쓰바메산조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쓰바메산조역은 산조시와 쓰바메시에 걸쳐 있는, 조에쓰 신칸센과 야히코선이 지나는 고가역이다. 1982년 조에쓰 신칸센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했으며, 역명은 두 도시의 이름을 따서 정해졌다. 신칸센은 2면 3선, 야히코선은 단선 1면 1선 구조로, 재래선은 무인역으로 운영된다. 2023년 기준, 1일 평균 승차 인원은 2,198명이며, 신칸센 이용객은 1,659명이다. 역 주변에는 로드사이드형 상업 시설과 버스 노선, 고속버스 정류장이 위치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쓰바메시 - 요시다역
요시다역은 니가타현 쓰바메시에 위치한 JR 동일본의 철도역으로, 에치고 선과 야히코 선이 접속하며 1912년 개업 후 1987년 JR 동일본으로 이관되었고, 역 주변에는 쓰바메 시청 요시다 청사 등의 시설이 있다. - 산조시의 철도역 - 히가시산조역
히가시산조역은 니가타현 산조시에 있는 JR 동일본의 철도역으로, 신에쓰 본선과 야히코선이 접속하며 특급 시라유키가 정차하는 곳이다. - 산조시의 철도역 - 도코지역
도코지역은 니가타현 산조시에 위치한 JR 동일본 신에쓰 본선의 역으로,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을 갖춘 무인역이며, Suica 사용이 가능하고 주변은 논밭으로 둘러싸인 시골 지역이다. - 산조시 - 산조번
에치고국 산조에 위치했던 산조번은 호리 나오마사 입성 후 여러 다이묘 가문이 다스렸으나, 이나가키 가문의 이봉 이후 막부 직할령이 되며 폐지되었다. - 산조시 - 히가시산조역
히가시산조역은 니가타현 산조시에 있는 JR 동일본의 철도역으로, 신에쓰 본선과 야히코선이 접속하며 특급 시라유키가 정차하는 곳이다.
쓰바메산조역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역 정보 | |
역 이름 | 쓰바메산조 역 |
원어 역 이름 | 燕三条駅 |
로마자 역 이름 | Tsubame-Sanjō-eki |
주소 | 니가타현 산조시 시모스고로 497 |
![]() | |
운영 정보 | |
운영 주체 | 동일본 여객철도 (JR 동일본) |
개업일 | 1982년 11월 15일 |
역 구조 | 고가역 (신칸센), 교상역 (재래선) |
승강장 | 신칸센 2면 3선, 야히코 선 1면 1선 |
역 설비 | 미도리노마도구치 (직원 근무) 대화형 지정석 발매기 설치 재래선 무인역 (승차역 증명서 발급기 있음) |
하루 평균 승차 인원 | 2,285명 (2017년 기준) |
웹사이트 | 공식 웹사이트 |
노선 정보 | |
노선 1 | 조에쓰 신칸센 |
이전 역 1 | 나가오카 |
다음 역 1 | 니가타 |
노선 2 | 야히코선 |
이전 역 2 | 쓰바메 |
다음 역 2 | 기타산조 |
거리 정보 | |
도쿄역 기점 거리 | 293.8 km |
오미야역 기점 거리 (조에쓰 신칸센) | 263.5 km |
나가오카역 기점 거리 (조에쓰 신칸센) | 23.2 km |
니가타역 기점 거리 (조에쓰 신칸센) | 40.1 km |
야히코역 기점 거리 (야히코선) | 12.9 km |
쓰바메역 기점 거리 (야히코선) | 2.6 km |
기타산조역 기점 거리 (야히코선) | 2.5 km |
코드 정보 | |
전보 약호 | 하사 |
2. 역명 유래
이 역은 산조시와 쓰바메시의 경계에 걸쳐 있어서 두 도시의 이름을 함께 사용하여 '쓰바메산조'라는 역명이 정해졌다.
조에쓰 신칸센 건설 계획 당시, 니가타역과 나가오카역 사이의 거리가 60km 이상 떨어져 있어 중간 지점에 역을 설치하기로 했다. 이 역은 재래선인 야히코선과 연결되어 야히코산, 야히코 온천 등 관광 명소로 가는 관문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되었다. 또한 요시다역에서 에치고선으로 환승하면 동해 바다를 조망할 수 있는 테라 도마리 항 등으로 연결되는 관광 거점 기능도 예상되었다.
역 위치는 유치 경쟁 끝에 두 시의 경계로 정해졌지만, 역명을 정하는 과정에서 논쟁이 발생했다. 쓰바메시는 시모에츠 지방, 산조시는 나카에츠 지방에 속해 문화적 차이가 있었고, 에도 시대부터 이어져 온 두 도시 간의 대립 관계도 영향을 미쳤다. 산조시는 '신산조'를 주장했고, 쓰바메시는 가칭이었던 '쓰바메・산조'를 밀었다. 개통 직전까지 역명이 확정되지 못할 정도로 갈등이 심했다.
결국, 역명은 쓰바메시의 이름을 앞에 둔 쓰바메산조로 결정되었고, 대신 역장실을 산조시 영역에 설치하여 역의 공식 소재지는 산조시로 하는 타협안이 마련되었다.
흥미로운 점은 역 개통 4년 전에 개통된 호쿠리쿠 자동차도의 산조 쓰바메 인터체인지 이름은 '산조 쓰바메'로, 신칸센 역명인 쓰바메산조와 순서가 반대라는 것이다. 이러한 결정 배경에 대해 쓰바메시 역사 기록에는 "고도의 정치적 판단이 작용했다는 말도 있지만, 진상은 알 수 없다"고 기술되어 있다.[19]
3. 역사
4. 역 구조
쓰바메산조역은 조에쓰 신칸센과 야히코 선이 수직으로 교차하는 지점에 위치한 환승역이다.[6] 역 건물은 신칸센 승강장 아래, 야히코선 승강장 위에 자리 잡고 있으며, 역 기능의 중심인 역사는 2층에 있다.[1]
역에는 직원이 상주하는 ''미도리노마도구치'' 매표소가 있으며, Suica 교통카드를 이용할 수 있다.[1]
2층의 신칸센 개찰구 주변에는 자동 개찰기, 터치 패널식 자동 발권기[20], 지정석 발권기[18], 말하는 지정석 발권기[18], 실내 대합실[20], 코인 로커[20], 매점 NewDays[20] 등이 설치되어 있다. 에스컬레이터와 계단[20]을 사이에 두고 반대편의 재래선(야히코선) 개찰구 주변에는 관광 물산 센터 '츠바메산조 Wing'[20], 엘리베이터[20], 점포[20], 다목적 화장실을 포함한 화장실[20], 승차역 증명서 발권기, 간이형 자동 개찰기가 있다. 또한, 츠바메산조 지역 지바 산업 진흥 센터에서 운영하는 지역 특산품 쇼케이스가 설치되어 85개사의 제품을 전시하고 있다.[12]
1층에는 점포[20], 산조 경찰서 츠바메산조역 파출소[21][22], 화장실[20], 역 렌터카 창구[20]가 있다. 과거 1998년부터 2014년 4월까지는 커뮤니티 FM 방송국인 츠바메산조 FM 방송(라디오 하트)의 본사 겸 스튜디오가 있었으나, 현재는 이전하였고 해당 공간은 대합 공간으로 사용되고 있다.[23]
4. 1. 승강장
쓰바메산조역은 총 3층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역사는 2층에 위치한다. 조에쓰 신칸센과 야히코 선 두 노선이 수직으로 교차하는 형태이다.[1] 역에는 직원이 상주하는 ''미도리노마도구치'' 매표소가 있으며, Suica 교통카드를 사용할 수 있다.[1]'''조에쓰 신칸센'''
3층에 위치한 신칸센 승강장은 단선 승강장 1면 1선과 섬식 승강장 1면 2선을 합친 총 2면 3선의 고가역 구조이다. 승강장 사이에는 열차가 통과하는 본선이 있으며, 바깥쪽으로는 부본선(대피선)을 갖추고 있다. 중앙 통과 본선의 포인트는 고속 주행 시험 시 시속 430km에서의 통과에 대응하도록 설계되었다.
- 11번 승강장: 니가타 방면 하행 열차가 이용하는 단선 승강장이다.
- 12번 승강장: 도쿄 방면 상행 열차가 주로 이용하는 섬식 승강장의 본선 측이다.
- 13번 승강장: 임시 승강장으로, 평상시에는 열차가 정차하지 않는다. 열차 운행 지연 시 정차 및 대피, 또는 차량 전시 이벤트 등에서 장시간 열차를 유치할 때 사용된다.
개찰층인 2층과 신칸센 승강장 사이에는 엘리베이터와 에스컬레이터가 설치되어 있다.
(출처: [https://www.jreast.co.jp/estation/stations/1018.html JR 동일본: 역 구내도])
'''야히코선'''
1층에 위치한 야히코선 승강장은 원래 존재하지 않았으나, 조에쓰 신칸센과의 환승 편의를 위해 신칸센 개통 이후 신설되었다. 이는 사쿠다이라역과 유사한 사례이다.
야히코선 승강장은 단선 승강장 1면 1선을 갖춘 지상역[6]이며, 역 건물 2층과 연결되는 교상 구조이다. 승강장 번호는 별도로 부여되지 않았다. 본래 섬식 구조로 설계되었으나 현재는 북쪽의 1면만 사용하고 있으며, 남쪽에는 장래 교환 설비 설치를 대비한 용지가 마련되어 있다.
쓰바메산조역 자체는 유인역이지만, 야히코선 승강장에는 별도의 유인 개찰구가 없어 무인역으로 취급[6]된다. 야히코선 승강장과 2층 개찰구 사이에는 엘리베이터나 에스컬레이터가 설치되어 있지 않다.
5. 이용 현황
JR 동일본에 따르면, 2023년도(레이와 5년도)의 1일 평균 '''승차''' 인원은 '''2,198명'''이며, 이 중 신칸센 이용객은 하루 평균 '''1,659명'''이다.[59][60] 2017년도에는 하루 평균 2,285명의 승객이 이용했으며(승차 승객만 해당)[4], 2008년도의 1일 평균 승차 인원수는 2,144명이었다.
2000년도(헤이세이 12년도) 이후의 추이는 다음과 같다.
6. 주변 지역
쓰바메산조역에서는 야히코 신사로 가는 야히코선을 이용할 수 있다. 야히코에 위치한 이 신사는 고대 에치고국의 ''이치노미야'', 즉 최고 신사였으며, 수많은 일본의 중요 문화재를 보유하고 있다.[3][5]
이 역은 니가타현 현앙 지역을 대표하는 산조시와 쓰바메시에 걸쳐 있으며, 역사의 소재지는 북쪽의 쓰바메시와 남쪽의 산조시에 양분되어 있다. 다만 등기상으로는 역장실이 있는 산조시를 소재지로 하고 있다(역사 참조).
역사를 기준으로 서쪽은 쓰바메 출구, 동쪽은 산조 출구로 나뉜다. 각 출구에는 로터리가 있으며, 역 광장, 버스 및 택시 승강장, 주차장 등이 비슷한 규모로 조성되어 있다.
쓰바메산조역은 조에쓰 신칸센 개통과 함께 신설된 역이다. 개통 초기에는 역 주변이 대부분 논이었고, 호쿠리쿠 자동차도와 국도 8호선이 지나는 정도였으며 상점과 주택도 드물었다. 그러나 이후 철도 노선 2개와 간선 도로 3개가 교차하는 입지적 장점을 바탕으로 개발이 빠르게 진행되었다. 현재 역 주변에는 로드사이드형 대형 점포가 다수 들어서 있으며, 산조시와 쓰바메시를 중심으로 한 현 중앙 지역의 교통 및 경제 중심지 역할을 하고 있다. 이러한 배경 때문에 역 주변 체인점들은 실제 소재지와 관계없이 '쓰바메산조점'이라는 명칭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지만, '쓰바메산조'라는 공식적인 지명은 존재하지 않는다.
역 북쪽에는 호쿠리쿠 자동차도의 산조쓰바메IC가 있으며, 쓰바메산조역은 일본에서 고속도로 나들목과 가장 가까운 신칸센 정차역이다. 역 앞에는 호텔들이 늘어서 있고, 국도변을 중심으로 교외형 상업 시설과 음식점 등이 많이 자리 잡고 있다.
주요 시설:
- 코메리 쇼핑 센터
- 아크란즈 본사·유통 센터
- 홈 센터 무사시 산조점
- 이온 현앙점 (구: 현앙 사티)
- 쓰바메산조 워싱턴 호텔
- 이온 시네마 현앙
- 멧세피아
- 도로 휴게소 쓰바메산조 지바산 센터
- 니가타현 공업기술종합연구소 현앙 기술 지원 센터
- 산조시 상공회의소
- 산조 시립 대학
- 산조 간호·의료·치과위생 전문학교
- 자생회 니가타현앙 기간 병원
7. 버스 노선
쓰바메산조역에서는 다양한 종류의 버스 노선을 이용할 수 있으며, 정류장은 역의 삼조구와 쓰바메구 출구 로터리, 그리고 역 주변 도로에 분산되어 위치해 있다. 주요 운행 버스로는 니가타 교통 관광 버스와 에치고 교통이 운영하는 노선 버스, 쓰바메시의 커뮤니티 버스 등이 있다. 또한, 도쿄, 오사카 등 주요 도시로 향하는 고속 버스 노선도 운행되고 있다. 각 버스 노선 및 정류장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하위 문서를 참고할 수 있다.
7. 1. 노선 버스·커뮤니티 버스
역 삼조구 로터리 안에는 니가타 교통 관광 버스와 에치고 교통 두 회사의 버스 정류장이 있으며, 아래의 노선 버스와 커뮤니티 버스가 운행되고 있다. 버스 정류장 이름은 각각 "쓰바메산조역 삼조구"와 "쓰바메산조역 앞"이지만, 같은 장소에 설치되어 있다.또한, 쓰바메구치 광장의 로터리 안에는 쓰바메시의 커뮤니티 버스인 "スワロー号|스와로호일본어"의 버스 정류장이 있다.
'''"쓰바메산조역 삼조구"''' (니가타 교통 관광 버스)
- 히가시산조역 앞 행
- 신이다신마치 행
'''"쓰바메산조역 앞"''' (에치고 교통)
- 야기ヶ하나 온천 행
- 가모역 앞 행
- 쓰바메역 앞 행
- 데라토마리 차고 행
- 〔무료 버스〕 야히코 경륜장 앞 행
- : 야히코 경륜장의 개최일 및 장외 발매일에만 운행한다. 무료로 승차할 수 있지만, 중간 정류장에서는 내릴 수 없다.
- 산조 시내 순환 버스 구룻토산일본어 남쪽 코스
- 정시 정노선 버스 스고로쿠선일본어
'''"쓰바메산조역"''' (쓰바메구치)
- 쓰바메시 순환 버스 "スワロー号|스와로호일본어" (엣사 관광 버스가 운행)
- * 쓰바메 노동재해 병원·쓰바메역·요시다역·미치노에키 쿠니가미·테마리의 湯·초신 방면
- 쓰바메시 커뮤니티 버스 (2021년 5월 기준 실증 운행 중)
- * 쓰바메 노동재해 병원·신세이초 방면
- * 쓰바메시 산업사료관·쓰바메역 방면
7. 2. 고속 버스
고속버스 정류장은 역 앞 로터리 내가 아닌, 주변 도로 위에 설치되어 있다.과거 투어 버스 노선을 운행하던 각 회사는 산조구 방면 근처에 공동 정류소를 설치하여 운영하고 있다.
'''"쓰바메산조역 산조구" 정류소'''
산조구 광장 내가 아닌, 산조구 교차로 남쪽 시도(쓰바메산조역 제2주차장 맞은편)에 설치되어 있다.
운영 회사 | 노선명 | 주요 행선지 |
---|---|---|
잼잼 익스프레스 | JAMJAM 라이너 | 도쿄역《가지바시 주차장》 |
WILLER EXPRESS | 바스타 신주쿠, 가와사키, 이케부쿠로(선샤인시티), 도쿄 디즈니랜드, 오사카(우메다), 유니버설 스튜디오 재팬 | |
사쿠라 교통 | 키라키라호 | 바스타 신주쿠, 요코하마 |
니가타 교통, 에치고 교통 등이 운행하는 일반 고속 노선 버스의 경우, 쓰바메산조역 출구 근처에는 정류장이 없다. 가장 가까운 정류장은 고속도로 상에 있는 산조 쓰바메 버스 정류장(쓰바메산조역 쓰바메구에서 북쪽으로 도보 약 12분 거리) 또는 산조 쓰바메 IC 출입구 주변의 국도 289호선 상에 있는 정류장(산조 쓰바메 인터 동, 산조 쓰바메 인터 앞)이다.
단, 에치고 교통 등이 운행하는 오사카・교토 - 가시와자키・나가오카・산조선은 쓰바메산조역 주변에는 정류소를 설치하지 않고 있다.
8. 인접역
(도쿄 방면)
(니가타 방면)
(야히코 방면)
(히가시산조 방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