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종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어류는 아가미를 가지고 있으며 지느러미 모양의 사지를 가진 척삭동물로 정의되며, 분류학적으로 무악류, 연골어류, 경골어류 등으로 나뉜다. 무악류는 턱이 없고 칠성장어와 꼼치가 있으며, 연골어류는 상어, 가오리, 은상어목 등이 있다. 경골어류는 육기어류와 조기어류로 나뉘며, 조기어류는 연골총어류, 전골어류, 진골어류로 구분된다. 어류는 다양한 서식지에 살며, 먹이를 흡입, 충돌, 조작 등의 방식으로 섭취한다. 일부 어류는 독성을 가지며, 인간은 어류를 식용, 레크리에이션, 관상용으로 이용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어종 | |
---|---|
개요 | |
어류 | 광범위하게 다양한 특징들을 나타내는 물고기 종들의 분류 |
특징 | |
다양성 | 다양한 형태와 크기 존재 잎해룡과 같은 위장술을 사용하는 종 존재 심해 아귀와 같이 독특한 사냥 기술을 가진 종 존재 |
2. 분류
어류 분류학은 어류 분류군을 체계적으로 기술하고 구성하는 학문으로, 매우 복잡하며 아직도 진화하고 있다. 분류에 대한 "난해하지만 중요한 세부 사항"을 둘러싼 논쟁은 여전히 계속되고 있다.[7]
"어류"라는 용어는 일생 동안 아가미를 가지고 있으며, 사지가 있다면 지느러미 모양인 모든 비사지동물 척삭동물 (척추가 있는 동물)을 설명한다.[8] 조류나 포유류와 같은 그룹과는 달리, 어류는 엽상 지느러미 어류의 분류군 내에 사지동물 분류군이 있기 때문에 측계통군이다.[9][10]
어류는 크게 무악류, 연골어류, 경골어류로 나눌 수 있다. 무악류는 턱이 없는 어류이고, 연골어류는 연골로 골격이 이루어진 어류이며, 경골어류는 단단한 뼈로 골격이 이루어진 어류이다. 경골어류는 다시 육기어류와 조기어류로 나뉜다.
2. 1. 무악류
무악류(Jawless fish)는 가장 먼저 진화한 어류이다. 하지만 이들이 실제로 어류인지에 대한 논쟁이 현재 진행 중이다. 무악류는 턱, 비늘, 쌍지느러미, 그리고 뼈대가 없다. 피부는 매끄럽고 부드러우며 매우 유연하다. 턱 대신 구강흡반을 가지고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다른 물고기에 달라붙은 후 거친 이빨로 숙주의 피부를 갈아서 내장(viscera)에 도달한다.[11] 무악류는 민물과 바닷물 환경 모두에 서식하며, 일부는 민물과 바닷물 서식지를 오가는 회유성(anadromous)이다.현존하는 무악류는 칠성장어(lamprey)와 꼼치(hagfish) 두 종류가 있다. 어린 칠성장어는 미생물과 유기 잔해가 포함된 진흙을 빨아먹으며 성장한다. 칠성장어는 눈이 잘 발달되어 있지만, 꼼치는 원시적인 눈점만 가지고 있다. 꼼치는 포식자를 막기 위해 자신과 발견한 사체에 불쾌한 점액을 덮고, 주기적으로 몸을 매듭짓는 행위를 통해 점액을 제거한다. 꼼치는 무척추동물(invertebrate)인 유일한 어류이며, 두개골(skull)은 있지만 척추(vertebral column)가 없는 유일한 동물이다.[11]

2. 2. 연골어류
연골어류는 연골로 이루어진 골격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그 조상은 뼈를 가진 동물이었으며, 짝지어진 지느러미를 발달시킨 최초의 어류였다. 연골어류는 부레가 없다. 피부는 모래처럼 거친 플라코이드 비늘로 덮여 있다. 연골어류는 뼈 속에 골수가 없기 때문에 비장과 생식샘 주변의 특수 조직에서 적혈구를 생성한다. 꼬리는 비대칭일 수 있으며, 위쪽 엽이 아래쪽 엽보다 더 길다. 일부 연골어류는 적혈구를 생성하는 라이디히 기관이라는 기관을 가지고 있다.[7]연골어류는 980종이 넘으며, 상어, 가오리 및 은상어목이 포함된다.[7]

2. 3. 경골어류
어류 분류학은 어류 분류군을 체계적으로 기술하고 구성하는 학문이다. 이는 매우 복잡하며 아직도 진화하고 있다. 분류에 대한 "난해하지만 중요한 세부 사항"을 둘러싼 논쟁은 여전히 계속되고 있다.[7]"어류"라는 용어는 일생 동안 아가미를 가지고 있으며, 사지가 있다면 지느러미 모양인 모든 비사지동물 척삭동물 (척추가 있는 동물)을 설명한다.[8] 조류나 포유류와 같은 그룹과는 달리, 어류는 엽상 지느러미 어류의 분류군 내에 사지동물 분류군이 있기 때문에 측계통군이다.[9][10]
경골어류는 육기어류와 조기어류를 포함한다. 육기어류는 폐어와 실러캔스를 포함하는, 살이 많은 지느러미를 가진 어류의 강이다. 이들은 살이 많고 엽상의 짝지어진 지느러미를 가졌으며, 이 지느러미는 하나의 뼈로 몸에 연결되어 있다.[12] 이러한 지느러미는 최초의 사지동물 육상 척추동물인 양서류의 다리로 진화했다.
조기어류는 골질 또는 뿔질의 가시("조사")로 지지되는 피부의 막인 경골소판 또는 "지느러미 가시"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그렇게 불린다. 조기어류에는 연골총어류, 전골어류, 그리고 진골어류의 세 가지 유형이 있다. 연골총어류와 전골어류는 진화한 초기 어류에 속하며, 진골어류와 상어 모두와 특징을 공유한다. 다른 연골총어류와 비교하여 전골어류는 진골어류에 더 가깝고 상어와는 더 멀다.


2. 3. 1. 진골어류
경골어류에 속하는 진골어류는 가장 진화된, 즉 "현대적인" 어류이다. 약 3만 종에 달하는 진골어류는 현존하는 모든 어류 종의 약 96%를 차지하며, 어류 중에서 압도적으로 많은 수를 차지한다. 진골어류는 심해에서부터 가장 높은 산의 계류까지 담수와 해양 환경 전역에 널리 분포한다. 여기에는 거의 모든 중요한 수산업 및 낚시 어종이 포함된다.[13]진골어류는 움직일 수 있는 상악골과 전상악골, 그리고 턱 근육의 변형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변형 덕분에 진골어류는 입에서 턱을 바깥으로 돌출시킬 수 있다.[14][15] 꼬리지느러미는 정등형(homocercal)인데, 이는 위쪽과 아래쪽 엽의 크기가 거의 같다는 뜻이다. 척추는 미병부에서 끝나며, 이것이 척추가 꼬리지느러미의 위쪽 엽으로 뻗어나가는 다른 어류와 구분되는 특징이다.[14]

3. 서식지
어류는 거의 모든 수생 환경에서 발견된다.[23] 종 수나 개체 수 모두에서 대부분의 어류는 온도가 비교적 안정적인 따뜻한 환경에 서식한다.[17] 그러나 일부 종은 최대 44.6°C의 고온에서도 생존하고, 다른 종은 남극 수렴대 남쪽의 200종이 넘는 경골어류처럼 더 차가운 물에서도 생존한다.[24] 또한 일부 어종은 10%가 넘는 염도에서도 견딜 수 있다.[23]
서식지 | 예시 | 이미지 | 설명 |
---|---|---|---|
티베트 돌종개 | ![]() | 티베트 돌종개는 히말라야에서 5200m가 넘는 고도에 서식한다.[23][28] | |
동굴 맹목어 | ![]() | 북미의 동굴 맹목어처럼 단일하고 작은 서식지에 국한되는 어류도 있다.[29] | |
데스밸리 펍피시 | ![]() | 고립된 사막 펍피시는 멕시코와 미국 남서부의 작은 사막 샘 시스템에 서식한다. |
3. 1. 담수
바다에는 호수와 강의 담수보다 1만 배나 많은 염수가 있지만, 현존하는 어류 종의 58%만이 염수에서 서식한다. 41%는 담수어류이며(나머지 1%는 회유성 어류) 이는 비례하지 않는 수치이다.[16] 수천 개의 분리된 호수 서식지가 종 분화를 촉진하기 때문에 담수 어종의 다양성은 놀라운 일이 아닐 수 있다.[17]
3. 2. 해수
바다에는 호수와 강의 담수보다 1만 배나 많은 염수가 있다. 그러나 현존하는 어류 종의 58%만이 염수에서 서식한다. 41%는 담수어류이며(나머지 1%는 회유성 어류) 이는 비례하지 않는 수치이다.[16] 수천 개의 분리된 호수 서식지가 종 분화를 촉진하기 때문에 담수 어종의 다양성은 놀라운 일이 아닐 수 있다.[17]서식지 | 면적 | 부피 | 수심 | 종 수 | 어류 생물량 | |
---|---|---|---|---|---|---|
백만 km2 | 백만 km3 | (평균) | 개체 수 | 백분율 | 백만 톤 | |
해수 | 361km2[18] | 1370.8km3[19] | 3.8km | 18,000 | 58[16] | 800MT–2000MT[20] |
어류는 저서성 또는 수중성일 수 있다. 저서성 어류는 바다와 호수 바닥 또는 그 근처에 서식하는 반면, 수중성 어류는 바닥에서 떨어진 수주에 서식한다. 서식지는 수직적으로 층화될 수도 있다. 표해양성 어류는 200m까지의 햇빛이 비치는 물에 서식하고, 중해양성 어류는 1000m까지의 더 깊은 황혼대에 서식하며, 심해성 어류는 그 아래의 차갑고 칠흑 같은 심해에 서식한다.
대부분의 해양 어종(78%, 또는 모든 어종의 44%)은 해안선 근처에 서식한다. 이러한 연안 어류는 비교적 얕은 대륙붕 위 또는 위에 서식한다. 모든 어종의 13%만이 대륙붕 밖의 외양에 서식한다. 이 중 1%는 표해양성 어류, 5%는 수중성 어류, 7%는 심해성 어류이다.[16]
어류는 거의 모든 자연 수생 환경에서 발견된다.[23] 종 수나 풍부도 모두를 기준으로 볼 때 대부분의 어류는 온도가 비교적 안정적인 따뜻한 환경에 서식한다.[17] 그러나 일부 종은 최대 44.6°C의 온도에서도 생존하고, 다른 종은 더 차가운 물에서도 생존한다. 남극 수렴대 남쪽에는 200종이 넘는 경골어류가 서식한다.[24] 일부 어종은 10%가 넘는 염도를 견딘다.[23]
3. 3. 기수
바닷물에는 호수와 강의 담수보다 1만 배나 많은 염분이 함유되어 있다. 그러나 현존하는 어류 종의 58%만이 바닷물에서 서식한다. 41%는 담수어이며(나머지 1%는 회유성 어류) 이는 비례하지 않는 수치이다.[16] 수천 개의 분리된 호수 서식지가 종 분화를 촉진하기 때문에 담수 어종의 다양성은 놀라운 일이 아닐 수 있다.[17]4. 생태
어류는 바닷물에 서식하는 종이 58%로 가장 많고, 담수어류가 41%, 회유성 어류가 1%를 차지한다. 담수 어종의 다양성은 수천 개의 분리된 호수 서식지가 종 분화를 촉진하기 때문으로 설명된다.[16][17]
어류는 서식지에 따라 저서성 또는 수중성으로 나뉜다. 저서성 어류는 바다와 호수 바닥 근처에, 수중성 어류는 바닥에서 떨어진 수주에 서식한다. 서식지는 수직적으로 층화될 수 있는데, 표해양성 어류는 수심 200m까지, 중해양성 어류는 1000m까지, 심해성 어류는 그 아래 심해에 서식한다.
대부분의 해양 어종(78%, 전체 어종의 44%)은 해안선 근처 대륙붕 위나 얕은 곳에 서식한다. 13%만이 대륙붕 밖 외양에 서식하며, 이 중 1%는 표해양성, 5%는 수중성, 7%는 심해성 어류이다.[16]
어류는 거의 모든 수생 환경에서 발견되지만,[23] 대부분 온도가 안정적인 따뜻한 환경에 서식한다.[17] 그러나 일부 종은 최대 44.6°C의 고온이나 남극 수렴대 남쪽의 저온, 심지어 10%가 넘는 염도에서도 생존한다.[23][24]
서식지 | 어종 | 이미지 | 설명 |
---|---|---|---|
심해 | 심해아귀(Abyssobrotula galatheae) | 세계에서 가장 깊은 푸에르토리코 해구(8372m)에 서식하는 꼼치과 어류.[23][25] | |
고산지대 | 티베트 돌종개 | 히말라야 5200m 이상 고도에 서식.[23][28] | |
광범위한 해역 | 청상아리 | 모든 바다에 걸쳐 넓게 분포. | |
제한된 서식지 | 동굴 맹목어 | 북미 동굴처럼 작고 고립된 곳에 서식.[29] | |
사막 | 데스밸리 펍피시 | 멕시코와 미국 남서부의 작은 사막 샘에 서식. | |
열수 분출공 | 꼼치과 열수성 어류(Thermichthys hollisi) | 2400m 깊이 열수 분출구 주변에 서식.[23][30] | |
사르가소 해초 | 사르가소 개구리장어 | 사르가소 해초에 서식하며 지느러미로 해초를 타고 이동.[31] |
4. 1. 크기
파에도키프리스 프로게네티카 | ![]() | Paedocypris progenetica|파에도키프리스 프로게네티카영어는 납자루과에 속하는 어종으로, 모든 어종 중 가장 작다. 인도네시아 수마트라 섬의 어두운 색깔의 이탄 습지에 서식한다. 이 종의 암컷은 성숙했을 때 7.9mm의 표준 길이를 갖는다.[53][54][55] 2012년 파푸아뉴기니에서 7.7mm의 표준 길이를 가진 미세한 개구리 파에도프리네 아마우엔시스가 발견되기 전까지는 이 종이 알려진 모든 척추동물 중 가장 작았다.[56] |
---|---|---|
포토코리누스 스피니셉스 | ![]() | 낚시꾼물고기 종인 Photocorynus spiniceps|포토코리누스 스피니셉스영어의 수컷은 성숙했을 때 6.2mm에서 7.3mm 사이의 길이를 가지며, 따라서 더 작은 종으로 여겨질 수 있다. 그러나 이 수컷들은 스스로 생존하지 못하고, 더 큰 암컷에 대한 성적 기생을 통해서만 생존한다.[57][58][59][60] |
튼튼한 유어 | height=50px | | 망둑어과의 일종인 튼튼한 유어는 두 번째로 작은 어종으로 알려져 있다.[61] 암컷은 8.4mm의 길이까지 자라고 수컷은 7mm에서 성숙한다. |
시나라판 | ![]() | 기네스북에 따르면, 망둑어과에 속하는 시나라판은 세계에서 가장 작은 상업적으로 어획되는 물고기이다.[62] 필리핀에서 발견되며, 평균 길이는 12.5mm이고, 과도한 어업으로 위협받고 있다.[55] |
고래상어 | ![]() | 가장 큰 물고기는 고래상어이다. 느리게 움직이는 여과 섭식을 하는 상어로, 최대 발표된 길이는 20m이고 최대 무게는 34ton이다. 고래상어는 최대 70년까지 살 수 있으며, 취약종이다.[63] |
개복치 | ![]() | 개복치는 가장 무거운 경골어류이다. 최대 2300kg까지 나갈 수 있다. 모든 따뜻하고 온대의 바다에서 발견된다.[64] |
왕청어 | ![]() | 왕청어는 가장 긴 경골어류이다. 총 길이는 11m에 달할 수 있으며, 최대 272kg까지 나갈 수 있다. 드물게 목격되는 갈치로, 전 세계 바다의 20m에서 1000m 수심에서 발견된다.[65] |
메콩 대형 메기 | ![]() | 기록상 가장 큰 민물고기는 2010년에 잡힌 293kg의 무게를 가진 메콩 대형 메기이다.[66][67] 메콩 대형 메기는 위급종이다. |
4. 2. 수명
어떤 종의 물고기는 수명이 매우 짧은데, 망둑어류처럼 작은 산호초 서식 어종이 그 예이다. 반면 가장 오래 사는 어종 중에는 볼락(Sebastes속)이 있다.수명 | 어종 | 이미지 | 설명 |
---|---|---|---|
최대 59일 | 일곱자리 왜성망둑어 | ![]() | 망둑어류는 작은 산호초 서식 어종(사진 참조)으로, 수명이 가장 짧은 어종 중 하나이다. 일곱자리 왜성망둑어는 모든 어종 중 수명이 가장 짧으며, 최대 59일을 산다. 이는 모든 척추동물 중 가장 짧은 수명이다.[33] |
램 시클리드 | ![]() | 수명이 짧은 어종은 노화에 대한 유전학 연구에서 특별한 가치를 지닌다. 특히 램 시클리드는 번식이 용이하고 노화 패턴이 예측 가능하기 때문에 실험실 연구에 사용된다.[34][35] | |
205년 | 붉은눈볼락 | ![]() | 가장 오래 사는 어종 중 일부는 볼락(Sebastes속)이다. 가장 오래 산 어종은 볼락(Sebastes속) 중 하나인 붉은눈볼락 (Sebastes aleutianus, 사진 참조)으로, 205년을 산 것으로 보고되었다. 이 어종은 북태평양 해역의 25m에서 900m 수심에서 서식하며 무시할 만한 노쇠화를 보인다.[36][37][38] |
최대 149년 | 대서양 참홍어 | ![]() | 대서양 참홍어는 가장 오래 사는 상업용 어종일 수 있으며, 최대 수명은 149년으로 보고되었다.[39] |
잉어 | 300년 동안 대대로 이어져 내려온 일본 잉어에 대한 이야기가 있다. 그러나 과학자들은 회의적이다. 연못이나 그릇에 사는 물고기의 비늘에 있는 성장선을 세는 것은 신뢰할 수 없는데, 추가적인 선을 만들어내기 때문이다.[40][41] 금붕어의 최대 수명은 41년으로 신뢰할 수 있게 보고되었다.[42] | ||
55년 | 대서양 타폰 | ![]() | 가장 오래 사는 낚시용 어종 중 하나는 대서양 타폰이며, 55년의 수명이 보고되었다.[43][44][45] |
60년 | 녹색 철갑상어 | ![]() | 가장 오래 사는 어종 중 일부는 살아있는 화석이며, 녹색 철갑상어가 그 예이다. 이 종은 민물에서 발견되는 가장 오래 사는 종 중 하나이며, 60년의 수명이 보고되었다. 또한 최대 길이 2.5m, 최대 무게 159kg에 달하는 민물에서 발견되는 가장 큰 어종 중 하나이기도 하다.[46][47][48] |
최소 75년 | 오스트레일리아 폐어 | 또 다른 살아있는 화석은 오스트레일리아 폐어이다. 한 개체가 수족관에서 최소 75년 동안 살았으며, 사육 중인 물고기 중 가장 오래 산 물고기이다. 화석 기록에 따르면 오스트레일리아 폐어는 3억 8천만 년 동안 거의 변화가 없었다.[49][50][51] | |
392 ± 120년 | 그린란드 상어 | ![]() | 그린란드 상어의 수명은 392 ± 120년이다. 이는 모든 척추동물 종 중 가장 긴 수명으로 알려져 있다.[52] |
4. 3. 번식
깊은 바다에서는 물고기가 짝을 찾기 어렵다. 빛이 없기 때문에 일부 종은 생물발광에 의존한다. 다른 종들은 자웅동체이므로 짝을 만나면 알과 정자를 모두 생산할 가능성이 두 배가 된다.[68]어종 | 설명 | |
---|---|---|
그루퍼 | ![]() | 암컷 그루퍼는 수컷이 없으면 수컷으로 성전환을 한다. 그루퍼는 세 마리에서 열다섯 마리의 암컷으로 이루어진 하렘을 이루는 자웅이주 자웅동체이다. 수컷이 없으면 가장 크고 공격적인 암컷이 수컷으로 성전환을 한다. |
두꺼비 물고기 | ![]() | 수컷 두꺼비 물고기는 짝을 유인하기 위해 부레를 사용하여 최대 100데시벨의 소리를 낸다.[69][70][71] |
아귀 | ![]() | 암컷 Haplophryne mollis 아귀가 작은 수컷을 끌고 다니는 모습(사진)[72] 암컷 아귀는 작은 수컷을 유인하기 위해 페로몬을 방출한다. 수컷이 암컷을 찾으면 암컷에게 달라붙는다. Haplophryne mollis 종의 수컷 아귀가 암컷의 피부에 달라붙으면, 입의 피부와 암컷의 몸을 소화시키는 효소를 방출하여 두 순환계가 합쳐질 때까지 융합시킨다. 그런 다음 수컷은 위축되어 생식샘 한 쌍만 남게 된다. 이러한 극단적인 성적 이형은 암컷이 산란할 준비가 되면 즉시 짝이 있음을 보장한다.[73] |
망치상어 | ![]() | 망치상어[74]와 같은 일부 상어는 단성생식으로 번식할 수 있다. 단성생식은 수정 없이 배아가 성장하고 발달하는 일종의 무성 생식이다. |
4. 4. 독성
체내에 강한 독을 생성하는 어류를 독성 어류라고 한다. 독어류와 독침어류는 모두 독소를 가지고 있지만, 독소를 전달하는 방식에 차이가 있다.- 독침어류는 물거나, 쏘거나, 찌르는 방식으로 독침을 주입한다. 독침어류에 물려도 소화 시스템이 독을 파괴하기 때문에 반드시 중독되는 것은 아니다.[117]
- 반면, 독어류는 물거나, 쏘거나, 찌르는 방식으로 독소를 전달하지 않지만, 체내에 있는 독소를 소화 시스템이 파괴하지 않아 섭취 시 독성을 나타낸다.[117]
2006년 연구에 따르면, 독사보다 많은 수인 적어도 1200종 이상의 독침어류가 있다고 한다.[118] 다른 모든 독성 척추동물의 총합보다 독침어류가 더 많다.[118] 독침어류는 전 세계 거의 모든 서식지에서 발견되지만, 대부분 열대 해역에 서식하며, 매년 5만 명 이상이 독침어류에 의해 부상을 입는다.[119]
독침어류는 독샘에 독을 저장하고, 가시, 날카로운 지느러미, 가시털, 혹은 송곳니와 같은 다양한 전달 시스템을 사용한다. 적을 경고하기 위해 화려한 색깔을 사용하거나, 능숙하게 위장하여 모래에 묻혀 있는 경우가 많다. 방어 또는 사냥 외에도, 독은 피부에 침입하려는 박테리아를 죽임으로써 저서성 어류를 돕는다. 이러한 독 중 극소수만 연구되었으며, 의학적 용도의 약물을 찾기 위한 생물탐색에 아직 활용되지 않은 자원이다.[120]
독침에 대한 치료는 일반적으로 약 45°C 정도의 온도의 물을 사용하여 열을 가하는 것을 포함하는데, 열이 대부분의 복잡한 독 단백질을 분해하기 때문이다.
어종 | 이미지 | 설명 |
---|---|---|
복어 | ![]() | 복어는 세계에서 가장 독성이 강한 어류이다. 금독화살개구리 다음으로 독성이 강한 척추동물이며, 사람의 횡경막 근육을 마비시켜 질식으로 사망에 이르게 할 수 있다. 일본에서는 숙련된 요리사들이 근연종인 복어의 일부를 사용하여 "복어"라는 별미 요리를 만드는데, "특별한 풍미"를 위해 적절량의 독소를 포함시킨다. |
얼룩상자돔 | ![]() | 얼룩상자돔은 산호초 어류로, 만졌을 때 피부의 샘에서 무색의 시구아테라 독소를 분비한다. 이 독소는 섭취했을 때만 위험하므로, 다이버에게는 즉각적인 위험을 초래하지 않는다. 그러나 범상어만큼 큰 포식자는 상자돔을 먹고 죽을 수 있다.[121] |
자이언트 곰치 | ![]() | 자이언트 곰치는 산호초 어류 중 최상위 먹이사슬에 위치한다. 다른 많은 최상위 포식 산호초 어류와 마찬가지로, 섭취 시 시구아테라 중독을 일으킬 가능성이 높다.[122][123] 11세기부터 15세기까지 대형 육식성 산호초 어류에 의한 시구아테라 중독은 유해 조류 번식에 의해 발생했으며, 폴리네시아인들이 이스터섬, 뉴질랜드, 그리고 아마 하와이로 이주한 이유일 수 있다.[124][125] |
가시복 | ![]() | 가장 독성이 강한 어류로 알려진 것은 가시복이다.[126][127] 바위 사이에서 자신을 위장하는 놀라운 능력을 가지고 있다. 먹이가 접근할 때까지 바닥에 앉아 있는 매복 포식자이다. 방해를 받으면 도망치는 대신 등을 따라 13개의 독침을 세운다. 방어를 위해 이 가시 각각 또는 모두에서 독을 발사할 수 있다. 각 가시는 피하 주사 바늘과 같이 가시에 부착된 두 개의 주머니에서 독을 전달한다. 가시복은 독을 발사할지 여부를 스스로 조절하며, 자극을 받거나 놀랐을 때 독을 발사한다.[120] 이 독은 심한 통증, 마비 및 조직괴사를 유발하며, 치료하지 않으면 치명적일 수 있다. 강력한 방어력에도 불구하고 가시복은 포식자가 있는데, 이빨이 있는 일부 저서성 가오리와 상어, 그리고 스토크스 바다뱀이 가시복을 잡아먹는다.[128] |
라이온피시 | ![]() | 독성 산호초 어류인 라이온피시는 가시복과 달리 무언가가 가시를 쳤을 때만 독을 방출할 수 있다. 미국 해안이 원산지는 아니지만, 플로리다 주변에 나타나 뉴욕까지 해안을 따라 퍼져나갔다. 매력적인 수족관 물고기로, 때로는 연못에 넣기도 하며, 허리케인 때 바다로 휩쓸렸을 수도 있다. 라이온피시는 스쿠버 다이버에게 공격적으로 돌진하여 독침으로 얼굴 마스크를 찌르려고 할 수 있다.[120] |
별쟁이 | ![]() | 별쟁이 Uranoscopus sulphureus.[130] 별쟁이는 자신을 묻고 전기 충격과 독을 모두 줄 수 있다. 일부 문화권에서는 별미로 여겨지며 (요리하면 독이 파괴됨), 전기 기관을 제거한 채 일부 어시장에서 판매되기도 한다. "창조물 중에서 가장 사악한 것"이라고 불리기도 한다.[120] |
가오리 | ![]() | 가오리는 독침으로 쏠 수 있다. 얕은 물에 들어가 가오리를 밟았을 때 사람에게 독침이 가해질 수 있다. 가오리는 이것을 감지하고 헤엄쳐 도망치기 때문에 모래를 밟거나 바닥을 쿵쿵 밟으면 이를 피할 수 있다. 독침은 보통 상처에 박힌 채 부러진다. 갈고리가 달려 있어 쉽게 관통하지만 쉽게 제거할 수 없다. 독침은 상처, 독으로 인한 통증과 붓기, 박테리아 감염을 일으킬 수 있다. 경우에 따라 동맥이 절단되거나 사망에 이를 수도 있다.[131] |
5. 인간과의 관계
어류는 식용, 낚시, 관상용, 관광 등 다양한 측면에서 인간에게 중요한 가치를 지닌다.
인류는 역사적으로 먹이성 어류를 기반으로 한 어업 활동을 해왔다.[132] 먹이성 어류는 작고 포식자에게 먹히는 어류로, 떼 지어 다니는 습성이 있다. 플랑크톤을 먹는 청어, 정어리, 멸치 등이 대표적이다.
북대서양과 북해의 청어 어업, 태평양, 지중해, 남동 대서양의 멸치와 정어리 어업이 중요하게 여겨졌다.[133] 전 세계 먹이성 어류 연간 어획량은 약 2500만ton에 달한다.
대구, 폴락 등 대구과 어류도 중요한 어업 대상이다. 대서양 대구 어업은 한때 유럽에서 가장 오래된 어업 중 하나였으나, 대구 전쟁으로 중단되었다. 현재는 알래스카 폴락이 베링 해와 북태평양에서 중요한 어업 자원이다.[133]
어류는 약용으로도 사용된다.
인간의 이용 | 어종 | 이미지 | 설명 |
---|---|---|---|
황다랑어 | ![]() | 황다랑어는 현재 고갈된 남방 참다랑어를 대체하는 어종으로 어획되고 있다. | |
멸치 | ![]() | 떼 지어 다니는 멸치는 먹이성 어류이다. | |
대서양 대구 | ![]() | 대서양 대구 어업은 붕괴되었다. | |
알래스카 폴락 | ![]() | 알래스카 폴락은 "세계에서 가장 큰 잔존 맛있는 어류 자원"으로 묘사되었다.[137] | |
잉어 | ![]() | 잉어(그리고 금붕어)는 수세기 동안 중국과 일본에서 관상용 연못에 길러져 왔다. |
5. 1. 어업

어류는 상업적 식용 어류, 레크리에이션용 낚시 어종, 관상용 관상어, 그리고 스노클링이나 스쿠버 다이빙을 즐기는 사람들을 끌어들이는 관광 자원으로서 인간에게 중요한 가치를 지닌다.
레크리에이션 및 스포츠 낚시는 큰 사업이다.[135] 미국 해수 낚시꾼들은 매년 약 300억달러를 지출하고 350,000개의 일자리를 지원한다.[136] 인기 있는 레크리에이션 및 스포츠 어종으로는 배스, 마린, 포지, 셰이드, 마히마히, 스멜트 휘팅, 황새치, 월아이 등이 있다.
관상어 사육은 또 다른 인기 있는 취미이며, 관상어에 대한 국제적인 무역이 활발하다. 스노클링과 스쿠버 다이빙은 수백만 명의 사람들을 해변, 산호초, 호수 및 기타 수역으로 끌어들여 물고기와 다른 해양 생물을 관찰하게 한다.
인간의 이용 |
---|
는 현재 고갈된 남방 참다랑어를 대체하는 어종으로 어획되고 있다. |
5. 1. 1. 한국의 어업
인류 역사를 통틀어 어업은 중요한 먹이성 어류에 기반해 왔다.[132] 먹이성 어류는 크기가 작고 더 큰 포식자에게 먹히는 어류이다. 이들은 보호를 위해 일반적으로 떼 지어 다닌다. 일반적인 해양 먹이성 어류는 먹이 사슬의 하위 단계에서 플랑크톤을 먹고 살며, 종종 여과 섭식을 한다. 여기에는 청어, 정어리, 미녹시, 일라, 셰이드, 멸치 등을 포함하는 청어과(Clupeidae)뿐만 아니라 멸치, 카펠린, 반새치 등이 포함된다.북대서양과 북해에서는 수세기 동안 청어 어업이 중요하게 여겨졌다.[133] 멸치와 정어리 어업은 태평양, 지중해, 남동 대서양에서 중요한 전통 어업으로 자리 잡았다.[133] 최근 몇 년 동안 전 세계 먹이성 어류의 연간 어획량은 약 2500만ton으로, 세계 총 어획량의 4분의 1에 달한다.
먹이 사슬의 상위 단계에서는 대구, 폴락, 아귀, 콜라, 무태장어, 흰살 생선 등을 포함하는 대구과 어류도 중요한 어업을 지원한다. 처음에는 북해에 집중되었던 대서양 대구는 유럽에서 가장 오래된 어업 중 하나였으며, 나중에 그랜드 뱅크스로 확장되었다.[134] 개체 수 감소는 국제적인 "대구 전쟁"으로 이어졌고, 결국 이러한 어업은 사실상 중단되었다. 현대에 와서는 알래스카 폴락이 베링 해와 북태평양에서 중요한 어업을 지원하며, 약 600만ton을 생산하는 반면, 대구는 약 900만ton에 달한다.[133]
5. 2. 문화
어종은 물고기의 종류를 나타내는 말로, 문화적으로 다양한 의미를 지닌다.6. 어류 보호
회복력
참조
[1]
FishBase
[2]
웹사이트
Leafy and Weedy Sea Dragon
https://web.archive.[...]
2009-07-20
[3]
IUCN
Phycodurus eques
2021-11-12
[4]
논문
New species of the ceratioid anglerfish genus Lasiognathus Regan (Lophiiformes: Thaumatichthyidae) from the Eastern North Atlantic off Madeira
http://jypichthyolog[...]
[5]
웹사이트
FishBase
http://www.fishbase.[...]
[6]
간행물
Estudo das Espécies Ícticas do Parque Estadual do Cantão
http://central2.to.g[...]
[7]
서적
(페이지 정보만 있음)
[8]
서적
Fishes of the World
John Wiley & Sons
[9]
서적
(페이지 정보만 있음)
[10]
웹사이트
Chordates
http://tolweb.org/Ch[...]
[11]
서적
Biology
Benjamin Cummings
[12]
서적
Gaining Ground
Indiana University
[13]
웹사이트
Teleost
http://www.britannic[...]
2009-07-15
[14]
서적
Vertebrate Paleontology
Chapman & Hall
[15]
웹사이트
Telostei
http://www.ucmp.berk[...]
Museum of Paleontology,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2006-06-08
[16]
논문
How many recent fishes are there?.
[17]
서적
(페이지 정보만 있음)
[18]
웹사이트
World
https://www.cia.gov/[...]
[19]
웹사이트
Volume of Earth's Oceans
http://hypertextbook[...]
2008-04-19
[20]
논문
Contribution of Fish to the Marine Inorganic Carbon Cycle
http://www.sciencema[...]
[21]
서적
World fresh water resources
Oxford University Press
[22]
논문
The amount of space available for marine and freshwater fishes
http://fishbull.noaa[...]
[23]
서적
(페이지 정보만 있음)
[24]
웹사이트
Ross Sea
http://www.eoearth.o[...]
[25]
FishBase
[26]
논문
On the Validity of the Trieste Flatfish: Dispelling the Myth
http://www.biolbull.[...]
[27]
논문
Marine fish may be biochemically constrained from inhabiting the deepest ocean depths
http://www.pnas.org/[...]
[28]
FishBase
[29]
FishBase
[30]
FishBase
[31]
웹사이트
Antennariidae: Frogfishes
http://tolweb.org/An[...]
[32]
웹사이트
Biological profiles: Sargassumfish
http://www.flmnh.ufl[...]
2012-01-04
[33]
논문
Shortest recorded vertebrate lifespan found in a coral reef fish
[34]
논문
Annual Fish as a Genetic Model for Aging
[35]
FishBase
[36]
논문
Maximum Ages of Groundfishes in Waters off Alaska and British Columbia and Considerations of Age Determination
[37]
논문
Age determination and validation studies of marine fishes: do deep-dwellers live longer?
https://archive.toda[...]
[38]
FishBase
[39]
FishBase
[40]
웹사이트
How to Tell Time by a Cat's Eye
http://www.nwf.org/n[...]
2009-07-15
[41]
FishBase
[42]
FishBase
[43]
웹사이트
Night Tarpon Fishing Trips
http://www.keyskayak[...]
[44]
FishBase
[45]
FishBase
[46]
웹사이트
Protective Regulations Proposed for Ancient, Imperiled Southern Green Sturgeon
http://yubanet.com/c[...]
[47]
웹사이트
Contemporaries of the Dinosaurs, Sturgeon Fossils Date Back 200 Million Years
http://www.wildcalif[...]
[48]
웹사이트
Sturgeons
http://www.aquarium.[...]
[49]
웹사이트
The Oldest Living Fish
http://www.fishingfu[...]
[50]
웹사이트
The Shedd Honors Its Oldest Residen
http://www.worldsfai[...]
[51]
FishBase
[52]
논문
Eye lens radiocarbon reveals centuries of longevity in the Greenland shark (Somniosus microcephalus)
https://ora.ox.ac.uk[...]
[52]
잡지
Greenland Sharks are Longest-Lived Vertebrates on Earth, Marine Biologists Say
http://www.sci-news.[...]
2016-08-12
[53]
논문
Paedocypris, a new genus of Southeast Asian cyprinid fish with a remarkable sexual dimorphism, comprises the world's smallest vertebrate
http://rspb.royalsoc[...]
[54]
웹사이트
World's smallest fish
http://www.nhm.ac.uk[...]
Natural History Museum
2006-01-01
[55]
FishBase
[56]
논문
Ecological guild evolution and the discovery of the world's smallest vertebrate
Public Library of Science
[57]
뉴스
Scientists find 'smallest fish'
http://news.bbc.co.u[...]
2006-01-25
[58]
웹사이트
What is the smallest species of fish?
http://www.amonline.[...]
[59]
뉴스
Smallest fish compete for honours
http://news.bbc.co.u[...]
2006-01-31
[60]
웹사이트
Bragging Rights: The Smallest Fish Ever | LiveScience
http://www.livescien[...]
[61]
FishBase
[62]
서적
Guinness Book of World Records 2001
Guinness World Records Ltd
[63]
FishBase
[64]
FishBase
[65]
FishBase
[66]
뉴스
Hunt for the big fish becomes a race
https://www.nytimes.[...]
2005-08-25
[67]
뉴스
Giant Catfish May Be World's Largest Freshwater Fish
https://web.archive.[...]
National Geographic
2010-10-28
[68]
웹사이트
Deep-sea creatures: The bathypelagic zone
http://www.teara.gov[...]
Te Ara - the Encyclopedia of New Zealand
2007-09-21
[69]
FishBase
[70]
FishBase
[71]
harvnb
[72]
Youtube
Anglerfish Video
http://educatedearth[...]
[73]
논문
Precocious sexual parasitism in the deep sea ceratioid anglerfish, Cryptopsaras couesi Gill
[74]
FishBase
[75]
FishBase
[76]
FishBase
[77]
FishBase
[78]
FishBase
[79]
논문
Adaptive Significance of Intra- and Interspecific Differences in the Feeding Repertoires of Cichlid Fishes
http://icb.oxfordjou[...]
[80]
harvnb
[81]
서적
Acquisition of energy by teleosts: adaptive mechanisms and evolutionary patterns
Plenum Press
[82]
논문
Evolution of the feeding mechanism in primitive actinopterygian fishes: a functional anatomical analysis of Polypterus, Lepisosteus and Amia
[83]
FishBase
[84]
harvnb
[85]
논문
Convergence in the feeding mechanics of ecomorphologically similar species in the Centrarchidae and Cichlidae
http://jeb.biologist[...]
[86]
harvnb
[87]
FishBase
[88]
서적
Sharks of the World: An annotated and illustrated catalogue of shark species known to date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89]
서적
Extraordinary Animals: An Encyclopedia of Curious and Unusual Animals
Greenwood Press
[90]
논문
River and wetland food webs in Australia's wet-dry tropics: general principles and implications for management
http://www98.griffit[...]
[91]
논문
Aerial and aquatic feeding in the silver arawana, Osteoglossum bicirrhosum
http://luna.cas.usf.[...]
2009-07-18
[92]
뉴스
Plastic flies help spitting archer fish regain aim
https://www.telegrap[...]
The Telegraph
2002-07-11
[93]
논문
Animal Cognition:, How Archer Fish Learn to Down Rapidly Moving Targets
http://www.nbb.corne[...]
[94]
harvnb
[95]
FishBase
[96]
웹사이트
Megamouth Shark- Parasites
http://www.flmnh.ufl[...]
Florida Museum of Natural History
2009-02-09
[97]
논문
When Giants Turn Up: Sighting Trends, Environmental Influences and Habitat Use of the Manta Ray Manta alfredi at a Coral Reef
[98]
논문
Ultraviolet Vision in Vertebrates
[99]
서적
Fishes of the World
John Wiley & Sons, Inc.
[100]
FishBase
[101]
논문
Crypsis and communication functions of UV-visible coloration in two coral reef damselfish, Dascyllus aruanus and D. reticulatus
[102]
논문
A Species of Reef Fish that Uses Ultraviolet Patterns for Covert Face Recognition
http://hms.health.uq[...]
[103]
서적
[104]
논문
Macropinna microstoma and the Paradox of Its Tubular Eyes
[105]
뉴스
Researchers solve mystery of deep-sea fish with tubular eyes and transparent head
http://www.mbari.org[...]
Monterey Bay Aquarium Research Institute
2009-02-23
[106]
FishBase
[107]
논문
Light for All Reasons: Versatility in the Behavioral Repertoire of the Flashlight Fish
[108]
간행물
Flashlight fishes
http://140.122.143.1[...]
Scientific American
[109]
서적
Encyclopedia of Fishes
Academic Press
[110]
서적
Encyclopedia of Fishes
Academic Press
[111]
서적
Guinness Book of World Records
[112]
웹사이트
Biology of the Shortfin Mako
http://www.elasmo-re[...]
ReefQuest Centre for Shark Research
2006-08-12
[113]
뉴스
SHORTFIN MAKO
http://www.flmnh.ufl[...]
Florida Museum of Natural History
2008-10-06
[114]
서적
Extraordinary Animals: An Encyclopedia of Curious and Unusual Animals
Greenwood Press
[115]
웹사이트
BBC article and video of flying fish
http://news.bbc.co.u[...]
bbc.co.uk
2008-05-20
[116]
웹사이트
Cairns Museum Tour - Cairns-Kuranda Railway
http://www.cairnsmus[...]
2015-02-26
[117]
웹사이트
Poisonous vs. Venomous fish: What's the difference?
http://www.greatbarr[...]
Reef Biosearch
2009-07-17
[118]
논문
Venom Evolution Widespread in Fishes: A Phylogenetic Road Map for the Bioprospecting of Piscine Venoms
[119]
뉴스
Venomous Fish Outnumber Snakes
http://www.livescien[...]
LiveScience
2006-08-22
[120]
뉴스
Venom Runs Thick in Fish Families, Researchers Learn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06-08-22
[121]
FishBase
[122]
서적
Coral reef guide; Red Sea
HarperCollins
[123]
FishBase
[124]
논문
Did ciguatera prompt the late Holocene Polynesian voyages of discovery?
[125]
뉴스
Voyages of discovery or necessity? Fish poisoning may be why Polynesians left paradise
http://www.physorg.c[...]
PhysOrg.com
2009-05-18
[126]
FishBase
[127]
웹사이트
The Stonefish – The Deadliest Fish in The World
http://www.petplace.[...]
Petplace.com
[128]
웹사이트
Reef Stonefish, Synanceia verrucosa (Bloch & Schneider, 1801)
http://australianmus[...]
Australian Museum
2009-07-21
[129]
FishBase
[130]
FishBase
[131]
논문
Toxic fish spine injury: Lessons from 11 years experience
http://archive.rubic[...]
2015-06-10
[132]
참고문헌
[133]
참고문헌
[134]
논문
Variability in maturity and growth in a heavily exploited stock: cod (''Gadus morhua L.'') in the Irish Sea
[135]
웹사이트
Angling Retains its Mainstream Appeal and Broad Economic Impact - American Sportfishing Association
http://www.asafishin[...]
[136]
웹사이트
Recreational Fishing Services.
http://www.nmfs.noaa[...]
NOAA Fisheries
[137]
서적
The End of the Line: How Overfishing Is Changing the World and What We Eat
Ebury Press
2004
[138]
FishBase
[139]
논문
''Acanthonus armatus'', a Deep-Sea Teleost Fish with a Minute Brain and Large Ears
[140]
논문
Brain and body oxygen requirements of Gnathonemus petersii, a fish with an exceptionally large brain
http://jeb.biologist[...]
[141]
FishBase
[142]
FishBase
[143]
FishBase
[144]
논문
"Hallucinatory Fish Poisoning (Ichthyoallyeinotoxism): Two Case Reports From the Western Mediterranean and Literature Review"
http://www.erowid.or[...]
[145]
학술지
"Evolutionary novelty versus exaptation: Oral kinematics in feeding versus climbing in the waterfall-climbing Hawaiian goby ''Sicyopterus stimpsoni''"
[146]
뉴스
"Meet the amazing, waterfall-climbing fish"
http://news.sciencem[...]
Science
2013-01-13
[147]
서적
Killers of the Seas: The Dangerous Creatures That Threaten Man in an Alien Environment
The Lyons Press
[148]
웹사이트
FishBase
http://www.fishbase.[...]
[149]
간행물
Estudo das Espécies Ícticas do Parque Estadual do Cantão
http://central2.to.g[...]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청계천 복원 20주년…"쉬리가 나타났다" 깜짝 놀란 이유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