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마르셀 르페브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르셀 르페브르는 프랑스의 가톨릭 주교이자 전통주의 신앙을 옹호한 인물이다. 1929년 사제 서품을 받은 후 아프리카 선교사로 활동했으며, 1947년 다카르 대목구장, 1948년 프랑스령 아프리카 교황 사절을 역임했다. 제2차 바티칸 공의회에 참여하여 자유주의적 경향에 반대하며, 1970년 성 비오 10세회를 설립했다. 바티칸과의 갈등 끝에 1988년 주교 서품을 강행하여 파문되었으며, 2009년 파문이 철회되었다. 르페브르는 트리엔트 미사 옹호, 에큐메니즘 거부 등 보수적인 신학적 입장을 견지했으며, 프랑스 혁명을 비판하고 극우 정치 이념을 지지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프랑스의 로마 가톨릭 대주교 - 장루이 토랑
    장루이 토랑은 프랑스 출신의 로마 가톨릭 추기경으로, 교황청 외교관, 고위 성직자, 종교 간 대화와 국제 관계에 기여했으며, 교황청 국무성성 외무부장, 바티칸 비밀문서고 및 도서관 사서, 교황청 종교간대화평의회 의장 등을 역임하고 파킨슨병을 앓았음에도 활발히 활동하다 2018년에 사망했다.
  • 프랑스의 로마 가톨릭 대주교 - 위그 (베르망두아)
    위그 (베르망두아)는 10세기 프랑스 왕국의 성직자로, 랭스 대주교를 지냈으며 헤르베르트 2세의 아들로 정치적 상황에 따라 해임과 복직을 반복하고 오세르 주교를 거쳐 파문당한 후 뫼욱스에서 사망했다.
  • 성 비오 10세회 - 베르나르 펠레이
    베르나르 펠레이는 스위스 출신 로마 가톨릭 사제로서, 교황의 사전 승인 없이 주교로 서임되어 파문되었으나 후에 철회되었고, 성 비오 10세회 총장을 역임하며 제2차 바티칸 공의회와 교황들을 비판했다.
  • 성 비오 10세회 - 베르나르 티시에 드 마예레
    프랑스 출신 로마 가톨릭 사제이자 성 비오 10세회 주교였던 베르나르 티시에 드 마예레는 1975년 사제 서품 후 성 비오 10세회에서 교수 및 사무총장으로 활동했으며, 1988년 주교 서임 후 파문되었다가 철회되었고, 《이성에 의해 위협받는 신앙: 베네딕토 16세의 해석학》 등의 저서를 집필했으며 2024년 사망했다.
  • 투르쿠앵 출신 - 요안 카바예
    요안 카바예는 프랑스의 전 축구 선수로, 중앙 미드필더로 활약하며 릴 OSC, 뉴캐슬 유나이티드, 파리 생제르맹 등에서 리그 우승을 경험했고 프랑스 국가대표로도 활동했으며, 은퇴 후 파리 생제르맹 유소년 아카데미에서 스포츠 코디네이터로 활동하고 있다.
  • 투르쿠앵 출신 - 알베르 루셀
    프랑스의 작곡가 알베르 루셀은 해군 장교 복무 중 동양 항해 경험과 인상주의 음악의 영향을 받아 독자적인 음악 세계를 구축했으며, 발레 《거미의 향연》, 《바쿠스와 아리아드네》, 4개의 교향곡 등의 작품으로 프랑스 음악계에 큰 영향을 미쳤다.
마르셀 르페브르
지도 정보
기본 정보
마르셀 르페브르 대주교의 초상
마르셀 르페브르 대주교, 1962년경.
본명마르셀-프랑수아 마리 조제프 르페브르
출생일1905년 11월 29일
출생지투르쿠앵, 프랑스
사망일1991년 3월 25일
사망지마르티니, 스위스
매장지성 비오 10세 국제 신학교, 에콘, 스위스
국적프랑스
종교가톨릭
부모르네 르페브르 (아버지)
모교로마 프랑스 신학교
좌우명(그리고 우리는 사랑을 믿었네)
교회 경력
직함튈 명예 대주교-주교
임명일1962년 1월 23일
임기 종료1962년 8월 7일
이전에마블 샤세뉴
후임앙리 클레망 빅토르 동즈
서품일1929년 9월 21일
서품자아실 리에나르
주교 서임일1947년 9월 18일
주교 서임자아실 리에나르
기타 직책성 비오 10세회 창립자 겸 총장 (1970–1982)
이전 직책다카르 대목구장 (1947–1955)
안테돈 명의 주교 (1947–1948)
생루이 뒤 세네갈 대목구장 (1948–1955)
아르카디오폴리스 인 에우로파 명의 대주교 (1948–1955)
프랑스령 아프리카 교황 대리 (1948–1959)
다카르 대주교 (1955–1962)
성령회 총장 (1962–1968)
프리기아의 시나다 명의 대주교 (1962–1970)
서임 정보
서품 집전자아실 리에나르
사제 서품일1929년 9월 21일
서임 집전자아실 리에나르
공동 서임자,
주교 서임일1947년 9월 18일
주교 계보
주교 1조르주-앙리 기베르
서임일 11950년 2월 19일
서임일 21952년 10월 26일
서임일 31961년 7월 2일
주교 4베르나르 티시에 드 말레레
서임일 41988년 6월 30일
주교 5리처드 윌리엄슨
서임일 51988년 6월 30일
주교 6알폰소 데 갈라레타
서임일 61988년 6월 30일
주교 7베르나르 펠라이
서임일 71988년 6월 30일
기타 정보
소속 수도회성령회 성 비오 10세회
서명

2. 유년기와 사제품

1923년 르페브르는 아버지의 뜻에 따라 로마에 있는 프랑스 신학교에 입학하였다.[219] 훗날 그는 자신이 보수적인 시각을 갖게 된 것은 브르타뉴 출신 사제인 앙리 르 플로슈의 영향이라고 회고하였다.[220] 군 복무로 인해 1926년부터 1927년까지 신학 공부가 잠시 중단되었다.[221] 1929년 5월 25일 산 조반니 인 라테라노 대성전에서 부제 서품을 받았고,[133] 1929년 9월 21일 릴 교구장 아실 리나르 주교에게 사제 서품을 받았다.[134] 이후 로마에서 계속 공부하여 1930년 7월 신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222]

1930년 추기경이 된 리나르 교구장은 르페브르에게 릴 교회 롬 본당의 보좌 신부로 갈 것을 지시하였으나,[223] 르페브르는 성령 수도회 선교사가 되기를 원했다. 리나르 추기경은 1년 동안 본당 사목을 한 후 선교 활동을 고려해 보라고 설득했다.[224] 1931년 7월, 리나르 추기경은 르페브르를 교구에서 해임했고, 9월에 르페브르는 오를리에 있는 성신 신부회 수련자가 되었다. 1932년 9월 8일 유기서원을 하였다.[225]

르페브르는 가봉 리브르빌의 성 요한 신학교 교수로 처음 임명되었고,[226] 1934년에는 신학교 총장이 되었다.[227] 1935년 9월 28일 종신 서원을 하고 가봉의 성신 신부회 총장이 되었다.[228] 1945년 10월, 수도회 총장의 지시로 프랑스 모르탱의 성신 신부회 신학교 교수가 되었다.[223]

2. 1. 유년 시절

1908년 르페브르의 가족 사진. 가장 왼쪽에 있는 소년이 르페브르이다.


마르셀 르페브르는 프랑스 노르주 투르쿠앵에서 직물 공장 주인 르네 르페브르[215]와 그의 아내 가브리엘레 사이에서 8자녀 가운데 셋째이자 둘째 아들로 태어났다.[216] 그의 부모는 매우 독실한 가톨릭 신자였으며, 매일 미사에 아이들을 데리고 참례하였다.[216] 르페브르의 아버지는 군주주의자였으며,[217]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독일 점령 하의 투르쿠앵에서 영국군의 스파이로 활동하였다.[218]

1923년 르페브르는 아버지의 소원에 따라 성직자가 되기 위해 로마에 있는 프랑스 신학교에 입학하였다.[219] 훗날 그는 자신이 보수적인 시각을 갖게 된 것은 브르타뉴 출신 사제인 앙리 르 플로슈의 영향이라고 회고하였다.[220] 그의 신학 공부는 군복무 기간인 1926년에서 1927년까지 잠시 중단되었다.[221] 1929년 5월 25일 르페브르는 로마의 산 조반니 인 라테라노 대성전에서 부제 서품을 받았다. 그리고 1929년 9월 21일에는 릴의 교구장 아실 리나르 주교로부터 사제 서품을 받고 릴 교구 소속이 되었다.[134] 사제 서품 후, 르페브르는 로마에서 남은 공부를 마치고 1930년 7월 신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222]

1930년 추기경이 된 리나르 교구장은 르페브르에게 릴 교회 롬 본당의 보좌 신부로 갈 것을 지시하였다.[223] 그러나 르페브르는 이미 성령 수도회 회원으로서 다른 나라로 선교하러 갈 수 있게 해 달라고 요청한 상황이었다. 그렇지만 리나르 추기경은 르페브르에게 릴 교구에서 1년 동안 본당 사목 일을 하면서 나중에 선교 활동을 하러 가도 늦지 않는다고 충고하였다.[224] 1931년 7월 리나르 추기경은 르페브르를 교구 소속에서 풀어주었다. 그해 9월 르페브르는 오를리에 있는 성신 신부회에 입회하여 수련자가 되었다. 그로부터 1년 후인 1932년 9월 8일 그는 유기서원을 하였다.[225]

르페브르가 처음으로 부여받은 소임은 가봉리브르빌에 있는 성 요한 신학교의 교수였다.[226] 1934년 그는 신학교의 총장이 되었다.[227] 1935년 9월 28일 르페브르는 종신 서원을 하였다. 그리고 가봉의 성신 신부회 총장이 되었다.[228] 1945년 10월 르페브르는 수도회 총장으로부터 프랑스로 돌아가 모르탱에 있는 성신 신부회 신학교구의 교수로 봉사하라는 지시를 받았다.[223]

2. 2. 사제 서품

1923년 르페브르는 사제 서품을 받기 위한 공부를 시작했다. 그의 아버지는 교구 신학교가 진보적인 경향을 보일 것이라고 의심하여, 그의 형을 따라 로마의 프랑스 신학교로 갈 것을 고집했다.[13] 그는 나중에 그의 보수적인 견해가 원장이자 브르타뉴인 사제인 앙리 르 플로흐 신부에게서 비롯되었다고 말했다.[14] 그는 군 복무를 위해 1926년과 1927년에 학업을 중단했다.[15] 1929년 5월 25일, 그는 로마의 라테란 대성전에서 바실리오 폼필리 추기경에 의해 부제로 서품되었다.[16] 1929년 9월 21일, 그는 릴 교구의 주교인 아킬 레나르에 의해 릴 교구의 사제로 서품되었다.[17][18] 서품을 받은 후, 그는 로마에서 학업을 계속하여 1930년 7월 신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19]

르페브르는 성령 수도회의 일원으로서 선교 사업을 할 수 있도록 허락해 줄 것을 요청했지만, 1930년 8월 레나르 주교는 그가 먼저 릴 외곽의 롬의 본당에서 보좌 신부로 일할 것을 요구했다.[20][21] 레나르 주교는 1931년 7월 그를 교구에서 해임했고, 르페브르는 9월에 오를리에 있는 성령 수도회의 수련원에 들어갔다.[9] 1932년 9월 8일, 그는 3년 동안의 서원을 했다.[22]

2. 3. 가봉 선교

성령 수도회 사제로서 르페브르의 첫 번째 임무는 아프리카 가봉의 수도 리브르빌에 있는 성 요한 신학교의 교수직이었다.[139] 1934년에는 신학교 교장이 되었다.[140] 1935년에는 종신 서원을 했다. 가봉에서 상위자로서 많은 성령 수도회의 선교 활동에 종사했다.[141]

3. 아프리카의 주교

1947년 교황 비오 12세에 의해 세네갈 다카르 대목구장 겸 안테돈의 명의 주교로 서임된 르페브르는 주교 서품 후 약 350만 명의 인구를 담당하는 지역의 책임자가 되었으나, 그 중 가톨릭 신자는 5만 명에 불과했다.[229]

1948년 르페브르는 세네갈 주재 교황 대사로 근무하면서 프랑스 식민제국의 교황 사절을 겸임하게 되어, 프랑스령 아프리카 46개 교구에서 교황을 대리하는 역할을 맡았다. 레위니옹 교구 외에 마다가스카르 섬 전체와 인접한 섬들이 그의 관할 구역에 속했지만, 카르타고, 콩스탕틴, 알제, 오랑 등 북아프리카 지역 교구들은 제외되었다.[30] 이와 함께 르페브르는 에우로파 교구의 명의 대주교로 승품되었다.

교황 비오 12세는 프랑스령 아프리카 지역에 대목구와 지목구가 아닌 주교들로 구성된 정식 교계제도가 조속히 수립되기를 바랐으며, 르페브르는 교황 사절로서 프랑스령 아프리카 지역에 교계제도를 설정하는 주된 임무를 수행했다. 그는 새로운 주교 인선을 포함하여[230] 사제와 수녀,[231] 성당과 교구의 수를 늘리는 데 힘을 쏟았다.

1955년 다카르 대목구가 대교구로 승격되면서 르페브르는 초대 다카르 대교구장 주교가 되었다. 르페브르 대주교는 비오 12세가 서구 성직자와 평신도들에게 제3세계 선교를 요청한 회칙 《피데이 도눔》을 작성하는데 있어 가장 중요한 조언자였다.[232]

1958년 교황 비오 12세가 선종하고, 1959년 교황 요한 23세가 뒤를 이었다. 요한 23세는 르페브르에게 교황 사절과 다카르 대교구장 중에 양자택일을 할 것을 권유하였다.[231] 결국 다른 사람이 프랑스령 아프리카 지역의 교황 사절이 되었으며, 르페브르는 1962년까지 다카르 대교구장이라는 직함은 그대로 유지한 채 프랑스의 튈 교구로 이동하였다.[214] 1960년 요한 23세는 르페브르를 제2차 바티칸 공의회의 의제를 담당하는 준비위원회 위원으로 임명하였다.[233]

3. 1. 주교 서임

1947년 6월 12일, 교황 비오 12세는 르페브르를 세네갈 다카르의 대목구장 겸 안테돈의 명의 주교로 서임했다.[142][143] 1947년 9월 18일, 투르쿠앵에 있는 자신의 옛 본당에서 아실 리나르 추기경 주재로 주교 서임이 이루어졌다.[133][144] 당시 르페브르는 약 350만 명의 인구를 담당하는 지역을 책임지게 되었는데, 그 중 가톨릭 신자는 5만 명에 불과하였다.[145]

1948년 9월 22일, 르페브르는 세네갈 주재 교황 대사로 계속 근무하면서, 프랑스 식민제국의 교황 사절을 겸임하게 되었다. 그는 프랑스 정부의 지배 아래 놓인 아프리카 지역 46개 교구에서 교황을 대리하는 역할을 맡았다.[148] 이와 함께 르페브르는 에우로파 교구의 명의 대주교로 승품되었다.[149]

교황 사절로서 르페브르의 주된 임무는 프랑스령 아프리카 지역에 교계제도를 설정하는 것이었다. 교황 비오 12세는 대목구와 지목구가 아닌 주교들로 구성된 정식 교계제도가 조속히 수립되기를 바랐다. 르페브르는 새로운 주교 인선을 포함하여[151] 사제와 수녀,[152] 성당과 교구의 수를 늘리는 데 힘을 쏟았다.[125]

1955년 9월 14일, 다카르 대목구가 대교구로 승격되면서 르페브르는 초대 다카르 대교구장 주교가 되었다.[150][153] 그는 비오 12세가 서구 성직자와 평신도들에게 제3세계 선교를 요청한 회칙 《피데이 도눔》 작성에 중요한 조언자 역할을 수행했다.[154]

3. 2. 교황 사절 임명

1947년 6월 12일, 교황 비오 12세는 르페브르를 세네갈 다카르의 대목구장 겸 안테돈 명의 주교로 임명했다.[142] 1947년 9월 18일, 투르쿠앵에 있는 자신의 옛 본당에서 아실 리나르 추기경 주재로 주교 서품을 받았다.[133][144]

새 임무를 맡은 르페브르는 약 350만 명이 사는 지역을 책임졌는데, 그중 가톨릭 신자는 5만 명에 불과했다.[145]

1948년 9월 22일, 르페브르는 다카르 대목구장직을 유지하면서 프랑스령 아프리카의 교황 사절이라는 중책을 추가로 맡게 되었다.[146][147] 그는 46개 교구에서 교황청을 대표하는 역할을 수행했다.[151][148] 이와 함께 르페브르는 에우로파의 아르카디오폴리스 명의 대주교로 임명되었다.[149]

교황 사절로서 르페브르의 주된 임무는 프랑스령 아프리카에 교계제도를 확립하는 것이었다.[150] 교황 비오 12세는 대목구나 지목구가 아닌 주교들로 구성된 정상적인 교계제도로 빠르게 전환하기를 원했다. 르페브르는 새로운 주교를 선출하고,[151] 사제와 수녀의 수를 늘리며,[152] 여러 교구에 성당을 늘리는 일에 힘썼다.[125]

1955년 9월 14일, 다카르 대목구가 대교구로 승격되면서 르페브르는 초대 다카르 대주교가 되었다.[150][153] 르페브르 대주교는 비오 12세가 서구 성직자와 평신도에게 제3세계 선교를 독려하는 회칙 《피데이 도눔》(Fidei Donum)을 작성하는 데 중요한 조언자 역할을 했다.[154]

1958년 비오 12세가 사망하고 1959년 교황 요한 23세가 교황직을 계승했다.[155] 요한 23세는 르페브르에게 교황 사절과 다카르 대교구장 중 하나를 선택하도록 했고,[152] 결국 다른 사람이 프랑스령 아프리카의 교황 사절이 되었다. 르페브르는 1962년까지 다카르 대교구장 직함을 유지한 채 프랑스의 튈 교구로 이동했다.[125][156] 1960년, 요한 23세는 르페브르를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중앙 준비 위원회 위원으로 임명했다.[157]

3. 3. 다카르 대주교

1947년 6월 12일, 교황 비오 12세는 마르셀 르페브르를 세네갈 다카르의 대목구장 겸 안테돈의 명의 주교로 임명했다.[142][143] 1947년 9월 18일, 투르쿠앵에서 르페브르를 사제로 서품했던 리에나르 추기경이 주교 서품식을 집전했고, 장-밥티스트 포레 주교와 알프레드-장-펠릭스 앙셀 주교가 함께했다.[133][144] 르페브르는 350만 명 중 가톨릭 신자가 5만 명뿐인 지역의 책임을 맡게 되었다.[145]

1948년 9월 22일, 르페브르는 다카르 대목구장직을 유지하면서 프랑스령 아프리카의 교황 사절이라는 중책을 추가로 맡게 되었다.[146][147] 그는 아프리카 46개 교구[151]에서 교황청을 대리하는 역할을 수행했으며,[148] 이와 함께 에우로파의 아르카디오폴리스 명의 대주교로 임명되었다.[149]

교황 사절로서 르페브르의 주된 임무는 프랑스령 아프리카에 교회 조직을 설립하는 것이었다.[150] 교황 비오 12세는 빠른 시일 내에 교계 제도가 확립되기를 원했고, 르페브르는 새로운 주교를 선임하고,[151] 사제와 수녀의 수를 늘리며,[152] 여러 교구에 성당을 건립하는 책임을 맡았다.[125]

1955년 9월 14일, 다카르 대목구는 대교구로 승격되었고, 르페브르는 초대 다카르 대주교가 되었다.[150][153] 르페브르 대주교는 교황 비오 12세제3세계 선교 활동을 장려하고 더 많은 선교사를 요청하는 회칙 《믿음의 선물》(Fidei Donum)을 작성하는 데 가장 중요한 조언자 역할을 했다.[154]

3. 4. 튈 교구 이동

1962년 1월 23일, 르페브르는 프랑스에서 가장 작은 교구 중 하나인 튈 교구로 전임되었으며, 대주교라는 개인적인 칭호는 유지했다.[38][41] 1962년 4월 4일, 그는 신앙 전파성의 자문으로 임명되었다.[42]

4. 성신 신부회 총장

1962년 7월 26일 성신 신부회 총회는 르페브르를 총장으로 선출하였다.[234] 르페브르는 풍부한 선교 경험 덕분에 많은 사람에게 존경을 받았다.[235] 그러나 성신 신부회의 일부 진보적인 인사들, 특히 프랑스에서는 그의 사목 방식을 권위주의적인 것으로 치부하며 급진적인 개혁을 원하고 있었다.[235] 같은 해 8월 7일 르페브르는 프리기아 쉰나다의 명의 대주교에 임명되었다.

르페브르는 성신 신부회에서 큰 영향력을 갖고 있는 대다수 회원으로부터 교회의 현대화와 개혁을 위해 교회 지도자들과 프랑스 주교회의의 요구에 제대로 부응하고 있지 않다는 비판을 지속적으로 받았다. 1968년 9월, 성신 신부회 총회는 제2차 바티칸 공의회에 따른 변화에 따라 회(會)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논의하기 위해 로마에서 회의를 열었다. 총회의 첫 번째 조치는 르페브르를 대신하여 회의를 주재할 의장들을 지명하는 것이었다. 그러자 르페브르는 교황 바오로 6세에게 성신 신부회 총장 자리에서 물러나겠다면서 사직서를 제출하였다.[236] 훗날 그는 이 일에 대해 더는 자신의 이야기를 들으려 하지 않는 데다가 자신을 원하지 않는 단체의 총장으로 남는다는 것은 불가능했다고 회고하였다.[237]

5.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제2차 바티칸 공의회에서 르페브르는 공의회에 상정될 문건 초안 토론에 참여하고, 공의회 방향에 우려를 표하며 국제 교부회(Coetus Internationalis Patrum)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했다.[238][239][214][240] 종교의 자유 문제는 공의회에서 가장 첨예한 논쟁을 불러일으킨 주제였다.[241] 르페브르는 알프레도 오타비아니 추기경과 함께 초안 제목을 '교회와 국가의 관계 및 종교적 관용'으로 변경하는 것을 지지했다.[244] 4인 특별 위원회 위원으로 지명되었으나, 교황의 승인을 받지 못해 그리스도인일치촉진평의회로 초안 작성 책임이 넘어갔다.[242][243] 국제 교부회는 예비 투표를 연기시키는 데 성공했지만, 1965년 12월 7일 《인간 존엄성》 채택을 막지 못했다. 르페브르는 반대표를 던졌지만, 교황 서명 후 이 선언에 서명했다.[245]

5. 1. 공의회 참여

교황 요한 23세는 제2차 바티칸 공의회를 준비하기 위해 르페브르를 중앙 준비 위원회 위원으로 임명했고, 르페브르는 공의회에 제출할 문서 초안 작성에 참여했다.[37] 1962년 10월부터 12월까지 열린 공의회 제1회기[239] 동안 르페브르는 공의회 논의 방향에 대해 우려를 표명하기 시작했다.[214] 그는 제랄두 드 프로엔사 시가우드 대주교를 중심으로 하는 주교들의 연구 모임인 국제 교부회(Coetus Internationalis Patrum, CIP)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했다.[240][50][51]

공의회에서 가장 큰 논쟁거리 중 하나는 종교의 자유 문제였다.[241] 르페브르 대주교는 알프레도 오타비아니 추기경과 함께 ‘종교의 자유에 대하여’라는 초안 대신 ‘교회와 국가의 관계 및 종교적 관용’이라는 제목을 지지했다.[244] 국제 교부회는 이 초안에 대한 예비 투표를 공의회 제4회기까지 연기시키는 데는 성공했지만,[242] 1965년 12월 7일, 결국 대다수의 찬성으로 종교 자유에 관한 선언 《인간 존엄성》이 채택되는 것을 막지는 못했다.[245] 르페브르는 《인간 존엄성》 채택에 반대표를 던졌지만, 교황이 서명한 후 이 선언에 서명했다.[55]

5. 2. 국제 교부회 활동

교황 요한 23세에 의해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준비위원회 위원으로 위촉된 르페브르는 공의회에 상정될 문건 초안들에 대한 토론에 참석하였다.[238] 1962년 10월부터 12월까지 소집된 공의회 제1회기[239]에서 그는 공의회에서 다룰 사항들의 방향성에 대해 우려하기 시작했다.[214] 르페브르는 국제 교부회(Coetus Internationalis Patrum)로 알려진 일부 공의회 주교들의 연구 모임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하였다.[240]

공의회에서 가장 첨예한 논쟁을 불러일으킨 주제는 종교의 자유 문제였다.[241] 페리클레 펠리치 대주교는 르페브르 대주교와 그의 생각에 동조하는 다른 주교 두 명과 함께 이 문제를 다룰 초안 문서를 재작성하는 책임을 맡은 4인 특별 위원회 위원으로 지명한다고 발표했지만,[242] 곧 이 조치가 교황의 승인을 받지 않았음이 드러나자 그리스도인일치촉진평의회 측에 초안 작성 책임이 넘어갔다.[243] 르페브르 대주교와 알프레도 오타비아니 추기경은 초안의 제목을 ‘종교의 자유에 대하여’ 대신에 ‘교회와 국가의 관계 및 종교적 관용’으로 하는 것을 지지하였다.[244] 국제 교부회는 (수정안이 포함된) 이 초안에 대한 예비 투표를 공의회 제4회기까지 연기시키는데 간신히 성공하기는 했으나, 최종적으로 1965년 12월 7일 공의회 참석자들의 절대 다수에 의해 종교 자유에 관한 선언 《인간 존엄성》(Dignitatis Humanae)이 채택되는 것을 막는 데는 실패하였다. 르페브르는 《인간 존엄성》을 채택하는 데 반대표를 던지기는 했지만, 교황이 이 선언에 서명한 이후에야 서명하였다. [245]

1962년 7월 26일, 성령 수도회 총회는 르페브르를 총장으로 선출했다.[158] 그는 선교 분야에서의 경험으로 널리 존경받았다.[125] 1962년 8월 7일, 르페브르는 프리기아 신나다의 명의 대주교구를 받았다.[160]

1968년 9월, 제2차 바티칸 공의회의 변화 이후 수도회의 방향을 논의하기 위해 성령 수도회 총회가 열렸다. 총회의 첫 번째 행동은, 몇몇 조정을 선출하여 그가 아닌 총회를 지도하게 하는 것이었다. 르페브르는 교황 바오로 6세에게 성령 수도회 총장으로서의 사임서를 제출했다.[161]

6. 성 비오 10세회 창설

성신 신부회 총장직에서 물러난 르페브르에게 로마의 프랑스 신학교 학생들 중 전통주의자들이 접촉해왔다. 이들은 사제가 되기 전에 의무적으로 거쳐야 했던 삭발례를 요청했으나 신학교 측으로부터 거부당하자,[248] 보수적인 신학교에서 학업을 마칠 수 있게 해 달라고 르페브르에게 도움을 요청하였다. 르페브르는 직접 가르쳐 달라는 요청을 받고 일단 그들을 스위스 프리부르 대학교로 가라고 권유하였다. 1969년 그는 지역 교구장의 허락을 받아 프리부르에 신학교를 설립했고, 아홉 명의 신학생으로 시작했으며, 1971년 스위스의 에콘으로 이전하였다.[249] 르페브르는 신학생들에게 서원 없이 사제 모임을 세울 것을 제안하였다. 1970년 11월 프리부르 교구장 프랑수아 샤리에르 주교는 임시로 6년 간 ‘성 비오 10세 국제 사제단’이라는 이름의 단체를 세웠다.[250]

이후 르페브르와 신학적 견해가 달랐던 프랑스 주교들은 에콘 신학교를 의심의 눈초리로 바라보았다. 그들은 에콘 신학교가 인가받지 않은 신학교라는 입장을 밝히면서[251] 그곳의 졸업생들 중 어느 누구도 사제로 서품하지 않겠노라고 천명했다.[252] 1974년 11월, 추기경 위원회의 지시로 에콘 신학교에 파견된 두 명의 벨기에 사제는 면밀한 조사 후에 에콘 신학교 측에 호의적인 보고서를 작성했다고 전해진다.[253] 하지만 그들은 에콘 신학교에 있는 동안 조만간 기혼자도 사제품을 받는 것이 일상적인 일이 될 것이라거나, 진리는 세월이 지나면 변하는 법이라거나, 예수의 부활에 대한 전통적인 개념은 토론의 여지가 있다는 식의 다양한 신학적 견해를 밝혔는데, 에콘 신학교 측은 이를 듣고 경악하며 반대하였다.[252]

이에 르페브르는 크게 분노하여, 이 모든 사건의 원인이 당시 교회 안에서 진행되고 있었던 개혁이 명백하게 현대주의적이고 자유주의적인 경향이라고 보고 이를 맹렬하게 비판한 신앙 선언문을 작성했다.

6. 1. 창설 배경

성신 신부회 총장직에서 물러난 르페브르는 로마의 프랑스 신학교에서 전통주의 성향의 학생들로부터 연락을 받았다. 이들은 사제가 되기 전 필수적으로 거쳐야 했던 삭발례[248]신학교 측으로부터 거부당하자,[248] 르페브르에게 보수적인 신학교에서 학업을 마칠 수 있도록 도와달라고 요청했다.[248]

르페브르는 신학생들이 직접 가르쳐 달라는 요청을 하자, 처음에는 그들을 스위스 프리부르 대학교로 가라고 권유했다. 그러나 1969년, 지역 교구장의 허락을 받아 프리부르에 신학교를 설립하고 아홉 명의 신학생을 받았다. 이 신학교는 1971년 스위스의 에콘으로 이전하였다.[249]

1980년 아르헨티나 코르도바에서의 마르셀 르페브르


르페브르는 신학생들에게 서원 없이 사제 모임을 설립할 것을 제안했다. 1970년 11월, 프랑수아 샤리에르 주교는 '성 비오 10세 국제 사제단'을 6년간 임시 단체로 승인하였다.[250]

6. 2. 성 비오 10세회 설립

로마의 프랑스 신학교 학생들 중 전통주의자들이 르페브르에게 접촉해왔다. 그들은 사제품을 받기 전에 의무적으로 거쳐야 했던 삭발례를 요청했으나 신학교 측으로부터 거부당하자,[248] 보수적인 신학교에서 자신들이 학업을 마칠 수 있게 해 달라고 르페브르에게 도움을 요청하였다. 르페브르는 신학생들로부터 직접 가르쳐 달라는 권유를 받고 일단 그들을 스위스 프리부르 대학교로 가라고 권유하였다. 1969년 그는 지역 교구장의 허락을 받아 프리부르에 신학교를 설립했고, 아홉 명의 신학생으로 시작했으며, 1971년 스위스의 에콘으로 이전하였다.[249] 르페브르는 신학생들에게 서원 없이 사제 모임을 세울 것을 제안하였다. 1970년 11월 프리부르 교구장 프랑수아 샤리에르 주교는 임시로 6년 간 ‘성 비오 10세 국제 사제단’이라는 이름의 단체를 세웠다.[250]

6. 3. 프랑스 주교들과의 갈등

프랑스 주교들은 에콘 신학교를 의심의 눈초리로 바라보았다. 그들은 에콘 신학교가 인가받지 않은 신학교라는 입장을 밝히면서[251] 그곳의 졸업생들 중 어느 누구도 사제로 서품하지 않겠노라고 천명했다.[252]

1974년 11월, 추기경 위원회의 지시로 에콘 신학교에 파견된 두 명의 벨기에 사제는 면밀한 조사 후에 에콘 신학교 측에 호의적인 보고서를 작성했다고 전해진다.[253] 하지만 그들은 에콘 신학교에 지내는 동안 조만간 기혼자도 사제품을 받는 것이 일상적인 일이 될 것이라거나 진리는 세월이 지나면 변하는 법이라거나 예수의 부활에 대한 전통적인 개념은 토론의 여지가 있다는 식의 다양한 신학적 견해를 밝혔는데, 에콘 신학교 측은 이를 듣고 경악하며 반대하였다.[252] 르페브르는 크게 분노하여, 이 모든 사건의 원인이 당시 교회 안에서 진행되고 있었던 개혁이 명백하게 현대주의적이고 자유주의적인 경향이라고 보고 이를 맹렬하게 비판한 신앙 선언문을 작성했다.

1972년 11월, 르페브르와는 상당히 다른 신학적 견해를 가진 프랑스 주교들은 루르드에서 프랑스 주교 평의회를 열고 당시 합법적인 에콘 신학교를 "불법 신학교(Séminaire sauvage)"라고 칭했다.[76][77] 그들은 신학생 중 아무도 받아들이지 않겠다고 밝혔다.[78] 국무원장 장 마리 빌로 추기경은 교황 바오로 6세 앞에서 르페브르가 자신의 신학생들에게 교황을 비난하는 서명을 강요했다고 비난했지만, 르페브르는 이를 강력히 부인했다.[79]

국무원장 장마리 빌로 추기경


1974년 11월, 두 명의 벨기에 신부가 추기경 위원회의 지시에 따라 엄격한 조사를 수행했으며, 성 비오 10세 사제회(SSPX)는 긍정적인 보고서를 작성했다고 주장한다.[80] 나중에 "의심할 여지 없이 과도한 분노"라고 표현한[78] 1974년 11월 21일, 르페브르는 "선언"을 작성하여 당시 교회 내에서 진행되고 있던 개혁에서 그가 보기에 현대주의와 자유주의 경향을 공격했다.[81]

추기경 위원회는 이에 대한 답변으로 그 선언이 "모든 점에서 용납될 수 없다"고 선언했다.[76] 동시에 프랑스 주교단은 르페브르의 사제들을 그들의 교구에 성직 임명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7. 바티칸과의 충돌

1974년 11월, 두 명의 벨기에인 사제가 추기경 위원회의 지시 하에 성 비오 10세 사제회(SSPX)에 대한 조사를 실시했고, 긍정적인 보고서를 작성했다고 알려졌다.[80] 그러나 르페브르는 1974년 11월 21일 교회 내 개혁에서 나타난 현대주의와 자유주의 경향을 비판하는 "선언"을 발표했다.[81] 이에 추기경 위원회는 "모든 점에서 용납될 수 없다"고 선언했고,[76] 프랑스 주교단은 르페브르의 사제들을 교구에 성직 임명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1975년 1월, 피에르 마미 주교는 SSPX의 "경건한 연합" 지위 종료를 결정하고, 아르투로 타베라 추기경에게 이를 요청했다.[82] 르페브르는 추기경 위원회와 회의를 가졌지만,[76] 1975년 5월 6일 SSPX는 폐지되었다.[82] 르페브르는 교회법상 종교 단체 폐지 권한은 교황에게만 있다고 주장하며,[76] 사도 서명원에 항소했지만 장마리 빌로 추기경에 의해 저지되었다.[76][85]

1976년, 마미 주교는 르페브르에게 미사 집전이 로마와의 관계를 악화시킬 것이라고 경고했다.[86] 교황 바오로 6세는 교황 회의에서 르페브르를 비판하고 생각을 바꾸라고 호소했다.[39][87] 1976년 6월 29일, 르페브르는 지역 주교의 승인과 로마의 금지 서한에도 불구하고 사제 서품을 강행하여 서임권을 박탈당했다. 주교성성 장관은 교황에게 용서를 구하라고 했지만, 르페브르는 교회의 현대화가 모더니즘과의 타협이라고 주장하는 서신을 보냈다.[88] 이후 르페브르는 성무 집행 정지 처분을 받았지만,[89][90] 미사와 성사를 계속 집전했다.

바오로 6세는 1976년 9월 11일 르페브르를 알현하고,[93] 서한을 통해 제2차 바티칸 공의회 문헌 수용, 비난 철회, 지역 주교 권위 인정, SSPX 활동 이관 등을 요구했다.[94] 교황 요한 바오로 2세1978년 르페브르를 알현했지만, 합의는 이루어지지 않았다.[95][96]

1987년 르페브르는 요제프 라칭거 추기경(훗날 교황 베네딕토 16세)과 합의를 시도했지만,[99] 1987년 9월 4일 바티칸이 배교 상태라며 협력 중단을 선언했다.[100] 1988년 5월 5일 합의서에 서명했지만, 곧 라 살레트의 성모 예언을 언급하며 교황 승인 없이 후임자를 성성할 의무가 있다고 선언했다.[102]

1988년 6월 30일, 르페브르는 안토니우 드 카스트루 마이에르 주교와 함께 네 명의 SSPX 사제를 주교로 성성했다. 르페브르는 이 행위가 분열이 아니라고 주장했지만,[102] 다음 날 주교성성은 분열적 행위로 자동 파문되었다고 발표했다.[105] 교황 요한 바오로 2세1988년 7월 2일 사도 서한 ''Ecclesia Dei''에서 이를 규탄했다.[106]

2009년 3월 10일, 교황 베네딕토 16세는 성 비오 10세회 소속 주교 4명의 파문을 철회했지만,[113][114][115][116] 성 비오 10세회는 여전히 교회 내 정식 지위를 갖지 못한다.[117]

7. 1. 성 비오 10세회 해체

1975년 1월 프리부르 교구장에 새로 임명된 주교는 성 비오 10세회에 임시로 부여한 지위를 취소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그 후 르페브르는 추기경 위원회와 두 차례 회담을 가졌지만, 새 주교는 자기 의사를 그대로 강행하여 1975년 5월 6일 성 비오 10세회를 공식적으로 해체한다고 발표하였다.[255] 이 조치는 교황 바오로 6세의 지지를 받았다. 바오로 6세는 1975년 6월 29일 르페브르에게 서신을 보냈지만, 르페브르는 이에 개의치 않고 자신이 하던 일을 계속하였다. 그에게 법적 자문을 해준 교회법학자에 따르면, 성 비오 10세회에 취해진 법적 조치는 모두 변칙적이어서 합법적으로 활동을 금지시킨 것이라고 볼 수 없었기 때문이었다. 또한, 바티칸이 성 비오 10세회에서 자체적으로 사제를 서품할 수 있는 권한을 이미 허용했기 때문에, 성 비오 10세회에 입회한 신학생들을 사제로 서품할 수 있다고 조언했다.[256] 1976년 5월 24일 교황 바오로 6세는 추기경회의에서 르페브르의 이름을 직접 거론하며 비판하고, 그와 그를 따르는 이들에게 마음을 돌릴 것을 호소했다.[257]

1976년 6월 29일 르페브르는 지역 교구장의 승인을 받지 않았고, 로마로부터 사제 서품을 하지 말라는 경고 서신을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계획했던 사제 서품식을 강행하였다. 그 결과 르페브르는 서임권을 박탈당해 사제로 서품할 수 없게 되었다. 일주일 후, 교황청 주교성 장관은 르페브르에게 이러한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 교황에게 사죄해 용서를 받으라고 충고하였다. 그러나 르페브르는 자신의 주장을 굽히지 않고, 바오로 6세에게 '교회의 현대화'는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이전에 일부 교회 장상들과 고위 프리메이슨 상층부 사이에 맺어진 비밀 협정으로 촉발된, 모더니즘과의 타협이라는 주장을 펼친 서찰을 보냈다.[258] 이후 르페브르는 교황에게 사죄를 청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성무 집행을 정지당했다. 즉 그는 더 이상 합법적으로 성사를 집전할 수 없게 된 것이다. 그러나 르페브르는 자신이 새 미사를 집전하는 것을 금지당한 것이기 때문에 처벌을 받은 것이 아니라고 주장했다. 바오로 6세 교황은 르페브르 문제를 매우 심각하게 받아들였으며, 그가 옛 양식에 따른 성사들을 집전함으로써 처벌을 피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259] 르페브르는 성무 집행을 정지당했음에도, 미사 집전을 계속했으며, 자신의 신학생들을 사제로 서품하는 성품성사를 포함한 다른 성사들을 계속 집전했다.

교황 바오로 6세는 1976년 9월 11일 르페브르를 알현한 후,[260] 한 달 뒤 그를 꾸짖는 동시에 과거 자신이 했던 호소를 되풀이한 서신을 보냈다.[261] 교황 요한 바오로 2세는 1978년 교황으로 선출되고 60일 후 르페브르를 알현했지만, 양자 간에 합의를 도출하지 못했다.[262]

데이비드 알렌 와이트가 쓴 르페브르 전기 《유니콘의 영광》에서는 교황 요한 바오로 1세를 선출한 1978년 8월 콘클라베에서 소수지만, 르페브르에게 표를 던지는 사건이 일어났다고 한다. 혹자는 세 표를 받았다고도 하고, 또는 그 이상을 받았다고도 한다. 저자에 따르면, 이 사건은 추기경들 사이에 큰 동요를 불러일으켰다. 왜냐하면 교회법에서는 이론상 모든 가톨릭 남성이 교황으로 선출될 자격을 갖고 있다고 명시하고 있지만, 실질적으로 추기경이 아닌 사람에게 투표하는 것은 관례에서 벗어난 행동이었기 때문이다.

1974년 11월, 두 명의 벨기에 신부가 추기경 위원회의 지시에 따라 엄격한 조사를 수행했으며, 성 비오 10세 사제회(SSPX)는 긍정적인 보고서를 작성했다고 주장한다.[80] 1974년 11월 21일, 르페브르는 "선언"을 작성하여 당시 교회 내에서 진행되고 있던 개혁에서 그가 보기에 현대주의와 자유주의 경향을 공격했다.[81]

추기경 위원회는 이에 대한 답변으로 그 선언이 "모든 점에서 용납될 수 없다"고 선언했다.[76] 동시에 프랑스 주교단은 르페브르의 사제들을 그들의 교구에 성직 임명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1975년 1월, 1970년 프리부르에서 샤리에를 계승한 피에르 마미 주교는 SSPX의 "경건한 연합"으로서의 지위가 종료되어야 한다고 결정했다. 1975년 1월 24일, 그는 수도회성 장관인 아르투로 타베라 추기경에게 "경건한 연합"으로서의 지위를 종료할 것을 요청했다.[82]

2월 13일, 르페브르는 추기경 위원회와의 회의에 로마로 초청받았으며, 그는 "사법적 유형의 면밀한 심문"이라고 묘사했는데, 그의 "선언"의 내용에 관한 것이었고, 3월 3일에 두 번째 회의가 열렸다.[76] 5월, 위원회는 마미의 계획을 승인했다고 발표했다. 르페브르는 교회법에 따르면 종교 단체를 폐지할 권한은 교황에게만 있으며, 교황의 직접적인 칙령에 의해서만 가능하다는 점을 주장했다.[76]

타베라는 4월에 전적으로 동의한다는 입장을 표명하고 마미에게 직접 진행하라고 말했고, 마미는 1975년 5월 6일에 SSPX를 즉시 폐지했다.[82] 이 조치는 교황 바오로에 의해 유지되었으며, 교황은 1975년 6월에 르페브르에게 편지를 썼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르페브르는 사제회가 "법적으로 폐지"되지 않았고 사제회가 자체 사제를 성직 임명하는 특권을 계속 누리고 있다는 교회법 학자들의 법적 자문을 인용하며 그의 활동을 계속했다.[84] 르페브르는 또한 폐지할 충분한 근거가 없다고 주장했는데, 위원회의 자체 인정에 따르면 사도 방문자들이 긍정적인 보고서를 제출했고, 그의 선언이 신앙교리성에 의해 단죄되지 않았기 때문에 그는 교회의 상소 법원인 사도 서명원에 두 번이나 항소했다.[76] 르페브르는 나중에 장마리 빌로 추기경이 이 움직임을 막았고,[76] 그의 지지자 중 한 명은 빌로가 사도 서명원장인 디노 스타파 추기경에게 항소가 기각되지 않으면 해고하겠다고 위협했다고 썼다.[85]

1976년, 마미는 르페브르에게 가톨릭 교회 당국이 그의 사제직 수행을 금지했음에도 불구하고 미사를 집전하는 것은 로마와의 관계를 더욱 악화시킬 것이라고 경고했다.[86]

7. 2. 성무 집행 정지

1976년 6월 29일, 르페브르는 지역 교구장의 승인을 받지 않았고, 로마로부터 사제 서품을 하지 말라는 경고 서신을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계획했던 사제 서품식을 강행하였다.[256] 그 결과 르페브르는 서임권을 박탈당해 어느 누구도 사제로 서품할 수 없게 되었다.[258] 일주일 후, 교황청 주교성 장관은 르페브르에게 이러한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 교황에게 사죄하여 용서를 받으라고 충고하였다. 그러나 르페브르는 바오로 6세에게 이른바 ‘교회의 현대화’는 제2차 바티칸 공의회가 소집되기 전 일부 교회 장상들과 고위 프리메이슨 상층부 사이에 맺어진 비밀 협정으로 촉발된, 모더니즘과의 타협이라는 주장을 담은 서신을 보냈다.[258] 이후 르페브르는 교황에게 사죄를 청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성무 집행 정지를 당했다. 즉, 그는 더 이상 합법적으로 그 어떤 성사도 집전할 수 없게 되었다.[259] 그러나 르페브르는 자신이 새 미사를 집전하는 것을 금지당한 것이 아니기 때문에 처벌을 받은 것이 아니라고 주장했다. 바오로 6세는 르페브르 문제를 매우 심각하게 여겼고, 그가 이전 방식에 따른 성사를 집전함으로써 처벌을 피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259] 르페브르는 성무 집행 정지 처분에도 불구하고 미사 집전을 계속했으며, 자신의 신학생들을 사제로 서품하는 성품성사를 포함한 다른 성사들을 계속 집전했다.

교황 바오로 6세는 1976년 9월 11일 르페브르를 알현했고,[260] 한 달 후 그를 꾸짖는 동시에 과거의 호소를 되풀이하는 내용의 서신을 보냈다.[261] 교황 요한 바오로 2세는 1978년 교황으로 선출된 지 60일 후에 르페브르를 알현했지만, 양측 간에 합의는 이루어지지 않았다.[262]

7. 3. 에콘 주교 서임

1976년 5월 24일 교황 회의에서 교황 바오로 6세는 르페브르를 직접 거론하며 비판했고, 그와 그의 추종자들에게 생각을 바꿀 것을 호소했다.[39][87]

1976년 6월 29일, 르페브르는 지역 주교의 승인 없이, 그리고 로마로부터 사제 서품을 금지하는 서한을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계획된 사제 서품을 강행했다. 그 결과 르페브르는 ''a collatione ordinum'' 즉, 어떠한 사제도 서품하는 것이 금지되었다. 일주일 후, 주교성성의 장관은 르페브르에게 그의 상황을 정상화하기 위해서는 교황에게 용서를 구해야 한다고 알렸다. 르페브르는 이에 대한 답변으로, 교회의 현대화는 교회 고위 성직자와 평의회 이전 고위 프리메이슨 간의 비밀 협약에서 비롯된 "현대인의 사상과의 타협"이라고 주장하는 서한을 보냈다.[88] 르페브르는 이후 교황에게 사과하지 않았기 때문에 ''a divinis''로 정지되었다는 통보를 받았다.[89] 즉, 더 이상 합법적으로 ''어떤'' 성사도 집행할 수 없게 되었다.[90] 르페브르는 자신이 새로운 미사 전례를 거행하는 것이 금지되었다고 언급했다.[91] 바오로 6세는 이를 심각하게 받아들여 르페브르가 "이전 양식을 사용하여 성사를 집행함으로써 처벌을 피하려 한다고 생각했다"고 말했다.[92] 정지 처분에도 불구하고 르페브르는 미사를 계속 거행하고 그의 신학교 학생들에게 성품성사를 포함한 다른 성사들을 집행했다.

바오로 6세는 1976년 9월 11일에 르페브르를 알현했고,[93] 한 달 뒤 그에게 엄중하게 훈계하고 알현에서 했던 호소를 반복하는 서한을 보냈다. 바오로 6세는 르페브르에게 그의 서한에서 제2차 바티칸 공의회의 문헌을 명백한 의미(''sensu obvio'')와 그 이후의 개혁을 받아들이고, 로마 교황과 그의 협력자들에 대한 비난을 철회하며, 지역 주교의 권위를 인정하라고 명령했다. 또한 르페브르가 FSSPX의 모든 활동을 성좌에 넘길 것을 요구했다. 교황은 르페브르에게 베드로 사도좌에 대한 그의 순종의 의무를 상기시키며, 교리 헌장 ''영원한 목자''(1870년, 제1차 바티칸 공의회)와 ''인류의 빛''(1964년, 제2차 바티칸 공의회)을 인용했다.[94]

바오로 6세의 서거 후, 교황 요한 바오로 1세교황 요한 바오로 2세 모두 FSSPX와 교회를 화해시키기 위해 다양한 시도를 했다. 1978년 선출된 교황 요한 바오로 2세는 60일 후에 르페브르를 알현하여 평화를 위한 그의 바람을 반복적으로 표현했다.[95][96]

7. 4. 자동 파문

1981년의 마르셀 르페브르


1976년 5월 24일 교황 회의에서 교황 바오로 6세는 르페브르를 지목하여 비판하며 그와 그의 추종자들에게 생각을 바꾸라고 호소했다.[39][87]

1976년 6월 29일, 르페브르는 지역 주교의 승인 없이, 그리고 로마로부터 금지하는 서한을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계획된 사제 서품을 강행했다. 그 결과 르페브르는 ''a collatione ordinum'' 즉, 어떠한 사제도 서품하는 것이 금지되었다. 일주일 후, 주교성성의 장관은 르페브르에게 그의 상황을 정상화하기 위해서는 교황에게 용서를 구해야 한다고 알렸다. 르페브르는 이에 대한 답변으로, 교회의 현대화는 교회 고위 성직자와 평의회 이전 고위 프리메이슨 간의 비밀 협약에서 비롯된 "현대인의 사상과의 타협"이라고 주장하는 서한을 보냈다.[88] 르페브르는 이후 교황에게 사과하지 않았기 때문에 ''a divinis''로 정지되었다는 통보를 받았다.[89] 즉, 더 이상 합법적으로 ''어떤'' 성사도 집행할 수 없게 되었다.[90] 르페브르는 자신이 새로운 미사 전례를 거행하는 것이 금지되었다고 언급했다.[91] 바오로 6세는 이를 심각하게 받아들여 르페브르가 "이전 양식을 사용하여 성사를 집행함으로써 처벌을 피하려 한다고 생각했다"고 말했다.[92] 정지 처분에도 불구하고 르페브르는 미사를 계속 거행하고 그의 신학교 학생들에게 성품성사를 포함한 다른 성사들을 집행했다.

바오로 6세는 1976년 9월 11일에 르페브르를 알현했고,[93] 한 달 뒤 그에게 엄중하게 훈계하고 알현에서 했던 호소를 반복하는 서한을 보냈다. 바오로 6세는 르페브르에게 그의 서한에서 제2차 바티칸 공의회의 문헌을 명백한 의미(''sensu obvio'')와 그 이후의 개혁을 받아들이고, 로마 교황과 그의 협력자들에 대한 비난을 철회하며, 지역 주교의 권위를 인정하라고 명령했다. 또한 르페브르가 FSSPX의 모든 활동을 성좌에 넘길 것을 요구했다. 교황은 르페브르에게 베드로 사도좌에 대한 그의 순종의 의무를 상기시키며, 교리 헌장 ''영원한 목자''(1870년, 제1차 바티칸 공의회)와 ''인류의 빛''(1964년, 제2차 바티칸 공의회)을 인용했다.[94]

바오로 6세의 서거 후, 교황 요한 바오로 1세교황 요한 바오로 2세 모두 FSSPX와 교회를 화해시키기 위해 다양한 시도를 했다. 후자는 1978년 선출 60일 후에 르페브르를 알현하여 평화를 위한 그의 바람을 반복적으로 표현했다.[95][96]

1987년 설교에서 81세의 르페브르는 건강이 악화된 가운데, 사후에도 자신의 사역을 이어갈 주교를 서품할 의향을 발표했다.[97] 가톨릭 교회법에 따르면 교황의 허가 없이 주교를 서품하는 것은 파문에 해당한다. "교황의 위임 없이 주교를 서품하는 주교와 그에게 서품을 받는 사람은 교황청에 유보된 ''자동 파문''을 받는다."[98]

1987년 동안 르페브르는 신앙교리성 장관인 요제프 라칭거 추기경과 합의를 시도했다.[99] 그러나 1987년 9월 4일, 에콘에서 르페브르는 바티칸이 배교 상태에 있으며 더 이상 라칭거와 협력하지 않겠다고 선언했다.[100]

1988년 5월 5일, 르페브르는 성 비오 10세 신부회의 상황을 정상화하기 위해 라칭거와 합의서에 서명했다. 라칭거는 교황의 승인을 받아 신부회를 위해 주교 1명을 서품하는 것에 동의했다.[101]

안토니우 드 카스트루 마이에르 1980년


하지만 협약 직후 르페브르는 라칭거 추기경으로부터 "오류에 대해 용서를 구하라"는 메모를 받았다고 발표했는데, 그는 이를 제2차 바티칸 공의회의 가르침과 "아시시 정신"을 받아들여야 한다는 의미로 해석했다. 르페브르는 라 살레트의 성모의 "로마는 신앙을 잃을 것이다"라는 예언을 언급하며, 교황의 승인 없이도 필요하다면 후임자를 성성할 의무가 있다고 선언했다.[102] 협약은 주교 성성 날짜를 명시하지 않았기 때문에, 르페브르가 허가를 받기 전에 사망했다면, 성 비오 10세 형제회는 신학생을 서품할 수 없었고 교황청에 굴복해야 했을 것이다.[6][103]

르페브르는 자신의 계획을 "생존 작전"이라고 칭했다.[102]

교황 요한 바오로 2세는 그에게 "분열 행위"를 하지 말 것을 호소하며 "신학적 및 교회법적 결과"를 경고했다.[104]

1988년 6월 30일, 르페브르는 캄푸스 두스 고이타카제스의 명예 주교 안토니우 드 카스트루 마이에르를 공동 성성자로 하여 네 명의 SSPX 사제를 주교로 성성했다: 베르나르 티시에 드 말레레, 리처드 윌리엄슨, 알폰소 데 갈라레타, 베르나르 펠레이.

성성 직전, 르페브르는 다음과 같은 설교를 했다:

> ... 로마의 뜻에 반하는 것처럼 보이는 이 의식은 결코 분열이 아니다. 우리는 분열주의자가 아니다! 만약 로마에서 떨어져 중국 정부의 지배를 받는 중국 주교에게 파문이 선고되었다면, 교황 비오 12세가 그들을 파문한 이유를 매우 쉽게 이해할 수 있다. 우리가 로마에서 분리되거나, 외국의 지배를 받거나, 팔마르 데 트로야의 주교들이 스페인에서 한 것처럼 일종의 병렬 교회를 세우는 문제는 없다. 그들은 심지어 교황을 선출하고, 추기경단을 구성하기까지 했다... 우리가 그런 일을 하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다. 우리에게서 로마와 분리되려는 비참한 생각은 멀리하라![102]

다음 날인 7월 1일, 주교성성은 이 행위가 분열적 행위이며, 직접적인 참가자 여섯 명 모두 자동적으로 파문되었다는 포고령을 발표했다.[105]

1988년 7월 2일, 교황 요한 바오로 2세는 자신의 사도 서한 '''Ecclesia Dei'''에서 이 성성식이 분열 행위를 구성하며 관련된 주교와 사제들이 자동적으로 파문되었다고 선언하며 이를 규탄했다.[106]

르페브르는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반박하며 자신과 관련된 다른 성직자들이 "로마에서 분리되지 않았다"며 분열주의자가 아니라고 말했다.[102] 그는 1983년 교회법전 1323조를 인용하며 그들이 "필요한 경우에 처해 있었고", 그들이 말했듯이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이후 "교회에서 일어난 이 변화"가 "가톨릭적이지 않다"는 것을 "로마"가 이해하도록 하는 데 성공하지 못했다고 주장했다.[107] 르페브르는 자신이 주교로 서품하려는 네 명의 사제들에게 보낸 편지에서 "로마가 신앙을 잃었다고 말할 수 없다고 생각한다."라고 적었다.[108]

7. 5. 파문 철회

교황 요한 바오로 2세는 1988년 사도 서한 Ecclesia Dei를 통해 르페브르 대주교의 주교 성성식이 분열 행위이며, 이와 관련된 주교와 사제들은 자동 파문되었다고 선언했다.[106] 그러나 르페브르는 자신은 분열주의자가 아니며,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이후 교회의 변화가 가톨릭적이지 않다고 주장했다.[102][107]

1988년 7월 18일, 요제프 비시히를 비롯한 12명의 사제와 일부 신학생들은 에콘 성성식에 반발하여 성 비오 10세회를 탈퇴하고 성 베드로 사제 형제회를 설립했다.[109][110]

2009년 3월 10일, 교황 베네딕토 16세는 성 비오 10세회 소속 주교 4명의 파문을 철회했다.[113][114][115][116] 그러나 성 비오 10세회는 여전히 교회 내에서 정식 지위를 갖지 못하며, 그 사제들은 합법적인 직무를 수행할 수 없다.[117] 리처드 윌리엄슨 주교는 2012년 성 비오 10세회에서 축출되었고, 2015년 다시 파문되었다.[118]

8. 죽음

르페브르는 1991년 3월 25일, 향년 85세의 나이에 스위스 마르티니에서 암으로 선종하였다.[272][111] 8일 후 그의 시신은 스위스 에콘의 성 비오 10세회 국제 신학교 지하 묘소에 안장되었다. 스위스 주재 교황 대사 에도아르도 로비다 대주교와 시옹의 교구장 앙리 슈베리 주교도 르페브르의 장례식에 참석하여 그의 유해 앞에서 위령 기도를 바쳤다.[273][112]

1991년 9월 18일, 교황청 성직자성 장관 실비오 오디 추기경은 르페브르의 무덤을 찾아가 “Merci, Monseigneur”이라고 인사한 다음 무릎을 꿇었다. 오디 추기경은 르페브르 대주교를 ‘거룩한 사람’이었다고 평가하며,[274] 성 비오 10세회가 오푸스 데이처럼 성좌로부터 성직 자치단의 지위를 부여받을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그러나 1992년 1월, 성 비오 10세회의 2대 총장 프란츠 슈미트베르거 신부는 성좌에 비공개 친서를 보내 이러한 제의를 거절하였다. 리처드 윌리엄슨 주교의 증언에 따르면, 슈미트베르거 신부의 친서에는 “로마가 공의회 상태에 머물러 있는 한, 양자(성좌와 성 비오 10세회) 간에 유익하고 개방적인 협력이 가능하다고 보지 않는다”라는 내용이 담겨 있었다.[274]

9. 신학적 견해 및 정치 이념

르페브르는 1789년 프랑스 혁명으로 패퇴한 왕당파의 후예로, 프랑스 사회의 정치적·종교적 우파와 입장을 같이했다. 그의 신학적 견해 및 정치 이념은 프랑스 제3공화국(1870–1940) 당시 프랑스 사회에서 상당한 세력을 갖고 있던 보수주의자들과 같은 노선이었다. 프랑스 제3공화국은 세속적 성향의 좌파와 친가톨릭 성향의 우파 간의 갈등으로 국론이 분열되었으며, 그 대표적인 예가 드레퓌스 사건이다. "르페브르는... 프랑스 혁명부터 비시 프랑스 정권까지 프랑스 사회와 문화의 전선을 규정했던 격렬한 증오심에 의해 형성된 인물"이라는 평가를 받기도 하였다.[275]

르페브르의 전기를 처음으로 쓴 영국의 전통주의 작가 마이클 데이비스는 자신의 저서 《마르셀 르페브르를 위한 변호》 제1부에서 다음과 같이 썼다.[59]

이와 비슷한 맥락으로, 영국의 성 비오 10세회 사제 마이클 크로우디는 르페브르가 혼란스러워하는 가톨릭 신자들에게 보낸 공개 편지를 영어로 번역하면서 다음과 같은 소개글을 썼다.[60]

그는 가톨릭 종교 배타주의를 옹호하며 '잘못된' 또는 '이탈적인' 에큐메니즘을 거부하고,[61] 종교 자유의 원칙 대신 실용적인 종교 관용을 옹호했다.[62] 또한, 엄격한 교황 수위권을 지지하며 교회 내 공동 사목을 반대했고,[63] 트리엔트 미사를 교황 바오로 6세 미사로 대체하는 것에 반대했다.[64]

구체적인 정치적 입장은 다음과 같다.


  • 1789년 프랑스 혁명과 그가 "프리메이슨적이고 반가톨릭적인 원칙"이라고 칭한 것에 대한 비난.[65]
  • 필리프 페탱 원수의 권위주의적인 프랑스 비시 정부(1940–1944)의 "가톨릭 질서"에 대한 지지.[66]
  • 장마리 르펜이 이끄는 국민전선에 대한 지지.[67]
  • 유럽으로의 무슬림 이민 반대. 1990년, 르페브르는 "카사블랑카"에 존재하는 것과 같은 종류의 장소로 당신의 아내, 당신의 딸, 당신의 자녀들이 납치되어 끌려갈 것이다."라고 언급하여 프랑스 법원에서 유죄 판결을 받고 5000FRF의 벌금형을 선고받았다.[68][69]

9. 1. 신학적 견해

르페브르는 다음과 같은 신학적 견해를 밝혔다.

르페브르는 가톨릭 종교 배타주의를 옹호하며 '잘못된' 또는 '이탈적인' 에큐메니즘을 거부하고,[61] 종교 자유의 원칙 대신 실용적인 종교 관용을 옹호했다.[62] 또한, 엄격한 교황 수위권을 지지하며 교회 내 공동 사목을 반대했고,[63] 트리엔트 미사를 교황 바오로 6세 미사로 대체하는 것에 반대했다.[64]

9. 2. 정치적 입장

르페브르는 1789년 프랑스 혁명으로 몰락한 왕당파의 후예로, 프랑스 사회의 정치적, 종교적 우파와 같은 입장이었다. 그의 신학과 정치 이념은 프랑스 제3공화국(1870–1940) 시절 프랑스 사회에서 상당한 영향력을 가졌던 보수주의자들과 궤를 같이했다. 프랑스 제3공화국은 세속적인 좌파와 친가톨릭적인 우파 간의 갈등으로 국론이 분열되었는데, 그 대표적인 예가 드레퓌스 사건이다. 이러한 배경 때문에 르페브르는 프랑스 혁명부터 비시 프랑스 정권에 이르기까지 프랑스 사회와 문화 전반에 걸친 격렬한 증오에 의해 형성된 인물이라는 평가를 받기도 한다.[275]

르페브르의 전기를 처음으로 쓴 영국의 전통주의 작가 마이클 데이비스는 자신의 저서 《마르셀 르페브르를 위한 변호》 제1부에서 다음과 같이 썼다.[276]

> 프랑스의 정치적 갈등은 영국보다 한층 깊고, 극단적이며, 양자 간의 차이가 뚜렷한 경향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상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프랑스 혁명과 그 이후의 역사를 돌아보아야 한다. 매우 지나치게 단순화하는 것일 수 있겠지만, 제2차 세계대전 당시 프랑스에서 가톨릭 신앙은 우파와 동일시되고, 반가톨릭주의는 좌파와 동일시되는 경향이 있었다고 말할 수 있다. … (르페브르의) 우파적 정치 이념은 단순명료하게 말하자면, 한 세기 이상 역대 교황이 가르쳐오던 가톨릭교회의 사회 교리와 전혀 다르지 않았다.

이와 비슷한 맥락으로, 영국의 성 비오 10세회 사제 마이클 크로우디는 르페브르가 혼란스러워하는 가톨릭 신자들에게 보낸 공개 편지를 영어로 번역하면서 다음과 같은 소개글을 썼다.

> 우리는 르페브르 대주교님이 사상 면에 있어 영국보다 더욱 분명한 나라인 프랑스를 배경으로 비판하는 글을 쓰고 계시다는 사실을 기억해야 한다. 예를 들어 사회주의라는 용어를 보도록 하자. 이 용어는 우리 중 일부에게는 다른 무엇보다도 형제애와 정의를 위한 사회적 이상을 의미한다. 바로 기독교 사회주의자들이 그러한 사람들이다. 그러나 유럽 대륙에서 사회주의는 완고한 반종교주의 내지는 종교의 대체제로 여겨지며, 이것이 발전하여 공산주의가 되었다. 대주교님은 바로 사회주의의 이 점을 지적하는 글을 쓰셨다. 그분이 자유주의를 배척하신 것은 자유당에 대해서가 아니라 인간의 자유를 하느님이나 그분의 교회가 지닌 권리보다 인간의 자유를 더 우위에 두려는 종교적 자유주의를 염두에 두고 하신 것이다.

르페브르의 정치적 입장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 1789년 프랑스 혁명을 프리메이슨적이고 반가톨릭주의적이라고 비판하였다.[281]
  • 필리프 페탱비시 프랑스 정권 치하의 가톨릭 교계를 옹호하였다.
  • 제2차 세계대전 당시 중립을 지켜 유대인들을 포함한 자국민들을 전쟁의 참화로부터 지켜냈다는 점을 높이 사 스페인프란시스코 프랑코 정권과 포르투갈안토니우 드 올리베이라 살라자르 정권 등의 독재 정권들을 지지하였다.
  • 프랑스의 극우 민족주의자 장마리 르 펜을 지지하였다. 1985년 프랑스 정기간행물 《현재》(Présent)는 장마리 르 펜이 주요 프랑스 정치가들 중에서는 유일하게 낙태에 단호히 반대하자, 르페브르가 그를 지지했다고 보도하였다.
  • 이슬람교도들이 유럽에 이민자로 들어오는 것을 반대하였다. 1990년 르페브르는 이와 관련하여 “누군가가 납치되어 끌려가 카사블랑카 어딘가에 있다면, 그 사람은 다름아닌 여러분의 부인이거나 어린 딸들, 아이들일 것입니다.”라는 발언을 하여, 프랑스 사법부에 기소되어 5000FRF의 벌금형을 선고받았다.[282][283]

참조

[1] 웹사이트 Credidimus Caritati http://www.sspxsemin[...] 2013-11-01
[2] 웹사이트 A Story of Providence: Born in a Time of Confusion for Holy Mother Church https://sspx.org/en/[...] 2023-10-20
[3] 웹사이트 Apostolic Letter "Ecclesia Dei" http://www.vatican.v[...]
[4] 웹사이트 Other Letters: Correspondence between Cardinal Ratzinger and Archbishop Lefebvre https://fsspx.org/en[...] 2023-10-20
[5] 웹사이트 Protocol of Agreement, May 5, 1988 https://fsspx.org/en[...] 2023-10-20
[6] 웹사이트 One Year After the Consecrations http://archives.sspx[...]
[7] 문서 Davies 1980
[8] 문서 Dinges 2003
[9] 웹사이트 Monsignor Lefebvre in his own words http://www.sspxafric[...] 2006-12-06
[10] 웹사이트 René Lefebvre, a factory owner http://oriensjournal[...] Oriens 2005
[11] 웹사이트 A Calvary 1941–1944 René Lefebvre Part 1 http://www.angeluson[...] The Angelus 1984-06
[12] 웹사이트 René LeFebvre https://www.ushmm.or[...] Holocaust Survivors and Victims Database
[13] 웹사이트 The ghost at all our tables http://oriensjournal[...] Oriens journal
[14] 웹사이트 I have handed on what I have received http://angelusonline[...] The Angelus 2013-11-01
[15] 웹사이트 Monsignor Leferbve in his own words http://www.sspxafric[...] 2004-03-22
[16] 문서 Tissier de Mallerais 2004
[17] 웹사이트 Archbishop Marcel Lefebvre – Useful Information http://www.sspx.co.u[...] Society of Saint Pius X, District of Great Britain 2006-08-25
[18] 문서 Laudenschlager 1978
[19] 웹사이트 I – Archbishop Marcel Lefebvre http://www.sspxasia.[...]
[20] 문서 Davies 1980
[21] 문서 Tissier de Mallerais 2004
[22] 웹사이트 Monsignor Lefebvre in his own words http://www.sspxafric[...] 2004-03-22
[23] 뉴스 Some Memories of Archbishop Lefebvre's childhood http://www.angeluson[...] 1980-11
[24] 문서 Anglés 1991
[25] 서적 Acta Apostolicae Sedis https://www.vatican.[...] 2024-01-10
[26] 문서 Tissier de Mallerais 2004
[27] 문서 Anglés 1991
[28] 웹사이트 Monsignor Lefebvre in his own words http://www.sspxafric[...] 2003-11-07
[29] 서적 Acta Apostolicae Sedis https://www.vatican.[...] 1948
[30] 문서 Filipazzi 2006
[31] 서적 African Catholic: Decolonization and the Transformation of the Church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2019
[32] 문서 Anglés 1991
[33] 웹사이트 Monsignor Lefebvre in his own words http://sspxafrica.co[...] 2003-09-23
[34] 웹사이트 Monsignor Lefebvre in his own words http://www.sspxafric[...] 2003-08-18
[35] 서적 Acta Apostolicae Sedis https://www.vatican.[...] 1956
[36] 서적 Acta Apostolicae Sedis https://www.vatican.[...] 2021-09-19
[37] 웹사이트 An Interview With Archbishop Marcel Lefebvre http://www.angeluson[...] 1982-05-03
[38] 서적 Spiritan Life and Mission Since Vatican II Wipf & Stock 2018
[39] 뉴스 Archbishop of Hanoi Among 20 New Cardinals Installed by Pope https://www.nytimes.[...] New York Times 2021-09-20
[40] 서적 Juan XXIII: En el recuerdo de su secretario Loris F. Capovilla https://books.google[...] Palabra 2021-09-21
[41] 서적 Acta Apostolicae Sedis https://www.vatican.[...] 2021-09-19
[42] 서적 Acta Apostolicae Sedis https://www.vatican.[...] 2021-09-19
[43] 서적 Spiritan Life and Mission Since Vatican II Wipf & Stock 2018
[44] 문서 Tissier de Mallerais 2004
[45] 서적 Acta Apostolicae Sedis https://www.vatican.[...] 2021-09-19
[46] 문서 Hardon 1989
[47] 간행물 Still More Light on Vatican Council II https://www.jstor.or[...] 2012
[48] 서적 Vatican II Forty Years Later https://books.google[...] Wipf & Stock 2021-09-19
[49] 서적 The Ecumenical Councils of the Catholic Church: A History https://books.google[...] Liturgical Press 2021-09-19
[50] 서적 A Brief History of Vatican II Orbis Books 2006
[51] 서적 Les Membres du Coetus Internationalis Patrum au Concile Vatican II: Inventaire des Interventions et Souscriptions des Adherents et Sympathisants, Liste des Signataires d'occasion et des Théologiens Maurits Sabbe Library, Faculty of Theology and Religious Studies, KU Leuven / Peeters
[52] 웹사이트 Vatican II, Part 4: The Third Session http://www.stjames-c[...]
[53] 뉴스 Cum Magno Dolore Time Magazine 1964-10-23
[54] 간행물 Angelus magazine of January 1991 http://www.angeluson[...]
[55] 문서 Harrison 1994
[56] 웹사이트 1962–1980: A New Age of Mission https://spiritanroma[...] 2021-09-27
[57] 서적 Spiritan Life and Mission Since Vatican II Wipf & Stock 2018
[58] 웹사이트 Did the Pope Heal or Deepen a Catholic Schism? http://www.newsweek.[...] 2009-01-25
[59] 문서 Davies 1980
[60] 문서 Lefebvre 1987
[61] 웹사이트 Archbishop Marcel Lefebvre's June 1988 Public Statement against False Ecumenism http://www.sspx.org/[...]
[62] 웹사이트 Archbishop Lefebvre preparing the council http://www.sspx.org/[...]
[63] 문서 Reese 1988
[64] 문서 Vere 2001
[65] 문서 Lefebvre 1987
[66] 문서 Marcel Lefebvre in Gabon
[67] 서적 The Routledge Companion to Fascism and the Far Right Routledge
[68] 웹사이트 Afterword: The Rushdie Affair's Legacy http://koenraadelst.[...]
[69] Youtube Archbishop Marcel-François Lefebvre https://www.youtube.[...] 2008-01-07
[70] 웹사이트 The Wanderer Interviews Fr. Aulagnier, SSPX http://la.revue.item[...] 2003-09-18
[71] 웹사이트 motu proprio "Ministeria quaedam" http://www.ewtn.com/[...] 2013-11-01
[72] 웹사이트 Monsignor Lefebvre in his own words http://www.sspxafric[...] Society of St. Pius X – South Africa. sspxafrica.com 2003-12-07
[73] 웹사이트 Monsignor Lefebvre in his own words http://sspxafrica.co[...] Society of St. Pius X – South Africa. sspxafrica.com 2004-01-08
[74] 문서 Pia unio
[75] 서적 Archbishop Lefebvre and the Vatican, 1987-1988 Angelus Press 1999
[76] 서적 Open Letter to Confused Catholics http://www.sspxasia.[...] 1986
[77] 문서
[78] 문서
[79] 서적 Fideliter No.59
[80] 웹사이트 Conference of Father Franz Schmidberger, Superior General of the Society of St. Pius X http://www.angeluson[...]
[81] 웹사이트 The Declaration of Archbishop Lefebvre http://www.sspx.org/[...] sspx.org 2006-10-13
[82] 웹사이트 Arriving at the Juridic Status of the Priestly Fraternity of Saint Pius X https://ruor.uottawa[...] 2021-09-18
[83] 웹사이트 My Journey out of the Lefebvre Schism http://www.envoymaga[...] 2006-09-02
[84] 문서
[85] 서적 Vatican Encounter
[86] 뉴스 A French Bishop Continues Defiance, Holds Mass in Latin https://www.nytimes.[...] 2021-09-17
[87] 문서
[88] 문서 Letter of Mgr. Lefebvre to Pope Paul VI 1976-07-17
[89] 뉴스 All We Ask is for the Mass http://www.cwnews.co[...] Catholic World News 2005-05
[90] 웹사이트 Holier than Thou This Rock 2003-04
[91] 웹사이트 The International Priestly Society of Saint Pius X XXV Anniversary 1970–1995 A family diary http://www.smac.edu/[...] 2007-09-28
[92] 문서 Pope Paul VI 1976-10-11
[93] 문서
[94] 웹사이트 Marcello Lefebvre, Archiepiscopo-Episcopo olim Tutelensi, d. 11 m. Octobris a. 1976, Paulus PP.VI {{!}} Paulus PP. VI https://www.vatican.[...] 2024-07-19
[95] 뉴스 Luciani tentò la riconciliazione con i lefebvriani https://www.lastampa[...] 2012-08-25
[96] 간행물 The Archbishop Calls It Quits 1988-06-27
[97] 웹사이트 Bishops to Save the Church http://www.sspxasia.[...] 1987-06
[98] 문서 1983 Code of Canon Law, Canon 1382
[99] 뉴스 Suspended Prelate Meets Vatican Aide https://www.washingt[...] 1987-07-18
[100] 웹사이트 Conférence de Mgr Lefebvre lors de la retraite des prêtres de la Fraternité Saint-Pie-X du 4 septembre 1987 http://laportelatine[...] 2023-09-05
[101] 웹사이트 Protocole d'accord établi entre le cardinal Ratzinger et Mgr Lefebvre du 5 mai 1988 http://laportelatine[...] 2023-09-05
[102] 웹사이트 Sermon on the occasion of the Episcopal Consecration http://www.sspxasia.[...] 1988-06
[103] 서적 Archbishop Lefebvre & the Vatican 2012-10-28
[104] 웹사이트 Pope John Paul II, an Obituary http://www.latinmass[...]
[105] 웹사이트 Decree of Excommunication http://www.cin.org/u[...] 2013-11-01
[106] 웹사이트 Apostolic Letter "Ecclesia Dei" http://www.vatican.v[...]
[107] 웹사이트 Sermon on the occasion of the Episcopal Consecration http://www.sspxasia.[...] 1988-06-01
[108] 웹사이트 Letter to the Four Bishops Elect http://www.sspxasia.[...] 1988-06-13
[109] 간행물 Audition of the Auditors II https://www.vatican.[...] Holy See Press Office 2010-06-10
[110] 웹사이트 A Response to Christopher Ferrara http://www.latinmass[...] Latin Mass Magazine 2010-06-10
[111] 뉴스 Archbishop Lefebvre, 85, Dies; Traditionalist Defied the Vatican https://timesmachine[...] 2021-09-19
[112] 웹사이트 In Memoriam Archbishop Marcel Lefebvre http://www.angeluson[...] The Angelus 2002-04-01
[113] 간행물 2009-03-01
[114] 간행물 2009-07-01
[115] 간행물 2009-01-01
[116] 간행물 2009-01-01
[117] 웹사이트 Letter to the Bishops of the Catholic Church concerning the remission of the excommunication of the four Bishops consecrated by Archbishop Lefebvre http://www.vatican.v[...] Libreria Editrice Vaticana 2021-09-20
[118] 뉴스 Bishop Williamson is excommunicated after illicitly ordaining a bishop http://www.catholich[...] 2019-02-09
[119] 웹사이트 'Fourth Bishop St. Marcel Initiative' https://stmarcelinit[...] 2017-03-13
[120] 웹사이트 Ex-Lefebvrist prelate illicitly consecrates a fourth bishop https://internationa[...] 2023-05-19
[121] 웹사이트 Eleison Comments DCCCXXXV https://stmarcelinit[...] 2023-07-15
[122] 서적 Most Asked Questions About the Society of Saint Pius X Angelus Press
[123] 문서 Canon 1382 of the Code of Canon Law http://www.intratext[...]
[124] 문서 Pope lifts excommunications of Lefebvrite bishops http://www.catholicn[...]
[125] 문서 Apologia pro Marcel Lefebvre (Chapter 1) http://www.sspxasia.[...]
[126] 웹사이트 Monsignor Lefebvre in his own words (February 2002) http://www.sspxafric[...]
[127] 서적 バチカン・シークレット
[128] 웹사이트 René Lefebvre and the Holocaust http://leflochreport[...] 2006-03-19
[129] 웹사이트 A Calvary 1941-1944 René Lefebvre Part 1 http://www.angeluson[...] The Angelus 1984-06-01
[130] 웹사이트 The ghost at all our tables http://www.oriensjou[...] Oriens journal
[131] 웹사이트 I have handed on what I have received http://www.angeluson[...] The Angelus 2005-08-01
[132] 웹사이트 Monsignor Leferbve in his own words (April 2002) http://www.sspxafric[...]
[133] 서적 Marcel Lefebvre: une vie Éditions Clovis 2002-01-01
[134] 웹사이트 THE VALIDITY OF HOLY ORDERS By Fr. Douglas Laudenschlager http://www.sspx.org/[...] Society of Saint Pius X, United States District
[135] 웹사이트 Archbishop Marcel Lefebvre - Useful Information http://www.sspx.co.u[...] Society of Saint Pius X, District of Great Britain
[136] 웹사이트 I - Archbishop Marcel Lefebvre http://www.sspxasia.[...]
[137] 문서 Apologia pro Marcel Lefebvre (Chapter 3) http://www.sspxasia.[...]
[138] 웹사이트 Monsignor Lefebvre in his own words (June/July 2002) http://www.sspxafric[...]
[139] 웹사이트 Some Memories of Archbishop Lefebvre's childhood http://www.angeluson[...] The Angelus 1980-11-01
[140] 웹사이트 A Biography of Archbishop Marcel Lefebvre http://www.sspx.com/[...]
[141] 문서 St. Michel de Ndjolé (May 1938 - August 1939), Ste. Marie de Libreville (December 1939 - August 1940), St. Paul de Donguila (August 1940 - April 1943), and finally St. François Xavier de Lambaréné (April 1943 - October 1945)
[142] 웹사이트 Archdiocese of Dakar http://www.catholic-[...]
[143] 웹사이트 Anthedon (Titular See) http://www.catholic-[...]
[144] 웹사이트 A Biography of Archbishop Marcel Lefebvre http://www.sspx.com/[...] Father Ramón Anglés
[145] 웹인용 Monsignor Lefebvre in his own words (September 2002) http://www.sspxafric[...] 2003-11-07
[146] 웹사이트 Archbishop Marcel-François Lefebvre, C.S.Sp. † http://www.catholic-[...]
[147] 웹사이트 Nunciature to Sénégal http://www.catholic-[...]
[148] 웹인용 Apostolic Delegate http://www.catholic-[...] New Catholic Dictionary 2003-03-22
[149] 웹사이트 Arcadiopolis in Europa (Titular See) http://www.catholic-[...]
[150] 웹사이트 His Grace Archbishop Marcel Lefebvre (1905-1991) - A short biography by one of his priests http://www.sspx.co.u[...] Fr. Ramón Anglés
[151] 웹사이트 Monsignor Lefebvre in his own words (November 2002) http://www.sspxafric[...]
[152] 웹인용 Monsignor Lefebvre in his own words (January 2003) http://www.sspxafric[...] 2003-08-18
[153] 웹사이트 Archbishop Marcel-François Lefebvre, C.S.Sp. † http://www.catholic-[...] catholic-hierarchy.org 1955-09-14
[154] 웹사이트 Enzyklika Fidei Donum und Erzbischof Lefebvre http://www.fsspx.inf[...]
[155] 웹사이트 POPE JOHN XXIII http://www.vatican.v[...] Vatican News Service 1958-10-28
[156] 웹사이트 Archbishop Marcel-François Lefebvre, C.S.Sp. † http://www.catholic-[...] catholic-hierarchy.org 1962-01-23
[157] 웹인용 An Interview With Archbishop Marcel Lefebvre http://www.angeluson[...] Houston Chronicle 2009-01-31
[158] 웹사이트 Question 2: Who is Archbishop Marcel Lefebrve? http://www.sspx.org/[...] SSPX USA
[159] 서적 Marcel Lefebvre: The Biography Angelus Press 2004
[160] 웹사이트 Synnada in Phrygia (Titular See) http://www.catholic-[...]
[161] 웹인용 July/August 2003 Monsignor Lefebvre in his own words (July/August 2003) http://www.sspxafric[...] 2004-03-19
[162] 웹인용 An Interview With Archbishop Marcel Lefebvre http://www.angeluson[...] Houston Chronicle 2009-01-31
[163] 웹인용 God Bless the Archbishop http://www.angeluson[...] The Angelus 2009-01-31
[164] 웹사이트 The Second Vatican Council http://www.therealpr[...]
[165] 웹인용 God Bless the Archbishop http://www.angeluson[...] The Angelus 2009-01-31
[166] 웹인용 Archbishop Lefebvre preparing the council http://www.sspx.org/[...] 2003-02-24
[167] 웹사이트 Second Vatican Council http://www.dailycath[...]
[168] 웹인용 Vatican II, Part 4: The Third Session http://www.stjames-c[...] St. James Cathedral, Seattle 2007-09-04
[169] 뉴스 Cum Magno Dolore http://jcgi.pathfind[...] Time Magazine 1964-10-23
[170] 웹인용 Archbishop Lefebvre Preparing the Council http://www.sspx.org/[...] 2003-02-24
[171] 웹사이트 Marcel Lefebvre: Signatory to Dignitatis Humanae http://www.catholicc[...]
[172] 서적 Der Rhein fliesst in den Tiber: eine Geschichte des Zweiten Vatikanischen Konzils Feldkirch. Lins 1988
[173] 웹사이트 motu proprio Ministeria quaedam http://www.ewtn.com/[...]
[174] 웹사이트 The Wanderer Interviews Fr. Aulagnier, SSPX http://la.revue.item[...] 2003-09-18
[175] 웹인용 Monsignor Lefebvre in his own words (September/October 2003) http://www.sspxafric[...] 2003-12-07
[176] 웹사이트 Monsignor Lefebvre in his own words (November/December 2003) http://www.sspxafric[...]
[177] 서적 Apologia pro Marcel Lefebvre (Appendix V) http://www.sspxasia.[...]
[178] 서적 Apologia pro Marcel Lefebvre (Chapter 2) http://www.sspxasia.[...]
[179] 서적 Apologia pro Marcel Lefebvre (Chapter 4) http://www.sspxasia.[...]
[180] 웹사이트 Conference of Father Franz Schmidberger, Superior General of the Society of St. Pius X http://www.angeluson[...] 2009-01-31
[181] 웹사이트 The Declaration of Archbishop Lefebvre http://www.sspx.org/[...] 2006-10-13
[182] 간행물 My Journey out of the Lefebvre Schism http://www.envoymaga[...] Envoy Magazine, Volume 4.6 2005-08-29
[183] 서적 Apologia pro Marcel Lefebvre (Chapter 11) http://www.sspxasia.[...]
[184] 웹사이트 Consistory for the creation of twenty new Cardinals (May 24, 1976) http://www.vatican.v[...]
[185] 서적 Apologia pro Marcel Lefebvre (Chapter 12) http://www.sspxasia.[...]
[186] 뉴스 “All We Ask is for the Mass” http://www.cwnews.co[...] Catholic World News 2005-05
[187] 간행물 Holier than Thou http://www.catholicu[...] This Rock, Pages 18 - 24 2003-04
[188] 웹사이트 The International Priestly Society of Saint Pius X XXV Anniversary 1970-1995 A family diary http://www.smac.edu/[...] 2007-09-28
[189] 웹사이트 Letter to Archbishop Lefebvre http://www.vatican.v[...] 1976-10-11
[190] 서적 Apologia pro Marcel Lefebvre (Chapter 14) http://www.sspxasia.[...]
[191] 웹사이트 letter http://www.vatican.v[...] 1976-10-11
[192] 뉴스 The Archbishop Calls It Quits http://www.time.com/[...] Time 1988-06-27
[193] 문서 第二バチカン公会議を否定する聖ピオ十世会では、司教叙階についての記述がない旧教会法にもとづき、司教「叙階」ではなく司教「聖別」と表記している。
[194] 웹사이트 Bishops to Save the Church http://www.sspxasia.[...] 1987-06
[195] 웹사이트 TITLE VI Code of Canon Law, canon 1013 http://www.vatican.v[...]
[196] 웹사이트 Protocol of Agreement between the Holy See and the Priestly Society of Saint Pius X http://www.unavoce.o[...] 2009-01-31
[197] 웹사이트 Sermon on the occasion of the Episcopal Consecration http://www.sspxasia.[...] 1988-06
[198] 뉴스 Pope John Paul II, an Obituary http://www.latinmass[...] Latin Mass Society of Ireland
[199] 서적 バチカン・シークレット 河出書房新社 2010
[200] 웹사이트 Decree of Excommunication http://www.cin.org/u[...]
[201] url hf_jp-ii_motu-proprio_19880702_ecclesia-dei_lt.html http://www.vatican.v[...]
[202] 웹사이트 Ecclesia Dei http://www.vatican.v[...]
[203] 웹사이트 TITLE III Code of Canon Law, canon 1382 http://www.vatican.v[...]
[204] 웹사이트 Sermon on the occasion of the Episcopal Consecration http://www.sspxasia.[...] 1988-06
[205] 웹사이트 Sermon on the occasion of the Episcopal Consecration http://www.sspxasia.[...] 1988-06
[206] 웹사이트 Letter to the Four Bishops Elect http://www.sspxasia.[...]
[207] 뉴스 null New York Times 1991-04-03
[208] 웹사이트 Archbishop Marcel Lefebvre's June 1988 Public Statement against False Ecumenism http://www.sspx.org/[...] 2006-10-13
[209] 웹사이트 Archbishop Lefebvre preparing the Council http://www.sspx.org/[...] 2003-02-24
[210] 뉴스 Archbishop Lefebvre: Moving Toward Schism? http://www.americama[...] America 1988-06-04
[211] 웹사이트 ルフェーブル大司教の説教 1976年6月29日 http://fsspxjapan.fc[...]
[212] 간행물 교회법전 http://www.vatican.v[...] 1983년
[213] 웹인용 "[서한] 르페브르 대주교에게 서품된 네 주교의 파문 제재 사면에 관하여.." http://www.cbck.or.k[...] 2020-06-11
[214] 간행물 Davies http://www.sspxasia.[...] 1980
[215] 간행물 The ghost at all our tables http://oriensjournal[...] Oriens 2005
[216]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www.sspxafric[...] 2006-12-06
[217] 간행물 A Calvary 1941–1944 René Lefebvre Part 1 http://www.angeluson[...] The Angelus 1984-06
[218] 웹사이트 René Lefebvre and the Holocaust http://leflochreport[...] Le Floch Report 2006-03-19
[219] 간행물 The ghost at all our tables http://oriensjournal[...] Oriens journal
[220]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angelusonline[...] The Angelus 2013-11-01
[221]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www.sspxafric[...] 2004-03-22
[222] 웹사이트 I – Archbishop Marcel Lefebvre http://www.sspxasia.[...]
[223] 간행물 Davies http://www.sspxasia.[...] 1980
[224] 간행물 Tissier de Mallerais 2004
[225]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www.sspxafric[...] 2004-03-22
[226] 간행물 Some Memories of Archbishop Lefebvre's childhood http://www.angeluson[...] The Angelus 1980-11
[227] 간행물 Anglés 1991
[228] 문서 St. Michel de Ndjolé (May 1938 – August 1939), Ste. Marie de Libreville (December 1939 – August 1940), St. Paul de Donguila (August 1940 – April 1943), and finally St. François Xavier de Lambaréné (April 1943 – October 1945)
[229]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www.sspxafric[...] 2003-11-07
[230]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sspxafrica.co[...] 2003-09-23
[231]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www.sspxafric[...] 2003-08-18
[232] 웹사이트 Enzyklika Fidei Donum und Erzbischof Lefebvre http://www.fsspx.inf[...]
[233] 웹사이트 An Interview With Archbishop Marcel Lefebvre http://www.angeluson[...] Houston Chronicle 1982-05-03
[234]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sspx.org/SSPX[...] 2007-06-22
[235] 간행물 Tissier de Mallerais 2004
[236]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www.sspxafric[...] 2004-03-19
[237] 간행물 Tissier de Mallerais 2004
[238] 웹사이트 God Bless the Archbishop http://www.angeluson[...] The Angelus
[239] 간행물 Hardon 1989
[240] 웹사이트 God Bless the Archbishop http://www.angeluson[...]
[241]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www.sspx.org/[...] Fideliter 2006-11-03
[242] 웹사이트 Vatican II, Part 4: The Third Session http://www.stjames-c[...] St. James Cathedral, Seattle
[243] 웹사이트 Cum Magno Dolore http://jcgi.pathfind[...] Time Magazine 1964-10-23
[244]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www.sspx.org/[...] Fideliter 2006-11-03
[245] 간행물 Harrison 1994
[246] 간행물 Angelus magazine of January 1991 http://www.angeluson[...]
[247] 서적 Harrison 1994
[248] 웹사이트 The Wanderer Interviews Fr. Aulagnier, SSPX http://la.revue.item[...] Luc Gagnon 2003-09-18
[249]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sspxafrica.co[...] Society of St. Pius X – South Africa. sspxafrica.com 2003-11
[250] 문서 Pia unio
[251] 서적 Davies 1980
[252] 서적 Davies 1980
[253] 웹사이트 Conference of Father Franz Schmidberger, Superior General of the Society of St. Pius X http://www.angeluson[...]
[254]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www.sspx.org/[...] sspx.org 1974-11-21
[255]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www.envoymaga[...] Envoy Magazine 2004-10-12
[256] 서적 Davies 1980
[257] 서적 Pope Paul VI 1976-05-24
[258] 서적 Davies 1980
[259] 서적 Pope Paul VI 1976-10-11
[260] 서적 Davies 1980
[261] 웹사이트 letter http://www.vatican.v[...]
[262] 뉴스 The Archbishop Calls It Quits http://www.time.com/[...] Time 1988-06-27
[263] 웹사이트 Bishops to Save the Church http://www.sspxasia.[...] Marcel Lefebvre 1987-06
[264] 서적 교회법전 1983
[265]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www.unavoce.o[...] 2009-01-31
[266] 뉴스 Pope John Paul II, an Obituary http://www.latinmass[...] Latin Mass Society of Ireland
[267] 웹사이트 Decree of Excommunication http://www.cin.org/u[...] 1988-07-01
[268] 서적 Pope John Paul II 1988
[269] 웹사이트 Sermon on the occasion of the Episcopal Consecration http://www.sspxasia.[...] Marcel Lefebvre 1988-06
[270] 웹사이트 Sermon on the occasion of the Episcopal Consecration http://www.sspxasia.[...] Marcel Lefebvre 1988-06
[271] 웹사이트 Letter to the Four Bishops Elect http://www.sspxasia.[...] Sspxasia.com 1988-06-13
[272] 뉴스 The French-born prelate died of cancer on 25 March at the age of 85, almost three years after being excommunicated for defying papal orders. Associated Press 1991-04-03
[273] 간행물 In Memoriam Archbishop Marcel Lefebvre http://www.angeluson[...] The Angelus 2002-04
[274] 웹사이트 Letter of Bishop Williamson on the visit of Cardinal Oddi http://www.sspxsemin[...]
[275] 뉴스 Rome’s Reconciliation: Did the Pope heal, or deepen, the Lefebvrist schism? http://www.newsweek.[...]
[276] 서적 Davies 1980
[277]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www.sspx.org/[...] United States district of the Society of Pius X 1983-10-19
[278]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www.sspx.org/[...] Fideliter 2006-11-03
[279] 서적 Reese 1988
[280] 서적 Vere 2001
[281] 서적 http://www.sspxasia.[...]
[282] 웹사이트 Afterword: The Rushdie Affair's Legacy http://koenraadelst.[...] 2006-02-04
[283] Youtube https://www.youtub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