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올림픽 독일 선수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올림픽 독일 선수단은 독일 제국 시절인 1896년 하계 올림픽부터 '독일'(GER)이라는 국호로 참가했다. 제1차 세계 대전과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그리고 냉전 시기 동서독 분단으로 인해 여러 차례 참가 금지 또는 분리된 선수단으로 출전하는 역사를 겪었다. 1990년 동서독 통일 이후에는 단일 선수단으로 참가하고 있으며, 하계 및 동계 올림픽에서 모두 높은 순위를 기록하고 있다. 독일은 1936년 동계 및 하계 올림픽을 유치했으며, 여러 차례 올림픽 유치를 시도했으나 실패한 경험도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나라별 올림픽 정보 - 올림픽 독일 연합 선수단
    올림픽 독일 연합 선수단은 1956년부터 1964년까지 서독과 동독의 연합으로 구성되어 올림픽에 참가했으며, 독일 선수단 승리 시 베토벤의 교향곡 9번을 연주하고 올림픽 국기를 사용했으며, 하계 올림픽에서 118개, 동계 올림픽에서 19개의 메달을 획득했다.
  • 나라별 올림픽 정보 - 올림픽 영국 선수단
    영국은 하계 올림픽과 동계 올림픽에 모두 참가하며, 1896년 첫 근대 올림픽부터 모든 하계 올림픽에 참가했고, 하계 올림픽에서 금메달 298개, 동계 올림픽에서 금메달 12개를 획득했다.
  • 올림픽 선수단에 관한 - 2008년 하계 올림픽
    2008년 하계 올림픽은 "하나의 세계, 하나의 꿈"이라는 표어 아래 중화인민공화국 베이징에서 204개국이 참가한 역대 최대 규모의 대회로, 28개 종목에서 302개의 메달을 놓고 경쟁했으며 중국이 금메달 1위를 차지했으나 인권, 환경, 도핑 문제 등 논란도 있었다.
  • 올림픽 선수단에 관한 - 1996년 하계 올림픽
    1996년 하계 올림픽은 미국 애틀랜타에서 개최되어 26개 종목 271개 세부 종목으로 구성, 197개국이 참가했으나, 센테니얼 올림픽 공원 폭탄 테러 사건과 재정적 성공, 도시 인프라 개선이라는 양면성을 남겼다.
올림픽 독일 선수단
올림픽 독일 선수단
NOC독일 올림픽 체육 연맹
NOC 웹사이트www.dosb.de
올림픽 참가 기록
하계 올림픽1896
1900
1904
1908
1912
1928
1932
1936
1952
1956
1960
1964
1968
1972
1976
1980
1984
1988
1992
1996
2000
2004
2008
2012
2016
2020
동계 올림픽1928
1932
1936
1952
1956
1960
1964
1968
1972
1976
1980
1984
1988
1992
1994
1998
2002
2006
2010
2014
2018
2022
메달 집계
하계 올림픽 금메달197
하계 올림픽 은메달194
하계 올림픽 동메달217
동계 올림픽 금메달125
동계 올림픽 은메달124
동계 올림픽 동메달103
총 금메달322
총 은메달318
총 동메달320
메달 합계960
순위4위
관련 항목

2. 대회 참가 역사

독일은 1896년 하계 올림픽부터 올림픽에 참가해 왔으나, 제1차 세계 대전제2차 세계 대전의 여파로 인해 몇 차례 참가가 금지되거나 분단되어 출전하는 등 복잡한 역사를 가지고 있다.

1947년 연합군에 의해 독일의 기존 국가 올림픽 위원회(NOC)가 해체된 후, 1950년 국제올림픽위원회(IOC)는 서독에 본부를 둔 독일 국가 올림픽 위원회를 동서독 공통 올림픽 위원회로 정식 승인하였다. 그러나 냉전으로 인해 1949년 동독(독일 민주 공화국)이 수립되고, 1951년 동독만의 국가 올림픽 위원회가 별도로 출범하면서 상황이 복잡해졌다.

IOC는 한동안 동독 올림픽 위원회를 승인하지 않았고, 1952년 하계 올림픽에서는 서독 단독으로 '독일' 국명을 내세워 참가하였다. 이후 동독 선수들이 서독 NOC가 조직하는 선수단에 합류하여 출전하라는 방침에 따라 독일 연합 선수단(EUA)이 탄생하였다. 독일 연합 선수단은 1956년부터 1964년 대회까지 독일(GER) 유일 대표로 참가하였다.

1965년, IOC는 공동 선수단 방침을 철회하고 동독 지역 NOC를 승인하면서 1968년부터 동서독은 각자의 선수단으로 올림픽에 출전하게 되었다. 서독은 GER 코드를 유지하다 1980년 FRG로 변경하였고, 동독은 GDR 코드를 사용하였다.

1990년 동서독 통일 이후, 독일은 다시 하나의 선수단으로 올림픽에 참가하게 되었고, IOC 코드는 GER로 되돌아갔다.

한편, 1950년대 초 프랑스가 점령하던 자르 보호령은 자체 NOC를 통해 1952년 하계 올림픽자르 선수단이란 이름으로 참가했다. 이후 1956년 하계 올림픽부터는 독일 연합 선수단에 편입되었고, 1957년 자르 보호령이 서독에 반환되면서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연도선수단
1896–1912독일 제국 (GER)
1920–1924참가 불허
1928–1936바이마르 공화국 나치 독일 (GER)
1948참가 불허
1952자르 선수단 (SAA)서독 (GER)
1956–1964독일 연합 선수단 (EUA)
1968–1988서독 (FRG)동독 (GDR)
1992–독일 (GER)

[1]

2. 1. 역대 참가 이력

독일 제국 시절이던 1896년 하계 올림픽부터 '독일'(GER)이란 국명을 내세워 참가하였으나,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1924년부터 1928년 대회에는 전쟁의 책임을 물어 참가가 금지되었다. 이는 제2차 세계 대전 직후 대회였던 1948년 하계 올림픽에서도 재현되었다.[1]

1947년 연합국에 의해 독일의 기존 국가 올림픽 위원회(NOC)가 해체되자, 1950년 국제올림픽위원회는 서독에 본부를 둔 독일 국가 올림픽 위원회를 동서독 공통 올림픽 위원회로 정식 승인하였다. 그러나 이에 앞서 냉전 시대에 접어들던 1949년 10월 독일 동부에 독일민주공화국이 건국되고, 1951년에는 동독만의 국가 올림픽 위원회가 별도로 출범하였다.[1]

국제올림픽위원회는 한동안 동독 올림픽 위원회를 승인하지 않았으며, 1952년 하계 올림픽에서는 서독 단독으로 '독일' 국명을 내세워 참가하였다. 이후 동독 선수들이 서독의 NOC가 조직하는 선수단에 합류하여 출전하라는 방침을 내세우면서 독일 연합 선수단이 탄생하였다. 독일 연합 선수단은 1956년부터 1964년 대회까지 독일(GER) 유일 대표로 참가하였으나, 1965년 국제올림픽위원회 측에서 공동 선수단 방침을 철회하고 동독 지역 NOC를 승인함에 따라 1968년부터 동서독이 각자의 선수단으로 개별 출전하게 되었다.[1]

기존의 GER 코드는 서독이 유지하고 있었으나, 1980년 FRG로 변경되었으며, 동독은 GDR이란 코드를 개별적으로 부여받았다. 1990년 동서독 통일로 국가가 소멸되어 기존의 서독, 즉 '독일연방공화국'만이 남게 되었다. 이에 따라 1992년 알베르빌 동계올림픽부터 독일은 하나의 선수단으로 다시 한번 올림픽 무대에 나섰으며, IOC 코드는 GER로 되돌아갔다.[1]

한편 1950년대 초 프랑스가 점령하던 자르 보호령도 자체 국가 올림픽 위원회를 내세워 1952년 하계 올림픽에서 자르 선수단이란 이름으로 참가하였다. 그러나 그 다음 대회인 1956년 하계 올림픽부터는 독일 연합 선수단으로 편입되어 출전하게 되었으며, 이듬해 1957년에는 자르 보호령이 서독에 반환되면서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1]

연도선수단
1896–1912독일 (GER)
1920–1924참가 불허
1928–1936독일 (GER)
1948참가 불허
1952자르 선수단 (SAA)독일 (GER)
1956–1964독일 연합 선수단 (EUA)
1968–1988서독 (FRG)동독 (GDR)
1992–독일 (GER)


3. 하계 올림픽

독일은 하계 올림픽에서 여러 차례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 1896년 아테네에서 열린 첫 1896년 하계 올림픽에 참가하여 종합 3위를 기록한 이후[6], 꾸준히 참가하여 좋은 성적을 거두었으며, 특히 1936년 베를린에서 개최된 1936년 하계 올림픽에서는 금메달 33개, 은메달 26개, 동메달 30개로 총 89개의 메달을 획득하며 종합 1위를 차지했다.

제1차 세계 대전제2차 세계 대전의 영향으로 1920년, 1924년, 1948년 하계 올림픽에는 불참했다. 냉전 시기에는 동독서독으로 분단되어 각각 올림픽에 참가했으며, 1956년부터 1964년까지는 연합 독일 선수단이라는 이름으로 함께 참가했다.

1990년 독일 통일 이후에는 다시 단일팀으로 참가하고 있으며, 1992년 바르셀로나 올림픽에서 종합 3위를 기록하는 등 여전히 좋은 성적을 유지하고 있다. 2020년 도쿄 올림픽까지 독일은 하계 올림픽에서 총 686개의 메달을 획득했다.[6]


3. 1. 하계 종목별 메달

종목-- 금메달-- 은메달-- 동메달총합
카누36212683
승마32151461
조정24161555
육상20303787
사이클15171749
체조15121441
수영14183163
사격109524
역도67922
레슬링5131129
펜싱57921
복싱491124
하키43411
테니스36211
요트35715
유도341522
다이빙281222
비치발리볼2114
근대5종2013
트라이애슬론2103
수구1203
축구1146
핸드볼1214
마라톤 수영1214
3x3 농구1001
탁구0459
양궁0325
태권도0112
골프0101
럭비0101

4. 동계 올림픽

독일은 1928년 동계 올림픽에 처음 참가한 이후 1924년과 1948년을 제외한 모든 대회에 참가했다.[1] 1936년에는 자국에서 개최된 대회에서 금메달 3개, 은메달 3개를 획득하여 종합 2위를 차지했다.[1]

1956년부터 1964년까지는 올림픽 연합 독일 선수단(EUA)으로, 1968년부터 1988년까지는 올림픽 동독 선수단(GDR)과 올림픽 서독 선수단(FRG)으로 분리되어 참가했다.[1] 1992년 독일 통일 이후 다시 단일팀으로 참가하여 1992년 동계 올림픽에서 금메달 10개, 은메달 10개, 동메달 6개로 종합 1위를 차지했다.[1]

독일은 2018년 평창 동계 올림픽까지 금메달 104개, 은메달 98개, 동메달 65개를 획득하여 동계 올림픽에서 좋은 성적을 거두고 있다.


4. 1. 동계 종목별 메달

종목금메달은메달동메달합계
바이애슬론20211354
루지2212943
스피드스케이팅13151038
봅슬레이169732
알파인스키128727
스키점프67316
노르딕복합66416
피겨스케이팅4239
크로스컨트리310417
스노보드1427
스켈레톤2316
아이스하키0112
프리스타일0112

5. 역대 메달 집계



개최 올림픽선수금메달은메달동메달합계순위
1924년 샤모니 동계 올림픽참가하지 않음
1928년 생모리츠 동계 올림픽4400118
1932년 레이크플래시드 동계 올림픽2000229
1936년 가르미슈파르텐키르헨 동계 올림픽5533062
1948년 생모리츠 동계 올림픽참가하지 않음
1952년 오슬로 동계 올림픽5332274
1956년 코르티나담페초 동계 올림픽연합 독일 선수단으로 참가
1960년 스쿼밸리 동계 올림픽
1964년 인스브루크 동계 올림픽
1968년 그르노블 동계 올림픽서독동독으로 참가
1972년 삿포로 동계 올림픽
1976년 인스브루크 동계 올림픽
1980년 레이크플래시드 동계 올림픽
1984년 사라예보 동계 올림픽
1988년 캘거리 동계 올림픽
1992년 알베르빌 동계 올림픽11110106261
1994년 릴레함메르 동계 올림픽112978243
1998년 나가노 동계 올림픽1251298291
2002년 솔트레이크시티 동계 올림픽15712168362
2006년 토리노 동계 올림픽16211126291
2010년 밴쿠버 동계 올림픽15210137302
2014년 소치 동계 올림픽153865196
2018년 평창 동계 올림픽15314107312
2022년 베이징 동계 올림픽14912105272
2026년 밀라노·코르티나담페초 동계 올림픽미래의 행사
2030년 동계 올림픽
2034년 동계 올림픽
합계10498652673



선수단 (IOC 코드)하계 올림픽동계 올림픽전체
참가 횟수금메달은메달동메달총합참가 횟수금메달은메달동메달총합참가 횟수금메달은메달동메달총합
  독일 (GER)1821822025569313104986526731322318320960
자르 (SAA)100000000010000
연합 독일 선수단 (EUA)32854361183865196366041137
동독 (GDR)5153129127409639363511011192165162519
서독 (FRG)556678120461115133911678294243
합계27455470499142422162155118435496176256171859



IOC 코드 결합참가 횟수금메달은메달동메달총 메달 수
독일 (GER)[1]30322318320960
독일 (EUA)373583783611097
독일 (EUA) (FRG)484254604551340
독일 (EUA) (FRG) (GDR)[2]59[3]6176256171859



지금까지 독일 선수단이 가장 많은 메달을 획득한 하계 올림픽은 1936년 베를린 올림픽의 89개이며, 동계 올림픽은 2002년 솔트레이크시티 동계 올림픽의 36개이다. 또한, 가장 많은 메달을 획득한 하계 올림픽 종목은 육상의 87개, 동계 올림픽 종목은 바이애슬론의 54개이다.

1896년과 2012년 사이에 독일이 하계 올림픽에서 획득한 메달 (1956년과 1964년 사이에는 연합 독일 선수단으로, 1968년과 1988년 사이에는 서독과 동독의 메달 합계로)


1928년과 2014년 사이에 독일이 동계 올림픽에서 획득한 메달 (1956년과 1964년 사이에는 연합 독일 선수단으로, 1968년과 1988년 사이에는 서독과 동독의 메달 합계로)

6. 유치 대회

독일은 1936년 동계 올림픽 (가르미슈파르텐키르헨)과 1936년 하계 올림픽 (베를린)을 유치하였다. 1972년 뮌헨 올림픽은 서독 시절에 열린 대회이므로 올림픽 서독 선수단 문서를 참고한다.

대회유치 도시기간참가국참가 선수종목 수
1936년 동계 올림픽가르미슈파르텐키르헨2월 6일 ~ 2월 16일28개국646명17종목
1936년 하계 올림픽베를린8월 1일 ~ 8월 16일49개국3,963명129종목


6. 1. 유치 실패


참조

[1] 웹사이트 Germany https://olympics.com[...] International Olympic Committee
[2] 웹사이트 Timeline: Olympic Powers https://www.bbc.co.u[...] BBC
[3] 문서
[4] 웹사이트 Past Olympic host city election results https://web.archive.[...] GamesBids 2022-01-31
[5] 문서
[6] 웹사이트 Team Germany - Profile {{!}} Tokyo 2020 Olympics https://olympics.com[...] 2021-08-13
[7] 문서
[8] 문서
[9] 문서
[10] 문서
[11] 문서
[12] 웹인용 Past Olympic host city election results https://web.archive.[...] GamesBids 2022-01-3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