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리원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리원시는 황해북도 서부에 위치한 도시로, 경의선 철도를 따라 발달했다. 봉산군, 은파군, 황해남도 재령군과 접하며, 재령강 연안에 위치해 평야 지형을 이룬다. 해발 500m 이하의 산과 평야가 펼쳐져 있으며, 시멘트 공업이 발달했다. 1905년 경의선 개통으로 교통 중심지가 되었으며, 1954년 황해북도 도청 소재지가 되었다. 주요 교통 시설로는 평의선, 황해청년선, 평양개성고속도로가 있으며, 관광 명소로는 경암산성, 정방산성, 사리원 민속 거리가 있다. 2008년 기준 인구는 307,764명이며, 계응상사범대학 등 여러 교육 기관이 위치해 있다. 라호르(파키스탄), 세케슈페헤르바르(헝가리) 등과 자매 도시 관계를 맺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황해북도의 도시 - 송림시
송림시는 황해북도 서북단 대동강 하류에 위치하며 평양공업지구에 속한 중공업 도시로, 겸이포제철소를 중심으로 성장했고 19개 동과 6개 리로 구성되어 철길, 도로, 송림항을 통해 교통이 연결된다. - 사리원시 - 계응상대학
계응상대학은 1959년 사리원농업대학으로 설립되어 계응상의 이름을 따 교명을 변경했으며, 김일성종합대학 평의회에 편입되었다가 분리되어 국가 농업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 사리원시 - 경암루
경암루는 1798년 조선 정조 시대에 경암산의 이름을 따 봉산군 관아의 부속 건물로 처음 건축된 정자로, 1917년 위치가 이전되었고 한국 전쟁으로 파괴된 후 1950년대 중반에 복원되어 경암산 주변 경관과 도시를 조망할 수 있는 한국식 정원의 형태를 갖추고 있다. - 1947년 설치 - 대전지방검찰청
대전지방검찰청은 1908년 공주지방재판소 검사국으로 시작하여 1947년 현재 명칭으로 변경된 대한민국 검찰청으로, 대전광역시, 세종특별자치시, 충청남도 일부를 관할하며 여러 지청과 부서를 두고 법 질서 유지 및 사회 정의 구현에 힘쓰고, 특히 여성·아동 범죄와 디지털 성범죄에 대한 대응 체계를 구축하고 있다. - 1947년 설치 - 공주소방서
공주소방서는 충청남도 공주시를 관할하는 소방기관으로, 소방행정과와 현장대응단으로 구성되어 소방행정 업무와 재난 현장 대응을 담당하며, 6개의 119안전센터와 1개의 구조구급센터를 운영하며 공주시와 일부 인근 지역을 관할한다.
사리원시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도시 개요 | |
![]() | |
한글 표기 | 사리원시 |
한자 표기 | 沙里院市 |
로마자 표기 (매큔-라이샤워) | Sariwŏn-si |
로마자 표기 (개정) | Sariwon-si |
위치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황해북도 |
방언 | 황해도 방언 |
면적 | 187.91 km² |
인구 (2008년) | 307,764명 |
하위 행정 구역 | 31개 동, 9개 리 |
![]() | |
![]() | |
![]() | |
![]() | |
행정 | |
소속 국가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소속 도 | 황해북도 |
2. 지리
황해북도 서부에 위치하며, 원래는 봉산군의 일부였으나 경의선을 따라 발달한 도시이다. 동쪽과 북쪽은 봉산군, 남쪽은 은파군과 접하며, 서쪽은 황해남도와 접한다. 재령강 연안에 위치하며, 북쪽에서 남쪽으로 갈수록 평야 지대가 넓어진다. 가마봉을 비롯한 여러 산들이 솟아 있으며, 이 산들은 400m 미만이다. 시 면적의 21.9%는 삼림으로 덮여 있다. 소규모 하천들과 운하, 호수가 위치해 있다.
2. 1. 지세
해발 500m 이하의 낮은 산과 평야가 펼쳐져 있다. 북부에는 한철산(458m), 발양산(440m)이 있고, 남부에는 미아산(125m)이 있으며, 시의 중앙에는 경암산(139m)이 있다.시역 서부에는 대동강의 지류인 재령강이 흐르고 있다. 시내에는 한철산, 발양산에서 발원하는 정방천, 상매천이 흐르고 있다. 서흥강을 막아 건설된 운하가 재령강과 연결되어 있다. 경암산 기슭에는 경암호가 있다.
2. 2. 지질
기반암은 석회암, 점판암, 셰일, 석영 반암이다. 토양은 갈색 삼림토가 대부분을 차지한다. 지하 자원으로는 갈탄이 있다. 산림이 시 면적의 21%를 차지하며, 소나무, 참나무, 아카시아, 노간주나무 등이 자란다.[1]3. 역사
원래 '사리'라는 지명이었으나, 조선 시대에 공인된 역참 소재지를 '원(院)'이라 칭하면서 사리원으로 불리게 되었다.
1905년 경의선 개통으로 사리원역이 개업하면서 봉산군의 교통 중심지로 부상하였다. 러일 전쟁 중 군용 철도로 건설된 경의선은 1905년 3월 개통되었고, 1908년 4월 사리원역이 영업을 시작하면서 도시 기능이 강화되었다.[10] 1920년 12월에는 재령으로 향하는 장연선이 개통되고, 장연선에서 분기하는 서선식산철도를 통해 항구 도시인 해주와 연결되면서(사리원-해주 간 노선은 현재의 황해청년선) 교통과 산업의 중심지로 더욱 발전하게 되었다.[11]
1945년 8월 15일 광복 직후 건국준비위원회는 사리원읍을 사리원시로 승격하였다. 대한민국 이북5도위원회는 이를 인정하지만, 소비에트 민정청은 인정하지 않았다. 1947년 6월, 사리원읍은 정식으로 사리원시로 승격되었다. 1954년 10월 30일 황해북도가 신설되면서 도청 소재지가 되었다.
사리원 강제 수용소가 이 도시에 있다.
3. 1. 연표
- 1912년 12월 : 봉산군의 군청이 사원면에 설치됨.[12]
- 1917년 : 봉산군 만천면, 영천면의 각 일부가 사원면에 편입.[12]
- 1921년 : 봉산군 사원면이 '''사리원면'''으로 개칭.[12]
- 1923년 4월 : 봉산군 만천면, 영천면의 각 일부가 사원면에 편입.[12]
- 1931년 4월 1일 : 봉산군 사리원면이 '''사리원읍'''으로 승격.[15],[12]
- 1945년 : 사리원읍이 사리원면으로 강등.[12]
- 1947년 6월 : 봉산군 사리원면이 '''사리원시'''로 승격.[12]
- 1952년 12월 : 군면리 통폐합으로, 황해도 사리원시의 대부분(신창리 제외)을 가지고, '''사리원시''' 설치. (10리)[12]
- 1953년 12월 : 봉산군 미곡리의 일부가 경암리에 편입, 봉산군 구룡리, 만금리, 은파군 묘송리의 각 일부가 상하리에 편입, 봉산군 만금리, 구룡리, 은파군 묘송리의 각 일부가 합병하여 광성리 발족, 봉산군 구룡리, 만금리, 은파군 묘송리의 각 일부가 합병하여 구룡리 발족. (12리)[12]
- 1954년 10월 30일 : 황해도의 분할로 인해, 황해북도 '''사리원시'''가 됨.(12리)[12]
- 1955년 : 구천리가 분할되어 구천1동, 구천2동 발족, 동리가 분할되어 동1동, 동2동, 동3동 발족, 북리가 분할되어 북1동, 북2동, 북3동, 북4동 발족, 서리가 분할되어 서1동, 서2동 발족, 경암리가 경암동으로 승격. (12동 7리)[12]
- 1956년 9월 : 상매리가 분할되어 오강리, 철산동, 상매동 발족. (14동 7리)[12]
- 1957년 6월 : 북3동의 일부가 북1동에 편입, 북3동의 잔부 및 서1동, 동2동의 각 일부가 북2동에 편입, 동3동 및 동1동의 일부가 동2동에 편입, 북1동의 일부가 동1동에 편입, 서2동 및 북2동의 일부, 서1동의 잔부가 합병하여 서리동 발족. (11동 7리)[12]
- 1959년 2월 : 신양리가 신양동으로 승격. (12동 6리)[12]
- 1961년 3월 : 오강리, 상매동의 각 일부가 구천1동에 편입, 구천2동의 일부가 동2동, 신양동으로 분할 편입, 상하리의 일부가 서리동, 북2동으로 분할 편입, 서리동의 일부가 상하리에 편입, 대성리의 일부가 광성리에 편입, 구천1동, 구룡리, 오강리의 각 일부가 합병하여 구천3동 발족, 신양동, 구룡리의 각 일부가 합병하여 운하동 발족, 오강리의 잔부, 상매동의 일부가 합병하여 신흥동 발족, 경암동 및 상하리의 일부가 합병하여 경암리 발족, 상하리가 상하동으로 승격, 대성리가 대성동으로 승격, 원주리가 원주동으로 승격, 봉산군 송산리, 도림리의 각 일부가 합병하여 도림리 발족. (17동 4리)[12]
- 1965년 1월 : 운하동의 일부가 분립하여 운하2동 발족, 구천2동의 일부, 운하동의 잔부가 합병하여 운하1동 발족, 상매동이 분할되어 상매1동, 상매2동 발족, 북4동, 북1동의 각 일부가 합병하여 북3동 발족, 구천3동의 일부가 분립하여 산업동 발족, 구천1동의 일부가 분립하여 구천4동 발족. (22동 4리)[12]
- 1973년 3월 : 봉산군 미곡리, 만금리, 어수노동자구 편입. (22동 1노동자구 6리)[12]
- 1974년 1월 : 어수노동자구가 어수동으로 승격. (23동 6리)[12]
- 1981년 6월 : 경암리가 경암동으로 승격, 광성리가 광성동으로 승격, 도림리가 도림동으로 승격, 봉산군 해서리, 신창리 편입. (26동 5리)[12]
- 1986년 10월 : 봉산군 셈정이, 봉의리, 대룡리, 문현리, 정방리 편입. (26동 10리)[12]
- 1990년 12월 : 연탄군 성산리 편입. (26동 11리)[12]
- 1991년 9월 : 신흥동의 일부가 분립하여 신흥2동 발족, 신창리, 구천4동의 각 일부, 신흥동의 잔부가 합병하여 신흥1동 발족, 광성동, 원주동, 정방리의 각 일부가 합병하여 성문동 발족, 북4동의 일부가 분립하여 은별동 발족, 원주동의 일부가 철산동에 편입, 경암동의 일부가 상하동에 편입, 신창리의 일부가 산업동에 편입, 상매1동의 일부가 구천4동에 편입, 만금리가 만금동으로 승격, 신창리가 신창동으로 승격. (31동 9리)[12]
4. 행정 구역
사리원시한국어는 31개의 동(洞)과 9개의 리(里)로 구성되어 있다.
동(洞) | 리(里) |
---|---|
valign="top" | | valign="top" | |
5. 인구
2008년 기준 사리원시의 인구는 307,764명이다.
6. 기후
사리원은 습윤 대륙성 기후(쾨펜 기후 구분: ''Dwa'')를 보인다. 연평균 기온은 11.2°C이다. 1월 평균 기온은 -4.8°C이고, 8월 평균 기온은 24.9°C이다. 연평균 강수량은 813.1mm이다.[16]
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연간 |
---|---|---|---|---|---|---|---|---|---|---|---|---|---|
평균 최고 기온 (℃) | 0.1°C | 3.5°C | 9.9°C | 17.7°C | 23.5°C | 27.4°C | 28.9°C | 29.6°C | 26°C | 19.3°C | 10.3°C | 2.2°C | 16.5°C |
평균 기온 (℃) | -4.8°C | -1.8°C | 4.1°C | 11.3°C | 17.3°C | 21.8°C | 24.6°C | 24.9°C | 20.1°C | 13.2°C | 5.3°C | -2.2°C | 11.2°C |
평균 최저 기온 (℃) | -9.2°C | -6.5°C | -0.9°C | 5.5°C | 11.7°C | 17.2°C | 21.1°C | 21.2°C | 15.2°C | 7.8°C | 0.7°C | -6.2°C | 6.5°C |
평균 강수량 (mm) | 8.9mm | 12mm | 18.1mm | 42.6mm | 71.2mm | 80mm | 203.1mm | 203.5mm | 85.6mm | 40.7mm | 32.7mm | 14.7mm | 813.1mm |
평균 강수일 (0.1 mm 이상) | 4.2 | 3.3 | 3.8 | 5.5 | 6.9 | 7.5 | 11.4 | 9.9 | 5.8 | 4.7 | 6.5 | 5.5 | 75.0 |
평균 강설일 | 4.8 | 3.2 | 1.3 | 0.3 | 0.0 | 0.0 | 0.0 | 0.0 | 0.0 | 0.1 | 2.2 | 5.6 | 17.5 |
평균 상대 습도 (%) | 71.0 | 67.9 | 65.4 | 63.2 | 67.4 | 74.4 | 83.3 | 82.4 | 76.6 | 72.4 | 73.1 | 71.4 | 72.4 |
7. 교통
사리원시는 황해북도의 교통, 산업, 사회문화의 중심지이다. 1992년 평양개성고속도로가 개통되어 교통 기반 시설이 잘 갖춰져 있다. 철도 노선으로는 평부선 (정방리역, 사리원청년역, 동사리원역)과 황해청년선 (사리원청년역)이 있다. 재령강과 운하를 통해 송림시, 남포, 평양으로 수운 교통이 가능하다.
7. 1. 트롤리버스
사리원은 이카루스 280 관절형 트롤리버스 2대를 갖춘 트롤리버스 시스템을 운영한다. 이 트롤리버스들은 지붕 장비 부족으로 인해 디젤 이카루스 280 버스에서 개조되었다. 2020년부터 일반 트롤리버스는 차고에 보관되었으며, 이 서비스는 일반 버스에 의해 보완된다.[2]8. 산업
사리원시는 석회석 매장량이 많아 시멘트를 이용한 중공업이 발달하였다. 2.8시멘트공장이 가장 유명하며, 이곳의 시멘트는 질이 좋아 해외로 수출된다. 칼륨/가성비료 공장과 트랙터 공장이 있다. 사리원 방직 공장을 비롯한 직물·피복 공장, 사리원 종합 기계 공장·대성(大成) 기계 공장 외에도 정밀 기계·자동차 수리·트랙터 수리·주물·전기·텔레비전 조립·광산 기계·타이어·압연·시멘트·고무 등 각종 공장이 있다.
근교 농업이 발달하여 소규모 경작지에서 벼, 밀, 보리가 재배되고 있으며, 채소 생산이 활발하다. 1958년부터 재배된 "승리 포도(승리포도)"와 미나리는 이 지역의 특산물이며, 승리 포도로 만든 와인도 유명하다.
9. 관광
경암산성은 사리원시 남서쪽에 있으며, 공원이 조성되어 있어 많은 외국인과 해외동포들이 찾는다.[1]
정방산성은 고려 시대에 축조되었으며, 1632년~1635년에 수축되었다. 산성에는 4개의 성문이 있는데, 이 중 가장 큰 것은 17세기에 수축된 남문이다. 정방산성 내에는 신라 말기 898년에 도선 국사가 창건한 성불사가 있으며, 여러 차례 보수되었다.
경암산은 사리원 시내에 있는 유일한 산으로, 산 전체가 공원으로 조성되어 있다. 조선 시대 1436년에 세워진 경암루는 1817년에 현재 위치로 옮겨졌으며, 주변은 시민공원으로 정비되어 있다.
사리원 민속 거리는 김정일 집권 시기에 건설되었으며, 고대 한국의 모습을 재현하고 있다. "역사적 양식"의 건물과 고대 한국 대포들을 전시하고 있다.
2020년에 개장한 종방산 호텔은 3개의 건물로 구성되어 있으며, 체육관과 수영장을 갖추고 있다.[1]
길성포 야외 풀이 있다.
10. 교육
사리원시에는 여러 고등 교육 기관이 있다. 계응상사범대학, 사리원지질대학, 사리원의학대학, 사리원사범대학 제1, 제2 및 고려사리원제약대학 등이 있다.[13]
다음과 같은 대학교가 있다.
- 강건대학교
- 리계순대학교(구 사리원제1사범대학, 리계순사리원제1사범대학)[14]
- 사리원대학교(구 사리원제2사범대학)
- 사리원교원대학
- 건강대학(구 사리원의학대학)
- 계응상대학교(구 사리원농업대학)
- 사리원공산대학
- 사리원동약단과대학(사리원고려약학대학)[14]
- 사리원탐사단과대학(사리원지질대학)[14]
- 사리원전자자동화전문학교(사리원전자자동화단과대학, 사리원공업대학)[14]
그 외에 상하(上下)·은덕(恩德)·은하(銀河)·구천(駒泉)의 고등중학교와 사리원제1중학교를 비롯하여 탁아소·유치원·군중문화회관·영화관·도서관 등이 있다.
11. 의료
사리원에는 해당 지역에서 유일한 소아과 병원이 있으며, 이 병원은 1950년대에 헝가리인들이 설립하였다.[1] 이 병원에서는 매년 16개 구역의 어린이와 청소년 50만 명을 진료한다.[1]
12. 자매 도시
13. 출신 인물
- 유현목 - 한국의 영화 감독, 1925년 사리원 출생
- 미쓰도메 리오 - 보도 사진가, 1938년 사리원 출생
참조
[1]
뉴스
New North Korean hotel opens after 10-year construction period
https://www.nknews.o[...]
NK News
2021-10-21
[2]
웹사이트
Sariwon
https://transphoto.o[...]
2021-01-02
[3]
웹사이트
30 years report of Meteorological Observations in North Korea (1991 ~ 2020)
https://data.kma.go.[...]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2-03-24
[4]
뉴스
No committee to develop ties with Lahore’s twins
https://web.archive.[...]
Daily Times of Pakistan
2007-03-02
[5]
웹사이트
Sister City Ties Established between DPRK and Mexico
http://kcna.co.jp/it[...]
KCNA
2004-04-21
[6]
서적
増訂改版新選詳図 帝国之部
帝国書院
1934
[7]
서적
朝鮮を知る事典
平凡社
1996
[8]
서적
グローバル世界大百科事典
정보 부족
[9]
서적
グローバル世界大百科事典
정보 부족
[10]
서적
日本鉄道旅行地図帳 朝鮮・台湾
新潮社
2009
[11]
서적
日本鉄道旅行地図帳 朝鮮・台湾
新潮社
2009
[12]
웹사이트
황해북도 사리원시 역사
http://www.cybernk.n[...]
[13]
서적
グローバル世界大百科事典
정보 부족
[14]
서적
斗山世界大百科事典
정보 부족
[15]
법률
부령 제103호
1930-12-29
[16]
웹인용
북한 기상 30년보 (1991 ~ 2020)
https://data.kma.go.[...]
대한민국 기상청
2022-01-3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