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선덕여왕 (드라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선덕여왕》은 7세기 신라를 배경으로, 신라 최초의 여왕인 선덕여왕의 일대기를 다룬 2009년 MBC 드라마이다. 드라마는 삼국 시대의 권력 다툼과 암투를 배경으로, 선덕여왕과 미실의 대립을 중심으로 전개된다. 역사적 사실을 기반으로 하되, 극적 전개를 위해 많은 부분을 각색하여 긍정적 평가와 함께 역사 왜곡 논란을 낳았다. 최고 시청률 44.9%를 기록하며 높은 인기를 얻었으며, 2009년 MBC 연기대상에서 대상(고현정)을 비롯한 다수의 상을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선덕여왕을 소재로 한 작품 - 선덕여왕 (뮤지컬)
    뮤지컬 《선덕여왕》은 2009년 MBC 드라마를 원작으로 하여 제작되었으며, 신라 최초의 여성 임금인 선덕여왕의 일대기를 김유신, 비담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삼국통일 과정을 웅장하고 서정적인 음악과 함께 다룬다.
  • 김유신을 소재로 한 작품 - 평양성 (영화)
    2011년 개봉한 이준익 감독의 코믹 시대극 영화 《평양성》은 668년 고구려-당 전쟁을 배경으로 신라와 당나라 연합군의 평양성 공격을 중심으로 김유신, 연남건, 연남생 등의 이야기를 다루었으며, 해외 영화제 상영 및 긍정적 평가, 정진영의 황금촬영상 수상 등의 성과가 있었다.
  • 김유신을 소재로 한 작품 - 대왕의 꿈
    《대왕의 꿈》은 신라의 태종 무열왕 김춘추를 중심으로 삼국 통일 과정을 그린 드라마로, 김춘추, 김유신, 선덕여왕 등 주요 인물들의 활약과 신라 내부의 갈등, 삼국 간의 전쟁, 나당전쟁 등을 다루고 있다.
  • 신라 역사 드라마 - 대왕의 꿈
    《대왕의 꿈》은 신라의 태종 무열왕 김춘추를 중심으로 삼국 통일 과정을 그린 드라마로, 김춘추, 김유신, 선덕여왕 등 주요 인물들의 활약과 신라 내부의 갈등, 삼국 간의 전쟁, 나당전쟁 등을 다루고 있다.
  • 신라 역사 드라마 - 화랑 (드라마)
    《화랑》은 1500년 전 신라의 서라벌을 배경으로 꽃미남 무사 집단인 화랑의 열정과 사랑, 성장을 그린 청춘 사극 드라마로, 박서준, 고아라, 박형식 등이 출연했으며 삼맥종과 무명이 화랑에 입대하며 벌어지는 이야기를 담고 있다.
선덕여왕 (드라마) - [TV프로그램]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원제선덕여왕
한자 표기善德女王
로마자 표기Seondeok Yeowang
다른 이름위대한 여왕 선덕
장르사극
픽션
로맨스
액션
방송 채널MBC
방송 기간2009년 5월 25일 ~ 2009년 12월 22일
방송 횟수62부작
제작진
기획이창섭 (MBC 드라마본부)
연출김근홍
박홍균
각본김영현
박상연
음악임하영
제작 프로듀서박명국
김태원
김호영
유현종
제작사타임박스 프로덕션
출연
주연이요원
고현정
박예진
엄태웅
김남길
조연정웅인
독고영재
전노민
김정현
조민기
이승효
유승호
기타
음성2채널 스테레오 사운드 (아날로그)
2채널 돌비 디지털 (디지털)
자막청각 장애인을 위한 자막 방송
화질HD 제작 · 방송
홈페이지선덕여왕 홈페이지

2. 역사적 배경

드라마 《선덕여왕》은 7세기 신라를 배경으로, 고구려, 백제와 함께 삼국을 이루었던 시기를 다룬다.[56][57] 신라는 중앙 집권 국가 체제를 강화하고, 6세기 진흥왕 시기에 한강 유역을 차지하며 전성기를 맞이했다.[56][57] 진흥왕 사후, 진지왕진평왕 대에는 귀족 세력 간의 갈등이 심화되었고, 드라마는 이 시기를 배경으로 권력을 둘러싼 암투와 갈등을 보여준다.[56][57] 특히, 진평왕 대에 왕권 강화를 위한 노력이 이어졌지만, 미실을 중심으로 한 귀족 세력의 저항으로 어려움을 겪는 모습이 드라마에서 주요 갈등 요소로 작용한다. 진평왕의 재위 기간은 실제 역사에서는 53년(579년 ~ 632년)이지만 드라마에서는 30년 정도로 축소되었는데, 이는 이야기 전개상 주요 인물들의 연령 설정을 위한 의도적인 변경이었다.[56][57] 또한 역사 기록 속 진평왕은 비교적 강력한 군주였던 반면, 드라마에서는 유약한 인물로 그려진다.

선덕여왕은 신라 최초의 여왕으로, 즉위 후에도 귀족 세력의 견제와 백제, 고구려의 침략 등 대내외적 위협에 직면해야 했다.[56][57] 드라마에서는 미실이 스스로 왕위에 오르기 위해 반란을 일으킨 것으로 묘사되지만, 실제 역사 기록에는 칠숙, 석품이 주도하여 선덕여왕 즉위 직전에 난을 일으켰다는 점만 기록되어 있다.[56][57] 비담의 난 역시 드라마에서는 미생, 하종, 보종미실파 인물들과 귀족들이 대거 가담한 것으로 묘사되지만, 《삼국사기》에는 비담과 염종이 난을 주도했다는 언급만 나타난다.[56][57] 또한, 《삼국사기》에는 비담의 난 도중 선덕여왕이 사망한 것으로 기록되어 있지만, 드라마에서는 난이 끝난 뒤 승하하는 것으로 묘사된다.[56][57]

김유신의 출생 연도는 실제 역사에서는 595년이지만, 드라마에서는 580년경으로 앞당겨졌다.[56][57] 이는 천명공주, 선덕여왕과의 관계 설정을 위한 의도적인 변경이었다. 백제가 신라 대야성을 함락시킨 사건(642년) 당시 김춘추의 나이는 실제로는 40세였지만, 드라마에서는 16세의 유승호가 김춘추 역을 맡아 역사적 사실과 차이를 보인다.

2. 1. 신라의 삼국통일

드라마 《선덕여왕》은 7세기 신라를 배경으로, 고구려, 백제와 함께 삼국을 이루었던 시기를 다룬다.[56][57] 신라는 중앙 집권 국가 체제를 강화하고, 6세기 진흥왕 시기에 한강 유역을 차지하며 전성기를 맞이했다.[56][57] 진흥왕 사후, 진지왕진평왕 대에는 귀족 세력 간의 갈등이 심화되었고, 드라마는 이 시기를 배경으로 권력을 둘러싼 암투와 갈등을 보여준다.[56][57] 특히, 진평왕 대에 왕권 강화를 위한 노력이 이어졌지만, 미실을 중심으로 한 귀족 세력의 저항으로 어려움을 겪는 모습이 드라마에서 주요 갈등 요소로 작용한다. 진평왕의 재위 기간은 실제 역사에서는 53년(579년 ~ 632년)이지만 드라마에서는 30년 정도로 축소되었는데, 이는 이야기 전개상 주요 인물들의 연령 설정을 위한 의도적인 변경이었다.[56][57] 또한 역사 기록 속 진평왕은 비교적 강력한 군주였던 반면, 드라마에서는 유약한 인물로 그려진다.

선덕여왕은 신라 최초의 여왕으로, 즉위 후에도 귀족 세력의 견제와 백제, 고구려의 침략 등 대내외적 위협에 직면해야 했다.[56][57] 드라마에서는 미실이 스스로 왕위에 오르기 위해 반란을 일으킨 것으로 묘사되지만, 실제 역사 기록에는 칠숙, 석품이 주도하여 선덕여왕 즉위 직전에 난을 일으켰다는 점만 기록되어 있다.[56][57] 비담의 난 역시 드라마에서는 미생, 하종, 보종미실파 인물들과 귀족들이 대거 가담한 것으로 묘사되지만, 《삼국사기》에는 비담과 염종이 난을 주도했다는 언급만 나타난다.[56][57] 또한, 《삼국사기》에는 비담의 난 도중 선덕여왕이 사망한 것으로 기록되어 있지만, 드라마에서는 난이 끝난 뒤 승하하는 것으로 묘사된다.[56][57]

김유신의 출생 연도는 실제 역사에서는 595년이지만, 드라마에서는 580년경으로 앞당겨졌다.[56][57] 이는 천명공주, 선덕여왕과의 관계 설정을 위한 의도적인 변경이었다. 백제가 신라 대야성을 함락시킨 사건(642년) 당시 김춘추의 나이는 실제로는 40세였지만, 드라마에서는 16세의 유승호가 김춘추 역을 맡아 역사적 사실과 차이를 보인다.

2. 2. 주요 역사적 인물

드라마 《선덕여왕》은 《삼국유사》나 《삼국사기》 등의 사료와 차이가 있는 팩션이다.[56][57] 주요 등장인물로는 선덕여왕, 김유신, 김춘추, 비담, 미실 등이 있다.

  • 선덕여왕: 신라 최초의 여왕으로, 드라마에서는 덕만공주로 등장한다. 진평왕의 둘째 딸이며 쌍둥이로 태어나 낭도 생활을 하는 등 어린 시절부터 권력 투쟁의 중심에 놓인다.[56] 지혜와 용기를 바탕으로 어려움을 극복하고 왕위에 오른다.
  • 김유신: 신라의 명장으로, 드라마에서는 덕만공주를 도와 신라의 삼국통일에 기여하는 충신으로 그려진다. 역사 기록에는 595년생으로 선덕여왕보다 15세 정도 어리지만, 드라마에서는 비슷한 나이대로 설정되었다.[56]
  • 김춘추: 훗날 태종무열왕으로, 선덕여왕의 조카이자 정치적 조력자로 등장한다. 천명공주의 아들로 602년에 태어났으며, 드라마에서는 대야성 전투 당시 40세였던 역사적 사실과 달리 16세 소년으로 등장한다.[56]
  • 비담: 선덕여왕 말년에 상대등을 역임하며 반란을 일으킨 인물이다. 드라마에서는 미실의 아들로 설정되어 덕만공주와 비극적인 관계를 맺는다. 역사서에는 염종과 함께 난을 주도했다고 기록되어 있다.[56]
  • 미실: 진흥왕, 진지왕, 진평왕 대에 걸쳐 권력을 행사한 인물이다. 드라마에서는 선덕여왕의 최대 정적으로 설정되어 극의 긴장감을 높인다. 드라마에서는 스스로 왕위에 오르기 위해 반란을 일으키는 것으로 묘사되지만, 이는 작가의 상상력으로 창조된 픽션이다.[56]

3. 줄거리

드라마는 진흥왕 통치 말년부터 선덕여왕 통치 말년까지의 시기를 배경으로 한다. 덕만은 진평왕과 마야부인(摩耶夫人) 사이에서 태어난 쌍둥이 딸 중 한 명이었으나, "어출쌍생이면 성골남진(御出雙生이면 聖骨男盡)"이라는 예언 때문에 진평왕은 자신의 딸을 궁궐 밖으로 빼돌려야 했다. 이는 왕비가 되려는 야심을 품고 있던 미실로부터 마야부인을 보호하기 위한 조치였다.

덕만은 어설프지만 충성스러운 시녀 서화의 손에 맡겨져 친딸처럼 키워졌다. 우여곡절 끝에 자신의 진짜 신분을 알게 된 덕만은 미실로부터 왕위를 지키기 위해 다시 가족에게 버려진다. 단, 덕만이 탈출하도록 돕다가 목숨을 잃은 쌍둥이 언니 천명공주는 예외였다.

이후 덕만은 유신과, 한때 사랑했으나 오해로 인해 반란을 일으킨 비담의 도움을 받아 미실을 몰락시키고 신라 최초의 여왕이 되기로 결심한다. 그리고 마침내 잃어버린 것들을 되찾고 언니의 복수를 완수하고자 한다.

3. 1. 덕만공주의 탄생과 시련

3. 2. 덕만공주의 성장과 미실과의 대립

3. 3. 선덕여왕 즉위와 삼국통일의 꿈

4. 등장인물

4. 1. 주요 인물

이요원덕만공주 역을 맡아 훗날 신라 27대 임금 선덕여왕이 되는 인물을 연기했다.[45] 남지현이 어린 시절 덕만을 연기했다.[45] 덕만은 천명공주의 쌍둥이 동생으로 태어나 왕위를 노리는 미실의 암살 시도를 피해 충성스러운 시녀 소화와 함께 왕국을 탈출한다. 여왕이 된 후에는 깊은 외로움과 절망을 느끼지만, 진정한 왕으로 다시 태어나기 위해 자신의 감정을 숨긴다.[45]

고현정선덕여왕의 숙적 미실 역을 맡았다.[47] 유이가 어린 미실을 연기했다. 미실은 여왕이 되기 위해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는 왕족 첩으로, 진흥왕, 진지왕, 진평왕 등 세 명의 신라 왕의 첩이었다.[47] 미실은 뛰어난 정치 감각과 미모를 활용해 신라를 좌지우지하는 요부로 묘사된다.[47][48][49]

엄태웅김유신 역을 맡아, 신라의 통일 대업을 위해 덕만공주와 협력하는 인물을 연기했다.[46] 이현우가 어린 김유신을 연기했다. 김유신가야 출신으로 훗날 제15대 풍월주가 된다. 김유신덕만을 사랑하지만, 삼국 통일의 꿈을 위해 동지가 된다.[46]

박예진천명공주 역을 맡았다. 김유정신세경이 각각 어린 시절 천명공주를 연기했다. 천명공주는 덕만공주의 쌍둥이 언니로, 진평왕의 첫째 딸이다.[51] 천명공주미실을 경계하며 자신의 감정을 숨기지만, 권력의 정세를 파악해 역전의 기회를 노린다.[46]

김남길미실진지왕 사이에서 태어난 아들 비담 역을 맡았다. 박지빈이 어린 비담을 연기했다. 비담문노의 제자로, 자유분방하고 무술에 뛰어난 청년으로 성장한다.[46] 비담덕만을 돕고 우정을 쌓지만, 점차 사랑하게 되고, 자신의 출생의 비밀을 알고 고뇌한다.[46]

유승호는 김춘추 역을 맡았다. 김춘추는 김용춘과 천명공주의 아들이자 덕만의 조카이며, 훗날 신라 제29대 왕 무열왕이 된다. 김춘추는 덕만, 김유신과 함께 삼국 통일의 초석을 쌓는다.[46]

조민기진평왕 역을 맡았다. 진평왕신라 제26대 왕으로, 덕만천명공주의 아버지이다. 진평왕은 젊은 나이에 왕이 되었지만, 실권은 미실에게 있었다.

정성모김유신의 아버지 김서현 역을 맡았다. 김서현진평왕의 의동생이자 사촌이며, 진골이다.[52]

신구는 영객부령(현재의 외무대신) 을제 역을 맡았다. 을제는 왕 측의 필두 상대등이지만, 왕실을 보호하기 위해 덕만을 죽이려 한다.

정웅인미실의 동생 미생 역을 맡았다. 미생은 제10대 풍월주이자 예부령(예부의 장관)이다.

전노민은 제9대 풍월주이자 병부령(병부의 수령) 설원 역을 맡았다. 설원미실의 정부이자 보종의 아버지이다.[53]

독고영재는 제6대 풍월주이자 상대등 세종 역을 맡았다. 세종미실의 남편이자 하종의 아버지이다.

윤유선진평왕정실 마야 왕후 역을 맡았다. 마야 왕후는 덕만천명공주의 어머니이자 김춘추의 할머니이다.

임예진김유신의 어머니 만명 역을 맡았다. 만명은 진평왕의 이복 여동생이자 덕만천명공주의 고모이다.

서영희는 진평왕의 신뢰를 받는 시녀이자 덕만의 양어머니 소화 역을 맡았다.

안길강미실의 호위 무사 칠숙 역을 맡았다. 칠숙미실의 명에 의해 끈질기게 덕만소화를 쫓는다.

이문식은 용화향도의 낭도 죽방 역을 맡았다. 죽방은 전직 사기꾼으로, 머리가 좋다.

류담은 용화향도의 낭도 고도 역을 맡았다. 고도는 죽방의 동생으로, 몸집이 크고 힘이 세다.

도이성은 제13대 풍월주 김용춘 역을 맡았다. 김용춘은 진평왕의 종제이자 몇 안 되는 왕 측의 상대등이다.

홍경인은 청룡익도의 수장 석품 역을 맡았다.

김정현은 제11대 풍월주 하종 역을 맡았다. 하종미실세종의 아들이다.

고윤후는 제14대 풍월주 호재 역을 맡았다.

백도빈은 일월성도의 수장 보종 역을 맡았다. 보종미실설원의 아들이다.

정호근은 복야회의 부수령 설지 역을 맡았다.

정호빈은 국선이자 제8대 풍월주 문노 역을 맡았다. 문노비담의 양아버지이다.

4. 2. 왕궁 인물

유승호천명공주와 김용수의 아들인 김춘추 역을 맡았다.[7] 정윤석은 어린 김춘추를 연기했다. 김춘추는 훗날 태종무열왕이 되며, 34회부터 62회까지 등장한다.[7] 조민기진평왕(김백정) 역을 맡았으며, 어린 시절은 강산과 백종민이 연기했다. 진평왕은 진흥왕의 장남인 동륜태자의 아들이고, 어머니는 만호부인이다. 윤유선은 진평왕의 정비인 마야부인 역을 맡았으며, 어린 시절은 박수진이 연기했다.

인교진진지왕의 차남이자 제13대 풍월주인 김용춘 역을 맡았다. 신구을제 역을, 정호빈은 국선이자 제8대 풍월주문노 역을 맡았다. 김기현문노의 장인인 거칠부 역을 맡았다. 홍충민진평왕의 시녀이자 덕만의 양모인 소화 역을 맡았다.

이순재진흥왕(김삼맥종) 역을, 임호진흥왕의 차남이자 동륜태자의 동생, 진평왕의 숙부, 태종무열왕의 조부인 진지왕 역을 맡았다. 박정철진지왕의 장남인 김용수 역을 맡았다. 정혜선진평왕의 생모이자 숙흘종과 혼인하여 만명부인을 낳은 김유신의 외조모인 만호부인 역을 맡았다. 박영지는 필탄의 아버지이자 상주정 당주인 주진공 역을 맡았다.

이승효는 덕만의 충실한 지지자이자 보디가드인 김알천을 연기했다. 호효훈은 어린 김알천을 연기했다. 김알천은 덕만의 충실한 지지자이자 전쟁 동지이며 유신의 절친한 친구이다.[7]

정호빈이 연기한 국선 문노는 화랑의 제8대 풍월주이자 국선이다. 미실, 설원, 사다함과 함께 진흥왕 시대에 진흥왕이 가장 신뢰했던 인물이다. 그는 어린 공주 덕만을 궁궐에서 구출하여 왕실을 보호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7]

조민기가 연기한 진평왕은 덕만과 천명의 아버지로, 나약한 왕이었다. 그는 미실이 진지왕을 폐위시킨 후 왕위에 올랐다.[7] 윤유선이 연기한 마야부인은 진평왕의 아내이자 덕만과 천명의 어머니로, 남편에게 지극정성이다.[7] 서영희가 연기한 소화는 진평왕과 마야의 시녀이자 덕만의 양어머니이다. 그녀는 덕만을 사막으로 데려가 키웠으며, 덕만을 구하기 위해 두 번이나 죽음을 맞이한다.[7]

임예진이 연기한 만명부인은 진평왕의 누나이자 김유신의 어머니, 김서현의 아내이다. 박정철이 연기한 김용수는 진지왕의 장남이자 천명공주의 남편이다. 인교진이 연기한 김용춘은 진지왕의 차남이자 천명공주의 동맹 및 측근이다. 신구가 연기한 을제는 정부의 고위 대신이자 진평왕의 친구이다.

정혜선은 만호부인 역을 맡았다. 만호부인은 진평왕과 만명의 어머니이자, 진흥대제의 이복 여동생이다.

4. 3. [[미실궁주|미실궁]] 인물

정웅인미실의 동생이자 제10대 풍월주미생 역을 맡았다.[17] 독고영재미실의 남편이자 제6대 풍월주인 세종 역을 연기했다. 전노민미실의 정부이자 제7대 풍월주설원 역을 맡았다. 김정현미실과 세종 사이의 아들이자 제11대 풍월주하종 역을 연기했다. 백도빈은 미실과 설원의 아들이자 제16대 풍월주보종 역을 맡았으며, 보종의 어린 시절은 곽정욱이 연기했다. 박은빈보종의 딸이자 태종무열왕 김춘추의 첫째 부인인 보량궁주 역을 맡았다. 실제 역사에서는 보라궁주이다.

안길강은 미실의 호위무사 칠숙 역을, 이정훈은 예길찬 역을 맡았다. 송옥숙은 상천관 서리 역을, 조명진은 설매 역을, 오영수는 가야 출신의 격물사 월천대사 역을 연기했다. 강성필은 산탁 역을, 김동수는 협성 역을, 엄효섭염종 역을 맡았다.

4. 4. [[김유신]]측 인물

정성모김유신의 아버지 김서현 역을, 임예진김유신의 어머니 만명부인 역을 맡았다. 만명부인진평왕의 누이로, 젊은 시절 김서현과 도망쳤다가 왕태후에게 용서받은 후 공주 지위를 회복했다.

이문식은 죽방 역, 류담은 고도 역, 문지윤은 시열 역(신태훈이 어린 시절 역)을 맡았다. 전영빈은 곡사흔 역(정형민이 어린 시절 역), 박영서는 대풍 역(이석민이 어린 시절 역), 서강은 양길 역, 큐리김유신의 부인이자 하종의 딸인 영모 역을 맡았다.

유승호는 훗날 태종 무열왕이 되는 김춘추 역을 맡았다.[7] 어린 김춘추 역은 정윤석이 연기했다.[7] 김춘추는 삼국 통일을 이끌 군주로, 드라마는 미실, 덕만을 거쳐 춘추의 시대로 끝을 맺는다.[7]

이승효는 덕만의 충실한 지지자이자 보디가드인 김알천 역을 맡았으며, 어린 시절 김알천은 호효훈이 연기했다.[7] 김알천은 김유신의 전쟁 동지이자 절친한 친구로, 덕만의 마지막 날까지 함께한다.[7]

정호빈은 화랑의 제8대 풍월주이자 국선인 문노 역을 맡았다.[7] 문노는 진흥왕 시대에 진흥왕이 가장 신뢰했던 인물 중 하나로, 어린 덕만을 궁궐에서 구출하여 왕실을 보호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7]

4. 5. 서라벌 10화랑

신라의 엘리트 화랑으로, 신라의 수도인 서라벌에서 유래하여 "서라벌 10화랑"이라고 불린다. 이들은 드라마 선덕여왕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인물들이다.

  • '''알천'''(이승효 / 소년기: 호효훈) : 비천지도의 화랑으로 도복은 노란색이다. 훗날 시위부령(侍衛府令, 시위부의 수장)이 된다. 처음에는 김유신과 용화향도를 얕잡아 보았으나, 백제와의 전투에서 덕만과 우정을 쌓고 굳건한 유대와 충성심으로 맺어진다. 이야기 중반에는 덕만의 근위 화랑으로 임명되어 공주 곁을 지킨다. 이승효는 덕만의 충실한 지지자이자 보디가드로 가장 잘 알려진 김알천역을 연기했다.[7] 그는 유신의 전쟁 동지이자 절친한 친구이며, 유신과 함께 덕만의 마지막 날까지 함께한다.[7]
  • '''임종'''(강지후 / 소년기: 김석) : 호국선도의 화랑으로 도복은 녹색이다. 왕실 소속의 화랑으로 임무에 충실하다. 강지후는 김용춘에게 충성하는 화랑의 지휘관 임종 역을 연기했다.
  • '''덕충'''(서동원 / 소년기: 이도현) : 이화정도의 화랑으로 도복은 팥색이다. 보종과 친하다.
  • '''박의'''(장희웅 / 소년기: 서상원) : 동백매도의 화랑으로 도복은 갈색이다. 보종과 친하다.
  • '''필탄'''(이상현 / 소년기: 김태진) : 현무신도의 화랑으로 도복은 감청색이다. 상주의 당주인 추진의 아들이자 하종의 부하이다.
  • '''선열'''(최성조 / 소년기: 오은석) : 운상인도의 화랑으로 도복은 연분홍색이다. 보종과 친하다.
  • '''왕윤'''(김동희 / 소년기: 최우성) : 천시원도의 화랑으로 도복은 자색이다. 하종의 부하이다.
  • '''대남보'''(류상욱 / 소년기: 김상빈) : 백호비도의 화랑으로 도복은 하늘색이며, 미생의 아들이다. 미생의 말에 따르면, 100명 이상인 미생의 자녀들 중 가장 우수하다. 류상욱은 미생의 아들들 중 가장 두드러진 인물, 화랑 지휘관 대남보 역을 연기했다.


고윤후는 호재 역을 연기했는데, 실제 호림공으로 제14대 풍월주였다. 홍경인석품 역(유년 시절 : 노영학)을 연기했는데, 청룡익도였다.

4. 6. 복야회

월야(주상욱)는 몰락한 대가야의 왕족 출신으로, 복야회의 수장이다. 설지(정호근)는 철제 기술에 특출난 능력을 가진 인물이다. 월야는 가야의 마지막 왕자이자 복야의 지도자였다. 그는 김서현에게 입양되었고, 용화향도의 지도자로서 김유신을 대신했다. 김유신은 가야 난민들이 김씨 가문의 사유지에 머물도록 허용한 후 월야의 충성심을 얻었다. 설지는 가야 지휘관으로 월야에게 충성을 다했다.

5. 제작진

김영현박상연이 공동으로 극본을 집필했으며,[41] 박홍균과 김근홍이 연출을 담당했다.[41] 김영현은 《대장금》, 《서동요》, 《H.I.T. - 여성 특별 수사대 -》 등을 집필한 작가이며, 박상연은 영화 《공동경비구역 JSA》의 원작 소설 《DMZ》의 저자이기도 하다.[42] 《H.I.T. - 여성 특별 수사대 -》에서는 김영현과 함께 각본 집필을 담당했다.

제작 지원에는 경상북도, 경주시, 한국수력원자력 등이 참여했다. 미술 제작은 MBC미술센터가 담당하였고, 기술감독은 신현귀, 카메라감독은 안진영, 김창배, 임대혁, 조명감독은 오승만, 음향감독은 이순조, 편집감독은 임경래, 특수영상감독은 최진형, 음악감독은 엄기엽이다.

6. 시청률

드라마 《선덕여왕》은 방영 기간 동안 높은 시청률을 기록하며 큰 인기를 얻었다. TNmS와 AGB닐슨 미디어리서치 조사 결과, 전국 평균 시청률은 각각 35.1%, 33.6%를 기록했다.[18][19]

2009년
회차방송일TNmS 시청률[18]AGB닐슨 시청률[19]
대한민국(전국)수도권대한민국(전국)수도권
1회2009년 5월 25일16.0%17.1%15.3%16.8%
2회2009년 5월 26일16.6%17.8%15.5%17.2%
3회2009년 6월 1일21.3%23.3%18.2%20.3%
4회2009년 6월 2일22.3%23.8%20.3%21.7%
5회2009년 6월 8일21.6%23.7%20.6%23.8%
6회2009년 6월 9일25.2%27.1%23.3%25.2%
7회2009년 6월 15일27.9%30.0%25.8%27.3%
8회2009년 6월 16일29.7%32.0%26.9%29.1%
9회2009년 6월 22일28.1%30.0%25.8%27.6%
10회2009년 6월 23일27.9%29.4%25.5%26.8%
11회2009년 6월 29일29.4%30.8%27.8%29.4%
12회2009년 6월 30일29.2%30.5%29.1%30.7%
13회2009년 7월 6일29.9%31.6%29.0%30.9%
14회2009년 7월 7일31.0%31.9%30.0%31.8%
15회2009년 7월 13일31.6%32.8%30.9%33.5%
16회2009년 7월 14일31.7%33.5%31.0%34.0%
17회2009년 7월 20일30.7%32.0%30.4%32.8%
18회2009년 7월 21일32.8%34.4%30.5%32.6%
19회2009년 7월 27일32.7%34.1%32.0%34.0%
20회2009년 7월 28일34.9%36.0%34.6%36.3%
21회2009년 8월 3일31.9%33.2%29.7%31.2%
22회2009년 8월 4일35.4%36.4%33.2%35.5%
23회2009년 8월 10일37.5%39.6%35.6%38.0%
24회2009년 8월 11일39.5%41.7%38.0%40.5%
25회2009년 8월 17일39.0%40.4%37.6%39.1%
26회2009년 8월 18일42.0%44.3%39.7%41.7%
27회2009년 8월 24일40.3%41.7%38.4%41.1%
28회2009년 8월 25일42.0%43.6%41.0%43.1%
29회2009년 8월 31일42.2%44.7%40.0%41.5%
30회2009년 9월 1일42.1%44.4%41.7%44.0%
31회2009년 9월 7일43.5%45.4%39.7%42.3%
32회2009년 9월 8일40.6%42.9%38.4%39.8%
33회2009년 9월 14일40.6%42.1%39.9%41.7%
34회2009년 9월 15일42.3%43.9%40.0%43.2%
35회2009년 9월 21일41.6%44.6%40.8%44.4%
36회2009년 9월 22일39.6%41.1%38.9%42.3%
37회2009년 9월 28일39.1%40.3%36.9%39.9%
38회2009년 9월 29일39.5%40.4%38.2%40.6%
39회2009년 10월 5일39.3%40.6%39.2%41.3%
40회2009년 10월 6일39.6%40.6%39.7%43.4%
41회2009년 10월 12일38.1%39.9%38.1%40.3%
42회2009년 10월 13일38.0%38.8%37.9%40.2%
43회2009년 10월 19일38.3%38.8%37.2%39.3%
44회2009년 10월 20일37.6%38.7%37.8%40.4%
45회2009년 10월 26일39.3%41.5%38.3%40.9%
46회2009년 10월 27일40.8%43.0%39.4%42.3%
47회2009년 11월 2일41.7%43.7%39.6%42.1%
48회2009년 11월 3일42.4%44.1%40.2%42.6%
49회2009년 11월 9일44.9%46.7%43.6%45.8%
50회2009년 11월 10일44.4%46.1%43.3%45.7%
51회2009년 11월 16일42.3%44.4%39.0%42.2%
52회2009년 11월 17일37.7%39.1%38.1%41.1%
53회2009년 11월 23일35.0%36.1%34.8%37.4%
54회2009년 11월 24일36.5%38.3%34.1%36.8%
55회2009년 11월 30일35.3%36.0%35.3%37.8%
56회2009년 12월 1일36.9%38.0%34.5%37.4%
57회2009년 12월 7일38.0%39.1%34.0%36.2%
58회2009년 12월 8일36.2%37.9%34.4%35.7%
59회2009년 12월 14일35.8%36.4%32.3%33.9%
60회2009년 12월 15일35.8%37.4%32.8%34.5%
61회2009년 12월 21일35.1%37.1%32.3%34.5%
62회2009년 12월 22일37.7%39.7%35.7%38.5%
평균 시청률35.1%36.6%33.6%35.8%



최고 시청률은 2009년 11월 9일에 방영된 49회로, TNmS 기준 44.9%, AGB닐슨 기준 43.6%를 기록했다.[44] 수도권 기준 최고 시청률은 TNmS 기준 46.7%였다.[18]

7. 평가 및 영향

7. 1. 긍정적 평가

7. 2. 부정적 평가 및 논란

드라마 《선덕여왕》은 팩션으로, 《삼국사기》, 《삼국유사》 등의 사료와 차이가 있으며, 위작 논란이 있는 《화랑세기》를 참고했다고 주장하나 내용이 대부분 일치하지 않는다.[56][57]

  • 진흥왕은 43세에 사망했으나, 드라마에서는 이순재가 머리카락이 희끗희끗한 노인으로 연기했다.
  • 진평왕의 뒤를 이은 선덕여왕은 실제로는 진평왕의 맏딸이며 천명공주는 둘째 딸이나, 드라마에서는 천명공주가 맏딸, 덕만공주가 둘째 딸로 설정되었고, 쌍둥이 설정과 덕만공주가 낭도 생활을 했다는 설정은 허구다.
  • 진평왕의 재위 기간(579년~632년, 53년)이 드라마에서는 30년 정도로 축소되었고, 유약한 인물로 그려졌다. 이는 드라마 전개를 위해 의도적으로 설정된 것이다.
  • 김유신의 출생 연도가 15년쯤 앞당겨졌다. 드라마에서는 천명공주, 선덕여왕과 비슷한 나이로 설정되었으나, 실제 김유신은 595년생으로, 천명공주(586년 이전 출생 추정)보다 9살 정도 어리다.
  • 642년 백제의 대야성 함락 당시 김춘추는 40세였으나, 드라마에서는 16세의 유승호가 연기했다.
  • 태종무열왕의 아버지는 김용춘이나, 드라마에서는 김용수의 아들로 되어 있다. (필사본 화랑세기 기록)
  • 드라마에서는 미실이 반란을 일으킨 것으로 묘사되나, 실제 역사서에는 칠숙, 석품이 난을 일으켰다고 기록되어 있다.
  • 드라마에서는 비담의 난미실파 인물들이 대거 가담한 것으로 묘사되나, 삼국사기에는 비담과 염종이 난을 주도했다고 언급된다.
  • 드라마에서는 보량궁주와 김춘추가 혼인한 것으로 나오나, 실제로는 보라궁주와 혼인했다.
  • 삼국사기에는 비담의 난 도중 선덕여왕이 사망했으나, 드라마에서는 난이 끝난 뒤 승하하는 것으로 나온다. 비담과 선덕여왕의 관계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다.
  • 드라마에서 대남보미생의 아들로 등장하지만 실제로는 김용춘의 사람이었다.
  • 드라마에서 진덕여왕에 대한 언급이 없었기에, 선덕여왕의 뒤를 김춘추가 잇는 것처럼 보인다. 실제 역사에서는 승만공주(진덕여왕)가 먼저 왕위에 올랐다.


드라마는 극적 전개를 위해 역사적 사건을 각색했다. 진평왕 재위 기간 축소, 진흥왕 재위 기간 연장, 미실진흥왕 시대 인물들의 선덕여왕 관련 사건 관여 등이 그 예다. 김유신비담의 나이도 비슷하게 묘사되었으나, 역사적 사실 여부는 불분명하다. 선덕여왕의 사망 날짜도 변경되었고, 진덕여왕은 언급되지 않는다. 선덕여왕이 신라를 떠난 적이 없다는 점, 그리스어를 배웠을 가능성이 낮다는 점도 드라마와 실제 역사의 차이점이다.[22][23]

2009년, 극작가 김지영은 MBC와 작가들을 상대로 표절 소송을 제기했다. 김지영은 자신의 뮤지컬 ''선덕여왕(가제)'' 대본을 표절했다고 주장하며, 미실과의 갈등, 김유신과의 로맨스, 사막을 헤매는 이야기 등이 유사하다고 주장했다.[24] MBC 측은 김지영의 희곡 존재를 알지 못한다고 주장했다.[25] 서울대학교 법학기술연구소는 표절을 확인했다.[27] 2012년, 고등법원은 표절 판결을 내리고 MBC에 2억 원의 벌금을 부과했다.[28][29] 그러나 2014년 대법원은 원고 패소 취지로 파기환송했고,[59] 2015년 드라마 선덕여왕의 저작권 침해를 인정하지 않는다는 판결을 확정했다.[60]

7. 3. 사회문화적 영향

8. 수상

2009년 MBC 연기대상에서 드라마 《선덕여왕》은 시청자가 뽑은 올해의 드라마상을 수상했다.[4] 대상은 고현정이, 여자 최우수상은 이요원이 수상했다.[4] 엄태웅은 남자 최우수상을, 김남길은 남자 우수상과 베스트 커플상을 수상했다.[4] 안길강서영희는 각각 남자, 여자 조연상을 받았고, 남지현은 여자 아역상을 수상했다.[4] 남자 신인상은 유승호이승효가 공동 수상했으며, 신구는 프로듀서상을, 김성실은 특별상을 받았다.[4] 김영현박상연 작가는 작가상을 수상했다.[4]

2010년 백상예술대상에서 고현정은 TV부문 대상을, 김남길은 남자 신인상을 수상했다.[4] 박홍균 PD는 한국PD대상 TV 드라마부문 작품상을 받았다. 제5회 서울 드라마 어워즈에서는 최우수작품상(장편), 한류드라마 작가상(김영현, 박상연), 한류드라마 여자배우상(고현정)을 수상했다.

참조

[1] 웹사이트 New Epic Drama to Bring Rivalry, Love to TV https://www.koreatim[...] 2009-05-09
[2] 웹사이트 REVIEW: ''Queen Seon-deok'' - Final episode https://www.asiae.co[...] 2009-12-30
[3] 웹사이트 TV series ''Seon-deok'' makes proud exit http://www.asiae.co.[...] 2009-12-23
[4] 웹사이트 Ko Hyun-joung wins grand prize at MBC Acting Awards http://www.asiae.co.[...] 2009-12-31
[5] 웹사이트 INTERVIEW: Actress Lee Yo-won - Part 1 http://www.asiae.co.[...] 2011-06-08
[6] 웹사이트 INTERVIEW: Actress Lee Yo-won - Part 2 http://www.asiae.co.[...] 2011-06-08
[7] 웹사이트 [Queen Seondeok] Writer Park Sang-yeon says, "Season 3 will focus on the individuals" http://www.hancinema[...]
[8] 웹사이트 Supporting Roles Stealing Spotlight https://www.koreatim[...] 2009-08-03
[9] 웹사이트 Ko Hyun-jung Talks About Changes On Screen and Off http://english.chosu[...] 2009-06-06
[10] 웹사이트 Mi-shil does not raise her voice: A look into Ko Hyun-jung's character from TV series ''Queen Seon-deok'' http://www.asiae.co.[...] 2009-11-04
[11] 웹사이트 Kim Yu-shin has zero versatility: A look into Uhm Tae-woong's character in TV series ''Queen Seon-deok'' http://www.asiae.co.[...] 2009-11-04
[12] 웹사이트 INTERVIEW: Actor Uhm Tae-woong (Part 1) http://www.asiae.co.[...] 2010-01-11
[13] 웹사이트 INTERVIEW: Actor Uhm Tae-woong (Part 2) http://www.asiae.co.[...] 2010-01-11
[14] 웹사이트 INTERVIEW: Kim Nam-gil from ''Seon-deok'' (Part 1) http://www.asiae.co.[...] 2009-11-04
[15] 웹사이트 INTERVIEW: Kim Nam-gil from ''Seon-deok'' (Part 2) http://www.asiae.co.[...] 2009-11-04
[16] 웹사이트 INTERVIEW: Kim Nam-gil from ''Seon-deok'' (Part 3) http://www.asiae.co.[...] 2009-11-04
[17] 웹사이트 Mi-saeng loves his sister: A look into Jung Woong-in's character in TV series ''Queen Seon-deok'' http://www.asiae.co.[...] 2009-11-04
[18] 웹사이트 TNmS Multimedia Homepage https://web.archive.[...] 2014-12-28
[19] 웹사이트 AGB Nilson Media Research Homepage https://web.archive.[...] 2014-06-19
[20] 뉴스 Beyond Seoul: 19 reasons to explore Korea http://www.cnngo.com[...] 2012-03-16
[21] 웹사이트 Shilla Millennium Park http://www.smpark.co[...]
[22] 간행물 The Historical Drama ''Queen Seondeok'': Imaginary Memory of an Ancient Heroine http://book.aks.ac.k[...] 2011-06
[23] 웹사이트 Queen Seondeok of Korea's Silla Kingdom http://asianhistory.[...]
[24] 뉴스 MBC refutes ''Seondeok'' plagiarism allegations http://koreajoongang[...] 2010-01-19
[25] 웹사이트 Writer Kim Yeong-hyeon of ''Queen Seon-deok'', "I am not a thief" http://www.hancinema[...] 2012-12-26
[26] 뉴스 Profs playing plagiarism detectives http://koreajoongang[...] 2010-11-08
[27] 뉴스 SNU confirms plagiarism for ''Queen Seondeok'' drama http://koreajoongang[...] 2011-02-17
[28] 뉴스 2009 MBC drama work of plagiarism http://koreajoongang[...] 2012-12-27
[29] 웹사이트 Drama ''Queen Seon Duk'' Is Found Guilty of Plagiarism Three Years After Its Broadcast http://www.soompi.co[...] 2012-12-25
[30] 웹사이트 So Ji-sup, Lee Yo-won Named Best Actors https://www.koreatim[...] 2009-12-10
[31] 웹사이트 Kim Yu-na Picked as Person of the Year https://www.koreatim[...] 2009-12-14
[32] 웹사이트 How was 2009 for you? » Dramabeans Korean drama recaps https://www.dramabea[...] 2009-12-06
[33] 웹사이트 선덕여왕-이요원 제10회 영상대전 수상 영광 (종합) http://www.newsen.co[...] 2009-11-25
[34] 웹사이트 Ko Hyun-jung, ''Haeundae'' win grand prize at PaekSang Arts Awards http://www.asiae.co.[...] 2010-03-29
[35] 웹사이트 선덕여왕 https://movie.naver.[...]
[36] 웹사이트 'The Slave Hunters' Wins Seoul International Drama Award https://web.archive.[...] 2010-08-24
[37] 웹사이트 ko:이요원·차승원, '2010 아시아 모델상' 특별상 수상 https://entertain.na[...] 2010-01-13
[38] 웹사이트 '선덕여왕'은 【(선덕녀왕→)선덩녀왕】...와 같이 발음됩니다. (「善徳女王」は【(ソンドクニョワン→)ソンドンニョワン】…のように発音されます。) http://krdic.naver.c[...] 2011-07-23
[39] 서적 韓国テレビドラマ事典 2009-2010年版 学研パブリッシング 2009
[40] 웹사이트 善徳(ソンドク)女王 https://kotobank.jp/[...] 小学館 2020-03-27
[41] 웹사이트 선덕여왕 https://search.naver[...] 2020-03-28
[42] 웹사이트 DMZ https://book.naver.c[...] 2020-03-28
[43] 웹사이트 善徳(ソンドク)女王 https://knda.tv/kntv[...] 2020-03-28
[44] 웹사이트 방송 프로그램 시청률 집계 기준 & 선덕여왕 https://help.naver.c[...] 2020-03-28
[45] 문서 聖骨
[46] 웹사이트 https://www.bsfuji.t[...]
[47] 문서 왕족
[48] 문서 爵位
[49] 문서 花郎
[50] 문서 創作
[51] 문서 王女
[52] 문서 伽耶
[53] 문서 風月主
[54] 문서 百済
[55] 뉴스 '선덕여왕', 연말까지 '집권 연장' 선언...12회 연장 방영 https://news.naver.c[...] 스포츠조선 2009-08-31
[56] 뉴스 고대 사극, 상상력 남발 ‘시청자 뿔났다’ https://web.archive.[...] 경제투데이 2009-05-26
[57] 뉴스 <주말 포커스>‘미실’이 쿠데타?… “창작 넘어 역사오도” https://news.naver.c[...] 문화일보 2009-10-31
[58] 뉴스 [단독] 시청률 대박 '선덕여왕', 3년만에…충격 https://www.joongang[...] 중앙일보 2012-12-25
[59] 뉴스 대법 "드라마 선덕여왕 표절 아니다"…파기환송 https://news.chosun.[...] 조선일보 2014-07-28
[60] 뉴스 '선덕여왕' 표절논란 5년 만에 종지부 "저작권 침해 아냐" http://entertain.nav[...] 스타뉴스 2015-06-16
[61] 뉴스 2006 국내 제작 드라마 96편 ‘작가상’ 줄 드라마는 없다 https://web.archive.[...] 중앙일보(뉴스엔) 2006-12-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