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팡뎬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와팡뎬 시는 중화인민공화국 랴오닝성 다롄 시에 위치한 현급시이다. 요나라 시대에 복주로 설치된 이후 여러 왕조를 거치며 행정 구역이 개편되었으며, 1985년 현급시로 승격되어 현재의 명칭을 갖게 되었다. 랴오둥반도 중서부에 위치하며, 농업, 어업, 광업이 발달했다. 특히 베어링 산업과 다이아몬드 생산으로 유명하다. 현재 8개 가도, 15개 진, 7개 향, 2개 민족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중국 국가 철로 집단, 선하이 고속도로, 피창 고속도로 등이 지나간다. 일본의 타마나시, 텐도시 등과 자매 결연을 맺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다롄시의 행정 구역 - 진저우구
진저우구는 중화인민공화국 랴오닝 성 다롄 시의 시할구로, 다롄 시가지 북동쪽에 위치하며 역사적으로 고구려 비사성에서 유래했고, 현재 다롄 개발구와 여러 교육 기관이 소재한 경제적으로 중요한 지역이다. - 다롄시의 행정 구역 - 뤼순커우구
랴오둥반도 남쪽 끝에 위치한 다롄시 관할의 뤼순커우구는 러일 전쟁 격전지로서 러시아와 일본의 지배를 거치며 역사적 유적과 시설이 남아있고, 현재는 중국 해군 기지와 뤼순 감옥, 뤼순 박물관 등의 관광 명소가 있는 지역이다. - 랴오닝성의 현급시 - 신민시
신민시는 중화인민공화국 랴오닝성 선양시에 속한 현급시로, 1682년 거류하순검 설치를 기원으로 하며, 1993년 현에서 현급시로 개편되었고, 고속도로와 국도가 지나며, 대한민국 김포시와 자매 결연을 맺고 있다. - 랴오닝성의 현급시 - 하이청시
하이청시는 랴오닝성 남부에 위치한 현급시로, 랴오허 하류 동쪽 기슭이자 랴오둥반도 북부에 자리 잡고 있으며, 풍부한 광물 자원과 특산물, 역사적 명소 및 자연 경관을 갖춘 관광지이자 지진 예측 성공 사례로도 알려져 있다. - 중화인민공화국의 행정 구역 - 창춘시
창춘시는 중화인민공화국 지린성의 성도로, 부여의 수도였고 만주국의 수도 신징으로 불렸으며, 현재 자동차, 영화 산업 등의 중심지이다. - 중화인민공화국의 행정 구역 - 자딩구
자딩구는 상하이시의 시할구로, 1218년에 처음 설치되었으며, 면적은 약 463.9km²이며, 자동차 산업과 F1 중국 그랑프리가 열리는 곳이다.
| 와팡뎬시 - [지명]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이름 | 와팡뎬 |
| 로마자 표기 | Wafangdian |
| 중국어 간체 | 瓦房店市 |
| 중국어 병음 | Wǎfángdiàn Shì |
| 과거 이름 | 푸 현 (復縣, Fù Xiàn) |
| 한국어 | 와방점시 |
| 지리 | |
| 위치 | 랴오닝성다롄시 |
| 면적 | 3576.40 km² |
| 도시 면적 | 167.50 km² |
| 해발 고도 | 121 m |
| 행정 구역 | |
| 구분 | 현급시 |
| 소속 국가 | 중화인민공화국 |
| 소속 성 | 랴오닝성 |
| 소속 지급 행정구 | 다롄시 |
| 정부 소재지 | 세기 광장 1호 (世纪广场1号) |
| 행정 구역 코드 | 210281 |
| 인구 | |
| 총 인구 (2010년) | 942197명 |
| 추정 인구 (2017년) | 1018000명 |
| 도시 인구 (2017년) | 330400명 |
| 인구 밀도 | 자동 계산 |
| 경제 | |
| GDP | 511억 위안 (미화 78억 7천만 달러) |
| 1인당 GDP | 48874 위안 (미화 7526 달러) |
| GDP 연간 성장률 | 22.6% |
| 교통 | |
| 다롄 지구 지도 | 다롄시의 행정 구역 |
| 기타 정보 | |
| 시간대 | 중국 표준시(UTC+8) |
| 우편 번호 | 116300 |
| 지역 번호 | 0411 |
| 웹사이트 | 공식 웹사이트 |
2. 역사
요나라 시대에 설치된 '''복주'''가 시의 전신이다. 원나라 시대에 폐지되었지만, 명나라 홍무 연간에 '''복주위'''로 설치되었다가 곧 폐지되었다.
청나라가 성립되자 1727년 (옹정 5년)에 '''복주청'''으로 재설치되었고, 1732년 (옹정 10년)에는 '''복주'''(復州|복주중국어)로 개편되었다.
중화민국이 성립되자 1913년 (민국 2년)에 '''복현'''으로 개편되었고, 1985년 4월 1일에 현급시로 승격되어 '''와팡뎬 시'''로 개칭되어 현재에 이른다.
2. 1. 고대 ~ 고려 시대
한나라가 요동군을 복구하면서 중국의 영역에 들어온 것으로 추정되며, 푸란뎬 시 일대에 있었을 것으로 보이는 답씨현(沓氏縣)이 와팡뎬 시를 비롯한 다롄 시 전역을 관할했던 것으로 보인다.[1]고구려가 요동을 점령한 이후 고구려에 속했으며, 고구려는 득리사진 용담산 일대에 '''득리사산성(得利寺山城)'''을 축성했다.[1] 이 득리사산성을 고구려의 성 중 하나인 적리성으로 보는 견해가 있지만, 정확한 진위 여부는 확인할 수 없다.[1]
2. 2. 요 ~ 금 시대
요나라 흥종 대에 본래 서쪽 해안에 있던 복주성진(复州城镇)에 '''복주(复州), 혹은 부주(復州)'''를 신설했다. 복주의 군명은 회덕군(懷德軍)이었고 절도가 본주의 민정을, 남여진탕하사가 본주의 군정을 담당했다. 이 중 복주성진에는 영녕현(永寧縣)이 있었고 지금의 와팡뎬시에는 덕승현(德勝縣)이 설치된 것으로 보인다.[11]금나라는 1193년(금 장종 명창 4년)에 복주 회선군절도(懷還軍節度)를 자사로 강등시켰다. 본주는 금나라 초에 사슴의 힘줄을 공납으로 바쳤지만 후에는 바치지 않게 되었다. 금대의 복주는 13,950호의 주민들이 살고 있었고 2현 1진을 거느렸다.[12]
| 현/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비고 |
|---|---|---|---|
| 영강기 | 永康倚 | 다롄시 와팡뎬 시 | 영녕현을 1167년에 지금의 이름으로 고쳤다. |
| 화성현 | 化成縣 | 다롄시 진저우 구 | 1143년 소주를 현으로 강등시켰다. 1216년 5월에 금주로 격상시켰다. 1218년(흥정 2년) 방어를 두었다. 요 귀주 귀승현을 진으로 강등시킨 귀승진(歸勝鎭)이 있다. |
2. 3. 원 ~ 청 시대
요나라는 흥종대에 본시 서쪽 해안에 있는 복주성진(复州城镇)에 '''복주(复州), 혹은 부주(復州)'''를 신설했다. 복주의 군명은 회덕군(懷德軍)이었고 절도가 본주의 민정을, 남여진탕하사가 본주의 군정을 담당했다. 이중 복주성진에는 영녕현(永寧縣)이 있었고 지금의 와팡뎬시에는 덕승현(德勝縣)이 설치된 것으로 보인다.[11]금나라는 1193년(금 장종 명창 4년)에 복주 회선군절도(懷還軍節度)를 자사로 강등시켰다. 본주는 금나라 초에 사슴의 힘줄을 공납으로 바쳤다고 하지만 후에는 바치지 않게 되었다고 한다. 금대의 복주는 13,950호의 주민들이 살고 있었고 2현 1진을 거느렸다.[12]
| 현/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비고 |
|---|---|---|---|
| 영강기 | 永康倚 | 다롄시 와팡뎬시 | 영녕현을 1167년 지금의 이름으로 고쳤다. |
| 화성현 | 化成縣 | 다롄 시 진저우구 | 1143년 소주를 현으로 강등시켰다. 1216년 5월에 금주로 격상시켰다. 1218년(흥정 2년) 방어를 두었다. 요 귀주 귀승현을 진으로 강등시킨 귀승진(歸勝鎭)이 있다. |
원나라는 부주를 요양부에 통폐합했다. 또한 원나라가 득리영성(得利嬴城)을 쌓았다. 이때 폐지된 복주는 1372년(홍무 5년) 6월 옛 복주성에 명나라가 '''복주(復州)'''를 재설치하면서 복구되었다. 1377년(홍무 10년) 복주는 복주위로 개편되었다. 1395년(홍무 28년) 4월, 복주가 폐지되었고 복주위만 남았다.
원대에 축성된 득리영성은 1371년(홍무 4년) 2월 요동위의 치소가 되었으나 얼마 못가 요동위의 치소가 옮겨지면서 버려졌다.[13]
요나라 시대에 설치된 '''복주'''를 전신으로 한다. 원나라 시대에 폐지되었지만, 명나라가 성립되자 홍무 연간에 '''복주위'''로 설치되었지만, 곧 폐지되었다.
청나라가 성립되자 1727년 (옹정 5년)에 '''복주청'''으로 재설치되었고, 1732년 (옹정 10년)에는 '''복주'''(Dahūngga jeo)로 개편되었다.
2. 4. 근현대
1622년(천명제 천명 7년), 후금이 복주를 점령한 후 복주위를 복주로 내렸다. 이후 1664년(강희 3년) 개평현에 통폐합되었다가 1726년(옹정 4년), 개평에서 복주청을 분리하면서 복구되었다. 복주청은 1733년(옹정 11년) 복주로 바뀌어 봉천부에 속하게 되었다.[14]1913년 모든 1개 속현만 차지한 단일주가 현으로 강등됨에 따라 '''푸 현(复县)'''으로 개명되었고, 1934년 푸 현의 치소가 옛 복주성진에서 지금의 와팡뎬진(瓦房店镇)으로 옮겨졌다. 1985년 푸 현에서 지금의 이름인 와팡뎬 시로 개명되었다.
중화민국 성립 후 1913년(민국 2년)에 복현으로 개편되었고, 1985년 4월 1일 현급시로 승격되어 '''와팡뎬 시'''로 개칭되어 현재에 이른다.
3. 지리

랴오둥 반도 남서부에 위치하며, 총 면적은 3793km2이고 인구는 약 102만 명이다. 와팡뎬에는 풍부한 광산이 있는데, 동쪽에 새로 개발된 다이아몬드 도시가 있으며, 다이아몬드 매장량은 전국 확인 매장량의 54%를 차지한다. 석회암 매장량은 4억m3가 넘는다. 와팡뎬은 베어링과 사과로 중국에서 유명하며, 탄탄한 산업 기반, 빠르게 발전하는 농업, 편리한 교통 및 통신을 갖추고 있다.
와팡뎬시의 해안선은 461km이며, 연간 수산물 생산량은 해삼, 새우, 조개, 게, 숭어, 삼치, 해파리, 가리비, 전복, 갯가재 등을 포함하여 25만 톤 이상이다.
와팡뎬 시는 랴오둥반도 중서부에 위치하며, 북쪽은 가이저우 시, 동쪽은 푸란뎬 구, 남쪽은 푸란뎬 만을 바라보고 진저우 구에 접하며, 서쪽과 남쪽은 보하이 해를 바라본다. 선양시까지는 북쪽으로 292km, 다롄시 중심부에서 104km 거리에 있다. 보하이 해안에는 창싱다오, 자오류다오 등이 있으며, 창싱다오는 중국 북부에서 가장 큰 섬이다.
4. 기후
와팡뎬시는 길고 춥고 바람이 많이 불지만 건조한 겨울과 습하고 매우 더운 여름을 특징으로 하는, 4계절의 몬순의 영향을 받는 습윤 대륙성 기후(쾨펜 ''Dwa'')를 보인다. 이 지역은 인근 바다의 영향으로 계절적 지연을 경험하며, 이는 여름을 완화하는 데에도 도움이 된다. 겨울에는 랴오둥만이 일반적으로 다롄 시가지 북쪽에서 얼어붙기 때문에, 이 수역의 완화 효과가 최소화되며, 시베리아 고기압이 종종 북서풍을 일으킨다. 1월의 월 평균 기온은 -6.3°C이며, 다롄 시내의 -3.9°C에 비해 낮다.[6] 8월의 월 평균 기온은 24.1°C이다. 연평균 기온은 9.9°C이다. 연간 강수량의 거의 절반이 7월과 8월에만 내린다. 무상 기간은 연간 165~185일이다.
| 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연간 |
|---|---|---|---|---|---|---|---|---|---|---|---|---|---|
| 평균 최고 기온 (℃) | -1.6°C | 1.8°C | 8.2°C | 15.9°C | 22.3°C | 25.9°C | 28°C | 28.5°C | 24.9°C | 17.5°C | 8.3°C | 0.8°C | |
| 평균 기온 (℃) | -6.3°C | -3.1°C | 2.9°C | 10.5°C | 16.9°C | 21.1°C | 24°C | 24.1°C | 19.6°C | 12.1°C | 3.4°C | -3.9°C | |
| 평균 최저 기온 (℃) | -10.1°C | -7.1°C | -1.3°C | 5.8°C | 12.1°C | 17.1°C | 20.9°C | 20.7°C | 15.2°C | 7.6°C | -0.6°C | -7.6°C | |
| 역대 최고 기온 (℃) | 10.7°C | 13.2°C | 19.9°C | 27.8°C | 33.4°C | 37°C | 35.8°C | 35°C | 33.9°C | 29°C | 21.7°C | 14.2°C | |
| 역대 최저 기온 (℃) | -23°C | -22.1°C | -12.7°C | -3.7°C | 3.5°C | 9.9°C | 14.3°C | 10.9°C | 3.1°C | -4.5°C | -13.3°C | -19.1°C | |
| 평균 강수량 (mm) | 3.2mm | 7.4mm | 11mm | 34.2mm | 57.2mm | 86mm | 134.7mm | 188.1mm | 52.6mm | 33.5mm | 21.9mm | 7.2mm | |
| 평균 상대 습도 (%) | 54 | 53 | 53 | 54 | 59 | 73 | 82 | 80 | 70 | 63 | 61 | 58 | |
| 평균 강수일수 (≥ 0.1 mm) | 2.6 | 2.5 | 3.4 | 5.9 | 6.7 | 8.6 | 10.6 | 9.9 | 6.0 | 5.6 | 4.9 | 3.2 | |
| 평균 일조 시간 | 197.2 | 196.0 | 242.4 | 247.2 | 269.2 | 217.3 | 175.8 | 208.6 | 229.6 | 215.4 | 173.4 | 175.8 | |
| 평균 일조율 (%) | 65 | 64 | 65 | 62 | 60 | 49 | 39 | 50 | 62 | 63 | 58 | 61 | |
| 평균 적설일수 | 4.4 | 3.3 | 2.6 | 0.6 | 0 | 0 | 0 | 0 | 0 | 0.2 | 2.6 | 4.2 |
5. 경제
와팡뎬시는 농업, 어업, 광업을 기반으로 발전해 왔다. 보하이 만에서 활발한 어업 활동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사과를 비롯한 다양한 과일을 생산한다. 특히 다이아몬드 생산지로 유명하며, 베어링 산업 또한 발달하였다. 1938년 일본에 의해 세워진 와팡뎬 베어링 공장은 아시아 최대 규모를 자랑한다.[1]
빠르게 산업화가 진행되고 있으며, 창싱다오 항만 공업 지구와 훙옌허 원자력 발전소 건설 등으로 더욱 발전하고 있다.[3]
5. 1. 주요 산업
와팡뎬시의 주요 산업은 공업, 농업, 어업, 광업이다. 보하이 만에서 어업이 활발하며, 사과를 비롯한 여러 과일을 생산한다. 다이아몬드 생산지로도 알려져 있으며, 베어링 산업이 발달하였다. 1938년 일본에 의해 세워진 와팡뎬 베어링 공장은 아시아 최대 규모이다.[1]
와팡뎬시는 랴오둥 반도 남서부에 위치하며, 다이아몬드 매장량은 중국 내 확인된 매장량의 54%를 차지한다. 석회암 매장량도 4억 입방미터를 넘는다.[1] 베어링과 사과로 중국에서 유명하며, 탄탄한 산업 기반과 빠르게 발전하는 농업, 편리한 교통 및 통신 시설을 갖추고 있다.[1]
"베어링 수도"라고 불릴 정도로 베어링 산업이 발달해 있으며, "ZWZ"를 포함한 400개 이상의 베어링 공장이 있다. 인구의 약 50%가 베어링 사업에 종사하고 있다.[2] 1938년에 설립된 중국 최대 베어링 회사인 ZWZ도 이곳에 위치해 있다.[3]
창싱다오 항만 공업 지구와 훙옌허 원자력 발전소도 주요 산업 시설이다.[3]
461km의 해안선을 가지고 있으며, 연간 수산물 생산량은 25만 톤 이상이다. 해삼, 새우, 조개, 게, 숭어, 삼치, 해파리, 가리비, 전복, 갯가재 등이 주요 수산물이다.[4]
농업 분야에서는 육계, 꿀, 땅콩, 건조 박, 우엉, 고추냉이, 팥 등을 생산하며, 푸저우청 진, 라오후툰 진, 파오타이 진, 용닝 진 등 14개 진에서 주로 생산 및 가공된다.[4]
베어링, 자동차 부품, 농업 기계, 주조, 기계 가공, 식료품, 섬유, 의류 등 다양한 산업이 발달해 있으며, 융닝, 라오후툰, 옌뎬, 주화 가도 등이 주요 산업 지역이다.[4]
과일 자원도 풍부하여 사과, 배, 자두, 복숭아, 딸기, 살구, 포도 등을 생산하며, 완자링, 쑹수, 투청, 캉뎬 가도를 포함한 13개 읍과 향에서 주로 재배된다.[4]
중국 베어링 산업 발상지로 유명하며, 와팡뎬 축승 주식회사(瓦房店軸承股份有限公司)는 아시아 최대 베어링 제조업체이다. 이 회사는 만주국 시대에 일본인이 세운 동양 최대 베어링 공장을 전신으로 한다.[5] 광업도 활발하여, 다이아몬드 매장량은 중국 전체의 54%를 차지한다.[5] 석회암도 풍부하게 생산된다.[5]
농업에서는 국가 지정 과실 생산 기지로서 사과 산지로 유명하며, 서양배, 복숭아, 자두, 포도, 앵두 등 다양한 과일을 생산한다. 하우스 재배도 이루어지고 있다.[5] 꿀, 땅콩, 표주박 등도 생산, 가공되며, 고추냉이, 육계닭 등은 일본으로 수출된다.[5]
어업은 461km의 해안선을 바탕으로 해삼, 새우, 바지락, 게, 숭어, 해파리, 가리비 등 25만 톤 이상의 어획고를 올리고 있다.[5]
보하이해 연안 둥강진에는 중국 최대 규모의 훙옌허 원자력 발전소가 있으며, 창싱다오는 중일한 공업·무역 지구로 개발 중이다.[5] 대한민국의 STX그룹이 아시아 최대 규모의 조선소를 건설하고 있으며, 풍력 발전 연구 시설 등도 계획 중이다.[5]
6. 행정 구역
와팡뎬시는 8개의 가도, 15개의 진, 7개의 향, 2개의 민족향을 관할한다.[10]
| 종류 | 개수 | 이름 |
|---|---|---|
| 가도 | 8 | 신화 가도, 원란 가도, 링둥 가도, 궁지 가도, 톄둥 가도, 주화 가도, 강뎬 가도, 타이양 가도 |
| 진 | 15 | 푸저우청( ), 쑹수진 (), 덜리쓰진 (), 완자링진 (), 쉬툰진 (), 융닝진 (), 시에툰진 (), 라오후툰진 (), 훙옌허진 (), 리관진 (), 셴위완진 (), 위안타이진 (), 와워진 () |
| 향 | 7 | 자오툰 향( ), 투청 향( ), 옌뎬 향( ), 시양 향( ), 퉈산 향( ), 파오야 향( ) |
| 민족향 | 2 | 싼타이 만주족향, 양자 만주족향 |
6. 1. 가도
와팡뎬시는 8개의 가도를 관할한다.[10]| 이름 | 한자 |
|---|---|
| 신화 가도 | |
| 원란 가도 | |
| 링둥 가도 | |
| 궁지 가도 | |
| 톄둥 가도 | |
| 주화 가도 | |
| 강뎬 가도 | |
| 타이양 가도 |
6. 2. 진
푸저우청( )쑹수진 ()
덜리쓰진 ()
완자링진 ()
쉬툰진 ()
융닝진 ()
시에툰진 ()
라오후툰진 ()
훙옌허진 ()
리관진 ()
셴위완진 ()
위안타이진 ()
와워진 ()
6. 3. 향
자오툰 향( ), 투청 향( ), 옌뎬 향( ), 시양 향( ), 퉈산 향( ), 파오야 향( )이 있다.[10]6. 4. 민족향
- 싼타이 만주족향
- 양자 만주족향
7. 교통
와팡뎬시는 랴오둥 반도 남서부에 위치해 있으며, 편리한 교통 및 통신 시설을 갖추고 있다.
| 종류 | 이름 | 기호 및 번호 |
|---|---|---|
| 고속도로 | 선하이 고속도로 | -- |
| 고속도로 | 피창 고속도로 | -- |
| 국도 | G202 국도 |
7. 1. 철도
- - 중국 국가 철로 집단
- 하다 여객 전용선: (다롄 방면) - 와팡뎬시 역 - (선양 방면)
- 선다 선: (다롄 방면) - 와팡뎬 역 - 쑹수 역 - 쉬자툰 역 - (선양 방면)
7. 2. 도로
| 종류 | 이름 | 기호 및 번호 |
|---|---|---|
| 고속도로 | 선하이 고속도로 | -- |
| 고속도로 | 피창 고속도로 | -- |
| 국도 | G202 국도 |
와팡뎬 시를 지나는 고속도로와 국도는 위와 같다.
8. 자매 도시
| 국가 | 도시 | 체결일 |
|---|---|---|
| 日本|일본일본어 | 타마나시 | 1994년 10월 6일 |
| 日本|일본일본어 | 텐도시 | 2002년 5월 27일 |
| 中华人民共和国|중화인민공화국중국어 국내 | ||
| 성/자치구 | 도시 | |
| 헤이룽장성 | 하얼빈시 아청구 | |
| 지린성 | 창춘시 차오양구 | |
| 지린성 | 쓰핑시 리수현 | |
| 내몽골 자치구 | 후룬베이얼시 얼룬 기 | |
| 랴오닝성 | 톄링시 시펑현 | |
| 랴오닝성 | 랴오양시 랴오양현 | |
| 산시성 | 린펀시 호우마시 | |
| 산시성 | 타이위안시 구자오시 | |
| 허난성 | 뤄양시 젠시구 | |
| 저장성 | 원저우시 루청구 | |
| 장쑤성 | 쑤저우시 장자강시 | |
| 장시성 | 난창시 신젠구 | |
| 쓰촨성 | 청두시 솽류구 | |
| 신장 위구르 자치구 | 이닝시 | |
참조
[1]
서적
National Bureau of Statistics of China
[2]
서적
http://www.stats.gov[...]
National Bureau of Statistics of China
2022-08-30
[3]
서적
China Urban Construction Statistical Yearbook 2017
China Statistics Press
2019
[4]
웹사이트
http://www.dlwfd.gov[...]
Wafangdian People's Government
2011-05-28
[5]
문서
[6]
웹사이트
http://old-cdc.cma.g[...]
Chin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11-05-28
[7]
웹사이트
http://data.cma.cn/d[...]
Chin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3-07-29
[8]
웹사이트
https://experience.a[...]
Chin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3-07-29
[9]
웹사이트
http://www.weather.c[...]
Weather China
2022-09-24
[10]
웹사이트
http://www.stats.gov[...]
National Bureau of Statistics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2013-01-09
[11]
문서
《요사》 권38 지리지 2 동경도 복주
https://zh.wikisourc[...]
[12]
문서
《금사》 권24 지리지 1 동경로
https://zh.wikisourc[...]
[13]
문서
《명사》 권41 지리지 2 요동도사 복주위
https://zh.wikisourc[...]
[14]
문서
《청사고》 권55 지리지 2 봉천성 봉천부 복주
https://zh.wikisour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