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슬라본스키브로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슬라본스키브로드는 크로아티아의 도시로, 사바 강을 건너는 전략적 요충지에 위치해 있다. 고대 로마 시대에는 마르소니아로 불렸으며, 슬라브족 정착 이후 슬라본스키 브로드라는 이름으로 불리게 되었다. 1224년 헝가리 왕국에 처음 기록되었고, 오스만 제국 통치와 오스트리아 제국 편입을 거쳐 20세기에 경제 성장을 이루었다. 제2차 세계 대전과 유고슬라비아 전쟁으로 큰 피해를 입었으나, 현재는 농업, 금속 가공, 관광업 등을 중심으로 경제 활동이 이루어진다. 바로크 양식의 브로드 요새와 프란체스코회 수도원 등 역사적 건축물과 이바나 브르리치-마주라니치 광장과 같은 문화 유산을 보유하고 있으며, 슬라본스키 브로드 대학교를 비롯한 교육 시설도 갖추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슬라보니아 - 오시예크
    오시예크는 크로아티아 동부에 위치한 도시로, 신석기 시대부터 사람이 거주했으며 로마 제국 시대에는 요새가 건설되었고, 오스만 제국 시기에는 상업 중심지로 발전했으며, 20세기에는 도시가 확장되어 농업, 산업, 관광이 발달했다.
  • 슬라보니아 - 시르미아
    시르미아는 스렘스카미트로비차의 고대 도시 시르미움에서 유래된 이름으로, 현재 세르비아와 크로아티아에 걸쳐 있으며, 로마 제국 시기 판노니아의 중심지였고, 프루슈카 고라 산맥이 주요 지형을 이룬다.
  • 크로아티아의 주도 - 스플리트
    스플리트는 아드리아 해안의 크로아티아 도시이자 스플리트-달마티아 주의 주도로, 디오클레티아누스 황제의 궁전을 중심으로 형성되어 로마 시대부터 발전해 왔으며,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역사 유적과 활발한 경제, 스포츠 문화를 지닌 중요한 항구 도시이다.
  • 크로아티아의 주도 - 리예카
    크로아티아 서부 아드리아해 북부 연안에 위치한 리예카는 고대부터 여러 세력의 지배를 거쳐 유고슬라비아를 거쳐 현재는 크로아티아의 주요 항구 도시이자 2020년 유럽 문화 수도로 선정된 풍부한 역사와 문화 유적을 지닌 곳이다.
  • 크로아티아의 도시 - 스플리트
    스플리트는 아드리아 해안의 크로아티아 도시이자 스플리트-달마티아 주의 주도로, 디오클레티아누스 황제의 궁전을 중심으로 형성되어 로마 시대부터 발전해 왔으며,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역사 유적과 활발한 경제, 스포츠 문화를 지닌 중요한 항구 도시이다.
  • 크로아티아의 도시 - 리예카
    크로아티아 서부 아드리아해 북부 연안에 위치한 리예카는 고대부터 여러 세력의 지배를 거쳐 유고슬라비아를 거쳐 현재는 크로아티아의 주요 항구 도시이자 2020년 유럽 문화 수도로 선정된 풍부한 역사와 문화 유적을 지닌 곳이다.
슬라본스키브로드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기본 정보
슬라본스키 브로드 시기
시기
슬라본스키 브로드 문장
문장
공식 명칭Grad Slavonski Brod
도시 유형도시
지리
좌표45°10′N 18°01′E
면적54.1 km²
도시 면적41.7 km²
해발 고도92 m
인구
2021년 전체 인구49891명
2021년 도시 인구45005명
행정
국가크로아티아
브로드-포사비나 주
시장미르코 두스파라(무소속)
시의회무소속 미르코 두스파라 (10석)
HDZ (6석)
SDP (5석)
HSP AS (3석)
HSLS (1석)
시간대
시간대CET
여름 시간 (썸머타임)CEST
UTC 오프셋+1
서머타임 UTC 오프셋+2
기타 정보
우편 번호35000
지역 번호035
차량 번호판SB
웹사이트공식 웹사이트
슬라본스키 브로드 로마자 표기
크로아티아어Slǎvōnskiː Brôːd

2. 이름

현대 크로아티아어에서 'brod'는 '배'를 의미하지만, 도시의 이름은 더 오래된 의미인 '물 건너는 곳', '여울'을 뜻한다.

역사적으로 사용된 이름으로는 로마 제국 시대의 'Marsonia', 독일어를 사용하는 오스트리아 시대의 'Brood'(슬라보니아에서)[4], 1934년 이후의 'Brod na Savi'가 있다.

고대 이름 "Marsonia"는 아마도 인도유럽조어 *mory (늪)에서 유래되었으며, 동일한 어원은 "Mursa"와 "Mariniana"와 같은 인근 지명에서도 나타난다.[5]

3. 역사

슬라본스키브로드는 선사 시대부터 사람이 살기 시작한 유서 깊은 도시이다. 유리한 지리적 위치, 쾌적한 대륙성 기후, 비옥한 토양, 그리고 사바 강과의 인접성 덕분에, 이 지역은 초기 석기 시대부터 사람들이 거주해 왔다. 특히, 갈로보 시 북동부 지역에서 발견된 스타르체보 문화 유적은 북부 크로아티아에서 가장 큰 고고학적 발견 중 하나로, 브로드 지역에 최소 8,000년 이상 사람이 거주했음을 증명한다.

6세기에는 슬라브족이 이 지역에 정착했다. 1536년부터 1691년까지는 오스만 제국의 지배를 받았으며, 1699년 카를로비츠 조약을 통해 오스트리아 제국에 양도되었다. 1918년까지 브로드는 오스트리아 군주국(1867년 타협 이후 크로아티아-슬라보니아 왕국)의 슬라보니아 군사 국경지대에 속해 있었다.

도시의 방어 역할과 더불어 공예와 상업이 꾸준히 발전했다. 20세기는 도시의 강력한 경제 성장기였으며, 1920년대는 "브로드의 황금기"라고 불렸다. 1934년에 현재의 이름인 슬라본스키브로드로 개칭되었다.

1990년 민주 개혁으로 크로아티아 공산주의자 동맹 외의 정당 결성이 합법화되었다. 슬라본스키브로드에서는 크로아티아 민주 연합과 크로아티아 민주당이 최초로 결성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유고슬라비아 전쟁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각 하위 문단을 참조하면 된다.

3. 1. 고대 로마 시대

브로드는 최초의 역사적 정착지가 로마 시대에 기원하며, 이 정착지는 ''마르소니아''로 알려져 있다. 마르소니아가 우편국, 숙박 시설, 또는 실제 정착지였는지에 대해서는 여전히 논쟁이 있다.

푸생거 지도는 마르소니아를 마르소니에로 언급하고 있으며, "노티티아 디그니타툼"은 마르소니아를 "Auxilia Ascaria Tauruno sive Marsonia"라는 이름으로 언급하고 있다. 마르소니아가 도시가 되는 문제는 16세기부터 프톨레마이오스지리학 출판사에서 다루었다. 브로드 지역에 마르소니아의 위치를 처음으로 정확히 파악한 지리학자는 아브라함 오르텔리우스였으며, 그는 아틀라스 테아트룸 오르비스 테라룸(앤트워프 1590)에서 당시의 파노니아와 일리리아 정착지의 고대 이름을 당대의 도시와 재구성하고 연결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지도를 출판했다. 그는 마르소니아를 오늘날 브로드의 위치에 배치했다.

푸생거 표는 마르소니아가 처음에는 로마 도로가 강을 건너는 지점인 사바 강 옆에 존재했음을 분명히 보여준다. 로마의 MARSVNNIA가 현재 브로드에 위치해 있다고 주장한 최초의 크로아티아 전문가는 마티야 페타르 카탄치치이며, 그는 이 주장에 추가적인 뒷받침을 제공했다.

3. 2. 중세 ~ 근대

슬라브족은 6세기에 이 지역에 정착했다. 도시 이름은 1224년 헝가리의 벨라 4세의 칙허장에서 처음 언급되었다. 부코바츠 요새는 15세기에 건설되었으며, 이후 투르크족에 의해 손상되었다. 오스만 제국은 1536년부터 1691년까지 이 정착지를 통치했으며, 1699년 카를로비츠 조약에 의해 오스트리아 제국에 양도되었다. 1918년까지 브로드(1850년 이전에는 ''브루드''로 불림)는 오스트리아 군주국(1867년 타협 이후의 크로아티아-슬라보니아 왕국)의 슬라보니아 군사 국경지대에 속해 있었으며, 1881년까지는 ''Brooder Grenz-Infanterie-Regiment N°VII''의 행정 하에 있었다. 부코바츠 동쪽에 거대한 보방식 요새가 건설되었다.[1]

도시 방어 역할과 함께 공예와 상업이 꾸준히 발전했다. 교육과 문화는 프란체스코회에 의해 강력하게 지배되었다. 20세기는 도시의 강력한 경제 성장기였으며, 1920년대는 "브로드의 황금기"라고 불렸다. 도시의 현재 이름은 1934년 브로드나사비에서 변경되면서 시작되었다.[1]

1224년 7월 20일 헝가리 왕국 러요시 4세 치하에서 슬라본스키 브로드는 처음 문서에 기록되었다. 고대 로마 시대부터 이미 요새가 있었으며, 마르소니아(Marsonia)라고 불렸다. 7세기 슬라브족의 정착이 시작되었다. 이곳은 합스부르크 왕가와 오스만 제국의 전략적인 경계선으로 여러 차례 전란에 휩싸였다. 1715년부터 1720년까지 사보이 공자 외젠에 의해 군사 경계선이 되는 요새가 건설되었다.[2]

1870년에 마을 인구는 4,000명이었다. 1871년에는 성벽이 파괴되었다. 1872년에는 세관이 설치되었고, 지방 법원 및 세무서도 설치되었다. 1874년에는 공립 학교가 세워졌고 최초의 공업 지구가 생겨 양조장 및 벽돌 공장이 만들어졌다. 1880년에는 사바 강에 철도교가 가설되었고, 1882년에는 사라예보까지 연장되었다. 19세기에 들어선 대규모 개발은 경제를 크게 끌어올렸다. 1899년에는 제재소가 만들어졌고, 1904년에는 더 많은 회사가 조업을 시작했다. 1900년 7월 6일에 사바 강 근처에 소방서가 설치되었고, 1921년에는 저축 은행이 건립되었다. 이 기간 동안 개발의 결과로 인구는 10,000명까지 증가했다. 1934년 5월 29일, 마을 이름은 현재의 슬라본스키 브로드로 개칭되었다.[2]

3. 3. 현대

슬라브족은 6세기에 이 지역에 정착했다. 오스만 제국은 1536년부터 1691년까지 이 정착지를 통치했으며, 1699년 카를로비츠 조약에 의해 오스트리아 제국에 양도되었다. 1918년까지 브로드(1850년 이전에는 ''브루드''로 불림)는 오스트리아 군주국(1867년 타협 이후의 크로아티아-슬라보니아 왕국)의 슬라보니아 군사 국경지대에 속해 있었다.

도시 방어와 더불어 공예와 상업이 꾸준히 발전했다. 20세기는 도시의 강력한 경제 성장기였으며, 1920년대는 "브로드의 황금기"라고 불렸다. 도시의 현재 이름은 1934년 브로드나사비에서 변경되면서 시작되었다.

1990년 민주 개혁으로 크로아티아 공산주의자 동맹 외의 정당 결성이 합법화되었다. 슬라본스키브로드에서는 크로아티아 민주 연합과 크로아티아 민주당이 최초로 결성된 정당이었다.

제2차 세계 대전과 유고슬라비아 전쟁에 대한 내용은 각 하위 문단을 참조하면 된다.

3. 3. 1. 제2차 세계 대전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19세기 이래 발전해 온 슬라본스키브로드는 처음으로 성장이 저해되었다. 1941년부터 1945년까지 나치 독일의 괴뢰 국가인 크로아티아 독립국의 지배하에 있었다. 격렬한 폭격으로 슬라본스키브로드 건축물의 80%가 피해를 입었고, 보산스키브로드를 합쳐 시민 897명과 군인 244명이 사망했으며, 시민 208명과 군인 28명이 부상을 입었다.

3. 3. 2. 유고슬라비아 전쟁

유고슬라비아 전쟁 당시 슬라본스키브로드는 보스니아 내 세르비아 공화국군의 심한 포격을 받았다. 1992년 4월부터 10월까지 작전 복도 92 기간 중, 보스니아 국경 건너편 보산스카 포사비나에 주둔한 세르비아군은 공격을 감행했다. 총 11,651발의 포탄과 14발의 9K52 루나-M 로켓이 도시에 발사되었고, 130발의 폭탄이 공중에서 투하되어 민간인 116명이 사망했으며,[12] 여기에는 어린이 27명도 포함되었다.[13]

크로아티아 전쟁 중에도 군사적 충돌로 27명의 어린이를 포함한 182명의 시민이 사망하고 591명이 부상당했으며, 전투로 500명의 병사가 사망했다. 보스니아 전쟁 당시에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북부에서 다리를 넘어오는 난민의 유입으로 막대한 영향을 받았는데, 대부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에 거주하는 크로아티아계 주민이었다. 보스니아 전쟁 당시 공습으로 다리가 파괴되었지만 2000년 4월에 크로아티아와 헝가리 기업에 의해 재건되었다.

4. 지리

사바 강 산책로


슬라본스키브로드는 자그레브에서 남동쪽으로 197km 떨어져 있으며 해발 96m에 위치한다.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보산스키브로드로 향하는 사바 강을 건너는 전략적으로 중요한 지점에 위치하여 발전했다.

슬라본스키브로드는 사바 강을 사이에 두고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보산스키브로드와 국경을 접하고 있다.

4. 1. 교통

슬라본스키브로드는 자그레브에서 남동쪽으로 197km 떨어져 있으며 해발 96m에 위치해 있다. 사바 강을 건너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보산스키브로드(2009년까지 보산스키 브로드라고 불림)로 향하는 전략적으로 중요한 지점에 위치하여 발전했다.

슬라본스키 브로드는 자그레브–리포바츠–베오그라드 (E70, A3)를 연결하는 고속도로와 자그레브빈코브치베오그라드 철도의 교차점에 위치해 있어 고속도로 및 철도 교통의 중요한 요충지이다. 사바 강에는 선박 항구 "브로드"가 건설 중이다.

또한 범유럽 코리도르 Vc에 새로운 현대식 고속도로가 건설 중이며, 이 고속도로는 북유럽과 헝가리를 크로아티아(슬라보니아 지역을 경유)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를 크로아티아(달마티아 해안 지역을 경유)와 연결하게 된다. 이 고속도로의 노선은 시내 중심부에서 약 19km 거리에 있다. 이 노선이 완성되면 슬라본스키 브로드 지역은 서–동 및 북–남 방향을 연결하는 유럽 이 지역의 주요 고속도로 교차로 중 하나가 될 것이다.

M104 철도 노선에 슬라본스키 브로드 기차역이 있으며, 이 역은 (빈코브치 - 빌라흐 또는 자그레브 - 베오그라드와 같은) 도시를 통과하는 모든 국제 노선의 기차 정차역이자, 수도 자그레브빈코브치/(토바르니크, 세르비아와의 국경) 사이를 운행하는 많은 국내 지역 및 완행 열차 서비스로 직접 연결된다.[20]

슬라본스키 브로드 버스 터미널은 다양한 회사의 정기 버스 노선을 통해 자코보, 포제가, 노바그리슈카 등 슬라보니아의 주변 마을, 자치단체 및 도시뿐만 아니라 풀라, 리예카, 우마그, 포레치, 로비니, 오시예크, 자그레브, 카를로바츠, 자다르, 스플리트, 시베니크 등 크로아티아 전역의 모든 주요 도시와 잘 연결되어 있다. 국제 노선에서는 독일스위스 방향으로 정기적으로 출발하는 버스가 있다.[21]

4. 2. 기후

슬라본스키브로드는 따뜻한 여름의 습윤 대륙성 기후(쾨펜의 기후 구분 ''Dfb'')를 보인다.

슬라본스키 브로드 (1971–2000, 극한값 1963–2014)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연간
최고 기온 기록 (°C)19.424.127.431.435.237.039.540.536.530.226.423.040.5
평균 최고 기온 (°C)3.56.912.517.122.225.227.427.223.117.09.54.816.4
평균 기온 (°C)-0.21.96.511.016.119.321.020.416.110.65.01.110.7
평균 최저 기온 (°C)-3.8-2.60.94.99.412.714.013.79.95.41.0-2.45.2
최저 기온 기록 (°C)-27.8-25.5-14.6-8.4-1.71.76.04.7-3.1-7.4-13.7-22.0-27.8
강수량 (mm)47.338.545.855.969.482.487.867.962.968.368.453.4748.1
평균 강수일수 (≥ 0.1 mm)12.011.112.113.412.513.810.410.19.711.012.413.7142.2
평균 적설일수 (≥ 1.0 cm)11.27.31.80.20.00.00.00.00.00.02.77.430.6
평균 상대 습도 (%)87.180.973.172.073.674.773.775.679.682.486.388.679.0
평균 일조 시간55.890.4142.6174.0223.2237.0269.7254.2189.0130.266.049.6-

[28][29]

5. 인구

슬라본스키브로드는 자그레브, 스플리트, 리예카, 오시예크, 자다르에 이어 크로아티아에서 여섯 번째로 큰 도시이다. 브로드는 보스니아브로드, 시비니, 부코블레, 브로드스키 스투프니크, 포드크르카블레, 고르냐르브바, 클라카르를 포함하여 11만 명 이상의 인구가 거주하는 지역의 중심지이다.

슬라본스키브로드의 행정 구역을 구성하는 정착지와 인구는 다음과 같다.

정착지인구
브로드스키 바로시2,035명
포드비니예3,575명
슬라본스키브로드53,531명



슬라본스키브로드의 역사적 인구 변화는 다음과 같다.

연도인구
1880년5,872명
1890년6,940명
1900년9,627명
1910년13,193명
1921년13,729명
1931년19,203명
1948년20,196명
1953년23,116명
1961년30,093명
1971년40,043명
1981년49,153명
1991년57,229명
2001년64,612명
2011년59,141명


6. 정치

직접 선출된 소수 민족 협의회 및 대표는 소수 민족의 권리와 이익, 공공 생활로의 통합, 지방 자치 업무 참여를 옹호하는 지역 또는 지방 당국에 자문하는 역할을 수행한다.[14] 2023년 크로아티아 소수 민족 협의회 및 대표 선거에서 로마인과 세르비아인은 슬라본스키브로드 시의 소수 민족 협의회 위원 15명을 선출하기 위한 법적 요건을 충족했으며, 보스니아인은 개별 대표를 선출했다.[15]

7. 경제

슬라본스키 브로드 농업 박람회


이 도시의 경제는 농업, 포도 재배, 과일 재배, 금속 가공, 목재(가구 목재, 마루판) 가공, 섬유(기성품) 제조, 가죽, 식료품(양조장), 건축 자재(석회), 인쇄 산업을 기반으로 한다.

슬라본스키 브로드는 동남유럽에서 가장 중요한 금속 회사 중 하나인 주로 자코비치 컨소시엄의 본거지이며, 여러 공장에서 다양한 제품을 주로 수출한다. 이 컨소시엄은 기관차, 노면 전차, 객차, 교량, 산업 플랜트, 원자로, 자동차 부품, 중무장 차량, 장갑 전투 차량, 주력 전차, 지뢰 제거 차량, 농업 기계 등을 생산할 수 있다.

서비스 산업은 특히 관광업에서 빠르게 중요해지고 있다. 이 도시는 요새와 풍부한 도서관을 갖춘 프란치스코회 수도원을 포함하여 중요한 문화 유산을 보유하고 있다.

8. 문화 유산

이 도시에서 가장 중요한 연례 문화 행사는 4월과 5월에 열리는 어린이 축제 '작가 이바나 브르리치-마주라니치의 동화 속 세상'이다. 연례 민속 쇼인 브로드스코 콜로는 6월 중순에 열리며, 애국 민요 축제는 5월에 개최된다. 예술적인 '사바' 식민지[17]수채화 그림의 전통을 소중히 여긴다.

슬라본스키 브로드의 명소 중 하나는 크로아티아에서 두세 번째로 큰 아름다운 중앙 광장인 이바나 브르리치-마주라니치 광장으로, 광장에는 인기 있는 아동 작가의 집이 있다. 이 광장에서는 수많은 문화 행사가 열리며 아름다운 사바 강을 완벽하게 조망할 수 있다. 광장에는 갤러리, 서점, 카페, 나이트클럽, 상점들이 즐비하여 엔터테인먼트의 중심지 역할을 한다. 광장 근처에는 사바 강 옆의 낭만적인 산책로인 '케이'가 있는데, 이곳은 도시 시민들이 즐겨 찾는 곳이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 파괴되었지만, 슬라본스키 브로드 시나고그는 크로아티아에서 가장 크고 권위 있는 시나고그 중 하나였다.

슬라본스키 브로드에는 주교 요십 스타들러와 크로아티아 초대 대통령 프라뇨 투지만의 기념비가 있다.[18][19] 슬라본스키 브로드와 기차역은 애거사 크리스티의 ''오리엔트 특급 살인''에 등장하며, 오리엔트 특급 열차가 고장나는 장소로 묘사된다.

8. 1. 브로드 요새

프란체스코 수도원


바로크 시대의 브로드 요새는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시대에 오스만 제국에 대항하기 위해 건설되었으며, 오스만 제국은 사바 강 건너편에 위치해 있었다. 요새는 17세기와 18세기에 유럽 최고의 요새 건축 전문가 중 한 명의 이름을 딴 보방 양식으로 지어졌다.[16] 유럽에서 가장 잘 보존된 요새 중 하나이며, 구 오스트리아-헝가리 군사 변방에서 가장 큰 요새 중 하나이다. 기념비적인 측면에서, 이 요새는 스플리트의 디오클레티아누스 궁전의 대륙적인 반대편이라고 할 수 있다.

8. 2. 프란체스코회 수도원

이 도시의 프란체스코회 수도원은 18세기에 지어졌으며, 교회 마당과 수도원 교회 내부의 뛰어난 건축 양식을 가진 바로크 양식으로, 아름다운 제단과 그림이 특징이다.[16] 1720년에는 이곳에 철학부가 개설되었다.

8. 3. 기타



공학부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시대에 오스만 제국에 대항하기 위해 건설된 바로크 시대의 브로드 요새는 사바 강 건너편에 위치해 있었다.[16] 17세기와 18세기에 유럽 최고의 요새 건축 전문가 중 한 명의 이름을 딴 보방 양식으로 지어졌다. 유럽에서 가장 잘 보존된 요새 중 하나이며, 구 오스트리아-헝가리 군사 변방에서 가장 큰 요새 중 하나이다. 기념비적인 측면에서, 이 요새는 스플리트의 디오클레티아누스 궁전의 대륙적인 반대편이라고 할 수 있다.

18세기부터 존재한 이 도시의 프란체스코회 수도원은 특히 교회 마당과 수도원 교회 내부의 뛰어난 건축 양식을 가진 바로크 양식으로, 아름다운 제단과 그림이 특징이다.[16] 1720년에는 이곳에 철학부가 개설되었다.

이 도시에서 가장 중요한 연례 문화 행사는 4월과 5월에 열리는 어린이 축제 '작가 이바나 브르리치-마주라니치의 동화 속 세상'이다. 연례 민속 쇼인 브로드스코 콜로는 6월 중순에 열리며, 애국 민요 축제는 5월에 개최된다. 예술적인 '사바' 식민지[17]수채화 그림의 전통을 소중히 여긴다.

슬라본스키 브로드의 명소 중 하나는 크로아티아에서 두세 번째로 큰 아름다운 중앙 광장인 이바나 브르리치-마주라니치 광장으로, 광장에는 인기 있는 아동 작가의 집이 있다. 이 광장에서는 수많은 문화 행사가 열리며 아름다운 사바 강을 완벽하게 조망할 수 있다. 광장에는 갤러리, 서점, 카페, 나이트클럽, 상점들이 즐비하여 엔터테인먼트의 중심지 역할을 한다. 광장 근처에는 사바 강 옆의 낭만적인 산책로인 '케이'가 있는데, 이곳은 도시 시민들이 즐겨 찾는 곳이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 파괴되었지만, 슬라본스키 브로드 시나고그는 크로아티아에서 가장 크고 권위 있는 시나고그 중 하나였다.

슬라본스키 브로드에는 주교 요십 스타들러와 크로아티아 초대 대통령 프라뇨 투지만의 기념비가 있다.[18][19] 슬라본스키 브로드와 기차역은 애거사 크리스티의 ''오리엔트 특급 살인''에 등장하며, 오리엔트 특급 열차가 고장나는 장소로 묘사된다.

9. 교육

슬라본스키브로드는 유치원, 초등학교, 중고등학교 및 고등 교육 기관이 매우 잘 발달되어 있다.

또한 이 도시에는 슬라본스키브로드 대학교와 초등학교 교사 양성 대학이 있다. 다른 몇몇 단과 대학의 개설도 곧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2006년 10월에는 여러 단과 대학과 함께 준학사 학위 과정 대학이 설립되었다.

10. 환경

유럽 환경청은 2023년에 슬라본스키브로드가 지난 2년간의 미세 입자 물질(PM2.5) 평균 농도 수준을 기준으로 유럽 372개 도시 중 실외 대기 질이 가장 나쁘다고 보고했다. 2년 평균 PM2.5 농도는 26.5μg/m3로 보고되었으며, 이는 지침 2008/50/EC에 명시된 범주에서 "매우 나쁨"으로 간주된다.[24]

11. 자매 도시

슬라본스키브로드는 다음 도시와 자매 도시 관계를 맺고 있다.

참조

[1] Q인용
[2] 간행물 Croatian Census 2021
[3] 간행물 Croatian Census 2011
[4] 문서 Not to be confused with Brod na Kupi, in Primorje-Gorski Kotar County.
[5] 웹사이트 Croatian toponyms - Linguist Forum http://linguistforum[...] 2018-04-06
[6] 서적 Treasures of Yugoslavia Yugoslaviapublic
[7] 서적 Handbook of Austria and Lombardy-Venetia Cancellations on the Postage Stamp Issues 1850-1864
[8] 웹사이트 Ne može se utvrditi koliko su Hrvata ubili saveznici http://www.nacional.[...] 2012-06-30
[9] 기타 Saveznička bombardiranja Slavonskog i Bosanskog Broda i okolnih mjesta tijekom Drugog svjetskog rata http://hrcak.srce.hr[...]
[10] 웹사이트 Državni arhiv u Slavonskom Brodu http://arhinet.arhiv[...] Arhinet - National Archival Information System 2024-08-02
[11] 웹사이트 Demokratske promjene u općini Slavonski Brod (1990.) http://hrcak.srce.hr[...] 2018-04-06
[12] 서적 Rat u Bosanskoj Posavini 1992. Posavska Hrvatska
[13] 웹사이트 Daliborka Mikulić https://www.civilnez[...] 2023-05-08
[14] 웹사이트 Manjinski izbori prve nedjelje u svibnju, kreću i edukacije https://www.tportal.[...] T-portal 2023-05-02
[15] 웹사이트 Informacija o konačnim rezultatima izbora članova vijeća i izbora predstavnika nacionalnih manjina 2023. XII. BRODSKO-POSAVSKA ŽUPANIJA https://www.izbori.h[...] Državno izborno povjerenstvo Republike Hrvatske 2023-06-03
[16] 기타 The Franciscan Monastery (baroque) http://www.tzgsb.hr/[...] Slavonski Brod Tourist Board 2017-09-02
[17] 웹사이트 Akvarelisticka kolonija Sava, Slavonski Brod 1998 http://www.sbonline.[...] 2005-12-31
[18] 웹사이트 Memorial to Josip Stadler unveiled http://www.sbonline.[...] 2018-04-06
[19] 웹사이트 U središtu Slavonskog Broda otkriven spomenik Franji Tuđmanu http://dnevnik.hr/vi[...] 2018-04-06
[20] Citation Slavonski Brod railway station https://en.wikipedia[...] 2022-06-17
[21] 웹사이트 Autobusni Kolodvor Slavonski Brod, kontakt, vozni red i radno vrijeme {{!}} Arriva Hrvatska https://www.arriva.c[...] 2022-06-17
[22] 웹사이트 Slavonski Brod Climate Normals http://klima.hr/k1/k[...] Croatian Meteorological and Hydrological Service 2015-12-02
[23] 웹사이트 Mjesečne vrijednosti za Slavonski Brod u razdoblju1963−2014 http://klima.hr/klim[...] Croatian Meteorological and Hydrological Service 2015-12-03
[24] 웹사이트 European city air quality viewer https://www.eea.euro[...] European Environment Agency 2024-09-06
[25] 기타 Predsjednik Milanović na svečanoj sjednici povodom Dana grada Slavonskog Broda https://www.slavonsk[...] City of Slavonski Brod 2023-05-16
[26] 간행물 Census of Population, Households and Dwellings 2011, First Results by Settlements Croatian Bureau of Statistics 2011-06
[27] 뉴스 Slobodna Dalmacija - Hrvatska turistička zajednica: Slavonski Brod - najljepši grad u Hrvatskoj http://www.slobodnad[...] Slobodna Dalmacija 2009-09-25
[28] 웹인용 Slavonski Brod Climate Normals http://klima.hr/k1/k[...] Croatian Meteorological and Hydrological Service 2015-12-02
[29] 웹인용 Mjesečne vrijednosti za Slavonski Brod u razdoblju1963−2014 http://klima.hr/klim[...] Croatian Meteorological and Hydrological Service 2015-12-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