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주시의 시내버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양주시의 시내버스는 양주시 관내를 운행하는 대중교통 시스템이다. 양주교통, 진명여객 등이 주요 운수업체이며, 시내일반, 일반좌석, 직행좌석, 광역급행 등의 노선이 운행된다. 수도권 통합요금제를 적용하여 경기도 시내버스와 환승 할인이 가능하며, 서울특별시, 동두천시, 의정부시, 파주시, 포천시 등 타 지역 운수업체의 노선도 양주시를 경유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양주시의 교통 - 수도권 전철 1호선
수도권 전철 1호선은 대한민국 최초의 지하철 노선이자 수도권 전철의 핵심 노선으로, 1974년 개통 이후 경원선, 경부선, 경인선, 장항선 등 여러 노선을 경유하며 한국철도공사와 서울교통공사가 공동 운영하고 완행 및 급행 열차를 운행한다. - 양주시의 교통 - 국도 제3호선
국도 제3호선은 경상남도 남해군에서 강원도 철원군까지 이어지는 일반 국도로, 1971년 삼천포-초산선으로 지정된 후 노선 변경 및 확장을 거쳐 현재에 이르며, 여러 도시를 경유하고 일부 구간은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되었다. - 경기도의 버스 교통 - 평택대시외버스정류장
평택대시외버스정류장은 고속버스와 시외버스 노선이 운행되며, 서울경부 방면 고속버스와 수도권 및 충청권 방면 시외버스를 이용할 수 있다. - 경기도의 버스 교통 - 안중시외버스터미널
안중시외버스터미널은 경기도 평택시 안중읍에 위치하며 수도권 및 충청권 지역을 연결하는 고속버스, 시외버스, 시내버스 노선을 운영하고, 서울경부, 인천, 안산, 인천국제공항, 당진, 평택 등의 주요 노선과 평택여객, 협진여객 등의 시내버스 노선을 이용할 수 있는 매표소, 대기 공간, 편의시설을 갖춘 터미널이다. - 대한민국의 버스 노선 - 홍성군의 농어촌버스
홍성군의 농어촌버스는 충남교통운수에서 시작하여 홍주여객이 주요 운수업체로서 노선번호제를 통해 운영 체계를 개선하였고, 지역 특성을 반영한 노선번호와 함께 2024년 1월 기준 카드 1,400원, 현금 1,500원의 운임이 적용된다. - 대한민국의 버스 노선 - 담양군의 농어촌버스
담양군의 농어촌버스는 담양군과 인근 지역을 연결하는 대중교통 수단으로, 단일 요금제를 적용하며, 동광담양고속이 운행한다.
양주시의 시내버스 | |
---|---|
양주시 시내버스 정보 | |
지역 | 양주시 |
구분 | 시내버스 |
![]() | |
관리 기관 | 양주시청 교통과 |
서비스 지역 | 경기도 양주시 |
기타 지역 | 서울특별시, 경기도 고양시, 파주시, 의정부시, 포천시, 부천시, 김포시, 동두천시 |
노선 수 | 33 |
인가 대수 | 147 |
지불 수단 | |
지불 수단 | 현금, 교통카드 |
선불 카드 | 마이비, 레일플러스, 캐시비, 탑패스, 티머니, 한페이 하나로 |
후불 카드 | 국민, 농협, 롯데, BC, 삼성, 수협, 신한, 씨티, 제주, 하나카드, 현대 |
웹사이트 | |
웹사이트 | 양주시청 - 양주시 버스 현황 경기도 버스정보 시스템 홈페이지 |
2. 운수업체
2. 1. 시내버스
2021년 1월 기준이다.[1]
양주시 관내를 운행하는 시내버스 노선은 위와 같다. 양주교통, 진명여객 등이 주요 운수업체이며, 각 업체별 노선 수와 등록 대수는 광역급행, 직행좌석, 일반좌석, 시내일반 등으로 구분된다.
2. 2. 다른 시, 군 운수업체
양주시에는 양주시 차적을 두지 않은 다른 지역 운수업체들의 노선이 경유한다.3. 요금 체계
양주시의 시내버스는 수도권 통합요금제를 따르며, 경기도의 다른 지역 시내버스와 환승 할인이 가능하다.
종류 | 나이 | 현금 (원) | 카드 (원) | 조조요금 (원) |
---|---|---|---|---|
일반시내 (DRT) | 어른 (만 19세 이상) | 1,500 | 1,450 | 1,250 |
청소년 (만 12세 ~ 18세) | 1,100 | 1,010 | 870 | |
어린이 (만 6세 ~ 11세) | 800 | 730 | 630 | |
일반좌석 | 어른 (만 19세 이상) | 2,500 | 2,450 | 2,050 |
청소년 (만 12세 ~ 18세) | 1,900 | 1,820 | 1,520 | |
어린이 (만 6세 ~ 11세) | 1,700 | 1,640 | 1,370 | |
직행좌석 (간선급행) | 어른 (만 19세 이상) | 2,900 | 2,800 | 2,400 |
청소년 (만 12세 ~ 18세) | 2,000 | 1,960 | 1,680 | |
어린이 (만 6세 ~ 11세) | 2,000 | 1,960 | 1,680 | |
경기순환 | 어른 (만 19세 이상) | 3,100 | 3,050 | 2,600 |
청소년 (만 12세 ~ 18세) | 2,200 | 2,140 | 1,820 | |
어린이 (만 6세 ~ 11세) | 2,200 | 2,140 | 1,820 | |
광역급행(M버스) | 어른 (만 18세 이상) | 2,900 | 2,800 | 2,300 |
청소년 (만 12세 ~ 17세) | 2,100 | 2,000 | 1,600 | |
어린이 (만 6세 ~ 11세) | 1,600 | 1,600 | 1,300 |
3. 1. 요금표
wikitable종류 | 나이 | 현금 (원) | 카드 (원) | 조조요금 (원) |
---|---|---|---|---|
일반시내 (DRT) | 어른 (만 19세 이상) | 1,500 | 1,450 | 1,250 |
청소년 (만 12세 ~ 18세) | 1,100 | 1,010 | 870 | |
어린이 (만 6세 ~ 11세) | 800 | 730 | 630 | |
일반좌석 | 어른 (만 19세 이상) | 2,500 | 2,450 | 2,050 |
청소년 (만 12세 ~ 18세) | 1,900 | 1,820 | 1,520 | |
어린이 (만 6세 ~ 11세) | 1,700 | 1,640 | 1,370 | |
직행좌석 (간선급행) | 어른 (만 19세 이상) | 2,900 | 2,800 | 2,400 |
청소년 (만 12세 ~ 18세) | 2,000 | 1,960 | 1,680 | |
어린이 (만 6세 ~ 11세) | 2,000 | 1,960 | 1,680 | |
경기순환 | 어른 (만 19세 이상) | 3,100 | 3,050 | 2,600 |
청소년 (만 12세 ~ 18세) | 2,200 | 2,140 | 1,820 | |
어린이 (만 6세 ~ 11세) | 2,200 | 2,140 | 1,820 | |
광역급행(M버스) | 어른 (만 18세 이상) | 2,900 | 2,800 | 2,300 |
청소년 (만 12세 ~ 17세) | 2,100 | 2,000 | 1,600 | |
어린이 (만 6세 ~ 11세) | 1,600 | 1,600 | 1,300 |
3. 2. 환승 할인
양주시의 시내버스는 경기도의 다른 지역 시내버스와 같이 수도권 통합요금제를 따른다.4. 양주시 차적의 운행 노선
wikitext
노선 번호 | 운행업체 | 운행 구간 | 주요 경유지 | 배차 간격 (분) | 인가 대수 | 비고 |
---|---|---|---|---|---|---|
19 | 진명여객 | 석현삼거리 ↔ 구파발역 | 돌고개, 장흥, 일영역, 삼하리, 효자동, 구파발역 | 9회 | 1대 | 공영버스, 2회 돌고개 진입 (19-1) |
22 | 진명여객 | 송추반석교회 ↔ 장흥면사무소 | 석현삼거리, 대승사, 야영장 | 15회 | 1대 | 공영버스, 2019년 5월 1일 신설 |
31 | 진명여객 | 봉양동 ↔ 의정부역 | 덕정역, 고암중고교, 리치마트, 샘내고개, 양주시청, 양주역, 녹양역, 가능역 | 15 | 15대 | |
77 | 양주교통 | 귀율동(양주교통) ↔ 삼숭동자이 | 율정마을, 옥정푸르지오9단지, e편한세상, 덕계역, 덕계동 | 15~20 | 7대 | 양주신도시 경유 |
78 | 양주교통 | 충성아파트 ↔ 송우리터미널 | 덕정역, 덕정주공아파트(고암초중교, 회천초중교), 회암2통, 투바위 | 12 | 11대 | 포천시 진입, 2024년 1차 시내버스 공공관리제 대상 노선 |
80 | 양주교통 | 귀율동(양주교통) ↔ 양주역 | 율정마을, e편한세상, 옥정고등학교, 옥정주공3단지, 회천3동주민센터, 덕정역, 양주경찰서, 리치마트, 현진에버빌, 고읍지구(현대아파트, 유승9단지, 국민체육센터, 신도대방), 양주시청 | 11~20 | 11대 | 양주신도시 경유 |
81 | 양주교통 | 양주역 ↔ 서희스타힐스아파트 | 고읍지구(신도대방, 덕현초교), 율정마을16단지,이편한세상 11단지, 세창아파트, 옥정고등학교, 덕정주공아파트(회천초중교, 고암초중교), 덕정역 | 15~50 | 5대 | 양주신도시 경유, 저상버스 운행, 일부 차량은 81-1, 81-2번 행선판을 걸고 운행함 |
82 | 양주교통 | 삼숭동자이 ↔ 양주역 | 자이7~1단지, 고읍지구(덕현고등학교, 주공8단지, 주공4단지), 대방신도아파트, 마전동 | 4~10 | 9대 | 저상버스 운행 |
83 | 양주교통 | 귀율동(양주교통) ↔ 양주역 | 율정마을, 옥정교차로, 삼숭교차로, 고읍지구 | 40~80 | 5대 | 저상버스 운행, 양주신도시 경유 |
87 | 양주교통 | 덕정동(충성아파트) ↔ 양주역 | 덕정역, 덕정주공, 세창아파트, 옥정고등학교, 율정초등학교, 율정마을7,13단지, 고읍지구 | 15~30 | 8대 | 양주신도시 경유, 2021년 8월 2일 신설 |
88 | 양주교통 | 주공6단지 ↔ 예원예술대학교 | 덕정주공아파트(회천초중교, 고암초중교), 덕정역, 진흥마트, 덕정사거리, 철풍아파트 | 60~90 | 1대 | 서정대 미경유 |
90 | 양주교통 | 양주역 ↔ 회암사지 박물관 | 고읍지구(신도대방, 덕현초교), 율정마을16단지, 이편한세상1단지, 옥정푸르지오9단지(옥정고등학교), 율정초등학교, 율정마을7,8단지, 회천4동 주민센터 | 8~15 | 6대 | 양주신도시 경유 |
91 | 양주교통 | 덕정주공6단지 ↔ 서정대학 | 덕정주공아파트(회천초중교, 고암초중교), 덕정역, 진흥마트, 덕정사거리, 철풍아파트 | 8~15 | 2대 | 기점방향:중흥s클래스->주원초등학교->6단지 |
99 | 양주교통 | 귀율동(양주교통) ↔ 양주역 | 옥정중앙공원, 율빛초등학교, 장거리한양수자인1단지 | 20~40 | 4대 | 2021년 2월 1일 신설 |
118 | 진명여객 | 덕정동차고지 ↔ 수유역 | 덕정역, 옥정고등학교, 옥정센트럴 푸르지오, 이편한세상11단지, 옥정마을16단지, 고읍지구, 의정부성모병원, 의정부터미널, 발곡중학교, 회룡역, 망월사역, 도봉산역, 도봉역, 방학역, 쌍문역 | 25 | 11대 | 저상버스 운행, 신평화로 국도3호선우회국도 경유, 양주신도시 경유, 2024년 1차 시내버스 공공관리제 대상 노선 |
365 | 진명여객 | 안고령 ↔ 백석읍사무소 | 기산리, 안골, 홍죽삼거리, 서광아파트, 동화세아아파트, 복지사거리 | 90 | 2대 | 따복버스 |
365-1 | 홍죽리 ↔ 양주역 | 고말재, 단촌삼거리, 한승아파트, 단촌삼거리, 백석읍사무소, 오산삼거리, 양주시청 | 30~90분 | 따복버스, 평일 운행 노선 | ||
365-2 | 영장삼거리 ↔ 윗가마골 | 안고령, 기산리종점, 기산리한우마을, 말머리고개, 장흥자연휴양림 | 90 | 따복버스, 공휴일 운행 노선 | ||
700 | 양주교통 | 회암사 ↔ 덕계역 | 회천4동행정복지센터, 율정마을, 옥정마을 | 30~120 | 2대 | 양주신도시 경유 |
701 | 양주교통 | 경동대학교 ↔ 양주역 | 도둔이, 샘내, 양주시청 | 50~110 | 1대 |
노선 번호 | 운행 업체 | 운행 구간 | 주요 경유지 | 배차 간격 (분) | 인가 대수 | 비고 |
---|---|---|---|---|---|---|
1100 | 진명여객 | 덕정역 ↔ 노원역 | 옥정고등학교, 신평화로, 수락산역, 마들역 | 20~50 | 5대 | 양주신도시 경유, 대광위 준공영제 |
1101 | 진명여객 | 덕정역 ↔ 서울역버스환승센터 | 옥정고등학교, 신평화로, 도봉산역, 창경궁상행/혜화역하행, 을지로입구역 | 20~30 | 8대 | 양주신도시 경유, 대광위 준공영제, 2021년 11월 18일 개통 |
G1200 | 진명여객 | 덕정역 ↔ 상봉역 | 옥정고등학교, 신평화로, 구리포천고속도로, 망우역 | 15~30 | 8대 | 양주신도시 경유, 2020년 3월 24일 개통, 대광위 준공영제 |
G1300 | 진명여객 | 덕정역 ↔ 잠실역 환승센터 | 옥정고등학교, 신평화로, 구리포천고속도로 | 8~20 | 18대 | 양주신도시 경유, 2층 버스 운행 |
1304 | 진명여객 | 홍죽리 ↔ 잠실역 환승센터 | 양주시청, 덕계역, 신평화로, 구리포천고속도로 | 20~40 | 9대 | 양주신도시 경유, 2023년 10월 16일 신설, 대광위 준공영제 |
8906 | 진명여객 | 덕정역 ↔ 부천터미널 | 옥정고등학교, 의정부역, 외곽순환고속도로 | 30~75 | 9대 | 경기순환버스, 양주신도시 경유 |
P9601 | 한국스마트버스협동조합 | 양주신도시 ↔ 양재역 | 옥정고등학교, 삼성역, 강남역 | 2회 (막차) | 1대 | 경기 프리미엄버스 |
P9602 | 옥정고등학교, 삼성역, 강남역 | 2회 (첫차) | 1대 |
4. 1. 도시형버스
노선 번호 | 운행업체 | 운행 구간 | 주요 경유지 | 배차 간격 (분) | 인가 대수 | 비고 |
---|---|---|---|---|---|---|
19 | 진명여객 | 석현삼거리 ↔ 구파발역 | 돌고개, 장흥, 일영역, 삼하리, 효자동, 구파발역 | 9회 | 1대 | 공영버스, 2회 돌고개 진입 (19-1) |
22 | 진명여객 | 송추반석교회 ↔ 장흥면사무소 | 석현삼거리, 대승사, 야영장 | 15회 | 1대 | 공영버스, 2019년 5월 1일 신설 |
31 | 진명여객 | 봉양동 ↔ 의정부역 | 덕정역, 고암중고교, 리치마트, 샘내고개, 양주시청, 양주역, 녹양역, 가능역 | 15 | 15대 | |
77 | 양주교통 | 귀율동(양주교통) ↔ 삼숭동자이 | 율정마을, 옥정푸르지오9단지, e편한세상, 덕계역, 덕계동 | 15~20 | 7대 | 양주신도시 경유 |
78 | 양주교통 | 충성아파트 ↔ 송우리터미널 | 덕정역, 덕정주공아파트(고암초중교, 회천초중교), 회암2통, 투바위 | 12 | 11대 | 포천시 진입, 2024년 1차 시내버스 공공관리제 대상 노선 |
80 | 양주교통 | 귀율동(양주교통) ↔ 양주역 | 율정마을, e편한세상, 옥정고등학교, 옥정주공3단지, 회천3동주민센터, 덕정역, 양주경찰서, 리치마트, 현진에버빌, 고읍지구(현대아파트, 유승9단지, 국민체육센터, 신도대방), 양주시청 | 11~20 | 11대 | 양주신도시 경유 |
81 | 양주교통 | 양주역 ↔ 서희스타힐스아파트 | 고읍지구(신도대방, 덕현초교), 율정마을16단지,이편한세상 11단지, 세창아파트, 옥정고등학교, 덕정주공아파트(회천초중교, 고암초중교), 덕정역 | 15~50 | 5대 | 양주신도시 경유, 저상버스 운행, 일부 차량은 81-1, 81-2번 행선판을 걸고 운행함 |
82 | 양주교통 | 삼숭동자이 ↔ 양주역 | 자이7~1단지, 고읍지구(덕현고등학교, 주공8단지, 주공4단지), 대방신도아파트, 마전동 | 4~10 | 9대 | 저상버스 운행 |
83 | 양주교통 | 귀율동(양주교통) ↔ 양주역 | 율정마을, 옥정교차로, 삼숭교차로, 고읍지구 | 40~80 | 5대 | 저상버스 운행, 양주신도시 경유 |
87 | 양주교통 | 덕정동(충성아파트) ↔ 양주역 | 덕정역, 덕정주공, 세창아파트, 옥정고등학교, 율정초등학교, 율정마을7,13단지, 고읍지구 | 15~30 | 8대 | 양주신도시 경유, 2021년 8월 2일 신설 |
88 | 양주교통 | 주공6단지 ↔ 예원예술대학교 | 덕정주공아파트(회천초중교, 고암초중교), 덕정역, 진흥마트, 덕정사거리, 철풍아파트 | 60~90 | 1대 | 서정대 미경유 |
90 | 양주교통 | 양주역 ↔ 회암사지 박물관 | 고읍지구(신도대방, 덕현초교), 율정마을16단지, 이편한세상1단지, 옥정푸르지오9단지(옥정고등학교), 율정초등학교, 율정마을7,8단지, 회천4동 주민센터 | 8~15 | 6대 | 양주신도시 경유 |
91 | 양주교통 | 덕정주공6단지 ↔ 서정대학 | 덕정주공아파트(회천초중교, 고암초중교), 덕정역, 진흥마트, 덕정사거리, 철풍아파트 | 8~15 | 2대 | 기점방향:중흥s클래스->주원초등학교->6단지 |
99 | 양주교통 | 귀율동(양주교통) ↔ 양주역 | 옥정중앙공원, 율빛초등학교, 장거리한양수자인1단지 | 20~40 | 4대 | 2021년 2월 1일 신설 |
118 | 진명여객 | 덕정동차고지 ↔ 수유역 | 덕정역, 옥정고등학교, 옥정센트럴 푸르지오, 이편한세상11단지, 옥정마을16단지, 고읍지구, 의정부성모병원, 의정부터미널, 발곡중학교, 회룡역, 망월사역, 도봉산역, 도봉역, 방학역, 쌍문역 | 25 | 11대 | 저상버스 운행, 신평화로 국도3호선우회국도 경유, 양주신도시 경유, 2024년 1차 시내버스 공공관리제 대상 노선 |
365 | 진명여객 | 안고령 ↔ 백석읍사무소 | 기산리, 안골, 홍죽삼거리, 서광아파트, 동화세아아파트, 복지사거리 | 90 | 2대 | 따복버스 |
365-1 | 홍죽리 ↔ 양주역 | 고말재, 단촌삼거리, 한승아파트, 단촌삼거리, 백석읍사무소, 오산삼거리, 양주시청 | 30~90분 | 따복버스, 평일 운행 노선 | ||
365-2 | 영장삼거리 ↔ 윗가마골 | 안고령, 기산리종점, 기산리한우마을, 말머리고개, 장흥자연휴양림 | 90 | 따복버스, 공휴일 운행 노선 | ||
700 | 양주교통 | 회암사 ↔ 덕계역 | 회천4동행정복지센터, 율정마을, 옥정마을 | 30~120 | 2대 | 양주신도시 경유 |
701 | 양주교통 | 경동대학교 ↔ 양주역 | 도둔이, 샘내, 양주시청 | 50~110 | 1대 |
4. 2. 직행좌석버스
양주시에는 도시형버스와 동일한 형식으로 직행좌석버스 노선 정보가 제공된다. 진명여객에서 운행하는 1100번, 1101번, G1200번, G1300번, 1304번, 8906번 노선과 한국스마트버스협동조합에서 운행하는 P9601번, P9602번 노선이 있다.1100번은 덕정역과 노원역을 잇는 노선으로, 양주신도시를 경유하며 대광위 준공영제 노선이다. 1101번은 덕정역에서 서울역버스환승센터까지 운행하며, 양주신도시를 경유하고 2021년 11월 18일에 개통된 대광위 준공영제 노선이다. G1200번은 덕정역과 상봉역을 연결하며, 2020년 3월 24일에 개통된 대광위 준공영제 노선이다. G1300번은 덕정역에서 잠실역 환승센터까지 운행하며, 2층 버스를 운행한다. 1304번은 홍죽리(코오롱패션)에서 잠실역 환승센터를 잇고, 양주신도시를 경유하며, 2023년 10월 16일 신설된 대광위 준공영제 노선이다.
8906번은 경기순환버스로, 덕정역에서 부천터미널까지 운행하며 양주신도시를 경유한다. P9601번과 P9602번은 경기 프리미엄버스로, 양주신도시(옥정3단지)에서 출발하여 양재역까지 운행한다. P9601번은 막차 시간대에 2회, P9602번은 첫차 시간대에 2회 운행한다.
노선 번호 | 운행 업체 | 운행 구간 | 주요 경유지 | 배차 간격 (분) | 인가 대수 | 비고 |
---|---|---|---|---|---|---|
1100 | 진명여객 | 덕정역 ↔ 노원역 | 옥정고등학교, 신평화로, 수락산역, 마들역 | 20~50 | 5대 | 양주신도시 경유, 대광위 준공영제 |
1101 | 진명여객 | 덕정역 ↔ 서울역버스환승센터 | 옥정고등학교, 신평화로, 도봉산역, 창경궁상행/혜화역하행, 을지로입구역 | 20~30 | 8대 | 양주신도시 경유, 대광위 준공영제, 2021년 11월 18일 개통 |
G1200 | 진명여객 | 덕정역 ↔ 상봉역 | 옥정고등학교, 신평화로, 구리포천고속도로, 망우역 | 15~30 | 8대 | 양주신도시 경유, 2020년 3월 24일 개통, 대광위 준공영제 |
G1300 | 진명여객 | 덕정역 ↔ 잠실역 환승센터 | 옥정고등학교, 신평화로, 구리포천고속도로 | 8~20 | 18대 | 양주신도시 경유, 2층 버스 운행 |
1304 | 진명여객 | 홍죽리 ↔ 잠실역 환승센터 | 양주시청, 덕계역, 신평화로, 구리포천고속도로 | 20~40 | 9대 | 양주신도시 경유, 2023년 10월 16일 신설, 대광위 준공영제 |
8906 | 진명여객 | 덕정역 ↔ 부천터미널 | 옥정고등학교, 의정부역, 외곽순환고속도로 | 30~75 | 9대 | 경기순환버스, 양주신도시 경유 |
P9601 | 한국스마트버스협동조합 | 양주신도시 ↔ 양재역 | 옥정고등학교, 삼성역, 강남역 | 2회 (막차) | 1대 | 경기 프리미엄버스 |
P9602 | 옥정고등학교, 삼성역, 강남역 | 2회 (첫차) | 1대 |
5. 타 지역 차적의 운행 노선
5. 1. 서울특별시의 시내버스
제일교통에서 운행하는 704번 간선버스는 송추반석교회에서 서울역 환승센터까지 운행한다. 주요 경유지는 부곡리, 송추검문소, 올림픽부대앞, 북한산성입구, 구파발역, 불광역, 독립문역, 서대문역, 숭례문, 경찰청, 경복궁 등이다. 배차 간격은 12분이며, 저상버스가 운행된다.서울교통네트웍에서 운행하는 서울05번 서울동행버스는 양주신도시(율정마을7단지)에서 출발하여 도봉산역까지 운행한다. 율정마을13단지, 대방노블랜드12단지, 연푸른초교, 덕고개를 경유한다. 1일 4회, 15분 간격으로 운행하며, 서울특별시 면허의 서울동행버스이다.
5. 2. 동두천시의 시내버스
대양운수에서 운행하는 동두천시 면허의 시내버스 노선은 다음과 같다.노선 번호 | 운행 구간 | 주요 경유지 | 배차 간격 | 비고 |
---|---|---|---|---|
51 | 구터미널 ↔ 신산리(남면) | 상패동, 봉암리, 구암리, 남면산업단지 | 50~60분 | |
51-1 | 구터미널 ↔ 신산리(남면) | 상패동, 봉암리, 구암리, 남면산업단지 | 240분 | |
52 | 구터미널 ↔ 봉화촌 | 상패동, 봉암리, 늘목리, 적암리, 어유지리 | 통합 60분 | |
52-1 | 구터미널 → 봉화촌 | 문화극장, 보산역, 남산모루, 상패동, 봉암리, 늘목리, 적암리, 어유지리, 삼화리, 마전리, 숭의전 | 1회 | 아침 노선, 봉화촌 행은 52-2번과 동일 |
52-2 | 구터미널 ↔ 봉화촌 | 상패동, 봉암리, 늘목리, 적암리, 어유지리, 삼화리, 마전리, 숭의전 | 5회 | |
52-3 | 구터미널 → 봉화촌 | 문화극장, 동두천중고교, 상패동, 봉암리, 늘목리, 적암리, 어유지리, 삼화리, 마전리, 숭의전 | 1회 | 아침 노선, 봉화촌 행은 52-2번과 동일 |
53 | 전곡 ↔ 덕정주공 | 전곡역, 초성리역, 소요산역, 동두천역, 보산역, 구터미널, 동두천중앙역, 지행역, 동두천터미널, 덕정사거리, 덕정역 | 60분 | |
54 | 덕정주공 ↔ 백의리 | 덕정역, 덕정사거리, 동두천터미널, 송내주공, 보건소, 구터미널, 보산역, 동두천역, 소요산역, 초성리역, 궁평리 | 5회 | |
54-3 | 덕정주공 → 구터미널 | 덕정역, 덕정사거리, 동두천터미널, 송내주공, 보건소 | 1회 | 아침 노선, 구터미널 행은 54번과 동일 (백의리 행) |
5. 3. 의정부시의 시내버스
평안운수와 명진여객에서 운행하는 의정부시 면허의 시내버스 노선이다.- 5번: 홍죽리와 우성아파트를 잇는 노선으로, 복지사거리, 녹양역, 경민대학, 흥선역, 의정부역, 장암주공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15~25분이며, 저상버스가 운행된다.
- 7번: 자이7단지와 노원구청을 잇는 노선으로, 고읍지구, 양주역, 녹양역, 의정부역, 회룡역, 도봉산역, 수락산역, 마들역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6~10분이며, 저상버스가 운행된다.
- 8번: 홍죽리와 시장앞을 잇는 노선으로, 복지사거리, 가능역, 의정부역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4~5분이며, 저상버스가 운행된다.
- 23번: 민락2지구와 부곡리를 잇는 노선으로, 탑석역, 제일시장, 의정부역, 경민대학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7~10분이며, 저상버스가 운행된다.
- 25-1번: 의정부버스터미널과 적성터미널을 잇는 노선으로, 의정부역, 가능역, 녹양역, 양주역, 덕정역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15~25분이다.
- 34번: 불광동과 의정부터미널을 잇는 노선으로, 구파발역, 북한산성입구, 가능역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10~15분이다.
- 35번: 민락2지구와 법원읍을 잇는 노선으로, 의정부성모병원, 의정부터미널, 의정부역, 가능역, 녹양역, 양주역, 양주시청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15~30분이며, 저상버스가 운행된다.
- 36번: 소요산역과 수유역을 잇는 노선으로, 동두천역, 덕계동, 양주시청, 녹양역, 회룡역, 도봉산역, 방학역, 쌍문역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10~20분이다.
- 39번: 연천공영버스터미널과 도봉산역 환승센터를 잇는 노선으로, 연천군청, 전곡역, 소요산역, 지행역, 양주시청, 녹양역, 의정부역, 회룡역, 망월사역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40~70분이다.
- 133번: 홍죽리와 수유역을 잇는 노선으로, 양주시청, 경민대학, 의정부시청, 회룡역, 도봉산역, 방학역, 쌍문역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12~15분이며, 저상버스가 운행된다.
- 360번: 불광동과 금오중학교를 잇는 노선으로, 구파발역, 일영역, 경민대학, 가능역, 의정부터미널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18~25분이며, 구 36번 노선이다.
5. 4. 파주시의 시내버스
신일여객의 15A 따복버스는 비암2리와 광탄삼거리를 120분 간격으로 운행하며 방축리를 경유한다. 신성교통의 38번 버스는 금촌과 의정부터미널 사이를 운행하며, 봉일천, 내유동, 장흥, 송추검문소, 울대고개를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45~60분이며, 과거 340번으로 운행되었다.5. 5. 포천시의 시내버스
포천상운에서 운행하는 62번 버스는 대진대학교에서 양주역까지 운행하며, 차의과학대학교, 석향마을, 송우리, 홈플러스, 부인터사거리, 고읍지구를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20분이다.6. 갤러리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