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니가타 공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니가타 공항은 혼슈 일본해 연안 최초의 공항으로, 1929년 개항하여 1945년 연합군에 의해 군용 비행장으로 사용되다 1958년 상업 비행 운항을 재개했다. 1973년 하바롭스크 노선 개설을 시작으로 국제선 운항이 시작되었으며, 2024년 현재 서울, 상하이, 타이베이 등 국제선과 삿포로, 오사카, 후쿠오카 등 국내선 노선이 운항 중이다. 공항은 니가타현 히가시구에 위치하며, 1,130대를 수용하는 주차 시설과 리무진 버스, 택시, 자가용을 이용한 교통편을 제공한다. 연간 이용객 수는 2004년 145만 명으로 최고치를 기록했으며, 2013년 활주로 이탈 사고가 발생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히가시구 (니가타시) - 에치고이시야마역
    에치고이시야마역은 니가타현 니가타시 히가시구에 있는 JR 동일본의 역으로, 신에쓰 본선과 JR 화물 신에쓰 본선 화물 지선이 지나며 니가타, 니쓰, 나가오카, 아이즈와카마쓰 방면으로 갈 수 있는 2면 2선의 지상역이고, 니가타역이 관리하는 업무 위탁역으로 하루 평균 1,732명이 이용한다.
  • 니가타시의 교통 - 혼초 교차로
    혼초 교차로는 일본 니가타현에 위치하며, 국도 7, 8, 17, 113, 116, 289, 350, 402호선 등이 교차하는 곳이다.
  • 니가타현의 공항 - 사도 공항
    니가타현 사도섬에 위치한 사도 공항은 1959년 개항 후 확장되었으나 2014년부터 항공편 운항이 중단되었고, 2024년 토키 에어 취항을 앞두고 활주로 확장 및 시설 개선이 진행될 예정이다.
니가타 공항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기본 정보
이름니가타 공항
원어 이름신가타 쿠코
영어 이름Niigata Airport
IATA 코드KIJ
ICAO 코드RJSN
종류공공
운영 주체일본 국토교통대신
위치니가타현 니가타시 히가시구
모도시니가타시
허브 항공사토키 에어
개항1930년
터미널 수1
면적197 헥타르
고도9 m
활주로
방향04/22
ILS해당 없음
길이1,314 m
45 m
표면아스팔트 콘크리트
방향10/28
ILSI
길이2,500 m
45 m
표면아스팔트 콘크리트
통계 (2015년)
승객 수984,629 명
화물 처리량474 톤
항공기 운항 횟수26,149 회
통계 (2023년)
승객 수1,056,208 명
화물 처리량불명
기타 정보
웹사이트니가타 공항

2. 역사

1929년, 일본 동해 연안 최초의 공항이 시나노강의 섬에 개항했다. 1930년 마츠가자카하마 마을로 이전되어 니가타 공항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1941년 일본 제국 육군 항공대에 징발되었다가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미국 육군 항공대(USAAF)의 통제를 받았다. 1958년 3월 31일 일본에 반환되어 상업 비행이 재개되었다.[3]

1973년 하바롭스크 정기 노선 개설로 국제선 운항이 시작되어, 니가타 공항은 니가타 지역 농산물을 러시아로 수출하는 등 러시아와의 중요한 교통 관문이 되었다. 그러나 나리타 국제공항에서 러시아 노선 슬롯이 더 많이 확보되면서 2010년 겨울부터 운항 횟수가 감소했다.[3]

2012년 봄, 중국동방항공, 후지 드림 항공, 전일본공수(All Nippon Airways)가 각각 상하이, 나고야, 나리타 노선 운항을 발표하며 공항 서비스가 크게 확장되었다.[4]

니가타시영 시대 비행장 항공 사진(1946년)
국토교통성 국토지리원 [https://mapps.gsi.go.jp/ 지도·항공사진 열람 서비스] 항공 사진 기반 작성


1973년 6월, 소비에트 연방 하바롭스크 공항아에로플로트일본항공 공동 정기편이 취항하여, 니가타항과 함께 일본의 동구권 창구가 되었다.

1979년 대한민국 김포국제공항 정기편이 비교적 일찍 취항하는 등, 국제선이 이른 시기에 개설된 지방 공항 중 하나이다. 냉전 종결 후 러시아 항공사들이 나리타 국제공항에 취항하면서 러시아 항공사 취항은 없어졌지만, 현재도 서울, 타이베이, 상하이, 하얼빈에서 항공편이 운항되고 있다.

2. 1. 연혁


  • 1929년: 일본 동해 연안 최초의 공항이 시나노강의 섬에 개항.[18]
  • 1930년: 키타칸바라군 마츠가사키하마 촌으로 이전하여 니가타시 시영 비행장으로 개항.
  • 1941년: 일본 육군의 징용 비행장이 됨.
  • 1945년: 태평양 전쟁 종결로 연합군의 일원인 미국군이 군용 비행장으로 접수.
  • 1950년: A활주로 1,829m 사용 개시.
  • 1954년 4월 5일: 마츠가사키하마 촌이 니가타시에 편입 합병되어 당 공항이 시내에 위치하게 됨.
  • 1958년
  • 3월 31일: 연합군으로부터 니가타 비행장이 반환됨.
  • 최초의 정기 노선, 니가타 - 도쿄 간 개설(DC-3 사용).
  • 1962년 3월 15일: 항공자위대의 니가타 기지대가 신편됨.
  • 1963년: A활주로 1,314m로 단축, B활주로 1,200m 신설.
  • 1964년 6월 16일: 니가타 지진으로 피해를 입음. 액상화 현상과 쓰나미로 인해 활주로가 침수되는 등의 피해 발생.[20]
  • 1966년 12월: 항공자위대 니가타 기지대가 항공구난군에 편입됨.[21]
  • 1967년 10월 25일: 니가타 기지대가 니가타 구난대로 신편됨.
  • 1972년
  • B활주로 1,900m로 연장.
  • 10월 27일: 공항 터미널 빌딩(2대)의 개축이 완료되어 사용을 시작.
  • 1973년 6월 15일: 최초의 국제 정기 항공로인 하바롭스크 노선 개설[22][23] (B727 사용). 같은 날 제트화도 됨.[24]
  • 1979년 12월: 국제 정기 항공로・서울 노선 개설.[22]
  • 1981년: B활주로 2,000m로 연장.
  • 1991년 6월: 국제 정기 항공로・이르쿠츠크 노선 개설.[22]
  • 1993년 4월: 국제 정기 항공로・블라디보스토크 노선 개설.[22]
  • 1996년
  • 3월 28일: B활주로 2,500m로 연장하여 사용을 시작.[25]
  • 7월 11일: 터미널 빌딩 (3대, 현재 사용 중)의 개축이 완료되어 그랜드 오픈.[25] 운용 시간을 7시 30분부터 20시 30분까지로 연장.
  • 1998년
  • 3월: 국제 정기 항공로・상하이・시안 노선 개설.[22]
  • 6월: 국제 정기 항공로・하얼빈 노선 개설.[22]
  • 7월: 국제 정기 항공로・ 노선 개설.[22]
  • 12월: 국제 정기 항공로・호놀룰루 노선 개설.[22]
  • 2004년 10월 23일: 니가타현 주에츠 지진이 발생. 현내 주요 교통로가 일부 단절되었기 때문에 다음 날 10월 24일부터 임시 하네다 노선을 개설한 외, 자위대를 비롯한 국・현의 구난 거점으로 10월 27일부터 11월 10일까지 임시 24시간 운용을 실시(국가 관리 지방 공항에서 재해 발생시의 종일 운용은 최초의 사례).
  • 2013년 10월 27일: 운용 시간을 21시 30분까지 연장. 이에 따라 터미널 빌딩의 영업 종료 시간을 21시 15분으로 연장.
  • 2014년 3월 30일: 터미널 빌딩의 영업 종료 시간을 21시로 앞당김.[26] 운용 시간은 변경 없음.
  • 2018년 3월 1일: 니가타 공항에서는 처음으로 저가 항공사(LCC)인 피치 항공간사이 노선을 개설.[27][28][29]
  • 2019년
  • 11월 24일: 소형 프로펠러기로 사도 공항, 센다이 공항과의 주유 관광 가능성을 모색하는 시험 비행을 니가타현 등이 실시.[30]
  • 12월 5일: 공항 내의 수하물 택배 창구의 "빈손 관광 카운터" 지정을 국토교통성 호쿠리쿠 신에쓰 운수국이 공표.[31]
  • 2020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의 영향으로 국제선 전 노선이 결항. 당 공항 이용자가 23만 명까지 감소.
  • 2023년: 니가타현이, 니가타 공항 장래 비전을 책정.[32]
  • 2024년
  • 1월 31일: 토키 에어에 의한 삿포로(오카다마)선 취항.[33]
  • 4월 26일: 센다이선 취항[34]。7월 12일: 주 5편에서 매일 증편.

2. 2. 국제선 취항

1973년 6월 15일, 최초의 국제 정기 항공 노선인 하바롭스크 노선이 개설되었다.[22][23] 같은 날 제트화도 이루어졌다.[24] 1979년 12월에는 대한민국 서울 노선이 개설되었다.[22] 이는 국제선이 비교적 이른 시기에 개설된 지방 공항 중 하나로 꼽힌다.

냉전 종결 후 러시아 항공사들이 나리타 국제공항으로 취항하게 되면서 러시아 항공사의 취항은 없어졌지만, 현재는 서울, 타이베이, 상하이, 하얼빈에서 항공편이 운항되고 있다.

1991년 6월에는 이르쿠츠크 노선,[22] 1993년 4월에는 블라디보스토크 노선이 개설되었다.[22] 1998년에는 상하이·시안 노선(3월),[22] 하얼빈 노선(6월),[22] 노선(7월),[22] 호놀룰루 노선(12월)이 개설되었다.[22]

2020년 1월 현재 대한민국의 인천 국제공항, 중화인민공화국하얼빈 타이핑 국제공항, 상하이 푸둥 국제공항, 홍콩 국제공항 등 총 4개의 정기 노선이 운항 중이다. 2019년 12월까지 대만의 타오위안 국제공항 노선도 운항되었으나, 원동항공의 경영 파탄으로 운휴되었다. 이후 2020년 3월부터 타이거 항공 대만이 취항할 예정이었으나, 코로나19 확산으로 연기되었다가 2023년 1월 17일에 취항했다.

3. 시설

국토교통성 국토지리원 [https://mapps.gsi.go.jp/ 지도・항공사진 열람 서비스]의 항공 사진을 기반으로 작성.2009년 촬영한 10장을 합성 제작.||||270x270픽셀]]

니가타 공항은 니가타시 히가시구 북동부(시모야마 지구)에 위치하며, 북쪽은 동해, 동쪽은 아게노강 하구 부근, 서쪽은 시나노강 하구 부근에 접해 있다. 야마가타현(쇼나이 지방), 후쿠시마현(미나미아이즈 지방), 군마현, 사이타마현 등에서도 이용객이 많다.

공항 터미널 빌딩은 B 활주로 남쪽 중앙부에 설치된 에이프런에 면해 있다. 그 서쪽에는 항공자위대 니가타 분둔 기지의 전용 에이프런과 행거가 설치되어 니가타 구난대의 구난 수색기 등이 상주하고 있다. 터미널 빌딩 남쪽에는 차도와 주차장을 사이에 두고 니가타현 경찰 항공대, 도호쿠 전력, 나카니혼 항공, 아사히 항공, 니가타현 소방방재 항공대, 해상보안청 제9관구 해상보안본부 니가타 항공 기지 등의 행거가 늘어선 공동의 사우스 에이프런 지구가 있다. 제한 표면[15]에는 원추 표면과 바깥쪽 수평 표면이 설정되어 있지 않다.

1973년 6월, 소련 하바롭스크 공항과의 사이에 아에로플로트일본항공의 공동 정기편이 취항하여, 니가타항과 함께 일본에서 동구권으로의 창구 역할을 했다.

1979년에는 한국 김포국제공항과의 정기편이 비교적 빠르게 취항하는 등, 국제선이 이른 단계에서 개설된 지방 공항 중 하나이다. 냉전 종결 후 러시아 항공사의 나리타 국제공항 취항이 자유화되면서 러시아 항공사의 취항은 없어졌지만, 현재도 서울, 타이베이, 상하이, 하얼빈에서 항공편이 운항되고 있다.

국토교통성이 발표한 니가타 공항의 영업 손익은 2006년도 약 23억, 2007년도 약 20억, 2008년도 약 13억 적자를 기록했다. 이는 국 관리 공항 중 후쿠오카 공항, 나하 공항 등에 이어 전국 최하위 5위 이내이다[16]

공항 각 시설은 니가타시 히가시구 마쓰하마정에 위치해 있다. 이 지역은 구 마쓰가사키하마촌 (1954년 니가타시에 편입)의 촌역에 해당한다. 에도 시대 이후 아가노강 유로 변경으로 인해 해당 촌역은 좌안의 이 지역과 우안의 기타구 마쓰하마 지구 중심부로 나뉘게 되었다.

3. 1. 터미널 빌딩

1996년 7월 11일부터 사용을 시작한 3대 터미널 빌딩에는 "'''에어리움'''(AIRIUM)"이라는 애칭이 있지만, 현재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새롭게 취항한 토키 에어의 체크인 카운터


터미널 빌딩은 지상 4층, 지하 2층 건물로, 연면적은 28805m2이다. 2층에는 탑승교 4기(국내선 2기, 국제선 1기, 국내·국제 공용 1기)가 설치되어 있다.

탑승 및 도착 구역은 서쪽이 국내선, 동쪽이 국제선으로 나뉘며, 각각 파란색과 빨간색으로 구분되어 있다.

터미널 빌딩 내에서는 프레츠 스폿, 도코모 와이파이, moperaU 공중 무선 LAN과 같은 공중 무선 LAN 서비스를 이용하여 PC스마트폰으로 고속 인터넷 통신을 이용할 수 있다.

통근 항공의 사도 공항 노선은 아사히신 항공이 취항한 1996년 이후, 터미널 빌딩과 주차장·로터리를 사이에 둔 150m 남쪽의 운항소에서 탑승 수속과 승객 승하차를 진행하여 다른 항공 노선이나 노선 버스와의 환승이 불편했다. 2011년 7월부터 아사히신 항공을 대신하여 해당 노선에 취항한 신일본 항공은 2012년 4월 26일부터 탑승 카운터를 터미널 빌딩 내로, 승하차 장소를 터미널 빌딩 옆으로 각각 이전하여 편의성을 높였다. 그러나 신일본 항공은 2014년 3월 28일, 안정 운항을 위한 체제 정비를 위해 니가타~사도 노선을 무기한 운휴한다고 발표한 후, 곧 니가타 운항 사무소를 폐쇄했다.

3. 2. 활주로

니가타 공항에는 두 개의 활주로가 있다. 여객기는 주로 해안을 따라 설치된 B 활주로를 사용한다. B 활주로의 동쪽에 설치되어 북동에서 남서로 뻗어 있는 보조 활주로인 A 활주로는 주로 경비행기헬리콥터가 사용한다.

3. 3. 기타 시설

니가타 공항 부지 내에는 방위성 시설인 항공자위대의 니가타 분둔 기지가 있다. 국토교통성 관련 시설로는 도쿄 항공국 니가타 공항 사무소, 해상보안청의 니가타 항공 기지(격납고, 사무소) 등이 있다.[16]

4. 운항 노선

니가타 공항은 현재 국내선과 국제선 노선을 모두 운항하고 있다. 2개 이상의 항공사가 게재된 노선은 코드 셰어(공동 운항) 노선이며, 가장 앞에 게재된 항공사의 기재 및 승무원으로 운항된다. 2024년에 취항한 토키 에어는 니가타 공항을 거점 공항으로 삼고 있다.

과거 하네다 노선은 1982년 11월 15일 조에쓰 신칸센 개통 이후 이용객 감소로 1983년 8월 31일 운항이 중단되었다.[41][42] 그러나 재해 발생 시 임시편으로 운항된 사례는 다음과 같다.



니가타현은 니가타 공항에 본사를 둔 토키 에어를 통해 2025년 중 사도, 수도권, 고베 노선 취항을 계획하고 있다. 이는 고베 공항에는 2년 만, 나리타 공항에는 2년 만, 사도 공항에는 11년 만의 정기 취항편이 된다.

4. 1. 국제선

니가타 공항은 국제선 노선을 통해 대한민국, 중화민국, 중화인민공화국, 러시아 등 여러 국가와 연결되어 있다.



1979년에는 대한민국 김포국제공항과의 정기편이 비교적 빠르게 취항하는 등, 국제선이 이른 시기에 개설된 지방 공항 중 하나였다. 냉전 종결 후 러시아 항공사들이 나리타 국제공항으로 취항하면서 러시아 항공사의 취항은 중단되었지만, 현재도 서울, 타이베이, 상하이, 하얼빈 등에서 항공편이 운항되고 있다.

2020년 1월에는 대한민국인천국제공항, 중화인민공화국하얼빈 타이핑 국제공항, 상하이 푸둥 국제공항, 홍콩 국제공항 등 총 4개의 정기 노선이 운항되었다. 2019년 12월까지 대만 타오위안 국제공항으로도 운항되었으나, 유안둥 항공의 경영난으로 운휴되었다. 이후 2020년 3월부터 타이거 항공 타이완의 취항으로 재개될 예정이었으나, 코로나19 확산으로 연기되었다가 2023년 1월 17일에 재개되었다.

니가타현은 전세편 유치를 추진하여, 과거 베트남, 태국 등 동남아시아와 제주국제공항, 울란바토르, 중화인민공화국베이징, 톈진, 다롄, 칭다오, 광저우(선전) 등 직할시, 부성급시, 경제특구로의 운항 실적을 올렸다. 니가타현니가타시는 전세편 운항 실적을 바탕으로 관광 수요가 기대되는 동아시아를 중심으로 정기 노선 유치와 국내선을 포함한 저비용 항공사(LCC) 노선 유치를 추진하고 있다.

4. 2. 국내선






2개 이상의 항공사가 게재된 노선은 코드 셰어(공동 운항) 노선이다. 가장 앞에 게재된 항공사의 기재 및 승무원에 의해 운항된다.

2024년에 취항한 토키 에어가 거점 공항으로 하고 있다.

과거에는 하네다 노선도 있었으나, 1982년 11월 15일 조에쓰 신칸센 개통 이후 이용자가 감소하여 1983년 8월 31일 정기 노선 운항이 중단되었다.[41][42] 그러나 재해 발생 시 임시편으로 운항된 적은 있다.



니가타현에서는 당 공항에 본사를 둔 저가 항공사인 토키 에어가 2025년 중 사도, 수도권, 고베 노선 취항을 계획하고 있다. 실현될 경우, 고베 공항에는 2년 만, 나리타 공항에는 2년 만, 사도 공항에는 11년 만의 정기 취항편이 된다.

4. 3. 과거 운항 노선

다음은 과거 니가타 공항에서 운항했던 정기 노선 목록이다. 이 중 하네다 노선은 1982년 11월 15일 조에쓰 신칸센 개통 이후 이용객 감소로 1983년 8월 31일 정기 운항이 중단되었으나[41][42], 재해 발생 시 임시편으로 운항된 실적이 있다.

2004년 10월 23일 니가타현 주에츠 지진으로 신칸센 운행이 중단되었을 때, 같은 해 10월 24일부터 2005년 1월 4일까지 일본항공전일본공수가 총 1119편을 운항하여 약 21만 3000명이 이용했다. 또한, 2007년 7월 16일 니가타현 주에쓰 해역 지진으로 신칸센이 설비 점검을 위해 일시 운행 중단되었을 때, 같은 날과 다음 날 일본항공과 전일본공수가 각 1왕복, 총 4편을 운항하여 232명이 이용했다.

'''국내선'''

지역공항비고
홋카이도아사히카와, 메만베쓰, 신치토세*, 하코다테*는 공항 자체가 폐지됨
도호쿠하나마키, 아키타
간토도쿄/하네다, 도쿄/나리타
주부사도, 도야마, 고마츠
간사이오사카/간사이, 오사카/고베
주고쿠·시코쿠히로시마 니시 비행장**는 공항 자체가 폐지됨



'''국제선'''(전세편 포함)


5. 교통

니가타 공항은 니가타현뿐만 아니라, 야마가타현(쇼나이 지방), 후쿠시마현(미나미아이즈 지방), 군마현, 사이타마현 등에서도 이용객이 많다.

2018년 3월에 피치 항공이 노선을 개설한 이후, 다음과 같은 노선이 운행되고 있다.


  • 사도 기선(佐渡汽船) 니가타항(新潟港) 터미널[48]
  • 무라카미시(村上市) 방면 (니가타 공항 출발 한정 세나미 온천(瀬波温泉) 직행 라이너)[48][49]
  • 야히코 신사(彌彦神社)・이와무로 온천(岩室温泉) 라이너[48]
  • 시바타시(新発田市) 방면 (시바타 시가지・츠키오카 온천(月岡温泉) 주유)[48][50][51]


니가타시는 2008년(헤이세이 20년) '니이가타 교통 전략 플랜'에서 JR선의 수송력 보완 또는 궤도계 공공 교통이 없는 지역의 간선 교통 수단으로 4개 방면의 "골격 간선 버스 노선"을 지정했다. 공항과 니가타시 중심부를 연결하는 노선 버스(공항선)는 "마쓰하마・카와와타 방면" 노선에 해당한다.[58]

2003년(헤이세이 15년)부터 국도 113호선 등 노선 버스 운행 경로에 공공 차량 우선 시스템 정비가 진행되었고, 2000년대 중반부터 공항선 증편 및 승하차 환경 개선 등의 사회 실험이 실시되었다. 2009년(헤이세이 21년)부터 공항선 급행 계통(에어포트 리무진)은 니가타역 남쪽 출구 발착 논스톱 운행으로 변경되어 소요 시간이 단축되었다.

2010년(헤이세이 22년) 니가타시는 "새로운 교통 시스템 도입 검토 위원회"를 발족, 주오구 중심부의 "간선 공공 교통축"에 버스 래피드 트랜짓(BRT)를 도입하여 후루마치 등 동구 중심부 활성화를 도모하고 있다. 2012년(헤이세이 24년) 니가타 교통의 "BRT 제1기 도입 구간 운행 사업 제안서"는 BRT 노선망 재편 후 설정할 6개 "간선 구간" 중 하나로 니가타역 - 모노미야마 - 니가타 공항 간을 언급하며, 장래 니가타 공항을 주변 지역 공공 교통의 결절점으로 하는 구상도 제시했다.[59]

고속 버스의 니가타현 내 노선을 니가타시 중심부에서 공항까지 연장하여 현 내 각지에서의 편리성 향상을 도모하는 움직임도 있다. 과거 니가타역과 나가오카역 간 고속 버스 노선 중 일부가 공항으로 운행했으나, 리무진 버스 개시와 함께 중단되었다. 2011년(헤이세이 23년) 현은 접근성 향상을 위해 현 내 버스 3사와 사회 실험을 결정, 니가타역과 다카다역・나오에츠역 간 노선을 공항까지 연장 운행했다. 2012년(헤이세이 24년)에는 운행 중단된 나가오카선도 연장 운행하여, 총 4왕복의 현 내선 고속 버스를 공항 발착으로 운행했다.[60] 이 실험은 2013년(헤이세이 25년) 종료되었고, 정기 노선 버스는 니가타역 발착 2개 계통만 남았다.

5. 1. 버스

니가타역에서 20분 간격으로 "리무진 버스"가 운행되며, 니가타현에서 상당한 보조금을 받는다.[12]

니가타역 남쪽 출구의 니가타 공항 리무진 버스 승차장과 전용 버스 (2019년 3월)


운행 횟수, 소요 시간, 운임 등은 [http://www.niigata-airport.gr.jp/access/ 니가타 공항 공식 웹사이트 교통 접근] 참조.

  • '''니가타 교통'''
  • * 에어포트 리무진
  • *: 니가타역 남쪽 출구와 공항을 직행 연결.
  • * '''E2''' 공항·마쓰하마선
  • *: 니가타 비행장 도로 (국도 113호선)를 경유하는 각역 정차 노선. 터미널 빌딩 앞 "니가타 공항" 버스 정류장과 국도 113호선 변 "공항 입구" 버스 정류장이 있음.
  • 아이즈와카마츠 - 니가타선 (아이즈 버스・니가타 교통) - 2019년 9월 1일부터 니가타현의 실증 실험으로, 같은 해 말까지 고속 버스・아이즈와카마츠 - 니가타선의 일부 편이 당 공항 발착으로 운행.[45][46][47]
  • 나가오카 - 니가타 공항선 (아이케이・얼라이언스)

5. 2. 택시

2019년부터 니가타 공항에서 반경 20~30km 이내 8개 지역에서 정액 택시 운행이 시작되었다. 대상 지역은 니가타시 주오구(덴카 빅스완 스타디움 주변), 아키하구, 미나미구 2개 지역, 니시칸구, 시바타시, 아가노시, 타이나이시의 중심가이다.[52]

5. 3. 자가용

니가타 공항은 니가타시 히가시구의 북동부(시모야마 지구)에 있으며, 북쪽으로는 동해, 동쪽으로는 아게노강 하구, 서쪽으로는 시나노강 하구와 접해 있다.

공항 터미널 빌딩 남쪽에는 차도와 주차장이 있다. 주차장은 제1 주차장(858대)과 제2 주차장(272대)을 합쳐 총 1,130대를 수용할 수 있으며, 2005년 12월 10일에 일부가 입체화되었다. 주차장은 모두 유료이다.

니가타현은 원격지에서의 자가용 이용을 촉진하기 위해 국가로부터 공항 주차장을 이관받아 무료화하는 방침을 제시하고 있다.

자가용 이용 시 일본해 동북 자동차도 니가타 공항IC에서 차로 10분 거리이다.

공항 남쪽으로는 국도 113호선이 지나고 있으며, 야마노시타 정・스에히로 다리 교차로 - 고와타 신마치 2초메・공항 입구 교차로 구간은 '니가타 비행장 도로'(공항 거리)로 불린다.

국도 113호선 시모야마 교차로 - 국도 7호선 신신 바이패스 이치히IC 구간에서 정비가 진행 중이던 니가타현도 17호 니가타무라마츠미카와선 바이패스 구간(도시 계획 도로 시모야마 혼쇼선, 통칭 '니가타 공항 접근 도로')이 2005년 11월에 전 구간 개통되었다. 이 도로는 이치히IC 이남에서 시도 구간을 거쳐 니가타현도 16호 니가타카메다우치노선 구간이 되어 일본해 동북 자동차도 니가타 공항IC와 접속한다.

5. 4. 철도 접근성 (향후 계획)

현재 니가타 공항은 직접적인 철도 접근성이 없지만, 지방 당국은 조에쓰 신칸센 고속철도 노선 또는 인근 일반 철도 노선을 공항까지 연장하는 방안에 대한 연구를 수행해 왔다.[12]

버블 경제 시기인 1980년대 후반부터 니가타역과 당 공항을 잇는 공항 연락 철도 정비 구상이 여러 번 부상했다. 그중 하나는 조에츠 신칸센을 니가타역에서 차량 기지 (니가타 신칸센 차량 센터)까지의 회송 노선을 이용하여 당 공항의 지하로 진입한다는 것이다.[53][54] 1990년(헤이세이 2년)부터 당 공항의 2,500m 활주로 건설이 시작되었고, 1991년(헤이세이 3년)에는 도호쿠·조에츠 신칸센의 도쿄역 진입이 실현되면서, 수도권의 공항을 보완하는 기능을 당 공항에 부여하려는 취지였다.[55] 재래선을 활용하는 구상도 있었고,[54] 현재 휴지 중인 신에츠 본선의 화물 지선 (린코 화물선)을 연장하는 구상, 하쿠신선오가타역에서 신선을 건설하는 구상 외에도,[53][54] DMV를 이용하는 구상도 있었다.[54]

2017년에 "니가타 공항 액세스 개선 검토 위원회"가 시산한 바에 따르면, 신칸센을 연장할 경우 건설비는 422억이 소요되며,[53] 당 공항의 연간 이용객이 176만 명이 되지 않으면 채산성이 맞지 않는다고 한다.[54] 이 때문에 연간 이용객이 100만 명을 밑도는 현 상황에서는 건설이 어렵다고 여겨지고 있다.[56] 그러나 중장기적인 시점에서의 논의는 계속되고 있으며, 현과 니가타시가 조직하는 "니가타 공항 액세스 개선 검토 위원회"에서는 니가타역과 니가타 공항 간의 접근성 개선에 관한 논의를 계속 진행하고 있다.[57]

2004년(헤이세이 16년), 이즈미다 히로히코 당시 니가타현 지사는 "조에츠 신칸센의 니가타 공항 진입"을 장기적인 과제로 삼았으며, 2012년(헤이세이 24년)의 현 지사 선거 때에도 신칸센 진입 등을 공약으로 내걸어 3기 당선을 이루었다.

2006년(헤이세이 18년) 봄, 현 등은 "오가타역을 다음 해 2007년 봄부터 '니가타 공항 앞역'으로 개칭하여 공항으로의 액세스 역으로 지정하고, 같은 역에서 공항까지 셔틀 버스를 운행한다"라는 구상을 발표했다. 그러나 오가타역은 공항 터미널 빌딩에서 멀리 떨어져 있을 뿐만 아니라, 역 설비나 주변 도로도 정비되어 있지 않는 등 문제점이 많아, 공항 액세스의 역할을 다할 수 없을 우려가 있었다. 또한, 동일본 여객철도(JR 동일본) 등 관계 기관도 역명 개칭에 소극적이었던 점 등으로, 이러한 구상은 실현되지 못했다.

2023년, 현에서 "니가타 공항 장래 비전"이 수립되어, 2025년 이후 또는 이용자가 135만 명을 초과하는 시점에서 공항 액세스 철도 재검토를 논의할 예정이다.

6. 통계

연도별 이용객 수 (굵은 글씨는 최고값)
연도이용객 수 (명)
국내선국제선합계
2004년1,238,381215,4911,453,782
2005년1,006,181230,0421,236,223
2006년1,019,290238,7181,258,003
2007년965,151227,9961,193,147
2008년840,258208,6761,048,934
2009년753,122200,382953,303
2010년726,454194,198920,652
2011년675,094183,782858,876
2012년781,726181,606963,332
2013년863,170153,6011,016,771
2014년876,253131,9191,008,172
2015년872,285139,6601,011,695
2016년878,132113,215991,347
2017년910,154110,5811,022,656
2018년1,030,334136,3201,166,654
2019년1,018,222113,5651,137,691
2021년388,7270388,727
2022년804,4746,502811,722
2023년1,003,21452,3821,056,208



1969년 니가타 공항 이용객은 3.9만 명이었으나, 1970년 7.3만 명으로 급증했다. 오일 쇼크 등으로 고도 경제 성장기가 끝났음에도 제트화로 노선 개설이 이어져 1981년까지 이용객이 증가했다. 1981년 연간 이용객 수 상위 노선은 하네다선 (20.4만 명), 오사카선 (14.9만 명), 신치토세선 (11.4만 명), 나고야선 (11.0만 명), 센다이선 (5.0만 명), 후쿠오카선 (4.2만 명)이었다.

1982년 조에쓰 신칸센 개통으로 1983년 하네다선이 운휴하면서 이용객이 40만 명 전후로 감소했다. 이용객 감소로 후쿠오카선도 운휴했으나, 1986년부터 공항 전체 이용객 수는 증가하기 시작했다. 이후 센다이선은 운휴, 후쿠오카선은 부활, 나하선이 신설되면서 연간 이용객 100만 명 규모의 공항이 되었다.

2013년 연간 이용객은 국내선 863,170명, 국제선 153,601명으로 총 1,016,771명이었다. 이는 리먼 쇼크가 발생한 2008년 이후 5년 만에 100만 명을 넘은 것이다. 이후 이용객 수는 100만 명/년 전후를 유지하고 있다.

7. 사건

2013년 8월 5일 대한항공 763편 활주로 이탈

  • 2013년 8월 5일, 인천국제공항에서 출발하여 니가타 공항으로 향하던 대한항공 763편(보잉 737-900형)이 B활주로(활주로 10)에 착륙하다가 활주로 이탈하여 활주로 동쪽 잔디밭에 앞바퀴가 벗어난 상태로 멈춰섰다. 기장 등 승무원 8명과 승객 106명, 총 115명 중 부상자는 없었다. 이 사고로 활주로가 폐쇄되어 일본항공, 전일본공수, 후지드림 항공 3사의 총 14편이 결항되었다[61]。운수안전위원회는 항공법 시행규칙 제166조의 4 제3호에 규정된 활주로 이탈에 해당하므로 항공 중대 사고로 조사했다[62][63][61][64]。 조사 결과, 기장과 부조종사 모두 항공 관제사의 "turn right end of runway B1(활주로 종단 B1 우회전)", "taxi to spot cross runway 04/22(활주로 이탈 후 지상 활주 중 교차 활주로 04/22 횡단 허가)" 지시를 이해하지 못하고 "착륙 활주 중 교차 활주로 횡단 허가"로 오해하여[65], 활주로 말단등을 교차 활주로 04/22 앞 스톱바 라이트로 착각해 감속이 늦어져 활주로를 이탈한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기장과 부조종사 모두 교차 활주로가 있는 니가타 공항에 익숙하지 않아 활주로 04/22와의 교차 위치를 파악하기 어렵고 속도 감각을 잡기 어려웠던 점도 사고 원인으로 제시되었다[62][63]

8. 관련 기관


  • 방위성일본어
  • * 항공자위대일본어 니가타 분둔 기지(항공구난단 니가타 구난대)
  • 국토교통성일본어
  • * 도쿄 항공국일본어 니가타 공항 사무소
  • * 해상보안청일본어 제9관구 해상보안본부 니가타 항공기지
  • 니가타현 기관
  • * 니가타현 경찰 본부 항공대
  • * 니가타현 소방방재항공대 소방 방재 헬리콥터
  • 민간 사업자
  • * 아사히 항양
  • * 중일본 항공
  • * 올 재팬 헬리콥터
  • * 도호쿠 전력

참조

[1] 웹사이트 Niigata Airport http://www.mlit.go.j[...] Japanes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Transport and Tourism 2017-01-07
[2] 웹사이트 AIS Japan http://arquivo.pt/wa[...]
[3] 뉴스 http://www.nikkei.co[...] 2013-08-06
[4] 뉴스 http://www.nikkei.co[...] 2013-08-06
[5] 웹사이트 Mainland Chinese Carriers August – October 2023 Japan Network – 30JUL23 https://www.aerorout[...] 2023-07-31
[6] 웹사이트 Korean Air Resumes 3 Japanese Routes in NW23 https://www.aerorout[...] 2023-09-29
[7] 웹사이트 Peach adds Osaka – Niigata service in March 2018 http://www.routesonl[...] routesonline 2017-11-01
[8] 웹사이트 TIGERAIR TAIWAN ADDS NIIGATA SERVICE FROM MID-JAN 2023 https://www.aerorout[...] Aeroroutes 2022-12-09
[9] 웹사이트 Toki Air Schedules Niigata – Nagoya Launch in late-Sep 2024 https://www.aerorout[...] 2024-09-16
[10] 웹사이트 TOKI AIR SCHEDULES SERVICE DEBUT IN LATE-JAN 2024 https://www.aerorout[...] 2024-01-26
[11] 웹사이트 TOKI AIR ADDS NIIGATA – SENDAI FROM LATE-APRIL 2024 https://www.aerorout[...] 2024-04-17
[12] 뉴스 http://www.nikkei.co[...] 2013-08-06
[13] 웹사이트 新潟空港(RJSN/KIJ) https://airband-japa[...] 航空無線Handbook
[14] 웹사이트 空港一覧 https://www.mlit.go.[...] 国土交通省
[15] 웹사이트 新潟空港の制限表面図 https://www.cab.mlit[...] 国土交通省 東京航空局
[16] 문서 国が管理し空港別収支の公表対象となっている25空港中、新潟空港の営業損益は2006年度・2007年度が2年連続でワースト3位、2008年度もワースト5位となっている。
[17] 논문 新潟県における航空旅客の分布・流動パターン https://doi.org/10.5[...] 1991
[18] 문서 同年に[[萬代橋]]の架け替え工事が竣工したのを記念し、[[朝日新聞社]]の社有機による記念飛行を行うため急遽建設されたが、元々地盤が軟弱で、且つ[[葦]]原を地ならししただけの簡易な構造であったため着陸事故が発生し、実質十数日間稼働したのみで閉鎖された。
[19] 뉴스 新潟空港事始め 新潟日報 1993-11-08
[20] 문서 この際の液状化現象は、世界で初めて映像として記録された
[21] 웹사이트 航空自衛隊航空救難団の沿革 http://www.mod.go.jp[...] 航空自衛隊航空救難団 2013-12-29
[22] PDF 資料15 新潟県の主な国際交流の動き(昭和30(1955)年以降) http://www.pref.niig[...] 新潟県
[23] 간행물 新潟-ハバロフスク 航空路が開設20周年 https://opac.niigata[...] 新潟市 1993-11-07
[24] 서적 40年のあゆみ 北陸エアターミナル株式会社設立40周年記念誌 北陸エアターミナル株式会社 2000-10
[25] 간행물 新潟空港 新旅客ターミナルビル完成 出発ラウンジから直接搭乗 https://opac.niigata[...] 新潟市 1996-07-21
[26] 웹사이트 新潟空港、3月30日からターミナルビルの閉館時間を変更 http://flyteam.jp/ne[...] FlyTeam 2014-03-24
[27] 뉴스 新潟空港初のLCC、いよいよあす就航 ピーチが関西線 温泉地と連携で誘客 https://www.sankei.c[...] 産経新聞ニュース 2019-12-01
[28] 뉴스 ピーチの新潟―関西便が就航 新潟空港初のLCC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 2019-12-01
[29] 뉴스 格安ピーチ新潟県初就航 新潟-大阪 空港活性化に期待 https://www.hokuriku[...] 北陸新幹線で行こう!北陸・信越観光ナビ(新潟日報) 2019-12-01
[30] 뉴스 「新潟-佐渡」定期空路復活の可能性探る 県など、6人乗りでテストフライト https://www.niigata-[...] 新潟日報モア 2019-11-26
[31] 웹사이트 【資料2】「手ぶら観光」進めてます~新潟空港内の手荷物宅配カウンターを手ぶら観光カウンターとして認定~ https://wwwtb.mlit.g[...] 北陸信越運輸局
[32] 웹사이트 新潟空港将来ビジョン検討協議会において「新潟空港将来ビジョン」を取りまとめたのでお知らせします - 新潟県ホームページ https://www.pref.nii[...] 2024-09-11
[33] 웹사이트 期待高く!トキエアの新潟-丘珠(札幌市)線が就航、独立系国内航空会社の新規参入は15年ぶり 2023年6月の就航予定から延期繰り返す https://www.niigata-[...] 2024-10-31
[34] 웹사이트 [動画あり]伊達政宗もビックリ?たった50分でひとっ飛び!仙台着いたら何しようかな♪トキエア新潟-仙台線、初便テイクオフ! https://www.niigata-[...] 2024-10-31
[35] 웹사이트 primamedia.ru http://primamedia.ru[...]
[36] 웹사이트 sakhalife.ru ヤクーツク航空の経営計画について http://sakhalife.ru/[...] 2012-08-17
[37] 웹사이트 平成25年度 新潟-ウラジオストク・ハバロフスク線のチャーター便運航について https://web.archive.[...] 2012-12-18
[38] 웹사이트 平成26年度 新潟-ロシア極東線のチャーター便運航について http://www.pref.niig[...] 2013-12-12
[39] 문서 ジェイエアの機材・乗務員で運航
[40] 문서 ANAウイングス]]の機材・乗務員で運航
[41] 뉴스 東京-新潟線を休止 交通協力会 1983-07-31
[42] 문서 後年は東亜国内航空(のちの[[日本エアシステム]]、現在の日本航空グループ)が運航していた。
[43] 간행물 ソ連イルクーツクとの間に 定期航空路が開設 https://opac.niigata[...] 新潟市 1991-03-24
[44] 간행물 国際線ぞくぞく登場 新潟-グアム(定期) 新潟-ハワイ(プログラムチャーター) 運航開始 https://opac.niigata[...] 新潟市 1998-07-12
[45] 뉴스 高速バス「会津若松 - 新潟」線 新潟空港延伸のお知らせ http://news.aizubus.[...] 2019-08-10
[46] PDF 【会津若松線】 9/1〜 新潟空港への乗り入れに伴うダイヤ改正について http://www.niigata-k[...] 新潟交通 2019-07-31
[47] 뉴스 新潟空港 高速バス、会津若松線延伸 新潟県が実証実験 https://www.hokuriku[...] 北陸新幹線で行こう!北陸・信越観光ナビ(新潟日報) 2019-12-01
[48] 뉴스 第2回新潟空港アクセス改善連絡調整会議が開催される https://www.niikei.j[...] にいがた経済新聞 2019-12-01
[49] 뉴스 LCC→村上・瀬波直行 新潟空港発乗り合いタクシー運行 https://www.hokuriku[...] 北陸新幹線で行こう!北陸・信越観光ナビ(新潟日報) 2019-12-01
[50] 뉴스 LCC新潟-大阪線開設 新発田市観光地周遊バス実験運行 https://www.hokuriku[...] 北陸新幹線で行こう!北陸・信越観光ナビ(新潟日報) 2019-12-01
[51] 뉴스 LCCと自治体、連携し集客狙う 到着後の足・経費助成…需要開拓に効果 https://web.archive.[...] SankeiBiz 2019-12-01
[52] 웹사이트 「新潟空港発着タクシー 定額運行スタート 20~30キロ圏内」 https://www.niigata-[...] 2019-12-08
[53] 뉴스 新潟空港アクセス改善策、焦点は上越新幹線の延伸 年内に方向性 知事が意欲 https://www.sankei.c[...] 産経ニュース 2019-12-01
[54] 뉴스 「安く乗れる新幹線」増えるか 新潟空港のアクセス鉄道、実現への道のり https://trafficnews.[...] 乗りものニュース 2019-12-01
[55] 웹사이트 第120回国会 予算委員会第七分科会 第3号 https://kokkai.ndl.g[...] 1991-03-13
[56] 웹사이트 平成19年度 新潟空港のアクセス改善の検討状況と改善の方向性等について(概要版) https://www.pref.nii[...]
[57] Wayback 新潟空港アクセスの改善 - 新潟県 http://www.pref.niig[...] 2012-03-30
[58] 웹사이트 にいがた交通戦略プラン http://www.city.niig[...]
[59] 웹사이트 新たな交通システム http://www.city.niig[...]
[60] 웹사이트 新潟空港乗入れの高速バスを増便します(報道発表資料) http://www.pref.niig[...] 2012-03-02
[61] 웹사이트 新潟空港 再開も欠航便相次ぐ http://www3.nhk.or.j[...] NHK 2013-08-06
[62] 웹사이트 航空事故/航空重大インシデントの概要 http://jtsb.mlit.go.[...] 運輸安全委員会 2013-08-06
[63] 웹사이트 航空重大インシデント調査報告書 https://www.mlit.go.[...] 運輸安全委員会 2013-08-06
[64] 웹사이트 Aviation Photo #2434468 Boeing 737-9B5 - Korean Air http://www.airliners[...]
[65] 문서 なお、このときの管制指示に対する副操縦士の復唱は前後逆になっていたが、これは一般的に許容範囲内であり、既に滑走路10全体の使用許可は発信済みだったことから、指示の復唱順により「着陸滑走中の交差滑走路の横断許可」などと乗務員が誤解していることは管制官の想像の範囲外であったと事故調査報告書は認定している。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