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복합 말론산 메틸말론산 산성뇨증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복합 말론산 메틸말론산 산성뇨증(CMAMMA)은 말론산과 메틸말론산의 축적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성 대사 질환이다. CMAMMA는 ACSF3 유전자 또는 MLYCD 유전자의 돌연변이로 인해 발생하며, 두 가지 주요 원인에 따라 두 가지 유형으로 분류된다. ACSF3 유전자 변이는 미토콘드리아 효소인 아실-CoA 합성효소 패밀리 멤버 3의 결핍을 초래하고, MLYCD 유전자 변이는 말로닐-CoA 탈카복실화효소 결핍증을 유발한다. CMAMMA는 다양한 임상 증상을 보이며, 신생아 선별 검사로는 발견하기 어렵다. 진단은 혈장 내 말론산/메틸말론산 비율을 계산하고 유전자 검사를 통해 이루어진다. 치료는 식이 요법, 장내 세균 감소 조치, 비타민 B12, L-카르니틴 투여 등을 시도하며, mRNA 치료법 연구도 진행 중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미노산 대사 장애 - 판코니 증후군
    판코니 증후군은 근위 세뇨관 기능 장애로 여러 물질의 재흡수 장애를 보이는 질환으로, 유전적 및 후천적 요인이 원인이며 다뇨, 다음, 탈수, 저인산혈증으로 인한 구루병 및 골연화증 등의 증상을 보이며 소실된 물질을 보충하는 대증 요법으로 치료한다.
  • 아미노산 대사 장애 - 페닐케톤뇨증
    페닐케톤뇨증은 페닐알라닌 수산화효소 결핍으로 페닐알라닌이 과도하게 축적되어 지적 장애 등을 유발하는 상염색체 열성 유전 질환이며, 신생아 선별 검사를 통해 조기 진단하여 식이요법과 약물 치료를 시행한다.
  • 희귀질환 - 쇼그렌 증후군
    쇼그렌 증후군은 자가면역 반응으로 발생하는 만성 염증성 질환으로, 침샘과 눈물샘 등에서 분비물 감소를 유발하여 건성안, 구강건조증 등 다양한 증상을 나타낸다.
  • 희귀질환 - 헌팅턴병
    헌팅턴병은 헌팅턴 유전자 내 CAG 삼염기 반복 서열의 이상으로 인해 발생하는 진행성 신경퇴행성 질환으로, 운동, 인지, 정신 기능에 다양한 증상을 유발하며, 상염색체 우성 유전 방식으로 유전된다.
복합 말론산 메틸말론산 산성뇨증

2. 원인

복합 말론산 메틸말론산 산성뇨증(CMAMMA)은 유전적 원인에 따라 두 가지 유형으로 분류된다.[42][50] 첫 번째는 ACSF3 유전자(OMIM#614265) 변이에 의해 발생하는 미토콘드리아 효소인 아실-CoA 합성효소 계열 구성원 3의 결핍이다.[5][4][32][40] 두 번째는 MLYCD 유전자(OMIM#248360) 변이로 인한 말로닐-CoA 탈카복실화효소 결핍증이다.[42][50][32][40]

2. 1. ACSF3 유전자 변이

복합 말론산 메틸말론산 산성뇨증(CMAMMA)은 유전적 원인에 따라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 그중 하나는 ACSF3 유전자 변이에 의한 것이다.[42][50][32][40] 이 질환은 상염색체 열성 유전 방식으로 유전되는 선천성 대사 이상 질환으로, 미토콘드리아 효소인 아실-CoA 합성효소 계열 구성원 3(ACSF3)의 결핍을 초래한다.[5][4]

''ACSF3'' 유전자는 16번 염색체의 q24.3 유전자좌에 위치한다. 이 유전자는 11개의 엑손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576개의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진 ACSF3 단백질(효소)을 암호화한다.[5][4] ''ACSF3'' 유전자 내부에 동형 접합 또는 복합 이형 접합 변이가 발생하면 ACSF3 효소의 기능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CMAMMA가 발병하게 된다.[4]

최소 대립 유전자 빈도(MAF)를 바탕으로 추정할 때, CMAMMA의 유병률은 대략 30,000명당 1명 수준으로 예측된다.[18]

2. 2. MLYCD 유전자 변이

복합 말론산 메틸말론산 산성뇨증(CMAMMA)의 또 다른 유전적 원인으로는 MLYCD 유전자(OMIM#248360)의 변이로 인한 말로닐-CoA 탈카복실화효소 결핍증이 있다.[42][50][32][40] MLYCD 유전자는 말로닐-CoA 탈카복실화효소라는 효소를 만드는 정보를 담고 있다. 이 효소는 미토콘드리아 내에서 말로닐-CoA아세틸-CoA로 전환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만약 MLYCD 유전자에 변이가 발생하면, 말로닐-CoA 탈카복실화효소가 부족해지거나 제 기능을 하지 못하게 된다. 이로 인해 말로닐-CoA가 분해되지 못하고 세포 내에 과도하게 축적되며, 이는 이차적으로 말론산의 축적을 유발하여 CMAMMA의 증상을 나타내게 된다.

3. 병태생리

CMAMMA의 병태생리학 개요


부산물로 메틸말론산이 생성되고 ACSF3가 이를 분해하는 데 관여하는 프로피온산 대사 경로


복합 말론산 메틸말론산 산성뇨증(CMAMMA)의 병태생리는 주로 미토콘드리아 효소인 아실-CoA 합성효소 ACSF3의 기능 이상과 관련된다. ACSF3는 메틸말론산을 메틸말론산-CoA로 전환하여 시트르산 회로를 통해 분해될 수 있도록 돕는다.[7][6] 따라서 ACSF3 효소가 결핍되면 메틸말론산 분해가 원활하지 않아 체액과 조직에 메틸말론산이 과도하게 축적되며, 이는 메틸말론산뇨증으로 이어진다.

메틸말론산은 여러 대사 경로를 통해 체내에서 생성된다. 주요 생성 경로는 필수 아미노산발린, 트레오닌, 메티오닌, 이소류신의 분해 과정, 홀수 탄소 사슬 지방산 및 콜레스테롤 측쇄의 대사 과정이다. 또한, 메틸말론산의 전구체인 프로피온산은 장내 세균의 발효[24][25]나 특정 식품(제빵류[13], 유제품[14] 등 보존료 첨가 식품 포함) 섭취를 통해 공급되기도 한다. 티민의 이화 작용 과정에서도 메틸말론산이 생성될 수 있다.[24][25]

한편, 세포 내 에스테라제에 의해 메틸말론산의 메틸기가 떨어져나가 말론산이 생성되기도 한다.[15] 시험관 연구에서는 이렇게 축적된 자유 메틸말론산과 말론산이 신경독성을 유발할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결과가 보고되었다.[16][15]

3. 1. ACSF3 결핍

''ACSF3'' 유전자는 미토콘드리아에 위치하며 말론산과 메틸말론산에 특이적인 아실-CoA 합성효소를 암호화한다.[6] 이 효소는 말론산을 말로닐-CoA로 전환하는 말로닐-CoA 합성효소이자, 메틸말론산을 메틸말론산-CoA로 전환하는 메틸말론산-CoA 합성효소로 기능한다.[7]

ACSF3는 말로닐-CoA 합성효소로서 말론산말로닐-CoA로 전환하는 반응을 촉매하는데, 이는 미토콘드리아 지방산 생합성 (mtFASII) 경로의 첫 단계이다.[6][2] mtFASII는 세포질에서 일어나는 일반적인 지방산 생합성 (FASI)과는 구별되며, 에너지 대사 조절과 지질 매개 신호 전달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8][2]

복합 말론산 메틸말론산 산성뇨증(CMAMMA)에서 ACSF3 결핍은 미토콘드리아 내 말론산 축적과 말로닐-CoA 결핍을 초래한다.[9] 축적된 말론산은 미토콘드리아 전자 전달계의 복합체 II를 경쟁적 저해하고 세포 독성을 나타낸다. 반면, 기질인 말로닐-CoA의 부족은 미토콘드리아 단백질의 말로닐화 감소로 이어져 대사 효소의 활성에 영향을 미치고 세포 대사를 변화시킨다.[9] 하지만, 아세틸-CoA 카복실라제 1 (ACC1)의 미토콘드리아 동형 효소인 mtACC1을 통해 말로닐-CoA 요구량이 부분적으로 충족될 수 있어, CMAMMA 환자들에게서 나타나는 다양한 임상 증상을 설명하는 데 도움이 된다.[10]

mtFASII 경로 중간체의 결핍은 주요 생성물인 옥타노일-ACP의 부족으로 이어질 수 있다. 옥타노일-ACP는 리포산생합성, 산화적 인산화 복합체 조립, 그리고 β-산화의 내인성 기질로서 필수적이다.[2] 에너지 대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피루브산 탈수소 효소 복합체(PDHC)와 α-케토글루타르산 탈수소 효소 복합체(α-KGDHC), 그리고 아미노산 대사에 관여하는 분지쇄 α-케토산 탈수소 효소 복합체(BCKDHC), 옥소아디페이트 탈수소 효소 복합체(OADHC), 글리신 분해 시스템(GCS)과 같은 주요 미토콘드리아 다중 효소 복합체들은 기능을 위해 리포산을 공유 보조 인자로 필요로 한다.[11][12] 결과적으로, PDHC와 α-KGDHC의 리포일화 감소는 글리콜 분해 속도와 능력의 저하를 유발한다.[2]

세포는 에너지 부족을 보충하기 위해 지방산 β-산화를 늘리고, 시트르산 회로로 들어가는 역반응 경로를 통해 아미노산 소모를 증가시킨다. 이로 인해 아스파르트산, 글루타민, 이소류신, 트레오닌, 류신과 같은 아미노산 농도가 감소할 수 있다.[2] 종합적으로, 미토콘드리아 호흡과 글리콜 분해 흐름의 감소는 지방산 β-산화에 대한 의존도를 높이고 역반응 아미노산 소비를 증가시켜 미토콘드리아의 대사 유연성을 손상시킨다.[2][10]

하지만 높은 에너지 요구량에도 불구하고, 신경 세포는 신경교 세포나 시상 하부의 특정 신경세포를 제외하고는 지방산을 효율적으로 에너지원으로 사용하지 못한다.[10] 그럼에도 불구하고, 별 아교 세포 형태의 신경교 세포와 뉴런 사이에는 세포 기능을 유지하기 위한 긴밀한 대사적 상호작용이 존재한다.[10] 따라서 CMAMMA 환자의 뇌 세포에서 β-산화가 증가하면 뇌 저산소증과 산화 스트레스 위험이 커져 장기적으로 신경학적 증상 발생에 기여할 수 있다는 가설이 제기된다.[10]

또한, CMAMMA에서는 지질 대사에도 변화가 나타난다. 스핑고미엘린 및 카르디올리핀과 같은 생체 활성 지질 수치가 증가하고, 트라이글리세리드와 같은 세포 내 복합 지질 구성에 변화(지방산 사슬 길이 변화, 홀수 사슬 지방산 존재 등)가 생긴다.[2] 반면, 포스파티딜콜린, 포스파티딜글리세롤, 세라마이드는 감소하며, 특히 세라마이드 감소는 스핑고미엘린 증가와 연관된다.[2] 더불어, 지질 내 말론산 통합이 현저히 감소하는데, 이는 ACSF3가 말론산 대사에 필수적임을 시사한다.[9]

3. 2. 메틸말론산 분해 결함 (ACSF3 결핍의 경우)

''ACSF3'' 유전자는 미토콘드리아에 위치하며 말론산과 메틸말론산에 높은 특이성을 가진 아실-CoA 합성효소를 암호화한다.[6] 이 효소는 말론산을 말로닐-CoA로 전환시키는 말로닐-CoA 합성효소이자, 메틸말론산을 메틸말론산-CoA로 전환시키는 메틸말론산-CoA 합성효소로 작용한다.[7]

ACSF3는 메틸말론산-CoA 합성효소로서 작용하여 메틸말론산을 메틸말론산-CoA로 전환시켜 시트르산 회로를 통해 분해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복합 말론산 메틸말론산 산성뇨증(CMAMMA)에서 ACSF3가 결핍되면 메틸말론산 분해가 감소하고, 그 결과 체액과 조직에 메틸말론산이 축적되어 메틸말론산뇨증이 발생한다.

메틸말론산은 다양한 경로를 통해 생성된다. 필수 아미노산발린, 트레오닌, 메티오닌, 이소류신의 대사, 홀수 탄소 사슬 지방산 대사, 프로피온산 대사, 콜레스테롤 측쇄 대사 과정에서 메틸말론산-CoA가 만들어진다. 또한, D-메틸말론산-CoA 가수분해효소에 의해 메틸말론산-CoA가 숙시닐-CoA 경로를 거쳐 시트르산 회로에 들어가기 전에도 메틸말론산으로 전환될 수 있다.

메틸말론산의 전구체인 프로피온산의 주요 공급원 중 하나는 장내 세균 발효이다.[24][25] 이 외에도 프로피온산은 특정 식품에 자연적으로 존재하거나, 식품 산업에서 보존료로 첨가되기 때문에(특히 제빵 제품[13]과 유제품[14]) 식단을 통해서도 흡수될 수 있다.

또한, 티민의 이화 작용 과정에서도 메틸말론산이 형성된다.[24][25]

한편, 세포 내 에스테라제는 메틸말론산의 메틸기를 절단하여 모분자인 말론산을 생성할 수도 있다.[15]

시험관 내 연구에서는 자유 메틸말론산과 말론산 사이에 신경독성 연관성이 확인되었다.[16][15]

4. 증상 및 징후

CMAMMA의 임상 증상은 매우 다양하게 나타나며, 증상이 전혀 없는 경우부터 경미하거나 심각한 경우까지 그 범위가 넓다.[49][46][4][5][35][36] 이 질환의 근본적인 원인이나 발생 과정(병태생리학)은 아직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다.[44][2][37]

4. 1. 일반적인 증상

CMAMMA의 임상적 증상은 매우 다양하게 나타나며, 증상이 전혀 없는 경우부터 경미하거나 심각한 경우까지 그 범위가 넓다.[49][46][4][5][35][36] 이 질환의 근본적인 병태생리는 아직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다.[44][2][37] 문헌에 보고된 주요 증상은 다음과 같다.[44]

일반적으로 어린 시절에 처음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에는 중간 대사 장애일 가능성이 높은 반면, 성인이 되어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에는 신경학적 증상이 주로 관찰된다.[48][46][18][5][33][36]

4. 2. 기타 증상

CMAMMA의 임상 증상은 매우 다양하게 나타나며, 증상이 전혀 없는 경우부터 경미하거나 심각한 경우까지 그 범위가 넓다.[49][46][4][5][35][36] 이 질환의 근본적인 병태생리학은 아직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다.[44][2][37] 문헌에 보고된 주요 증상은 다음과 같다.

증상관련 각주
대사성 산증[45][46][47][17][5][21][38][39]
혼수 (혼수상태)[48][44][18][2][33][37]
저혈당증 (저혈당)[48][45][44][18][17][2][38][33][37]
발작 (뇌전증 발작)[48][45][46][47][18][17][5][21][38][39][33]
위장 질환 (소화기 질환)[46][47][5][21][36][39]
발달 지연[48][46][47][18][5][21][36][39][33]
언어 지연 (음성 지연, 언어능력 지연 포함)[42][48][49][1][18][4][33][35]
성장 부진[18][33]
정신 질환 (정신병)[48][18][33]
기억 상실 (기억력 문제, 메모리 문제 포함)[48][18][33]
인지 기능 저하 (인지 저하, 인지능력 저하 포함)[48][18][33]
뇌병증 (뇌증)[49][4][35]
심근증 (심근병증)[45][46][47][17][5][21][38][36][39]
기형 (동질이형, 이형적인 특징 포함)[46][47][5][21][36][39]



증상이 처음 나타나는 시기에 따라 주요 특징이 다를 수 있다. 어린 시절에 증상이 시작되면 중간 대사 장애일 가능성이 높고, 성인이 되어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에는 주로 신경학적 증상이 관찰된다.[48][46][18][5][33][36]

4. 3. 증상 발현 시기

CMAMMA의 임상적 증상은 매우 다양하게 나타나며, 증상이 전혀 없는 경우부터 경미하거나 심각한 경우까지 그 범위가 넓다.[49][46][4][5][35][36] 이 질환의 근본적인 병태생리는 아직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지만,[44][2][37] 문헌에 보고된 주요 증상은 다음과 같다.

일반적으로 어린 시절에 처음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에는 중간 대사 장애와 관련된 증상이 많고, 성인이 되어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에는 신경학적 증상이 주로 나타나는 경향이 있다.[48][46][18][5][33][36]

5. 진단

CMAMMA는 임상 증상이 매우 다양하고, 대부분의 신생아 선별 검사에서 잘 발견되지 않아 진단이 어려운 경우가 많다.[42][45][1][17][32][38] 이로 인해 실제보다 적게 진단되는 질환으로 여겨진다.[1][17]

5. 1. 신생아 선별 검사

CMAMMA는 다양한 임상 증상을 보이며 대부분의 신생아 선별 검사 프로그램을 통과하기 때문에, 진단되지 않고 간과되기 쉬운 질환으로 여겨진다.[42][45][1][17][32][38]

특히 ACSF3 유전자 이상으로 인한 CMAMMA는 메틸말로닐-CoA, 말로닐-CoA, 프로피오닐-CoA의 축적을 유발하지 않으며, 아실카르니틴 프로파일 검사에서도 뚜렷한 이상 소견을 보이지 않는다.[46][48][45][5][18][17][36][33][38] 이 때문에 일반적인 혈액검사를 기반으로 하는 표준 신생아 선별 검사 프로그램으로는 CMAMMA를 발견하기 어렵다.[46][48][45][5][18][17][36][33][38]

캐나다 퀘벡주에서는 특이하게 혈액검사와 더불어, '퀘벡 신생아 혈액 및 소변 선별 검사 프로그램'을 통해 생후 21일 된 신생아의 소변 검사를 추가로 시행한다.[45][19][5][38] 하지만 이 방법으로도 모든 CMAMMA 환자를 찾아내지는 못할 수 있다.[19][5] 그럼에도 불구하고, 퀘벡주의 사례는 특정 인구 집단에 대한 편견 없이 CMAMMA 환자군을 연구할 수 있는 세계적으로 드문 경우로, CMAMMA 연구에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45][38]

5. 2. 생화학적 검사

복합 말론산 메틸말론산 산성뇨증(CMAMMA)은 임상 증상이 매우 다양하고 대부분 신생아 선별 검사 프로그램을 통과하기 때문에 진단이 쉽지 않은 질환으로 여겨진다.[42][45][1][17][32][38]

CMAMMA를 진단하고 다른 대사 질환과 구별하는 데 중요한 것은 혈장 내 말론산과 메틸말론산의 비율을 계산하는 것이다. 이 비율을 통해 CMAMMA는 전형적인 메틸말론산혈증(비타민 B12 반응성 및 비반응성 형태 모두 포함)과 명확하게 구별될 수 있다.[42][1][32] 소변 검사를 통해 얻은 말론산 값이나 메틸말론산 값은 이 비율을 계산하는 데 적합하지 않다.[42][1][32]

CMAMMA 환자는 메틸말론산 수치가 증가하지만, 전형적인 메틸말론산혈증(mut0, mut-, cblA, cblB, cblDv2 유형) 환자들보다는 그 수치가 훨씬 낮다.[20] 특징적으로 CMAMMA에서는 메틸말론산 수치가 말론산 수치보다 높게 나타난다 (MMA/MA 비율 > 5).[21][20] 이와 대조적으로 말론산뇨증에서는 MMA/MA 비율이 1 미만이다.[21]

CMAMMA는 원인 유전자에 따라 생화학적 특징에 차이가 있다. ACSF3 유전자 이상으로 인한 CMAMMA에서는 메틸말론산 수치가 말론산 수치를 초과하지만, 말로닐-CoA 합성효소 결핍증으로 인한 CMAMMA에서는 반대로 말론산 수치가 메틸말론산 수치보다 높다.[47][45][38][39]

또한, CMAMMA 환자의 호모시스테인 수치는 정상 범위 내에 있으며,[20] 이 질환은 비타민 B12 치료에 반응하지 않는다.[20]

5. 3. 유전자 검사

복합 말론산 메틸말론산 산성뇨증(CMAMMA)은 ''ACSF3''와 ''MLYCD'' 유전자에 대한 분석을 통해 진단할 수 있다.[41][51] 최종 진단은 ''ACSF3'' 유전자의 양쪽 대립 유전자에 병원성 변이가 발견되는 경우 분자 유전 검사를 통해 확진된다.[20] 메틸말론산 혈증에 특화된 다중 유전자 패널 검사가 사용될 수 있는데, 어떤 유전자를 검사할지는 실험실마다 다르거나 의사가 환자의 상태에 맞춰 결정할 수 있다.[20][22]

또한, 불임 치료 과정에서 시행하는 확장된 보인자 선별 검사(ECS)를 통해 ''ACSF3'' 유전자 돌연변이를 가진 보인자를 식별할 수도 있다.[51][23]

6. 치료

복합 말론산 메틸말론산 산성뇨증(Combined Malonic and Methylmalonic Aciduria영어, CMAMMA)의 치료는 주로 나타나는 증상을 관리하고 대사 과정의 이상을 바로잡는 데 초점을 맞춘다.[17] 현재까지 CMAMMA의 근본적인 치료법은 없으며, 증상 완화와 합병증 예방을 위한 대증 요법이 주를 이룬다. 주요 접근법으로는 식이 요법을 통해 말론산메틸말론산의 축적을 줄이는 방법, 항생제 등을 사용하여 장내 세균의 활동을 조절하는 방법 등이 있다.[21][24][25] 과거 비타민 B12나 L-카르니틴 투여가 시도되기도 했으나, 그 효과는 명확히 입증되지 않았다.[17] 최근에는 mRNA 치료법과 같은 새로운 치료법 개발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26][27]

6. 1. 식이 요법

말론산메틸말론산의 축적량을 줄이기 위한 한 가지 방법은 식이 요법이다. 1998년 당시의 지식에 따르면, 고탄수화물, 저단백질 식단이 권장되었다.[21] 식단 변화 후 24~36시간 이내에 말론산 및 메틸말론산 배설량의 변화가 나타날 수 있다.[21]

6. 2. 장내 세균 감소 조치

음식물 섭취 외에 말론산메틸말론산의 또 다른 주요 원인은 장내 세균의 발효이다.[24][25] 따라서 항생제완하제 투여와 같은 치료 조치를 통해 장내 세균을 줄이는 방법을 사용한다.

6. 3. 비타민 B12

일부 메틸말론산혈증이 비타민 B12에 반응하기 때문에, 복합 말론산 메틸말론산 산성뇨증(CMAMMA) 환자에게도 비타민 B12, 특히 수산화코발라민 주사 형태로 치료를 시도했다. 그러나 임상적 또는 생화학적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17]

6. 4. L-카르니틴

CMAMMA 환자를 대상으로 L-카르니틴 치료에 대한 연구가 언급된 바 있으나, 이는 사후적으로 진행된 연구이며 그 결과는 알려지지 않았다.[17]

6. 5. mRNA 치료법

전임상 개념 증명 연구를 통해 mRNA 치료법이 희귀 대사 질환 치료에도 적합하다는 것이 동물 모델에서 입증되었다.[26] 이와 관련하여, 현재 1/2상 임상 시험 중인 생명공학 회사 모더나(Moderna)의 ''mut'' 메틸말론산 혈증 치료 후보 물질 ''mRNA-3705''가 주목할 만하다.[27]

7. 연구 동향

1984년, 말로닐-CoA 탈카르복실라제 결핍증으로 인한 복합 말론산 메틸말론산 산성뇨증(CMAMMA)이 과학 연구에서 처음으로 기술되었다.[28][21] 이후 1994년에는 정상적인 말로닐-CoA 탈카르복실라제 활성을 가진 또 다른 형태의 CMAMMA가 발견되기 전까지 이 초기 형태에 대한 연구가 이어졌다.[29][21] 2011년, 엑솜 시퀀싱을 통한 유전학 연구는 정상적인 말로닐-CoA 탈카르복실라제를 가진 CMAMMA의 원인으로 ''ACSF3'' 유전자를 지목했다.[18][5] 2016년에 발표된 연구에서는 혈장 내 말론산(MA)/메틸말론산(MMA) 비율 계산이 CMAMMA의 신속한 대사 진단을 위한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했다.[1]

캐나다 퀘벡주의 '신생아 혈액 및 소변 선별 검사 프로그램'은 CMAMMA 연구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이 프로그램은 전 세계적으로 선택 편향이 없는 유일한 환자 집단을 대표하기 때문이다.[17] 1975년부터 2010년까지 약 2,695,000명의 신생아가 이 프로그램을 통해 선별 검사를 받았으며, 그중 CMAMMA는 3건 발견되었다.[5] 그러나 이 발견율은 유전자 빈도를 통해 예측된 비율보다 낮아, 실제로는 더 많은 신생아가 이 질환을 가지고 있었지만 선별 검사에서 발견되지 않았을 가능성이 제기되었다.[5] 2019년 연구에서는 퀘벡주에서 최대 25명의 CMAMMA 환자를 확인했다.[17] 이들 중 한 명을 제외한 모든 환자는 퀘벡주 신생아 소변 선별 검사 프로그램을 통해 임상적으로 확인되었는데, 20명은 직접적으로, 4명은 형제자매가 먼저 진단받은 후 확인되었다.[17]

8. 관련 질환

다음 질환들은 생화학적으로 말론산메틸말론산의 수치가 증가되어 있다.


  • 말론산뇨증[20]
  • 상염색체 열성 정신 발달 장애 69[20]

참조

[1] 서적 JIMD Reports, Volume 30 2016
[2] 논문 The emerging role of the mitochondrial fatty-acid synthase (mtFASII) in the regulation of energy metabolism https://linkinghub.e[...] 2019
[3] 논문 Outcome of individuals with low-moderate methylmalonic aciduria detected through a neonatal screening program https://linkinghub.e[...] 1999
[4] 논문 Combined Malonic and Methylmalonic Aciduria Due to ACSF3 Variants Results in Benign Clinical Course in Three Chinese Patients 2021
[5] 논문 Combined malonic and methylmalonic aciduria: exome sequencing reveals mutations in the ACSF3 gene in patients with a non-classic phenotype 2011
[6] 논문 Mammalian ACSF3 Protein Is a Malonyl-CoA Synthetase That Supplies the Chain Extender Units for Mitochondrial Fatty Acid Synthesis 2011
[7] 논문 Combined Malonic and Methylmalonic Aciduria Diagnosed by Recurrent and Severe Infections Mimicking a Primary Immunodeficiency Disease: A Case Report 2023
[8] 논문 Role of the malonyl-CoA synthetase ACSF3 in mitochondrial metabolism 2019
[9] 논문 The Mammalian Malonyl-CoA Synthetase ACSF3 Is Required for Mitochondrial Protein Malonylation and Metabolic Efficiency http://dx.doi.org/10[...] 2017
[10] 논문 Brain metabolism and neurological symptoms in combined malonic and methylmalonic aciduria 2020
[11] 논문 Lipoic acid biosynthesis defects https://onlinelibrar[...] 2014
[12] 논문 A conserved mammalian mitochondrial isoform of acetyl-CoA carboxylase ACC1 provides the malonyl-CoA essential for mitochondrial biogenesis in tandem with ACSF3 http://urn.fi/urn:nb[...] 2017-11-06
[13] 논문 Rapid Approach to Determine Propionic and Sorbic Acid Contents in Bread and Bakery Products Using 1H NMR Spectroscopy 2021-03-03
[14] 논문 Association of thalamic hyperactivity with treatment-resistant depression and poor response in early treatment for major depression: a resting-state fMRI study using fractional amplitude of low-frequency fluctuations 2016
[15] 논문 Methylmalonate toxicity in primary neuronal cultures 1998
[16] 논문 Methylmalonic acid induces excitotoxic neuronal damage in vitro http://doi.wiley.com[...] 2000
[17] 논문 Combined malonic and methylmalonic aciduria due to ACSF3 mutations: Benign clinical course in an unselected cohort https://onlinelibrar[...] 2019
[18] 논문 Exome sequencing identifies ACSF3 as a cause of combined malonic and methylmalonic aciduria 2011
[19] 웹사이트 Blood and Urine Screening in Newborns https://www.quebec.c[...] 2022-06-15
[20] 간행물 Isolated Methylmalonic Acidemia 2005-08-16
[21] 논문 Combined malonic and methylmalonic aciduria with normal malonyl-coenzyme A decarboxylase activity: A case supporting multiple aetiologies http://doi.wiley.com[...] 1998
[22] 웹사이트 Targeted Genes and Methodology Details for Methylmalonic Aciduria Gene Panel https://www.mayoclin[...] 2024-05-16
[23] 논문 Considerations of expanded carrier screening: Lessons learned from combined malonic and methylmalonic aciduria 2021
[24] 논문 Sources of propionate in inborn errors of propionate metabolism https://linkinghub.e[...] 1990
[25] 서적 The metabolic Basis of Inherited Disease
[26] 논문 A New Era for Rare Genetic Diseases: Messenger RNA Therapy https://www.liebertp[...] 2019
[27] 웹사이트 A Clinical Trial of a Treatment for Patients with Methylmalonic Acidemia (MMA) https://trials.moder[...] 2022-06-20
[28] 논문 Malonyl coenzyme a decarboxylase deficiency http://doi.wiley.com[...] 1984
[29] 논문 Malonic aciduria https://linkinghub.e[...] 1994
[30] 웹사이트 COMBINED MALONIC AND METHYLMALONIC ACIDURIA; CMAMMA https://omim.org/ent[...] 2024-04-20
[31] 웹사이트 Combined malonic and methylmalonic acidemia https://www.ncbi.nlm[...] 2024-04-20
[32] 서적 A New Approach for Fast Metabolic Diagnostics in CMAMMA http://link.springer[...] Springer Berlin Heidelberg 2016
[33] 논문 Exome sequencing identifies ACSF3 as a cause of combined malonic and methylmalonic aciduria http://www.nature.co[...] 2011-09
[34] 논문 Outcome of individuals with low-moderate methylmalonic aciduria detected through a neonatal screening program https://linkinghub.e[...] 1999-06
[35] 논문 Combined Malonic and Methylmalonic Aciduria Due to ACSF3 Variants Results in Benign Clinical Course in Three Chinese Patients https://www.frontier[...] 2021-11-25
[36] 논문 Combined malonic and methylmalonic aciduria: exome sequencing reveals mutations in the ACSF3 gene in patients with a non-classic phenotype https://jmg.bmj.com/[...] 2011-09-01
[37] 논문 The emerging role of the mitochondrial fatty-acid synthase (mtFASII) in the regulation of energy metabolism https://linkinghub.e[...] 2019-11
[38] 논문 Combined malonic and methylmalonic aciduria due to ACSF3 mutations: Benign clinical course in an unselected cohort https://onlinelibrar[...] 2019-01
[39] 논문 Combined malonic and methylmalonic aciduria with normal malonyl-coenzyme A decarboxylase activity: A case supporting multiple aetiologies http://doi.wiley.com[...] 1998-06
[40] 논문 Mammalian ACSF3 Protein Is a Malonyl-CoA Synthetase That Supplies the Chain Extender Units for Mitochondrial Fatty Acid Synthesis https://linkinghub.e[...] 2011-09
[41] 논문 Considerations of expanded carrier screening: Lessons learned from combined malonic and methylmalonic aciduria https://onlinelibrar[...] 2021-04
[42] 서적 A New Approach for Fast Metabolic Diagnostics in CMAMMA http://link.springer[...] Springer Berlin Heidelberg 2016
[43] 논문 Outcome of individuals with low-moderate methylmalonic aciduria detected through a neonatal screening program https://linkinghub.e[...] 1999
[44] 논문 The emerging role of the mitochondrial fatty-acid synthase (mtFASII) in the regulation of energy metabolism https://linkinghub.e[...] 2019-11
[45] 논문 Combined malonic and methylmalonic aciduria due to ACSF3 mutations: Benign clinical course in an unselected cohort https://onlinelibrar[...] 2019
[46] 논문 Combined malonic and methylmalonic aciduria: exome sequencing reveals mutations in the ACSF3 gene in patients with a non-classic phenotype https://jmg.bmj.com/[...] 2011
[47] 논문 Combined malonic and methylmalonic aciduria with normal malonyl-coenzyme A decarboxylase activity: A case supporting multiple aetiologies http://doi.wiley.com[...] 1998
[48] 논문 Exome sequencing identifies ACSF3 as a cause of combined malonic and methylmalonic aciduria 2011
[49] 논문 Combined Malonic and Methylmalonic Aciduria Due to ACSF3 Variants Results in Benign Clinical Course in Three Chinese Patients 2021
[50] 논문 Mammalian ACSF3 Protein Is a Malonyl-CoA Synthetase That Supplies the Chain Extender Units for Mitochondrial Fatty Acid Synthesis 2011
[51] 논문 Considerations of expanded carrier screening: Lessons learned from combined malonic and methylmalonic aciduria 20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