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자경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삼자경은 세 글자씩 짝을 이루는 독특한 형식을 가진 아동 교육용 교재로, 일반적으로 송나라 말기 또는 원나라 초기에 왕응린이 저술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삼자경은 다양한 판본이 존재하며, 중국뿐 아니라 일본과 조선, 베트남에서도 널리 사용되었다. 특히 베트남에서는 여러 변형본이 나타났으며, 베트남어 번역본과 주석이 달린 판본들이 출판되었다. 삼자경은 배움의 중요성, 유교적 가치, 중국 역사와 문화를 비롯한 다양한 내용을 담고 있으며, 쉬운 문장과 일상적인 표현을 사용하여 초보 학습자에게 적합한 교재로 평가받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국의 교육사 - 거인 (신분)
거인은 중국 과거 제도에서 향시에 합격한 사람에게 주어지던 칭호로, 한나라 시대에는 관직 후보 추천자를, 수나라 때에는 국가 시험 응시자를 지칭했으며, 명·청 시대에는 향시 합격자에게 수여되어 권한과 특권을 누렸으나 1904년 과거제 폐지와 함께 사라졌다. - 중국의 교육사 - 동문관
동문관은 1862년 청나라가 외국어 인재 양성을 위해 설립한 교육 기관으로, 다양한 외국어와 근대 학문을 교육하고 번역 및 출판 활동을 하다가 1900년 의화단 운동으로 폐쇄된 후 1902년 경사대학당에 흡수되었다. - 중국 고전 전적 - 춘추좌씨전
《춘추좌씨전》은 춘추 시대 노나라의 역사를 기록한 책으로, 춘추 시대의 사건들을 노나라의 관점에서 서술하며, 문학적 가치 또한 높이 평가받는다. - 중국 고전 전적 - 관자
《관자》는 관중의 이름을 따서 명명된 고대 중국의 문헌으로, 법가, 유교, 도가 사상이 혼합된 황로 사상을 표현하며 경제 및 금융에 대한 통찰을 담고 있다.
삼자경 | |
---|---|
개요 | |
![]() | |
유형 | 유교 경전 |
언어 | 한문 |
창작 시기 | 13세기 |
저자 | 왕응린 (일반적으로 알려짐) |
상세 정보 | |
다른 이름 | 삼자경 (중국어 간체) 三字經 (중국어 정체) San Zi Jing (병음) San Tzu Ching (웨이드-자일스) Santzyh Jing (Gwoyeu Romatzyh) Sānzì Jīng (IPAc-cmn) Sam¹ Tzŭ⁴ Ching¹ (통용병음) Saam1zi6 Ging1 (광동어) Sāamjih Gīng (예일 로마자) Sam-jī-keng (페-오-에-지) Sam-jī-king (대만어 로마자) se zy cin (상하이어) Tam tự kinh (베트남어) 三字經 (한자) 삼자경 (한국어) Samjagyeong (로마자 표기) 三字經 (한자) さんじきょう (히라가나) Sanjikyō (로마자 표기) 三字経 (간지) |
설명 | "인지초 성본선 (人之初 性本善)"으로 시작하는 운문 텍스트 아이들을 가르치기 위해 고안된 것 |
2. 역사
일반적으로 삼자경은 송나라 말기나 원나라 초기의 학자 왕응린(1223-1296)이 지었다고 알려져 있다. 왕응린은 아동 교육에 관심이 많았던 학자로 알려져 있다. 그 외에도 송나라 말기 구적자(1234-1324)가 지었다는 설, 명나라 말기 여정(黎貞)이 지었다는 설, 저자가 불분명하지만 후대에 왕응린의 이름이 붙었다는 설 등이 있다.
삼자경은 여러 판본이 존재하며, 원본은 356구 1068자로 구성되어 있다. 중복되는 글자를 제외하면 총 512개의 한자가 사용되었다. 후대에 역사적 사건 등이 추가되면서 내용이 늘어나기도 했다. 예를 들어, 민국 초기에 장빙린은 중화민국 건국까지의 역사를 담은 120구를 추가하여 476구 1428자의 중정본(重訂本)을 만들었다. 1796년에는 삼자경의 만주어 번역본이 나왔다.
가장 유명한 영어 번역본은 영국의 중국학자 허버트 자일스가 1900년에 번역하고 1910년에 개정한 판이다. 그 이전에도 1812년에 로버트 모리슨, 1856년에 솔로몬 시저 말란과 홍수전, 1864년에 스타니슬라스 쥘리앙이 각각 영어로 번역했지만, 자일스는 부정확한 번역이라고 평가했다.
삼자경은 일본과 조선에서도 널리 사용되었다. 그러나 조선에서는 천자문만큼 대표적인 교재로 자리 잡지는 못했다.
송나라 이후 중화민국의 건국까지의 왕조 변화 내용은 아래 표와 같다.
중국어 간체자 | 중국어 정체자 | 병음 | 번역 |
---|---|---|---|
辽与金 皆称帝 | 遼與金 皆稱帝 | liáoyǔjīn jiēchēngdì | 요와 금은 모두 황제를 칭했다. |
太祖兴 国大明 号洪武 都金陵 | 太祖興 國大明 號洪武 都金陵 | tàizǔxīng guódàmíng hàohóngwǔ dūjīnlíng | 태조가 일어나, 그의 나라는 대명이다. 그의 연호는 홍무이며, 수도는 금릉이다. |
迨成祖 迁燕京 十六世 至崇祯 | 迨成祖 遷燕京 十六世 至崇禎 | dàichéngzǔ qiānyànjīng shíliùshì zhìchóngzhēn | 성조가 통치하기 시작할 무렵, 그는 (수도를) 연경으로 옮겼다. 그의 왕조는 16대에 걸쳐 지속되었고, 숭정제까지 이어졌다. |
阉乱後 寇内讧 闯逆变 神器终 | 閹亂後 寇內訌 闖逆變 神器終 | yānluànhòu kòunèihòng chuǎngnìbiàn shénqìzhōng | 환관이 궁궐에서 소란을 일으키고, 반란군은 내부 갈등을 일으킨다. 대순왕이 반란을 일으키고, 신기가 종말을 맞이한다. |
清顺治 据神京 至十传 宣统逊 | 清順治 據神京 至十傳 宣統遜 | qīngshùnzhì jùshénjīng zhìshíchuán xuāntǒngxùn | 청의 순치제는, 황도를 장악했다. 10대에 걸쳐, 선통제는 퇴위했다. |
举总统 共和成 复汉土 民国兴 | 舉總統 共和成 復漢土 民國興 | jǔzǒngtǒng gònghéchéng fùhàntǔ mínguóxìng | 대통령이 선출되고, 중화민국이 건국되었다. 중국의 영토를 회복하고, 중화민국이 번성한다. |
廿二史 全在兹 载治乱 知兴衰¹ | 廿二史 全在茲 載治亂 知興衰¹ | niànèrshǐ quánzàizī zàizhìluàn zhīxīngshuāi | 이십이 사서는, 모두 위에 포함되어 있다. 그것들은 훌륭한 정치와 나쁜 정치의 사례를 담고 있으며, 번영과 쇠퇴의 원리를 배울 수 있다. |
¹ 이 구절은 "십칠사... 十七史..."라고 말하는 송나라 버전의 원래 구절을 대체한다.
2. 1. 베트남에서의 삼자경
《삼자경 三字經》은 1820~1830년경 베트남에 처음 소개된 이후[8] 유통과 수정 과정을 거치면서 다양한 변형본이 나타났다.[9] 이 변형본들은 사용된 글자, 새로운 행, 배열 등에서 차이를 보인다. 베트남에서 가장 흔한 《삼자경》 변형본은 중국 판본과 비교했을 때 30행이 다르다.[9]행 | 베트남어 | 중국어 |
---|---|---|
28 | 부지리 (不知理) | 부지의 (不知義) |
36 | 소당식 (所當識) | 소당집 (所當執) |
39 | 제어장 (悌於長) | 제어장 (弟於長) |
41 | 수효제 (首孝悌) | 수효제 (首孝弟) |
44 | 식모명 (識某名) | 식모문 (識某文) |
49 | 일태극 (一太極) | 없음 |
50 | 이음양 (二陰陽) | 없음 |
84 | 왈애락 (曰哀樂) | 왈애구 (曰哀懼) |
86 | 내칠정 (乃七情) | 칠정구 (七情具) |
89 | 여사죽 (與絲竹) | 사여죽 (絲與竹) |
96 | 지증현 (至曾玄) | 지원증 (至元曾) |
103 | 군즉경 (君則敬) | 장유서 (長幼序) |
104 | 신즉충 (臣則忠) | 우여붕 (友與朋) |
105 | 장유서 (長幼序) | 군즉경 (君則敬) |
106 | 붕우공 (朋友公) | 신즉충 (臣則忠) |
115 | 유효경 (由孝經) | 소학종 (小學終) |
126 | 내공급 (乃孔伋) | 자사필 (子思筆) |
139 | 호오경 (號五經) | 호육경 (號六經) |
149 | 아희공 (我姬公) | 아주공 (我周公) |
151 | 저육전 (著六典) | 저육관 (著六官) |
160 | 당영풍 (當詠諷) | 당풍영 (當諷詠) |
188 | 칭성치 (稱盛治) | 칭성세 (稱盛世) |
266 | 심이추 (心而推) | 심이유 (心而惟) |
292 | 유고학 (猶苦學) | 유고탁 (猶苦卓) |
303 | 대대정 (對大庭) | 대대정 (對大廷) |
305 | 피만성 (彼晚成) | 피기성 (彼既成) |
322 | 차총명 (且聰明) | 차총민 (且聰敏) |
324 | 당소성 (當少成) | 당자경 (當自警) |
334 | 역여시 (亦如是) | 역약시 (亦若是) |
350 | 수어후 (垂於後) | 유어후 (裕於後) |
또한 베트남어 버전에는 중국어 버전에 없는 두 개의 행이 추가되어 1부터 10까지의 숫자를 순서대로 나열했다.[10]
- 하나 (nhất thái cực 一太極)
- 둘 (nhị âm dương 二陰陽)
- 셋 (tam tài 三才, tam quang 三光, tam cương 三綱)
- 넷 (tứ thời 四時, tứ phương 四方)
- 다섯 (ngũ hành 五行, ngũ thường 五常)
- 여섯 (lục cốc 六穀, lục súc 六畜)
- 일곱 (thất tình 七情)
- 여덟 (bát âm 八音)
- 아홉 (cửu tộc 九族)
- 열 (thập nghĩa 十義)
《삼자경》은 베트남어 방언으로 번역되기도 했으며, 쯔놈 문자를 사용하여 원문에 주석을 단 책들도 출판되었다. 대표적인 예로는 《삼자해음 三字解音》, 《삼자경연음 三字經演音》,[11] 《삼자경해음연가 三字經解音演歌》,[12] 《삼자경석의 三字經釋義》,[13] 《삼자경 육팔 연음 三字經六八演音》[14] 등이 있다.



2. 2. 중국어 판본 간의 차이점
요와 금은 모두 황제를 칭했다. 태조가 일어나, 그의 나라는 대명이다. 그의 연호는 홍무이며, 수도는 금릉이다.[1] 성조가 통치하기 시작할 무렵, 그는 (수도를) 연경으로 옮겼다. 그의 왕조는 16대에 걸쳐 지속되었고, 숭정제까지 이어졌다.[2] 환관이 궁궐에서 소란을 일으키고, 반란군은 내부 갈등을 일으킨다. 대순왕이 반란을 일으키고, 신기가 종말을 맞이한다.[3] 청의 순치제는 황도를 장악했다. 10대에 걸쳐, 선통제는 퇴위했다.[4] 대통령이 선출되고, 중화민국이 건국되었다. 중국의 영토를 회복하고, 중화민국이 번성한다.[5] 이십이 사서는 모두 위에 포함되어 있다. 그것들은 훌륭한 정치와 나쁜 정치의 사례를 담고 있으며, 번영과 쇠퇴의 원리를 배울 수 있다.[6]위 구절들은 송나라 이후 중화민국의 건국까지의 왕조를 열거하며, 13세기 말에서 중화인민공화국의 건국(1949년) 이후 사이에 점진적으로 추가되었을 것이다.[7]
중국어 간체자 | 중국어 정체자 | 병음 | 번역 |
---|---|---|---|
辽与金 皆称帝 | 遼與金 皆稱帝 | liáoyǔjīn jiēchēngdì | 요와 금은 모두 황제를 칭했다. |
太祖兴 国大明 号洪武 都金陵 | 太祖興 國大明 號洪武 都金陵 | tàizǔxīng guódàmíng hàohóngwǔ dūjīnlíng | 태조가 일어나, 그의 나라는 대명이다. 그의 연호는 홍무이며, 수도는 금릉이다. |
迨成祖 迁燕京 十六世 至崇祯 | 迨成祖 遷燕京 十六世 至崇禎 | dàichéngzǔ qiānyànjīng shíliùshì zhìchóngzhēn | 성조가 통치하기 시작할 무렵, 그는 (수도를) 연경으로 옮겼다. 그의 왕조는 16대에 걸쳐 지속되었고, 숭정제까지 이어졌다. |
阉乱後 寇内讧 闯逆变 神器终 | 閹亂後 寇內訌 闖逆變 神器終 | yānluànhòu kòunèihòng chuǎngnìbiàn shénqìzhōng | 환관이 궁궐에서 소란을 일으키고, 반란군은 내부 갈등을 일으킨다. 대순왕이 반란을 일으키고, 신기가 종말을 맞이한다. |
清顺治 据神京 至十传 宣统逊 | 清順治 據神京 至十傳 宣統遜 | qīngshùnzhì jùshénjīng zhìshíchuán xuāntǒngxùn | 청의 순치제는, 황도를 장악했다. 10대에 걸쳐, 선통제는 퇴위했다. |
举总统 共和成 复汉土 民国兴 | 舉總統 共和成 復漢土 民國興 | jǔzǒngtǒng gònghéchéng fùhàntǔ mínguóxìng | 대통령이 선출되고, 중화민국이 건국되었다. 중국의 영토를 회복하고, 중화민국이 번성한다. |
廿二史 全在兹 载治乱 知兴衰¹ | 廿二史 全在茲 載治亂 知興衰¹ | niànèrshǐ quánzàizī zàizhìluàn zhīxīngshuāi | 이십이 사서는, 모두 위에 포함되어 있다. 그것들은 훌륭한 정치와 나쁜 정치의 사례를 담고 있으며, 번영과 쇠퇴의 원리를 배울 수 있다. |
《삼자경》은 세 글자가 한 구를 이루는 독특한 형식을 가지고 있다. 이전 교재인 《천자문》, 《백가성》 등이 네 글자로 한 구를 이루는 것과 비교된다. 이러한 형식은 한 글자를 줄여 아이들이 읽고 외우기 쉽게 만들었으며, 이후 3자 1구 형식의 다른 교재들이 등장하는 계기가 되었다.[18]
삼자경은 오랫동안 동아시아에서 아동 교육 교재로 널리 사용되었으며, 유교 문화와 한자 학습에 큰 영향을 미쳤다. 삼자경은 암기와 학습에 용이한 형식을 가지고 있어, 후대에 다양한 계몽서 제작에 영향을 주었는데, 일본의 『본조삼자경』이 그 예이다.
[1]
웹사이트
San Zi Jing
https://www.loc.gov/[...]
2010-08-15
¹ 이 구절은 "십칠사... 十七史..."라고 말하는 송나라 버전의 원래 구절을 대체한다.[8]
3. 특징
대체로 네 구절이 한 문장(또는 '하나의 뜻')을 이루며, 두 번째와 네 번째 구절은 압운(押韻)을 넣어 암송하기 쉽게 했다. 원본 기준 87개 문장 중 84개가 이러한 형식을 따르며, 2구, 8구, 10구로 된 문장도 하나씩 있다.
내용 면에서는 배움의 필요성, 유교의 도덕과 윤리, 한문 고전 해설, 중국의 역사·민속·지리, 자연과 우주에 대한 지식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룬다. 《삼자경》은 쉬운 글자와 일상적인 문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다루는 내용과 배경지식 면에서 글을 처음 배우는 사람에게 더 쉬운 교재로 평가된다. (《천자문》과 비교)
《삼자경》의 첫 네 구절은 맹자의 성선설(性善說)을 담고 있으며, 오늘날까지도 중화권 어린이들이 배우는 내용이다.
"人·星", "曽·倫", "鼎·晋", "敏·警", "行·民"이 운을 맞추는 것으로 보아, 저자의 음운 체계에서는 과 이 합류했던 것으로 보인다.
삼자경은 암기에 편리하여, 삼자경의 체제를 따른 계몽서가 많이 만들어졌다. 일본에서도 "우리 일본, 한칭 화"로 시작하는 『본조삼자경』이라는 서적이 만들어졌다.
4. 현대적 의의
2021년 아카데미상에서 최우수 감독상을 받은 클로이 자오가 삼자경의 첫 두 줄을 낭독하여 화제가 되기도 하였다.[15][16]
참조
[2]
서적
The Sino-Japanese War and Youth Literature: Friends and Foes on the Battlefield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6-01-22
[3]
서적
Intercultural Communication: A Discourse Approach
John Wiley & Sons
2012-01-03
[4]
서적
Mourning in Late Imperial China: Filial Piety and the State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6
[5]
서적
Popular Culture in Late Imperial Chin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87
[6]
웹사이트
Elementary Chinese ... San tzu ching
https://archive.org/[...]
Shanghai, Kelly & Walsh
[7]
간행물
From Children's Instructional Textbook to Missionary Tool: the Publication History of the Christian Three-Character Classic from 1823 to 1880
http://dx.doi.org/10[...]
BRILL
2023-04-23
[8]
웹사이트
Giáo dục Hán văn bậc tiểu học tại Việt Nam thời xưa qua trường hợp sách Tam tự kinh
https://www.academia[...]
2015
[9]
웹사이트
Giáo dục Hán văn bậc tiểu học tại Việt Nam thời xưa qua trường hợp sách Tam tự kinh
https://www.academia[...]
2015
[10]
웹사이트
Giáo dục Hán văn bậc tiểu học tại Việt Nam thời xưa qua trường hợp sách Tam tự kinh
https://www.academia[...]
2015
[11]
웹사이트
三字經演音 Tam tự kinh diễn âm
https://lib.nomfound[...]
n.d.
[12]
웹사이트
三字經解音演歌 {{!}} Tam tự kinh giải âm diễn ca
https://lib.nomfound[...]
1888
[13]
웹사이트
Tam-tự- kinh thích-nghĩa. 三字經釋義
https://gallica.bnf.[...]
1873
[14]
웹사이트
三字經六八演音 Tam tự kinh lục bát diễn âm
https://lib.nomfound[...]
1905
[15]
웹사이트
Chloé Zhao accepts Best Director Academy Award for 'Nomadland'
https://www.youtube.[...]
2021-04-27
[16]
웹사이트
This year's Oscars could have been a moment of pride for China. Then politics got in the way
https://edition.cnn.[...]
2021-04-27
[17]
서적
本朝三字経余師略解
https://dl.ndl.go.jp[...]
静観堂・玉潤堂
[18]
서적
傳統語文教育教材論
上海教育出版社
199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