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바바 오 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바바 오 럼은 브리오슈 반죽을 발효시켜 구운 후 럼주 시럽을 적셔 만든 프랑스 과자이다. 원래는 동유럽에서 유래된 이스트 케이크였으며, 18세기 폴란드 국왕 스타니스와프 레슈친스키가 리큐어를 뿌려 먹으면서 럼 바바가 시작되었다는 설이 있다. 1835년경 파리에서 럼 바바가 발명되었고, 이후 나폴리에서도 인기를 얻었다. 바바는 럼주 시럽, 과일, 크림 등을 곁들여 다양한 형태로 즐길 수 있으며, 사바랭은 바바 오 럼에서 영감을 받아 만들어진 과자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술 요리 - 카사타
    카사타는 10세기 시칠리아 이슬람 에미르국 시대 팔레르모에서 기원한 시칠리아 디저트로, 리코타 치즈를 사용한 둥근 형태 외에 다양한 형태와 변형이 존재하며, 미국과 인도 등지에서도 독특한 형태로 만들어진다.
  • 술 요리 - 증편
    증편은 쌀가루에 술을 넣어 발효시켜 쪄서 만드는 떡으로,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며 상화와 유사한 조리법을 가지고 있고, 술 향과 새콤달콤한 맛이 특징이며 소화가 잘 되어 여름철에 즐겨 먹는다.
  • 이탈리아의 후식 - 젤라토
    젤라토는 이탈리아 전통 수제 방식으로 만든 아이스크림으로, 낮은 공기 함량과 유지방 함량으로 인해 일반 아이스크림보다 밀도가 높고 칼로리가 낮으며, 16세기 이탈리아에서 기원하여 여러 인물의 기여와 기술 발전을 거쳐 현재에 이르렀고, 이탈리아에서는 수제 젤라토가 여전히 인기 있다.
  • 이탈리아의 후식 - 카사타
    카사타는 10세기 시칠리아 이슬람 에미르국 시대 팔레르모에서 기원한 시칠리아 디저트로, 리코타 치즈를 사용한 둥근 형태 외에 다양한 형태와 변형이 존재하며, 미국과 인도 등지에서도 독특한 형태로 만들어진다.
  • 프랑스의 후식 - 누가
    누가는 설탕이나 꿀, 견과류를 넣어 만든 과자로, 아랍의 할바에서 유래하여 세계 각지로 전파되어 다양한 형태로 발전했으며 현대에는 초콜릿 바의 재료로도 사용된다.
  • 프랑스의 후식 - 프렌치 토스트
    프렌치 토스트는 얇게 썬 빵을 달걀과 우유 혼합물에 적셔 버터에 구운 요리로, 'Aliter Dulcia'라는 고대 조리법에서 기원하여 중세 유럽에서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며 발전해왔고, 현재는 전 세계적으로 아침 식사나 디저트로 널리 즐겨진다.
바바 오 럼 - [음식]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럼 바바
다른 이름Baba au rhum (프랑스어)
Savarin (사바랭, 관련 디저트)
Babà 또는 Babbà (나폴리어)
국가프랑스
지역로렌
종류케이크
코스디저트
주요 재료달걀, 우유, 버터, 럼
럼 바바

2. 역사

바바 오 럼의 역사는 여러 지역과 인물, 그리고 시간에 걸쳐 발전해 온 과정을 보여준다.

루마니아의 현대식

  • 18세기 이전: 바바의 기원은 폴란드의 전통 이스트 케이크인 baba|바바pl 또는 babka|바브카pl에서 찾을 수 있다. 이 단어는 슬라브어로 '할머니'를 뜻하며, 폴란드에서 유래된 것으로 추정된다.

  • 18세기: 망명한 폴란드 국왕 스타니스와프 레슈친스키로렌 공국을 통해 바바를 프랑스에 소개했다.[1][2] 그는 구겔호프나 말라버린 바바에 리큐어를 적시는 아이디어를 냈고, 그의 파티시에였던 니콜라스 스토러가 말라가 와인, 사프란, 건포도 등을 추가하여 바바를 개량했다.[3] 이후 스타니스와프의 딸 마리 레슈친스카가 루이 15세와 결혼하면서 바바는 베르사유 궁전에도 전해졌다.

  • 19세기: 1835년, 파리의 제과 기술자 스트레(Nicolas STOHRER)의 후손이 럼주를 사용한 바바를 개발했다.[10] 스트레는 뤼네빌에서 바바 제조법을 배웠으며, 1836년경 파리의 몽토르그이유 거리에 자신의 가게를 열어 바바를 대중화시켰다.[9] 바바는 나폴리에도 전파되어 babànap 또는 babbànap라는 이름으로 나폴리 특선 요리가 되었다.[4]

  • 1850년대: 파리의 제과 기술자 줄리앙 형제가 장 앙텔름 브리야 사바랭을 기리기 위해 원형 바바를 사바랭으로 개명했다.[11] 이후 프랑스에서는 바바 오 럼이라고 하면 소형 원통형만을 가리키게 되었지만, 나폴리에서는 여전히 다양한 형태의 바바가 존재한다.

  • 1899년 이후: 바바는 미국 레스토랑 메뉴에도 등장하기 시작했다.[5]


이처럼 바바 오 럼은 폴란드에서 시작하여 프랑스와 나폴리를 거쳐 전 세계로 퍼져나간, 오랜 역사와 다양한 변천 과정을 가진 디저트이다.

2. 1. 기원

바바의 원래 형태는 키가 크고 원통형인 이스트 케이크인 바바pl 또는 babkapl와 유사했다. 이 이름은 대부분의 슬라브어에서 '노파' 또는 '할머니'를 의미하며, babkapl는 babapl지소사이다.[1]

럼주에 말린 과일을 넣고 럼주에 적신 현대적인 baba au rhum프랑스어(럼 바바)는 1835년 또는 그 이전에 프랑스 파리의 rue Montorgueil|italics=no프랑스어에서 발명되었다. 오늘날 프랑스와 중부 및 동부 유럽 이외의 거의 모든 곳에서 baba프랑스어라는 단어는 일반적으로 럼 바바를 특별히 지칭한다.

원래 바바는 18세기에 로렌 공국을 통해 프랑스에 소개되었다. 이는 망명한 폴란드 국왕 스타니스와프 레슈친스키에게 기인한다.[1][2] Larousse Gastronomique프랑스어는 스타니스와프가 구겔호프 (바바와 대략 유사하며 그가 도착했을 때 알자스-로렌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케이크) 또는 바바를 리큐어로 적시는 아이디어를 떠올렸다고 보고했다. 또 다른 버전[3]은 스타니스와프가 항해에서 바바를 가져왔을 때 말라버렸다는 것이다. 그의 ''파티시에'' 중 한 명인 니콜라스 스토러는 말라가 와인, 사프란, 건포도, 신선한 건포도와 ''크렘 파티시에르''를 추가하여 이 문제를 해결했다.

18세기 초, 폴란드 왕위에서 쫓겨난 후 로렌 공으로 봉해진 스타니스와프 레슈친스키(스타니스라스 레크친스키)의 낭시 궁정에서 바바가 유래되었다고 전해진다. 치통에 시달리던 스타니스와프가 쿠겔호프를 먹기 쉽게 하기 위해 단맛이 나는 와인(럼주)을 뿌린 것이 바바의 시작이라고 한다.[7][8] 럼주를 뿌린 쿠겔호프를 불에 구운 스타니스와프는 과자의 아름다움에 매료되어 『천일야화』의 등장인물 알리바바를 떠올리며 과자에 알리바바라는 이름을 붙였다고 한다.[9] 스타니스와프가 고안한 바바는 로렌 궁정에서 인기를 끌었으며, 소스로 말라가산 와인이 제공되었다.[6]

프랑스 왕 루이 15세에게 시집간 스타니스와프의 딸 마리에 의해 바바는 프랑스 왕국의 궁정에도 전해졌다.[8]

1836년경, 파리의 몽토르그이유 거리에 가게를 연 로렌 지방 출신의 제과 기술자 스트레(Nicolas STOHRER)에 의해 바바가 파리 시민들에게 소개되었다.[10] 스트레는 폴란드 궁정이 옮겨진 뤼네빌에서 수련을 쌓았고, 이곳에서 바바의 제조법을 배웠다.[9] 처음 스트레는 주문이 들어올 때마다 미리 구워둔 반죽에 붓으로 시럽을 발라 과자를 내놓았지만, 이윽고 구운 반죽을 시럽에 담가 판매하기 시작했다.[6] 또한 처음에는 반죽에 사프란 등의 착색료가 사용되었지만, 상품화되면서 사용되지 않게 되었다.[7] 이후 바바는 상품화되어 많은 사람들에게 보급되어 인기를 얻게 되었다.[7]

바바의 상품화와 동시에 파리를 방문한 나폴리 귀족의 요리사에 의해 레시피가 전해져 나폴리의 명물이 되었다.[8]

명칭의 유래로는 『천일야화』를 마음에 들어 한 로렌 공이 알리바바에 착안하여 이를 "바바"라고 명명했다는 설이 있다.[7][8] 또한, 폴란드어로 "아줌마", "할머니"를 의미하는 바브카(babka)에서 유래되었다는 설[7][10], 과자를 완성한 사람이 기쁨에 겨워 외친 "바바ッ"라는 말에서 유래되었다는 속설[6]이 있다.

2. 2. 프랑스 전래

바바의 원래 형태는 키가 크고 원통형인 이스트 케이크인 바바|바바pl 또는 babka|바브카pl와 유사했다. 이 이름은 대부분의 슬라브어에서 '노파' 또는 '할머니'를 의미하며, babka|바브카pl는 baba|바바pl지소사이다.[1]

럼주에 말린 과일을 넣고 럼주에 적신 현대적인 baba au rhum|바바 오 럼프랑스어(럼 바바)는 1835년 또는 그 이전에 프랑스 파리의 rue Montorgueil|몽토르그이 거리프랑스어에서 발명되었다.[1] 오늘날 프랑스와 중부 및 동부 유럽 이외의 거의 모든 곳에서 baba|바바프랑스어라는 단어는 일반적으로 럼 바바를 특별히 지칭한다.

원래 바바는 18세기에 로렌 공국을 통해 프랑스에 소개되었다. 이는 망명한 폴란드 국왕 스타니스와프 레슈친스키에게 기인한다.[1][2] Larousse Gastronomique|라루스 가스트로노미크프랑스어는 스타니스와프가 구겔호프 (바바와 대략 유사하며 그가 도착했을 때 알자스-로렌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케이크) 또는 바바를 리큐어로 적시는 아이디어를 떠올렸다고 보고했다. 또 다른 버전[3]은 스타니스와프가 항해에서 바바를 가져왔을 때 말라버렸다는 것이다. 그의 ''파티시에'' 중 한 명인 니콜라스 스토러 (또는 당시 견습 파티시에)는 말라가 와인, 사프란, 건포도, 신선한 건포도와 ''크렘 파티시에르''를 추가하여 이 문제를 해결했다. 작가 Courchamps는 1839년에 스타니스와프의 후손들이 달콤한 말라가 와인에 Tanaisie liqueur의 1/6을 섞은 ''소스지에르''를 사용하여 바바를 제공했다고 말했다.

스토러는 1725년 스타니스와프의 딸인 마리 레슈친스카가 왕 루이 15세와 결혼하여 베르사유 궁전으로 그녀의 파티시에로 따라갔고, 1730년 파리에 파티세리를 설립했다. 그의 후손 중 한 명이 1835년에 럼주를 사용하는 아이디어를 냈다고 한다. 그는 갓 구운 케이크(틀에서 바로 꺼낸)에 그렇게 한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오늘날에는 바바가 럼주를 더 잘 흡수하도록 약간 말리는 것이 일반적인 관행이다. 나중에 럼주를 아로마 화합물 전화당 시럽과 혼합하여 레시피를 개선했다.

18세기 초에 폴란드 왕위에서 쫓겨난 후 로렌 공으로 봉해진 스타니스와프 레슈친스키(스타니스라스 레크친스키)의 낭시 궁정에서 바바가 유래되었다고 전해진다. 치통에 시달리던 스타니스와프가 쿠겔호프를 먹기 쉽게 하기 위해, 단맛의 와인(럼주)을 뿌린 것이 바바의 시작이라고 한다.[7][8] 럼주를 뿌린 쿠겔호프를 불에 구운 스타니스와프는 과자의 아름다움에 매료되어, 『천일야화』의 등장인물 알리바바를 떠올리며 과자에 알리바바라는 이름을 붙였다고 한다.[9] 스타니스와프가 고안한 바바는 로렌 궁정에서 인기를 끌었고, 소스로 말라가산 와인이 제공되었다.[6] 프랑스 왕 루이 15세에게 시집간 스타니스와프의 딸 마리에 의해, 바바는 프랑스 왕국의 궁정에도 전해졌다.[8]

파리의 몽토르그이 거리에 가게를 연 로렌 지방 출신의 제과 기술자 스트레(Nicolas STOHRER)에 의해, 1836년경에 바바가 파리 시민들에게 소개되었다.[10] 스트레는 폴란드 궁정이 옮겨진 뤼네빌에서 수련을 쌓았고, 이곳에서 바바의 제조법을 배웠다.[9] 처음 스트레는 주문이 들어올 때마다 미리 구워둔 반죽에 붓으로 시럽을 발라 과자를 내놓았지만, 이윽고 구운 반죽을 시럽에 담가 판매하기 시작했다.[6] 또한, 처음에는 반죽에 사프란 등의 착색료가 사용되었지만, 상품화되면서 사용되지 않게 되었다.[7] 이후 바바는 상품화되어 많은 사람들에게 보급되어 인기를 얻게 되었다.[7]

명칭의 유래로는, 『천일야화』를 마음에 들어 한 로렌 공이 알리바바에 착안하여 이를 "바바"라고 명명했다는 설이 있다.[7][8]

1850년대의 파리에서, 제과 기술자 줄리앙 형제가 원형 바바를 친구이자 미식가인 장 앙텔름 브리야 사바랭에게 경의를 표하여 사바랭으로 개명했다.

2. 3. 19세기 파리에서의 발전

나폴리


럼주에 말린 과일을 넣고 럼주에 적신 현대적인 baba au rhum프랑스어(럼 바바)는 1835년 또는 그 이전에 프랑스 파리의 rue Montorgueil|italics=no프랑스어에서 발명되었다.[1] 오늘날 프랑스와 중부 및 동부 유럽 이외의 거의 모든 곳에서 baba프랑스어라는 단어는 일반적으로 럼 바바를 특별히 지칭한다.

파리의 몽토르그이유 거리에 가게를 연 로렌 지방 출신의 제과 기술자 스트레(Nicolas STOHRER)에 의해 1836년경에 바바가 파리 시민들에게 소개되었다.[10] 스트레는 폴란드 궁정이 옮겨진 뤼네빌에서 수련을 쌓았고, 이곳에서 바바의 제조법을 배웠다.[9] 처음 스트레는 주문이 들어올 때마다 미리 구워둔 반죽에 붓으로 시럽을 발라 과자를 내놓았지만, 이윽고 구운 반죽을 시럽에 담가 판매하기 시작했다.[6] 또한, 처음에는 반죽에 사프란 등의 착색료가 사용되었지만, 상품화되면서 사용되지 않게 되었다.[7] 이후 바바는 상품화되어 많은 사람들에게 보급되어 인기를 얻게 되었다.[7] 나중에 샤를로트나 바바루아와 같은 칼로리가 낮은 젤리 형태의 과자가 선호되면서, 바바의 인기는 낮아졌다.[7]

스트레의 후손 중 한 명이 1835년에 럼주를 사용하는 아이디어를 냈다고 한다. 그는 갓 구운 케이크(틀에서 바로 꺼낸)에 그렇게 한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오늘날에는 바바가 럼주를 더 잘 흡수하도록 약간 말리는 것이 일반적인 관행이다. 나중에 럼주를 아로마 화합물 전화당 시럽과 혼합하여 레시피를 개선했다.

바바는 나폴리에서도 상품화와 동시에 파리를 방문한 나폴리 귀족의 요리사에 의해 레시피가 전해져 인기를 얻었으며, babànap 또는 babbànap라는 이름으로 인기 있는 나폴리 특선 요리가 되었다.[4][8]

1850년대의 파리에서, 제과 기술자 줄리앙 형제가 원형 바바를 친구이자 미식가인 장 앙텔름 브리야 사바랭에게 경의를 표하여 사바랭으로 개명했기 때문에, 이후 프랑스에서는 바바('''바바 오 럼''')라고 하면 소형 원통형만을 가리키게 되었다. 그러나 나폴리에서는 현재까지도 둘 다 바바 또는 바바라고 불리고 있다.[11]

2. 4. 나폴리로의 전파

바바는 나폴리에서도 인기가 있었으며, babànap 또는 babbànap라는 이름으로 인기 있는 나폴리 특선 요리가 되었다.[4] 1899년 이후 적어도 미국 레스토랑 메뉴에 등장했다.[5] 바바의 상품화와 동시에 파리를 방문한 나폴리 귀족의 요리사에 의해 레시피가 전해져, 나폴리의 명물이 되었다.[8]

1850년대의 파리에서, 제과 기술자 줄리앙 형제가 원형 바바를 친구이자 미식가인 장 앙텔름 브리야 사바랭에게 경의를 표하여 사바랭으로 개명했기 때문에, 이후 프랑스에서는 바바('''바바 오 럼''')라고 하면 소형 원통형만을 가리키게 되었다. 그러나 나폴리에서는 현재까지도 둘 다 바바 또는 바바라고 불리고 있다.[11]

2. 5. 사바랭(Savarin)의 등장

1844년 파리의 파티시에인 쥘리앙 형제는 '''사바랭'''을 발명했는데, 이는 바바 오 럼에서 강하게 영감을 받았지만, 다른 알코올 혼합물에 적셔지고 단순한 원형(원통형) 형태 대신 원형(고리) 케이크 틀을 사용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었다. 오늘날에는 이 고리 형태가 바바 오 럼과도 자주 연관되며, 사바랭이라는 이름은 럼에 적셔진 원형 케이크에도 종종 사용된다.[11]

3. 종류

시럽을 뿌리기 전의 바바 오 럼

  • '''바바 오 럼'''(baba au rhum프랑스어)은 브리오슈 반죽을 발효시켜 만든 빵에 럼주 풍미의 시럽을 적셔 만든다. 살구 을 바르고 마라스키노 체리를 장식한다.
  • '''바바 오 프뤼'''(baba aux fruits프랑스어)는 바바에 럼주 시럽을 적시고 딸기블루베리 등의 과일과 크렘 샹티이를 곁들인다.


나폴리미국의 이탈리아계 과자점에서는 바바 위에 커스터드 크림을 짜서 마라스키노 체리를 장식하기도 한다.

3. 1. 바바 오 럼 (Baba au rhum)



'''바바 오 럼'''(baba au rhum프랑스어)은 브리오슈 반죽을 지름 2cm, 높이 2cm의 원통형 틀에 넣어 발효시킨 후 구워 럼주 풍미의 시럽을 적셔 만든다. 맨 위에 뜨겁게 데운 살구 으로 바르고 마라스키노 체리를 장식한다.

나폴리나 미국의 이탈리아계 과자점에서는 바바 위에 커스터드 크림을 짜서 마라스키노 체리를 장식하는 경우가 많다.

3. 2. 바바 오 프뤼 (Baba aux fruits)

바바를 접시에 담아 럼주 풍미의 시럽에 적신 딸기블루베리로 주변을 장식하고, 럼주 풍미의 크렘 샹티이(가볍게 휘저은 생크림)을 곁들인다.

3. 3. 나폴리식 바바



'''바바 오 럼'''(baba au rhum)은 브리오슈 반죽을 지름 2cm, 높이 2cm의 원통형 틀에 넣어 발효시킨 후 구워 럼주 풍미의 시럽을 적셔 만든다. 맨 위에 뜨겁게 데운 살구 으로 바르고 마라스키노 체리를 장식한다.

'''바바 오 프뤼'''(baba aux fruits)는 바바를 접시에 담아 럼주 풍미의 시럽에 적신 딸기블루베리로 주변을 장식하고, 럼주 풍미의 크렘 샹티이(가볍게 휘저은 생크림)을 곁들인다.

나폴리미국의 이탈리아계 과자점에서는 바바 위에 커스터드 크림을 짜서 마라스키노 체리를 장식하는 경우가 많다.

4. 동유럽의 바바 (Babka)

러시아, 폴란드, 우크라이나에서 "바바"는 전통적인 구운 과자이며, 다양한 종류가 있다. 러시아에는 40종류 이상의 바바가 존재한다. 러시아어를 비롯한 슬라브어 계통 언어에서 "바바"라는 단어는 "여자", "농부", "노파" 등의 의미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러시아에서는 "통통한 바바", "매우 변덕스러운 바바", "친구에게 딱 맞는 바바" 등과 같이 불리는 바바 레시피가 존재한다.[12]

우크라이나에서 바바는 원형의 푸딩 모양 요리(반찬 또는 디저트)를 칭하기도 한다.

또한, 폴란드인이나 동유럽유대 민족(아슈케나짐)의 전통 과자에는 "바바"와 매우 유사한 "바브카"(babka, 바바의 지소사)가 있다.

참조

[1] 서적 Dictionnaire Général de la Cuisine Française 1839
[2] 간행물 Almanach des gourmands 1806
[3] 웹사이트 History of the baba according to the Pâtisserie Stohrer http://www.stohrer.f[...] 2007-10-12
[4] 웹사이트 I viaggi del babà http://www.festivale[...] 2011-09-23
[5] 웹사이트 Haan's Ladies' and Gentlemen's Restaurant http://digitalgaller[...] New York 1899-12-09
[6] 문서 ブールミッシュ 吉田菊次郎のお菓子物語
[7] 문서 お菓子の歴史
[8] 문서 お菓子の由来物語
[9] 문서 貴婦人が愛したお菓子
[10] 문서 フランス食の事典
[11] 서적 Naples at Table Harper Collins, New York 1996
[12] 서적 The Art of Russian Cuisine Collier Books, New York 198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