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어트란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에어트란세는 1997년 에어션픽스로 설립되어 2004년 현재의 사명으로 변경된 일본의 항공사였다. 2005년 여객기 운송을 시작하여 홋카이도 지역을 중심으로 운항했으나, 2008년 운항을 중단하고 항공기 판매업으로 전환했다. 홋카이도 내 정기편 운항 외에도 오키나와, 혼슈 지역에 부정기 노선을 운항했으나, 만성적인 승무원 부족, 시장 조사 부족, 재정 문제 등으로 인해 사업에 어려움을 겪었다. 2007년에는 하코센으로부터 20억 엔의 융자금 반환 지연과 세금 체납으로 항공기 압류를 겪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도쿄도의 항공사 - 일본항공
일본항공은 1951년 설립된 일본의 대표적인 국적 항공사로, 경영 위기와 회사 정리법 신청 후 민영화되었으며, 현재는 원월드 회원사로서 최신 기종을 도입하여 국제선 및 국내선 네트워크를 운영하고 고객 편의성 증대에 힘쓰고 있다. - 도쿄도의 항공사 - ANA 윙스
ANA 윙스는 2010년 에어닛폰네트워크 존속 하에 에어넥스트와 에어센트럴의 합병으로 설립된 일본의 지역 항공사로, 국내선 운항을 주력으로 하며 봄바디어 DHC-8-Q400과 보잉 737-800 기종을 운영하고 보잉 737 MAX 8 도입을 계획 중이다. - 홋카이도의 교통 - 세이칸 터널
세이칸 터널은 혼슈와 홋카이도를 연결하는 총 연장 53.85km의 해저터널로, 전략적 목표에서 시작되어 도야마루호 침몰 사고를 계기로 본격화, 1조 1,000억 엔의 건설비를 들여 1988년 개통되었으며, 현재 홋카이도 신칸센이 운행 중이고 통신 및 송전 통로 역할도 수행한다. - 홋카이도의 교통 - 삿포로 시영 지하철
삿포로 시영 지하철은 1971년 개통되어 남북선, 동서선, 도호선의 세 노선으로 삿포로 시 주요 지역을 연결하며 고무 타이어 방식을 채택한 홋카이도 삿포로시의 지하철 시스템이다. - 일본의 없어진 항공사 - 바닐라 에어
바닐라 에어는 전일본공수(ANA)와 에어아시아의 합작으로 설립되어 에어아시아 재팬에서 시작되었고, ANA의 자회사로 전환된 후 바닐라 에어로 이름을 변경하여 운항하다가 피치 항공에 통합되어 2021년 법인격이 소멸되었다. - 일본의 없어진 항공사 - 재팬 에어 시스템
1971년 동아항공과 일본국내항공의 합병으로 출범한 재팬 에어 시스템은 국제선 취항과 함께 사명을 변경하고, 2001년 일본항공과의 합병에 합의하여 2006년 흡수 합병된 항공사이다.
에어트란세 - [회사]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항공사 | 에어트란세 |
![]() | |
IATA 코드 | - |
ICAO 코드 | TSQ |
호출 부호 | AIRTRA |
창립 | 1997년 |
본사 | 서울특별시신주쿠구신주쿠 1-9-2 니치난 무역 빌딩 2층 리노베스 내 |
허브 공항 | 하코다테 공항 |
웹사이트 | 에어트란세 공식 웹사이트 |
주요 인물 | |
대표 이사 | 나카야마 리카 |
관련 인물 | 사와다 히데오, 에무라 린카 |
회사 정보 | |
법인 형태 | 주식회사 |
자본금 | 8500만 엔 |
운항 정보 | |
운항 개시 | 2005년 3월 13일 |
운항 중단 | 2008년 10월 |
2차 허브 공항 | 신치토세 공항 |
보유 항공기 수 | 3 |
취항지 수 | 4 |
기타 정보 | |
영어 사명 | Airtransse Inc. |
슬로건 | (제공된 정보 없음) |
2. 역사
1997년 에어션픽스로 설립했으며, 2004년 12월에 현재의 사명인 에어트란세로 변경되었다.[2] 2005년 여객기 운송 사업을 시작했으나, 2008년 운항을 중단하고 항공기 판매업으로 업종을 변경했다.
에어트란세는 유류비 상승과 잦은 사업 변경으로 경영난을 겪었고, 2008년 10월 모든 전세기 운항을 중단, 항공기 임대 및 중고 항공기 매매 중개 사업으로 전환했다.[44]
2. 1. 설립 초기 (1997년 ~ 2004년)
1997년 에어션픽스(Air Shenpix)로 설립되었으며, 2004년 12월에 현재의 사명인 에어트란세로 변경되었다.[2] 1997년 군마현마에바시시에 본사를 둔 의료기기 제조 판매 회사 "쉔펙스"의 자회사로 설립되었다.[4] 2001년 1월, 홋카이도 내 지역 커뮤터 항공 사업 진출 계획을 『하트 항공』이라는 명칭으로 발표했다.[5] 타키카와시 출신인 요코야마 미츠히로 사장은 홋카이도에 13개의 공항이 있지만 도내 공항 간을 잇는 항공 노선이 적다는 점에 착안하여, 홋카이도를 위해 홋카이도 내 항공 사업을 구상하였다.[6]2001년 1월 29일, 삿포로 오카다마 공항을 기점으로 아사히카와 공항, 와카나이 공항, 메만베쓰 공항, 오비히로 공항, 하코다테 공항까지, 30일에는 하코다테 공항을 기점으로 와카나이 공항, 몬베쓰 공항, 나카시베쓰 공항, 구시로 공항, 오카다마 공항까지의 노선으로[7], 레이세온 1900D 에어라이너를 사용하여 시험 운항을 실시했다.[8]
2001년 3월, 2002년 4월부터 오비히로를 거점으로 하코다테, 오카다마 2개 노선 취항 예정 발표.[9] 2002년 1월, 기타큐슈시의 "에어 소닉"을 인수하여 항공 운송 사업 면허를 확보했다.[10] 2002년 여름경 취항을 목표로, 도르니에 228의 공조 시스템 문제로 메트로 II SA226-TC로 기종을 변경하고, 초기 투자 비용 절감을 위해 오비히로 공항 격납고 건설을 보류했다.[11] 9월에 메트로 II기가 납입되었으나,[12] 일본 국내 정기 취항 실적이 없어 내구 증명 절차가 난항을 겪었다. 2003년 1월, 서류 준비 후 6월 취항 예정이었으나,[13] 경비 절감을 위해 항공 경험자를 등용하지 않아 절차가 더욱 지연되어, 2003년 4월부터 경험자를 채용했다.[14] 2004년 1월 30일, 항공 운송 사업이 인가되었다.[15]
그러나 사용 기재의 노후화로 예비 부품 조달이 어려워 2004년 6월 취항이 연기되고, 비치크래프트 1900D 2대로 운항 계획을 변경했다.[16] 2004년 7월, 요코야마 사장은 자사 운항이 어렵다고 판단하여 회사 양도를 결정,[17] 하이어 사업 등 5개 회사 임원을 맡고 있던 에무라 린카에게 사업 매각을 제안했다. 2004년 8월 6일, 요코야마 사장이 퇴임하고 에무라가 신임 사장으로 취임하여,[18] 일본 최초의 여성 항공사 사장이 되었다. 스카이마크 에어라인즈(현 스카이마크) 설립에 관여한 사와다 히데오를 고문으로 영입하고, 사장의 남편 나카야마 요시토시도 에어트란세 이사로 합류했다. 2004년 8월, 자본 및 경영진 교체를 발표하고,[19] 10월에 "에어 쉔펙스"에서 "에어트란세"로 사명을 변경했다.
2. 2. 홋카이도 내 정기편 운항 (2005년 ~ 2007년)
에어트란세는 '홋카이도 내의 하늘을 나는 버스'를 목표로 비치크래프트 1900D 1기를 사용하여 2005년 3월 13일 하코다테 공항 - 오비히로 공항 노선 (하루 2회 왕복) 운항을 시작했다.[20] 육로로 약 6시간 걸리는 두 지역을 약 1시간 만에 연결하여[21], 기본 운임은 편도 2만 5,000엔, 할인 운임은 2만 엔, 지역 주민 할인 '도산코 할인'을 설정했다.2005년 10월 1일부터는 하코다테 공항 - 신치토세 공항, 신치토세 공항 - 오비히로 공항 노선 운항을 시작했다. 하코다테 공항 - 오비히로 공항 구간을 신치토세 공항 경유로 탑승할 경우, 신치토세 공항에서 내리지 않고 기내에서 대기하는 '버스 방식'을 채택했다.[22] 이는 홋카이도 에어 시스템 등 타사에서도 시행되었으나, 보안상의 이유로 중단된 방식이었다.
2006년 4월 1일에는 홋카이도 에어 시스템이 철수한 하코다테 공항 - 메만베츠 공항 노선,[23] 2006년 6월 20일에는 신치토세 공항 - 메만베츠 공항 노선 운항을 시작했다.[24] 그러나 2006년 12월부터 신치토세 공항 - 오비히로 공항 노선,[25] 2007년 2월부터 신치토세 공항 - 하코다테 공항·메만베츠 공항 노선이 운휴되면서[26] 5개 노선이 2개 노선으로 축소되었고, 신치토세 공항에서 철수했다. 해당 노선들은 2007년 3월 31일부로 폐지되었다.
잦은 운휴와 노선 축소 끝에, 2007년 3월 13일 오비히로 왕복을 마지막으로 정기편 운항을 종료하고[29], 3월 14일부터 부정기편으로 전환했다.[29] 2007년 4월 27일에는 하코다테 공항 - 오비히로 공항, 하코다테 공항 - 메만베츠 공항 정기 노선 폐지를 신고했다.[30]
2. 3. 사업 다각화 시도 (2007년 ~ 2008년)
2007년 3월 15일, 에어트란세는 나하 공항을 거점으로 오키노에라부 공항(2왕복) 및 시모지시마 공항(1왕복) 노선 운항을 발표했다. 오키나와 지역 예약은 에어 돌핀이 담당했다.[31] 2007년 4월 1일, 나하 공항에서 이들 노선에 취항했다. 특히 시모지시마 공항 노선은 1994년 일본 트랜스오션 항공 철수 이후 약 13년 만의 노선 재개로 주목받았으며, 첫 운항편은 높은 탑승률을 기록했다.[31]그러나 2007년 6월, 기체 정비를 이유로 오키나와 노선이 9일간 운휴되었고, 이후 운휴 기간이 연장되었다.[32] 시모지시마 공항 노선의 4월 탑승률은 15.7%로 목표치를 크게 밑돌았다.[32] 에어 돌핀은 5월 중순, 낮은 탑승률과 승무원 부족을 이유로 오키노에라부 공항 노선을 포함한 오키나와 노선 철수를 요청했다.[33] 결국 에어트란세는 오키나와에서 철수하고, 오키노에라부 공항 노선은 에어 돌핀 자체 운항으로, 시모지시마 공항 노선은 운휴 상태가 되었다.
시모지시마 공항 노선의 경우, 경쟁 노선인 나하-미야코 공항 노선은 할인 운임을 적용하면 최저 5,000엔부터 이용 가능했지만, 에어트란세는 일반 운임 18,000엔, 섬 주민 할인 15,000엔으로 가격 경쟁력이 떨어졌다. 또한 1일 1왕복 운항으로 편의성도 낮았다.
오키나와 철수 후, 남은 기재는 홋카이도로 돌아가 2007년 7월 21일부터 하코다테 공항-센다이 공항 노선에 취항했다.[34] 그러나 이 노선 역시 2007년 11월 1일부터 운휴했다가[36] 12월 15일에 재개되었다.[37]
2007년 7월, 에어트란세는 전일본공수가 철수한 나하-오이타 공항 노선 취항을 검토한다고 발표했다.[38] 2007년 11월 1일부터 해당 노선을 1왕복 운항하기 시작했으나, 이용 저조로 11월 9일부터는 13명 이상 예약 시에만 운항하는 전세편으로 변경되었다.[42]
2. 4. 항공 운송 사업 중단 (2008년)
에어트란세는 유류비 상승과 잦은 사업 변경으로 인해 경영난을 겪었다. 이에 2008년 10월, 모든 전세기 운항을 중단하고 항공기 임대 및 중고 항공기 매매 중개 사업으로 전환했다.[44]항공기 임대 사업은 자사가 보유한 비치크래프트기 외에 절세 목적으로 항공기를 소유한 개인이나 종합상사로부터 항공기를 임대하여, 이를 이용하고자 하는 고객에게 대여하는 방식이다.[44] 고객은 항공기 외에 에어트란세의 알선으로 조종사를 직접 수배해야 하며, 거점 공항으로부터의 회송 비용도 부담해야 한다.[45] 에어트란세는 이를 "유류비 상승 속에서도 흑자화를 실현할 수 있는 새로운 항공기를 사용한 이동 비즈니스"라고 설명했다.
이러한 사업 전환에 따라 하코다테에서 철수하고 본사를 도쿄도 신주쿠구로 이전했다.[46] 주기 거점은 일본 중부에 위치하여 편리성이 높은 주부 국제공항으로 이전한다고 발표했다. 하코다테의 사무소와 정비 운항 기지는 당분간 유지한다고 밝혔으나,[47] 이후 비치크래프트기는 주부 공항으로 이동했다.
월간 에어라인에 따르면, 2009년 10월 에어트란세의 오렌지색 2호기(JA017A)는 캐나다로 매각된 것으로 보인다.
3. 운항 노선
에어트란세는 현재 운항을 중단하였으므로, 아래는 과거에 운항했던 정기 노선 목록이다.
도시 | 공항 | IATA | ICAO | 공항 이름 | 비고 |
---|---|---|---|---|---|
오조라 | 메만베츠 | MMB | RJCM | 메만베츠 공항 | |
삿포로 | 신치토세 | CTS | RJCC | 신치토세 공항 | |
도카치 | 도카치오비히로 | OBO | RJCB | 도카치오비히로 공항 | |
하코다테 | 하코다테 | HKD | RJCH | 하코다테 공항 |
일부 항공편은 신치토세 공항을 경유했다. 2006년 4월 1일에는 하코다테와 오조라 간 운항을 시작했다.[23]
2007년 7월 5일, 나하 공항 - 오이타 공항 노선 취항을 검토하고 있다는 보도가 있었다.[38] 2007년 7월 24일 오이타현청에서 기자 회견을 열고,[39] 같은 해 11월부터 해당 노선 취항을 발표했다.[40] 1일 1왕복 운항으로, 운항이 없는 시간대의 전세편이나 홋카이도에 기체 정비 회송을 이용한 투어 등도 계획되었다.[41] 그러나 이용 저조로 인해 2007년 11월 9일자로 운항 방식이 변경되었다.[42]
이 외에도 다음과 같은 부정기 노선을 운항했다.
전세편 운항을 위한 회송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부정기편(편도)도 운항했다.
- 하코다테 공항 - 오비히로 공항, 메만베쓰 공항, 아사히카와 공항, 왓카나이 공항, 센다이 공항, 니가타 공항, 마쓰모토 공항, 고마쓰 공항, 주부 국제공항, 히로시마 니시 공항, 도쿠시마 공항
- 왓카나이 공항 - 리시리 공항
- 니가타 공항 - 센다이 공항
- 고마쓰 공항 - 히로시마 니시 공항
3. 1. 홋카이도
에어트란세는 과거 홋카이도 내 여러 공항을 연결하는 노선을 운항했다.노선 | 운항 기간 | 비고 |
---|---|---|
하코다테 공항 - 신치토세 공항 | 2005년 10월 1일 ~ 2007년 2월 | |
하코다테 공항 - 오비히로 공항 | 2005년 3월 13일 ~ 2007년 3월 31일 (정기편) 2007년 4월 27일까지 부정기편 운항 | 2005년 10월 1일부터 신치토세 공항 경유, 기내 대기하는 버스 방식 채택.[22] |
하코다테 공항 - 메만베츠 공항 | 2006년 4월 1일 ~ 2007년 3월 31일 (정기편) 2007년 4월 27일까지 부정기편 운항 | 홋카이도 에어 시스템 철수 후 운항.[23] |
신치토세 공항 - 오비히로 공항 | 2005년 10월 1일 ~ 2006년 12월 | |
신치토세 공항 - 메만베츠 공항 | 2006년 6월 20일 ~ 2007년 2월 |
2007년 2월, 신치토세 공항 노선 운휴로 5개 노선에서 2개 노선으로 축소되었고,[26] 2007년 3월 31일에는 해당 노선마저 폐지되었다.[27] 이후 부정기편으로 전환되었으나, 이마저도 2007년 9월 말에 중단되었다.
3. 2. 오키나와
2007년 3월 15일, 에어트란세는 자사 홈페이지를 통해 나하 공항 - 오키노에라부 공항 2왕복, 시모지시마 공항 1왕복 운항을 발표했다. 오키나와 지역에서의 예약은 에어 돌핀에서 접수하기로 했다.[31]2007년 4월 1일, 나하 공항에서 오키노에라부 공항 및 시모지시마 공항으로 취항했다. 특히 시모지시마 공항 노선은 1994년 일본 트랜스오션 항공이 철수한 이후 약 13년 만의 항공 노선이라는 점에서 주목받았다. 운항 첫 편은 나하 공항 출발이 75%, 시모지시마 공항 출발이 만석으로 순조로운 시작을 보였다.[31]
2007년 6월, 기체 정비로 인한 오키나와 노선의 9일간 계획 운휴가 발표되었다. 그러나 시모지시마 공항 노선의 4월 월간 탑승률이 15.7%로 목표를 크게 밑돌았고, 이후 운휴 기간 연장이 발표되었다.[32] 일시 휴지이며 이대로 철수하는 것은 아니라고 밝혔지만, 5월 중순 시점에서 에어 돌핀에게 탑승률 저조와 승무원 부족으로 인해 홋카이도에서의 운항에 영향이 있을 수 있다는 이유로 오키노에라부 공항 노선을 포함한 오키나와 노선에서 철수를 요청했다는 보도가 나왔다.[33] 오키노에라부 공항 노선은 에어 돌핀 자체 운항으로 돌아가고, 시모지시마 공항 노선은 휴지 상태가 되었다.
특히 시모지시마 공항 노선은 경쟁 노선인 나하 공항 - 미야코 공항 노선(시모지시마·이라부 섬과 미야코지마 사이는 고속선으로 15분)에서 좌석 수에 제한이 있지만, 사전 구매형 할인 운임으로 최저 5000JPY부터의 가격을 제시하고, 도서 특별 할인(왕복이 미야코 공항 출발 왕복 할인)에서는 11000JPY 전후였다. 반면 에어트란세는 보통 운임 18000JPY, 섬 주민 할인에서도 15000JPY으로 책정했다. 가격 설정과 더불어 1일 1왕복으로 편리성도 떨어져, 관계자들 사이에서는 철수가 시간 문제로 여겨졌다.
수익 개선을 목표로 한 오키나와 진출도 6월에 철수하게 되어, 약 3개월 만에 홋카이도 노선으로 돌아가게 되었다.[35] "장기적인 계획을 세웠으면 좋았을 텐데"라고 에어 돌핀 사장에게 쓴소리를 듣는 등, 이전부터 지적받아 온 만성적인 승무원 부족, 시장 조사 부족 및 사업 계획의 안이함을 다시 한번 드러냈다.
3. 3. 혼슈
2007년 7월 21일부터 하코다테 - 센다이 공항 노선에 취항했다.[34] 다른 회사가 2007년부터 철수했기 때문에 그만큼의 수요를 예상한다고 발표했지만, 다른 회사의 철수 후 또는 동시에 취항한 노선에서는 다른 회사만큼의 수요를 찾지 못했다. 지금까지의 노선 개폐에서 "5년 후의 사업 그림이 보이지 않는다. 다른 노선의 단기 철수로, 이 노선도 마찬가지라는 인상이 고객 이탈을 초래한다"라는 쓴소리를 들었다.[35]이 노선은 센다이 공항의 보안 검색장 계약 기간이 10월 말에 만료되어 갱신에 따른 사용료가 합의되지 않아 11월 1일부터 한동안 운휴되었지만[36], 12월 15일에 재개되었다.[37]
4. 보유 항공기
2007년 3월 당시, 에어트란세는 레이시온 비치크래프트 1900D 3대를 보유하고 있었다.[3]
항공기 | 보유 대수 | 기타 |
---|---|---|
레이시온 비치 1900D | 3 |
레이세온 에어크래프트사 제조 쌍발 프로펠러 터보프롭기인 비치크래프트 1900D 3기를 사용했으며, 정원은 모두 18명이었다. 좌석은 중앙 통로를 사이에 두고 통로 양쪽에 1열씩 2열로 배치되었다. 1호기 JA016A는 흰색 바탕에 빨간색 스트라이프 라인이었고, 2005년 12월 24일 취항한 2호기 JA017A는 기체 상부 4분의 3이 오렌지색(에어트란세 사의 이미지 컬러), 하부가 흰색의 투톤 컬러였다. 2006년 10월에는 크리스찬 라센의 돌고래 그림을 기체에 그린 3호기가 취항했다. 자체 정비를 실시하고 있으며, 1등 항공 정비사 6명, 2등 항공 정비사 7명을 보유하고 있었다.
취항 이전의 예정 기재는 페어차일드 메트로, 도르니에 228를 거쳐, 신 경영 체제하에서 현재의 비치크래프트 1900D를 선택했다.
5. 문제점 및 실패 요인
에어트란세는 경영 및 운영상의 여러 문제점으로 인해 실패했다.
1997년 군마현마에바시시에 본사를 둔 의료기기 제조 판매 회사 "쉔펙스"의 자회사로 설립되었으며,[4] 2001년 홋카이도 내 지역 커뮤터 항공 사업 진출 계획을 발표했다.[5] 초기 도르니에 228 기종 도입을 시도했으나 공조 시스템 문제로 메트로 II SA226-TC로 변경했고, 오비히로 공항 격납고 건설을 보류하는 등 초기 투자 비용 절감에 어려움을 겪었다.[11]
이후 사용 기재 노후화에 따른 예비 부품 조달 문제,[16] 잦은 노선 변경, 운휴 및 철수[35]등이 반복되었다. 2004년 회사명을 "에어 쉔펙스"에서 "에어트란세"로 변경하고 스카이마크 설립에 관여한 사와다 히데오를 고문으로 영입했으나,[18] 근본적인 문제는 해결되지 않았다.
2007년 오키나와 노선에 진출했지만, 시장 조사 부족과 경쟁 심화로 단기간에 철수했다.[35]
5. 1. 만성적인 승무원 부족
에어트란세는 예비기 부족, 정비 증가, 만성적인 운항 승무원 부족으로 인해 계획된 운휴나 기재 고장으로 인한 결항이 잦았다. 2006년 10월부터 3기 체제로 전환하며 신치토세 공항 노선 철수로 약간의 여유가 생겼으나, 문제는 계속되었다.- 2006년 4월 6일, 오비히로 공항에서 이륙 허가 없이 이륙을 시도하다 400m 활주 후 중단, 승객 4명이 영향을 받았다.
- 2006년 5월 1일, 악천후로 인한 승무원 교대 문제로 기장을 구하지 못해 하코다테 공항 - 오비히로 공항 노선이 결항, 승객 2명이 영향을 받았다.[33]
5. 2. 시장 조사 부족 및 사업 계획 미흡
에어트란세는 잦은 노선 변경과 단기 철수로 인해 시장 조사 부족 및 사업 계획 미흡이라는 비판을 받았다.[35] 특히 오키나와 노선에서는 경쟁사 대비 높은 운임과 낮은 편의성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었다.항목 | 에어트란세 | 경쟁사 (나하-미야코 노선) |
---|---|---|
일반 운임 | 18,000엔 | 최저 5,000엔 (사전 구매형 할인) |
섬 주민 할인 | 15,000엔 | 11,000엔 (도서 특별 할인) |
운항 횟수 | 1일 1왕복 | (경쟁 노선 정보 부족) |
이러한 요인들은 결국 에어트란세가 오키나와 시장에서 철수하는 결과를 초래했으며, "장기적인 계획을 세웠으면 좋았을 텐데"라는 쓴소리를 듣는 등 사업 계획의 안이함이 다시 한번 드러났다.[35]
5. 3. 재정 문제
에어트란세는 만성적인 경영난에 시달렸다. 2006년 모회사인 쉔펙스가 민사재생법 적용을 신청했고, 에어트란세는 잦은 노선 변경과 운휴, 철수를 반복하며 사업 계획의 안일함을 드러냈다. 2007년에는 오키나와 노선에 진출했으나, 시장 조사 부족과 경쟁 심화로 단기간에 철수하는 등 어려움을 겪었다.[35]참조
[1]
웹사이트
会社概要
http://www.airtranss[...]
2009-05-20
[2]
뉴스
World Airlines
2012
[3]
뉴스
Directory: World Airlines
2007-03-27
[4]
뉴스
エアァ社の帯広-函館線来年6月就航を申請1日3往復
北海道新聞
2003-12-06
[5]
뉴스
医療機器製造シェンペクス 道内コミューター事業に参入
北海道新聞
2001-01-10
[6]
뉴스
エアァシェンペクス社長に聞く 運行開始7月に 函館-帯広線 丘珠参入にも意欲
北海道新聞
2003-02-28
[7]
뉴스
地域コミューター参入のシェンペクス試験飛行で旭川空港へ 29日市民にも機体を公開
北海道新聞
2001-01-25
[8]
간행물
情報バスケット テストフライト体験搭乗
北方ジャーナル
2001-04-01
[9]
뉴스
はあと航空帯広起点に2路線 来春からの運航計画案丘珠函館へ2往復
北海道新聞
2001-03-09
[10]
뉴스
九州の航空会社買収エアァシェンペクス
北海道新聞
2002-01-24
[11]
뉴스
エアァシェンペクス函館線就航冬以降に
北海道新聞
2002-06-08
[12]
뉴스
翼にエゾシカ双発機を公開エアァシェンペクス
北海道新聞
2002-09-07
[13]
뉴스
エアァ社の帯広-函館線運航開始6月上旬に
北海道新聞
2003-01-21
[14]
뉴스
年内就航は微妙シェンペクス帯広-函館線申請手続きに遅れ
北海道新聞
2003-07-17
[15]
뉴스
函館-帯広間の航空機就航許可エア社に
北海道新聞
2004-01-30
[16]
뉴스
函館-帯広あいだの就航延期を発表エアァ社
北海道新聞
2004-03-18
[17]
뉴스
エアァシェンペクス函館-帯広線自社運航困難 引継ぎや合併検討
北海道新聞
2004-07-02
[18]
뉴스
エアァシェンペクス社長に江村氏就任
日本経済新聞
2004-08-13
[19]
뉴스
エアァ社江村新社長会見来年2月就航目指す函館-帯広
北海道新聞
2004-08-13
[20]
웹사이트
エアトランセ、帯広線就航
https://www.ehako.co[...]
函館新聞
2005-03-15
[21]
뉴스
函館-帯広間、航空便が就航エアトランセ
朝日新聞
2005-03-14
[22]
뉴스
エアトランセ新千歳に就航 国内初バス方式
北海道新聞
2005-10-01
[23]
뉴스
エアトランセ女満別へ就航 HAC、函館-奥尻も
北海道新聞
2006-04-01
[24]
뉴스
新千歳-女満別線エアトランセ就航1日1往復
北海道新聞
2006-06-20
[25]
뉴스
エアトランセ新千歳-帯広冬季間運休に来春以降の再開未定
北海道新聞
2006-09-29
[26]
뉴스
エアトランセ新千歳発着の2路線を運休
北海道新聞
2006-12-22
[27]
뉴스
エアトランセ定期便撤退 函館-帯広・女満別 来月
北海道新聞
2007-02-07
[28]
뉴스
エアトランセ、定期便運休届け出 乗り合い方式などへ転換
北海道新聞
2007-03-06
[29]
뉴스
「乗り合い」第1便離陸 エアトランセ
北海道新聞
2007-03-14
[30]
뉴스
定期便の廃止を国交省に届け出 エアトランセ
北海道新聞
2007-04-27
[31]
뉴스
13年ぶり下地-那覇 小型機が就航、住民歓迎
http://ryukyushimpo.[...]
琉球新報
2007-04-02
[32]
뉴스
25日から一時運休 エアードルフィン下地島―那覇便
http://ryukyushimpo.[...]
琉球新報
2007-06-12
[33]
뉴스
下地島―那覇路線 撤退へ
http://www.okinawati[...]
沖縄タイムス
2007-06-13
[34]
뉴스
エアトランセ函館-仙台便就航
北海道新聞
2007-07-21
[35]
뉴스
エアトランセ:「函館-仙台」就航、予約客1人でも運航・安定運航へ正念場…会長「柱の路線に」
北海道新聞
2007-07-22
[36]
뉴스
エアトランセ函館-仙台も運休
北海道新聞
2007-11-10
[37]
뉴스
函館-仙台便を再開エアトランセ1ヶ月半ぶり
北海道新聞
2007-12-15
[38]
뉴스
エアトランセ大分〜那覇で乗り合いチャーター便、検討
毎日新聞
2007-07-06
[39]
간행물
株式会社エアトランセによる大分=沖縄間のりあい便就航表明に関するお知らせ
http://www.pref.oita[...]
大分県
2007-07-20
[40]
뉴스
那覇便11月に復活北海道の航空会社
読売志文大分版
2007-07-30
[41]
뉴스
エアトランセ:那覇便就航へ 「乗り合い便」で1日1往復 /大分
毎日新聞
2007-07-25
[42]
뉴스
エアトランセ大分-那覇チャーター便へ変更予約見込み大幅下回る
読売新聞
2007-11-09
[43]
뉴스
ハコセン再生法申請
北海道新聞
2007-11-15
[44]
뉴스
エアトランセ航空機レンタル参入休眠オーナー機活用
日経MJ
2008-10-29
[45]
뉴스
パイロット付き航空機レンタルエアトランセ参入
北海道新聞
2008-10-23
[46]
뉴스
道南この1年ニュースで振り返る
北海道新聞
2008-12-28
[47]
뉴스
エアトランセ本社東京移転を発表
北海道新聞
2008-08-29
[48]
뉴스
エアトランセ機、離陸許可を得ず滑走…先月6日
https://web.archive.[...]
読売新聞
2006-05-09
[49]
뉴스
人繰りつかず欠航…エアトランセ
https://web.archive.[...]
読売新聞
2006-05-02
[50]
웹사이트
大空の革新者たち ~航空ベンチャーに勝算あり~
https://www.tv-tokyo[...]
テレビ東京
2006-03-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