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편 23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시편 23편은 다윗의 시로, 여호와를 목자로 비유하며 신에 대한 신뢰와 위안을 노래한다. 내용은 6절로 구성되어 있으며, 한국어, 히브리어 원문, 라틴어 번역 등을 포함한 다양한 번역본이 존재한다. 유대교와 기독교에서 널리 사용되며, 유대교에서는 안식일 식사, 장례식 등에서 암송되고, 기독교에서는 찬송가, 설교, 미사 등에서 활용된다. 또한, "주는 나의 목자시니"와 같은 구절들은 대중적으로 널리 알려져 있으며, 다양한 음악 작품과 대중문화 작품에서 인용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독교 음악 - 코랄
코랄은 독일 종교 개혁에서 유래한 독일어 찬미가를 지칭하며, 마르틴 루터의 예배 운동으로 촉발되어 다성부 형태로 발전, 바흐 등의 작곡가들에 의해 다양한 음악 형식으로 창작되었고 현재까지 프로테스탄트 교회에서 널리 사용된다. - 기독교 음악 - 레퀴엠 (모차르트)
모차르트의 레퀴엠은 1791년 작곡된 미완성 장례 미사곡으로, 모차르트 사후 다른 작곡가들에 의해 완성되었으며 다양한 판본으로 존재하고 작품 해석에 대한 논란이 있다. - 시편 - 시편 22편
시편 22편은 다윗의 시로, 고통 속에서 구원을 간구하는 내용과 구원 후의 감사와 찬양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유대교에서는 왕족 또는 이스라엘 민족의 고난을 상징하고, 기독교에서는 예수 그리스도의 수난을 예언하는 것으로 해석되어 예배 의식에서 사용된다. - 시편 - 시편 115편
시편 115편은 하느님께 영광을 돌리고 우상 숭배의 허무함을 강조하며 하느님의 유일성과 전능하심을 선포하고 이스라엘 백성에게 하느님을 의지할 것을 촉구하는 시편이다.
| 시편 23편 |
|---|
2. 내용
시편 23편은 다윗의 시로, 여호와를 목자로, 자신을 양으로 비유하여 하느님의 인도와 보호를 노래하는 내용이다.
2. 1. 한국어 번역 (개역개정)
# 여호와는 나의 목자시니 내게 부족함이 없으리로다.# 그가 나를 푸른 풀밭에 누이시며 쉴 만한 물 가로 인도하시는도다.
# 내 영혼을 소생시키시고 자기 이름을 위하여 의의 길로 인도하시는도다.
# 내가 사망의 음침한 골짜기로 다닐지라도 해를 두려워하지 않을 것은 주께서 나와 함께 하심이라 주의 지팡이와 막대기가 나를 안위하시나이다.
# 주께서 내 원수의 목전에서 내게 상을 차려 주시고 기름을 내 머리에 부으셨으니 내 잔이 넘치나이다.
# 내 평생에 선하심과 인자하심이 반드시 나를 따르리니 내가 여호와의 집에 영원히 살리로다.[8]
2. 2. 히브리어 원문 및 음역
다음 표는 시편의 히브리어 텍스트를 모음과 함께 보여주며,[6] JPS 1917 번역(현재는 퍼블릭 도메인)을 기반으로 한 영어 번역과 함께 제공한다.[7]| 절 | 히브리어 | 영어 번역 (JPS 1917) |
|---|---|---|
| 1 | מִזְמ֥וֹר לְדָוִ֑ד יְהֹוָ֥ה רֹ֝עִ֗י לֹ֣א אֶחְסָֽר׃ | 다윗의 시. 주는 나의 목자시니, 내가 부족함이 없으리로다. |
| 2 | בִּנְא֣וֹת דֶּ֭שֶׁא יַרְבִּיצֵ֑נִי עַל־מֵ֖י מְנֻח֣וֹת יְנַהֲלֵֽנִי׃ | 그가 나를 푸른 풀밭에 누이시며, 쉴 만한 물 가로 인도하시는도다. |
| 3 | נַפְשִׁ֥י יְשׁוֹבֵ֑ב יַֽנְחֵ֥נִי בְמַעְגְּלֵי־צֶ֝֗דֶק לְמַ֣עַן שְׁמֽוֹ׃ | 그가 내 영혼을 소생시키시고, 자기 이름을 위하여 의의 길로 인도하시는도다. |
| 4 | גַּ֤ם כִּֽי־אֵלֵ֨ךְ בְּגֵ֪יא צַלְמָ֡וֶת לֹא־אִ֘ירָ֤א רָ֗ע כִּי־אַתָּ֥ה עִמָּדִ֑י שִׁבְטְךָ֥ וּ֝מִשְׁעַנְתֶּ֗ךָ הֵ֣מָּה יְנַֽחֲמֻֽנִי׃ | 내가 사망의 음침한 골짜기로 다닐지라도, 해를 두려워하지 않을 것은 주께서 나와 함께 하심이라, 주의 지팡이와 막대기가 나를 위로하시나이다. |
| 5 | תַּעֲרֹ֬ךְ לְפָנַ֨י ׀ שֻׁלְחָ֗ן נֶ֥גֶד צֹרְרָ֑י דִּשַּׁ֥נְתָּ בַשֶּׁ֥מֶן רֹ֝אשִׁ֗י כּוֹסִ֥י רְוָיָֽה׃ | 주께서 내 원수들의 목전에서 내게 상을 차려 주시고, 내 머리에 기름을 부으셨으니, 내 잔이 넘치나이다. |
| 6 | אַ֤ךְ ׀ ט֤וֹב וָחֶ֣סֶד יִ֭רְדְּפוּנִי כׇּל־יְמֵ֣י חַיָּ֑י וְשַׁבְתִּ֥י בְּבֵית־יְ֝הֹוָ֗ה לְאֹ֣רֶךְ יָמִֽים׃ | 내 평생에 선하심과 인자하심이 반드시 나를 따르리니, 내가 여호와의 집에 영원히 살리로다. |
2. 3. 라틴어 번역 (불가타)
하나님을 목자로 묘사하는 것은 고대 이스라엘과 메소포타미아에서 흔히 사용되던 표현이었다. 예를 들어, 함무라비 왕은 함무라비 법전의 결론에서 다음과 같이 썼다. "나는 웰빙과 풍요로운 번영을 가져오는 목자이며, 나의 통치는 공정하다. 강한 자가 약한 자를 억압하지 않도록, 심지어 고아와 과부도 공정하게 대우받도록 한다."[9] 이러한 이미지와 언어는 시편을 만든 공동체에 잘 알려져 있었으며, 예배에 쉽게 도입되었다.
시편 23편은 세 번째 안식일 식사[13][14] 동안 전통적으로 불리며, 첫 번째 및 두 번째 식사 전, 그리고 일부 유대 공동체에서는 키두쉬 동안에도 불린다. 또한 사망한 사람 앞에서 흔히 암송되는데, 예를 들어 매장 전에 시신을 지키는 사람들이 낭송하거나, 장례식 자체에서 낭송된다.[15][16]
개신교의 찬송가 작가인 장수철은 시편 23편을 바탕으로 찬송가 '주는 나를 기르시는 목자'를 작곡했고, 이 곡은 통일찬송가에도 수록되어 있다. 나운영이 작곡한 '여호와는 나의 목자시니'는 이미 일반인에게도 널리 알려진 곡이다. 개신교 CCM계에서도 시편 23편을 주제로 한 곡들이 많이 만들어졌으며, 'psalm 23'이라는 음반이 발매되기도 하였다. 성공회에서도 시편 23편을 포함한 시편을 사용하여 미사 때 하나님께 예배드린다.
개신교의 찬송가 작가 장수철은 시편 23편을 바탕으로 찬송가(주는 나를 기르시는 목자)를 작곡했으며, 이 곡은 통일찬송가에도 수록되어 있다. 나운영의 구역을 바탕으로 한 '여호와는 나의 목자시니'는 이미 일반인에게도 널리 알려진 곡이다. 개신교 CCM계에서도 여러 사람들이 시편 23편에 대한 곡을 많이 썼고, 'psalm 23'이라는 음반이 발매되기도 하였다. 최근에도 이러한 흐름은 계속 이어지고 있다. 성공회에서도 23편을 포함한 시편을 사용하여 미사 때 하나님을 예배한다.
3. 주제 해석
시편 23편은 하나님을 선한 목자로 묘사하며, 그의 양 떼를 먹이고(1절) 인도한다(3절). "지팡이와 막대기"(4절) 역시 목자의 도구이다. 일부 주석가들은 목자의 이미지가 시편 전체에 스며들어 있다고 본다. 목자는 각 양의 이름을 알아야 한다는 것은 잘 알려져 있다. 따라서 하나님이 목자에 비유될 때, 그는 보호자일 뿐만 아니라 돌보시는 분이기도 하다. 돌보시는 분으로서 하나님은 그의 양들을 푸른 풀밭(2절)과 잔잔한 물가(2절)로 인도하신다. 왜냐하면 그분은 그의 양들이 먹이를 먹기 위해 개별적으로 인도되어야 함을 알고 계시기 때문이다. 따라서 양은 목자가 없으면 늑대와 같은 포식자나 굶주림으로 죽게 되는데, 양은 목자 없이는 무력하기로 알려져 있기 때문이다.
J. Douglas MacMillan은 5절("주께서 내 앞에 상을 베푸시고")이 양에게 먹이를 주기 위해 작은 탁자를 사용하는 "오래된 동양의 목축 관행"을 언급하는 것이라고 주장한다.[10] 마찬가지로, "내 머리에 기름을 부으셨으니"는 고대 형태의 배크라이너를 언급하는 것일 수 있다. 기름은 상처에 부어지고 파리를 쫓아낸다. MacMillan은 또한 6절("나의 평생에 선하심과 인자하심이 반드시 나를 따르리니")이 양 떼 뒤를 따르는 두 마리의 충성스러운 목양견을 연상시킨다고 언급한다.[10]
시편의 머리글 또는 첫 번째 절은 저자를 다윗 왕이라고 하는데, 그는 히브리 성경에서 젊은 시절에 들판의 목자였다고 한다. 그러나 일부 학자들은 이러한 저자 귀속에 동의하지 않으며 다양한 다른 가능성을 가설로 세우고, 일반적으로 포로 후 시대로 추정한다.[11]
시편 22, 23편, 24을 함께 보면 일부 사람들은 선한 목자가 고난받는 종이자 왕으로서 양을 위해 자신의 생명을 버린다는 내용의 목자 시편으로 간주한다.[12]
현대에도 기도문으로 애송되는 이 시편의 한 구절은 다양한 예술 작품에서도 인용되고 있다.
4. 유대교 전통에서의 사용
5. 기독교 전통에서의 사용

기독교인들에게 목자로서의 하느님은 다윗뿐만 아니라 예수와도 연결되며, 예수는 요한 복음서에서 "선한 목자"로 묘사된다. "죽음의 그림자 골짜기"라는 구절은 종종 예수가 주는 영생을 암시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동방 정교회에서는 성찬례를 받기 위한 준비 기도에 이 시편을 포함시킨다.
종교 개혁은 서유럽에서 성경을 자국어로 번역하여 보급하는 데 큰 영향을 미쳤다. 초기 영어 번역본 중 가장 인기 있었던 것은 제네바 성경 (1557)이었다. 오늘날 영어 시편 중 가장 널리 알려진 것은 킹 제임스 성경 (1611)이다.
가톨릭 교회에서는 시간 전례의 주일 2주간 낮 시간에 이 시편을 배정하고, 죽은 자를 위한 미사에서 응답송으로 사용한다. 잉글랜드 성공회의 ''공동 기도문''에서는 매월 4일 저녁에 읽도록 지정되어 있다.[17]
시편 23편은 암송하기 좋은 구절로, 설교에도 자주 사용된다. 특히 "주는 나의 목자시니, 내가 부족함이 없으리로다", 4절의 많은 부분, "내 잔이 넘치나이다"와 같은 구절들은 널리 알려져 있다.
20세기 들어 영어권에서는 시편 23편이 장례식과 밀접하게 관련되었으며, 영화 속 장례식 장면에서 묘지에서 이 시편을 낭독하는 모습이 자주 등장한다.[18] 그러나 영어권 교회의 공식 예배 의식에서는 이러한 관행이 늦게 받아들여졌다. 《공동 기도문》에는 시편 39편과 90편만이 장례식 순서에 포함되었고, 미국 성공회에서는 1928년 기도서 개정 이전까지 장례식에 시편 23편이 사용되지 않았다.
현대에도 기도문으로 애송되는 시편 23편의 구절들은 다양한 예술 작품에서 인용되고 있다.
6. 음악적 설정
이 시편의 한 구절은 다양한 예술 작품에서도 인용되고 있다. 오프스프링의 곡 "해머헤드"의 가사에 본 장이 사용되었다. 슈베르트 , 브루흐, 쳄린스키 등이 시편 23편을 바탕으로 곡을 작곡했다.
6. 1. 운율 시편
기독교 개신교 종교개혁 이후 시편 23편을 운율 시편 형태로 번역한 여러 버전이 등장했는데, 이는 찬송가 멜로디에 맞춰 부를 수 있는 시적인 형태였다. 영어로 된 시편의 초기 운율 버전은 1565년 토머스 스턴홀드가 만들었다. 이 시기에 등장한 다른 주목할 만한 운율 버전으로는 ''베이 시편집''(1640),[19] 필립 시드니의 ''시드니 시편'', 조지 허버트와 아이작 와츠의 시가 있다.[19]
시편 23편의 가장 잘 알려진 운율 버전 중 하나는 기독교 찬송가 "주는 나의 목자시니"인데, 이 번역은 1650년 스코틀랜드 시편집에 처음 출판되었다.[20] 이 가사는 영국의 의회파 프랜시스 루스의 작품으로 널리 알려져 있지만, 출판 전에 1640년대에 번역 위원회의 상당한 편집을 거쳤다.[21] 이 찬송가는 오늘날 영어를 사용하는 교회(회중)에서 가장 인기 있는 찬송가 중 하나이며, 일반적으로 제시 시모어 어바인의 작품으로 알려진 찬송가 멜로디 ''크리몬드''에 맞춰 불린다.[22][23] ''브라더 제임스 에어'' 또는 ''어메이징 그레이스'', ''벨몬트'', ''에반'', ''순교'', ''올링턴'', ''윌트셔''와 같은 다른 곡조도 사용될 수 있다.[24]
시편 23편을 바탕으로 한 또 다른 인기 있는 기독교 찬송가는 헨리 윌리엄스 베이커 경 3대 남작의 "사랑의 왕, 나의 목자"(1868)이다.[25]
6. 2. 합창곡 및 기타
개신교의 찬송가 작가인 장수철은 시편 23편을 바탕으로 찬송가(주는 나를 기르시는 목자)를 작곡했으며, 이 곡은 통일찬송가에도 수록되어 있다. 나운영의 구역을 바탕으로 한 '여호와는 나의 목자시니'는 이미 일반인에게도 널리 알려진 곡이다. 개신교 CCM계에서도 여러 사람들이 시편 23편에 대한 곡을 많이 썼고, 'psalm 23'이라는 음반이 발매되기도 하였다. 최근에도 이러한 흐름은 계속 이어지고 있다. 성공회에서도 23편을 포함한 시편을 사용하여 미사 때 하나님을 예배한다.시편 23편을 바탕으로 한 주요 합창곡 및 기타 작품은 다음과 같다.
| 작곡가 | 작품명 | 기타 |
|---|---|---|
| 하인리히 쉬츠 | "Der Herr ist mein getreuer Hirt" | 코르넬리우스 베커가 독일어로 번역, SWV 120, (1628) |
|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 | Der Herr ist mein getreuer Hirt, BWV 112 | 칸타타 112번, 볼프강 메슬린의 독일어 번역 기반 |
| 제임스 리스 맥베스 베인 | 'Brother James Air'' | 찬송가 |
| 랍비 벤 시온 쉔커 | 이츠하크 펄만과 칸토르 이츠하크 메이어 헬프고트 참여[30] | |
| 레녹스 버클리 | 작품 91, 1번 | (1975) |
| 레너드 번스타인 | 치체스터 시편 | 히브리어, 2부에 시편 2편과 함께 |
| 안톤 브루크너 | 시편 22편 Der Herr regieret mich | WAB 34 (1852년경) |
| 노아 크레셰프스키 | Psalm XXIII | (2003) |
| 폴 크레스턴 | Psalm XXIII | (1945) |
| 안토닌 드보르자크 | 1~4절, 성경 가곡 4번 (1894) | |
| 하워드 굿올 | ||
| 앨런 호바네스 | 교향곡 12번, 2악장과 4악장[31] | |
| 허버트 호웰스 | Hymnus Paradisi | |
| 제시 세이모어 어바인 | Crimond | 찬송가 |
| 프리드리히 키엘 | 여섯 개의 모테트, 작품 82 1번의 4절 | |
| 프란츠 리스트 | ||
| 앨버트 헤이 맬롯 | ||
| 클레멘트 마로 | (라틴어) | |
| 알프레드 뉴먼 (작곡가) | 영화 데이비드와 밧세바 | |
| 조지 로크버그 | [32] | |
| 미클로시 로자 | [33] | |
| 에드먼드 루브라 | 세 개의 시편, 작품 61 (2번) | |
| 존 러터 | 주는 나의 목자 | (1978), 진혼곡 (1985)에 포함 |
| 프란츠 슈베르트 | "Gott meine Zuversicht" ("Gott ist mein Hirt", 1820) | 독일어 가사는 모제스 멘델스존의 작품[34] |
| 찰스 빌리어스 스탠포드 | "The Lord is my shepherd" | (1886)[35] |
| 랜들 톰슨 | [36] | |
| 벤자민 틸 | "Mizmor L'David" | (2020, 히브리어) |
| 랄프 본 윌리엄스 | [37] | |
| 알렉산더 폰 젬린스키 | 작품 14, (1910) | 합창단과 오케스트라 |
| 랍비 슐로모 카를레바흐 | Gam Ki Elech b'Gey Tzalmavet Lo Irah Rah Ki Atah Imadi. גם כי אלך | [38] |
- 시편 23편 (슈베르트)
- 시편 23편 (브루흐)
- 합창과 관현악을 위한 시편 제23번 작품 14 (쳄린스키)
7. 대중문화에서의 사용
- 1958년: 듀크 엘링턴 - Black, Brown and Beige 앨범의 "Part VI" (마할리아 잭슨과 함께)
- 1966년: 더 무디 블루스 - 앨범 ''The Magnificent Moodies'' deLuxe Edition의 "23rd Psalm" (2014년 발매)
- 1966년: 에드 에임스 - 뮤지컬 프로덕션 "I Do!, I Do!"의 RCA 빅터 싱글 "My Cup Runneth Over"
- 1972년: 데이브 커즌스 - 앨범 ''Bursting at the Seams''의 "Lay Down"
- 1977년: 데니스 브라운 - 앨범 ''Wolf & Leopards''의 "Here I Come"
- 1977년: 피터 토쉬 - 앨범 ''Equal Rights''의 "Jah Guide"
- 1977년: 핑크 플로이드 - 앨범 ''Animals''의 "Sheep"
- 1978년: 패티 스미스 그룹 - 앨범 ''Easter''의 "Privilege (Set Me Free)"
- 1980년: 그레이트풀 데드 - 앨범 ''Go to Heaven''의 "Alabama Getaway"
- 1981년: 베놈 - 앨범 ''Welcome to Hell''의 "Welcome To Hell"
- 1982년: 키스 그린 - 앨범 ''Songs for the Shepherd''의 "The Lord is my shepherd"
- 1983년: 마릴리온 - 앨범 ''Script for a Jester's Tear''의 "Forgotten Sons"
- 1985년: 주디 콜린스 - 앨범 ''Amazing Grace''의 "The Lord is my shepherd"
- 1988년: 다이아몬다 갈라스 - 앨범 ''You Must Be Certain of the Devil''의 "The Lord is my shepherd"
- 1988년: U2 - 앨범 ''Rattle and Hum''의 "Love Rescue Me"
- 1989년: 릴 루이스 - 앨범 ''From The Mind Of Lil Louis''의 "Blackout"
- 1990년: 바비 맥퍼린 - 앨범 ''Medicine Music''의 "The 23rd Psalm"
- 1993년: 알파 블론디 - 앨범 ''Jerusalem''의 "Psaume 23"
- 1993년: 크리스천 데스 - 앨범 ''Path of Sorrows''의 ''Psalm (Maggot's Lair)''
- 1994년: 하워드 굿올 - ''The Vicar of Dibley''의 테마곡, 나중에 캐서린 젠킨스와 The Choirboys가 커버
- 1994년: 가넷 실크 - 앨범 ''Give I Strength''의 "Splashing Dashing"[39]
- 1995년: 쿨리오 feat. L.V. - "Gangsta's Paradise"
- 1995년: 마이클 W. 스미스 - ''I'll Lead You Home''의 "As It Is In Heaven"
- 1995년: 투팍 샤커 - 앨범 ''Me Against The World''의 "So Many Tears"
- 1996년: 시시 휴스턴 (휘트니 휴스턴의 어머니) - ''The Preacher's Wife: Original Soundtrack Album''의 "The Lord is my shepherd"
- 1996년: 스테인드 - 앨범 ''Tormented''의 "Four Walls"
- 1997년: 크리스토퍼 월러스 (The Notorious B.I.G.) - 앨범 ''Life After Death''의 "You're Nobody ('Til Somebody Kills You)"
- 1998년: 콜린 마우비 - 샬롯 처치와 녹음
- 1998년: 캐시 트로콜리 - ''Corner of Eden''의 "Psalm 23"
- 1999년: E 노미네 - 앨범 ''Das Testament''의 "Psalm 23"
- 1999년: 조나단 엘리아스 - 앨범 ''The Prayer Cycle''의 "Forgiveness"
- 1999년: 카이-마니 말리 - 앨범 ''The Journey''의 "Lord is my shepherd"
- 2000년: 마크 노플러 - 앨범 ''Sailing to Philadelphia''의 "Baloney Again"
- 2000년: 마릴린 맨슨 - 앨범 ''Holy Wood''의 "In The Shadow Of The Valley Of Death"
- 2001년: 댄 니콜스 - 앨범 ''Be Strong''의 "Psalm 23"
- 2002년: 보즈 오브 캐나다 - 앨범 ''Geogaddi''의 "From One Source All Things Depend"
- 2003년: 루신다 윌리엄스 - 앨범 ''World Without Tears''의 "Atonement"
- 2004년: 칸예 웨스트 - 앨범 ''The College Dropout''의 "Jesus Walks"
- 2004년: 메가데스 - 앨범 ''The System Has Failed''의 "Shadow of Deth"
- 2004년: OverClocked Remix - ''Kong in Concert''의 "Beneath the Surface (Aquatic Ambiance)"
- 2005년: Ministry (band) - ''Rantology''의 "No W (Redux)"
- 2005년: The Tossers - 앨범 ''The Valley of the Shadow of Death''의 "The Valley of the Shadow of Death"
- 2006년: 돈 모엔 - "Hiding Place" 앨범의 "Psalm 23"
- 2007년: Group 1 Crew - 앨범 ''Group 1 Crew''의 "Forgive Me"
- 2007년: 드림 시어터 - 앨범 ''Systematic Chaos''의 "In The Presence Of Enemies Part 2"
- 2008년: 존 포어먼 - EP ''Summer''의 "The House of God, Forever"
- 2008년: 오프스프링 - 앨범 ''Rise and Fall, Rage and Grace''의 "Hammerhead"
- 2009년: 인디아.아리, MC 라이트 - 앨범 ''Testimony: Vol. 2, Love & Politics''의 "Psalms 23"
- 2009년: 릭 로스 - 앨범 ''Deeper Than Rap''의 "Valley of Death"
- 2010년: Nas & 데미안 말리 - 앨범 ''Distant Relatives''의 "Strong Will Continue"
- 2011년: 할리우드 언데드 - 앨범 ''American Tragedy''의 "Hear Me Now"
- 2012년: 숀 제임스 (음악가) - 앨범 ''Shadows''의 "Through the Valley"
- 2013년: J. Cole (featuring Kendrick Lamar) — "Forbidden Fruit"
- 2016년: The Last Shadow Puppets - 동명의 앨범의 "Everything You've Come to Expect"
- 2017년: Atzmus (band) - "Más Humano" (싱글)
시편 23편은 현대에도 널리 애송되는 기도문으로, 다양한 예술 작품에서 인용되거나 사용되고 있다.
- 음악:
- 오프스프링의 곡 "해머헤드" 가사에 시편 23편이 사용되었다.
- 위에 언급된 다양한 음악가들의 앨범 및 곡에서 시편 23편이 인용되거나 주제로 사용되었다.
- 영화:
- 엘리펀트 맨: 엘리펀트 맨이 시편 23편을 암송하는 장면을 통해 그의 지적 능력을 보여준다.
- 전장의 크리스마스: 영국군 포로들이 시편 23편 찬송가를 부르며 고문받는 동료를 위로한다.
- 분노의 날개: 주인공이 시편 23편을 중얼거리며 위험한 임무를 수행한다.
- 위커 맨: 함정에 빠진 주인공이 시편 23편을 절규하며 죽음을 맞이한다.
- 캐주얼티스: 전우들에게 연인을 잃은 미국 병사가 시편 23편을 암송한다.
- 드라마:
- ER 응급실: 의료 과실로 궁지에 몰린 벤턴이 교회에서 시편 23편을 암송한다.
- 로스트: 에피소드 10에서 시편 23편이 주제로 다루어지며, 미스터 에코와 찰리가 암송한다.
- 애니메이션:
- Fate/Zero: 코토미네 키레가 시편 23편을 읊는다.
- 문학:
- 『고요한 물가에서』 (로버트 셰클리): 잡일 로봇이 주인에게 시편 23편을 암송한다.
- 로버트 A. 하인라인의 소설 『죽음의 계곡을 지나더라도』: 제목이 시편 23편에서 유래되었다.
- 오카 쇼헤이의 소설 『들불』: 서두에 시편 23편의 한 구절이 인용되었다.
- 사진:
- 로저 펜턴의 크림 전쟁 세바스토폴 포위전 사진 "Valley of the Shadow of Death"(죽음의 그늘 골짜기): 시편 23편의 영어 번역에서 유래한 제목이다.
- 기타:
- 우주왕복선 컬럼비아호 공중 분해 사고: 승무원들이 시편 23편을 읊조렸다는 헛소문이 인터넷에 퍼졌다.
8. 한국 사회와 시편 23편
현대에도 애송되는 시편 23편의 한 구절은 개신교 신앙인들의 기도문으로 사용될 뿐만 아니라, 다양한 예술 작품에서도 인용되고 있다.
참조
[1]
서적
Book of Common Prayer, 1662, Psalm 23 Dominus regit me.
[2]
웹사이트
Vulgate: Psalms: Psalms Chapter 22
https://www.sacred-t[...]
[3]
간행물
Breviarum Monasticum. Dominica ad Matutinum. Ps. 22
https://archive.org/[...]
[4]
간행물
Breviarium ad usum Sarisburiense. Psalterium. Ad Primam. Psalmus xxij.
https://macsphere.mc[...]
[5]
웹사이트
The Lord is My Shepherd
http://www.aish.com/[...]
2018-06-28
[6]
웹사이트
Psalms – Chapter 23
https://mechon-mamre[...]
Mechon Mamre
[7]
웹사이트
Psalms 23 - JPS 1917
https://www.sefaria.[...]
Sefaria.org
[8]
성경
Psalm 23
[9]
웹사이트
Hammurabi's Code, circa 1780BC
http://history.hanov[...]
2017-12-12
[10]
서적
The Lord Our Shepherd
Evangelical Press of Wales
1988
[11]
논문
Psalm 23
1946-03
[12]
웹사이트
The Shepherd Psalms (Psalms 22, 23, and 24)
http://www.plymouthb[...]
Plymouth Brethren Writings
[13]
웹사이트
Possibly the Most Famous Psalm of All
https://www.ou.org/t[...]
Orthodox Union
2018-06-28
[14]
웹사이트
The Tragic Vacuum (Part Four)
http://www.jewishpre[...]
2018-06-28
[15]
서적
An Encyclopedia of American Synagogue Ritual
https://books.google[...]
Greenwood Publishing Group
[16]
웹사이트
Jewish Funeral Service & Eulogy
https://www.chabad.o[...]
2018-06-29
[17]
간행물
Book of Common Prayer: The Psalter
https://www.churchof[...]
Church of England
[18]
웹사이트
Twenty-Third Psalm
https://slife.org/tw[...]
2023-09-27
[19]
웹사이트
'Psalms Compared: Psalm 23', retrieved 2007-08-05. (no public access!)
http://www.smithcree[...]
Smith Creek Music
2014-03-12
[20]
웹사이트
Scottish Psalter and Paraphrases
http://www.ccel.org/[...]
CCEL
2006-11-16
[21]
서적
Be Still, My Soul: The Inspiring Stories behind 175 of the Most-Loved Hymns
https://books.google[...]
Tyndale House Publishers, Inc.
2020-06-03
[22]
웹사이트
Crimond
http://songsandhymns[...]
Center for Church Music – Songs & Hymns
2008-10-07
[23]
서적
Biographical Dictionary of ScottishWomen
https://books.google[...]
Edinburgh University Press
2020-06-03
[24]
웹사이트
The Lord id my shepherd
http://www.hymntime.[...]
hymntime.com
[25]
서적
Famous Hymns and Their Authors
https://archive.org/[...]
Hodder and Stoughton
2020-06-17
[26]
웹사이트
Psalm 23, Sternhold and Hopkins
http://www.cgmusic.o[...]
2020-06-17
[27]
웹사이트
Psalm 23 · Bay Psalm Book · Scriptures (goodbooksfree.com)
http://goodbooksfree[...]
2020-06-17
[28]
웹사이트
Evangelical Lutheran Hymnary Handbook
https://dokumen.tips[...]
Worship Committee of the Evangelical Lutheran Synod
2020-06-03
[29]
웹사이트
The Lord's My Shepherd
https://hymnary.org/[...]
2020-06-17
[30]
Youtube
Itzhak Perlman and Cantor Yitzchak Meir Helfgot perform Ben-Zion Shenker's Mizmor leDavid
https://www.youtube.[...]
[31]
웹사이트
Alan Hovhaness List of Works by Opus Number
https://www.hovhanes[...]
2022-10-30
[32]
문서
Together with Psalm 43 and Psalm 150 in an a capella setting for mixed chorus written in 1954. Dixon, Joan (1992). George Rochberg: A Bio-Bibliographic Guide to His Life and Works. Hillsdale, New York: Pendragon Press, p. 175.
[33]
웹사이트
The Miklós Rózsa Society Website
http://www.mrs.miklo[...]
[34]
서적
School of Music, Theatre & Dance (University of Michigan) Publications
https://books.google[...]
School of Music, University of Michigan
2020-06-17
[35]
서적
"#NOV290116"
Novello & Co Ltd.
[36]
서적
The Boston Composers Project: A Bibliography of Contemporary Music
MIT Press
1983
[37]
뉴스
Settings of: Psalm 23
http://www.choralnet[...]
2012-02-25
[38]
Youtube
Gem Ki Elech 1
https://www.youtube.[...]
[39]
웹사이트
Splashing Dashing Lyrics
https://www.jiosaavn[...]
2018-08-18
[40]
위키문헌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