대를 측정하기는 어렵다. 확실하게 연대를 측정할 수 있는 예는 기원전 250년경부터 나타나기 시작한다.[36] 인도의 초기 미궁은 일반적으로 고전적 패턴 또는 그 지역 변형을 따르며, 일부는 요새 또는 도시의 계획으로 묘사되었다.[38]
미궁은 17세기부터 인도의 필사본과 탄트라 텍스트에 나타난다. 고대 서사시 마하바라타에 묘사된 난공불락의 전투 대형을 언급하며 종종 "차크라뷰하"라고 불린다. 신화 속 라바나의 수도인 랑카는 알-베루니의 ''인도'' (기원후 1030년경) p. 306의 1910년 번역본에서 미궁으로 묘사된다(다음 페이지에 다이어그램 포함).[39]
백해 부근, 특히 솔로베츠키 제도에는 30개 이상의 석조 미궁이 보존되어 있다. 가장 주목할 만한 기념물은 볼쇼이 자야츠키 섬의 석조 미궁으로, 작은 섬의 0.4km2 면적에 약 13개의 석조 미궁이 모여 있다. 지역 고고학자들은 이 미궁이 2,000~3,000년 된 것으로 추정하지만, 대부분의 연구자들은 회의적이다.[40]
5. 2. 중세 미궁과 잔디 미로
중세 미궁의 완전한 개화는 12세기부터 14세기까지 북부 프랑스의 샤르트르 대성당, 랭스 대성당, 아미앵 대성당 등 고딕 양식의 대성당에 거대한 포장 미궁이 생기면서 이루어졌다.[55] 이것의 상징성이나 목적은 불분명하며 설치마다 다를 수 있다. 일부 미궁은 예루살렘을 암시하는 것으로 시작되었을 수 있으며, 일부 현대 작가들은 기도와 헌신이 복잡한 길을 따라 걷는 것과 함께 했을 것이라고 이론화했다.[43] 대성당 미궁은 잔디 미로의 영감이 된 것으로 여겨진다.[44][45]같은 기간 동안 스칸디나비아에는 500개 이상의 비종교적인 미궁이 건설되었다. 일반적으로 해안 지역에 있는 이 미궁은 돌로 표시되어 있으며, 가장 흔하게 단순한 7코스 또는 11코스 고전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종종 "트로이 타운"으로 번역되는 이름을 가지고 있다. 이 미궁은 어촌 공동체에 의해 건설된 것으로 추정되며, 사악한 트롤이나 바람을 미궁의 고리에 가두는 것은 안전한 어업 원정을 보장할 수 있다고 믿었다.
6. 기독교에서의 사용
미궁은 다양한 경우에 기독교 전통에서 예배의 일부로 사용되었다. 가장 초기의 알려진 사례는 알제리 오를레앙빌의 성 레파라투스 바실리카의 4세기 바닥에서 발견되었으며, 중앙에 "Sancta Eclesia"라는 단어가 있지만 예배에서 어떻게 사용되었는지는 불분명하다.
중세 시대에 미궁은 서기 1000년경부터 교회 벽과 바닥에 나타나기 시작했다. 나중에 큰 영향을 미친 가장 유명한 중세 미궁은 샤르트르 대성당에 만들어졌다.[55]
최근 기독교 예배의 일부 맥락에서 미궁의 사용이 부활했다. 유럽과 북미의 많은 교회는 영구적인 단선 미궁을 건설하거나 임시 미궁(예: 캔버스에 페인트칠하거나 양초로 윤곽을 그리는 것)을 사용한다. 예를 들어, 2000년 3월에는 세인트 폴 대성당 바닥에 미궁이 일주일 동안 설치되었다.[56] 일부 보수적인 기독교인들은 미궁을 이교도 관행이나 "뉴에이지" 유행으로 간주하며 반대한다.[57]
미궁이 기독교에 수용된 가장 오래된 예로, 알제리의 엘 아스남에 있는 4세기에 만들어진 레파라투스 교회의 바실리카 바닥에 그려진 크레타형 미궁이 꼽힌다.[59] 기독교 교회의 미궁은 시대가 흐르면서 크레타형이 사라지고, 더 기독교적 상징성이나 우주관과 조화된 미궁이 나타나게 되었다.
12세기부터 14세기에 걸쳐, 프랑스 북부의 샤르트르 대성당, 랭스 노트르담 대성당, 아미앵 노트르담 대성당 등의 고딕 건축 양식의 교회의 바닥에 대형 미궁이 그려지게 되었다. 고딕 시대에는 미궁이 가진 성스러움이 사라지기 시작했고, 분기점이나 막다른 길과 같은 미로의 성격을 가진 미궁도 나타나게 되었다.[59]
18세기 후기 이후의 서적에서는 예루살렘으로 가는 길(chemin de Jerusalem)을 나타내는 것으로 소개되기도 하지만, 현재에 이르러서는 초기 기독교 신자들이 어떤 목적으로 바닥에 미궁을 그렸는지는 불분명하다.[66][67]
7. 문화적 의미와 현대적 응용
선사 시대 미궁은 악령을 가두는 덫이나 의식 춤을 위한 길로 사용되었을 수 있다. 많은 로마 시대와 기독교 시대의 미궁은 건물 입구에 나타나는데, 이는 주술적 목적을 수행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52] 칼 슈스터(Carl Schuster)와 에드먼드 스노우 카펜터(Edmund Snow Carpenter)는 미궁을 신성한 조상의 집으로 가는 신성한 길, 또는 조상 자신을 나타내는 것으로 제안한다.[53]
미궁은 순례의 상징으로 생각할 수 있는데, 길을 걷는 사람들은 구원이나 깨달음을 향해 나아간다. 여러 세기에 걸친 전통의 신비로운 가르침은 그것들이 또한 영적인 길의 암호화된 지도로 이해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54]
최근 교회, 병원, 공원에 많은 미궁이 건설되었다. 이것들은 종종 명상을 위해 사용되는데, 회전을 하면서 걷다 보면 방향과 외부 세계를 잊게 되어 마음이 차분해진다.
8. 미디어에서의 사용
미궁과 미로는 비디오 게임 산업에서 널리 사용되어 왔으며, 수많은 비디오 게임에서 이러한 기능을 포함하고 있다. 예를 들어, 1994년 비디오 게임 마라톤에는 플레이어가 탐험해야 하는 미로와 같은 통로가 많이 등장한다.
미궁은 여러 영화, 게임, 음악 작품에 등장한다. 예를 들어, 아방가르드 멀티 스크린 영화 ''미궁 속으로''는 상징적인 현대 미궁 속에서 의미를 찾는 과정을 보여준다. 호평을 받은 2006년 영화 ''판의 미로''는 미궁의 전설에서 많은 상징성을 차용했다. 마법의 미궁은 ''사서들''의 세 번째 에피소드 "딜레마의 뿔"에 등장한다. 더 많은 제목 목록은 미궁 (동음이의)를 참조할 수 있다. 짐 헨슨의 컬트 클래식 영화 미궁은 어린 여성이 어린 남동생을 구하기 위해 통과해야 하는 거대한 초자연적인 미로를 보여준다.
아르헨티나 작가 호르헤 루이스 보르헤스는 미궁이라는 아이디어에 매료되어 단편 소설(예: ''알레프''의 "아스테리온의 집")에 광범위하게 사용했다. 그의 미궁 활용은 다른 작가들에게 영감을 주었다(예: 움베르토 에코의 ''장미의 이름'', 마크 Z. 다니엘레우스키의 ''잎의 집''). 또한, 로저 젤라즈니의 판타지 시리즈 ''앰버 연대기''는 "패턴"이라고 불리는 미궁을 특징으로 하며, 그곳을 걷는 사람에게 평행 세계를 넘나들 수 있는 힘을 부여한다. 릭 라이어던의 시리즈 퍼시 잭슨과 올림포스의 신들에서 네 번째 소설 ''미궁의 전투''의 사건은 주로 다이달로스의 미궁 안에서 벌어지며, 이 미궁은 서양의 중심부를 따라 미국 아래에 자리 잡았다. 어슐러 K. 르 귄은 어스시 시리즈의 두 번째 책인 ''아투안의 무덤''에서 지하 미궁을 사용했는데, 이 책에서 시리즈의 주인공 게드는 카르기시 제국으로 가는 길에 이 책의 주인공 테나르에게 붙잡힌다. "이름 없는 자들"의 영적인 힘은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미궁에 달려 있다. 호주 작가 사라 더글라스는 크레타 섬의 미궁이 고대 세계에 여러 개 존재했으며 도시를 마법의 원천으로 사용했던 ''트로이 게임'' 시리즈에 몇 가지 미궁적인 아이디어를 통합했다. 로렌스 더럴의 ''어두운 미궁''은 크레타 섬의 지하에 갇힌 여행자들을 묘사한다. 미궁은 벗어나기 어려운 상황에 대한 은유가 될 수 있기 때문에, 옥타비오 파스는 멕시코 정체성에 대한 그의 저서의 제목을 ''고독의 미궁''으로 정하고, 멕시코의 상황을 고아처럼 길을 잃은 것으로 묘사했다.
참조
[1]
harvnb
1992
[2]
서적
Through the Labyrinth
2000
[3]
서적
Through the Labyrinth
2000
[4]
문서
The Idea of the Labyrinth
[5]
서적
The Unending Mystery
Pantheon
2004
[6]
서적
Through the Labyrinth
2000
[7]
문서
1922
[8]
웹사이트
Mazes or Labyrinths?
http://www.labyrinth[...]
2017-12-28
[9]
웹사이트
About Labyrinths
https://labyrinthsoc[...]
2015-09-18
[10]
서적
The Unending Mystery
Pantheon
2004
[11]
학술지
Mykenische Beiträge. II. Zur mykenischen Tracht und Kultur
1892
[12]
기타
Λυδοὶ γάρ 'λάβρυν' τὸν πέλεκυν ὀνομάζουσι
불명
[13]
학술지
The Double Axe and the Labyrinth
https://zenodo.org/r[...]
1901
[14]
서적
Die Geschichte der Griechische Religion
C.F.Beck Verlag
1967
[15]
서적
The Oxford Classical Dictionary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16]
웹사이트
da-pu2-ri-to-jo
http://minoan.deadit[...]
Deaditerranean
[17]
서적
The Ancient Greeks. An introduction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18]
학술지
The Cretan Labyrinth: Palace or Cave?
2008
[19]
서적
KRHTH TIS GAI ESTI: Studi e ricerche intorno ai testi minoici
Il Calamo
1996
[20]
서적
KRHTH TIS GAI ESTI: Studi e ricerche intorno ai testi minoici
Il Calamo
1996
[21]
서적
Through the Labyrinth
Prestel
2000
[22]
서적
Etymological Dictionary of Greek
Brill
2009
[23]
웹사이트
Iliad
https://www.perseus.[...]
Tufts University
[24]
학술지
The Minotaur Within: Fire, the Labyrinth, and Strategies of Containment in Aeneid 5 and 6
1995-07
[25]
인용
[26]
웹사이트
Has the original Labyrinth been found?
https://www.independ[...]
2009-10-16
[27]
웹사이트
National Geographic Channel: The Holy Grail (and the Minotaur)
http://channel.natio[...]
2011-01-01
[28]
서적
The Histories of Herodotus
불명
[29]
서적
2000
[30]
서적
The Pyramids: The Mystery, Culture and Science of Egypt's Great Monuments
Grove Press
[31]
서적
The Complete Pyramids
Thames & Hudson
[32]
문서
[33]
문서
One Hundred Greek Sculptors: Their Careers and Extant Works
[34]
서적
Natural History
http://attalus.org/t[...]
[35]
서적
Labyrinths and Mazes
Gaia
2003
[36]
서적
Labyrinths and Mazes
[37]
웹사이트
Festival on Labyrinth and Symmetry
https://sites.google[...]
2013-09-09
[38]
서적
Labyrinths and Mazes
[39]
웹사이트
India
http://www.columbia.[...]
Kegan Paul, Trench, Trübner & Co, London
1910
[40]
서적
Labyrinths and Mazes
[41]
웹사이트
Labyrinthos Archive – The First Labyrinths
http://www.labyrinth[...]
2020-01-10
[42]
문서
quod nunc Harena dicitur
1969
[43]
문서
Labyrinth
[44]
서적
The maze and the warrior: symbols in architecture, theology, and music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45]
논문
English Turf Mazes, Troy, and the Labyrinth
Taylor and Francis
[46]
서적
Labyrinths and Mazes
Gaia
2003
[47]
뉴스
The Pandemic-Era Appeal of Getting Lost in a Labyrinth
https://www.bloomber[...]
2020-07-29
[48]
웹사이트
Welcome to the World-Wide Labyrinth Locator!
https://labyrinthloc[...]
2021-11-23
[49]
서적
Labyrinth of Transformations
Grafiche Aurora, Verona
1988
[50]
뉴스
Tube celebrates 150th birthday with labyrinth art project
https://www.theguard[...]
2013-02-07
[51]
서적
Labyrinth: A Journey Through London's Underground
https://art.tfl.gov.[...]
Art Books
2014
[52]
서적
Averting Demons
2004
[53]
서적
Patterns that Connect: Social Symbolism in Ancient & Tribal Art
Harry N. Abrams
[54]
서적
Follow Your Heart: The Map to Illumination
Living Heart Media
[55]
서적
Through the Labyrinth: Designs and Meaning Over 5,000 Years
Prestel
[56]
문서
Labyrinths and Prayer Stations
[57]
뉴스
Maze Craze
https://www.catholic[...]
The Fellowship of St. James
2000-09
[58]
뉴스
"エジプト政府がひた隠す、地下迷宮の謎…スフィンクスの地下にも秘密都市が存在?"
https://biz-journal.[...]
Business Journal
2018-04-29
[59]
논문
「迷宮(Labyrinth)」図像群に関する一考察 : 迷宮史概略,および現代アメリカにおける迷宮図像活用について
東京大学文学部宗教学研究室
[60]
문서
Λυδοὶ γάρ ‘λάβρυν’ τὸν πέλεκυν ὀνομάζουσι
[61]
서적
Die Minoische Kultur des alten Kreta
1990
[62]
논문
The Double Axe and the Labyrinth
1901
[63]
서적
Die Minoische Kultur des alten Kreta
W.Kohlhammer Stuttgart
1964
[64]
문서
Mycenaean tree and pillar cult and its Mediterranean relations
[65]
서적
Etymological Dictionary of Greek
Brill Academic Publishers
2010
[66]
서적
The maze and the warrior: symbols in architecture, theology, and music
Harvard University Press
[67]
논문
English Turf Mazes, Troy, and the Labyrinth
Taylor and Francis
[68]
서적
Through the Labyrinth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