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가지똥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방가지똥은 국화과의 한해살이풀로, 속이 빈 줄기가 곧게 서서 최대 1m까지 자란다. 노란색 두상화가 피며, 전 세계에 널리 분포하고, 침입종으로 간주되기도 한다. 어린 잎과 줄기는 식용으로 사용되며, 샐러드, 나물, 튀김 등으로 활용된다. 또한, 약초학에서 약효가 있는 것으로 여겨지며, 다양한 민족과 문화에서 식용 또는 약용으로 사용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방가지똥속 - 사데풀
사데풀은 최대 3m까지 자라는 덩굴성 여러해살이풀로, 피침형 또는 난형 잎을 가지며 8~9월에 흰색 또는 연한 녹색 꽃이 피고 검은색의 둥근 열매를 맺는다. - 방가지똥속 - 큰방가지똥
큰방가지똥은 유럽 원산의 국화과 한두해살이풀로, 전 세계에 귀화하여 깃털 모양 잎과 민들레를 닮은 노란 꽃을 피우며, 잎은 식용 가능하고 다양한 환경에서 잘 자란다. - 나물 - 시금치
시금치는 서아시아 등지에서 기원한 녹색 잎채소로, 고대 페르시아에서 시작하여 세계 각지로 전파되었고, 잎 형태에 따라 동양종과 서양종으로 나뉘며, 비타민과 미네랄이 풍부하지만 옥살산 함량에 주의해야 하며, 중국이 주요 생산국이다. - 나물 - 미나리
미나리는 동아시아와 동남아시아에 널리 분포하며 예로부터 식용으로 재배되어 온 여러해살이풀로, 비타민과 무기질이 풍부하고 독특한 향을 지니며 습한 토양에서 영양번식으로 재배되고 수경재배도 활발하다. - 초본식물 - 시금치
시금치는 서아시아 등지에서 기원한 녹색 잎채소로, 고대 페르시아에서 시작하여 세계 각지로 전파되었고, 잎 형태에 따라 동양종과 서양종으로 나뉘며, 비타민과 미네랄이 풍부하지만 옥살산 함량에 주의해야 하며, 중국이 주요 생산국이다. - 초본식물 - 앵초
앵초는 얕은 뿌리줄기로 번식하는 다년생 초본식물로, 4~5월에 홍자색 꽃을 피우며 긴암술대꽃과 짧은암술대꽃의 이형화주성을 가지고, 동아시아 지역의 습지와 숲에서 자생하며 다양한 원예품종이 개발되었다.
방가지똥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학명 | Sonchus oleraceus |
명명자 | L. 1753 |
이명 | Carduus amplexicaulis Noronha Sonchus angustissimus Hook.f. Sonchus australis Trevir. Sonchus ciliatus Lam. Sonchus fabrae Sennen Sonchus glaber Gilib. Sonchus gracilis Phil. Sonchus gracilis Sennen Sonchus lacerus Willd. Sonchus laevis Vill. Sonchus longifolius Trevir. Sonchus macrotus Fenzl Sonchus pallescens Pančić Sonchus parviflorus Lej. ex Rchb. Sonchus reversus E.Mey. ex DC. Sonchus rivularis Phil. Sonchus roseus Besser ex Spreng. Sonchus royleanus DC. Sonchus runcinatus (Fiori) Zenari Sonchus schimperi A.Braun & Bouché Sonchus schmidianus K.Koch Sonchus spinulifoius Sennen Sonchus subbipinnatifidus (Guss.) Zenari Sonchus sundaicus Blume Sonchus tenerrimus Schur 1866 not L. 1753 Sonchus umbellifer Thunb. Sonchus zacinthoides DC. |
한국어 이름 | 노게시, 봄의 노게시 |
영어 이름 | Common sowthistle |
분류 | |
계 | 식물계 |
문 | 속씨식물군 |
강 | 진정쌍떡잎식물군 |
목 | 국화군 |
과 | 국화과 |
아과 | 치커리아과 |
족 | 치커리족 |
속 | 방가지똥속 |
변종 |
2. 식물학적 특징
방가지똥은 한해살이풀 또는 월년초(두해살이풀)이다. 줄기는 굵고 곧게 서며 높이는 50cm에서 100cm 정도까지 자란다. 줄기 속은 비어 있고 부드럽다. 줄기나 잎을 자르면 흰색 유액이 나온다.[21]
잎은 깃털 모양으로 깊게 갈라지며, 잎 가장자리에는 불규칙하게 가시 모양의 톱니가 있지만 부드러워 만져도 아프지 않다.[21] 잎 색깔은 약간 희끄무레한 녹색이며 광택이 없다. 어릴 때는 로제트 형태로 땅에 퍼져 자란다. 잎의 밑부분은 줄기를 감싸고, 양쪽 끝에 있는 삼각형의 갈래 조각은 옆으로 퍼져 뾰족하다.[21]
주로 양지바른 곳을 좋아하며, 대부분의 토양 조건을 잘 견딘다.[9]
2. 1. 꽃과 열매
개화기는 봄부터 가을까지이며, 따뜻한 지역에서는 일년 내내 피기도 한다. 꽃은 노란색 두상화로, 민들레를 작게 한 듯한 모습이다. 두상화의 지름은 약 2cm이며, 설상화로만 이루어져 있고 설상화의 끝에는 5개의 이가 있다. 꽃은 양성화이며, 벌과 파리 등이 주요 수분 매개체이다.[10]총포는 안쪽 조각과 바깥쪽 조각의 구분이 명확하며, 바깥쪽 조각은 안쪽 조각 길이의 절반 이하이다. 총포와 꽃자루에는 선모(샘털)가 나 있다.
꽃이 진 후의 열매는 수과로, 길이는 약 3mm인 타원형이며, 세로줄 무늬 외에 가로 주름이 있다. 열매에는 부리가 없고, 한쪽 끝에 흰색의 관모(갓털)가 많이 달려 바람이나 물에 실려 씨앗이 퍼진다.[10]
3. 분포 및 생태
유럽 원산으로 추정되며, 전 세계적으로 분포한다. 일본에는 선사시대에 귀화식물로 유입된 것으로 추정되며, 전국 각지에서 볼 수 있다. 주로 황무지나 길가, 제방, 밭의 둑, 집 주변 등 사람이 사는 곳 근처에서 매우 흔하게 자생한다.
3. 1. 침입종
한해살이 방가지똥은 빠른 성장, 다량의 종자 생산, 그리고 넓은 분포로 인해 침입종으로 간주된다. 이 식물은 도로변이나 농경지와 같은 교란된 환경에서 잘 자라며, 바람에 의해 흩어지는 종자를 통해 공격적으로 확산된다. 특히 토양 교란 후 개방된 지역에 빠르게 정착하여 토착 식물을 능가하는 밀집된 개체군을 형성한다. 방가지똥은 다양한 토양 유형에 대한 저항력과 자가 번식 능력으로 인해 많은 지역에서 방제가 어렵다.[11][12][13]오스트레일리아에서는 흔하고 널리 퍼져 있는 침입종이며, 대규모 발생은 농작물에 심각한 문제가 된다.[14]


4. 용도
방가지똥은 전 세계 여러 문화권에서 식용 및 약용으로 널리 이용되어 온 식물이다. 어린잎과 줄기, 뿌리 등은 식재료로 활용되며, 샐러드나 나물 등 다양한 방식으로 조리하여 섭취한다.[15][16] 또한, 전통 의학 및 약초학에서는 약재로도 사용되어 왔으며, 민들레나 치커리와 유사한 약효를 지닌 것으로 여겨지기도 한다.[8] 중국, 뉴질랜드의 마오리족, 북아메리카 원주민, 사마리아인 등 여러 문화권에서 방가지똥을 식용 또는 약용으로 사용한 기록이 남아있다.[17][18][19]
4. 1. 식용
잎은 생채로 먹거나 시금치처럼 익혀 먹을 수 있다. 중국 요리에서는 ‘苦菜’(苦菜|kŭcàizho, 쓴 채소)로 사용되는 종 중 하나이다. 어린잎은 쓴맛이 덜하고 생으로 먹기에 더 좋다. 쪄서 쓴맛을 제거할 수 있다.[15] 어린 뿌리도 먹을 수 있으며 커피 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16]
어린싹, 어린잎, 부드러운 줄기 끝은 식용이 된다. 일 년 내내 채취할 수 있지만, 자란 잎은 쓴맛이 강하므로, 2~4월경 줄기가 서기 전에 어린싹은 뿌리째 뽑거나 잎만 따서 채취하는 것이 좋다. 봄에 채취한 것은 데친 후 찬물에 헹궈 먹는다. 시기를 놓쳐 쓴맛이 강해진 줄기와 잎은 데친 후 물에 담가 쓴맛을 우려낸 다음, 무침, 나물, 조림, 볶음 등으로 조리한다. 어린싹은 날것으로 샐러드에 넣거나, 어린잎을 튀김으로 만들어 먹기도 한다.
4. 1. 1. 영양 성분
영양 분석 결과, 식물 100g당 비타민 C 30~40mg, 단백질 1.2%, 지방 0.3%, 탄수화물 2.4%를 함유하고 있다. 잎의 건물 분석(재배 조건에 따라 다를 수 있음) 결과 100g당 탄수화물 45g, 단백질 28g, 회분 22g, 섬유질 5.9g, 지방 4.5g이며, 총 265칼로리를 제공한다.
4. 2. 약용
''Sonchus oleraceus''는 약초학에서 다양하게 활용되며, 민들레나 치커리와 비슷한 약효를 지닌 것으로 여겨진다.[8] 뉴질랜드의 초기 마오리족은 방가지똥을 식용 및 약용으로 채취했을 가능성이 높으며,[17] 이들은 방가지똥을 puha|푸하mi라고 부른다.[18]북아메리카 원주민들도 방가지똥을 여러 용도로 사용했다.[19]
- 피마족은 수액을 아편 중독 치료제나 설사약으로 사용했고, 잎과 줄기를 날것으로 먹거나 삶아서 식용했다.
- 야키족은 어린 잎을 소금물에 고추와 함께 삶아 채소처럼 먹었다.
- 카미아족 (쿠메야이족) 역시 잎을 삶아 채소처럼 식용했다.
- 후마족은 달인 액을 월경 촉진을 위한 낙태약으로 사용했으며, 설사약, 유아의 이앓이 치료제, 돼지 사료로도 활용했다.
사마리아인들은 유월절 축제 때 이 쓴 식물의 잎을 먹는다. 이는 성경 출애굽기 12장 8절의 "그 날 밤에 불에 구운 고기를 먹을 것이며, 무교병과 쓴 나물을 함께 먹을 것이다"라는 구절에 따라, 유월절 어린양과 무교병과 함께 먹는 쓴 나물로 방가지똥을 여기기 때문이다.
5. 근연종
- 가시상치 ''Sonchus asper''
: 방가지똥과 비슷한 곳에서 자라며, 외형이 매우 닮았다. 잎의 질은 방가지똥보다 단단하고, 톱니가 날카롭게 뾰족하여 만지면 아프다. 더 억세고 가시가 많지만 혼동하기 쉬운 개체가 많으나, 잎의 기부에 주목하면 구별하기 쉽다. 식용으로는 적합하지 않다.
- 가을노랑꽃 ''Lactuca indica'' var. ''laciniata''
: 모양이나 분위기는 방가지똥과 비슷하지만, 가을에 국화와 같은 꽃을 피우고, 우상으로 갈라진 잎은 줄기를 감싸지 않는다. 방가지똥보다 두 배 정도 크기의 식물이며, 착각할 일은 거의 없다. 분류학적으로는 가을노랑꽃속에 속한다. 봄에 여러 장의 잎을 달고 곧게 자란 어린 줄기는 꺾어서 방가지똥과 마찬가지로 먹을 수 있다.
6. 사진
참조
[1]
웹사이트
Sonchus oleraceus (L.) L.
http://www.theplantl[...]
[2]
PLANTS 데이터베이스
Sonchus oleraceus
2015-11-19
[3]
웹사이트
Sonchus oleraceus
http://www.pfaf.org/[...]
[4]
웹사이트
https://herbs.org.nz[...]
[5]
웹사이트
International Environmental Weed Foundation
http://www.iewf.org/[...]
2015-12-24
[6]
서적
A Little Book of Latin for Gardeners
https://books.google[...]
Little Brown Book Group
2018
[7]
서적
The Century Dictionary and Cyclopedia
https://books.google[...]
Century Co.
1899
[8]
웹사이트
A Modern Herbal | Sow-Thistles
http://www.botanical[...]
Botanical.com
2014-07-12
[9]
서적
Edible Wild Plants of Vietnam: The Bountiful Garden
Thailand: Orchid Press
2007
[10]
웹사이트
Sonchus oleraceus Sow Thistle, Common sowthistle PFAF Plant Database
http://www.pfaf.org/[...]
[11]
웹사이트
Sonchus (Common Sowthistle, Hare's Thistle, Milky Tassel, Sowthistle, Sow Thistle) North Carolina Extension Gardener Plant Toolbox
https://plants.ces.n[...]
2024-09-11
[12]
웹사이트
Sonchus oleraceus
http://plants.ifas.u[...]
[13]
웹사이트
Sonchus oleraceus L., Asteraceae
http://www.hear.org/[...]
[14]
웹사이트
Common sowthistle Sonchus oleraceus
http://www.weeds.org[...]
2014-09-25
[15]
서적
Foraging Wild Edible Plants of North America: More than 150 Delicious Recipes Using Nature's Edibles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2016
[16]
서적
Foraging Washington: Finding, Identifying, and Preparing Edible Wild Foods
https://www.worldcat[...]
Falcon Guides
[17]
학술지
Potential functional foods in the traditional Maori diet
[18]
웹사이트
https://herbs.org.nz[...]
[19]
웹사이트
BRIT - Native American Ethnobotany Database
http://naeb.brit.org[...]
[20]
YList 데이터베이스
2023-03-29
[21]
서적
新装版 野草 見分けのポイント図鑑
講談社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