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미케네 그리스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미케네 그리스어는 기원전 15세기부터 12세기까지 미케네 문명에서 사용된 고대 그리스어의 방언이다. 선문자 B로 기록되었으며, 선문자 B가 개방 음절 위주로 표기되어 미케네 그리스어의 음운 체계를 완벽하게 나타내지는 못했다. 미케네 그리스어는 인도유럽조어와 초기 그리스조어의 특징을 보존하면서 독자적인 음운 체계를 가지고 있었으며, 7개의 격, 3개의 수로 명사가 굴절하고 3개의 시제, 상, 서법, 태, 수, 인칭에 따라 동사가 굴절했다. 미케네 그리스어는 그리스어족에 속하며, 고유의 음운 변화와 어휘적 특징을 지닌다. 미케네어 문헌은 약 6000점의 점토판과 그릇 조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미케네 문명 몰락 이후에는 사용되지 않았지만, 후대의 그리스어 방언에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대 그리스어 - 그리스조어
    그리스조어는 후기 인도유럽조어에서 분화되어 기원전 2500년경에 출현한 언어로 추정되며, 흑해 북쪽에서 기원하여 그리스 지역으로 이주한 화자들이 토착 선그리스 기층언어 화자들과 혼합되어 형성되었고, 기원전 1700년경부터 남부와 북부 그룹으로 나뉘기 시작했다.
  • 고대 그리스어 - 키프로스 음절문자
    키프로스 음절문자는 키프로-미노아 문자에서 파생된 음절 문자로, 고대 키프로스에서 그리스어와 에테오키프로스어 표기에 사용되었으며, 56개의 기호로 구성되어 주로 열린 음절을 나타내고 19세기에 조지 스미스에 의해 해독되었다.
  • 미케네 문명 - 호메로스
    호메로스는 고대 그리스의 서사시인으로 《일리아스》와 《오디세이아》의 저자로 알려져 있으나, 그의 실존 여부와 작품 저술 등에 대한 "호메로스 문제"는 논쟁 중이며, 생애와 출생지는 불확실하고, 그의 서사시는 구전 전승을 거쳐 기록되어 그리스 문학과 서구 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다.
  • 미케네 문명 - 존 채드윅
    존 채드윅은 영국의 고전학자이자 암호학자로, 마이클 벤트리스와 함께 미케네 문명의 선형 B 문자를 해독했으며, 케임브리지 대학교에서 고전학을 가르치고 미케네 문명 연구에 크게 기여했다.
  • 언어에 관한 - 에스토니아어
    에스토니아어는 우랄어족 핀우그리아어파에 속하며 에스토니아의 공용어이자 유럽 연합의 공용어 중 하나로, 독일어의 영향을 받아 어휘와 통사론에서 흔적을 찾을 수 있고, 형태론적으로 교착어에서 굴절어로 변화하는 과도기적 특징을 보이는 언어이다.
  • 언어에 관한 - 슬로바키아어
    슬로바키아어는 슬로바키아의 공용어이자 약 500만 명이 사용하는 서슬라브어군 언어로, 라틴 문자 기반의 고유한 문자를 사용하며 체코어와 유사하고 폴란드어 등 다른 슬라브어와도 연관성을 가진다.
미케네 그리스어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이름미케네 그리스어
사용 지역발칸 반도 남부/크레타
사용 시대기원전 16세기~기원전 12세기
어족인도유럽어족
어파그리스어파
어계그리스어
문자선문자 B
ISO 639-3gmy
글롯로그myce1242
글롯로그 이름Mycenaean Greek
언어 목록gmy
언어학적 특징
음성학적 특징국제 음성 기호 (IPA) 표기 사용
시대청동기 시대 후기
역사적 배경
사용 시기미케네 문명 시기
시대기원전 16세기 ~ 기원전 12세기
주요 특징선문자 B로 기록됨
관련 정보
관련 링크선문자 B 해독 60주년 관련 케임브리지 대학 뉴스

2. 문자

선문자 B는 미노아 문명에서 사용된 선문자 A를 변형하여 만든 문자로, 약 200개의 음절 문자와 표어 문자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선문자 B는 미케네 그리스어의 소리를 완벽하게 표현하지 못했는데, 이는 선문자 B의 음절 문자 수가 미케네어의 다양한 음절을 표현하기에 부족했기 때문이다.[31]

이러한 제약으로 인해 다음과 같은 표기법 상의 단순화가 이루어졌다.[31]


  • 치음 d와 t를 제외하면, 유성음, 무성음, 무기음을 구별하지 않고 동일하게 표기했다. 예를 들어 𐀁𐀒gmy ‹e-ko›는 'egō'(‘나’) 또는 'ekhō'(‘나는 가진다’)를 모두 나타낼 수 있다.
  • 자음 앞의 m, n과 음절말의 l, m, n, r, s는 생략되었다. 예를 들어 𐀞𐀲gmy ‹pa-ta›는 ‘panta’(‘모든’)를, 𐀏𐀒gmy ‹ka-ko›는 ‘khalkos’(‘구리’)를 나타낸다.
  • 자음군은 중간에 가상의 모음이 있는 것처럼 표기해야 했다. 예를 들어 𐀡𐀵𐀪𐀚gmy ‹po-to-ri-ne›는 ‘ptolin’ (πόλιν|pólingrc 또는 πτόλιν|ptólingrc ‘도시’(대격))를 나타낸다.
  • 유음 r과 l을 구별하지 않았다. 예를 들어 𐀣𐀯𐀩𐀄gmy ‹qa-si-re-u›는 ‘gʷasileus’(βασιλεύς|basileúsgrc ‘왕’)를 나타낸다.
  • 일반적으로 h는 표시되지 않았다. 예를 들어 𐀀𐀛𐀊gmy ‹a-ni-ja›는 ‘hāniai’ (‘고삐들’)를 나타낸다.
  • 모음의 길이는 구별되지 않았다.
  • ‘z’로 흔히 표기되는 자음은 *dy와 어두의 *y, *ky, *gy를 나타낼 가능성이 크다.[32]
  • ‹q-› 는 양순연구개음 kʷ, gʷ, 그리고 몇몇 고유명사에서 kʷʰ를 나타냈다.[32] 예를 들어 𐀣𐀄𐀒𐀫gmy ‹qo-u-ko-ro›는 ‘gʷoukoloi’(βουκόλοι|boukóloigrc ‘소떼’)이다.
  • 자음 앞의 어두 s는 생략되었다. 예를 들어 𐀲𐀵𐀗gmy ‹ta-to-mo›는 σταθμός|stathmósgrc (‘자리’)를 나타낸다.
  • 자음의 길이를 구분하지 않았다. 𐀒𐀜𐀰gmy ‹ko-no-so›는 ‘Knōsos’(Κνωσσός|Knōssósgrc, ‘크노소스’)를 나타낸다.


한 글자가 여러 음가를 갖지는 않지만, 여러 글자가 같은 음가를 가지는 경우는 있었다.[33] 긴 단어는 중간이나 마지막 글자가 생략되기도 했다.

선문자 B로 적힌 미케네 그리스어 명문. 미케네 고고학 박물관.

3. 음운론

미케네 그리스어는 인도유럽조어와 초기 그리스어의 특징을 보존하면서도, 후대 그리스어와는 다른 독자적인 음운 체계를 가지고 있었다.

멧돼지 엄니 투구를 쓴 전사. 기원전 14세기~13세기 아테네 아크로폴리스의 미케네 시대 석실 무덤 출토



  • 양순 연구개음: 양순 연구개음(kʷ, gʷ, kʷʰ)의 존재는 주목할 만한 특징이다. 이 소리들은 ‹q›로 표기되었으며, 고대 그리스어에서는 환경과 방언에 따라 , , 또는 로 분화했다.[24] 예를 들어 미케네어 𐀦𐀄𐀒𐀫|qo-u-ko-rogmy는 '소치는 사람'을 뜻하며, 고대 그리스어의 에 해당한다.

  • 반모음과 성문 마찰음: 반모음 /j, w/와 모음 사이 성문 마찰음 /h/ 등은 고대 그리스어의 일부 방언에서는 사라졌지만, 미케네 그리스어에는 남아 있었다. /w/는 몇몇 방언에서 살아남아 디감마(ϝ) 또는 베타(β)로 표기되었다.

  • 'z'로 표기되는 자음: 'z'로 표기되는 자음은 [dz] 또는 [ts]와 같은 파찰음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24] 이 소리는 [], [], [] 및 일부 어두 []에서 왔으며, 그리스 문자로는 ‹ζ›로 표기되었다. 아티카 그리스어에서는 많은 경우 로 발음되었을 가능성이 있지만, 현대 그리스어에서는 이다.

  • 모음: 5개의 모음(/a, e, i, o, u/)이 존재했으며, 장모음과 단모음의 구분이 있었다.

  • 선형 B 문자의 한계: 선형 B 문자는 미케네 그리스어를 완벽하게 표기하기에는 불완전했다. 유성음, 무성음, 유기음은 모두 같은 기호로 표기되었고(단, /t, tʰ/와 /d/는 구분됨), /r/과 /l/은 모두 /r/로 표기되었다. /h/는 a 다음에 올 때만 구분되었다. 모음과 자음의 길이는 표기되지 않았으며, 많은 경우 자음 뒤에 모음이 오지 않으면 표기할 수 없었다.[25] 이러한 한계로 인해, 미케네 그리스어의 음운 체계는 완벽하게 재구되지 않았다.

4. 형태론

미케네 그리스어의 명사는 격(주격, 속격, 대격, 여격, 호격, 도구격, 처격)과 3개의 (단수, 쌍수, 복수)에 따라 굴절했다고 생각된다. 도구격과 처격은 이미 고대 그리스어 시기에 다른 격과 합쳐졌다. 현대 그리스어에는 주격, 대격, 속격, 호격만이 별개의 격으로 남아 있다.[34][4] 형용사는 수식하는 명사의 격, 성, 수에 일치한다.

동사는 3개의 시제(과거시제, 현재시제, 미래시제)와 3개의 상(완료상, 완결상, 미완결상), 4개의 서법(직설법, 명령법, 가정법, 원망법), 3개의 (능동태, 중간태, 수동태), 3개의 수(단수, 쌍수, 복수), 3개의 인칭(1인칭, 2인칭, 3인칭)에 따라 굴절했으며 부정형과 관형형이 있었다고 생각된다.

접두모음은 미케네 그리스어에서 거의 나타나지 않는다. 유일한 예외는 𐀀𐀟𐀈𐀐|a-pe-do-ke|아페도케gmy(PY Fr 1184)인데 이마저도 다른 곳에서는 접두모음 없이 𐀀𐀢𐀈𐀐|a-pu-do-ke|아푸도케gmy(KN Od 681)로 나타난다. 호메로스의 작품에서 접두모음은 종종 생략된다.[35][5]

미케네 그리스어의 격은 다음과 같이 변화하였다.[26]

인도유럽조어미케네 그리스어고대 그리스어현대 그리스어
주격주격주격주격
호격호격호격호격
대격대격대격대격
속격속격속격속격
탈격
여격여격여격
처격처격
도구격도구격


5. 그리스어로서의 특징

미케네어는 그리스어에 고유한 음운 변화를 겪었으므로 그리스어에 속하는 것으로 여겨진다.[36]

음운 변화



이러한 특징들은 미케네어가 그리스어족에 속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미케네어에는 다음과 같은 그리스어 고유의 어휘가 나타난다.

선형문자 B 표기표기음역
𐀣𐀯𐀩𐀄gmy‹qa-si-re-u›*gʷasileus (βασιλεύςgrc )
𐀏𐀒gmy‹ka-ko›*kʰalkos (χαλκόςgrc )구리



또한, 다른 언어에서 차용된 단어들도 그리스어식 형태로 나타난다.

선형문자 B 표기표기음역
𐀷𐀩𐀏gmy‹wa-na-ka›*wanax(ἄναξgrc )군주, 왕, 지도자[37]
𐀷𐀩𐀷gmy‹wa-na-sa›*wanassa (ἄνασσαgrc )여왕[38]
𐀁𐀨𐀺gmy 𐀁𐁉𐀺gmy‹e-ra-wo› ‹e-rai-wo›*elaiwon (ἔλαιονgrc )올리브유
𐀳𐀃gmy‹te-o,›*tʰehos (θεόςgrc )
𐀴𐀪𐀠gmy‹ti-ri-po›*tripos (τρίπουςgrc )삼각대


6. 문헌

미케네어 문헌은 LMII기부터 LHIIIB기까지 만들어진, 선문자 B가 새겨진 약 6000점의 점토판과 그릇 조각으로 되어 있다.[39] 지금까지 선문자 B로 된 기념비나 선문자 B가 아닌 다른 문자로 된 기록은 발견되지 않았다.

카프카니아 조약돌이 기원전 17세기에 만들어진 진품이라면 현전하는 가장 오래된 미케네어 기록이자 그리스어의 가장 오래된 흔적이 되겠지만, 위조품이라 여겨진다.[8][9][10]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는 선형 B 점토판의 가장 오래된 연대는 크노소스의 '전차 점토판 방'에서 발견된 점토판들로, 기원전 15세기 후반부터 14세기 초반 사이의 LM II-LM IIIA 시대에 해당하는 것으로 여겨진다.[11]

7. 후대의 발달

미케네 문명이 몰락한 후, 미케네 그리스어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았지만, 후대 그리스어 방언, 특히 아르카디아·키프로스 그리스어에 그 흔적을 남겼다. 아르카디아·키프로스 그리스어는 펠로폰네소스반도 중부 아르카디아와 키프로스에서 사용된 고대 그리스어 방언이다. 고대 팜필리아에서 쓰였던 팜필리아 그리스어도 아르카디아·키프로스 및 미케네 그리스어와 일부 유사성을 보인다.[21]

7. 1. 문헌 내 변이

미케네어는 기록된 모든 중심 지역에서 상당히 일관된 모습을 보이지만, 방언적 변이의 흔적도 약간 나타난다. 이러한 변이에는 다음이 포함된다.

  • 자음어간 명사의 여격형에 'e' 대신 'i' 사용
  • '\*spermṇ'에서 유래한 '\*ṇ'의 반영으로 'o' 대신 'a' 사용 (예: 'pe-mo' 대신 'pe-ma')
  • 'te-mi-ti-ja'/'ti-mi-ti-ja'에서 볼 수 있는 'e/i' 교체


이러한 변이의 존재로 인해 에른스트 리슈(1966)는 선문자 B 기록 내에 방언 차이가 존재했을 수 있다고 제안했다.[40] 그는 점토판 기록에 쓰인 표준어인 "일반 미케네어"와 점토판에 기록을 새긴 각 서기들의 구어체 지역 방언인 "특수 미케네어"를 구분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41]

"특수 미케네어"는 "고유의 글씨체로 알아볼 수 있는 각 서기들은 자신들이 일상에서 사용하는 방언으로 돌아가" 위 예시와 같은 변이형을 사용한 것이라고 보았다.

리슈의 주장에 따르면, 미케네 문명 몰락 이후 표준 미케네어는 더 이상 쓰이지 않게 되었지만, 각 지역의 방언은 계속 살아남아 역사 시대의 다양한 그리스어 방언으로 발전했을 것이다.[41]

이러한 이론은 미케네어가 궁정의 기록과 귀족 지배 계급의 공적인 언어로 쓰인 일종의 특수한 코이네어였다는 생각과도 연관되어 있다. 궁정이 몰락한 뒤 문자가 쓰이지 않아 '미케네 코이네'가 사용되지 않게 된 뒤에도 그 바탕을 이루는 방언들은 각자의 방식으로 계속 발전해 나갔을 것이다. 이러한 관점은 안토닌 바르토네크가 처음 제시하였다.[42][43] 레너드 로버트 파머(1980)와 이브 뒤우(1985) 같은 언어학자들도 이러한 '미케네 코이네'라는 관점을 지지한다.[46] (고고학에서는 '미케네 코이네'라는 용어를 이 지역의 물질 문화를 가리키는 말로도 사용한다.) 그러나 선문자 B는 어두 기식이나 모음의 길이 등 방언 차이가 될 수 있는 여러 특징을 표시할 수 없으므로, 선문자 B의 기록이 일관되다고 해서 그 발음도 일관되었다고 추론할 수는 없다.

하지만, "특수 미케네어"가 독자적인 방언으로 존재했다는 증거에 대한 반박도 존재한다. 톰슨은 리슈가 제시한 증거가 미케네어의 두 가지 방언을 재구할 만한 판단 기준을 충족하지 못한다고 주장한다.[47] 특히, 리슈 이후에 나온 최근의 고문자학적 연구에 따르면 "특수 미케네어" 형태를 일관되게 사용한 서기는 없다고 밝혀졌다.[48] 이러한 일관성의 부재는 소위 "일반 미케네어"와 "특수 미케네어"가 지역 방언이나 사회 방언적 차이를 나타내지 않음을 시사한다. 만약 그런 방언적 차이가 있었다면 화자 개개인의 언어 간에 집중적으로 차이가 나타났을 테지만, 선문자 B 문헌에서 그런 증거는 찾을 수 없기 때문이다.

8. 추가 문헌

존 채드윅(John Chadwick) 저, 김운한, 김영주 역, <<선형문자 B의 세계: 문자로 살펴본 고대 그리스 문명의 발자취>> (사람과책, 2012)

참조

[1] 서적 The Mycenaean World https://archive.org/[...] Cambridge UP
[2] 웹사이트 Cracking the code: the decipherment of Linear B 60 years on https://www.cam.ac.u[...] 2023-01-15
[3] 서적 Ancient Greece: A Very Short Introduction Oxford University Press 2011-10-27
[4] 논문 Convergence in the formation of Indo-European subgroups: Phylogeny and chronology McDonald Institute for Archaeological Research
[5] 문서 Hooker 1980:62
[6] 웹사이트 The Linear B word wa-na-ka http://www.palaeolex[...]
[7] 웹사이트 The Linear B word wa-na-sa http://www.palaeolex[...]
[8] 논문 OL Zh 1: QVOVSQVE TANDEM? http://www.utexas.ed[...]
[9] 논문 Linear B Script and Linear B Administrative System: Different Patterns in Their Development
[10] 서적 The Undeciphered Signs of Linear B
[11] 서적 The Scribes of the Room of the Chariot Tablets at Knossos: Interdisciplinary Approach to the Study of a Linear B Deposit Ediciones Universidad de Salamanca
[12] 논문 Les differences dialectales dans le mycenien
[13] 논문 A Doric Fifth Column? http://www.casa-kvsa[...]
[14] 논문 Greek dialectology after the decipherment of Linear B https://digilib.phil[...] Universita J.E. Purkyně
[15] 논문 Mycenaean Koine reconsidered C.U.P.
[16] 서적 The Greek Language London
[17] 논문 Mycénien et écriture grecque Louvain-La-Neuve
[18] 논문 The Greek koine and the logic of a standard language https://www.ucl.ac.u[...] Ashgate
[19] 논문 Special vs. Normal Mycenaean Revisited
[20] 서적 The scribes of Pylos https://books.google[...] Edizioni dell'Ateneo
[21] 서적 Encyclopedia of Ancient Greece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3-10-31
[22] 서적 The Mycenaean World Cambridge UP
[23] 서적
[24] 서적
[25] 서적
[26] 논문 Convergence in the formation of Indo-European subgroups: Phylogeny and chronology McDonald Institute for Archaeological Research
[27] 문서 Woodard (2004) pp.651-652
[28] 서적
[29] 논문 OL Zh 1: QVOVSQVE TANDEM? http://www.utexas.ed[...]
[30] 서적 The Mycenaean World https://archive.org/[...] Cambridge UP
[31] 서적
[32] 서적
[33] 서적
[34] 논문 Convergence in the formation of Indo-European subgroups: Phylogeny and chronology McDonald Institute for Archaeological Research
[35] 문서 Hooker 1980:62
[36] 서적 Ventris & Chadwick (1973)
[37] 웹인용 The Linear B word wa-na-ka http://www.palaeolex[...]
[38] 웹인용 The Linear B word wa-na-sa http://www.palaeolex[...]
[39] 논문 OL Zh 1: ''QVOVSQVE TANDEM?'' http://www.utexas.ed[...]
[40] 서적 Les differences dialectales dans le mycenien CCMS
[41] 간행물 A DORIC FIFTH COLUMN? http://www.casa-kvsa[...]
[42] 논문 Greek dialectology after the decipherment of Linear B https://digilib.phil[...] Universita J.E. Purkyně
[43] 논문 Mycenaean Koine reconsidered C.U.P.
[44] 서적 The Greek Language London
[45] 논문 Mycénien et écriture grecque Louvain-La-Neuve
[46] 논문 The Greek koine and the logic of a standard language https://www.ucl.ac.u[...] Ashgate
[47] 논문 Special vs. Normal Mycenaean Revisited
[48] 서적 The scribes of Pylos https://books.google[...] Edizioni dell'Atene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