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사숙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숙은 사립 서당을 의미하며, 한국, 중국, 일본에서 각기 다른 형태로 존재했다. 한국에서는 조선 시대 서당의 종류와 교육 내용이 특징적이며, 중국에서는 명·청 시대 유교 기반의 초등 교육 기관으로 널리 보급되었으며, 운영 형태, 교육 내용, 쇠퇴 과정을 거쳤다. 일본에서는 에도 시대 무가의 학문 교육 장으로 발전했으며, 난학숙과 서양학숙의 등장으로 변화를 겪었고, 메이지 시대에는 중등 교육 기관 발달의 모체가 되었다.

2. 역사

중국에서는 ·대에 유교에 기반한 초등 교육을 담당하는 기관으로 널리 보급되었지만, 에도 시대의 일본에서는 주로 한학(유학)·국학·서양학자 등에 의한 중등 교육 이상의 사설 교육 기관으로 보급되었다.[1]

중국에서는 대 이후 중앙·지방의 관학 제도가 정비되었지만, 관학의 초등 교육은 귀족에 한정되었고, ·대 이후 일반 아동의 초등 교육을 담당하는 "서당"이 등장[3], ·대에는 다양한 형태의 '''사숙'''이 농촌부까지 포함하여 보급·확대되었다. 사숙에서는 학생의 연령·교재·수업 연한 등에 관한 제한이나 통일적인 규칙은 없었고, 숙사(塾師)의 개별 지도에 의한 암기 중심의 문자 교육을 주로 하였으며, 단계적으로 과거의 예비 교육까지 담당하였다.[1]

에도 시대 일본의 사숙은 일반적으로 교사의 사택에 설치된 교장에서 학문·예능을 문하생에게 가르치는 교육 시설이었다.[4] 당시 "학문"이란 한학(유학)을 가리키며, 한학 서당이 융성했다.[5] 막말까지는 서예 서당·산학 서당(주산 서당)·국학 서당·서양학 서당 등 다양한 분야의 사숙도 보급되었지만, 특히 막말기에는 자유롭게 개설되었고, 번교데라코야와 같은 신분상의 차별도 적어, 무사와 서민이 함께 배우는 교육 기관으로서, 근대적인 학교(사립 학교)의 하나의 원류를 이루었다.[4]

사숙은 메이지 시대 20년대 이후 중등 교육 기관 발달의 모체가 되었다. 1874년(메이지 7년) 당시 전국에 설치된 중학교는 32개교에 불과했고, 그중 공립은 11개교였기 때문에, 메이지 시대 초기의 진학 희망자들은 각 지역의 유명 사숙에 집중되었다. 공립 중학교는 부현청 소재지·주요 도시 등에 구(舊) 번교를 모체로 하여 설치되었지만, 신설 중학교의 압도적 다수는 사립 학교였으며, 이들 대부분은 막부 말기부터 유신기에 걸쳐 설립된 서양학숙·한학숙을 기원으로 하고 있었다.[16]

2. 1. 한국

한국의 서당은 고려 시대부터 그 기록이 나타나며, 조선 시대에 들어서면서 전국적으로 확산되어 서민 교육의 중심 기관으로 자리 잡았다. 조선 시대 서당은 향촌 사회의 자발적인 노력으로 설립 및 운영되었으며, 유교 경전과 더불어 한국의 역사와 문화를 가르치는 데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다. 특히, 조선 후기에는 실학의 영향으로 서당 교육 내용이 다양화되면서, 실용적인 지식과 기술 교육도 이루어졌다. 일제강점기에는 민족 교육의 거점으로 탄압받기도 하였으나, 광복 이후에도 일부 지역에서는 전통적인 서당 교육이 유지되었다. 현대에 들어서면서 서당은 점차 감소하였으나, 최근에는 전통 문화 교육 및 인성 교육의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서당 교육에 대한 관심이 다시 높아지고 있다.

2. 2. 중국

중국에서 서당(사숙)은 · 시대에 유교에 기반한 초등 교육 기관으로 널리 보급되었다.[1] 명·청 시대의 사숙은 운영 형태에 따라 문관, 가숙(교관, 좌관), 촌숙(족숙, 의학, 의숙)의 세 가지로 크게 분류된다.[1]

종류설명
문관거인(향시 합격자)이나 관직에 나아가지 못한 수재 등이 숙사(塾師: 서당의 스승)로 자택(또는 셋집)에 설치
가숙·교관·좌관관료·지주 등의 부유층이 사저에 숙사(塾師: 서당의 스승)를 초빙하여 설치
촌숙·족숙·의학·의숙촌락·종족 공동체나 여러 가족·개인이 공유 재산이나 의연으로 숙사(塾師: 서당의 스승)를 고용하여, 공공적인 장소에 설치



촌숙·족숙·의학·의숙은 반관반민적인 운영으로, 빈곤 가정이나 소수 민족의 자제들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무료로 다닐 수 있었다.

6세 전후부터 시작하는 어린이를 위한 사숙은 몽관·몽학이라고 칭하고, 과거의 예비 교육을 목적으로 하는 성인용 사숙은 경관이라고도 칭했다.[19]

2. 2. 1. 명·청 시대 사숙의 교육 내용

명·청 시대 사숙의 교육은 크게 세 단계로 나뉘었다.[1]

1. '''계몽''': 문자 해득 및 도덕 교육

2. '''독경''': 경전 읽기

3. '''거업''': 과거 시험 예비 교육

교재는 계몽서부터 시작하여 유교 경서로 단계적으로 나아갔다. 일반적인 순서는 다음과 같다.

경우에 따라 다음과 같은 책을 읽기도 했다.[1]

  • '''신동시''': 과거 시험 합격의 중요성을 설파한 오언 운문
  • '''주자격언''': 유교 도덕을 설파한 대구
  • 제자규: 유교 도덕을 설파한 삼언 운문
  • 여아경: 여성의 도덕을 설파한 운문
  • 효경
  • '''증광현문''': 속담집
  • 幼学琼林|유학경림중국어: 출처가 있는 말을 분야별로 대구 형식으로 나열한 것
  • '''용문편영''': 평수운의 평성 각 운마다 출처가 있는 말을 사언의 대구로 나열한 것
  • '''립옹대운''', '''성률계몽''', '''훈몽변구''': 평수운의 평성 각 운마다 어구를 나열한 것
  • 천가시: 당송의 절구·율시집
  • 고문관지: 시대별 역대 고문 선집


또한, 실용적인 계약이나 관혼상제의 문장을 배우는 경우도 있었다.[1]

2. 2. 2. 쇠퇴

청나라 말기 광서 신정에 의한 교육 개혁으로, 일본의 학교를 본뜬 '신식 학당'이 설치되고 과거제가 폐지되면서 사숙은 점차 쇠퇴하였다.[1]

2. 3. 일본

일본에서 사숙은 에도 시대에 한학(유학)을 중심으로 발전했으며, 막말에는 난학, 서양학 등 다양한 분야의 사숙이 등장했다.[4][5] 에도 시대의 사숙은 무가의 문무 장려 정책에 따라 무가 학문 교육의 장으로 발전했으며, 번교(藩校)로 확충·정비된 예도 적지 않다.

메이지 시대 초기에는 각 지역의 유명 사숙이 진학 희망자를 수용하는 역할을 담당했으며, 신설 중학교의 대부분은 막부 말기부터 유신기에 걸쳐 설립된 서양학숙, 한학숙을 기원으로 했다.[1]

19세기 말 사숙의 예는 다음과 같다.

19세기 말 사숙
설립자사숙 이름
모토오리 노리나가스즈야
히라타 아츠타네이부키노야
무라카미 히데토시달이당
하야시 쇼주로영희숙
나카에 조민불란서학사, 불학숙



다음은 에도 시대부터 메이지 시대 초기까지 여러 분야에서 활동했던 대표적인 사숙들이다.

'''한학'''



'''국학'''

'''난학·서양학(영학)'''

'''그 외'''

번주 및 기타 인물들의 사숙
번주사숙 (분야)
아리스가와노미야 타루히토 친왕제3번 중학교 (영·독·불, 당초에는 육영의숙)
카메이 코레미 (구 츠와노번주)배달의숙 (독학)
이타쿠라 카츠토 (구 안나카번주)공심의숙 (화·한·양)
야마우치 토요노리 (구 토사번주)해남사학 (불학·군인 양성)
아리마 요리시게 (구 쿠루메번주)보국학사, 아리마 학교 (화·한·양)
이시카와 소우칸 (구 시모다테번주)·엔도 타네시게 (구 미카미번주)권학의굉 (화·한·양)
난부 노부타미 (구 모리오카번주)공관의숙 (영학)
이타쿠라 카츠스케 (구 빗츄마츠야마번주)보화서원 (영수학)
오오타니 코우쇼 (히가시혼간지 법주)진종동파학숙 (황·한·석·영학)
오오코우치 마사카타 (구 오오타키번주)시바 조조지 내 즈이카인에서 개업
마츠다이라 요리토시 (구 타카마츠번주)옥모학교
혼조 무네타케 (구 미야즈번주)혼조학교


2. 3. 1. 에도 시대 한학숙

에도 시대 한학숙은 번사, 낭사, 승려, 신관 등이 임의로 개설한 민간 학원인 '''사숙'''과 번의 유신이 번주의 명령 또는 내의를 받아 개설한 '''가숙'''으로 나뉜다.[7] 교수 방법은 학원생이 한 방에 모여 교사의 강설을 듣고, 윤독, 회독을 통해 서로의 해석, 의견을 겨루는 방식이었다.[8][9] 교과서로는 경서, 사서, 시문집 등이 사용되었으며, 주자학파에서는 소학, 근사록도 숭상되었다.[6]

2. 3. 2. 난학숙·서양학숙의 등장

에도 시대 후기부터 막말에 걸쳐 통상을 요구하는 구미 제국과의 외교·국방적 견지에서 각국어의 학문 필요성에 직면하여 난학숙·서양학숙이 등장했다. 에도 시대의 서양학은 네덜란드 의학을 중심으로 하는 난학에서 시작되었으며, 난방 의학의 사숙이 일찍부터 설치되었다. (伊藤玄朴|이토 겐보쿠일본어의 쇼센도, 緒方洪庵|오가타 고안일본어의 텟키사이주쿠, 佐藤泰然|사토 타이젠일본어의 순천당 등)[10]). 일본의 근대 교육사상 그 질과 양에서 가장 영향력을 가진 사숙·게이오기주쿠도 이 계보에 속한다.

메이지 초기에는 도쿄를 중심으로 다양한 서양학숙이 창설되었지만, 학제 발포 전해인 1871년(메이지 4년) 6월 발행 『신문 잡지』 제5호에 게재된 "[https://dl.ndl.go.jp/pid/1920323/1/221 사숙 일람]"에는, 같은 해 3월 당시 도쿄의 유명 서양학 숙주 및 학생 수가 다음과 같이 소개되어 있다[11]

숙주학생 수학문
箕作秋坪|미쓰쿠리 슈헤이일본어106명영불학
山東一郎|산토 이치로일본어34명양한학
福地源一郎|후쿠치 겐이치로일본어78명불학
尺振八|샤쿠 신하치일본어111명불학
다나카 로쿠노스케23명영학
{{lang19명영불학
伊東昇之助|이토 쇼노스케일본어14명양학
中上川 Hikojirō|나카가미 다모쓰일본어14명불란학
{{lang13명양학
우에노 에이타로9명영학
{{lang8명영학
高橋琢也|다카하시 다쿠야일본어4명양학
村上英俊|무라카미 히데토시일본어13명불학
吉田賢輔|요시다 겐조일본어6명영학
후쿠자와 유키치323명영학
鳴門純吉|나루토 지로키치일본어141명영학


2. 3. 3. 학제와 법령상의 규정

일본에서 최초로 제정된 교육 법령인 학제(1872-1878년)에서는 사숙을 학교의 일종으로 간주하였으며, 교원 면허의 유무에 따라 사숙과 가숙으로 구분하였다. 1874년 문부성은 학교 명칭을 관립, 공립, 사립학교로 크게 나누었고, 사숙과 가숙은 사립학교의 범주에 포함시켰다.

19세기 말 사숙의 예는 다음과 같다.

19세기 말 사숙
설립자사숙 이름
모토오리 노리나가(1730-1801)스즈야
히라타 아츠타네(1776-1843)이부키노야
무라카미 히데토시(1811-1890)달이당
하야시 쇼주로(1825-1896)영희숙
나카에 조민(1847-1901)불란서학사, 불학숙


2. 3. 4. 중등 교육 기관의 모체

사숙은 메이지 시대 20년대 이후 중등 교육 기관 발달의 모체가 되었다. 메이지 시대 초기에는 각 지역의 유명 사숙이 진학 희망자를 수용하는 역할을 담당했으며, 신설 중학교의 대부분은 막부 말기부터 유신기에 걸쳐 설립된 서양학숙, 한학숙을 기원으로 했다.[1]

2. 3. 5. 대표적인 사숙

에도 시대부터 메이지 시대 초기까지 여러 분야에서 다양한 사숙들이 있었다. 대표적인 사숙들은 다음과 같다.

'''한학'''

'''국학'''

'''난학·서양학(영학)'''

'''그 외'''

번주사숙 (분야)
아리스가와노미야 타루히토 친왕제3번 중학교 (영·독·불, 당초에는 육영의숙)
카메이 코레미 (구 츠와노번주)배달의숙 (독학)
이타쿠라 카츠토 (구 안나카번주)공심의숙 (화·한·양)
야마우치 토요노리 (구 토사번주)해남사학 (불학·군인 양성)
아리마 요리시게 (구 쿠루메번주)보국학사, 아리마 학교 (화·한·양)
이시카와 소우칸 (구 시모다테번주)·엔도 타네시게 (구 미카미번주)권학의굉 (화·한·양)
난부 노부타미 (구 모리오카번주)공관의숙 (영학)
이타쿠라 카츠스케 (구 빗츄마츠야마번주)보화서원 (영수학)
오오타니 코우쇼 (히가시혼간지 법주)진종동파학숙 (황·한·석·영학)
오오코우치 마사카타 (구 오오타키번주)시바 조조지 내 즈이카인에서 개업
마츠다이라 요리토시 (구 타카마츠번주)옥모학교
혼조 무네타케 (구 미야즈번주)혼조학교


참조

[1] 웹사이트 私塾(中国教育史) https://www.zgbk.com[...] 中国大百科全書(オンライン第3版)
[2] 서적 佐々木清之丞 1943
[3] 서적 陝西省志・教育志(上冊) 陝西省地方志編纂委員会 2009
[4] 웹사이트 第一編・序章・一 幕末期の教育:私塾の発達 https://www.mext.go.[...] 学制百年史
[5] 서적 佐々木清之丞 1943
[6] 웹사이트 第一編・序章・一 幕末期の教育:武家の教育 https://www.mext.go.[...] 学制百年史
[7] 서적 石川謙 1934
[8] 서적 能勢栄 1893
[9] 서적 乙竹岩造 1917
[10] 웹사이트 第一編・序章・一 幕末期の教育:洋学および洋学校の発達 https://www.mext.go.[...] 学制百年史
[11] 서적 新聞集成明治編年史 林泉社 1936
[12] 서적 法令全書 明治7年
[13] 서적 法令全書 明治7年
[14] 서적 神辺靖光 1974
[15] 문서 日本教育史資料
[16] 웹사이트 第一編・第一章・第三節 四 中学校等の普及 https://www.mext.go.[...] 学制百年史
[17] 서적 慶應義塾七十五年史 1932
[18] 논문 皇族・華族経営の私塾 1960, 1974
[19] 웹사이트 探尋古代私塾 https://www.chinakon[...] 中国孔廟信息化平台工作委員会 2023-03-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