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엘레프시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엘레프시나는 고대 그리스의 아티카 지방에 위치한 도시로, 데메테르와 페르세포네를 숭배하는 엘레우시스 비의가 열리던 곳으로 유명하다. 기원전 1700년경부터 로마 제국 시대까지 엘레우시스 비의는 입문자들에게 사후 세계에 대한 믿음을 심어주는 중요한 종교 의식이었다. 엘레프시스는 아테네에서 코린토스로 가는 길목에 위치하여 지리적 이점을 가졌으며, 고대에는 데메테르 신전과 텔레스테리온과 같은 유적지로 번성했다. 로마 시대에는 신비 의식 참여가 유행하면서 번영했으나, 396년 알라리크 1세에 의해 파괴되었다. 현대에는 아테네의 교외 도시이자 주요 산업 지역으로, 그리스에서 정제되는 원유의 대부분이 이곳에서 처리되며, 파넬레프시니아코스 등 스포츠 클럽이 운영되고 있다. 매년 아에스킬리아 축제가 열리며, 젤라와 자매 도시 관계를 맺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엘레프시나 - 엘레우시스 밀의종교
    엘레우시스 밀의종교는 데메테르와 페르세포네 신화에 기반하여 풍요와 재생을 상징하는 고대 그리스의 비밀 종교 의식으로, 미케네 문명 시대부터 약 2천 년간 지속되며 사회와 예술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서아티키현 - 사로니코스만
    사로니코스만은 그리스의 여러 섬으로 둘러싸인 만으로, 아테네의 항구인 피레아스 항구가 위치하고 역사적 사건의 무대이자 고고학 유적지가 있어 관광지로 중요하며, 해양 레저 활동이 활발하고 여름철에는 계절풍의 피난처를 제공한다.
  • 서아티키현 - 키타이론산
    키타이론 산은 고대 그리스 시대 아테네와 테바이 사이 국경 지대에 위치한 산으로, 플라타이아이 전투 격전지이자 요새가 건설된 분쟁 지역이었으며, 그리스 신화에서 디오니소스를 모시는 장소이자 오이디푸스 유기 등의 배경으로 등장하고 플라타이아인들은 그 산을 최초의 왕으로 숭배했다.
  • 그리스의 항구 도시 - 하니아
    하니아는 크레타 섬 서부의 항구 도시로, 미노아 문명 시대부터 중요한 거점이었으며, 다양한 지배를 거쳐 베네치아와 오스만 제국의 건축물과 유적이 보존된 아름다운 항구 도시이자 관광 명소이다.
  • 그리스의 항구 도시 - 파트라
    파트라는 그리스 아카이아의 주요 항구 도시이자 서그리스의 중심지로, 고대부터 현재까지 다양한 시대의 지배를 거쳐 풍부한 역사를 지니고 있으며, 그리스 독립 전쟁의 중요한 무대였고 현재는 문화 유적과 현대 도시의 모습을 갖춘 그리스 경제와 문화의 중심지이다.
엘레프시나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지역 이름 (한국어)엘레프시나
지역 이름 (그리스어)Ελευσίνα
지역 이름 (그리스어 로마자 표기)Elefsína
지역 이름 (고대 그리스어)Ἐλευσίς
위치아티키주 서아티키현
면적 (시)36.589 제곱킬로미터
해발고도5m
행정
국가그리스
아티키주
서아티키현
자치구엘레프시나
시장게오르기오스 게오르기오풀로스
시장 취임일2023년
인구 통계
인구 (시, 2021년)30147명
인구 (현, 2021년)24971명
인구 밀도820명/제곱킬로미터 (2011년 기준)
지리
좌표38°2′N 23°32′E
기타 정보
우편 번호192 00
지역 번호210
자동차 등록 번호YP, YT
웹사이트엘레프시나 공식 웹사이트
이미지
엘레프시나 전경
엘레프시나 유적지 전경
엘레프시나 지도
엘레프시나 지도
텔레스테리온 유적
텔레스테리온(비의당) 유적

2. 어원

''엘레우시스''(Eleusis)라는 단어는 오르페우스 찬가에 처음 등장하는데, 엘레우시스 데메테르에게 바치는 찬가에서 «Δήμητρος Ελευσινίας, θυμίαμα στύρακα[3]»와 같이 언급된다. 알렉산드리아의 헤쉬키우스는 엘레우시스의 옛 이름이 Saesara(Σαισάρια)였다고 전한다. Saesara는 켈레오스(데메테르가 처음 도착했을 당시 엘레우시스의 왕)의 신화 속 딸이자 엘레우시누스의 손녀였다.[4]

3. 역사

엘레프시나의 역사는 고대부터 현대까지 다양한 사건들을 거치며 이어져 왔다.

텔레스테리온, "입문 장소"


데메테르 신전 (기원전 4세기)


고대에 엘레프시나는 엘레우시스 비의가 열리는 장소로 유명했다. 엘레우시스 비의는 데메테르페르세포네를 기리는 신비 의식으로, 고대 그리스에서 가장 신성한 의식 중 하나였다.[7]

비잔틴 제국 시대에는 "작은 마을"로 언급되었으며, 오스만 지배 직전에는 전쟁과 약탈 등으로 황폐해졌다. 오스만 지배 시기에는 아르바니테스가 정착했고, 유럽 여행자들은 엘레프시스에 주민이 거의 없고 고대 유적이 많다고 기록했다.[1]

그리스 독립 전쟁 이후 엘레프시나는 작은 정착촌이었으나, 19세기 말부터 산업 중심지로 발전하기 시작했다. 1922년 소아시아 재앙 이후에는 소아시아 출신 그리스인들이 정착하여 인구가 크게 증가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강력한 저항 운동이 일어났으며, 전후에는 산업 발전과 함께 환경 오염 문제가 심각해지기도 했다.

오늘날 엘레프시스는 아테네의 교외 도시이자 주요 산업 지역이다. A6 고속도로와 그리스 국도 8호선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그리스에서 수입되는 원유 대부분이 이곳에서 정제된다. 엘레프시스 조선소와 군사 공항도 이곳에 위치해 있다. 또한, 엘레프시스는 축구 클럽 파넬레프시니아코스 FC와 농구 클럽 파넬레프시니아코스 BC의 연고지이기도 하다.

3. 1. 고대

엘레프시스는 고대 아티카의 데모스로, 히포토온티스 필레에 속했으며, 데메테르페르세포네 숭배의 중심지였다. 이곳에서 열린 신비 의식인 '엘레우시니아'는 이교주의가 몰락할 때까지 그리스의 모든 신비 의식 중 가장 신성한 것으로 여겨졌다.[7]

엘레프시스는 바다에서 멀지 않은 높은 지점에 위치했으며, 살라미스 섬과 마주보고 있었다.[7] 이 위치는 세 가지 자연적 이점을 제공했는데, 고대 아테네에서 코린토스 지협으로 가는 길목에 있었고, 매우 비옥한 평야에 위치했으며, 아티카 해안으로 3면이 둘러싸이고 남쪽으로는 살라미스 섬으로 막힌 광대한 만의 입구에 자리 잡고 있었다는 점이다. 도시 자체는 가장 고대 시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엘레프시스 해안의 동굴은 그리스 세계의 신화적인 장소로 여겨진다. 페르세포네가 하데스에게 납치된 바로 그 장소라고 전해지는 동굴이 있으며, 이 동굴은 타르타로스로 들어가는 관문으로 여겨졌다. 이 납치 장소에는 하데스와 페르세포네를 위한 성역(플루토니온)이 있었다.[8]

엘레프시스는 데메테르의 도래(ἔλευσις)에서 이름을 따온 것으로 보이지만, 어떤 이들은 동명의 영웅 엘레우시스에서 이름을 유래했다고 보기도 한다.[10] 엘레프시스는 아티카가 원래 12개의 독립 국가로 나뉘었다고 전해지는 곳 중 하나였다.[11]

엘레프시스의 왕 에우몰포스와 아테네의 왕 에레크테우스의 통치 시대에 두 국가 사이에 전쟁이 벌어졌고, 엘레프시스인들이 패배했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그 후 엘레프시스인들은 신성한 의식의 거행을 제외한 모든 면에서 아테네의 지배를 인정하기로 합의했고, 계속해서 신성 의식을 관리하게 되었다.[13][14] 엘레프시스는 그 후 아티카의 데메가 되었지만, 신성한 성격으로 인해 ''폴리스''(πόλις)라는 칭호를 유지하고 아테네를 제외하고는 아티카의 다른 어떤 도시도 갖지 못한 특권인 자체 화폐를 주조할 수 있었다.[15][10]

대 엘레우시스 부조 (기원전 430년경), 아테네 박물관, 신비 의식을 묘사


엘레우시스에서는 엘레우시스 신비 즉, 데메테르코레의 신비가 열렸다. 이 신비는 기원전 600년경부터 그리스어권에서 인기를 얻어, 서기 4세기 중후반에 쇠퇴하기 전까지 로마 제국 시대에 입문자들이 몰려들었던 종교 의식이다.[16] 이 신비는 입문한 자들에게 사후 세계에 대한 희망이 있다는 믿음을 중심으로 진행되었다. 신비의 중심 신화는 하데스에게 납치된 잃어버린 딸 (코레, 즉 처녀 또는 페르세포네)을 찾아 나선 데메테르의 이야기였다.

고대 시대에 유명하고 로마 시대에도 복제되었던 대 엘레우시스 부조는 발견된 가장 크고 중요한 봉납 부조로, 기원전 440-430년경에 제작되었다. 이 부조는 신비로운 의식을 묘사하는 장면 속 엘레우시스 신들을 표현하고 있다. 왼편에는 페플로스를 입고 왼손에 홀을 든 데메테르가 인류에게 나눠주기 위해 엘레우시스 왕 켈레오스의 아들 트립톨레모스에게 밀 이삭을 건넨다. 오른편에는 키톤과 망토를 입고 횃불을 든 페르세포네가 오른손으로 트립톨레모스를 축복한다. 원래의 대리석 부조는 엘레우시스 신비의 장소인 데메테르 신전에서 발견되었다. 로마 시대의 복제품도 다수 남아있다.[17]

그리스-페르시아 전쟁 동안 고대 데메테르 신전은 기원전 484년 고대 페르시아에 의해 불탔다.[18] 페리클레스의 통치기에 이르러서야 재건 시도가 이루어졌다. 펠로폰네소스 전쟁 이후 30인 참주의 권력이 전복되었을 때, 그들은 미리 확보해두었던 엘레프시나로 퇴각했지만, 그곳에서 얼마 동안만 머물렀다.[19]

엘레프시나 마을과 그 인근 지역은 일년 중 대부분 건조하지만 때때로 범람하여 평원의 넓은 지역을 뒤덮을 정도로 물이 불어나는 케피소스 강의 범람에 노출되었다. 데모스테네스는 엘레프시나의 범람에 대해 언급했다.[20]

파우사니아스는 엘레프시나에 대해 매우 간략하게 묘사했다.[21] 그는 엘레프시나인들은 트립톨레모스 신전, 아르테미스 프로필라이아 신전, 포세이돈 신전을 가지고 있으며, 엘레프시나 여인들이 처음으로 춤을 추고 여신을 기리는 노래를 불렀던 칼리코룸이라고 불리는 우물이 있다고 기록했다.

로마 시대에 엘레프시나는 로마 귀족들 사이에서 신비 의식에 참여하는 것이 유행하면서 큰 번영을 누렸다. 하드리아누스는 기원후 125년경에 신비 의식에 참여했고,[22] 아테네에서 겨울을 보내는 동안 발생한 홍수로 인해 강 평원에 제방을 쌓았다.[23] 엘레프시나는 하드리아누스 황제에게서 기원후 160년경에 완공된 수로를 통해 좋은 물을 공급받았으며, 이 수로는 식수 தேவை를 충족시키고 공공 분수와 목욕탕 건설을 가능하게 했다.

기원후 396년 알라리크 1세에 의해 파괴되었으며, 그 이후 역사에서 사라졌다.

3. 2. 중세 및 근대 초기

비잔틴 시대 작가들은 엘레우시스를 "작은 마을"로 언급했으며, 오스만 지배 직전에는 전쟁, 약탈, 포로 등으로 인해 이 지역이 황폐해졌다고 기록했다.[1] 이 시기에는 아르바니테스가 정착했다.[1] 오스만 지배 시대에 유럽 여행자들은 엘레우시스에 주민이 거의 없고 고대 유적이 많다고 묘사했다.[1]

3. 3. 현대

그리스 독립 전쟁 이후 엘레프시나는 인구 약 250명의 작은 마을이었다. 19세기 말, 상인들이 정착하면서 새 건물들이 들어섰고, 엘레프시나는 큰 변화를 맞이했다. 이 시기에 TITAN 콘크리트 공장, 하릴라우 비누 공장, 보트리스와 크로노스 증류소 등이 설립되면서 현대 그리스의 주요 산업 중심지 중 하나로 성장했다.[26]

1922년 소아시아 재앙 이후, 소아시아 출신 그리스인들이 엘레프시스에 정착하면서 인구가 두 배로 증가했고, 문화적, 경제적으로 더욱 풍요로워졌다.[28]

그리스의 추축국 점령 (1941–1945) 기간 동안, 엘레프시스 시와 공장, 군사 공항에서는 강력한 저항 운동이 일어났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에는 그리스 전역의 노동자들이 엘레프시스의 산업 현장에서 일하기 위해 이주해 왔다. 그러나 산업 시설은 무분별하게 확장되어 유적지와 주거 지역 근처에 자리 잡게 되었다.

이로 인해 환경 오염이 심각한 수준에 이르렀다. 20세기, 지속 가능한 개발의 시대에 고고학적 발견과 산업 발전은 현대 엘레프시스의 모습을 형성했다. 시민들의 노력으로 오염은 점차 줄어들었다.

오늘날 엘레프시스는 아테네의 교외 도시가 되었으며, A6 고속도로와 그리스 국도 8호선으로 연결된다. 엘레프시스는 주요 산업 지역으로, 그리스에서 수입되는 원유 대부분이 이곳에서 정제된다. 가장 큰 정유 공장은 도시 서쪽에 위치하며, 비극 시인 아이스킬로스를 기리는 연례 아이스킬리아 축제가 열리는 곳과 가깝다.

엘레프시스 조선소가 이곳에 위치해 있다. 동쪽으로 몇 킬로미터 떨어진 곳에는 군사 공항이 있다.

엘레프시스는 축구 클럽 파넬레프시니아코스 FC와 농구 클럽 파넬레프시니아코스 BC의 연고지이다.

4. 유적지



엘레프시나의 로마 다리


엘레프시나에는 텔레스테리온(Telesterion, 데메테르 신전), 로마 다리, 성스러운 길 등 여러 유적이 남아있다. 텔레스테리온, 로마 다리, 성스러운 길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각 하위 섹션을 참조하면 된다.

엘레우시스 비의는 기원전 15세기 미케네 시대에 시작되었으며, "사람을 현세를 초월하여 신성으로 이끌고, 업의 속죄를 보장하며, 그 사람을 신으로 만들고, 그 사람의 불멸을 확실하게 하는 것"을 의도했다고 한다.

엘레우시스 비의의 내용은 외부에 발설이 금지되었기 때문에 단편적인 정보만 전해진다. 참가자의 출신지를 묻지 않았다는 점(아리스토파네스의 단편), 데메테르가 딸 페르세포네를 찾는 과정과 페르세포네가 저승에서 돌아오는 것을 재현한 연극 등이 밀의의 핵심 내용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밀의 참가자는 사전에 몸을 정결하게 해야 했고, 밀의를 통해 신의 영원한 정복을 직접 보게 된다고 믿었다.

기독교가 널리 퍼지고 로마 황제테오도시우스 1세에 의해 다신교 제례가 금지되면서 엘레우시스 비의는 사라졌다. 프리드리히 셸링은 그의 저서에서 전(前)철학적 사고의 형태로서 엘레우시스 비의를 종종 언급했다.

4. 1. 텔레스테리온 (데메테르 신전)

텔레스테리온(데메테르 신전)은 그리스 전체에서 가장 큰 규모였으며, 스트라보는 극장만큼 많은 사람을 수용할 수 있다고 묘사했다.[24] 이 건물은 처음에 아테네파르테논 신전 건축가인 익티노스에 의해 설계되었지만, 완공되기까지 여러 해가 걸렸으며 여러 건축가의 이름이 남아 있다.

오랜 역사 동안 신전은 이후 여러 번의 건축 단계를 거쳤다. 오늘날 볼 수 있는 많은 부분은 고전 시대(기원전 5세기)의 것이다. 12개의 기둥이 있는 현관은 기원전 318년경 건축가 필론에 의해 데메트리오스 팔레레우스 시대에 추가되었다.[24][25] 완공되었을 때 그것은 그리스 대리석 건축의 가장 훌륭한 예시 중 하나로 여겨졌다.

로마 시대(서기 2세기)에도 수정이 이루어졌다.

4. 2. 로마 다리



케피소스 강 위로 고대 성스러운 길을 건너던 로마 다리는 데메테르 신전에서 약 1km 떨어진 곳에서 볼 수 있다. 이 다리는 상태가 매우 좋으며 고대 다리 건설의 훌륭한 예시이다. 중앙의 30m 길이 주 다리에는 4개의 아치가 있고, 양쪽에 10m 길이의 경사진 접근로가 있다.

4. 3. 성스러운 길

성스러운 길은 아테네에서 엘레프시나의 데메테르 신전으로 이어지는 주요 도로였다. 이 길은 매년 대규모 신비 의식 축제에서 성스러운 물건을 엘레프시나로 옮기는 행렬이 사용하던 경로였다. 성스러운 길의 경로는 일부 지역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발굴을 통해 정확한 위치가 추적되었다. 현대 도시에서는 원래 경로에서 불과 몇 미터 남쪽에 같은 이름의 도로가 나란히 놓여 있다.

성스러운 길 옆에서는 고대 여러 시대의 묘지가 발견되었으며, 기원전 1600년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선사 시대 무덤도 발견되어 그 역사적 가치를 더한다. 헬레니즘 시대와 로마 시대에는 이 도로를 따라 값비싼 매장 기념물이 세워져 재산과 사회적 권력을 과시하는 데 사용되기도 했다. 성스러운 길은 적어도 서기 6세기까지 사용되었다.

5. 엘레우시스 비의

엘레우시스 비의는 고전 고대 시대에 가장 잘 알려진 밀의 종교 중 하나였으며, 종종 단순히 "밀의"라고 언급되기도 했다. 엘레우시스 비의는 기원전 15세기 미케네 시대에 시작되었다. 이 밀의는 "사람을 현세를 초월하여 신성으로 이끌고, 업의 속죄를 보장하며, 그 사람을 신으로 만들고, 그 사람의 불멸을 확실하게 하는 것"을 의도했다고 한다.

그 내용은 말하는 것이 허락되지 않았기 때문에, 단편적인 정보만 전해진다. 참가자의 출신지를 묻지 않는 것(아리스토파네스의 단편에 따른다), 딸 페르세포네를 찾는 데메테르의 방랑 및 페르세포네의 저승으로부터의 귀환의 연극적 재현이 일련의 밀의의 핵심을 이루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밀의 참가자는 사전에 몸을 정결하게 할 것이 요구되었고, 그 밀의는 신의 영원한 정복을 직접 보는 것이라고 했다.[16] 이 신비는 입문한 자들에게 사후 세계에 대한 희망이 있다는 믿음을 중심으로 진행되었다. 이러한 믿음은 희망을 품은 입문자들에게 곡물의 줄기 속 생명의 씨앗을 보여주는 입문 의식에서 비롯되었다. 신비의 중심 신화는 하데스에게 납치된 잃어버린 딸 (코레, 즉 처녀 또는 페르세포네)을 찾아 나선 데메테르의 이야기였다.

기독교가 널리 퍼지고 로마 황제테오도시우스 1세에 의해 다신교적 이교 제례가 금지되자, 엘레우시스 비의도 사라졌다. 독일 철학자 프리드리히 셸링은 그의 저서에서, 전(前)철학적 사고의 형태로서의 엘레우시스 비의에 대해 종종 논하고 있다.

6. 기후

엘레프시나는 하계 고온 지중해성 기후(''Csa'')를 나타내며, 반건조 기후(''BSh'')에 근접한 특성을 보인다. 2024년 6월 4일, 엘레프시나 항구의 세계 기상 기구(WMO) 관측소는 그리스에서 6월 초순 최고 기온 기록을 경신했다.[31] 이 기록은 아테네 국립 천문대 네트워크에서 수집되었다.

6. 1. 기상 자료

엘레프시나는 헬레닉 국립 기상청 자료에 따르면 1958년부터 2010년까지 하계 고온 지중해성 기후(''Csa'')이며, 반건조 기후(''BSh'')에 근접해 있다.[39] 여름철에는 특히 더워서 7월 평균 최고 기온이 33.2°C에 달한다. 카소메노스와 카추리스(2006)의 연구에 따르면, 1990년부터 2001년까지 12년간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 국가 산업 활동의 최소 40%가 집중된 서부 아티카 지역의 산업화가 이러한 온난한 기후의 원인일 수 있다고 한다.[30]

엘레프시나 기상 자료 (1958-1997), 헬레닉 국립 기상청[39]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
평균 최고 기온 (°C)13.013.615.820.125.730.632.932.728.923.218.514.7
평균 최저 기온 (°C)5.45.67.110.114.919.522.322.218.814.610.47.2
평균 강수량 (mm)48.440.139.326.719.58.45.55.411.341.658.867.9



엘레프시나 항구 기상 자료 (해발 10m), 아테네 국립 천문대[32][33], 세계 기상 기구[34]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
평균 최고 기온 (°C)13.815.518.022.226.531.434.634.129.724.720.115.8
평균 기온 (°C)10.211.613.717.521.826.730.029.825.520.916.612.3
평균 최저 기온 (°C)6.67.79.412.817.121.925.325.521.317.013.08.8
역대 최고 기온 (°C)24.922.825.831.437.445.344.843.738.432.829.122.2
역대 최저 기온 (°C)-2.0-1.10.24.611.814.719.319.712.98.34.50.6
평균 강수량 (mm)60.433.624.620.319.433.111.110.532.328.965.657.5



엘레프시나 기상 자료 (1958–2010), 헬레닉 국립 기상청[35]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
평균 최고 기온 (°C)13.113.616.120.225.830.733.232.928.823.318.614.6
평균 최저 기온 (°C)5.65.67.310.415.119.722.722.719.014.810.67.4



2024년 6월 4일, 엘레프시나 항구에 있는 세계 기상 기구(WMO) 관측소는 그리스에서 6월 초 10일 동안 기록된 최고 기온 기록을 경신했다.[31] 이 기록은 아테네 국립 천문대 네트워크에서 수집되었다. 엘레프시나는 1977년 7월 10일에 48°C를 기록하여 2021년까지 44년 동안 유럽에서 공식적으로 기록된 최고 기온 기록을 보유했던 아테네 광역권 지역 중 하나였다.[36]

7. 보건

엘레프시나에는 쓰리아시오 종합 병원과 보건소가 있다.[1] 쓰리아시오 종합 병원은 시 중심에서 북쪽으로 3.9km 떨어진 곳에 있으며, 행정구역상 마굴라에 속한다.[1]

7. 1. 병원 및 의료 센터

엘레프시나에는 시 중심에서 북쪽으로 3.9km 떨어진 곳에 쓰리아시오 종합 병원이 있다. 이 병원은 행정구역상 마굴라에 속한다. 또한 엘레프시나에는 시내 중심에 보건소가 있다.

8. 인구

그리스 독립 전쟁 직후인 1829년, 엘레프시나는 약 250명의 주민이 거주하는 작은 정착촌이었다. 19세기 말, 엘레프시나는 새로운 상인 정착민들에 의해 새로운 건물들이 세워지면서 급격한 변화를 겪었다. 이 시기에 TITAN 콘크리트 공장, 하릴라우 비누 공장, 보트리스와 크로노스의 증류소 등이 설립되면서 현대 그리스의 주요 산업 중심지 중 하나가 되었다.[26]

1922년 소아시아 재앙 이후, 많은 그리스 소아시아 가족들이 엘레프시스에 정착하여 상부 엘레프시스 정착촌을 건설하였고, 이는 총 인구를 두 배로 늘리고 지역의 문화적, 경제적 풍요를 더했다.[28]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그리스 전역의 노동자들이 이 지역의 산업에서 일하기 위해 엘레프시스로 이주했다.

엘레프시나의 인구 변화는 아래 표와 같다.

연도시 관할 구역
198120,320
199122,793
200125,863
201124,90129,902
202124,97130,147


8. 1. 역사적 인구

연도시 관할 구역
198120,320
199122,793
200125,863
201124,90129,902
202124,97130,147


9. 스포츠

엘레프시나는 파넬레프시니아코스와 이라클리스 엘레프시나스 등 여러 스포츠 클럽이 있는 도시이다. 파넬레프시니아코스는 축구와 농구 부서를 운영하며, 이라클리스 엘레프시나스는 1928년에 창단되었다.

9. 1. 스포츠 클럽

엘레프시나에 기반을 둔 주요 스포츠 클럽
클럽스포츠창단업적
이라클리스 엘레프시나스축구1928과거 감마 에트니키 참가
파넬레프시니아코스축구1931과거 A 에트니키 참가
농구1969과거 A1 에트니키 참가
O.K.E.농구1996



엘레프시나는 축구와 농구에서 성공적인 부서를 갖춘 종합 스포츠 클럽인 파넬레프시니아코스의 연고지이다. 주요 축구 클럽으로는 파넬레프시니아코스 FC가 있으며, 농구 클럽으로는 파넬레프시니아코스 BC가 있다. 엘레프시나의 또 다른 역사적인 클럽은 1928년에 창단된 이라클리스 엘레프시나스이다.

10. 주요 인물

엘레우시스(엘레프시나)는 역사적으로 중요한 인물들을 배출한 곳이다.[29] 주요 인물은 다음과 같다:


  • 아이스킬로스
  • 테오도로스 판갈로스
  • 스텔리오스 카잔치디스
  • 바실리스 라스코스
  • 오레스티스 라스코스
  • 반겔리스 리아피스
  • 테오도로스 판갈로스
  • 알렉산드로스 콘툴리스
  • 요안니스 칼리차키스
  • 카테리나 무리키
  • 파나기오티스 라파자니스

10. 1. 엘레우시스 출신 인물


아이스킬로스의 헤르마. 기원전 30년경 로마의 흉상으로, 기원전 340년에서 320년 사이에 제작된 그리스 청동 헤르마를 본떠 만들었다. 나폴리 국립 고고학 박물관

  • 테오도로스 판갈로스(Theodoros Pangalos) (1878–1952): 장군이다.
  • 스텔리오스 카잔치디스(Stelios Kazantzidis) (1931–2001): 가수이다.
  • 바실리스 라스코스(Vasilis Laskos) (1899–1943): 잠수함 카초니스의 지휘관으로, 제2차 세계 대전의 영웅이다.
  • 오레스티스 라스코스(Orestis Laskos) (1908–1992): 감독, 각본가, 배우이다.
  • 반겔리스 리아피스(Vangelis Liapis) (1914–2008): 학자이자 민속학자이다.
  • 테오도로스 판갈로스(Theodoros Pangalos) (1938–2023): 정치인이다.
  • 알렉산드로스 콘툴리스(Alexandros Kontoulis) (1858–1933): 군 장교이다.
  • 요안니스 칼리차키스(Ioannis Kalitzakis) (1966– ): 축구 선수이다.
  • 카테리나 무리키(Katerina Mouriki) (1951–): 아동 소설가이다.
  • 파나기오티스 라파자니스(Panagiotis Lafazanis) (1951–): 정치인이다.

11. 자매 도시

엘레프시나는 젤라 (이탈리아)와 자매 도시 관계를 맺고 있다.[37]

11. 1. 자매 도시 목록

엘레프시나는 젤라 (이탈리아)와 자매 도시 관계를 맺고 있다.[37]

12. 아에스킬리아 축제

1975년에 설립된 서부 아티카 엘레프시나에서 열리는 아에스킬리아 축제는 현재 아티카 지방 자치단체가 주최하는 가장 오래된 문화 행사이다. 이 축제는 해안가에 위치하며 야외 극장으로 사용되는 이전 비누 공장이었던 팔라이오 엘아이우르게이오에서 매년 열린다. 축제는 보통 8월 말부터 9월 내내 진행된다. 이 행사는 엘레프시나에서 태어난 아이스킬로스를 기리기 위해 기획되었으며, 축제 이름도 여기서 유래되었다. 축제에는 무대 공연, 미술 전시회 및 설치, 콘서트, 댄스 공연 등이 포함된다.

13. 사진 모음



13. 1. 갤러리

참조

[1] 웹사이트 Municipality of Elefsina, Municipal elections – October 2023 https://ekloges.ypes[...] Ministry of Interior
[2] 서적 Longman Pronunciation Dictionary https://archive.org/[...] Longman
[3] 웹사이트 Orphic hymns / Demetrios Eleusinia https://el.wikisourc[...] 2018-07-31
[4] 웹사이트 Eleusis – Greek Mythology Link http://www.maicar.co[...] 2018-07-31
[5] 웹사이트 ΦΕΚ A 87/2010, Kallikratis reform law text http://www.et.gr/ido[...] Government Gazette
[6] 웹사이트 Population & housing census 2001 (incl. area and average elevation) http://dlib.statisti[...] National Statistical Service of Greece
[7] 간행물 Eleusis
[8] 웹사이트 Archaeologists Find a Classic Entrance to Hell https://www.national[...] 2013-04-16
[9] 문서 Homeric Hymn to Artemis
[10] Pausanias Cite Pausanias
[11] Strabo Cite Strabo
[12] 서적 The celestial hunter https://www.worldcat[...] 2020
[13] Thucydides Cite Thucydides
[14] Pausanias Cite Pausanias
[15] Strabo Cite Strabo
[16] 서적 Great Events in Religion: An Encyclopedia of Pivotal Events in Religious History https://books.google[...] ABC-CLIO 2016-11-28
[17] 논문 A Roman Copy of the Eleusinian Relief www.jstor.org/stable[...]
[18] Herodotus Cite Herodotus
[19] Hellenica Cite Hellenica
[20] 문서 c. Callicl
[21] Pausanias Cite Pausanias
[22] 문서 Eusebius: Chronicle
[23] 문서 Euseb. Chron. p. 81
[24] Strabo Cite Strabo
[25] Plutarch Per.
[26] 웹사이트 History of the town of Eleusis http://www.eleusina.[...]
[27] 문서 Slave, Le patrimoine plurilingue de la Grèce – Le nom des langues II Peeters
[28] 웹사이트 Museum of Greeks of Minor Asia http://www.arxeion-p[...]
[29] 서적 Going Solo https://books.google[...] Cape
[30] 간행물 Mesoscale and macroscale aspects of the morning Urban Heat Island around Athens, Greece 2006-07-31
[31] 웹사이트 June first ten days record https://web.archive.[...]
[32] 웹사이트 Monthly Bulletins https://www.meteo.gr[...]
[33] 웹사이트 Latest Conditions in Elefsina https://penteli.mete[...]
[34] 웹사이트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https://oscar.wmo.in[...]
[35] 웹사이트 Climatological Information for Elefsina, Greece http://www.hnms.gr/h[...] 2011-07-16
[36] 웹사이트 WMO Region VI (Europe, Continent only): Highest Temperature https://wmo.asu.edu/[...] 2019-08-28
[37] 웹사이트 eleusis 2021 https://eleusis2021.[...]
[38] 서적 Religions of the Hellenistic-Roman Age Wm. B. Eerdmans Publishing Company 2001-11
[39] 웹사이트 Climatological Information for Elefsina, Greece http://www.hnms.gr/h[...] HNM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