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L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LOL은 "Laughing Out Loud"의 약자로, 1980년대 초중반부터 온라인 상에서 극심한 웃음을 표현하기 위해 사용되기 시작했다. 1989년 전자 뉴스레터 FidoNews에 처음 언급된 후, 옥스퍼드 영어 사전에 등재되며 널리 사용되는 용어가 되었다. LOL은 비판적인 시각도 존재하며, 다양한 변형과 파생 표현이 존재한다. 한국어에서는 ㅋㅋㅋ, ㅎㅎㅎ와 같은 표현으로 웃음을 나타내며, 다른 언어에서도 각기 다른 방식으로 LOL과 유사한 표현이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터넷 신조어 - 이모지
이모지는 1999년 NTT 도코모에서 처음 도입된 그림 문자로, 유니코드 표준 제정 후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어 다양한 언어적 기능을 수행하며 대중문화에 영향을 미치지만, 플랫폼별 표현 방식 차이와 의미 해석 논란도 존재한다. - 인터넷 신조어 - 먹방
먹방은 방송 출연자가 음식을 먹는 모습을 보여주는 콘텐츠로, 대한민국에서 시작되어 다양한 플랫폼으로 확산되며 인기를 얻었지만, 과식 조장, 섭식 장애 유발 등의 논란도 있는 문화 현상이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 LOL | |
|---|---|
| LOL (인터넷 용어) | |
| 종류 | 인터넷 속어 |
| 의미 | 크게 웃음 |
| 사용 | 온라인 커뮤니케이션 |
| 관련어 | ROFL LMAO |
| 역사 | |
| 기원 | 1980년대 |
| 확산 | 1990년대 후반 인터넷 채팅 |
| 대중화 | 2000년대 문자 메시지, 이메일, 소셜 미디어 |
| 변형 | |
| LOLZ | LOL의 강조형 |
| LUL | LOL의 변형 |
| 언어별 표현 | |
| 프랑스어 | MDR (Mort de rire, 웃겨 죽음) |
| 스페인어 | Jajaja (하하하) |
| 일본어 | www (와라이, 웃음) |
| 한국어 | ㅋㅋㅋ (크크크) |
| 비판 | |
| 과도한 사용 | 문맥에 맞지 않는 사용으로 인한 의미 희석 |
| 진정성 결여 | 감정 표현의 피상화 |
| 기타 | |
| 옥스포드 영어 사전 등재 | 2011년 |
2. 역사
스티븐스 공과대학교의 인문학 교수 실비오 라케티(Silvio Laccetti)와 스콧 몰스키(Scott Molski)는 "잃어버린 글쓰기 기술"이라는 에세이에서 LOL과 같은 인터넷 속어 사용에 대해 비판적인 입장을 보였다. 그들은 이러한 속어를 자주 사용하는 학생들은 고용 기회가 줄어들 것이라고 예측하며, "불행하게도 이러한 학생들에게는, 그들의 상사가 제대로 된 구두점과 문법이 없고, 맞춤법이 틀리고, 여러 가지 조어와 어리석은 약어가 있는 보고서를 읽을 때 'LOL'하지 않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폰딜러(Fondiller)와 네로네(Nerone) 역시 스타일 매뉴얼에서 전문적이거나 비즈니스 목적의 소통에서는 속어 사용을 경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들은 이메일 메시지나 출판용 기사 작성 시 부주의하거나 제대로 구성되지 않은 글쓰기를 피해야 하며, 스마일리나 약어 사용은 "전자 메일 속어에 불과하며 비즈니스 커뮤니케이션에는 적합하지 않다"고 경고했다.
LOL이라는 표현은 인터넷 상에서 단순히 웃음을 나타내는 것을 넘어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고 파생되어 사용된다.
LOL은 1980년대 초중반, 웨인 피어슨(Wayne Pearson)이 인터넷 이전의 온라인 채팅 시스템인 뷰라인(Viewline)에서 친구의 농담에 답하며 처음 사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3] 그는 극심한 웃음을 표현하기 위해 기존의 "hahaha" 대신 "LOL"을 사용했다고 전해진다.[4][5] 비록 당시 대화 기록은 남아있지 않아 정확한 기원은 불분명하지만,[1] "Laughing Out Loud"라는 현대적 의미로 LOL이 처음 기록된 것은 1989년 5월 8일자 전자 뉴스레터 ''FidoNews''에 실린 온라인 약어 목록에서이며, 이는 ''옥스퍼드 영어 사전''[3]과 언어학자 벤 짐머(Ben Zimmer)에 의해 확인되었다.[6][1]
2011년 3월 24일, LOL은 다른 두문자어와 약어들과 함께 ''옥스퍼드 영어 사전''에 공식적으로 등재되었다.[2][7][43][44] 옥스퍼드 영어 사전의 연구에 따르면, LOL이라는 약어 자체는 1960년대에 "little old lady"(작고 나이든 여성)를 의미하는 데 먼저 사용되었으며,[8][45] "크게 웃다"라는 현대적 의미로 사용된 최초의 기록은 1980년 웨인 피어슨이 유즈넷 아카이브에 남긴 메시지인 것으로 밝혀졌다.[46]
나오미 배런(Naomi Baron)이 2003년에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진행한 연구에서는, 컴퓨터 매개 통신(CMC), 특히 인스턴트 메시징 환경에서 LOL과 같은 약어의 사용 빈도가 예상보다 낮다는 결과가 나왔다. 학생들은 약어, 두문자어, 이모티콘을 거의 사용하지 않았으며, 총 2,185건의 메시지 전송 중 약어는 90번 사용되었고, 그중 76번(약 84%)이 LOL이었다.
한편, 가브리엘라 콜먼(Gabriella Coleman)은 어나니머스 그룹에 대한 인류학적 연구에서 LOL의 변형인 "lulz"가 해당 그룹 내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됨을 언급했다.[9][10][47][48]
LOL, ROFL(Rolling On the Floor Laughing) 등 온라인에서 시작된 약어들은 점차 실제 대면 대화에서도 사용되기 시작했다. 언어학자 데이비드 크리스탈(David Crystal)은 이를 15세기 요하네스 구텐베르크의 활판 인쇄술 발명에 버금가는 혁명으로 평가하며, 젊은 세대가 만들어낸 "완전히 새로운 언어의 다양성"이 언어의 표현 범위와 풍부함을 확장시킨다고 긍정적으로 보았다. 반면, 제프리 풀럼(Geoffrey Pullum)은 LOL과 같은 표현이 구어체 영어에서 흔해지더라도 언어 전체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할 것이라는 회의적인 시각을 보였다.
원래 LOL은 "크게 소리 내어 웃다(laughing out loud)"라는 의미였지만, 현대에는 단순히 웃음을 표현하는 것 외에도 아이러니를 나타내거나, 숨겨진 다른 의미를 암시하거나, 문장의 표현을 부드럽게 만드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사용되고 있다.[1]
3. 비판
프랭크 융커(Frank Yunker)와 스티븐 배리(Stephen Barry)는 팟캐스트를 활용한 온라인 강좌 개선 연구에서, LOL과 같은 속어나 이모티콘이 학생들에게 "자주 오해"되며, 미리 의미를 설명하지 않으면 "해독하기 어렵다"는 점을 발견했다. 그들은 "ROFL"을 예로 들며, 이것이 "바닥에서 데굴데굴 구르며 웃다(rolling on ''the'' floor laughing)"라는 구절의 명확한 약자가 아니라고 지적했다. 맷 헤이그(Matt Haig)는 LOL을 BFN(Bye For Now), IMHO(In My Honest/Humble Opinion)와 함께 가장 인기 있는 인터넷 속어 두문자어 중 하나로 꼽으면서도, 약어의 편리함 이면에 "점점 더 모호한 약어가 등장함에 따라, 그것들은 또한 상당히 혼란스러울 수 있다"고 경고했다. 호세인 비드골리(Hossein Bidgoli) 또한 이러한 약어들이 "보내는 사람에게는 키 입력을 절약하지만 [...] 받는 사람에게는 메시지 이해를 더 어렵게 만들 수 있다"고 지적했다. 특히 국제적인 상황에서는 속어가 다른 의미로 해석되어 오해를 일으킬 수 있으므로, "상대방이 그 의미를 확실히 알고 있을 때만" 사용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언어학자 데이비드 크리스탈은 스마일리 사용이 항상 진심을 의미하지 않듯, LOL 사용 역시 반드시 실제 웃음을 동반하는 것은 아니라고 지적하며, "'LOL'을 보낼 때 실제로 '소리내어 웃는(laughing out loud)' 사람이 얼마나 될까?"라는 질문을 던졌다. 루이스 프란치니(Louis Franzini)도 LOL을 쓸 때 실제로 소리 내어 웃는 사람의 비율을 측정한 연구는 아직 없다는 점을 언급하며 이에 동의했다.
텔넷 사용자 분석 연구에서 빅토리아 클라크(Victoria Clarke)는 LOL 사용 시 대문자 표기('LOL' 대 'lol')가 중요할 수 있으며, 대문자로 쓰는 경우가 더 큰 웃음을 나타낼 수 있다고 보았다. 하지만 그녀는 "웃음의 이러한 표준적인 표현들은 과도한 사용으로 인해 힘을 잃고 있다"고 주장하며 의미 퇴색의 문제를 지적했다. 마이클 이건(Michael Egan), 준 하인스 무어(June Hines Moore), 셰릴 린들셀-로버츠(Sheryl Lindsell-Roberts) 등 여러 전문가들은 LOL과 같은 약어가 과도하게 사용되지 않는다면 유용할 수 있지만, 비즈니스 서신에는 사용하지 말 것을 권고한다. 수신자가 그 의미를 모르거나, 격식에 맞지 않는다고 여길 수 있기 때문이다. 린들셀-로버츠는 "그렇지 않으면 당신은 LOL하지 못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4. 다양한 형태
그 중 하나로 'lol internet'(롤 인터넷)이라는 인터넷 밈이 있다. 이는 미국의 커뮤니티 사이트 YTMND에서 유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밈은 맥도날드의 캐릭터 로날드 맥도날드가 차를 운전하며 손을 뻗어 "lol, internet!"이라고 외치는 애니메이션과 함께 유로비트 음악 "Running In The 90's"가 배경음악으로 사용된 것이 특징이다. 이 영상이 인기를 얻으며 "lol, internet!" 문구를 "lol, speed up!", "lol, happy!" 등으로 바꾸는 다양한 패러디가 등장하며 유행했다. 다만, "lol, internet!"이라는 구체적인 의미는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이 외에도 LOL은 lul, lolz, lulz 등 다양한 철자 변형이나 OMEGALUL과 같은 이모티콘 형태로 변형되기도 하며, lolcat과 같이 다른 요소와 결합된 파생 밈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LOL의 구체적인 변형 및 파생 형태는 아래 하위 섹션에서 더 자세히 알아볼 수 있다.
4. 1. 변형


4. 2. 파생
4. 3. 관련 표현
5. 다른 언어에서의 표현
인터넷이나 전자 메일이 사용되기 훨씬 전부터, 모스 부호에서는 웃음소리를 표현하기 위해 "hi hi"를 사용했다.[27] 모스 부호로 ".... .. .... .." (점 4개, 점 2개, 점 4개, 점 2개)로 표현되며, 이는 킥킥거리는 웃음소리를 나타내는 것으로 여겨졌다.
LOL과 유사하게 웃음을 나타내는 표현은 다른 언어에서도 찾아볼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의 대부분은 일반적으로 소문자로 표기된다.
- 555: 태국어에서는 숫자 "5"가 "하" (ห้าth)로 발음되기 때문에, "555"는 "하하하" (ห้า ห้า ห้าth)를 의미한다.[28][49]
- asg: 스웨덴어에서 격렬한 웃음을 뜻하는 단어 asgarvsv의 약어이다.[29]
- g: 덴마크어에서 "웃다"를 의미하는 단어 ''griner''의 약어이다.
- jajajá: 스페인어에서는 'j'를 무성 연구개 마찰음 /x/로 발음하여 웃음소리를 나타낸다.[30][54]
- jejeje: 필리핀에서는 "hehehe"와 같은 의미로 사용된다. 필리핀의 여러 언어에서 'j'는 스페인어의 /x/ 발음에서 유래한 /h/ 소리로 발음된다. 이는 SMS 언어에서 비롯되었으며, 제제몬(Jejemon)으로 알려진 필리핀 청소년 하위문화에서 자주 사용된다.[31][32][55][56]
- mdr: 에스페란토에서는 "많은 웃음"을 의미하는 multe da ridojeo의 약자로 사용된다.
- mdr: 프랑스어에서는 "웃다가 죽었다"는 뜻의 mort de rire프랑스어의 약자이다. 하지만 많은 프랑스인들은 인터넷에서 널리 쓰이는 LOL을 사용하기도 한다.[33][34][49][50]
- ptdr: 프랑스어의 또 다른 표현으로, pété de rire프랑스어에서 유래했으며 "웃음으로 부서지다"라는 의미이다.
- mkm: 아프가니스탄의 다리어에서는 "나는 웃고 있다"는 의미의 구절 ma khanda mikonomprs의 약자로 사용된다.
- rs: 브라질 포르투갈어에서는 "웃음"을 뜻하는 risospt의 약자인 "rs"가 문자 기반 소통에서 자주 쓰인다. "rsrsrsrsrs"처럼 반복하면 더 길거나 큰 웃음을 나타낸다. 또한 브라질 포르투갈어에서 'k' 발음이 '카'와 비슷하여 웃음소리 "카카카카"를 나타내는 "kkk" (반복 가능)도 인기가 있다.[35][51]
- חחח/ההה: 히브리어에서는 문자 ח (/x/) 또는 ה (/h/)를 반복하여 사용한다. 보통 세 번 이상 연속해서 쓰며, 모음이 표기되지 않으므로 "khakhakha" 또는 "hahaha"와 같은 웃음소리를 나타낸다.
- ㅋㅋㅋ한국어 (kkk) 및 ㅎㅎㅎ한국어 (hhh): 한국어에서는 자음 ㅋ (k 소리)이나 ㅎ (h 소리)을 반복하여 웃음을 표현한다.[19] 일반적으로 크지 않은 웃음을 나타내지만, 모음을 붙여 하하한국어 (haha)나 호호한국어 (hoho)로 쓰면 더 큰 웃음을 의미하기도 한다.[36][53]
- 笑일본어: 일본어에서는 웃음을 뜻하는 한자 '笑'를 LOL처럼 사용한다. 이는 (笑)일본어 (kakko warai, 괄호 웃음) 또는 단순히 'wara'로 읽힌다. 약어로는 w를 사용하며, 여러 개를 이어 붙이는(wwww) 경우가 많다.[37][52] 여러 개의 'w'가 늘어선 모양이 풀과 비슷하다고 하여 草일본어 ('kusa', 풀)라고 표현하기도 한다.[38]
- 哈哈哈중국어/呵呵呵중국어: 중국어에서는 웃음소리를 나타내는 哈哈哈중국어 (hāhāhā)나 呵呵呵중국어 (hēhēhē)가 인터넷에서 널리 사용된다. 大笑중국어 (dàxiào, 큰 웃음)이라는 단어도 있지만, 소리 표현이 더 일반적이다.
- ههههه: 아랍어에서는 아랍 문자 هـ (h 소리)를 반복하여 웃음을 표현한다. 반복 횟수는 정해져 있지 않다.
- ha3: 말레이시아에서는 'ha'를 세 번 반복한다는 의미로 'hahaha'를 나타낸다.
- kkkkkk: 소말리아어, 암하라어 등 아프리카의 뿔 지역 언어에서는 'k'를 반복하여 LOL과 같은 의미로 사용한다.
- wkwkwk: 인도네시아어에서 사용되는 웃음 표현이다.
참조
[1]
서적
Because Internet
https://archive.org/[...]
Riverhead Books
2019-07-23
[2]
웹사이트
OMG! Oxford English Dictionary adds new words
http://articles.cnn.[...]
CNN
2011-03-25
[3]
뉴스
RIP to LOL - the history of laughing out loud
https://www.bbc.com/[...]
2024-11-27
[4]
웹사이트
Why We Use "lol" So Much
https://www.vice.com[...]
2022-03-22
[5]
뉴스
What's it like to coin the term LOL?
https://calgaryheral[...]
2022-03-22
[6]
웹사이트
How do you haha? LOL through the ages
https://theconversat[...]
2024-11-27
[7]
웹사이트
OMG, K.I.D.S., IMHO, Needs to Go
http://moorestown.pa[...]
Moorestown Patch
2011-04-09
[8]
간행물
New initialisms in the OED
http://www.oed.com/p[...]
2011-03-24
[9]
웹사이트
Why Do Anonymous Geeks Hate Scientologists?
https://gizmodo.com/[...]
2012-02-17
[10]
웹사이트
Our Weirdness Is Free: The logic of Anonymous — online army, agent of chaos, and seeker of justice
http://canopycanopyc[...]
Triple Canopy
2012-02-17
[11]
웹사이트
Txtng is killing language. JK!!!
https://www.ted.com/[...]
2013-04-22
[12]
웹사이트
Everything You Always Wanted To Know About The 'Omegalul' Emote (But Were Afraid To Ask)
https://kotaku.com/e[...]
2019-11-12
[13]
웹사이트
Twitch slang and common terms explained
https://dotesports.c[...]
2021-12-27
[14]
웹사이트
What Does OMEGALUL Mean in Twitch Chat and Where Did It Originate?
https://afkgaming.co[...]
2024-05-31
[15]
웹사이트
lel
Dictionary.com
2022-04-24
[16]
뉴스
'LEL,' 'Nyahahaha,' 'U Wat Brah': The Creative Ways We Laugh Online
https://www.theatlan[...]
2022-04-22
[17]
웹사이트
What does *G* mean?
http://www.internets[...]
Internet Slang
2011-04-16
[18]
웹사이트
What does J4G stand for?
http://www.acronymfi[...]
Acronym finder
2011-04-16
[19]
웹사이트
Bungie explains how Destiny 2 armor resembling hate symbol made it into the game
https://www.polygon.[...]
2018-08-04
[20]
뉴스
In Charlottesville, GOP candidate for governor Corey Stewart allies with alt-right-inspired blogger who wants to protect 'glorious Western civilization'
http://www.richmond.[...]
2017-02-16
[21]
웹사이트
How an ancient Egyptian god spurred the rise of Trump
https://theconversat[...]
2017-07-18
[22]
웹사이트
LMBO
http://onlineslangdi[...]
2022-02-05
[23]
웹사이트
What does LQTM mean?
http://www.internets[...]
Internet Slang
2011-04-12
[24]
웹사이트
LMAO
http://www.netlingo.[...]
NetLingo
2011-04-12
[25]
뉴스
What Is IJBOL?
https://www.nytimes.[...]
2024-08-05
[26]
웹사이트
What does ijbol mean? ! Mashable
https://mashable.com[...]
2024-08-05
[27]
웹사이트
LOL in the age of the telegraph
https://theconversat[...]
2024-09-29
[28]
웹사이트
TSL Chiang Mai- Thai as a Second Language School
https://tslchiangmai[...]
2024-08-05
[29]
웹사이트
Asgarv ! SAOL ! svenska.se
https://svenska.se/s[...]
2024-08-05
[30]
웹사이트
¡ja, ja, ja!
http://www.spanishdi[...]
SpanishDict
2011-04-09
[31]
뉴스
Jejemons: The new 'jologs'
http://lifestyle.inq[...]
2010-04-30
[32]
웹사이트
Jejemon in the Philippines
http://asia.cnet.com[...]
2010-04-30
[33]
간행물
MDR
http://acronyms.thef[...]
2011-04-09
[34]
웹사이트
French-English translation for "mdr (mort de rire)"
http://en.bab.la/dic[...]
babLa
2011-04-09
[35]
웹사이트
Learning to laugh and smile online... Brazilian Portuguese, by Semantica
https://www.semantic[...]
2018-01-28
[36]
웹사이트
Slang 속어
http://www.westudyko[...]
We Study Korean
2011-04-09
[37]
웹사이트
LOL=wwwwww
http://www.tokyo-ins[...]
Tokyo-Insider
2011-04-09
[38]
웹사이트
10 Useful Japanese Internet Slang Terms You Should Know
https://unseen-japan[...]
2021-02-04
[39]
웹사이트
Welsh-English Lexicon
https://web.archive.[...]
Cardiff School of Computer Science
2008-07-15
[40]
서적
Grammar and Context, An advanced Resource Book
Routledge Applied Linguistics
[41]
서적
Methods in Nonverbal Behavior Research
Oxford University Press
[42]
서적
Instant English 2
Gribaudo
[43]
웹사이트
OMG! Oxford English Dictionary adds new words
http://articles.cnn.[...]
CNN
2011-03-25
[44]
웹사이트
OMG, K.I.D.S., IMHO, Needs to Go
http://moorestown.pa[...]
Moorestown Patch
2011-04-04
[45]
웹사이트
New initialisms in the OED
http://www.oed.com/p[...]
Oxford English Dictionary
2011-03-24
[46]
웹사이트
Why did LOL infiltrate the language?
http://www.bbc.co.uk[...]
BBC News
2011-04-08
[47]
웹사이트
Why Do Anonymous Geeks Hate Scientologists?
https://gizmodo.com/[...]
Gizmodo
2012-02-17
[48]
웹사이트
Our Weirdness Is Free: The logic of Anonymous — online army, agent of chaos, and seeker of justice
http://canopycanopyc[...]
Triple Canopy
2012-02-17
[49]
웹사이트
MDR
http://acronyms.thef[...]
The Free Dictionary
2011-04-09
[50]
웹사이트
French-English translation for "mdr (mort de rire)"
http://en.bab.la/dic[...]
babLa
2011-04-09
[51]
웹사이트
Learning to laugh and smile online…
http://www.semantica[...]
Brazilian Portuguese from Semantica
2011-04-09
[52]
웹사이트
LOL=wwwwww
http://www.tokyo-ins[...]
Tokyo-Insider
2011-04-09
[53]
웹사이트
Slang 속어
http://www.westudyko[...]
We Study Korean
2011-04-09
[54]
웹사이트
¡ja, ja, ja!
http://www.spanishdi[...]
SpanishDict
2011-04-09
[55]
웹사이트
Jejemons: The new ‘jologs’
http://lifestyle.inq[...]
2010-04-24
[56]
웹사이트
Jejemon in the Philippines
http://asia.cnet.com[...]
2010-04-26
[57]
웹사이트
LMAO
http://www.netlingo.[...]
[58]
학위논문
Credibility and Authority on Internet Message Boards
http://etd.lsu.edu/d[...]
Louisiana State University and Agricultural and Mechanical College
2004-08
[59]
서적
Technology and cultural values : on the edge of the third millennium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Hawaii Press East-West Philosophers Conference
[60]
서적
The Language of ICT
https://archive.org/[...]
Routledge
[61]
서적
The New Hacker's Dictionary
MIT Press
[62]
서적
Jargon: An Informal Dictionary of Computer Terms
https://archive.org/[...]
미시간 대학교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